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3611A - 점화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점화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3611A
KR20240003611A KR1020220081401A KR20220081401A KR20240003611A KR 20240003611 A KR20240003611 A KR 20240003611A KR 1020220081401 A KR1020220081401 A KR 1020220081401A KR 20220081401 A KR20220081401 A KR 20220081401A KR 20240003611 A KR20240003611 A KR 20240003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ignition
spark plug
burn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1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의철
이종호
임홍섭
서기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1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3611A/ko
Publication of KR20240003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36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0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 F24C3/103Arrangement or mounting of ignition devices of electric ignition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QIGNITION; EXTINGUISHING-DEVICES
    • F23Q3/00Igniters using electrically-produced sparks
    • F23Q3/006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08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2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solely by flame
    • F24C3/027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점화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전원공급부의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 중 상대적으로 높은 점화 에너지를 점화플러그에 공급하는 단자의 구분을 위한 표식을 제공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점화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IGNITION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THEREWITH}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버너를 점화하기 위한 점화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그리들 등이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조리실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상기 밀폐형 조리기기는, 열원(熱源)의 종류에 따라 가스 오븐과 전기 오븐으로 대별된다.
가스 오븐은,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게 되며, 다수의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여 점화시킴으로써 공급되는 가스가 타면서 발생되는 불꽃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는 방식을 취하게 된다.
전기 오븐은, 가스 오븐과 달리 전기를 열원으로 하며, 다수의 히터가 작동되면서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는 방식을 취하게 된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어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와 도어 사이에 마련되는 도어 힌지에 의해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어 힌지를 통해 본체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조리실의 내부 공간에는 열원이 제공되어 조리실을 가열한다. 이러한 열원으로는 가스버너 또는 전기히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래에는 밀폐형 조리기기와 개방형 조리기기가 동시에 설치되어 다수의 열원이 조합되면서 다양한 음식물의 요리 및 다수의 음식물을 동시에 요리할 수 있는 복합조리기기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다수의 열원이 설치되는 조리기기에는, 다수의 열원 및 전장 부품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공기의 유로가 동반된다.
복합조리기기에서는, 밀폐형 조리기기의 상측에 개방형 조리기기가 위치된다. 또한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복수 개의 히터 또는 버너가 설치되어 동시에 다수의 요리가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사용자가 바베큐요리나 빵 등과 같은 오븐요리, 생선구이와 같이 구이요리를 할 때에는 밀폐형 조리기기를 이용하여 조리를 하게 되고, 음식물을 용기에 담아서 가열하는 일반요리를 할 때는 상부에 노출되어 있는 개방형 조리기기를 이용하여 요리를 하게 된다.
개방형 조리기기 중 대표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것은, 가스레인지 형태의 개방형 조리기기로서, 버너에 의해 가스가 연소될 때 발생되는 화염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기이다.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점화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점화장치는, 버너를 점화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서, 점화에 필요한 스파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점화장치는 점화모듈 및 점화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점화모듈은, 버너의 점화에 필요한 전원을 점화플러그에 공급할 수 있다. 그리고 점화플러그는, 버너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점화모듈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점화에 필요한 스파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복수개의 버너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버너에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의 점화플러그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점화모듈은 이와 같이 구비되는 복수개의 점화플러그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게 마련된다.
점화모듈은, 복수개의 점화플러그에 각각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점화모듈은, 복수개의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점화플러그는, 각각의 포트를 통해 점화모듈과 연결되어 점화모듈로부터 각각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각 버너의 점화를 위해서는, 점화를 위해 필요한 최소 점화 에너지 이상의 점화 에너지가 점화플러그에 의해 공급되어야 한다. 만약 최소 점화 에너지 이상의 점화 에너지가 점화플러그에 의해 공급되지 못하면, 버너의 점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버너마다 필요한 최소 점화 에너지가 다를 수 있다. 즉 버너의 상태, 점화플러그의 설치 상태, 버너 별 가스 공급 상태 등에 따라 버너의 점화에 필요한 점화 에너지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점화에 높은 점화 에너지가 필요한 버너 또는 점화 불량이 발생되는 버너(이하, " 최소 점화 에너지가 높은 버너"라 한다)를 점화하기 위한 점화플러그는, 다른 버너를 점화하는 점화플러그보다 더 높은 점화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따라, 최소 점화 에너지가 높은 버너를 점화하기 위한 점화플러그가 다른 점화플러그보다 높은 점화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점화모듈의 설계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최소 점화 에너지가 높은 버너를 점화하기 위한 점화플러그가 다른 점화플러그보다 높은 점화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점화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버너의 점화 지연 또는 미점화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점화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점화플러그와 포트 간의 접속을 위한 작업의 효율성 및 조리기기의 점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점화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점화장치는, 전원공급부의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 중 상대적으로 높은 점화 에너지를 점화플러그에 공급하는 단자의 구분을 위한 표식을 제공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조리기기의 점화 성능을 높이기 위한 점화플러그와 점화모듈 간의 접속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전원공급부의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 중 상대적으로 높은 점화 에너지를 점화플러그에 공급하는 어느 하나와 연결되는 제1포트와, 전원공급부의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 중 상대적으로 낮은 점화 에너지를 점화플러그에 공급하는 다른 하나와 연결되는 제2포트, 및 제1포트와 제2포트의 구분을 위한 표식을 제공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최소 점화 에너지가 높은 버너를 점화하기 위한 점화플러그가 이 점화플러그에 높은 점화 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포트를 통해 점화모듈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버너의 점화 지연 또는 미점화 발생 가능성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점화장치는: 버너의 연소에 필요한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점화플러그;
상기 점화플러그에 전원을 공급하는 점화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점화모듈은,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를 갖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의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 중 상대적으로 높은 점화 에너지를 상기 점화플러그에 공급하는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점화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마련되는 제1포트와; 상기 전원공급부의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 중 상대적으로 낮은 점화 에너지를 상기 점화플러그에 공급하는 다른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점화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마련되는 제2포트; 및 상기 제1포트와 상기 제2포트의 구분을 위한 표식을 제공하는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화모듈은, 전원공급부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포트 및 상기 제2포트는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제1포트 및 상기 제2포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포트를 상기 제2포트의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표시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포트 및 상기 제2포트는, 상기 케이스에서 돌출되거나 상기 케이스에서 함몰되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2포트의 구조물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1포트의 구조물과 상기 제1포트의 구조물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2포트의 구조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2포트의 구조물보다 상기 케이스에서 더 돌출되거나 더 함몰된 상기 제1포트의 구조물과 상기 제1포트의 구조물보다 상기 케이스에서 더 돌출되거나 더 함몰된 상기 제2포트의 구조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제1식별기호와 제2식별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식별기호는, 상기 제1포트에 형성되거나, 상기 제1포트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식별기호는, 상기 제2포트에 형성되거나, 상기 제2포트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포트 및 상기 제2포트에는, 상기 제1포트 또는 상기 제2포트의 내부를 외부로 개방하는 연결홀이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화플러그와 상기 점화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은, 상기 연결홀을 통해 상기 제1포트 또는 상기 제2포트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점화모듈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2포트에서 상기 연결홀이 노출되지 않게 상기 제2포트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포트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양극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제2포트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음극 단자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스파크에 의해 점화된 연료를 연소시키며 불꽃을 발생시키는 버너; 및 상기 버너의 연소에 필요한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점화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조리기기에 복수개의 상기 버너가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버너에 상기 점화플러그가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점화플러그가 상기 제1포트 또는 상기 제2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점화플러그와 연결 가능한 상기 제1포트의 개수와 상기 점화플러그와 연결 가능한 상기 제2포트의 개수의 합이 상기 버너의 개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화플러그와 연결 가능한 상기 제1포트의 개수가 상기 점화플러그와 연결 가능한 상기 제2포트의 개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개의 상기 버너 중 상기 제2포트를 통해 공급되는 점화 에너지보다 높은 점화 에너지가 점화에 필요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제1포트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점화장치는, 최소 점화 에너지가 높은 버너에 설치된 점화플러그가 버너에 높은 점화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포트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함으로써, 해당 점화플러그가 최소 점화 에너지 이상의 점화 에너지를 버너에 공급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점화장치는, 버너의 점화 지연 또는 미점화 발생 가능성을 현저히 감소시킴으로써, 조리기기의 점화 성능을 매우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버너의 점화 지연 또는 미점화 발생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최소 점화 에너지가 높은 버너에 설치된 점화플러그와의 접속 대상이 되는 포트가 명확하게 표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점화플러그와 포트 간의 접속을 위한 작업의 효율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점화플러그와 포트 간의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마련된 본 발명의 점화장치는, 점화플러그와 점화모듈 간의 연결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버너의 점화 지연 또는 미점화 발생 가능성을 낮추며 조리기기의 점화 성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쿡탑부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버너와 점화장치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화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점화장치의 제1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점화장치의 제2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점화장치의 제3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점화장치의 제4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점화장치의 제5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조리기기가 바닥(floor)에 놓인 상태에서, 조리기기의 중심을 기준으로 도어가 설치된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도어를 열고 조리기기 내부로 진입하는 방향은 후방이 된다. 편의상 이렇게 전방과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제1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방은 제1방향의 일방, 후방은 제1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중력 방향을 하방,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조리기기의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 즉 조리기기의 도어 앞에서 조리기기를 바라볼 때 조리기기의 폭방향을 좌우방향이라 할 수 있다. 편의상 좌우방향을 제2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우측은 제2방향의 일방, 좌측은 제2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의 폭방향을 측방향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러면 우측은 측방향의 일측, 좌측은 측방향의 타측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상하방향을 제3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상방은 제3방향의 일방, 하방은 제3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상하방향을 세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즉 제1방향과 제2방향을 포함하여 가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브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전기기는, 본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는, 그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전기기가 조리기기인 것으로 예시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가전기기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리기기, 그 중에서도 밀폐형 조리기기와 개방형 조리기기가 동시에 설치된 복합조리기기 형태의 조리기기인 것으로 예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본 발명의 가전기기는 복합조리기기가 아닌 가스레인지, 쿡탑, 전자레인지, 오븐 등과 같은 조리기기일 수도 있고, 그 외에도 식기세척기나 세탁기 등과 같이 조리기기가 아닌 다른 기기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전기기가 조리기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10)의 상측에는, 쿡탑부(20)가 배치될 수 있다. 쿡탑부(20)는, 개방된 공간, 즉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쿡탑부(20)에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플레이트(21)가 제공될 수 있다. 탑플레이트(21)의 상측에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놓일 수 있다. 그리고 탑플레이트(21)의 하측에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쿡탑가열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쿡탑가열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버너(22)가 마련될 수 있다. 버너(22)는, 가스를 연소시켜 발생되는 화염으로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 또는 음식물을 직접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그리고 쿡탑부(20)의 하측에는, 오븐부(30)가 배치될 수 있다. 오븐부(30)의 내부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이 형성될 수 있다.
오븐부(30)는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조리실은 이러한 오븐부(30)의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조리실은, 그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리실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실의 내부공간에 대한 가열이 이루어지면,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오븐부(30)에서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은 조리실이다.
조리실의 상측에는, 조리실의 내부공간을 상측에서 가열하는 브로일 버너와 같은 상부버너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조리실의 하측에도, 조리실의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가열하는 베이킹버너 등과 같은 하부버너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조리실의 후측에는, 뜨거운 공기를 대류시켜 조리실의 내부공간을 가열하는 컨벡션부가 더 제공될 수도 있다.
오븐부(30)에는,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32)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어(32)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하는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조리실을 개폐할 수 있다.
오븐부(30)의 하부에는, 드로워부(40)가 배치될 수 있다. 드로워부(40)는,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서 조리기기로 인입되거나, 조리기기로부터 인출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드로워부(40)는, 음식물이 담기는 용기 등을 소정의 온도로 보온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쿡탑부(20)의 전면 즉, 도어(32)의 상측에는 컨트롤패널(50)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패널(5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쿡탑부(20) 및 오븐부(30)를 동작시키는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가 제공될 수 있다.
입력부에는 복수 개의 조작장치(51)가 마련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패널(50)에는 조리기기의 동작 정보 또는 음식물의 요리 정보 등을 제공하는 표시부(5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표시부(55)를 통해 조리기기의 동작 상태 등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체(10)의 내부 공간 즉, 쿡탑부(20)와 오븐부(30) 사이의 공간에는 전장 부품들이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전장실이 형성될 수 있다. 전장실의 전면에는 컨트롤패널(50)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실질적으로 컨트롤패널(50)이 전장실의 전면을 차폐하는 구조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리기기가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는 가열부로서 오븐부, 쿡탑부, 및 드로워부를 포함하는 형태가 예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예로서, 조리기기는 오븐부, 쿡탑부 및 드로워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고, 이들 중 어느 일부만을 복수개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쿡탑부의 구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쿡탑부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버너와 점화장치의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에서는, 삼발이의 도시가 생략되었음을 밝혀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오븐부(30)의 상부에 배치되며, 탑플레이트(21) 및 버너(22)를 포함할 수 있다.
탑플레이트(21)는 캐비티(1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탑플레이트(21)는, 탑플레이트(21)와 캐비티(11)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캐비티(11)의 상부를 덮을 수 있다.
탑플레이트(21)와 캐비티(11) 사이의 공간에는, 버너(22)를 구성하기 위한 부품이나 전장부품들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공간에는 가스를 연소시키는 버너,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 버너로의 가스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버너(22)는 가스를 연소시켜 화염을 발생시키며, 쿡탑부(20)는 이 화염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다. 쿡탑부(20)에는 복수개의 버너(22)가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버너(22)는, 가스공급관을 통해 가스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버너(22)는, 버너(22) 주변에서 발생되는 스파크를 이용하여 가스를 연소시켜 화염을 발생시킬 수 있다.
버너(22)에는, 복수개의 염공(Burner port)가 마련될 수 있다. 염공은, 버너(22)에서 가스 또는 가스와 공기의 혼합 가스를 분출시키기 위해 마련되는 것이다. 이러한 염공은, 가스가 공급되는 버너(22)의 내부가 외부로 개방될 수 있도록, 버너(22)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버너(22)는 버너바디와 버너헤드 및 버너헤드캡을 포함할 수 있다.
버너바디는, 탑플레이트(21)와 캐비티(11) 사이에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버너바디에는, 가스가 공급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버너바디의 상부에는 유로를 통해 공급된 가스가 배출되는 버너헤드가 설치될 수 있다. 염공은, 이러한 버너헤드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버너헤드캡은, 버너헤드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탑플레이트(21)는, 버너바디의 상부에 설치되되, 외부에서 버너바디가 보이지 않게 설치될 수 있다. 탑플레이트(21)의 상부에는, 조리용기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삼발이(부호 생략)가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화장치(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점화장치(100)는, 버너(22)의 연소에 필요한 스파크를 발생시키기 위해 마련되며, 탑플레이트(21)와 캐비티(11) 사이의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버너(22)로의 가스 공급 및 버너(22)의 연소를 위한 스파크 발생은, 조작장치(51)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노브(Knob) 형태의 조작장치(51)를 회전 조작하면, 버너(22)로의 가스 공급을 조절하는 밸브가 개방되면서 버너(22)로 가스가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장치(51)를 끝까지 회전시키면, 점화장치(100)의 작동을 위한 신호가 발생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점화장치(100)가 버너(22)의 연소에 필요한 스파크를 발생시키기 위해 동작될 수 있다.
[점화장치의 구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화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화모듈의 제1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점화장치(100)는 점화플러그(110) 및 점화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점화플러그(110)는, 버너(22)의 연소에 필요한 스파크를 발생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점화플러그(110)는, 버너(22)에 설치되며, 염공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점화플러그(110)에서 발생된 스파크는, 염공을 통해 버너(22)에서 분출되는 가스 또는 가스와 공기의 혼합 가스와 반응하여 불꽃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각 버너(22)마다 적어도 하나의 점화플러그(110)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쿡탑부(20)에 5개의 버너(22)가 배치되는 경우, 쿡탑부(20)에는 이에 대응되는 개수인 5개의 점화플러그(110)가 배치될 수 있다.
점화모듈(150)은, 외부 전원을 승압하여 점화플러그(110)에 공급할 수 있다. 일례로서, 쿡탑부(20)에 구비되는 하나의 점화모듈(150)은, 이 쿡탑부(20)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점화플러그(110) 모두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하나의 쿡탑부(20)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점화플러그(110)가 모두 이 쿡탑부(20)에 구비되는 하나의 점화모듈(150)에 연결될 수 있다.
점화모듈(150)은, 케이스(151)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51)는, 점화모듈(15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151)는, 점화모듈(150)을 구성하는 부품들 중 일부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51)는, 점화모듈(150)을 구성하는 부품들 중 일부를 지지하는 구조물을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점화모듈(150)은, 전원공급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154)는, 직류 또는 교류 전원 형태의 외부 전원을 점화플러그(110)가 스파크를 발생시키기에 적합한 직류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54)는, 케이스(15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전원공급부(154)는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직류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전원공급부(154)는 컨버터(Converter) 및 변압기(Transforme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154)에서, 컨버터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며, 변압기는 컨버터에서 변환된 직류 전원의 전압을 점화플러그(110)가 스파크를 발생시키기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환할 수 있다.
아울러 점화모듈(150)은, 전원입력부(15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입력부(152)는, 외부 전원과 연결될 수 있게 마련된다. 전원공급부(154)는, 외부 전원과 연결된 전원입력부(152)를 통해 외부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54)가 교류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직류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게 마련되는 경우, 전원입력부(152)는 교류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전원입력부(152)는, 외부 전원과 연결된 단자(Terminal)와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되는 커넥터(Connector)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54)는 직류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점화플러그(110)가 스파크를 발생시키기에 적합한 직류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전원공급부(154)는 변압기(Transformer)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원공급부(154)와 연결되는 전원입력부(152)는 직류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전원입력부(152)를 통해 입력받은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원공급부(154)는, 양극(+극) 단자 및 음극(-극) 단자를 갖는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점화모듈(150)은, 복수개의 포트(153,1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포트(153,155)는, 전원공급부(154)와 점화플러그(1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각각의 포트(153,155)는, 전원공급부(154)의 양극 단자 또는 음극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포트(153,155)는, 케이스(151)에서 돌출되거나 함몰된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포트(153,155)는, 케이스(151)에서 돌출되거나 함몰된 구조물을 통해 케이스(151) 상에 포트(153,155)가 있음을 표시할 수 있으며, 각 점화플러그(110)와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점화플러그(110)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점화모듈(150)은 제1포트(153) 및 제2포트(1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포트(153)는, 점화모듈(150)에 마련되는 포트들(153,155) 중 하나로서,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 중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포트(153)는, 점화플러그(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2포트(155)는, 제1포트(153)와 마찬가지로 점화모듈(150)에 마련되는 포트들(153,155) 중 하나로서,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 중 다른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포트(153)는, 점화플러그(1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점화모듈(150)에 복수개의 제1포트(153)와 제2포트(155)가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각각의 제1포트(153) 및 제2포트(155)는, 점화플러그(110)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각 점화플러그(110)마다 하나의 제1포트(153) 또는 제2포트(155)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점화플러그(110)와 연결 가능한 제1포트(153)의 개수와 점화플러그(110)와 연결 가능한 제2포트(155)의 개수의 합이 버너(22)의 개수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점화모듈(150)은, 적어도 버너(22)의 개수 이상의 포트들(153,155)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버너(22)에 설치되는 모든 점화플러그(110)가 제1포트(153) 또는 제2포트(155)를 통해 점화모듈(150)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포트(153)는, 전원공급부(154)의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 중 상대적으로 높은 점화 에너지를 점화플러그(110)에 공급하는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포트(155)는, 전원공급부(154)의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 중 상대적으로 낮은 점화 에너지를 점화플러그(110)에 공급하는 다른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포트(153)가 전원공급부(154)의 양극 단자와 연결되고, 제2포트(155)가 전원공급부(154)의 음극 단자와 연결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일례로서, 제1포트(153) 및 제2포트(155)는 각각 케이스(151)에서 돌출되는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포트(153) 및 제2포트(155)에는, 각각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포트(153) 및 제2포트(155)에는, 중공 형태의 연결홀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연결홀은, 제1포트(153) 및 제2포트(155)에 각각 관통되게 형성되어 제1포트(153) 및 제2포트(155)의 내부를 외부로 개방할 수 있다.
상기 제1포트(153) 및 제2포트(155)의 내부에는, 양극 단자 또는 음극 단자가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단자들은, 연결홀을 통해 점화모듈(150)의 외부로 각각 노출될 수 있다.
각 점화플러그(110)와 연결된 각각의 케이블은, 연결홀을 통해 제1포트(153) 또는 제2포트(155) 내부로 삽입되어 그 내부에 배치된 양극 단자 또는 음극 단자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점화모듈(150)은, 표시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60)는, 제1포트(153)와 제2포트(155)의 구분을 위한 표식을 제공할 수 있다.
표시부(160)는, 케이스(151)와 제1포트(153) 및 제2포트(15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160)는 제1포트(153)와 제2포트(155)의 색상을 다르게 표시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서, 표시부(160)는 제1포트(153)를 제2포트(155)와 다른 색상으로 표시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포트(155)의 표면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표시된 제1포트(153)의 표면이 표시부(160)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표시부(160)는 제2포트(155)를 제1포트(153)와 다른 색상으로 표시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포트(153)의 표면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표시된 제1포트(153)의 표면이 표시부(160)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점화모듈(150)은, 도 2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58,159)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58,159)는, 점화모듈(150)을 쿡탑부(20)에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서, 고정부(158,159)는 점화모듈(150)을 쿡탑부(20)에 끼움 결합시키기 위한 후크부재와 점화모듈(150)을 쿡탑부(20)에 스크류로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158,159)는, 전원공급부(154)를 사이에 두고, 케이스(151)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158,159)를 갖는 점화모듈(150)은, 쿡탑부(20)에 고정된 상태에서 점화플러그(110)와 연결될 수 있다.
[점화모듈의 다른 예]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점화모듈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점화장치의 제2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점화장치의 제3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도 3에 도시된 점화장치의 제4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3에 도시된 점화장치의 제5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화장치의 다양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6를 참조하면, 점화장치(150a)는 서로 다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포트(113a) 및 제2포트(155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포트(113a) 및 제2포트(155a)는, 케이스(151)에서 돌출되거나 케이스(151)에서 함몰되는 구조물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포트(113a) 및 제2포트(155a)가 케이스(151)에서 돌출되는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표시부(160a)는, 제2포트(155a)의 구조물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 제1포트(153a)의 구조물과 제1포트(153a)의 구조물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 제2포트(155a)의 구조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부(160a)가 제2포트(155a)의 구조물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 제1포트(153a)의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일례로서, 제1포트(153a)는 대략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포트(155a)는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와 같이 사각 기둥으로 형성된 제1포트(153a)의 외관이 표시부(160a)가 될 수 있다.
작업자는, 이와 같이 형성된 표시부(160a)를 보고 어떤 것이 제1포트(153a)인지 쉽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이로써 작업자는, 제1포트(153a)와 연결시키고자 하는 점화플러그(110; 도 3 참조)를 제1포트(153a)와 쉽고 빠르고 정확하게 연결시킬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표시부(160a)가 제1포트(153a)의 구조물과 제1포트(153a)의 구조물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 제2포트(155a)의 구조물을 포함하는 경우,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제2포트(155a)의 외관이 표시부(160a)가 될 수도 있다.
도 7에는 점화모듈의 제3예가 개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예에 따른 점화모듈(150b)은, 케이스(151)에서 돌출되거나 케이스(151)에서 함몰되는 구조물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표시부(160b)는, 제2포트(155b)의 구조물보다 케이스(151)에서 더 돌출되거나 더 함몰된 제1포트(153b)의 구조물과 제1포트(153b)의 구조물보다 케이스(151)에서 더 돌출되거나 더 함몰된 제2포트(155b)의 구조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점화모듈(150b)에서는, 제1포트(153b)의 구조물과 제2포트(155b)의 구조물의 돌출 또는 함몰 정도가 서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부(160b)는, 이처럼 다른 형태로 돌출 또는 함몰된 제1포트(153b)의 구조물과 제2포트(155b)의 구조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포트(153b)와 제2포트(155b) 모두가 케이스(151)에서 돌출된 구조물을 포함하고, 표시부(160b)는 제2포트(155b)에 비해 케이스(151)에서 덜 돌출된 제1포트(153b)의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 경우, 작업자는 두 포트(153b,155b) 중 상대적으로 덜 돌출된 것이 제1포트(153b)임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표시부(160b)는 제1포트(153b)에 비해 케이스(151)에서 더 돌출된 제2포트(155b)의 구조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1포트(153b)와 제2포트(155b) 모두가 케이스(151)에서 함몰된 구조물을 포함하고, 표시부(160b)는 제2포트(155b)에 비해 케이스(151)에서 덜 함몰된 제1포트(153b)의 구조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포트(153b)와 제2포트(155b) 중 덜 함몰된 것이 제1포트(153b)로 파악될 수 있다.
만약 제1포트(153b)가 제2포트(155b)에 비해 케이스(151)에서 더 함몰된 구조물을 포함하는 경우, 제1포트(153b)의 구조물을 포함하는 표시부(160b)는 제1포트(153b)와 제2포트(155b) 중 더 함몰된 것이 제1포트(153b)임을 표시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1포트(153b)와 제2포트(155b) 중 어느 하나는 돌출된 구조물을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함몰된 구조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표시부(160b)는, 제1포트(153b)의 돌출된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포트(153b)와 제2포트(155b) 중 돌출된 것이 제1포트(153b)로 파악될 수 있다.
만약 제1포트(153b)가 함몰된 구조물을 포함하는 경우, 제1포트(153b)의 구조물을 포함하는 표시부(160b)는 제1포트(153b)와 제2포트(155b) 중 함몰된 것이 제1포트(153b)임을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표시부(160b)가 제공되면, 작업자는 눈으로 보지 않고 손으로 만지는 것만으로도 어떤 것이 제1포트(153b)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즉 작업자는, 제1포트(153b)와 제2포트(155b)의 돌출 정도를 촉각으로 확인하고, 어떤 것이 제1포트(153b)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로써 전원모듈(150b)과 점화플러그(110; 도 3 참조)의 연결 작업이 더욱 빠르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8에는 점화모듈의 제4예가 개시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예에 따른 점화모듈(150c)의 표시부(160c)는, 제1식별기호와 제2식별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식별기호는, 제1포트(153c)에 형성되거나, 제1포트(153c)와 인접한 위치에서 케이스(151)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식별기호는, 제2포트(155c)에 형성되거나, 제2포트(155c)와 인접한 위치에서 케이스(151)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식별기호가 제1포트(153c)에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일례로서, 제1식별기호는 제1포트(153c)의 표면에 "+" 형상의 기호가 표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식별기호는, 해당 포트가 제1포트(153c)임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식별기호가 제2포트(155c)에 형성되고, 이 제2식별기호는 제2포트(155c)의 표면에 "-" 형상의 기호가 표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식별기호는, 해당 포트가 제2포트(155c)임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제공되는 표시부(160c)는, 제1포트(153c)가 어떤 것인지를 정확하고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시부(160c)를 포함하는 점화모듈(150c)은, 전원모듈(150b)과 점화플러그(110; 도 3 참조)의 연결 작업이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9에는 점화모듈의 제5예가 개시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예에 따른 점화모듈(150d)의 표시부(160d)는, 커버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는 제2포트(155d)에서 연결홀이 노출되지 않게 제2포트(155d)를 덮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커버는, 연결홀이 노출되지 않게 제2포트(155d)를 덮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제2포트(155d) 또는 케이스(151)에 고정될 수 있다.
제2포트(155d)는, 상기와 같이 제2포트(155d)를 덮은 표시부(160d)에 의해 제2포트(155d)임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표시부(160d)는, 상기와 같이 제2포트(155d)의 연결홀이 노출되지 않게 제2포트(155d)를 덮음으로써, 제2포트(155d)가 점화플러그(110; 도 3 참조)와 연결될 수 없게 제2포트(155d)를 폐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포트(153d)와 제2포트(155d) 중, 연결홀이 개방된 상태로 제공되는 것이 제1포트(153d)인 것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2포트(155d)가 표시부(160d)에 의해 폐쇄됨에 따라, 제1포트(153d)만이 점화플러그(110)와 점화모듈(150) 간의 연결을 위한 포트로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점화플러그(110)와 연결 가능한 제1포트(153d)의 개수가 버너(22; 도 3 참조)의 개수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점화모듈(150d)은, 적어도 버너(22)의 개수와 같거나 버너(22)의 개수보다 많은 개수의 제1포트(153d)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버너(22)에 설치되는 모든 점화플러그(110)가 제1포트(153d)만을 통해 점화모듈(150d)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포트(153d)는, 전원공급부(150d)의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 중 상대적으로 높은 점화 에너지를 점화플러그(110)에 공급하는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포트(155d)는, 전원공급부(150d)의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 중 상대적으로 낮은 점화 에너지를 점화플러그(110)에 공급하는 다른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버너(22)에 설치되는 모든 점화플러그(110)는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 중 상대적으로 높은 점화 에너지를 점화플러그(110)에 공급하는 단자를 통해 점화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점화모듈(150d)은, 제2포트(155d)에서 연결홀이 노출되지 않게 제2포트(155d)를 덮는 표시부(160d)를 구비함으로써, 제1포트(153d)가 어떤 것인지를 직관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60d)를 포함하는 점화모듈(150d)은, 전원모듈(150b)과 점화플러그(110; 도 3 참조)의 연결 작업이 더욱 빠르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점화모듈(150d)은, 각 버너(22)에 설치되는 모든 점화플러그(110)가 높은 점화 에너지를 점화플러그(110)에 공급하는 단자를 통해 점화 에너지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점화 성능을 매우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점화장치의 작용, 효과]
이하, 도5에 예시된 점화장치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화장치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쿡탑부(20)에 배치되는 각 버너(22)에는, 버너(22)의 연소에 필요한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점화플러그(110)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쿡탑부(20)에 5개의 버너(22)가 배치되는 경우, 이와 동일한 개수인 5개의 점화플러그(110)가 쿡탑부(20)에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점화플러그(110)는 점화모듈(150)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점화모듈(150)은 각 점화플러그(110)에 점화 에너지를 각각 공급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점화플러그(110)는, 제1포트(153) 또는 제2포트(155)와 연결되며 점화모듈(150)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버너(22)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만큼 점화플러그(110)가 쿡탑부(20)에 설치되고, 모든 점화플러그(110)가 제1포트(153) 또는 제2포트(155)와 각각 연결되므로, 제1포트(153)와 제2포트(155)를 합한 전체 포트(153,155)의 개수는 버너(22)의 개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1포트(153)의 개수는, 제2포트(155)의 개수 이상일 수 있다.
일례로서, 쿡탑부(20)에 4개의 버너(22)가 배치되는 경우, 제1포트(153)의 개수는 제2포트(155)의 개수와 동일한 2개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쿡탑부(20)에 5개의 버너(22)가 배치되는 경우, 제1포트(153)의 개수는 3개이고, 제2포트(155)의 개수는 2개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쿡탑부(20)에 5개의 버너(22)가 배치되는 경우, 제1포트(153)의 개수는 제2포트(155)의 개수와 동일한 3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포트(155) 중 하나가 점화플러그(110)와 연결될 수 없게 폐쇄됨으로써, 제2포트(155)보다 많은 수의 제1포트(153)가 점화플러그(110)와의 연결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전원공급부(154)의 음극 단자와 연결된 점화플러그(110)에 비해 전원공급부(154)의 양극 단자와 연결된 점화플러그(110)에 더 큰 점화 에너지가 공급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전원공급부(154)의 음극 단자와 연결된 점화플러그(110)에서는, 주로 양성자(Proton)가 모여 반응하여 스파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부(154)의 양극 단자와 연결된 점화플러그(110)에서는 주로 전자(Electron)가 모여 반응하여 스파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양성자에 비해 전자가 훨씬 가볍기 때문에, 양성자가 모여 반응하는 곳에 비해 전자가 모여 반응하는 곳에서 훨씬 쉽고 빠르게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전원공급부(154)의 음극 단자와 연결된 점화플러그(110)에 비해 전원공급부(154)의 양극 단자와 연결된 점화플러그(110)가 더 큰 점화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점화플러그(110)가 제1포트(153)와 제2포트(155) 중 전원공급부(154)의 양극 단자와 연결된 어느 하나와 연결될 경우, 전원공급부(154)의 음극 단자와 연결된 것과 연결되는 경우에 비해 더 큰 점화 에너지를 버너(22)에 공급할 수 있는 스파크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버너(22)의 점화에 필요한 점화 에너지는 버너(22)의 상태, 점화플러그(110)의 설치 상태, 버너(22) 별 가스 공급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어느 버너(22)의 점화에는 최소 어느 이상의 점화 에너지가 필요한지가 정확하게 미리 계산되기는 어렵다.
버너(22)의 시험 점화를 통해, 이 버너(22)가 낮은 점화 에너지 공급시에도 잘 점화되는지 아니면 그보다 더 높은 점화 에너지가 공급되어야 점화되는지 정도가 대략적으로 파악될 수 있을 뿐이다.
최소 점화 에너지가 높은 버너로 파악된 버너(22)의 점화 지연 또는 미점화 발생 가능성을 낮추기 위해서는, 해당 버너(22)에 설치된 점화플러그(110)가 전원공급부(154)의 양극 단자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해당 버너(22)에 설치된 점화플러그(110)가 제1포트(153)와 접속되어야 한다.
그런데 점화모듈(150)에 마련된 복수개의 포트(153,155) 중 어떤 것이 제1포트(153)인지 파악되지 않는다면, 최소 점화 에너지가 높은 버너에 설치된 점화플러그(110)와 제1포트(153) 간의 접속을 위한 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포트(153,155) 중 어떤 것이 제1포트(153)인지가 표시부(160)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최소 점화 에너지가 높은 버너에 설치된 점화플러그(110)를 표시부(160)에 의해 표시된 포트와 연결하는 방법으로 상기 접속 작업을 매우 쉽고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최소 점화 에너지가 높은 버너에 설치된 점화플러그(110)가 제1포트(153)와 연결됨으로써, 해당 점화플러그(110)가 최소 점화 에너지 이상의 점화 에너지를 버너(22)에 공급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에 따라 버너(22)의 점화 지연 또는 미점화 발생 가능성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게 됨으로써, 조리기기의 점화 성능이 매우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점화모듈(150)에서는, 점화플러그(110)와 연결 가능한 제1포트(153)의 개수가 점화플러그(110)와 연결 가능한 제2포트(155)의 개수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컨대, 쿡탑부(20)에 5개의 점화플러그(110)가 배치되는 경우, 적어도 3개의 제1포트(153)가 점화모듈(150)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더 많은 수의 점화플러그(110)가 제1포트(153)와 연결될 수 있게 됨으로써, 버너(22)의 점화 지연 또는 미점화 발생 가능성이 더욱 효과적으로 감소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도 3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점화플러그(110)가 제1포트(155d)와 연결되는 경우, 조리기기의 점화 성능이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20 : 쿡탑부
21 : 탑플레이트
22 : 버너
30 : 오븐부
32 : 도어
40 : 드로워부
50 : 컨트롤패널
51 : 조작장치
55 : 표시부
100 : 점화장치
110 : 점화플러그
150 : 점화모듈
151 : 케이스
152 : 전원입력부
153 : 제1포트
154 : 전원공급부
155 : 제2포트
158, 159 : 고정부
160 : 표시부

Claims (12)

  1. 버너의 연소에 필요한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점화플러그;
    상기 점화플러그에 전원을 공급하는 점화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점화모듈은,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를 갖는 전원공급부;
    상기 전원공급부의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 중 상대적으로 높은 점화 에너지를 상기 점화플러그에 공급하는 어느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점화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마련되는 제1포트;
    상기 전원공급부의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 중 상대적으로 낮은 점화 에너지를 상기 점화플러그에 공급하는 다른 하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점화플러그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마련되는 제2포트; 및
    상기 제1포트와 상기 제2포트의 구분을 위한 표식을 제공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점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모듈은, 전원공급부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포트 및 상기 제2포트는,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제1포트 및 상기 제2포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점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1포트를 상기 제2포트의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표시한 형태로 제공되는 점화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트 및 상기 제2포트는, 상기 케이스에서 돌출되거나 상기 케이스에서 함몰되는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2포트의 구조물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1포트의 구조물과 상기 제1포트의 구조물과 다른 형상으로 형성된 상기 제2포트의 구조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되는 점화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트 및 상기 제2포트는, 상기 케이스에서 돌출되거나 함몰되는 구조물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2포트의 구조물보다 상기 케이스에서 더 돌출되거나 더 함몰된 상기 제1포트의 구조물과 상기 제1포트의 구조물보다 상기 케이스에서 더 돌출되거나 더 함몰된 상기 제2포트의 구조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되는 점화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제1식별기호와 제2식별기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식별기호는, 상기 제1포트에 형성되거나, 상기 제1포트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고,
    상기 제2식별기호는, 상기 제2포트에 형성되거나, 상기 제2포트와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점화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트 및 상기 제2포트에는, 상기 제1포트 또는 상기 제2포트의 내부를 외부로 개방하는 연결홀이 각각 마련되고,
    상기 점화플러그와 상기 점화모듈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은, 상기 연결홀을 통해 상기 제1포트 또는 상기 제2포트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점화모듈과 연결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제2포트에서 상기 연결홀이 노출되지 않게 상기 제2포트를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되는 점화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포트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양극 단자와 연결되고,
    상기 제2포트는, 상기 전원공급부의 음극 단자와 연결되는 점화장치.
  9. 스파크에 의해 점화된 연료를 연소시키며 불꽃을 발생시키는 버너; 및
    상기 버너의 연소에 필요한 스파크를 발생시키는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점화장치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버너가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버너에 상기 점화플러그가 설치되고,
    각각의 상기 점화플러그가 상기 제1포트 또는 상기 제2포트와 연결되고,
    상기 점화플러그와 연결 가능한 상기 제1포트의 개수와 상기 점화플러그와 연결 가능한 상기 제2포트의 개수의 합이 상기 버너의 개수 이상인 조리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플러그와 연결 가능한 상기 제1포트의 개수가 상기 점화플러그와 연결 가능한 상기 제2포트의 개수 이상인 조리기기.
  12. 제10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상기 버너 중 상기 제2포트를 통해 공급되는 점화 에너지보다 높은 점화 에너지가 점화에 필요한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기 제1포트와 연결되는 조리기기.
KR1020220081401A 2022-07-01 2022-07-01 점화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202400036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401A KR20240003611A (ko) 2022-07-01 2022-07-01 점화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1401A KR20240003611A (ko) 2022-07-01 2022-07-01 점화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3611A true KR20240003611A (ko) 2024-01-09

Family

ID=89538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1401A KR20240003611A (ko) 2022-07-01 2022-07-01 점화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361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8637B2 (en) Top burner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KR101924590B1 (ko) 조리기기
WO2009078673A2 (en) A top-burner and cooker comprising the same
KR101904660B1 (ko) 조리기기
KR20100122019A (ko) 조리기기
US20190110641A1 (en) Cooking apparatus
US9080774B2 (en) Cooker
US20110259870A1 (en) Terminal block cooling apparatus for an electric cooking range
US10302309B2 (en) Oven appliance having a broiler assembly
US10571131B2 (en) Oven appliance having a convection assembly
KR20240003611A (ko) 점화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US20100263658A1 (en) Gas cooker
KR101672634B1 (ko) 조리기기
KR20180031294A (ko) 버너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20100122025A (ko) 조리기기
CN117553296B (zh) 燃烧器及灶具
US20220268449A1 (en) Cooking appliance
CN214198788U (zh) 燃气控制阀及燃气灶
CN216416908U (zh) 一种烤箱及加热设备
KR20220134078A (ko) 조리기기
KR102425697B1 (ko) 가스렌지 및 인덕션렌지 겸용 조리장치
US20200386410A1 (en) Oven appliance having combined radiant and convection broil
KR102245314B1 (ko) 조리기기
KR20220101532A (ko) 조리기기
KR20050081678A (ko) 가스오븐레인지의 밀폐식 버너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