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341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341B1
KR102297341B1 KR1020210052002A KR20210052002A KR102297341B1 KR 102297341 B1 KR102297341 B1 KR 102297341B1 KR 1020210052002 A KR1020210052002 A KR 1020210052002A KR 20210052002 A KR20210052002 A KR 20210052002A KR 102297341 B1 KR102297341 B1 KR 1022973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cooking
cooking chamber
flow path
hea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2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7843A (ko
Inventor
이동재
김영수
박현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4787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45314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2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7341B1/ko
Publication of KR20210047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3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3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24C3/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in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24C3/12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in baking ov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며, 조리실의 후방 경계면을 규정하는 배면부와 조리실의 하방 경계면을 규정하는 하면부 및 조리실의 측방 경계면을 규정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하면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부케이스와;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열기를 발생시키는 하부가열부와; 수용공간이 형성된 하부케이스의 내부를 외부로 개방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1토출구와; 조리실의 내부를 외부로 개방하는 측방향의 통로를 형성하는 제2토출구; 및 제1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열기가 제2토출구 측으로 유동하기 위한 가이드유로를 형성하는 유로연결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이용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조리실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도어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와 도어 사이에 마련되는 도어 힌지에 의해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어 힌지를 통해 본체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조리실의 내부 공간에는 열원이 제공되어 조리실을 가열한다. 이러한 열원으로는 가스버너 또는 전기히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 중 가스버너가 열원으로 이용되는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조리실 내부의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버너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리실의 상부에는 브로일 버너(Broil burner)가 설치되고, 조리실의 하부 또는 후방에는 베이크 버너(Bake burner)가 설치된다.
또한 조리실의 후방에는 컨벡션 장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컨벡션 장치는 조리실 전체에 열이 고르게 전달되도록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며, 조리실의 후벽에 설치되는 팬커버 및 팬커버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컨벡션팬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팬커버에는 흡기구와 토출구가 마련되며, 이 중 흡기구는 도어와 마주보는 팬커버의 전면 중앙에 형성되고, 토출구는 조리실의 측면과 마주보는 팬커버의 측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컨벡션팬은 팬커버의 내부에서 회전되며 기류를 발생시키도록 동작되며, 이와 같이 동작되는 컨벡션팬은 조리실의 공기가 흡기구를 통해 팬커버 내부로 흡인되고 팬커버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가 배기구를 통해 조리실로 배출되는 공기 순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크 버너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는 베이크 버너의 설치 형태에 따라 프로 베이크(Probake) 타입 조리기기와 바텀 베이크(Bottom bake) 타입 조리기기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프로 베이크 타입 조리기기는, 베이크 버너가 조리실의 후방에 설치되는 형태로 구성되되, 베이크 버너가 컨벡션 장치 내부에 배치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러한 프로 베이크 타입 조리기기에서, 베이크 버너의 연소에 의해 컨벡션 장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은 팬커버의 내부에서 회전되며 기류를 발생시키는 컨벡션팬의 작용에 의해 조리실 전체에 고르게 전달될 수 있다.
즉 프로 베이크 타입 조리기기는, 베이크 버너에서 발생된 열이 컨벡션 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컨벡션팬의 작용에 의해 조리실 전체에 고르게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조리실 내의 음식물을 균일하게 가열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프로 베이크 타입 조리기기는, 조리실 내 음식물의 균일 가열에는 유리하지만, 음식물의 일부분을 집중적으로 가열하는 기능, 예를 들어 피자 등과 같은 음식물의 바닥면이 좀 더 바삭한 형태로 조리되도록 음식물의 바닥면을 집중적으로 가열하는 기능을 구현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와 비교하여 바텀 베이크 타입 조리기기는, 베이크 버너가 조리실의 하부에 설치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러한 바텀 베이크 타입 조리기기는, 베이크 버너에서 발생된 열이 조리실 내 음식물의 하부측으로부터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의 바닥면을 집중적으로 가열하는 기능을 구현하는 데는 유리하지만, 조리실 내의 음식물을 균일하게 가열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균일 가열 기능 및 집중 가열 기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리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며, 상기 조리실의 후방 경계면을 규정하는 배면부와 상기 조리실의 하방 경계면을 규정하는 하면부 및 상기 조리실의 측방 경계면을 규정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본체와; 상기 하면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열기를 발생시키는 하부가열부와;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를 외부로 개방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1토출구와; 상기 조리실의 내부를 외부로 개방하는 측방향의 통로를 형성하는 제2토출구; 및 상기 제1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열기가 상기 제2토출구 측으로 유동하기 위한 가이드유로를 형성하는 유로연결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로연결부재는, 상기 조리실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유로를 외측에서 둘러싸는 외벽을 형성하는 덕트부, 및 상기 덕트부를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기 측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유로는, 상기 덕트부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서 상기 제1토출구와 상기 제2토출구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덕트부는, 상기 제1토출구의 주변부를 둘러싸는 외벽을 형성하는 제1덕트부; 및 상기 제2토출구의 주변부를 둘러싸는 외벽을 형성하는 제2덕트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조리실과 구분된 공간을 상기 조리실의 하부에 형성하는 하부공간부, 및 상기 본체의 측부에 마련되며 상기 조리실과 구분된 공간을 상기 조리실의 측부에 형성하는 측부공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하부공간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덕트부는, 상기 하부공간부의 내부에서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면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와 밀착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덕트부는, 상기 측부공간부의 내부에서 상기 측면부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토출구는, 상기 측면부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수용공간의 측방 경계면을 규정하며 상기 제1토출구가 관통되게 형성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는, 상기 측면부보다 측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덕트부는, 상기 제1덕트부와 상기 제2덕트부가 "ㄴ" 형상을 이루도록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덕트부는, 상기 측벽부에 밀착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덕트부는, 상기 측면부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유로를 통해 상부방향으로 유동하는 열기의 유동방향을 상기 제2토출구를 통과하는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열기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기안내부는, 상기 측면부에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상부로 갈수록 상기 측면부와의 간격이 좁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기안내부는, 상기 측면부의 일부분이 절개된 후 상기 측면부와 연결된 상단을 중심으로 상기 측면부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토출구는, 상기 측면부에서 상기 열기안내부가 분리된 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측면부 또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측부와 맞닿는 상기 덕트부의 테두리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측면부 또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측부와 나란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면부 또는 상기 하부케이스와 면접촉되며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측면부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를 상기 측면부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측면부에 밀착시키는 클립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면부와 상기 클립부재 사이에는, 상부가 막히고 하부가 개방된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클립부재는, 끼움홈의 상부가 상기 제2토출구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측면부에 결합되고, 상기 끼움홈에 끼워진 상기 결합부의 상단부가 상기 끼움홈의 상부에 간섭되어 상기 측면부에 결합되는 상기 유로연결부재의 상하방향 위치가 안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조리실의 내부를 순환하는 열기의 순환 흐름을 발생시키는 제1가열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가열유닛은, 상기 배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에 구분된 공간을 형성하고, 흡기구와 배기구가 마련되는 팬커버와; 상기 팬커버 내부의 공간에 설치되어 열기를 발생시키는 후방가열부; 및 상기 조리실의 공기가 상기 흡기구를 통해 상기 팬커버 내부로 흡인되고 상기 팬커버 내부로 흡인되어 가열된 공기가 상기 배기구를 통해 상기 조리실로 배출되는 열기의 순환 흐름을 발생시키는 팬;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토출구를 통해 상기 조리실 내부로 토출된 열기가 상기 제1가열유닛에 의해 발생되는 열기의 순환 흐름과 합류하여 상기 조리실 내부를 순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에너지의 불필요한 소모를 줄이면서도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리실 전체를 고르게 가열하여 조리물 전체를 균일하게 조리할 수 있는 균일 가열 기능과 음식물의 바닥면에 대한 집중 가열 기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로연결부재 등과 같이 조리기기의 제조에 필요한 부품을 적은 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이들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부품 설치 구조를 취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제조에 소요되는 비용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개를 겹쳐 보관할 수 있도록 마련된 유로연결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제조에 필요한 부품의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오븐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오븐부의 각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Ⅴ-Ⅴ"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 사이드패널부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 유로연결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 하부가열유닛을 일정 부분 인출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유로연결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5의 "Ⅹ"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연소 제어 과정의 일례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에서 형성되는 열기 흐름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오븐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본체(10)의 상단부에는, 개방된 공간 즉,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도록 마련된 쿡탑부(20)가 위치한다.
쿡탑부(20)에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쿡탑가열부(21)가 위치된다.
그리고 쿡탑부(20)의 하측에는 오븐부(30)가 설치된다. 오븐부(30)의 내부공간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31)이 위치한다.
조리실(31)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조리실(31)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한다. 즉 오븐부(30)에서는,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이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다.
오븐부(30)에는, 조리실(3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32)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도어(32)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하는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조리실(31)을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32)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앞면에는 사용자가 도어(32)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 파지하도록 핸들(32a)이 설치된다. 핸들(32a)에 의해 사용자는 도어(32)를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쿡탑부(20)의 전면 즉, 도어(32)의 상측에는 컨트롤패널(51)이 마련된다. 컨트롤패널(51)은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컨트롤패널(51)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쿡탑부(20) 및 오븐부(30)를 동작시키는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52)가 제공된다.
입력부(52)에는 다수의 조작스위치가 마련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컨트롤패널(51)에는 조리기기의 동작 정보 또는 음식물의 요리 정보 등을 제공하는 표시부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표시부를 통해 선반지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체(10)의 내부 공간 즉, 쿡탑부(20)와 오븐부(30) 사이의 공간에는 전장 부품들이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전장실(50)이 형성된다. 전장실(50)의 전면에는 상기 컨트롤패널(51)이 위치하며, 실질적으로 컨트롤패널(51)이 전장실(50)의 전면을 차폐하는 구조가 이루어진다.
[오븐부의 구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오븐부의 각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오븐부(30)는 오븐부(30)의 골격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의 전방 측에 설치되어 조리실(31)을 개폐하는 도어(32), 그리고 조리실(31)의 내부에 설치되는 제1가열유닛(310)과, 조리실(31)의 외측 하부에 설치되는 제2가열유닛(32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되며, 배면부(11)와 하면부(13) 및 측면부(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배면부(11)는, 조리실(31)의 후방측에 위치한 벽면으로서,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조리실(31)의 후방 경계면을 규정한다. 이러한 배면부(11)는, 조리실(31)의 후면을 형성하는 한편, 조리실(31)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제1가열유닛(310)의 팬커버(311)가 설치되는 벽면을 형성한다.
하면부(13)는, 조리실(31)의 하방측에 위치한 벽면으로서,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조리실(31)의 하방 경계면을 규정한다. 이러한 하면부(13)는, 조리실(31)의 하부면을 형성하는 한편, 후술할 하부공간부(33)와 조리실(31) 사이를 구획하는 경계면을 형성한다.
측면부(15)는, 조리실(31)의 후방측에 위치한 벽면으로서,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조리실(31)의 측방 경계면을 규정한다. 이러한 측면부(15)는, 조리실(31)의 측면을 형성하는 한편, 후술할 측부공간부(35)와 조리실(31) 사이를 구획하는 경계면을 형성한다.
한편, 본체(10)의 내부에는 조리실(31) 외에도 하부공간부(33)와 측부공간부(35)가 형성될 수 있다.
하부공간부(33)는,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되, 조리실(31)의 외측 하부에 형성되며, 본체(10)의 바닥과 조리실(31) 사이에 조리실(31)과 구분된 공간을 형성한다. 조리실(31)과 하부공간부(33) 사이는 하면부(13)에 의해 구획되며, 이와 같이 형성된 하부공간부(33)는 후술할 제2가열유닛(320), 그리고 후술할 유로연결부재(330)의 일부 영역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측부공간부(35)는,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되, 조리실(31)의 외측 측부에 형성되며, 조리실(31)과 구분된 공간을 조리실(31)의 측부에 형성한다. 조리실(31)과 측부공간부(35) 사이는 측면부(15)에 의해 구획되며, 이와 같이 형성된 측부공간부(35)는 후술할 유로연결부재(330)의 일부 영역, 그리고 기타 오븐부(30) 관련 부품들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측부공간부(35)는 조리실(31)을 중심으로 본체(10)의 양측 측부에 각각 형성된다.
아울러, 본체(10)는 바닥부(17)와 사이드패널부(18,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17)는, 본체(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본체(10)의 바닥면을 형성하며,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하부공간부(33)의 하방 경계면을 규정한다.
그리고 사이드패널부(18,19)는, 본체(10)의 양측 측부에 각각 설치되어 본체(10)의 외측 측면을 형성하며, 본체(10)의 내부에 형성되는 각 측부공간부(35)의 외측 경계면을 규정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조리실(31) 측방향 양측에는 측부공간부(35)가 각각 형성되고, 각각의 측부공간부(35)는 상부에서 봤을 때 본체(10)에 의해 "ㄷ" 형상으로 둘러싸인 형태, 즉 본체(10)에 의해 3면이 둘러싸이고 나머지 1면이 외측방향으로 개방된 형태의 공간을 형성한다.
사이드패널부(18,19)는, 상기와 같이 개방된 본체(10)의 각 측부에 각각 설치되어 측부공간부(35)의 개방된 일측을 외측에서 덮으며 본체(10)의 측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사이드패널부(18,19)는, 외부패널(18)과 가스켓 케이스(1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외부패널(18)은 측부공간부(35)의 개방된 일측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패널 형태로 형성되며, 본체(10)의 각 측부에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외부패널(18)은, 측부공간부(35)의 개방된 일측을 외측에서 덮으며 본체(10)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며, 본체(10)의 각 측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가스켓 케이스(19)는, 측면부(15)와 외부패널(18)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배치된 가스켓 케이스(19)는, 조리실(31) 내부에 설치되는 제1가열유닛(310)과 하부공간부(33)에 설치되는 제2가열유닛(320)에서 발생되는 열기가 외부패널(18)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 기능을 제공한다. 이러한 가스켓 케이스(19)는, 외부패널(18)에 고정된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고, 외부패널(18)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제공되는 사이드패널부(18,19)는, 본체(10)의 측부에 결합되었을 때에는 측부공간부(35)의 개방된 일측을 외측에서 덮으며 본체(10)의 측면 외관을 형성하고, 필요시 본체(10)로부터 분리되어 측부공간부(35) 내부를 본체(10) 외부로 개방시킬 수 있다.
제1가열유닛(310)은, 조리실(31)의 내부에 구비되어 조리실(31) 내부에서 열기를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제1가열유닛(310)은 프로 베이크 버너 타입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1가열유닛(310)은, 조리실(31) 내부에서 열기를 발생시키되, 조리실(31) 내부를 순환하는 열기의 순환 흐름을 발생시킴으로써, 열기가 조리실(31) 내에 고르게 전달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가열유닛(310)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2가열유닛(320)은, 조리실(31)의 외측 하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하부공간부(33) 내부에 구비되어 조리실(31)의 하부에서 열기를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제2가열유닛(320)은 바텀 베이크 타입으로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2가열유닛(320)은, 조리실(31)의 하부에서 열기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열기가 조리실(31) 내 음식물의 하부측으로부터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음식물의 바닥면을 집중적으로 가열하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제2가열유닛(320)의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제1가열유닛의 구성]
제1가열유닛(310)은, 조리실(31)의 내부에 구비되며, 팬커버(311)와 제1가열부(313)와 버너커버(315) 및 컨벡션팬(317)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팬커버(311)는, 본체(10)의 후방, 좀 더 구체적으로는 조리실(31)의 후면을 형성하는 배면부(11)에 설치된다. 일례로서, 팬커버(311)는 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팬커버(311)는, 그 개방된 후면이 배면부(11)에 의해 덮이도록 배면부(11)에 결합되어, 조리실(31) 내부에 구분된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팬커버(311)에는, 흡기구(311a)와 배기구(311b)가 마련된다. 흡기구(311a)는 조리실(31)의 전방측을 향한 팬커버(311)의 전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배기구(311b)는 조리실(31)의 측면, 즉 측면부(15)를 향한 팬커버(311)의 측면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제1가열부(313)는, 팬커버(311) 내부의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가열부(313)는 조리실(31)의 후면에 설치되는 프로 베이크 버너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제1가열부(313)는 중공의 파이프가 "U" 형상의 곡선을 이루도록 연장된 형태로 마련된 버너본체의 측부에 복수 개의 염공이 형성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버너본체의 내부에는 혼합가스가 공급되는 유로가 형성되며, 염공은 버너본체 내부로 공급된 가스가 버너본체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버너본체의 측부에는 복수 개의 염공이 버너본체의 연장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써 버너본체에는 버너본체의 연장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가스 배출 통로가 마련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버너본체는 버너본체와 연결된 믹싱튜브를 통해 공기와 혼합된 가스, 즉 혼합가스를 공급받으며, 이와 같이 버너본체 내부의 유로로 공급된 혼합가스는 염공을 통해 버너본체 외부로 배출되며 연소됨으로써 제1가열부(313)의 외부, 즉 팬커버(311) 내부의 수용공간에 화염을 발생시킨다.
버너커버(315)는, 팬커버(311) 내부의 수용공간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며, 전후방향으로 분리된 형태로 마련된 한 쌍의 커버판이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버너커버(315)의 내부에는, 제1가열부(313)가 수용되는 한편 제1가열부(313)에서 발생되는 화염을 외측에서 둘러쌀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버너커버(315)는, 제1가열부(313)에서 발생되는 화염이 확산되는 영역을 제한하여 제1가열부(313)에서 발생되는 화염을 안정화시키는 한편, 화염이 팬커버(311) 및 조리실(31) 벽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용도로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는 리플렉팅 플레이트(31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리플렉팅 플레이트(316)는, 팬커버(311) 내부의 수용공간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되, 버너커버(315)와 조리실(31) 후벽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리플렉팅 플레이트(316)는, 제1가열부(313)에서 발생되는 화염에 의한 열이 조리실(31) 후벽에 전달되는 것을 일정 부분 차단함으로써, 조리실(31) 표면에 형성된 법랑 등과 같은 코팅층을 열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보호하는 용도로 설치될 수 있다.
컨벡션팬(317)은, 팬커버(311) 내부의 수용공간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컨벡션팬(317)의 동작은, 컨벡션팬(317)과 연결된 컨벡션모터(318)의 구동에 의해 컨벡션팬(317)이 회전되며 기류를 발생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작되는 컨벡션팬(317)은, 조리실(31)의 공기가 흡기구(311a)를 통해 팬커버(311) 내부의 수용공간으로 흡인되고 팬커버(311) 내부의 수용공간으로 흡인되어 가열된 공기가 배기구(311b)를 통해 조리실(31)로 배출되는 공기 순환 흐름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2가열유닛의 구성]
제2가열유닛(320)은, 조리실(31)의 하부에 구비되되, 제1가열유닛(310)이 설치된 조리실(31)과 분리된 공간, 즉 조리실(31)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공간부(33)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2가열유닛(320)은, 하부케이스(321)와 제2가열부(323) 및 가이드플레이트(3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부케이스(321)는 하부공간부(33)에 설치되며, 이러한 하부케이스(321)의 내부에는 제2가열유닛(320)을 이루는 각종 부품들이 설치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하부케이스(321)는, 상부가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내부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케이스(321)는, 하부케이스(321)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저먼부(321a), 및 저먼부(321a)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부케이스(321)의 측면을 형성하는 측벽부(321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가열부(323)는, 하부케이스(321) 내부의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조리실(31)의 하부에서 열기를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제2가열부(323)는 조리실(31)의 하부에 설치되는 바텀 베이크 버너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제2가열부(323)는, 중공의 파이프가 전후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연장된 형태로 마련된 버너본체의 측부에 복수 개의 염공이 형성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가열부(323)는 중공의 파이프가 "U" 형상의 곡선을 이루도록 연장된 형태로 마련된 버너본체의 측부에 복수 개의 염공이 형성된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제2가열부(323)와 제1가열부(313) 간의 주된 차이점은 염공의 형성 방향 및 화염 형성 위치이며, 그 외의 부분에 있어서는 제1가열부(313)와 제2가열부(323) 간의 구성상 차이점이 크지 않으므로, 제2가열부(323)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가이드플레이트(325)는, 제2가열부(323)의 상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가이드플레이트(325)는, 하면부(13)와 제2가열부(323) 사이에 배치되며, 제2가열부(323)와 하면부(13) 사이를 가로막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가이드플레이트(325)는, 제2가열부(323)에서 생성된 화염이 조리실(31)의 바닥면인 하면부(13)에 직접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고, 제2가열부(323)의 연소에 의해 생성된 열기가 하면부(13)에 간접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제2가열유닛(320)은, 제2가열부(323)의 하부에 구비되는 에어가이드(3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327)는, 하부케이스(321)의 바닥면인 저먼부(321a)와 제2가열부(323) 사이에 배치되며, 저먼부(321a)와 제2가열부(323) 사이를 가로막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에어가이드(327)는, 화염이 저먼부(321a) 측으로 퍼지는 것을 막는 차단벽을 형성함으로써 제2가열부(323)의 연소에 의해 생성된 화염이 상부측을 향해 집중적으로 작용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하부케이스(321)의 바닥면인 저먼부(321a)에는, 복수 개의 관통홀(322)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저먼부(321a)의 상부에 배치된 에어가이드(327)에는 복수 개의 통과홀(328)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관통홀(322)은, 외부공기가 하부케이스(321)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상하방향의 통로를 저먼부(321a) 상에 형성한다. 그리고 통과홀(328)은, 관통홀(322)을 통해 유입된 외부공기가 제2가열부(323) 측으로 유동하기 위한 상하방향의 통로를 에어가이드(327) 상에 형성한다. 즉 제2가열유닛(320)의 내부에는, 외부공기가 제2가열부(323) 측으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통로를 통해 제2가열부(323) 측으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제2가열부(323)의 안정적인 연소를 위한 2차공기로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관통홀(322)과 통과홀(328)은 상하방향 위치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통홀(322)과 통과홀(328)의 배치가 이루어지면, 2차공기 공급을 위한 충분한 폭의 통로를 확보할 수 있으면서도, 화염이 저먼부(321a) 측으로 퍼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는 차단벽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열기 전달 구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 사이드패널부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 유로연결부재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 제2가열유닛을 일정 부분 인출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조리실(31)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1가열유닛(310)은 조리실(31) 내부에서 열기를 발생시키되, 조리실(31) 내부를 순환하는 열기의 순환 흐름을 발생시킴으로써, 열기가 조리실(31) 내에 고르게 전달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조리실(31)의 외측 하부에 구비되는 제2가열유닛(320)은, 조리실(31)의 하부에서 열기를 발생시킴으로써, 피자 등과 같은 음식물의 바닥면이 좀 더 바삭한 형태로 조리되도록 음식물의 바닥면을 집중적으로 가열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제1가열유닛(310)을 이용하여 조리실(31) 내의 음식물을 균일하게 가열시킬 수 있는 기능과 제2가열유닛(320)을 이용하여 음식물의 바닥면을 집중적으로 가열하는 기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제2가열유닛(320)에서 발생된 열기를 조리실(31) 내에 전달함으로써, 조리실(31) 내의 온도를 좀 더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는 기능을 더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열기 전달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가열유닛(320)의 측면을 이루는 측벽부(321b)에는 제1토출구(a)가 형성되며, 조리실(31)의 측면을 이루는 측면부(15)에는 제2토출구(b)가 형성된다.
제1토출구(a)는 측벽부(321b)에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이와 같이 형성된 제1토출구(a)는 하부케이스(321)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연결하는 측방향의 통로를 형성한다. 측벽부(321b)에 관통되게 형성된 제1토출구(a)에 의해, 제2가열부(323)가 설치된 하부케이스(321)의 내부와 측부공간부(35)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토출구(b)는 측면부(15)에 측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이와 같이 제2토출구(b)는 조리실(3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는 측방향의 통로를 형성한다. 측면부(15)에 관통되게 형성된 제2토출구(b)에 의해, 조리실(31)의 내부와 측부공간부(35)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된다.
이때 제1토출구(a)와 제2토출구(b)는, 각각 측부공간부(35)와 연결되는 통로를 형성하며, 이와 같이 형성되는 제1토출구(a) 및 제2토출구(b)에 의해, 하부케이스(321)의 내부와 측부공간부(35)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 그리고 측부공간부(35)와 조리실(31) 내부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유로연결부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로연결부재(330)는, 조리실(31)의 외측에 설치되며, 제2가열유닛(320)에서 발생된 열기가 조리실(31)의 내부로 유입되기 위한 측방향의 통로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유로연결부재(33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조리실(31) 측을 향한 일측 측부가 개방된 덕트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유로연결부재(330)는, 제1토출구(a)와 제2토출구(b)의 주변부를 둘러싸는 외벽을 형성하는 형태로 조리실(31)의 외측에 설치된다. 이때 유로연결부재(330)는, 유로연결부재(330)의 하부에 해당하는 일부 영역이 하부공간부(33)에 배치되고, 유로연결부재(330)의 상부에 해당하는 나머지 영역이 측부공간부(35)에 배치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설치된 유로연결부재(330)의 내부에는, 유로연결부재(330)에 의해 형성된 외벽, 그리고 유로연결부재(330)가 결합된 측면부(15)와 하면부(13)에 의해 둘러싸인 가이드유로(c)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유로연결부재(33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는 가이드유로(c)는, 제1토출구(a)와 제2토출구(b)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가이드유로(c)는, 하부공간부(33)와 측부공간부(35)를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하되, 하부공간부(33)와 측부공간부(35)에 형성된 공간과 분리되도록 유로연결부재(330)에 의해 규정된다.
즉 조리실(31)의 외측에 설치되는 유로연결부재(330)는, 하부공간부(33) 및 측부공간부(35)를 통과하면서 제2가열유닛(320)의 내부와 조리실(31)의 내부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되, 하부공간부(33) 및 측부공간부(35)에 형성된 공간 내에서 이들 공간과는 분리된 통로를 하부공간부(33) 및 측부공간부(35)에 형성하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제2가열유닛(320)의 내부에서 제2가열부(323)의 연소에 의해 생성된 열기를 대류 형태로 조리실(31)의 내부로 전달하기 위한 통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열기 전달 구조에서 주목할 점은, 제2가열부(323)의 연소에 의해 생성된 열기를 대류 형태로 조리실(31)의 내부로 전달하기 위한 통로(이하 "열기전달통로"라 한다)가 조리실(31)의 하부가 아닌 조리실(31)의 측부에 형성된다는 점이다.
만약 열기전달통로가 조리실(31)의 하부에 형성된다면, 제2가열유닛(320)의 열기가 조리실(31)의 내부로 곧바로 올라오는 최단거리의 열기전달통로가 형성될 수 있기는 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열기전달통로가 조리실(31)의 하부에 형성되기 위해서는, 조리실(31)의 바닥면인 하면부(13)에 열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홀이 형성되어야만 한다.
이와 같이 하면부(13), 즉 조리실(31)의 바닥면에 홀이 형성되는 구조에서는, 조리실(31)의 바닥면이 매끄러운 평면을 유지할 수 없게 되고, 이로 인해 조리실(31) 바닥의 홀 부분에 오염물이 끼어 조리실(31)의 바닥면 청소가 어렵게 된다. 또한 상기 구조에서는, 이물질이 홀을 통해 제2가열유닛(320)의 내부로 낙하되어 제2가열유닛(320)의 오염이 심화되고, 이로 인해 제2가열유닛(320)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오염물 발화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 우려도 커지게 된다.
이와 비교하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열기전달통로가 조리실(31)의 하부에 형성되지 않고 조리실(31)의 측부에 형성되는 열기 전달 구조가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서는, 제1토출구(a)를 통해 제2가열유닛(320)의 내부가 측방향으로 개방되고, 제2토출구(b)를 통해 조리실(31)의 내부가 측방향으로 개방되며, 이와 같이 측방향으로 개방된 두 토출구(a,b) 사이를 유로연결부재(330)가 연결하는 형태의 열기전달통로가 형성된다.
이에 따르면, 상기 열기전달통로는 조리실(31)의 바닥면을 직접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지 않고, 조리실(31)의 하부면과 측부면을 외측에서 감싸며"ㄷ" 형상으로 조리실(31)을 우회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조리실(31)의 측면에 형성된 제2토출구(b)를 통해 조리실(31)의 내부와 연결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본 실시예의 열기 전달 구조에서는, 조리실(31)의 바닥면에 홀이 형성되지 않고 조리실(31)의 바닥면이 매끄러운 평면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열기 전달 구조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조리실(31)의 바닥면이 매끄럽고 평평한 표면을 갖는 평면 형태로 구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실(31)의 바닥면에 묻은 오염물의 제거가 용이해지도록 하여 향상된 청소성을 제공할 수 있고, 조리실(31) 내부의 미감을 향상시켜 소비자들에게 디자인적 요소를 어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를 포함하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조리실(31) 내부의 오염물이 제2가열유닛(320)의 내부로 낙하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오염으로 인해 제2가열유닛(320)의 성능이 저하되거나 안전사고가 발생할 위험성을 낮출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로연결부재(330)는 본체(10)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연결부재(330)가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유로연결부재(330)가 본체(10)로부터 분리되면 유로연결부재(330)에 의해 덮여 있던 제2가열유닛(320)이 측부공간부(35) 측으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2가열유닛(320)이 측부공간부(35) 측으로 노출된다는 것은, 조리실(31)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던 제2가열유닛(320)이 본체(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측방향의 통로가 확보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유로연결부재(330)가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로 제공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로연결부재(330)를 본체(10)로부터 분리시킨 후 제2가열유닛(320)을 본체(10)로부터 분리시키거나, 유로연결부재(330)와 제2가열유닛(320)을 함께 본체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제2가열유닛(320)의 설치 구조를 설계할 수 있게 된다.
[유로연결부재의 설치 구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유로연결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5의 ""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유로연결부재(330)는 덕트부(331,333)와 결합부(3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덕트부(331,333)는, 조리실(31)의 외측에 설치되어 가이드유로(c)를 외측에서 둘러싸는 외벽을 형성한다. 가이드유로(c)는, 덕트부(331,333)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서 제1토출구(a)와 제2토출구(b)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덕트부(331,333)는, 제1토출구(a)의 주변부를 둘러싸는 외벽을 형성하는 제1덕트부(331), 및 제2토출구(b)의 주변부를 둘러싸는 외벽을 형성하는 제2덕트부(3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케이스(321)는 측벽부(321b)가 측면부(15)보다 측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1덕트부(331)는 하부공간부(33)의 내부에서 하부케이스(321)와 하면부(1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며, 제2덕트부(333)는 측부공간부(35)의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제1덕트부(331)와 제2덕트부(333)를 포함하는 덕트부(331,333)는, 제1덕트부(331)와 제2덕트부(333)가 "ㄴ" 형상을 이루도록 연결되어 형성된다. 이때 제1덕트부(331)는 하부공간부(33)의 내부에서 측벽부(321b)에 밀착되게 설치되고, 제2덕트부(333)는 측부공간부(35)의 내부에서 측면부(15)에 밀착되게 설치된다.
결합부(335)는, 덕트부(331,333)를 하부케이스(321)의 측벽부(321b)와 측면부(15) 중 어느 하나에 밀착되게 결합시키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결합부(335)는, 조리실(31)의 측면에 해당되는 측면부(15) 또는 하부케이스(321)의 측면에 해당되는 측벽부(321b)와 맞닿는 덕트부(331,333)의 테두리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결합부(335)는 덕트부(331,333)의 각 테두리 부분이 덕트부(331,333)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각각의 결합부(335)는, 덕트부(331,333)의 각 테두리 부분과 각각 "ㄴ" 형상을 이루며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결합부(335)는, 측면부(15) 또는 측벽부(321b)와 나란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덕트부(331)의 테두리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결합부(335)는 측벽부(321b)와 나란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측벽부(321b)와 면접촉되며 결합된다. 그리고 제2덕트부(333)의 테두리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결합부(335)는, 측면부(15)와 나란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측면부(15)와 면접촉되며 결합된다.
즉 덕트부(331,333)의 각 테두리 부분에 형성되는 각각의 결합부(335)는, 측벽부(321b) 또는 측면부(15)와 면접촉되며 결합되고, 이로써 덕트부(331,333)는 하부케이스(321) 또는 조리실(31)의 측면과 면접촉되며 단단히 결합될 수 있다.
이때 결합부(335)와 측벽부(321b) 간의 결합, 및 결합부(335)와 측면부(15) 간의 결합은, 면접촉하며 맞대어진 두 부재를 관통하며 결합시키는 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부케이스(321) 또는 조리실(31)의 측면과 결합된 덕트부(331,333)는, 그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유로(c)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지정된 위치에 단단히 결합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는 하부케이스(321) 또는 조리실(31)의 측면으로부터 손쉽게 분리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유로연결부재(33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조리실(31) 측을 향한 일측 측부가 개방된 덕트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본 실시예의 유로연결부재(330)는, 하면부(13)를 향한 상측부가 개방된 덕트 형태로 마련되는 제1덕트부(331)와, 측면부(15)를 향한 일측 측부가 개방된 덕트 형태로 마련되는 제2덕트부(333)가 "ㄴ"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이러한 유로연결부재(330)에 따르면, 제1덕트부(331)의 개방된 상측부가 하면부(13)에 밀착되게 결합되고, 제2덕트부(33)의 개방된 일측 측부가 측면부(15)에 밀착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1덕트부(331)의 내부에서는 서로 결합된 제1덕트부(331)와 하면부(13)에 의해 둘러싸인 가이드유로(c)가 형성되고, 제2덕트부(333)의 내부에서는 서로 결합된 제2덕트부(333)와 측면부(15)에 의해 둘러싸인 가이드유로(c)가 형성되며, 결과적으로 유로연결부재(330)의 내부에는 "ㄴ" 형상으로 연장되는 가이드유로(c)가 형성된다.
다른 예로서, 유로연결부재(330)는 제1토출구(a)를 향한 일측 단부와 제2토출구(b)를 향한 타측 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개방된 부분이 없는 덕트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조리실(31) 측을 향한 일측 측부가 개방된 덕트 형태로 유로연결부재(330)가 마련되는 경우, 유로연결부재(330)의 제조에 필요한 재료비를 줄일 수 있고, 유로연결부재(330)의 제조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유로연결부재(33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복수 개의 유로연결부재(330)를 겹쳐 보관할 수 있게 되므로, 조리기기의 제조에 필요한 유로연결부재(330)의 보관 및 취급이 용이한 이점 또한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클립부재(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클립부재(340)는, 측면부(15)의 외측에 구비되며, 유로연결부재(330)의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결합부(335)의 일부분을 측면부(15) 측으로 가압하여 측면부(15)에 밀착시킨다.
상기 클립부재(340)는, 측면부(15)의 외측에 구비되되, 제2토출구(b)의 상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클립부재(340)는 그 하측부가 측면부(15)에 밀착될 수 있는 탄성력을 갖는 판스프링 형태로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클립부재(340)의 상측부는 측면부(15)에 고정되게 결합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측면부(15)에 고정되게 결합된 클립부재(340)의 상측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클립부재(340)의 하측부는, 측면부(15)와 결합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측면부(15)와 클립부재(340) 사이에는, 상부가 막히고 하부가 개방된 끼움홈(34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끼움홈(341)에는, 결합부(335)의 일부분,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2덕트부(333)의 상측 테두리 부분에 형성된 결합부(335)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된다. 이러한 결합부(335)의 삽입은 결합부(335)의 상단부가 끼움홈(341)의 막힌 상부에 간섭될 때까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클립부재(340)와 결합부(335)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유로연결부재(330)의 상하방향 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즉 유로연결부재(330)의 설치시, 유로연결부재(330)의 상단부를 클립부재(340)에 끼워 밀어 넣기만 하면, 유로연결부재(330)의 설치가 이루어져야 할 상하방향 위치가 안내되면서 유로연결부재(330) 상단부의 임시적인 고정도 함께 이루어지게 되므로,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유로연결부재(330)를 하부케이스(321)나 하면부(13) 또는 측면부(15)에 결합시키는 작업이 더욱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열기안내부의 구조]
한편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열기안내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열기안내부(350)는, 가이드유로(c)를 통해 상부방향으로 유동하는 열기의 유동방향을 제2토출구(b)를 통과하는 방향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열기안내부(350)는, 유로연결부재(330)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유로(c) 내부에 배치되도록 측면부(15)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열기안내부(350)는, 가이드유로(c)를 따라 유동하는 열기의 흐름을 가로막는 차단벽을 제2토출구(b)의 상부에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열기안내부(350)는 상부로 갈수록 측면부(15)와의 간격이 좁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가이드유로(c)를 따라 상부방향으로 유동하던 열기의 흐름은 열기안내부(350)에 의해 형성된 경사진 차단벽을 따라 제2토출구(b) 측으로 자연스럽게 유도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조리실(31) 측부를 통한 열기의 토출이 보다 더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2토출구(b) 및 열기안내부(350)의 형성은 측면부(15)의 일부분이 절개됨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열기안내부(350)는 측면부(15)의 일부분이 절개된 후 측면부(15)와 연결된 상단을 중심으로 측면부(15)의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제2토출구(b)는 측면부(15)에서 열기안내부(350)가 분리된 부분에 형성된다.
즉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추가적인 구조물의 부가 없이 측면부(15)의 일부분을 절개한 후 절곡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열기를 조리실(31)의 측부로 공급하기 위한 통로와 그 통로 측으로 열기의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구조물을 한번에 형성할 수 있으므로, 조리기기의 제조에 필요한 비용 및 시간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제1가열유닛과 제2가열유닛의 연소 제어]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연소 제어 과정의 일례를 보여주는 흐름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에서 형성되는 열기 흐름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연소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의 오븐부(30)는 그 내부에 두 개의 가열유닛을 구비하며, 이 중 하나인 제1가열유닛(310)은 조리실(31) 내부에서 조리실(31) 내부를 순환하는 열기의 순환 흐름을 발생시키는 형태로 동작되고, 다른 하나인 제2가열유닛(320)은 조리실(31)의 하부에서 열기를 발생시키는 형태로 동작된다.
상기와 같은 두 개의 가열유닛을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다음과 같은 형태로 동작될 수 있다.
먼저, 조리실(31) 내부에 대한 가열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 제1가열유닛(310)과 제2가열유닛(320)을 동시에 작동시키는 동시동작단계(S1)를 실시한다.
이러한 동시동작단계(S1)에서는, 제1가열부(313)의 연소와 제2가열부(323)의 연소가 함께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조리실(31) 내부에서는, 제1가열유닛(310)의 동작에 의해 열기가 조리실(31) 내부를 순환하는 열기의 순환 흐름이 발생되는 동시에, 제2가열유닛(320)에 의해 발생된 열기가 유로연결부재(330)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유로(c)를 통해 조리실(31)의 측부에서 토출되는 열기의 유동이 함께 발생된다.
이때 조리실(31)의 측부, 즉 제2토출구(b)를 통해 토출된 열기는, 제1가열유닛(310)의 동작에 의해 발생된 열기의 흐름, 즉 조리실(31) 내부를 순환하는 열기의 순환 흐름과 합류한다. 이에 따라 조리실(31)의 내부에서는 제1가열유닛(310)의 연소 동작에 의해 생성된 열기와 제2가열유닛(320)의 연소 동작에 의해 생성된 열기가 함께 합쳐져 조리실(31)의 내부를 순환하게 되므로, 조리실(31) 내 온도 상승이 더욱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제1가열유닛(310)과 제2가열유닛(320)을 동시에 동작시키는 동작 제어를 통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조리실(31) 내의 온도를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조리실(31)의 초기 예열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2가열유닛(320)의 연소 동작에 의해 생성된 열기가 토출되기 위한 통로를 조리실(31) 상에 형성하는 제2토출구(b)는, 측면부(15) 상에 형성되되, 조리실(31)의 바닥면에 인접한 하부측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2가열유닛(320)에 의해 생성된 열기는, 조리실(31)의 측부를 통해 조리실(31) 내로 토출되되, 조리실(31)의 바닥면 측에 인접한 하부에서 조리실(31) 내로 토출된다.
이와 같이 토출되는 열기는, 조리실(31) 내부를 순환하는 열기의 순환 흐름과 합류하여 조리실(31) 내 전체를 순환하게 되지만, 상기 열기의 순환 흐름과 합류하기 전, 즉 제2토출구(b)를 통해 조리실(31) 내로 토출된 직후에는, 조리실(31)의 바닥면을 따라 유동하는 유동 흐름을 먼저 보이게 된다.
따라서 조리실(31) 내에 위치한 음식물에는, 조리실(31) 내부 전체를 순환하는 열기의 순환 흐름과 함께 조리실(31)의 바닥면을 따라 유동하는 열기의 흐름이 함께 작용하게 된다.
이로 인해 음식물의 바닥면에는, 조리실(31) 내부 전체를 순환하는 열기의 작용에 더하여 조리실(31)의 바닥면을 따라 유동하는 열기의 작용이 더해지게 된다. 더욱이 음식물의 바닥면에는, 제2토출구(b)를 통해 토출되는 열기뿐 아니라 제2가열부(323)의 연소로 인해 가열된 하면부(13), 즉 조리실(31)의 바닥면을 통해 대류 형태로 전달되는 열 또한 추가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음식물의 바닥면에는 음식물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열량의 열이 가해지게 되는 집중 가열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제1가열유닛(310)과 제2가열유닛(320)을 동시에 동작시키는 동작 제어를 통해, 조리실(31) 전체를 고르게 가열하면서 조리실(31) 내의 온도를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음식물의 바닥면에 대한 집중 가열 기능도 함께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동시동작단계(S1)가 설정된 시점까지 진행된 후에는, 제1가열유닛(310)과 제2가열유닛(320) 중 어느 하나만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부분동작단계(S2)를 실시한다.
일례로서, 부분동작단계(S2)는 제1가열유닛(310)만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조리실(31) 내부에서는 제1가열유닛(310)의 동작에 의해 열기가 조리실(31) 내부를 순환하는 열기의 순환 흐름만이 발생되는 가열이 이루어지고, 제2가열유닛(320)에서 생성된 열기가 조리실(31) 측부를 통해 토출되는 형태의 가열은 중단된다.
이러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부분동작단계(S2)는, 음식물 전체에 대한 고른 조리가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하고 음식물 바닥면에 대한 집중 가열의 필요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음식물에 대한 조리가 진행될 경우에 선택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동시동작단계(S1)를 먼저 진행하여 조리실(31) 내의 온도를 음식물의 조리에 적합한 온도로 신속하게 상승시킨 후, 제1가열유닛(310)만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부분동작단계(S2)를 진행하는 형태로 음식물 조리를 실시함으로써,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키면서도 음식물 전체를 균일하게 가열하는 조리를 실시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부분동작단계(S2)는 제2가열유닛(320)만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조리실(31) 내부에서는 제2가열유닛(320)에서 생성된 열기가 조리실(31) 측부를 통해 토출되는 형태의 가열만이 이루어지고, 제1가열유닛(310)의 동작에 의한 가열은 중단된다.
이러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부분동작단계(S2)는, 피자 등과 같이 음식물 바닥면에 대한 집중 가열이 필요한 음식물에 대한 조리가 진행될 경우에 선택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동시동작단계(S1)를 먼저 진행하여 조리실(31) 내의 온도를 음식물의 조리에 적합한 온도로 신속하게 상승시킨 후, 음식물 조리에 필요한 조리실(31) 내 온도가 어느 정도 유지되도록 한 상태에서 제2가열유닛(320)만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부분동작단계(S2)를 진행하는 형태로 음식물 조리를 실시함으로써, 피자 등과 같은 음식물의 바닥면이 좀 더 바삭한 형태로 조리되도록 음식물의 바닥면을 집중적으로 가열하는 기능을 더욱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가열유닛(310)과 제2가열유닛(320)의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컨벡션팬(317)의 동작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가 제2가열부(323)의 연소에 영향을 미쳐 제2가열부(323)에서 형성되는 화염이 흔들리거나 제2가열부(323)에서의 완전 연소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등, 제2가열부(323)의 연소가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나타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동시동작단계(S1)가 진행되는 동안 제2가열부(323)의 연소 불안정 문제가 나타날 수 있는 시점에서 연소 동작을 부분동작단계(S2)로 전환하고, 이를 통해 제1가열유닛(310)의 동작을 중단하고 제2가열유닛(320)의 동작만이 진행되도록 한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컨벡션팬(317)의 동작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가 제2가열부(323)의 연소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하고, 이를 통해 제2가열부(323)의 연소가 안정화되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가열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부분동작단계(S2)는 제1가열유닛(310)의 동작과 제2가열유닛(320)의 동작이 교번되게 이루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부분동작단계(S2)에서는, 제1가열유닛(310)과 제2가열유닛(320)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이 먼저 이루어진 후 나머지 다른 하나의 동작이 이루어지는 과정이 반복된다.
이러한 형태로 부분동작단계(S2)를 실시하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제1가열유닛(310)의 동작이 제2가열유닛(320)의 연소에 영향을 주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음식물 전체에 대한 균일 가열 기능 및 음식물의 일부분에 대한 집중 가열 기능을 동시에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 다른 예로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동시동작단계(S1)와 부분동작단계(S2)가 교번되게 이루어지는 형태로 제1가열유닛(310)과 제2가열유닛(320)에 대한 동작 제어를 실시할 수도 있다.
이에 따르면, 설정된 시점까지 동시동작단계(S1)가 진행된 후 부분동작단계(S2)가 진행되고, 다시 동시동작단계(S1)와 부분동작단계(S2)의 교번이 반복되는 형태로 조리실(31) 내부에 대한 가열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제1가열유닛(310)과 제2가열유닛(320)에 대한 동작 제어는, 동시동작단계(S1)에서 부분동작단계(S2)로 전환되는 시점이 조리실(31) 내부의 온도에 종속되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시동작단계(S1)가 진행되다가 조리실(31) 내부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하면, 부분동작단계(S2)가 진행되는 형태로 제1가열유닛(310)과 제2가열유닛(320)에 대한 동작 제어가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로 조리기기의 연소 동작 제어가 이루어지게 되면, 동시동작단계(S1) 진행을 통해 조리실(31)의 온도를 설정된 온도까지 신속하게 상승시킨 후 부분동작단계(S2)를 통해 조리실(31)의 온도를 조절하여 불필요한 에너지의 소모를 줄일 수 있으므로, 에너지의 불필요한 소모를 줄이면서도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제1가열유닛(310)의 동작을 중단하고 제2가열유닛(320)의 동작만이 진행되는 형태로 부분동작단계(S2)가 실시되면, 제2가열부(323)의 연소를 안정화시키는 효과도 함께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의 연소 제어방법에 따르면, 에너지의 불필요한 소모를 줄이면서도 조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조리실(31) 전체를 고르게 가열하여 조리물 전체를 균일하게 조리할 수 있는 균일 가열 기능과 음식물의 바닥면에 대한 집중 가열 기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1 : 배면부
13 : 하면부
15 : 측면부
17 : 바닥부
18 : 외부패널
19 : 가스켓 케이스
20 : 쿡탑부
21 : 쿡탑가열부
30 : 오븐부
31 : 조리실
32 : 도어
32a : 핸들
33 : 하부공간부
35 : 측부공간부
50 : 전장실
51 : 컨트롤패널
52 : 입력부
310 : 제1가열유닛
311 : 팬커버
311a : 흡기구
311b : 배기구
313 : 제1가열부
315 : 버너커버
316 : 리플렉팅 플레이트
317 : 컨벡션팬
318 : 컨벡션모터
320 : 제2가열유닛
321 : 하부케이스
321a : 저면부
321b : 측벽부
322 : 관통홀
323 : 제2가열부
325 : 가이드플레이트
327 : 에어가이드
328 : 통과홀
330 : 유로연결부재
331 : 제1덕트부
333 : 제2덕트부
335 : 결합부
340 : 클립부재
350 : 열기안내부
a : 제1토출구
b : 제2토출구
c : 가이드유로

Claims (8)

  1.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며, 상기 조리실의 후방 경계면을 규정하는 배면부와 상기 조리실의 하방 경계면을 규정하는 하면부 및 상기 조리실의 측방 경계면을 규정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하면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열기를 발생시키는 하부가열부;
    상기 수용공간이 형성된 상기 하부케이스의 내부를 외부로 개방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1토출구;
    상기 조리실의 내부를 외부로 개방하는 측방향의 통로를 형성하는 제2토출구; 및
    상기 제1토출구를 통해 토출된 열기가 상기 제2토출구 측으로 유동하기 위한 가이드유로를 형성하는 유로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조리실과 구분된 공간을 상기 조리실의 하부에 형성하는 하부공간부, 및 상기 본체의 측부에 마련되며 상기 조리실과 구분된 공간을 상기 조리실 및 상기 하부공간부의 측부에 형성하는 측부공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공간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수용공간의 측방 경계면을 규정하는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측벽부에는, 상기 제1토출구가 관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측부공간부는, 상기 하부공간부보다 측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측벽부 및 상기 제1토출구는, 상기 측면부보다 측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로연결부재는, 상기 하부공간부에서 상기 제1토출구와 연결되며 상기 측부공간부에서 상기 제2토출구와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유로는, 상기 유로연결부재 내부에서 상기 제1토출구와 상기 제2토출구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연결부재는, 상기 조리실의 외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이드유로를 외측에서 둘러싸는 외벽을 형성하는 덕트부, 및 상기 덕트부를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기 측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유로는, 상기 덕트부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 내에서 상기 제1토출구와 상기 제2토출구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조리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는,
    상기 제1토출구의 주변부를 둘러싸는 외벽을 형성하는 제1덕트부; 및
    상기 제2토출구의 주변부를 둘러싸는 외벽을 형성하는 제2덕트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덕트부는, 상기 하부공간부의 내부에서 상기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면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와 밀착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덕트부는, 상기 측부공간부의 내부에서 상기 측면부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조리기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부는, 상기 제1덕트부와 상기 제2덕트부가 "ㄴ" 형상을 이루도록 연결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덕트부는, 상기 측벽부에 밀착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2덕트부는, 상기 측면부에 밀착되게 설치되는 조리기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측면부 또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측부와 맞닿는 상기 덕트부의 테두리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측면부 또는 상기 하부케이스의 측부와 나란한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상기 측면부 또는 상기 하부케이스와 면접촉되며 결합되는 조리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를 상기 측면부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측면부에 밀착시키는 클립부재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측면부와 상기 클립부재 사이에는, 상부가 막히고 하부가 개방된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클립부재는, 끼움홈의 상부가 상기 제2토출구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측면부에 결합되고,
    상기 끼움홈에 끼워진 상기 결합부의 상단부가 상기 끼움홈의 상부에 간섭되어 상기 측면부에 결합되는 상기 유로연결부재의 상하방향 위치가 안내되는 조리기기.
KR1020210052002A 2018-11-26 2021-04-21 조리기기 KR1022973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2002A KR102297341B1 (ko) 2018-11-26 2021-04-21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879A KR102245314B1 (ko) 2018-11-26 2018-11-26 조리기기
KR1020210052002A KR102297341B1 (ko) 2018-11-26 2021-04-21 조리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879A Division KR102245314B1 (ko) 2018-11-26 2018-11-26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843A KR20210047843A (ko) 2021-04-30
KR102297341B1 true KR102297341B1 (ko) 2021-09-01

Family

ID=757407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2002A KR102297341B1 (ko) 2018-11-26 2021-04-21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734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6234A (en) 1997-06-30 1998-10-06 Vasan; Laxminarasimhan Convection ov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9343U (ko) * 1996-11-27 1998-08-17 배순훈 컨벡션 오븐렌지
KR102318165B1 (ko) * 2015-01-05 2021-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스 오븐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6234A (en) 1997-06-30 1998-10-06 Vasan; Laxminarasimhan Convection ov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843A (ko) 202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4590B1 (ko) 조리기기
US10539331B2 (en) Cooking appliance
US11732902B2 (en) Cooking appliance and combustion control method of a cooking appliance
EP3421887B1 (en) Cooking appliance
KR101816308B1 (ko) 조리기기
KR101713402B1 (ko) 조리기기
US10302309B2 (en) Oven appliance having a broiler assembly
KR102297341B1 (ko) 조리기기
KR102245314B1 (ko) 조리기기
KR102364208B1 (ko) 조리기기
KR102245841B1 (ko) 조리기기
KR20160099899A (ko) 조리기기
US20220268449A1 (en) Cooking appliance
KR102067271B1 (ko) 조리기기
US20200386410A1 (en) Oven appliance having combined radiant and convection broil
KR101864493B1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3789359B2 (ja) グリル
KR20220101532A (ko) 조리기기
KR20200004154A (ko) 가스 오븐
KR20050036431A (ko) 전자레인지 케비티의 하부공기유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