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2522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2522A
KR20240032522A KR1020220111621A KR20220111621A KR20240032522A KR 20240032522 A KR20240032522 A KR 20240032522A KR 1020220111621 A KR1020220111621 A KR 1020220111621A KR 20220111621 A KR20220111621 A KR 20220111621A KR 20240032522 A KR20240032522 A KR 20240032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air guide
disposed
cooking appliance
exhaust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1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1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2522A/ko
Priority to PCT/KR2022/017642 priority patent/WO2023149624A1/ko
Publication of KR20240032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25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with transparent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24C3/12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in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baking ov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조리실을 내부에 형성하는 본체와, 본체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본체 및 도어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컨트롤패널, 및 도어와 컨트롤패널 사이에 배치되며 본체에 설치되는 에어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에서 내부를 보기 위한 투시창이 도어에 마련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조리기기를 분류하여 보면, 조리기기는 개방형 조리기기와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다. 그리고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Cooktop), 호브(Hob), 그리들(Griddle) 등이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는 조리기기이다. 이러한 밀폐형 조리기기는,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의 내부에는, 조리실이 제공된다. 조리실은,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이며, 조리기기가 음식물을 요리할 때 차폐되는 공간이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도어는,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된 본체와 도어 사이에 마련되는 도어 힌지에 의해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는, 도어 힌지를 통해 본체와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함으로써,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 조리실의 내부 공간에는, 열원이 제공될 수 있다. 열원은, 조리실을 가열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열원으로는 가스버너 또는 전기히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조리실의 상부에는, 전장실이 배치될 수 있다. 전장실에는, 밀폐형 조리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전장부품들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전장실은, 조리실과 분리된 공간으로 형성된다.
전장실의 내부에는, 전장실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팬이 구비될 수 있다. 냉각팬은, 시로코팬과 같은 원심형 팬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전장실의 후방에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냉각팬은,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전장실 내부로 유입시키고, 전장실 내부의 뜨거운 공기를 외부로 강제로 배출시킴으로써, 전장실을 냉각할 수 있다.
본체는, 캐비티 및 전면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는 본체의 골격을 형성하며, 이 캐비티의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될 수 있다. 전면패널은, 캐비티의 전방에 배치되어 본체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전장실은, 캐비티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장실의 전면은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예컨대, 전면패널의 적어도 일부분이 캐비티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으며, 캐비티의 상부에 배치된 전면패널의 상부 영역이 전장실의 전면을 차폐할 수 있다.
전면패널에는, 배기구가 마련될 수 있다. 배기구는, 전면패널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기구는, 전장실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전면패널 상에 형성할 수 있다.
배기구는, 전장실의 전면, 즉 전면패널의 상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배기구의 전방측에는, 배출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배기구의 전방측에는 컨트롤패널 및 도어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컨트롤패널과 도어 사이에는, 소정 높이의 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패널과 도어 사이의 틈에 배출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배기구는, 배출유로 측으로 노출되며 배출유로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배기구의 적어도 일부분은, 이러한 배출유로를 통해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즉 배기구의 적어도 일부분은, 컨트롤패널과 도어 사이의 틈을 통해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전장실 내부의 냉각팬에 의해 전장실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배기구를 통해 전장실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배기구를 통해 배출된 공기는, 컨트롤패널과 도어 사이의 배출유로를 통해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조리 과정 중 발생되는 조리실 내부의 열은 도어를 통해서 도어 외측까지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전도열을 차폐하기 위해, 도어에는 복수개의 글라스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도어에는 도어의 외측면에 배치되는 프런트 글라스 및 도어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리어 글라스가 설치될 수 있으며, 프런트 글라스와 리어 글라스 사이에는 복수개의 중간 글라스가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중간 글라스는, 열 차폐를 위한 복사에너지 반사 코팅이 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조리실 내부의 열은, 도어의 내측면에 전달된 후 도어 내부의 중간 글라스를 통해 프런트 글라스로 전달되는데, 상기 내부 글라스의 복사에너지 반사 코팅에 의해 전도열이 차폐될 수 있다.
또한 도어의 상단에는, 배출홀이 마련될 수 있다. 배출홀은, 도어의 상단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홀을 통해, 도어 내부의 뜨거운 공기가 배출유로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뜨거운 공기가 빠져 나간 도어 내부로 차가운 공기가 도어의 하부로 흡입될 수 있다.
즉 도어 내부의 뜨거운 공기가 도어의 상부로 배출되고 차가운 공기가 도어의 하부를 통해 도어 내부로 유입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공기 흐름에 의해, 도어의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출홀은 도어의 상단에 배치된다. 이처럼 도어의 상단에 배치된 배출홀은, 배출유로와 연결될 수 있다. 즉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뜨거운 공기와 배출홀을 통해 배출되는 뜨거운 공기가 배출유로에서 합류할 수 있다.
전장실 내부로부터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뜨거운 공기는, 배출유로를 통과하되, 배출홀의 상부 영역을 통과한 후, 조리기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배출유로 내부를 유동하는 뜨거운 공기가 배출홀을 통해 도어 내부로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즉 전장실 내부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조리기기의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배출홀을 통해 도어 내부로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역류가 발생되면, 도어 내부로의 냉기 유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이에 따라 도어 냉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어렵게 된다.
선행문헌1(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30016호)에는, 오븐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1에 개시된 오븐(1)은,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리실(20)이 마련되는 케이싱(10), 및 조리실(20)의 개방된 전방을 개폐하는 도어(3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리실(20)은 상면판(21), 바닥판(22), 양 측면판(23) 및 후면판(24)에 의해 형성되는 조리공간이다. 조리실(20) 외부와 케이싱(10) 사이의 공간(이하, "전장실"이라 한다)에는, 오븐(1)을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다. 케이싱(10)의 상단부에는, 오븐(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패널(12)이 설치될 수 있다.
상면판(21) 외측에는, 냉각팬모듈(50)이 설치될 수 있다. 냉각팬모듈(50)은 케이싱(10)의 후면판(11) 등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통해 외부공기를 전장실 내부로 유입시킨 후, 전장실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다시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전장실의 내부에는, 냉각유로(55)가 마련될 수 있다. 냉각유로(55)는, 냉각팬모듈(50)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오븐(1)의 전면을 향해 흐를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냉각유로(55)의 전방측에는, 냉각토출구(57)가 마련될 수 있다. 냉각유로(55)를 통과한 공기는, 냉각토출구(57)를 통해 도어(30)의 상부로 토출될 수 있다. 냉각토출구(57)는, 도어(30)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냉각토출구(57)의 전방측 단부에는, 냉각가이드(80)가 설치될 수 있다. 냉각가이드(80)는, 냉각토출구(57)의 폭을 좁힐 수 있게 구부러진 브라켓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냉각가이드(80)로 인해 폭이 좁아진 냉각토출구(57)에서는, 냉각토출구(57)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빨라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토출구(57)를 통과하는 공기는 빠른 속도로 오븐(1)의 외부로 배출되는 한편, 냉각토출구(57)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그 주변의 공기가 냉각토출구(57) 주변으로 모이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각토출구(57) 주변의 공기가 도어(30)의 상부로 모이는 힘에 의해, 도어(30) 내부 공기의 도어(30)의 상부로의 배출이 유도될 수 있다.
선행문헌1은, 이와 같이 유도되는 도어(30) 내부 공기의 배출 유도에 의해, 도어(30) 내부로의 냉기 유입은 활성화되고, 냉각토출구(57)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도어(30) 내부로의 역류는 억제될 수 있다는 효과를 제시한다.
그러나 선행문헌1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1에 따르면, 냉각토출구(57)를 통과한 공기와 도어(30)에서 배출된 공기는 냉각토출구(57)의 전방 및 도어(30)의 상부에 위치한 공간으로 배출된다.
즉 냉각토출구(57)를 통해 배출된 공기와 도어(30) 내부에서 배출된 공기가 한 공간에서 합류하면서 해당 공간 내에서 와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류가 발생함에 따라, 냉각토출구(57)를 통과한 공기와 도어(30)에서 배출된 공기가 오븐(1)의 외부로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게 될 수 있고, 해당 공간 내의 공기가 도어(30) 내부로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장실 내부에 대한 냉각, 도어(30) 내부에 대한 냉각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어렵다.
또한 선행문헌1에서는, 냉각토출구(57)의 하부를 따라 냉각가이드(80) 또한 길이방향으로 길게 이어지고, 냉각가이드(80)는 냉각토출구(57)의 하부에 고정된다.
만약 냉각토출구(57)가 오븐(1)의 폭방향을 따라 복수개로 분할된 형태로 형성된다면, 이 냉각토출구(57)의 하부에 고정되어야 하는 냉각가이드(80) 또한 복수개가 마련되어야 한다.
이 경우, 냉각가이드(80)를 설치하는데 필요한 조립 공수 및 부품 수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냉각토출구(57)가 오븐(1)의 폭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이어진 형태로 제공된다면, 즉 오븐(1)에 하나의 긴 냉각토출구(57)만이 형성된다면, 그만큼 케이싱(1) 전면의 강도가 약해질 수 밖에 없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밀폐형 조리기기를 이용하여 육류 또는 육류가 함유된 음식물을 가열 조리할 경우, 음식물로부터 지방(Fat) 또는 오일(Oil) 등 유분이 조리실의 내부를 부유하다가 조리실의 벽면에 부착되어 조리실의 내벽을 오염시키게 된다.
이렇게 조리실의 벽면에 부착(점착)된 유분은, 소위 폴리머라이제이션(Polymerization: 중합(반응))화되어 딱딱하게 고착되어 청소(제거)가 곤란한 상태로 된다.
최근 출시되고 있는 조리기기 중에는, 상기와 같은 유분 등과 같은 오염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셀프 클리닝 기능이 탑재된 것이 있다.
조리기기의 셀프 클리닝 기능은, 조리실의 벽면에 부착(점착)된 유분 등과 같은 오염물질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기능이다.
조리기기에서의 셀프 클리닝은, 유분 등 오염물질이 조리실의 벽면에 부착될 경우, 버너나 히터와 같은 열원으로 조리실의 내부를 가열하여 조리실 내부의 온도가 고온으로 장시간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오염물질을 태워서 제거하는 소위 파이로리시스(Pyrolysis)라고 하는 열분해 방법을 이용한 형태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선행문헌1에도, 이와 같은 셀프 클리닝 기능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인 열분해 세척 기능이 개시된다. 이에 따르면, 선행문헌1의 제어유닛(38)은 조리실(20) 내부의 온도를 높여 이물질을 열분해하여 제거하는 세척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열분해 세척은, 전기히터(42)를 이용하여 조리실(20) 내부 온도를 고온으로 장시간 유지하여 오염물질들을 태워서 제거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열분해 세척이 진행될 때에는 조리실(20)의 내부가 매우 고온으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셀프 클리닝 작동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조리기기의 도어는 굳게 닫혀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오븐(1)에는 도어잠금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잠금장치는, 오븐(1)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도어(30)에 걸림 가능하게 구비되는 래치 및 래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는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동부와 래치는 링크 구조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어(3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동안, 래치는 도어(30)에 걸린 상태를 유지한다. 더 이상 도어(30)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지 않아도 될 때, 래치가 도어(30)에 걸린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래치는, 오븐(1)의 전면에 설치되며, 전방으로 회전하며 오븐(1)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래치는, 전방으로 회전하며 돌출되어 도어(30)에 걸리고, 후방으로 회전하며 도어(30)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도어(30)의 상단에는 걸림홈이 마련될 수 있으며, 래치는 걸림홈의 상부로부터 걸림홈에 삽입되며 도어(30)에 걸리고, 이에 따라 도어(30)가 도어잠금장치에 의해 잠길 수 있다.
필요시 래치가 오븐(1)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래치는 오븐(1)의 전면에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래치는, 도어(30)의 상단에 마련된 걸림홈을 출입할 수 있도록, 도어(30)보다는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선행문헌1에서, 래치가 상기와 같은 위치에 설치되면, 도어(30)가 조리실(20)을 개방했을 때는 물론 도어(30)가 조리실(20)을 닫은 상태에서도 래치가 오븐(1)의 전방으로 노출된다.
즉 도어(30)보다 상부에 배치된 래치가 도어(30)와 컨트롤패널 사이의 틈을 통해 오븐(1)의 전방으로 노출되며, 이는 오븐(1)의 미관을 저하시키는 요소가 될 수 있다.
선행문헌1: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0016호
본 발명은 전장실에서 배출된 공기가 도어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장실에서 배출된 공기와 도어에서 배출된 공기가 도어 상부에서 합류하면서 와류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잠금장치의 래치 등과 같이 컨트롤패널과 도어 틈 사이로 노출되는 구조물에 의해 조리기기의 미관이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기기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공기의 영향을 적게 받으면서도 조리기기의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와류 발생 억제라는 목적 및 조리기기의 미관 향상이라는 목적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조리기기는, 도어와 컨트롤패널 사이의 틈에 에어가이드가 배치되고, 이 에어가이드가 배기구와 도어배기구 사이를 가로막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와류 발생 및 이로 인한 배기 역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와 컨트롤패널 사이의 틈에 에어가이드가 배치되고, 에어가이드는 컨트롤패널과 에어가이드 사이의 공간과 에어가이드와 도어 사이의 공간을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와 컨트롤패널 사이의 틈에 에어가이드가 배치되고, 이 에어가이드가 본체의 전면 또는 프런트패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와 컨트롤패널 사이의 틈에 에어가이드가 배치되고, 이 에어가이드가 배기구를 측방향 외측으로 벗어난 영역에서 본체의 전면 또는 프런트패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와 컨트롤패널 사이의 틈에 에어가이드가 배치되고, 이 에어가이드는 캐비티의 전면 또는 프런트패널의 적어도 일부분을 전방측에서 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도어와 컨트롤패널 사이의 틈을 일정 부분 가림으로써,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컨트롤패널과 프런트패널과 도어로 둘러싸인 전방공간이 컨트롤패널과 도어 사이에 형성되고, 이 전방공간 내에 배치되는 에어가이드가 도어와 컨트롤패널 사이의 틈을 통해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와 컨트롤패널 사이의 틈에 에어가이드가 배치되고, 이 에어가이드는 도어와 컨트롤패널 사이의 틈과 동일 높이에 배치된 구조물의 적어도 일부분을 전방측에서 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에 마련된 도어배기구가 배기구와 에어가이드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전장실에서 배출된 공기가 도어 내부로 역류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배기구가 도어의 후방측에 치우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도어는 전후방향으로 배열되는 전반부와 후반부로 구분되고, 도어배기구는 전반부의 후방에 배치된 후반부에 배치되며, 도어배기구는 전반부의 상단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컨트롤패널과 프런트패널과 도어로 둘러싸인 전방공간이 컨트롤패널과 도어 사이에 형성되고, 에어가이드는 전방공간 내에서 전방공간의 전방측에 치우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와류 발생을 억제하면서 조리기기의 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내부에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본체 및 상기 도어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컨트롤패널; 및 상기 도어와 상기 컨트롤패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에어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조리실을 내부에 형성하는 캐비티, 및 상기 캐비티와 상기 도어 사이에 배치되는 프런트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프런트패널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티의 상측에는 전장실이 형성되고, 상기 프런트패널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전장실의 전방측에 배치되며, 상기 프런트패널에는 상기 전장실 내부를 상기 전방공간 측으로 개방하는 배기구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프런트패널의 측방향 단부와 상기 배기구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프런트패널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도어와 상기 컨트롤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본체부, 및 상기 가이드본체부의 측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결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기구를 사이에 두고 측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상기 결합부가 상기 프런트패널과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가이드본체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부의 전후방향 길이가 상기 가이드본체부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상기 프런트패널의 측방향 단부와 상기 배기구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연장부가 상기 가이드본체부 및 상기 배기구를 사이에 두고 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본체부의 전방 단부와 상기 연장부의 전방 단부가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런트패널은, 상기 캐비티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패널본체부, 및 상기 패널본체부의 양측 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돌출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면부는, 상기 패널본체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돌출면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상기 돌출면부가 상기 배기구를 사이에 두고 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도어와 상기 본체 및 상기 컨트롤패널로 둘러싸인 전방공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과 마주보는 상기 도어의 상단에는, 상기 도어 내부를 상기 전방공간으로 개방하는 도어배기구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전후방향에 대해서, 상기 도어배기구가 상기 에어가이드와 상기 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후방향에 대해서, 상기 도어배기구가 상기 에어가이드와 상기 배기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 구비되는 에어가이드는, 기류의 합류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동저항이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에어가이드 및 조리기기의 전방에서 와류가 발생될 가능성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조리기기를 냉각시킨 후 배기되는 공기의 풍량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유동저항 및 와류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저감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곳에서 배출된 성질이 다른 두 공기가 전방공간에서 과도하게 혼합되지 않게 배기 흐름이 에어가이드에 의해 제어됨으로써, 와류로 인해 배기 성능 저하 및 도어 내부로의 배기 역류 문제 발생이 효과적으로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은 온도의 공기가 전방공간 중 상측에 치우친 공간인 제1공간을 통해 배출되도록 공기의 흐름을 유도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배출되는 뜨거운 공기와 도어 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뜨거운 토출 유동과 도어 간의 접촉으로 인해 도어 온도가 상승될 위험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어가이드는, 도어가 아닌 컨트롤패널에 고정되고, 도어 개방시에 도어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되지 않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가이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조리기기는, 뜨거운 토출 유동과의 접촉으로 인해 고온 상태일 수 있는 에어가이드와 사용자 간의 접촉 가능성을 낮춤으로써, 도어 개방시 고온의 부품으로 사용자가 화상을 입을 위험성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의 합류 과정에서 발생되는 유동저항이 감소되도록 하는 한편, 도어와 먼 에어가이드의 상부 공간에서 공기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장실에서 배출된 공기가 도어 내부로 역류하는 현상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 영역에서 최대한 벗어날 수 있는 위치에 도어배기구가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전방공간으로 배출된 뜨거운 공기가 도어 내부로 역류하는 현상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방 틈을 통해 노출되던 구조물들의 일부분이 전방 틈을 측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전방 틈을 가리는 구조물을 제공하는 에어가이드에 가려지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기기의 전방 틈을 바라보는 시선이 에어가이드로 집중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전방 틈에 에어가이드만이 존재하는 것 같은 착시 효과가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을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가이드의 체결 부위가 전방에서 보이지 않게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이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가이드의 전면을 형성하는 가이드본체부가 전방 틈의 중앙위치에 배치되어 전방 틈의 상부 영역과 전방 틈의 하부 영역이 대칭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전면 외관이 좀 더 안정적으로 보이도록 하며 조리기기의 미관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조리리기의 전면 형상이 좀 더 안정적인 형태로 보이도록 하면서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가이드의 고정을 위해 마련되는 외측커버돌기가 래치와 같은 크고 복잡한 형태의 구조물을 가릴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에어가이드의 안정적인 고정과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 향상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측커버돌기가 배기구와 배기구 사이를 구획하는 격벽을 전방에서 덮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배기구를 통한 공기의 배출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내측커버돌기의 열 변형 발생 위험을 낮추는 효과, 그리고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내열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형성된 에어가이드를 제공함으로써, 고온의 공기가 배출되는 경로에 배치되는 에어가이드가 열에 의해 쉽게 변형되지 않고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에어가이드에 의해 제공되는 금속 광택을 통해 조리기기의 미관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방공간 내에서 전방공간의 전방측에 치우치게 배치된 에어가이드를 구비함으로써, 전방공간 내에서 와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와 조리기기의 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프런트패널을 분리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어와 컨트롤패널 및 에어가이드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정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도어와 컨트롤패널 및 에어가이드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를 분리하여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에어가이드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에어가이드와 프런트패널의 결합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1은 에어가이드와 프런트패널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내부에서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6은 종래 오븐의 측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조리기기가 바닥(floor)에 놓인 상태에서, 조리기기의 중심을 기준으로 도어가 설치된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도어를 열고 조리기기 내부로 진입하는 방향은 후방이 된다. 편의상 이렇게 전방과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제1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방은 제1방향의 일방, 후방은 제1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중력 방향을 하방,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조리기기의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 즉 조리기기의 도어 앞에서 조리기기를 바라볼 때 조리기기의 폭방향을 좌우방향이라 할 수 있다. 편의상 좌우방향을 제2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우측은 제2방향의 일방, 좌측은 제2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의 폭방향을 측방향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러면 우측은 측방향의 일측, 좌측은 측방향의 타측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상하방향을 제3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상방은 제3방향의 일방, 하방은 제3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상하방향을 세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즉 제1방향과 제2방향을 포함하여 가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프런트패널을 분리하여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체(10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본체(10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0)는, 그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캐비티(11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110)는, 본체(100)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프런트패널(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패널(120)은, 캐비티(110)의 전방에 배치되어 본체(10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프런트패널(120)이 캐비티(110)와 별도로 마련되지 않고, 캐비티(110)의 전면이 본체(100)의 전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캐비티(110)와 프런트패널(120)이 일체로 형성된 형태로 본체(100)에 마련될 수 있다.
캐비티(110)의 내부에는 조리실(10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프런트패널(120)의 내부에는, 조리실(101)을 전방으로 개방하는 개구부(126)가 형성될 수 있다.
조리실(101)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조리실(101)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기기는 조리실(101)의 내부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할 수 있다. 즉 조리기기에서는, 조리실(101)의 내부공간이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다.
조리기기에는, 조리실(101)을 가열하는 가열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부의 일례로서, 조리실(101)의 후측에는 뜨거운 공기를 대류시켜 조리실(101)의 내부공간을 가열하는 컨벡션부(160)가 상기 가열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조리실(11)의 상측에는 조리실(101)의 내부공간을 상측에서 가열하는 상부히터(165) 또는 상부버너가 가열부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조리실(101)의 하측에도 조리실(101)의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가열하는 하부히터 또는 하부버너가 가열부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본체(100)의 전방에는, 조리실(10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150)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어(150)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하는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조리실(101)을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150)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15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도어(150)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 파지할 수 있게 마련된 핸들(155)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어(150)에는 투시창이 마련될 수 있다. 투시창은 투명한 재질, 예컨대 유리나 투명 플라스틱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투시창이 적용되는 조리기기에 따라, 투시창이 고온, 고압에 견딜 수 있도록 형성될 필요가 있을 수 있고, 투시창에 방수, 방열 등의 기능도 필요할 수도 있다.
조리기기의 전면 상부, 즉 캐비티(110)의 상부 전면에는 컨트롤패널(200)이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200)은, 조리기기 전면 외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패널(200)에는, 디스플레이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입력부 및 조리기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는 하나의 패널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가받는 터치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조리기기의 구동과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는 액정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터치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을 형성하는 경우, 디스플레이는 출력장치 이외에 입력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센서는 예컨대, 터치필름, 터치시트, 터치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를 갖는 컨트롤패널(200)에는, 복수개의 버튼들이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패널(200)에는 사용자의 노크 입력에 의해 조리실(101)에 설치된 램프(70)의 온/오프가 사용자의 노크 입력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노크온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패널(200)에는, 램프를 수동으로 온/오프시키는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램프 버튼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조리기기가 오븐인 경우, 컨트롤패널(200)에는 조리실(101)의 셀프 클리닝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셀프 클리닝 버튼 등이 표시될 수도 있다.
캐비티(110)의 외부, 좀 더 구체적으로 캐비티(110)의 상부에는, 전장실(103)이 마련될 수 있다. 전장실(103)은, 캐비티(110)의 상부 및 컨트롤패널(200)의 배후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장실(103)의 내부에는, 전장부품들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전장실(103)의 전면은, 프런트패널(12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프런트패널(120)은, 캐비티(110)와 도어(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프런트패널(120)은, 적어도 일부분이 전장실(103)의 전방을 가로막게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조리실(101)의 상부에 배치된 프런트패널(120)의 상부 영역이 전장실(103)의 전면을 차폐할 수 있다. 이러한 프런트패널(120)은, 캐비티(110)의 상부로 돌출되어 전장실(103)의 전방 경계면을 규정할 수 있다.
프런트패널(120)에는, 배기구(122)가 마련될 수 있다. 배기구(122)는, 프런트패널(120)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기구(122)는, 전장실(103) 내부의 공기가 프런트패널(120)을 통과하여 전장실(103)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프런트패널(120) 상에 형성할 수 있다.
배기구(122)는, 프런트패널(120)의 좌우방향 중심에서 프런트패널(120)의 좌우방향 일측 단부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배기구(122)는 프런트패널(120)의 좌우방향 중심과 프런트패널(120)의 우측 사이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프런트패널(120)이 캐비티(110)와 별도로 마련되지 않고, 캐비티(110)의 전면이 본체(100)의 전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배기구(122)는 프런트패널(12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캐비티(110)의 전면에 마련될 수 있다.
[도어의 구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어(150)는 도어프레임(151) 및 프런트 글라스(153)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프레임(151)은, 도어(150)의 골격을 형성하며, 도어(150)의 상면과 저면 및 측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프레임(151)은, 전면 및 후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프레임(151)의 하측에는, 도어프레임(151)을 본체(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힌지는, 도어프레임(151)의 하단에 설치되되, 도어프레임(151)의 측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어프레임(151)의 전방측에는, 프런트 글라스(153)가 배치될 수 있다. 프런트 글라스(153)는, 도어프레임(151)의 전방측에서 도어프레임(151)과 결합되며 도어(15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어(150)는, 리어 글라스(1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어 글라스(156)는, 도어프레임(151)의 후방측에서 도어프레임(151)과 결합되며 도어(150)의 배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어(150)는, 내부 글라스(1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150)가 복수개의 내부 글라스(154)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내부 글라스(154)는, 프런트 글라스(153)의 후방측 및 리어 글라스(156)의 전방측에 배치되며, 프런트 글라스(153)의 후방측 및 리어 글라스(156)의 전방측에서 도어프레임(151)과 결합될 수 있다.
도어(150)의 내부에는, 복수개의 내부 글라스(154)가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내부 글라스(154)는, 최후방에 위치한 내부 글라스(154)와 프런트 글라스(15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내부 글라스(154)들에 의해, 도어(150) 내부는 전후방향으로 배열된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복수개의 내부 글라스(154)는, 조리실(101) 내부에서 도어(150)로 전달된 열이 도어(150)의 전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내부 글라스(154)들이 배치된 도어(150)의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예컨대, 도어(150)의 개방된 하단을 통해 외부 공기가 도어(15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어(15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도어(150) 내부를 통과하며 도어(150)를 냉각시킬 수 있다.
컨트롤패널(200)과 마주보는 도어(150)의 상단에는, 도어배기구(152)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배기구(152)는, 도어(150) 내부를 도어(150) 외부로 개방하는 통로를 도어(150)의 상단에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배기구(152)는, 도어프레임(151)의 상단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프레임(151)의 상단은, 전반부(150a)와 후반부(150b)로 구분될 수 있다. 전반부(150a)는 도어프레임(151) 상단의 전방측을 형성하며, 후반부(150b)는 도어프레임(151) 상단의 후방측을 형성할 수 있다.
전반부(150a)는, 상하방향 축과 직교하는 가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전반부(150a)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후반부(150b)는, 후방으로 갈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도어배기구(152)는, 도어(150)의 상단에 마련되되, 후반부(150b)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배기구(152)는, 도어(150) 상에서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며, 전반부(150a)에 의해 형성되는 도어(150)의 최상단보다는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장실 내부의 구조]
전장실(103)의 하부 경계면은, 캐비티(110)의 상측에 배치된 어퍼패널(130))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장실(103)의 상부 경계면은, 전장실(103)을 상부에서 덮는 전장실커버(135)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또한 전장실(103)의 측부, 배후 경계면은, 전장실커버(135)의 양측면 및 배면에 의해 규정될 수도 있고, 조리실(101)의 상부측으로 돌출된 캐비티(110)의 양측면 및 전장실커버(135)의 배면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전장실(103) 내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종 전장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그 일례로서, 전장실(103) 내부에는 회로기판이 배치될 수 있다. 회로기판에는, 컨트롤패널(200)을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의 수신, 가열부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의 생성 등과 관련된 각종 소자, 회로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전장실(103) 내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종 전장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그 일례로서, 전장실(103) 내부에는 회로기판이 배치될 수 있다. 회로기판에는, 컨트롤패널(200)을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의 수신, 가열부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의 생성 등과 관련된 각종 소자, 회로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어퍼패널(130)은, 차단판부(131) 및 덕트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판부(131)는, 캐비티(110)와 전장실(103) 사이를 가로막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판부(131)은, 캐비티(110)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전장실(103)의 하부 경계면을 규정할 수 있다.
덕트부(133)는, 차단판부(131)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덕트부(133)는, 전장실(103) 내부의 공기가 덕트부(133) 내부를 통해 전장실(103)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덕트부(133)는, 후술할 팬모듈(170)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배기구(122)를 향해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전장실(103) 내부에는, 팬모듈(17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팬모듈(170)은, 캐비티(110)의 후면에 인접한 측, 즉 전장실(103) 내부에서 후방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팬모듈(170)은, 전장실(103) 내부에 설치되는 터보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팬모듈(170)은, 전장실(103)의 후방측을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이를 전방측으로 토출할 수 있다.
상기 팬모듈(170)의 작동에 의해, 외부 공기가 조리기기의 후방측 및 측방측으로부터 전장실(103)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0)의 하부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가 조리기기의 후방측 공간을 통과한 후, 전장실(103)의 후방측에 형성된 통기공(104)을 통해 전장실(103)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전장실(103)의 측방측에 형성된 통기공(104)을 통해, 외부 공기가 전장실(103)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이처럼 전장실(103)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전장실(103)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며 전장실(103) 내부의 전장부품들을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장실(103)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팬모듈(170)에 의해 덕트부(133)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덕트부(133)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덕트부(133)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한 후, 배기구(122)를 통해 전장실(103)의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전방공간 및 그 주변 구조]
전장실(103)의 전방측에는, 전방공간(S)이 형성될 수 있다. 전방공간(S)은, 프런트패널(120)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방공간(S)은, 컨트롤패널(2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방공간(S)은, 조리실(101)을 폐쇄한 도어(15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전방공간(S)이 도어(150)와 프런트패널(120)과 컨트롤패널(200)로 둘러싸인 공간인 것으로 예시된다. 즉 전방공간(S)은, 프런트패널(120)의 전방측이면서 컨트롤패널(200)과 도어(15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일 수 있다.
이러한 전방공간(S)은, 컨트롤패널(200)과 도어(150) 사이의 틈을 통해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전방공간(S)의 후방측에는, 배기구(122)가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배기구(122)는 프런트패널(120)에 형성될 수 있다. 전장실(103) 내부에서 전장부품을 냉각시키며 전방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배기구(122)를 통해 전방공간(S)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런트패널(120)에는 복수개의 배기구(122)가 마련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배기구(122)는, 측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측방향으로 인접한 두 배기구(122) 사이에는, 격벽(121)이 형성될 수 있다. 격벽(121)은, 인접한 두 배기구(122) 사이에서 프런트패널(120)을 지지함으로써, 프런트패널(120)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전방공간(S)의 하부측에는, 도어배기구(152)가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어배기구(152)는 도어(150)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도어(150) 내부에서 도어(150)를 냉각시키며 상방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도어배기구(152)를 통해 전방공간(S)으로 배출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의 구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도어와 컨트롤패널 및 에어가이드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정면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도어와 컨트롤패널 및 에어가이드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배면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가이드를 분리하여 도시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에어가이드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에어가이드(300)는 도어(150)와 컨트롤패널(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에어가이드(300)는 프런트패널(120)의 적어도 일부분을 가리며 도어(150)와 컨트롤패널(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가이드(300)는, 도어(150)와 컨트롤패널(200) 사이의 공간을 상하로 구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가이드(300)는, 도어(150)와 프런트패널(120) 및 컨트롤패널(200)로 둘러싸인 공간, 즉 전방공간(S)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가이드(300)는 전후방향 길이 및 상하방향 길이에 비해 측방향 길이가 매우 긴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에어가이드(300)는, 상하방향 길이보다 전후방향 길이가 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 에어가이드(300)의 전후방향 길이를 "길이"로, 에어가이드(300)의 측방향 길이를 "폭"으로, 에어가이드(300)의 상하방향 길이를 "두께"로 지칭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가이드(300)는 길이 및 두께에 비해 폭이 길며 길이 및 폭에 비해 두께가 얇은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300)의 상하방향 길이, 즉 두께는, 전방공간(S)의 상하방향 길이 이하일 수 있다. 이러한 에어가이드(300)는, 전방공간(S)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배기구(122)나 도어배기구(152)에서 배출된 공기는, 전방공간(S) 내부에서 전방으로 유동하며 에어가이드(300)를 통과할 수 있고, 에어가이드(300)를 통과하여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방공간(S)에 배치되는 에어가이드(300)는, 전방공간(S)의 적어도 일부분을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이러한 에어가이드(300)의 측방향 길이, 즉 폭은, 전방공간(S)의 측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일 수 있다. 예컨대, 에어가이드(300)의 폭은 컨트롤패널(200)의 측방향 길이와 도어(150)의 측방향 길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공간(S1)은 컨트롤패널(200)과 에어가이드(300) 사이의 공간인 것으로, 제2공간(S2)은 에어가이드(300)와 도어(150) 사이의 공간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공간(S1)은 후술할 가이드본체부(310)와 컨트롤패널(200) 사이의 공간인 것으로, 제2공간(S2)은 후술할 가이드본체부(310)와 도어(150) 사이의 공간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은, 가이드본체부(310)에 의해 상하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300)는, 전방공간(S)에 배치되되, 전방공간(S) 중 전방에 치우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가이드(300)는, 전방공간(S) 중 전방 영역을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으로 구획할 수 있다.
도 3과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에어가이드(300)는 가이드본체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본체부(310)는, 에어가이드(300)의 대부분의 영역을 차지하는 부분으로서, 에어가이드(300)의 외관 대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본체부(310)는, 컨트롤패널(200)과 도어(150) 사이에 배치되어 컨트롤패널(200)과 도어(150) 사이의 공간을 상하로 구획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본체부(310)는, 컨트롤패널(200)과 도어(150) 사이의 공간을 상측의 제1공간(S1)과 하측의 제2공간(S2)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일례로서, 가이드본체부(310)는 컨트롤패널(200)의 저면 또는 도어(150)의 상단면과 나란한 평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본체부(310)는, 상하방향 축과 직교하는 평면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300)는, 연장부(3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장부(315)는, 가이드본체부(310)의 측방향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연장부(315)는, 가이드본체부(310)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315)는, 에어가이드(300)와 본체(100)의 결합에 관여하는 부분도 아니고, 배기 흐름을 유도하는데 관여하는 부분도 아니다. 이러한 연장부(315)의 길이는, 가이드본체부(310)에어가이드(300)의 전체 길이에 비해 짧게 설정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300)의 전체 길이에 비해 연장부(315)의 길이가 짧은 형태로 연장부(315)가 형성됨으로써, 에어가이드(300)의 전체 크기 및 중량이 불필요하게 증가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연장부(315)는, 에어가이드(300) 상에서 전방측에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장부(315)의 전방측 단부와 가이드본체부(310)의 전방측 단부가 동일 선상에 배치되도록, 가이드본체부(310)와 연장부(315)가 측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장부(315)가 가이드본체부(310)와 동일한 길이로 가이드본체부(310)로부터 돌출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라, 에어가이드(300)의 전체 길이에 비해 연장부(315)의 길이가 짧게 설정됨에도 불구하고, 전방에서 보이는 에어가이드(300)의 외관이 매끄럽게 이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연장부(315)는, 돌출면부(123; 도 4 참조)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돌출면부(123)는 프런트패널(120)의 측방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이다.
이러한 돌출면부(123)의 전방에 배치되는 연장부(315)는, 상기와 같이 가이드본체부(310)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어 에어가이드(300) 상에서 전방측에 치우치게 배치됨으로써, 돌출면부(123)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된 연장부(315)는, 돌출면부(123)와의 간섭을 피하면서, 전방에서 보이는 에어가이드(300)의 미관이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 및 에어가이드(300)의 크기 및 중량이 불필요하게 증가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에어가이드(3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에어가이드(300)는 내열성이 우수하고 금속 특유의 광택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가이드(300)는, 고온의 열에도 쉽게 변형되지 않고,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금속 광택을 통해 조리기기의 미관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에어가이드(300)가 고온의 공기가 배출되는 경로에 배치된다는 점, 조리기기의 전면에 눈에 띄는 위치에 배치된다는 점, 사용자와의 접촉이 빈번히 발생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에어가이드(300)가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프런트패널과 에어가이드 간의 결합 구조]
도 10은 에어가이드와 프런트패널의 결합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11은 에어가이드와 프런트패널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에어가이드(300)는 결합부(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가이드(300)는 본체(100)의 전면, 좀 더 구체적으로는 프런트패널(120)에 결합될 수 있다. 결합부(320)는, 프런트패널(120)과 에어가이드(300) 간의 결합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320)는, 가이드본체부(310)의 측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가이드본체부(310)는 에어가이드(300)의 측방향 중앙에 배치되며, 결합부(320)는 에어가이드(300)의 측방향 양측 단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결합부(320)와 가이드본체부(310) 사이는, 연장부(315)에 의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본체부(310)의 대부분의 영역은, 배기구(122)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결합부(320)는, 돌출면부(123)의 전방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315)의 대부분의 영역은, 프런트패널(120)의 전방측에 배치되되, 배기구(122)와 돌출면부(123) 사이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프런트패널(120)은 패널본체부(125) 및 돌출면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본체부(125)는, 캐비티(111)의 전방측에 배치되며, 프런트패널(120)의 외관 대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배기구(122) 및 개구부(126)는, 패널본체부(125)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면부(123)는, 프런트패널(120)의 양측 단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면부(123)는, 각각 패널본체부(125)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패널본체부(125)는 세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면부(123)는, 패널본체부(125)와 나란한 평면을 형성하되, 패널본체부(125)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한 쌍의 돌출면부(123)는, 패널본체부(125)의 측방향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배기구(122)는 패널본체부(125)에 형성되며, 한 쌍의 돌출면부(123)는 이 배기구(122)들을 사이에 두고 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가이드(300)는 프런트패널(120)의 측방향 단부와 배기구(122) 사이의 영역에서 프런트패널(120)과 결합될 수 있다. 즉 결합부(320)와 프런트패널(120) 간의 결합은, 프런트패널(120)의 측방향 단부와 배기구(122) 사이의 영역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에어가이드(300)에서, 한 쌍의 결합부(320)는 한 쌍의 돌출면부(123) 간의 이격 거리에 대응되는 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각각의 결합부(320)는, 돌출면부(123)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돌출면부(123)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결합부(320)는, 패널본체부(125)에 형성된 배기구(122)들을 사이에 두고 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돌출면부(123)의 전방측에서 돌출면부(123)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결합부(320)는, 연장부(315)의 측방향 단부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서, 각각의 결합부(320)는 중공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320)는, 프런트패널(12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돌출면부(123)와 전후방향으로 맞대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부(320)에 형성된 중공은, 결합부(320)의 내부를 전후방향으로 개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맞대어진 돌출면부(123)와 결합부(3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프런트패널(120)과 에어가이드(3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면부(123)와 결합부(320) 간의 결합은, 프런트패널(120) 및 결합부(320)를 관통하는 스크류 등과 같은 체결부재(305)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부재(305)를 이용한 프런트패널(120)과 결합부(320)의 체결 작업은, 본체(100)의 전면이 개방된 상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부(320)의 체결 부위가 전방을 향해 노출되므로, 작업자는 결합부(320)를 정면으로 바라보며 체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처럼 작업자가 정면으로 바라보며 에어가이드(300)를 조리기기에 설치할 수 있게 에어가이드(300)가 제공됨으로써, 에어가이드(300)의 설치 및 분해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에어가이드(300)는, 에어가이드(300)의 조립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에어가이드(300)의 유지보수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조리기기의 전면 외관을 고려한 에어가이드의 배치 구조]
조리기기에서 에어가이드가 제외된 상태일 때, 컨트롤패널(200)과 도어(150) 사이의 틈(이하, "전방 틈"이라 한다)을 통해 조리기기의 여러 부분들이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전방 틈을 통해 프런트패널(120)의 일부분이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트롤패널(200)에 마련된 복수개의 배기구(122)가 전방 틈을 통해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구(122)들 사이에 배치된 격벽(121)들도 전방 틈을 통해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전장실(103)에 배치된 각종 전장부품들 중 배기구(122)의 후방에 배치된 일부분이 전방 틈을 통해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것들이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노출되었을 때, 이들은 조리기기의 전면 외관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즉 배기구(122)와 격벽(121)과 같이 프런트패널(120)에 형성된 형상물들, 배기구(122)를 통해 노출되는 전장부품들은,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을 해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이들이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해, 조리기기에 에어가이드(300)가 마련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300)는, 상기 전방 틈에 배치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300)는, 컨트롤패널(200)과 도어(150) 사이에 배치되며, 프런트패널(120), 전장부품들 등의 일부분을 이들의 전방에서 가릴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에어가이드(300)는 컨트롤패널(200)과 도어(150) 사이에서 전방 틈의 일부를 가리며, 이에 따라 상기 전방 틈을 통해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노출되던 프런트패널(120), 전장부품들 등의 일부분이 에어가이드(30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에어가이드(300)의 두께가 두꺼워질수록, 에어가이드(300)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이 확장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300)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이 확장될수록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은 향상될 수 있겠지만, 그만큼 전방공간(S; 도 3 참조)을 통한 조리기기 전방으로의 배기는 어려워지게 된다.
반대로 에어가이드(300)의 두께가 가늘어질수록, 에어가이드(300)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이 감소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300)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이 감소될수록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 향상 효과는 감소되겠지만, 그 대신 전방공간(S)을 통한 조리기기 전방으로의 배기는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면, 에어가이드(300)의 두께는 전방공간(S)을 통한 조리기기 전방으로의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가장 두꺼운 두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건이 만족되게 에어가이드(300)의 두께가 설정되면, 전방 틈을 통한 배기 효율이 일정 수준 이상 유지되도록 하면서도,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 틈을 통해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영역 중 일부 영역이 에어가이드(300)에 의해 가려짐으로써,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이 향상될 수 있다.
일례로서, 에어가이드(300)는 전방 틈에 배치되되, 가이드본체부(310)가 전방 틈의 상하방향 중앙에 위치할 수 있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에어가이드(300)는, 조리실을 폐쇄한 도어(150)와 컨트롤패널(200)사이에 배치되되, 가이드본체부(310)와 컨트롤패널(200) 간의 상하방향 거리와 가이드본체부(310)와 도어(150) 간의 상하방향 거리가 동일하게 설정되는 위치(이하, "중앙위치"라 한다)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가이드(300)는, 가이드본체부(310)가 전방 틈의 상하방향 중앙, 즉 중앙위치에서 전방 틈을 가릴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에어가이드(300)는, 가이드본체부(310)를 중심으로, 전방 틈의 상부 영역과 전방 틈의 하부 영역이 대칭을 이룰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기기의 전면 형상이 좀 더 안정적인 형태로 보이도록 하고, 이를 통해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한편 에어가이드(300)와 프런트패널(120) 간의 결합은, 에어가이드(300)의 측방향 단부 및 프런트패널(120) 측방향 단부와 인접한 영역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에어가이드(300)와 프런트패널(120) 간의 결합은 결합부(320)와 돌출면부(123) 간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쌍의 돌출면부(123)는 배기구(122)를 사이에 두고 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한 쌍의 결합부(320)는 이러한 돌출면부(123)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즉 에어가이드(300)와 프런트패널(120) 간의 결합은, 배기구(122)와 전후방향으로 중첩되지 않거나 배기구(122)를 전방에서 가리지 않는 영역, 즉 배기구(122)를 회피한 영역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부재(305)와 결합되는 결합부(320)의 두께는, 가이드본체부(310)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두꺼운 결합부(320) 및 체결부재(305)가 배기구(122)를 가리는 위치에 배치되면, 이 결합부(320) 및 체결부재(320)가 배기구(122)를 통한 배기를 방해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에어가이드(300)와 프런트패널(120) 간의 결합이 배기구(122)를 회피한 영역에서 이루어진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배기구(122)를 통한 배기가 방해받지 않도록 하며 에어가이드(300)의 설치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본 실시예의 에어가이드(300)는, 조리리기의 전면 형상이 좀 더 안정적인 형태로 보이도록 하면서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 틈을 통해 노출되던 구조물들의 일부분이 전방 틈을 측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전방 틈을 가리는 구조물을 제공하는 에어가이드(300)에 가려짐으로써,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300)는, 후방의 다른 구조물들의 일부분을 가리는 동시에, 전방 틈을 바라보는 시선이 에어가이드(300)로 집중되도록 함으로써 전방 틈에 에어가이드(300)만이 존재하는 것 같은 착시 효과가 제공되도록 한다.
또한 에어가이드(300)는, 전방 틈의 중앙위치에서 전방 틈을 가리는 구조물을 형성함으로써, 전방 틈의 상부 영역과 전방 틈의 하부 영역이 대칭을 이루도록 하고, 조리기기의 전면 형상이 좀 더 안정적인 형태로 보이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에어가이드(300)는 조리기기의 전면 미관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배기 유동을 고려한 에어가이드의 배치 구조]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 내부에서의 공기 흐름을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또한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일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팬모듈(170)의 작동에 의해, 외부 공기가 조리기기의 후방측으로부터 전장실(103)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처럼 전장실(103)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전장실(103)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며 전장실(103) 내부의 전장부품들을 냉각시킬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외부 공기는 본체(100)의 하부를 통해 조리기기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본체(100)의 하부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는, 컨벡션부(160) 등이 배치된 조리기기의 후방측 공간을 통과하면서 조리기기의 후방측 공간에 배치된 각종 부품들, 예컨대 컨벡션부(160)를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등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이처럼 조리기기의 후방측 공간을 통과하며 상방으로 이동한 공기는, 조리기기의 후방측 공간과 전장실(103) 사이에서 전장실커버(133)로 덮인 공간을 통해 전장실(103)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장실(103) 내부로 이동한 공기는, 팬모듈(170)에 의해 흡입되어 덕트부(133)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덕트부(133)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덕트부(133)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장실(103)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한 공기는, 배기구(122)를 통해 전장실(103)의 전방, 즉 전방공간(S)으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조리 과정에서 조리실(101)에서 전달된 열에 의해 가열된 도어(150) 내부의 공기는, 도어(150)의 상단에 마련된 도어배기구(152)를 통해 도어(15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어(150) 내부의 뜨거운 공기가 배출됨에 따라, 조리기기의 전방 하측에 있던 외부 공기가 도어(150)의 하부에 마련된 공기유동구멍을 통해 도어(150)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승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조리실(101)로부터 도어(150)로 전달된 열에 의해 가열된 도어(150)가 냉각될 수 있다.
또한 도어(150)를 냉각시키며 도어(150)의 내부에서 상승한 공기는, 도어배기구(152)를 통해 전방공간(S)으로 배출될 수 있다. 즉 배기구(122)를 통해 배출된 공기와 도어배기구(152)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전방공간(S)에서 합류하며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방공간(S)은 도어(150)와 프런트패널(120) 및 컨트롤패널(200)로 둘러싸인 공간이고, 에어가이드(300)는 이 전방공간(S)에 배치될 수 있다.
배기구(122)는 전방공간(S)의 후방측에서 전방공간(S)과 연통될 수 있으며, 도어배기구(152)는 전방공간(S)의 하측에서 전방공간(S)과 연통될 수 있다. 그리고 전방공간(S)은, 조리기기의 전방을 향해 개방될 수 있다.
도어배기구(152)는, 에어가이드(300)와 프런트패널(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배기구(152)는 배기구(12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전후방향에 대해서, 도어배기구(152)는 에어가이드(300)와 배기구(1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어배기구(152)는, 에어가이드(300) 및 배기구(12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도어배기구(152)는, 도어(150)의 상단에 마련되되, 후반부(150b)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배기구(152)는, 도어(150) 상에서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며, 전반부(150a)에 의해 형성되는 도어(150)의 최상단보다는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배기구(122)와 도어배기구(152) 및 에어가이드(300)의 배치 관계를 살펴보면, 도어배기구(152)는 도어(150) 상에서 배기구(122)와 전후방향으로 가장 인접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된다.
만약 도어배기구(152)가 도어(150)의 후반부(150b)가 아닌 전반부(150a)에 배치된다면, 배기구(122)를 통해 배출되는 뜨거운 공기가 도어배기구(152)를 통해 도어(150) 내부로 역류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배기구(12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전방공간(S)에서 점차 확산되며 전방공간(S)을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배기구(12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전방공간(S) 내에서 좌우방향뿐 아니라 상하방향으로도 퍼지며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전방공간(S) 내에서 도어배기구(152)가 전방측에 위치할수록, 배기구(122)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도어배기구(152) 측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배기구(122)를 통해 배출된 뜨거운 공기가 도어배기구(152)를 통해 도어(150) 내부로 역류하게 되면, 도어(150) 냉각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고, 전방공간(S)으로 유입된 열기가 조리기기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기 어렵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배기구(152)가 도어(150)의 후반부(150b)에 배치되고, 이로써 도어(150) 상에서 배기구(122)와 전후방향으로 가장 인접할 수 있는 위치에 도어배기구(152)가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도어배기구(152)는, 도어(150) 내에서 선택 가능한 전후방향 위치 중, 배기구(12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 영역에서 최대한 벗어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배기구(152)는 후반부(150b)에 배치됨으로써, 전반부(150a)에 의해 형성되는 도어(150)의 최상단보다는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어배기구(152)는, 배기구(12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 영역으로부터 하방으로 좀 더 멀어진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도어배기구(152)는, 배기구(12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 영역에서 최대한 벗어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도어배기구(152)는, 전방공간(S)으로 배출된 뜨거운 공기가 도어(150) 내부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데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도어배기구(152)는, 에어가이드(300)의 수직방향 하측에 배치되지 않고, 에어가이드(300)보다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배기구(152)에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은, 에어가이드(300)에 의해 방해 받지 않고 전방공간(S)을 향해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배기구(152)는 에어가이드(300)와 프런트패널(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에어가이드(300)는, 배기구(122) 및 도어배기구(15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가이드(300)는, 전방공간(S) 내부에서 전방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된 에어가이드(300)는, 배기구(122) 및 도어배기구(152)에서 전방공간(S)으로 배출된 공기의 흐름을 전방공간(S)의 전방측에서 안내할 수 있다.
예컨대, 배기구(122) 및 도어배기구(152)에서 전방공간(S)으로 각각 배출된 공기는, 전방공간(S)에서 합류하면서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에어가이드(300)는, 이와 같이 전방공간(S)에서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배출되는 공기의 유동 경로(이하, "배기유로"라 한다)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에어가이드(300)는, 길이 및 두께에 비해 폭이 길며 길이 및 폭에 비해 두께가 얇은 프레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방 틈의 중앙 위치에 배치되는 에어가이드(300)는, 전방공간(S)의 상하방향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에어가이드(300)는, 컨트롤패널(200)과 도어(150) 사이의 공간을 제1공간(S1)과 제2공간(S2)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기구(122) 및 도어배기구(152)를 통해 전방공간(S)로 유입된 공기는, 제1공간(S1)과 제2공간(S)으로 구획된 배기유로를 통해 상하로 분기되며 전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배기구(122)를 통해 전방공간(S)으로 유입된 공기(이하, "제1배출공기"라 한다)는, 고온 상태로 배출되므로, 전방공간(S)을 통과하는 동안 상승하는 흐름을 보이게 된다. 이에 따라 제1배출공기의 흐름은, 제1공간(S1) 측으로 주로 유도될 수 있다.
제1배출공기의 일부가 제1공간(S1) 측으로 유동하거나 도어배기구(152)를 통해 전방공간(S)으로 유입된 공기와 혼합될 수도 있겠지만, 제1배출공기의 주된 흐름은 주로 제1공간(S1) 측으로 유도될 수 있다.
도어배기구(152)는 에어가이드(300)의 하부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도어배기구(152)를 통해 전방공간(S)으로 유입된 공기(이하, "제2배출공기"라 한다)의 흐름은, 에어가이드(300)의 하부측에 형성된 제2공간(S2) 측으로 주로 유도될 수 있다.
제2배출공기의 일부가 제2공간(S2) 측으로 유동하거나 제1배출공기와 혼합될 수도 있겠지만, 제2배출공기의 주된 흐름은 주로 제2공간(S2) 측으로 유도될 수 있다.
제1배출공기의 흐름과 제2배출공기의 흐름이 전방공간(S)에서 과다하게 혼합되는 경우, 전방공간(S) 내에서 와류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전방공간(S) 내에서 와류가 발생될 경우, 전방공간(S)으로 유입된 공기가 조리기기의 외부로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거나, 전방공간(S)의 공기가 도어배기구(152)를 통해 도어(150) 내부로 역류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공간(S)의 전방측에 에어가이드(300)가 배치되고, 배기유로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이 이 에어가이드(300)에 의해 상하로 분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전방공간(S) 내에서 에어가이드(300)에 의해 분기된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면, 전방공간(S) 내에서 와류가 발생될 가능성이 현저히 감소할 수 있게 된다.
즉 전방공간(S) 내에서 전방공간(S)의 전방측에 배치된 에어가이드(300)는, 배기유로 상에 배치되어 배기유로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을 분기시킴으로써, 전방공간(S) 내에서 와류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장실(103)에서 배출된 제1배출공기의 온도가 도어(150)에서 배출된 제2배출공기의 온도보다 높을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에어가이드(300)는 제1배출공기가 제1공간(S1)을 통해 유동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에어가이드(300)는, 제2배출공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뜨거운 제1배출공기가 전방공간(S) 중 상측에 치우친 공간인 제1공간(S1)을 통해 유동하도록 공기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에어가이드(300)는, 제1배출공기의 흐름과 도어(150)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배기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방공간(S) 중 도어(150)와 먼 측에서 조리기기의 전방을 향해 배기가 이루어지게 되므로,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배출되는 뜨거운 공기와 도어(150) 간의 거리는 그만큼 멀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배출되는 뜨거운 공기와 도어(150) 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됨에 따라, 뜨거운 공기와 도어(150) 간의 접촉으로 인해 도어(150)의 온도가 상승될 위험성이 낮아지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전방공간(S) 내에서 전방공간(S)의 전방측에 배치된 에어가이드(300)의 전방 단부는, 도어(150)의 프런트 글라스(153)의 적어도 일부분과 상하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에어가이드(300)의 전방 단부는, 전후방향에 대해서, 프런트 글라스(152)의 후단과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거나, 프런트 글라스(152)의 후단보다 전방으로 더 돌출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가이드(300)가 전방공간(S) 내에서 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전방공간(S)에서 조리기기의 전방을 향해 흘러나가는 공기의 흐름이 에어가이드(300)에 의해 좀 더 효과적으로 안내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조리기기의 외부에서 에어가이드(300)가 잘 보일 수 있는 위치에 에어가이드(300)가 배치됨으로써, 에어가이드(300)에 의해 제공되는 심미감이 더욱 효과적으로 표현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방공간(S)에서 뜨거운 공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배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컨트롤패널(200)의 하단과 접촉되고, 이로 인해 컨트롤패널(200)의 하단에 응축수가 맺힐 수 있다.
이처럼 컨트롤패널(200)의 하단에 맺힌 응축수가 도어(150)의 상단으로 떨어지면, 도어(150)와 부딪친 물이 도어(150) 주변으로 튀면서 그 주변을 오염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에어가이드(300)가 전방공간(S) 내에서 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되면, 컨트롤패널(200)의 하단에 맺힌 응축수가 도어(150)에 떨어지지 않도록 컨트롤패널(200)과 도어(150) 사이를 가로막을 수 있다.
컨트롤패널(200)과 도어(150) 간의 거리에 비해 컨트롤패널(200)과 에어가이드(300) 간의 거리가 훨씬 가깝기 때문에, 응축수가 에어가이드(300)에 떨어진다고 해도, 그 주변으로 튀는 물의 양이 그다지 많지 않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형태로 배치되는 에어가이드(300)에 의해, 응축수로 인한 조리기기 주변의 오염 발생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가이드(300)의 전방 단부는 컨트롤패널(200)의 전방측 단부와 도어(150)의 전방측 단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전후방향으로 일치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측부에서 봤을 때, 에어가이드(300)의 전방 단부와 컨트롤패널(200)의 전방측 하단 모서리가 동일 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측부에서 봤을 때, 에어가이드(300)의 전방 단부와 도어(150)의 전방측 상단 모서리가 동일 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에어가이드(300)가 배치됨으로써, 컨트롤패널(200)과 에어가이드(300) 및 도어(150)의 위치가 정렬되며 조리기기의 외관이 좀 더 균형감 있게 보일 수 있게 됨으로써, 조리기기의 미관이 좀 더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조리기기의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한 에어가이드(300)의 배치는, 에어가이드(300)가 전방공간(S) 내에서 전방공간(S)의 전방측에 치우치게 배치됨으로 인해 가능한 것이다.
즉 본 실시예의 에어가이드(300)는, 전방공간(S) 내에서 전방공간(S)의 전방측에 치우치게 배치됨으로써, 전방공간(S) 내에서 와류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와 조리기기의 미관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101 : 조리실
103 : 전장실
110 : 캐비티
120 : 프런트패널
121 : 격벽
122 : 배기구
125 : 패널본체부
130 : 어퍼패널
131 : 차단판부
133 : 덕트부
135 : 전장실커버
150 : 도어
150a : 전반부
150b : 후반부
151 : 도어프레임
152 : 도어배기구
153 : 프런트 글라스
154 : 내부 글라스
155 : 핸들
160 : 컨벡션부
170 : 팬모듈
200 : 컨트롤패널
300 : 에어가이드
310 : 가이드본체부
315 : 연장부
320 : 결합부
S : 전방공간

Claims (14)

  1. 조리실을 내부에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본체 및 상기 도어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컨트롤패널; 및
    상기 도어와 상기 컨트롤패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에어가이드;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본체의 전면에 결합되는 조리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조리실을 내부에 형성하는 캐비티, 및 상기 캐비티와 상기 도어 사이에 배치되는 프런트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프런트패널에 결합되는 조리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상측에는 전장실이 형성되고,
    상기 프런트패널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전장실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런트패널에는, 상기 전장실 내부를 상기 전방공간 측으로 개방하는 배기구가 형성되고,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프런트패널의 측방향 단부와 상기 배기구 사이의 영역에서 상기 프런트패널과 결합되는 조리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도어와 상기 컨트롤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가이드본체부, 및 상기 가이드본체부의 측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기구를 사이에 두고 측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의 상기 결합부가 상기 프런트패널과 각각 결합되는 조리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가이드본체부와 상기 결합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의 전후방향 길이가 상기 가이드본체부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짧은 조리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프런트패널의 측방향 단부와 상기 배기구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8. 제6항에 있어서,
    한 쌍의 연장부가 상기 가이드본체부 및 상기 배기구를 사이에 두고 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조리기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본체부의 전방 단부와 상기 연장부의 전방 단부가 동일 선상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패널은, 상기 캐비티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패널본체부, 및 상기 패널본체부의 양측 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돌출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면부는, 상기 패널본체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돌출면부에 결합되는 조리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의 상측에는 전장실이 형성되고,
    상기 프런트패널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전장실의 전방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런트패널에는, 상기 전장실 내부를 상기 전방공간 측으로 개방하는 배기구가 형성되고
    한 쌍의 상기 돌출면부가 상기 배기구를 사이에 두고 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조리기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가이드는, 상기 도어와 상기 본체 및 상기 컨트롤패널로 둘러싸인 전방공간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패널과 마주보는 상기 도어의 상단에는, 상기 도어 내부를 상기 전방공간으로 개방하는 도어배기구가 마련되고,
    전후방향에 대해서, 상기 도어배기구가 상기 에어가이드와 상기 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의 상측에는 전장실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전장실 내부를 상기 전방공간 측으로 개방하는 배기구가 형성되고,
    전후방향에 대해서, 상기 도어배기구가 상기 에어가이드와 상기 배기구 사이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KR1020220111621A 2022-02-07 2022-09-02 조리기기 KR2024003252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621A KR20240032522A (ko) 2022-09-02 2022-09-02 조리기기
PCT/KR2022/017642 WO2023149624A1 (ko) 2022-02-07 2022-11-10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1621A KR20240032522A (ko) 2022-09-02 2022-09-02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2522A true KR20240032522A (ko) 2024-03-12

Family

ID=90300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1621A KR20240032522A (ko) 2022-02-07 2022-09-02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252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0016A (ko) 2013-09-11 2015-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0016A (ko) 2013-09-11 2015-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8081B1 (ko) 전기 오븐 레인지
US11236910B2 (en) Cooking appliance
KR101692735B1 (ko) 조리기기
EP3680555B1 (en) Cooking appliance
US10539331B2 (en) Cooking appliance
US20190260915A1 (en) Camera assembly for an oven appliance
WO2019210878A1 (zh) 包括光罩的烤箱设备相机组件
US8875695B2 (en) Built-in cooking appliance
US11022324B2 (en) Cooking appliance and combustion control method of a cooking appliance
KR20110078910A (ko) 조리기기
KR20240032522A (ko) 조리기기
KR20240029982A (ko) 조리기기
KR20240032521A (ko) 조리기기
KR20240029981A (ko) 조리기기
KR20240029980A (ko) 조리기기
KR20230174403A (ko) 조리기기
KR20240018306A (ko) 조리기기
KR102599900B1 (ko) 도어 및 이를 갖는 오븐
KR20230119372A (ko) 조리기기
EP4050265A1 (en) Cooking appliance
KR20210106290A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67271B1 (ko) 조리기기
US20220221158A1 (en) Cooking appliance
KR100826706B1 (ko) 빌트 인 조리기기
KR101531061B1 (ko) 열 차단 수단을 구비한 오븐 레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