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3810A - 가전기기 - Google Patents

가전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3810A
KR20180113810A KR1020170045398A KR20170045398A KR20180113810A KR 20180113810 A KR20180113810 A KR 20180113810A KR 1020170045398 A KR1020170045398 A KR 1020170045398A KR 20170045398 A KR20170045398 A KR 20170045398A KR 20180113810 A KR20180113810 A KR 20180113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door
link rod
link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3577B1 (ko
Inventor
박완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53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577B1/ko
Priority to US15/666,988 priority patent/US10551070B2/en
Publication of KR20180113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5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3Mounting of doors, e.g. hinges, counterbalanc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59Arrangements of locking or security/safety devices for doors, e.g. door latches, switch to stop operation when door is ope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15Knobs or handles which do not operate the bolt or lock, e.g. non-movable; Mounting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3/00Operation or control of locks by mechanical transmissions, e.g. from a dis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8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arrangement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retaining the bolt or latch in the retracted position
    • E05B63/2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arrangement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retaining the bolt or latch in the retracted position released automatically when the wing is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2Automatic catches, i.e. released by pull or pressure on the wing
    • E05C19/022Released by pushing in the closing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2Latch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4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05C2003/126Only part of the latch movable for latc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Oven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도어용 래치를 포함하는 가전기기를 제공한다.
가전기기는 캐비티를 갖는 본체, 캐비티를 개폐하도록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도어를 본체에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 락킹부 및 락킹부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레그를 포함하는 래치 및 락킹부를 제2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도록 래치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전기기{HOME APPLIANCE}
본 발명은 가전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도어 용 래치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에 관한 것이다.
오븐, 조리기기, 식기세척기, 냉장고, 세탁기 등의 캐비티를 갖는 가전기기에는 캐비티를 개폐하기 위한 도어가 구비된다. 도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도어를 개폐할 수 있는 핸들이 마련되며, 핸들은 도어에서 돌출된 형태를 갖거나 또는 도어에서 함몰된 홈 형태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도어의 개폐 동작 시 도어의 움직임과 연동되어 캐비티 내부로 물건을 넣고 뺄 때 편리함을 제공하는 래치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는 도어의 움직임과 연동되어 정해진 각도로만 작동을 할 수 있다.
래치는 도어가 열림 상태일 때 도어 측에 매입이 되어 도어의 배면과 나란할 수 있고, 도어가 닫힘 상태로 전환될 때 도어의 배면과 수직을 이를 수 있다. 도어가 완전히 닫힘 상태 시, 래치는 본체에 마련되는 캐치에 의해 도어를 본체와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가전기기의 사용을 위해 도어를 열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도어의 움직임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래치와 도어의 배면 사이에 끼어 상해를 입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래치는 도어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도어와 본체를 연결하는 링크부재에 마련되는 가압부에 의해 가압되는 레그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의 레그에 대한 가압 동작은 기구적인 동작에 해당하므로, 사용자가 도어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래치를 외력에 의해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를 열 때 도어의 배면 및 래치 사이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이는 경우, 사용자의 손가락에 미치는 상해를 줄이기 위해 사용자가 외력으로 래치가 회전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을 향해 래치를 회전시켜 사용자의 손가락을 빼내는 것은 어려울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 시, 도어의 개폐 각도에 따라 도어를 고정하기 위한 래치의 각도가 가변할 수 있도록 개선된 도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의 움직임과 연동되어 회전하는 래치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레그 및 래치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도록 개선된 도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탄성부재가 래치에 결합된 상태에서 링크하우징에 수용될 수 있도록 개선된 도어를 포함하는 가전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가전기기는 캐비티를 갖는 본체, 상기 캐비티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 락킹부 및 상기 락킹부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레그를 포함하는 래치 및 상기 락킹부를 제2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도록 상기 래치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치는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탄성부재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결합부에 결합된 상기 탄성부재 및 상기 래치를 내부에 수용하는 링크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킹부는 상기 도어의 배면에 수직인 락킹 위치와, 상기 도어의 배면에 나란한 히든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은 상기 락킹부가 상기 락킹 위치를 향하는 방향이고, 상기 제2방향은 상기 락킹부가 상기 히든 위치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래치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래치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에 대해 직선 운동하는 링크로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킹부는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레그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도어가 열릴 때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는 상기 락킹부의 회전각도가 상기 도어의 회전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상기 레그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레그는 상기 락킹부가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하는 중에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로드는 일 측이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제1링크로드 및 일 측이 상기 래치와 결합되는 제2링크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로드의 타 측과 상기 제2링크로드의 타 측은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링크로드는 상기 본체에 대해 회전 운동하고, 상기 제2링크로드는 상기 제1링크로드의 회전 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도어에 대해 직선 운동하고, 상기 래치는 상기 제2링크로드의 직선 운동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조인트, 상기 본체와 상기 제1링크로드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조인트, 상기 제1링크로드와 상기 제2링크로드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3조인트 및 상기 도어와 상기 래치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4조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의 회전 각도보다 상기 제1링크로드의 회전 각도가 더 클 수 있도록, 상기 제1조인트와 상기 제2조인트의 위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장스프링의 일 측은 상기 레그의 일 단에 마련되는 제1스프링홀과 결합하고, 상기 인장스프링의 타 측은 상기 제1스프링홀의 인근에 배치되는 상기 링크하우징의 일부에 마련되는 제2스프링홀과 결합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가전기기는 캐비티를 갖는 본체, 상기 캐비티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에 수용되는 링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고 상기 도어의 상기 본체에 대한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래치, 및 상기 래치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래치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직선 운동하는 링크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는 상기 가압부에 의해 상기 래치의 제2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래치의 제1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레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래치를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래치를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래치에 결합되어, 상기 래치와 함께 상기 링크로드를 수용하는 링크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가전기기는 캐비티를 갖는 본체, 상기 캐비티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상기 본체에 대한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래치, 상기 래치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래치에 탄성력을 전달하고, 상기 래치에 결합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는 상기 래치가 상기 도어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래치홀을 포함하는 래치바디,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 락킹부, 상기 래치바디의 일 단부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탄성부재결합부, 및 상기 래치바디의 둘레로부터 연장되는 레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킹부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래치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링크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그는 상기 가압부에 대해 상기 락킹부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부와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와 대향하고 상기 가압부를 사이에 두고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일 측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어를 본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래치가 도어를 열면 도어에 나란한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사용자가 도어를 열어 캐비티를 사용 중에 래치에 방해되거나 간섭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어가 열리는 움직임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래치의 구조가 변경되고 래치에 탄성부재가 결합됨으로써, 사용자가 도어를 사용 중에 도어와 래치 사이에 손가락 등이 끼는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래치에 탄성부재가 결합할 수 있도록 탄성부재결합부를 마련함으로써, 조인트를 이용하여 래치를 링크하우징에 결합할 때 별도로 탄성부재를 축 방향으로 정렬할 필요가 없어, 도어의 조립 및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도어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의 도어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에 있어서, 링크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가전기기에 있어서, 링크유닛의 상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에 있어서, 링크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에 있어서, 링크유닛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에 있어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링크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에 있어서, 도어가 개방되고 있는 상태에서의 링크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에 있어서,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의 링크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링크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 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 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실시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 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따라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전방", "후방", "상부" 및 "하부" 등의 용어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의 도어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의 도어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전기기(1)는 캐비티(20)가 형성되는 내부케이스(11)와, 내부케이스(11)의 외측에 결합되어 가전기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스(12)를 가지는 본체(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가전기기(1) 중에 오븐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부에 캐비티(20)를 갖는 본체(10)와, 캐비티(20)를 개폐하는 도어(50)를 갖는 전자레인지, 식기세척기, 냉장고, 세탁기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오븐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오븐은 캐비티와, 캐비티에 열을 가하는 가열장치와, 가열장치에서 발생된 열을 캐비티 내부에서 순환시키는 순환팬을 구비하여 음식을 조리하는 기기이다.
오븐은 음식물을 밀폐, 가열하여 조리하는 기구로서 일반적으로 그 열원에 따라 전기식, 가스식, 전자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기오븐은 전기 히터를 열원으로 이용하고, 가스오븐과 전자레인지는 각각 가스에 의한 열과, 고주파로 인한 물 분자의 마찰열을 열원으로 이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1)의 내부케이스(11)와 외부케이스(12)는 각각 대략 전면이 개방된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전기기(1)는 가전기기(1)의 상단에 마련되며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올려 놓고 가열시킬 수 있는 쿡탑(3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전기기(1)는 본체(10)의 전면에 마련되어 캐비티(20)를 개폐하는 도어(50)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케이스(12)는 본체(1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패널(13)과, 본체(10)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패널(14)과, 본체(10)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패널(미 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전면패널(13)의 전면 상부에는 전장실(미 도시)의 전면을 커버하는 전장실커버(40)가 마련될 수 있다. 전장실커버(40)에는 디스플레이모듈(60)이 장착될 수 있다.
본체(10) 내부에 박스 형상을 갖고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캐비티(20)는 상면판(21), 바닥판(22), 양 측면판(23) 및 후면판(24)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캐비티(20)는 전면이 개방되어 음식물을 출납할 수 있다.
양 측면판(23)의 내측 면에는 복수 개의 지지대(25)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지대(25)에는 음식물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착탈 가능한 랙(26)이 장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지대(25)에는 랙(26)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레일(미 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레일(미 도시)을 통해 랙(26)을 이동시키며 음식물을 꺼내거나 올려둘 수 있다.
복수 개의 지지대(25)에는 캐비티(20)를 복수 개로 분할할 수 있는 디바이더(미 도시)가 분리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디바이더에 의해 복수 개로 분할된 캐비티(20)는 크기가 서로 동일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크기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의도에 따라 복수 개로 분할된 캐비티(20)의 공간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디바이더는 단열 재질로 마련되어 각각의 캐비티(20)를 단열시킬 수 있다.
캐비티(20)에는 음식물을 가열시키는 히터(27)가 마련되며, 히터(27)는 전기저항체를 포함하는 전기히터일 수 있다. 다만, 히터(27)는 전기히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가스를 연소시켜 열을 발생시키는 가스히터일 수 있다.
캐비티(20)의 후면판(24)에는 캐비티(20)의 공기를 순환시켜 음식물이 골고루 가열되도록 하는 순환팬(28)과, 순환팬(28)을 구동시키는 순환모터(미 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순환팬(28)의 전면에는 순환팬(28)을 커버하는 순환팬커버(29)가 마련될 수 있으며, 순환팬커버(29)에는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유출공(미 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캐비티(20)의 개방된 전면은 도어(50)에 의해 개폐되며, 도어(50)는 본체(1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본체(10)의 하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1)에서 캐비티(20)는 전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되고, 도어(50)는 캐비티(2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도록 캐비티(20)의 전방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캐비티(20)는 상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도어(50)는 캐비티(20)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하도록 캐비티(2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1)에서 도어(50)는 도어(50)를 잡아 당기면 도어(50)가 하부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아래로 낙하하는 풀-다운(pull-down) 방식을 갖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어(50)는 좌우 방향으로 개폐되는 풀-사이드(pull-side) 방식이어도 무관하다.
본체(10)는 도어(5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하부에 마련되는 힌지브라켓(120)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브라켓(120)은 일 부분이 본체(10)의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본체(10)에 고정될 수 있다.
도어(50)의 상부에는 도어(50)를 개방하도록 손으로 잡고 당길 수 있는 핸들(51)이 마련될 수 있다. 핸들(51)은 도어(50)의 전면에서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핸들(51)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마련되는 그립부(52)와, 그립부(52)를 도어(50)의 전면에서 돌출되도록 하여 그립부(52)와 도어(50)의 전면 사이에 손을 집어 넣을 수 있도록 그립부(52)의 양측에 마련되는 스페이서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1)의 핸들(51)은 도어(50)에 고정적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핸들(51)은 도어(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핸들(51)의 회전은 도어(50)의 본체(10)에 대한 회전에 연동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50)의 본체(10)에 대한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핸들(51)은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 바닥 면에 대해 수평하게 위치되고, 도어(50)가 열리는 과정에서 핸들(51)의 바닥 면에 대한 수평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어(50)에는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50)를 고정시키기 위한 래치(200)가 마련될 수 있다. 래치(200)는 락킹홈(221)을 포함하고, 본체(10)는 락킹홈(221)에 삽입되어 래치(200)를 통해 도어(50)를 고정시키는 캐치(250)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200)는 도어(50)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래치(200)의 회전은 도어(50)의 본체(10)에 대한 회전에 연동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래치(200)는 도어(50)가 닫힌 상태에서는 도어(50)의 배면에 수직하는 락킹 위치에 있고, 도어(50)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는 도어(50)의 배면에 나란한 히든 위치에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래치(200)는 도어(20)와 본체(10)를 결합할 수 있도록 도어(50)에 수용되는 링크유닛(100)에 포함될 수 있다. 링크유닛(100)을 수용하는 도어(50) 및 링크유닛(100)에 포함되는 래치(200)의 자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하기 하도록 한다.
가전기기(1)의 각종 동작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동작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모듈(60)은 전면패널(11)의 전면 상부에 마련된 전장실커버(40)에 장착될 수 있다. 전장실커버(40)에는 가전기기(1)를 동작시킬 수 있는 조작부(62)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60)은 액정표시장치(LCD, 61)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액정표시장치(61)는 인가 전압에 따른 액정 투과도의 변화를 이용하여 전기적인 정보를 시각 정보로 표시할 수 있다.
액정표시장치(61)는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모듈(미 도시)과, 액정모듈에 빛을 발산하는 광원유닛(미 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광원유닛(미 도시)으로는 LED(발광다이오드)가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모듈(60)은 액정표시장치(61)의 전면에 마련되는 커버패널(미 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패널(미 도시)은 단순히 액정표시장치(61)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패널일 수 있고, 사용자의 터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는 터치패널일 수 있다.
캐비티(20)가 형성되는 내부케이스(11)와 가전기기(1)의 외관을 형성하는 외부케이스(12) 사이의 공간에는 가전기기(1)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모듈(60)을 포함한 각종 부속품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장품을 수용하는 전장실(미 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전장실(미 도시)과 캐비티(20) 사이에는 캐비티(20)의 열기가 전장실(미 도시)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장실(미 도시)과 캐비티(20)를 단열하는 단열재(미 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단열재(미 도시)는 전장실(미 도시)과 캐비티(20) 사이 뿐만 아니라, 캐비티(20)의 열기가 가전기기(1)의 외측으로 전달되지 않게 캐비티(20)의 외측을 전체적으로 커버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에 있어서, 링크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따른 가전기기에 있어서, 링크유닛의 상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에 있어서, 링크유닛을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에 있어서, 링크유닛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유닛(100)은 링크하우징(110), 힌지브라켓(120), 링크로드(130), 래치(200)와, 조인트(161, 162, 163, 164)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50)는 도어바디(54)에 고정되는 링크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하우징(110)은 링크로드(130)를 수용할 수 있다. 링크로드(130)는 일 측이 본체(10)와 결합되는 제1링크로드(140) 및 일 측이 래치(200)와 결합되는 제2링크로드(150)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하우징(110)은 힌지브라켓(120)과의 결합을 위한 제1조인트홀(112)과, 래치(200)와의 결합을 위한 제4조인트홀(114)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하우징(110)은 가이드돌기(170)를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가이드홈(115)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홈(115)은 링크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115)에 의해 제2링크로드(150)는 도어(50)에 대해 직선 운동할 수 있다.
가이드돌기(170)는 제2링크로드(150)를 안정적으로 직선 운동시키도록 가이드홈(1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다. 제2링크로드(150)는 제2a링크로드(150a)와, 제2b링크로드(15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링크로드(140)와, 제2링크로드(150)는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1)에서, 제2a링크로드(150a)와, 제2b링크로드(150b)는 별개로 마련되고, 가이드돌기(170)에 의해 결합되어 일체화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2a링크로드(150a)와, 제2b링크로드(150b)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링크로드(140)는 힌지브라켓(120)과의 결합을 위한 제2조인트홀(142)과, 제2a링크로드(150a)와의 결합을 위한 제1링크조인트홀(1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a링크로드(150a)는 제1링크로드(140)와의 결합을 위한 제2링크조인트홀(153)과, 제2b링크로드(150b)와의 결합을 위한 제1결합홀(1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b링크로드(150b)는 제2a링크로드(150a)와의 결합을 위한 제2결합홀(1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링크로드(150)는 래치(200)를 회전시키도록 가압하는 가압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154)는 제2링크로드(150)가 도어(50)에 대해 직선 운동할 때 래치(200)의 레그(230)를 가압하여 래치(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래치(200)는 원통 형상의 래치바디(210)와, 본체(10)에 마련되는 캐치(250)가 삽입되어 락킹되도록 락킹홈(211)이 형성된 락킹부(210)와, 제2링크로드(150)의 가압부(154)에 의해 가압되도록 마련되는 레그(230)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치바디(210)와, 락킹부(220)와, 레그(23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래치바디(210)에는 도어(50)와의 결합을 위한 래치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래치(200)는 락킹부(220)가 도어(50)의 배면에 대략 수직하는 락킹 위치(L, 도 8)와, 락킹부(220)가 도어(50)의 배면에 대략 나란하게 밀착되는 히든 위치(H, 도 10)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다.
래치(200)는 도어(50)가 닫히면 락킹 위치(L)에 있고, 도어(50)가 완전히 열리면 히든 위치(H)에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레그(230)는 도어(50)가 닫히면서 제2링크로드(150)가 도어(50)에 대해 위로 직선 운동할 시에, 제2링크로드(150)의 가압부(154)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써, 래치(200)는 도어(50)가 열리면 히든 위치(H)에 위치되므로, 사용자가 돌출된 래치(200)에 의해 걸리거나 간섭되어 방해되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되고 미관이 향상될 수 있다.
가전기기(1)는 도어(50)의 본체(10)에 대한 회전에 연동하여 래치(200)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되는 4개의 조인트(161, 162, 163, 164)를 포함할 수 있다.
조인트(161, 162, 163, 164)는 각각 2개의 부품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며, 2 개의 부품의 회전 중심축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조인트(161)는 본체(10)와, 도어(5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제1조인트(161)는 본체(10)의 힌지브라켓(120)에 형성된 제1힌지조인트홀(121)과, 도어(50)의 링크하우징(110)에 형성된 제1조인트홀(112)에 삽입될 수 있다.
제2조인트(162)는 본체(10)와, 제1링크로드(14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제2조인트(162)는 본체(10)의 힌지브라켓(120)에 형성된 제2힌지조인트홀(122)과, 제1링크로드(140)에 형성된 제2조인트홀(142)에 삽입될 수 있다.
제3조인트(163)는 제1링크로드(140)와, 제2링크로드(15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제3조인트(163)는 제1링크로드(140)에 형성된 제1링크조인트홀(143)과, 제2a링크로드(150a)에 형성된 제2링크조인트홀(153)에 삽입될 수 있다.
제4조인트(164)는 래치(200)와, 도어(5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제4조인트(164)는 래치(200)에 형성된 래치홀(211)과, 도어(50)의 링크하우징(110)에 형성된 제4조인트홀(114)에 삽입될 수 있다.
락킹부(220)는 도어(50)의 배면에 수직인 락킹 위치와, 도어(50)의 배면에 나란한 히든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레그(230)는 락킹부(220)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고, 제1방향은 락킹부(220)가 락킹 위치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1)는 락킹부(220)를 제2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도록 래치(200)에 결합되는 탄성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방향은 락킹부(220)가 히든 위치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탄성부재(300)는 래치(200)가 회전할 수 있도록 래치(200)에 탄성력을 전달하고, 래치(200)에 결합할 수 있다. 탄성부재(300)는 토션스프링(30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1)는 도어(50)의 움직임에 연동되어 락킹부(220)를 회전시키기 위해, 가압부(154)에 의해 가압되는 레그(230)뿐만 아니라, 별도의 탄성부재(300)를 사용할 수 있다.
락킹부(220)는 도어(50)가 닫힐 때 레그(230)에 의해 회전되고, 도어(50)가 열릴 때 탄성부재(30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가압부(154)와 레그(230)의 간섭만을 통한 경우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1)는 락킹부(220)가 제2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력이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따라서, 가전기기(1)를 사용하기 위해 도어(50)를 개방하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이 도어(50)의 배면과 락킹부(220) 사이에서 압박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약할 수 있다.
가압부(154)는 락킹부(220)의 회전각도가 도어(50)의 회전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레그(230)를 지지할 수 있다.
도어(50)가 열리는 경우 가압부(154)와 레그(230)의 간섭이 완전히 해제되지 않고, 가압부(154)가 지속적으로 레그(230)를 지지함으로써, 락킹부(220)가 순간적으로 회전하지 않고, 도어(50)의 회전에 따라 점진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레그(230)는 래치바디(210)의 둘레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래치(200) 및 탄성부재(300)는 제4조인트(164)에 의해 링크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래치(200) 및 탄성부재(300)를 링크하우징(11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래치(200)의 래치홀(211), 링크하우징(110)의 제4조인트홀(114) 및 탄성부재(300)를 모두 동축으로 정렬한 후 제4조인트(164)를 관통시켜 결합할 수 있다.
래치(200)는 탄성부재(300)가 결합되는 탄성부재결합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결합부(240)는 래치바디(210)의 일 단부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링크하우징(110)은 탄성부재결합부(240)에 결합된 탄성부재(300) 및 래치(300)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1)는 탄성부재(300)가 래치(200)의 탄성부재결합부(240)에 안착된 상태에서, 래치(200)의 래치홀(111)및 링크하우징(110)의 제4조인트(114)만을 동축으로 정렬해 제4조인트홀(164)을 관통시켜 래치(200)를 링크하우징(110)에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300)를 래치(200)와 결합하기 위해 별도로 동축으로 정렬할 필요가 없어, 조립 및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에 있어서,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의 링크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에 있어서, 도어가 개방되고 있는 상태에서의 링크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전기기에 있어서,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의 링크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50)의 회전 각도보다 제1링크로드(140)의 회전 각도가 더 클 수 있도록, 제1조인트(161)와 제2조인트(162)의 위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링크로드(140)는 본체(10)에 대해 회전 운동하고, 제2링크로드(150)는 제1링크로드(140)의 회전 운동에 연동하여 도어(50)에 대해 직선 운동하고, 래치(200)는 제2링크로드(150)의 직선 운동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어(50)가 열리는 과정에서 제1조인트(161)와 제2조인트(162)의 위치 차이로 인해 도어(50)의 회전 각도보다 제1링크로드(140)의 회전 각도가 더 크게 되며, 제1링크로드(140)가 제2링크로드(150)를 잡아 당길 수 있다.
제1링크로드(140)가 제2링크로드(150)를 잡아 당김으로써, 제2링크로드(150)가 도어(50)에 대해 아래 방향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4개의 조인트를 사용하고, 제2링크로드(150)를 도어(50)에 대해 직선 운동하게 함으로써, 제1링크로드(140)의 회전 반경인 제2조인트(162)와 제3조인트(163) 간의 길이가 도어(50)의 회전 반경보다 짧기 때문에 도어(50)를 개폐할 시에 제1링크로드(140)가 부드럽고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2링크로드(150)가 직선 운동하기 때문에, 제2링크로드(150)의 운동을 래치(200)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하기 용이할 수 있다.
레그(230)는 락킹부(220)가 제2방향으로 회전하는 중에 제1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래치(200)는 가압부(154)에 의해 래치(200)의 제2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하고, 래치(200)의 제1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레그(230)를 포함할 수 있다.
레그(230)는 레그(230)의 둘레면으로부터 연장되는 굴곡부(231) 및 굴곡부(231)로부터 연장되는 접촉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레그(230)는 가압부(154)에 대해 락킹부(220)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가압부(154)와 접촉하는 접촉부(232) 및 접촉부(232)와 대향하고 가압부(154)를 사이에 두고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일 측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1)는 탄성부재(300)에 의해 락킹부(220)를 제2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가압부(154)의 레그(230)에 대한 가압에 의해 락킹부(220)를 제2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제2방향으로의 회전력이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어(50)를 개방하는 경우 핸들(51)을 잡고 있던 손가락 등이 도어(50)의 배면과 락킹 위치에서 히든 위치를 향해 회전하는 락킹부(220) 사이에 끼이는 경우라도, 제2방향으로 회전하는 락킹부(220)를 외력에 의해 제1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가전기기(1)의 레그(230)는 가압부(154)를 사이에 두고 접촉부(232)와 대향하는 일 측이 개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제2방향을 향해 회전하는 락킹부(220)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레그(230)가 가압부(154)와 간섭되어 회전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도어(50)를 포함하는 가전기기(1)를 사용하는 경우, 도어(50)의 배면과 락킹부(220) 사이에 손가락 등이 끼는 상해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조물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인명 피해에 관한 제조자의 제조물책임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링크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제1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할 수 있고,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술한 제1실시 예와 같이, 래치(220)는 래치바디(210), 락킹홈(211)을 포함하는 락킹부(220) 및 레그(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4조인트(164)에 의해 링크하우징(110)에 결합된 래치(200)의 레그(230)는 제2b링크로드(150b)에 마련되는 가압부(154)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락킹부(22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탄성부재(300)는 인장스프링(300´)을 포함할 수 있다. 레그(230)는 일 단에 마련되는 제1스프링홀(233)을 포함할 수 있고, 제1스프링홀(233)의 인근에 배치되는 링크하우징(110)의 일부에는 제2스프링홀(111)이 마련될 수 있다.
인장스프링(300´)의 일 측은 제1스프링홀(233)과 결합하고, 인장스프링(300´)의 타 측은 제2스프링홀(111)과 결합할 수 있다.
제2실시 예에 따른 인장스프링(300´)은 제1실시 예에 따른 토션스프링(300)과 마찬가지로 락킹부(220)가 제2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락킹부(220)를 탄성바이어스시킬 수 있다.
제1스프링홀(233)과 제2스프링홀(111)의 위치는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인장스프링(300´)에 의해 락킹부(220)가 제2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탄성부재(300)는 제1실시 예에 의한 토션스프링(300) 및 제2실시 예에 의한 인장스프링(300´) 외에도 락킹부(220)가 제2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락킹부(220)를 탄성바이어스시킬 수 있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상 특정 실시 예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특허청구범위에 명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요지를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 안에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또는 변형 가능한 다양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 : 가전기기 10 : 본체
11 : 내부케이스 12 : 외부케이스
13 : 전면패널 14 : 측면패널
20 : 캐비티 21 : 상면판
22 : 바닥판 23 : 측면판
24 : 후면판 25 : 지지대
26 : 랙 27 : 히터
28 : 순환팬 29 : 순환팬커버
30 : 쿡탑 40 : 전장실커버
50 : 도어 51 : 핸들
52 : 그립부 53 : 스페이서부
54 : 도어바디 60 : 디스플레이모듈
61 : 액정표시장치 62 : 조작부
100 : 링크유닛 110 : 링크하우징
111 : 제2스프링홀 112 : 제1조인트홀
113 : 제3조인트홀 114 : 제4조인트홀
115 : 가이드홈 120 : 힌지브라켓
121 : 제1힌지조인트홀 122 : 제2힌지조인트홀
130 : 링크로드 140 : 제1링크로드
142 : 제2조인트홀 143 : 제1링크조인트홀
150 : 제2링크로드 150a : 제2a링크로드
150b : 제2b링크로드 151 : 제1결합홀
152 : 제2결합홀 153 : 제2링크조인트홀
154 : 가압부 161 : 제1조인트
162 : 제2조인트 163 : 제3조인트
164 : 제4조인트 170 : 가이드돌기
200 : 래치 210 : 래치바디
211 : 래치홀 220 : 락킹부
221 : 락킹홈 230 : 레그
231 : 굴곡부 232 : 접촉부
233 : 제1스프링홀 240 : 탄성부재결합부
250 : 캐치 300, 300´ : 탄성부재

Claims (20)

  1. 캐비티를 갖는 본체;
    상기 캐비티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 락킹부 및 상기 락킹부를 제1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마련되는 레그를 포함하는 래치; 및
    상기 락킹부를 제2방향으로 탄성 바이어스시키도록 상기 래치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탄성부재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결합부에 결합된 상기 탄성부재 및 상기 래치를 내부에 수용하는 링크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도어의 배면에 수직인 락킹 위치와, 상기 도어의 배면에 나란한 히든 위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가전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방향은 상기 락킹부가 상기 락킹 위치를 향하는 방향이고, 상기 제2방향은 상기 락킹부가 상기 히든 위치를 향하는 방향인 가전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래치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에 대해 직선 운동하는 링크로드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는 상기 도어가 닫힐 때 상기 레그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도어가 열릴 때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회전되는 가전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기 락킹부의 회전각도가 상기 도어의 회전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도록 상기 레그를 지지하는 가전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는 상기 락킹부가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하는 중에 상기 제1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가전기기.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로드는 일 측이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제1링크로드 및 일 측이 상기 래치와 결합되는 제2링크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링크로드의 타 측과 상기 제2링크로드의 타 측은 서로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전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로드는 상기 본체에 대해 회전 운동하고,
    상기 제2링크로드는 상기 제1링크로드의 회전 운동에 연동하여 상기 도어에 대해 직선 운동하고,
    상기 래치는 상기 제2링크로드의 직선 운동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가전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와 상기 도어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1조인트;
    상기 본체와 상기 제1링크로드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2조인트;
    상기 제1링크로드와 상기 제2링크로드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3조인트; 및
    상기 도어와 상기 래치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제4조인트;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회전 각도보다 상기 제1링크로드의 회전 각도가 더 클 수 있도록, 상기 제1조인트와 상기 제2조인트의 위치가 서로 다른 가전기기.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인장스프링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스프링의 일 측은 상기 레그의 일 단에 마련되는 제1스프링홀과 결합하고, 상기 인장스프링의 타 측은 상기 제1스프링홀의 인근에 배치되는 상기 링크하우징의 일부에 마련되는 제2스프링홀과 결합하는 가전기기.
  16. 캐비티를 갖는 본체;
    상기 캐비티를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에 수용되는 링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고 상기 도어의 상기 본체에 대한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래치, 및
    상기 래치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래치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고, 직선 운동하는 링크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는 상기 가압부에 의해 상기 래치의 제2방향으로의 회전을 제한하고, 상기 래치의 제1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하도록 구성되는 레그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유닛은 상기 래치를 상기 제2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래치를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가전기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래치에 결합되어, 상기 래치와 함께 상기 링크로드를 수용하는 링크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는 가전기기.
  19. 캐비티를 갖는 본체;
    상기 캐비티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도어;
    상기 도어의 상기 본체에 대한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래치;
    상기 래치가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래치에 탄성력을 전달하고, 상기 래치에 결합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는,
    상기 래치가 상기 도어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래치홀을 포함하는 래치바디,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 락킹부,
    상기 래치바디의 일 단부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탄성부재가 결합되는 탄성부재결합부, 및
    상기 래치바디의 둘레로부터 연장되는 레그를 포함하는 가전기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부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래치를 가압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링크로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레그는 상기 가압부에 대해 상기 락킹부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부와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와 대향하고 상기 가압부를 사이에 두고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일 측을 포함하는 가전기기.
KR1020170045398A 2017-04-07 2017-04-07 가전기기 KR102423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398A KR102423577B1 (ko) 2017-04-07 2017-04-07 가전기기
US15/666,988 US10551070B2 (en) 2017-04-07 2017-08-02 Home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398A KR102423577B1 (ko) 2017-04-07 2017-04-07 가전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810A true KR20180113810A (ko) 2018-10-17
KR102423577B1 KR102423577B1 (ko) 2022-07-21

Family

ID=63710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398A KR102423577B1 (ko) 2017-04-07 2017-04-07 가전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551070B2 (ko)
KR (1) KR1024235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456B1 (ko) * 2015-12-08 2017-08-07 이준영 도어 핸들
KR102605675B1 (ko) * 2016-12-08 2023-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레벨링 도어 핸들을 갖는 가전 기기
CN112703296B (zh) * 2018-09-20 2022-11-04 C.M.I.铰链机械工业有限公司 缓冲并紧凑的铰链装置
US11573009B2 (en) 2020-05-05 2023-02-07 Whirlpool Corporation Appliance latch assembly
US11898759B2 (en) * 2021-05-06 2024-02-1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Twist release mechanism for a multi-pane door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720Y1 (ko) * 1987-09-30 1991-02-08 주식회사 금성사 전자렌지의 도어 록킹장치
KR100963390B1 (ko) * 2008-03-28 2010-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 래치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US20140208542A1 (en) * 2013-01-31 2014-07-31 Mansfield Engineered Components, Inc. Breakaway hinge receptacle
KR101767201B1 (ko) * 2015-04-20 2017-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용 도어 잠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30881B (it) 1989-06-20 1991-11-08 Angeli Inst Spa Derivati del r(-) 3-chinuclidinolo
DE4344337A1 (de) 1993-12-23 1995-06-29 Bosch Siemens Hausgeraete Schwenkbar gelagerte Tür, insbesondere für Haushaltsgeräte
US6698418B2 (en) * 2001-08-28 2004-03-02 France/A Scott Fetzer Company Oven door latch assembly having side mounted motor
EP1431671B1 (en) 2002-12-17 2006-09-13 NUOVA STAR S.p.A. A door hinge
WO2005008137A1 (en) * 2003-07-16 2005-01-27 Lg Electronics,Inc.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in electric oven
PT1887170E (pt) 2006-08-09 2009-11-26 Savio Spa Módulo de segurança auxiliar para portas com dispositivo de abertura anti-pânico
KR101370923B1 (ko) 2012-08-02 2014-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가능한 핸들을 갖는 가전제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720Y1 (ko) * 1987-09-30 1991-02-08 주식회사 금성사 전자렌지의 도어 록킹장치
KR100963390B1 (ko) * 2008-03-28 2010-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 래치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US20140208542A1 (en) * 2013-01-31 2014-07-31 Mansfield Engineered Components, Inc. Breakaway hinge receptacle
KR101767201B1 (ko) * 2015-04-20 2017-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용 도어 잠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92094A1 (en) 2018-10-11
US10551070B2 (en) 2020-02-04
KR102423577B1 (ko) 2022-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3810A (ko) 가전기기
KR102280927B1 (ko) 오븐
CN110709568B (zh) 具有水平门把手的家用电器
US20100276414A1 (en) Cooking range
US20190072281A1 (en) Cooking appliance
KR20170101466A (ko) 오븐
CN111227632B (zh) 烹饪电器
KR20180121255A (ko) 조리기기
US7189950B2 (en) Electric oven
US10794602B2 (en) Cooking appliance
KR101136605B1 (ko) 조리기기
KR102553498B1 (ko) 조리기기
KR101623978B1 (ko) 조리기기
KR20210093084A (ko) 노브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조리기기
CA2440510C (en) Microwave oven with bread toaster
KR20230142308A (ko) 조리기기
US11946302B2 (en) Home appliance
KR20230139745A (ko) 조리기기
KR20220157051A (ko) 조리기기
KR20230047045A (ko) 조리기기
KR100487323B1 (ko) 토스터 겸용 전자 레인지
KR20230046852A (ko) 조리기기
KR20230088288A (ko) 조리기기
KR20230151419A (ko) 조리기기
JP5012343B2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