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1841B1 - 가스 오븐 - Google Patents

가스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1841B1
KR102481841B1 KR1020180077243A KR20180077243A KR102481841B1 KR 102481841 B1 KR102481841 B1 KR 102481841B1 KR 1020180077243 A KR1020180077243 A KR 1020180077243A KR 20180077243 A KR20180077243 A KR 20180077243A KR 102481841 B1 KR102481841 B1 KR 102481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hamber
gas
burner
burner assembl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4154A (ko
Inventor
박현우
김양호
이동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7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1841B1/ko
Publication of KR20200004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1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24C3/087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in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4Radiant bodies or panels for radiation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wholly or partly by a radiant body, e.g. by a perforated plate
    • F24C3/06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wholly or partly by a radiant body, e.g. by a perforated plate without any visible flame
    • F24C3/067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24C3/12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in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오븐에 관한 것으로, 전면이 개방되고, 상면과 하면, 배면 및 양측면을 포함하여, 전방에서 후방으로 오목한 형태의 조리실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개방된 조리실의 전면을 커버하는 도어와, 상기 조리실의 배면에 설치되고, 가스가 공급되면 화염을 발생시켜 조리실의 공기를 가열하는 메인 버너 어셈블리와, 상기 조리실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가스가 공급되면 상기 조리실 측으로 적외선을 방출하는 보조 버너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스 오븐{gas oven}
본 발명은 가스 오븐에 관한 것이다.
가스오븐레인지는 하나의 기기에 오븐부, 그릴부, 탑버너부가 모두 구비되어 있어서, 여러 가지 요리를 각각 또는 동시에 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가정이나 업소에서 사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가스오븐레인지의 경우, 기기의 하측에 수직화력과 열 대류를 이용하여 요리를 주로 하는 오븐부가 설치되어 있고, 그 오븐부의 상측에는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여러 개의 버너가 상측에 노출되도록 구비되어 있는 탑버너부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기의 후면에는 오븐부에서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백가드부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오븐부는 음식물이 저장되는 내부수용공간에 연통 되도록 일 측면이 개방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수용공간을 개폐하는 오븐도어와,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연소열을 발생시키는 오븐버너가 구비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종래 가스오븐레인지는 사용자가 그릴, 바베큐 요리나 빵 등을 조리할 때는 오븐부에서 조리를 하고, 음식물을 용기에 담아서 가열하는 일반요리를 할 때는 상부에 노출되어 있는 탑버너부의 버너를 이용하여 요리를 하게 된다.
상기 오븐부에 조리를 하고자 할 시에는 상기 본체의 내부수용공간에 형성된 오븐버너가 가동되어 연소열을 발생시키면, 그 연소열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이 대류에 의하여 상기 내부수용공간에 전달되고, 그 전달된 대류열에 의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구조의 가스오븐레인지에 있어서, 상기 오븐부가 대류에 의하여 음식물을 조리할 시, 대류에 의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므로 필요치 않은 공간까지 가열하게 되어 열 손실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후벽에 설치된 버너만으로 음식물을 조리함에 따라, 조리시간이 길어지고, 골고루 조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도 있었다.
한편, 후벽 및 상측벽 또는 하측벽에 버너를 설치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상호 간의 배기가스의 영향으로 버너에서 연소가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7536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것으로, 조리실의 상측과 하측에 복사열을 방출하는 보조 버너 어셈블리를 설치하여, 요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각각의 버너 어셈블리의 온,오프 및 세기 등을 개별 제어하여, 요리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가스 오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면이 개방되고, 상면과 하면, 배면 및 양측면을 포함하여, 전방에서 후방으로 오목한 형태의 조리실을 형성하는 본체와, 상기 개방된 조리실의 전면을 커버하는 도어와, 상기 조리실의 배면에 설치되고, 가스가 공급되면 화염을 발생시켜 조리실의 공기를 가열하는 메인 버너 어셈블리와, 상기 조리실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가스가 공급되면 상기 조리실 측으로 적외선을 방출하는 보조 버너 어셈블리로 구성된 가스 오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조 버너 어셈블리는, 상기 조리실의 상면에 설치되어, 가스가 공급되면 하측의 조리실을 향해서 적외선을 방출하는 제1 보조 버너 어셈블리와, 상기 조리실의 하면에 설치되어, 가스가 공급되면 상측의 조리실을 향해서 적외선을 방출하는 제2 보조 버너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버너 어셈블리는, 내측에 오목한 형태의 캐비티를 형성하고, 일측이 상기 조리실을 향해 개방되는 버너 케이스와, 상기 버너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상면 또는 하면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캐비티를 상부 캐비티와 하부 캐비티로 구획하는 적열 플레이트와, 상기 버너 케이스를 관통하고, 상기 적열 플레이트의 일측으로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관과, 상기 적열 플레이트의 타측에 배치되어, 혼합가스에 점화하는 점화부와, 상기 버너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을 차폐하고, 상기 본체의 상면 또는 하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캐비티에서 발생된 적외선을 상기 조리실 측으로 전달하는 보호창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조 버너 어셈블리의 버너 케이스에는, 배기가스 배출을 위해 제1 하부 캐비티와 연통하는 제1 배기관이 연결되고, 상기 제2 보조 버너 어셈블리의 버너 케이스에는 배기가스 배출을 위해 제2 상부 캐비티에와 연통하는 제2 배기관이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실의 상측과 하측에 복사열을 방출하는 보조 버너 어셈블리를 설치하여, 요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각각의 버너 어셈블리의 온,오프 및 세기 등을 개별 제어하여, 요리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버너 어셈블리의 배기구조가 개별적으로 확보되어, 동시 연소 진행 시, 연소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버너 어셈블리 중 일부만 동작할 경우, 배기관이 차폐되면서,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스 오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스 오븐에서 도어가 제거된 상태의 정면도.
도 3은 도 2에서 버너 어셈블리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버너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체에 메인 버너 어셈블리와 보조 버너 어셈블리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보조 버너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보조 버너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가스 공급관에 개폐수단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보조 버너 어셈블리의 구동 여부에 따른 조리 결과를 비교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스오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스오븐에서 도어가 제거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스오븐(1)은, 오븐부(oven unit: 20)와, 쿡탑부(cook-top unit: 60)와, 드로워부(drawer unit: 40) 및 컨트롤부(control unit: 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오븐(1)은 아우터 케이스(outer case: 11)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1)는 상기 오븐부(20)와 상기 드로어부(40)의 양측면 및 후면을 커버할 수 있다.
다만, 가스오븐(1)의 종류에 따라 상기 쿡탑부(60) 및 드로워부(40)는 생략 가능하다.
상기 쿡탑부(60), 오븐부(20) 및 드로워부(40)는 각각 상기 가스오븐(1)의 상부, 중앙부 및 하부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부(50)는 상기 가스오븐(1)의 상면 후단부에 구비된다.
상기 쿡탑부(60)는 다수의 쿡탑 버너(6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쿡탑 버너(61)는, 가스를 연소시켜서 발생되는 화염으로 음식물이 담겨진 용기 또는 음식물을 직접 가열하여 음식물을 조리한다. 상기 쿡탑부(60)의 전단부에는, 다수의 쿡탑 버너(61)를 조작하는 조작부(62)가 배치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쿡탑부(60)는, 하나 이상의 전기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하나 이상의 전기히터는 상기 쿡탑부(6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쿡탑부(60)를 구성하는 가열원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오븐부(20)는, 음식물의 조리가 수행되는 조리실(22)을 형성하는 본체(21)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21)는 일 예로 전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본체(21)는 상면과 하면, 배면 및 양측면을 포함하여, 전방에서 후방으로 오목한 형태의 조리실(2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오븐부(20)는, 상기 조리실(22)에 수용된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메인 버너 어셈블리(main burner assembly: 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버너 어셈블리(23)는 상기 조리실(22) 내에서 음식물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메인 버너 어셈블리(23)는 상기 본체(21)의 후측벽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오븐부(20)는, 상기 조리실(22)을 개폐하는 도어(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25)는 상기 가스오븐(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예로 상기 도어(25)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하는 풀-다운(pull-down)방식으로 상기 조리실(22)을 개폐하며,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도어(25)의 작동 방식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상기 도어(25)의 전면 상단에는 상기 도어(25)의 회전을 위하여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도어 핸들(2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부(40)는 음식물이 담겨지는 용기 등을 소정의 온도로 보온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드로워부(40)에는 용기가 수납되는 드로워(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41)는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서 상기 가스오븐(1)에 인입되거나 상기 가스오븐(1)에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드로어(41)의 전면에는 사용자의 파지를 위한 핸들(4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부(50)는 상기 가스오븐(1)의 동작을 위한 조작신호, 구체적으로는, 상기 쿡탑부(60), 오븐부(20) 및 드로워부(40)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위한 조작 신호를 입력받는다. 또한, 상기 컨트롤부(50)는 상기 가스오븐(1)의 동작에 관한 각종 정보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서 메인 버너 어셈블리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메인 버너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21)는, 양측벽(31)과, 바닥벽(32)과, 상측벽(33)과, 후측벽(3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본체(21)의 상면과 하면, 배면 및 양측면은 각각 상기 상측벽(33)과 바닥벽(32), 후측벽(35) 및 양측벽(31)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전방"은 상기 가스오븐(1)의 전면을 향하는 방향이고, "후방"은 상기 가스오븐(1)의 후면을 향하는 방향이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22) 내에서 "전방"은 상기 오븐부(20)의 도어(25)를 향하는 방향이고, "후방"은 상기 본체(21)의 후측벽(35)을 향하는 방향임을 밝혀둔다.
상기 본체(21)의 후측벽(35)에는 상기 메인 버너 어셈블리(23)가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메인 버너 어셈블리(23)가 상기 본체(21)의 하방에 위치하지 않고, 상기 본체(21)의 후측벽(35)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본체(21)의 바닥벽(32)에 하방으로 함몰되는 함몰부(32a)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상기 본체(21)의 용량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메인 버너 어셈블리(23)는, 가스가 공급되면 화염을 발생시켜 조리실(22)의 공기를 가열시킨다. 상기 메인 버너 어셈블리(23)는, 버너 기구(burner device: 100)와, 상기 버너 기구를 커버하는 어셈블리 커버(assebly cover: 190)와, 팬(fan: 210)과, 팬 모터(fan motor: 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너 기구(100)는, 가스를 연소시켜 화염을 발생시키기 위한 메인 버너(110)와, 상기 메인 버너(110)를 커버하는 메인 버너 커버(burner cover: 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버너(110)는 상기 메인 버너 커버(130)의 내부에 형성된 연소챔버(C)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버너 커버(130)의 외측 후방은 배기 유로(P)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메인 버너 커버(130)는 상기 메인 버너(110)가 위치되는 내부의 연소 챔버(C)와, 팬(210)이 위치되는 외부의 배기 유로(P)를 구획한다.
상기 조리실(22)의 공기는 상기 연소 챔버(C)에서 가열된 후, 상기 배기유로(P)로 유동한다.
상기 메인 버너 커버(130)에는, 상기 조리실(22)의 공기가 통과하는 개구(14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버너 커버(130)에는, 상기 연소 챔버(C)로 상기 본체(21) 외측의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홀(14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홀(143)은 상기 본체(21)의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21)의 외측 공기가 상기 유입홀(143)을 통해서 상기 연소 챔버(C)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유입홀(143)을 형성함에 따라 상기 연소 챔버(C)로 상기 메인 버너(110)의 혼합가스의 연소를 위한 추가 공기가 유입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본체(21)의 후측벽(35)에는 상기 메인 버너(110)가 관통하기 위한 버너 홀(36)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버너(110)는 상기 조리실(22)에 위치되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버너 홀(36)을 관통하여 상기 본체(21)의 후측벽(35)과 상기 아우터 케이스(1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21)의 상측벽(33)에는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배기홀(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홀(34)이 상기 상측벽(33)에 형성되지 않고, 상기 본체(21)의 후측벽(35)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배기홀(34)은 배기관(70, 도 5 참조)과 연결되고, 상기 배기관(70)을 통해서, 메인 버너(110)의 배기가스는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버너 커버(130)는, 제1커버(140)와, 제2커버(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커버(140)는 상기 메인 버너(110)의 앞쪽에서 상기 메인 버너(110)를 커버하고, 상기 제2커버(140)는 상기 메인 버너(110)의 뒷쪽에서 상기 메인 버너(110)를 커버한다.
상기 제1커버(140)에는 어셈블리 커버(190)의 공기 흡입구(192)를 통하여 흡입된 상기 조리실(22)의 공기가 통과하는 제1개구(142)가 형성되고, 상기 제2커버(140)에는 연소 챔버(C)에서 가열된 공기가 배출되는 제2개구(16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너 기구(100)는, 상기 메인 버너(110)로 공급된 혼합가스의 점화를 위한 점화부(189)와, 화염 안정화를 위한 스테빌라이져(stabilizer: 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화부(189)는 일 예로 상기 메인 버너(110)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스테빌라이져(180)는, 상기 제2커버(16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점화부(189)의 일부는 상기 제2커버(160) 및 상기 본체(21)의 상측벽(33)을 관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점화부(189)는 상기 제1커버(140) 또는 제2커버(16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팬 모터(212)는 상기 본체(21)의 후측벽(35)과 상기 아우터 케이스(11)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팬(210)은 상기 조리실(22)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팬 모터(212)의 축(213)은 상기 본체(21)의 후측벽(35)을 관통하여 상기 팬(210)에 결합된다. 상기 팬 모터(212)는 도시되지 않은 모터 마운트(motor mount에 의해서 상기 본체(21)의 후측벽(35) 또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11)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상기 팬(210)은 연소 챔버(C) 외부 공간인 배기 유로(P)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배기 유로(P)는 상기 버너 커버(130)의 외면과 상기 본체(21)의 후측벽(35)(또는 버너 리플렉터)과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에 의해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팬(210)은 상기 연소 챔버(C)와 독립적인 배기 유로(P)에 배치됨에 따라서, 상기 메인 버너(110)의 화염에 의해서 상기 팬(210)이 가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버너(110)의 화염과 공기가 접촉하여 가열된 후에 상기 팬(210) 측으로 유동함에 따라서 상기 화염의 열기에 의해서 공기가 충분히 가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는 상기 버너 기구(100)를 보호한다. 그리고,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는 음식물의 조리과정에서 음식물 찌꺼기 등이 상기 버너 기구(100)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는, 전면 플레이트(191)와, 상기 전면 플레이트(191)에서 상기 본체(21)의 후측벽(35)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193)와, 상기 연장부(193)에서 절곡되는 접촉부(19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 플레이트(191)에는 상기 조리실(22)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192)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93)에는 상기 버너 기구(100)에 의해서 가열된 공기를 상기 조리실(22)로 토출시키는 공기 토출구(194)가 형성된다. 다른 예로서, 상기 공기 토출구(194)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191)에 형성되거나 상기 전면 플레이트(191)와 상기 연장부(193) 각각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접촉부(195)는 상기 버너 기구(100)를 커버한 상태에서 상기 본체(21)의 후측벽(35)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195)에는 도시되지 않은 체결부재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196)이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가 상기 본체(21)의 후측벽(35)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의 하단은 상기 본체(21)의 바닥벽(32)에 접촉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면 플레이트(191)와 연장부(193) 및 접촉부(195)의 하단은 상기 본체(21)의 바닥벽(32)에 접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면 플레이트(191)와 연장부(193)가 상기 본체(21)의 바닥벽(32)에 접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는 상기 본체 바닥벽(32)의 함몰부(32a)와 상기 후측벽(35) 사이에서 상기 본체(21)의 바닥벽(32)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는 상기 본체(21)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팬(210)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버너 어셈블리(23)는 상기 메인 버너(110)로 가스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 홀더(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홀더(220)는 상기 본체(21)의 후측벽(35)과 상기 아우터 케이스(11)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본체(21)의 후측벽(35)에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본체(21)의 외측에 단열재가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단열재에 상기 노즐 홀더(220)가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노즐 홀더(220)는 상기 본체(21)의 후측벽(35)을 관통한 상기 메인 버너(110)와 정렬되어 상기 메인 버너(110)로 가스를 분사한다.
상기 메인 버너 어셈블리(23)는 버너 리플렉터(200: burner reflect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버너 리플렉터(200)는 팬(210)이 관통하기 위한 개구(202)를 포함한다. 상기 버너 리플렉터(200)는 상기 조리실(22) 내에서 상기 본체(21)의 후측벽(35)에 체결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버너 리플렉터(200)는, 상기 메인 버너 커버(130)와 상기 본체(21)의 후측벽(3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버너 리플렉터(200)는 상기 메인 버너(110)의 열기를 상기 조리실(22)로 반사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메인 버너 어셈블리(23)에 따른 조리실(22)의 가열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상기 메인 버너(110)로 혼합가스가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점화부(189)에 의해서 혼합가스가 점화되면 상기 메인 버너(110)에서 화염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팬 모터(212)가 온(on)되어 상기 팬(210)이 회전된다.
상기 팬(210)이 회전되면, 상기 조리실(22) 내의 공기는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의 공기 흡입구(192) 및 제1커버(140)의 제1개구(142)를 통하여 상기 연소 챔버(C)로 유입된다. 이 때, 상기 연소 챔버(C)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메인 버너(110)의 내주면이 형성하는 영역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연소 챔버(C)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메인 버너(110)에서 발생된 화염에 의해서 가열된 후에 제2커버의 제2개구(162)를 통해서 상기 연소 챔버(C)에서 배출된다.
상기 연소 챔버(C)에서 배출된 공기는 상기 메인 버너 커버(130)와 상기 본체(21)의 후측벽(35) 및 어셈블리 커버(190)에 의해 정의된 배출 유로(P)를 유동한 후에, 상기 어셈블리 커버(190)의 공기 배출구(194)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22)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조리실(22)의 내측 공기는 메인 버너(110)의 화염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가스 오븐의 본체(21)의 상측 또는 하측에 추가로 보조 버너 어셈블리(300,400)를 설치하여, 조리 시간을 단축시키고, 요리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인 '보조 버너 어셈블리'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체에 메인 버너 어셈블리와 보조 버너 어셈블리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보조 버너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보조 버너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보조 버너 어셈블리(300,400)는 상기 조리실(22)의 상측벽(33) 또는 바닥벽(3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된다. 일 예로, 상기 보조 버너 어셈블리(300,400)는 상기 조리실(22)의 상측벽(33)과 바닥벽(32)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보조 버너 어셈블리(300,400)는, 상기 조리실(22)의 상측벽(33)에 설치되어, 가스가 공급되면 하측의 조리실(22)을 향해서 적외선(infrared)을 방출하는 제1 보조 버너 어셈블리(300)와, 상기 조리실(22)의 바닥벽(32)에 설치되어, 가스가 공급되면 상측의 조리실(22)을 향해서 적외선(infrared)을 방출하는 제2 보조 버너 어셈블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보조 버너 어셈블리(300,400)가 상기 조리실(22)의 상측벽(33)과 바닥벽(32)에 모두 형성된 경우를 예로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보조 버너 어셈블리(300,400)는 조리실(22)의 상측벽(33)에만 형성되거나, 조리실(22)의 바닥벽(32)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보조 버너 어셈블리(300,400), 가스가 공급되면 상기 조리실(22) 측으로 적외선(infrared)을 방출한다. 이 경우, 조리실(22) 내부의 음식은 복사열(radiant heat)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버너 어셈블리(300,400)는 적외선(infrared)을 조리실(22) 측으로 제공하기 때문에, 적외선 버너(infrared burner)로 칭할 수도 있다.
상기 보조 버너 어셈블리(300,400)는 내측에 오목한 형태의 캐비티(311,411)를 형성하고, 일측이 상기 조리실(22)을 향해 개방되는 버너 케이스(310,410), 상기 버너 케이스(310,410)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21)의 상측벽(33) 또는 바닥벽(32)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캐비티(311,411)를 상부 캐비티(311a,411a)와 하부 캐비티(311b,411b)로 구획하는 적열 플레이트(320,420)와, 상기 버너 케이스(310,410)를 관통하고, 상기 적열 플레이트(320,420)의 일측으로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관(330,430)과, 상기 적열 플레이트(320,420)의 타측에 배치되어, 혼합가스가 공급되면 점화를 진행하는 점화부(340,440), 및 상기 버너 케이스(310,410)의 개방된 일측을 차폐하고, 상기 본체(21)의 상측벽(33)과 바닥벽(32)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캐비티(311,411)에서 발생된 적외선을 상기 조리실(22) 측으로 전달하는 보호창(350,45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적열 플레이트(320,420)는 세라믹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적열 플레이트(320,420)는 가열되면, 적열(red-heat)되면서, 빨갛게 달구어지는 다양한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가스 공급관(330,430)을 통해서, 버너 케이스(310,410)의 내측으로 혼합가스가 공급되고, 점화부(340,440)에서 점화가 진행되면, 혼합가스가 적열 플레이트(320,420) 표면 퍼지면서, 연소가 진행되고, 적열 플레이트(320,420)가 가열되면서, 적외선(infrared) 등의 복사 에너지가 방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적열 플레이트(320,420)에서 적외선(infrared) 등의 복사 에너지가 방출되면, 보호창(350,450)을 통해서, 복사 에너지가 조리실(22)로 전달되고, 조리실(22) 내부의 음식물은 복사열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상기 적열 플레이트(320,420)의 주변은 프레임(380,48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380,480)과 적열 플레이트(320,420)의 테두리 사이에는 실링부재(381,481)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80,480)에 의해 적열 플레이트(320,420)의 테두리는 보호될 수 있고, 적열 플레이트(320,420)는 버너 케이스(310,4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보호창(350, 450)은 내열성 유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보호창(350,450)은 적열 플레이트(320,420)의 복사열이 조리실(22)내로 전달되도록 투명한 내열성 유리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리실(22) 내부의 음식물은 복사에너지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보조 버너 어셈블리(300)와 제2 보조 버너 어셈블리(400)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조리실(22)의 수평방향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보조 버너 어셈블리(300)와 제2 보조 버너 어셈블리(400)의 보호창(350, 450)은 각각 상측벽(33)과 바닥벽(32)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제1 보조 버너 어셈블리(300)와 제2 보조 버너 어셈블리(400)가 상호 마주보도록 배치되면, 조리실(22)의 내부 음식물은 상하 방향으로 골고루 가열이 이루어져, 조리 시간이 단축되고, 조리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 공급관(330,430)의 일측은 상기 버너 케이스(310,410)의 내측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버너 케이스(310,410)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가스 공급관(330,430)의 일측에는 배출된 혼합 가스를 상기 적열 플레이트(320,420)에 골고루 분배시키는 디스트리뷰터(390,49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가스 공급관(330,340)의 일측에 디스트리뷰터(390,490)가 설치되면, 가스 공급관(330,340)에서 배출된 혼합가스가 캐비티(311a, 411b)의 골고루 분배되고, 결과적으로 혼합가스가 적열 플레이트(320,420)에 골고루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적열 플레이트(320,420)의 전체 영역에서 균일하게 연소가 진행될 수 있다.
도 8은 가스 공급관에 개폐수단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가스 공급관(330,430)의 일측은 상기 버너 케이스(310,410)의 내측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버너 케이스(310,410)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가스 공급관(330,340)의 타측에는 기체의 유동을 단속하는 개폐수단(370,470)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개폐수단(370,470)은 보조 버너 어셈블리(300,400)가 꺼진 상태에서, 상기 메인 버너 어셈블리(23)의 버너 기구(100)가 켜지면, 상기 가스 공급관(330,430)의 타측을 차폐한다.
상기와 같이, 개폐수단(370,470)이 설치되면, 보조 버너 어셈블리(300,400)가 꺼진 상태에서 메인 버너 어셈블리(23)의 단독 동작 시, 버너 케이스(310,4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기체가 유동하는 역류가 방지되어, 조리실(22)의 열기가 가스 공급관(330,430)을 통해서, 외부로 빠져나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열손실이 방지되고 열적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개폐수단(370,470)은 전원 공급시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371,471)와, 상기 모터(371,471)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하면서 상기 가스 공급관(330,430)의 타측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댐퍼(372,472)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폐수단(370,470)은 보조 버너 어셈블리(300,400)가 켜진 상태에서는 혼합 가스가 버너 케이스(310,410)의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가스 공급관(330,430)의 타측을 개방시킨다.
일반적으로, 전기 오븐(electric Oven)의 경우, 조리실의 상면 또는 하면에 설치된 버너 동작시 배기가스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버너가 동작하여도 상호간의 연소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반면, 가스 오븐(gas oven)의 경우, 전기 오븐(Electric oven)과는 달리 버너에서 배기가스 발생하며, 조리실의 상면 또는 하면에 설치된 버너 동작시 배기가스가 상호간의 연소에 영향을 주게된다.
또한, 메인 버너 어셈블리(23)에 구비된 배기홀(34)과 배기관(7O)을 이용해서, 제1 보조 버너 어셈블리(300)와 제2 보조 버너 어셈블리(400)의 배기가스가 배출되면, 제1 보조 버너 어셈블리(300)와 제2 보조 버너 어셈블리(400) 및 메인 버너 어셈블리(23)의 동시 연소시 상호간의 배기가스 영향으로 연소 불안정이 발생한다.
또한, 제1 보조 버너 어셈블리(300)와 제2 보조 버너 어셈블리(400) 및 메인 버너 어셈블리(23)의 동시 연소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처리하기 위하여 메인 버너 어셈블리(23)에 구비된 배기홀(34)과 배기관(7O)의 사이즈가 크게 설계 되면, 메인 버너 어셈블리(23)의 단독 동작시 열손실이 과다하게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과 같은 가스 오븐(gas oven)은, 조리실의 상부와 하부에 설치된 제1 보조 버너 어셈블리(300)와 제2 보조 버너 어셈블리(400)가 동시에 동작할 경우, 발생된 배기가스가 상호 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구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기존 가스오븐(gas oven)과 달리 조리실 내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제1 보조 버너 어셈블리(300)와 제2 보조 버너 어셈블리(400)를 설치하고 있으며, 안정적인 연소를 위하여 각각 독립적 배기가스 배출구조를 구비한다.
또한, 각각의 버너 동작에 의한 간섭 및 컨벡션 팬(convection fan) 동작에 의한 강제유동 등의 외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제1 보조 버너 어셈블리(300)와 제2 보조 버너 어셈블리(400)는 조리실(22)로부터 밀폐 혹은 반 밀폐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상세히, 상기 제1 보조 버너 어셈블리(300)의 버너 케이스(310)에는, 배기가스 배출을 위해 제1 하부 캐비티(311b)와 연통하는 제1 배기관(360)이 연결되고, 상기 제2 보조 버너 어셈블리(400)의 버너 케이스(410)에는 배기가스 배출을 위해 제2 상부 캐비티(411a)에와 연통하는 제2 배기관(460)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각각의 배기관(360,460)은 배치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보조 버너 어셈블리(300)와 제2 보조 버너 어셈블리(400)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는 각각 제1 배기관(360)과 제2 배기관(460)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고, 메인 버너 어셈블리(23)에서 발생된 배기가스는 배기홀(34)과 배기관(7O)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배기가스 영향을 없이 안정적인 연소가 가능하다. 또한, 배기관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그에 따른 연손실을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다.
도 9는 보조 버너 어셈블리의 구동 여부에 따른 조리 결과를 비교한 결과이다.
도 9의 첫번째(좌측) 그림은 조리실에 피자 도우를 넣고, 본체(21)의 후면에 배치된 메인 버너 어셈블리(23) 만을 동작시킨 경우, 조리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또한, 도 9의 두번째(우측) 그림은 조리실에 피자 도우를 넣고, 본체(21)의 후면에 배치된 메인 버너 어셈블리(23)를 동작시키고, 본체(21)의 상측과 하측에 설치된 제1 보조 버너 어셈블리(300)와 제2 보조 버너 어셈블리(400)를 함께 동작시킨 경우, 조리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먼저, 조리시간은 메인 버너 어셈블리(23)만을 동작시킨 경우, 21분이 소요되었고, 메인 버너 어셈블리(23)와 제1 보조 버너 어셈블리(300) 및 제2 보조 버너 어셈블리(400)를 함께 동작시킨 경우, 18분이 소요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메인 버너 어셈블리(23)만을 동작시킨 경우보다, 메인 버너 어셈블리(23)와 제1 보조 버너 어셈블리(300) 및 제2 보조 버너 어셈블리(400)를 함께 동작시킨 경우 조리시간이 약 3분 줄어든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조리 결과는 메인 버너 어셈블리(23)만을 동작시킨 경우, 피자 도우의 하부면(하측 도면)의 브라우닝(browning)이 진행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제1 보조 버너 어셈블리(300) 및 제2 보조 버너 어셈블리(400)를 함께 동작시킨 경우, 피자 도우의 하부면(하측 도면)의 색깔이 진해지면서 브라우닝(browning)이 진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메인 버너 어셈블리(23)만을 동작시킨 경우보다, 메인 버너 어셈블리(23)와 제1 보조 버너 어셈블리(300) 및 제2 보조 버너 어셈블리(400)를 함께 동작시킨 경우 조리 성능이 더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리실의 상측과 하측에 복사열을 방출하는 보조 버너 어셈블리를 설치하여, 요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각각의 버너 어셈블리(23,300,400)의 온,오프 및 세기 등을 개별 제어하여, 요리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버너 어셈블리(23,300,400)의 배기구조가 개별적으로 확보되어, 동시 연소 진행 시, 연소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버너 어셈블리(23,300,400) 중 일부만 동작할 경우, 배기관이 차폐되면서,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어, 에너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Claims (15)

  1. 전면이 개방되고, 상면과 하면, 배면 및 양측면을 포함하여, 전방에서 후방으로 오목한 형태의 조리실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개방된 조리실의 전면을 커버하는 도어;
    상기 조리실의 배면에 설치되고, 가스가 공급되면 화염을 발생시켜 조리실의 공기를 가열하는 메인 버너 어셈블리;
    상기 조리실의 상면 또는 하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설치되고, 가스가 공급되면 상기 조리실 측으로 적외선을 방출하는 보조 버너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 버너 어셈블리는,
    상기 조리실의 상면에 설치되어, 가스가 공급되면 하측의 조리실을 향해서 적외선을 방출하는 제1 보조 버너 어셈블리와,
    상기 조리실의 하면에 설치되어, 가스가 공급되면 상측의 조리실을 향해서 적외선을 방출하는 제2 보조 버너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보조 버너 어셈블리에는, 배기가스 배출을 위해 제1 배기관이 연결되고,
    상기 제2 보조 버너 어셈블리에는 배기가스 배출을 위해 제2 배기관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오븐.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버너 어셈블리는,
    내측에 오목한 형태의 캐비티를 형성하고, 일측이 상기 조리실을 향해 개방되는 버너 케이스;
    상기 버너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본체의 상면 또는 하면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상기 캐비티를 상부 캐비티와 하부 캐비티로 구획하는 적열 플레이트;
    상기 버너 케이스를 관통하고, 상기 적열 플레이트의 일측으로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혼합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관;
    상기 적열 플레이트의 타측에 배치되어, 혼합가스에 점화하는 점화부;
    상기 버너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을 차폐하고, 상기 본체의 상면 또는 하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상기 캐비티에서 발생된 적외선을 상기 조리실 측으로 전달하는 보호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오븐.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버너 어셈블리의 버너 케이스에는, 배기가스 배출을 위해 제1 하부 캐비티와 연통하는 상기 제1 배기관이 연결되고,
    상기 제2 보조 버너 어셈블리의 버너 케이스에는 배기가스 배출을 위해 제2 상부 캐비티에와 연통하는 상기 제2 배기관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오븐.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적열 플레이트는 세라믹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오븐.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조 버너 어셈블리와 제2 보조 버너 어셈블리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조리실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오븐.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관의 일측은 상기 버너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버너 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가스 공급관의 타측에는 기체의 유동을 단속하는 개폐수단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오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보조 버너 어셈블리가 꺼진 상태에서, 상기 메인 버너 어셈블리가 켜지면, 상기 가스 공급관의 타측을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오븐.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공급관의 일측은 상기 버너 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고, 타측은 상기 버너 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가스 공급관의 일측에는 배출된 혼합 가스를 상기 적열 플레이트에 골고루 분배시키는 디스트리뷰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오븐.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버너 어셈블리는,
    화염을 발생하여 상기 조리실의 공기를 가열하는 메인 버너;
    상기 조리실의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팬; 및
    상기 메인 버너가 위치되는 연소 챔버와 상기 팬이 위치되는 배기 유로를 구획하기 위한 메인 버너 커버를 포함하는 가스 오븐.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실의 공기는 상기 연소 챔버로 유입되어 가열된 후에 상기 배기 유로로 유동하는 가스 오븐.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버너 커버는, 상기 연소 챔버로 상기 본체의 외측의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유입홀이 형성되는 가스 오븐.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버너 커버는 제1커버와,
    상기 제1커버의 후측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제2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1커버는 상기 조리실의 공기가 통과하는 제1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버는 상기 연소 챔버에서 가열된 공기가 통과하는 제2개구를 포함하는 가스 오븐.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버너 커버를 커버하도록 상기 본체의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조리실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를 형성하며, 상기 메인 버너 커버 및 상기 본체의 후면과 함께 상기 배기유로를 정의하는 어셈블리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오븐.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어셈블리 커버는 상기 배기 유로 상의 공기를 상기 조리실로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가스 오븐.







KR1020180077243A 2018-07-03 2018-07-03 가스 오븐 KR102481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243A KR102481841B1 (ko) 2018-07-03 2018-07-03 가스 오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243A KR102481841B1 (ko) 2018-07-03 2018-07-03 가스 오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154A KR20200004154A (ko) 2020-01-13
KR102481841B1 true KR102481841B1 (ko) 2022-12-28

Family

ID=69153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243A KR102481841B1 (ko) 2018-07-03 2018-07-03 가스 오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184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7659A1 (en) * 2001-04-26 2002-10-31 Rummel Randy L. Gas broile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9057Y1 (ko) * 1988-11-11 1990-09-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 1차식 가스버너
KR100451360B1 (ko) 2002-03-18 2004-10-06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가스오븐레인지의 오븐 가열장치
KR101980539B1 (ko) * 2012-12-21 2019-05-21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스 오븐
KR101564504B1 (ko) * 2014-04-03 2015-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버너 및 버너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7659A1 (en) * 2001-04-26 2002-10-31 Rummel Randy L. Gas broi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154A (ko) 202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09533A (en) Electric cooking oven with infrared gas broiler
KR101904660B1 (ko) 조리기기
US6776151B2 (en) Positive air flow apparatus for infrared gas broiler
US6098613A (en) Venting system for gas oven
KR101713402B1 (ko) 조리기기
KR20120120535A (ko) 조리기기
KR101672634B1 (ko) 조리기기
US10302309B2 (en) Oven appliance having a broiler assembly
KR101824736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481841B1 (ko) 가스 오븐
KR20090064606A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663888B1 (ko) 조리기기
KR101220624B1 (ko) 가스레인지용 그릴 상부버너
KR101864493B1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46875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하부히터 열배출구조
KR20050081678A (ko) 가스오븐레인지의 밀폐식 버너구조
US20200386410A1 (en) Oven appliance having combined radiant and convection broil
KR20030059904A (ko) 가스오븐레인지의 구이실 버너 점화장치
KR101665708B1 (ko) 가스 오븐레인지
KR20060013764A (ko) 전기오븐레인지의 하부히터 열배출구조
KR20220101532A (ko) 조리기기
KR20220121115A (ko) 조리기기
GB2035768A (en) Combination microwave and convection oven
KR100247615B1 (ko) 가열 조리기의 양면 그릴
KR101650577B1 (ko) 가스 오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