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4660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4660B1
KR101904660B1 KR1020170069812A KR20170069812A KR101904660B1 KR 101904660 B1 KR101904660 B1 KR 101904660B1 KR 1020170069812 A KR1020170069812 A KR 1020170069812A KR 20170069812 A KR20170069812 A KR 20170069812A KR 101904660 B1 KR101904660 B1 KR 101904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hamber
exhaust port
flow
air
fan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준호
김영수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9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660B1/ko
Priority to EP17187162.7A priority patent/EP3412975B1/en
Priority to US15/696,749 priority patent/US10539331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07Removing cooking fumes from oven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02Stoves
    • F24C3/004Stoves of the closed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24C3/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in baking ov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본체와; 배면부에 설치되어 조리실 내부에 구분된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조리실의 전방측을 향해 관통되게 형성된 흡기구와 측면부를 향해 관통되게 형성된 배기구가 마련되는 팬커버와; 팬커버 내부의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부와; 조리실의 공기가 흡기구를 통해 팬커버 내부로 흡인되고 팬커버 내부로 흡인되어 가열된 공기가 배기구를 통해 조리실로 배출되는 공기 순환 흐름을 발생시키는 컨벡션팬; 및 제1거리보다 먼 제2거리만큼 배기구로부터 이격된 측면부와 배기구 사이에 구비되며, 배기구를 통해 측면부 측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조리실의 전방측으로 유동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기류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이용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조리실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도어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와 도어 사이에 마련되는 도어 힌지에 의해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어 힌지를 통해 본체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조리실의 내부 공간에는 열원이 제공되어 조리실을 가열한다. 이러한 열원으로는 가스버너 또는 전기히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 중 가스버너가 열원으로 이용되는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조리실 내부의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버너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리실의 상부에는 브로일 버너(Broil burner)가 설치되고, 조리실의 하부 또는 후방에는 베이크 버너(Bake burner)가 설치된다.
각각의 버너에는, 버너의 내부로 공급된 혼합가스가 배출되는 염공이 마련된다. 염공에서 배출되는 혼합가스는 점화장치에 의해 점화되어 화염을 형성하게 되고, 가스 오븐은 이와 같이 발생된 화염을 이용하여 조리실 내부의 조리물을 가열함으로써 조리물을 조리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버너 내부로 가스가 공급될 때 연소에 필요한 공기의 일부(이하 "1차공기"라 한다)가 함께 유입되어 가스와 혼합되고, 이처럼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가스가 염공에서 연소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연소가 이루어지는 불꽃의 주위에서 다시 새로운 공기("2차공기"라 한다)가 불꽃 측으로 유입되면서 완전연소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버너의 연소에 따르면, 연소가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충분한 양의 2차공기 공급이 이루어져야만 완전연소가 이루어질 수 있고, 그에 따라 버너의 열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한편 조리실의 후방에는 컨벡션 장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컨벡션 장치는 조리실 전체에 열이 고르게 전달되도록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며, 조리실의 후벽에 설치되는 팬커버 및 팬커버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컨벡션팬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팬커버에는 흡기구와 토출구가 마련되며, 이 중 흡기구는 도어와 마주보는 팬커버의 전면 중앙에 형성되고, 토출구는 조리실의 측면과 마주보는 팬커버의 측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컨벡션팬은 팬커버의 내부에서 회전되며 기류를 발생시키도록 동작되며, 이와 같이 동작되는 컨벡션팬은 조리실의 공기가 흡기구를 통해 팬커버 내부로 흡인되고 팬커버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가 배기구를 통해 조리실로 배출되는 공기 순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팬커버의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조리실의 측면을 타고 조리실의 전방 중앙을 향해 유동하게 되는데, 팬커버의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조리실 전방을 향한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져야 조리실 전체에 열이 고르게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만약 팬커버의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조리실 전방을 향한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한다면, 조리실 후방에서 가열된 열이 조리실 전방측으로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고 조리실 후방에서만 순환되는 순환 흐름이 이루어짐으로써, 조리실 전체에 열이 고르게 전달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팬커버는, 컨벡션팬의 성능, 조리실의 용적 등을 고려하여 팬커버의 토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조리실 전방을 향한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최적화된 크기와 형상으로 설계된다.
이러한 팬커버의 설계에는 오랜 시간과 큰 비용이 투입되는데, 이 팬커버가 적용되던 기존의 밀폐형 조리기기와 조리실 용적이 다른 밀폐형 조리기기를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그에 맞는 팬커버의 최적화 설계가 다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조리실 용적이 다른 여러 타입의 밀폐형 조리기기마다 팬커버의 설계 및 제조가 각각 이루어지게 되면, 부품 설계 및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증가될 뿐 아니라, 부품 종류 증가로 인해 부품 관리가 까다로워지고 부품 관리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부품 설계 및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 관리가 용이해지고 부품 관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며, 상기 조리실의 후방 경계면을 규정하는 배면부 및 상기 조리실의 측방 경계면을 규정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배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에 구분된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조리실의 전방측을 향해 관통되게 형성된 흡기구와 상기 측면부를 향해 관통되게 형성된 배기구가 마련되는 팬커버와; 상기 팬커버 내부의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부와; 상기 조리실의 공기가 상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팬커버 내부로 흡인되고 상기 팬커버 내부로 흡인되어 가열된 공기가 상기 배기구를 통해 상기 조리실로 배출되는 공기 순환 흐름을 발생시키되, 상기 측면부가 상기 배기구로부터 제1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배기구를 통해 상기 측면부 측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조리실의 전방측으로 소정 비율 이상 유동할 수 있는 공기 순환 흐름을 발생시키도록 동작되는 컨벡션팬; 및 상기 제1거리보다 먼 제2거리만큼 상기 배기구로부터 이격된 상기 측면부와 상기 배기구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배기구를 통해 상기 측면부 측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조리실의 전방측으로 유동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기류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류가이드부재는, 상기 확장연결면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조리실의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상기 조리실의 전방측으로 유도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내부는, 상기 배기구와 상기 안내부 간의 거리가 상기 배기구와 상기 측면부 간의 거리보다 가깝게 유지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내부는, 상기 배기구와 마주보는 상기 안내부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흐름유도면을 포함하고, 상기 흐름유도면은, 상기 팬커버와 상기 흐름유도면 사이에서 상기 확장연결면부가 이루는 평면과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내부는, 상기 배기구와 마주보는 상기 안내부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흐름유도면을 포함하고, 상기 흐름유도면은, 상기 조리실의 전방을 향한 방향과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안내부는, 상기 배기구와 마주보는 상기 안내부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흐름유도면을 포함하고, 상기 흐름유도면은, 상기 확장연결면부와 상기 측면부를 잇는 모서리를 덮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와 상기 안내부 간의 연결 부분에는, 상기 결합부와 상기 흐름유도면 사이를 곡면을 이루며 연결하는 곡면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류가이드부재는, 상기 결합부와 상기 안내부가 "λ"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형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측면부가 상기 제1거리보다 먼 제2거리만큼 상기 배기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배면부와 동일 평면을 이루며 상기 배면부와 상기 측면부 사이를 연결하는 확장연결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류가이드부재는, 상기 배기구와 상기 측면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확장연결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공용화된 한 종류의 팬커버 및 컨벡션팬을 이용하여 조리실의 용적이 다른 다양한 규격의 오븐부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품 설계 및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지 사이즈 차이로 인해 부품 종류가 증가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부품 관리가 용이해질 뿐 아니라, 부품 관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오븐부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팬커버와 가열부와 컨벡션팬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기류가이드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기류가이드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오븐부 내에서의 열유동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본체(10)의 상단부에는, 개방된 공간 즉,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도록 마련된 쿡탑부(20)가 위치한다.
쿡탑부(20)에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면서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리이 담긴 용기를 지지하는 상판(21)이 제공된다.
이러한 상판(21)의 상측에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놓일 수 있으며, 상판(21)의 하측에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열부(22)가 위치된다.
그리고 쿡탑부(20)의 하측에는 오븐부(30)가 설치된다. 오븐부(30)의 내부공간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31)이 위치한다.
조리실(31)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조리실(31)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한다. 즉 오븐부(30)에서는,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이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다.
오븐부(30)에는, 조리실(3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32)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도어(32)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하는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조리실(31)을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32)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앞면에는 사용자가 도어(32)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 파지하도록 핸들(32a)이 설치된다. 핸들(32a)에 의해 사용자는 도어(32)를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쿡탑부(20)의 전면 즉, 도어(32)의 상측에는 컨트롤패널(51)이 마련된다. 컨트롤패널(51)은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컨트롤패널(51)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쿡탑부(20) 및 오븐부(30)를 동작시키는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52)가 제공된다.
입력부(52)에는 다수의 조작스위치가 마련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패널(51)에는 조리기기의 동작 정보 또는 음식물의 요리 정보 등을 제공하는 표시부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표시부를 통해 선반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체(10)의 내부 공간 즉, 쿡탑부(20)와 오븐부(30) 사이의 공간에는 전장 부품들이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전장실(50)이 형성된다. 전장실(50)의 전면에는 상기 컨트롤패널(51)이 위치하며, 실질적으로 컨트롤패널(51)이 전장실(50)의 전면을 차폐하는 구조가 이루어진다.
[오븐부의 구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오븐부 구성을 보여주는 정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팬커버와 가열부와 컨벡션팬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오븐부(30)는 오븐부(30)의 골격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방 측에 설치되어 조리실(31)을 개폐하는 도어(32), 그리고 조리실(31)의 내부에 설치되는 팬커버(33)와 가열부(36)와 컨벡션팬(37) 및 기류가이드부재(1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되며, 배면부(11)와 측면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배면부(11)는, 본체(10)의 후방측에 위치한 벽면으로서,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조리실(31)의 후방 경계면을 규정한다. 이러한 배면부(11)는 조리실(31)의 후면을 형성하는 한편, 조리실(31)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팬커버(33)가 설치되는 벽면을 형성한다.
측면부(13)는, 본체(10)의 후방측에 위치한 벽면으로서,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조리실(31)의 측방 경계면을 규정한다. 이러한 측면부(13)는, 조리실(31)의 측면을 형성하는 한편, 후술할 팬커버(33)의 측면에 형성된 배기구(33b)와 마주보는 벽면을 형성한다.
팬커버(33)는, 본체(10)의 후방, 좀 더 구체적으로는 조리실(31)의 후면을 형성하는 배면부(11)에 설치된다. 일례로서, 팬커버(33)는 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팬커버(33)는, 그 개방된 후면이 배면부(11)에 의해 덮이도록 배면부(11)에 결합되어, 조리실(31) 내부에 구분된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팬커버(33)에는, 흡기구(33a)와 배기구(33b)가 마련된다. 흡기구(33a)는 조리실(31)의 전방측을 향한 팬커버(33)의 전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배기구(33b)는 조리실(31)의 측면, 즉 측면부(13)를 향한 팬커버(33)의 측면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가열부(36)는, 팬커버(33) 내부의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가열부(36)는 조리실(31)의 후면에 설치되는 베이크 버너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가열부(36)는 중공의 파이프가 "U" 형상의 곡선을 이루도록 연장된 형태로 마련된 버너본체의 측부에 복수 개의 염공이 형성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버너본체의 내부에는 혼합가스가 공급되는 유로가 형성되며, 염공은 버너본체 내부로 공급된 가스가 버너본체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버너본체의 측부에는 복수 개의 염공이 버너본체의 연장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써 버너본체에는 버너본체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가스 배출 통로가 마련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버너본체는 버너본체와 연결된 믹싱튜브를 통해 공기와 혼합된 가스, 즉 혼합가스를 공급받으며, 이와 같이 버너본체 내부의 유로로 공급된 혼합가스는 염공을 통해 버너본체 외부로 배출되며 연소됨으로써 가열부(36)의 외부, 즉 팬커버(33) 내부의 수용공간에 화염을 발생시킨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는, 버너커버(3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버너커버(34)는, 팬커버(33) 내부의 수용공간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며, 전후방향으로 분리된 형태로 마련된 한 쌍의 커버판이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버너커버(34)의 내부에는, 가열부(36)가 수용되는 한편 가열부(36)에서 발생되는 화염을 외측에서 둘러쌀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버너커버(34)는, 가열부(36)에서 발생되는 화염이 확산되는 영역을 제한하여 가열부(36)에서 발생되는 화염을 안정화시키는 한편, 화염이 팬커버(33) 및 조리실(31) 벽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용도로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는 리플렉팅 플레이트(3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리플렉팅 플레이트(35)는, 팬커버(33) 내부의 수용공간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되, 버너커버(34)와 조리실(31) 후벽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리플렉팅 플레이트(35)는, 가열부(36)에서 발생되는 화염에 의한 열이 조리실(31) 후벽에 전달되는 것을 일정 부분 차단함으로써, 조리실(31) 표면에 형성된 법랑 등과 같은 코팅층을 열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용도로 설치될 수 있다.
컨벡션팬(37)은, 팬커버(33) 내부의 수용공간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컨벡션팬(37)의 동작은, 컨벡션팬(37)과 연결된 컨벡션모터(38)의 구동에 의해 컨벡션팬(37)이 회전되며 기류를 발생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작되는 컨벡션팬(37)은, 조리실(31)의 공기가 흡기구(33a)를 통해 팬커버(33) 내부의 수용공간으로 흡인되고 팬커버(33) 내부의 수용공간으로 흡인되어 가열된 공기가 배기구(33b)를 통해 조리실(31)로 배출되는 공기 순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팬커버(33) 및 컨벡션팬(37)은 측면부(13)가 배기구(33b)로부터 제1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배기구(33b)를 통해 측면부(13) 측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조리실(31)의 전방측으로 소정 비율 이상 유동할 수 있는 공기 순환 흐름을 발생시키도록 설계된다.
즉 팬커버(33) 및 컨벡션팬(37)은, 측면부(13)가 배기구(33b)로부터 제1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본체(10)의 사이즈, 팬커버(33)의 사이즈, 팬커버(33)의 설치 위치가 설정된 특정 규격의 오븐부(이하 "제1규격의 오븐부"라 한다), 예를 들면 30인치 규격의 오븐부 내에 설치된 조건 하에서, 배기구(33b)를 통해 측면부(13) 측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조리실(31)의 전방측으로 소정 비율 이상 유동하여 조리실(31) 전체에 고르게 퍼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최적의 공기 순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상기 30인치 규격의 오븐부에 비해 본체(10)의 사이즈가 확장된 규격의 오븐부(30; 이하 "제2규격의 오븐부"라 한다), 예를 들면 36인치 규격의 오븐부(30) 내에 상기 팬커버(33) 및 컨벡션팬(37)이 구비된다면, 측면부(13)와 배기구(33b) 간의 거리가 제1거리보다 멀어진 조건에서 배기구(33b)를 통한 공기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배기구(33b)를 통해 측면부(13) 측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조리실(31)의 전방측으로 소정 비율 이상 유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처럼 배기구(33b)를 통해 측면부(13) 측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조리실(31)의 전방측으로 소정 비율 이상 유동하지 못하게 되면, 조리실 후방에서 가열된 열이 조리실 전방측으로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고 조리실 후방에서만 순환되는 순환 흐름이 이루어짐으로써, 조리실 전체에 열이 고르게 전달되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오븐부(30)의 내부에 기류가이드부재(100)가 구비된다.
기류가이드부재(100)는, 팬커버(33)의 양측 측부에 각각 구비되되, 제1거리보다 먼 제2거리만큼 배기구(33b)로부터 이격된 측면부(13)와 배기구(33b) 사이에 구비된다.
이러한 가이드부재(100)는, 배기구(33b)를 통해 측면부(13) 측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조리실(31)의 전방측으로 유동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작용을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규격의 오븐부(30)를 구성하는 본체(10)에는 확장연결면부(15)가 더 포함된다. 확장연결면부(15)는, 조리실(31)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13)가 제1거리보다 먼 제2거리만큼 배기구(33b)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배면부(11)와 동일 평면을 이루며 배면부(11)와 측면부(13) 사이를 연결한다.
즉 제2규격의 오븐부(30) 상에서, 조리실(31)의 후면은 배면부(11)의 폭 및 배면부(11)의 양측에 연결된 한 쌍의 확장연결면부(15)의 폭을 합한 만큼의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배기구(33b)와 측면부(13)는 제1거리보다 먼 제2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규격의 오븐부(30) 상에서, 기류가이드부재(100)는 제2거리만큼 이격된 배기구(33b)와 측면부(13) 사이에 배치되도록 확장연결면부(15)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거리는 제1규격의 오븐부 상에서 배기구(33b)와 측면부(13) 간의 이격 거리인 것으로 정의되며, 제2거리는 제2규격의 오븐부(30) 상에서 배기구(33b)와 측면부(13) 간의 이격 거리인 것으로 정의된다.
즉 제1거리는, 그 후면에 확장연결면부(15)가 형성되지 않은 형태로 제공되는 제1규격의 오븐부 상에서, 팬커버(33)의 좌측 측면과 그와 마주보는 좌측 측면부(13) 간의 거리, 또는 팬커버(33)의 우측 측면과 그와 마주보는 우측 측면부(13) 간의 거리인 것으로 정의된다.
그리고 제2거리는, 팬커버(33)의 측면과 측면부(13) 사이에 확장연결면부(15)가 형성된 형태로 제공되는 제2규격의 오븐부(30) 상에서, 팬커버(33)의 팬커버(33)의 좌측 측면 측면과 그와 마주보는 좌측 측면부(13) 간의 거리, 또는 팬커버(33)의 우측 측면과 그와 마주보는 우측 측면부(13) 간의 거리인 것으로 정의된다.
이때 제2규격의 오븐부(30)에서는 제1규격의 오븐부에서보다 팬커버(33)의 측면과 그와 마주보는 측면부(13) 간의 거리가 확장연결면부(15)의 폭만큼 더 멀어지게 되며, 이를 감안하면 제2거리는 제1거리보다 확장연결면부(15)의 폭만큼 더 먼 거리임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기류가이드부재의 구성 및 작용]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기류가이드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기류가이드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오븐부 내에서의 열유동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각각의 기류가이드부재(100)는 결합부(110)와 안내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부(110)는, 기류가이드부재(100)를 확장연결면부(15)에 결합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결합부(110)는, 확장연결면부(15)와 나란한 평면을 이루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고, 확장연결면부(15)와 면접촉 형태로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결합부(110)는 배기구(33b)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을 형성하도록 형성되는 한편, 조리실(31)의 상하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상하방향 길이를 갖는 세로방향으로 길쭉한 평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안내부(120)는, 결합부(110)로부터 조리실의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안내부(120)는, 배기구(33b)를 통해 측면부(13) 측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이 조리실(31)의 전방측으로 유도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안내부(120)는, 배기구(33b)와 측면부(13) 사이에 위치되도록 배치됨으로써, 배기구(33b)와 안내부(120) 간의 거리가 배기구(33b)와 측면부(13) 간의 거리보다 가깝게 유지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안내부(120)는 배기구(33b)로부터 제1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배기구(33b)를 통해 측면부(13) 측으로 배출되는 공기와 안내부(120) 간의 접촉이 배기구(33b)로부터 제1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제1규격의 오븐부에서 배기구(33b)를 통해 측면부(13) 측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측면부(13)와 접촉되는 것과 유사한 양상의 공기 유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배기구(33b)와 마주보는 안내부(120)의 일측면에는, 배기구(33b)를 통해 배출되어 측면부(13)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흐름유도면(121)이 형성된다.
흐름유도면(121)은, 배기구(33b)를 마주보는 평면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되되, 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때 흐름유도면(121)이 형성하는 경사면은, 팬커버(33)와 흐름유도면(121) 사이에서 확장연결면부(15)가 이루는 평면과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 형태, 바꾸어 표현하면 조리실(31)의 전방을 향한 방향과 배기구(33b)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와 같이 흐름유도면(121)이 형성하는 경사면은, 확장연결면부(15)와 측면부(13)를 잇는 모서리를 덮는 형태로 형성된다고 표현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결합부(110)와 안내부(120)를 포함하는 기류가이드부재(100)는, 결합부(110)와 안내부(120)가 "λ"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형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결합부(110)는 결합부(110)와 안내부(120) 간의 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배기구(33b) 측으로 연장되는 평면과 측면부(130) 측으로 연장되는 평면이 연결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기류가이드부재(100)는, 가열부(36) 및 컨벡션팬(37)의 작동에 의해 배기구(33b)를 통해 측면부(13) 측으로 공기가 배출될 때, 이와 같이 배출되어 측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배기구(33b)로부터 제2거리만큼 이격된 측면부(13)보다 가까운 위치에서 가로막음으로써, 배기구(33b)를 통해 측면부(13) 측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조리실(31)의 전방측으로 유동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때 기류가이드부재(100)가 설치된 지점에서는, 배기구(33b)를 통해 측면부(13) 측으로 배출된 공기는 결합부(110)가 형성하는 평면을 따라 측방향으로 유동하다가 안내부(120)의 흐름유도면(121)이 형성하는 경사면을 따라 그 유동방향이 변화되는 공기 흐름 방향 변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다른 예로서, 기류가이드부재(1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10)와 안내부(120) 간의 연결 부분에 곡면연결부(130a)가 형성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곡면연결부(130a)는 결합부(110)와 흐름유도면(121) 사이를 곡면을 이루며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이러한 곡면연결부(130a)는 결합부(110)와 흐름유도면(121)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에서의 공기의 공기의 2차 유동으로 인한 저항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곡면연결부(13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기류가이드부재(100a)는, 기류가이드부재(100a)의 표면을 따라 유동하는 공기에 대한 저항이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기류가이드부재(100a)의 공기 흐름 안내 작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 기류가이드부재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조리실(31)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면부(13)가 제1거리보다 먼 제2거리만큼 배기구(33b)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이는 팬커버(33)가 설치된 배면부(11)와 측면부(13) 사이에 확장연결면부(15)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배면부(11)와 측면부(13) 사이를 연결하는 확장연결면부(15)에 의해, 오븐부(30)의 사이즈는 확장연결면부(15)가 차지하는 폭만큼 확장될 수 있고, 오븐부(30)는 그만큼 확장된 용적의 조리실(31)을 형성함으로써 좀 더 다양한 크기의 조리물을 조리할 수 있는 조리실(31)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공되는 오븐부(30)에서, 기류가이드부재(100)는 팬커버(33)의 양측 측부에 각각 구비되며, 각각의 기류가이드부재(100)는 제2거리만큼 이격된 배기구(33b)와 측면부(13) 사이의 위치, 예를 들면 배기구(33b)와 제1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확장연결면부(15)에 각각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기류가이드부재(100)는, 배기구(33b)를 통해 측면부(13) 측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배기구(33b)로부터 제2거리만큼 이격된 측면부(13)보다 가까운 위치에서 가로막으면서 상기 공기의 흐름 방향이 조리실(31)의 전방측으로 변화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안내함으로써, 제1규격의 오븐부에서 배기구(33b)를 통해 측면부(13) 측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측면부(13)와 접촉되는 것과 유사한 양상의 공기 유동이 조리실(31)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여하게 된다.
이에 따라 팬커버(33)의 배기구(33b)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조리실(31) 전방을 향한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이로써 조리실(31) 전체에 열이 고르게 전달되어 조리 대상이 되는 음식물의 조리가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오븐부(30)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서 주목할 점은, 오븐부(30)의 규격과 무관하게 동일한 규격의 팬커버(33) 및 컨벡션팬(37)을 사용하여 조리기기의 제조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이에 따르면, 특정 규격의 오븐부(30)에 최적화된 규격으로 마련된 한 종류의 팬커버(33) 및 컨벡션팬(37)을 사용하여 다양한 규격의 오븐부(30)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의 제조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30인치 규격의 오븐부에 설치되는 조건에 최적화되게 설계된 팬커버(33) 및 컨벡션팬(37)이 조리기기의 제조를 위해 준비된다고 할 때, 30인치 규격의 오븐부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의 제조시에는, 기류가이드부재(100)의 설치를 생략하고 조리기기의 제조를 완료할 수 있다.
그리고 그보다 큰 36인치 규격의 오븐부(30)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의 제조시에는, 상기 오븐부(30) 내에 기류가이드부재(100)를 추가적으로 설치하기만 하면, 상기 오븐부(30)의 규격에 따라 팬커버(33) 및 컨벡션팬(37)을 별도로 준비할 필요 없이 30인치 규격의 오븐부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의 제조에 사용되는 동일한 규격의 팬커버(33) 및 컨벡션팬(37)을 사용한 조리기기의 제조가 가능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공용화된 한 종류의 팬커버(33) 및 컨벡션팬(37)을 이용하여 조리실(31)의 용적이 다른 다양한 규격의 오븐부(30)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품 설계 및 제조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단지 사이즈 차이로 인해 부품 종류가 증가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부품 관리가 용이해지고, 부품 관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1 : 배면부
13 : 측면부
15 : 확장연결면부
20 : 쿡탑부
30 : 오븐부
31 : 조리실
32 : 도어
33 : 팬커버
33a : 흡기구
33b : 배기구
34 : 버너커버
35 : 리플렉팅 플레이트
36 : 가열부
37 : 컨벡션팬
50 : 전장실
100 : 기류가이드부재
110 : 결합부
120 : 안내부

Claims (9)

  1.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며, 상기 조리실의 후방 경계면을 규정하는 배면부 및 상기 조리실의 측방 경계면을 규정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배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에 구분된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조리실의 전방측을 향해 관통되게 형성된 흡기구와 상기 측면부를 향해 관통되게 형성된 배기구가 마련되는 팬커버;
    상기 팬커버 내부의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가열부;
    상기 조리실의 공기가 상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팬커버 내부로 흡인되고 상기 팬커버 내부로 흡인되어 가열된 공기가 상기 배기구를 통해 상기 조리실로 배출되는 공기 순환 흐름을 발생시키되, 상기 측면부가 상기 배기구로부터 제1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배기구를 통해 상기 측면부 측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조리실의 전방측으로 소정 비율 이상 유동할 수 있는 공기 순환 흐름을 발생시키도록 동작되는 컨벡션팬;
    상기 제1거리보다 먼 제2거리만큼 상기 배기구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상기 측면부가 배치되도록 상기 배면부와 동일 평면을 이루며 상기 배면부와 상기 측면부 사이를 연결하는 확장연결면부; 및
    상기 배기구와 상기 측면부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확장연결면부에 설치되며, 상기 측면부가 상기 배기구로부터 상기 제2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배기구를 통해 상기 측면부 측으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조리실의 전방측으로 상기 소정 비율 이상 유동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기류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류가이드부재는,
    상기 확장연결면부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을 형성하며 상기 확장연결면부에 결합되는 결합부; 및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조리실의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배기구와 상기 측면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된 후 상기 결합부가 이루는 평면을 따라 상기 측면부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이 상기 조리실의 전방측으로 상기 소정 비율 이상 유도되도록 공기 순환 흐름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내부는, 상기 안내부와 상기 배기구 간의 거리가 상기 배기구로부터 상기 제2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상기 측면부와 상기 배기구 간의 거리보다 가깝게 유지되도록 배치되는 조리기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배기구와 마주보는 상기 안내부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흐름유도면을 포함하고,
    상기 흐름유도면은, 상기 팬커버와 상기 흐름유도면 사이에서 상기 확장연결면부가 이루는 평면과 둔각을 이루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조리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배기구와 마주보는 상기 안내부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흐름유도면을 포함하고,
    상기 흐름유도면은, 상기 조리실의 전방을 향한 방향과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조리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배기구와 마주보는 상기 안내부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흐름유도면을 포함하고,
    상기 흐름유도면은, 상기 확장연결면부와 상기 측면부를 잇는 모서리를 덮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조리기기.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면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와 상기 안내부 간의 연결 부분에는, 상기 결합부와 상기 흐름유도면 사이를 곡면을 이루며 연결하는 곡면연결부가 형성되는 조리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류가이드부재는, 상기 결합부와 상기 안내부가 "λ"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형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리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결합부와 상기 안내부 간의 연결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배기구 측으로 연장되는 평면과 상기 측면부 측으로 연장되는 평면이 연결된 형태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KR1020170069812A 2017-06-05 2017-06-05 조리기기 KR101904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812A KR101904660B1 (ko) 2017-06-05 2017-06-05 조리기기
EP17187162.7A EP3412975B1 (en) 2017-06-05 2017-08-22 Cooking appliance
US15/696,749 US10539331B2 (en) 2017-06-05 2017-09-06 Cook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812A KR101904660B1 (ko) 2017-06-05 2017-06-05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4660B1 true KR101904660B1 (ko) 2018-11-28

Family

ID=59683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812A KR101904660B1 (ko) 2017-06-05 2017-06-05 조리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39331B2 (ko)
EP (1) EP3412975B1 (ko)
KR (1) KR1019046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4589B1 (ko) 2017-06-30 2018-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1924590B1 (ko) * 2017-06-30 2018-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1925368B1 (ko) 2017-06-30 2018-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그 연소 제어방법
CN110805946A (zh) * 2019-11-21 2020-02-18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厨房电器
CN114052521A (zh) * 2020-07-27 2022-02-18 沙克忍者运营有限责任公司 台面烹饪系统
US20220282871A1 (en) * 2021-03-05 2022-09-0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Oven bake heating channel exchang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950946C2 (de) * 1979-12-18 1984-08-09 Bosch-Siemens Hausgeräte GmbH, 7000 Stuttgart Backofen mit Umluftgebläse und Grillheizkörper
US5205273A (en) * 1991-12-23 1993-04-27 Viking Range Corporation Convection-radiant heated oven
JPH1038280A (ja) 1996-07-23 1998-02-13 Kometsuto Kato:Kk 加熱調理機
US5816234A (en) * 1997-06-30 1998-10-06 Vasan; Laxminarasimhan Convection oven
SE0104374D0 (sv) 2001-12-21 2001-12-21 Electrolux Ab Varmluftsugn
DE20309268U1 (de) * 2003-06-12 2004-06-09 Rational Ag Gargeräte mit Luftleitgliedern
US8017889B2 (en) * 2005-05-09 2011-09-13 Adamski Joseph R Radiant convection baffle for ovens
US20110083657A1 (en) * 2009-10-08 2011-04-14 Premark Feg L.L.C. Oven air flow arrangement
KR101428872B1 (ko) 2012-11-27 2014-08-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스 오븐 레인지
KR101564503B1 (ko) * 2014-04-03 2015-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1713402B1 (ko) 2015-03-06 2017-03-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39331B2 (en) 2020-01-21
EP3412975A1 (en) 2018-12-12
EP3412975B1 (en) 2021-05-05
US20180347828A1 (en) 2018-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4660B1 (ko) 조리기기
KR101924590B1 (ko) 조리기기
US10989418B2 (en) Cooking appliance
KR20120119842A (ko) 조리기기
US11846431B2 (en) Cooking apparatus
KR20200010836A (ko) 조리기기
KR101924589B1 (ko) 조리기기
US11732902B2 (en) Cooking appliance and combustion control method of a cooking appliance
KR100688360B1 (ko) 가스 복사 조리기기의 배기장치
KR20120120535A (ko) 조리기기
KR101672634B1 (ko) 조리기기
KR102067271B1 (ko) 조리기기
KR101864493B1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45314B1 (ko) 조리기기
KR101067949B1 (ko) 리플렉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오븐레인지
KR102297341B1 (ko) 조리기기
US20220268449A1 (en) Cooking appliance
KR101751059B1 (ko) 빌트인 타입 가스오븐레인지
KR102364208B1 (ko) 조리기기
KR102481841B1 (ko) 가스 오븐
KR101864492B1 (ko) 조리기기
KR20220101532A (ko) 조리기기
KR20220134078A (ko) 조리기기
KR20190003426A (ko) 조리기기
KR101845564B1 (ko) 배기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