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9307Y1 - 가스파이프 체결구조 - Google Patents

가스파이프 체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9307Y1
KR200349307Y1 KR20-2004-0003863U KR20040003863U KR200349307Y1 KR 200349307 Y1 KR200349307 Y1 KR 200349307Y1 KR 20040003863 U KR20040003863 U KR 20040003863U KR 200349307 Y1 KR200349307 Y1 KR 2003493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pipe
fastening
supply pipe
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38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학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038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93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93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93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08Ra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류(screw) 체결공정 없이 파이프를 체결함으로써 공정이 감소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가스파이프 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가스파이프 체결구조는, 외부로부터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공급관(400)과, 상기 가스공급관(400)으로부터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유입관(410)과, 상기 가스공급관(400)과 가스유입관(410)이 체결되도록 슬리팅부(450)가 성형되는 체결브라켓(42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리팅부(450)는 상기 체결브라켓(420)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선단부가 상기 가스공급관(400)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가스파이프 체결구조는, 스크류(screw)를 체결하는 후공정이 감소됨로써 생산성이 증가되고, 품질이 향상되며 생산 원가가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가스파이프 체결구조 { A joint structure of gas pipe }
본 고안은 체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류(screw) 체결공정 없이 파이프를 체결함으로써 공정이 감소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가스파이프체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오븐레인지는 통상적인 음식물의 요리를 담당하는 가스레인지부(버너부 혹은 탑버너부라 칭하기도 함)와, 생선 혹은 육류등의 구이요리를 담당하는 구이부(그릴부라 칭하기도 함)과, 밀폐된 공간내에서 고온의 열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의 요리를 담당하는 오븐레인지부(오븐부라 칭하기도 함)로 구성된다.
즉, 가스오븐레인지는 가스를 열원으로 하여 간접열(대류열과 복사열) 및 직접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굽거나 익히는 조리기구이다.
가스오븐레인지의 상측에 설치되는 탑버너부는, 일반적인 가정요리의 조리를 담당하는 부분이며, 버너에서 용기로 직접 전달되는 복사열과 용기에서 전달되는 전도열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부분이다. 상기 탑버너부는 조리상태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탑버너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오븐부는, 통구이나 대용량의 조리를 담당하는 부분으로 밀폐된 공간의 데워진 공기가 직접 전달되는 대류열과, 가열된 철판에서 전달되는 전도열과, 버너에서 직접 전달되는 복사열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부분이다. 상기 오븐부는 대용량 요리가 가능하고 음식물 고유의 맛과 향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탑버너부와 오븐부의 사이에 구비되는 그릴부는, 생선 혹은 육류 등의 구이요리의 조리를 담당하는 부분으로, 내측 상면 또는 내측 하면에 형성되는 버너에서 조리물로 직접 전달되는 복사열과, 가열된 철판에서 전달되는 전도열로써 음식을 조리하는 부분이다. 상기 그릴부는 조리 시간이 짧고 간편한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것을 기초로 하여 가스파이프 체결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1 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가스오븐레인지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 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가스공급관이 체결된 형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 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가스공급관이 체결되지 않은 가스유입관의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가스오븐레인지의 상부에는 탑버너부(10)가 설치된다. 상기 탑버너부(10)의 상면에는 상기 탑버너부(10)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는 상판(12)이 구비된다. 상기 상판(12)의 상측에는 상판(12)을 차폐하는 상판유리(13)가 구비된다. 상기 상판유리(13)의 상측에는 음식물이 담기는 조리용기가 지지되는 삼발이(14)가 구비된다. 상기 탑버너부(10)의 내부에는 가스를 연소시켜 화염을 발생시키는 다수개의 버너(15)가 형성된다.
상기 탑버너부(10)의 전면에는 가스오븐레인지의 작동을 위한 조작부(16)가 형성된다. 상기 조작부(16)에는 가스오븐레인지의 작동을 위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다이얼노브(17)가 돌출되게 형성되며, 가스오븐레인지의 동작을 나타내주는 디스플레이부(18)가 구비되기도 한다.
상기 탑버너부(10)의 하측에는 그릴부(20)가 설치된다. 상기 그릴부(20)의 전면에는 그릴부(2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그릴도어(22)가 구비되며, 상기 그릴도어(22)는 소정의 힌지로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그릴도어(22)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그릴부(20) 내부의 요리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그릴투시창(24)이 형성되며, 상기 그릴투시창(24)의 전면 상부에는 상기 그릴도어(22)를 개폐할 때, 파지할 수 있도록 그릴도어핸들(26)이 돌출되게 성형된다.
상기 그릴부(20)의 하측에는 오븐부(30)가 설치된다. 상기 오븐부(30)의 전면에는 오븐부(3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오븐도어(32)가 구비되며, 상기 오븐도어(32)는 소정의 힌지로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오븐도어(32)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오븐부(30) 내부의 요리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오븐투시창(34)이 형성되며, 상기 오븐투시창(34)의 전면 상부에는 상기 오븐도어(32)를 개폐할 때, 파지할 수 있도록 오븐도어핸들(36)이 돌출되게 성형된다.
또한, 상기 탑버너부(10)의 배면에는 상기 오븐부(30) 및 그릴부(20)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토출하고, 상기 탑버너부(10)에서 발생되는 음식물이 비산하여 가스오븐레인지의 후방 벽면 오염과, 배면으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백가드부(11)가 설치된다.
도 2 와 도 3 을 참조하여 가스파이프의 체결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외부로부터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공급관(40)이 구비된다. 상기 가스공급관(40)의 단부에는 공급관브라켓(41)이 구비된다. 상기 공급관브라켓(41)은 대략 중앙부가 천공형성되어 상기 가스공급관(40)이 관통되도록 성형된다. 또한, 상기 가스공급관(40)이 관통되는 대략 중앙부의 좌·우측에는 공급관나사공(44a)이 천공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스공급관(40)이 구비되는 측면의 타측에는 공급관브라켓(41)과 체결되도록 유입관브라켓(42)이 형성된다. 상기 공급관브라켓(41)과 유입관브라켓(42)은 체결나사(44)로 체결된다. 상기 유입관브라켓(42)의 일측에는 상기 공급관브라켓(41)에 성형되는 상기 공급관나사공(44a)과 대응되도록 유입관나사공(44b)이 성형된다. 상기 유입관브라켓(42)의 대략 중앙부에는 유입관홀(45)이 형성된다. 상기 유입관홀(45)의 내주면에는 유입되는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는 패킹(46)이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가스관 체결구조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가스오븐레인지를 사용하여 요리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16)에 형성되는 상기 다이얼노브(17)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다이얼노브(17)를 회전시키게 되면 가스오븐레인지에 전원이 인가된다. 상기 탑버너부(10)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탑버너부(10)를 조작하는 상기 다이얼노브(17)를 선택하여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다이얼노브(17)를 회전시키게 되면 외부의 가스가 상기 가스공급관(40)을 통해 가스오븐레인지의 내부로 인입된다. 상기 가스공급관(40)으로 인입되는 가스는 상기 가스유입관(43)으로 유동된다. 상기 가스유입관(43)으로 유동되는 가스는 상기 탑버너부(10)에 구비되는 다수개의 버너(15)로 유동된다.
상기 버너(15)로 유동되는 가스는 공기와 혼합되어 버너(15)에서 연소되면서 화염을 발생시킨다. 상기 버너(15)에서 발생되는 화염의 연소열을 이용하여 상기 버너(15)의 상측에 놓여지는 음식물이 담기는 조리용기를 가열하게 된다. 음식물이 담기는 조리용기가 가열되면 음식물의 요리가 진행된다.
상기 가스공급관(40)을 통해 인입되는 외부의 가스가 상기 가스유입관(43)으로 유동될 때, 상기 공급관브라켓(41)을 거쳐 상기 유입관브라켓(42)을 통과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입관브라켓(42)의 유입관홀(45)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상기 패킹(46)에 의해 가스의 누설이 방지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가스공급관(40)과 상기 가스유입관(43)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공급관브라켓(41)과 상기 유입관브라켓(42)이 구비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41, 42)은 상기 체결나사(44)로 체결되어야 되므로 상기 체결나사공(44a, 44b)을 천공하는 후공정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체결나사공(44a, 44b)을 천공하는 후공정으로 인한 생산성이 저하되고, 제품의 생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후공정시 숙련공이 작업을 진행하여도 상기 체결나사(44)의 마모등 공정불량이 발생되어 제품 자체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체결나사공(44a, 44b)을 천공하는 후공정으로 인해 설비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스크류(screw) 체결공정 없이 파이프를 체결함으로써 공정이 감소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가스파이프의 체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반적인 가스오븐레인지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가스공급관이 체결된 형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3 은 종래 기술에 의한 가스공급관이 체결되지 않은 가스유입관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가스오븐레인지의 개략적인 측단면도.
도 5 는 본 고안에 의한 가스공급관과 가스유입관이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6 은 본 고안에 의한 가스공급관과 가스유입관이 체결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7 은 본 고안에 의한 상기 가스공급관과 가스유입관이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오븐부 110 : 오븐캐비티
120 : 오븐버너 130 : 오븐도어
140 : 오븐도어핸들 150 : 송풍팬
160 : 오븐모터 170 : 오븐덕트
200 : 그릴부 210 : 그릴캐비티
220 : 그릴버너 230 : 그릴트레이
240 : 상부히터 250 : 그릴도어
260 : 그리도어핸들 270 : 그릴덕트
300 : 탑버너부 310 : 삼발이
320 : 조리용기 330 : 컨트롤패널부
340 : 컨트롤노브 350 : 버너
400 : 가스공급관 410 : 가스유입관
420 : 체결브라켓 430 : 패킹
440 : 걸림턱 450 : 슬리팅부
460 : 나사면 500 : 백가드부
T : 써머커플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가스파이프 체결 구조는, 외부로부터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공급관과, 상기 가스공급관으로부터 버너로 가스를 안내하는 가스유입관과, 상기 가스공급관과 가스유입관이 체결되도록 슬리팅부가 성형되는 체결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리팅부는 상기 체결브라켓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선단부가 상기 가스공급관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스유입관은 상기 체결브라켓과 체결되는 외주면이 나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스공급관의 외주면에는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는 패킹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스공급관의 외주면에는 상기 패킹의 후방 이동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가스파이프 체결구조는, 스크류(screw)를 체결하는 후공정이 감소됨로써 생산성이 증가되고, 품질이 향상되며, 생산원가가 감소되는 이점이 있다.
가스오븐레인지는 버너에서 가스가 연소되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조리될 음식물을 요리하는 탑버너부와, 캐비티의 내부에 조리될 음식물을 넣어 복사열과 대류열 그리고, 전도열을 이용하여 요리하는 오븐부가 결합되어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또한, 생선이나 육류등의 구이음식을 조리하는 그릴부가 결합되기도 한다.
그리고, 가스오븐레인지는 상기 그릴부의 위치에 따라 상단그릴타입과 하단그릴타입으로 나누어지고, 이외에도 주방용가구에 매립형으로 설치되는 빌트인 타입(built-in type)과 스탠드 타입(stand type)으로 나누어지기도 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4 에는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일실시예가 채용된 가스오븐레인지의 개략적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 에는 본 고안에 의한 가스공급관과 가스유입관이 체결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 에는 본 고안에 의한 가스공급관과 가스유입관이 체결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 에는 본 고안에 의한 상기 가스공급관과 가스유입관이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가스오븐레인지의 하부에는 밀페된 공간의 대류열과 복사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오븐부(100)가 설치된다. 상기 오븐부(100)의 내부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인 오븐캐비티(110)가 형성된다. 상기 오븐캐비티(110)의 하부에는 오븐캐비티(110)를 가열하는 오븐버너(120)가 구비된다.
상기 오븐캐비티(110)의 전면에는 오븐캐비티(11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오븐도어(130)가 형성되며, 상기 오븐도어(130)는 소정의 힌지로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오븐도어(13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오븐캐비티(110) 내부의 요리가 진행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오븐투시창(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기도 한다. 상기 오븐도어(130)의 전면 상부에는 사용자가 오븐도어(130)를 개폐할 때 파지할 수 있도록 오븐도어핸들(140)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오븐캐비티(110)의 후측에는 상기 오븐버너(120)에 의해 가열되는 오븐캐비티(110) 내부의 공기를 대류시켜 열순환되도록 하는 송풍팬(150)이 구비되며, 상기 송풍팬(150)의 후측에는 송풍팬(150)을 회전시키는 오븐모터(16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오븐캐비티(110)의 배면 상부에는 오븐캐비티(110)의 내부에서 음식물이 요리될 때 발생되는 고온의 배기가스와 연소열이 외부로 배기되는 오븐덕트(170)가 형성된다.
상기 오븐부(100)의 상측에는 생선 또는 육류의 구이요리를 담당하는 그릴부(200)가 설치된다. 상기 그릴부(200)의 내부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인 그릴캐비티(210)가 형성된다. 상기 그릴캐비티(210)의 하부에는 그릴캐비티(210) 내부의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기는 조리용기를 가열하는 그릴버너(220)가 구비된다.
상기 그릴버너(220)의 상측에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기는 조리용기가 지지되는 그릴트레이(230)가 구비된다. 상기 그릴트레이(230)의 상방에는 음식물의 상면을 가열하는 상부히터(24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그릴버너(220)에 의해 음식물의 하면이 가열되고, 상기 상부히터(240)에 의해 음식물의 상면이 가열되어 뒤집지 않아도 양면구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그릴캐비티(210)의 전면에는 그릴캐비티(21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그릴도어(250)가 구비되며, 상기 그릴도어(250)는 소정의 힌지로 체결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그릴도어(25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상기 그릴캐비티(210)의 내부에서 진행되는 요리 과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그릴투시창(도시되지 않음)이 구비되기도 한다.
상기 그릴도어(250)의 전면 상부에는 사용자가 그릴도어(250)를 개폐할 수 있도록 그릴도어핸들(260)이 돌출되게 성형된다. 상기 그릴캐비티(210)의 배면 상부에는 그릴캐비티(210)의 내부에서 요리가 진행될 때 발생되는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그릴덕트(270)가 구비된다.
상기 그릴부(200)의 상측에는 가스를 연소시켜 화염을 발생시키고, 발생되는 화염의 연소열로 음식물을 요리하는 탑버너부(300)가 설치된다. 상기 탑버너부(300)에는 화염을 발생시키는 버너(350)가 다수개 구비된다. 상기 버너(350)의 상측에는 음식물이 담기는 조리용기(320)가 지지되는 삼발이(310)가 버너(350)의 수량과 대응되게 구비된다.
상기 탑버너부(30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가스오븐레인지를 조작하기 위한 컨트롤패널부(330)가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패널부(33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가스오븐레인지의 조작을 위해 파지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컨트롤노브(340)가 돌출되게 성형된다.
상기 탑버너부(300)의 배면에는 상기 오븐덕트(170)와 그릴덕트(270)를 통해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상방으로 안내하여 외부로 토출하는 백가드부(500)가 형성된다. 상기 백가드부(500)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토출하는 것 외에도 상기탑버너부(300)에서 요리되면서 비산되는 음식물이 가스오븐레인지의 후방 벽면을 오염시키거나, 과열로 인해 넘치는 국물이 가스오븐레인지의 후면으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도 한다.
가스파이프 체결구조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외부의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공급관(400)이 형성되며, 상기 가스공급관(400)으로부터 인입되는 가스를 상기 버너(350)로 유입하는 가스유입관(410)이 형성된다. 상기 가스공급관(400)의 일측에는 가스공급관(400)을 상기 가스유입관(410)과 체결하는 체결브라켓(420)이 구비된다.
상기 체결브라켓(420)의 대략 중앙부는 상기 가스공급관(400)이 관통되도록 천공되어 형성된다. 상기 체결브라켓(420)은 측면에서 봤을 때, 대략 "ㄷ" 형상으로 성형된다. 상기 체결브라켓(420) 상면과 하면의 대략 중앙부에는 체결브라켓(420)의 내부로 슬리팅되는 슬리팅부(450)가 형성된다. 상기 슬리팅부(450)는 직각보다 작은 각도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슬리팅부의 하단부가 상기 가스공급관(400)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성형된다.
상기 가스공급관(400)의 일측에는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는 패킹(430)이 구비된다. 상기 패킹(430)의 내주면은 상기 가스공급관(400)이 관통되도록 천공 형성된다. 상기 가스공급관(400)의 일측 외주면에는 상기 패킹(430) 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440)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440)은 상기 체결브라켓(420)이 상기 가스유입관(410)과 체결될 때, 상기 체결브라켓(420)의 체결에 의해 상기 가스공급관(400)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게 된다. 상기 걸림턱(440)의 후측에 상기 체결브라켓(420)이 상기 가스공급관(400)에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스유입관(410)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슬리팅부(450)와 나사 체결되도록 나사면(460)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면(460)에 상기 슬리팅부(450)가 나사 체결되면서 상기 가스공급관(400)과 상기 가스유입관(410)이 체결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브라켓(420)은 소정의 강도와 탄성을 가지는 스테인레스(stainless steel)재질로 성형되어 가스유입관(410)의 상기 나사면(460)에 상기 슬리팅부(450)가 체결될 뿐만아니라, 체결되었을 때 체결력을 가지게 된다.
도면의 미설명 부호 "T" 는 상기 버너(350)에서 발생되는 화염의 온도를 측정하여 가스의 공급을 단속하는 안전장치인 써머커플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가스파이프의 체결 구조에 대한 작용을 살펴본다.
가스오븐레인지의 조작을 위해 상기 컨트롤패널부(330)에 형성되는 상기 컨트롤노브(340)를 회전시키면 외부의 가스가 가스오븐레인지의 내부로 인입된다. 가스오븐레인지의 내부로 인입되는 가스는 상기 가스공급관(400)을 통해 상기 가스유입관(410)으로 유동된다.
상기 가스유입관(410)으로 유동되는 가스는 상기 버너(350)로 유동되어 버너(350)에 의해 점화되면서 화염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버너(350)에 의해 발생되는 화염의 연소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스공급관(400)과 가스유입관(410)은 서로 체결되어 있어 가스를 유동시키게 된다. 상기 가스공급관(400)과 가스유입관(410)을 체결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가스공급관(4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상기 체결브라켓(420)은 소정의 강도와 탄성을 동시에 내재하고 있는 스테인레스(stainless steel) 재질로 성형된다.
상기 가스공급관(400)을 상기 가스유입관(410)의 내주면에 삽입시키고, 상기 체결브라켓(420)을 상기 가스유입관(410)의 외주면 일측에 성형되는 상기 나사면(460)을 따라 압착한다. 이때 상기 체결브라켓(420)에 성형되는 상기 슬리팅부(450)가 상기 나사면(460)을 따라 진입하게 된다.
상기 슬리팅부(450)가 수직보다 작은 각도로 체결방향과 상반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으로 상기 나사면(460)을 따라 진입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체결브라켓(420)은 소정의 탄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체결브라켓(420)을 압착하는 힘에 의해 상기 나사면(460)을 따라 진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브라켓(420)이 체결되면 상기 슬리팅부(450)가 지니는 소정의 강도에 의해 체결력이 발생하여 상기 가스공급관(400)이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체결브라켓(420)을 압착하는 힘만으로 체결력이 부족할 경우 상기 체결브라켓(420)을 상기 나사면(460)을 따라 회전시키게 되면 나사 체결되어 보다 더 큰 체결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고안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브라켓이 "ㄷ" 형상이 아닌 전면이 개구된 사각박스 형상으로 성형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체결브라켓이 스테인레스(stainless steel)재질로 성형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스테인레스(stainless steel)재질이 아닌 소정의 강도와 탄성을 동시에 내재하는 금속 또는 화합물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일실시예에서는 가스공급관이 가스유입관의 내부로 체결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반대로 가스유입관이 가스공급관의 내부로 체결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일실시예에서는 가스오븐레인지의 상기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파이프를 예로 들었으나, 가스오븐레인지 뿐만아니라 가스를 원료로 하는 모든 가스기기에 사용되는 가스파이프에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가스파이프의 체결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종래의 가스파이프 체결구조는 고정브라켓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브라켓에 스크류(screw)가 체결됨으로써 두 개의 가스파이프가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가스파이프 체결구조는 상기 체결브라켓만으로 상기 가스공급관과 가스유입관이 체결됨으로써 스크류(screw)를 체결하기 위한 공정이 불필요하게 되어, 스크류(screw) 체결을 위한 공정이 감소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스크류 체결 공정의 감소로 인해 제품의 생산 원가가 감소되는 효과도 있다.또한, 공정의 감소로 인한 설비비가 감소되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스크류 체결 공정에서 발생되는 공정 불량이 감소되어 부품의 불량율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부품의 불량율이 감소되어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스크류를 체결하기 위한 공정이 감소됨으로써 스크류 체결 공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감소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외부로부터 가스가 공급되는 가스공급관과,
    상기 가스공급관으로부터 가스가 유입되는 가스유입관과,
    상기 가스공급관과 가스유입관이 체결되도록 슬리팅부가 성형되는 체결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파이프 체결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팅부는 상기 체결브라켓의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고, 선단부가 상기 가스공급관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파이프 체결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유입관은 상기 브라켓과 체결되는 외주면이 나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파이프 체결구조.
  4. 제 1 항 또는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공급관의 외주면에는 가스의 누설을 방지하는 패킹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파이프 체결구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공급관의 외주면에는 상기 패킹의 후방 이동을 방지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파이프 체결구조.
KR20-2004-0003863U 2004-02-16 2004-02-16 가스파이프 체결구조 KR2003493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863U KR200349307Y1 (ko) 2004-02-16 2004-02-16 가스파이프 체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3863U KR200349307Y1 (ko) 2004-02-16 2004-02-16 가스파이프 체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9307Y1 true KR200349307Y1 (ko) 2004-05-04

Family

ID=49345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3863U KR200349307Y1 (ko) 2004-02-16 2004-02-16 가스파이프 체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930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34138C (en) Gas oven range
US6615819B1 (en) Convection oven
KR101626491B1 (ko) 조리기기
MX2014002046A (es) Sistema de montaje para quemador de superficie de coccion.
CA2426073C (en) Oven door assembly
US11125447B2 (en) Cooking apparatus
KR200349307Y1 (ko) 가스파이프 체결구조
KR100688663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버너스프링
KR200349536Y1 (ko) 빌트인 타입 가스오븐레인지의 배기구조
KR200349519Y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써머커플 고정구조
KR100731370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버너스프링 구조
KR100646880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102067272B1 (ko) 조리기기
KR100686771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오븐부 구조
KR200348826Y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버너 구조
WO2020244529A1 (zh) 具有组合的辐射炙烤与对流炙烤的烤箱设备
KR100676530B1 (ko) 전기오븐의 오븐부 구조
KR200380334Y1 (ko) 전기오븐의 안티팁브라켓 장착구조
KR100938384B1 (ko) 오븐용 랙
KR20060082249A (ko) 전기오븐의 오븐부 구조
KR101316480B1 (ko) 조리기기
KR100777264B1 (ko) 가스오븐레인지의 배기부 구조
KR200380333Y1 (ko) 전기오븐의 탑버너부 유동방지구조
KR20140107840A (ko) 조리 기기의 도어 및 그 제조 방법
JP2022025628A (ja) グリ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