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1776A -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1776A
KR20180091776A KR1020180053260A KR20180053260A KR20180091776A KR 20180091776 A KR20180091776 A KR 20180091776A KR 1020180053260 A KR1020180053260 A KR 1020180053260A KR 20180053260 A KR20180053260 A KR 20180053260A KR 20180091776 A KR20180091776 A KR 20180091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connector
water
housing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0463B1 (ko
Inventor
김지현
최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1704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859320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3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463B1/ko
Publication of KR20180091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776A/ko
Priority to KR1020220178376A priority patent/KR1026056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3Details moisturising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24C3/12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in baking ov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F24C7/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on baking ovens

Abstract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조리기기의 본체에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전후방향 일측이 본체의 외측으로 개방되게 마련되는 하우징과;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저장공간에 물을 투입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투입구가 전방 측에 마련되며, 투입구가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되는 삽입위치 및 투입구가 수용공간 외부로 노출되는 인출위치로 위치 변화 가능하도록 하우징에 설치되는 물탱크; 및 수용공간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에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물탱크의 위치를 삽입위치 또는 인출위치로 변화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WATER DISPENSER AND STEAM GENERATING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THEREWITH}
본 발명은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븐 등의 조리실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조리실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상기 밀폐형 조리기기는, 열원(熱源)의 종류에 따라 가스 오븐과 전기 오븐으로 대별된다. 가스 오븐은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게 되며, 다수의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여 점화시킴으로써 공급되는 가스가 타면서 발생되는 불꽃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며, 전기 오븐은 가스 오븐과 달리 전기를 열원으로 하여 다수의 히터가 작동되면서,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는 방식을 취하게 된다.
전기 오븐은 가스 오븐보다 요리의 속도가 빠르고 열효율이 높으며, 안정성이 좋아 그 이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이러한 전기 오븐은, 다양한 음식물의 요리가 가능하도록 마그네트론과 같은 고주파를 발산하는 전장 부품을 추가함으로써, 고주파를 이용하여 음식물이 조리하거나,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과 마그네트론과 같은 전장 부품에서 발산되는 고주파를 함께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능을 부가적으로 제공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고온의 스팀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스팀 오븐이 출시되고 있다. 스팀 오븐은, 고온의 스팀을 이용해 조리실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고, 스팀량에 의해 습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춘 오븐으로서, 음식물이 건조되는 현상을 막아주고, 대량의 다단계 조리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맛과 향의 증발을 차단하여 요리의 맛과 향을 유지시켜 주는 복합적인 기능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스팀 오븐은,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과, 캐비닛의 내부에 배치되어 조리실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조리실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및 조리실의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된다.
또한 스팀공급부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 및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탱크와 스팀발생기 사이에는, 물탱크 내부의 물이 증기발생기로 이동될 수 있도록 급수관이 연결된다. 그리고 스팀발생기는, 물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내부에 수용되는 물저장부, 및 물저장부 내부의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스팀 오븐에서는, 물탱크를 통해 주입된 물이 급수관을 거쳐 물저장부로 유입되고, 물저장부로 유입된 물이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스팀이 생성되며, 이처럼 생성된 스팀이 조리실 내부로 유입되어 조리실 내부를 순환하는 형태로 스팀을 이용한 조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스팀 오븐에서, 물탱크는 물 저장을 위한 단순한 형태의 용기 형태로 제공된다. 즉 종래 스팀 오븐에서, 물탱크는 단순히 물을 저장하였다가 공급하는 기능만을 제공할 뿐,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른 기능은 제공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쵸크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이 협소한 경우에도 안정적인 전자파 차폐 성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물공급장치는: 조리기기의 본체에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전후방향 일측이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개방되게 마련되는 하우징과;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에 물을 투입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투입구가 마련되며, 상기 투입구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되는 삽입위치 및 상기 투입구가 상기 수용공간 외부로 노출되는 인출위치로 위치 변화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물탱크;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물탱크의 위치를 삽입위치 또는 인출위치로 변화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물탱크의 후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후면프레임, 및 상기 후면프레임의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물탱크의 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의 이동과 상기 커넥터의 이동이 연동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물탱크와 상기 커넥터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되, 상기 후면프레임과 한 쌍의 상기 측면프레임이 상기 물탱크의 후면과 양 측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물탱크와 상기 커넥터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물탱크의 위치가 상기 삽입위치일 때 상기 커넥터 전체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물공급장치는: 조리기기의 본체에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전방 측이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개방되게 마련되는 하우징과;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전방 측을 통해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본체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되는 물탱크;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물탱크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물탱크의 후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후면프레임, 및 상기 후면프레임의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물탱크의 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의 이동과 상기 커넥터의 이동이 연동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물탱크와 상기 커넥터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되, 상기 후면프레임과 한 쌍의 상기 측면프레임이 상기 물탱크의 후면과 양 측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물탱크와 상기 커넥터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물탱크가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될 때 상기 커넥터가 상기 본체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마련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스팀공급장치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도록 동작되는 스팀발생부와; 상기 스팀발생부에 공급되는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 및 상기 물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물이 상기 스팀발생부로 이동하는 통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물공급장치와 상기 스팀발생부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장치는, 조리기기의 본체에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전후방향 일측이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개방되게 마련되는 하우징과;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에 물을 투입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투입구가 마련되며, 상기 투입구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되는 삽입위치 및 상기 투입구가 상기 수용공간 외부로 노출되는 인출위치로 위치 변화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물탱크;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물탱크의 위치를 삽입위치 또는 인출위치로 변화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물탱크의 후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후면프레임, 및 상기 후면프레임의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물탱크의 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의 이동과 상기 커넥터의 이동이 연동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물탱크와 상기 커넥터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되, 상기 후면프레임과 한 쌍의 상기 측면프레임이 상기 물탱크의 후면과 양 측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물탱크와 상기 커넥터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물탱크의 위치가 상기 삽입위치일 때 상기 커넥터 전체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내부에 조리실이 마련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팀공급장치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도록 동작되는 스팀발생부와; 상기 스팀발생부에 공급되는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장치; 및 상기 물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물이 상기 스팀발생부로 이동하는 통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물공급장치와 상기 스팀발생부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고, 상기 물공급장치는, 조리기기의 본체에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전후방향 일측이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개방되게 마련되는 하우징과;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에 물을 투입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투입구가 전방 측에 마련되며, 상기 투입구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되는 삽입위치 및 상기 투입구가 상기 수용공간 외부로 노출되는 인출위치로 위치 변화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물탱크;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물탱크의 위치를 삽입위치 또는 인출위치로 변화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물탱크의 후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후면프레임, 및 상기 후면프레임의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물탱크의 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의 이동과 상기 커넥터의 이동이 연동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물탱크와 상기 커넥터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되, 상기 후면프레임과 한 쌍의 상기 측면프레임이 상기 물탱크의 후면과 양 측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물탱크와 상기 커넥터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물탱크의 위치가 상기 삽입위치일 때 상기 커넥터 전체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간편한 누름 조작만으로 물탱크를 본체 내부에 고정하거나 인출할 수 있는 기능, 물탱크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도 투입구 개폐를 위한 별도의 조작 없이 쉽고 편리하게 물을 물탱크에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물탱크의 위치에 따라 스팀공급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 물탱크의 인출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감성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이 하나의 물공급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에게 향상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물공급장치는: 조리기기의 본체에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전후방향 일측이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개방되게 마련되는 하우징과;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에 물을 투입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투입구가 전방 측에 마련되며, 상기 투입구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되는 삽입위치 및 상기 투입구가 상기 수용공간 외부로 노출되는 인출위치로 위치 변화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물탱크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물탱크의 위치를 삽입위치 또는 인출위치로 변화시키는 커넥터; 및 상기 물탱크를 상기 인출위치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물탱크가 상기 삽입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커넥터와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 및 상기 물탱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설치되고, 상기 동력발생부는, 일측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커넥터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일측과 타측 간의 거리가 증가되면서 상기 커넥터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물탱크를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구조물과,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이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기 위한 구조물과, 상기 물탱크가 상기 삽입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커넥터 및 상기 물탱크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는, 상기 물탱크의 이동과 상기 커넥터의 이동이 연동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되, 상기 커넥터 및 상기 하우징과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물탱크는, 상기 커넥터 및 상기 하우징과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조비용을 낮추면서 제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리작업의 난이도 및 수리비용을 낮출 수 있을 뿐 아니라, 세척이나 수리 등을 위한 물탱크 탈거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물탱크의 위치가 상기 삽입위치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삽입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는,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이 상기 물탱크의 외부로 이동하기 위한 통로를 이루며 상기 물탱크의 후방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물탱크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물탱크노즐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물탱크노즐을 상기 연결관과 연결하는 튜브서포터가 설치되고, 상기 물탱크노즐은, 상기 물탱크가 삽입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튜브서포터와 결합되고, 상기 삽입감지부는, 상기 물탱크와 접촉되어 상기 물탱크가 상기 삽입위치에 위치함을 감지하고, 상기 스팀발생부는, 상기 삽입감지부가 상기 물탱크가 상기 삽입위치에 위치함을 감지할 때에만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물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태에서 스팀히터가 불필요하게 가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스팀히터의 불필요한 가동으로 인한 전력 낭비 및 스팀히터의 과열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에 따르면, 간편한 누름 조작만으로 물탱크를 본체 내부에 고정하거나 인출할 수 있는 기능, 물탱크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도 투입구 개폐를 위한 별도의 조작 없이 쉽고 편리하게 물을 물탱크에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물탱크의 위치에 따라 스팀공급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 물탱크의 인출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감성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이 하나의 물공급장치를 통해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향상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탱크와 커넥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별도의 부품으로 마련되고 물탱크가 커넥터를 통해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제조비용을 낮추면서 제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리작업의 난이도 및 수리비용을 낮출 수 있을 뿐 아니라, 세척이나 수리 등을 위한 물탱크 탈거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태에서 스팀히터가 불필요하게 가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스팀히터의 불필요한 가동으로 인한 전력 낭비 및 스팀히터의 과열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물공급장치의 물탱크 인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물공급장치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물탱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개폐홀더의 투입구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물탱크와 커넥터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물공급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D"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E"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F"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1의 "G"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1에 도시된 물공급장치의 물탱크 인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도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조리기기의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이하, 본체(10)가 오븐 등과 같은 밀폐형 조리기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이러한 본체(10)의 내부공간에는,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11)이 위치한다.
조리실(11)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조리실(11)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실(11)의 내부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한다. 즉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조리실(11)의 내부공간이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다.
조리실(11)의 후측에는 뜨거운 공기를 대류시켜 조리실(11)의 내부공간을 가열하는 컨벡션부(15)가 제공될 수 있고, 조리실(11)의 상측에는 조리실(11)의 내부공간을 상측에서 가열하는 상부히터가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조리실(11)의 하측에도 조리실(11)의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가열하는 하부히터가 더 제공될 수도 있다.
본체(10)에는, 조리실(1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12)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일례로서, 도어(12)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하는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조리실(11)을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12)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앞면에는 사용자가 도어(12)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 파지하도록 핸들(13)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스팀공급장치(20)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스팀공급장치(20)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조리실(11)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제공되며, 스팀발생부(21)와 물공급장치(200) 및 연결관(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스팀발생부(21)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도록 동작되는 구성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스팀발생부(21)가 조리실(1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본체(10)의 하부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팀발생부(21)의 설치 위치는 스팀발생부(21)의 상세 구성과 조리실(11)의 구조 및 이에 따른 스팀 공급 효율을 고려하여 최적화된 어느 위치로도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부(21)는, 물공급장치(200)로부터 연결관(25)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는 물저장조(22)와, 물저장조(22)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히터(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물공급장치(200)는, 스팀발생부(21)에 공급되기 위한 물을 저장 및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물공급장치(200)는 조리실(1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본체(10)의 상부 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공급장치(200)의 설치 위치는 고온 상태의 조리실(11) 내부의 열로부터의 영향이 적고 후술할 물탱크(220)의 인출이 용이하며 스팀발생부(21)로의 물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선택된 어느 위치라도 가능하다.
상기 물공급장치(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에 설치되는 하우징(210)과 하우징(210)에 설치되는 물탱크(220) 및 물탱크(220)를 상기 하우징(210)에 인출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커넥터(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물공급장치(200)를 이루는 구성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연결관(25)은, 물공급장치(200)에서 공급되는 물이 스팀발생부(21)로 이동하는 통로가 형성되도록 물공급장치(200)와 스팀발생부(21)를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관(25)은, 플렉서블한 튜브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고, 금속 재질의 파이프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연결관(25)은, 물공급장치(200)로부터 조리실(11)을 우회하여 스팀발생부(21)와 연결되되, 조리실(11)의 후방 측으로 우회하는 경로를 통해 스팀발생부(21)와 연결될 수도 있고, 조리실(11)의 측방 측으로 우회하는 경로를 통해 스팀발생부(21)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물공급장치(20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연결관(25)을 통해 물저장조(22)로 유입되고, 물저장조(22)로 유입된 물이 스팀히터(23)에 의해 가열되어 스팀이 생성되며, 이처럼 생성된 스팀이 조리실(11) 내부로 유입되어 조리실(11) 내부를 순환하는 형태로 스팀을 이용한 조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물공급장치(200)로부터 이루어지는 물의 공급은, 물공급장치(200)와 물저장조(22) 간의 높이 차 또는 압력 차에 의한 힘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물저장조(22) 또는 연결관(25) 측에 설치되는 펌프(미도시)의 동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물공급장치의 전체적인 구성]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물공급장치의 물탱크 인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물공급장치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물공급장치(200)는, 하우징(210)과 물탱크(220) 및 커넥터(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210)은, 조리기기의 본체(10)에 설치되며,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박스 형태로 마련된다. 이러한 하우징(210)은, 물공급장치(200)를 이루는 각종 구성들이 수용 및 설치되기 위한 골격을 이루는 한편, 물공급장치(200)를 본체(10)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21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하우징(210)의 전후방향 일측, 즉 하우징(210)의 전방 측은,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이 본체(10)의 외측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개방되게 형성된다. 하우징(210) 내부의 수용공간은 후술할 물탱크(220)가 수용되기 위한 공간으로 형성되며, 하우징(210)의 개방된 전방 측은 하우징(210) 내부에 설치된 물탱크(220)가 본체(10)의 외부로 인출되기 위한 통로가 된다.
물탱크(220)가 수용되는 하우징(210)의 상부면에는, 소정의 구성을 장착할 수 있는 장착부(213)가 마련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가령, 상기 장착부(213)는 물탱크의 상부에서 물탱크에 인접하여 배치되므로, 상기 장착부(213)에는 물탱크와 관련된 소정의 부품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물탱크(220)는 물을 저장하고 저장된 물을 스팀발생부(21; 도 1 참조)로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물탱크(220)의 내부에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물탱크(220)는 하우징(210) 내부의 수용공간의 형상에 대응되는 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물탱크(220)의 상부에는 물탱크(220)의 외부로부터 저장공간에 물을 투입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투입구(221)가 마련되며, 투입구(221)는 물탱크(220)의 상부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되, 물탱크(220)의 전방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물탱크(220)는, 하우징(210) 내부에 설치되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물탱크(220)는, 물탱크(220)의 전체 영역이 하우징(210) 내부의 수용공간 내에 위치할 수 있게 물탱크(220)의 내부에 설치되며, 하우징(210)의 개구된 전방 측을 통해 하우징(210) 및 본체(10)의 외부로 인출될 수도 있다.
즉 물탱크(220)는, 삽입위치와 인출위치로 위치 변화 가능하도록 하우징(210)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삽입위치는 물탱크(220)의 전방 측에 형성된 투입구(221)가 하우징(210)의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되도록 물탱크(220)의 전체 영역이 하우징(210) 내부의 수용공간 내에 삽입된 위치인 것으로 정의되며, 인출위치는 투입구(221)가 하우징(210)의 수용공간 및 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물탱크(220)가 전방 측으로 이동된 위치인 것으로 정의된다.
커넥터(230)는, 물탱크(220)를 하우징(2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마련된 구성이다. 이러한 커넥터(230)는, 수용공간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210)에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물탱크(220)의 위치를 삽입위치 또는 인출위치로 변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의 바닥 양쪽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굴곡 형상이 마련되는데, 상기 물탱크(220)와 커넥터(230)는 이러한 굴곡 형상부의 안내를 받아 전후로 이동하는 것이 가이드 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230)에는, 물탱크(220)를 하우징(2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구조물, 그리고 물탱크(220)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부품, 물탱크(220)의 위치를 하우징(210) 내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품 등이 연결되기 위한 구조물이 마련된다.
즉 본 실시예의 물공급장치(200)는, 물탱크(220)를 하우징(2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구조물(예 : 슬라이딩돌기(233)), 그리고 물탱크(220)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부품(예 : 동력발생부(250)), 물탱크(220)의 위치를 하우징(210) 내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품(예 : 고정부(270)) 등이 연결되기 위한 구조물들이 물탱크(220)에 직접 마련되는 형태로 제공되지 않으며, 이들 구조물들이 물탱크(220)와 별도의 부품으로 제공되는 커넥터(230)에 마련되고 이러한 커넥터(230)에 물탱크(220)가 결합됨으로써 물탱크(220)가 커넥터(230)를 통해 간접적으로 상기 구조물들을 포함하게 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물들이 물탱크(220)에 직접 마련될 경우, 물탱크(220)의 형상 및 구조가 지나치게 복잡해지게 되어 제조가 까다로워지고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뿐 아니라, 물탱크(220)와 다른 부품들 간의 연결 부분이 파손될 경우 그 해당 부분만이 아니라 물탱크(220)까지 교체하여야 하는 불합리한 상황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조물들을 직접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된 물탱크(220)가 하우징(210) 내에 설치되면, 물탱크(220)와 다른 부품들 간에 형성된 복잡한 연결 관계 때문에, 세척이나 수리 등을 위해 물탱크(220)를 하우징(210)으로부터 탈거하기가 매우 까다로워지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물탱크(220)와 같이 물을 저장하기 위한 구성과 커넥터(230)와 같이 물탱크(220)를 하우징(2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구성이 각각 별도로 마련되고, 물탱크(220)는 하우징(2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넥터(230)와의 결합을 통해 하우징(2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서로 별도의 구성으로 마련된 물탱크(220)와 커넥터(230)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성이 제공된다.
이에 따르면, 일체로 형성될 경우 형상 및 구조가 지나치게 복잡해질 수 있는 두 구성을 별도로 제조하여 제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되고, 커넥터(230)와 같이 구조상 파손 위험이 큰 부품을 분리하여 수리작업의 난이도 및 수리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세척이나 수리 등을 위해 물탱크(220)를 하우징(210)으로부터 탈거하는 작업이 매우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물공급장치(200)는, 동력발생부(250)와 댐퍼(260)와 고정부(270) 및 삽입감지부(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력발생부(250)는 커넥터(230)와 연결되어 물탱크(220)를 삽입위치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며, 댐퍼(260)는 물탱크(220)를 이동시키는 커넥터(230)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고정부(270)는 물탱크(220)가 삽입위치에 위치할 때 커넥터(230)와 결합되어 커넥터(230) 및 물탱크(220)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며, 삽입감지부(280)는 물탱크(220)의 위치가 삽입위치인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된다.
동력발생부(250)와 댐퍼(260)와 고정부(270) 및 삽입감지부(28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물탱크의 구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물탱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개폐홀더의 투입구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5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물탱크(220)는 하부탱크부(220a)와 상부탱크부(220b)를 포함한다.
하부탱크부(220a)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탱크부(220b)는 하부탱크부(220a)의 상부에 결합되어 하부탱크부(220a)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물탱크(220)의 하부를 이루는 하부탱크부(220a)의 내부에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하부탱크부(220a)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상부탱크부(220b)는 물탱크(220)의 상부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하부탱크부(220a)와 상부탱크부(220b)의 결합 부분에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실리콘 고무 재질의 패킹부(220c)가 개재되어 하부탱크부(220a)와 상부탱크부(220b)의 결합 부분을 실링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하부탱크부(220a)와 상부탱크부(220b)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지는 물탱크(220)는 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제공되며, 이러한 물탱크(220)의 배면과 측면을 연결하는 모서리는 곡면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탱크부(220a)의 하부면과 상부탱크부(220b)의 상부면에는 돌출결합부(225)가 각각 형성되는데, 이러한 돌출결합부(225)는 물탱크(220)의 배면과 측면을 연결하는 곡면 형태의 모서리로부터 평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돌출결합부(225)는 물탱크(220)와 커넥터(230) 간의 결합을 위해 마련되는 부분으로서, 물탱크(220)는 이 돌출결합부(225)를 통해 커넥터(230)와 결합되며, 이로써 물탱크(220)의 이동과 커넥터(230)의 이동이 연동되게 이루어지도록 물탱크(220)와 커넥터(23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물탱크(220)와 커넥터(230) 간의 결합은, 필요에 따라 물탱크(220)가 커넥터(230) 및 하우징(210)과 분리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물탱크(220)는, 하우징(2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를 통해 본체(10)에 설치되되, 필요에 따라 본체(1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물탱크(220)는 그 전면이 하우징(210)의 외부는 물론, 본체(10)의 외부로도 노출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본체(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인 물탱크(220)의 전면에는 장식패널(227)이 부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장식패널(227)은 본체(10)의 외관을 이루는 외부케이스와의 일체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재질 및 색상으로 마련됨으로써, 제품 전체의 미감이 유지되는데 기여할 수 있다.
아울러 물탱크(220)의 전면 및 이에 부착되는 장식패널(227)의 일부분에는 수위표시창(w)이 마련될 수도 있다. 수위표시창(w)은, 물탱크(220) 내부에 저장된 물의 수위를 사용자가 물탱크(220) 및 본체(10)의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물탱크(220)의 전면 및 장식패널(227)의 일부분에 관통공을 형성한 후 투명재질의 커버를 부착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부탱크부(220b)에 의해 제공되는 물탱크(220)의 상부면에는 물탱크(220)의 외부로부터 저장공간에 물을 투입하기 위한 통로인 투입구(221)가 관통되게 형성되며, 이와 같이 투입구(221)가 형성된 물탱크(220)에는, 투입구(221)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홀더(223)가 설치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개폐홀더(223)는, 투입구(221)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물탱크(220)에 설치되되, 물탱크(2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투입구(221)의 개폐하는 형태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개폐홀더(223)는 덮개부(223a)와 연장부(223c) 및 힌지부(22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덮개부(223a)는, 투입구(221)의 하부를 덮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투입구(221)를 덮을 수 있는 면적을 갖는 판재 형태로 형성되며, 투입구(221)의 하부에 배치된다.
또한 연장부(223c)는, 덮개부(223a)로부터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개폐홀더(223)와 물탱크(220)의 결합 부분인 힌지부(223b)를 사이에 두고 덮개부(223a)로부터 투입구(221)의 외측을 향한 부분으로 연장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힌지부(223b)는, 덮개부(223a)와 연장부(223c) 사이에서 개폐홀더(223)를 물탱크(2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부분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장부(223c)는 덮개부(223a)와 마찬가지로 투입구(221)가 형성된 상부탱크부(220b)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이러한 연장부(223c)에는 개폐홀더(223)의 무게중심이 연장부(223c) 측에 치우치게 위치하도록 중량을 제공하는 중량부가 형성된다.
즉 개폐홀더(223)는 덮개부(223a)가 상승하고 연장부(223c)가 하강하는 이하 "폐쇄방향"이라 한다)으로 회동되거나 그 반대로 덮개부(223a)가 하강하고 연장부(223c)가 상승하는 이하 "개방방향"이라 한다)으로 회동될 수 있게 물탱크(220) 상에 설치되는데, 그 무게중심이 연장부(223c) 측에 치우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투입구(221)는 상부탱크부(220b)에 의해 형성되는 물탱크(220)의 상부면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투입구(221)의 주변에는 물탱크(220)의 상부면과 투입구(221) 사이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경사면(222)이 형성된다. 경사면(222)은 투입구(221) 주변을 둘러싸는 경사진 격벽 형태로 형성되며, 물탱크(220)의 외부에서 투입구(221) 측으로 투입되는 물은 경사면(222)을 타고 투입구(221) 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경사면(222)의 하부에는, 개폐홀더(223)가 개방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 연장부(223c) 및 중량부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개폐홀더(223)는, 이러한 경사면(222)보다 하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되는데, 그 무게중심이 연장부(223c) 측에 치우치게 설치되므로, 항상 폐쇄방향으로 회동하려는 힘을 받게 된다. 그리고 폐쇄방향으로 회동한 개폐홀더(223)는, 그 상부에 위치한 경사면(222)의 하측 단부와 간섭되어 더 이상의 회동이 구속되면서 투입구(221)를 폐쇄하게 된다.
사용자가 투입구(221)에 물을 부어 물탱크(220)에 물을 보충하고자 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222)으로 둘러싸인 투입구(221)의 상부로 부어진 물이 개폐홀더(223)의 덮개부(223a)를 누르게 되고, 이처럼 덮개부(223a)를 누르는 물의 무게에 의해 개폐홀더(223)를 개방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힘이 개폐홀더(223)에 의해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개폐홀더(223)가 개방방향으로 회동되면서 투입구(221)가 개방되고, 이와 같이 개방된 투입구(221)를 통해 물탱크(220)의 저장공간으로 물이 투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물의 보충이 완료되어 물 투입이 중지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홀더(223)가 다시 폐쇄방향으로 회동하여 투입구(221)를 폐쇄함으로써, 물탱크(220)에 물이 저장되어 있는 동안 물탱크(22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개폐홀더(223)에 마련되는 중량부의 중량은, 개폐홀더(223)가 투입구(221)를 안정적으로 폐쇄할 수 있을 정도로 개폐홀더(223)의 폐쇄방향으로의 회동을 유도할 수 있는 중량이면서도 투입구(221)에 물이 투입될 때에는 투입구(221)에 투입되는 물의 무게에 의해 개폐홀더(223)가 개방방향으로 원활하게 회동할 수 있을 정도의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에는, 상기와 같이 물탱크(220)의 내부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인 물탱크노즐(224)의 구성이 예시되어 있다.
물탱크노즐(224)은, 물탱크(220) 내부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이 물탱크(220)의 외부로 이동하기 위한 통로를 이루는 구성으로서, 적어도 일부분이 물탱크(220)의 후방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물탱크노즐(224)은 물탱크(220)의 내부에 삽입된 부분과 물탱크(220)의 외부로 돌출되는 부분이 "「"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경질의 튜브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물탱크노즐(224)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물탱크(220) 내부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이 물탱크(220)의 외부로 이동하기 위한 통로를 이루며, 물탱크노즐(224)의 하측 단부는 물탱크노즐(224)의 중공이 물탱크노즐(224)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개방되어 있다.
상기 물탱크노즐(224)은 물탱크(220)의 내부에 삽입된 하측 단부가 물탱크(220)의 바닥면에 인접되게 설치되는데, 물탱크노즐(224)의 하측 단부와 물탱크(220)의 바닥면 간의 간격은 물탱크노즐(224)의 하측 단부를 통해 물의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대한 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탱크노즐(224)의 하측 단부와 물탱크(220)의 바닥면 간의 간격은, 물탱크노즐(224)의 하측 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224a)에 의해 설정 및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돌기(224a)는 물탱크노즐(224)의 하측 단부로부터 물탱크(220)의 바닥면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와 같이 형성된 돌기(224a)는 물탱크(220)의 바닥면과 간섭되어 물탱크노즐(224)의 개방된 하측 단부를 물탱크(220)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로써 물탱크노즐(224)의 하측 단부는 물탱크노즐(224)의 하측 단부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224a)의 높이에 대응하는 만큼 물탱크(220)의 바닥면과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물탱크(220)의 바닥면 중 물탱크노즐(224)의 하측 단부가 위치되는 영역, 즉 돌기(224a)와 간섭되는 일부 영역은, 물탱크노즐(224)의 하측 단부가 물탱크(220)의 내부에서 좀 더 하부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물탱크(220)의 바닥면의 다른 영역에 비해 하부방향으로 좀 더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물탱크노즐(224)로의 물의 유입이 이루어지는 물탱크노즐(224)의 하측 단부가 물탱크(220)의 바닥면 높이에 가까운 높이에 위치할 수 있게 되므로, 물탱크노즐(224)을 통한 물의 이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물탱크노즐(224)의 외부 돌출 부분은,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의 배면 측을 향하도록 물탱크(220)의 후방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210)의 배면 측에는, 물탱크노즐(224)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튜브서포터(240)가 설치된다.
튜브서포터(240)는, 하우징(210)의 배면 측에 설치되되, 물탱크(220)를 향한 일측이 하우징(210)을 관통하여 물탱크(220) 측으로 노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튜브서포터(240)의 일측은 물탱크노즐(224)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튜브서포터(240)의 타측은 연결관(25)과 연결되며, 물탱크노즐(224)과 연결관(25)은 튜브서포터(240)와의 연결을 매개로 서로 연결된다.
아울러, 튜브서포터(240)에는 패킹가스켓(245)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패킹가스켓(245)은 물탱크노즐(224)과 튜브서포터(240) 사이를 실링하여 물탱크노즐(224)과 튜브서포터(240)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마련된다.
상기 물탱크노즐(224)은 물탱크(220)가 삽입위치에 위치할 때 튜브서포터(240)와 결합되며, 물탱크노즐(224)이 튜브서포터(240)와 결합될 때 물탱크노즐(224)과 연결관(25)이 서로 연결되며 스팀발생부(2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물탱크(220)가 인출위치 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물탱크노즐(224)과 튜브서포터(240) 간의 결합이 해제되며, 이에 따라 물탱크노즐(224)과 연결관(25) 간의 연결이 해제되면서 스팀발생부(21)로의 물 공급이 중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물탱크(220)가 설치되는 하우징(210)에는, 개구부(215)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부(215)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의 상부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며, 하우징(210) 내부의 수용공간 및 하우징(210) 내부에 삽입된 물탱크(220)의 일부분이 상기 개구부를 통해 하우징(210)의 상부로 노출된다. 상기 개구부(215)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의 전후방향 타측, 즉 하우징(210)의 후방 측에 치우치게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210)의 후방 측에 배치된 구성품들, 예를 들어 물탱크노즐(224)의 외부 돌출 부분, 튜브서포터(240), 패킹가스켓(245), 고정부(270)와 같은 구성품들 역시 상기 개구부(215)를 통해 하우징(210)의 상부로 노출됨은 자명하다.
상기 개구부(215)를 통해 상기 구성품들이나 물탱크 등이 노출되므로, 이를 통해 구성품의 설치가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물탱크노즐(224)과 튜브서포터(240) 간의 연결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등을 확인하거나, 고정부(270)와 같은 구성품의 마모, 파손 시 이를 수리, 교체하는 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우징의 측면 일부가 개방된 구조가 예시되고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하우징의 측면이 반드시 개방되어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물탱크와 커넥터의 결합 구조]
도 9는 도 5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물탱크와 커넥터 간의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탱크부(220a)의 하부면과 상부탱크부(220b)의 상부면에는 돌출결합부(225)가 각각 형성되는데, 이러한 돌출결합부(225)는 물탱크(220)의 배면과 측면을 연결하는 곡면 형태의 모서리로부터 평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커넥터(230)는, 물탱크(220)를 하우징(2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마련된 구성으로서, 후면프레임(230a) 및 측면프레임(230b)을 포함한다. 이 중 후면프레임(230a)은 물탱크(220)의 후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프레임이며, 측면프레임(230b)은 후면프레임(230a)의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물탱크(220)의 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프레임에 해당된다. 본 실시예에서, 커넥터(230)는 후면프레임(230a)과 한 쌍의 측면프레임(230b)이 "ㄷ"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리고 이러한 커넥터(230)는, 물탱크(220)와 결합되었을 때 후면프레임(230a)이 물탱크(220)의 배면과 밀착되고 각각의 측면프레임(230b)이 물탱크(220)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탱크(220)는 물탱크(220)의 이동과 커넥터(230)의 이동이 연동되게 이루어지도록 커넥터(230)에 결합되되, 커넥터(230) 및 하우징(210)과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커넥터(2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하, 물탱크(220)와 커넥터(230) 간의 착탈 가능한 결합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와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후면프레임(230a)과 측면프레임(230b)이 연결되는 커넥터(230)의 내측 모서리에는, 커넥터(230)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지지리브(231)가 형성된다. 이러한 지지리브(231)의 상부면과 하부면에는 물탱크(220), 좀 더 구체적으로는 물탱크(220)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결합부(225)와의 결합면을 제공하는 리브결합부(231a)가 각각 형성된다.
한편 물탱크(220)의 하부면과 상부면에 각각 형성된 돌출결합부(225), 즉 하부탱크부(220a)의 하부면에 형성된 돌출결합부(225)와 상부탱크부(220b)의 상부면에 형성된 돌출결합부(225)는, 지지리브(231)의 하부면에 형성된 리브결합부(231a)와 지지리브(231)의 상부면에 형성된 리브결합부(231a) 간의 간격에 대응되는 간격만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아울러 돌출결합부(225)의 리브결합부(231a)와 마주보는 면에는, 결합돌기(226)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리브(231)의 돌출결합부(225)와 마주보는 면, 즉 리브결합부(231a)에는, 결합돌기(226)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231b)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물탱크(220)와 커넥터(230) 간의 결합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물탱크(220)가 후면프레임(230a)과 측면프레임(230b)으로 둘러싸인 커넥터(230)의 내측 공간에 삽입되도록, 물탱크(220)를 커넥터(230)의 개구된 전방 측을 통해 커넥터(230)의 내측 공간 측으로 밀어 넣으면, 물탱크(220)의 배면과 양측면을 커넥터(230)가 "ㄷ" 형상으로 둘러싸는 형태로 물탱크(220)와 커넥터(23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때 물탱크(220)의 배면이 후면프레임(230a)에 닿을 때까지 물탱크(220)를 커넥터(230)의 내측 공간으로 밀어넣게 되면, 돌출결합부(225)와 지지리브(231)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다. 돌출결합부(225)와 지지리브(231) 간의 결합은 물탱크(220)의 하부면과 상부면에 각각 마련된 돌출결합부(225) 사이의 공간에 지지리브(231)가 끼워 넣어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때 돌출결합부(225)와 리브결합부(231a)는 서로 면접촉이 이루어지도록 밀착되고 결합돌기(226)는 끼움홈(231b)에 끼움 결합되는 형태로 돌출결합부(225)와 지지리브(231) 간의 착탈 가능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르면, 돌출결합부(225)와 지지리브(231) 간의 착탈 가능한 결합은 결합돌기(226)와 끼움홈(231b) 간의 끼움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결합돌기(226)는, 돌출결합부(225) 상에서의 슬라이딩 및 끼움홈(231b)으로부터의 이탈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지리브(231)와 접촉되는 접촉면이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돌출결합부(225)와 지지리브(231) 간의 착탈 가능한 결합을 통해, 물탱크(220)와 커넥터(230) 간의 착탈 가능한 결합 구조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공되는 물탱크(220)와 커넥터(230) 간의 착탈 가능한 결합 구조에 의해, 필요시 물탱크(220)가 커넥터(230) 및 하우징(210)으로부터 쉽고 빠르게 탈거될 수 있게 되므로, 세척이나 수리 등을 위해 물탱크(220)를 하우징(210)으로부터 탈거하는 작업이 매우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물탱크 및 커넥터의 이동 구조]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물공급장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D"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1의 "E"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11을 참조하면, 커넥터(230)의 각 측면프레임(230b)에는 슬라이딩돌기(233)가 각각 구비되고, 하우징(210)의 각 측부에는 슬라이딩레일(211)이 각각 형성된다.
각각의 슬라이딩돌기(233)는, 측면프레임(230b)에 구비되며, 측면프레임(230b)과 마주보는 하우징(210)의 측부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되, 하우징(210)의 측부에 형성된 슬라이딩레일(211)에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슬라이딩레일(211)은 측면프레임(230b)과 마주보는 하우징(210)의 각 측부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각각의 슬라이딩레일(211)에는 슬라이딩돌기(233)가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슬라이딩돌기(233)와 슬라이딩레일(211) 간의 슬라이딩 가능한 결합에 의해 커넥터(230)는 하우징(21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커넥터(230)에 결합된 물탱크(220)는 커넥터(230)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위치가 변화될 수 있도록 하우징(2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커넥터(2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내측 모서리에 지지리브(231)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측면에 슬라이딩돌기(233)가 돌출되게 형성된 형태로 마련된다. 이와 같이 커넥터(230)에 형성되는 지지리브(231) 및 슬라이딩돌기(233)는, 커넥터(230)와 물탱크(220) 간의 착탈 가능한 결합을 위한 구조물 및 커넥터(230)와 하우징(210) 간의 슬라이딩 가능한 결합을 위한 구조물 역할을 함과 동시에, 커넥터(230)의 강성을 강화하기 위한 리브 구조물 역할도 함께 제공하게 된다.
즉 커넥터(230)는, 지지리브(231)와 슬라이딩돌기(233)와 같이 그 모서리 및 측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구조물을 통해, 하우징(210) 및 물탱크(220)와의 결합을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는 동시에 두께가 얇고 가벼우면서도 강성이 높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4와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물공급장치(200)는 동력발생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력발생부(250)는, 물탱크(220)를 인출위치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동력발생부(250)는 커넥터(23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10)의 양측 전방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전방을 향해 개방된 고정홈(219)이 마련된다. 상부의 고정홈(219)은 상부로 돌출된 공간을 규정하고, 하부의 고정홈(219)은 하부로 돌출된 공간을 규정한다. 상기 동력발생부(250)는, 상부로 돌출된 축 부분과 하부로 돌출된 축 부분을 구비하고, 상부로 돌출된 축 부분은 상부의 고정홈에, 하부로 돌출된 축 부분은 하부의 고정홈에 끼워지면서, 하우징(210)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끼워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동력발생부(25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의 축을 기준으로 하우징(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원통부재(251)와 이러한 원통부재에 감길 수 있게 설치되는 탄성부재(2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와 같은 동력발생부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띠 형태로 마련되며, 그 일측이 하우징(2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원통부재에 결합되고 타측이 커넥터(230)의 측면프레임(230b)에 마련된 걸이부(239)에 걸려 결합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탄성부재는, 커넥터(230) 및 물탱크(220)가 인출위치에 위치되어 있을 때에는 원통부재에 감겨져 있다가, 삽입위치를 향해 커넥터(23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원통부재로부터 풀려나오는 형태로 그 일측과 타측 간의 거리가 증가되면서 커넥터(230)를 전방으로 다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커넥터(230) 및 이에 결합된 물탱크(220)는 슬라이딩돌기(233)와 슬라이딩레일(211) 간의 슬라이딩 가능한 결합에 의해 하우징(210)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설치된 커넥터(230) 및 물탱크(22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이를 다시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탄성력이 동력발생부(250)에 의해 발생된다. 그리고 후술할 고정부(270)와의 결합에 의해 삽입위치에서 고정되어 있던 커넥터(230) 및 물탱크(220)의 고정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동력발생부(250)에 의해 발생된 탄성력이 커넥터(230)에 작용되면서 커넥터(230) 및 물탱크(220)가 다시 인출위치를 향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동력발생부(250)는 커넥터(230)의 양측에 함께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폭이 넓어 입출 과정에서 좌우 정렬이 중요한 대용량의 물탱크에 있어서, 동력발생부(250)의 탄성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쳐 작용하지 않게 되어 물탱크의 인입과 인출 과정이 보다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4와 도 11 및 도 13을 참조하면, 하우징(210)과 커넥터(230) 사이에는 커넥터(230) 및 이에 결합된 물탱크(220)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측면프레임(230b)에는 랙부재(235)가 각각 하우징(210)의 측부를 향해 돌출되게 구비되고, 하우징(210)의 측부에는 댐퍼(260)가 설치된다.
랙부재(235)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이러한 랙부재(235)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톱니가 형성된다.
댐퍼(260)는, 랙부재(235)와 마주보는 하우징(210)의 측부에 설치되며, 랙부재(235)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커넥터(230)의 이동을 저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댐퍼(260)는 커넥터(230)의 전방을 향한 이동에 대하여만 선택적으로 저항을 가할 수 있는 형태로 마련된다.
일례로서 댐퍼(260)는, 댐퍼(26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의 내부에 점성이 큰 작동 유체가 채워지고, 이와 같이 작동 유체가 채워진 케이스의 내부에 복수 개의 회전부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부재와 함께 회전되도록 회전부재와 결합되어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된 샤프트 및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도록 샤프트에 설치되어 랙부재(235)와 맞물리는 피니언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댐퍼(260)에 따르면, 회전부재가 샤프트를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될 때 작동 유체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큰 저항을 받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샤프트에 같은 회전력이 입력되는 경우에도 샤프트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이 그 반대방향으로의 회전보다 느린 속도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댐퍼(260)는 커넥터(230)의 전방을 향한 이동에 대한 저항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230) 및 이에 결합되는 물탱크(220)는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우징(210)에 설치되되, 인출위치를 향한 전방으로의 이동 속도가 감속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로써 물탱크(220)는 전방으로의 이동시 그 이동 속도가 감속되며 부드럽게 인출될 수 있게 된다.
[커넥터 및 물탱크의 고정 구조]
도 14는 도 11의 "F"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11 및 도 14를 참조하면, 하우징(210)과 커넥터(230) 사이에는 삽입위치에서 커넥터(230) 및 물탱크(22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삽입위치에서 커넥터(230) 및 물탱크(22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커넥터(230)에 고정돌기(237)가 구비되고 하우징(210)에 고정부(270)가 구비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고정돌기(237)는, 커넥터(230), 좀 더 구체적으로는 후면프레임(230a)에 마련되되, 커넥터(230)의 후방 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돌기(237)가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고정부(270)는, 고정돌기(237)와 마주보는 하우징(210)의 후면 측 중앙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고정부(270)는, 물탱크(220)가 삽입위치에 위치할 때 고정돌기(237)와 결합되어 커넥터(230) 및 이에 결합된 물탱크(220)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마련된다.
상기 고정부(270)는, 후크 형태의 고정돌기(237)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커넥터(230) 및 이에 결합된 물탱크(220)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넥터(230)를 매개로 고정돌기(237)와 연결된 물탱크(220)의 전면에 대한 누름 조작의 반복에 의해 고정돌기(237)와 래치기구 간의 결합 및 결합 해제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기구가 래치기구로서 적용된 것으로 예시된다. 또한 고정부(270)는 중앙부에 마련되므로, 고정돌기(237)와 결합되거나 결합 해제될 때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폭이 넓어 입출 과정에서 좌우 정렬이 중요한 대용량의 물탱크에 있어서 고정력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쳐 작용하지 않게 된다.이로써 물탱크(220)는, 커넥터(230)를 매개로 하우징(210)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우징(210) 내에 삽입되거나 투입구(22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인출될 수 있는 한편, 고정돌기(237)와 고정부(270) 간의 착탈 가능한 결합을 매개로 삽입위치에 고정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인출위치로 쉽고 편리하게 인출될 수도 있게 된다. 고정돌기(237)와 고정부(270) 간의 결합이 해제될 때 커넥터(230) 및 물탱크(220)를 인출위치로 이동시키는 동력은 전술한 동력발생부(250)에 의해 제공되며, 이때 댐퍼(260)의 작용에 의해 커넥터(230) 및 물탱크(220)의 이동 속도가 감속됨으로써 물탱크(220)의 인출이 부드럽고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물탱크 위치 감지 구조]
도 15는 도 11의 "G"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11 및 도 15를 참조하면, 하우징(210)과 물탱크(220) 사이에는 물탱크(22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구성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하우징(210)에는 물탱크(220)의 위치가 삽입위치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삽입감지부(28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삽입감지부(280)는 물탱크(220)가 삽입위치에 있을 때 물탱크(220)와 접촉하여 물탱크(220)의 위치를 감지하는 접촉식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 경우 삽입감지부(280)는, 물탱크(220)가 삽입위치에 있을 때, 물탱크(220)의 최후방 측, 예를 들면 물탱크(220)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결합부(225)와 접촉되어 물탱크(220)가 삽입위치에 있음을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예로서, 삽입감지부(280)는 물탱크(220)가 아닌 커넥터(230)와 접촉하여 물탱크(220)의 위치를 간접적으로 감지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그러나 상황에 따라 물탱크(220)가 커넥터(230)와 결합된 정위치로부터 어느 정도 또는 완전히 벗어난 상태에서 커넥터(230)의 이동이 이루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음을 감안하면, 이러한 형태보다는 삽입감지부(280)가 물탱크(220)와 직접 접촉하여 물탱크(220)의 위치를 감지하는 것이 좀 더 바람직하다고 할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220)가 삽입위치에 위치할 때 물탱크노즐(224)과 연결관(25)이 서로 연결되며 스팀발생부(21; 도 1 참조)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물탱크(220)가 인출위치 측으로 이동하여 삽입위치에서 벗어나게 되면 물탱크노즐(224)과 연결관(25) 간의 연결이 해제되면서 스팀발생부(21)로의 물 공급이 중단된다.
즉, 도 1과 도 11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220)가 삽입위치에서 벗어나 있을 때에는 스팀발생부(2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없는 상태인 것이고, 물탱크(220)가 삽입위치에 있을 때에는 스팀발생부(2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인 것이며, 스팀발생부(2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는 물탱크(220)의 위치가 삽입위치인지 여부를 삽입감지부(280)가 감지함으로써 파악될 수 있다.
한편 물탱크노즐(224)과 연결관(25) 간의 연결을 매개로 물탱크(220)와 연결되는 스팀발생부(21)는, 물탱크(220)가 삽입위치에 위치함이 삽입감지부(280)에 의해 감지될 때에만 동작된다.
이에 따르면, 물탱크(220)가 삽입위치에 위치함이 삽입감지부(280)에 의해 감지될 때, 즉 물탱크노즐(224)과 연결관(25)이 서로 연결되어 스팀발생부(2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을 때에만 스팀히터(23)가 물저장조(22)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도록 동작되고, 물탱크노즐(224)과 연결관(25) 간의 연결이 해제되어 스팀발생부(2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할 때에는 스팀히터(23)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스팀히터(23)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이로써 스팀발생부(2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스팀히터(23)가 가동되더라도 스팀을 생성하기 어려운 상태에서 스팀히터(23)가 불필요하게 가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스팀히터(23)의 불필요한 가동으로 인한 전력 낭비 및 스팀히터(23)의 과열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스팀공급장치의 작용 및 효과]
도 16은 도 11에 도시된 물공급장치의 물탱크 인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팀공급장치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스팀공급장치(20)는 조리기기의 본체(10) 내부에 설치되며, 이 중 스팀발생부(21)는 조리실(11)의 하부 측에 설치되고, 물공급장치(200)는 본체(10)의 전면 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물공급장치(200)는, 스팀발생부(21)에 공급되기 위한 물을 저장 및 공급하도록 마련되는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에 설치되는 하우징(210)에 물탱크(220)가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물탱크(220)는, 삽입위치와 인출위치로 위치 변화 가능하도록 하우징(210)에 설치되며, 물탱크(220)가 삽입위치에 고정된 상태일 때에는 물탱크노즐(224)과 연결관(25)이 서로 연결되어 스팀발생부(2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가 되고, 물탱크(220)가 인출위치로 인출된 상태일 때에는 사용자가 본체(10) 외부로 노출된 투입구(221)를 통해 물탱크(220)의 내부로 물을 투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의 물공급장치(200)는, 스팀발생부(21)에 공급되기 위한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기 위한 구성인 물탱크(220)와 물탱크(220)를 하우징(2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인 커넥터(230)가 별도로 마련되고 이들이 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4와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결합부(225)와 지지리브(231) 간의 착탈 가능한 결합을 통해, 물탱크(220)와 커넥터(230) 간의 착탈 가능한 결합 구조가 제공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공되는 물탱크(220)와 커넥터(230) 간의 착탈 가능한 결합 구조에 의해, 필요시 물탱크(220)가 커넥터(230) 및 하우징(210)으로부터 쉽고 빠르게 탈거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탱크(220)와 커넥터(230)가 별물로 마련됨으로써, 일체로 형성될 경우 형상 및 구조가 지나치게 복잡해질 수 있는 두 구성을 별도로 제조하여 제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되고, 커넥터(230)와 같이 구조상 파손 위험이 큰 부품을 분리하여 수리작업의 난이도 및 수리비용을 낮출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세척이나 수리 등을 위해 물탱크(220)를 하우징(210)으로부터 탈거하는 작업이 매우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220)가 인출위치로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투입구(221)를 향해 물을 부어주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구(221)로 부어진 물의 무게에 의해 개폐홀더(223)가 회동되여 투입구(221)가 개방되고, 투입구(221)로 부어진 물은 이와 같이 개방된 투입구(221)를 통해 물탱크(220)의 내부로 투입되어 물탱크(220) 내부의 저장공간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물의 보충이 완료되어 물 투입이 중지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홀더(223)가 다시 폐쇄방향으로 회동하여 투입구(221)를 자동으로 폐쇄함으로써, 물탱크(220)에 물이 저장되어 있는 동안 물탱크(22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물탱크(220)로의 물의 공급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물탱크(220)를 후방 측으로 밀어 넣으면, 물탱크(220) 및 커넥터(230)가 후방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물탱크(220) 및 커넥터(230)의 이동이 물탱크(220)가 삽입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이루어지면, 도 11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230)의 후방 측에 돌출되게 구비된 고정돌기(237)와 하우징(210)에 설치된 고정부(27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면서 물탱크(220)가 삽입위치에 위치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물탱크(220)가 하우징(210) 상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물탱크(220)가 삽입위치에 있을 때에는, 도 1과 도 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노즐(224)과 연결관(25)이 서로 연결되어 스팀발생부(2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이는 물탱크(220)의 위치가 삽입위치인지 여부를 감지하도록 마련된 삽입감지부(28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220)가 삽입위치에 위치함이 삽입감지부(280)에 의해 감지될 때, 즉 물탱크노즐(224)과 연결관(25)이 서로 연결되어 스팀발생부(2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을 때에만 스팀히터(23)가 물저장조(22)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도록 동작되고, 물탱크노즐(224)과 연결관(25) 간의 연결이 해제되어 스팀발생부(2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할 때에는 스팀히터(23)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스팀히터(23)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이로써 스팀발생부(2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스팀히터(23)가 가동되더라도 스팀을 생성하기 어려운 상태에서 스팀히터(23)가 불필요하게 가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스팀히터(23)의 불필요한 가동으로 인한 전력 낭비 및 스팀히터(23)의 과열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팀발생부(2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물공급장치(200)와 스팀발생부(21)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팀 조리와 관련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조리기기를 조작하면, 물공급장치(200)로부터 물저장조(22)로 유입된 물이 스팀히터(23)에 의해 가열되어 스팀이 생성되며, 이처럼 생성된 스팀이 조리실(11) 내부로 유입되어 조리실(11) 내부를 순환하는 형태로 스팀을 이용한 조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물 보충, 물탱크(220)의 세척 또는 기타 물공급장치(200)의 청소, 수리를 위해서는 물탱크(220)의 인출이 이루어져야 하며, 본 실시예에서 물탱크(220)의 인출은 물탱크(220)의 전면에 대한 누름 조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도 11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기(237)가 고정부(270)에 결합되어 있던 상태에서 사용자가 물탱크(220)의 전면에 대한 누름 조작을 행하면, 고정돌기(237)와 고정부(270) 간의 결합 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고정돌기(237)와 고정부(270) 간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220)가 삽입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축적되어 있던 동력발생부(250)의 탄성력이 커넥터(230) 및 이에 결합된 물탱크(22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작용하게 되고, 이와 같이 작용하는 동력에 의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230) 및 물탱크(220)가 인출위치를 향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하는 커넥터(230) 및 물탱크(220)는, 커넥터(230)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는 댐퍼(260)에 의한 영향을 받게 되며, 이로써 물탱크(220)는 전방으로의 이동시 그 이동 속도가 감속되며 부드럽게 인출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에 따르면, 간편한 누름 조작만으로 물탱크를 본체 내부에 고정하거나 인출할 수 있는 기능, 물탱크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도 투입구 개폐를 위한 별도의 조작 없이 쉽고 편리하게 물을 물탱크에 주입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물탱크의 위치에 따라 스팀공급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 물탱크의 인출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감성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이 하나의 물공급장치를 통해 구현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향상된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에 따르면, 물탱크와 커넥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별도의 부품으로 마련되고 물탱크가 커넥터를 통해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제조비용을 낮추면서 제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수리작업의 난이도 및 수리비용을 낮출 수 있을 뿐 아니라, 세척이나 수리 등을 위한 물탱크 탈거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에 따르면, 물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태에서 스팀히터가 불필요하게 가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스팀히터의 불필요한 가동으로 인한 전력 낭비 및 스팀히터의 과열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1 : 조리실
12 : 도어
13 : 핸들
15 : 컨벡션부
20 : 스팀공급장치
21 : 스팀발생부
22 : 물저장조
23 : 스팀히터
25 : 연결관
200 : 물공급장치
210 : 하우징
211 : 슬라이딩레일
219: 고정홈
220 : 물탱크
220a : 하부탱크부
220b : 상부탱크부
220c : 패킹부
221 : 투입구
222 : 경사면
223 : 개폐홀더
223a : 덮개부
223b : 연장부
223c : 힌지부
224 : 물탱크노즐
224a : 돌기
225 : 돌출결합부
226 : 결합돌기
227 : 장식패널
230 : 커넥터
230a : 후면프레임
230b : 측면프레임
231 : 지지리브
231a : 리브결합부
231b : 끼움홈
233 : 슬라이딩돌기
235 : 랙부재
237 : 고정돌기
239: 걸이부
240 : 튜브서포터
250 : 동력발생부
251: 원통부재
252: 탄성부재(띠)
260 : 댐퍼
270 : 고정부
280 : 삽입감지부

Claims (18)

  1. 조리기기의 본체에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전후방향 일측이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개방되게 마련되는 하우징;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물탱크;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물탱크의 위치를 삽입위치 또는 인출위치로 변화시키는 커넥터;
    상기 물탱크를 삽입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물탱크를 상기 인출위치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발생부는,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에 동력을 제공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물탱크가 삽입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를 위치 고정하여 상기 물탱크의 위치를 간접적으로 고정시키는 물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이 상기 물탱크의 외부로 이동하기 위한 통로를 이루며 상기 물탱크의 후방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물탱크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물탱크노즐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튜브서포터가 설치되고,
    상기 물탱크노즐은, 상기 물탱크가 삽입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튜브서포터와 결합되는 물공급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물탱크의 후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후면프레임, 및 상기 후면프레임의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물탱크의 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후면프레임과 한 쌍의 측면프레임이 상기 물탱크의 후면과 양 측면을 둘러싸며 수용하여 상기 물탱크의 이동과 상기 커넥터의 이동이 연동하는 물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상기 커넥터 및 상기 하우징과의 분리가 가능하도록 상기 커넥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안내되는
    물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상기 저장공간에 물을 투입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투입구가 마련되며, 상기 물탱크가 인출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투입구는 상기 수용공간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물탱크가 삽입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투입구는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하는 물공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는 하부탱크부, 및 상기 하부탱크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탱크부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상부탱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투입구는 상기 상부탱크부에 마련되는 물공급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과 하우징 중 어느 일측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랙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프레임과 하우징 중 다른 일측에는, 상기 랙부재와 맞물려 회전하면서 상기 커넥터의 이동을 저지하는 댐핑력을 제공하는 댐퍼가 설치되는 물공급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부는 상기 하우징의 좌우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커넥터의 측면프레임에 각각 연결되는 물공급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발생부는, 일측이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커넥터에 결합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커넥터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일측과 타측 간의 거리가 증가되면서 상기 커넥터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물공급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개폐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폐홀더는, 상기 투입구의 하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로부터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덮개부와 상기 연장부 사이에서 상기 개폐홀더를 상기 물탱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물공급장치.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후면프레임 중앙부와 상기 하우징 중 어느 한 쪽에는, 고정돌기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고,
    상기 커넥터의 후면프레임 중앙부와 상기 하우징 중 다른 한 쪽에는, 상기 물탱크가 상기 삽입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되어 상기 커넥터 및 상기 물탱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부가 설치되는 물공급장치.
  13. 조리기기의 본체에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전방 측이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개방되는 하우징;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개방된 전방 측을 통해 상기 하우징 및 상기 본체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되는 물탱크;
    상기 물탱크를 삽입 위치에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물탱크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물탱크의 후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후면프레임, 및 상기 후면프레임의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물탱크의 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후면프레임과 한 쌍의 측면프레임이 상기 물탱크의 후면과 양 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물탱크의 이동과 상기 커넥터의 이동이 연동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물탱크가 삽입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를 위치 고정하여 상기 물탱크의 위치를 간접적으로 고정시키
    는 물공급장치.
  14. 조리기기의 본체에 설치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전후방향 일측이 상기 본체의 외측으로 개방되는 하우징;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이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저장공간에 물을 투입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하는 투입구가 전방 측에 마련되며, 상기 투입구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위치되는 삽입위치 및 상기 투입구가 상기 수용공간 외부로 노출되는 인출위치로 위치 변화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는 물탱크;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물탱크의 위치를 삽입위치 또는 인출위치로 변화시키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물탱크의 후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후면프레임, 및 상기 후면프레임의 양측 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물탱크의 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후면프레임과 한 쌍의 측면프레임이 상기 물탱크의 후면과 양 측면을 둘러싸며 수용하여 상기 물탱크의 이동과 상기 커넥터의 이동이 연동하고,
    상기 물탱크를 상기 인출위치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부가 상기 커넥터에 연결되어 상기 커넥터에 동력을 제공하는 물공급장치.
  15.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도록 동작되는 스팀발생부;
    상기 스팀발생부에 공급되는 물을 공급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의 물공급장치; 및
    상기 물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물이 상기 스팀발생부로 이동하는 통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물공급장치와 상기 스팀발생부를 연결하는 연결관;을 포함하는 스팀공급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의 위치가 삽입위치인지 여부를 감지하는 삽입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스팀공급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상기 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이 상기 물탱크의 외부로 이동하기 위한 통로를 이루며 상기 물탱크의 후방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물탱크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물탱크노즐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물탱크노즐을 상기 연결관과 연결하는 튜브서포터가 설치되고,
    상기 물탱크노즐은, 상기 물탱크가 삽입위치에 위치할 때 상기 튜브서포터와 결합되고,
    상기 스팀발생부는, 상기 삽입감지부가 상기 물탱크가 상기 삽입위치에 위치함을 감지할 때에만 동작되는 스팀공급장치.
  18. 내부에 조리실이 마련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청구항 15의 스팀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0180053260A 2017-02-07 2018-05-09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 KR102480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3260A KR102480463B1 (ko) 2017-02-07 2018-05-09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
KR1020220178376A KR102605651B1 (ko) 2018-05-09 2022-12-19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7041A KR101859320B1 (ko) 2017-02-07 2017-02-07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
KR1020180053260A KR102480463B1 (ko) 2017-02-07 2018-05-09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7041A Division KR101859320B1 (ko) 2017-02-07 2017-02-07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8376A Division KR102605651B1 (ko) 2018-05-09 2022-12-19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776A true KR20180091776A (ko) 2018-08-16
KR102480463B1 KR102480463B1 (ko) 2022-12-21

Family

ID=84536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260A KR102480463B1 (ko) 2017-02-07 2018-05-09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46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789B1 (ko) * 2019-05-31 2019-09-09 신한기술그룹 주식회사 미스트 분사시스템
KR102186880B1 (ko) * 2019-09-02 2020-12-04 신한기술그룹 주식회사 미스트노즐 및 이를 이용한 미스트 분사시스템
WO2023132503A1 (ko) * 2022-01-06 2023-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610B1 (ko) * 2006-07-21 2007-05-0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스팀오븐레인지의 급수시스템
KR100787746B1 (ko) * 2006-06-19 2007-12-24 동양매직 주식회사 물통의 잔수 감지 구조를 갖는 스팀 오븐
KR100792024B1 (ko) * 2007-01-08 2008-01-04 석순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EP2466214A1 (de) * 2010-12-20 2012-06-2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assertank für ein Dampfgargerät sowie Dampfgargerät mit einem Wassertank
US20140251304A1 (en) * 2011-07-27 2014-09-11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Water drawer and appliance comprising a water drawe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746B1 (ko) * 2006-06-19 2007-12-24 동양매직 주식회사 물통의 잔수 감지 구조를 갖는 스팀 오븐
KR100715610B1 (ko) * 2006-07-21 2007-05-08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스팀오븐레인지의 급수시스템
KR100792024B1 (ko) * 2007-01-08 2008-01-04 석순길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EP2466214A1 (de) * 2010-12-20 2012-06-20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Wassertank für ein Dampfgargerät sowie Dampfgargerät mit einem Wassertank
US20140251304A1 (en) * 2011-07-27 2014-09-11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Water drawer and appliance comprising a water draw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9789B1 (ko) * 2019-05-31 2019-09-09 신한기술그룹 주식회사 미스트 분사시스템
KR102186880B1 (ko) * 2019-09-02 2020-12-04 신한기술그룹 주식회사 미스트노즐 및 이를 이용한 미스트 분사시스템
WO2023132503A1 (ko) * 2022-01-06 2023-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 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0463B1 (ko) 2022-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9320B1 (ko)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
EP3599429B1 (en) Cooking appliance
US10309659B2 (en) Gas oven
JP6636958B2 (ja) オーブン
US9565964B2 (en) Steam cooking appliance
KR20180091776A (ko)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
CA2834138C (en) Gas oven range
KR20120122171A (ko) 스팀조리기기
KR100643894B1 (ko) 전자레인지 겸용 전기밥솥
KR101626491B1 (ko) 조리기기
CA2834144A1 (en) Gas oven range
JP2007132566A (ja) 加熱調理器
KR102605651B1 (ko)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
KR102067828B1 (ko) 스팀 오븐 레인지
KR102103721B1 (ko) 조리기기
KR100643893B1 (ko) 전자레인지 겸용 전기밥솥
KR20100013216A (ko) 전기오븐
KR20200012308A (ko) 조리기기
KR20110085585A (ko)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40041517A (ko)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
JP5740263B2 (ja) 加熱調理器
KR20110058149A (ko) 조리기기
KR20080062782A (ko) 빌트인 타입의 오븐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