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208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208B1
KR102364208B1 KR1020210052667A KR20210052667A KR102364208B1 KR 102364208 B1 KR102364208 B1 KR 102364208B1 KR 1020210052667 A KR1020210052667 A KR 1020210052667A KR 20210052667 A KR20210052667 A KR 20210052667A KR 102364208 B1 KR102364208 B1 KR 102364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flow path
cooking chamber
heating unit
low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7849A (ko
Inventor
박현우
석준호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4788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45841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2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208B1/ko
Publication of KR20210047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24C3/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in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24C3/12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in baking ovens

Abstract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본체와;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본체의 바닥과 조리실 사이에 조리실과 구분된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공간부; 및 하부공간부에 설치되는 하부가열유닛;을 포함하고, 하부공간부에는, 본체의 바닥과 조리실 사이에서 하부공간부를 외부로 개방하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하부가열유닛은, 개방부를 통해 하부공간부에 삽입되거나 하부공간부로부터 인출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이용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조리실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도어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와 도어 사이에 마련되는 도어 힌지에 의해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어 힌지를 통해 본체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조리실의 내부 공간에는 열원이 제공되어 조리실을 가열한다. 이러한 열원으로는 가스버너 또는 전기히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 중 가스버너가 열원으로 이용되는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조리실 내부의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버너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리실의 상부에는 브로일 버너(Broil burner)가 설치되고, 조리실의 하부 또는 후방에는 베이크 버너(Bake burner)가 설치된다.
또한 조리실의 후방에는 컨벡션 장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컨벡션 장치는 조리실 전체에 열이 고르게 전달되도록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며, 조리실의 후벽에 설치되는 팬커버 및 팬커버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컨벡션팬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팬커버에는 흡기구와 토출구가 마련되며, 이 중 흡기구는 도어와 마주보는 팬커버의 전면 중앙에 형성되고, 토출구는 조리실의 측면과 마주보는 팬커버의 측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컨벡션팬은 팬커버의 내부에서 회전되며 기류를 발생시키도록 동작되며, 이와 같이 동작되는 컨벡션팬은 조리실의 공기가 흡기구를 통해 팬커버 내부로 흡인되고 팬커버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가 배기구를 통해 조리실로 배출되는 공기 순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크 버너는 그 설치 형태에 따라 프로 베이크 버너(Probake burner)와 바텀 베이크 버너(Bottom bake burner)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프로 베이크 버너는, 조리실의 후방에 설치되되, 컨벡션 장치 내부에 배치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프로 베이크 버너가 설치되는 조리기기에서, 프로 베이크 버너의 연소에 의해 컨벡션 장치 내부에서 생되는 열은 팬커버의 내부에서 회전되며 기류를 발생시키는 컨벡션팬의 작용에 의해 조리실 전체에 고르게 전달될 수 있다.
이와 비교하여 바텀 베이크 버너는, 조리실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바텀 베이크 버너가 설치되는 조리기기는, 바텀 베이크 버너에서 발생된 열이 조리실 내 음식물의 하부측으로부터 전달되도록 하므로, 음식물의 바닥면을 집중적으로 가열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데 유리하다.
상기 바텀 베이크 버너는 조리실의 하부에 설치되되, 조리실의 하부에 별도로 마련된 독립된 설치 공간 내에 설치되며, 이 바텀 베이크 버너가 설치되는 공간과 조리실 사이는 조리실의 바닥면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바텀 베이크 버너의 유지보수를 위해 바텀 베이크 버너가 설치 공간 외부로 개방될 수 있는 통로가 요구되며, 이러한 통로 확보를 위한 방법으로는 조리실과 바텀 베이크 버너 설치 공간 사이를 구획하는 조리실의 바닥면을 조리기기의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한 플레이트로 구성하는 방법 또는 바텀 베이크 버너 설치 공간 하부를 개방시키는 형태로 조리기기의 본체를 구성하는 방법이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조리실의 바닥면을 조리기기의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한 플레이트로 구성할 경우, 조리실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플레이트와 그 결합 부분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조리실의 바닥면이 매끄럽게 연결되지 못하게 되어 조리기기 내부의 미관이 저해될 뿐 아니라, 상기 틈새로 이물질이 끼게 될 수 있어 위생 상으로도 좋지 않게 된다.
또한 조리실의 바닥면을 매끈하게 형성하기 위해 바텀 베이크 버너 설치 공간 하부를 개방하는 형태로 조리기기의 본체가 구성될 경우에는, 조리기기 본체를 뒤집어야만 바텀 베이크 버너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이 가능하게 되므로, 바텀 베이크 버너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이 매우 힘들고 어려워지게 된다.
본 발명은 유지보수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바닥과 상기 조리실 사이에 상기 조리실과 구분된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공간부; 및 상기 하부공간부에 설치되는 하부가열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공간부에는, 상기 본체의 바닥과 상기 조리실 사이에서 상기 하부공간부를 외부로 개방하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가열유닛은,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하부공간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하부공간부로부터 인출된다.
또한 상기 하부가열유닛은, 열기를 발생시키는 하부가열부; 및 상기 하부가열부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 외부로부터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하부공간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조리실과 구분된 공간을 상기 조리실의 측부에 형성하는 측부공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방부는, 상기 하부공간부와 상기 측부공간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공간부와 상기 측부공간부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하부공간부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저면부, 및 상기 저면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전후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구속되면서 측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리실의 하방 경계면에서 상기 하부케이스를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되며, 측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이드돌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의 상단에는, 상기 가이드돌기부가 끼워지는 가이드홈이 상기 가이드돌기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가이드돌기와 상기 측벽부 간의 맞물림에 의해 상기 가이드돌기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조리실의 후방 경계면을 규정하는 배면부와 상기 조리실의 하방 경계면을 규정하는 하면부 및 상기 조리실의 측방 경계면을 규정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면부는, 상기 배면부와 상기 측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되어 상기 조리실과 상기 하부공간부 사이를 구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의 상부에서 상기 하면부와의 접촉면을 형성하는 접촉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부는,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하면부와 나란한 평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에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를 외부로 개방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1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에는, 상기 조리실의 내부를 외부로 개방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2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조리기기는, 상기 본체 및 상기 하부케이스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토출구와 상기 제2토출구 사이를 연결하는 가이드유로를 형성하는 유로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저면부, 및 상기 저면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의 측면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토출구는, 상기 개방부 측에 배치되는 상기 측벽부와 상기 개방부 맞은편에 배치되는 상기 측벽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토출구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측면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유로연결부재는, 상기 개방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유로를 형성하는 제1유로연결부재, 및 상기 개방부 맞은편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유로를 형성하는 제2유로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로연결부재는, 상기 개방부측에서 상기 측면부 및 상기 측벽부와 각각 고정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케이스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고 상기 제2유로연결부재는, 상기 개방부 맞은편에서 상기 측면부와는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측벽부와는 분리 가능하게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로연결부재는, 상기 조리실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유로를 외측에서 둘러싸는 외벽을 형성하는 덕트부, 및 상기 덕트부를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기 측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유로는, 상기 덕트부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서 상기 제1토출구와 상기 제2토출구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측면부 또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측면과 맞닿는 상기 덕트부의 테두리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측면부 또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측면과 나란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면부 또는 상기 하부케이스와 면접촉되며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측면부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를 상기 측면부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측면부에 밀착시키는 클립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면부와 상기 클립부재 사이에는, 상부가 막히고 하부가 개방된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클립부재는, 끼움홈의 상부가 상기 제2토출구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측면부에 결합되고, 상기 끼움홈에 끼워진 상기 결합부의 상단부가 상기 끼움홈의 상부에 간섭되어 상기 측면부에 결합되는 상기 유로연결부재의 상하방향 위치가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조리실과 구분된 공간을 상기 조리실의 측부에 형성하는 측부공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방부는, 상기 하부공간부와 상기 측부공간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공간부와 상기 측부공간부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하부공간부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방부 및 상기 측부공간부를 통해 상기 하부공간부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제1유로연결부재는, 상기 하부케이스가 인출될 때 상기 하부케이스와 함께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측부공간부가 덮이도록 상기 본체의 측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사이드패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는, 하부공간부의 하방 경계면을 규정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하부공간부에 삽입된 상기 하부케이스가 설정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상기 설정위치에 설치된 상기 하부케이스의 인출방향 이동을 저지하며 상기 개방부측에서 상기 하부케이스를 지지하는 제1지지대; 및 상기 설정위치에 설치된 상기 하부케이스의 삽입방향 이동을 저지하며 상기 개방부 맞은편에서 상기 하부케이스를 지지하는 제2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지지대는, 상기 바닥부와 결합되는 제1결합부와; 상기 제1결합부와 연결되며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저면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제1지지부; 및 상기 제1지지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설정위치에 위치한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기 개방부측 측부와 간섭되는 제1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저지부는, 상기 제1지지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저지판; 및 상기 제1지지부에 상하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저지판을 상기 제1지지부에 연결시키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상기 연결판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판의 일부분이 상부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저지판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지지대는, 상기 바닥부와 결합되는 제2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로부터 상기 하부케이스의 삽입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바닥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하부케이스의 저면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제2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지지대는, 상기 제2지지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설정위치에 위치한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기 개방부 맞은편 측부와 간섭되는 제2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삽입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2결합부와 상기 제2지지부 사이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하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상기 제2결합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지지부를 탄성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조리실의 내부를 순환하는 열기의 순환 흐름을 발생시키는 제1가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가열유닛은, 상기 조리실의 후방측에 설치되고, 상기 조리실의 후방측과 인접한 상기 바닥부의 후방측에는, 외부공기가 상기 제1가열유닛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공기유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바닥면에는, 외부공기가 상기 하부케이스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부 사이에는, 상기 공기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의 흐름을 상기 공기유입공보다 전방측에 위치한 상기 관통홀측으로 유도하기 위한 흐름유도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흐름유도부재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부 사이의 공간을 측방향으로 구획하는 측벽 형태로 마련되고, 상기 하부케이스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부 사이에는, 복수 개의 상기 흐름유도부재가 측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인접한 한 쌍의 상기 흐름유도부재 사이에는 상기 공기유입공과 상기 관통홀 사이를 연결하는 전후방향의 유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하부가열유닛의 수리 또는 교체가 필요할 경우 조리기기의 측부를 통해 쉽고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부가열유닛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이 쉽고 빠르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실의 하부면을 분리하거나 조리기기를 뒤집을 필요 없이 하부가열유닛을 삽입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실의 바닥면이 매끄럽고 평편한 표면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향상된 미관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지보수 작업 과정에서 조리기기의 파손 및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성을 낮추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오븐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오븐부의 각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 사이드패널부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 유로연결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 하부가열유닛을 일정 부분 인출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유로연결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5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 유로연결부재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의 D-D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E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F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제2가열유닛이 부분적으로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G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G부분을 다른 방향으로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5의 H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5에 도시된 제2가열유닛의 인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도 1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연소 제어 과정의 일례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에서 형성되는 열기 흐름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오븐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본체(10)의 상단부에는, 개방된 공간 즉,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도록 마련된 쿡탑부(20)가 위치한다.
쿡탑부(20)에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쿡탑가열부(21)가 위치된다.
그리고 쿡탑부(20)의 하측에는 오븐부(30)가 설치된다. 오븐부(30)의 내부공간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31)이 위치한다.
조리실(31)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조리실(31)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한다. 즉 오븐부(30)에서는,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이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다.
오븐부(30)에는, 조리실(3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32)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도어(32)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하는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조리실(31)을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32)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앞면에는 사용자가 도어(32)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 파지하도록 핸들(32a)이 설치된다. 핸들(32a)에 의해 사용자는 도어(32)를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쿡탑부(20)의 전면 즉, 도어(32)의 상측에는 컨트롤패널(51)이 마련된다. 컨트롤패널(51)은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컨트롤패널(51)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쿡탑부(20) 및 오븐부(30)를 동작시키는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52)가 제공된다.
입력부(52)에는 다수의 조작스위치가 마련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패널(51)에는 조리기기의 동작 정보 또는 음식물의 요리 정보 등을 제공하는 표시부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표시부를 통해 선반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체(10)의 내부 공간 즉, 쿡탑부(20)와 오븐부(30) 사이의 공간에는 전장 부품들이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전장실(50)이 형성된다. 전장실(50)의 전면에는 상기 컨트롤패널(51)이 위치하며, 실질적으로 컨트롤패널(51)이 전장실(50)의 전면을 차폐하는 구조가 이루어진다.
[오븐부의 구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오븐부의 각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오븐부(30)는 오븐부(30)의 골격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방 측에 설치되어 조리실(31)을 개폐하는 도어(32), 그리고 조리실(31)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가열유닛(310)과, 조리실(31)의 외측 하부에 설치되는 하부가열유닛(3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되며, 배면부(11)와 하면부(13) 및 측면부(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배면부(11)는, 조리실(31)의 후방측에 위치한 벽면으로서,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조리실(31)의 후방 경계면을 규정한다. 이러한 배면부(11)는, 조리실(31)의 후면을 형성하는 한편, 조리실(31)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제1가열유닛(310)의 팬커버(311)가 설치되는 벽면을 형성한다.
하면부(13)는, 조리실(31)의 하방측에 위치한 벽면으로서,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조리실(31)의 하방 경계면을 규정한다. 이러한 하면부(13)는, 조리실(31)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한편, 후술할 하부공간부(33)와 조리실(31) 사이를 구획하는 경계면을 형성한다.
측면부(15)는, 조리실(31)의 후방측에 위치한 벽면으로서,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조리실(31)의 측방 경계면을 규정한다. 이러한 측면부(15)는, 조리실(31)의 측면을 형성하는 한편, 후술할 측부공간부(35)와 조리실(31) 사이를 구획하는 경계면을 형성한다.
상기 하면부(13)는 배면부(11)와 측면부(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리실(31)의 경계면을 규정하는 각 면이 이음새 없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면부(13)와 배면부(11) 및 측면부(15)가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로써 조리실(31)의 내측면이 매끄러운 평면을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조리실(31)의 내측면에 묻은 오염물의 제거가 용이해지고, 조리실(31) 내부의 미감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체(10)의 내부에는 조리실(31) 외에도 하부공간부(33)와 측부공간부(35)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공간부(33)는,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되, 조리실(31)의 외측 하부에 형성되며, 본체(10)의 바닥과 조리실(31) 사이에 조리실(31)과 구분된 공간을 형성한다. 조리실(31)과 하부공간부(33) 사이는 하면부(13)에 의해 구획되며, 이와 같이 형성된 하부공간부(33)는 후술할 하부가열유닛(320), 그리고 후술할 유로연결부재(330,330a)의 일부 영역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측부공간부(35)는,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되, 조리실(31)의 외측 측부에 형성되며, 조리실(31)과 구분된 공간을 조리실(31)의 측부에 형성한다. 조리실(31)과 측부공간부(35) 사이는 측면부(15)에 의해 구획되며, 이와 같이 형성된 측부공간부(35)는 후술할 유로연결부재(330,330a)의 일부 영역, 그리고 기타 오븐부(30) 관련 부품들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측부공간부(35)는 조리실(31)을 중심으로 본체(10)의 양측 측부에 각각 형성된다.
아울러, 본체(10)는 바닥부(17)와 사이드패널부(18,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17)는,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본체(10)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하부공간부(33)의 하방 경계면을 규정한다.
그리고 사이드패널부(18,19)는, 본체(10)의 양측 측부에 각각 설치되어 본체(10)의 외측 측면을 형성하며,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각 측부공간부(35)의 외측 경계면을 규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실(31) 측방향 양측에는 측부공간부(35)가 각각 형성되고, 각각의 측부공간부(35)는 상부에서 봤을 때 본체(10)에 의해 ㄷ 형상으로 둘러싸인 형태, 즉 본체(10)에 의해 3면이 둘러싸이고 나머지 1면이 외측방향으로 개방된 형태의 공간을 형성한다.
사이드패널부(18,19)는, 상기와 같이 개방된 본체(10)의 각 측부에 각각 설치되어 측부공간부(35)의 개방된 일측을 외측에서 덮으며 본체(10)의 측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사이드패널부(18,19)는, 외부패널(18)과 가스켓 케이스(1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외부패널(18)은 측부공간부(35)의 개방된 일측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패널 형태로 형성되며, 본체(10)의 각 측부에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외부패널(18)은, 측부공간부(35)의 개방된 일측을 외측에서 덮으며 본체(10)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며, 본체(10)의 각 측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가스켓 케이스(19)는, 측면부(15)와 외부패널(18)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된 가스켓 케이스(19)는, 조리실(31) 내부에 설치되는 제1가열유닛(310)과 하부공간부(33)에 설치되는 하부가열유닛(320)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외부패널(18)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가스켓 케이스(19)는, 외부패널(18)에 고정된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고, 외부패널(18)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제공되는 사이드패널부(18,19)는, 본체(10)의 측부에 결합되었을 때에는 측부공간부(35)의 개방된 일측을 외측에서 덮으며 본체(10)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고, 필요시 본체(10)로부터 분리되어 측부공간부(35) 내부를 본체(10) 외부로 개방시킬 수 있다.
제1가열유닛(310)은, 조리실(31)의 내부에 구비되어 조리실(31) 내부에서 열기를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제1가열유닛(310)은 프로 베이크 버너 타입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1가열유닛(310)은, 조리실(31) 내부에서 열기를 발생시키되, 조리실(31) 내부를 순환하는 열기의 순환 흐름을 발생시킴으로써, 열기가 조리실(31) 내에 고르게 전달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가열유닛(310)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하부가열유닛(320)은, 조리실(31)의 외측 하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하부공간부(33) 내부에 구비되어 조리실(31)의 하부에서 열기를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가열유닛(320)은 바텀 베이크 타입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하부가열유닛(320)은, 조리실(31)의 하부에서 열기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열기가 조리실(31) 내 음식물의 하부측으로부터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의 바닥면을 집중적으로 가열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하부가열유닛(320)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가열유닛의 구성]
제1가열유닛(310)은, 조리실(31)의 내부에 구비되며, 팬커버(311)와 제1가열부(313)와 버너커버(315) 및 컨벡션팬(31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팬커버(311)는, 본체(10)의 후방, 좀 더 구체적으로는 조리실(31)의 후면을 형성하는 배면부(11)에 설치된다. 일례로서, 팬커버(311)는 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팬커버(311)는, 그 개방된 후면이 배면부(11)에 의해 덮이도록 배면부(11)에 결합되어, 조리실(31) 내부에 구분된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팬커버(311)에는, 흡기구(311a)와 배기구(311b)가 마련된다. 흡기구(311a)는 조리실(31)의 전방측을 향한 팬커버(311)의 전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배기구(311b)는 조리실(31)의 측면, 즉 측면부(15)를 향한 팬커버(311)의 측면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1가열부(313)는, 팬커버(311) 내부의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가열부(313)는 조리실(31)의 후면에 설치되는 프로 베이크 버너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제1가열부(313)는 중공의 파이프가 "U" 형상의 곡선을 이루도록 연장된 형태로 마련된 버너본체의 측부에 복수 개의 염공이 형성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버너본체의 내부에는 혼합가스가 공급되는 유로가 형성되며, 염공은 버너본체 내부로 공급된 가스가 버너본체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버너본체의 측부에는 복수 개의 염공이 버너본체의 연장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써 버너본체에는 버너본체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가스 배출 통로가 마련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버너본체는 버너본체와 연결된 믹싱튜브를 통해 공기와 혼합된 가스, 즉 혼합가스를 공급받으며, 이와 같이 버너본체 내부의 유로로 공급된 혼합가스는 염공을 통해 버너본체 외부로 배출되며 연소됨으로써 제1가열부(313)의 외부, 즉 팬커버(311) 내부의 수용공간에 화염을 발생시킨다.
버너커버(315)는, 팬커버(311) 내부의 수용공간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며, 전후방향으로 분리된 형태로 마련된 한 쌍의 커버판이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버너커버(315)의 내부에는, 제1가열부(313)가 수용되는 한편 제1가열부(313)에서 발생되는 화염을 외측에서 둘러쌀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버너커버(315)는, 제1가열부(313)에서 발생되는 화염이 확산되는 영역을 제한하여 제1가열부(313)에서 발생되는 화염을 안정화시키는 한편, 화염이 팬커버(311) 및 조리실(31) 벽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용도로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는 리플렉팅 플레이트(31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리플렉팅 플레이트(316)는, 팬커버(311) 내부의 수용공간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되, 버너커버(315)와 조리실(31) 후벽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리플렉팅 플레이트(316)는, 제1가열부(313)에서 발생되는 화염에 의한 열이 조리실(31) 후벽에 전달되는 것을 일정 부분 차단함으로써, 조리실(31) 표면에 형성된 법랑 등과 같은 코팅층을 열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용도로 설치될 수 있다.
컨벡션팬(317)은, 팬커버(311) 내부의 수용공간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컨벡션팬(317)의 동작은, 컨벡션팬(317)과 연결된 컨벡션모터(318)의 구동에 의해 컨벡션팬(317)이 회전되며 기류를 발생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작되는 컨벡션팬(317)은, 조리실(31)의 공기가 흡기구(311a)를 통해 팬커버(311) 내부의 수용공간으로 흡인되고 팬커버(311) 내부의 수용공간으로 흡인되어 가열된 공기가 배기구(311b)를 통해 조리실(31)로 배출되는 공기 순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하부가열유닛의 구성]
하부가열유닛(320)은, 조리실(31)의 하부에 구비되되, 제1가열유닛(310)이 설치된 조리실(31)과 분리된 공간, 즉 조리실(31)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공간부(33)에 설치된다. 이러한 하부가열유닛(320)은, 하부케이스(321)와 하부가열부(323) 및 가이드플레이트(3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321)는 하부공간부(33)에 설치되며, 이러한 하부케이스(321)의 내부에는 하부가열유닛(320)을 이루는 각종 부품들이 설치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하부케이스(321)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내부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321)는, 하부케이스(32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저면부(321a), 및 저면부(321a)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부케이스(321)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부(32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가열부(323)는, 하부케이스(321) 내부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조리실(31)의 하부에서 열기를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하부가열부(323)는 조리실(31)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텀 베이크 버너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하부가열부(323)는, 중공의 파이프가 전후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연장된 형태로 마련된 버너본체의 측부에 복수 개의 염공이 형성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하부가열부(323)는 중공의 파이프가 "U" 형상의 곡선을 이루도록 연장된 형태로 마련된 버너본체의 측부에 복수 개의 염공이 형성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가열부(323)와 제1가열부(313) 간의 주된 차이점은 염공의 형성 방향 및 화염 형성 위치이며, 그 외의 부분에 있어서는 제1가열부(313)와 하부가열부(323) 간의 구성상 차이점이 크지 않으므로, 하부가열부(323)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가이드플레이트(325)는, 하부가열부(323)의 상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가이드플레이트(325)는, 하면부(13)와 하부가열부(323) 사이에 배치되며, 하부가열부(323)와 하면부(13) 사이를 가로막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가이드플레이트(325)는, 하부가열부(323)에서 생성된 화염이 조리실(31)의 바닥면인 하면부(13)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고, 하부가열부(323)의 연소에 의해 생성된 열기가 하면부(13)에 간접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하부가열유닛(320)은, 하부가열부(323)의 하부에 구비되는 에어가이드(3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327)는, 하부케이스(321)의 바닥면인 저면부(321a)와 하부가열부(323) 사이에 배치되며, 저면부(321a)와 하부가열부(323) 사이를 가로막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에어가이드(327)는, 화염이 저면부(321a) 측으로 퍼지는 것을 막는 차단벽을 형성함으로써 하부가열부(323)의 연소에 의해 생성된 화염이 상부측을 향해 집중적으로 작용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하부케이스(321)의 바닥면인 저면부(321a)에는, 복수 개의 관통홀(322)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저면부(321a)의 상부에 배치된 에어가이드(327)에는 복수 개의 통과홀(328)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관통홀(322)은, 외부공기가 하부케이스(321)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상하방향의 통로를 저면부(321a) 상에 형성한다. 그리고 통과홀(328)은, 관통홀(322)을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하부가열부(323) 측으로 유동하기 위한 상하방향의 통로를 에어가이드(327) 상에 형성한다. 즉 하부가열유닛(320)의 내부에는, 외부공기가 하부가열부(323) 측으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통로를 통해 하부가열부(323) 측으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하부가열부(323)의 안정적인 연소를 위한 2차공기로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관통홀(322)과 통과홀(328)은 상하방향 위치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통홀(322)과 통과홀(328)의 배치가 이루어지면, 2차공기 공급을 위한 충분한 폭의 통로를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화염이 저면부(321a) 측으로 퍼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차단벽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열기 전달 구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 사이드패널부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 유로연결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 하부가열유닛을 일정 부분 인출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조리실(31)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가열유닛(310)은 조리실(31) 내부에서 열기를 발생시키되, 조리실(31) 내부를 순환하는 열기의 순환 흐름을 발생시킴으로써, 열기가 조리실(31) 내에 고르게 전달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조리실(31)의 외측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가열유닛(320)은, 조리실(31)의 하부에서 열기를 발생시킴으로써, 피자 등과 같은 음식물의 바닥면이 좀 더 바삭한 형태로 조리되도록 음식물의 바닥면을 집중적으로 가열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제1가열유닛(310)을 이용하여 조리실(31) 내의 음식물을 균일하게 가열시킬 수 있는 기능과 하부가열유닛(320)을 이용하여 음식물의 바닥면을 집중적으로 가열하는 기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하부가열유닛(320)에서 발생된 열기를 조리실(31) 내에 전달함으로써, 조리실(31) 내의 온도를 좀 더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는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열기 전달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가열유닛(320)의 측면을 이루는 측벽부(321b)에는 제1토출구(a)가 형성되며, 조리실(31)의 측면을 이루는 측면부(15)에는 제2토출구(b)가 형성된다.
제1토출구(a)는 측벽부(321b)에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이와 같이 형성된 제1토출구(a)는 하부케이스(321)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연결하는 측방향의 통로를 형성한다. 측벽부(321b)에 관통되게 형성된 제1토출구(a)에 의해, 하부가열부(323)가 설치된 하부케이스(321)의 내부와 측부공간부(35)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토출구(b)는 측면부(15)에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이와 같이 제2토출구(b)는 조리실(3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측방향의 통로를 형성한다. 측면부(15)에 관통되게 형성된 제2토출구(b)에 의해, 조리실(31)의 내부와 측부공간부(35)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된다.
이때 제1토출구(a)와 제2토출구(b)는, 각각 측부공간부(35)와 연결되는 통로를 형성하며, 이와 같이 형성되는 제1토출구(a) 및 제2토출구(b)에 의해, 하부케이스(321)의 내부와 측부공간부(35)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 그리고 측부공간부(35)와 조리실(31) 내부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유로연결부재(330,330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로연결부재(330,330a)는, 조리실(31)의 외측에 설치되며, 하부가열유닛(320)에서 발생된 열기가 조리실(31)의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측방향의 통로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로연결부재(330,330a)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조리실(31) 측을 향한 일측 측부가 개방된 덕트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유로연결부재(330,330a)는, 제1토출구(a)와 제2토출구(b)의 주변부를 둘러싸는 외벽을 형성하는 형태로 조리실(31)의 외측에 설치된다. 이때 유로연결부재(330,330a)는, 유로연결부재(330,330a)의 하부에 해당하는 일부 영역이 하부공간부(33)에 배치되고, 유로연결부재(330,330a)의 상부에 해당하는 나머지 영역이 측부공간부(35)에 배치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설치된 유로연결부재(330,330a)의 내부에는, 유로연결부재(330,330a)에 의해 형성된 외벽, 그리고 유로연결부재(330,330a)가 결합된 측면부(15)와 하면부(13)에 의해 둘러싸인 가이드유로(c)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유로연결부재(330,330a)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가이드유로(c)는, 제1토출구(a)와 제2토출구(b)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가이드유로(c)는, 하부공간부(33)와 측부공간부(35)를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하되, 하부공간부(33)와 측부공간부(35)에 형성된 공간과 분리되도록 유로연결부재(330,330a)에 의해 규정된다.
즉 조리실(31)의 외측에 설치되는 유로연결부재(330,330a)는, 하부공간부(33) 및 측부공간부(35)를 통과하면서 하부가열유닛(320)의 내부와 조리실(31)의 내부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되, 하부공간부(33) 및 측부공간부(35)에 형성된 공간 내에서 이들 공간과는 분리된 통로를 하부공간부(33) 및 측부공간부(35)에 형성하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하부가열유닛(320)의 내부에서 하부가열부(323)의 연소에 의해 생성된 열기를 대류 형태로 조리실(31)의 내부로 전달하기 위한 통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열기 전달 구조에서 주목할 점은, 하부가열부(323)의 연소에 의해 생성된 열기를 대류 형태로 조리실(31)의 내부로 전달하기 위한 통로(이하 열기전달통로라 한다)가 조리실(31)의 하부가 아닌 조리실(31)의 측부에 형성된다는 점이다.
만약 열기전달통로가 조리실(31)의 하부에 형성된다면, 하부가열유닛(320)의 열기가 조리실(31)의 내부로 곧바로 올라오는 최단거리의 열기전달통로가 형성될 수 있기는 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열기전달통로가 조리실(31)의 하부에 형성되기 위해서는, 조리실(31)의 바닥면인 하면부(13)에 열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홀이 형성되어야만 한다.
이와 같이 하면부(13), 즉 조리실(31)의 바닥면에 홀이 형성되는 구조에서는, 조리실(31)의 바닥면이 매끄러운 평면을 유지할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해 조리실(31) 바닥의 홀 부분에 오염물이 끼어 조리실(31)의 바닥면 청소가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구조에서는, 이물질이 홀을 통해 하부가열유닛(320)의 내부로 낙하되어 하부가열유닛(320)의 오염이 심화되고, 이로 인해 하부가열유닛(320)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오염물 발화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 우려도 커지게 된다.
이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열기전달통로가 조리실(31)의 하부에 형성되지 않고 조리실(31)의 측부에 형성되는 열기 전달 구조가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서는, 제1토출구(a)를 통해 하부가열유닛(320)의 내부가 측방향으로 개방되고, 제2토출구(b)를 통해 조리실(31)의 내부가 측방향으로 개방되며, 이와 같이 측방향으로 개방된 두 토출구(a,b) 사이를 유로연결부재(330,330a)가 연결하는 형태의 열기전달통로가 형성된다.
이에 따르면, 상기 열기전달통로는 조리실(31)의 바닥면을 직접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지 않고, 조리실(31)의 하부면과 측부면을 외측에서 감싸며ㄷ 형상으로 조리실(31)을 우회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조리실(31)의 측면에 형성된 제2토출구(b)를 통해 조리실(31)의 내부와 연결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본 실시예의 열기 전달 구조에서는, 조리실(31)의 바닥면에 홀이 형성되지 않고 조리실(31)의 바닥면이 매끄러운 평면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열기 전달 구조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조리실(31)의 바닥면이 매끄럽고 평평한 표면을 갖는 평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실(31)의 바닥면에 묻은 오염물의 제거가 용이해지도록 하여 향상된 청소성을 제공할 수 있고, 조리실(31) 내부의 미감을 향상시켜 소비자들에게 디자인적 요소를 어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조리실(31) 내부의 오염물이 하부가열유닛(320)의 내부로 낙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오염으로 인해 하부가열유닛(320)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로연결부재(330,330a)는 본체(10)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연결부재(330,330a)가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유로연결부재(330,330a)가 본체(10)로부터 분리되면 유로연결부재(330,330a)에 의해 덮여 있던 하부가열유닛(320)이 측부공간부(35) 측으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부가열유닛(320)이 측부공간부(35) 측으로 노출된다는 것은, 조리실(31)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던 하부가열유닛(320)이 본체(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측방향의 통로가 확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유로연결부재(330,330a)가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로 제공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연결부재(330,330a)를 본체(10)로부터 분리시킨 후 하부가열유닛(320)을 본체(10)로부터 분리시키거나, 유로연결부재(330,330a)와 하부가열유닛(320)을 함께 본체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하부가열유닛(320)의 설치 구조를 설계할 수 있게 된다.
[유로연결부재의 설치 구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유로연결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5의 C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유로연결부재(330)는 덕트부(331,333)와 결합부(3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덕트부(331,333)는, 조리실(31)의 외측에 설치되어 가이드유로(c)를 외측에서 둘러싸는 외벽을 형성한다. 가이드유로(c)는, 덕트부(331,333)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서 제1토출구(a)와 제2토출구(b)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덕트부(331,333)는, 제1토출구(a)의 주변부를 둘러싸는 외벽을 형성하는 제1덕트부(331), 및 제2토출구(b)의 주변부를 둘러싸는 외벽을 형성하는 제2덕트부(3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케이스(321)는 측벽부(321b)가 측면부(15)보다 측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1덕트부(331)는 하부공간부(33)의 내부에서 하부케이스(321)와 하면부(1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며, 제2덕트부(333)는 측부공간부(35)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1덕트부(331)와 제2덕트부(333)를 포함하는 덕트부(331,333)는, 제1덕트부(331)와 제2덕트부(333)가 ㄴ 형상을 이루도록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1덕트부(331)는 하부공간부(33)의 내부에서 측벽부(321b)에 밀착되게 설치되고, 제2덕트부(333)는 측부공간부(35)의 내부에서 측면부(15)에 밀착되게 설치된다.
결합부(335)는, 덕트부(331,333)를 하부케이스(321)의 측벽부(321b)와 측면부(15) 중 어느 하나에 밀착되게 결합시키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결합부(335)는, 조리실(31)의 측면에 해당되는 측면부(15) 또는 하부케이스(321)의 측면에 해당되는 측벽부(321b)와 맞닿는 덕트부(331,333)의 테두리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결합부(335)는 덕트부(331,333)의 각 테두리 부분이 덕트부(331,333)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각각의 결합부(335)는, 덕트부(331,333)의 각 테두리 부분과 각각 ㄴ 형상을 이루며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결합부(335)는, 측면부(15) 또는 측벽부(321b)와 나란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덕트부(331)의 테두리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결합부(335)는 측벽부(321b)와 나란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측벽부(321b)와 면접촉되며 결합된다. 그리고 제2덕트부(333)의 테두리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결합부(335)는, 측면부(15)와 나란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측면부(15)와 면접촉되며 결합된다.
즉 덕트부(331,333)의 각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는 각각의 결합부(335)는, 측벽부(321b) 또는 측면부(15)와 면접촉되며 결합되고, 이로써 덕트부(331,333)는 하부케이스(321) 또는 조리실(31)의 측면과 면접촉되며 단단히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335)와 측벽부(321b) 간의 결합, 및 결합부(335)와 측면부(15) 간의 결합은, 면접촉하며 맞대어진 두 부재를 관통하며 결합시키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케이스(321) 또는 조리실(31)의 측면과 결합된 덕트부(331,333)는, 그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유로(c)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지정된 위치에 단단히 결합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하부케이스(321) 또는 조리실(31)의 측면으로부터 손쉽게 분리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로연결부재(33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조리실(31) 측을 향한 일측 측부가 개방된 덕트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본 실시예의 유로연결부재(330)는, 하면부(13)를 향한 상측부가 개방된 덕트 형태로 마련되는 제1덕트부(331)와, 측면부(15)를 향한 일측 측부가 개방된 덕트 형태로 마련되는 제2덕트부(333)가 ㄴ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이러한 유로연결부재(330)에 따르면, 제1덕트부(331)의 개방된 상측부가 하면부(13)에 밀착되게 결합되고, 제2덕트부(33)의 개방된 일측 측부가 측면부(15)에 밀착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1덕트부(331)의 내부에서는 서로 결합된 제1덕트부(331)와 하면부(13)에 의해 둘러싸인 가이드유로(c)가 형성되고, 제2덕트부(333)의 내부에서는 서로 결합된 제2덕트부(333)와 측면부(15)에 의해 둘러싸인 가이드유로(c)가 형성되며, 결과적으로 유로연결부재(330)의 내부에는 ㄴ 형상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유로(c)가 형성된다.
다른 예로서, 유로연결부재(330)는 제1토출구(a)를 향한 일측 단부와 제2토출구(b)를 향한 타측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개방된 부분이 없는 덕트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조리실(31) 측을 향한 일측 측부가 개방된 덕트 형태로 유로연결부재(330)가 마련되는 경우, 유로연결부재(330)의 제조에 필요한 재료비를 줄일 수 있고, 유로연결부재(330)의 제조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유로연결부재(33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복수 개의 유로연결부재(330)를 겹쳐 보관할 수 있게 되므로, 조리기기의 제조에 필요한 유로연결부재(330)의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한 이점 또한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클립부재(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립부재(340)는, 측면부(15)의 외측에 구비되며, 유로연결부재(330)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결합부(335)의 일부분을 측면부(15) 측으로 가압하여 측면부(15)에 밀착시킨다.
상기 클립부재(340)는, 측면부(15)의 외측에 구비되되, 제2토출구(b)의 상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클립부재(340)는 그 하측부가 측면부(15)에 밀착될 수 있는 탄성력을 갖는 판스프링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클립부재(340)의 상측부는 측면부(15)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측면부(15)에 고정되게 결합된 클립부재(340)의 상측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클립부재(340)의 하측부는, 측면부(15)와 결합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측면부(15)와 클립부재(340) 사이에는, 상부가 막히고 하부가 개방된 끼움홈(34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끼움홈(341)에는, 결합부(335)의 일부분,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덕트부(333)의 상측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결합부(335)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된다. 이러한 결합부(335)의 삽입은 결합부(335)의 상단부가 끼움홈(341)의 막힌 상부에 간섭될 때까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클립부재(340)와 결합부(335)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유로연결부재(330)의 상하방향 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즉 유로연결부재(330)의 설치시, 유로연결부재(330)의 상단부를 클립부재(340)에 끼워 밀어 넣기만 하면, 유로연결부재(330)의 설치가 이루어져야 할 상하방향 위치가 안내되면서 유로연결부재(330) 상단부의 임시적인 고정도 함께 이루어지게 되므로,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유로연결부재(330)를 하부케이스(321)나 하면부(13) 또는 측면부(15)에 결합시키는 작업이 더욱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열기안내부의 구조]
한편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열기안내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기안내부(350)는, 가이드유로(c)를 통해 상부방향으로 유동하는 열기의 유동방향을 제2토출구(b)를 통과하는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열기안내부(350)는, 유로연결부재(330)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유로(c) 내부에 배치되도록 측면부(15)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열기안내부(350)는, 가이드유로(c)를 따라 유동하는 열기의 흐름을 가로막는 차단벽을 제2토출구(b)의 상부에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열기안내부(350)는 상부로 갈수록 측면부(15)와의 간격이 좁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가이드유로(c)를 따라 상부방향으로 유동하던 열기의 흐름은 열기안내부(350)에 의해 형성된 경사진 차단벽을 따라 제2토출구(b) 측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조리실(31) 측부를 통한 열기의 토출이 보다 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토출구(b) 및 열기안내부(350)의 형성은 측면부(15)의 일부분이 절개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열기안내부(350)는 측면부(15)의 일부분이 절개된 후 측면부(15)와 연결된 상단을 중심으로 측면부(15)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제2토출구(b)는 측면부(15)에서 열기안내부(350)가 분리된 부분에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추가적인 구조물의 부가 없이 측면부(15)의 일부분을 절개한 후 절곡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열기를 조리실(31)의 측부로 공급하기 위한 통로와 그 통로 측으로 열기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구조물을 한번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조리기기의 제조에 필요한 비용 및 시간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하부가열유닛의 설치 구조]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 유로연결부재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의 D-D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하부가열유닛(320)은 본체(10)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공간부(33)에는 본체(10)의 바닥과 조리실(31) 사이, 즉 바닥부(17)와 하면부(13) 사이에서 하부공간부(33)를 외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측부공간부(35) 측으로 개방하는 개방부(O)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개방부(O)는 측방향으로 서로 연결된 하부공간부(33)와 측부공간부(35) 사이를 가르는 가상의 경계로서, 하부공간부(33)와 측부공간부(35) 사이에 형성되어 하부공간부(33)와 측부공간부(35)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부분인 것으로 정의된다.
하부가열유닛(320)은, 상기와 같이 형성된 개방부(O)를 통해 하부공간부(33)에 삽입되거나 하부공간부(33)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이때 하부가열유닛(320)의 삽입 및 인출 가능한 설치 구조는, 본체(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케이스(321)의 설치 구조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체(10)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케이스(321)의 슬라이딩 가능한 설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공간부(33)에는 하부가열유닛(32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321)의 삽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형성된 공간이 마련되며, 하부공간부(33)의 측부에는 하부공간부(33)의 측부를 측부공간부(35) 측으로 개방하는 개방부(O)가 형성된다.
하부케이스(321)는, 본체(10)의 외부로부터 개방부(O)를 통해 하부공간부(3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고, 또한 하부공간부(33)에서 개방부(O)를 통해 본체(1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게 설치된다.
이때 개방부(O)는, 하부공간부(33)와 측부공간부(35) 사이에 측방향의 통로를 형성하며, 이에 따라 하부케이스(321)는 하부공간부(33)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는, 하부케이스(321)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거나 설치가 완료된 하부케이스(321)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여러 구성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아래에 기술한다.
[하부케이스 상부에서의 슬라이딩 결합 구조]
하부케이스(321)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거나 설치가 완료된 하부케이스(321)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여러 구성 중 하나는, 하부케이스(321)의 상부에서 하부케이스(321)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공간부(33)의 상부에는 가이드돌기부(360)가 구비되고, 하부케이스(321)에는 이러한 가이드돌기부(360)가 맞물리는 가이드홈(321c)이 형성된다.
가이드돌기부(360)는, 조리실(31)의 하방 경계면인 하면부(13)에 설치되며, 하면부(13)에서 하부케이스(321)를 향해 돌출된 형상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가이드돌기부(360)는, 측방향, 즉 하부케이스(321)의 슬라이딩이 이루어지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하부케이스(321)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기 위한 경로를 형성한다.
하부케이스(321)의 측면을 이루는 측벽부(321b)의 상단에는, 가이드돌기부(360)가 끼워지는 가이드홈(321c)이 가이드돌기부(36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홈(321c)은 하부케이스(321)의 측면을 이루는 네 개의 측벽부(321b) 중 측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부(321b)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부(360)와 가이드홈(321c) 간에 이루어지는 끼움 결합에 의해, 가이드돌기부(360)와 측벽부(321b) 간의 맞물림이 이루어지게 된다.
하부케이스(321)는 상기 가이드돌기부(360)와 측벽부(321b) 간의 맞물림에 의해 가이드돌기부(36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로써 하부케이스(321)는 전후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구속되면서 측방향으로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본체(10)와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가이드돌기부(360), 예를 들면 세 개의 가이드돌기부(360)가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각 측벽부(321b)에는 이와 대응되는 개수의 가이드홈(321c)이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가이드돌기부(360)와 하부케이스(321) 간의 맞물림이 복수 개의 지점에서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이로써 하부케이스(321)의 전후방향으로의 흔들림이 감소되며 하부케이스(321)의 슬라이딩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하부케이스(321)에는, 측벽부(321b)의 상부에서 하면부(13)와의 접촉면을 형성하는 접촉면부(321d)가 형성된다. 접촉면부(321d)는, 측벽부(321b)의 상단부에서 절곡되어 하면부(13)와 나란한 평면을 형성하고, 하면부(13)와 면접촉되며 하면부(13)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접촉면부(321d)는, 측벽부(321b)의 강도를 강화시키는 동시에, 측벽부(321b)의 상단부와 하면부(13) 간에 면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하부케이스(321)와 하면부(13) 간의 밀착도가 증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하부케이스와 유로연결부재 간의 결합 구조]
도 12를 참조하면, 제1토출구(a)는 하부케이스(321)의 측면을 이루는 네 개의 측벽부(321b) 중 측방향으로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부(321b), 즉 개방부(O)측에 배치되는 측벽부(321b)와 개방부(O) 맞은편에 배치되는 측벽부(321b)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토출구(b)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측면부(15)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개방부(O)측에 배치되는 측벽부(321b)를 좌측 측벽부(321b)로, 개방부(O) 맞은편에 배치되는 측벽부(321b)를 우측 측벽부(321b)로, 개방부(O)측에 배치되는 측면부(15)를 좌측 측면부(15)로, 개방부(O) 맞은편에 배치되는 측면부(15)를 우측 측면부(15)로 칭하기로 한다.
또한 유로연결부재(330,330a)는, 개방부(O)측에 배치되어 가이드유로(c)를 형성하는 제1유로연결부재(330)와 개방부(O) 맞은편에 배치되어 가이드유로(c)를 형성하는 제2유로연결부재(330a)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3은 도 12의 E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2의 F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1유로연결부재(330)는 개방부(O)측에서 좌측 측면부(15) 및 좌측 측벽부(321b)와 각각 고정되게 결합되어 하부케이스(321)를 본체(10)에 고정시킨다.
일례로서, 제1유로연결부재(330)와 좌측 측면부(15) 간의 결합은, 도 10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덕트부(333)의 테두리에 형성된 결합부(335)와 좌측 측면부(15)가 서로 면접촉하며 맞대어진 상태에서, 맞대어진 두 부재를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유로연결부재(330)와 좌측 측면부(15) 간의 결합은, 제2덕트부(333)의 상측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결합부(335)와 클립부재(340) 간의 결합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1유로연결부재(330)와 좌측 측면부(15) 간의 결합은, 제2덕트부(333)의 상단부에 형성된 결합부(335)와 클립부재(340) 간의 결합과, 이를 제외한 나머지 결합부(335)과 측면부(15)를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형태의 체결이 모두 실시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제1유로연결부재(330)와 좌측 측벽부(321b) 간의 결합은, 제1덕트부(331)의 테두리에 형성된 결합부(335)와 좌측 측벽부(321b)가 서로 면접촉하며 맞대어진 상태에서, 맞대어진 두 부재를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케이스(321)를 인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제1유로연결부재(330)와 좌측 측면부(15)를 결합시키고 있는 체결부재를 이들로부터 분리하여 제1유로연결부재(330)와 좌측 측면부(15) 간의 결합을 해제시키기만 하면, 하부케이스(321)가 개방부(O)를 통해 측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는 통로가 확보된다.
이때 제1유로연결부재(330)는, 하부케이스(321)가 인출될 때 하부케이스(321)와 함께 본체(10)로부터 분리된다(도 15 참조).
다른 예로서, 하부케이스(321)를 인출하기 위해 제1유로연결부재(330)와 좌측 측면부(15) 간의 결합, 그리고 제1유로연결부재(330)와 좌측 측벽부(15) 간의 결합을 모두 해제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유로연결부재(330)가 좌측 측면부(15) 및 하부케이스(321)로부터 완전히 분리된 상태에서, 하부케이스(321)가 개방부(O)를 통해 측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는 통로가 확보된다.
도 12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2유로연결부재(330a)는 개방부(O) 맞은편에서 우측 측면부(15)와는 고정되게 결합되고, 우측 측벽부(321b)와는 분리 가능하게 접촉된다.
일례로서, 제2유로연결부재(330a)와 우측 측면부(15) 간의 결합은, 제2덕트부(333; 도 9 참조)의 테두리에 형성된 결합부(335)와 우측 측면부(15)가 서로 면접촉하며 맞대어진 상태에서, 맞대어진 두 부재를 체결부재가 관통하여 결합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유로연결부재(330a)와 우측 측면부(15) 간의 결합은, 제2덕트부(333)의 상측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결합부(335)와 클립부재(340) 간의 결합만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2유로연결부재(330a)와 우측 측면부(15) 간의 결합은, 제2덕트부(333)의 상단부에 형성된 결합부(335)와 클립부재(340) 간의 결합과, 이를 제외한 나머지 결합부(335)과 측면부(15)를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형태의 체결이 모두 실시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러나 개방부(O) 맞은편에서는, 하부케이스(321)의 인출이 이루어질 때 개방부(O)측에서와 달리 제2유로연결부재(330a)와 하부케이스(321) 간의 분리가 일어나게 되며, 제2유로연결부재(330a)가 하부케이스(321)와 분리되었을 때 제2유로연결부재(330a)와 우측 측면부(15) 간의 결합이 유지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제2유로연결부재(330a)와 우측 측면부(15) 간의 결합은, 체결부재를 이용한 결합을 포함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대의 하부케이스 지지 구조]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지지대(370,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370,380)는, 바닥부(17)에 구비되며, 하부공간부(33)에 삽입된 하부케이스(321)가 설정위치에 배치되도록 하부케이스(321)를 지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대(370,380)는 제1지지대(370)와 제2지지대(380)로 구분될 수 있다.
제1지지대(370)는, 개방부(O)측, 즉 하부케이스(321)의 좌측 측벽부(321b)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1지지대(370)는, 설정위치에 설치된 하부케이스(321)의 인출방향 이동을 저지하며 하부케이스(321)의 좌측 부분을 하부에서 지지한다.
제2지지대(380)는, 개방부(O) 맞은편, 즉 하부케이스(321)의 우측 측벽부(321b)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2지지대(380)는, 설정위치에 설치된 하부케이스(321)의 삽입방향 이동을 저지하며 하부케이스(321)의 우측 부분을 하부에서 지지한다.
즉 본 실시예의 하부케이스(321)는, 측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제1지지대(370)와 제2지지대(380)에 의해 그 측방향 양측이 상부방향으로 지지된다. 이와 같이 지지대(370,380)에 의해 지지되는 하부케이스(321)는, 바닥부(17)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부케이스(321)는, 설정위치, 즉 하부케이스(321) 내부에 설치된 하부가열부(323)의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연소 및 하부케이스(321)와 유로연결부재(330,330a) 간의 원활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설정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이하, 제1지지대(370)와 제2지지대(38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1지지대(370)는 제1결합부(371)와 제1지지부(373) 및 제1저지부(375,376)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결합부(371)는, 바닥부(17)와 나란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바닥부(17)의 상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제1지지부(373)는, 제1결합부(371)와 연결되어 바닥부(17) 상에 설치되고, 바닥부(17)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하부케이스(321)의 저면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면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제1지지부(373)는 ┌┐ 형상의 단면을 갖는 형태로 형성되고, 제1결합부(371)는 제1지지부(373)의 양측 하단부에 각각 제1지지부(373)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1저지부(375,376)는, 제1지지부(373)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1저지부(375,376)는, 설정위치에 위치한 하부케이스(321)의 좌측 측벽부(321b)에 간섭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제1저지부(375,376)는, 제1지지부(373)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세로방향의 차단벽을 형성하는 저지판(375), 및 이 저지판(375)을 제1지지부(373)에 상하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판(376)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지지부(373)의 일부분을 절개 및 절곡함으로써 상기 제1저지부(375,376)의 형성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제1지지부(373)의 일부분이 ㄷ 형상으로 절개되어 연결판(376)이 형성되고, 이와 같이 형성된 연결판(376)의 일부분이 상부방향으로 절곡되어 저지판(375)이 형성된다.
이때 연결판(376)은 제1지지부(373)와 연결된 일측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연결판(376)에 연결된 저지판(375)은 하부방향으로 작용하는 가압력에 의해 그 위치가 하부방향으로 변화될 수 있고, 작용하던 가압력이 사라지면 다시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탄성 변형될 수 있게 마련되는 연결판(376)은, 하부케이스(321)의 좌측 부분을 상부방향으로 밀어 올리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결판(376)은, 하부케이스(321)의 좌측 부분을 상부방향으로 가압하여 하부케이스(321)와 하면부(13) 간의 밀착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하부케이스(321)와 하면부(13) 사이의 틈을 통한 열기의 누출 및 하부케이스(321)의 덜컹거림 발생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도 12 및 도 14를 참조하면, 제2지지대(380)는 제2결합부(381)와 연결부(382)와 제2지지부(383) 및 제2저지부(385)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결합부(381)는 바닥부(17)와 나란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바닥부(17)의 상부에 결합되며, 제2지지부(383)는 제2결합부(381)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제2지지부(383)는, 연결부(382)로부터 하부케이스(321)의 삽입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바닥부(17)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하부케이스(321)의 저면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면을 형성한다.
제2저지부(385)는, 제2지지부(383)로부터 상부방향으로 돌출되어 설정위치에 위치한 하부케이스(321)의 개방부(O) 맞은편 측부, 즉 우측 측벽부(321b)와 간섭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직사각형의 금속 판재를 복수 회 절곡함으로써 제2지지대(380)의 형성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제2결합부(381)의 형성 위치를 기준으로, 직사각형의 금속판재를 상부방향으로 절곡하면 제2결합부(381)와 연결부(382) 간의 경계가 형성되고, 연결부(382)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금속판재를 하부방향으로 절곡하면 연결부(382)와 제2지지부(383) 간의 경계가 형성되며, 제2지지부(383)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금속판재를 상부방향으로 절곡하면 제2지지부(383)와 제2저지부(385) 간의 경계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382)는, 제2결합부(381)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하부케이스(321)의 삽입방향, 즉 개방부(O) 맞은편을 향한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연장된다. 이와 같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연결부(382)는, 하부케이스(321)의 삽입이 이루어질 때, 하부케이스(321)가 제2지지부(383) 측으로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안내면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경사지게 연장되는 연결부(382)는, 제2결합부(381)와 연결된 일측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된 연결부(382)는, 제2지지부(383)를 상부방향으로 밀어 올리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탄성력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밀어 올려지는 제2지지부(383)는, 제2지지부(383)에 의해 지지되는 하부케이스(321)의 우측 부분을 상부방향으로 가압하여 하부케이스(321)와 하면부(13) 간의 밀착도를 증가시킴으로써, 하부케이스(321)와 하면부(13) 사이의 틈을 통한 열기의 누출 및 하부케이스(321)의 덜컹거림 발생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게 된다.
[하부가열유닛의 삽입 및 인출 가능한 설치 구조]
도 15는 도 12에 도시된 하부가열유닛이 부분적으로 인출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G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7은 도 15의 G부분을 다른 방향으로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도 18은 도 15의 H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19는 도 15에 도시된 하부가열유닛의 인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하부가열유닛(320)의 삽입 및 인출 가능한 설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하부가열유닛(320)은 하부공간부(33)에 삽입되어 설정위치에 고정됨으로써, 조리실(31)의 외측 하부에 설치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설정위치에 설치된 하부가열유닛(320)의 설치 구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설정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부공간부(33)에 삽입된 하부케이스(321)의 좌측 부분에서는, 제1지지대(370)에 의해 이루어지는 지지 구조와, 하부케이스(321)와 제1유로연결부재(330) 간의 결합 구조, 및 제1유로연결부재(330)와 좌측 측면부(15) 간의 결합 구조가 확인된다.
먼저 제1지지대(370)에 의해 이루어지는 지지 구조를 살펴보면, 설정위치에 위치하도록 삽입된 하부케이스(321)의 좌측 부분의 저면은 제1지지대(370)의 제1지지부(373) 또는 연결판(376)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지지된다. 그리고 하부케이스(321)의 좌측 측벽부(321b)는 좌측 측벽부(321b)의 측방향 외측에서 세로방향의 차단벽을 형성하는 저지판(375)에 의해 가로막히며, 이에 따라 설정위치에 설치된 하부케이스(321)의 개방부(O)측으로의 이동이 저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하부케이스(321)와 제1유로연결부재(330) 간의 결합 구조를 살펴보면, 제1유로연결부재(330)는 하부케이스(321)의 측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하부가열유닛(320)이 측방향으로 인출되기 위한 하부공간부(33)와 측부공간부(35) 사이의 통로는, 이와 같이 설치된 제1유로연결부재(330)에 의해 막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제1유로연결부재(330)의 하측 단부, 즉 제1덕트부(331)의 하측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결합부(335)는, 좌측 측벽부(321b)와 나란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좌측 측벽부(321b) 측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335)는, 서로 맞대어진 좌측 측벽부(321b)와 저지판(375) 사이에 억지 끼움되는 형태로 제1유로연결부재(330) 및 제1지지대(37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좌측 측벽부(321b)에는 좌측 측벽부(321b)와 저지판(375) 사이에 결합부(335)가 억지 끼움되면서 세 부재가 서로 맞대어진 결합 구조가 형성된다. 이러한 결합 구조에서는, 체결부재에 의한 결합 없이도 제1유로연결부재(330)의 하단부가 좌측 측벽부(321b)와 저지판(375) 사이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맞대어진 세 부재 중 좌측 측벽부(321b)와 결합부(335) 간에만 체결부재를 이용한 고정 결합이 이루어지고, 저지판(375)과 좌측 측벽부(321b) 및 저지판(375)과 결합부(335) 간에는 체결부재를 이용한 고정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 하부케이스(321)와 제1지지대(370)와 제1유로연결부재(33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면, 체결부재를 풀어낼 필요 없이 저지판(375)을 치워내는 것만으로 하부가열유닛(320)의 인출이 가능하게 될뿐 아니라, 제1유로연결부재(330)를 잡아 끄는 것만으로 하부가열유닛(320)의 인출이 가능해지게 된다.
다른 예로서, 좌측 측벽부(321b)에서는 좌측 측벽부(321b)와 저지판(375)과 결합부(335)가 서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맞대어진 세 개의 부재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형태로 하부케이스(321)와 제1지지대(370) 및 제1유로연결부재(330) 간의 고정 결합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제1유로연결부재(330)와 좌측 측벽부(321b) 간의 결합은, 제1지지대(370)와 무관한 위치에서 서로 직접적으로 맞대어진 결합부(335)와 좌측 측벽부(321b) 간의 직접적인 결합을 더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유로연결부재(330)와 좌측 측벽부(321b) 간의 결합은, 서로 맞대어진 좌측 측벽부(321b)와 저지판(375)과 결합부(335)가 억지 끼움에 의해 결합되거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는 결합 구조와, 서로 직접적으로 맞대어진 결합부(335)와 좌측 측벽부(321b)가 직접적으로 결합되는 결합 구조를 포함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유로연결부재(330)와 좌측 측면부(15) 간의 결합 구조를 살펴보면, 결합부(335)의 일부분,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덕트부(333)의 상측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결합부(335)가 클립부재(340)에 의해 측면부(15)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덕트부(333)의 나머지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결합부(335)는,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1유로연결부재(330)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고정에 의해, 측면부(15) 측으로 밀착되는 방향의 가압력을 받게 되며, 이에 따라 체결부재를 이용한 체결 작업 없이도 측면부(15)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제1유로연결부재(330)와 좌측 측면부(15) 간의 결합은 체결부재를 이용한 결합을 포함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제1유로연결부재(330)와 좌측 측면부(15) 간의 밀착도가 향상되면서 제1유료연결부재(330)가 좌측 측면부(15)에 더욱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2 및 도 14를 참조하면, 설정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부공간부(33)에 삽입된 하부케이스(321)의 우측 부분에서는, 제2지지대(380)에 의해 이루어지는 지지 구조와, 제2유로연결부재(330a)와 우측 측면부(15) 간의 결합 구조가 확인된다.
먼저, 제2지지대(380)에 의해 이루어지는 지지 구조를 살펴보면, 설정위치에 위치하도록 삽입된 하부케이스(321)의 우측 부분의 저면은 제2지지대(380)의 제2지지부(383)에 의해 상부방향으로 지지된다. 그리고 하부케이스(321)의 우측 측벽부(321b)는, 우측 측벽부(321b)의 측방향 외측에서 세로방향의 차단벽을 형성하는 제2저지부(385)에 의해 가로막히게 된다.
이에 따라 설정위치에 설치된 하부케이스(321)의 개방부(O) 맞은편측으로의 이동이 저지되므로, 하부공간부(33)의 내부로 밀어 넣어진 하부케이스(321)의 위치가 설정위치로 안내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하부케이스(321)와 제2유로연결부재(330a) 간의 결합 구조를 살펴보면, 제2유로연결부재(330a)는 하부케이스(321)의 측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하부가열유닛(320)이 측방향으로 인출되기 위한 하부공간부(33)와 측부공간부(35) 사이의 통로는, 이와 같이 설치된 제2유로연결부재(330a)에 의해 막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제2유로연결부재(330a)의 하측 단부, 즉 제1덕트부(331)의 하측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결합부(335)는, 우측 측벽부(321b)와 나란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우측 측벽부(321b) 측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결합부(335)는, 서로 맞대어진 우측 측벽부(321b)와 제2지지부(383) 사이에 억지 끼움되는 형태로 제2유로연결부재(330a) 및 제2지지대(38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하부케이스(321)의 우측 부분에서 형성되는 우측 측벽부(321b)와 제2유로연결부재(330a) 간의 결합 구조가 하부케이스(321)의 좌측 부분에서 형성되는 좌측 측벽부(321b)와 제1유로연결부재(330) 간의 결합 구조와 다른 것은, 하부케이스(321)와 제2유로연결부재(330a) 간의 고정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즉 제2저지부(385)와 맞대어진 제2유로연결부재(330a)의 하단측 결합부(335)는, 우측 측벽부(321b)와 제2저지부(385) 중 어느 것과도 고정되게 결합되지 않거나, 우측 측벽부(321b)를 제외한 제2저지부(385)와만 체결부재를 이용한 고정 결합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결합 구조는, 하부가열유닛(320)의 인출을 고려하여 설계된 것으로서, 만약 우측 측벽부(321b), 즉 하부케이스(321)의 우측 측면과 제2유로연결부재(330a)가 서로 고정되게 결합된다면, 하부가열유닛(320)의 인출을 위해 오븐부(30) 양측을 모두 개방해야 하고 양측에 설치된 제2유로연결부재(330a) 모두를 하부가열유닛(320)으로부터 분리시켜야 하는 등, 하부가열유닛(320)의 인출 작업이 좀 더 복잡해지고 까다로워질 수 있음을 고려한 결과이다.
다음으로 제2유로연결부재(330a)와 우측 측면부(15) 간의 결합 구조를 살펴보면, 결합부(335)의 일부분,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덕트부(333)의 상측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결합부(335; 도 9 참조)가 클립부재(340; 도 10 참조)에 의해 측면부(15)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만약 제2유로연결부재(330a)의 하단측 결합부(335)가 제2저지부(385)에 고정되게 결합된다면, 제2덕트부(333)의 나머지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결합부(335)는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2유로연결부재(330a)의 상단부 및 하단부의 고정에 의해, 우측 측면부(15) 측으로 밀착되는 방향의 가압력을 받게 되며, 이에 따라 체결부재를 이용한 체결 작업 없이도 측면부(15)에 안정적으로 밀착될 수 있게 된다.
하부가열유닛(320)과 제2유로연결부재(330a)의 설치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오븐부(30)의 우측 부분에서 제2유로연결부재(330a)의 설치를 진행하되, 가장 먼저 제2유로연결부재(330a)의 상단부에 위치한 결합부(335)를 클립부재(340)에 끼워 제2유로연결부재(330a)의 상단부를 임시적으로 고정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클립부재(340)와 제2유로연결부재(330a) 간의 결합에 의해, 제2유로연결부재(330a)의 상하방향 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제2유로연결부재(330a)의 하단부에 위치한 결합부(335)가 제2저지부(385)에 맞대어진 상태에서, 이들 부재를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면, 오븐부(30)의 우측 부분에서의 제2유로연결부재(330a)의 설치가 완료된다.
오븐부(30)의 우측 부분에서의 제2유로연결부재(330a)의 설치가 완료되면, 개방부(O)를 통해 하부가열유닛(320)을 측방향으로 밀어 넣음으로써, 하부가열유닛(320)이 하부공간부(33)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한다.
하부가열유닛(320)이 슬라이딩되다가 하부케이스(321)와 연결부(382)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위치를 통과하게 되면, 하부가열유닛(320)은 연결부(382)에 형성된 경사면을 타고 제2지지부(383)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하부가열유닛(320)의 슬라이딩 경로 상에 위치한 경사진 연결부(382)가 하부가열유닛(320)의 제2지지부(383) 측으로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도 18 참조).
하부가열유닛(320)이 설정위치까지 삽입되면, 제2저지부(385)와 우측 측벽부(321b) 간의 간섭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하부가열유닛(320)의 더 이상의 슬라이딩이 저지되고, 하부가열유닛(320)의 삽입이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하부가열유닛(320)의 삽입이 완료되면,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부(30)의 좌측 부분에서 제1유로연결부재(330)의 설치를 진행하되, 먼저 제1유로연결부재(330)의 상단부에 위치한 결합부(335)를 클립부재(340)에 끼워 제1유로연결부재(330)의 상단부를 임시적으로 고정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클립부재(340)와 제1유로연결부재(330) 간의 결합에 의해, 제1유로연결부재(330)의 상하방향 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유로연결부재(330) 상단부의 임시적인 고정 및 제1유로연결부재(330)의 상하방향 위치 안내가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좌측 측벽부(321b)와 저지판(375)과 결합부(335)가 서로 맞대어지도록 제1유로연결부재(330)의 하단부를 하부케이스(321) 측으로 밀착시킨다.
그런 다음, 서로 맞대어진 좌측 측벽부(321b)와 저지판(375)과 결합부(335)를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한편, 그와 다른 위치에서 서로 직접적으로 맞대어진 좌측 측벽부(321b)와 결합부(335)를 체결부재로 고정시키면, 하부케이스(321)의 좌측 부분에서의 하부케이스(321)와 제1유로연결부재(33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하부케이스(321)의 우측에서는 하부케이스(321)와 제2유로연결부재(330a) 간의 고정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지만, 우측 측벽부(321b)가 제2유로연결부재(330a)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가압력이 작용되도록, 하부케이스(321)의 좌측에서 좌측 측벽부(321b)와 저지판(375) 또는 좌측 측벽부(321b)와 제1유로연결부재(33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면, 하부케이스(321)의 우측과 제2유로연결부재(330a) 간의 밀착도가 향상되어 하부케이스(321)의 우측과 제2유로연결부재(330a) 사이의 틈을 통한 열기의 누출 발생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된 하부가열유닛(320)의 인출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부(30)의 좌측에 설치된 외부패널(18) 및 가스켓 케이스(19)를 본체(10)로부터 분리하여 측부공간부(35)가 오븐부(30)의 외부로 개방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클립부재(340; 도 10 참조)와 결합되어 있던 제1유로연결부재(330)의 상단측을 클립부재(340)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제1유로연결부재(330)와 좌측 측면부(15) 간의 결합을 해제시킨다.
그런 다음,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지판(375)을 하부방향으로 끌어내려 하부케이스(321)의 이동을 저지하는 장애물이 치워지도록 한 후, 하부케이스(321)를 끌어당겨 준다.
만약, 하부케이스(31)과 저지판(375) 및 제1유로연결부재(330)가 체결부재에 의해 함께 고정되게 결합되어 있는 상태라면, 체결부재를 이들로부터 풀어내어 이들 간의 결합을 해제시켜 준다.
이에 따라 하부가열유닛(320)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븐부(30)의 우측에 설치되어 있는 제2유로연결부재(330a)와 분리되면서 하부공간부(33) 내부로부터 빠져 나오는 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하부가열유닛(320)의 오븐부(30)의 내부로부터 완전히 빠져 나오게 되면, 하부가열유닛(320)의 인출이 완료된다.
이때 전 과정에서 해제된 제1지지대(370)와 하부케이스(321) 및 제1유로연결부재(330) 간의 결합과 무관하게, 제1유로연결부재(330)를 하부케이스(321)에 고정시키는 결합이 유지되어 있다면, 제1유로연결부재(330)는 하부가열유닛(320)에 결합된 상태로 하부가열유닛(320)과 함께 오븐부(30) 내부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이 경우, 하부케이스(321)를 잡기 위해 오븐부(30) 내부로 손을 깊숙이 넣을 필요 없이, 측부공간부(35) 상에 노출된 제1유로연결부재(330)를 잡아 끄는 것만으로 하부가열유닛(320)을 쉽게 끌어낼 수 있으므로, 하부가열유닛(320)의 인출이 좀 더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하부가열유닛(320)의 유지보수를 위해, 종래에는 조리실(31)의 하면부(13)를 조리실(31)로부터 착탈 가능한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하거나, 본체(1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17)를 분리 가능한 형태로 구성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왔다.
그러나 조리실(31)의 하면부(13)를 조리실(31)로부터 착탈 가능한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 조리기기 내부의 미관이 저해되고, 틈새로 이물질이 끼게 되어 위생 상으로 좋지 않을 뿐 아니라, 하부가열유닛(320)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조리실(31) 내부를 향해 몸을 숙여야 하고 작업 시야도 확보되기 어려운 등, 유지보수 작업에 여러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본체(1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부(17)를 분리 가능한 형태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조리기기를 뒤집어야만 하부가열유닛(320)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이 가능하게 되므로, 유지보수 작업이 매우 힘들고 어려워지게 될 뿐 아니라, 조리기기를 뒤집는 과정에서 조리기기의 파손이 발생되거나 작업자가 부상을 입는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크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조리실(31)의 하면부(13)를 분리하거나 조리기기를 뒤집을 필요 없이,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리기기의 측부를 통해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 하부가열유닛(320)의 설치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하부가열유닛(320)의 수리 또는 교체가 필요할 경우 조리기기의 측부를 통해 쉽고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부가열유닛(320)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이 쉽고 빠르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조리실(31)의 하면부(13)를 분리하거나 조리기기를 뒤집을 필요 없이 하부가열유닛(320)을 삽입 또는 인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실(31)의 바닥면이 매끄럽고 평편한 표면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향상된 미관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유지보수 작업 과정에서 조리기기의 파손 및 안전사고의 발생 위험성을 낮추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바닥부의 구조]
도 20은 도 1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20을 참조하면, 제1가열유닛(310)은 조리실(31)의 후방측에 설치되고, 조리실(31)의 후방측과 인접한 바닥부(17)의 후방측에는 공기유입공(17a)이 형성된다.
공기유입공(17a)은, 바닥부(17)의 후방측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외부공기가 제1가열유닛(310)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
이에 따르면, 외부공기가 공기유입공(17a)을 통해 본체(10)의 내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하부공간부(33) 내부로 유입되고, 하부공간부(33)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 중 일부분은 하면부(13)의 후방측에 형성된 홀(미도시)을 통해 제1가열유닛(3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제1가열유닛(310)의 내부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제1가열유닛(310)의 내부에 구비된 제1가열부(313; 도 4 참조)의 안정적인 연소를 위한 2차공기로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유입공(17a)을 통해 본체(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 나머지 일부분은 하부공간부(33) 내부를 유동하게 된다.
아울러, 하부가열유닛(320)의 바닥면, 즉 저면부(321a)와 바닥부(17) 사이에는, 복수 개의 흐름유도부재(390)가 측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각각의 흐름유도부재(390)는, 하부가열유닛(320)의 바닥면과 바닥부(17) 사이의 공간, 즉 하부공간부(33)를 측방향으로 구획하는 측벽 형태로 마련된다. 그리고 인접한 한 쌍의 흐름유도부재(390) 사이에는 저면부(321a)에 관통되게 형성된 관통홀(322)과 공기유입공(17a) 사이를 연결하는 전후방향의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흐름유도부재(390)는, 관통홀(322)과 공기유입공(17a) 사이를 연결하는 전후방향의 유로가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유입공(17a)을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 중 하부공간부(33) 내부를 유동하는 일부분의 흐름을 공기유입공(17a)보다 전방측에 위치한 관통홀(322) 측으로 유도하는 작용을 한다.
이로써 하부가열유닛(320)의 내부에 구비된 하부가열부(323)의 안정적인 연소를 위한 2차공기의 공급이 촉진될 수 있게 되므로, 하부가열유닛(320)의 연소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흐름유도부재(390)는, 바닥부(17)에 결합되어 바닥부(17)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구조물 역할을 함으로써, 바닥부(17)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바닥부(17)의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작용을 할 수도 있다.
[제1가열유닛과 하부가열유닛의 연소 제어]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연소 제어 과정의 일례를 보여주는 흐름도이고,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에서 형성되는 열기 흐름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연소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의 오븐부(30)는 그 내부에 두 개의 가열유닛을 구비하며, 이 중 하나인 제1가열유닛(310)은 조리실(31) 내부에서 조리실(31) 내부를 순환하는 열기의 순환 흐름을 발생시키는 형태로 동작되고, 다른 하나인 하부가열유닛(320)은 조리실(31)의 하부에서 열기를 발생시키는 형태로 동작된다.
상기와 같은 두 개의 가열유닛을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동작될 수 있다.
먼저, 조리실(31) 내부에 대한 가열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제1가열유닛(310)과 하부가열유닛(320)을 동시에 작동시키는 동시동작단계(S1)를 실시한다.
이러한 동시동작단계(S1)에서는, 제1가열부(313)의 연소와 하부가열부(323)의 연소가 함께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조리실(31) 내부에서는, 제1가열유닛(310)의 동작에 의해 열기가 조리실(31) 내부를 순환하는 열기의 순환 흐름이 발생되는 동시에, 하부가열유닛(320)에 의해 발생된 열기가 유로연결부재(330,330a)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유로(c)를 통해 조리실(31)의 측부에서 토출되는 열기의 유동이 함께 발생된다.
이때 조리실(31)의 측부, 즉 제2토출구(b)를 통해 토출된 열기는, 제1가열유닛(310)의 동작에 의해 발생된 열기의 흐름, 즉 조리실(31) 내부를 순환하는 열기의 순환 흐름과 합류한다. 이에 따라 조리실(31)의 내부에서는 제1가열유닛(310)의 연소 동작에 의해 생성된 열기와 하부가열유닛(320)의 연소 동작에 의해 생성된 열기가 함께 합쳐져 조리실(31)의 내부를 순환하게 되므로, 조리실(31) 내 온도 상승이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제1가열유닛(310)과 하부가열유닛(320)을 동시에 동작시키는 동작 제어를 통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조리실(31) 내의 온도를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조리실(31)의 초기 예열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하부가열유닛(320)의 연소 동작에 의해 생성된 열기가 토출되기 위한 통로를 조리실(31) 상에 형성하는 제2토출구(b)는, 측면부(15) 상에 형성되되, 조리실(31)의 바닥면에 인접한 하부측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하부가열유닛(320)에 의해 생성된 열기는, 조리실(31)의 측부를 통해 조리실(31) 내로 토출되되, 조리실(31)의 바닥면 측에 인접한 하부에서 조리실(31) 내로 토출된다.
이와 같이 토출되는 열기는, 조리실(31) 내부를 순환하는 열기의 순환 흐름과 합류하여 조리실(31) 내 전체를 순환하게 되지만, 상기 열기의 순환 흐름과 합류하기 전, 즉 제2토출구(b)를 통해 조리실(31) 내로 토출된 직후에는, 조리실(31)의 바닥면을 따라 유동하는 유동 흐름을 먼저 보이게 된다.
따라서 조리실(31) 내에 위치한 음식물에는, 조리실(31) 내부 전체를 순환하는 열기의 순환 흐름과 함께 조리실(31)의 바닥면을 따라 유동하는 열기의 흐름이 함께 작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음식물의 바닥면에는, 조리실(31) 내부 전체를 순환하는 열기의 작용에 더하여 조리실(31)의 바닥면을 따라 유동하는 열기의 작용이 더해지게 된다. 더욱이 음식물의 바닥면에는, 제2토출구(b)를 통해 토출되는 열기뿐 아니라 하부가열부(323)의 연소로 인해 가열된 하면부(13), 즉 조리실(31)의 바닥면을 통해 대류 형태로 전달되는 열 또한 추가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식물의 바닥면에는 음식물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열량의 열이 가해지게 되는 집중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제1가열유닛(310)과 하부가열유닛(320)을 동시에 동작시키는 동작 제어를 통해, 조리실(31) 전체를 고르게 가열하면서 조리실(31) 내의 온도를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음식물의 바닥면에 대한 집중 가열 기능도 함께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동시동작단계(S1)가 설정된 시점까지 진행된 후에는, 제1가열유닛(310)과 하부가열유닛(320) 중 어느 하나만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부분동작단계(S2)를 실시한다.
일례로서, 부분동작단계(S2)는 제1가열유닛(310)만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조리실(31) 내부에서는 제1가열유닛(310)의 동작에 의해 열기가 조리실(31) 내부를 순환하는 열기의 순환 흐름만이 발생되는 가열이 이루어지고, 하부가열유닛(320)에서 생성된 열기가 조리실(31) 측부를 통해 토출되는 형태의 가열은 중단된다.
이러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부분동작단계(S2)는, 음식물 전체에 대한 고른 조리가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고 음식물 바닥면에 대한 집중 가열의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음식물에 대한 조리가 진행될 경우에 선택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동시동작단계(S1)를 먼저 진행하여 조리실(31) 내의 온도를 음식물의 조리에 적합한 온도로 신속하게 상승시킨 후, 제1가열유닛(310)만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부분동작단계(S2)를 진행하는 형태로 음식물 조리를 실시함으로써,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키면서도 음식물 전체를 균일하게 가열하는 조리를 실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부분동작단계(S2)는 하부가열유닛(320)만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조리실(31) 내부에서는 하부가열유닛(320)에서 생성된 열기가 조리실(31) 측부를 통해 토출되는 형태의 가열만이 이루어지고, 제1가열유닛(310)의 동작에 의한 가열은 중단된다.
이러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부분동작단계(S2)는, 피자 등과 같이 음식물 바닥면에 대한 집중 가열이 필요한 음식물에 대한 조리가 진행될 경우에 선택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동시동작단계(S1)를 먼저 진행하여 조리실(31) 내의 온도를 음식물의 조리에 적합한 온도로 신속하게 상승시킨 후, 음식물 조리에 필요한 조리실(31) 내 온도가 어느 정도 유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하부가열유닛(320)만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부분동작단계(S2)를 진행하는 형태로 음식물 조리를 실시함으로써, 피자 등과 같은 음식물의 바닥면이 좀 더 바삭한 형태로 조리되도록 음식물의 바닥면을 집중적으로 가열하는 기능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가열유닛(310)과 하부가열유닛(320)의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컨벡션팬(317)의 동작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가 하부가열부(323)의 연소에 영향을 미쳐 하부가열부(323)에서 형성되는 화염이 흔들리거나 하부가열부(323)에서의 완전 연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등, 하부가열부(323)의 연소가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나타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동시동작단계(S1)가 진행되는 동안 하부가열부(323)의 연소 불안정 문제가 나타날 수 있는 시점에서 연소 동작을 부분동작단계(S2)로 전환하고, 이를 통해 제1가열유닛(310)의 동작을 중단하고 하부가열유닛(320)의 동작만이 진행되도록 한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컨벡션팬(317)의 동작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가 하부가열부(323)의 연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고, 이를 통해 하부가열부(323)의 연소가 안정화되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가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부분동작단계(S2)는 제1가열유닛(310)의 동작과 하부가열유닛(320)의 동작이 교번되게 이루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부분동작단계(S2)에서는, 제1가열유닛(310)과 하부가열유닛(320)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이 먼저 이루어진 후 나머지 다른 하나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과정이 반복된다.
이러한 형태로 부분동작단계(S2)를 실시하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제1가열유닛(310)의 동작이 하부가열유닛(320)의 연소에 영향을 주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음식물 전체에 대한 균일 가열 기능 및 음식물의 일부분에 대한 집중 가열 기능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예로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동시동작단계(S1)와 부분동작단계(S2)가 교번되게 이루어지는 형태로 제1가열유닛(310)과 하부가열유닛(320)에 대한 동작 제어를 실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설정된 시점까지 동시동작단계(S1)가 진행된 후 부분동작단계(S2)가 진행되고, 다시 동시동작단계(S1)와 부분동작단계(S2)의 교번이 반복되는 형태로 조리실(31) 내부에 대한 가열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1가열유닛(310)과 하부가열유닛(320)에 대한 동작 제어는, 동시동작단계(S1)에서 부분동작단계(S2)로 전환되는 시점이 조리실(31) 내부의 온도에 종속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시동작단계(S1)가 진행되다가 조리실(31)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부분동작단계(S2)가 진행되는 형태로 제1가열유닛(310)과 하부가열유닛(320)에 대한 동작 제어가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조리기기의 연소 동작 제어가 이루어지게 되면, 동시동작단계(S1) 진행을 통해 조리실(31)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까지 신속하게 상승시킨 후 부분동작단계(S2)를 통해 조리실(31)의 온도를 조절하여 불필요한 에너지의 소모를 줄일 수 있으므로, 에너지의 불필요한 소모를 줄이면서도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제1가열유닛(310)의 동작을 중단하고 하부가열유닛(320)의 동작만이 진행되는 형태로 부분동작단계(S2)가 실시되면, 하부가열부(323)의 연소를 안정화시키는 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의 연소 제어방법에 따르면, 에너지의 불필요한 소모를 줄이면서도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리실(31) 전체를 고르게 가열하여 조리물 전체를 균일하게 조리할 수 있는 균일 가열 기능과 음식물의 바닥면에 대한 집중 가열 기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1 : 배면부
13 : 하면부
15 : 측면부
17 : 바닥부
17a : 공기유입공
18 : 외부패널
19 : 가스켓 케이스
20 : 쿡탑부
21 : 쿡탑가열부
30 : 오븐부
31 : 조리실
32 : 도어
32a : 핸들
33 : 하부공간부
35 : 측부공간부
50 : 전장실
51 : 컨트롤패널
52 : 입력부
310 : 제1가열유닛
311 : 팬커버
311a : 흡기구
311b : 배기구
313 : 제1가열부
315 : 버너커버
316 : 리플렉팅 플레이트
317 : 컨벡션팬
318 : 컨벡션모터
320 : 하부가열유닛
321 : 하부케이스
321a : 저면부
321b : 측벽부
321c : 가이드홈
321d : 접촉면부
322 : 관통홀
323 : 하부가열부
325 : 가이드플레이트
327 : 에어가이드
328 : 통과홀
330 : 유로연결부재
331 : 제1덕트부
333 : 제2덕트부
335 : 결합부
340 : 클립부재
350 : 열기안내부
360 : 가이드돌기부
370 : 제1지지대
371 : 제1결합부
373 : 제1지지부
375 : 저지판
376 : 연결판
380 : 제2지지대
381 : 제2결합부
382 : 연결부
383 : 제2지지부
385 : 제2저지부
390 : 흐름유도부재
a : 제1토출구
b : 제2토출구
c : 가이드유로
O : 개방부

Claims (10)

  1.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며, 상기 조리실의 후방 경계면을 규정하는 배면부와 상기 조리실의 하방 경계면을 규정하는 하면부 및 상기 조리실의 측방 경계면을 규정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바닥과 상기 조리실 사이에 상기 조리실과 구분된 공간을 형성하는 하부공간부;
    상기 하부공간부에 설치되는 하부가열유닛; 및
    상기 하부가열유닛과 상기 조리실 사이를 연결하는 유로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공간부에는, 상기 본체의 바닥과 상기 조리실 사이에서 상기 하부공간부를 외부로 개방하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가열유닛은,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하부공간부에 삽입되거나 상기 하부공간부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하부가열유닛은,
    열기를 발생시키는 하부가열부; 및
    상기 하부가열부가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본체 외부로부터 상기 개방부를 통해 상기 하부공간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하부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의 측면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측벽부, 및 상기 측벽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를 외부로 개방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1토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부에는, 상기 조리실의 내부를 외부로 개방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2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연결부재는, 상기 본체 및 상기 하부케이스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토출구와 상기 제2토출구 사이를 연결하는 가이드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1토출구는, 상기 개방부 측에 배치되는 상기 측벽부와 상기 개방부 맞은편에 배치되는 상기 측벽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토출구는,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측면부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유로연결부재는, 상기 개방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유로를 형성하는 제1유로연결부재, 및 상기 개방부 맞은편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유로를 형성하는 제2유로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로연결부재는, 상기 개방부측에서 상기 측면부 및 상기 측벽부와 각각 고정되게 결합되어 상기 하부케이스를 상기 본체에 고정시키고
    상기 제2유로연결부재는, 상기 개방부 맞은편에서 상기 측면부와는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측벽부와는 분리 가능하게 접촉되는 조리기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조리실과 구분된 공간을 상기 조리실의 측부에 형성하는 측부공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방부는, 상기 하부공간부와 상기 측부공간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공간부와 상기 측부공간부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하부공간부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리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부는, 상기 배면부와 상기 측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일체로 연결되게 형성되어 상기 조리실과 상기 하부공간부 사이를 구획하는 조리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측벽부의 상부에서 상기 하면부와의 접촉면을 형성하는 접촉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촉면부는, 상기 측벽부의 상단부에서 절곡되어 상기 하면부와 나란한 평면을 형성하는 조리기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연결부재는, 상기 조리실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유로를 외측에서 둘러싸는 외벽을 형성하는 덕트부, 및 상기 덕트부를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기 측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유로는, 상기 덕트부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서 상기 제1토출구와 상기 제2토출구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조리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측면부 또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측면과 맞닿는 상기 덕트부의 테두리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측면부 또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측면과 나란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면부 또는 상기 하부케이스와 면접촉되며 결합되는 조리기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를 상기 측면부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측면부에 밀착시키는 클립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측부에 마련되어 상기 조리실과 구분된 공간을 상기 조리실의 측부에 형성하는 측부공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방부는, 상기 하부공간부와 상기 측부공간부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하부공간부와 상기 측부공간부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하부공간부에 측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개방부 및 상기 측부공간부를 통해 상기 하부공간부로부터 인출되고,
    상기 제1유로연결부재는, 상기 하부케이스가 인출될 때 상기 하부케이스와 함께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조리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하부공간부의 하방 경계면을 규정하는 바닥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하부공간부에 삽입된 상기 하부케이스가 설정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구비되는 조리기기.
KR1020210052667A 2018-11-26 2021-04-22 조리기기 KR102364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667A KR102364208B1 (ko) 2018-11-26 2021-04-22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880A KR102245841B1 (ko) 2018-11-26 2018-11-26 조리기기
KR1020210052667A KR102364208B1 (ko) 2018-11-26 2021-04-22 조리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880A Division KR102245841B1 (ko) 2018-11-26 2018-11-26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849A KR20210047849A (ko) 2021-04-30
KR102364208B1 true KR102364208B1 (ko) 2022-02-16

Family

ID=80474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667A KR102364208B1 (ko) 2018-11-26 2021-04-22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20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83203A (en) 1966-08-11 1970-03-04 Everson & Sons Ltd G 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vens
EP0860658B1 (de) 1997-02-21 2003-07-0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asbeheizter Backof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6234A (en) * 1997-06-30 1998-10-06 Vasan; Laxminarasimhan Convection oven
ITBO20010698A1 (it) * 2001-11-20 2003-05-20 Condor B S R L Forno domestico per cottura alla brace .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183203A (en) 1966-08-11 1970-03-04 Everson & Sons Ltd G 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Ovens
EP0860658B1 (de) 1997-02-21 2003-07-0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asbeheizter Backof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849A (ko) 202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590B1 (ko) 조리기기
US10989418B2 (en) Cooking appliance
EP3421887B1 (en) Cooking appliance
US10539331B2 (en) Cooking appliance
US11732902B2 (en) Cooking appliance and combustion control method of a cooking appliance
US9080774B2 (en) Cooker
KR101789826B1 (ko) 조리기기
KR102364208B1 (ko) 조리기기
KR102245841B1 (ko) 조리기기
KR102297341B1 (ko) 조리기기
KR102245314B1 (ko) 조리기기
EP4249810A2 (en) Cooking apparatus
EP4050265A1 (en) Cooking appliance
KR100714424B1 (ko) 오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