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7272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7272B1
KR102067272B1 KR1020180084906A KR20180084906A KR102067272B1 KR 102067272 B1 KR102067272 B1 KR 102067272B1 KR 1020180084906 A KR1020180084906 A KR 1020180084906A KR 20180084906 A KR20180084906 A KR 20180084906A KR 102067272 B1 KR102067272 B1 KR 102067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heating plate
inlet hole
disposed
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4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국행
강기중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4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2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27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24C3/12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in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baking ov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게 마련되는 하우징과; 하우징의 상부에 안착되는 가열플레이트와;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되며, 가열플레이트의 하부에서 하우징 내부와 외부 사이를 연통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1유입홀과;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되며, 제1유입홀의 전방에서 하우징 내부와 외부 사이를 연통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2유입홀; 및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며, 하우징 외부의 공기를 제2유입홀을 통해 하우징 내부로 유입시키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송풍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이용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Cooktop), 호브(Hob), 그리들(Griddle) 등이 있다.
이 중 그리들은, 상부가 개구된 가열플레이트 하부에 가스 버너나 열선과 같은 가열수단을 설치한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그리들은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되는 철판 형태의 가열플레이트에 고기, 채소 등의 구이 요리를 하는 용도로 사용되며, 주로 대형 음식점이나 급식소 등에서 사용 사용되나, 최근에는 가정용으로의 사용도 점차 증가되고 있다.
상기 그리들은 가열수단의 종류에 따라 전기 그리들과 가스 그리들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가스 그리들은 가열플레이트 하부에 가스 버너가 설치된 형태로 제공되며, 이러한 가스 그리들에서는 가스 버너에서의 가스 연소를 통해 발생된 화염이 가열플레이트를 가열하는 형태로 가열플레이트의 온도 상승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가스 그리들의 후방에는 가스 그리들 내부에서 생성된 연소 가스를 가스 그리들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벤트가 형성되며, 가스 버너의 연소 과정에서 생성된 연소 가스는 가열플레이트의 하부면을 따라 가스 그리들의 후방으로 이동하여 배기벤트를 통해 가스 그리들의 외부로 배출된다.
통상적으로, 그리들의 가열플레이트는 열 열전도성이 우수한 주형 알루미늄이나 주형 철과 같이 두껍고 무거운 금속으로 만들어진다. 이처럼 두껍고 무거운 금속으로 제조되는 가열플레이트는 원하는 온도에서의 가열 및 온도 유지에는 유리하지만, 이러한 가열플레이트의 예열 및 냉각에는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그리들을 이용한 조리가 이루어질 때, 가열플레이트의 온도는 약 200~450℉ 정도의 고온으로 상승되며, 이와 같이 고온으로 가열된 가열플레이트가 140℉ 정도로 냉각될 때까지는 약 60분 정도가 소요될 정도로 한 번 가열된 가열플레이트의 냉각에는 오랜 시간이 소요된다.
이처럼 가열플레이트의 냉각이 더딘 속도로 이루어짐으로 인해, 가열플레이트는 조리가 끝난 후에도 상당 시간 동안 높은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그런데 가열플레이트의 상태만을 봐서는 가열플레이트가 여전히 뜨거운지를 사용자가 가늠하기는 사실상 쉽지 않고, 이로 인해 뜨거운 가열플레이트에 사용자가 부상을 당할 위험성이 있게 된다.
또한 가열플레이트의 냉각이 더딘 속도로 이루어짐으로 인해, 고온 조리 후 저온 요리를 하고자 할 경우, 가열플레이트의 온도가 낮아질 때까지 오랜 시간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가열플레이트의 냉각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 안전성 및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열플레이트의 온도를 신속하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그리들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게 마련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안착되는 가열플레이트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가열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 내부와 외부 사이를 연통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1유입홀과; 상기 가열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유입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연소시키며 상기 가열플레이트를 가열하는 버너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버너의 연소에 의해 생성된 연소 가스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상기 가열플레이트의 후방에 형성하는 배기벤트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유입홀의 전방에서 상기 하우징 내부와 외부 사이를 연통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2유입홀; 및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 외부의 공기를 상기 제2유입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시키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송풍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조리기기는, 조리기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기를 강제 송풍 방식으로 가열플레이트 측으로 유입시키고, 이를 통해 가열플레이트의 냉각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연통하는 통로를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형성하는 제3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제3유입홀과 상기 제2유입홀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내부에 형성하는 덕트가 구비되고, 상기 송풍부는, 상기 제3유입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외부의 공기를 상기 덕트 측으로 유동시키는 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2유입홀은, 상기 가열플레이트의 전방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벤트는, 상기 제2유입홀의 상부 및 상기 가열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제2유입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유입홀의 상부 및 상기 배기벤트의 전방에 배치된 상기 가열플레이트의 저면을 따라 상기 베기벤트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냉기가 버너의 전방을 통과하여 가열플레이트의 전방을 향해 곧바로 상승하고, 이와 같이 가열플레이트 측으로 공급된 냉기가 가열플레이트의 전방 영역으로부터 후방 영역까지, 즉 가열플레이트의 대부분의 영역과 접촉될 수 있게 되며, 이로써 가열플레이트의 냉각이 좀 더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마련되는 컨트롤패널, 및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고 전방에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마련되는 오븐부를 더 포함하고, 하부에 배치된 오븐부와 상부에 배치된 케이스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부는, 상기 공간부에 배치되고, 하부에 배치된 도어와 상부에 배치된 컨트롤패널 사이에는, 상기 조리기기의 외부와 상기 공간부 사이를 연통하는 냉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부는, 상기 냉기통로를 통해 상기 공간부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로 토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조리기기의 외부에서 저온의 냉기를 가열플레이트의 냉각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가열플레이트의 냉각이 좀 더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조리기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기를 강제 송풍 방식으로 가열플레이트 측으로 유입시키고, 이를 통해 가열플레이트의 냉각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향상된 사용 안전성 및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플레이트의 냉각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가열플레이트와의 접촉으로 인한 사용자의 부상 위험성 및 가열플레이트의 과열 발생 위험성을 낮출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온 조리 후 저온 조리를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에 가열플레이트의 냉각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플레이트의 온도를 사용자 접촉시에도 안전한 온도, 과열이 아니면서 조리에 적합한 온도, 저온 조리에 적합한 온도 중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온도로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더욱 신속하고 편리하게 가열플레이트의 온도를 조절하고, 이를 통해 더욱 향상된 사용 안전성 및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일부분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버너와 온도측정모듈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온도측정모듈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동작에 따른 냉각 공기 흐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동작 제어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일부분을 분해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본체(10)의 상단부에는, 개방된 공간 즉,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도록 마련된 쿡탑부(20)가 위치한다.
쿡탑부(20)에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쿡탑가열부(23)가 위치된다.
그리고 쿡탑부(20)의 하측에는 오븐부(30)가 설치된다. 오븐부(30)의 내부공간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31)이 위치한다.
조리실(31)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조리실(31)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한다. 즉 오븐부(30)에서는, 조리실(31)의 내부공간이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다.
오븐부(30)에는, 조리실(3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32)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도어(32)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하는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조리실(31)을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32)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앞면에는 사용자가 도어(32)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 파지하도록 핸들(33)이 설치된다. 핸들(33)에 의해 사용자는 도어(32)를 용이하게 회동시킬 수 있다.
쿡탑부(20)의 전면 즉, 도어(32)의 상측에는 컨트롤패널(51)이 마련된다. 컨트롤패널(51)은 소정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컨트롤패널(51)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쿡탑부(20) 및 오븐부(30)를 동작시키는 조작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52)가 제공된다.
입력부(52)에는 다수의 조작스위치가 마련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조작신호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조작스위치는 회전 조작 가능한 노브(Knob)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고, 누름 조작이나 터치 조작 가능한 버튼 또는 패널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컨트롤패널(51)에는 조리기기의 동작 정보 또는 음식물의 요리 정보 등을 제공하는 표시부(53)가 더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표시부(53)를 통해 조리기기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본체(10)의 내부 공간 즉, 쿡탑부(20)와 오븐부(30) 사이의 공간에는 전장 부품들이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전장공간부(50)가 형성된다. 전장공간부(50)의 전면은, 컨트롤패널(51)에 의해 차폐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도어(32)에 의해 차폐될 수도 있다.
[쿡탑부의 구조]
본 실시예에 따르면, 쿡탑부(20)는 쿡탑케이스(21) 및 쿡탑가열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쿡탑케이스(21)는, 오븐부(30)의 상부에 마련되며, 소정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면서 상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쿡탑케이스(21)의 내부공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쿡탑가열부(23)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쿡탑가열부(23)는, 가스연료를 연소시켜 발생되는 화염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스 버너(Gas burner)를 포함하는 형태인 것으로 예시된다.
다른 예로서, 쿡탑가열부(23)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인덕션 히팅 모듈(Induction heating module)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고, 히팅 코일을 발열시켜 발생되는 복사열로 음식물을 조리하는 라디안트 히팅 모듈(Radiant heating module)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쿡탑가열부(23)는, 가스연료를 연소시킨 에너지를 이용하되, 직화열이 아닌 가스연료에 의한 복사에너지를 이용하는 세라믹 균일 버너로 상판을 가열하는 히든 라디안트 버너(Hidden radiant burner)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쿡탑부(20)에 그리들 장치(10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들 장치(100)는, 상부가 개구되게 설치된 가열플레이트(120)의 하부에 버너(130)가 설치된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그리들 장치(100)는, 조리기기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제공되며, 버너(130)에 의해 가열된 가열플레이트(120)를 이용하여 고기, 채소 등의 구이 요리를 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그리들 장치(100)는, 쿡탑부(20)와 마찬가지로 오븐부(3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쿡탑부(20)의 일부분을 이루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쿡탑부(20)와 분리된 장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일례로서, 그리들 장치(100)가 쿡탑부(20)의 일부분을 이루는 경우, 그리들 장치(100)는 쿡탑부(20)의 외관을 형성하는 쿡탑케이스(21)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쿡탑케이스(21)는 그 내부공간이 좌우로 구획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구획된 영역들 중 어느 하나에는 그리들 장치(100)가 설치되고, 나머지 영역들에 쿡탑가열부(23)가 각각 설치되는 형태로 쿡탑부(20)가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그리들 장치(100)가 쿡탑부(20)와 분리된 장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그리들 장치(100)는 쿡탑케이스(21)의 내부공간에 설치되지 않고 쿡탑케이스(21)의 측부에 위치되도록 쿡탑케이스(21)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형태로 제공되는 그리들 장치(100)는, 쿡탑부(20)와 함께 하나의 조리기기를 구성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쿡탑부(20)와 분리되어 별도의 조리장치로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들 장치의 전반적인 구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그리들 장치(100)는 하우징(110)과 가열플레이트(120)와 버너(130)와 배기벤트(140) 및 온도측정모듈(15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그리들 장치(100)의 외관 골격을 형성한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소정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면서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10)은 케이스, 즉 쿡탑케이스(21)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하우징(110)은, 하우징(110)의 바닥면이 쿡탑케이스(21)의 바닥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쿡탑케이스(21)에 설치된다.
가열플레이트(120)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되, 하우징(110)의 개방된 상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 예를 들면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플레이트(120)는, 그 길이방향 일측이 하우징(110)의 전방에 위치되고 길이방향 타측이 하우징(110)의 후방에 위치되도록 하우징(110)의 개방된 상부에 안착된다. 바람직하게는, 가열플레이트(120)는 강도 및 열 전달 성능이 높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버너(130)는, 가열플레이트(120)의 가열을 위해 마련되는 구성으로서, 가열플레이트(12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하우징(1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버너(130)는, 가열플레이트(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버너본체(131)와 믹싱튜브(133)와 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가스 버너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버너본체(131)는, 가열플레이트(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직선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버너본체(131), 한 쌍의 직선 파이프가 "U" 형상을 이루도록 연결된 "U" 형상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는 등, 버너본체(131)의 형상은 특정한 하나의 형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버너본체(131)의 내부에는, 혼합가스가 공급되는 유로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버너본체(131)의 측부에는 염공(132)이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염공(132)은 버너본체(131) 내부의 가스가 버너본체(131)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형성된다.
상기 버너본체(131)의 측부에는 복수 개의 염공(132)이 버너본체(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써 버너본체(131)에는 버너본체(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가스 배출 통로가 마련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버너본체(131)는 후술할 믹싱튜브(133)를 통해 공기와 혼합된 가스, 즉 혼합가스를 공급받으며, 이와 같이 버너본체(131) 내부의 유로로 공급된 혼합가스는 염공(132)을 통해 버너본체(131) 외부로 배출되며 연소됨으로써 버너(130)의 외부에 화염을 발생시킨다.
믹싱튜브(133)는, 일측이 버너본체(131)에 연결되는 중공의 파이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믹싱튜브(133)의 내부에는, 가스와 공기가 혼합되는 유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믹싱튜브(133) 내부에 형성되는 유로는, 믹싱튜브(133)의 내부로 각각 유입된 가스와 공기가 믹싱튜브(133)의 내부에서 버너본체(131) 측으로 유동하는 동안 이러한 가스와 공기의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믹싱튜브(133)의 타측에는, 가스와 공기가 믹싱튜브(133)의 내부로 유입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에어셔터가 마련될 수 있다. 에어셔터는, 믹싱튜브(133)의 타측에 결합되는 중공의 관 형태로 마련되되, 그 측부가 개방되는 형태로 마련된다. 에어셔터의 개방된 측부를 통해 외부 공기가 믹싱튜브(133)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믹싱튜브(133)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은 에어셔터 측부의 개방 정도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노즐은, 믹싱튜브(133)의 타측에 구비된다. 노즐은 가스공급관을 통해 가스를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가스를 믹싱튜브(133) 내부를 향해 분사하는 용도로 구비된다. 노즐은 에어셔터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노즐에서 분사되는 가스는 에어셔터의 내부 공간을 통과하면서 공기와 함께 믹싱튜브(133)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버너(130)에서, 가스공급관을 통해 공급된 가스가 노즐을 통해 분사되면, 노즐을 통해 분사된 가스와 에어셔터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믹싱튜브(133)의 내부로 함께 유입된다. 이와 같이 믹싱튜브(133)의 내부로 각각 유입된 가스는 공기는 믹싱튜브(133)의 내부에서 버너본체(131) 측으로 유동하는 동안 혼합되어 혼합가스를 생성하게 되며, 버너본체(131) 내부의 유로에는 이와 같이 생성된 혼합가스가 공급된다.
버너본체(131) 내부의 유로로 공급된 혼합가스는, 염공(132)을 통해 버너본체(131) 외부로 배출되며 연소됨으로써, 버너(130)의 외부에 화염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버너(130)에 의해 생성된 화염은 가열플레이트(120)를 가열하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제1유입홀(111)이 마련될 수 있다. 제1유입홀(111)은, 하우징(110)의 바닥면에 마련되며, 가열플레이트(120)의 하부에서 하우징(110) 내부와 외부 사이를 연통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우징(110)의 바닥면에 형성된 제1유입홀(111)을 통해, 하우징(110) 외부의 공기가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유입홀(111)을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버너(130)의 완전연소에 필요한 2차공기로 이용될 수 있다.
즉 믹싱튜브(133)의 내부로 유입되어 가스와 혼합되는 공기를 1차공기라 한다면, 제1유입홀(111)을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2차공기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유입홀(111)을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된 2차공기는, 연소가 이루어지는 버너(130)의 화염 측으로 유입되면서 버너(130)의 완전연소가 이루어지도록 작용하게 된다.
배기벤트(14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상기 버너(130)의 연소에 의해 생성된 연소 가스가 하우징(110)의 외부, 즉 그리들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
배기벤트(140)는 좌우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의 금속 판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기벤트(140)의 상부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트랙형 장공 형태의 배기공이 좌우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배기공은 피어싱 공정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이때 피어싱 금형을 상부에서 하향하도록 작업하여 배기공의 내주면의 버(bur)가 하향하도록 함으로써 외관 품질을 높이고 날카로운 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배기벤트(140)는, 하우징(110)의 상부에 배치되되, 가열플레이트(120)의 길이방향 타측(이하 "가열플레이트의 후방측"이라 한다)과 인접한 하우징(110)의 후방에 배치된다.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상기 버너(130)의 연소에 의해 생성된 연소 가스는, 하우징(110)의 후방으로 이동하여 배기벤트(140)를 통해 그리들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온도측정모듈(15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며,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가열플레이트(120)의 온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온도측정모듈(150)은, 가열플레이트(120)와 직접 접촉되지 않고 가열플레이트(120)의 온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서미스터(Thermistor)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온도측정모듈의 구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버너와 온도측정모듈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온도측정모듈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온도측정모듈(150)은 커버부(151) 및 온도측정부(153)를 포함한다.
커버부(151)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커버부(151)는 온도측정부(153)가 가열플레이트(120)의 온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하기에 적합한 위치에 배치되며, 이때 커버부(151)의 바람직한 설치 위치는 가열플레이트(120)의 재질, 형상, 크기, 하우징(110) 내부의 용적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151)는 온도측정모듈(150)의 외관을 이루며, 그 내부에는 온도측정부(153)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커버부(151)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는, 온도측정부(153)의 전체 또는 일부분과 함께 공기가 채워질 수 있다.
온도측정부(153)는, 커버부(151)와 함께 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된다. 이러한 온도측정부(153)는, 커버부(151)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에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되는 형태로 커버부(151)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온도측정부(153)는, 커버부(151) 내부의 온도를 측정함으로써 가열플레이트(120)의 온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측정부(153)는 커버부(151) 내부의 수용공간에 수용되도록 커버부(151) 내부에 설치되어 수용공간 내 공기의 온도에 대응되는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서미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서미스터가 내부에 설치되는 커버부(151)는, 가열플레이트(120)와 동일 또는 동등한 열용량을 갖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커버부(151)는 그 내부의 수공공간 내 공기의 온도 상승 특성을 가열플레이트(120)의 온도 상승 특성과 일치시킬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커버부(151)는 가열플레이트(120)와 동일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가열플레이트(120)의 재질과 동등한 수준의 열용량을 가지는 다른 종류의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온도측정모듈(150)에 의해 이루어지는 가열플레이트(120)에 대한 온도 측정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고려할 점으로는, 커버부(151)의 재질, 온도측정부(153)의 설치 구조에 관한 것 이외에도, 온도측정부(153)의 설치 위치에 관한 것이 있다.
즉 온도측정모듈(150)에 의해 이루어지는 가열플레이트(120)에 대한 온도 측정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온도측정부(153)가 온도를 측정하게 되는 위치를 적절하게 설정하고, 그 설정된 위치, 예를 들면 버너(130)에 의해 가열플레이트(120)에 가해지는 열기와 동등한 수준의 열기가 가해지는 위치에 온도측정부(153)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측정모듈(150)은 홀더부(15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홀더부(155)는, 온도측정부(153)를 설정된 위치에 고정시키되, 온도측정부(153)가 설정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우징(110) 내부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 온도측정모듈(15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버너(130)에 가스가 공급되고 이에 따라 버너(130)의 연소가 시작되면, 버너(130)의 연소에 의해 생성된 열기에 의해 가열플레이트(120)에 대한 가열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가열플레이트(120)를 가열하는 열기는 온도측정모듈(150)에도 함께 전달되며, 온도측정모듈(150)은 이와 같이 전달된 열기를 통해 가열플레이트(120)의 온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하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버너(130)의 연소에 의해 생성된 열기에 의해 가열플레이트(120)에 대한 가열이 이루어는 동안 온도측정모듈(150)로 전달된 열기는, 온도측정모듈(150)의 외부를 둘러싸는 커버부(151)를 가열하고, 이에 따라 커버부(151)의 온도가 상승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온도측정모듈(150)은 가열플레이트(120)에 전달되는 열기와 동등한 수준의 열기가 전달되는 위치에 설치되며, 이에 따라 커버부(151)에는 가열플레이트(120)와 동등한 수준의 열량의 열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열된 커버부(151)의 열기는 커버부(151)의 내부로 전달되며, 이와 같이 커버부(151)의 내부로 전달된 열기는 커버부(151) 내부의 수용공간에 채워진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그리고 커버부(151)의 내부에 위치한 온도측정부(153)의 온도 검지 부분은 커버부(151) 내부의 수용공간에 채워진 공기의 온도를 측정한다.
이때 온도측정부(153)의 온도 측정 동작은, 온도측정부(153)의 서미스터가 커버부(151) 내부의 수용공간에 채워진 공기의 온도에 대응되는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온도측정부(153)에서 발생된 전기신호에 대응되는 온도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53)는, 상기 온도 관련 정보를 문자나 기호, 그림 등의 형태로 표시할 수도 있고, 조명의 밝기나 색상을 구분하는 형태로 표시할 수도 있으며, 음성이나 소리를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표시부(53)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는, 가열플레이트(120)의 현재 온도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고, 이로써 사용자에게 좀 더 향상된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를 화상 등과 같은 안전사고로부터 보호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온도측정부(153)는 접촉식 센서가 아닌 서미스터를 이용하여 온도를 측정하는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형태로 제공되는 온도측정부(153)는, 측정된 온도에 대응되는 전기신호를 발생시키는 방식으로 동작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부(53)를 통해 가열플레이트(120)의 현재 온도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구현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들 장치의 냉각 구조]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제2유입홀(113)이 마련된다. 제2유입홀(113)은, 하우징(110)의 바닥면에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2유입홀(113)은, 제1유입홀(111)의 전방에서 하우징(110) 내부와 외부 사이를 연통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2유입홀(113)은, 버너(130)의 전방에 배치되거나, 제1유입홀(111)의 전방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복수개의 제1유입홀(111)이 마련된다. 하우징(110)의 바닥면에는, 복수개의 제1유입홀(111)이 전후방향으로 배열된다. 그리고 제1유입홀(111)의 배열이 폭방향으로도 복수개 형성되도록 제1유입홀(111)의 배열이 이루어진다. 즉 하우징(110)의 바닥면 대부분의 영역에 걸쳐 복수개의 제1유입홀(111)의 분포가 이루어진다.
제2유입홀(113)은, 상기와 같이 즉 하우징(110)의 바닥면 대부분의 영역에 걸쳐 분포된 제1유입홀(111) 중, 최전방에 마련된 제1유입홀(111)과 연결되거나 인접되게 배치된다.
즉 제2유입홀(113)은, 최전방에 마련된 제1유입홀(111)의 단면적을 확장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고, 최전방에 마련된 제1유입홀(111)과 인접한 전방에 배치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유입홀(113)이 버너(130) 또는 제1유입홀(111)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은, 제2유입홀(113)을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제1유입홀(111)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처럼 버너(130)의 2차공기로 이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제2유입홀(113)을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버너(130) 또는 제1유입홀(111)보다 더 전방에서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되고, 버너(130)의 전방을 통과하여 가열플레이트(120)의 전방을 향해 곧바로 상승하는 흐름으로 하우징(110)의 내부를 유동하게 된다.
또한 제2유입홀(113)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된 온도측정모듈(150)보다도 전방에 배치된다. 이는, 제2유입홀(113)을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로 인해 발생되는 하우징(110) 내부의 온도 변화가 온도측정모듈(150)에 의해 측정되는 결과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온도측정모듈(150)은, 제2유입홀(113)과 배기벤트(140) 사이에 배치된다. 온도측정모듈(150)은, 상하방향으로도 제2유입홀(113)과 배기벤트(140) 사이에 배치되고, 전후방향으로도 제2유입홀(113)과 베기벤트(140) 사이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온도측정모듈(150)은, 제2유입홀(113)을 통해 유입되어 가열플레이트(120)의 저면을 따라 하우징(110) 내부를 유동하고 배기벤트(140)로 배출되는 공기 흐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제2유입홀(113)을 통해 하우징(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로 인해 발생되는 하우징(110) 내부의 온도 변화가 온도측정모듈(150)에 의해 측정되는 결과에 반영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제3유입홀(22)과 덕트(160)와 송풍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유입홀(22)은, 하우징(110)이 수용되는 케이스, 즉 쿡탑케이스(21)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연통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이러한 제3유입홀(22)은, 쿡탑케이스(21)의 바닥면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로써 쿡탑케이스(21)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연통하는 통로가 쿡탑케이스(21)의 바닥면에 형성된다.
덕트(160)는, 쿡탑케이스(21)와 하우징(110) 사이에 마련된다. 이러한 덕트(160)는, 쿡탑케이스(21)에 형성된 제3유입홀(22)과 하우징(110)에 형성된 제2유입홀(113)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내부에 형성한다. 즉 제3유입홀(22)을 통해 쿡탑케이스(21)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제2유입홀(113)을 통해 하우징(110) 내부로 곧바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통로가 덕트(160)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덕트(160)는, 덕트(160)의 내부에서 하우징(110)의 내부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가 제2유입홀(113)을 통해 상부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제3유입홀(22)과 제2유입홀(113)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송풍부(170)는, 하우징(110)의 하부, 좀 더 구체적으로는 쿡탑케이스(21)의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송풍부(170)는, 하우징(110) 외부의 공기, 좀 더 구체적으로는 쿡탑케이스(21) 외부의 공기를 제2유입홀(113)을 통해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시키는 기류를 발생시킨다.
상기 송풍부(170)는, 쿡탑케이스(21)의 하부에 배치되는 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송풍부(170)의 팬은, 쿡탑케이스(21),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제3유입홀(22)의 하부에 설치되며, 쿡탑케이스(21) 외부의 공기를 덕트(160) 측으로 유동시키는 기류를 발생시킨다.
즉 송풍부(170)는 쿡탑케이스(21) 외부의 공기를 덕트(160) 측으로 유동시키고, 덕트(160)로 유입된 공기는 제2유입홀(113)을 통해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이러한 공기의 유동은 상부방향으로 상승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로써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흐름은 버너(130)의 전방을 통과하여 가열플레이트(120)의 전방을 향해 곧바로 상승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동작에 따른 냉각 공기 흐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6을 참조하여 송풍부(170)의 동작 및 이에 의해 이루어지는 그리들 장치(100)의 냉각 작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하부에 배치된 오븐부(30)와 상부에 배치된 쿡탑부(20)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공간부가 전장공간부(50)인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하부에 배치된 오븐부(30)와 상부에 배치된 쿡탑케이스(21) 사이에는 전장공간부(50)가 형성되고, 쿡탑케이스(21)의 하부에 설치된 송풍부(170)는 전장공간부(5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송풍부(170)는 전장공간부(50)로 유입된 공기를 덕트(160) 측으로 유동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게 되며, 덕트(160)로 유입된 공기는 제2유입홀(113)을 통해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다.
즉 조리기기의 외부에서 전장공간부(50)로 유입된 공기가 제2유입홀(113)을 통해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다.
한편 하부에 배치된 도어(32)와 상부에 배치된 컨트롤패널(51) 사이에는, 냉기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냉기통로는, 도어(32)와 컨트롤패널(51) 사이에 형성된 틈과 전장공간부(50) 사이가 연통된 형태로 형성된 통로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냉기통로를 통해, 조리기기 외부의 공기가 조리기기의 전방에서 전장공간부(5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기통로를 통해 전장공간부(5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버너(130)의 연소가 이루어지고 있는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에 비해 온도가 상당히 낮으므로, 그리들 장치(100)의 냉각에 이용되기에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송풍부(170)는, 상기와 같이 냉기통로를 통해 조리기기의 외부에서 전장공간부(50)로 유입된 온도가 낮은 공기, 즉 냉기를 흡입하여 덕트(160) 측으로 유동시킨다. 즉 송풍부(170)에 의해, 강제적인 냉기 송풍이 덕트(160) 내부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송풍된 냉기는, 덕트(160)를 따라 상부방향으로 상승하고, 제2유입홀(113)을 통해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다. 송풍부(170)에 의해 발생되고 덕트(160)에 의해 유동이 안내된 냉기의 흐름은,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 후에도 상승 흐름을 이어가게 된다.
이처럼 상승된 냉기는, 가열플레이트(120)와 접촉된 후에는 더 이상 상승되지 못하고 가열플레이트(120)의 저면을 따라 배기벤트(140)가 위치한 후방측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냉기와 가열플레이트(120) 간의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고온인 가열플레이트(120)의 냉각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가열플레이트(120)를 냉각시킨 냉기는 배기벤트(140)를 통해 조리기기 외부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가열플레이트(120)를 실온에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에 비해 가열플레이트(120)의 냉각이 매우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사용 안전성 및 사용 편의성이 매우 향상된 조리기기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10)의 내부로 냉기가 유입되는 통로인 제2유입홀(113)이 버너(130)의 전방 또는 제1유입홀(111)의 전방에 배치된다. 이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의의가 있다.
첫째, 제2유입홀(113)이 버너(130)의 전방 또는 제1유입홀(111)의 전방에 배치됨으로써, 제2유입홀(113)이 버너(130)의 연소 영향권으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
이는, 제2유입홀(113)을 통해 유입되는 냉기가 버너(130)의 연소에 필요한 2차공기로 이용되거나 버너(130)의 화염에 의해 냉기의 온도가 상승될 가능성을 낮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즉 하우징(110) 내부로 공급된 냉기의 손실, 온도 상승이 억제되므로, 가열플레이트(120)의 냉각이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둘째, 제2유입홀(113)이 버너(130)의 전방 또는 제1유입홀(111)의 전방, 즉 가열플레이트(120)의 전방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제2유입홀(113)을 통해 유입되는 냉기와 가열플레이트(120) 간의 최초 접촉 지점이 가열플레이트(120)의 전방 영역이 된다.
이는, 가열플레이트(120) 측으로 공급된 냉기가 가열플레이트(120)의 전방 영역으로부터 후방 영역까지, 즉 가열플레이트(120)의 대부분의 영역과 접촉될 수 있게 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즉 가열플레이트(120)의 대부분의 영역에서 냉기와의 접촉에 의한 냉각이 이루어지고, 이로써 가열플레이트(120)의 냉각이 좀 더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자동 냉각 동작 제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동작 제어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자동 냉각 동작 제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송풍부(170)의 동작에 의해 이루어지는 냉각 동작은, 송풍부(170)의 동작 여부를 입력하도록 입력부(52)에 마련된 조작스위치 조작에 의해 실시될 수도 있지만, 일정 조건하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제어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제어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송풍부(170)와 표시부(53)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마련된다. 그 외에도, 그리들 장치(100)에 구비된 버너(130)의 동작, 오븐부(30)에 구비된 버너들의 동작, 쿡탑가열부(23)의 동작 제어도 제어부(18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180)는, 입력부(52)의 전기신호, 온도측정모듈(150)의 전기신호를 통해 전송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송풍부(170)와 표시부(53)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80)를 이용한 자동 냉각 동작 제어의 일례로서, 그리들 장치(100)를 이용한 조리작업이 종료(OFF)될 경우에 냉각 동작이 자동으로 실시되도록 자동 냉각 동작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들 장치(100)를 이용한 조리작업의 종료는, 사용자가 입력부(52) 조작을 통해 그리들 장치(100)의 조리작업을 직접 종료시키거나, 미리 입력된 조리시간이 경과하여 그리들 장치(100)의 조리작업이 자동으로 종료되는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조리작업이 종료될 때에는, 제어부(180)는 버너(130)의 연소가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도록 버너(130)의 동작을 종료(OFF)시킨다.
이와 함께 제어부(180)는, 송풍부(170)를 동작시켜 가열플레이트(120)의 냉각이 냉기에 의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고온으로 가열된 가열플레이트(120)로 인해 사용자가 부상을 입을 위험성을 낮출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온도측정모듈(150)을 통해 측정된 가열플레이트(120)의 온도(Tm)가 설정된 온도, 예를 들면 사용자 접촉시에도 안전하다고 설정된 온도(TL), 예를 들어 140℉ 이하로 낮아지면, 제어부(180)는 송풍부(170)의 동작을 종료(OFF)시켜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차단하고, 이에 따라 냉각 동작을 포함한 그리들 장치(100) 전체의 동작이 종료된다.
다른 예로서, 가열플레이트(120)의 과열 발생시 냉각 동작이 자동으로 실시되도록 자동 냉각 동작 제어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조리작업이 종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온도측정모듈(150)을 통해 측정된 가열플레이트(120)의 온도(Tm)가 과열 상태로 설정된 온도(TH) 이상이면, 제어부(180)는 송풍부(170)를 동작시켜 가열플레이트(120)의 냉각이 냉기에 의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버너(130) 동작의 종료와 송풍부(170) 동작의 개시가 함께 이루어지도록 버너(130)와 송풍부(170)의 동작을 함께 제어할 수도 있고, 버너(130) 동작의 종료 없이 송풍부(170)의 동작만을 제어할 수도 있다.
가열플레이트(120)의 냉각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측정된 가열플레이트(120)의 온도(Tm)가 과열 상태로 설정된 온도(TH) 또는 그보다 소정 수준 낮게 설정된 온도 이하이면, 제어부(180)는 송풍부(170)를 이용한 냉각 작업을 종료시킨다.
이후 제어부(180)는, 그리들 장치(100)의 조리작업 종료 여부에 따라, 그리들 장치(100)의 조리작업 종료시에 적합한 냉각 동작이 이루어지게 하거나, 가열플레이트(120)의 과열시에 적합한 냉각 동작 또는 설정된 온도로 가열플레이트(120)의 온도를 맞추기에 적합한 냉각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버너(130) 및 송풍부(1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가열플레이트(120)의 온도(TS)가 현재 가열플레이트(120)의 온도(Tm)보다 낮은 온도일 경우에 냉각 동작이 자동으로 실시되도록 자동 냉각 동작 제어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고온 조리 후 저온 요리를 하기 위해 가열플레이트(120)의 온도를 신속히 낮추고자 하는 경우에 냉각 동작이 자동으로 실시되도록 자동 냉각 동작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냉각 동작 제어는, 사용자가 입력부(52) 조작을 통해 가열플레이트(120)의 설정 온도(TS)를 현재 가열플레이트(120)의 온도(Tm)보다 낮추었을 때 실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정 온도(TS)의 입력이 이루어졌을 때, 제어부(180)는 송풍부(170)를 동작시켜 가열플레이트(120)의 냉각이 냉기에 의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버너(130) 동작의 종료와 송풍부(170) 동작의 개시가 함께 이루어지도록 버너(130)와 송풍부(170)의 동작을 함께 제어할 수도 있고, 버너(130) 동작의 종료 없이 송풍부(170)의 동작만을 제어할 수도 있다.
가열플레이트(120)의 온도가 설정 온도(TS)로 맞추어지면, 제어부(180)는 송풍부(170)를 이용한 냉각 작업을 종료시킨다.
이후 제어부(180)는, 그리들 장치(100)의 조리작업 종료 여부에 따라, 그리들 장치(100)의 조리작업 종료시에 적합한 냉각 동작이 이루어지게 하거나, 가열플레이트(120)의 과열시에 적합한 냉각 동작 또는 설정된 온도로 가열플레이트(120)의 온도를 맞추기에 적합한 냉각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버너(130) 및 송풍부(1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위에 예시된 각각의 냉각 제어 과정을 통합하여 냉각 제어 과정을 구성하면, 가열플레이트(120)의 상태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더욱 신속하고 편리하게 가열플레이트(120)의 온도 상태 조절이 가능할 것이다.
즉 먼저 조리작업 종료 여부에 따라 조리작업 종료에 따른 냉각 작업을 수행할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조리작업이 종료되었다면 그에 따른 냉각 작업을, 조리작업 종료가 아니라면 가열플레이트(120)의 과열 여부, 온도 낮춤 설정 여부를 판단하여 그에 따른 냉각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냉각 제어 과정이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입력부(52)를 통해 조리작업 종료나 온도 낮춤 설정 신호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가열플레이트(120)의 온도가 접촉시에도 안전한 온도, 과열이 아니면서 조리에 적합한 온도, 저온 조리에 적합한 온도 중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온도로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조리기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냉기를 강제 송풍 방식으로 가열플레이트(120) 측으로 유입시키고, 이를 통해 가열플레이트(120)의 냉각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향상된 사용 안전성 및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가열플레이트(120)의 냉각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가열플레이트(120)와의 접촉으로 인한 사용자의 부상 위험성 및 가열플레이트(120)의 과열 발생 위험성을 낮출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온 조리 후 저온 조리를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에 가열플레이트(120)의 냉각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가열플레이트(120)의 온도를 사용자 접촉시에도 안전한 온도, 과열이 아니면서 조리에 적합한 온도, 저온 조리에 적합한 온도 중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온도로 자동으로 조절함으로써, 더욱 신속하고 편리하게 가열플레이트(120)의 온도를 조절하고, 이를 통해 더욱 향상된 사용 안전성 및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서, 조리기기는 하우징(110), 가열플레이트(120), 버너(130), 배기벤트(140), 온도측정모듈(150), 덕트(160), 송풍부(170), 제어부(180)를 포함한 그리들 장치(100)가 독립적인 장치로 구성된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조리기기는 그리들 장치(100)의 각 구성들이 그리들 장치(100)의 외관 형상을 형성하는 별도의 외부케이스(미도시)에 수용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송풍부(170)는, 외부케이스의 하부에 돌출된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고,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된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송풍부(170)가 외부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는 경우, 제3유입홀(22)은 외부케이스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송풍부(170)가 외부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되는 경우, 송풍부(170)는 외부케이스의 바닥면 상부에 설치될 수 있고, 이때 제3유입홀(22)은 송풍부(170)와 인접된 위치에 배치되도록 외부케이스의 하부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예로서, 하우징(110)과 외부케이스 사이에 하우징(110) 및 외부케이스와 나란한 평면을 형성하는 별도의 설치판이 마련되고, 이 설치판에 제3유입홀(22) 및 송풍부(170)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송풍부(170)는, 하우징(110)의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고, 하우징(110)의 전방 또는 이와 인접한 하우징(110)의 측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제3유입홀(22) 및 덕트(160)는 송풍부(170)의 위치에 따라 적합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조리기기에에 따르면, 별다른 구성 변화 없이도 그리들 장치(100)가 쿡탑부(20) 내에 설치되어 쿡탑부(20), 오븐부(30) 등과 하나의 조리기기를 구성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고, 그리들 관련 조리를 위한 별도의 장치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으므로, 쉽고 빠르며 저렴하게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제품이 제조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20 : 쿡탑부
21 : 쿡탑케이스
22 : 제3유입홀
30 : 오븐부
31 : 조리실
32 : 도어
50 : 전장공간부
51 : 컨트롤패널
52 : 입력부
53 : 표시부
100 : 그리들 장치
110 : 하우징
111 : 제1유입홀
113 : 제2유입홀
120 : 가열플레이트
130 : 버너
131 : 버너본체
132 : 염공
133 : 믹싱튜브
140 : 배기벤트
150 : 온도측정모듈
151 : 커버부
153 : 온도측정부
155 : 홀더부
160 : 덕트
170 : 송풍부
180 : 제어부

Claims (11)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부가 개방되게 마련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안착되는 가열플레이트;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가열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상기 하우징 내부와 외부 사이를 연통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1유입홀;
    상기 가열플레이트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유입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연소시키며 상기 가열플레이트를 가열하는 버너;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버너의 연소에 의해 생성된 연소 가스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상기 가열플레이트의 후방에 형성하는 배기벤트;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유입홀의 전방에서 상기 하우징 내부와 외부 사이를 연통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2유입홀;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 외부의 공기를 상기 제2유입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 내부로 유입시키는 기류를 발생시키는 송풍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 내부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모듈;을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입홀은, 상기 버너의 전방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전후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상기 제1유입홀이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에 마련되고,
    상기 제2유입홀은, 복수개의 상기 제1유입홀 중 최전방에 마련된 상기 제1유입홀과 연결되거나 인접되게 배치되는 조리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입홀은, 상기 온도측정모듈보다 전방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측정모듈은, 상기 제2유입홀과 상기 배기벤트 사이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수용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유입홀 및 상기 제2유입홀이 형성된 바닥면이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는 조리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외부 사이를 연통하는 통로를 상기 케이스의 바닥면에 형성하는 제3유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와 상기 하우징 사이에는, 상기 제3유입홀과 상기 제2유입홀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내부에 형성하는 덕트가 구비되고,
    상기 송풍부는, 상기 제3유입홀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 외부의 공기를 상기 덕트 측으로 유동시키는 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리기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는, 상기 덕트의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제2유입홀을 통해 상부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상기 제3유입홀과 상기 제2유입홀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조리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입홀은, 상기 가열플레이트의 전방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기벤트는, 상기 제2유입홀의 상부 및 상기 가열플레이트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제2유입홀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2유입홀의 상부 및 상기 배기벤트의 전방에 배치된 상기 가열플레이트의 저면을 따라 상기 베기벤트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이 형성되는 조리기기.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전방에 마련되는 컨트롤패널, 및 내부에 조리실이 형성되고 전방에 상기 조리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마련되는 오븐부를 더 포함하고,
    하부에 배치된 오븐부와 상부에 배치된 케이스 사이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부는, 상기 공간부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하부에 배치된 도어와 상부에 배치된 컨트롤패널 사이에는, 상기 조리기기의 외부와 상기 공간부 사이를 연통하는 냉기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송풍부는, 상기 냉기통로를 통해 상기 공간부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하우징 내부로 토출하는 조리기기.
KR1020180084906A 2018-07-20 2018-07-20 조리기기 Active KR102067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906A KR102067272B1 (ko) 2018-07-20 2018-07-20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4906A KR102067272B1 (ko) 2018-07-20 2018-07-20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272B1 true KR102067272B1 (ko) 2020-01-16

Family

ID=69369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4906A Active KR102067272B1 (ko) 2018-07-20 2018-07-20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27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89960B1 (en) * 2001-07-12 2002-05-21 Middleby-Marshall, Inc. Gas-fired cooking device with griddle surface heated by heat bank
KR20020056254A (ko) * 2000-12-29 2002-07-10 구자홍 가스복사 조리기의 콘트롤박스 냉각장치
JP3822066B2 (ja) * 2001-06-20 2006-09-13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調理器
US20100175682A1 (en) * 2007-04-16 2010-07-15 Aktiebolaget Electrolux Barbecue and barbecue component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6254A (ko) * 2000-12-29 2002-07-10 구자홍 가스복사 조리기의 콘트롤박스 냉각장치
JP3822066B2 (ja) * 2001-06-20 2006-09-13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調理器
US6389960B1 (en) * 2001-07-12 2002-05-21 Middleby-Marshall, Inc. Gas-fired cooking device with griddle surface heated by heat bank
US20100175682A1 (en) * 2007-04-16 2010-07-15 Aktiebolaget Electrolux Barbecue and barbecue component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2002028A1 (zh) 用于高热量烹饪的烤箱器具和方法
EP3415058B1 (en) Griddle and cooking appliance having a griddle
US11428418B2 (en) Oven appliance having a high-heat cooking surface
KR20100119139A (ko) 오븐 레인지
KR102067272B1 (ko) 조리기기
KR101824736B1 (ko) 버너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060091857A (ko) 전기 오븐레인지의 제어장치 및 방법
KR102270803B1 (ko) 착탈식 가열부를 구비한 조리용기
JP3913641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7320424B2 (ja) 加熱調理器
KR20100013997A (ko) 오븐레인지
JP2008021519A (ja) 誘導加熱調理器
KR100667202B1 (ko) 증기조리장치 및 그 고온도어 경고방법
JP7578473B2 (ja) 加熱調理器
US12173906B2 (en) Cooking appliance
KR100707426B1 (ko) 용기 가열용 히터가 구비된 전기오븐
US11937728B2 (en) High temperature cooking accessory for an oven appliance
CN214332807U (zh) 一种集成灶
JP2001041460A (ja) ガス加熱調理器
KR100596255B1 (ko) 빌트인 타입 오븐레인지의 배기 장치
KR20060098258A (ko) 3상 전원을 사용하는 전기 오븐 레인지
KR20100119142A (ko) 덕트 유니트를 포함한 오븐 레인지
JP2010181117A (ja) 加熱調理器
JP3475087B2 (ja) 調理器
CN115886595A (zh) 一种户外烤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6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001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001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