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1867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1867A
KR20230061867A KR1020210146550A KR20210146550A KR20230061867A KR 20230061867 A KR20230061867 A KR 20230061867A KR 1020210146550 A KR1020210146550 A KR 1020210146550A KR 20210146550 A KR20210146550 A KR 20210146550A KR 20230061867 A KR20230061867 A KR 202300618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member
knob
protrusion
fastening
lock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6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용
정의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46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1867A/ko
Publication of KR20230061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18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8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제1노브부재와 제2노브부재가 각각 별물로 형성되고, 제1노브부재는 노브의 외관을 형성하며, 조절 축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구조물을 포함하는 제2노브부재는 제1노브부재의 내부에 설치되는 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회전 조작 될 수 있게 마련되는 노브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cooktop), 홉 등이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그리고 개방형 조리기기는, 개방된 공간에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기 용기가 위치하고, 음식물 또는 음식물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조리실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조리실의 내부 또는 외부 공간에는 열원이 제공되어 조리실을 가열한다.
근래에는, 밀폐형 조리기기와 개방형 조리기기가 동시에 설치되어 다수의 열원이 조합되면서 다양한 음식물의 요리 및 다수의 음식물을 동시에 요리할 수 있는 복합조리기기가 제안되고 있다.
복합조리기기에서는, 밀폐형 조리기기의 상측에 개방형 조리기기가 위치된다. 또한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다수의 히터 또는 버너가 설치되어 동시에 다수의 요리가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사용자가 바비큐 요리나 제빵 등과 같은 오븐요리, 육류나 어류의 구이요리를 할 때에는 밀폐형 조리기기를 이용하여 조리를 하게 되고, 음식물을 용기에 담아서 가열하는 일반요리를 할 때는 상부에 노출되어 있는 개방형 조리기기를 이용하여 요리를 하게 된다.
개방형 조리기기 중 대표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것은, 가스레인지 형태의 개방형 조리기기로서, 가스가 연소할 때 발생되는 화염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기이다.
사용자가 이러한 조리기기의 화염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리기기에는 각종 스위치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는, 조작 방식에 따라 누름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회전 스위치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조리기기의 화염의 세기를 조절하는 데에는, 회전 스위치가 전통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회전 스위치로는, 노브가 대표적으로 사용된다. 노브는,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형태로 구비되며, 사용자는 노브의 회전량을 조절함으로써 화염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노브는 가스의 유동량을 제어하는 밸브와 연결되어 기계식으로 밸브의 개폐량을 제어하는 형태로 제공된다. 최근에는, 노브의 회전량을 전자적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결과에 기초하여 밸브의 개폐량을 전자적으로 제어하는 방식도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도 여전히 노브를 이용하여 기계식으로 밸브의 개폐량을 제어하는 형태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노브는 노브의 외관을 형성하는 노브본체, 및 노브본체 내측에 형성되어 밸브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결합구조물을 포함한다. 또한 노브에는 노브에 중량감을 부여하는 중량추가 설치되며, 이를 위해 노브의 내측에는 중량추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구조물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밸브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결합구조물은 노브의 중앙에 배치되며, 중량추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구조물은 그보다 원심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이들 결합구조물은, 노브본체의 내측에 배치되되, 노브본체의 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노브본체의 전면은, 세로방향의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구조물들은, 노브본체의 전면으로부터 가로방향으로 돌출되는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브는, 사출성형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노브는, 상기 결합구조물들과 노브본체가 일체로 성형되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노브가 사출성형되는 과정에서, 노브의 각 부분에서 팽창과 수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노브가 금형에서 성형되는 동안 노브의 각 부분이 팽창될 수 있고, 그 후 노브가 냉각되는 동안 노브의 각 부분이 수축될 수 있다.
이때 노브의 전면에서는 세로방향의 팽창과 수축이 이루어지고, 결합구조물들에서는 가로방향의 팽창과 수축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노브가 냉각될 때 노브의 전면의 수축과 결합구조물들의 수축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발생된다.
이로 인해, 노브의 전면이 결합구조물들 측으로 쪼그라드는 형태로 노브의 외관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노브의 외관 불량은, 노브 성형 직후에는 티가 많이 나지 않지만, 노브에 대한 컬러 도색 또는 금속 코팅이 이루어진 후에는, 확연하게 티가 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출성형시 노브 성형을 위한 원재료를 과다 투여하는 방법을 이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이 구조적 해결책이 될 수는 없을 뿐 아니라, 원재료 과다 투여로 인한 각종 위험 요인이 추가되고 사출성형 작업이 더욱 까다로워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사출성형 후 냉각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축으로 인해 노브의 외관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노브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브의 부품이 증가되더라도 노브 조립 작업의 공수가 증가되거나 노브 조립 작업의 난이도가 상승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노브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브 외관 품질과 노브 강성이 함께 향상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노브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조리기기는, 제1노브부재와 제2노브부재가 각각 별물로 형성되고, 제1노브부재는 노브의 외관을 형성하며, 조절 축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구조물을 포함하는 제2노브부재는 제1노브부재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사출성형 후 냉각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축으로 인해 노브의 외관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노브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노브부재와 결합구조물을 포함하는 제2노브부재가 각각 별물로 성형되고, 제2노브부재가 제1노브부재의 내측에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노브의 부품이 증가되더라도 노브 조립 작업의 공수가 증가되거나 노브 조립 작업의 난이도가 상승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절대상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조절 축과 결합되어 상기 조절 축을 회전시키는 노브를 포함하고, 노브는 노브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노브부재; 및 상기 제1노브부재와 별물로 마련되어 상기 제1노브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제1노브부재가 상기 조절 축을 회전시킬 수 있게 상기 조절 축과 결합되는 제2노브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노브부재는, 상기 제1노브부재에 제1방향으로 결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조절 축과 결합되는 제1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노브부재에는 삽입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노브부재는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며 상기 제1노브부재에 끼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삽입홈 내부에 삽입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홈 내부에서 상기 제1노브부재와 결합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돌기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제1노브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삽입홈 내부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맞물리며 상기 체결돌기와 상기 제1노브부재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노브부재는, 상기 제1노브부재의 내측면에서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돌기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걸림돌기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방향으로 맞물리며 상기 체결돌기와 상기 걸림돌기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제1노브부재의 상기 제1방향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돌기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노브부재의 상기 제1방향 일측 단부와 상기 걸림돌기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체결돌기와 상기 제1노브부재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돌기에는, 상기 체결돌기에 상기 제2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안내홈, 및 상기 안내홈의 상기 제1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체결단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내홈과 상기 체결단의 경계에는 상기 제2방향의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며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체결단이 상기 제1방향으로 맞물려 상기 체결돌기와 상기 걸림돌기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제1방향 일측으로 갈수록 상기 안내홈의 내부를 향해 상기 제2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형태로 상기 제1노브부재의 내측면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돌기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몸체보다 상기 제1방향 일측으로 더 돌출되고, 상기 체결단은, 상기 몸체보다 상기 제1방향 일측으로 더 돌출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제2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노브부재는, 한 쌍의 상기 체결돌기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몸체 및 상기 체결돌기와 연결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노브부재는, 상기 제1노브부재의 외관을 형성하는 링 형상부, 및 상기 링 형상부로부터 상기 제1방향 일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 형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손잡이 형상부의 내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 형상부와 상기 손잡이 형상부 사이에는 상기 제1방향의 직선과 직교하는 평면을 형성하는 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 일측을 향해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돌기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걸림돌기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방향으로 맞물리며 상기 체결돌기와 상기 걸림돌기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몸체에서 상기 지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삽입홈의 외부에서 상기 지지면과 상기 돌출지지부가 서로 간섭되며 상기 제2노브부재의 상기 제1방향 일측을 향한 이동이 규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돌기와 상기 걸림돌기가 맞물리며 상기 제2노브부재의 상기 제1방향 타측을 향한 이동이 규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노브부재는, 상기 지지면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돌출되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지지면 및 상기 제1보스부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노브부재는 상기 손잡이 형상부로부터 상기 삽입홈으로 돌출되는 제1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노브부재에는 상기 본체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1가이드돌기가 상기 제1가이드홈에 삽입되며 상기 제2노브부재와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돌기는 상기 손잡이 형상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과 직교하는 제3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홈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3방향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제3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노브부재는 상기 손잡이 형상부의 외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지시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지시표시부와 상기 제1방향으로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노브부재와 결합되는 중량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노브부재는 상기 본체부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중량부재와 결합되는 제2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노브부재는 상기 링 형상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부재는 상기 중량부재의 외주면이 상기 링 형상부의 내주면과 마주보게 상기 링 형상부에 삽입되고,
상기 중량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제2가이드홈이 구심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사출성형 후 냉각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축으로 인한 노브의 외관 불량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됨으로써, 외관 품질이 더욱 향상된 노브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 별물로 성형된 제1노브부재와 제2노브부재를 결합시키는 조립 작업이 제2노브부재를 제1노브부재의 내부에 끼워 넣는 매우 단순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조립 작업 공수의 증가나 조립 작업 난이도의 상승을 억제하면서도 제품의 외관 품질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노브부재와 별물로 마련되어 제1노브부재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노브부재에 지지돌기, 제1보강리브 및 제2보강리브 등과 같이 노브의 강성 강화를 위한 지지구조물이 마련된다.
이로써 본 발명은, 노브의 외관 품질과 노브의 강성이 함께 향상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노브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를 분리하여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노브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노브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Ⅶ-Ⅶ"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노브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2노브부재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4의 "ⅩⅠ-ⅩⅠ"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4의 "ⅩⅡ-ⅩⅡ"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제1가이드돌기와 제1가이드홈 간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조리기기가 바닥(floor)에 놓인 상태에서, 조리기기의 중심을 기준으로 도어가 설치된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도어를 열고 조리기기 내부로 진입하는 방향은 후방이 된다. 편의상 이렇게 전방과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제1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방은 제1방향의 일방, 후방은 제1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중력 방향을 하방,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조리기기의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 즉 조리기기의 도어 앞에서 조리기기를 바라볼 때 조리기기의 폭방향을 좌우방향이라 할 수 있다. 편의상 좌우방향을 제2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우측은 제2방향의 일방, 좌측은 제2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의 폭방향을 측방향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러면 우측은 측방향의 일측, 좌측은 측방향의 타측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상하방향을 제3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상방은 제3방향의 일방, 하방은 제3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상하방향을 세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즉 제1방향과 제2방향을 포함하여 가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는, 본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는, 그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전기기가 조리기기인 것으로 예시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가전기기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리기기, 그 중에서도 밀폐형 조리기기와 개방형 조리기기가 동시에 설치된 복합조리기기 형태의 조리기기인 것으로 예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의 가전기기는 복합조리기기가 아닌 가스레인지, 쿡탑, 전자레인지, 오븐 등과 같은 조리기기일 수도 있고, 그 외에도 식기세척기나 세탁기 등과 같이 조리기기가 아닌 다른 기기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전기기가 조리기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10)의 상측에는, 쿡탑부(20)가 배치될 수 있다. 쿡탑부(20)는, 개방된 공간, 즉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쿡탑부(20)에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판이 제공될 수 있다. 상판의 상측에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놓일 수 있다. 그리고 상판의 하측에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쿡탑가열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쿡탑가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쿡탑 버너(21)가 마련될 수 있다. 쿡탑 버너(21)는, 가스를 연소시켜 발생되는 화염으로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 또는 음식물을 직접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그리고 쿡탑부(20)의 하측에는, 오븐부(30)가 배치될 수 있다. 오븐부(30)의 내부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이 형성될 수 있다.
오븐부(30)는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조리실은 이러한 오븐부(3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조리실은, 그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리실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실의 내부공간에 대한 가열이 이루어지면,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오븐부(30)에서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은 조리실이다.
조리실의 상측에는, 조리실의 내부공간을 상측에서 가열하는 브로일 버너와 같은 상부버너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조리실의 하측에도, 조리실의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가열하는 베이킹버너 등과 같은 하부버너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조리실의 후측에는, 뜨거운 공기를 대류시켜 조리실의 내부공간을 가열하는 컨벡션부가 더 제공될 수도 있다.
컨벡션부는, 조리실 내부공간의 공기를 강제로 유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컨벡션부는, 조리실 내부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가열한 후, 조리실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시키면서 공기를 유동시킴으로써, 조리실의 내부공간이 가열되도록 하고, 이로써 조리실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음식물이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한다.
오븐부(30)에는,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32)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어(32)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하는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조리실을 개폐할 수 있다.
오븐부(30)의 하부에는, 드로워부(40)가 배치될 수 있다. 드로워부(40)는,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서 조리기기로 인입되거나, 조리기기로부터 인출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드로워부(40)는, 음식물이 담기는 용기 등을 소정의 온도로 보온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쿡탑부(20)의 전면 즉, 도어(32)의 상측에는 컨트롤패널(5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패널(5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쿡탑부(20) 및 오븐부(30)를 동작시키는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가 제공될 수 있다.
입력부에는 복수 개의 조작장치(51)가 마련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패널(50)에는 조리기기의 동작 정보 또는 음식물의 요리 정보 등을 제공하는 표시부(5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55)를 통해 조리기기의 동작 상태 등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체(10)의 내부 공간 즉, 쿡탑부(20)와 오븐부(30) 사이의 공간에는 전장 부품들이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전장실이 형성될 수 있다. 전장실의 전면에는 컨트롤패널(50)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실질적으로 컨트롤패널(50)이 전장실의 전면을 차폐하는 구조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리기기가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가열부로서 오븐부, 쿡탑부, 및 드로워부를 포함하는 형태가 예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조리기기는 오븐부, 쿡탑부 및 드로워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고, 이들 중 어느 일부만을 복수개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조리기기가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가열부로서 오븐부, 쿡탑부, 및 드로워부를 포함하는 가스오븐을 실시예로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개념은 가스가 아니라 전기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하는 쿡탑 또는 오븐 등 다양한 조리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일례로서, 본 발명의 조리기기의 쿡탑부는 유도가열방식으로 용기를 가열하는 인덕션 및/또는 전기를 이용하여 발열하는 전기히터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조작장치의 전반적인 구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노브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조작장치(51)는 노브(100)와 노브 링(52) 및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노브(100)는, 조작장치(5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노브(100)는,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절 축(Ax)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노브(100)는, 제1방향 일측, 즉 전방측에서 조절 축(Ax)과 결합됨으로써, 조절 축(Ax)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조절 축(Ax)을 회전시킬 수 있다.
노브 링(52)은, 노브(100)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노브(100) 주변의 외관을 향상시키는 부품이다. 이러한 노브 링(52)은, 노브(100)의 원심방향 외측에서 노브(100)를 지지하는 역할, 그리고 노브(100) 주변의 외관을 마감하여 조리기기의 외관 품질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노브 링(52)은, 노브(100)의 원심방향 외측을 둘러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노브 링(52)은, 컨트롤패널(50)의 전방에서 컨트롤패널(50)에 고정될 수 있다.
조절부는, 노브(100)의 회전에 따라 조리기기로부터 출력되는 화력을 조절하거나, 조리기기의 모드를 조정하는 등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절부는, 스위치(53)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53)는, 조절 축(Ax)과 연결되며, 조절 축(Ax)을 통해 노브(100)의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53)의 온/오프 상태는, 노브(100)의 회전에 의해 전환될 수 있다. 예컨대, 노브(100)가 소정 각도 회전하면 스위치(53)가 온 상태가 되고, 이에 따라 쿡탑부(20)나 오븐부(30)의 가열부가 동작될 수 있다.
조리기기가 열원으로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 스위치(53)는 온 상태가 되었을 때 버너의 화구에 스파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조리기기가 열원으로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 조절부는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밸브는, 점화 스위치(53)와 함께 조절 축(Ax)과 연결되며, 조절 축을 통해 노브(1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러한 밸브의 개방 정도는, 노브(100)의 회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밸브는 노브(100)를 누른 상태에서 회전시킬 때에만 노브(10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도 있다.
[제1노브부재의 구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를 분리하여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노브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노브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Ⅶ-Ⅶ"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Ⅷ"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노브(100)는 조절대상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조절 축(Ax)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노브(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며 조절 축(Ax)을 회전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절대상체가 스위치(53)인 것으로 예시된다. 즉 노브(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되며 조절 축(Ax)을 회전시킴으로써, 스위치(53)의 온/오프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이러한 노브(100)는, 제1노브부재(110) 및 제2노브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노브부재(110) 및 제2노브부재(150)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노브부재(110) 및 제2노브부재(150)가 각각 별물로 사출 성형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1노브부재(110)는, 노브(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노브부재(110)는, 제2노브부재(150) 등과 같이 노브(100)를 구성하는 부품들을 내부에 수용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노브부재(110)가 링 형상부(120) 및 손잡이 형상부(1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링 형상부(12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노브부재(1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링 형상부(120)가 후방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리고 손잡이 형상부(130)는, 링 형상부(120)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손잡이 형상부(130)가 링 형상부(120)의 전면에서 육면체 형상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링 형상부(120)와 손잡이 형상부(130) 사이에는, 지지면(125)이 마련될 수 있다. 지지면(125)은, 전후방향의 직선과 직교하는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링 형상부(120)의 전면에 손잡이 형상부(130)가 돌출된 것에 대응하여, 제1노브본체(10)에는 삽입홈(132)이 마련될 수 있다. 삽입홈(132)은, 손잡이 형상부(130)의 내부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꾸어 표현하면, 삽입홈(132)은 지지면(125)으로부터 전방측을 향해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전방측에서 봤을 때에는 제1노브부재(110)의 전면에 손잡이 형상부(130)가 돌출된 형태가 노출되지만, 후방측에서 봤을 때에는 제1노브부재(110)의 후면에 삽입홈(132)이 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형태가 노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삽입홈(132)이 손잡이 형상부(130)의 형상에 대응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후방측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링 형상부(120)의 내부에는, 원통 형상의 수용공간(1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공간(122)은, 후방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즉 제1노브본체(10)는, 링 형상부(120) 내부에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수용공간(122), 및 손잡이 형상부(130) 내부에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삽입홈(132)을 포함할 수 있다. 삽입홈(132)과 수용공간(122)은, 서로 전후방향으로 연통되며, 후방측으로 개방될 수 있다.
제1노브부재(110)는 걸림돌기(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돌기(135)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노브부재(110)의 내측면에서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 즉 좌우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노브부재(110)에 두 쌍의 걸림돌기(135)가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삽입홈(132)의 내부에서 한 쌍씩의 걸림돌기(135)가 손잡이 형상부(130)의 장축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손잡이 형상부(130)의 장축 방향을 상하방향으로 정의하고, 그 중 후술할 지시표시부(138)가 배치된 부분을 상측, 그 반대 부분을 하측이라 정의하기로 한다.
삽입홈(132)의 상부에 배치된 한 쌍의 걸림돌기(135) 중 하나는 손잡이 형상부(130)의 양측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그 반대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삽입홈(132)의 내부에서 한 쌍의 걸림돌기(135)가 좌우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그 하측에 한 쌍의 걸림돌기(135)가 더 배치될 수 있다.
걸림돌기(135)들 간의 상하방향 간격은, 몸체(161) 의 상하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된 후술할 체결돌기(163)들 간의 상하방향 간격에 대응되게 설정될 수 있다.
제1노브부재(110)는, 제1가이드돌기(1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돌기(137)는, 손잡이 형상부(130)로부터 삽입홈(132)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가이드돌기(137)는 손잡이 형상부(130)의 내측면 상단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1가이드돌기(137)는, 손잡이 형상부(130)의 내측면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노브부재의 구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노브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제2노브부재의 정면을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5와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2노브부재(150)는 제1노브부재(110)와 별물로 마련되어 제2노브부재(15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노브부재(150)는, 제1노브부재(110)가 조절 축(Ax)을 회전시킬 수 있게 조절 축(Ax)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노브부재(150)는, 전후방향으로 삽입홈(132)에 삽입되며 제1노브부재(11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노브부재(150)는, 본체부(160) 및 제1보스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160)는, 제2노브부재(150)의 골격을 형성하며, 제1노브부재(110)에 전후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160)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홈(132)에 삽입되는 형태로 제1노브부재(110)와 본체부(160)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본체부(160)는, 몸체(161) 및 체결돌기(163)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61) 는, 본체부(160)의 골격 및 외형 대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161) 가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몸체(161) 는, 삽입홈(132) 내부에 삽입되며 제1노브부재(11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몸체(161) 는, 후술할 제1보스부(170)와 같은 돌출 구조물들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물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체결돌기(163)는, 몸체(161) 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돌기(163)가 몸체(161) 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체결돌기(163)는, 삽입홈(132) 내부에서 제1노브부재(110)와 결합될 수 있다.
몸체(161) 의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한 쌍의 체결돌기(163)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체결돌기(163)는, 좌우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노브본체(10)에는, 몸체(161) 의 상측에 한 쌍, 몸체(161) 의 하측에 한 쌍, 총 두 쌍의 체결돌기(163)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체결돌기(163)의 적어도 일부분과 제1노브부재(110)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홈(132)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체결돌기(163)와 제1노브부재(110)의 맞물림에 의해, 체결돌기(163)와 제1노브부재(110) 간의 착탈 가능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보스부(170)는, 본체부(160)에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보스부(170)가 본체부(160)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1보스부(170)는, 조절 축(Ax)과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일례로서, 제1보스부(170)는 본체부(160)의 전면에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보스부(170)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며, 조절 축(Ax)이 제1보스부(170)의 내부에 끼움 결합되는 형태로 제1보스부(170)와 조절 축(Ax)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보스부(170)와 조절 축(Ax) 사이에는, 스프링(175)이 개재될 수 있다. 스프링(175)은, 조절 축(Ax)이 제1보스부(17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조절 축(Ax) 또는 제1보스부(170)를 탄력적으로 압박할 수 있다.
또한 제2노브부재(150)는, 제1보강리브(1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보강리브(171)는, 몸체(161) 에서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제1보강리브(171)가 제1보스부(170)의 주변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각각 제1보강리브(171)는, 몸체(161) 및 제1보스부(17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제1보강리브(171)들은, 제1보스부(170)를 지지하는 한편 몸체(161)를 포함한 제2노브부재(150) 전체의 강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제2노브부재(150)는, 제2보강리브(1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보강리브(173)는, 지지면(125)에서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보강리브(173)는, 제1보강리브(171)에 인접되게 배치되며, 지지면(125) 및 제1보스부(17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련되는 제2보강리브(173)는, 제1보강리브(171)와 함께 제1보스부(170)를 더욱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으며, 몸체(161) 에서 돌출된 부분인 지지면(125)의 강성을 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제2노브부재(150)는, 제1가이드홈(162)이 마련될 수 있다. 제1가이드홈(162)은, 본체부(160)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가이드홈(162)은, 본체부(160)의 전후방향 일측 단부로부터 상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본 실시예에서, 제1가이드홈(162)은 몸체(161) 의 상단으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1노브부재와 제2노브부재의 결합 구조]
도 11은 도 4의 "ⅩⅠ-ⅩⅠ"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4의 "ⅩⅡ-ⅩⅡ"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제1가이드돌기와 제1가이드홈 간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11을 참조하면, 각 체결돌기(163)의 적어도 일부분과 제1노브부재(110)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홈(132)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체결돌기(163)와 제1노브부재(110)의 맞물림에 의해, 체결돌기(163)와 제1노브부재(110) 간의 착탈 가능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노브부재(110)는 걸림돌기(135)를 포함할 수 있고, 제2노브부재(150)는 체결돌기(16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돌기(135)의 적어도 일부분과 체결돌기(163)의 일부분이 전후방향으로 맞물릴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걸림돌기(135)와 체결돌기(163) 간의 맞물림에 의해, 제1노브부재(110)와 제2노브부재(150) 간의 착탈 가능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걸림돌기(135)와 체결돌기(163) 간의 결합 구조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걸림돌기(135)는 제1노브부재(110)의 제1노브부재(110)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걸림돌기(135)는, 손잡이 형상부(130)의 전방측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체결돌기(163)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1노브부재(110)의 전방측 단부, 즉 손잡이 형상부(130)의 전방측 단부와 걸림돌기(135)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 체결돌기(163)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위치에 끼워짐에 따라, 체결돌기(163)와 제1노브부재(110)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체결돌기(163)에는 안내홈(163a) 및 체결단(163b)이 마련될 수 있다. 안내홈(163a)은 체결돌기(163)에 좌우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우측에 배치된 체결돌기(163)에 마련된 안내홈(163a)은, 체결돌기(163)의 우측 표면으로부터 좌측으로 오목하게 파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좌측에 배치된 체결돌기(163)에 마련된 안내홈(163a)은, 체결돌기(163)의 좌측 표면으로부터 우측으로 오목하게 파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단(163b)은, 안내홈(163a)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체결단(163b)은 체결돌기(163)의 전방측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단(163b)은, 안내홈(163a)에 비해 상대적으로 측방향으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내홈(163a)과 체결단(163b)의 경계에는, 좌우방향의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돌기(163)의 적어도 일부분은 몸체(161) 보다 전방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즉 체결돌기(163)는, 몸체(161) 보다 전방측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단(163b)은, 몸체(161) 보다 전방측으로 더 돌출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체결단(163b)은, 몸체(161) 의 전방측에서 제1노브부재(110)와 제2노브부재(150) 간의 결합에 관여할 수 있다.
걸림돌기(135)는, 제1노브부재(11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손잡이 형상부(130)의 내측면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돌기(135)는, 전방측으로 갈수록 안내홈(163a)의 내부를 향해 좌우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손잡이 형상부(130)의 우측 내측면에 배치된 걸림돌기(135)는 전방측으로 갈수록 안내홈(163a) 내부를 향해 좌측으로 더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손잡이 형상부(130)의 좌측 내측면에 배치된 걸림돌기(135)는, 전방측으로 갈수록 안내홈(163a) 내부를 향해 우측으로 더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체결돌기(163)와 걸림돌기(135)의 결합시, 걸림돌기(135)의 적어도 일부분이 안내홈(163a)에 삽입된 상태로 걸림돌기(135)와 체결단(163b)이 전후방향으로 맞물릴 수 있다.
삽입홈(132) 내부에서 체결돌기(163)가 전방측으로 이동할 때, 체결단(163b)은 손잡이 형상부(130)의 내측면에 경사지게 돌출된 걸림돌기(135)의 경사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전방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체결돌기(163)는 좌우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돌기(163)는, 걸림돌기(135)와 접촉될 때 측방향, 예컨대 삽입홈(132)의 내측을 향한 방향으로 변형되며 전방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단(163b)이 걸림돌기(135) 배치 구간을 통과한 후에는, 체결돌기(163)의 탄성 복원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걸림돌기(135)의 측방향 단부가 안내홈(163a)에 삽입될 수 있다.
걸림돌기(135) 배치 구간을 통과한 체결단(163b)은, 걸림돌기(135)와 전후방향으로 맞물리며 손잡이 형상부(130)의 전방측 단부와 걸림돌기(135) 사이에 끼워지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체결돌기(163)와 걸림돌기(135) 간의 결합에 의해, 제1노브부재(110)와 제2노브부재(150) 간의 착탈 가능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제2노브부재(150)는, 지지돌기(1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돌기(165)는, 몸체(161) 상측과 하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몸체(161) 의 상측에서, 지지돌기(165)는 한 쌍의 체결돌기(16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몸체(161) 의 하측에서도 한 쌍의 체결돌기(163) 사이에 지지돌기(165)가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지지돌기(165)는, 몸체(161) 및 체결돌기(163)와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서, 지지돌기(165)는 한 쌍의 체결돌기(163) 사이에 배치되되, 몸체(161) 및 체결돌기(163)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의 체결돌기(163)는 몸체(161) 로부터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된 연장부(161a)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돌기(165)는, 한 쌍의 체결돌기(163) 사이에서 연장부(161a)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전방측으로 돌출된 지지돌기(165)의 상단 또는 하단은, 몸체(161) 와도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몸체(161) 와 연결되고 연장부(161a)를 매개로 체결돌기(163)들과도 연결된 지지돌기(165)는, 체결돌기(163)가 측방향으로 과도하게 변형되는 것을 억제하는 지지 구조물 역할을 하는 한편, 지제2노브부재(150) 전체의 강성을 강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한편 본체부(160)는, 돌출지지부(16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지지부(167)는, 몸체(161) 에서 지지면(125)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컨대, 돌출지지부(167)는 몸체(161) 에서 좌우방향으로 돌출된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지지부(167)는, 삽입홈(132)의 외부에서 지지면(125)과 간섭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지지부(167)는, 삽입홈(132)의 외부에서 지지면(125)과 전후방향으로 맞닿으면서 지지면(125)과 면접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면(125)과 돌출지지부(167) 간의 간섭이 이루어짐에 따라, 제1노브부재(110)에 설치되는 제2노브부재(150)의 전방측을 향한 이동이 규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홈(132)의 내부에서 체결돌기(163)와 걸림돌기(135)가 맞물리며 제2노브부재(150)의 후방측을 향한 이동이 규제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홈(132)의 외부에서 지지면(125)과 돌출지지부(167) 간에 발생되는 간섭에 의해 제2노브부재(150)의 전방측을 향한 이동이 규제될 수 있다.
제2노브부재(150)가 제1노브부재(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과정에서는, 지지면(125)과 돌출지지부(167) 간의 맞물림에 의해 제2노브부재(150)의 전방측 이동이 규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노브부재(150)가 제1노브부재(110)의 내부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체결돌기(163)와 걸림돌기(135) 간의 맞물림에 의해 제2노브부재(150)의 후방측 이동이 규제될 수 있다.
지지면(125)과 돌출지지부(167) 간에 발생되는 간섭에 의해 제2노브부재(150)의 전방측을 향한 이동이 규제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돌기(163)와 걸림돌기(135)가 맞물리며 제2노브부재(150)의 후방측을 향한 이동이 규제될 수 있다.
즉 지지면(125)과 돌출지지부(167) 간의 맞물림과 체결돌기(163)와 걸림돌기(135) 간의 맞물림에 의해, 제1노브부재(110)와 제2노브부재(15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르면, 제2노브부재(150)를 제1노브부재(110)의 내부를 향해 전방측으로 밀어 넣는 단순한 작업만으로 제1노브부재(110)와 제2노브부재(150) 간의 결합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체결돌기(163)와 걸림돌기(135) 간의 결합이 상부측 두 군데 및 하부 측 두 군데를 포함하여 총 네 군데 이상의 지점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제1노브부재(110)와 제2노브부재(150) 간의 결합이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5와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2노브부재(150)는 제1노브부재(110)의 개방된 후방측을 통해 제1노브부재(110)의 내부에 삽입되며 제1노브부재(11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노브부재(110)에 결합되기 위한 제2노브부재(150)의 둘레방향 위치는, 제1가이드돌기(137)와 제1가이드홈(162) 간의 결합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제1가이드돌기(137)는, 손잡이 형상부(130)의 내측면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가이드홈(162)은, 몸체(161) 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가이드돌기(137)는, 제1가이드홈(162)에 삽입되며 제2노브부재(150)와 맞물릴 수 있다. 만약 제1가이드홈(162)이 상측이 아닌 다른 측을 향한 상태, 예컨대 하측을 향한 상태에서 제2노브부재(150)가 제1노브부재(110)에 삽입된다면, 제1가이드돌기(137)는 제2노브부재(150)와 맞물릴 수 없고, 이에 따라 제1노브부재(110)와 제2노브부재(150) 간의 결합도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렵게 된다.
즉 상기 제1가이드돌기(137)와 제1가이드홈(162)은, 노브(100) 조립 과정에서 작업자가 제1노브부재(110) 상대 제2노브부재(150)의 결합 위치를 쉽고 빠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노브부재(110)는, 지시표시부(1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시표시부(138)는, 컨트롤패널 상에서 노브가 가리키는 위치를 표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지시표시부(138)는, 손잡이 형상부(130)의 외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가이드돌기(137)는 지시표시부(138)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가이드돌기(137)와 제1가이드홈(162)은, 지시표시부(138)를 기준으로 한 제2노브부재(150)의 조립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노브부재(110) 상에서, 지시표시부(138)가 형성된 부분은 지시표시부(138)의 오목한 형상으로 인해 다른 부분에 비해 두께가 얇아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1노브부재(110)의 내측면에 보강부(139)가 마련된다.
보강부(139)는, 손잡이 형상부(130)의 내측면에 형성되되, 지시표시부(138)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부(139)는, 그 주변부보다 손잡이 형상부(130)의 내측방향, 즉 손잡이 형상부(130)의 후방측으로 더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강부(139)가 마련된 영역의 전체 두께는, 그 주변부 두께 이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제1가이드돌기(137)는, 상기 보강부(139)가 형성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가이드돌기(137)는, 보강부(139)의 일부분이 후방측으로 더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가이드돌기(137)는, 제2노브부재(150)의 조립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뿐 아니라, 제1노브부재(110)의 강성을 더욱 강화시키는 역할도 함께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노브(100)는, 중량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량부재(140)는, 노브(100)에 중량감을 부여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중량부재(140)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제1노브부재(110)나 제2노브부재(150)와 달리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노브부재(150)의 후방측에서 제2노브부재(150)와 결합될 수 있다.
제2노브부재(150)는, 제2보스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보스부(180)는, 본체부(160)에 돌출되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보스부(180)가 본체부(160)로부터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2보스부(180)는, 중량부재(140)와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일례로서, 제2보스부(180)는 본체부(160)의 전면에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보스부(180)의 후방측 단부에 중량부재(140)가 끼워질 수 있으며,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부재(s)에 의해 이들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2보스부(180)의 주변에도, 복수개의 보강리브(181)가 마련될 수 있다. 이 보강리브(181)들은, 제2보스부(180)를 지지하는 한편 몸체(161)를 포함한 제2노브부재(150) 전체의 강성을 강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제1노브부재(110)는, 제2가이드돌기(1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가이드돌기(127)는, 링 형상부(120)의 내주면으로부터 구심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중량부재(140)는, 중량부재(140)의 외주면이 링 형상부(120)의 내주면과 마주보게 링 형상부(12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중량부재(140)에는, 제2가이드홈(142)이 마련될 수 있다. 제2가이드홈(142)은, 중량부재(140)의 외주면에 구심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가이드돌기(127)는, 제2가이드홈(142)에 삽입되며 중량부재(140)와 맞물릴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가이드돌기(127)와 중량부재(140) 간의 맞물림이 이루어져야 중량부재(140)와 제2노브부재(15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2가이드돌기(127)와 중량부재(140) 간의 맞물림이 이루어지면, 중량부재(140)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 체결홀(144)과 제2보스부(180)의 위치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게 중량부재(140)의 위치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중량부재(140)의 위치 정렬이 이루어지면, 체결부재(s)를 이용한 중량부재(140)의 고정 작업이 더욱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2가이드돌기(127)와 제2가이드홈(142)은, 노브(100) 조립 과정에서 작업자가 제2노브부재(150) 상대 중량부재(140)의 결합 위치를 쉽고 빠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노브의 작용, 효과]
본 실시예의 노브(100)는, 도 5와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별물로 마련된 제1노브부재(110)와 제2노브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노브부재(110)와 제2노브부재(150)가 각각 별물로 성형된 후 별도 조립 과정을 통해 서로 결합되는 형태로 노브(100)의 제조가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노브부재(110)는 노브(100)의 외관을 형성할 뿐, 조절 축(Ax) 또는 중량부재(14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구조물을 포함하지 않는다. 즉 제1노브부재(110)의 내부에는, 제1보스부(170)나 제2보스부(180) 등과 같이 가로방향으로 돌출되는 기둥 형태의 구조물이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노브부재(110)가 사출되는 과정에서, 제1노브부재(110)에서는 세로방향의 팽창과 수축이 주로 이루어지고, 가로방향의 팽창과 수축은 별로 발생되지 않는다.
특히 제1노브부재(110)의 내부에 가로방향으로 돌출되는 기둥 형태의 구조물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제1노브부재(110)의 전면이 후방측으로 쪼그라드는 현상은 거의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비록 제1노브부재(110)의 내부에 체결돌기(163)와 같은 구조물이 형성되어 있기는 하지만, 제1보스부(170)나 제2보스부(180)와 같은 구조물의 크기에 비해 체결돌기(163)의 크기는 매우 작은 수준에 불과하다.
통상적으로 중량의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조절 축(Ax)이나 중량부재(140)를 지지하여야 하는 제1보스부(170)나 제2보스부(180)와 같은 구조물은, 중량의 금속 부재를 지지하기에 충분한 크기 및 두께로 형성되어야 한다.
이에 비해, 체결돌기(163)와 같은 구조물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된 제2노브부재(150)와의 후크 결합을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만 유지해도 충분하다. 따라서 체결돌기(163)와 같은 구조물은, 제1보스부(170)나 제2보스부(180)와 같은 구조물에 비해 훨씬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제1노브부재(110)와 제2노브부재(150) 간의 결합을 위해 필요한 체결돌기(163)가 제1노브부재(110)에 마련되기는 하되, 제1보스부(170)나 제2보스부(180)와 같은 구조물에 비해 훨씬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제1노브부재(110)에서는, 사출성형 후 냉각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축으로 인해 그 외관 불량이 발생될 가능성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이게 된다.
조절 축(Ax) 또는 중량부재(14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구조물은, 제2노브부재(150)에 마련된다. 즉 제1보스부(170)나 제2보스부(180) 등과 같은 구조물은, 제2노브부재(150)에 마련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노브부재(150)는 제1노브부재(110)와 별물로 성형된다. 따라서 제2노브부재(150)의 사출 성형 과정에서, 가로방향으로 돌출되는 기둥 형태의 구조물인 제1보스부(170)나 제2보스부(180) 등과 같은 구조물 부분에서 가로방향의 팽창과 수축이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팽창과 수축의 영향이 제1노브부재(110)에 미치지는 않게 된다.
제1보스부(170)나 제2보스부(180) 등과 같은 결합구조물 부분에서 발생되는 가로방향의 팽창과 수축의 영향이 본체부(160)에 미치고, 이로 인해 본체부(160)의 전면이 결합구조물 측으로 쪼그라드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기는 할 것이다.
그러나 제2노브부재(150)는, 제1노브부재(110)의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제1노브부재(110)와 결합됨으로써, 컨트롤패널에 설치된 노브(1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2노브부재(150)에 약간의 외관 불량이 발생된다고 해도, 이 제2노브부재(150)가 노브(100)의 외관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의 노브(100)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노브(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노브부재(110)와 노브(100)의 외관 불량을 발생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는 결합구조물을 포함하는 제2노브부재(150)가 각각 별물로 성형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각각 별물로 성형된 제1노브부재(110)와 제2노브부재(150)가 별도 조립 과정을 통해 서로 결합되되, 제2노브부재(150)가 노브(10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제1노브부재(110)의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제1노브부재(110)와 제2노브부재(150)를 결합시키는 조립 작업은, 제2노브부재(150)를 제1노브부재(110)의 내부에 끼워 넣는 매우 단순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노브(100)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 사출성형 후 냉각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축으로 인한 노브(100)의 외관 불량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됨으로써, 외관 품질이 더욱 향상된 노브(100)가 제공될 수 있다.
둘째, 각각 별물로 성형된 제1노브부재(110)와 제2노브부재(150)를 결합시키는 조립 작업이 제2노브부재(150)를 제1노브부재(110)의 내부에 끼워 넣는 매우 단순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노브(100)는, 조립 작업 공수의 증가나 조립 작업 난이도의 상승을 억제하면서도 제품의 외관 품질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제1노브부재(110)와 별물로 마련되어 제1노브부재(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2노브부재(150)에 지지돌기(165), 제1보강리브(171) 및 제2보강리브(173) 등과 같이 노브(100)의 강성 강화를 위한 지지구조물이 마련됨으로써, 노브(100)의 외관 품질과 노브의 강성이 함께 향상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20 : 쿡탑부
21 : 쿡탑케이스
23 : 쿡탑가열부
30 : 오븐부
32 : 도어
50 : 컨트롤패널
51 : 조작장치
52 : 노브 링
53 : 스위치
55 : 표시부
100 : 노브
110 : 제1노브부재
120 : 링 형상부
122 : 수용공간
125 : 지지면
127 : 제1가이드돌기
130 : 손잡이 형상부
132 : 삽입홈
135 : 걸림돌기
137 : 제2가이드돌기
138 : 지시표시부
139 : 보강부
140 : 중량부재
142 : 제2가이드홈
144 : 체결홀
150 : 제2노브부재
160 : 본체부
161 : 몸체
161a : 연장부
162 : 제1가이드홈
163 : 체결돌기
163a : 안내홈
163b : 체결단
165 : 지지돌기
167 : 돌출지지부
170 : 제1보스부
171 : 제1보강리브
173 : 제2보강리브
180 : 제2보스부
Ax : 조절 축
s : 체결부재

Claims (19)

  1. 조절대상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조절 축과 결합되어 상기 조절 축을 회전시키는 노브를 포함하는 조리기기에 있어서, 상기 노브는,
    상기 노브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노브부재; 및
    상기 제1노브부재와 별물로 마련되어 상기 제1노브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제1노브부재가 상기 조절 축을 회전시킬 수 있게 상기 조절 축과 결합되는 제2노브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노브부재는,
    상기 제1노브부재에 제1방향으로 결합되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조절 축과 결합되는 제1보스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브부재에는, 삽입홈이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2노브부재는,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며 상기 제1노브부재에 끼움 결합되는 조리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삽입홈 내부에 삽입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홈 내부에서 상기 제1노브부재와 결합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돌기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제1노브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삽입홈 내부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맞물리며 상기 체결돌기와 상기 제1노브부재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조리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브부재는, 상기 제1노브부재의 내측면에서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돌기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걸림돌기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방향으로 맞물리며 상기 체결돌기와 상기 걸림돌기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조리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제1노브부재의 상기 제1방향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체결돌기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노브부재의 상기 제1방향 일측 단부와 상기 걸림돌기 사이에 끼워지며 상기 체결돌기와 상기 제1노브부재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조리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에는, 상기 체결돌기에 상기 제2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안내홈, 및 상기 안내홈의 상기 제1방향 일측에 배치되는 체결단이 마련되고,
    상기 안내홈과 상기 체결단의 경계에는 상기 제2방향의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안내홈에 삽입되며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체결단이 상기 제1방향으로 맞물려 상기 체결돌기와 상기 걸림돌기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조리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제1방향 일측으로 갈수록 상기 안내홈의 내부를 향해 상기 제2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형태로 상기 제1노브부재의 내측면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되는 조리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몸체보다 상기 제1방향 일측으로 더 돌출되고,
    상기 체결단은, 상기 몸체보다 상기 제1방향 일측으로 더 돌출된 위치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9. 제3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체결돌기가 상기 제2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2노브부재는, 한 쌍의 상기 체결돌기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몸체 및 상기 체결돌기와 연결되는 지지돌기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브부재는, 상기 제1노브부재의 외관을 형성하는 링 형상부, 및 상기 링 형상부로부터 상기 제1방향 일측으로 돌출되는 손잡이 형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손잡이 형상부의 내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조리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링 형상부와 상기 손잡이 형상부 사이에는, 상기 제1방향의 직선과 직교하는 평면을 형성하는 지지면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 일측을 향해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삽입홈 내부에 삽입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홈 내부에서 상기 제1노브부재와 결합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1노브부재는, 상기 제1노브부재의 내측면에서 상기 제1방향과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돌기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기 걸림돌기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방향으로 맞물리며 상기 체결돌기와 상기 걸림돌기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조리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몸체에서 상기 지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홈의 외부에서 상기 지지면과 상기 돌출지지부가 서로 간섭되며 상기 제2노브부재의 상기 제1방향 일측을 향한 이동이 규제되고,
    상기 체결돌기와 상기 걸림돌기가 맞물리며 상기 제2노브부재의 상기 제1방향 타측을 향한 이동이 규제되는 조리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노브부재는, 상기 지지면에서 상기 제1방향으로 돌출되는 보강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리브는, 상기 지지면 및 상기 제1보스부와 연결되는 조리기기.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브부재는, 상기 손잡이 형상부로부터 상기 삽입홈으로 돌출되는 제1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노브부재에는, 상기 본체부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가이드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1가이드돌기가 상기 제1가이드홈에 삽입되며 상기 제2노브부재와 맞물리는 조리기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돌기는, 상기 손잡이 형상부의 내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 및 상기 제2방향과 직교하는 제3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1가이드홈은, 상기 본체부의 상기 제3방향 일측 단부로부터 상기 제3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조리기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브부재는, 상기 손잡이 형상부의 외측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지시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지시표시부와 상기 제1방향으로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노브부재와 결합되는 중량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노브부재는, 상기 본체부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상기 중량부재와 결합되는 제2보스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노브부재는, 상기 제1노브부재의 외관을 형성하는 링 형상부, 및 상기 링 형상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2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중량부재는, 상기 중량부재의 외주면이 상기 링 형상부의 내주면과 마주보게 상기 링 형상부에 삽입되고,
    상기 중량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제2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제2가이드홈이 구심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조리기기.
KR1020210146550A 2021-10-29 2021-10-29 조리기기 KR202300618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550A KR20230061867A (ko) 2021-10-29 2021-10-29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6550A KR20230061867A (ko) 2021-10-29 2021-10-29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1867A true KR20230061867A (ko) 2023-05-09

Family

ID=86409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6550A KR20230061867A (ko) 2021-10-29 2021-10-29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186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1702B2 (en) Cooking apparatus
EP3421888A1 (en) Cooking appliance
KR20190011144A (ko) 노브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KR101912932B1 (ko) 디스플레이기를 구비하는 노브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US8327837B2 (en) Cooking range with rotable rack
US11732902B2 (en) Cooking appliance and combustion control method of a cooking appliance
KR101617539B1 (ko) 조리기기
CN102203510A (zh) 混合烧烤系统—电烧烤元件
MX2014002046A (es) Sistema de montaje para quemador de superficie de coccion.
KR101702660B1 (ko) 조리기기
US20110132350A1 (en) Oven range
KR20230061867A (ko) 조리기기
KR20190011992A (ko) 노브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KR102470386B1 (ko) 노브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US20200033010A1 (en) Pump assembly and cooking appliance with pump assembly
EP3702671B1 (en) Cooking apparatus
KR101192351B1 (ko) 조리기기
US20230366562A1 (en) Oven appliance including a high temperature cooking zone
KR101674293B1 (ko) 조리기기
KR100247614B1 (ko) 가열 조리기의 양면 그릴
KR102364182B1 (ko) 밸브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가전기기
US20230363565A1 (en) High temperature cooking accessory for an oven appliance
KR20110045939A (ko) 조리기기
KR20220123973A (ko) 조리기기
KR101623853B1 (ko) 조리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