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936B1 - 반사센서를 구비한 조그 다이얼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반사센서를 구비한 조그 다이얼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936B1
KR102029936B1 KR1020180098768A KR20180098768A KR102029936B1 KR 102029936 B1 KR102029936 B1 KR 102029936B1 KR 1020180098768 A KR1020180098768 A KR 1020180098768A KR 20180098768 A KR20180098768 A KR 20180098768A KR 102029936 B1 KR102029936 B1 KR 102029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member
sensor
sensor data
reflection
jog d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범
박성수
Original Assignee
(주)쿠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첸 filed Critical (주)쿠첸
Priority to KR1020180098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62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1D translations or rotations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e.g. scroll wheels, sliders, knobs, rollers or be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1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with index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12Household appli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al Transform (AREA)

Abstract

반사 센서가 구비된 조그 다이얼 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조그 다이얼 구조체는,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의 돌출부들이 마련된 회전 부재; 상부에 상기 돌출부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센싱하는 센싱부를 각각 구비하는 제1 및 제2 반사센서로서,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반사센서와 상기 제2 반사센서는 교번적으로 상기 돌출부가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반사센서; 및 내부에 상기 회전 부재, 상기 제1 및 제2 반사 센서를 수용하고, 상기 회전 부재의 둘레를 따라 연속되도록 형성된 내측 안내면이 형성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사센서를 구비한 조그 다이얼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JOG DIAL STRUCTURE INCLUDING REFLECTIVE SENSOR AND APPARATUS COMPRISING THEREOF}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조그 다이얼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반사센서를 구비하는 조그 다이얼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조리대상물 등의 피가열체를 가열하는 가열 조리기기로서, 전기밥솥, 인덕션 등 다양한 기기들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전기밥솥은 취사 물이 담긴 내솥을 전기적인 가열수단으로 가열하여 취사를 하는 주방조리기기로서, 밥 등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전기를 이용하는 다양한 조리기기들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한 다양한 구성을 마련하고 있다. 예를 들어, 다이얼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피가열체의 조리를 위한 다양한 메뉴들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조그 다이얼이 조리기기에 구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반사 센서를 구비하는 조그 다이얼 구조체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일 측면에에 따른 조그 다이얼 구조체는,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의 돌출부들이 마련된 회전 부재; 상부에 상기 돌출부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센싱하는 센싱부를 각각 구비하는 제1 및 제2 반사센서로서,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반사센서와 상기 제2 반사센서는 교번적으로 상기 돌출부가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반사센서; 및 내부에 상기 회전 부재, 상기 제1 및 제2 반사 센서를 수용하고, 상기 회전 부재의 둘레를 따라 연속되도록 형성된 내측 안내면이 형성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1 반사센서에 구비된 센싱부는 상기 제1 반사센서의 정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반사센서에 구비된 센싱부는 상기 제2 반사센서의 정중앙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내측 안내면에서 상기 회전 부재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돌출부로부터 받은 압력에 기인하여 상기 내측 안내면 방향으로 압축되는 판-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가이드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제1 반사센서로부터 출력된 제1 센서 데이터 및 상기 제2 반사센서로부터 출력된 제2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센싱 회로가 실장된 인쇄 배선 기판(Printed Wiring Board, PW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센싱 회로는, 상기 제1 센서 데이터가 변경된 다음 상기 제2 센서 데이터가 변경된 경우, 상기 회전 부재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 센서 데이터가 변경된 다음 상기 제1 센서 데이터가 변경된 경우, 상기 회전 부재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회전 부재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조그 다이얼 구조체는, 엔코더 스위치의 회전을 인식하기 위해 필요한 사출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조그 다이얼 구조체는, 기계적 방식이 아닌 광학식 동작 감지 방식을 통해 엔코더 스위치의 회전을 인식함에 따라 사출물의 마모 등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조그 다이얼 구조체의 수명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a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그 다이얼 구조체 내부를 도시한다. 도 2b는 도 2a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센싱 회로가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을 인식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그 다이얼 구조체 내부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그 다이얼 구조체의 내부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하, 본 명세서의 각 도면들에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조리기기의 적어도 일부가 도시되고,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이 도시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 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리기기(1)는 본체 케이스(10) 및 상부 케이스(2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예를 들어 전기밥솥일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명세서는 조리기기(1)가 전기밥솥임을 가정하고 설명된다.
본체 케이스(10)는 상부 케이스(20)의 하부에 개폐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 케이스(10)의 내부에는 내부 케이스, 워킹 코일 베이스, 유도가열 코일 또는 내솥 등의 구성이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본체 케이스(10)는 하부 본체 케이스, 중간 본체 케이스 및 상부 본체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중간 본체 케이스 및 상부 본체 케이스는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본체 케이스(10)는 하부 본체 케이스, 중간 본체 케이스 및 상부 본체 케이스가 일체로 구성된 케이스일 수도 있다.
본체 케이스(10)에는 조그 다이얼 구조체(100) 및 복수의 메뉴 표시부들(MN1~MN6)이 구비될 수 있다. 조그 다이얼 구조체(100)는 조리기기(1)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마련되는 스위치로서, 전면부(110) 및 다이얼 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그 다이얼 구조체(100) 내부에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전면부(11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부는 메뉴 표시부들(MN1~MN6) 중 선택된 메뉴 또는 조리기기(1)의 설정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전면부(110)는 다이얼 부재(120)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다이얼 부재(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그 다이얼 구조체(100)는 다이얼 부재(120)의 회전을 통해 메뉴 표시부들(MN1~MN6) 중 하나가 선택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메뉴 표시부들(MN1~MN6)은 조리기기(1)의 각종 동작, 예를 들어, 취사, 보온, 재가열, 예약, 각종 밥맛 선택 또는 취소 등의 동작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조리기기(1)에 6개의 메뉴 표시부들(MN1~MN6)이 구비된 것으로 설명되나, 이는 일 예시에 불과하며 메뉴 표시부의 개수는 이보다 더 적거나 많을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조그 다이얼 구조체(100)는 다이얼 부재(12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 부재, 상기 회전 부재를 수용하는 가이드 부재 및 상기 가이드 부재가 장착된 인쇄 배선 기판(Printed Wiring Board, PWB)(또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회전 부재는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그 다이얼 구조체(100)는 제1 및 제2 반사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그 다이얼 구조체 내부를 도시한다. 도 2b는 도 2a의 A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예를 들어,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조그 다이얼 구조체(100)의 내부를 도시한 전면도일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조그 다이얼 구조체(100)는 내부에 가이드 부재(130), 회전 부재(140), 인쇄 배선 기판(P), 제1 반사 센서(SR1) 및 제2 반사 센서(SR2)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부재(130)는 인쇄 배선 기판(P) 상에 장착될 수 있고, 회전 부재(140), 제1 반사 센서(SR1) 및 제2 반사 센서(SR2)는 가이드 부재(130) 안에 수용될 수 있다.
회전 부재(140)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회전 부재(140)는 별도의 연결 부재를 통해 다이얼 부재(120)와 연결되고, 다이얼 부재(120)의 회전에 기인하여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회전 부재(140)는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의 돌출부들(142)이 마련될 수 있다. 돌출부들(142)이 둘레에 마련됨에 따라, 회전 부재(140)는 톱니바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각 돌출부가 직사각형 단면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돌출부의 단면 형태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130)는 회전 부재(140)의 둘레를 따라 연속되도록 형성된 내측 안내면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130)는 내측 안내면에서 회전 부재(140) 방향으로 돌출된 판-스프링(132)을 구비할 수 있다. 판-스프링(132)은 회전 부재(140)가 회전함에 따라 돌출부들(142)과 순차적으로 접촉되고, 회전 부재(14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소정의 저항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판-스프링(132)은 회전 부재(140)가 회전함에 따라 돌출부(142)로부터 받은 압력에 기인하여 내측 안내면 방향으로 압축될 수 있다.
인쇄 배선 기판(P)은 제1 및 제2 반사 센서(SR1, SR2)로부터 각각 제1 센서 데이터 및 제2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센싱 회로가 실장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인쇄 배선 기판(P)에 실장된 센싱 회로는 제1 센서 데이터 및 제2 센서 데이터의 변경 선후 관계에 기반하여 회전 부재(140)의 회전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2b를 더 참조하면, 제1 반사 센서(SR1) 및 제2 반사 센서(SR2)는 회전 부재(140)의 하부(또는, 인쇄 배선 기판(P)과 회전 부재(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반사 센서(SR1) 및 제2 반사 센서(SR2)는 각각 상부에 돌출부(142)가 위치하는 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는 제1 센싱부(SU1) 및 제2 센싱부(SU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반사 센서(SR1, SR2)는 상부로 전자기파를 출력하고 이에 기인한 반사광을 수광함으로써, 상부에 돌출부(142)가 위치하는 지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제1 반사 센서(SR1)는 상부에 대한 센싱에 기반하여 제1 센서 데이터를, 제2 반사 센서(SR2)는 상부에 대한 센싱에 기반하여 제2 센서 데이터를 각각 인쇄 배선 기판(P)에 실장된 센싱 회로로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회전 부재(140)가 회전함에 따라 제1 반사 센서(SR1)와 제2 반사 센서(SR2)의 상부에 교번적으로 돌출부가 위치하도록, 제1 및 제2 반사 센서(SR1, SR2)가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회전 부재(140)가 회전함에 따라, 제1 반사 센서(SR1)의 상부에 돌출부가 위치할 때는 제2 반사 센서(SR2)의 상부에 돌출부가 위치하지 않고, 제1 반사 센서(SR1)의 상부에 돌출부가 위치하지 않을 때는 제2 반사 센서(SR2)의 상부에 돌출부가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제1 센싱부(SU1)는 제1 반사 센서(SR1)의 정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고, 제2 센싱부(SU2)는 제2 반사 센서(SR2)의 정중앙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싱부(SU1) 상부에는 돌출부가 없고 제2 센싱부(SU2) 상부에는 돌출부가 있는 상태에서 회전 부재(140)가 시계 방향(D_C)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반사 센서(SR1)의 제1 센서 데이터가 먼저 변경되고 그 다음 제2 반사 센서(SR2)의 제2 센서 데이터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1 센싱부(SU1) 상부에는 돌출부가 없고 제2 센싱부(SU2) 상부에는 돌출부가 있는 상태에서 회전 부재(140)가 반시계 방향(D_CC)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 반사 센서(SR2)의 제2 센서 데이터가 먼저 변경되고 그 다음 제1 반사 센서(SR1)의 제1 센서 데이터가 변경될 수 있다.
인쇄 배선 기판(P)에 구비된 센싱 회로는 제1 센서 데이터와 제2 센서 데이터의 변경에 대한 선후 관계에 기반하여 회전 부재(140)의 회전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센서 데이터가 먼저 변경되고 그 다음 제2 센서 데이터가 변경되는 경우, 센싱 회로는 회전 부재(140)가 시계 방향(D_C)으로 회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제2 센서 데이터가 먼저 변경되고 그 다음 제1 센서 데이터가 변경되는 경우, 센싱 회로는 회전 부재(140)가 반시계 방향(D_CC)으로 회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시적 실시 예에서, 제1 센싱부(SU1)는 제1 반사 센서(SR1)의 정중앙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고, 제2 센싱부(SU2)는 제2 반사 센서(SR2)의 정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실시 예와 달리, 회전 부재(140)가 시계 방향(D_C)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 센서 데이터가 먼저 변경되고 그 다음 제1 센서 데이터가 변경될 수 있다. 또한, 회전 부재(140)가 반시계 방향(D_CC)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센서 데이터가 먼저 변경되고 그 다음 제2 센서 데이터가 변경될 수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조그 다이얼 구조체는, 다이얼 부재의 회전, 즉,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을 인식하기 위해 반사 센서들을 활용함으로써, 회전 인식에 필요한 사출물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기계적 방식이 아닌 광학식 동작 감지 방식을 통해 회전 부재의 회전을 인식함으로써, 사출물의 마모 등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비용이 절약되고 조그 다이얼 구조체의 수명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센싱 회로가 회전 부재의 회전 방향을 인식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를 도시한다. 이하, 도 3은 도 1,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센싱 회로는 제1 및 제2 반사 센서(SR1, SR2)로부터 각각 출력된 제1 및 제2 센서 데이터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 제1 및 제2 센서 데이터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S10 단계를 반복해서 수행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센서 데이터가 변경된 경우, 센싱 회로는 제1 센서 데이터가 변경된 다음 제2 센서 데이터가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20). 제1 센서 데이터가 변경된 다음 제2 센서 데이터가 변경된 경우, 센싱 회로는 회전 부재(140)가 시계 방향(D_C)으로 회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30).
이와 달리, 즉, 제2 센서 데이터가 변경된 다음 제1 센서 데이터가 변경된 경우, 센싱 회로는 회전 부재(140)가 반시계 방향(D_CC)으로 회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S40).
도 4는 본 개시의 다른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그 다이얼 구조체 내부를 도시한다. 도 4에 개시된 구성 중, 도 2a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회전 부재(140a)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개구(OP)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개구(OP)는 원형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 부재(140a)는,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되어 마련된 돌출부(142a)를 포함하는 도넛 형태일 수 있다.
예시적 실시 예에 있어서, 회전 부재(140a)의 개구(OP)에는 다양한 종류의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개구(OP)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개구(OP)가 원형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개구(OP)의 모양 및 크기는 다양하게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 예에 따른 조그 다이얼 구조체의 내부를 도시한다. 도 5에 개시된 구성 중, 도 2a와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회전 부재(140b)는 곡선으로 구성된 복수의 돌출부들(142b)을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돌출부(142b)의 단면은 다각형이 아닌, 반원 또는 반-타원의 형태일 수 있다. 돌출부(142b)가 곡선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회전 부재(140b)는 마모 등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더욱 강력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를 사용하여 실시예들을 설명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둘레를 따라 상호 이격된 복수의 돌출부들이 마련된 회전 부재;
    상부에 상기 돌출부가 위치하는지 여부를 센싱하는 센싱부를 각각 구비하는 제1 및 제2 반사센서로서,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반사센서와 상기 제2 반사센서는 교번적으로 상기 돌출부가 상부에 위치하는, 제1 및 제2 반사센서; 및
    내부에 상기 회전 부재, 상기 제1 및 제2 반사 센서를 수용하고, 상기 회전 부재의 둘레를 따라 연속되도록 형성된 내측 안내면이 형성된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사센서에 구비된 센싱부는 상기 제1 반사센서의 정중앙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반사센서에 구비된 센싱부는 상기 제2 반사센서의 정중앙을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다이얼 구조체.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내측 안내면에서 상기 회전 부재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회전 부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돌출부로부터 받은 압력에 기인하여 상기 내측 안내면 방향으로 압축되는 판-스프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다이얼 구조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제1 반사센서로부터 출력된 제1 센서 데이터 및 상기 제2 반사센서로부터 출력된 제2 센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센싱 회로가 실장된 인쇄 배선 기판(Printed Wiring Board, PWB)을 더 포함하는 조그 다이얼 구조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회로는,
    상기 제1 센서 데이터가 변경된 다음 상기 제2 센서 데이터가 변경된 경우, 상기 회전 부재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2 센서 데이터가 변경된 다음 상기 제1 센서 데이터가 변경된 경우, 상기 회전 부재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다이얼 구조체.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부재는 소정의 크기를 갖는 개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그 다이얼 구조체.
KR1020180098768A 2018-08-23 2018-08-23 반사센서를 구비한 조그 다이얼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KR102029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768A KR102029936B1 (ko) 2018-08-23 2018-08-23 반사센서를 구비한 조그 다이얼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768A KR102029936B1 (ko) 2018-08-23 2018-08-23 반사센서를 구비한 조그 다이얼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936B1 true KR102029936B1 (ko) 2019-10-08

Family

ID=68208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768A KR102029936B1 (ko) 2018-08-23 2018-08-23 반사센서를 구비한 조그 다이얼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93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7233A (ja) * 2003-04-24 2004-11-18 Mitsumi Electric Co Ltd 携帯機器用入力装置
KR20070075634A (ko) * 2006-01-13 2007-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그 다이얼 및 이를 갖는 휴대 단말기
KR20100063175A (ko) * 2008-12-03 2010-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KR20180023682A (ko) * 2016-08-26 2018-03-07 (주)쿠첸 디스플레이가 내장된 전기밥솥의 조그 다이얼 구조체
KR20180023681A (ko) * 2016-08-26 2018-03-07 (주)쿠첸 전기밥솥의 조그 다이얼 구조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7233A (ja) * 2003-04-24 2004-11-18 Mitsumi Electric Co Ltd 携帯機器用入力装置
KR20070075634A (ko) * 2006-01-13 2007-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그 다이얼 및 이를 갖는 휴대 단말기
KR20100063175A (ko) * 2008-12-03 2010-06-11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스위치 및 이를 구비하는 세탁기
KR20180023682A (ko) * 2016-08-26 2018-03-07 (주)쿠첸 디스플레이가 내장된 전기밥솥의 조그 다이얼 구조체
KR20180023681A (ko) * 2016-08-26 2018-03-07 (주)쿠첸 전기밥솥의 조그 다이얼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2677B2 (ja) 電気器具用の操作装置と電気器具の操作方法
CN105051660B (zh) 基于旋钮的手势系统
JP3234347U (ja) 電気機器の動作を制御する際に使用するための制御システムおよび装置
CN107003749B (zh) 用于电子设备的微动拨盘和设置有该微动拨盘的电子设备
JP2010521644A (ja) コンロトップ用の操作装置、およびこのような操作装置を有するコンロトップの構造
EP2878080B1 (en) A control device, in particular for a domestic appliance
US8575501B2 (en) Household appliance having a user interface with a user-exchangeable touch wheel and rotary encoder
EP3596827B1 (en) Capacitive sensor switch with display
CN105361712A (zh) 厨房设备
KR102029936B1 (ko) 반사센서를 구비한 조그 다이얼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장치
US20100245240A1 (en) Electronic Device with a Display Unit Being Movable in Relation to a Base Unit
US20130345835A1 (en) Operating element for a household appliance, operating unit for a household appliance that holds such an operating element, and household appliance with such an operating unit and such an operating element
CN109660242A (zh) 用于电子家用器具的操作员控制装置
US20040222980A1 (en) Apparatus for changing representation contents on sub-display of dual-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19532424A (ja) 電子装置
CN109419320B (zh) 煮饭器
JP6523896B2 (ja) 炊飯器
WO2018177727A1 (en) Remote control device for a domestic appliance
KR101848021B1 (ko) 전기밥솥의 조그 다이얼 구조체
KR102452574B1 (ko) 전기 레인지의 상판 구조
KR101848022B1 (ko) 디스플레이가 내장된 전기밥솥의 조그 다이얼 구조체
KR101775390B1 (ko) 사이드뷰 모바일폰 케이스
CN205430333U (zh) 基于北斗技术的老人手持终端
EP4365351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EP4365350A1 (en) Clothing treatment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