KR200457595Y1 - 스팀 쿡 - Google Patents

스팀 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7595Y1
KR200457595Y1 KR2020110005919U KR20110005919U KR200457595Y1 KR 200457595 Y1 KR200457595 Y1 KR 200457595Y1 KR 2020110005919 U KR2020110005919 U KR 2020110005919U KR 20110005919 U KR20110005919 U KR 20110005919U KR 200457595 Y1 KR200457595 Y1 KR 2004575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outer cylinder
cooking
inner cylinder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9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우
Original Assignee
이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우 filed Critical 이영우
Priority to KR20201100059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75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75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75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7/05Tier steam-cookers, i.e. with steam-tight joints between cooking-vessels stacked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4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 A47J27/16Cooking-vessels for use in hotels, restaurants, or canteens heated by stea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C15/327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with air moistur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팀 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물이 담긴 제1 외통과, 상기 제1 외통의 내부에 이격 배열되어 제1 유로를 형성하는 제1 내통과, 상기 제1 내통의 테두리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로와 연통된 다수의 제1 통기공을 포함하는 제1 조리통; 상기 제1 조리통의 제1 외통 상부에 얹히고, 저면에 다수의 스팀공이 형성된 제2 외통과, 상기 제2 외통의 내부에 이격 배열되어 제2 유로를 형성하는 제2 내통과, 상기 제2 내통의 테두리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와 연통된 제2 통기공을 포함하는 제2 조리통; 상기 제2 조리통을 덮는 뚜껑; 및상기 제1 조리통의 제1 외통과 제2 내통, 또는 상기 제2 조리통의 제2 외통과 제2 내통, 또는 이들 모두에 형성되고, 상기 각 외통과 내통간의 결합 및 분리를 위한 거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각 조리통의 외통과 내통이 거치수단에 의하여 쉽게 결합되고 분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각 외통과 내통에 구비된 거치수단의 구조가 종래의 분리형 조리통의 결합구조와 달리 단순화되어 있어 조리통의 사용 후, 분리된 외통과 내통의 설거지나 청소 등과 같은 작업이 훨씬 쉽고 편리하고, 또한 이에 의하여 조리통의 청결이나 위생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어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스팀 쿡을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스팀 쿡{STEAM COOKER}
본 고안은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수증기에 의하여 음식을 조리하기 위한 스팀 쿡에 관한 것으로, 각 조리통의 외통과 내통이 거치수단에 의하여 쉽게 결합되고 분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각 외통과 내통에 구비된 거치수단의 구조가 종래의 분리형 조리통의 결합구조와 달리 단순화되어 있어 조리통의 사용 후, 분리된 외통과 내통의 설거지나 청소 등과 같은 작업이 훨씬 쉽고 편리하고, 또한 이에 의하여 조리통의 청결이나 위생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어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찜이나, 증숙은 가정이나 음식점 등에서 수증기로 음식을 찌는 조리를 말하고, 음식물을 찌기 위해 각종 스팀 쿡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스팀 쿡은 물을 수용한 스팀통과, 상기 스팀통에 놓여져 있고, 음식물이 수용되어 있는 용기가 결합되어 있는 찜통을 포함하고,
상기 스팀통을 일정시간 가열하게 되면 스팀통에 수용된 물이 가열되면서 발생한 수증기에 의해 음식물이 쪄지게 된다.
이러한 스팀 쿡으로 본 출원에 의하여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특허 제10-0911003호 (2009.07.30. 등록, 이하 '종래기술'이라 함.) "증숙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기술은 가열통과 증열통, 조리외통과 용기부가 각각 분리가능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용기부는 외측판이 연결부에 의하여 외측판 내부에 위치하는 용기와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상기 용기부의 외측판의 내벽면과 용기의 외측벽면 사이에 형성되는 홈이 깊이가 너무 깊어 조리 후, 설거지나 청소 등의 작업을 하는 경우 사용자의 손이나, 청소용 도구가 사이 홈으로 넣기 어렵다는 문제와,
설령 청소용 도구를 넣을 수 있다 하더라도 작업이 수월하지 않아 용기부를 깨끗이 설거지하거나 청소를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각 조리통의 외통과 내통이 거치수단에 의하여 쉽게 결합되고 분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각 외통과 내통에 구비된 거치수단의 구조가 종래의 분리형 조리통의 결합구조와 달리 단순화되어 있어 조리통의 사용 후, 분리된 외통과 내통의 설거지나 청소 등과 같은 작업이 훨씬 쉽고 편리하고,
또한 이에 의하여 조리통의 청결이나 위생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어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가열장치에 의하여 직접 가열되는 제1 조리통의 외통에 확대열접촉돌출부를 형성되고, 또한 각 확대열접촉돌출부 사이에 열통로가 형성되어 있어 조리통의 열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아울러 이를 통하여 조리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절감효과를 얻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조리통 내부의 증기와 외기가 뚜껑을 매개로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증기를 뚜껑 상부로 유도하고, 증기와 외기와의 열전달을 통하여 생성되는 응결수를 조리대상체로 공급하여 조리대상체가 습윤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면류의 경우 쫄깃한 정도를 높여 조리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스팀 쿡은 물이 담긴 제1 외통과, 상기 제1 외통의 내부에 이격 배열되어 제1 유로를 형성하는 제1 내통과, 상기 제1 내통의 테두리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로와 연통된 다수의 통기공을 포함하는 제1 조리통; 상기 제1 조리통의 제1 외통 상부에 얹히고, 저면에 다수의 스팀공이 형성된 제2 외통과, 상기 제2 외통의 내부에 이격 배열되어 제2 유로를 형성하는 제2 내통과, 상기 제2 내통의 테두리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와 연통된 제2 통기공을 포함하는 제2 조리통; 상기 제2 조리통을 덮는 뚜껑; 및 상기 제1 조리통의 제1 외통과 제2 내통, 또는 상기 제2 조리통의 제2 외통과 제2 내통, 또는 이들 모두에 형성되고, 상기 각 외통과 내통간의 결합 및 분리를 위한 거치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거치수단은 상기 각 외통의 상부 부분에 형성되고,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환형의 거치돌기와, 상기 각 내통의 테두리부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하부 방향으로 배열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거치돌기의 상부에 거치되는 환형의 대응거치돌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제1 조리통의 제1 외통의 바닥면에는 동심원 상에 분획되어 형성된 확대열접촉돌기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확대열접촉돌기부는 반지름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확대열접촉돌기부 사이에는 열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뚜껑에는 가장자리 부분에 연결되고, 내측 하부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유도판이 더 구비되고,
상기 유도판의 중심부에는 연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뚜껑의 상면부에는 저온수가 담기는 다수의 저온수수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스팀 쿡은 각 조리통의 외통과 내통이 거치수단에 의하여 쉽게 결합되고 분리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각 외통과 내통에 구비된 거치수단의 구조가 종래의 분리형 조리통의 결합구조와 달리 단순화되어 있어 조리통의 사용 후, 분리된 외통과 내통의 설거지나 청소 등과 같은 작업이 훨씬 쉽고 편리하고,
또한 이에 의하여 조리통의 청결이나 위생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어 소비자들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가열장치에 의하여 직접 가열되는 제1 조리통의 외통에 확대열접촉돌출부를 형성되고, 또한 각 확대열접촉돌출부 사이에 열통로가 형성되어 있어 조리통의 열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아울러 이를 통하여 조리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조리통 내부의 증기와 외기가 뚜껑을 매개로 열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증기를 뚜껑 상부로 유도하고, 증기와 외기와의 열전달을 통하여 생성되는 응결수를 조리대상체로 공급하여 조리대상체가 습윤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면류의 경우 쫄깃한 정도를 높여 조리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스팀 쿡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팀 쿡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팀 쿡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스팀 쿡의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스팀 쿡의 또 다른 변형례를 나타내는 단면도.
본 고안에 따른 스팀 쿡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팀 쿡은
물(W)이 담긴 제1 외통(11)과, 상기 제1 외통(11)의 내부에 이격 배열되어 제1 유로(17)를 형성하는 제1 내통(13)과, 상기 제1 내통(13)의 테두리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로(17)와 연통된 다수의 제1 통기공을 포함하는 제1 조리통(10); 상기 제1 조리통(10)의 제1 외통(11) 상부에 얹히고, 저면에 다수의 스팀공(21a)이 형성된 제2 외통(21)과, 상기 제2 외통(21)의 내부에 이격 배열되어 제2 유로(27)를 형성하는 제2 내통(23)과, 상기 제2 내통(23)의 테두리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27)와 연통된 다수의 제2 통기공(25)을 포함하는 제2 조리통(20); 및 상기 제2 조리통(20)을 덮는 뚜껑(40); 및 상기 제1 조리통(10)의 제1 외통(11)과 제1 내통(13), 또는 상기 제2 조리통(20)의 제2 외통(21)과 제2 내통(23), 또는 이들 모두에 형성되어 상기 각 외통과 내통간의 결합 및 분리를 위한 거치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팀 쿡에서, 상기 제1 조리통(10)은
가열장치(H)에 의하여 물(W)이 더워지면서 발생하는 증기에 의하여 내부에 담긴 조리대상체를 익히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제1 조리통(10)은 저면에 물(W)이 담기는 수용부(SS)를 갖는 제1 외통(11)과,
상기 제1 외통(11)의 내부에 배열되는 제1 내통(13)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외통(11)과 제1 내통(13)은 저면이 개구되지 않은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내통(13)의 내부공간에는 조리대상체를 위한 조리공간(S)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외통(11)의 저면과 제1 내통(13)의 바닥면은 상호 이격되어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상기 수용부(SS)가 형성되어 물(W)이 담기며,
또한 상기 제1 외통(11)의 내벽면과 제1 내통(13)의 외벽면도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각 벽면 사이에 제1 유로(17)가 형성되고,
아울러 상기 제1 내통의 상단부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환형의 테두리부(13a)가 형성되며,
상기 테두리부(13a)에는 다수의 제1 통기공(15)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유로(17)와 연통된다.
따라서 가열장치(H)에 의하여 상기 제1 외통(11)의 바닥면이 가열하게 되면 상기 수용부의 물(W)이 끓어 수증기가 발생하고,
이렇게 발생한 증기는 상기 제1 유로(17)를 거쳐 상기 제1 통기공(15)을 통하여 상기 제1 내통(13)의 조리공간(S)으로 유입되어 조리대상체를 익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가열장치(H)로는 가스렌지, 버너, 전열기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열원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 나아가 상기 제1 외통(11)과 상기 제1 내통(13)은 거치수단(50)에 의하여 결합 및 분리가 되는데,
상기 거치수단(50)은 상기 제1 외통(11)의 상부 부분에 형성되고,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환형의 거치돌기(51)와,
상기 제1 내통(13)의 테두리부(13a)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하부 방향으로 배열된 지지부(53)와,
상기 지지부(53)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거치돌기(51)의 상부에 거치되는 환형의 대응거치돌기(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 외통(11)의 내부에 상기 제1 내통(13)을 넣기 위해 상부에서 상기 제1 내통(13)을 내리게 되면 상기 대응거치돌기(55)의 하면부가 상기 거치돌기(51)의 상부에 거치되어 상기 제1 내통(13)이 상기 거치수단(50)에 의하여 상기 제1 외통(11)에 간편하게 내장되고,
반대로 상기 제1 내통(13)을 상기 제1 외통(11)에서 빼내는 작업도 상기 거치수단(50)에 의하여 간편하게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거치수단(50)의 지지부(53)는 일정한 탄성을 갖도록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데,
이는 상기 거치수단의 대응거치돌기(55)가 밀폐성을 위하여 상기 제1 외통(11)의 내경보다 미세한 정도로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경우
상기 대응거치돌기(55)를 지지하고 있는 상기 지지부(53)가 대응거치돌기(55)를 탄성 지지함으로써 제1 외통(11)에 제1 내통(13)이 내장된 경우 상기 지지부(53)가 탄성을 발휘하여 상기 대응거치돌기(55)를 외측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상기 대응거치돌기(55)의 원주면이 상기 제1 외통(11)의 외벽면과 밀착되어 밀폐성을 보다 견고히 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 제1 외통(11), 제1 내통(13)과, 그리고 이들에 형성된 거치수단(50)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과 달리 그 구조를 가능한 한 단순화되어 있는데,
이는 상기 거치수단(50)에서 대응거치돌기(55)와, 지지부(53)가 상기 제1 내통(13)의 상부 부분에 형성되어 있어 지지부(53)와, 제1 내통(13)의 외벽면과 사이에 형성된 홈의 깊이가 낮아지게 된다.
따라서 조리 후, 분리된 제1 외통(11)과 제1 내통(13)의 설거지나, 청소 등을 하는 경우 낮아진 홈으로 사용자의 손이나 청소용 도구가 쉽게 삽입될 뿐만 아니라,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쉽고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제1 내통(11)을 상기 제1 외통(11)에 넣는 경우 상기 대응거치돌기(55)가 상기 거치돌기(51)의 상부에 걸쳐 상기 제1 외통(11)의 내부에 간편하게 내장되고,
반대로 상기 제1 외통(11)에서 상기 제1 내통(13)을 분리하는 경우에도 특별한 어려움 없이 제1 외통(11)에서 제1 내통(13)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외통(11)은 가열장치에 의하여 바닥면에 가열되는데,
이 경우 제1 외통(11)의 열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제1 외통(11)의 바닥면에는 동심원 상에 분획되어 형성된 확대열접촉돌기부(19)가 더 구비되고,
상기 확대열접촉돌기부(19)는 반지름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확대열접촉돌기부(19) 사이에는 열통로(19a)가 형성된다.
즉 상기 확대열접촉돌기부(19)는 상기 제1 외통(11)을 표면적을 증가시켜 상기 가열장치의 열과의 접촉면적이 확대되어 열전달 효율이 향상되고,
또한 상기 각 확대열접촉돌기부(19) 사이에 열통로(19a)가 형성되어 있어 가열장치의 열이 상기 열통로(19)를 통하여 전달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열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팀 쿡에서, 상기 제2 조리통(20)은
상기 제1 조리통(10)의 상부에 얹히어 제1 통기공(15)을 통하여 제1 내통(13)으로 유입된 증기에 의하여 조리대상체를 익히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제2 조리통(20)은 상기 제1 조리통(10)의 제1 외통(11) 상부에 얹히는 제2 외통(21)과,
상기 제2 외통(21)의 상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외통(21)의 내부에 배열되는 제2 내통(23)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내통(23)의 내부공간에는 조리대상체를 조리공간(S)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외통(21)과 제2 내통(23)은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내통(23)의 저면은 개구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제2 외통(21)의 저면에는 다수의 스팀공(21a)이 형성되며,
아울러 상기 제2 외통(13)의 하부 외측면에는 걸림단턱(29)이 형성되어 상기 제1 외통(11)에 제2 외통(21)이 얹히는 경우 상기 제2 외통(21)의 걸림단턱(29)이 상기 제1 외통(11)의 상단부에 걸쳐 상기 제2 외통(21)이 제1 외통(11)에 얹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외통(21)의 내측면과 상기 제2 내통(23)의 외측면은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고, 그 공간에는 상기 각 스팀공(21a)과 연통되는 제2 유로(27)가 되며,
아울러 상기 제2 내통(23)의 상단부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환형의 테두리부(23a)가 형성되고,
상기 테두리부(23a)에는 다수의 제2 통기공(25)이 형성되어 상기 제2 유로(27)와 연통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유로(17)와 제1 통기공(15)을 통하여 제1 내통(13)의 조리공간(S)으로 유입된 증기는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스팀공(21a)을 통하여 상기 제2 유로(27)로 유입되고,
또한 제2 유로(27)로 유입된 증기는 상기 제2 통기공(25)을 통하여 상기 제2 내통(23)의 조리공간(S)으로 유입되어 조리대상체를 익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외통(21)과 제2 내통(23)은 거치수단(50)에 의하여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되는데,
상기 거치수단(50)은 상기 제2 외통(21)에 거치돌기(51)가 형성되고, 상기 내통(23)의 테두리부(23a)에 지지부(53)가 연결되며, 상기 지지부(53)에는 대응거치돌기(55)가 형성된다.
즉 상기 거치수단(50)은 상기 제1 조리통(10)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동일한 기능을 갖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1 외통(11)과 제2 외통(21)의 상부 외측면에는 각 조리통을 운반 가능하도록 손잡이(1)가 구비되어 있어 조리통의 사용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본 고안에 따른 스팀 쿡은 다단의 조리통을 적층하는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러한 구현례 상기 제1 조리통(10)과 상기 제2 조리통(20) 사이에 제3 조리통(30)을 더 구비하여 3단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더 많은 조리통을 적층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상기 제3 조리통(30)은 상기 제2 조리통(20)과 동일한 구성을 갖기 때문에, 실질은 상기 제1 조리통(10)에 복수의 제2 조리통(20)을 적층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며,
따라서 본 명세서상에서는 제3 조리통의 구조는 상기 제2 조리통의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스팀 쿡에서, 상기 뚜껑(40)은
상기 제2 조리통(20)을 덮어 상기 제2 내통(23)으로 유입된 증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밀폐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뚜껑(40)은 상기 제2 조리통(20)의 상단부를 덮되, 가장자리 부분에 밀폐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제2 내통(23)으로 유입된 증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밀봉시키고,
또한 상기 뚜껑(40)의 상단부에는 뚜껑(40)을 개폐시키기 위한 손잡이(1)가 구비되어 사용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스팀 쿡의 각 조리통은 일반적인 냄비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상기 각 조리통은 상호 분리된 상태에서 일반적인 냄비로 대용함으로써 조리기의 사용 범위를 확장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칼국수나 라면 등과 같은 면류를 조리하는 경우, 그 조리 중에 일정양의 찬물(W)을 투입하여 면이 보다 쫄깃해지도록 하여 맛이 좋아지도록 하거나, 또는 조리대상체가 습윤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는 직접 찬물(W)을 붓지 않고 상기 뚜껑(40)의 구조를 개선하여 이와 유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40)의 가장자리에 연결된 유도판(41)을 형성하고, 상기 유도판(41)의 중심부에는 연통공(42)이 형성되어
상기 제2 내통(23)으로 유입된 증기가 상기 유도판(41)에 의하여 상기 연통공(42)을 통하여 상기 뚜껑(40)과 상기 유도판(41)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공간으로 유입된 증기는 상기 뚜껑(40)을 통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와기와 열전달이 이루어져 응결수가 발생하게 되며,
이렇게 생성된 응결수는 다시 상기 유도판(41)의 상면부에 구비된 응결수체류부(44)에 모이거나, 응결수체류부(43)를 타고 흘러 상기 연통공(42)을 통하여 제2 내통(23)으로 떨어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유도판(41)은 내측 하부방향으로 경사진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응결수가 쉽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유도판(41)의 단부에는 낙하단턱(43)이 형성되되,
상기 낙하단턱(43)은 상부 방향으로 약간 구부러져 있어 응결수가 바로 응결수체류부(44)에서 떨어지지 않고,
응결수가 일단 낙하단턱(43)에 고여 있다가 응결수가 어느 정도 모이게 되면 흘러 넘쳐 낙하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뚜껑(40)은 증기와 외기와의 열전달 시 열전달 효율을 높이기 위해 증기와 외기와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뚜껑은 요철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뚜껑의 상면부에는 홈 형태의 저온수수용부(45)가 형성된다.
즉 상기 저온수수용부(45)에는 저온수가 채워져 있어 상기 뚜껑(40)의 하부의 증기가 뚜껑(40)을 경계면으로 상기 저온수와 열교환을 통하여 보다 신속하게 응결수를 생성하여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 뚜껑은 상기한 바와 같이 요철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뚜껑(40)의 표면적이 증대되어 증기와 외기와의 접촉면적을 확대하여 열전달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유도판의 하면부에는 다수의 돌기부(46)가 구비되는데,
상기 돌기부(46)는 상기 유도판(4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응결수체류부(44)에 고인 응결수와 유도판(41) 하부의 증기가 열교환을 하거나, 또는 상부로 이동한 증기가 응결수로 맺혀 조리대상체로 떨어지게 한다.
즉 상기 돌기부(46)는 상기 유도판(41)이 기울어져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응결수가 모두 유도판(41)의 단부에 낙하게 되면 조리대상체의 특정 부위에만 응결수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돌기부(46)는 상기 유도판(41) 하면부에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응결수 상기 유도판(41) 전체에 맺혀 낙하도록 함으로써 조리대상체 전체에 응결수가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인 스팀 쿡를 설명함에 있어 특정 형상 및 방향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S : 조리공간 SS : 수용부
H : 가열장치 W : 물
10 : 제1 조리통 11 : 제1 외통
13 : 제1 내통 13a : 테두리부
15 : 제1 통기공 17 : 제1 유로
19 : 확대열접촉돌기부 19a : 열통로
20 : 제2 조리통 21 : 제2 외통
21a : 스팀공 23 : 제2 내통
23a : 테두리부 25 : 제2 통기공
27 : 제2 유로 29 : 걸림단턱
30 : 제3 조리통 31 : 제3 외통
31a : 스팀공 33 : 제3 내통
33a : 테두리부 35 : 제3 통기공
37 : 제3 유로 39 : 걸림단턱
40 : 뚜껑 41 : 유도판
42 : 연통공 43 : 낙하단턱부
44 : 응결수체류부 45 : 저온수수용부
46 : 돌기부
50 : 거치수단 51 : 거치돌기
53 : 지지부 55 : 대응거치돌기

Claims (4)

  1. 물이 담긴 제1 외통(11)과,
    상기 제1 외통(11)의 내부에 이격 배열되어 제1 유로(17)를 형성하는 제1 내통(13)과,
    상기 제1 내통(13)의 테두리부(13a)에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유로(17)와 연통된 다수의 제1 통기공(15)을 포함하는 제1 조리통(10);
    상기 제1 조리통(10)의 제1 외통(11) 상부에 얹히고, 저면에 다수의 스팀공(21a)이 형성된 제2 외통(21)과,
    상기 제2 외통(21)의 내부에 이격 배열되어 제2 유로(27)를 형성하는 제2 내통(23)과,
    상기 제2 내통(23)의 테두리부(23a)에 방사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27)와 연통된 제2 통기공(25)을 포함하는 제2 조리통(20);
    상기 제2 조리통(20)을 덮는 뚜껑(40); 및
    상기 제1 조리통(10)의 제1 외통(11)과 제2 내통(13), 또는 상기 제2 조리통(20)의 제2 외통(21)과 제2 내통(23), 또는 이들 모두에 형성되고, 상기 각 외통과 내통간의 결합 및 분리를 위한 거치수단(5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스팀 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수단(50)은
    상기 각 외통(11)(21)의 상부 부분에 형성되고, 내측방향으로 돌출된 환형의 거치돌기(51)와,
    상기 각 내통(13)(23)의 테두리부(13a)(23a)의 가장자리에 연결되어 하부 방향으로 배열된 지지부(53)와,
    상기 지지부(53)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거치돌기(51)의 상부에 거치되는 환형의 대응거치돌기(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쿡.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리통(10)의 제1 외통(11)의 바닥면에는 동심원 상에 분획되어 형성된 확대열접촉돌기부(19)가 더 구비되고,
    상기 확대열접촉돌기부(19)는 반지름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확대열접촉돌기부(19) 사이에는 열통로(19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쿡.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40)에는 가장자리 부분에 연결되고, 내측 하부 방향으로 경사진 형태의 유도판(41)이 더 구비되고,
    상기 유도판(41)의 중심부에는 연통공(42)이 형성되며,
    상기 뚜껑(40)의 상면부에는 저온수가 담기는 다수의 저온수수용부(4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쿡.
KR2020110005919U 2011-06-29 2011-06-29 스팀 쿡 KR2004575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919U KR200457595Y1 (ko) 2011-06-29 2011-06-29 스팀 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919U KR200457595Y1 (ko) 2011-06-29 2011-06-29 스팀 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7595Y1 true KR200457595Y1 (ko) 2011-12-28

Family

ID=45569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919U KR200457595Y1 (ko) 2011-06-29 2011-06-29 스팀 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7595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1562A (ja) 1999-12-10 2001-06-19 Musashino Sangyo Kk 蒸し器
KR200394197Y1 (ko) 2005-06-02 2005-08-30 최향순 조리용 이중 삶음통
JP2011078531A (ja) 2009-10-06 2011-04-21 Uta Auto Industrial Co Ltd 収納式蒸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61562A (ja) 1999-12-10 2001-06-19 Musashino Sangyo Kk 蒸し器
KR200394197Y1 (ko) 2005-06-02 2005-08-30 최향순 조리용 이중 삶음통
JP2011078531A (ja) 2009-10-06 2011-04-21 Uta Auto Industrial Co Ltd 収納式蒸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62308A (en) Steam cooker
KR101733096B1 (ko) 전자레인지용 밥솥
KR20050107677A (ko) 이중 가열식 냄비 구조
JP2017522947A (ja) 調理器具
CN211155175U (zh) 一种防滴水蒸锅
KR200457595Y1 (ko) 스팀 쿡
CN215502432U (zh) 一种具有新型隔板的多功能锅
KR100893326B1 (ko) 조리용기용 뚜껑
KR20100114290A (ko) 가열용기용 뚜껑
KR200388274Y1 (ko) 수막 제거수단을 구비한 조리용기
CN211673734U (zh) 蒸汽发生装置
KR200394229Y1 (ko) 조리용기의 뚜껑
CN209770033U (zh) 凸形底板蒸笼
CN208551362U (zh) 蒸笼盖、蒸笼组件、烹饪厨具盖体组件和烹饪厨具
CN221060370U (zh) 电蒸锅
JP3134535U (ja) 電子レンジ用炊飯釜
CN206062875U (zh) 一种带有蒸笼隔板的内胆和含有其的陶胆电炖锅
CN221060372U (zh) 电蒸锅
KR20090070170A (ko) 뚝배기의 이중 뚜껑 구조
CN208658945U (zh) 蒸笼盖、蒸笼组件和烹饪厨具
CN208864049U (zh) 蒸笼盖、蒸笼组件和烹饪厨具
CN215777261U (zh) 蒸笼及具有其的烹饪器具
CN219940321U (zh) 一种茶点机
CN211609203U (zh) 锅具组件及烹饪设备
CN221083412U (zh) 干蒸组件及电蒸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1

Year of fee payment: 3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