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4246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4246B1
KR102564246B1 KR1020180087444A KR20180087444A KR102564246B1 KR 102564246 B1 KR102564246 B1 KR 102564246B1 KR 1020180087444 A KR1020180087444 A KR 1020180087444A KR 20180087444 A KR20180087444 A KR 20180087444A KR 102564246 B1 KR102564246 B1 KR 102564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housing
supply device
guide member
fron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2310A (ko
Inventor
이대용
강청
문혜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743904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56424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7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4246B1/ko
Priority to US16/519,076 priority patent/US11497339B2/en
Priority to EP19188545.8A priority patent/EP3599429B1/en
Publication of KR20200012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310A/ko
Priority to KR1020230039516A priority patent/KR1026427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4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4246B1/ko
Priority to KR1020240027704A priority patent/KR202400327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C15/327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with air moisturi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3/00Parts or accessories of ovens
    • A21B3/04Air-treatment devices for ovens, e.g. regulating humid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3Details moisturising of 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Abstract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전면패널과 물공급장치 사이에서 물공급장치의 설치 위치를 규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가이드부재는, 물공급장치와 결합되어 가이드부재에 대한 물탱크의 전면부의 상대 위치를 정렬하는 제1가이드부와; 가이드돌기와 결합되어 개방부에 대한 가이드부재의 상대 위치를 정렬하는 제2가이드부; 및 가이드부재를 캐비티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븐 등의 조리실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공급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조리실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상기 밀폐형 조리기기는, 열원(熱源)의 종류에 따라 가스 오븐과 전기 오븐으로 대별된다. 가스 오븐은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게 되며, 다수의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여 점화시킴으로써 공급되는 가스가 타면서 발생되는 불꽃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며, 전기 오븐은 가스 오븐과 달리 전기를 열원으로 하여 다수의 히터가 작동되면서,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는 방식을 취하게 된다.
전기 오븐은 가스 오븐보다 요리의 속도가 빠르고 열효율이 높으며, 안정성이 좋아 그 이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이러한 전기 오븐은, 다양한 음식물의 요리가 가능하도록 마그네트론과 같은 고주파를 발산하는 전장 부품을 추가함으로써, 고주파를 이용하여 음식물이 조리하거나,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과 마그네트론과 같은 전장 부품에서 발산되는 고주파를 함께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능을 부가적으로 제공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고온의 스팀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스팀 오븐이 출시되고 있다. 스팀 오븐은, 고온의 스팀을 이용해 조리실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고, 스팀량에 의해 습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춘 오븐으로서, 음식물이 건조되는 현상을 막아주고, 대량의 다단계 조리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맛과 향의 증발을 차단하여 요리의 맛과 향을 유지시켜 주는 복합적인 기능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스팀 오븐은,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어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와, 조리실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및 조리실의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된다.
또한 스팀공급부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 및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공급장치와 스팀발생기 사이에는, 물탱크 내부의 물이 스팀발생기로 이동될 수 있도록 급수관이 연결된다. 그리고 스팀발생기는, 물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내부에 수용되는 물저장부, 및 물저장부 내부의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스팀 오븐에서는, 물공급장치를 통해 주입된 물이 급수관을 거쳐 물저장부로 유입되고, 물저장부로 유입된 물이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스팀이 생성되며, 이처럼 생성된 스팀이 조리실 내부로 유입되어 조리실 내부를 순환하는 형태로 스팀을 이용한 조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스팀 오븐에서, 물공급장치는 조리실의 상부에 형성된 공간인 전장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캐비티의 전방에는 스팀 오븐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전면패널이 구비된다. 캐비티의 전방 테두리 영역은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되고, 전장공간의 전방도 전면패널에 의해 차폐된다.
물공급장치는, 전장공간의 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물공급장치는, 하우징과 물탱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은 전장공간에 고정된다. 하우징은 물탱크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며, 이러한 하우징의 전면은 전방을 향해 개구된다.
물탱크는, 하우징 내부의 수용공간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에 설치된다. 이러한 물탱크는, 전장공간의 전방에 배치된 전면패널을 통과하여 전장공간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면패널에는, 물탱크가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개방홀이 형성된다.
물탱크의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물탱크의 전면과 개방홀 간의 정렬이 중요하다. 개방홀을 물탱크의 전면에 비해 넉넉한 사이즈로 형성한다면 정렬의 정확도와 상관없이 물탱크의 인출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겠지만, 외관 품질 문제를 고려하면 이것이 바람직한 방안이 되기는 어렵다.
따라서 개방홀 내부에서 물탱크의 전면과 전면패널 간의 갭을 최소한으로 유지하면서 물탱크의 인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물탱크의 전면과 개방홀 간의 정렬이 정확성 높게 이루어져야 하고, 이러한 정렬 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법의 하나로, 하우징의 전면을 전면패널에 고정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는 하우징의 전면을 전면패널에 맞댄 상태에서 물탱크의 전면과 개방홀 간의 정렬을 수행하고, 이러한 정렬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하우징의 전면을 전면패널에 고정시키는 방법이다.
이 경우, 전면패널과 하우징 간의 고정은 전면패널과 하우징의 전면을 스크류로 체결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에서는, 체결에 이용되는 스크류가 노출될 수 밖에 없게 되고, 이에 따라 제품의 외관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를 피하기 위해 하우징이 다른 구성, 예를 들면 전장공간의 바닥면에 고정된다면, 물탱크의 전면과 개방홀 간의 정렬이 제대로 이루어지기가 쉽지 않음은 물론, 설령 정렬이 제대로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정렬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기가 쉽지 않다. 하우징과 전면패널 간의 고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하우징의 위치가 변화되거나 전면패널의 변형이 발생되는 경우에 물탱크의 전면과 개방홀 간의 정렬이 틀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두 방법 모두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정렬을 수행해야 하므로, 정렬의 정확성을 담보하기 어렵고, 정렬 결과가 제품마다 일정하게 나올 가능성도 높지 않다.
본 발명은 물탱크의 전면과 개방홀 간의 정렬이 쉽고 정확성 높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캐비티와; 상기 캐비티의 상부에 형성되는 전장공간부와; 상기 캐비티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전장공간부의 전방을 차폐하는 전면패널과; 상기 전면패널의 전방과 상기 전장공간부 사이를 전후방향으로 개방하는 통로를 상기 전면패널에 형성하는 개방홀, 및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개방홀 간의 경계에서 상기 전장공간부를 향해 상기 전후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는 개방부와; 상기 전장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개방홀부를 통해 상기 전면패널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전면부를 포함하는 물공급장치; 및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물공급장치 사이에서 상기 물공급장치의 설치 위치를 규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물공급장치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한 상기 전면부의 상대 위치를 정렬하는 제1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돌기와 결합되어 상기 개방부에 대한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대 위치를 정렬하는 제2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캐비티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가이드부재의 지정된 위치에 하우징을 결합시킨 후, 전면패널의 지정된 위치에 가이드부재를 결합시키는 단순한 작업만으로, 전면부와 개방홀 간의 정렬이 쉽고 정확성 높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전면패널과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되는 전면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전면플레이트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을 둘러싸는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전면플레이트가 상기 물공급장치의 전방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한 상기 전면부의 상대 위치가 정렬되고,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며 상기 제2가이드부와 끼움 결합되어 상기 개방부에 대한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대 위치가 정렬된다.
이에 따르면, 전면패널에 돌출된 가이드돌기에 제2가이드부를 끼워 넣는 단순한 작업을 통해 쉽고 정확성 높게 물탱크의 전면부와 개방홀 간의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측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물공급장치의 측면과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 및 각각의 상기 측면플레이트와 상기 캐비티 간의 결합면을 제공하는 저면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물공급장치 간의 측방향 결합 위치를 안내하는 제3가이드부, 및 상기 캐비티와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가이드부는, 상기 물공급장치의 측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측면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캐비티의 상부면과 결합되는 상기 저면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하우징과 가이드부재 간의 측방향 결합 위치가 쉽고 정확하게 안내되므로, 물탱크의 전면부와 개방홀 간의 정렬 작업이 좀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가이드부재의 지정된 위치에 하우징을 결합시킨 후, 전면패널의 지정된 위치에 가이드부재를 결합시키는 단순한 작업만으로, 전면부와 개방홀 간의 정렬이 쉽고 정확성 높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전면부가 정확성 높게 정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탱크의 인출 및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향상된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패널을 체결 부위 없이 매끄럽게 유지할 수 있어 향상된 외관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일부분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 도어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상부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가이드부재와 물공급장치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 가이드부재 및 물공급장치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물공급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물공급장치의 물탱크 인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가이드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전면패널과 가이드부재 및 물공급장치의 결합 전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가이드부재와 물공급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ⅩⅣ-Ⅹ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는 전면패널과 가이드부재 및 물공급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ⅩⅥ-Ⅹ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의 "ⅩⅦ-ⅩⅦ"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8은 전면패널과 가이드부재 및 물공급장치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의 조리기기의 전면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일부분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 도어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하부에 배치된 제1유닛(1)과 상부에 배치된 제2유닛(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유닛(1)과 제2유닛(2) 모두가 전기 오븐 등과 같은 밀폐형 조리기기인 것으로 예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부에 배치되는 제1유닛(1)이 전기 오븐이고 상부에 배치되는 제2유닛(2)이 가스 오븐인 형태로 조리기기의 구성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전자레인지와 같이 오븐이 아닌 다른 형태의 밀폐형 조리기기가 제2유닛(2)으로 적용될 수도 있고, 쿡탑, 홉, 그리들 등과 같은 개방형 조리기기가 제2유닛(2)으로 적용되어 제1유닛(1)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제1유닛(1)과 제2유닛(2) 모두가 전기 오븐인 경우를 예로 들어 조리기기의 구성을 설명하되, 제1유닛(1)의 구성을 기준으로 조리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유닛(1)은 본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본체(10)의 골격을 형성하는 캐비티(11), 및 캐비티(11)의 전방에 배치되어 본체(1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플레이트(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캐비티(11)의 내부에는 조리실(15)이 형성되며, 전면 플레이트(14)의 내부에는 조리실(15)을 전방으로 개방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조리실(15)이 형성된다. 조리실(15)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조리실(15)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실(15)의 내부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한다. 즉 조리기기에서는, 조리실(15)의 내부공간이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다.
조리기기에는, 조리실(15)을 가열하는 가열부가 마련된다. 이러한 가열부의 일례로서, 조리실(15)의 후측에는 뜨거운 공기를 대류시켜 조리실(15)의 내부공간을 가열하는 컨벡션부(18)가 상기 가열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조리실(11)의 상측에는 조리실(15)의 내부공간을 상측에서 가열하는 상부히터가 가열부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조리실(15)의 하측에도 조리실(15)의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가열하는 하부히터가 가열부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본체(10)의 전방에는, 조리실(15)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16)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도어(16)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하는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조리실(15)을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16)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앞면에는 사용자가 도어(16)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 파지하도록 핸들(17)이 설치된다.
본체(10)의 상부, 즉 제1유닛(1)과 그 위에 적층되는 제2유닛(2) 사이의 공간에는, 전장부품들이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전장공간부(20)가 형성된다. 전장공간부(20)의 하부 경계면은 캐비티(11)의 상부면에 의해 규정되고, 전장공간부(20)의 상부 경계면은 제2유닛(2)의 하부면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장공간부(20)의 전면은, 전면플레이트(14)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스팀공급장치의 구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스팀공급장치(30)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스팀공급장치(30)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조리실(15)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제공되며, 스팀공급부(31)와 물공급장치(100) 및 연결관(37)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스팀공급부(31)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도록 동작되는 구성이다. 스팀공급부(31)는, 물공급장치(31)로부터 연결관(37)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는 물저장조(32)와, 물저장조(32)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히터(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물공급장치(100)는, 스팀공급부(31)에 공급되기 위한 물을 저장 및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물공급장치(100)는 조리실(15)의 상부, 즉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전장공간부(20)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공급장치(100)의 설치 위치는 고온 상태의 조리실(15) 내부의 열로부터의 영향이 적고 외부로부터의 물 공급이 용이하며 스팀공급부(31)로의 물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선택된 어느 위치라도 가능하다.
연결관(37)은, 물공급장치(100)에서 공급되는 물이 스팀공급부(31)로 이동하는 통로가 형성되도록 물공급장치(100)와 스팀공급부(31)를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관(37)은, 플렉시블한 튜브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고, 금속 재질의 파이프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연결관(37)은, 물공급장치(100)로부터 조리실(15)을 우회하여 스팀공급부(31)와 연결되되, 조리실(15)의 후방 측으로 우회하는 경로를 통해 스팀공급부(31)와 연결될 수도 있고, 조리실(15)의 측방 측으로 우회하는 경로를 통해 스팀공급부(31)와 연결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연결관(37)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물공급장치(10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연결관(37)을 통해 물저장조(32)로 유입되고, 물저장조(32)로 유입된 물이 스팀히터(33)에 의해 가열되어 스팀이 생성되며, 이처럼 생성된 스팀이 조리실(15) 내부로 유입되어 조리실(15) 내부를 순환하는 형태로 스팀을 이용한 조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물공급장치(100)로부터 이루어지는 물의 공급은, 물공급장치(100)와 물저장조(32) 간의 높이 차 또는 압력 차에 의한 힘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물저장조(32) 또는 연결관(37) 측에 설치되는 펌프(36)의 동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아울러 스팀공급장치(30)는, 스팀공급부(31)에서 생성된 스팀을 조리실(15) 내부에 분사하는 스팀분사부재(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팀분사부재(39)는, 캐비티(11)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스팀관(38)을 통해 스팀공급부(31)의 물저장조(32)와 연결된다. 이러한 스팀분사부재(39)는, 스팀공급부(31)에서 생성된 스팀이 조리실(15)의 상부에서 조리실(15) 내부로 하향 분사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스팀관(38)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물공급장치 및 그 주변의 전반적인 구성]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상부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가이드부재와 물공급장치의 분리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 가이드부재 및 물공급장치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Ⅷ-Ⅷ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는 물탱크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캐비티(11)의 전방에는 전면패널(14)이 구비된다. 캐비티(11)의 전방 테두리 영역은 전면패널(14)에 의해 차폐된다. 전면패널(14)의 내측에는 홀이 형성되며, 캐비티(11) 내부의 조리실(15)이 이를 통해 전면패널(14)의 전방으로 개방된다.
전면패널(14)은, 캐비티(11)의 상부로 돌출되는 높이를 갖도록 마련된다. 전장공간부(20)의 전방은, 이처럼 캐비티(11)의 상부로 돌출된 전면패널(14)의 상부 영역에 의해 차폐된다.
물공급장치(100)는, 전장공간부(20)에 배치된다. 물공급장치(100)는, 전장공간부(20)에 고정되는 하우징(110)과 하우징(110) 내부의 수용공간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물탱크(120)를 포함한다. 물탱크(120)는, 전장공간부(20)의 내부에서 전면패널(14)을 통과하여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전면패널(14)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120)가 전면패널(14)을 통과할 수 있는 통로를 전면패널(14) 상에 제공하는 개방부(40)가 형성된다.
아울러, 물공급장치(100)가 배치되는 전장공간부(20)에는 가이드부재(200)가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200)는, 전면패널(14)과 물공급장치(100) 사이에서 물공급장치(100)의 설치 위치를 규제한다. 가이드부재(200)의 구체적인 구조 및 작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전면패널의 구조]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전면패널(14)은 물공급장치(100)가 설치되는 전장공간부(20)의 전방을 차폐하며, 이러한 전면패널(14)에는 개방부(40)가 마련된다. 개방부(40)는, 개방홀(41)과 가이드돌기(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개방홀(41)은, 전면패널(14)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개방홀(41)은, 전면패널(14)의 전방과 전장공간부(20) 사이를 전후방향으로 개방하는 통로를 전면패널(14)에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공급장치(100)의 전면이 대략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라 개방홀(41)은, 물공급장치(100)의 전면 형상, 좀 더 구체적으로는 후술할 전면부(125)의 형상에 대응되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43)는, 전면패널(14)과 개방홀(41) 간의 경계에서 전장공간부(20)를 향해 전후방향으로 돌출된다. 가이드돌기(43)는, 개방홀(41)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개방홀(41)의 후방을 에워싸며 전면패널(14)의 후방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가이드돌기(43)는, 전면패널(14)에서 개방홀(41)을 가공하는 버링(Burring) 과정에서 형성되는 버(Burr)가 전면패널(14)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공급장치의 구성]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물공급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물공급장치의 물탱크 인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물공급장치(100)는, 하우징(110)과 물탱크(120) 및 커넥터(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10)은, 조리기기의 본체(10)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박스 형태로 마련된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물공급장치(100)를 이루는 각종 구성들이 수용 및 설치되기 위한 골격을 이룬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하우징(110)의 전후방향 일측, 즉 하우징(110)의 전방 측은,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이 전면패널(14) 측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개방되게 형성된다. 하우징(110) 내부의 수용공간은 후술할 물탱크(120)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으로 형성되며, 하우징(110)의 개방된 전방 측은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된 물탱크(120)가 조리기기의 외부로 인출되기 위한 통로가 된다.
물탱크(120)가 수용되는 하우징(110)의 상부면에는, 소정의 구성을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113)가 마련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가령, 상기 장착부(113)는 물탱크의 상부에서 물탱크(120)에 인접하여 배치되므로, 상기 장착부(113)에는 물탱크(120)와 관련된 소정의 부품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물탱크(120)는 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스팀발생부(31; 도 4 참조)로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물탱크(120)의 내부에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물탱크(120)는 하우징(110) 내부의 수용공간의 형상에 대응되는 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물탱크(120)의 상부에는 물탱크(120)의 외부로부터 저장공간에 물을 투입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투입구(121)가 마련되며, 투입구(121)는 물탱크(120)의 상부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되, 물탱크(120)의 전방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물탱크(120)는, 하우징(110) 내부에 설치되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물탱크(120)는, 물탱크(120)의 전체 영역이 하우징(110) 내부의 수용공간 내에 위치할 수 있게 물탱크(120)의 내부에 설치되며, 하우징(110)의 개구된 전방 측을 통해 하우징(110) 및 조리기기의 외부로 인출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물탱크(120)는, 하우징(1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되, 필요에 따라 조리기기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물탱크(120)는 그 전면이 하우징(110)의 외부는 물론, 전면패널(14; 도 6 참조)의 개방홀(41; 도 6 참조)을 통해 조리기기의 외부로도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인 물탱크(120)의 전면에는 전면부(125)가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면부(125)는 본체(10)의 외관을 이루는 외부케이스와의 일체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재질 및 색상으로 마련됨으로써, 제품 전체의 미감이 유지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아울러 물탱크(220)의 전면 및 이에 부착되는 전면부(125)의 일부분에는 수위표시창(w)이 마련될 수도 있다. 수위표시창(w)은, 물탱크(120)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사용자가 물탱크(120) 및 조리기기의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물탱크(120)의 전면 및 전면부(125)의 일부분에 관통공을 형성한 후 투명재질의 커버를 부착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130)는, 물탱크(120)를 하우징(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마련된 구성이다. 이러한 커넥터(130)는, 수용공간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110)에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물탱크(120)의 위치를 삽입위치 또는 인출위치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커넥터(130)에는, 물탱크(120)를 하우징(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구조물, 그리고 물탱크(120)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부품, 물탱크(120)의 위치를 하우징(110) 내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품 등이 연결되기 위한 구조물이 마련된다.
즉 물탱크(120)는, 커넥터(130)를 매개로 하우징(1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물탱크(120)는, 이동시 하우징(110)에 대한 전면부(125)의 상하방향 및 측방향의 상대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우징(110)에 결합된다.
[가이드부재의 구조]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가이드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전면패널과 가이드부재 및 물공급장치의 결합 전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12에는 물탱크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가이드부재(200)는, 제1가이드부(A)와 제2가이드부(B) 및 고정부를 포함한다.
제1가이드부(A)는, 물공급장치(100)와 결합되어 가이드부재(200)에 대한 전면부(125)의 상대 위치를 정렬한다. 제1가이드부(A)는, 전면패널(14)과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되는 전면플레이트(2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플레이트(210)는, 물공급장치(100)에 구비된 하우징(110)의 전면과도 나란한 평면을 형성한다. 전면플레이트(210)는, 전면패널(14)과 하우징(110) 사이에 배치되며, 그 전면이 전면패널(14)과 맞닿고, 그 배면이 하우징(110)과 맞닿는 평면으로 형성된다.
하우징(110)의 전면이 전면플레이트(210)에 맞닿았을 때, 가이드부재(200)에 대한 하우징(110)의 전후방향 상대 위치가 정렬된다. 그리고 물탱크(120; 도 9 참조)가 하우징(110)에 대한 전면부(125)의 상하방향 및 측방향의 상대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우징(110)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110)의 전면이 전면플레이트(210)에 맞닿았을 때, 가이드부재(200)에 대한 전면부(125)의 상대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전면은, 전면플레이트(210)의 배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전면플레이트(210)에 결합된다. 이에 따라 물공급장치(100)와 제1가이드부(A)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와 같이 물공급장치(100)와 제1가이드부(A)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때, 가이드부재(200)에 대한 전면부(125)의 상대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이때 물공급장치(100)는, 가이드부재(200)에 대한 전면부(125)의 상대 위치가 제1위치에 고정되도록 물공급장치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위치는, 하우징(110)의 개구된 전방 형상과 후술할 개방홀(41)이 일치되게 겹쳐지는 위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10)의 전면과 전면플레이트(210)에는 복수개의 체결홀(H1,H2)이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10)의 전면에 마련되는 체결홀(H1)들과 전면플레이트(210)에 마련되는 체결홀(H2)들은 하우징(110)의 전면과 전면플레이트(210)가 서로 맞닿았을 때 서로 중첩될 수 있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하우징(110)의 전면과 전면플레이트(210)가 서로 맞닿았을 때, 스크류(Screw) 등과 같은 체결부재가 체결홀(H1,H2)을 관통하면서 하우징(110)과 전면플레이트(21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하우징(110)의 전면과 전면플레이트(210)에 마련되는 체결홀(H1,H2)들은, 이와 같은 결합이 이루어질 때, 가이드부재(200)에 대한 전면부(125)의 상대 위치가 제1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제2가이드부(B)는, 가이드돌기(43)와 결합되어 개방부(40)에 대한 가이드부재(200)의 상대 위치를 정렬한다. 제2가이드부(B)는, 전면플레이트(210)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211) 및 관통홀(211)을 둘러싸는 전면플레이트(210)의 내측면(21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2가이드부(B)와 가이드돌기(43) 간의 결합은, 가이드돌기(43)가 관통홀(211)을 관통하여 제2가이드부(B)와 끼움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돌기(43)와 제2가이드부(B) 간의 끼움 결합은, 가이드돌기(43)의 외측면이 전면플레이트(210)의 내측면(215)과 밀착되며 관통홀(211)을 통과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가이드부(B)와 가이드돌기(43)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면, 개방부(40)에 대한 가이드부재(200)의 상대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재(200)가 제2위치에 고정되도록, 개방부(40)에 대한 가이드부재(200)의 상대 위치 정렬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2위치는, 전면패널(14)에 형성된 개방홀(41)과 전면플레이트(210)에 형성된 관통홀(211)이 일치되게 겹쳐지는 위치일 수 있다.
고정부는, 가이드부재(200)를 캐비티(11)에 고정시키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고정부는,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220) 및 저면플레이트(23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220)는, 전면플레이트(210)의 측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각각의 측면플레이트(220)는, 물공급장치(1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하우징(110)의 측면과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220)는, 전면플레이트(110)의 양측 단부로부터 후방으로 각각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220) 간의 간격은, 하우징(110)의 측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면플레이트(230)는, 각각의 측면플레이트(220)와 캐비티(11) 간의 결합면을 제공한다. 저면플레이트(230)는, 각 측면플레이트(220)의 하부에 각각 마련된다. 각각의 저면플레이트(230)는, 캐비티(11) 상부면과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저면플레이트(230)는,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220)가 이루는 후술할 제3가이드부(C)의 측방향 외측에 배치된다.
가이드부재(200)는, 전면플레이트(210)와 측면플레이트(220) 및 저면플레이트(230)가 일체로 형성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가늘고 긴 금속 판재가 "ㄷ" 형상을 이루도록 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전면플레이트(210)와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220)의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각 측면플레이트(220)가 "ㄴ" 형상을 이루도록 상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저면플레이트(230)의 성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별도의 구조물을 부가하고 이를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체결 작업 없이, 금속 판재를 절곡 성형하는 것만으로, 가이드부재(200)를 쉽고 빠르며 저렴한 비용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측면플레이트(220)와 저면플레이트(230)를 포함하는 고정부는, 제3가이드부(C) 및 결합부(D)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3가이드부(C)는, 제1가이드부(A)와 물공급장치(100) 간의 측방향 결합 위치를 안내한다. 이러한 제3가이드부(C)는, 물공급장치(100),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하우징(110)의 측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110)은 제3가이드부(C) 내부, 즉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22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될 수 있고, 하우징(110)이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220) 사이의 공간에 삽입되면 하우징(110)과 제1가이드부(A)와의 측방향 결합 위치가 안내될 수 있다.
결합부(D)는, 캐비티(11)와 결합되어 가이드부재(200)를 캐비티(11)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결합부(D)는, 캐비티(11)의 상부면과 결합되는 복수개의 저면플레이트(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전면패널과 가이드부재와 물공급장치 간의 결합 구조]
도 13은 가이드부재와 물공급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ⅩⅣ-Ⅹ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5는 전면패널과 가이드부재 및 물공급장치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16은 도 15의 "ⅩⅥ-Ⅹ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7은 도 15의 "ⅩⅦ-ⅩⅦ?"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8은 전면패널과 가이드부재 및 물공급장치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의 조리기기의 전면을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또한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재의 다른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8에서는, 물탱크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전면패널과 가이드부재와 물공급장치 간의 결합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전면패널(14)과 가이드부재(200)와 물공급장치(100) 간의 결합을 위해, 먼저 가이드부재(200)와 하우징(110) 간의 결합을 진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제3가이드부(C)의 내부, 즉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220) 사이의 공간에 하우징(110)을 삽입한다. 이때 하우징(110)의 삽입은, 가이드부재(200)의 후방에서 전방 측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가이드부재(200)의 상부에서 하부 측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가이드부(C)의 내부로 하우징(110)의 삽입이 이루어지면, 하우징(110)의 전면이 전면플레이트(210)의 배면에 맞닿도록 하우징(110)을 전면플레이트(210)에 밀착시켜 준다. 이 때 하우징(110)과 제1가이드부(A), 즉 하우징(110)과 전면플레이트(210) 간의 측방향 결합 위치는 제3가이드부(C)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전면에 마련되는 체결홀(H1)들과 전면플레이트(210)에 마련되는 체결홀(H2)들이 서로 겹쳐지는 위치로 하우징(110)을 위치시킨다. 이때 제3가이드부(C)에 의해 하우징(110)과 전면플레이트(210) 간의 측방향 결합 위치가 이미 안내된 상태이므로, 하우징(110)과 전면플레이트(210) 간의 상하방향 위치만을 조절하면 체결홀(H1,H2)들 간의 정렬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체결홀(H1,H2)들 간의 정렬이 이루어지면,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하우징(110)과 전면플레이트(210) 간의 결합을 진행한다. 이와 같이 하우징(110)과 전면플레이트(21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면, 가이드부재(200)에 대한 전면부(125; 도 18 참조)의 상대 위치 정렬이 이루어진다. 이때 가이드부재(200)에 대한 전면부(125)의 상대 위치는 제1위치로 고정된다.
여기서 제1위치는, 하우징(110)의 개구된 전방 형상과 후술할 개방홀(41)이 일치되게 겹쳐지는 위치일 수 있다. 이러한 제1위치는, 가이드부재(200)가 제2위치에 고정되었을 때 전면부(125)의 위치가 개방부(40) 내측의 설정위치로 안내되는 위치인 것으로 정의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가이드부재(200)와 하우징(110) 간의 결합에 의해 가이드부재(200)에 대한 전면부(125)의 상대 위치가 제1위치로 고정된 상태이므로, 후속 과정을 통해 가이드부재(200)가 제2위치에만 고정된다면, 전면부(125)의 위치는 개방부(40) 내측의 설정위치로 자연스럽게 안내될 수 있다. 이하, 가이드부재(200)를 제2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후속 작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하우징(110)과 가이드부재(200)간의 결합이 완료된 상태에서, 제2가이드부(B)와 가이드돌기(43) 간의 결합을 진행한다.
이를 위해, 하우징(110)과 가이드부재(200)의 결합체를 전면패널(14)의 배면과 전면플레이트(210)의 전면이 서로 맞닿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이때 전면플레이트(210)의 전면은, 제2가이드부(B)의 위치가 가이드돌기(43)의 위치가 일직선으로 일치하는 위치에서 전면패널(14)의 배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제2가이드부(B)와 가이드돌기(43)를 서로 결합시켜준다. 제2가이드부(B)와 가이드돌기(43) 간의 결합은, 가이드돌기(43)가 관통홀(211)을 관통하여 제2가이드부(B)와 끼움 결합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돌기(43)와 제2가이드부(B) 간의 끼움 결합은, 가이드돌기(43)의 외측면이 전면플레이트(210)의 내측면(215)과 밀착되며 관통홀(211)을 통과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돌기(43)의 외측면이 전면플레이트(210)의 내측면과 밀착된 상태로 가이드돌기(43)와 전면플레이트(21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면, 개방부(40)에 대한 가이드부재(200)의 상대 위치가 정렬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부재(200)가 제2위치에 고정되도록, 개방부(40)에 대한 가이드부재(200)의 상대 위치 정렬이 이루어지고, 이와 같은 정렬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전 작업에 의해 가이드부재(200)에 대한 전면부(125)의 상대 위치가 이미 제1위치로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가이드부재(200)가 제2위치에 고정되면,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125)의 위치는 개방부(40) 내측의 설정위치로 자연스럽게 안내될 수 있다.
즉 가이드부재(200)의 지정된 위치에 하우징(110)을 결합시킨 후, 전면패널(14)의 지정된 위치에 가이드부재(200)를 결합시키기만 하면, 전면부(125)의 위치가 개방부(40) 내측의 설정위치로 자연스럽게 안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위치는, 전면부(125)가 개방홀(41) 내에 삽입되어 있을 때, 전면부(125)의 외주면이 전면부(125)를 둘러싸고 있는 전면패널(14)의 내주면과 소정의 간격을 이루는 위치인 것으로 정의된다.
이때 전면부(125)의 외주면과 전면패널(14)의 내주면 간의 간격은, 전면패널(14) 후방에 배치된 구성들이 전면부(125)와 전면패널(14) 사이의 틈을 통해 노출되는 것이 최대한 억제되는 간격을 이루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면부(125)의 외주면과 전면패널(14)의 내주면 간의 간격은, 물탱크(120)의 인출 또는 삽입시 전면부(125)와 전면패널(14) 간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고 물탱크(120)의 인출 또는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간격, 예를 들면 약 1.8mm 정도의 간격을 이루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전면부(125)의 위치가 개방부(40) 내측의 설정위치로 안내된 상태에서,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로 저면플레이트(230)를 캐비티(11)의 상부면에 결합시켜 주면, 전면부(125)의 위치가 개방부(40) 내측의 설정위치에 고정된 상태로 물공급장치(100)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 저면플레이트(230)와 캐비티(11) 상부면 간의 결합에 의해 가이드부재(200)와 캐비티(11)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하우징(110)은 하우징(110)의 전면과 전면플레이트(210) 간의 결합에 의해 가이드부재(200)와 결합된 상태이다. 즉 하우징(110)은 캐비티(11)와 가이드부재(200) 간의 결합을 매개로 캐비티(11)의 상부면에 결합된다. 그리고 하우징(110)은, 제1가이드부(A)와 가이드돌기(43) 간의 끼움 결합을 매개로 전면패널(14)과의 끼움 결합을 유지한다.
이때 전면패널(14)과 가이드부재(200) 간에는, 제1가이드부(A)와 가이드돌기(43) 간의 끼움 결합만이 이루어진다. 즉 전면패널(14)과 가이드부재(200)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결합되지 않는다.
하우징(110)이 캐비티(11)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캐비티(11)에 고정된 상태이고, 하우징(110)과 전면패널(14) 사이에는 가이드부재(200)를 매개로 한 끼움 결합이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굳이 전면패널(14)과 가이드부재(200)를 체결부재로 결합시키지 않더라도, 전면부(125)와 개방홀(41) 간의 정렬 상태를 충분히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9에는 가이드부재(200)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 및 도 19를 참조하면, 가이드부재(200)는, 지지플레이트(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플레이트(240)는, 물공급장치(100)의 저면과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되어 제3가이드부(C)의 측방향 내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지지플레이트(240)는, 각 저면플레이트(230)의 일부분이 제3가이드부(C)의 측방향 내측으로 각각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가이드부(C)의 측방향 내측에는, 제3가이드부(C)의 양측에 배치된 저면플레이트(230)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복수개의 지지플레이트(240)가 배치된다.
아울러 고정부는, 제4가이드부(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가이드부(E)는, 제1가이드부(A)와 물공급장치(100)의 상하방향 결합위치를 안내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제4가이드부(E)는, 지지플레이트(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4가이드부(E)의 지지플레이트(240)는, 하우징(110)의 저면과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되어 하우징(110)을 하부에서 지지한다. 이때 지지플레이트(240)는, 하우징(110)의 전면에 형성된 체결홀(H1)의 높이와 전면플레이트(210)에 형성되는 체결홀(H2)의 높이가 동일해지는 상태로 하우징(110)을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마련된다.
따라서 가이드부재(200)의 내부에 하우징(110)을 삽입시키기만 하면, 제3가이드부에 의해 제1가이드부(A)와 물공급장치(100)의 좌우방향 결합위치가 안내되고, 제4가이드부(E)에 의해 제1가이드부(A)와 물공급장치(100)의 상하방향 결합위치가 안내된다.
이로써 가이드부재(200)에 대한 전면부(125)의 상대 위치 정렬이 더욱 쉽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가이드부재(200)의 지정된 위치에 하우징(110)을 결합시킨 후, 전면패널(14)의 지정된 위치에 가이드부재(200)를 결합시키는 단순한 작업만으로, 전면부(125)와 개방홀(41) 간의 정렬이 쉽고 정확성 높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전면부(125)가 정확성 높게 정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탱크(120)의 인출 및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향상된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패널(14)을 체결 부위 없이 매끄럽게 유지할 수 있어 향상된 외관 품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1 : 캐비티
14 : 전면패널
15 : 조리실
16 : 도어
17 : 핸들
18 : 컨벡션부
20 : 전장공간부
30 : 스팀공급장치
31 : 스팀공급부
32 : 물저장조
33 : 스팀히터
36 : 연결관
40 : 개방부
41 : 개방홀
43 : 가이드돌기
100 : 물공급장치
110 : 하우징
113 : 장착부
120 : 물탱크
121 : 투입구
125 : 전면부
130 : 커넥터
200 : 가이드부재
210 : 전면플레이트
211 : 관통홀
215 : 내측면
220 : 측면플레이트
230 : 저면플레이트
240 : 지지플레이트
A : 제1가이드부
B : 제2가이드부
C : 제3가이드부
D : 결합부
E : 제4가이드부
H1,H2 : 체결홀
w : 수위표시창

Claims (15)

  1. 캐비티;
    상기 캐비티의 상부에 형성되는 전장공간부;
    상기 캐비티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전장공간부의 전방을 차폐하는 전면패널;
    상기 전장공간부에 배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인출 가능하게 수용되는 물탱크, 및 상기 물탱크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전면패널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전면부를 포함하는 물공급장치; 및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물공급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물공급장치의 설치 위치를 규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결합되는 제1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하우징과 결합된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한 상기 전면부의 상대 위치를 정렬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패널의 전방과 상기 전장공간부 사이를 전후방향으로 개방하는 통로를 상기 전면패널에 형성하는 개방홀이 마련되는 개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는, 상기 개방홀을 통해 상기 전면패널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조리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전면부의 측방향의 상대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조리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전면패널과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되는 전면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한 상기 전면부의 상대 위치가 정렬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결합되는 조리기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는, 상기 전면패널과 상기 개방홀 간의 경계에서 상기 전장공간부를 향해 상기 전후방향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이드돌기와 결합되어 상기 개방부에 대한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대 위치를 정렬하는 제2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전면패널과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되는 전면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가이드부는, 상기 전면플레이트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을 둘러싸는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개방부에 대한 상기 가이드부재의 상대 위치가 정렬되도록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며 상기 제2가이드부와 끼움 결합되는 조리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개방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기 개방홀의 후방을 에워싸며 상기 전면패널의 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돌기의 외측면이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내측면과 밀착되며 상기 관통홀을 통과하여 상기 가이드돌기와 상기 제2가이드부 간의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는 조리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전면패널에서 상기 개방홀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버(Burr)가 상기 전면패널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조리기기.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가이드부재를 상기 캐비티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전면플레이트의 측방향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물공급장치의 측면과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플레이트; 및
    각각의 상기 측면플레이트와 상기 캐비티 간의 결합면을 제공하는 저면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물공급장치 간의 측방향 결합 위치를 안내하는 제3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3가이드부는, 상기 물공급장치의 측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상기 측면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캐비티에 결합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캐비티의 상부면과 결합되는 상기 저면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1가이드부와 상기 물공급장치 간의 상하방향 결합 위치를 안내하는 제4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물공급장치의 저면과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3가이드부의 측방향 내측에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4가이드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플레이트는, 상기 제3가이드부의 측방향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플레이트는, 상기 저면플레이트의 일부분이 상기 제3가이드부의 측방향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조리기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드부는, 상기 전면패널과 나란한 평면으로 형성되는 전면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는,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전면부의 상하방향 및 측방향의 상대 위치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이 상기 전면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물공급장치와 상기 제1가이드부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조리기기.
KR1020180087444A 2018-07-26 2018-07-26 조리기기 KR102564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444A KR102564246B1 (ko) 2018-07-26 2018-07-26 조리기기
US16/519,076 US11497339B2 (en) 2018-07-26 2019-07-23 Cooking appliance
EP19188545.8A EP3599429B1 (en) 2018-07-26 2019-07-26 Cooking appliance
KR1020230039516A KR102642751B1 (ko) 2018-07-26 2023-03-27 조리기기
KR1020240027704A KR20240032775A (ko) 2018-07-26 2024-02-27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444A KR102564246B1 (ko) 2018-07-26 2018-07-26 조리기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9516A Division KR102642751B1 (ko) 2018-07-26 2023-03-27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310A KR20200012310A (ko) 2020-02-05
KR102564246B1 true KR102564246B1 (ko) 2023-08-07

Family

ID=6743904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444A KR102564246B1 (ko) 2018-07-26 2018-07-26 조리기기
KR1020230039516A KR102642751B1 (ko) 2018-07-26 2023-03-27 조리기기
KR1020240027704A KR20240032775A (ko) 2018-07-26 2024-02-27 조리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9516A KR102642751B1 (ko) 2018-07-26 2023-03-27 조리기기
KR1020240027704A KR20240032775A (ko) 2018-07-26 2024-02-27 조리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97339B2 (ko)
EP (1) EP3599429B1 (ko)
KR (3) KR1025642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065727C (en) 2017-08-09 2021-03-02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CN212788226U (zh) 2019-02-25 2021-03-26 沙克忍者运营有限责任公司 烹饪系统
US11051654B2 (en) 2019-02-25 2021-07-06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US20210121012A1 (en) 2020-03-30 2021-04-29 Sharkninja Operating Llc Cooking device and components thereof
DE102020207164A1 (de) * 2020-06-08 2021-12-09 BSH Hausgeräte GmbH Dampfgargerät mit spezifischen Aufnahmebehälter für einen Wassertank
CN113384132A (zh) * 2021-06-30 2021-09-14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底板组件及烹饪器具
WO2023220989A1 (zh) * 2022-05-18 2023-11-23 深圳市虎一科技有限公司 外接容器对接结构、烹饪主机、烹饪设备及外接液体容器
KR20240018269A (ko) * 2022-08-02 2024-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20240018270A (ko) * 2022-08-02 2024-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76458B1 (de) 1987-01-28 1991-09-18 Electrolux-Juno Küchentechnik GmbH Vorrichtung zum Zugeben von Wasser zur Dampferzeugung in ein Gargerät
CN206910212U (zh) * 2017-02-28 2018-01-23 江门市西屋厨房小家电有限公司 一种蒸汽烤箱的水箱固定结构
KR101859320B1 (ko) 2017-02-07 2018-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211560A (en) 1967-12-23 1970-11-11 Wilkins & Mitchell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washing machines
DE4427460C2 (de) 1994-08-03 1997-07-10 Bosch Siemens Hausgeraete Backofen zum Dampfgaren
FR2958719B1 (fr) 2010-04-09 2012-05-04 Fagorbrandt Sas Four de cuisson comportant un tiroir de remplissage d'eau pourvu d'une ouverture de vidange d'eau d'un circuit hydraulique et procede associe.
FR2958726B1 (fr) 2010-04-09 2013-01-04 Fagorbrandt Sas Four de cuisson comprenant un dispositif de recentrage d'un tiroir de remplissage d'eau cooperant avec un element de support fixe.
EP2650614B1 (en) 2010-05-28 2018-07-11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User interface and appliance of household or industrial type, especially domestic appliance
KR101827831B1 (ko) 2011-04-28 2018-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팀조리기기
EP2522915B1 (en) 2011-05-13 2015-02-18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ppliance, especially domestic appliance
EP2550902B1 (en) 2011-07-27 2014-07-02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Water drawer and appliance comprising water tank
KR102521502B1 (ko) * 2016-09-09 2023-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76458B1 (de) 1987-01-28 1991-09-18 Electrolux-Juno Küchentechnik GmbH Vorrichtung zum Zugeben von Wasser zur Dampferzeugung in ein Gargerät
KR101859320B1 (ko) 2017-02-07 2018-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
CN206910212U (zh) * 2017-02-28 2018-01-23 江门市西屋厨房小家电有限公司 一种蒸汽烤箱的水箱固定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497339B2 (en) 2022-11-15
US20200029721A1 (en) 2020-01-30
EP3599429A1 (en) 2020-01-29
KR20200012310A (ko) 2020-02-05
EP3599429B1 (en) 2022-02-09
KR102642751B1 (ko) 2024-02-29
KR20230048483A (ko) 2023-04-11
KR20240032775A (ko) 2024-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4246B1 (ko) 조리기기
KR101860714B1 (ko) 스팀조리기기
KR20080024025A (ko) 조리기기
KR101899249B1 (ko) 그리들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US10663173B2 (en) Electric cooking appliance
EP3415821A1 (en) Griddle and cooking appliance having a griddle
KR20110078910A (ko) 조리기기
KR20180091776A (ko)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
US11125447B2 (en) Cooking apparatus
US11561012B2 (en) Pump assembly and cooking appliance with pump assembly
KR20110055076A (ko) 조리기기
KR102514304B1 (ko) 조리기기
KR20100013997A (ko) 오븐레인지
KR101192351B1 (ko) 조리기기
JP7076406B2 (ja) 加熱調理器
KR100697417B1 (ko) 오븐캐비티 온도센서 장착구조
KR100676530B1 (ko) 전기오븐의 오븐부 구조
KR20240041482A (ko) 조리기기
KR100688664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백가드부 장착구조
KR200349307Y1 (ko) 가스파이프 체결구조
KR20090059294A (ko) 오븐
KR20080043297A (ko) 조리기기
KR20060082256A (ko) 전기오븐의 하부히터 고정구조
KR20110058149A (ko) 조리기기
KR20140109608A (ko) 조리 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