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4514A -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4514A
KR20140104514A KR1020130016686A KR20130016686A KR20140104514A KR 20140104514 A KR20140104514 A KR 20140104514A KR 1020130016686 A KR1020130016686 A KR 1020130016686A KR 20130016686 A KR20130016686 A KR 20130016686A KR 20140104514 A KR20140104514 A KR 20140104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ooking chamber
fixing
fixed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6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성표
조풍연
강한성
김형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6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4514A/ko
Priority to EP14155089.7A priority patent/EP2767763A3/en
Priority to CN201410054699.XA priority patent/CN103989410A/zh
Priority to US14/182,663 priority patent/US20140231421A1/en
Publication of KR20140104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45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24C15/168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with telescopic rail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08Supports or cov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8Arrangement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king compartments, e.g. for warming or for storing utensils or fuel containers; Arrangement of additional heating or cooking apparatus, e.g. gr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정장치에 의해 레일 어셈블리가 조리실 내부에 고정될 수 있는 조리기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는, 음식물이 인입되어 조리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내측벽에 장착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조리실에 인출가능하게 구비되는 랙, 상기 랙에 장착되어 상기 랙을 상기 조리실로부터 인출입시킬 수 있는 레일 어셈블리 및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 장착되고, 일측이 상기 고정 브라켓에 걸림으로써 상기 레일 어셈블리가 상기 조리실 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는 걸림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기구{Cooker}
본 발명은 조리기구 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장치를 구비한 레일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구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전기기이다. 조리기구는 히터 또는 마그네트론과 같은 가열원에서 발생되는 히터열 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한다.
조리기구에서는 음식물이 안착되는 트레이가 레일 어셈블리에 의해 안내되어 조리실의 내외부로 출납될 수 있다. 레일 어셈블리는 조리실에 고정되는 고정레일 및 트레이에 결합된 상태로 고정레일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이동레일을 포함한다. 이동레일은 제1이동레일 및 제2이동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랙이 제1이동레일 및 제2이동레일에 의해 슬라이딩하여 인출됨으로써 랙의 인출 거리가 길어질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랙을 조리실 외부로 완전히 인출시켜 음식물의 인출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종래의 고정레일은 걸림장치에 의해 조리실 내부 공간에 수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상세히 조리실을 형성하는 내측면의 일측에는 돌출되어 비드 형상의 걸림부가 형성되고, 고정레일의 걸림장치는 비드 형상의 걸림부에 걸림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조리실을 형성하는 내측면은 세라믹 소재에 코팅을 하여 제조되므로, 랙을 반복적으로 출납하는 경우 걸림부 측이 파손될 수 있어 제품 품질에 문제가 생길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랙을 반복적으로 출납하더라도 조리실을 형성하는 내측벽의 손상이 없는 조리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랙이 인출되면, 조리기구가 형성된 바닥면의 경사 등의 요인에 의해 랙이 조리실 내부로 되돌아가지 않고 인출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조리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는, 음식물이 인입되어 조리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내측벽에 장착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조리실에 인출가능하게 구비되는 랙; 상기 랙에 장착되어 상기 랙을 상기 조리실로부터 인출입시킬 수 있는 레일 어셈블리; 및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 장착되고, 일측이 상기 고정 브라켓에 걸림으로써 상기 레일 어셈블리가 상기 조리실 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는 걸림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조리실은 후방에 위치하는 백플레이트 및 양측방에 위치하는 사이드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장착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된 고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결합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장치는 바디부로부터 연장되고, 하측에 경사부가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가 상기 조리실 내측으로 슬라이딩하면, 상기 경사부가 상기 고정부를 슬라이딩하여 통과하고, 상기 헤드부가 상기 고정부의 후방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레일 어셈블리가 고정된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는 탄성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걸림장치에 탄성력을 전달하여 상기 걸림장치를 고정한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는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장치에는 상기 바디부의 하측으로부터 연장된 간섭부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장치에 의해 상기 레일 어셈블리가 상기 조리실 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를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걸림장치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간섭부가 상기 고정부의 상방으로 슬라이딩하고, 상기 헤드부는 이웃하는 고정부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헤드부가 이웃하는 고정부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를 상기 조리실의 전방으로 잡아당겨 상기 랙을 상기 조리실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고정레일, 상기 고정레일에 장착되어 슬라이딩하는 중간레일 및 상기 중간레일에 장착되어 슬라이딩하는 이동레일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레일, 상기 중간레일 또는 상기 이동레일 중 적어도 하나에는 베어링이 장착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베어링을 간섭할 수 있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레일에는 상기 걸림장치가 결합되고, 상기 이동레일에는 상기 랙이 장착된다.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는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레일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레일 안착부를 따라 슬라이딩한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레일 안착부에 대응되어 구비되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가 상기 레일 안착부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인입되면 상기 걸림장치가 상기 고정부에 걸릴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는, 음식물이 인입되어 조리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내측벽에 접촉되어 슬라이딩하는 고정레일; 상기 고정레일에 장착되어 슬라이딩하는 중간레일; 상기 중간레일에 장착되어 슬라이딩하는 이동레일; 상기 조리실의 내측벽에 장착되고, 상기 조리실의 후방에 위치한 내측벽과 이격되어 구비된 다수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고정 브라켓; 및 상기 고정레일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부에 의해 간섭되어 상기 고정레일을 고정시키는 걸림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레일에는 돌출된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장치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고정레일에는 상기 걸림장치가 유동하지 않도록 상기 걸림장치에 하방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장착된다.
상기 고정레일, 상기 중간레일 또는 상기 이동레일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볼베어링이 장착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에는 상기 볼베어링을 간섭할 수 있는 돌출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에 의하면, 랙이 조리실 내부에 완전히 수납되어 고정될 수 있고, 랙의 걸림장치가 걸릴 수 있는 고정 브라켓이 별도로 구비되어 조리실의 내측벽에 장착되므로, 랙의 반복적인 출납에도 조리실을 형성하는 내측벽의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랙이 인출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음식물을 랙에 올려놓거나 조리가 완료된 음식물을 취출하기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이 조리실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이 조리실로부터 인출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장치가 고정브라켓에 진입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장치가 고정 브라켓에 걸려 고정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장치가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고정이 해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에 형성된 돌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구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이 조리실 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랙이 조리실로부터 인출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실(1)에는 랙(40)이 인출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랙(40)에는 레일 어셈블리(50)가 장착될 수 있다. 랙(40)은 레일 어셈블리(50)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조리실(1)로부터 인출입될 수 있다.
조리실(1)은 랙(40)에 배치된 음식물이 조리될 수 있는 공간이다. 조리실(1)에는 랙(40)이 인출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조리실(1)의 일측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도어(미도시)가 장착되어 개구를 개폐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어(미도시)를 개방하여 개구를 통해 조리실(1)로 랙(40) 또는 음식물을 인출입시킬 수 있다.
조리실(1)의 후방에는 백플레이트(11)가 위치되고, 조리실(1)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제1사이드플레이트(12) 및 제2사이드플레이트(13)가 위치될 수 있다. 이하, 조리실(1)의 개구가 위치하는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백플레이트(11)가 위치하는 방향을 후방이라 하고, 제1사이드플레이트(12)가 위치하는 방향을 좌측, 제2사이드플레이트(13)가 위치하는 방향을 우측이라 한다.
백플레이트(11), 제1사이드플레이트(12) 및 제2사이드플레이트(13)는 U자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별개로 구비되어 결합될 수도 있다. 백플레이트(11), 제1사이드플레이트(12) 및 제2사이드플레이트(13)는 내열성이 높고 열전도율이 낮은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일례로 백플레이트(11), 제1사이드플레이트(12) 및 제2사이드플레이트(13)는 내열성이 높고 열전도율이 낮은 세라믹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사이드플레이트(12) 및 제2사이드플레이트(13)에는 다수의 레일 안착부(30)가 조리실(1) 내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레일 안착부(30)는 조리실(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사이드플레이트(12)에 형성된 다수의 레일 안착부(30)에 대응되도록 제2사이드플레이트(13)에도 다수의 레일 안착부(20)가 구비될 수 있다. 조리실(1) 외부에서 제1사이드플레이트(12) 및 제2사이드플레이트(13)에 형성된 레일 안착부(30)를 바라보면 조리실(1) 내측으로 움푹 파인 홈의 형태일 수 있다.
제1사이드플레이트(12)에 형성된 레일 안착부(30) 중 어느 하나를 제1레일안착부(301)라 하면, 랙(40)의 일측에 구비된 레일 어셈블리(50)는 제1레일 안착부(301)에 안착되어 슬라이딩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사이드플레이트(13)에는 제1레일안착부(301)에 대응되는 제2레일안착부(201)가 구비되고, 랙(40)의 타측에 구비된 레일 어셈블리(50')는 제2레일안착부(201)에 안착되어 슬라이딩할 수 있다.
제1사이드플레이트(12) 및 제2사이드플레이트(13)의 후방에는 고정 브라켓(60)이 장착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60)은 제1사이드플레이트(12)와 고정 브라켓(60)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제1사이드플레이트(12)에 결합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60)은 제2사이드플레이트(13)와 고정 브라켓(60)을 관통하는 체결부재에 의해 제2사이드플레이트(1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고정 브라켓(60)의 결합 위치 및 결합 방법은 상기 기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레일 어셈블리(50)에는 랙(40)이 장착되고, 레일 어셈블리(50)에 장착된 걸림부재(70)가 상기 고정 브라켓(60)에 의해 간섭됨으로써 랙(40)이 조리실(1)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랙(40)의 좌,우 양측단에는 레일 어셈블리(50)가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좌측의 레일 어셈블리(50)는 제1사이드플레이트(12)에 형성된 레일 안착부(30)에 안착되고 우측의 레일 어셈블리(50')는 제2사이드플레이트(12)에 형성된 레일안착부(20)에 안착되어 슬라이딩할 수 있다. 레일 어셈블리가 레일 안착부(20)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랙(40)이 조리실(1)에 인입되거나 조리실(1)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50)는 고정레일(51), 중간레일(52) 및 이동레일(53)을 포함할 수 있다. 중간레일(52)은 고정레일(5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고, 이동레일(53)은 중간레일(52)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중간레일(52)은 고정레일(51)로부터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이동레일(53)은 중간레일(52)로부터 착탈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레일 어셈블리(50)는 랙(40)의 양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레일(51)에는 레일 어셈블리(50)가 조리실(1)에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걸림장치(70)가 장착될 수 있다.
고정레일(51)에는 중간레일(52)이 수용되어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수용부(510)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510)는 중간레일(52)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고정레일(51)의 조리실(1) 내측 방향에 개구가 형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수용부(510)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고정레일(51)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가이드부(516)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516)의 내측면에는 돌출부(517)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517)과 관련된 내용은 후술한다.
고정레일(51)의 일측에는 레일 안착부(50,50')에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511)가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511)는 고정레일(51)의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고정레일(51)의 일측에는 중간레일(52)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스토퍼(515)가 구비될 수 있다. 스토퍼(515)는 고정레일(51)의 일단부가 절곡되거나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별도로 제조되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스토퍼(515)는 중간레일(52)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이동 거리를 제한하고 중간레일(52)이 고정레일(51)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고정레일(51) 일단부에는 브라켓 결합부(512)가 구비될 수 있다. 브라켓 결합부(512)에는 고정 브라켓(7)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회전축(514)이 구비될 수 있다. 회전축(514)은 브라켓 결합부(512)로부터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별도로 구비되어 걸림장치(70)과 브라켓 결합부(512)를 관통하도록 결합될 수도 있다. 브라켓 결합부(512)의 일측에는 탄성부재(80)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513)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지지부(513)는 브라켓 결합부(512)의 상측단의 일부가 걸림장치(70)이 위치될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514)에는 걸림장치(70)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탄성부재(80)는 걸림장치(70)에 탄성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브라켓 결합부(512)에 장착될 수 있다.
중간레일(52)은 고정레일(51)의 수용부(5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중간레일(52)의 일면은 고정레일(51)의 일면과 마주하고, 타면은 이동레일(53)과 마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중간레일(52)은 고정레일(51)과 이동레일(53) 사이에 마련되어 랙(40)의 인출거리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중간레일(52)의 상단 또는 하단부에는 고정레일(51) 측을 향하도록 제1가이드부(521) 및 이동레일(53) 측(521)을 향하는 제2가이드부(52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부(521) 또는 제2가이드부(520)의 상부에는 중간레일(52)이 부드럽게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다수의 베어링(522)이 구비될 수 있다. 베어링(522)과 관련한 내용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제1가이드부(521)는 고정레일(51)의 수용부(510)에 수용된다. 제1가이드부(521)의 상부면은 고정레일(51)의 가이드부(516)의 저면과 마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가이드부(521)는 후술할 이동레일(53)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동레일(53)의 상단 또는 하단부는 절곡되어 형성된 가이드부(5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동레일(53)의 가이드부(530)는 중간레일(52)의 가이드부(520)에 안착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동레일(53) 또는 중간레일(52)에는 이동레일(53)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스토퍼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이동레일(53)의 전방 단부가 절곡되어 이동레일(53)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스토퍼(53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장치(70)는 바디부(71), 헤드부(72) 및 간섭부(73)를 포함한다. 헤드부(72) 및 간섭부(73)는 바디부(71)로부터 연장되어 바디부(7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부(71)의 일측에는 회전축(514)이 삽입될 수 있는 홀(710)이 형성될 수 있다. 홀(710)이 브라켓 결합부(512)에 구비된 회전축(514)에 삽입됨으로써 걸림장치(70)가 회전가능하게 브라켓 결합부(512)에 결합될 수 있다.
바디부(71)의 일측에는 탄성부재(80)가 장착되는 탄성부재 결합부(711)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부재(80)는 바디부(71)를 하방으로 미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전달한다. 탄성부재(80)는 선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 결합부(711)는 탄성부재(8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홀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선스프링은 홈에 삽입되어 바디부(71)를 하방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전달할 수 있다.
헤드부(72)는 바디부(71)의 일단부에 형성되고, 바디부(71)와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헤드부(72)는 후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헤드부(72)는 경사부(720)를 포함한다. 경사부(720)는 헤드부(72)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레일 어셈블리(50)가 조리실(1) 내부에 완전히 인입되면 헤드부(72)는 고정 브라켓(60)에 형성된 고정홀(620)에 삽입된다.
간섭부(73)는 바디부(71)의 하측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간섭부(73)는 고정 브라켓(60)에 의해 간섭되어 레일 어셈블리(50)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간섭한다. 상세히, 레일 어셈블리(5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하고, 헤드부(72)가 고정홀(620)에 삽입되어 레일 어셈블리(50)가 조리실(1) 내부에 완전히 인입되면 레일 어셈블리(50)가 더이상 후방으로 슬라이딩하지 않도록 간섭부(73)가 고정 브라켓(60)에 의해 간섭되어 레일 어셈블리(50)의 이동을 멈출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브라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도2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브라켓(60)은 결합부(61), 고정부(62) 및 이동안내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62)는 결합부(61)로부터 소정 각도 절곡되어 연장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62)는 조리실(1)의 후방에 위치한 백플레이트(11)와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레일 어셈블리(50)가 조리실(1) 내측에 완전히 인입되더라도 백플레이트(11)와 충돌하지 않을 수 있다.
결합부(61)는 조리실(1) 내측벽에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결합부(61)는 제1사이드 플레이트(12) 또는 제2사이드 플레이트(13)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61)는 접착부재 또는 체결부재에 의해 제1사이드 플레이트(12) 또는 제2사이드 플레이트(13)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61)가 조리실(1) 내측벽에 결합되는 방식은 상기 기재에 한정되지 않는다.
고정부(62)는 레일 안착부(20,30)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고정부(62)는, 레일 어셈블리(50)가 레일 안착부(20,30)를 따라 슬라이딩하면, 걸림장치(70)의 헤드부(71)가 걸릴 수 있도록 복수 개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걸림장치(70)의 헤드부(71)에 형성된 경사부(720)는 고정부(62)의 상단부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헤드부(71)가 고정부(62)의 후방에 위치되게 됨으로써 레일 어셈블리(50)가 고정 브라켓(6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동안내부(63)는 고정부(62)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됨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이동안내부(63)는 고정부(62)와 소정 각도를 형성하고 상측방을 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사용자가 레일 어셈블리(50)를 조리실(1)로부터 인출하기 위해 레일 어셈블리(50)를 후방으로 밀면, 걸림장치(70)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간섭부(73)가 이동안내부(63)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걸림장치(70) 및 고정 브라켓(60)에 의해 레일 어셈블리(50)가 조리실(1) 내부에 인입되어 고정되는바, 걸림장치(70) 및 고정브라켓(60)을 고정장치라 할 수 있다.
이하, 걸림장치(70)에 의해 레일 어셈블리(50)가 조리실(1) 내측에 고정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장치가 고정브라켓에 진입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장치가 고정 브라켓에 걸려 고정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랙(40)을 조리실(1)에 인입시키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랙(40)을 레일 어셈블리(50)를 레일 안착부(20,30)에 안착시켜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레일 어셈블리(50)는 레일 안착부(20,30)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랙(40)을 조리실(1) 내부로 이동시킨다. 레일 어셈블리(5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헤드부(72)가 고정 브라켓(60)의 고정부(62)에 도달하면, 헤드부(72)에 형성된 경사부(720)가 상기 고정부(62)의 상단부를 따라 슬라이딩한다.경사부(720)가 고정부(62)의 상단부를 따라 끝까지 슬라이딩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72)는 고정부(62)의 후방에 위치되어 고정부(62)에 의해 전방으로의 이동이 간섭된다. 이때 탄성부재(80)에 의해 걸림장치(70)는 유동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레일 어셈블리(50)는 조리실(1) 내부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헤드부(72)가 고정부(62)에 의해 간섭된 상태를 레일 어셈블리(50)가 조리실(1) 내에 고정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레일 어셈블리(50)는 걸림장치(70)에 의해 외력이 없는 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조리실(1)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 브라켓(60)에는 다수의 고정부(62)가 이웃하여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바, 걸림장치(70)의 상하 방향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이로써 레일 어셈블리(50) 및 랙(40)의 상하 방향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걸림장치(70) 및 고정 브라켓(60)의 구조에 의해 랙(40)의 상하 방향의 이동, 전후 방향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랙(40)을 조리실(1) 내부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음식물을 배치하여 조리할 수 있다.
이하, 레일 어셈블리(50)가 조리실(1)로부터 인출되는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걸림장치가 고정 브라켓으로부터 고정이 해제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랙(40)을 조리실(1)로부터 인출시키고자 할 경우, 사용자는 랙(40)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힘을 가한 후 레일 어셈블리(50)의 고정 상태를 해제시킨 후 인출할 수 있다.
랙(40)과 함께 레일 어셈블리(50)가 후방으로 밀리면, 간섭부(73)는 고정부(62)와 접촉되고 걸림장치(70)는 회전축(514)을 중심으로 A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때0 레일 어셈블리(50)에는 탄성부재(80)의 탄성력보다 큰 힘이 가해질 수 있다. 걸림장치(70)가 A 방향으로 회전하면, 헤드부(72)는 상방으로 이동하여 헤드부(72)를 고정하고 있었던 고정부(62)와 상기 고정부(62)의 상부에 이웃하여 위치한 고정부(62') 사이의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랙(40)을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헤드부(72)는 상기 고정부(62)와 이웃하는 고정부(62') 사이를 빠져나와 고정 상태가 해제된 상태에서 랙(40)이 인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는 간편한 방법으로 레일 어셈블리(50)의 고정상태를 해제시켜 랙(40)을 인출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에 형성된 돌출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 어셈블리(50)에 포함된 고정레일(51), 중간레일(52) 또는 이동레일(53) 중 적어도 하나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돌출부가 형성된 레일과 접촉하여 슬라이딩하는 다른 레일에는 상기 돌출부에 의해 간섭될 수 있는 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돌출부와 베어링의 구조에 의해 랙(40)이 인출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고정레일(51)의 가이드부(516) 내측에는 돌출부(517)가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517)는 가이드부(516)의 내측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돌출부(517)는 조리실(1)의 전방 측에 위치한 가이드부(516)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중간레일(52)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는 중간레일(52)이 부드럽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다수의 베어링(522)이 마련될 수 있다. 베어링(522)은 볼베어링일 수 있다. 돌출부(517)는 베어링(522)의 일부를 간섭할 수 있도록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중간레일(52)이 고정레일(51)의 가이드부(516)를 따라 슬라이딩할 경우, 베어링(522)은 돌출부(517)에 의해 간섭될 수 있다.
사용자가 중간레일(52)를 슬라이딩시켜 랙(40)을 인출시키면, 베어링(522)은 돌출부(517)에 의해 간섭되어 외력이 없는 한 중간레일(52)은 슬라이딩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리기구가 경사진 바닥면에 설치되더라도, 사용자가 중간레일(52)을 슬라이딩시켜 랙(40)을 인출시키면 베어링(522)이 돌출부(517)에 의해 간섭되어 중간레일(52)이 인출된 상태에서 고정되므로 사용자는 안정적으로 랙(40)에 음식물을 배치시키거나 취출시킬 수 있다. 랙(40)을 조리실(1) 내부로 인입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외력을 가해 중간레일(52)을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면, 베어링(522)은 돌출부(517)를 통과할 수 있다. 사용자가 랙(40)을 조리실(1) 내부로 인입시킬 때 베어링(522)이 돌출부(517)에 의해 간섭되는 느낌에 의해 사용자의 사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1 : 조리실 40 : 랙
50 : 레일 어셈블리 517 : 돌출부
522 : 베어링 60 : 고정 브라켓
70 : 걸림장치 80 : 탄성부재

Claims (20)

  1. 음식물이 인입되어 조리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내측벽에 장착되는 고정 브라켓;
    상기 조리실에 인출가능하게 구비되는 랙;
    상기 랙에 장착되어 상기 랙을 상기 조리실로부터 인출입시킬 수 있는 레일 어셈블리; 및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 장착되고, 일측이 상기 고정 브라켓에 걸림으로써 상기 레일 어셈블리가 상기 조리실 내에서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는 걸림장치;를 포함하는 조리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은 후방에 위치하는 백플레이트 및 양측방에 위치하는 사이드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조리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조리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브라켓은,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연장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결합부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 개가 구비되는 조리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장치는 바디부로부터 연장되고, 하측에 경사부가 형성된 헤드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가 상기 조리실 내측으로 슬라이딩하면, 상기 경사부가 상기 고정부를 슬라이딩하여 통과하고, 상기 헤드부가 상기 고정부의 후방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레일 어셈블리가 고정되는 조리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는 탄성부재가 장착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걸림장치에 탄성력을 전달하여 상기 걸림장치를 고정하는 조리기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는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바디부에는 상기 회전축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는 조리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장치에는 상기 바디부의 하측으로부터 연장된 간섭부가 구비되고, 상기 걸림장치에 의해 상기 레일 어셈블리가 상기 조리실 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를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상기 걸림장치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간섭부가 상기 고정부의 상방으로 슬라이딩하고, 상기 헤드부는 이웃하는 고정부 사이에 위치되는 조리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가 이웃하는 고정부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를 상기 조리실의 전방으로 잡아당겨 상기 랙을 상기 조리실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는 조리기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고정레일, 상기 고정레일에 장착되어 슬라이딩하는 중간레일 및 상기 중간레일에 장착되어 슬라이딩하는 이동레일을 포함하는 조리기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 상기 중간레일 또는 상기 이동레일 중 적어도 하나에는 베어링이 장착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베어링을 간섭할 수 있는 돌출부가 형성되는 조리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에는 상기 걸림장치가 결합되고, 상기 이동레일에는 상기 랙이 장착되는 조리기구.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플레이트에는 전후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레일 안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레일 안착부를 따라 슬라이딩하는 조리기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레일 안착부에 대응되어 구비되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가 상기 레일 안착부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인입되면 상기 걸림장치가 상기 고정부에 걸릴 수 있도록 마련되는 조리기구.
  17. 음식물이 인입되어 조리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내측벽에 접촉되어 슬라이딩하는 고정레일;
    상기 고정레일에 장착되어 슬라이딩하는 중간레일;
    상기 중간레일에 장착되어 슬라이딩하는 이동레일;
    상기 조리실의 내측벽에 장착되고, 상기 조리실의 후방에 위치한 내측벽과 이격되어 구비된 다수의 고정부를 포함하는 고정 브라켓; 및
    상기 고정레일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부에 의해 간섭되어 상기 고정레일을 고정시키는 걸림장치;를 포함하는 조리기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에는 돌출된 회전축이 구비되고, 상기 걸림장치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조리기구.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에는 상기 걸림장치가 유동하지 않도록 상기 걸림장치에 하방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장착되는 조리기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 상기 중간레일 또는 상기 이동레일 중 적어도 하나에는 볼베어링이 장착되고, 적어도 다른 하나에는 상기 볼베어링을 간섭할 수 있는 돌출부가 구비되는 조리기구.
KR1020130016686A 2013-02-18 2013-02-18 조리기구 KR20140104514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686A KR20140104514A (ko) 2013-02-18 2013-02-18 조리기구
EP14155089.7A EP2767763A3 (en) 2013-02-18 2014-02-13 Cooker
CN201410054699.XA CN103989410A (zh) 2013-02-18 2014-02-18 炊具
US14/182,663 US20140231421A1 (en) 2013-02-18 2014-02-18 Coo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6686A KR20140104514A (ko) 2013-02-18 2013-02-18 조리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4514A true KR20140104514A (ko) 2014-08-29

Family

ID=50073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6686A KR20140104514A (ko) 2013-02-18 2013-02-18 조리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40231421A1 (ko)
EP (1) EP2767763A3 (ko)
KR (1) KR20140104514A (ko)
CN (1) CN10398941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1255A (ko) * 2017-04-28 2018-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WO2019194483A1 (ko) * 2018-04-03 2019-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WO2019203553A1 (ko) * 2018-04-17 2019-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승강 선반이 설치된 오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72054A1 (en) * 2015-11-06 2018-09-12 Arçelik Anonim Sirketi Side wire rack fixing device for a cooking appliance with microwave heating function
WO2019038003A1 (de) * 2017-08-23 2019-02-28 BSH Hausgeräte GmbH Gargerät mit spezifischer befestigung einer aufnahmeschiene für einen gargutträger
DE102019124058B3 (de) 2019-09-09 2020-11-12 Accuride International Gmbh Gerät zur Reinigung, Lagerung oder Garung von Gegenständen
DE102020100325B4 (de) 2020-01-09 2022-11-17 Miele & Cie. Kg Gargerät mit einem Gargutträger
DE102020117163A1 (de) 2020-06-30 2021-12-30 Miele & Cie. Kg Gargerät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67438B1 (ko) * 1974-04-11 1976-10-08 Peugeot & Renault
DE19951267B4 (de) * 1999-10-25 2005-05-12 Accuride International Gmbh Gargutträgersystem für einen Backofen
TW491056U (en) * 2001-01-08 2002-06-11 Kuo-Chan Weng Guide structure of extensible rail assembly
TWI224184B (en) * 2002-07-10 2004-11-21 Accuride Int Inc Extendable oven rack assembly
US6866154B2 (en) * 2002-12-03 2005-03-15 Dell Products L.P. Tool-less attachment bracket
US20060065265A1 (en) * 2004-09-27 2006-03-30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Extendable oven rack assembly
JP4799906B2 (ja) * 2005-05-25 2011-10-26 シャープ株式会社 複合加熱調理器
US8646444B2 (en) * 2007-03-27 2014-02-11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Glide rack
US8389914B2 (en) * 2008-02-07 2013-03-05 Sharp Kabushiki Kaisha Heating cooker having drawer type automatic door
DE202009002073U1 (de) * 2009-04-17 2010-09-09 Paul Hettich Gmbh & Co. Kg Auszugssystem und Haushaltsgerät
US8490801B2 (en) * 2009-05-22 2013-07-23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Glide rack
US20120097147A1 (en) * 2010-10-22 2012-04-26 General Electric Company Extension rack assembly for consumer appliance and consumer appliance incorporating same
US9297539B2 (en) * 2012-07-27 2016-03-29 Ssw Holding Company, Inc. Assembly for attachment to rear wall of appliance cavity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1255A (ko) * 2017-04-28 2018-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WO2019194483A1 (ko) * 2018-04-03 2019-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190115653A (ko) * 2018-04-03 2019-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US11585540B2 (en) 2018-04-03 2023-02-21 Lg Electronics Inc. Cooking device
WO2019203553A1 (ko) * 2018-04-17 2019-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승강 선반이 설치된 오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989410A (zh) 2014-08-20
EP2767763A3 (en) 2015-10-14
US20140231421A1 (en) 2014-08-21
EP2767763A2 (en) 2014-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04514A (ko) 조리기구
US11054143B2 (en) Cooking appliance
CN203138156U (zh) 紧凑型储藏柜
CN110709568B (zh) 具有水平门把手的家用电器
KR101939483B1 (ko) 선반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101588748B1 (ko) 오븐
US7789082B2 (en) Rack structure of oven
US8726796B2 (en) Sliding grill fixing apparatus
US20190174920A1 (en) Cooker and kitchen furniture item equipped with cooker
KR102103721B1 (ko) 조리기기
KR20140121575A (ko) 오븐
EP3346193B1 (en) Shelf supporting apparatus and cooking appliance including a shelf supporting apparatus
US11585540B2 (en) Cooking device
JP5442882B2 (ja) 加熱調理器
KR100988700B1 (ko) 랙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오븐
KR101181572B1 (ko) 조리기기
KR101055952B1 (ko) 랙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0641445B1 (ko) 오븐의 랙 구조
JP2011033226A (ja) レールユニットおよびこのレールユニットを用いた加熱調理器
KR102327159B1 (ko) 가열 조리기
KR200327079Y1 (ko) 토스터 겸용 전자레인지
KR20200055907A (ko) 인출가능한 트레이가 구비된 전자레인지
AU2004242054A2 (en) Door handle
US20190239295A1 (en) Cooking appliance
KR20060013770A (ko) 오븐의 랙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