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3973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3973A
KR20220123973A KR1020210027603A KR20210027603A KR20220123973A KR 20220123973 A KR20220123973 A KR 20220123973A KR 1020210027603 A KR1020210027603 A KR 1020210027603A KR 20210027603 A KR20210027603 A KR 20210027603A KR 20220123973 A KR20220123973 A KR 202201239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e portion
base plate
bracket
suppor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76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3973A/ko
Publication of KR20220123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39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24C15/086Adjustable legs or pill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47B91/022Adjustable feet using screw means
    • A47B91/024Foot attached to a rotating bolt supported in an internal 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24C15/083Anti-tip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08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본체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부재 간의 결합 지점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쿡탑부와 오븐부를 함께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그리들 등이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조리실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상기 밀폐형 조리기기는, 열원(熱源)의 종류에 따라 가스 오븐과 전기 오븐으로 대별된다. 가스 오븐은,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게 되며, 다수의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여 점화시킴으로써 공급되는 가스가 타면서 발생되는 불꽃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는 방식을 취하게 된다. 전기 오븐은, 가스 오븐과 달리 전기를 열원으로 하며, 다수의 히터가 작동되면서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는 방식을 취하게 된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어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와 도어 사이에 마련되는 도어 힌지에 의해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어 힌지를 통해 본체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조리실의 내부 공간에는 열원이 제공되어 조리실을 가열한다. 이러한 열원으로는 가스버너 또는 전기히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체의 하부에는, 베이스 플레이트가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는 본체의 저면을 형성하며, 베이스 플레이트에는 레그(Leg)가 설치될 수 잇다. 레그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나사 결합되어 본체를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베이스 플레이트에 레그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레그가 홀에 삽입됨으로써, 레그가 오븐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레그의 삽입 길이 조절에 의해, 조리기기의 높낮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조리기기의 높낮이 조절 구조에 따르면, 조리기기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조리기기가 설치되는 바닥면과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로 노출되는 레그의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로 노출되는 레그의 길이가 길어지게 되면, 제품 이동시 측방으로 가해지는 힘의 작용점, 즉 레그의 하단부와 베이스 플레이트와 레그의 결합 지점 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이 경우, 제품 이동시 측방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한 모멘트의 크기가 커지게 되므로, 상기 모멘트의 작용으로 인한 베이스 플레이트와 레그의 결합 지점 또는 레그의 변형이 발생될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레그의 결합 지점 또는 레그의 변형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조리기기는, 본체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를 베이스 플레이트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체결부재 간의 결합 지점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의 조리기기는, 제품 이동시 측방으로 가해지는 힘의 작용점과 지지부재와 체결부재 간의 결합 지점 간의 거리를 감소시킴으로써, 제품 이동시 측방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한 모멘트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캐비티, 및 상기 캐비티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레그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그지지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1브라켓; 및 상기 지지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하부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브라켓에 설치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간의 결합 지점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결합면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면부; 및 상기 연장면부와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상기 체결부재와의 결합면을 제공하는 지지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면부는 가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면부는 상기 지지면부의 가로방향 양측으로부터 각각 상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결합면부는 상기 지지면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연장부의 상부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지지면부와 상기 연장부가"U" 형상으로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브라켓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면부와 상기 연장면부로 둘러싸인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지지면부와 결합되어 상기 체결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간의 결합이 상기 수용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수용공간의 전방과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암나사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면부와 결합되는 팝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팝너트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체결부재와 나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나사를 구비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체결부재와 나사 결합되는 볼트부; 및 상기 볼트부의 하부에서 상기 볼트부를 지지하는 레그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팝너트는 상기 지지면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지지면부에 결합되고, 상기 팝너트의 하단이 상기 지지면부의 하부로 개방되고, 상기 팝너트의 상단이 상기 지지면부의 상부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향해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1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제2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1브라켓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제1브라켓와 결합되는 가로면부와; 상기 가로면부의 측방향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세로면부; 및 상기 가로면부의 전후방향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세로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면부는 상기 가로면부와 상기 제1세로면부와 상기 제2세로면부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서 상기 가로면부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면부는, 상기 제1세로면부와 상기 제2세로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하며 상기 가로면부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브라켓 및 상기 지지부재를 전방 및 측방에서 덮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1세로면부와 상기 제2세로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며 상기 제1브라켓의 외측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팝너트 형태의 체결부재와 지지부재 간의 결합 지점이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제품 이동시 측방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한 모멘트의 크기가 감소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와 지지부재의 결합 지점 또는 지지부재의 변형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Ⅴ"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레그지지부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Ⅶ-Ⅶ"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커버부재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조리기기가 바닥(floor)에 놓인 상태에서, 조리기기의 중심을 기준으로 도어가 설치된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도어를 열고 조리기기 내부로 진입하는 방향은 후방이 된다. 편의상 이렇게 전방과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제1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방은 제1방향의 일방, 후방은 제1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중력 방향을 하방,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조리기기의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 즉 조리기기의 도어 앞에서 조리기기를 바라볼 때 조리기기의 폭방향을 좌우방향이라 할 수 있다. 편의상 좌우방향을 제2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우측은 제2방향의 일방, 좌측은 제2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의 폭방향을 측방향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러면 우측은 측방향의 일측, 좌측은 측방향의 타측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상하방향을 제3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상방은 제3방향의 일방, 하방은 제3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상하방향을 세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즉 제1방향과 제2방향을 포함하여 가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쿡탑부(20)와 오븐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기기(1)는 본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본체(10)의 골격을 형성하는 캐비티(11), 및 캐비티(11)의 전방에 배치되어 본체(10)의 전면을 형성하는 프런트 패널(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캐비티(11)의 내부에는 조리실(31)이 형성되며, 프런트 패널(13)의 내부에는 조리실(31)을 전방으로 개방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의 상부에는, 쿡탑부(20)가 배치될 수 있다. 쿡탑부(20)는, 개방된 공간 즉,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쿡탑부(20)에는, 쿡탑부(20)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면서 본체(10)의 상단을 폐쇄하는 탑플레이트(21)가 제공될 수 있다.
쿡탑부(20)에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쿡탑가열부(22)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쿡탑가열부(22)는, 가스연료를 이용하는 가열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쿡탑가열부는 전기를 이용하는 히터나 유도가열부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처럼, 이용되는 열원의 종류에 따라 쿡탑가열부(22)의 구조는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쿡탑부(20)의 하부에는, 오븐부(30)가 배치될 수 있다. 오븐부(30)의 내부공간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31)이 마련될 수 있다.
캐비티(11)는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조리실(31)은 이러한 캐비티(11)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조리실(31)은, 캐비티(11) 내부에 배치된 대략 육면체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으로 개방된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조리실(31)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실(31) 내부가 가열되면서 음식물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오븐부(30)에서는, 조리실(31)이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다.
조리기기에는, 조리실(31)을 가열하는 가열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부는, 가스연료를 이용하는 가열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쿡탑가열부는 전기를 이용하는 히터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처럼, 이용되는 열원의 종류에 따라 가열부의 구조는 변경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열부가 가스연료를 이용하는 가열장치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조리실(31)의 상측에는 상기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상측에서 가열하는 브로일 버너(35)가 제공될 수 있고, 조리실(31)의 하측에도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가열하는 베이커 버너 형태의 버너가 더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조리실(31)의 후측에는, 뜨거운 공기를 대류시켜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가열하는 컨벡션부(37)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컨벡션부(37)는, 조리실(31) 내부공간의 공기를 강제로 유동시킨다. 즉 컨벡션부(37)는, 조리실(31) 내부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가열한 후,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시키면서 공기를 유동시킴으로써,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이 가열되도록 하고, 이로써 조리실(31)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음식물이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한다.
오븐부(30)에는, 조리실(3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32)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서, 도어(32)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하는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조리실(31)을 개폐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32)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32)의 전방에는, 손잡이(33)가 배치될 수 있다. 손잡이(33)는, 사용자가 도어(32)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 파지할 수 있게 마련된다. 사용자는, 손잡이(33)를 이용하여 도어(32)를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조리기기의 전면 상부, 즉 캐비티(11)의 상부 전면에는 컨트롤패널(50)이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50)은, 조리기기 전면 외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패널(50)에는,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노브(51) 및 조리기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52)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패널(50)은 도어(32)의 상부 및 쿡탑부(20)의 전방에 배치되는 컨트롤패널 커버(50a)에 입력부(51) 및 디스플레이(52)가 설치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입력부(52)에는 다수의 조작스위치가 마련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조작스위치는 회전 조작 가능한 노브(Knob)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고, 누름 조작이나 터치 조작 가능한 버튼 또는 패널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컨트롤패널(50)에는, 조리기기의 동작 정보 또는 음식물의 요리 정보 등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52)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52)를 통해 조리기기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디스플레이(52)가 터치 조작 가능한 터치 패널 형태로 마련되고, 이로써 하나의 터치 패널에 입력부(51)와 디스플레이(52)가 함께 구성될 수도 있다.
[조리기기의 지지 구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베이스 플레이트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Ⅴ"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레그지지부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Ⅶ-Ⅶ"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커버부재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캐비티(11)의 하부에는 베이스 플레이트(40)가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40)는, 캐비티(11)의 하부에서 프런트 패널(13)과 리어 커버(15) 및 사이드 패널(1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40)는, 캐비티(11)의 하부에서 본체(10)의 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 플레이트(40)는, 실질적으로 조리기기(1)의 저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지지부재(60) 및 레그지지부(70,80,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60)는, 본체(10)의 하부에 배치되어 본체(10)를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레그지지부(70,80,90)는, 지지부재(60)를 베이스 플레이트(4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0)가 사각 형상의 밑면을 갖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본체(10)에 마련되는 베이스 플레이트(40)는, 전체적으로 본체(10)의 밑면 형상에 대응하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베이스 플레이트(40)는, 4개의 꼭지점을 갖는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60)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40)가 마련된 본체(10)의 하부에 배치되되, 베이스 플레이트(40)의 각 꼭지점 부분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0)의 하부에 총 4개의 지지부재(60)가 마련되어 베이스 플레이트(40)의 각 꼭지점 부분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지지부재(60)는, 볼트부(61)와 레그부(63)를 포함할 수 있다.
볼트부(6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볼트부(61)의 외주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나사가 구비될 수 있다. 볼트부(61)는, 레그지지부(70,80,90)와 결합되되,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볼트부(61)가 후술할 체결부재(80)와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레그부(63)는, 볼트부(61)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레그부(63)는, 볼트부(61)의 하부에서 볼트부(61)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레그부(63)는 볼트부(61)보다 직경이 큰 납작한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레그부(63)는, 볼트부(61)의 하부에 결합되어 볼트부(61)를 하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60)가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40)의 각 꼭지점 부분에는, 제1홀(42)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홀(42)은, 베이스 플레이트(40)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60), 좀 더 구체적으로 볼트부(61)는, 제1홀(42)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40)를 통과하여 베이스 플레이트(40)의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60)를 지지하기 위해 마련되는 레그지지부(70,80,90)는, 제1브라켓(70) 및 체결부재(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브라켓(70)은, 베이스 플레이트(40)의 하부에 배치되어 베이스 플레이트(40)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브라켓(70)은, 결합면부(71,72)와 연장면부(73,74) 및 지지면부(75)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면부(71,72)는, 제1브라켓(70)의 상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결합면부(71,72)는, 후술할 연장면부(73,74)의 상측 단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베이스 플레이트(40)와 나란한 평면, 예컨대 가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면부(71,72)는, 베이스 플레이트(40)의 하부에서 베이스 플레이트(40)와 결합되며 제1브라켓(70)을 베이스 플레이트(4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연장면부(73,74)는, 결합면부(71,72)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결합면부(71,72)가 좌우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연장면부(73,74)는 각각의 결합면부(71,72)로부터 각각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연장면부(73,74)가 좌우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지지면부(75)는, 연장면부(73,74)와 연결되어 베이스 플레이트(40)의 하부에서 체결부재(80)와의 결합면을 제공할 수 있다.
지지면부(75)는 가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연장면부(73,74)는, 지지면부(75)의 가로방향 양측, 즉 지지면부(75)의 좌우방향 양측으로부터 각각 상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결합면부(71,72)와 지지면부(75) 사이는, 연장면부(73,74)의 상하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만큼 이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브라켓(70)은 지지면부(75)와 연장면부(73,74)가 "U" 형상으로 연결된 형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결합면부(71,72)는, 지지면부(75)와 베이스 플레이트(40)가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연장면부(73,74)의 상부에서 베이스 플레이트(4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70)의 내부에는, 지지면부(75)와 연장면부(73,74)로 둘러싸인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용공간 내부에는, 체결부재(80)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될 수 있다.
체결부재(8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40)로부터 하부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제1브라켓(7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재(80)에는, 지지부재(6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부재(80)가 팝너트(Pop nut)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팝너트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팝너트의 내주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암나사가 구비될 수 있다. 팝너트는, 지지면부(75)와 결합되며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팝너트는, 지지면부(75)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지지면부(75)에 결합될 수 있다. 지지면부(75)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팝너트의 하단은, 지지면부(75)의 하부로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팝너트의 상단은, 지지면부(75)의 상부에서 베이스 플레이트(40)를 향해 상부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팝너트에는, 지지부재(60)가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재(60), 좀 더 구체적으로 볼트부(61)는, 팝너트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체결부재(8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부재(80)와 지지부재(60) 간의 결합은, 수용공간 내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체결부재(80)와 지지부재(60) 간의 결합은, 베이스 플레이트(40)의 상부가 아닌, 베이스 플레이트(40) 하부의 수용공간 내부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브라켓(70)은, 수용공간의 전방과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용공간의 전방 및 후방에 개방되는 형태로 제1브라켓(70)이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1브라켓(70)의 개방된 전방 및 후방, 특히 제1브라켓(70)의 개방된 전방을 통해, 조리기기(1) 외부로부터 제1브라켓(70) 내부의 수용공간으로의 접근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브라켓(70)의 개방된 전방을 통해, 체결부재(80)와 지지부재(60)의 체결과 관련된 작업, 체결부재(80)와 지지부재(60)의 유지보수와 관련된 작업 등을 위한 통로가 제1브라켓(70)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레그지지부(70,80,90)는 제2브라켓(90) 및 커버부재(9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97)는, 제1브라켓(70) 및 지지부재(60)를 전방 및 측방에서 덮을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브라켓(90)은, 베이스 플레이트(40)와 제1브라켓(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브라켓(90)은, 제1브라켓(70)과 베이스 플레이트(40) 간의 결합, 그리고 커버부재(97)의 고정에 관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브라켓(90)은 가로면부(91)와 제1세로면부(93) 및 제2세로면부(95)를 포함할 수 있다.
가로면부(91)는, 베이스 플레이트(40)와 제1브라켓(7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로면부(91)는 베이스 플레이트(40)와 나란한 평면, 예컨대 가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가로면부(91)는, 베이스 플레이트(40)와 제1브라켓(70) 사이에서 베이스 플레이트(40) 및 제1브라켓(7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로면부(91)에는, 제2홀(92)이 마련될 수 있다. 제2홀(92)은, 가로면부(91)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재(60), 좀 더 구체적으로 볼트부(61)는, 제2홀(92)을 통해 가로면부(91)를 통과하여 베이스 플레이트(40) 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세로면부(93)는, 가로면부(91)의 측방향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제1세로면부(93)가 좌우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각각의 제1세로면부(93)는 가로면부(91)로부터 각각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제1세로면부(93)가 좌우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2세로면부(95)는, 가로면부(91)의 전후방향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제2세로면부(95)가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각각의 제2세로면부(95)는 가로면부(91)로부터 각각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제2세로면부(95)가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1브라켓(70)은, 베이스 플레이트(40)와 결합되는 제2브라켓(90)과 결합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4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1브라켓(70)의 결합면부(71,72)는, 가로면부(91)와 제1세로면부(93)와 제2세로면부(95)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서 가로면부(91)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면부(71,72)는, 제1세로면부(93)와 제2세로면부(9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하며 가로면부(91)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결합면부(71,72)와 가로면부(91) 간의 결합 과정에서 결합면부(71,72)의 측면과 제1세로면부(93) 간의 간섭, 또는 결합면부(71,72)의 전면 또는 배면과 제2세로면부(95) 간의 간섭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처럼 이루어지는 간섭에 의해 제2브라켓(90)을 상대로 한 제1브라켓(70)의 설치 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즉 제1브라켓(70)의 결합면부(71,72)가 제2브라켓(90)의 내측에 끼워지는 형태로 제2브라켓(90)을 상대로 한 제1브라켓(70)의 설치 위치 안내가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브라켓(70)의 설치 작업이 좀 더 쉽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커버부재(97)는, 제2브라켓(90)과 결합되어 레그지지부(70,80,90)의 외측에 고정될 수 있다. 커버부재(97)는, 제1브라켓(70) 및 지지부재(60)를 전방 및 측방에서 덮음으로써, 이들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한편, 조리기기(1)의 하부 외관을 좀 더 미려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부재(97)가 제1커버부재(97a)와 제2커버부재(97b)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제1커버부재(97a)는 제2브라켓(90)과 결합되며 레그지지부(70,80,90)의 외측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커버부재(97b)는, 제1커버부재(97a)의 외측에서 제1커버부재(97a)를 덮으며 제1커버부재(97a)의 외측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커버부재(97a)는 전면 및 양측면이 "ㄷ" 형상으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2커버부재(97b)도 제1커버부재(97a)와 유사한 형상, 즉 전면 및 양측면이 "ㄷ" 형상으로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커버부재(97)는, 제1세로면부(93)와 제2세로면부(9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며 제1브라켓(70)의 외측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커버부재(97a)가 제1브라켓(70)과 직접 T고,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예컨대, 제1커버부재(97a)는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제1세로면부(93) 및 제2세로면부(9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1커버부재(97a)의 전면과 제2세로면부(95)가 스크류에 의해 체결되는 형태로 제1커버부재(97a)와 제1브라켓(7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커버부재(97b)는, 이와 같이 제1브라켓(70)과 결합된 제1커버부재(97a)의 외측에서 제1커버부재(97a)를 덮으며 제1커버부재(97a)의 외측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커버부재(97b)는,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부재와 제1커버부재(97a) 간의 결합 부위를 덮지 않고 노출시킬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체결부재와 커버부재(97) 간의 결합 부위의 두께를 불필요하게 증가시키지 않으면서도, 커버부재(97)의 전체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커버부재(97)의 체결 작업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면서도, 커버부재(97)의 강성은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베이스 플레이트(40)의 상부에는 제3브라켓(45)이 마련될 수 있다. 제3브라켓(45)은, 베이스 플레이트(40)의 상부에 배치되되, 지지부재(60)가 배치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3브라켓(45)은, 지지부재(60)가 배치되는 영역의 상부에서 베이스 플레이트(40)에 결합됨으로써, 지지부재(60) 주변부에서의 베이스 플레이트(40)의 강성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지지부재 지지 구조의 작용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40)의 하부에 제1브라켓(70)이 설치되고, 이 제1브라켓(70)에 체결부재(80)가 고정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체결부재(80)의 배치 위치가 베이스 플레이트(40)의 하부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결부재(80)의 배치 위치가 베이스 플레이트(40)의 하부로 설정됨으로써, 체결부재(80)와 지지부재(60) 간의 결합 지점이 베이스 플레이트(4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체결부재(80)와 지지부재(60) 간의 결합 지점이 베이스 플레이트(40)의 하부에 배치되면, 그만큼 체결부재(80)와 지지부재(60) 간의 결합 지점과 레그부(63) 간의 거리가 가까워질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체결부재(80)와 지지부재(60) 간의 결합 지점과 레그부(63)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되면, 제품 이동시 측방으로 가해지는 힘의 작용점, 즉 레그부(63)의 하단부와 체결부재(80)와 지지부재(60) 간의 결합 지점 간의 거리가 가까워지게 된다.
이 경우, 제품 이동시 측방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한 모멘트의 크기가 작아지게 되므로, 상기 모멘트의 작용으로 인한 베이스 플레이트(40)와 지지부재(60)의 결합 지점 또는 레그부(63)에서의 변형 발생 위험성이 낮아질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레그지지부(70,80,90)는, 제품 이동시 지지부재(60)에 측방향의 힘이 가해짐으로 인한 지지부재(60)의 변형 또는 파손 발생 위험성을 현저히 낮추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조리기기
10 : 본체
11 : 캐비티
13 : 프런트 패널
15 : 리어 커버
17 : 사이드 패널
20 : 쿡탑부
21 : 탑플레이트
22 : 쿡탑가열부
30: 오븐부
31 : 조리실
32 : 도어
33 : 핸들
35 : 브로일 버너
37 : 컨벡션부
40 : 베이스 플레이트
42 : 홀
45 :
50 : 컨트롤패널
51 : 입력부
52 : 디스플레이
60 : 지지부재
61 : 볼트부
63 : 레그부
70 : 제1브라켓
71,72 : 결합면부
73,74 : 연장면부
75 : 지지면부
80 : 체결부재
90 : 제2브라켓
91 : 가로면부
92 : 홀
93 : 제1세로면부
95 : 제2세로면부
97 : 커버부재

Claims (12)

  1.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캐비티, 및 상기 캐비티의 하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를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레그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그지지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제1브라켓; 및
    상기 지지부재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로부터 하부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1브라켓에 설치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간의 결합 지점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결합면부;
    상기 결합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면부; 및
    상기 연장면부와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상기 체결부재와의 결합면을 제공하는 지지면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부는, 가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면부는, 상기 지지면부의 가로방향 양측으로부터 각각 상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결합면부는, 상기 지지면부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가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상기 연장부의 상부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결합되는 조리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지지면부와 상기 연장부가"U" 형상으로 연결된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면부와 상기 연장면부로 둘러싸인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재가 상기 지지면부와 결합되어 상기 체결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체결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간의 결합이 상기 수용공간에서 이루어지는 조리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은, 상기 수용공간의 전방과 후방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개방되게 형성되는 조리기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암나사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면부와 결합되는 팝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팝너트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체결부재와 나사 결합되는 조리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나사를 구비하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체결부재와 나사 결합되는 볼트부; 및
    상기 볼트부의 하부에서 상기 볼트부를 지지하는 레그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팝너트는, 상기 지지면부를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지지면부에 결합되고,
    상기 팝너트의 하단이 상기 지지면부의 하부로 개방되고,
    상기 팝너트의 상단이 상기 지지면부의 상부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를 향해 돌출되는 조리기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1브라켓 사이에 배치되는 제2브라켓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제1브라켓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제1브라켓와 결합되는 가로면부;
    상기 가로면부의 측방향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세로면부; 및
    상기 가로면부의 전후방향 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세로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면부는, 상기 가로면부와 상기 제1세로면부와 상기 제2세로면부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서 상기 가로면부와 결합되는 조리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면부는, 상기 제1세로면부와 상기 제2세로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하며 상기 가로면부와 결합되는 조리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 및 상기 지지부재를 전방 및 측방에서 덮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제1세로면부와 상기 제2세로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되며 상기 제1브라켓의 외측에 고정되는 조리기기.
KR1020210027603A 2021-03-02 2021-03-02 조리기기 KR202201239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603A KR20220123973A (ko) 2021-03-02 2021-03-02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603A KR20220123973A (ko) 2021-03-02 2021-03-02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3973A true KR20220123973A (ko) 2022-09-13

Family

ID=83286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603A KR20220123973A (ko) 2021-03-02 2021-03-02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397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1390B2 (en) Cooking appliance
KR101531060B1 (ko) 공기 순환 수단을 포함한 오븐 레인지
AU2009282897B2 (en) Hybrid broil system-electric broil element
KR102428720B1 (ko) 가열기기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EP3421893B1 (en) Cooking appliance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cooking appliance
EP2312219B1 (en) Oven range
US10302309B2 (en) Oven appliance having a broiler assembly
KR101864491B1 (ko) 버너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20220123973A (ko) 조리기기
EP2993407A1 (en) Household cooking appliance
KR20100122025A (ko) 조리기기
KR20110063928A (ko) 조리기기
KR100646881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하부히터 차폐구조
KR100731370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버너스프링 구조
KR100707426B1 (ko) 용기 가열용 히터가 구비된 전기오븐
KR20110045939A (ko) 조리기기
US20230105606A1 (en) Oven appliance having a modular trim assembly for a hidden heating assembly
KR101617886B1 (ko) 조리기기
KR20230061867A (ko) 조리기기
WO1999031440A1 (en) Cooking hob arrangement
KR101815777B1 (ko) 쿡탑 고정 구조물과,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03611A (ko) 점화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101690329B1 (ko) 조리기기
KR20220134078A (ko) 조리기기
KR100584294B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가스공급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