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1487A - 드로워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오븐 - Google Patents

드로워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1487A
KR20130011487A KR1020110072665A KR20110072665A KR20130011487A KR 20130011487 A KR20130011487 A KR 20130011487A KR 1020110072665 A KR1020110072665 A KR 1020110072665A KR 20110072665 A KR20110072665 A KR 20110072665A KR 20130011487 A KR20130011487 A KR 201300114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casing
unit
warming heater
upp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6498B1 (ko
Inventor
차정민
최병우
이승준
임동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72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6498B1/ko
Priority to US13/553,715 priority patent/US9012815B2/en
Publication of KR20130011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6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6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8Arrangement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king compartments, e.g. for warming or for storing utensils or fuel containers; Arrangement of additional heating or cooking apparatus, e.g. gr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6Shelves, racks or trays inside ovens; Suppor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로워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오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드로워 유닛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드로워 케이싱; 상기 드로워 케이싱의 상면에 설치되고, 에너지를 제공하는 워밍 히터; 상기 워밍 히터의 하방에 설치되는 그레이트; 및 상기 드로워 케이싱의 내외부로 출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워밍 히터의 에너지에 의하여 데워지는 조리물 또는 식기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이 구비되는 드로워; 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오븐의 실시예에 의하면, 드로워 유닛이 보다 간단하게 구성되되고, 드로워 유닛에 수납되는 조리물 또는 식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데울 수 있다.

Description

드로워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오븐{Drawer unit and electric oven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기 오븐에 관한 것이다.
전기 오븐이란, 전기를 사용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는 조리기기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오븐에는, 조리물 또는 조리물이 담겨지는 식기를 데우기 위한 드로워 유닛이 구비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드로워 유닛(610)은, 오븐(600)의 하부에 위치된다. 상기 드로워 유닛(610)은, 조리물 또는 조리물이 담겨지는 드로워(620), 상기 드로워(620)가 서랍식으로 출납되는 드로워 케이싱(630), 및 상기 드로워(620)에 수납된 조리물 또는 용기를 가열하는 가열원(640)을 포함한다.
종래에는, 상기 드로워 케이싱(610)이 전면 및 저면이 개방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원(620)은 상기 드로워 케이싱(630)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드로워 케이싱(630)의 내부에 수납된 상기 드로워(620)로 열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620)가 상기 드로워 케이싱(630)의 외부로 완전하게 탈거된 상태에서 상기 가열원(640)이 외부로 노출되는 단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물 또는 식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원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드로워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오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드로워 유닛에서의 조리물이나 식기의 데우기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드로워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오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드로워 유닛의 실시예의 일 양태는, 드로워 케이싱; 상기 드로워 케이싱의 상면에 설치되고, 에너지를 제공하는 워밍 히터; 상기 워밍 히터의 하방에 설치되는 그레이트; 및 상기 드로워 케이싱의 내외부로 출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워밍 히터의 에너지에 의하여 데워지는 조리물 또는 식기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이 구비되는 드로워;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양태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 위치되고, 다수개의 쿡탑 히터가 구비되는 쿡탑 유닛; 상기 쿡탑 유닛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되는 오븐실, 상기 오븐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오븐실에서의 조리물의 조리를 위한 가열원을 포함하는 오븐 유닛; 및 상기 오븐 유닛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되는 드로워 케이싱, 상기 드로워 케이싱의 내외부로 출납되는 드로워, 및 상기 드로워의 내부에 수납되는 조리물 또는 식기를 데우기 위한 에너지를 제공하는 워밍 히터를 포함하는 드로워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워밍 히터는, 상기 드로워 케이싱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드로워 유닛의 양측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드로워 유닛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드로워 유닛의 전면에는 상기 드로워 유닛의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오븐의 실시예에 의하면, 드로워 유닛을 구성하는 부품의 개수가 감소됨으로써, 드로워 유닛이 보다 간단하게 구성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에 의하면, 워밍 히터에 의하여 드로워 유닛에 수납되는 조리물 또는 식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데울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오븐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드로워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드로워 케이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오븐의 실시예에서 드로워 내부의 공기의 유동을 보인 종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오븐의 실시예에서 드로워의 출납 과정을 보인 종단면도.
도 9는 종래 기술에 의한 오븐을 보인 종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오븐의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오븐의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드로워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드로워 케이싱을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전기 오븐(1)의 캐비닛(10)의 상부에는 쿡탑 유닛(20)이 구비된다. 상기 쿡탑 유닛(20)의 내부에는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다수개의 쿡탑 히터(미도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쿡탑 유닛(20)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오븐 유닛(30)이 구비된다. 상기 오븐 유닛(30)에는, 가열원(미도시)에 의한 조리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오븐실(미도시)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오븐 유닛(30)에는, 상기 오븐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오븐 도어(31)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오븐 유닛(30)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10)의 하부에는 드로워 유닛(40)이 구비된다. 상기 드로워 유닛(40)은, 조리물 또는 조리물을 담기 위한 식기를 데우기 위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드로워 유닛(40)은, 드로워(100), 워밍 히터(200), 드로워 케이싱(300), 그레이트(400) 및 레일 어셈블리(50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드로워(100)는, 실질적으로 식기가 수납되는 곳으로, 상기 캐비닛(10)의 내외부로 출납된다. 상기 드로워(100)는, 프론트 패널(110), 드로워 바디(120), 및 연결 부재(130)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 패널(110)은, 실질적으로 상기 드로워(100)의 전면을 형성한다. 상기 프론트 패널(110)은, 대략 후면이 개구되는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패널(110)이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종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재료의 양이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110)은, 예를 들면, 상기 오븐 도어(31)와 동일한 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전기 오븐(1)의 전면 외관에 통일감을 주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110)의 전면은, 상기 오븐 도어(31)의 전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로워(100)가 상기 드로워 케이싱(30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 패널(110)은 상기 드로워 케이싱(300)의 전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다.
한편 상기 프론트 패널(110)의 전면에는 드로워 핸들(111)이 구비된다. 상기 드로워 핸들(111)은, 상기 드로워(100)를 상기 캐비닛(10)의 내외부로 출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파지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패널(110)의 상후단 테두리에는 보강 플랜지(113)가 구비된다. 상기 보강 플랜지(113)는, 상기 프론트 패널(110)의 후단 테두리에서 상기 프론트 패널(110)의 내부를 향하여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보강 플랜지(113)는, 상기 프론트 패널(110)의 상면 및 양측면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론트 패널(110)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기 보강 플랜지(113)의 하단에는 체결 플랜지(115)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 플랜지(115)는 상기 연결 부재(130)를 고정하기 위한 곳이다. 상기 체결 플랜지(115)는, 상기 프론트 패널(110)의 상면에 구비되는 상기 보강 플랜지(113)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 플랜지(115)의 양측 단부에는 각각 제1체결공(116)이 형성된다. 상기 제1체결공(116)은, 상기 연결 부재(130)를 상기 프론트 패널(110)에 고정하기 위한 제1체결구(S1)가 체결되는 곳이다.
상기 드로워 바디(120)는, 실질적으로 식기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S)을 형성한다. 상기 드로워 바디(120)는, 전면 및 상면이 개구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드로워 바디(120)의 양측면과 바닥면에 의하여 형성되는 모서리 전단에는 절개부(121)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121)는 상기 연결 부재(130)의 하단부가 위치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드로워 바디(120)의 양측면 전단에는 다수개의 제2관통공(123)이 형성된다. 상기 제2관통공(123)은 상기 연결 부재(130)를 상기 드로워 바디(120)에 고정하기 위한 제2체결구(S2)가 관통하는 곳이다.
상기 드로워 바디(120)의 양측면에는 레일 고정부(125)가 구비된다. 상기 레일 고정부(125)는, 상기 드로워 바디(120)의 양측면 일부, 예를 들면, 중앙부가 전후방으로 길게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드로워 바디(120)에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500)를 구성하는 이동 레일(520)이 고정된다.
상기 연결 부재(130)는, 상기 프론트 패널(110)과 드로워 바디(120)에 각각 고정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연결 부재(130)는, 상기 프론트 패널(110)과 드로워 바디(120)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 부재(130)가 전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형상의 종단면 및 소정의 길이를 가진다. 상기 연결 부재(130)의 전단은 상기 프론트 패널(110)의 전면 내측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 부재(130)의 하단은 상기 절개부(121) 상에 위치된다. 상기 연결 부재(130)의 하단이 상기 절개부(121) 상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연결 부재(130)가 상기 드로워 바디(120)에 가고정된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 부재(130)의 상단에는 체결 리브(131)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 리브(131)는, 상기 연결 부재(130)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체결 리브(131)는, 상기 연결 부재(130)의 후면에 대하여 상기 체결 플랜지(115)에 두께에 해당하는 거리만큼 후방으로 단차지게 위치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연결 부재(130)의 전단이 상기 프론트 패널(110)의 전면 내측에 접촉되면, 상기 체결 리브(131)가 상기 체결 플랜지(115)의 후면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 리브(131)에는, 상기 제1체결공(116)에 체결되는 상기 제1체결구(S1)가 관통하는 제1관통공(13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130)의 양측면에는 각각 제2체결공(133)이 형성된다. 상기 제2체결공(133)은, 상기 제2관통공(123)을 관통하는 상기 제2체결구(S2)가 체결되는 곳이다.
상기 워밍 히터(200)는, 상기 수납 공간(S)에 수납된 식기를 데우기 위한 에너지, 예를 들면, 빛 또는 빛 및 열을 제공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워밍 히터(200)가, 상기 드로워(100)의 상방에 해당하는 상기 드로워 케이싱(120)의 상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100)가 상기 드로워 케이싱(300)의 외부로 완전하게 탈거되더라도 상기 워밍 히터(20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워밍 히터(200)는, 상기 제1포밍부(341)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그레이트(400)에 의하여 고정된다.
한편 상기 워밍 히터(200)로는, 예를 들면, 석영관 히터가 사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워밍 히터(200)는, 석영 재질의 튜브(210), 상기 튜브(210)의 내부에 위치되는 필라멘트(220), 및 상기 튜브(210)의 양단부를 밀봉하는 봉지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봉지부(230)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봉지부(230)의 단부에는 단차부(231)가 구비된다. 상기 단차부(231)는 실질적으로 상기 봉지부(230)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대략 반원 형상의 종단면을 갖는다.
한편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드로워 케이싱(300)은,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 구비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드로워(100)는, 상기 드로워 케이싱(300)의 내외부로 출납된다고도 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케이싱(300)은, 프론트 부재(310), 베이스 부재(320), 사이드 부재(330), 및 어퍼 부재(340)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프론트 부재(310)는, 상기 드로워 케이싱(300)의 전면을 형성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프론트 부재(310)는, 전방으로 노출됨으로써, 상기 드로워 유닛(40)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 부재(310)는, 상기 오븐 유닛(30)의 전면을 형성하는 부재에 그 상면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 부재(310)는 전체적으로 하방으로 개구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상기 프론트 부재(310)에는, 상기 드로워(100)가 상기 드로워 케이싱(300)의 내외부로 출납되는 입구(311)가 형성된다. 상기 입구(311)는, 실질적으로 상기 프론트 패널(110)에 의하여 전방으로 완전하게 차폐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드로워(100)가 상기 드로워 케이싱(30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 부재(310)의 전면은, 상기 프론트 패널(110)으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100)가 상기 드로워 케이싱(30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 패널(110)과 프론트 부재(310)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프론트 패널(110)과 프론트 부재(310) 사이의 틈새를 상기 공기 배출구라 칭한다. 그런데 상기 프론트 패널(110)과 프론트 부재(310) 사이에는 실질적으로 상기 드로워 바디(120)가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 배출구는, 실질적으로 상방을 향하여 개방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드로워 유닛(40)의 내부의 공기가 상기 드로워 유닛(4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프론트 부재(310)에는 레일 고정 브라켓(313)이 구비된다. 상기 레일 고정 브라켓(313)은 상기 레일 어셈블리(500)를 구성하는 고정 레일(510)을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레일 고정 브라켓(313)은, 상기 입구(311)에 인접하는 상기 프론트 부재(310)의 내측 테두리에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 부재(320)는, 상기 드로워 케이싱(300)의 저면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베이스 부재(320)는, 2개의 제1베이스 부재(321) 및 1개의 제2베이스 부재(325)를 포함한다.
상기 제1베이스 부재(321)는,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가지는 바아 형상으로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베이스 부재(321)의 전단은, 각각 상기 프론트 부재(310)의 하단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제1베이스 부재(321)는, 상기 프론트 부재(3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베이스 부재(321)는, 실질적으로 상기 캐비닛(10)에 각각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1베이스 부재(321)에는 다수개의 흡기구(323)가 형성된다. 상기 흡기구(323)는,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입구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흡기구(323)를 통하여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의 일부는, 상기 드로워 유닛(40)의 내부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흡기구(323)를 통하여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의 나머지는, 상기 오븐 유닛(30)로 전달되거나 상기 캐비닛(10)에 설치되는 각종 부품을 냉각시킨다.
상기 제2베이스 부재(325)는, 그 양단부가 각각 상기 제1베이스 부재(321)의 후단 일측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2베이스 부재(325)에 의하여, 상기 프론트 부재(310)에 고정된 상기 제1베이스 부재(321)가 유동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상기 사이드 부재(330)는, 상기 베이스 부재(320)의 바닥면에서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이드 부재(330)가 상기 제1베이스 부재(321)에서 상방으로 연장된다. 이때 상기 사이드 부재(330)는, 상기 레일 고정 브라켓(313)에 대응하는 간격만큼 서로 이격된다. 상기 사이드 부재(330)에는, 상기 레일 어셈블리(500)를 구성하는 고정 레일(510)이 각각 고정된다.
상기 어퍼 부재(340)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드로워 케이싱(300)의 상면을 형성한다. 상기 어퍼 부재(340)는, 상기 프론트 부재(310)의 후면 상단부 및 상기 사이드 부재(330)의 상단에 각각 고정된다. 또한 상기 어퍼 부재(340)에는, 상기 워밍 히터(200)가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어퍼 부재(340)에는 제1 및 제2포밍부(341)(342)가 형성된다. 상기 제1포밍부(341)는, 상기 어퍼 부재(340)의 일부가 상방으로 포밍되어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제1포밍부(341)의 내부에 상기 워밍 히터(200)가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 케이싱(300)의 내외부로 출납하는 상기 드로워(100)와 워밍 히터(200) 사이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포밍부(342)는, 상기 제1포밍부(341)의 일부가 하방으로 포밍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포밍부(342)는 상기 제1포밍부(341)에 설치된 상기 워밍 히터(200)의 직상방에 위치된다. 상기 제2포밍부(342)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포밍부(341)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제1포밍부(341)의 전후면에는 각각 히터 관통 개구(343)(344)가 형성된다. 상기 히터 관통 개구(343)(344)는, 상기 워밍 히터(200)의 양단부가 각각 관통하는 곳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히터 관통 개구(343)(344) 중 상기 제1포밍부(341)의 전면에 형성되는 것을 제1히터 관통 개구(343), 상기 제1포밍부(341)의 후면에 형성되는 것을 제2히터 관통 개구(344)라 칭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히터 관통 개구(343)는, 상기 튜브(210)의 종단면 이상의 크기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히터 관통 개구(344)는 상기 봉지부(230) 이하 및 상기 단차부(231) 이상의 크기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워밍 히터(200)는, 상기 단차부(231)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2히터 관통 개구(344)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제1히터 관통 개구(343)를 통하여 상기 제1포밍부(341)의 외부로 탈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포밍부(341)의 후면에는 그레이트 삽입 슬롯(345)이 구비된다. 상기 그레이트 삽입 슬롯(345)은 상기 그레이트(400)의 일부가 삽입되는 곳으로, 상기 제1포밍부(341)의 후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그레이트 삽입 슬롯(345)은, 상기 제2히터 관통 개구(344)의 하방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어퍼 부재(340)에는, 제1 및 제2열 차단부(346)(347)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열 차단부(346)(347)는, 상기 수납 공간(S)으로 전달된 상기 워밍 히터(200)의 에너지가 상기 드로워(100)의 외부, 실질적으로 상기 드로워(100)의 양측 및 후방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1열 차단부(346)는, 상기 어퍼 부재(340)의 양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예를 들면, 밴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열 차단부(347)는 상기 어퍼 부재(340)의 후단부 일부가 좌우로 길게 하방으로 돌출, 예를 들면, 포밍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열 차단부(346)(347)는, 상기 드로워 케이싱(300)의 내부에 수납된 상기 드로워 바디(120)의 양측방 및 후방으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 바디(120)의 양측면과 상기 제1열 차단부(346) 사이, 및 상기 드로워 바디(120)의 후면과 상기 제2열 차단부(347)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상기 드로워 바디(120)의 양측면과 상기 제1열 차단부(346) 사이의 틈새, 및 상기 드로워 바디(120)의 후면과 상기 제2열 차단부(347) 사이의 틈새를 공기 흡입구라 칭한다. 그런데 상기 제1 및 제2열 차단부(346)(347)는, 각각 하방으로 밴딩 또는 포밍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열 차단부(346)(347)가, 상기 드로워 케이싱(300)의 내부에 수납된 상기 드로워(100)의 양측면 및 후면과 상하로 중첩된다. 따라서 상기 공기 흡입구는, 실질적으로 하방을 향하여 개방된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흡입구를 통하여 상기 드로워 유닛(40)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된다.
상기 그레이트(400)는, 상기 워밍 히터(200)를 보호 및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그레이트(400)는, 상기 수납 공간(S)에 조리물이 수납되는 경우에, 조리물이 가열되는 과정에서 이물질에 의하여 상기 워밍 히터(200)가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그레이트(400)는, 상기 어퍼 부재(34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포밍부(341)의 내부에 위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그레이트(400)가, 수평부(410) 및 상기 수평부(410)의 양측 단부에서 소정의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연장되는 2개의 경사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부(410)는 전후방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평부(410)는, 상기 워밍 히터(200)의 직하방에 위치된다. 상기 수평부(410)의 후단은, 상기 그레이트 삽입 슬롯(345)을 관통하여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410)의 전단은, 상기 제1포밍부(341)의 전방에 해당하는 상기 어퍼 부재(340)의 저면에 접촉된다. 상기 수평부(410)의 전단은, 상기 수평부(410)의 후단이 상기 그레이트 삽입 슬롯(345)에 삽입된 상태에서, 체결구에 의하여 상기 어퍼 부재(340)에 고정된다. 상기 수평부(410)의 저면은, 실질적으로 상기 제1포밍부(341)의 저면과 동일한 높이 또는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410)에는 다수개의 제1연통 개구(411)가 형성된다. 상기 제1연통 개구(411)는, 상기 워밍 히터(200)의 에너지를 상기 수납 공간(S)으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연통 개구(411)는, 각각 상기 수평부(410)의 일부가 좌우로 길게 절개되어 형성되고, 서로 전후방으로 이격되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부(410)에는 히터 지지 리브(413)가 구비된다. 상기 히터 지지 리브(413)는, 상기 워밍 히터(200)가 상기 제1히터 관통 개구(343)를 통하여 상기 제1포밍부(341)의 외부로 탈거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히터 지지 리브(413)는, 상기 단차부(231)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2히터 관통 개구(344)를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단차부(231) 중 상기 제1히터 관통 개구(343)에 인접하는 다른 하나를 지지한다. 상기 히터 지지 리브(413)는, 상기 수평부(410)의 일부가 절개된 후 상기 수평부(410)의 나머지에 대하여 밴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히터 지지 리브(413)는, 상기 수평부(410)와 일체로 성형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420)에도, 각각 다수개의 제2연통 개구(421)가 형성된다. 상기 제2연통 개구(421)도, 상기 제1연통 개구(411)와 동일하게, 상기 워밍 히터(200)의 에너지를 상기 드로워(100)의 내부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경사부(420)의 상단에는, 각각 접촉 리브(423)가 구비된다. 상기 접촉 리브(423)는, 상기 경사부(420)의 상단에서 각각 소정의 각도로 연장되어 상기 어퍼 부재(340)의 저면에 접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연통 개구(411)에 비하여 상기 제2연통 개구(421)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연통 개구(411)에 비하여 상기 제2연통 개구(421)가 상대적으로 더 좁은 간격으로 이격된다. 이를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수평부(410)의 면적에 대한 상기 제1연통 개구(411)의 면적의 총합의 비율에 비하여, 상기 경사부(420)의 면적에 대한 상기 제2연통 개구(421)의 면적의 총합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큰 값을 갖는다. 이는, 상기 제1 및 제2연통 개구(411)(421)를 통하여 상기 수납 공간(S)으로 전달되는 에너지의 양은 확보하면서, 상기 수평부(410)의 강도를 유지하고, 상기 수평부(410)를 통한 상기 워밍 히터(200)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레일 어셈블리(500)는, 상기 드로워 케이싱(300)의 내외부로 출납되는 상기 드로워(100)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레일 어셈블리(500)는, 상기 드로워 케이싱(300)에 고정되는 고정 레일(510), 및 상기 드로워(100)에 고정되는 이동 레일(5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레일(520)이 상기 고정 레일(510)을 따라서 슬라이딩함으로써, 상기 드로워(100)가 상기 드로워 케이싱(300)의 내외부로 출납된다. 또한 상기 이동 레일(520)은, 상기 고정 레일(510)에 대하여, 상기 프론트 패널(110) 및 프론트 부재(310)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범위에서 슬라이딩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쿡탑 유닛(20)의 후방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면 후단에는 컨트롤 패널(50)이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 패널(50)은, 상기 쿡탑 유닛(20), 오븐 유닛(30) 및 드로워 유닛(40)의 동작을 위한 신호를 입력받는다. 또한 상기 컨트롤 패널(50)은, 상기 쿡탑 유닛(20), 오븐 유닛(30) 및 드로워 유닛(40)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오븐의 실시예에서의 드로워의 사용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오븐의 실시예에서 드로워 내부의 공기의 유동을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오븐의 실시예에서 드로워의 출납 과정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먼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100)가 드로워 케이싱(30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워밍 히터(200)가 동작하면, 수납 공간(S)으로 상기 워밍 히터(200)의 에너지가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 공간(S)에 수납된 조리물 또는 식기가 상기 워밍 히터(200)의 에너지에 의하여 가열되어 데워진다. 이때 상기 수납 공간(S)으로 전달되는 상기 워밍 히터(200)의 에너지는, 제1 및 제2열 차단부(346)(347)에 의하여 상기 수납 공간(S)의 외부로 누설되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워밍 히터(200)의 에너지는 상기 그레이트(400)에 형성되는 제1 및 제2연통 개구(411)(421)를 통하여 상기 수납 공간(S)으로 전달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연통 개구(411)에 비하여 상기 제2연통 개구(421)가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연통 개구(411)에 비하여 상기 제2연통 개구(421)가 상대적으로 더 좁은 간격으로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연통 개구(411)(421)를 통하여 상기 수납 공간(S)으로 전달되는 상기 워밍 히터(200)의 에너지의 양은 확보하면서, 상기 워밍 히터(200)의 오염 및 손상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로워 유닛(40)의 내부는, 실질적으로 상기 워밍 히터(200)의 동작에 의하여 가열되어 상대적으로 고온을 나타낸다. 그런데 드로워 바디(120)의 측면과 제1열 차단부(346) 사이, 및 상기 드로워 바디(120)의 후면과 제2열 차단부(347)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 흡입구는, 실질적으로 하방을 향한다. 그리고 프론트 패널(110) 및 프론트 부재(3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 배출구는, 실질적으로 상방을 향한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 유닛(40)에는, 상기 공기 흡입구를 통하여 흡입되고, 상기 드로워 유닛(40)의 내부를 순환한 후,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에어 플로가 형성된다. 특히, 상기 수납 공간(S)에 조리물이 수납된 경우에는, 조리물이 가열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분이나 유분 등을 포함하는 공기가 상기 드로워 유닛(4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수납 공간(S)에 수납된 조리물의 취식하거나, 식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핸들(111)을 파지하고, 전방으로 잡아당긴다. 따라서 이동 레일(520)이 고정 레일(510)을 따라서 슬라이딩하여 상기 드로워(100)가 상기 드로워 케이싱(300)의 외부로 인출되기 시작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워밍 히터(200)는, 제1포밍부(341)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100)가 상기 드로워 케이싱(300)의 외부로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수납 공간(S)에 수납된 조리물 또는 식기에 의하여 상기 워밍 히터(200)가 손상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드로워 유닛이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상기 드로워 유닛은 별개의 제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열 차단부가 상기 어퍼 부재의 일부가 하방으로 포밍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 제2열 차단부는 상기 어퍼 부재의 일부가 하방으로 밴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드로워의 양측면 및 후면과 상기 제1 및 제2열 차단부 사이에 각각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되었다. 그러나 상기 공기 흡입구는, 상기 드로워의 양측면 및 제1열 차단부 사이 또는 상기 드로워의 후면 및 제2열 차단부 사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드로워 케이싱;
    상기 드로워 케이싱의 상면에 설치되고, 에너지를 제공하는 워밍 히터;
    상기 워밍 히터의 하방에 설치되는 그레이트; 및
    상기 드로워 케이싱의 내외부로 출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워밍 히터의 에너지에 의하여 데워지는 조리물 또는 식기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이 구비되는 드로워; 를 포함하는 드로워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케이싱은,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 부재에는, 상기 어퍼 부재의 일부가 상방으로 포밍되어 형성되고, 상기 워밍 히터가 설치되는 제1포밍부가 구비되는 드로워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부재에는, 상기 제1포밍부의 일부가 하방으로 포밍되어 형성되고, 상기 워밍 히터의 직상방에 위치되는 제2포밍부가 구비되는 드로워 유닛.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케이싱은, 상면을 형성하는 어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 부재에는, 그 양측 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드로워 케이싱의 내부에 수납된 상기 드로워의 양측면으로부터 측방으로 이격되며, 상기 드로워의 양측면과 상하로 중첩되는 제1열 차단부가 구비되는 드로워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케이싱은, 전면을 형성하고, 상기 드로워가 상기 드로워 케이싱의 내외부로 입출되는 입구가 구비되는 프론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의 양측면과 제1열 차단부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상기 드로워 케이싱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드로워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드로워의 전면 및 상기 드로워 케이싱의 전면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상기 드로워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되는 드로워 유닛.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부재에는, 그 후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드로워 케이싱의 내부에 수납된 상기 드로워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되며, 상기 드로워의 후면과 상하로 중첩되는 제2열 차단부가 구비되는 드로워 유닛.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케이싱은, 전면을 형성하고, 상기 드로워가 상기 드로워 케이싱의 내외부로 입출되는 입구가 구비되는 프론트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의 양측면과 제1열 차단부 사이, 및 상기 드로워의 후면과 제2열 차단부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상기 드로워 케이싱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고, 상기 드로워 케이싱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드로워의 전면 및 상기 드로워 케이싱의 전면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상기 드로워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되는 드로워 유닛.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트는,
    상기 워밍 히터의 직하방에 위치되는 수평부; 및
    상기 수평부의 양측 단부에서 기설정된 경사로 연장되어 상기 어퍼 부재의 저면에 접촉되는 2개의 경사부; 를 포함하는 드로워 유닛.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에는, 상기 워밍 히터의 에너지를 상기 수납 공간으로 전달하기 위한 다수개의 제1연통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에는, 상기 워밍 히터의 에너지를 상기 수납 공간으로 전달하기 위한 다수개의 제2연통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제1연통 개구에 비하여 상기 제2연통 개구가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1연통 개구에 비하여 상기 제2연통 개구가 상대적으로 더 좁은 간격으로 이격되는 드로워 유닛.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에는, 상기 워밍 히터의 에너지를 상기 수납 공간으로 전달하기 위한 다수개의 제1연통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경사부에는, 상기 워밍 히터의 에너지를 상기 수납 공간으로 전달하기 위한 다수개의 제2연통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수평부의 면적에 대한 상기 제1연통 개구의 면적의 총합의 비율에 비하여, 상기 경사부의 면적에 대한 상기 제2연통 개구의 면적의 총합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큰 값을 갖는 드로워 유닛.
  11. 캐비닛;
    상기 캐비닛의 상면에 위치되고, 다수개의 쿡탑 히터가 구비되는 쿡탑 유닛;
    상기 쿡탑 유닛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되는 오븐실, 상기 오븐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오븐실에서의 조리물의 조리를 위한 가열원을 포함하는 오븐 유닛; 및
    상기 오븐 유닛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닛의 내부에 위치되는 드로워 케이싱, 상기 드로워 케이싱의 내외부로 출납되는 드로워, 및 상기 드로워의 내부에 수납되는 조리물 또는 식기를 데우기 위한 에너지를 제공하는 워밍 히터를 포함하는 드로워 유닛; 을 포함하고,
    상기 워밍 히터는, 상기 드로워 케이싱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드로워 유닛의 양측면 및 후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드로워 유닛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드로워 유닛의 전면에는 상기 드로워 유닛의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 배출구가 형성되는 전기 오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유닛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공기 흡기구를 통하여 상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드로워 유닛의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공기 배출구를 통하여 상방으로 이동하는 전기 오븐.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케이싱은,
    전면을 형성하고, 상기 드로워의 출납을 위한 입구가 형성되는 프론트 부재;
    저면 일부를 형성하는 베이스 부재; 및
    상면을 형성하고, 상기 워밍 히터가 설치되는 어퍼 부재; 를 포함하는 전기 오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는,
    전면을 형성하고, 상기 드로워가 상기 드로워 케이싱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 부재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는 프론트 패널; 및
    상기 프론트 패널의 이면에 고정되고, 조리물 또는 식기가 수납되는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드로워 바디; 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흡입구는, 상기 어퍼 부재의 양측 단부 및 후단부와 상기 드로워 바디의 양측면 및 후면 사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공기 배출구는, 상기 프론트 부재 및 프론트 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 오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부재의 양측 단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열 차단부가 구비되고,
    상기 어퍼 부재의 후단부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2열 차단부가 구비되며,
    상기 공기 흡입구는, 상기 제1열 차단부와 상기 드로워 바디의 측면 사이, 및 상기 제2열 차단부와 상기 드로워 바디의 후면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 오븐.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유닛은, 상기 워밍 히터와 드로워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워밍히터를 지지하는 그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전기 오븐.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그레이트는, 그 일부가 상기 어퍼 부재의 일측을 관통하여 삽입된 후 체결구에 의하여 상기 어퍼 부재에 고정되는 전기 오븐.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워밍 히터의 양단부가 상기 어퍼 부재에 형성되는 히터 관통 개구를 각각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그레이트에 의하여 상기 히터 관통 개구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탈거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전기 오븐.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관통 개구는, 상기 어퍼 부재의 일부가 상방으로 포밍되어 형성되는 제1포밍부의 전후면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그레이트는 상기 제1포밍부의 내부에 위치되는 전기 오븐.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 관통 개구는, 상기 어퍼 부재의 일부가 상방으로 포밍되어 형성되는 제1포밍부의 전후면에 각각 위치되고,
    상기 그레이트의 저면은 상기 제1포밍부의 저면과 동일한 높이 또는 상방에 위치되는 전기 오븐.
KR1020110072665A 2011-07-21 2011-07-21 드로워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오븐 KR101276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665A KR101276498B1 (ko) 2011-07-21 2011-07-21 드로워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오븐
US13/553,715 US9012815B2 (en) 2011-07-21 2012-07-19 Drawer unit for oven and oven hav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665A KR101276498B1 (ko) 2011-07-21 2011-07-21 드로워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오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487A true KR20130011487A (ko) 2013-01-30
KR101276498B1 KR101276498B1 (ko) 2013-06-18

Family

ID=47555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665A KR101276498B1 (ko) 2011-07-21 2011-07-21 드로워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오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012815B2 (ko)
KR (1) KR10127649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904B1 (ko) * 2015-05-12 2016-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190117246A (ko) * 2018-04-06 2019-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WO2021201381A1 (ko) * 2020-03-31 2021-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로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오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11944B2 (ja) * 2016-07-29 2019-11-27 三菱電機株式会社 加熱調理器
US10731867B2 (en) 2018-02-19 2020-08-0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Appliance drawer
US11598529B2 (en) * 2019-03-05 2023-03-07 Whirlpool Corporation Oven burner cover screen with improved mesh configuration
KR20220094673A (ko) * 2020-12-29 2022-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오븐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72293A (en) * 1945-09-20 1949-06-07 Ford Motor Co Ventilated and shielded infrared oven
US2897337A (en) * 1957-08-12 1959-07-28 Robert D Schiff Radiant ceiling heater
US3693538A (en) * 1970-11-19 1972-09-26 Gen Electric Electric oven toaster construction
GB8615201D0 (en) * 1986-06-21 1986-07-23 Thorn Emi Appliances Grilling/browning food
US4910386A (en) * 1988-11-29 1990-03-20 Reliance Medical Products, Inc. Apparatus for heating medical or dental instruments
FR2671859B1 (fr) * 1991-01-17 1999-01-22 Moulinex Sa Appareil de cuisson, par exemple four comportant un protecteur pour un element chauffant electrique.
US5390588A (en) * 1994-01-07 1995-02-21 Black & Decker Inc. Toasting cavity for an electric toaster
KR100386245B1 (ko) * 2000-03-25 2003-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적외선 방사를 하는 히터를 이용한 급속 조리장치
US6337466B1 (en) * 2000-04-18 2002-01-08 Hp Intellectual Corp. Toaster oven with lowered support rack and reflector diffuser
DE10203606A1 (de) * 2002-01-30 2003-07-31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Lichtwellenofen mit Schublade
MXPA04002244A (es) * 2002-07-10 2004-06-29 Duke Mfg Co Aparato y metodo para calentar alimentos.
EP1431667B1 (en) * 2002-12-16 2015-07-08 LG Electronics, Inc. Electric oven
DE10260019B4 (de) * 2002-12-19 2005-11-24 Miele & Cie. Kg Haushalts-Speisenwärmer zum Warmhalten von Speisen und Getränken
JP2004263884A (ja) * 2003-02-05 2004-09-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器
US7166821B2 (en) * 2004-03-29 2007-01-23 Adamski Joseph R Radiant convection warming drawer
US7235762B2 (en) * 2004-06-14 2007-06-26 Western Industries, Inc. Factory preset temperature warming appliance
US7038175B2 (en) * 2004-06-30 2006-05-02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a self-cleaning oven
US7279659B2 (en) * 2004-09-01 2007-10-09 Western Industries, Inc. Non-food warmer appliance
US7488919B2 (en) * 2004-09-01 2009-02-10 Western Industries, Inc. Warming apparatus
US20060278629A1 (en) * 2005-06-08 2006-12-14 Western Industries, Inc. Electronically controlled outdoor warmer
US8058588B2 (en) * 2005-08-31 2011-11-15 Western Industries, Inc. Electronically controlled warmer drawer
JP2007085646A (ja) 2005-09-22 2007-04-05 Sanyo Electric Co Ltd 床置型調理器
KR100747810B1 (ko) * 2005-12-14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 오븐
US7420140B2 (en) * 2006-06-30 2008-09-02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energization of a cooking appliance
US8217315B2 (en) * 2008-02-07 2012-07-10 Sharp Kabushiki Kaisha Pull-out heat cooking device
KR101634809B1 (ko) * 2009-12-31 2016-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904B1 (ko) * 2015-05-12 2016-10-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190117246A (ko) * 2018-04-06 2019-10-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WO2021201381A1 (ko) * 2020-03-31 2021-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로워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오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012815B2 (en) 2015-04-21
KR101276498B1 (ko) 2013-06-18
US20130020308A1 (en) 201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6498B1 (ko) 드로워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오븐
US9115903B2 (en) Oven door
KR101307628B1 (ko) 응축수 안내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조리기기
KR102306328B1 (ko) 외부 드립트레이 모듈이 구비된 수직형 그릴
CA2618943C (en) Oven with oven door having an air deflection assembly
KR102564246B1 (ko) 조리기기
KR101809178B1 (ko) 디바이더 보관부를 갖는 조리기기
EP3421887B1 (en) Cooking appliance
US11466867B2 (en) Oven
KR102235317B1 (ko) 그리들 장치 및 그리들 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기
KR20100091684A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US20100031948A1 (en) Built-in cooking appliance
JP2016099010A (ja) 加熱調理器
KR102019260B1 (ko) 조리 기기의 도어
EP4343210A2 (en) Household appliance
KR100988700B1 (ko) 랙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오븐
KR101674293B1 (ko) 조리기기
KR102022960B1 (ko)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20090099946A (ko) 조리기기
KR100986480B1 (ko) 조리기기
KR20060082252A (ko) 전기오븐의 음식물지지수단
KR101545745B1 (ko) 조리기기
KR200383683Y1 (ko) 전기오븐의 팬어셈블리
KR100700770B1 (ko) 전기오븐
KR200380806Y1 (ko) 전기오븐의 팬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