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1719A - 거름망을 갖는 용기 - Google Patents

거름망을 갖는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1719A
KR20120031719A KR1020100093273A KR20100093273A KR20120031719A KR 20120031719 A KR20120031719 A KR 20120031719A KR 1020100093273 A KR1020100093273 A KR 1020100093273A KR 20100093273 A KR20100093273 A KR 20100093273A KR 20120031719 A KR20120031719 A KR 201200317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trainer
sieve
container bod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선
Original Assignee
이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선 filed Critical 이영선
Priority to KR10201000932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1719A/ko
Publication of KR20120031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17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16Inserts
    • A47J36/20Perforated bases or perforated containers to be placed inside a cooking utensil ; Draining baskets, inserts with separation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08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for draining liquids from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22Kitchen sif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용물을 담아 가열할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용물의 유실 없이 물이나 국물 등 액체만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거름망을 갖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내용물의 가열이 가능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에 결합하여 내용물 중 액체만을 걸러내는 거름망; 및 뚜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름망을 갖는 용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거름망을 갖는 용기{Container having filter}
본 발명은 내용물을 담아 가열할 수 있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용물의 유실 없이 물이나 국물 등 액체만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거름망을 갖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내용물을 삶거나 데치기 위해서는 냄비에 물을 부어 내용물과 같이 끓이거나 물을 먼저 끓인 후에 내용물을 넣어 데친다. 예를 들면, 짜장라면을 조리하기 위해 끓는 물에 면을 넣어 면을 익히게 되는데, 면이 익은 후에는 물만 빼내야 한다. 이때, 물만 따라 내기 위해 용기를 기울이게 되면 면까지 같이 빠져나가기 때문에 젓가락 등을 이용하여 물과 함께 빠져나가려는 면을 잡아줘야 하고, 여의치 않는 경우에는 물을 충분히 따라 버리지 못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다.
다른 예로서, 국수를 삶는 경우에 면을 삶아 뜨거운 물을 버리고 찬물로 헹구는 과정에서 소쿠리나 채를 사용하여 물을 빼내고 면만 건져내어 헹궈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한편, 물을 따라 버리는 대신에 내용물을 건지는 경우에는 내용물만을 건지기 위한 또 다른 조리도구가 필요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삶은 국수나 채소, 짜장라면 같은 면을 손쉽게 물과 분리시키고, 헹굴 수 있도록 하는 거름망을 갖는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국수나 채소, 짜장라면 등을 삶은 후 다른 용기나 조리도구 없이 가열 용기만으로 용이하게 물과 분리시키고 헹굴 수 있는 거름망을 갖는 용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거름망을 갖는 용기는, 내용물의 가열이 가능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에 결합하여 내용물 중 액체만을 걸러내는 거름망; 및 뚜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거름망을 갖는 용기의 상기 거름망은 상기 용기본체와 착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에는 복수개의 착탈구가 구비되고, 상기 거름망에는 상기 용기본체의 착탈구에 걸림 고정되는 지지대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거름망은 망본체, 상기 망본체의 중앙에 볼트와 너트 체결방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지지대를 상기 착탈구에 삽입하고 회전시켜 고정하는 손잡이와, 상기 망본체의 중심을 가로지르며 상기 망본체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용기본체의 두께만큼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거름망과 상기 용기본체를 결합시키는 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면이나 야채 등을 조리할 시 별도의 조리도구 없이 물만을 버리고 내용물을 간편하게 헹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름망을 갖는 용기의 주요 구성부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거름망을 갖는 용기의 주요 구성부 중 거름망의 상면도,
도 3은 도 1의 거름망을 갖는 용기의 주요 구성부 중 용기본체의 상면도,
도 4는 도 2의 거름망과 도 3의 용기본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도 2의 거름망 및 도 3의 용기본체의 결합형태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2의 거름망과 도 3의 용기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상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을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홈이 파여져 있는 용기본체에 중심을 가로질러 지지대를 구비한 거름망을 얹고, 상기 거름망의 중심을 가로질러 구비되는 지지대의 양단을 상기 용기본체의 홈에 맞추고 옆으로 살짝 돌림으로써 상기 거름망을 상기 용기본체에 고정되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거름망은 상기 용기본체에 담긴 내용물이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 크기를 갖는 망으로 망본체를 형성함으로써, 용기를 기울일 시 물만 빠져나가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름망을 갖는 용기의 주요 구성부를 간략히 도시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거름망을 갖는 용기는 뚜껑(300), 거름망(200) 및 용기본체(100)로 구성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도 1의 본 발명에 따른 거름망을 갖는 용기의 주요 구성부인 거름망(200) 및 용기본체(100)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거름망을 갖는 용기의 주요 구성부 중 거름망의 상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거름망을 갖는 용기의 주요 구성부 중 용기본체의 상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거름망을 갖는 용기의 거름망(200)은 면이나 채소 등 내용물은 차단하고 물과 같은 액체만 통과시키는 크기의 망으로 구성되는 망본체(210)와, 상기 망본체(210)의 중심을 통과하여 양단이 상기 망본체(210)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된 지지대(220), 그리고 상기 망본체(210)의 중심에서 상기 망본체(210) 및 지지대(220)에 결합 고정된 회전꼭지(23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거름망을 갖는 용기의 상기 거름망(200)은 상기 회전꼭지(230)의 좌우 회전에 따라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할 용기본체(100)와 결합된다. 이에 따라 물이나 기름 등을 가열하면서 뜨거워진 용기본체(100)에 거름망(200)을 쉽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거름망을 갖는 용기의 용기본체(100)는 상단부(110)에 상기 거름망(200)의 지지대(220)와 결합되는 착탈구(120)를 대칭되게 복수개 구비하고, 측면에 손잡이(130)를 대칭되게 복수개 구비한다.
한편, 본 발명의 도면들에서는 상기 거름망(200)의 지지대(220)를 1개 도시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용기본체(100)의 상단부(110)에 구비되는 착탈구(120)도 2개 도시하였으나, 상기 지지대(22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착탈구(120)도 대응하여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러면, 이하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거름망을 갖는 용기의 용기본체(100) 및 거름망(200)의 결합 및 분리된 상태와 그 결합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거름망과 도 3의 용기본체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거름망 및 도 3의 용기본체의 결합형태를 나타내기 위한 부분 확대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2의 거름망과 도 3의 용기본체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상면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거름망을 갖는 용기의 거름망(200)은 망본체(210)의 중심 상부에 회전꼭지(230)를 하부의 체결구(225)와 결합시켜 망본체(210)와 고정시킨다. 이를 위해 회전꼭지(230)는 내부 중심에 체결구(225)와 대응하는 나사선 등을 형성한 중공부(227)가 형성된다. 참조번호 223은 망본체(210)의 중심에 형성된 원판형 부재로서, 이 원판형 부재(223)가 망본체(210)에 구비되는 형태로 거름망(200)을 구성하면, 상기 회전꼭지(230)와 체결구(225)가 망본체(210)에 좀 더 견고하게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도 4의 참조번호 221은 지지대(220)의 양단부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지지대(220)와 용기본체의 상단부(110)에 구비되는 착탈구(120)의 결합 및 분리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대(220)는 착탈구(120)에 하방으로 수직으로 삽입된 후, 측면으로 끼움 결합된다. 이때, 도 5는 지지대(220)의 양단부(221) 중 일단부가 어느 하나의 착탈구(120)와 결합하는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지지대(220)의 양단부(221) 중 타단부는 다른 하나의 착탈구(120)와 결합할 시 거름망(200)의 회전꼭지(230)의 좌우 회전에 따라 일단부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다른 하나의 착탈구(120)는 도 5의 착탈구(120)와는 좌우 대칭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이 타당하다.
상기 도 4 및 도 5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름망을 갖는 용기가 결합된 상태를 도 6에 도시하였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름망을 갖는 용기는 내용물과 내용물을 삶거나 튀기기 위해 내용물과 혼합된 액체로부터 내용물의 유출 없이 액체만을 편리하게 용기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한 만큼의 액체를 배출시킨 후 거름망(200)을 용기본체(100)와 분리시키고 사용한 용기본체(100)와 함께 다음 사용를 위해 세척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100: 용기본체 110: 상단부
120: 착탈구 130: 손잡이
200: 거름망 210: 망본체
220: 지지대 221: 지지대 양단부
223: 원판형 부재 225: 체결구
227: 중공부 230: 회전꼭지
300: 뚜껑

Claims (4)

  1. 내용물의 가열이 가능한 용기본체;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에 결합하여 내용물 중 액체만을 걸러내는 거름망; 및
    뚜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름망을 갖는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은,
    상기 용기본체와 착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름망을 갖는 용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에는 복수개의 착탈구가 구비되고, 상기 거름망에는 상기 용기본체의 착탈구에 걸림 고정되는 지지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름망을 갖는 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거름망은,
    망본체와,
    상기 망본체의 중앙에 볼트와 너트 체결방식으로 고정되어 상기 지지대를 상기 착탈구에 삽입하고 회전시켜 고정하는 손잡이와,
    상기 망본체의 중심을 가로지르며 상기 망본체의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용기본체의 두께만큼 소정길이 돌출되어 상기 거름망과 상기 용기본체를 결합시키는 지지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름망을 갖는 용기.
KR1020100093273A 2010-09-27 2010-09-27 거름망을 갖는 용기 KR201200317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273A KR20120031719A (ko) 2010-09-27 2010-09-27 거름망을 갖는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273A KR20120031719A (ko) 2010-09-27 2010-09-27 거름망을 갖는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1719A true KR20120031719A (ko) 2012-04-04

Family

ID=46135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273A KR20120031719A (ko) 2010-09-27 2010-09-27 거름망을 갖는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171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49085A (zh) * 2012-11-28 2013-03-06 李章福子 一种可过滤的锅
KR20180058410A (ko) 2016-11-24 2018-06-01 손병준 냄비뚜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49085A (zh) * 2012-11-28 2013-03-06 李章福子 一种可过滤的锅
KR20180058410A (ko) 2016-11-24 2018-06-01 손병준 냄비뚜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39887A (en) Colander with an extended lateral stabilizer portion
KR101269219B1 (ko) 다기능 조리용기
CN204764979U (zh) 多用途锅
US4873918A (en) Strainer pot with whistling spout
US9723955B2 (en) Cookware with built-in drains
KR20120031719A (ko) 거름망을 갖는 용기
US20130233868A1 (en) Produce Washing Bowl
US20080008802A1 (en) Squeezable colander
CN202122468U (zh) 一种多功能便利锅
JPH09108114A (ja) 茹で物の水切り具
KR200454747Y1 (ko) 쌀씻는 용기
JP2024053515A (ja) 湯水切り兼備鍋
TWM583270U (zh) 水槽底盤排水結構
KR200346292Y1 (ko) 다기능 주전자
KR200318988Y1 (ko) 찜기 겸용 주전자
CN210902603U (zh) 一种酒店专用的防脏电烧水壶
KR200413999Y1 (ko) 넘치는 국물을 처리하기 위한 가열용기
US20010050285A1 (en) Pour Bowl
CN212815915U (zh) 多功能蒸笼和烹饪器具
JPH09206217A (ja) 鍋ザル
KR100765137B1 (ko) 넘치는 국물을 처리하기 위한 가열용기
KR200350628Y1 (ko) 주방용 냄비
KR20210094234A (ko) 체가 부착된 냄비
RU75289U1 (ru) Универсальная мантоварка
KR200380890Y1 (ko) 국수 삶기용 냄비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