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7159B1 - 가열 조리기 - Google Patents

가열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7159B1
KR102327159B1 KR1020150078122A KR20150078122A KR102327159B1 KR 102327159 B1 KR102327159 B1 KR 102327159B1 KR 1020150078122 A KR1020150078122 A KR 1020150078122A KR 20150078122 A KR20150078122 A KR 20150078122A KR 102327159 B1 KR102327159 B1 KR 102327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door
cooking chamber
join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2143A (ko
Inventor
전세일
이대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8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7159B1/ko
Publication of KR20160142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7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7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2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using micro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21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sealings for doors or transparent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가열 조리기를 개시한다. 개시된 가열 조리기는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 상기 조리실의 음식물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개폐도어; 및 상기 음식물 투입구 개방시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과 상기 개폐도어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를 메우는 이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가열 조리기{Heating cooker}
본 발명은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의 조리실과 본체의 조리실로부터 이격되어 낮게 배치되는 개폐도어 사이에 이음부를 배치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가열 조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열 조리기는 각종 음식물을 내부에 마련된 조리실에 수납하여 데우거나 익히도록 고안된 오븐, 전자렌지 등과 같은 조리장치이다. 최근 가열 조리기는 사이드 스윙 도어 오픈방식(Side Swing Door Open Type)뿐만 아니라 드롭다운 도어 오픈방식(Drop Down Door Open Type)으로도 많이 제작된다.
드롭다운 도어 오픈방식의 가열 조리기는 도어 개방시 도어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거리가 비교적 짧아 주위 공간을 활용할 수 있으며, 특히 개방된 도어가 보조 선반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음식물의 조리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우선 두꺼운 단열장갑을 착용하여 한 손으로 공간이 협소한 조리실로부터 음식물이 담겨있는 조리용기를 조리실 외측으로 끌어당겨 도어 위에 위치시킨 후 두 손으로 안전하게 옮길 수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가열조리기의 도어는 외곽 프레임이 금속재나 플라스틱 재로 이루어지고, 외곽 프레임의 내측에는 조리실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내열성 글래스가 설치된다.
그런데, 가열 조리기는 도어를 열어 조리실을 개방하는 경우 도어와 조리실의 바닥면 사이에 소정 단차가 형성되도록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한 손으로 음식물이 담겨있는 조리용기를 도어 측으로 끌어당기는 경우, 조리용기는 전술한 단차로 인해 조리실에서 도어로 이동할 때 도어의 내측면 상에 낙하하게 된다. 이때, 조리용기의 낙하 지점이 주로 글래스의 일부가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에 따라, 조리용기 낙하에 따른 충격으로 글래스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에 대해 개선이 필요하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에 형성된 조리실의 음식물 투입구를 개방하는 경우 개폐도어의 내측면과 조리실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를 메우도록 개폐도어의 개폐동작에 의해 회동하는 이음부가 설치되는 가열 조리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 상기 조리실의 음식물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개폐도어; 및 상기 음식물 투입구 개방시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과 상기 개폐도어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를 메우는 이음부;를 포함하는 가열 조리기를 제공한다.
상기 이음부는 상기 개폐도어의 상기 음식물 투입구를 개폐하는 동작에 의해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이음부는 상기 음식물 투입구가 폐쇄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개폐도어 내측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며, 상기 제1 위치와 상기 음식물 투입구가 개방되는 제2 위치에서 회동할 수 있다.
상기 이음부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일측이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개폐도어의 내측면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음부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일면이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개폐도어의 내측면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음부는 양 단에 각각 상기 본체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힌지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에 탄력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힌지축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토션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이음부는 일면이 만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음부는 일면이 볼록 또는 오목한 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음부는 일면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음부는 일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 상기 조리실의 음식물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개폐도어; 및 상기 개폐도어의 개폐동작에 연동하여 회동하도록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 탄력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음식물 투입구 개방 시 상기 조리실 바닥면과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에 이격 배치되는 상기 개폐도어의 내측면을 이어주는 일면을 구비하는 이음부;를 포함하는 가열 조리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이음부는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음식물 투입구를 개방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음식물 투입구를 폐쇄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동할 때 상기 개폐도어에 탄력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상기 개폐도어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상기 개폐도어는 개방동작에 의해 내측면이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이음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개폐도어의 내측면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음부의 일면은 만곡 형성되거나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가열 조리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이음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한 이음부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 은 개폐도어의 폐쇄동작에 의해 조리실의 내부에 인입된 이음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개폐도어의 개방동작에 의해 개폐도어의 내측면과 조리실의 바닥면 사이에 형성된 단차를 메우는 이음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일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진 이음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일면이 평면과 곡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이음부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기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 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치수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기(1)에 대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기(1)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가열 조리기(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기(1)는 조리실(110)의 음식물 투입구(170) 개방시 조리실(110)의 바닥면(140)과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를 메움으로써 조리용기(10, 도 13 및 14 참조)에 담신 음식물이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으로부터 임시선반 역할을 하는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 끌어 당겨질 때 발생하는 낙하를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기(1)는 본체(100), 개폐도어(200) 및 이음부(300)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0)는 음식물 투입구(170)가 구비된 조리실(110)이 내부에 형성되며 다수의 조작 버튼이 구비되는 컨트롤 패널과 상기 조리실(110) 내부로 마이크로파를 공급하기 위한 마그네트론, 상기 마그네트론에 고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고압트랜스 등이 실장되는 전장실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 마그네트론과 고압트랜스 등이 실장되는 전장실은 가열 조리기(1)의 일반적인 구성이므로 도시하지 않는다. 또한 본체(100)는 전면의 하단부에 후술하게 될 개폐도어(20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 쌍의 도어 브라켓(160)이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체(100)는 내부에 조리실(110)이 마련되도록 공간이 형성되며 전면에 외부와 조리실(110)이 연통하도록 음식물 투입구(170)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음식물은 조리용기(10)에 수납된 채 음식물 투입구(170)를 통하여 조리실(110) 내부의 바닥면(140)에 안착하여 가열됨으로써 데워지거나 익혀지게 될 수 있다. 본체(100)는 후술하게 될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이 접촉하여 음식물 투입구(170)를 폐쇄할 수 있도록 전면이 음식물 투입구(170) 주위에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체(100)의 세부적인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2에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체(100)는 조리실(110)의 바닥면(140)과 본체(100)의 전면이 맞닿아 형성되는 모서리부에 마련되는 회동공간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동공간부(150)는 후술하게 될 이음부(300)가 회동할 수 있도록 조리실(110) 바닥면(140)의 전방 모서리부에 모서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동공간부(150)는 본체(100)의 전면에 연결되는 하면(151), 조리실(110)의 바닥면(140)과 연결되는 후면(152) 및 양 측면(15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회동공간부(150)의 양 측면(153)은 조리실(110)의 양 측면(120)의 일부분을 형성하며, 회동공간부(150)의 하면(151)은 조리실(110)의 바닥면(140)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음부(300)가 하면에 간섭되지 않고 용이하게 회동할 수 있도록 본체(100)의 전방으로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0)는 이음부(300)의 양 단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힌지축(340)이 수용되도록 회동공간부(150)의 양 측면에 형성되는 힌지축수용홈(154)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2를 참조하면, 개폐도어(200)는 중앙부분에 개구(220)가 형성되는 도어프레임(210)과 도어프레임(210)의 개구(220)에 장착되는 강화 글래스(230)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개폐도어(200)의 강화 글래스(230)는 도어프레임(210)의 개구(220)에 장착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 전체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개폐도어(200)는 드롭다운 도어 오픈방식(Drop Down Door Open Type)으로 조리실(110)의 음식물 투입구(170)를 개폐하도록 본체(100)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도어(200)는 본체(100)의 하단부 전면에 상호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힌지 브라켓(160)에 결합하고 조리실(110)의 음식물 투입구(170)를 폐쇄하거나 조리실(110)의 음식물 투입구(170)를 개방하도록 선택적으로 상하 회동할 수 있다. 이 경우 후술하게 될 이음부(300)는 개폐도어(200)의 개폐동작에 연동하여 회동할 수 있다.
한편, 개폐도어(200)는 조리실(110)의 음식물 투입구(170)를 개방하는 경우,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이 조리실(110)의 바닥면(140)과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도어(200)는 조리실(110)의 음식물 투입구(170)를 개방하기 위하여 하측으로 회동하는 경우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이 조리실(110)의 바닥면(140)보다 낮은 위치에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폐도어(200)는 내측면(240)이 조리실(110)의 바닥면(140)과 일정한 높이 차이의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이하 이음부(300)를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이음부(300)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한 이음부(300)의 측면도이며, 도 6은 도 4에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이음부(300)는 단면이 대략 쐐기형상이며 양 단이 회동공간부(150)의 양 측면(153)에 이르도록 길게 연장되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음부(300)는 단면이 대략 쐐기형상을 이루도록 일측부의 두께(t1)가 타측부의 두께(t2)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며 타측부가 뾰족하게 형성된다.
또한 이음부(300)는 개폐도어(200)가 조리실(110)의 음식물 투입구(170)를 폐쇄하는 경우 조리실(110)의 내부에 인입된 채 고온으로 가열되므로 조리실(110)의 고온에 견디고 성형이 용이한 내열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음부(300)는 전기아연도금강판(EGI, Electrolytic Galvanized Iron), 알루미늄(aluminum), 스테인레스 스틸(stainless steel) 등의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기아연도금강판은 내식성과 도장성이 우수하며, 알루미늄은 가볍고 내부식성이 우수하며, 스테인레스 스틸은 내부식성이 우수하며 알루미늄에 비해 강도가 높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이음부(300)는 ABS 수지(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PC(polycarbonate), PP(polypropylen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은 사출성형이 가능하여 비교적 가공하기 쉽고 내충격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다.
이음부(300)는 일측부가 회동공간부(150)에 배치된 채 본체(100)에 회전 가능하게 탄력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음부(300)는 일측부의 양 단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힌지축(340)이 탄성부재에 연결되어 본체(100)의 양 측면, 다시 말하면 회동공간부(150)의 양 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힌지축수용홈(154)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힌지축(340)에는 탄성부재(170)의 일단(172)이 고정되는 삽입홈(341)이 각각 형성되며 본체(100)의 힌지축수용홈(154)에는 탄성부재(170)의 타단(171)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재(170)는 토션 스프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종류의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탄성부재(170)에 의해 이음부(300)를 조리실(110)의 음식물 투입구(170)가 개방된 방향으로 탄성 지지되므로 이음부(300)는 개폐도어(200)가 조리실(110)의 음식물 투입구(170)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회동하는 동안에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을 탄력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음부(300)도 회동하는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에 접촉한 채 회동할 수 있다.
한편, 이음부(300)는 일측부와 타측부를 연결하는 일면(310)이 볼록하게 만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식물이 수납된 조리용기(10)는 만곡된 일면(310)상에서 슬라이딩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이음부(300)는 일면(310)이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가이드 돌기(320)를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식물의 조리용기(10)가 이음부(300)의 일면(310) 상에서 슬라이딩하여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으로부터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음부(300)의 가이드 돌기(320)는 조리용기(10)의 하면과 직접 접촉하여 마찰력을 줄이는 역할을 한다.
이하는 이음부(300)의 동작을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 및 도 8은 개폐도어(200)의 개폐동작에 의해 이음부(300)가 동작하는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여기서 제1 위치는 개폐도어(200)가 조리실(110)의 음식물 투입구(170)를 폐쇄하는 위치로, 개폐도어(200)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이음부(300)가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에 접촉한 채 조리실(110)에 인입되어 배치되는 위치이며, 도 7에서 도시된다.
또한, 제2 위치는 개폐도어(200)가 조리실(110)의 음식물 투입구(170)를 개방하는 위치로, 개폐도어(200)에 연동하여 회동하는 이음부(300)가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에 접촉한 채 조리실(110) 밖으로 부분 인출되어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과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을 이어주도록 배치되는 위치이며, 도 8에서 도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이음부(300)는 개폐도어(200)가 조리실(110)의 음식물 투입구(170)를 폐쇄하는 동작에 따라 제1 위치에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도어(200)가 조리실(110)의 음식물 투입구(170)를 폐쇄하는 과정에서, 이음부(300)는 개폐도어(20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 채 회동하여 조리실(110) 내부에 인입될 수 있다. 즉, 이음부(300)는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회동하는 개폐도어(200)에 밀려서 제2 위치에서 제1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이음부(300)는 개폐도어(200)가 조리실(110)의 음식물 투입구(170)를 개방하는 동작에 따라 제2 위치에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도어(200)가 본체(100)의 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조리실(110)의 음식물 투입구(170)를 개방하면, 이음부(300)는 개폐도어(200)를 탄력적으로 지지한 채 회동하여 조리실(110) 외부로 부분 인출될 수 있다. 즉, 이음부(300)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동하는 개폐도어(200)에 의해 지지된 채 탄성부재(170)가 조리실(110) 외측으로 가하는 힘에 의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개폐도어(200)는 제2 위치에서 내측면(240)이 조리실(110)의 바닥면(140)과 일정한 높이 차이(h)를 이룰 수 있다. 이때,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과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의 높이 차이(h)는 대략 10mm 내지 20mm에 이르게 된다. 또한, 개폐도어(200)는 제2 위치에서 본체(100)의 전면(130)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본체(100)의 전면(130)과 일정한 갭(g)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개폐도어(200)의 전면(130)과의 갭(g)은 대략 10mm에 이르게 된다. 개폐도어(200)과 본체(100)간에 이러한 높이 차이(h)와 갭(g)이 형성된 상태에서 음식물이 수납된 조리용기(10)를 사용자가 조리실(110)의 외부로 당겨서 끌어내는 경우 조리용기(10)는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으로 낙하하여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이 파손되는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이음부(300)가 제2 위치에 설정되어 조리실(110) 외부로 부분 인출되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은 조리실(110)의 바닥면(140)보다 낮은 위치에 이격 배치되므로, 이음부(300)의 일측은 조리실(110)의 바닥면(140)과 동일한 높이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음부(300)의 타측은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에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이음부(300)의 일면(310)이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으로부터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조리실(110)에 위치한 음식물이 담긴 조리용기(10)를 조리실(110)로부터 개폐도어(200)로 당겨 끌어내는 경우, 조리용기(10)는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으로부터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으로 낙하하지 않고 이음부(300)의 일면(310) 상의 가이드 돌기(320)를 따라 슬라이딩하며 완만하게 안착할 수 있다.
한편, 이음부(300)의 일면(310)에는 가이드 돌기(320)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조리용기(10)는 하면이 이음부(300)의 일면(310)에 직접 접촉한 채로 슬라이딩하면서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으로부터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으로 완만하게 안착할 수 있다.
이하는 이음부(300)의 다양한 형태에 대해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선 이음부(300)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9 는 일면(410)이 평면으로 이루어진 이음부(4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이음부(400)는 일면(410)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음식물이 수납된 조리용기(10)가 이음부(400)의 일면(410)을 따라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으로부터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이음부(400)의 일면(410)이 볼록하게 만곡되어 형성되는 경우보다 조리실(110)의 바닥면(140)과 이루는 경사각은 크며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과 이루는 경사각은 더 작다. 이에 따라 음식물이 수납된 조리용기(10)는 일면(410)으로부터 완만하게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일면이 평면과 곡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이음부의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설명에서는 음식물이 수납된 조리용기(10)가 일면상에서 이동하는 것을 가정을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가이드 돌기(520)를 포함하는 이음부(500)는 일면(510)이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으로부터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을 향하는 방향으로 평면, 오목한 면 및 볼록한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음부(500)의 일면(510)은 제1 구간(s1)에서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일면(510-s1), 제2 구간(s2)에서 오목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일면(510-s2) 및 제3 구간(s3)에서 볼록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일면(510-s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음부(500)가 제2 위치에 설정되는 경우, 제1 구간(s1)의 일면(510-s1)과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과 이루는 경사각이 도 4에서 도시된 이음부(300)의 일면(310)과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이 이루는 경사각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이음부(500)가 제2 위치에 설정되는 경우, 제3 구간(s3)의 일면(510-s3)과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이 이루는 경사각이 도 9에서 도시된 이음부(400)의 일면(410)과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이 이루는 경사각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이음부(500)는 음식물이 수납된 조리용기(10)가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으로부터 완만하게 제3 구간(s3)의 일면(510-s3)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음부(500)는 음식물이 수납된 조리용기(10)가 제1 구간(s1)의 일면(510-s1)으로부터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으로 낙하 충격을 최소화하여 완만하게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가이드 돌기(620)를 포함하는 이음부(600)는 일면이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으로부터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을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한 면, 평면 및 볼록한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음부(600)의 일면(610)은 제1 구간(s1)에서 오목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일면(610-s1), 제2 구간(s2)에서 평면으로 이루어지는 일면(610-s2), 제3 구간(s3)에서 볼록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일면(610-s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음부(600)가 제2 위치에 설정되는 경우, 제1 구간의 일면(610-s1)과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이 이루는 경사각이 도 4에서 도시된 이음부(300)의 일면(310)과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이 이루는 경사각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이음부(600)가 제2 위치에 설정되는 경우 제3 구간(s3)에서 일면(610-s3)과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이 이루는 경사각은 도 9에서 도시된 이음부(400)의 일면(410)과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이 이루는 경사각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이음부(500)는 음식물이 수납된 조리용기(10)가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으로부터 완만하게 제3 구간(s3)의 일면(610-s3)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음부(600)는 음식물이 수납된 조리용기(10)가 제1 구간(s1)의 일면(610-s1)으로부터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으로 낙하 충격을 최소화하여 완만하게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가이드 돌기(820)를 포함하는 이음부(800)는 일면(810)이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으로부터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을 향하는 방향으로 오목한 면 및 볼록한 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음부(800)는 일면(810)은 제1 구간(s1)에서 오목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일면(810-s1), 제2 구간(s2)에서 볼록한 면으로 이루어지는 일면(810-s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음부(800)가 제2 위치에 설정되는 경우, 제1 구간의 일면(810-s1)과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이 이루는 경사각이 도 4에서 도시된 이음부(300)의 일면(310)과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이 이루는 경사각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이음부(800)가 제2 위치에 설정되는 경우, 제2 구간(s2)의 일면(810-s2)과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이 이루는 경사각이 도 9에서 도시된 이음부(400)의 일면(410)과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이 이루는 경사각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이음부(500)는 음식물이 수납된 조리용기(10)가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으로부터 완만하게 제2 구간(s2)의 일면(810-s2)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음부(800)는 음식물이 수납된 조리용기(10)가 제1 구간(s1)의 일면(810-s1)으로부터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으로 낙하 충격을 최소화하여 완만하게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기(1)의 사용법에 대해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기(1)의 사용방법을 셜명하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가열 조리기(1)가 조리를 마치면 사용자는 개폐도어(200)를 화살표 방향 즉,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동하게 한다. 이때 개폐도어(200)는 내측면(240)이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으로부터 낮은 위치에 이격 배치되도록 회동한다. 개폐도어(200)의 회동에 따라 이음부(300)는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회동하면서 조리실(110)의 바닥면(140)과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을 이어주도록 배치된다.
도 14를 참조하면, 개폐도어(200)가 제2 위치에 설정되면 사용자는 두 손에 두꺼운 단열장갑을 착용한 채 우선 한 손으로 음식물이 수납되는 조리용기(10)를 협소한 조리실(110)로부터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으로 끌어당겨 안착하게 한다. 이때, 개폐도어(200)는 임시선반의 역할을 하게 된다. 사용자에 의해 끌어 당겨지는 조리용기(10)는 화살표를 따라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으로부터 이음부(300)의 일면 상을 슬라이딩하여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으로 이동한다. 이때 이음부(300)가 조리실(110)의 바닥면(140)과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을 이어주도록 배치되므로 조리용기(10)는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으로부터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으로 낙하하지 않고 화살표룰 따라 완만하게 경사지게 이동하여 안착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에 가해지는 충격이 방지되므로 개폐도어(200)는 파손이 상당부분 방지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 조리기(1)는 조리실(110)의 음식물 투입구(170)를 개방하는 경우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과 조리실(110)의 바닥면(140)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를 메우도록 개폐도어(200)의 개폐동작에 의해 회동하는 이음부(300)가 설치됨에 따라 음식물이 수납되는 조리용기(10)가 조리실(110)의 바닥면(140)으로부터 개폐도어(200)의 내측면(240)으로 낙하하지 않고 완만하게 경사지게 이동하여 안착하므로 파손이 방지므로 가열 조리기(1)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 가열 조리기 100: 본체
110: 조리실 120: 조리실의 양 측면
130: 본체의 전면 140: 바닥면
150: 회동공간부 160: 도어 브라켓
170: 음식물 투입구 200: 이음부
210: 도어프레임 220: 개구
230: 강화 글래스
300, 400, 500, 600, 800: 이음부
310, 410, 510, 610, 810: 이음부의 일면
320, 420, 520, 620, 820: 가이드 돌기
700: 탄성부재

Claims (15)

  1.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
    상기 조리실의 음식물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음식물 투입구가 폐쇄되는 제1 위치와 상기 음식물 투입구가 개방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개폐도어;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과 상기 본체의 전면이 맞닿아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전면에 연결되는 하면과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과 연결되는 후면으로 이루어지는 회동공간부; 및
    상기 회동공간부에서 상기 개폐도어에 탄력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회동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과 상기 개폐도어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단차를 메우는 이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개폐도어의 내측면은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이음부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일측이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개폐도어의 내측면과 동일한 높이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가열 조리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상기 개폐도어의 상기 음식물 투입구를 개폐하는 동작에 의해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양 단에 각각 상기 본체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하는 한 쌍의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힌지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본체에 탄력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일단이 상기 힌지축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토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일면이 만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일면이 볼록 또는 오목한 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일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는 일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다수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12.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
    상기 조리실의 음식물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하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개폐도어;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과 상기 본체의 전면이 맞닿아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전면에 연결되는 하면과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과 연결되는 후면으로 이루어지는 회동공간부; 및
    상기 회동공간부에서 상기 개폐도어의 개폐동작에 연동하여 회동하도록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 탄력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음식물 투입구 개방 시 상기 조리실 바닥면과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에 이격 배치되는 상기 개폐도어의 내측면을 이어주는 일면을 구비하는 이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음부는 상기 개폐도어가 상기 음식물 투입구를 폐쇄하는 제1 위치와 상기 음식물 투입구를 개방하는 제2 위치 사이에서 회동할 때 상기 개폐도어에 탄력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상기 개폐도어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하며,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개폐도어의 내측면은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에 이격 배치되며,
    상기 이음부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일측이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과 동일한 높이로 배치되고 타측이 상기 개폐도어의 내측면과 동일한 높이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가열 조리기.
  13. 삭제
  14. 삭제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음부의 일면은 만곡 형성되거나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열 조리기.
KR1020150078122A 2015-06-02 2015-06-02 가열 조리기 KR102327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122A KR102327159B1 (ko) 2015-06-02 2015-06-02 가열 조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122A KR102327159B1 (ko) 2015-06-02 2015-06-02 가열 조리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143A KR20160142143A (ko) 2016-12-12
KR102327159B1 true KR102327159B1 (ko) 2021-11-16

Family

ID=57574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122A KR102327159B1 (ko) 2015-06-02 2015-06-02 가열 조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7159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3433B1 (ko) * 2002-09-19 2004-10-1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상업용 가스밥솥의 솥슬라이딩장치
KR101036306B1 (ko) * 2004-08-13 2011-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홈바구조
KR200459216Y1 (ko) * 2007-08-21 2012-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143A (ko) 2016-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54143B2 (en) Cooking appliance
US8511769B2 (en) Home appliance with improved rack system
EP3295086B1 (en) Cooking appliance
EP3671042B1 (en) Heating apparatus and cooking apparatus including same
US7789082B2 (en) Rack structure of oven
US8327837B2 (en) Cooking range with rotable rack
US9574778B2 (en) Oven with door having a convex shaped surface
US20180292094A1 (en) Home appliance
KR20140104514A (ko) 조리기구
KR101623983B1 (ko) 조리기기
KR102327159B1 (ko) 가열 조리기
EP2952664A1 (en) A locking member of a hinge latch
KR101623586B1 (ko) 조리기기
DK2068083T3 (en) Heating unit for an oven
EP3973828B1 (en) Cooking appliance
KR100727161B1 (ko) 가열 조리기기
EP3346193A1 (en) Shelf supporting apparatus and cooking appliance including a shelf supporting apparatus
KR20110045939A (ko) 조리기기
EP3732397B1 (en) Cooker
KR100641433B1 (ko) 전기 오븐
JP5012343B2 (ja) 加熱調理器
JP2022097986A (ja) 加熱調理器
KR20110078914A (ko) 조리기기
KR20230061867A (ko) 조리기기
KR20230016420A (ko) 래치 및 이를 포함한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