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271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271B1
KR102067271B1 KR1020180085399A KR20180085399A KR102067271B1 KR 102067271 B1 KR102067271 B1 KR 102067271B1 KR 1020180085399 A KR1020180085399 A KR 1020180085399A KR 20180085399 A KR20180085399 A KR 20180085399A KR 102067271 B1 KR102067271 B1 KR 102067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cooling fan
cooking chamber
air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국행
김양호
이동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5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271B1/ko
Priority to US16/518,067 priority patent/US11221146B2/en
Priority to EP19187584.8A priority patent/EP359942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2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1/00Bakers' ovens
    • A21B1/02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arrangements
    • A21B1/24Ovens heated by media flowing therethrough
    • A21B1/26Ovens heated by media flowing therethrough by hot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07Removing cooking fumes from oven cavit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24C3/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in baking ov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조리실의 내부에 설치되는 컨벡션 팬과; 조리실의 외부에 설치되어 컨벡션 팬을 회전시키는 팬 모터와; 조리실의 외부에 설치되고, 팬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팬 모터 주변 공기를 팬 모터 측으로 유동시키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냉각팬과; 조리실의 내부와 조리실의 외부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며, 조리실의 외부에 배치된 개구부가 냉각팬을 향해 개방된 덕트; 및 조리실의 외부에 설치되며, 개구부에서 냉각팬으로의 공기 유동 경로를 가로막는 차단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이용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Cooktop), 호브(Hob), 그리들(Griddle) 등이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조리실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도어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와 도어 사이에 마련되는 도어 힌지에 의해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도어 힌지를 통해 본체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조리실의 내부 공간에는 열원이 제공되어 조리실을 가열한다. 이러한 열원으로는 가스버너 또는 전기히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 중 가스버너가 열원으로 이용되는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조리실 내부의 조리물을 가열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버너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리실의 상부에는 브로일 버너(Broil burner)가 설치되고, 조리실의 하부 또는 후방에는 베이크 버너(Bake buner)가 설치된다.
아울러 조리실의 후방에는 컨벡션 장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으며, 컨벡션 장치는 조리실 전체에 열이 고르게 전달되도록 조리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컨벡션 장치는, 조리실의 후면에 설치되는 버너와, 버너에 의해 공급된 열을 조리실 내부로 순환시키는 컨벡션 팬과, 컨벡션 팬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팬 모터, 그리고 팬 모터의 냉각을 위해 마련되는 냉각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컨벡션 팬과 냉각팬은 동일축으로 연결되어 팬 모터에 의해 제공되는 동력에 의해 함께 회전된다.
컨벡션 장치에서, 버너 및 컨벡션 팬은 조리실의 내부에 설치되며, 팬 모터 및 냉각팬은 조리실의 후방에 조리실과 구획된 별도의 후방 공간에 설치된다. 이러한 후방 공간에는 팬 모터 및 냉각팬 외에도 컨벡션 장치의 버너 및 브로일 버너로의 가스 공급과 관련된 각종 배관과 밸브와 기타 전자부품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후방 공간에는, 브로일 버너의 연소를 위해 필요한 공기가 브로일 버너 측으로 공급되기 위한 통로(이하 '흡기통로'라 한다)가 마련될 수 있다. 브로일 버너의 연소시, 브로일 버너에는 조리실과 구획된 후방 공간으로부터 흡기통로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와 가스가 혼합된 혼합 가스가 공급된다.
컨벡션 장치의 동작시, 조리실 내에 설치된 버너가 열을 발생시키고, 이와 같이 발생된 열을 팬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컨벡션 팬이 조리실 내부로 순환시킨다. 그리고 컨벡션 팬의 회전시에는 컨벡션 팬과 함께 팬 모터와 연결된 냉각팬도 함께 회전되어 팬 모터를 냉각시키기 위한 기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컨벡션 장치의 동작이 오랜 시간 이루어지더라도 팬 모터의 과열이 일어나지 않도록 팬 모터에 대한 냉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셀프 클리닝 모드(Self-cleaning mode)와 같이 조리실이 장시간 고온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조리실 내부의 고온 열기가 흡기통로를 통해 냉각팬이 설치된 후방 공간으로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조리실 내부의 열기가 브로일 버너의 염공을 통해 브로일 버너의 내부로 유입된 후 브로일 버너와 상기 후방 공간 사이를 연결하는 흡기통로를 통해 후방 공간으로 역류하는 형태로 발생된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는 원인은, 컨벡션 장치의 동작 중 팬 모터를 냉각시키기 위해 동작되는 냉각팬의 동작으로 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냉각팬은 팬 모터를 냉각시키기 위해 주변 공기를 팬 모터 측으로 유동시키는 기류를 발생시키는데, 이러한 기류에 의해 조리실 내부의 열기가 흡기통로를 통해 토출되는 흐름이 유도되고, 이로 인해 조리실 내부의 열기가 후방 공간으로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되면, 팬 모터 측으로 열기가 유입되어 팬 모터의 온도가 상승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후방 공간의 온도가 상승되어 후방 공간에 배치된 각종 배관과 밸브와 기타 전자부품 등에 악영향이 미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후방 공간의 온도가 상승됨에 따라 조리기기의 외벽 온도가 상승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후방 공간으로의 열기 역류 발생 현상은, 흡기통로와 냉각 팬이 서로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수록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그러므로, 흡기통로와 냉각팬 간의 이격 거리를 증가시킬수록 상기 현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컨벡션 팬의 크기와 회전 반경을 고려하면, 팬 모터와 냉각팬의 위치는 조리기기의 좌우방향 중앙 근처로 결정된 위치에서 쉽게 변경되기 어렵다. 또한 브로일 버너의 위치를 고려하면, 흡기통로의 위치 변경도 사실상 쉽지 않다. 그러므로, 냉각팬과 흡기통로의 위치 변경 없이, 후방 공간으로의 열기 역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조리실의 후방 공간으로의 열기 역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팬 모터의 냉각과 열기 역류 발생 억제가 모두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의 내부에 설치되는 컨벡션 팬과; 상기 조리실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컨벡션 팬을 회전시키는 팬 모터와; 상기 조리실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팬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팬 모터 주변 공기를 상기 팬 모터 측으로 유동시키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냉각팬과; 상기 조리실의 내부와 상기 조리실의 외부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조리실의 외부에 배치된 개구부가 상기 냉각팬을 향해 개방된 덕트; 및 상기 조리실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에서 상기 냉각팬으로의 공기 유동 경로를 가로막는 차단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냉각팬의 흡입력이 개구부로 작용하는 경로를 차단함으로써 배후공간으로의 열기 역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1차단부와 상기 제2차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냉각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통과시키는 공기토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차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공기토출부는, 상기 개구부를 향한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냉각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개구부를 향한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개구부를 통해 역류하는 열기 흐름 차단을 위한 기류의 토출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고, 이로써 배후공간으로의 열기 역류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벡션 팬과 상기 냉각팬은, 동일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팬 모터에 의해 함께 회전되고, 상기 조리실에는, 상기 조리실 외부의 공기가 상기 컨벡션 팬 측으로 공급되기 위한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컨벡션 팬 및 상기 냉각팬의 회전시,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컨벡션 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브로일 버너 측으로 유동하는 기류가 발생되고, 상기 배후공간의 공기가 상기 냉각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믹싱튜브 측으로 유동하는 기류가 발생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브로일 버너에 충분한 양의 1차공기 공급과 2차공기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브로일 버너의 연소 안정성과 열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냉각팬의 흡입력이 개구부로 작용하는 경로를 차단하면서, 개구부를 통해 역류하는 열기 흐름 차단을 위한 기류의 토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배후공간으로의 열기 역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팬에 의해 이루어지는 팬 모터에 대한 냉각 작용과 배후공간으로의 열기 역류 차단 작용을 모두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토출부가 형성된 차단부재, 그리고 팬 모터에 의해 함께 구동되는 냉각팬과 컨벡션 팬의 동작을 이용하여 브로일 버너에 충분한 양의 1차공기 공급과 2차공기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브로일 버너의 연소 안정성과 열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배면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배면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차단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차단부재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차단부재가 구비되지 않은 조리기기에서 발생되는 열기 역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조리실 및 배후공간에서 발생되는 기류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구비된 브로일 버너로의 공기 공급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배면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챔버(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챔버(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챔버(10)의 상단부에는, 개방된 공간 즉,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도록 마련된 쿡탑부(20)가 위치한다.
쿡탑부(20)에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쿡탑가열부(23)가 위치된다.
그리고 쿡탑부(20)의 하측에는 오븐부(30)가 설치된다. 오븐부(30)의 내부공간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31; 도 4 참조)이 위치한다.
조리실(31)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조리실(31)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한다. 즉 오븐부(30)에서는,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이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다.
조리실(31)의 상측에는 상기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상측에서 가열하는 브로일 버너(35)가 제공될 수 있고, 조리실(31)의 하측에도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가열하는 베이커 버너 형태의 버너가 더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조리실(31)의 후측에는, 뜨거운 공기를 대류시켜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가열하는 컨벡션부(37)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컨벡션부(37)는, 조리실(31) 내부공간의 공기를 강제로 유동시킨다. 즉 컨벡션부(37)는, 조리실(31) 내부공간의 공기를 흡입하여 가열한 후, 조리실(31)의 내부 공간으로 배출시키면서 공기를 유동시킴으로써,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이 가열되도록 하고, 이로써 조리실(31)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는 음식물이 균일하게 가열되도록 한다.
오븐부(30)에는, 조리실(3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32)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도어(32)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하는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조리실(31)을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32)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앞면에는 사용자가 도어(32)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 파지하도록 핸들(33)이 설치된다. 핸들(33)에 의해 사용자는 도어(32)를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쿡탑부(20)의 전면 즉, 도어(32)의 상측에는 컨트롤패널(51)이 마련된다. 컨트롤패널(51)은,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컨트롤패널(51)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쿡탑부(20) 및 오븐부(30)를 동작시키는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52)가 제공된다.
입력부(52)에는 다수의 조작스위치가 마련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조작스위치는 회전 조작 가능한 노브(Knob)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고, 누름 조작이나 터치 조작 가능한 버튼 또는 패널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컨트롤패널(51)에는 조리기기의 동작 정보 또는 음식물의 요리 정보 등을 제공하는 표시부(53)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표시부(53)를 통해 조리기기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조리실(31)의 후방에는, 배후공간(34)이 마련된다. 배후공간(34)은, 챔버(10)의 후방에 배치되며, 조리실(31)과 배후공간(34) 사이를 전후방향으로 구획하는 구획면(30a)에 의해 조리실(31)과 구획된 공간이다. 배후공간(34)의 전방 경계면은 구획면(30a)에 의해 정의되고, 배후공간(34)의 후방 경계면은 챔버(10)의 후방에 설치되는 캐비닛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조리실의 가열 및 연소가스 배출 구조]
본 실시예에서, 조리기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실(31)의 내부에 브로일 버너(35)와 컨벡션부(37)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 중 브로일 버너(35)는, 조리실(31)의 내부에 구비되되, 조리실(31)의 상부에서 조리실(31) 내부를 가열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브로일 버너(35)는, 일측이 조리실(31)의 상면에 결합되고 타측이 조리실(31)의 후면에 결합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브로일 버너(35)는. 챔버(10)의 전후방향(이하 "전후방향"이라 한다)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직선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양측 단부가 챔버(10)의 전방을 향하는 "U" 형상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브로일 버너(35)의 내부에는, 혼합가스가 공급되는 유로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브로일 버너(35)의 측부에는, 염공이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염공은, 브로일 버너(35) 내부의 가스가 브로일 버너(35)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염공은 브로일 버너(35)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써 브로일 버너(35)에는 브로일 버너(35)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가스 배출 통로가 마련될 수 있게 된다.
브로일 버너(35)는, 믹싱튜브(36)를 통해 공기와 홈합된 가스, 즉 혼합가스를 공급받는다. 이와 같이 믹싱튜브(36)를 통해 브로일 버너(35) 내부의 유로로 공급된 혼합가스는, 염공을 통해 브로일 버너(35)의 외부로 배출되며 연소됨으로써, 브로일 버너(35)의 외부에 화염을 발생시킨다.
믹싱튜브(36)는, 일측이 브로일 버너(36)에 연결되는 직선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믹싱튜브(36)의 내부에는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는 유로가 형성된다. 이러한 유로는, 구획면(30a)을 관통하며 조리실(31)에 배치된 브로일 버너(35)와 배후공간(34)에 배치된 후술할 덕트(45) 사이를 연결한다.
컨벡션부(37)는, 조리실(35)의 후방에 배치되며, 버너(36a)와 팬 커버(37b)와 컨벡션 팬(37c)과 팬 모터(37d)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버너(36a)는, 조리실(31)의 후면에 설치되며, 중공의 파이프가 "U" 형상의 곡선을 이루도록 연장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버너(36a)의 측부에는 복수개의 염공이 형성될 수 있고, 버너(36a)의 내부로 공급된 혼합가스가 염공을 통해 버너(36a)의 외부로 배출되며 연소됨으로써 버너(36a)의 외부에 화염을 발생시킨다.
팬 커버(37b)는, 조리실(31) 내부에 구분된 수용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팬 커버(37b)에는 흡기구와 배기구가 마련된다. 중앙의 흡기구를 통해 조리실 내부 공기가 팬 커버(37b) 내부로 유입되고, 팬 커버(37b)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가 양측부의 배기구를 통해 조리실(31) 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컨벡션 팬(37c)은, 팬 커버(37b) 내부의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컨벡션 팬(37c)과 연결된 팬 모터(37d)의 구동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컨벡션 팬(37c)의 작용에 의해, 조리실 내부 공기가 흡기구를 통해 팬 커버(37b) 내부로 유입되고, 팬 커버(37b) 내부에서 가열된 공기가 배기구를 통해 조리실(31) 측으로 배출되는 공기 순환 흐름이 생성될 수 있다.
팬 모터(37d)는, 컨벡션 팬(37c)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팬 모터(37d)는 조리실(31) 후방의 배후공간(34)에 배치되며, 팬 모터(37d)의 샤프트(37e)가 구획면(30a)을 관통하여 조리실(31) 내부에서 컨벡션 팬(37c)과 결합되어 팬 모터(37d)의 구동력을 컨벡션 팬(37c)에 전달한다. 팬 모터(37d)가 조리실(31)에 설치되지 않고 조리실(31)과 구획된 공간인 배후공간(34)에 설치되는 것은, 고온 상태인 조리실(31)의 열기로부터 팬 모터(37d)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한편, 조리실(31)에는 조리실(31) 외부의 공기가 컨벡션 팬(37c) 측으로 공급되기 위한 유입구(30b)가 형성된다. 유입구(30b)는, 챔버(10)의 후면 하부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챔버(10)의 외부의 공기가 챔버(10) 내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팬 커버(37b) 내부의 수용공간으로 유입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유입구(30b)는, 버너(36a)의 연소에 필요한 2차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유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조리실(31)의 상부에는 배기덕트(40)가 마련될 수 있으며, 조리기기의 상부 후방에는 배기벤트(25)가 마련될 수 있다.
배기덕트(40)는 조리실(31)의 상부에서 조리실(31)의 내부와 배기벤트(25) 사이를 연결하며, 배기덕트(40)의 내부에는 조리실(31)에서 발생된 고온의 연소가스가 배기벤트(25) 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유로가 형성된다.
배기벤트(25)는, 조리기기의 상부에 마련된 쿡탑부(20)의 후방에 마련된다. 배기덕트(40)를 통해 배기벤트(25) 측으로 이동한 고온의 연소가스는, 배기벤트(25)를 통해 조리기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아울러 배후공간(34)에는, 배후공간(34)에서 조리실(31)과 배기덕트(40) 사이를 연결하는 덕트(45)가 마련될 수 있다. 덕트(45)는 조리실(31)의 후방 및 배기덕트(40)의 하부에 배치된다. 덕트(45)의 전방은 조리실(31)로부터 구획면(30a)을 관통하여 배후공간(34)으로 돌출된 브로일 버너(35) 또는 이와 연결된 믹싱튜브(36)와 연결되고, 덕트(45)의 상부는 배기덕트(40)와 연결된다. 그리고 덕트(45)의 하부에는 개구부(46)가 형성되며, 이러한 개구부(46)를 통해 덕트(45)의 하부가 배후공간(34)을 향해 개방된다.
덕트(45)는, 배후공간(34)에서 돌출된 브로일 버너(35) 또는 이와 연결된 믹싱튜브(36)를 외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마련된다. 이러한 덕트(45)는, 브로일 버너(35) 또는 믹싱튜브(36)를 외부에서 보호하는 한편, 믹싱튜브(36)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입 통로 및 믹싱튜브(36)로 가스를 공급하는 노즐이 믹싱튜브와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또한 덕트(45)는, 조리실(31) 내부에서 발생된 연소가스가 브로일 버너(35) 및 믹싱튜브(36)를 통해 배후공간(34) 측으로 유입되는 경우, 이를 배기덕트(40)로 안내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팬 모터 냉각 구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배후공간(34)에는 냉각팬(37f)이 구비된다. 냉각팬(37f)은, 팬 모터(37d)에 의해 회전되어 팬 모터(37d) 주변 공기를 팬 모터(37d) 측으로 유동시키는 기류를 발생시키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컨벡션 팬(37c)과 냉각팬(37f)과 팬 모터(37d)는 동일축으로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이들 중 최전방에는 컨벡션 팬(37c)이 배치되고, 최후방에는 팬 모터(37d)가 배치되며, 냉각팬(37f)은 컨벡션 팬(37c)과 팬 모터(37d) 사이에 배치된다. 이들 중 컨벡션 팬(37c)은 조리실(31)의 내부에 배치되고, 팬 모터(37d)는 배후공간(34)에 배치되며, 냉각팬(37f)은 배후공간(34)에 배치되되, 구획면(30a) 상에 설치된다.
또한 컨벡션 팬(37c)과 냉각팬(37f)은, 팬 모터(37d)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된 하나의 샤프트(37e) 상에 함께 설치되고, 팬 모터(37d) 구동시 함께 회전된다. 즉 냉각팬(37f)은, 컨벡션 팬(37c)을 회전시키기 위해 팬 모터(37d)의 구동이 이루어질 때, 컨벡션 팬(37c)과 함께 회전되면서 팬 모터(37d)를 냉각시키기 위한 기류를 발생시키게 된다.
냉각팬(37f)에 의해 발생되는 기류는, 냉각팬(37f) 및 팬 모터(37d) 주변의 공기가 냉각팬(37f)의 회전에 의해 냉각팬(37f)의 후방에 위치한 팬 모터(37d) 측으로 유동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즉 냉각팬(37f)을 기준으로, 냉각팬(37f)의 외측의 공기가 냉각팬(37f)의 후방으로부터 팬 모터(37d)를 통과하며 냉각팬(37f) 측으로 빨려 들어간 후 냉각팬(37f)의 전방 외측으로 배출되는 기류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발생된 기류는, 팬 모터(37d)의 과열을 방지하고, 팬 모터(37d)의 온도가 상승하여 팬 모터(37d)의 성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팬 모터(37d)를 냉각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팬(37f)의 상부에는 덕트(45)의 개구부(46)가 배치된다. 대략 좌우방향 중앙에 냉각팬(37f)과 덕트(45)의 개구부(46)가 배치되고, 냉각팬(37f)과 덕트(45)의 개구부(46)가 상하로 인접되게 배치된다.
컨벡션 팬(37c)의 크기와 회전 반경을 고려하면, 팬 모터(37d)가 대략 좌우방향 중앙에 배치될 수밖에 없고, 따라서 냉각팬(37f)의 위치도 해당 위치에 배치될 수밖에 없다. 또한 브로일 버너(35)가 조리실(31) 상부를 고르게 가열하기 위해, 브로일 버너(35)의 위치도 대략 좌우방향 중앙으로 결정될 수밖에 없고, 따라서 믹싱튜브(36) 및 이를 감싸는 덕트(45)도 대략 좌우방향 중앙에 배치될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대략 좌우방향 중앙에 냉각팬(37f)이 위치하고, 또 그와 인접한 상부에 덕트(45)의 개구부(46)가 위치하는 배치 구조가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차단부재의 구성]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배면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차단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차단부재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배치되는 냉각팬(37f)과 덕트(45) 사이에는, 차단부재(100)가 구비된다. 차단부재(100)는, 배후공간(34)에 설치되며, 냉각팬(37f)과 개구부(46) 사이에 배치되어 개구부(46)에서 냉각팬(37f)으로의 공기 유동 경로를 가로막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차단부재(100)는, 공기를 거의 통과시키지 않는 재질, 및 냉각팬(37f)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에 의해 그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차단부재(100)는, 제1차단부(110)와 제2차단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차단부(110)는, 덕트(45)의 개구부(46)와 냉각팬(37f) 사이에 배치되어 개구부(46)와 냉각팬(37f) 사이를 가로막는 차단벽을 형성한다. 제1차단부(110)는, 덕트(45)의 개구부(46)와 냉각팬(37f) 사이를 구획하는 가로방향의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차단부(110)는, 회전하는 냉각팬(37f)이 이루는 원의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및 구획면(30a)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1차단부(110)의 폭은, 대략 개구부(46)의 폭 또는 냉각팬(37f)의 폭에 대응되는 폭 또는 그 이상의 폭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차단부(110)의 길이는, 냉각팬(37f)이 설치된 구획면(30a)으로부터 팬 모터(37d)의 최후방 지점까지의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 또는 그 이상의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제1차단부(110)의 폭이 상기 폭으로 설정되는 것은, 상하방향으로 서로 마주보는 개구부(46)와 냉각팬(37f) 사이가 제1차단부(110)에 의해 충분히 차단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폭으로 마련되는 제1차단부(110)에 의해 개구부(46)와 냉각팬(37f) 사이의 상하방향 통로가 차단된다. 이로써 냉각팬(37f)의 상부로부터 냉각팬(37f)을 향해 하부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 흐름이 덕트(45)의 개구부(46) 측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이때 제1차단부(110)의 폭은, 배후공간(34)에서 차단부재(100)가 차지할 수 있는 공간의 크기, 제1차단부(110)로부터 연장되는 제2차단부(120)가 배치될 위치를 고려하여 개구부(46)와 냉각팬(37f) 사이가 제1차단부(110)에 의해 충분히 차단되도록 하면서도 필요 이상으로 길게 설정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차단부(110)의 길이가 상기 길이로 설정되는 것은, 냉각팬(37f)의 동작으로 형성되는 기류가 냉각팬(37f)의 외측의 공기가 냉각팬(37f)의 후방으로부터 팬 모터(37d)를 통과하며 냉각팬(37f) 측으로 빨려 들어간 후 냉각팬(37f)의 전방 외측으로 배출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감안한 것이다.
즉 제1차단부(110)의 길이가 적어도 구획면(30a)으로부터 팬 모터(37d)의 최후방 지점까지의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 이상이 되어야, 덕트(45) 내부의 열기가 제1차단부(110)를 넘어 냉각팬(37f)의 후방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을 충분히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제2차단부(120)는, 제1차단부(110)로부터 연장되되, 회전하는 냉각팬(37f)이 이루는 원의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차단벽을 형성한다. 제2차단부(120)는, 회전되는 냉각팬(37f)에 의해 형성되는 기류의 유동 경로 중, 덕트(45)의 개구부(46)와 냉각팬(37f) 사이의 유동 경로를 차단하되, 제1차단부(110)에 의해 차단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덕트(45)의 개구부(46)와 냉각팬(37f) 사이의 유동 경로를 차단하는 차단벽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2차단부(120)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제1차단부(110)의 일측 단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이러한 제2차단부(120)의 연장 길이는, 냉각팬(37f)의 상부로부터 냉각팬(37f)의 회전방향을 따라 측방향으로 회전하며 냉각팬(37f) 측으로 이동하는 공기 흐름을 충분히 차단할 수 있는 길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제2차단부(120)의 전후방향 길이는, 제1차단부(110)와 마찬가지로, 냉각팬(37f)이 설치된 구획면(30a)으로부터 팬 모터(37d)의 최후방 지점까지의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 또는 그 이상의 길이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차단부(120)가 회전하는 냉각팬(37f)이 이루는 원의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되, 제1차단부(110)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다른 예로서, 차단부재(100),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차단부(110)와 제2차단부(120)가 "┌" 형상으로 연결되도록, 제2차단부(120)가 제1차단부(110)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제1차단부(110)와 제2차단부(120)의 연결각은, 팬 모터(37d)와 냉각팬(37f)의 크기, 형상 등에 따라 적합한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차단부재(100)는 금속 재질의 판재가 절곡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부재(100)를 제조하기 위해 마련된 금속 판재의 좌우방향 중앙 부분을 절곡하여 좌우방향 일측이 제1차단부(110), 타측이 제2차단부(120)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차단부(110)와 제2차단부(120) 간의 경계 일부분을 전방으로부터 전후방향으로 절개한 후, 절개된 각 부분을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절곡하면, 이 절곡된 부분이 차단부재(100)와 구획면(30a) 간의 결합을 이루기 위한 결합면으로 제공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차단부재(100)의 제1차단부(110)와 제2차단부(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공기토출부(13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차단부(110)와 제2차단부(120) 모두에 공기토출부(130)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공기토출부(130)는, 냉각팬(37f)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차단부재(100)를 통과하는 통로를 제1차단부(110) 또는 제2차단부(120) 상에 형성된다. 이러한 공기토출부(130)는, 제1차단부(110) 또는 제2차단부(120) 상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마련된 공기토출부(130)는, 회전하는 냉각팬(37f)이 이루는 원의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Slit)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차단부(110)에 마련되는 공기토출부(130)는 제1차단부(110)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릿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제2차단부(120)에 마련되는 공기토출부(130)는, 제2차단부(120)의 폭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슬릿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공기토출부(130)는, 제1차단부(110)와 제2차단부(120)가 형성하는 차단벽 상에 슬릿 형상의 통로를 형성한다.
이중, 특히 제1차단부(110)에 형성되는 공기토출부(130)는, 개구부(46)를 향한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공기토출부(130)는, 냉각팬(37f)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개구부(46)를 향한 방향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아울러 공기토출부(130)는, 상부에서 봤을 때, 제1차단부(110) 또는 제2차단부(120) 상에서 냉각팬(37f)과 인접한 전방 측, 바꾸어 말하면 구획면(30a) 측에 인접한 제1차단부(110) 또는 제2차단부(120)의 전방 측에 치우치게 배치된다.
이러한 공기토출부(130)의 배치는, 냉각팬(37f)에 의해 생성되는 기류의 형상을 고려한 것이다. 즉 냉각팬(37f)의 동작시 냉각팬(37f) 주변의 공기가 냉각팬(37f)의 후방을 통해 냉각팬(37f) 측으로 흡입되고, 냉각팬(37f)으로 흡입된 공기가 냉각팬(37f)의 전방을 통해 냉각팬(37f)의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고려하여 공기토출부(130)의 위치를 설정한 것이다.
이에 따라, 냉각팬(37f)의 동작시 차단부재(100)가 설치된 영역에서 냉각팬(37f)의 후방을 통한 공기의 흡입은 차단되고, 냉각팬(37f)의 전방을 통한 공기의 토출은 공기토출부(130)를 통해 가능해지게 된다.
만약, 차단부재(100)가 설치된 영역에서 냉각팬(37f)에 의한 공기의 흡입과 토출 모두가 차단된다면, 차단부재(100)가 설치되지 않은 다른 영역을 통해 유입되어 팬 모터(37d)를 냉각시킨 공기의 토출에도 영향이 있게 될 것이다. 차단부재(100)가 설치된 영역만큼, 공기의 토출이 이루어지는 통로의 폭이 좁아지게 되기 때문이다.
팬 모터(37d)를 냉각시킨 공기의 토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면, 팬 모터(37d) 주변의 공기 순환이 그만큼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팬 모터(37d)의 성능에 비해 팬 모터(37d)의 냉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차단부재(100)에 공기토출부(130)가 형성되어 팬 모터(37d)의 냉각에 이용된 공기의 토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이 제공된다.
또한 이러한 공기토출부(130)는 냉각팬(37f) 측으로의 공기의 흡입이 주로 이루어지는 냉각팬(37f)의 후방보다 냉각팬(37f)으로 흡입된 공기의 토출이 주로 이루어지는 냉각팬(37f)의 전방에 치우치게 마련된다.
이로써 차단부재(100)가 형성된 영역에서 냉각팬(37f) 측으로의 공기 흡입은 차단되고 냉각팬(37f)으로부터의 공기 토출만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차단부재의 작용 및 효과]
도 7 및 도 8은 차단부재가 구비되지 않은 조리기기에서 발생되는 열기 역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조리실 및 배후공간에서 발생되는 기류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컨벡션부(37)를 이용하여 조리실(31) 내부를 가열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컨벡션부(37)가 작동되어 버너(36a)의 연소가 이루어지면, 버너(36a)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화염이 팬 커버(37b)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의 공기를 고온으로 가열한다.
이와 같이 팬 커버(37b) 내부의 수용공간에서의 공기 가열이 이루어지는 동안 컨벡션 팬(37c)의 회전이 이루어지면, 조리실(31)의 공기가 팬 커버(37b)의 흡기구를 통해 팬 커버(37b) 내부의 수용공간으로 흡인되고, 팬 커버(37b) 내부의 수용공간으로 흡인되어 가열된 공기가 팬 커버(37b)의 배기구를 통해 조리실(31)로 배출되는 공기 순환 흐름이 발생된다.
컨벡션 팬(37c)의 회전은, 팬 모터(37d)의 구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냉각팬(37f)은, 컨벡션 팬(37c)과 함께 회전되어 팬 모터(37d)에 대한 냉각을 수행한다.
냉각팬(37f)는, 배후공간(34) 내부에서 팬 모터(37d) 주변의 공기를 팬 모터(37d) 측으로 끌어들여 이 공기가 팬 모터(37d)를 냉각시키도록 하고, 팬 모터(37d)를 냉각시키는데 이용된 공기를 측방향으로 배출시킨다.
이러한 냉각팬(37f)은, 상부에서 봤을 때 팬 모터(37d)의 후방 측을 통해 팬 모터(37d) 주변의 공기를 팬 모터(37d) 측으로 끌어들이고, 팬 모터(37d)를 냉각시킨 공기를 팬 모터(37d)의 전방 측을 통해 팬 모터(37d)의 외측으로 배출시킨다.
한편, 셀프 클리닝 모드(Self-cleaning mode)와 같이 조리실(31)이 장시간 고온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조리실(31) 내부의 고온 열기가 개구부(46)를 통해 배후공간(34)으로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역류 현상은, 조리실(31) 내부의 열기가 브로일 버너(35)의 염공을 통해 브로일 버너(35)의 내부로 유입된 후, 믹싱튜브(36) 및 덕트(45)를 거쳐 개구부(46)를 통해 배후공간(34)으로 역류하는 형태로 발생된다.
이와 같은 역류 현상을 발생시키는데 크게 기여하는 것은, 팬 모터(37d)에 의해 발생되는 기류라고 할 수 있다. 덕트(45)와 컨벡션 팬(37c)의 배치 구조 상, 냉각팬(37f)과 개구부(46)는 서로 근접한 위치에 배치될 수 밖에 없다. 이와 같이 냉각팬(37f)과 개구부(46)가 서로 근접한 상태에서, 팬 모터(37d)를 냉각시키기 위해 냉각팬(37f)이 회전되면, 주변 공기를 팬 모터(37d) 측으로 유동시키기 위해 작용되는 냉각팬(37f)의 흡입력이 개구부(46) 주변에 강하게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조리실(31) 내부의 열기가 개구부(46)를 통해 배후공간(34)으로 토출되는 흐름이 유도되고, 이로 인해 조리실(31) 내부의 열기가 후방 공간으로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되면, 팬 모터(37d) 측으로 열기가 유입되어 팬 모터(37d)의 온도가 상승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배후공간(34)의 온도가 상승되어 배후공간(34)에 배치된 각종 배관과 밸브와 기타 전자부품 등에 악영향이 미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배후공간(34)의 온도가 상승됨에 따라 조리기기의 외벽 온도가 상승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덕트(45)의 개구부(46)와 팬 모터(37d) 사이에 차단부재(100)가 구비된다.
차단부재(100)는, 개구부(46)와 냉각팬(37f) 사이에서 냉각팬(37f)의 흡입력이 개구부(46)로 작용하는 경로를 차단한다. 이러한 차단부재(100)는, 냉각팬(37f)의 흡입력이 냉각팬(37f) 및 팬 모터(37d)의 후방 측을 통해 작용함을 감안하여, 냉각팬(37f)이 설치된 구획면(30a)으로부터 냉각팬(37f)의 후방에 설치된 팬 모터(37d)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되는 길이를 갖도록 마련된다.
차단부재(100)는, 냉각팬(37f)의 흡입력이 개구부(46)로 작용하는 경로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차단부재(100)는, 개구부(46) 주변의 공기가 해당 경로를 통해 팬 모터(37d) 측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일정 부분 차단한다. 즉 차단부재(100)는, 냉각팬(37f)의 흡입력이 개구부(46)로 작용하는 경로를 차단하여 냉각팬(37f)의 흡입력이 개구부(46)에 전달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조리실(31) 내부의 열기가 덕트(45)의 개구부(46)를 통해 후방 공간으로 역류하는 현상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차단부재(100)가 설치되지 않은 영역에서는 팬 모터(37d) 주변의 공기에 냉각팬(37f)의 흡입력이 원활히 작용되고, 이에 따라 팬 모터(37d) 주변의 공기가 팬 모터(37d) 측으로 유동하여 팬 모터(37d)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차단부재(100)에는, 냉각팬(37f)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통과시키는 공기토출부(130)가 형성된다. 냉각팬(37f)의 흡입력이 냉각팬(37f) 및 팬 모터(37d)의 후방 측을 통해 작용하는 것과 반대로, 냉각팬(37f)에서의 공기 토출은 냉각팬(37f)의 전방 측에서 이루어진다. 이를 감안하여, 공기토출부(130)는 차단부재(100) 상에서 냉각팬(37f) 및 구획면(30a)과 인접한 전방 측에 치우친 위치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차단부재(100)가 설치된 영역에서는, 냉각팬(37f) 주변 공기가 냉각팬(37f) 측으로 흡입되는 흐름은 차단되고 냉각팬(37f)의 전방 측을 통해 불어나가는 공기만이 공기토출부(130)를 통과하여 개구부(46) 측으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만이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차단부재(100)에 공기토출부(130)가 마련됨으로써, 형성되어 팬 모터(37d)의 냉각에 이용된 공기의 토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이로써 팬 모터(37d) 주변의 공기 순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팬 모터(37d)의 냉각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토출부(130)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은, 덕트(45)의 개구부(46) 측으로 토출된다. 이때 개구부(46)는 덕트(45)의 하단부를 하부방향으로 개방하고 있고, 공기토출부(130)를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은, 개구부(46)를 향해 상부방향으로 토출된다.
이러한 공기의 흐름은, 개구부(46)를 통해 역류하려는 열기의 흐름을 개구부(46) 및 그 주변에서 차단하거나 상기 열기의 흐름을 다시 덕트(45)의 내부로 밀어 올리는 작용을 한다.
즉 차단부재(100)는, 개구부(46)와 냉각팬(37f) 사이에서 냉각팬(37f)의 흡입력이 개구부(46)로 작용하는 경로를 차단하는 차단벽을 형성하는 동시에, 개구부(46)를 통해 역류하려는 열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작용을 하는 기류를 토출하기 위한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차단부재(100)는, 냉각팬(37f)의 흡입력이 개구부(46)로 작용하는 경로를 차단하면서, 개구부(46)를 통해 역류하는 열기 흐름 차단을 위한 기류의 토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배후공간(34)으로의 열기 역류 발생이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차단부재(100)는, 냉각팬(37f) 및 팬 모터(37d) 주변 경로를 모두 차단하는 것이 아니라 냉각팬(37f)의 흡입력이 개구부(46)로 작용하는 경로만을 차단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로써 냉각팬(37f)에 의해 이루어지는 팬 모터(37d)에 대한 냉각 작용과 배후공간(34)으로의 열기 역류 차단 작용이 모두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컨벡션 팬(37c)과 냉각팬(37f) 및 차단부재(100)의 작용을 이용하여 브로일 버너(35)의 연소 효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에 구비된 브로일 버너로의 공기 공급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브로일 버너(35)는 배후공간(34)과 연통된 믹싱튜브(36)를 통해 1차공기를 공급받는다. 그리고 브로일 버너(35)의 연소시 조리실(31) 내부의 공기가 브로일 버너(35)의 연소에 필요한 2차공기로 공급된다.
팬 모터(37d)가 구동하면, 컨벡션 팬(37c)과 냉각팬(37f)이 함께 회전된다.
컨벡션 팬(37c)이 배치된 팬 커버(37b) 내부의 수용공간으로는 유입구(30b)를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된다. 컨벡션 팬(37c)의 회전에 의해. 이러한 외부 공기의 유입이 촉진되는 한편, 이와 같이 유입된 외부 공기가 조리실(31)로 배출되는 기류가 생성된다. 컨벡션 팬(37c)의 회전에 의해 조리실(31)로 배출되는 공기는 브로일 버너(35)의 연소에 필요한 2차공기로 공급될 수 있다.
컨벡션 팬(37c)과 함께 회전되는 냉각팬(37f)을 통해서는, 배후공간(34)의 공기가 차단부재(100)의 공기토출부(130)를 통해 덕트(45) 내부로 유입되는 기류가 생성된다. 이때 냉각팬(37f)의 동작에 의해 팬 모터(37d)의 냉각도 함께 이루어짐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덕트(45)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믹싱튜브(36)를 통해 브로일 버너(35) 내부로 유입되는 1차공기로 공급될 수 있다.
정리하면, 냉각팬(37f)과 차단부재(100)를 이용하여 브로일 버너(35)에 1차공기를 공급할 수 있고, 냉각팬(37f) 회전시 냉각팬(37f)과 함께 회전되는 컨벡션 팬(37c)을 이용하여 브로일 버너(35)에 2차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즉 공기토출부(130)가 형성된 차단부재(100), 그리고 팬 모터(37d)에 의해 함께 구동되는 냉각팬(37f)과 컨벡션 팬(37c)의 동작을 이용하여 브로일 버너(35)에 충분한 양의 1차공기 공급과 2차공기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브로일 버너(35)의 연소 안정성과 열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냉각팬(37f)의 흡입력이 개구부(46)로 작용하는 경로를 차단하면서, 개구부(46)를 통해 역류하는 열기 흐름 차단을 위한 기류의 토출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배후공간(34)으로의 열기 역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냉각팬(37f)에 의해 이루어지는 팬 모터(37d)에 대한 냉각 작용과 배후공간(34)으로의 열기 역류 차단 작용을 모두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공기토출부(130)가 형성된 차단부재(100), 그리고 팬 모터(37d)에 의해 함께 구동되는 냉각팬(37f)과 컨벡션 팬(37c)의 동작을 이용하여 브로일 버너(35)에 충분한 양의 1차공기 공급과 2차공기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브로일 버너(35)의 연소 안정성과 열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챔버
20 : 쿡탑부
21 : 쿡탑케이스
25 : 배기벤트
30 : 오븐부
30a : 구획면
30b : 유입구
31 : 조리실
32 : 도어
34 : 배후공간
35 : 브로일 버너
36 : 믹싱튜브
37 : 컨벡션부
37a : 버너
37b : 팬 커버
37c : 컨벡션 팬
37d : 팬 모터
37e : 샤프트
37f : 냉각팬
40 : 배기덕트
45 : 덕트
51 : 컨트롤패널
52 : 입력부
53 : 표시부
100 : 차단부재
110 : 제1차단부
120 : 제2차단부
130 : 공기토출부

Claims (11)

  1. 조리실의 내부에 설치되는 컨벡션 팬;
    상기 조리실의 외부에 설치되어 상기 컨벡션 팬을 회전시키는 팬 모터;
    상기 조리실의 외부에 설치되고, 상기 팬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팬 모터 주변 공기를 상기 팬 모터 측으로 유동시키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냉각팬;
    상기 조리실의 내부와 상기 조리실의 외부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조리실의 외부에 배치된 개구부가 상기 냉각팬을 향해 개방된 덕트; 및
    상기 조리실의 외부에 설치되며, 상기 개구부에서 상기 냉각팬으로의 공기 유동 경로를 가로막는 차단부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개구부와 상기 냉각팬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개구부와 상기 냉각팬 사이를 가로막는 차단벽을 형성하는 제1차단부; 및
    상기 제1차단부로부터 연장되되, 회전하는 상기 냉각팬이 이루는 원의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차단벽을 형성하는 제2차단부;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단부는, 회전하는 상기 냉각팬이 이루는 원의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제1차단부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되는 조리기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부와 상기 제2차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냉각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통과시키는 공기토출부가 형성되는 조리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토출부는, 회전하는 상기 냉각팬이 이루는 원의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공기토출부는, 상기 개구부를 향한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냉각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상기 개구부를 향한 방향으로 통과시키는 조리기기.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의 내부와 상기 조리실의 외부가 구획면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구획되고,
    상기 컨벡션 팬과 상기 냉각팬과 상기 팬 모터는, 동일축으로 연결되어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냉각팬은, 최전방에 배치된 상기 컨벡션 팬과 최후방에 배치된 팬 모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구획면에 설치되고,
    상기 차단부재는, 상기 구획면에 설치되는 조리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부와 상기 제2차단부는, 회전하는 상기 냉각팬이 이루는 원의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는 폭 및 상기 구획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공기토출부는, 상기 제1차단부 또는 상기 제2차단부 상에서 상기 냉각팬과 인접한 전방 측에 치우치게 배치되는 조리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부와 상기 제2차단부는, 상기 팬 모터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공기토출부는, 상기 팬 모터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10.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 구비되는 브로일 버너, 및 상기 브로일 버너와 연결되어 상기 브로일 버너에 공기와 가스가 혼합된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믹싱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로일 버너의 내부는, 상기 브로일 버너에 형성된 염공을 통해 상기 조리실의 내부와 연통되고,
    상기 믹싱튜브의 내부에는, 상기 브로일 버너와 상기 덕트 사이를 연결하는 유로가 형성되는 조리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벡션 팬과 상기 냉각팬은, 동일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팬 모터에 의해 함께 회전되고,
    상기 조리실에는, 상기 조리실 외부의 공기가 상기 컨벡션 팬 측으로 공급되기 위한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컨벡션 팬 및 상기 냉각팬의 회전시,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컨벡션 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브로일 버너 측으로 유동하는 기류가 발생되고, 상기 조리실 외부의 공기가 상기 냉각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믹싱튜브 측으로 유동하는 기류가 발생되는 조리기기.
KR1020180085399A 2018-07-23 2018-07-23 조리기기 KR102067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399A KR102067271B1 (ko) 2018-07-23 2018-07-23 조리기기
US16/518,067 US11221146B2 (en) 2018-07-23 2019-07-22 Cooking appliance
EP19187584.8A EP3599420A1 (en) 2018-07-23 2019-07-22 Cooking appli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399A KR102067271B1 (ko) 2018-07-23 2018-07-23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271B1 true KR102067271B1 (ko) 2020-01-16

Family

ID=674383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399A KR102067271B1 (ko) 2018-07-23 2018-07-23 조리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21146B2 (ko)
EP (1) EP3599420A1 (ko)
KR (1) KR10206727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8691A (en) * 1985-04-01 1986-07-08 Raytheon Company Gas oven with recessed broil burner
JPS63142613U (ko) * 1987-03-11 1988-09-20
JPH0763B2 (ja) * 1990-12-19 1995-01-11 リンナイ株式会社 加熱調理器の炊飯制御装置
JP2015204662A (ja) * 2014-04-11 2015-11-16 日本電産株式会社 自冷式モータ
KR101789824B1 (ko) * 2011-04-19 2017-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9044C (ko) *
US3499431A (en) * 1967-06-26 1970-03-10 Glenwood Range Co Cooking range preheat and vent systems
US4108139A (en) * 1976-04-12 1978-08-22 The Tappan Company Convection oven
CA1138937A (en) * 1978-11-24 1983-01-04 William J. Day Combination microwave and convection oven
US4375213A (en) * 1978-11-24 1983-03-01 Raytheon Company Self-clean oven
US4373504A (en) * 1979-01-16 1983-02-15 Raytheon Company Gas burner convection oven
US4392038A (en) * 1979-01-16 1983-07-05 Raytheon Company Self-cleaning microwave convection oven
US4430541A (en) * 1981-01-14 1984-02-07 Raytheon Company Combination microwave gas convection oven
WO1983003658A1 (en) * 1982-04-14 1983-10-27 Kagomoto, Yoshiteru Hot air circulation type cooking device
JPS5981430A (ja) * 1982-10-28 1984-05-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装置
JPS6020026A (ja) * 1983-07-15 1985-02-0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装置
DE3535795A1 (de) * 1985-10-07 1987-04-09 Mulfingen Elektrobau Ebm Geblaese fuer die luftumwaelzung in z.b. backoefen
JPS63142613A (ja) 1986-12-05 1988-06-15 Taamo:Kk 係合具
US4865010A (en) * 1988-12-30 1989-09-12 Whirlpool Corporation Exhaust duct cooling system for built-in gas oven
JPH0763A (ja) 1992-02-27 1995-01-06 Yumiko Sakakibara 昆布の養殖において海中での昆布の巻き付き事故を防止する方法とその施設。
US5288203A (en) * 1992-10-23 1994-02-22 Thomas Daniel L Low profile fan body with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US6069344A (en) * 1999-01-27 2000-05-30 Hp Intellectual Corp. Convection feature for use in ovens
KR100487310B1 (ko) * 2002-01-03 2005-05-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컨벡션 가스오븐레인지의 조리실 배기장치
TW592343U (en) * 2002-04-30 2004-06-11 Delta Electronics Inc Improved cooling fan
ES2331392B1 (es) * 2007-06-29 2010-09-29 Bsh Electrodomesticos España, S.A. Aparato de coccion.
JP5728209B2 (ja) * 2010-11-26 2015-06-03 ミネベア株式会社 遠心式ファン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98691A (en) * 1985-04-01 1986-07-08 Raytheon Company Gas oven with recessed broil burner
JPS63142613U (ko) * 1987-03-11 1988-09-20
JPH0763B2 (ja) * 1990-12-19 1995-01-11 リンナイ株式会社 加熱調理器の炊飯制御装置
KR101789824B1 (ko) * 2011-04-19 2017-10-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JP2015204662A (ja) * 2014-04-11 2015-11-16 日本電産株式会社 自冷式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21146B2 (en) 2022-01-11
EP3599420A1 (en) 2020-01-29
US20200025391A1 (en) 2020-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99422B1 (en) Cooking appliance
KR101904660B1 (ko) 조리기기
KR101924590B1 (ko) 조리기기
KR20100119128A (ko) 공기 순환 수단을 포함한 오븐 레인지
US20210262675A1 (en) Cooking appliance and combustion control method of a cooking appliance
KR102067271B1 (ko) 조리기기
JP6913522B2 (ja) 加熱調理器
KR100686772B1 (ko) 전기오븐레인지
US20220268449A1 (en) Cooking appliance
JP6270773B2 (ja) 加熱調理器
KR20110089767A (ko) 전기 오븐
KR102245314B1 (ko) 조리기기
JP5828850B2 (ja) 加熱調理器
KR101864493B1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20101532A (ko) 조리기기
JP2017083100A (ja) 加熱調理器
KR20240032521A (ko) 조리기기
KR20240032522A (ko) 조리기기
KR20240029981A (ko) 조리기기
KR20210047843A (ko) 조리기기
KR20220134078A (ko) 조리기기
KR20240029982A (ko) 조리기기
JP2016196984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