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1517A -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1517A
KR20240041517A KR1020220120625A KR20220120625A KR20240041517A KR 20240041517 A KR20240041517 A KR 20240041517A KR 1020220120625 A KR1020220120625 A KR 1020220120625A KR 20220120625 A KR20220120625 A KR 20220120625A KR 20240041517 A KR20240041517 A KR 20240041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slider
supply device
wat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0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장모
이정현
황한샘
김장훈
여찬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0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1517A/ko
Priority to US18/370,075 priority patent/US20240099496A1/en
Priority to EP23198414.7A priority patent/EP4343212A1/en
Publication of KR20240041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15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3Details moisturising of ai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 F24C15/322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C15/327Arrangements of ducts for hot gases, e.g. in or around baking ovens with forced circulation with air moisturi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Abstract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전면이 개구된 하우징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슬라이더, 및 하우징에 전후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슬라이더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슬라이더와 연결되는 물탱크를 포함하고, 슬라이더는 물탱크와 별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WATER DISPENSER AND STEAM GENERATING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THEREWITH}
본 발명은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팀 생성을 위해 필요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 마련된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분류될 수 있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조리실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조리기기 내에서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상기 밀폐형 조리기기는, 열원(熱源)의 종류에 따라 가스 오븐과 전기 오븐으로 대별될 수 있다.
가스 오븐은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조리기기이다. 이러한 가스 오븐은, 버너에 공급된 가스가 연소하면서 발생되는 불꽃 또는 열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방식을 취한다.
그리고 전기 오븐은, 가스 오븐과 달리 전기를 열원으로 하는 조리기기이다. 이러한 전기 오븐은, 전기에 의해 작동되는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에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방식을 취하게 된다.
최근에는, 고온의 스팀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스팀 오븐이 출시되고 있다.
스팀 오븐은, 고온의 스팀을 이용해 조리실 내부로 스팀을 분사할 수 있다. 이처럼 조리실 내부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게 마련되는 한 스팀 오븐은, 조리실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팀 오븐은,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및, 조리실의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팀공급부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 및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물탱크와 스팀발생기 사이에는, 물탱크 내부의 물이 증기발생기로 이동될 수 있도록 급수관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스팀발생기는, 물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내부에 수용하는 물저장부, 및 물저장부 내부의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팀 오븐에서는, 물탱크를 통해 주입된 물이 급수관을 거쳐 물저장부로 유입되고, 물저장부로 유입된 물이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스팀이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처럼 생성된 스팀은, 조리실 내부로 유입되어 조리실 내부를 순환하며 음식물을 가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팀 오븐에서, 물탱크는 물 저장을 위한 단순한 형태의 용기 형태로 제공된다. 즉 종래 스팀 오븐에서, 물탱크는 단순히 물을 저장하였다가 공급하는 기능만을 제공할 뿐,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른 기능은 제공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물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제조 및 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물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인 물공급장치는, 전면이 개구된 하우징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슬라이더, 및 하우징에 전후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슬라이더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슬라이더와 연결되는 물탱크를 포함하고, 슬라이더는 물탱크와 별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전면이 개구된 하우징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슬라이더, 및 하우징에 전후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슬라이더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슬라이더와 연결되는 물탱크를 포함하고, 물탱크는 슬라이더를 상대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전면이 개구된 하우징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슬라이더와 하우징에 전후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슬라이더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슬라이더와 연결되는 물탱크 및 슬라이더가 이동할 수 없게 슬라이더를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물공급장치는: 전면이 개구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슬라이더와; 상기 하우징에 전후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슬라이더와 연결되는 물탱크와; 상기 슬라이더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없게 상기 슬라이더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서 분리된 상기 슬라이더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팝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탱크는, 상기 슬라이더와 별물로 마련되며, 상기 슬라이더를 상대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물탱크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배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배면프레임과 상기 물탱크의 배면이 전후방향으로 맞대어지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더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배면프레임이 상기 물탱크를 전방으로 밀어 이동시키고, 상기 물탱크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물탱크가 상기 배면프레임을 후방으로 밀어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와 연결된 상기 물탱크의 전후방향 이동을 방해하는 감속유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탱크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슬라이더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물탱크와 상기 슬라이더의 연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감속유도부재는 상기 슬라이더 내부에 삽입된 물탱크의 측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서포터는, 상기 물탱크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배면프레임, 및 상기 배면프레임에서 전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물탱크의 측면과 각각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몰탱크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배면프레임과 한 쌍의 상기 측면프레임으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물탱크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에서 상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물탱크의 측부에 배치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저면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저면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면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하부측에서 상기 측면프레임을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상기 감속유도부재가 상기 물탱크를 사이에 두고 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감속유도부재는 상기 측면프레임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감속유도부재는, 상하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측면프레임에 설치되는 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롤러는, 상기 물탱크의 측면에 밀착되며, 상기 물탱크의 이동을 방해하는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물탱크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배면프레임, 및 상기 배면프레임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팝업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배면커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후방측에서 상기 슬라이더를 탄성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물탱크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배면프레임, 및 상기 배면프레임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팝업부재는, 전후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되어 배면커버와 상기 배면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코일스프링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코일스프링의 내측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배면커버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하우징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스팀공급장치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도록 동작되는 스팀발생부; 및 상기 스팀발생부에 공급되는 물을 공급하는 상기 물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내부에 조리실이 마련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상기 스팀공급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에 따르면, 간편한 누름 조작만으로 물탱크를 본체 내부에 고정하거나 인출할 수 있는 기능, 물탱크의 위치에 따라 스팀공급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 물탱크의 인출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감성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이 하나의 물공급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이 효과적으로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물탱크와 슬라이더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별도의 부품으로 마련되고, 물탱크가 슬라이더를 통해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공되는 본 발명의 물공급장치는, 물공급장치의 제조 비용을 낮추면서 제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물공급장치의 수리 작업의 난이도 및 수리 비용을 낮출 수 있을 뿐 아니라, 세척이나 수리 등을 위한 물탱크 탈거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태에서 스팀히터가 불필요하게 가동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스팀히터의 불필요한 가동으로 인한 전력 낭비 및 스팀히터의 과열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조리실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컨트롤패널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전장공간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물공급장치의 물탱크 인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물공급장치에서 하우징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물공급장치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물공급장치에서 제1하우징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7의 "ⅩⅡ-ⅩⅡ"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물공급장치에서 슬라이더가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물공급장치에서 슬라이더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비록 제1, 제2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조리기기가 바닥(floor)에 놓인 상태에서, 조리기기의 중심을 기준으로 도어가 설치된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한다. 따라서 도어를 열고 조리기기 내부로 진입하는 방향은 후방이 된다. 편의상 이렇게 전방과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제1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방은 제1방향의 일방, 후방은 제1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중력 방향을 하방, 중력 방향의 반대 방향을 상방으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조리기기의 전후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 즉 조리기기의 도어 앞에서 조리기기를 바라볼 때 조리기기의 폭방향을 좌우방향이라 할 수 있다. 편의상 좌우방향을 제2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우측은 제2방향의 일방, 좌측은 제2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리기기의 폭방향을 측방향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러면 우측은 측방향의 일측, 좌측은 측방향의 타측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상하방향을 제3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상방은 제3방향의 일방, 하방은 제3방향의 타방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상하방향을 세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면 전후방향과 좌우방향, 즉 제1방향과 제2방향을 포함하여 가로방향이라 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조리실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컨트롤패널 개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전장공간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본체(10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본체(10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0)는, 그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캐비티(11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110)는, 본체(110)의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0)는, 프런트패널(120,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패널(120,130) 중 하나로, 제1프런트패널(120)이 마련될 수 있다.
제1프런트패널(120)은, 캐비티(110)와 도어(1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프런트패널(120)은, 캐비티(110)의 전방측에 배치되어 본체(10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프런트패널(120)이 캐비티(110)와 별도로 마련되지 않고, 캐비티(110)의 전면이 본체(100)의 전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예컨대, 캐비티(110)와 제1프런트패널(120)이 일체로 형성된 형태로 본체(100)에 마련될 수 있다.
캐비티(110)의 내부에는 조리실(10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프런트패널(120)의 내부에는, 조리실(101)을 전방으로 개방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조리실(101)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조리실(101)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기기는 조리실(101)의 내부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할 수 있다.
즉 조리기기에서는, 조리실(101)의 내부공간이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인 조리실이 될 수 있다. 이하, 조리기기가 조리기기인 경우를 예로 들어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조리기기에는, 조리실(101)을 가열하는 가열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부의 일례로서, 조리실(101)의 후측에는 뜨거운 공기를 대류시켜 조리실(101)의 내부공간을 가열하는 컨벡션부(160)가 상기 가열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조리실(101)의 상측에는, 조리실(101)의 내부공간을 상측에서 가열하는 상부히터 또는 상부버너가 상부가열부(165)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조리실(101)의 하측에도 조리실(101)의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가열하는 하부히터 또는 하부버너가 가열부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본체(100)의 전방측에는, 조리실(10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150)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도어(150)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하는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조리실(101)을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150)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150)의 전면에는, 사용자가 도어(150)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 파지할 수 있게 마련된 핸들(155)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어(150)에는 투시창이 마련될 수 있다. 투시창은 투명한 재질, 예컨대 유리나 투명 플라스틱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투시창이 적용되는 조리기기에 따라, 투시창이 고온, 고압에 견딜 수 있도록 형성될 필요가 있을 수 있고, 투시창에 방수, 방열 등의 기능도 필요할 수도 있다.
캐비티(110)의 외부, 좀 더 구체적으로 캐비티(110)의 상부측에는,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장실(103)이 마련될 수 있다. 전장실(103)은, 캐비티(110) 및 그 내부에 형성된 조리실(101)의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장실(103)의 내부에는, 전장부품들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조리기기에서는, 전장실(103)이 전장부품들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인 전장실이 될 수 있다.
전장실(103)의 전면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런트패널(120,130)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프런트패널(120,130) 중 하나로, 제2프런트패널(130)이 마련될 수 있다.
제2프런트패널(130)은, 전장실(103)의 전방측을 가로막으며 전장실(103)과 컨트롤패널(2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제2프런트패널(130)은 제1프런트패널(120)의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프런트패널(120)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제2프런트패널(130)은, 캐비티(110)의 상부로 돌출되어 전장실(103)의 전방 경계면을 규정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전장실(103)의 전방측 대부분은 제2프런트패널(130)에 의해 가로막힌다. 그리고 전장실(103)의 전방측 일부분, 즉 전장실(103)의 하부측 중 일부분이 제1프런트패널(120)에 의해 가로막힐 수 있다.
한편 프런트패널(120,130)에는, 배기구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기구가 제1프런트패널(120)에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배기구는, 제1프런트패널(120)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기구는, 전장공간(103) 내부의 공기가 제1프런트패널(120)을 통과하여 전장공간(103)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프런트패널(120) 상에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프런트패널(120,130)이 캐비티(110)와 별도로 마련되지 않고, 캐비티(110)의 전면이 본체(100)의 전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배기구는 프런트패널(120,13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 캐비티(110)의 전면에 마련될 수 있다.
조리기기의 전면 상부, 즉 캐비티(110)의 상부 전면에는 컨트롤패널(200)이 구비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200)은, 조리기기 전면 외관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200)은, 전장실(103)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패널(200)은, 제2프런트패널(130)의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컨트롤패널(200)은, 전장실(103) 또는 제2프런트패널(130)을 개폐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패널(200)은, 전장실(103) 또는 제2프런트패널(130)을 가로막는 폐쇄위치와 전장실(103) 또는 제2프런트패널(130)을 전방으로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를 회동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컨트롤패널(200)에는, 디스플레이가 마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조리기기의 동작을 조절하기 위한 입력부 및 조리기기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서,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는 하나의 패널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인가받는 터치패널로 형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조리기기의 구동과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를 갖는 컨트롤패널(200)에는, 복수개의 버튼들이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패널(200)에는 사용자의 노크 입력에 의해 조리실(130)에 설치된 램프(190)의 온/오프가 사용자의 노크 입력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노크온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컨트롤패널(200)에는, 램프를 수동으로 온/오프시키는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램프 버튼, 컨트롤패널(200)의 개폐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 등이 표시될 수도 있다.
또한 조리기기가 오븐인 경우, 컨트롤패널(200)에는 가열부의 동작을 설정하기 위한 버튼, 조리실(130)의 셀프 클리닝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셀프 클리닝 버튼 등이 표시될 수도 있다.
[전장실 내부의 구조]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전장실(103)의 하부 경계면은, 캐비티(110)의 상부측에 배치된 어퍼패널(140)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장실(103)의 상부 경계면은, 전장실(103)을 상부에서 덮는 전장실커버(145)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또한 전장실(103)의 측부, 배후 경계면은, 전장실커버(145)의 양측면 및 배면에 의해 규정될 수도 있고, 조리실(101)의 상부측으로 돌출된 캐비티(110)의 양측면 및 전장실커버(145)의 배면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전장실커버(145)의 양측면과 배면, 그리고 캐비티(110)의 양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통기공(104)이 형성될 수 있다. 이 통기공(104)을 통해, 외부 공기가 전장실(103)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전장실(103) 내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종 전장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그 일례로서, 전장실(103) 내부에는 회로기판이 배치될 수 있다. 회로기판에는, 컨트롤패널(200)을 통해 입력되는 조작신호의 수신, 가열부의 동작 제어를 위한 제어신호의 생성 등과 관련된 각종 소자, 회로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어퍼패널(140)은, 차단판부(141) 및 덕트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판부(141)는, 캐비티(110)와 전장실(103) 사이를 가로막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차단판(141)은, 캐비티(110)의 상부측에 배치되어 전장실(103)의 하부 경계면을 규정할 수 있다.
덕트부(143)는, 차단판부(141)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덕트부(143)는, 전장실(103) 내부의 공기가 덕트부(143) 내부를 통해 전장실(103)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덕트부(143)는, 후술할 팬모듈(170)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배기구를 향해 유동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전장실(103) 내부에는, 팬모듈(170)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팬모듈(170)은, 캐비티(110)의 후면에 인접한 측, 즉 전장실(103) 내부에서 후방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팬모듈(170)은, 전장실(103) 내부에 설치되는 터보팬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팬모듈(170)은, 전장실(103)의 후방측을 통해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이를 전방측으로 토출할 수 있다.
상기 팬모듈(170)의 작동에 의해, 외부 공기가 조리기기의 후방측 및 측방측으로부터 전장실(103)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체(100)의 하부를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가 조리기기의 후방측 공간을 통과한 후, 전장실(103)의 후방측에 형성된 통기공(104)을 통해 전장실(103)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전장실(103)의 측방측에 형성된 통기공(104)을 통해, 외부 공기가 전장실(103)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이처럼 전장실(103)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전장실(103)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며 전장실(103) 내부의 전장부품들을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전장실(103)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팬모듈(170)에 의해 덕트부(143)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덕트부(143)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덕트부(143) 내부에서 전방으로 이동한 후, 배기구를 통해 전장실(103)의 전방으로 배출될 수 있다.
전장실(103)의 내부에는, 물공급장치(300)가 배치될 수 있다. 물공급장치(300)는, 스팀공급장치(미도시)에서 스팀을 발생시키는데 필요한 물을 스팀공급장치에 공급할 수 있다.
[스팀공급장치의 구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팀공급장치(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팀공급장치(30)는, 본체(100)의 내부에 설치되며, 조리실(101) 내부에 스팀을 공급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스팀공급장치(30)는, 스팀발생부(31)와 물공급장치(300) 및 연결관(35)을 포함할 수 있다.
스팀발생부(31)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게 마련된다. 일례로서, 스팀발생부(31)는, 본체(100)의 하부측에 설치되며, 조리실(101)의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팀발생부(31)의 설치 위치는 스팀발생부(31)의 상세 구성과 조리실(101)의 구조 및 이에 따른 스팀 공급 효율을 고려하여 최적화된 어느 위치로도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스팀발생부(31)는, 물저장조(32) 및 스팀히터(33)를 포함할 수 있다. 물공급장치(300)로부터 연결관(35)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물저장조(32)에 수용될 수 있다. 스팀히터(33)는, 물저장조(32)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물공급장치(300)는, 스팀발생부(31)에 공급되기 위한 물을 저장 및 공급할 수 있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공급장치(300)가 본체(100)의 상부측에 설치되며 조리실(101)의 상부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공급장치(300)의 설치 위치는 고온 상태의 조리실(101) 내부의 열로부터의 영향이 적고 물탱크(320)의 인출이 용이하며 스팀발생부(31)로의 물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선택된 어느 위치라도 가능하다.
연결관(35)은, 물공급장치(300)와 스팀발생부(31)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관(35)는, 물공급장치(300)에서 공급되는 물이 스팀발생부(31)로 이동하는데 필요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연결관(35)은 플렉서블한 튜브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연결관(35)은 금속 재질의 파이프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연결관(35)은, 물공급장치(300)로부터 조리실(101)을 우회하여 스팀발생부(31)와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서, 연결관(35)은 조리실(101)의 후방 측으로 우회하는 경로를 통해 스팀발생부(31)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연결관(35)은 조리실(101)의 측방 측으로 우회하는 경로를 통해 스팀발생부(31)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물공급장치(300)로부터 이루어지는 물의 공급은, 물공급장치(300)와 물저장조(32) 간의 높이 차 또는 압력 차에 의한 힘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물저장조(32) 또는 연결관(35) 측에 설치되는 펌프(36)의 동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아울러 스팀공급장치(30)는, 스팀분사부재(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팀분사부재(39)는, 스팀공급부(31)에서 생성된 스팀을 조리실(15) 내부에 분사할 수 있게 마련된다.
스팀분사부재(39)는, 캐비티(11)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스팀관(38)을 통해 스팀공급부(31)의 물저장조(32)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스팀분사부재(39)는, 스팀공급부(31)에서 생성된 스팀이 조리실(15)의 상부에서 조리실(15) 내부로 하향 분사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물공급장치(300)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연결관(35)을 통해 물저장조(32)로 유입되고, 물저장조(32)로 유입된 물이 스팀히터(33)에 의해 가열되어 스팀이 생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생성된 스팀은, 스팀분사부재(39)를 통해 조리실(101) 내부로 유입되어 조리실(101) 내부를 순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리실(101) 내부를 순환하는 스팀에 의해, 조리기기 내부에서 스팀을 이용한 조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물공급장치의 전반적인 구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물공급장치의 물탱크 인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9는 도 7에 도시된 물공급장치에서 하우징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물공급장치의 분해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물공급장치(300)는 하우징(310) 및 물탱크(3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전장실(103)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3)은, 어퍼패널(140)에 결합됨으로써, 전장실(103)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310)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박스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310)은, 물공급장치(300)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이 수용 및 설치되는데 필요한 골격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310)은, 물공급장치(300)를 본체(100)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 매개체로서의 역할도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310)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하우징(310)의 전면은, 전방을 향해 개구될 수 있다. 이로써 하우징(310)의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은, 하우징(310)의 전면을 통해 전방으로 개방될 수 있다.
하우징(310) 내부의 수용공간에는, 후술할 물탱크(320) 및 슬라이더(330)가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하우징(310)의 개구된 전면은, 하우징(310) 내부에 설치된 물탱크(320)가 하우징(310) 및 본체(100)의 외부로 인출되기 위한 통로가 될 수 있다.
물탱크(320)는, 물을 저장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물탱크(320)의 내부에는 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물탱크(320)에 저장된 물은, 연결관(35)을 통해 스팀발생부(31)로 공급될 수 있다.
물탱크(320)는, 하우징(310)에 전후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물탱크(310)는, 전방으로 이동하여 하우징(31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고, 후방으로 이동하여 하우징(310)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될 수도 있다.
물공급장치(300)는, 슬라이더(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330)는, 하우징(310) 내부의 수용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더(330)는, 하우징(310)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슬라이더(330)는, 하우징(310)의 내부에서 물탱크(320)와 연결되어 물탱크(32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물탱크(320)는 슬라이더(330)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슬라이더(33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330)는 물탱크(320)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물탱크(320)와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서, 물탱크(320)는 전방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330)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슬라이더(330)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물탱크(320)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더(330)의 구체적인 구조 및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하우징의 구조]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하우징(310)은 제1하우징(310a) 및 제2하우징(31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310a)은, 하우징(310)의 하반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1하우징(310a)은, 저면부(311) 및 한 쌍의 제1측면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저면부(311)는, 하우징(310)의 저면을 형성하며, 물탱크(320)의 하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저면부(311)은, 하우징(310)의 저면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저면부(311)의 적어도 일부분은, 물탱크(320)의 저면과 나란한 가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저면부(311)는, 물탱크(320)의 하부측에서 물탱크(320)를 전후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서, 물탱크(320)의 하부에는 제1슬라이딩돌기(323)가 마련될 수 있다. 제1슬라이딩돌기(323)는, 물탱크(320)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탱크(320)에는, 한 쌍의 제1슬라이딩돌기(323)가 측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제1슬라이딩돌기(323)의 측방향 길이는, 하우징(310)의 저면부(311)의 측방향에 비해 훨씬 짧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제1슬라이딩돌기(323)는, 가늘고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320)는, 물탱크(320)의 저면 전체가 저면부(311)와 접촉하지 않고, 제1슬라이딩돌기(323)를 통해 저면부(311)와 접촉할 수 있다. 즉 물탱크(320)의 저면과 하우징(310) 간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영역은, 제1슬라이딩돌기(323)와 저면부(311) 간의 접촉 영역으로 제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제1슬라이딩돌기(323)는, 하우징(310)과 물탱크(320) 간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물탱크(320)의 이동시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제1측면부(312)는, 하우징(310)의 측면 중 일부분을 형성하며, 저면부(311)와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측면부(312)는 저면부(311)의 양측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며, 각 제1측면부(312)는 물탱크(320)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1하우징(310a)은, 제1가이드면부(3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면부(313)는, 제1측면부(312)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되, 저면부(31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가이드면부(313)는, 제1측면부(312)의 상단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가이드면부(313)는, 저면부(311)의 상측에 배치되되, 제1측면부(312)의 상하방향 길이만큼 저면부(311)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저면부(311)의 적어도 일부분은 물탱크(320)의 저면과 나란한 가로방향의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가이드면부(313)는, 상기 저면부(311)에 형성된 가로방향의 평면과 나란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저면부(311)는 물탱크(320)의 하부측에서 물탱크(320)를 전후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저면부(311)의 상부측에 배치된 제1가이드면부(313)는, 후술할 슬라이더(330)의 하부측에서 슬라이더(33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2하우징(310b)은 하우징(310)의 상반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하우징(310a)과 제2하우징(310b)은 각각 별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하우징(310a)과 제2하우징(310b)이 상하방향으로 결합되어 하우징(310)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제2하우징(310b)은 제1하우징(310a)이 상하 반전된 형상과 거의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하우징(310b)은, 상면부(315) 및 한 쌍의 제2측면부(316)를 포함할 수 있다.
상면부(315)는, 하우징(310)의 상부면을 형성하며, 물탱크(320)의 상부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측면부(316)는, 하우징(310)의 측면 중 일부분을 형성하며, 상면부(315)와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측면부(316)는 상면부(315)의 양측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각 제2측면부(316)는 물탱크(320)의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제2하우징(310b)은, 제2가이드면부(3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가이드면부(317)는, 제2측면부(316)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면부(315)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가이드면부(317)는, 제2측면부(316)의 하단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가이드면부(317)는, 상면부(315)의 하측에 배치되되, 제2측면부(316)의 상하방향 길이만큼 상면부(315)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하우징(310a)은 제1결합면부(3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하우징(310b)은 제2결합면부(31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면부(314)는 제1하우징(310a)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되며, 제2결합면부(318)는 제2하우징(310b)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결합면부(314)는, 제1가이드면부(313)의 측방향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결합면부(318)는, 제2가이드면부(317)의 측방향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결합면부(314)와 제2결합면부(318)는, 측방향으로 맞대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결합면부(314)와 제2결합면부(318)가 측방향으로 맞대어진 상태에서, 제1결합면부(314)와 제2결합면부(318)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310)의 양측부에서 제1결합면부(314)와 제2결합면부(318)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제1결합면부(314)와 제2결합면부(318) 간의 결합에 의해 제1하우징(310a)과 제2하우징(310b)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하우징(310a)과 제2하우징(310b)이 결합된 상태에서, 저면부(311)와 상면부(315)는 대략 물탱크(320)의 상하방향 길이만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1가이드면부(313)와 제2가이드면부(317)는 대략 슬라이더(330)의 상하방향 길이만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저면부(311)와 상면부(315)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물탱크(320)가 수용될 수 있고, 제1가이드면부(313)와 제2가이드면부(317)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슬라이더(330)가 수용될 수 있다.
저면부(311)와 상면부(315)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저면부(311)는 물탱크(320)를 전후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1가이드면부(313)와 제2가이드면부(317)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제1가이드면부(313)는 슬라이더(330)를 전후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하우징(310)은, 배면커버(31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면커버(310c)는, 제1하우징(310a) 및 제2하우징(310b)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하우징(310a)과 제2하우징(310b)의 결합체에서, 이 결합체의 전면 및 배면은 개구된다. 배면커버(310c)는, 제1하우징(310a)과 제2하우징(310b)의 결합체의 개구된 배면을 커버하며, 하우징(310)의 배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배면커버(310c)는, 하우징(310)의 내부에 수용된 슬라이더(330)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310)의 적어도 일부분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하우징(310a) 및 제2하우징(310b)이 금속 재질로 형성되고, 복잡한 형상의 구조물을 포함하고 있는 배면커버(310b)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금속 재질로 형성된 제1하우징(310a) 및 제2하우징(310b)은, 캐비티(110)를 통해 전달되는 열에 대해 높은 저항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하우징(310a) 및 제2하우징(310b)은, 물탱크(320) 및 슬라이더(330)를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물탱크의 구조]
일례로서, 물탱크(320)는 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물탱크(320)는 하우징(310) 내부의 수용공간의 형상에 대응되는 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320)는, 하우징(310) 내부에 설치되되,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물탱크(320)는, 물탱크(320)의 전체 영역이 하우징(310) 내부의 수용공간 내에 위치할 수 있게 물탱크(320)의 내부에 설치되며, 하우징(310)의 개구된 전면을 통해 하우징(310) 및 본체(100)의 외부로 인출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320)는 삽입위치와 인출위치로 위치 변화 가능하도록 하우징(310)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삽입위치는 물탱크(320)의 전체 영역이 하우징(310) 내부의 수용공간 내에 삽입되었을 때의 물탱크(320)의 위치인 것으로 정의된다. 물탱크(320)가 삽입위치에 있을 때, 물탱크(320)의 전면에 인접하게 배치된 투입구 및 리드(321)는 하우징(310)의 수용공간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인출위치는 물탱크(32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수용공간 및 본체(100)의 전방측으로 돌출되었을 때의 물탱크(320)의 위치인 것으로 정의된다. 물탱크(320)가 인출위치에 있을 때, 물탱크(320)의 투입구 및 리드(321)의 적어도 일부분이 수용공간 및 본체(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삽입위치에서, 물탱크(320)는 전장실(103) 및 하우징(3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물탱크(320)는, 프런트패널(120,130)을 통과하며 인출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물탱크(320)는 제2프런트패널(130)을 통과하여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한편 물탱크(320)의 상부에는, 투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투입구는, 물탱크(320)의 외부로부터 저장공간에 물을 투입하기 위한 통로를 물탱크(320)에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서, 투입구는 물탱크(320)의 상부면에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물탱크(320)의 전방측에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투입구의 상부측에는, 리드(321)가 배치될 수 있다. 리드(321)는, 투입구의 상부측에서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물탱크(320)에는, 물탱크노즐(325)이 마련될 수 있다. 물탱크노즐(325)은, 물탱크(320) 내부의 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이 물탱크(320)의 외부로 이동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물탱크노즐(325)의 적어도 일부분은, 물탱크(320)의 후방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물탱크노즐(325)의 외부 돌출 부분은, 하우징(310)의 배면 측을 향하도록 물탱크(320)의 후방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310)의 배면에는 튜브서포터(340)가 마련될 수 있다.
튜브서포터(340)는 배면커버(310c)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튜브서포터(340)는, 물탱크노즐(325)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서, 튜브서포터(340)는 배면커버(310c)에 설치되되, 배면커버(310c)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튜브서포터(340)의 전반부는, 물탱크(320) 측으로 노출되며, 물탱크노즐(325)과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튜브서포터(340)의 후반부는, 연결관(35)과 연결될 수 있다. 즉 물탱크노즐(325)과 연결관(35)은, 튜브서포터(340)와의 연결을 매개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튜브서포터(340)에는 가스켓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가스켓은, 물탱크노즐(325)과 튜브서포터(340) 사이를 실링하여 물탱크노즐(325)과 튜브서포터(340) 사이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물탱크노즐(325)은, 물탱크(320)가 삽입위치에 위치할 때 튜브서포터(340)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물탱크노즐(325)이 튜브서포터(340)와 결합될 때, 물탱크노즐(325)과 연결관(35)이 서로 연결되며 스팀발생부(3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물탱크(320)가 인출위치 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물탱크노즐(325)과 튜브서포터(340) 간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이처럼 물탱크노즐(325)과 튜브서포터(340) 간의 결합이 해제되면, 물탱크노즐(325)과 연결관(35) 간의 연결이 해제되면서 스팀발생부(31)로의 물 공급이 중단된다.
[슬라이더의 구조]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물공급장치에서 제1하우징이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12는 도 7의 "ⅩⅡ-ⅩⅡ"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물공급장치(300)는 슬라이더(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더(330)는, 하우징(310)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며, 배면프레임(331)을 포함할 수 있다.
배면프레임(331)은, 물탱크(320)의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면프레임(331)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는 가로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물탱크(320)의 배면과 맞대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330)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3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측면프레임(335)은, 배면프레임(331)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물탱크(320)의 측면과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한 쌍의 측면프레임(335)은, 물탱크(320)를 사이에 두고 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슬라이더(330)는 배면프레임(331)과 한 쌍의 측면프레임(335)이 "ㄷ" 형상을 이루며 연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탱크(320)와 슬라이더(330)가 연결되었을 때, 물탱크(320)의 적어도 일부분은 배면프레임(331)과 한 쌍의 측면프레임(335)으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탱크(320)와 슬라이더(330)가 연결되었을 때, 배면프레임(331)이 물탱크(320)의 배면과 밀착되고 각각의 측면프레임(335)이 물탱크(320)의 측면에 각각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물탱크(320)와 슬라이더(330)가 연결되었을 때, 물탱크(320)가 슬라이더(330)에 고정되거나 슬라이더(330)가 물탱크(320)에 고정되지는 않는다. 본 실시예서는, 물탱크(320)의 일부분이 배면프레임(331)과 한 쌍의 측면프레임(335)으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삽입된 상태로만 물탱크(320)와 슬라이더(330) 간의 연결이 유지될 뿐이다.
이와 같이 연결된 물탱크(320)와 슬라이더(330)는, 서로 쉽게 분리될 수 있는 상태이면서도 필요시 함께 이동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례로서, 물탱크(320)와 슬라이더(330)의 연결 간의 연결은, 물탱크(320)가 슬라이더(330)와 함께 이동하거나 슬라이더(330)가 물탱크(320)와 함께 이동할 수 있게 유지될 수 있다.
예컨대, 물탱크(320)가 삽입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더(33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물탱크(320)가 슬라이더(33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물탱크(320)의 후방측에 배치된 배면프레임(331)이 물탱크(320)를 밀어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물탱크(320)는 인출위치를 향해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물탱크(320)가 인출위치에 있을 때, 물탱크(32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슬라이더(330)가 물탱크(32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물탱크(320)가 배면프레임(331)을 후방으로 밀어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슬라이더(330)는 삽입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물탱크(320)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더(330)의 일부분, 좀 더 구체적으로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335)은, 제1가이드면부(313)와 제2가이드면부(317)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측면프레임(335)은, 제1가이드면부(313)와 결합면부(314,318) 및 제2가이드면부(317)로 둘러싸인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공간에 수용된 각각의 측면프레임(335)은, 제1가이드면부(313)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일례로서, 측면프레임(335)의 하부에는 제2슬라이딩돌기(336)가 마련될 수 있다. 제2슬라이딩돌기(336)는, 측면프레임(335)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제2슬라이딩돌기(336)의 측방향 길이는, 하우징(310)의 저면부(311)의 측방향 길이 또는 측면프레임(335)의 저면의 측방향 길이에 비해 훨씬 짧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제2슬라이딩돌기(336)는, 가늘고 긴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측면프레임(335)은, 측면프레임(335)의 저면 전체가 제1가이드면부(313)와 접촉하지 않고, 제2슬라이딩돌기(336)를 통해 제1가이드면부(313)와 접촉할 수 있다. 즉 측면프레임(335)과 제1가이드면부(313) 간의 접촉이 이루어지는 영역은, 제2슬라이딩돌기(336)와 제1가이드면부(313) 간의 접촉 영역으로 제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제2슬라이딩돌기(336)는, 하우징(310)과 슬라이더(330) 간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도록 함으로써, 슬라이더(330)의 이동시 발생하는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하우징(310)에는, 레일돌기(313a)가 마련될 수 있다. 레일돌기(313a)는, 제1가이드면부(313)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하우징(310)에는, 한 쌍의 레일돌기(313a)가 측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레일돌기(313a)는, 제1가이드면부(313)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레일돌기(313a)의 상하방향 길이는, 제2슬라이딩돌기(336)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짧게 설정될 수 있다. 즉 제2슬라이딩돌기(336)는 제1가이드면부(313)와 접촉하는데 비해, 레일돌기(313a)는 측면프레임(335)의 저면과 접촉하지는 않는다.
한 쌍의 레일돌기(313a) 간의 측방향 간격은, 한 쌍의 제2슬라이딩돌기(336) 간의 측방향 간격보다 넓게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330)에 마련된 한 쌍의 제2슬라이딩돌기(336)는, 한 쌍의 레일돌기(313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레일돌기(313a) 사이에 배치된 제2슬라이딩돌기(336)는, 한 쌍의 레일돌기(313a) 사이로 제한된 영역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레일돌기(313a)는, 레일돌기(313a)의 이동 영역을 규제함으로써, 레일돌기(313a)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측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가이드면부(31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안착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335)을 포함하는 슬라이더(330)는, 하우징(310)의 내부에 전후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각각의 측면프레임(335)은 제1가이드면부(313)와 제2가이드면부(317) 사이에 배치되며, 제1가이드면부(313)와 제2가이드면부(317)는 각 측면프레임(335)의 상하방향 위치를 규제할 수 있다.
예컨대, 제1가이드면부(313)와 제2가이드면부(317)의 상하방향 간격은 측면프레임(335)의 상하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는 제1가이드면부(313)와 제2가이드면부(317)에 의해, 슬라이더(330)의 상하 유동 발생이 억제되면서 슬라이더(330)의 전후방향 이동이 매끄럽게 안내될 수 있다.
[고정부 및 팝업부재의 구조]
본 실시예의 물공급장치(300)는, 고정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350)는, 하우징(310)의 배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서, 고정부(350)는 배면커버(310c)에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350)는, 슬라이더(330)를 고정시키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더(330)는 하우징(310)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으며, 고정부(350)는 슬라이더(330)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없게 슬라이더(330)를 고정할 수 있다.
물탱크(320)가 삽입위치로 이동하면, 슬라이더(330)는 고정부(35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330)가 고정부(350)에 의해 고정되었을 때, 물탱크(320)는 삽입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슬라이더(330)에는, 고정돌기(332)가 마련될 수 있다. 고정돌기(332)는, 배면프레임(331)에 마련될 수 있으며, 슬라이더(33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돌기(332)가 배면프레임(331)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물탱크(320)가 삽입위치로 이동하면, 물탱크(320)와 연결된 슬라이더(330)는 물탱크(320)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배면프레임(331) 및 고정돌기(332)는 고정부(350)와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고정부(350)는 고정돌기(332)와 결합되어 슬라이더(33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부(350)는, 후크 형태의 고정돌기(332)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슬라이더(330) 및 이에 결합된 물탱크(320)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일례로서, 고정부(350)는 누름 조작에 의해 고정돌기(332)에 대한 고정 및 고정 해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로킹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350)에 따르면, 슬라이더(330)를 매개로 고정돌기(332)와 연결된 물탱크(320)의 전면에 대한 누름 조작의 반복에 의해, 고정돌기(332)와 로킹기구 간의 결합 및 결합 해제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물탱크(320)의 전면을 눌러 고정돌기(332)가 고정부(350)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하면, 고정부(350)가 고정돌기(332)와 결합되어 슬라이더(33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물탱크(320)의 전면을 다시 누르면, 고정부(350)와 고정돌기(332)의 결합이 해제되고, 슬라이더(330)의 고정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물공급장치(300)는 팝업부재(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팝업부재(360)는, 고정부(350)에서 분리된 슬라이더(33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팝업부재(360)는, 물탱크(320)를 인출위치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표현될 수도 있다.
팝업부재(360)는, 슬라이더(330)와 배면커버(310c)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팝업부재(360)는, 슬라이더(330)의 후방측에서 슬라이더(33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일례로서, 팝업부재(360)는 배면프레임(331)과 배면커버(310c) 사이에 배치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팝업부재(360)로 마련되는 코일스프링은, 전후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코일스프링의 후방측 단부는 배면커버(310c)에 지지될 수 있으며, 코일스프링의 전방측 단부는 배면프레임(331)을 후방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슬라이더(330)에는, 가이드돌기(333)가 마련될 수 있다. 고정돌기(332)는, 배면프레임(331)에 마련될 수 있으며, 슬라이더(330)의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돌기(332)가 배면프레임(331)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슬라이더(330)에는, 복수개의 가이드돌기(333)가 측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더(330)에 한 쌍의 가이드돌기(333)가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일례로서, 배면프레임(331)에는 고정돌기(332)와 한 쌍의 가이드돌기(333)가 측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한 쌍의 가이드돌기(333)는 고정돌기(332)를 사이에 두고 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배면프레임(331)의 측방향 중앙에 고정돌기(332)가 배치되고, 한 쌍의 고정돌기(332)는 고정돌기(332)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배면프레임(331)과 배면커버(310c) 사이에는, 복수개의 팝업부재(360)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공급장치(300)에 한 쌍의 팝업부재(360)가 마련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일례로서, 배면프레임(331)과 배면커버(310c) 사이에 한 쌍의 팝업부재(360)가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팝업부재(360)는 가이드돌기(333)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가이드돌기(333)는 팝업부재(360)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각각의 가이드돌기(333)는 코일스프링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며 코일스프링의 내측에 끼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팝업부재(360)에 끼움 결합된 가이드돌기(333)는, 팝업부재(360)의 이탈 및 측방향 변형 발생이 억제되도록 팝업부재(360)를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면프레임(331)의 측방향 중앙에 고정돌기(332)가 배치되고, 한 쌍의 고정돌기(332)가 고정돌기(332)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치되며, 한 쌍의 팝업부재(360) 또한 고정돌기(332)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330)에는, 팝업부재(360)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이 좌우방향 어느 측으로 치우치게 작용하지 않게 된다. 예컨대, 슬라이더(330)의 좌측에 배치된 측면프레임(335)과 슬라이더(330)의 우측에 배치된 측면프레임(335)에 균일한 동력이 작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슬라이더(330)와 연결된 물탱크(320)에도, 상기 팝업부재(360)에 의해 제공되는 동력이 물탱크(320)의 좌측이나 우측으로 치우치 않게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330)는, 좌측과 우측으로 치우치지 않으며 전방으로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슬라이더(330)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물탱크(320)는, 좌우방향 정렬이 유지된 상태에서 조리기기의 전방으로 원활하게 인출될 수 잇게 된다.
아울러 상기 가이드돌기(333)는, 하우징(310)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가이드돌기(333)는 배면커버(310c)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며 배면커버(310c)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돌기(333)는, 배면커버(310c)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배면커버(310c)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돌기(333)는, 슬라이더(330)를 하우징(310)에 전후방향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돌기(333)는, 슬라이더(330)가 하우징(310)에서 이탈되지 않게 슬라이더(330)를 지지하는 한편, 슬라이더(330)의 전후방향 이동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슬라이더(33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돌기(333)는, 배면커버(310c)에 착탈 가능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돌기(333)의 후방측 단부에는, 복수개의 후크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후크부재는, 각각 가이드돌기(333)의 직경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333)의 후방측 단부에 구비된 후크부재들은, 배면커버(310c)의 후방측에 배치되며, 가이드돌기(333)의 전방 이동을 규제할 수 있다. 이러한 후크부재들 간의 간격이 좁아지게 후크부재들의 변형이 이루어지면, 가이드돌기(333)의 후방측 단부가 배면커버(310c)의 전방측으로 빠져나오면서 슬라이더(330)가 배면커버(310c)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330)가 하우징(310)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팝업부재(360) 또는 고정부(350)의 수리 작업을 위한 슬라이더(330)의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슬라이더(330)의 교체를 위한 슬라이더(330)의 분리 및 장착이 쉽고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감속유도부재의 구조]
본 실시예의 물공급장치(300)는, 감속유도부재(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속유도부재(370)는, 슬라이더(33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감속유도부재(370)는, 슬라이더(330)와 연결된 물탱크(320)의 전후방향 이동을 방해할 수 있게 마련된다.
일례로서, 감속유도부재(370)는 측면프레임(335)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감속유도부재(370)는, 슬라이더(330) 내부에 삽입된 물탱크(320)의 측면, 즉 측면프레임(335)과 마주보게 배치되는 물탱크(320)의 측면에 밀착되며 물탱크(320)의 전후방향 이동을 방해할 수 있다.
슬라이더(330)에는, 한 쌍의 감속유도부재(37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감속유도부재(370)가 물탱크(320)를 사이에 두고 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감속유도부재(370)는, 측면프레임(335)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감속유도부재(370)가 롤러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에 따르면, 감속유도부재(370)는 상하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롤러는, 측면프레임(335)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롤러는 측면프레임(335)의 전방측 단부에 설치되며, 슬라이더(330)와 연결된 물탱크(320)의 측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롤러는, 물탱크(320)의 이동을 방해하는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320)의 이동시 물탱크(320)의 저면과 하우징(310)의 저면부(311) 간에 작용하는 마찰력 대비, 물탱크(320)의 이동시 감속유도부재(370)와 물탱크(320) 간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크게 설정될 수 있게 롤러가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롤러와 물탱크(320) 간에는 물탱크(320)의 저면과 하우징(310)의 저면부(311) 간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비해 더 큰 마찰력이 작용할 수 있으며, 롤러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과 롤러 간에도 물탱크(320)의 저면과 하우징(310)의 저면부(311) 간에 작용하는 마찰력에 비해 더 큰 마찰력이 작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롤러를 포함하는 감속유도부재(370)는, 물탱크(320)의 측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물탱크(320)의 전후방향 이동을 방해하며 물탱크(320)의 이동 속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320)가 삽입위치에 위치하고 슬라이더(330)가 고정부(350)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슬라이더(330)가 고정부(350)로부터 분리되면, 팝업부재(360)에 의해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슬라이더(330) 및 물탱크(32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물탱크(320)에는, 물이 가득 채워져 있을 수도 있고, 물이 거의 채워져 있지 않을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물탱크(320)에 물을 채우기 위해 물탱크(320)를 인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물탱크(320)가 인출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물탱크(320)의 내부가 비워져 있을 가능성이 높다.
물탱크(320)의 내부가 비워져 있을 때에는, 물탱크(320)에 물이 채워져 있을 때와 비교하여 물탱크(320)의 무게가 상당히 가벼워진 상태이다. 따라서 내부가 비워진 물탱크(320)가 팝업부재(360)의 작용에 의해 인출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물탱크(320)에 물이 채워져 있을 때보다 물탱크(320)의 이동 속도가 상당히 빨라지게 된다.
인출위치로 이동하는 물탱크(320)의 이동속도가 지나치게 빠르면, 물탱크(320)가 전방으로 빠르게 튀어나가며 조리기기 밖으로 빠져나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튀어나오는 물탱크(320)로 인해 놀라게 될 뿐 아니라, 물탱크(320)의 낙하로 인해 사용자가 부상을 입거나 물탱크(320)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팝업부재(360)의 탄성력을 낮출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물탱크(320)에 물이 가득 채워져 있을 때 물탱크(320)의 인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서는 팝업부재(360)의 탄성력이 조절되는 대신, 감속유도부재(370)에 의해 물탱크(320)의 이동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물탱크(320)의 인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팝업부재(360)의 탄성력이 충분히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는 상태에서, 물탱크(320)의 이동 속도가 감속유도부재(370)에 의해 적절한 수준으로 조절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감속유도부재(370)는, 슬라이더(330)로부터 완전히 분리되어 있던 물탱크(320)가 슬라이더(330)에 삽입될 때 물탱크(320)의 삽입을 안내하는 역할도 함께 할 수 있다.
측면프레임(335)이 물탱크(320)의 측면과 가깝게 밀착될수록, 물탱크(320)가 슬라이더(330)와 더욱 밀착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물탱크(320)가 슬라이더(330)와 밀착될수록, 물탱크(320)의 측방향 움직임이 억제될 수 있다.
물탱크(320)의 이동 과정에서 물탱크(320)의 측방향 움직임이 커지면, 물탱크(320)과 그 주변 구조물, 예컨대 슬라이더(330), 하우징(310) 등 간에 발생되는 충돌로 인해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물탱크(320)의 이동 과정에서 물탱크(320)의 측방향 움직임이 커지면, 물탱크(320)가 프런트패널에 형성된 투입구를 벗어난 위치로 이동하면서 물탱크(320)의 인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물탱크(320)의 측방향 움직임이 억제될 수 있게 측면프레임(335)이 물탱크(320)의 측면과 충분히 가깝게 밀착된다.
이에 따라 물탱크(320)의 측방향 움직임이 억제되고, 물탱크(320)와 슬라이더(330), 하우징(310) 등 간의 충돌로 인한 소음 발생이 억제될 수 있다. 또한 물탱크(320)의 인출 경로가 프런트패널에 형성된 투입구로 효과적으로 안내됨으로써, 물탱크(320)의 인출 또한 정확하고 매끄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측면프레임(335)와 물탱크(320)의 측면 간의 간격이 좁아질수록, 슬라이더(330)로부터 분리된 물탱크(320)가 슬라이더(330)에 다시 삽입되기가 어려워질 수밖에 없게 된다.
예컨대, 측면프레임(335)와 물탱크(320)의 측면 간의 간격이 좁아질수록, 슬라이더(330)를 상대로 한 물탱크(320)의 측방향 위치를 정확하게 맞추어야만 물탱크(320)와 슬라이더(330)의 연결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물탱크(320)가 슬라이더(330)에 제대로 연결되지 못하게 될 뿐 아니라, 물탱크(320)와 슬라이더(330) 간의 충돌이 반복되면서 물탱크(320) 또는 슬라이더(330)의 파손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더욱이, 하우징(310)의 내부에 삽입된 슬라이더(330)는 사용자가 보기에 어려운 위치에 있으므로, 사용자가 슬라이더(330)의 위치를 파악하고 물탱크(320)를 이 슬라이더(330)에 정확하게 삽입하기는 사실상 쉽지 않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물탱크(320)를 하우징(310) 및 그 내부의 슬라이더(330)를 향해 밀어넣기만 하면, 물탱크(320)의 삽입 경로가 감속유도부재(370)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320)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감속유도부재(370)와 접촉하면, 물탱크(320)의 후방측 단부는 롤러의 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물탱크(320)의 후방측 단부는 한 쌍의 감속유도부재(370) 사이에 형성된 공간, 즉 슬라이더(330)의 내부공간을 향해 이동할 수 있으며, 물탱크(320)와 접촉한 각 롤러는 이러한 물탱크(320)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회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슬라이더(330)의 위치를 신경 쓸 필요 없이 물탱크(320)를 조리기기 내부로 밀어 넣기만 하면, 물탱크(320)의 삽입 경로가 감속유도부재(370)에 의해 안내되면서 물탱크(320)의 삽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감속유도부재(370)는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감속유도부재(370)는, 물탱크(320)와의 충돌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마련됨으로써, 물탱크(320) 삽입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소음을 감소시키고, 물탱크(320) 또는 감속유도부재(370)의 파손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물탱크 위치 감지 구조]
본 실시예의 물공급장치(300)는, 삽입감지부재(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삽입감지부재(380)는, 물탱크(320)의 위치가 삽입위치인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일례로서, 삽입감지부재(380)는 슬라이더(330)와 접촉하여 물탱크(320)의 위치를 간접적으로 감지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감지부재(380)는, 슬라이더(330), 좀 더 구체적으로는 측면프레임(335)과 접촉하여 슬라이더(330)의 위치를 감지하는 접촉식 스위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삽입감지부재(380)는, 물탱크(320)가 삽입위치에 있을 때, 이와 연결된 슬라이더(330)와 접촉되어 물탱크(320)가 삽입위치에 있음을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삽입감지부재(380)는 물탱크(320)와 직접 접촉하여 물탱크(320)의 위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러한 삽입감지부재(380)는, 물탱크(320)가 삽입위치에 있을 때, 물탱크(320)의 후방측 단부와 접촉되어 물탱크(320)가 삽입위치에 있음을 감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320)가 삽입위치에 위치할 때, 물탱크노즐(325)과 연결관(35)이 서로 연결되며 스팀발생부(3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물탱크(320)가 인출위치 측으로 이동하여 삽입위치에서 벗어나게 되면, 물탱크노즐(325)과 연결관(35) 간의 연결이 해제되면서 스팀발생부(31)로의 물 공급이 중단된다.
즉, 물탱크(320)가 삽입위치에서 벗어나 있을 때에는 스팀발생부(3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없는 상태인 것이고, 물탱크(320)가 삽입위치에 있을 때에는 스팀발생부(3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인 것이다. 스팀발생부(3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인지 여부는, 물탱크(320)의 위치가 삽입위치인지 여부를 삽입감지부재(380)가 감지함으로써 파악될 수 있다.
한편 물탱크노즐(325)과 연결관(35) 간의 연결을 매개로 물탱크(320)와 연결되는 스팀발생부(31)는, 물탱크(320)가 삽입위치에 위치함이 삽입감지부재(380)에 의해 감지될 때에만 동작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물탱크(320)가 삽입위치에 위치함이 삽입감지부재(380)에 의해 감지될 때, 즉 물탱크노즐(325)과 연결관(35)이 서로 연결되어 스팀발생부(3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을 때에만 스팀히터(33)가 물저장조(32)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물탱크노즐(325)과 연결관(35) 간의 연결이 해제되어 스팀발생부(3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할 때에는, 스팀히터(33)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스팀히터(33)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될 수 있다.
이로써 스팀발생부(3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스팀히터(33)가 가동되더라도 스팀을 생성하기 어려운 상태에서 스팀히터(33)가 불필요하게 가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스팀히터(33)의 불필요한 가동으로 인한 전력 낭비 및 스팀히터(33)의 과열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스팀공급장치의 작용 및 효과]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물공급장치에서 슬라이더가 고정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물공급장치에서 슬라이더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스팀공급장치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스팀공급장치(30)는 조리기기의 본체(100) 내부에 설치되며, 이 중 스팀발생부(31)는 조리실(101)의 하부측에 설치되고, 물공급장치(300)는 조리실(101)의 상부측, 즉 전장실(103)에 설치될 수 있다.
물공급장치(300)는, 스팀발생부(31)에 공급되기 위한 물을 저장 및 공급하도록 마련되는데, 도 4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에 설치되는 하우징(310)에 물탱크(320)가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형태로 제공된다.
물탱크(320)는, 삽입위치와 인출위치로 위치 변화 가능하도록 하우징(310)에 설치될 수 있다. 물탱크(320)가 삽입위치에 고정된 상태일 때에는 물탱크노즐(325)과 연결관(35)이 서로 연결되어 스팀발생부(3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물탱크(320)가 인출위치로 인출된 상태일 때에는 사용자가 조리기기 외부로 노출된 투입구를 통해 물탱크(320)의 내부로 물을 투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스팀발생부(31)에 공급되기 위한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기 위한 구성인 물탱크(320)와 물탱크(320)를 하우징(3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인 슬라이더(330)가 별도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물공급장치(300)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물탱크(320)와 슬라이더(330)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물탱크(320)와 슬라이더(330)가 별물로 마련됨으로써, 일체로 형성될 경우 형상 및 구조가 지나치게 복잡해질 수 있는 두 부품이 별도로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공급장치(300)의 제조성이 향상되고 물공급장치(300)의 제조비용이 절감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슬라이더(330)와 같이 구조상 파손 위험이 큰 부품이 물공급장치(300)에서 쉽게 분리될 수 있게 되므로, 물공급장치(300)에 대한 수리 작업의 난이도가 낮아지고 수리 비용이 절감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세척이나 수리 등을 위해 물탱크(320)를 하우징(310)으로부터 탈거하는 작업이 매우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320)가 하우징(310)의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물탱크(320)를 후방 측으로 밀어 넣으면, 물탱크(320) 및 슬라이더(330)가 후방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물탱크(320) 및 슬라이더(330)의 이동이 물탱크(320)가 삽입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이루어지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30)의 후방 측에 돌출되게 구비된 고정돌기(332)와 하우징(310)에 설치된 고정부(35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면서 물탱크(320)가 삽입위치에 위치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물탱크(320)가 하우징(31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탱크(320)가 삽입위치에 있을 때에는, 물탱크노즐(325)과 연결관(35; 도 6 참조)이 서로 연결되어 스팀발생부(31; 도 6 참조)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는 물탱크(320)의 위치가 삽입위치인지 여부는, 하우징(310)에 설치된 삽입감지부재(38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물탱크(320)가 삽입위치에 위치함이 삽입감지부재(380)에 의해 감지될 때, 즉 물탱크노즐(325)과 연결관(35)이 서로 연결되어 스팀발생부(3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을 때에만 스팀히터(33)가 물저장조(32)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물탱크노즐(325)과 연결관(35) 간의 연결이 해제되어 스팀발생부(3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할 때에는, 스팀히터(33)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못하도록 스팀히터(33)로의 전원 공급이 차단된다.
이로써 조리기기는, 스팀발생부(31)로의 물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여 스팀히터(33; 도 6 참조)가 가동되더라도 스팀을 생성하기 어려운 상태에서 스팀히터(33)가 불필요하게 가동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스팀히터(33)의 불필요한 가동으로 인한 전력 낭비 및 스팀히터(33)의 과열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물공급장치(300)와 스팀발생부(31)의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팀 조리와 관련된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조리기기를 조작하면, 물공급장치(300)로부터 물저장조(32)로 유입된 물이 스팀히터(33)에 의해 가열되어 스팀이 생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생성된 스팀은, 스팀관(38)을 통해 조리실(101) 내부로 유입될 수 있고, 이와 같이 조리실(101)로 유입된 스팀이 조리실(101) 내부를 순환하면서 조리실(101) 내부에서 스팀을 이용한 조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물 보충, 물탱크(320)의 세척 또는 기타 물공급장치(300)의 청소, 수리를 위해서는 물탱크(320)의 인출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물탱크(320)의 인출이 물탱크(320)의 전면에 대한 누름 조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예시된다.
예컨대, 고정돌기(332)가 고정부(350)에 결합되어 있던 상태에서 사용자가 물탱크(320)의 전면에 대한 누름 조작을 행하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돌기(332)와 고정부(350) 간의 결합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고정돌기(332)와 고정부(350) 간의 결합 상태가 해제되면, 압축되어 있던 팝업부재(360)의 탄성력이 슬라이더(33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슬라이더(330)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이러한 슬라이더(330)와 연결된 물탱크(320)는 슬라이더(330)와 함께 인출위치를 향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하던 슬라이더(330)가 멈추면, 물탱크(32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던 힘의 작용은 중단되고, 물탱크(320)에는 감속유도부재(370)에 의한 영향만이 미치게 된다.
감속유도부재(370)는, 물탱크(320)의 전방 이동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함으로써, 물탱크(320)의 전방 이동 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감속유도부재(370)는, 물탱크(320)가 부드럽게 인출될 수 있게 물탱크(32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물탱크(320)가 조리기기 전방으로 빠르게 튀어나오지 않도록 물탱크(32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물공급장치(300)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30) 및 조리기기에 따르면, 간편한 누름 조작만으로 물탱크(320)를 본체(100) 내부에 고정하거나 인출할 수 있는 기능, 물탱크(320)의 위치에 따라 스팀공급장치(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 물탱크(320)의 인출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감성 기능 등과 같이 다양한 기능이 하나의 물공급장치(300)를 통해 구현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물공급장치(300)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더욱 효과적으로 향상된 사용 편의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물공급장치(300)에 따르면, 물탱크(320)와 슬라이더(330)가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별도의 부품으로 마련되고, 물탱크(320)가 슬라이더(330)를 통해 하우징(3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물공급장치(300)는, 물공급장치(300)의 제조 비용을 낮추면서 제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물공급장치(300)의 수리 작업의 난이도 및 수리 비용을 낮출 수 있을 뿐 아니라, 세척이나 수리 등을 위한 물탱크(320) 탈거 작업이 쉽고 빠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물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상태에서 스팀히터가 불필요하게 가동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스팀히터의 불필요한 가동으로 인한 전력 낭비 및 스팀히터의 과열로 인한 안전사고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101 : 조리실
103 : 전장실
110 : 캐비티
120 : 제1프런트패널
130 : 제2프런트패널
140 : 어퍼패널
150 : 도어
155 : 핸들
170 : 팬모듈
200 : 컨트롤패널
30 : 스팀공급장치
31 : 스팀발생부
32 : 물저장조
33 : 스팀히터
35 : 연결관
36 : 펌프
38 : 스팀관
39 : 스팀분사구
300 : 물공급장치
310 : 하우징
310a : 제1하우징
310b : 제2하우징
310c : 배면커버
311 : 저면부
312 : 제1측면부
313 : 제1가이드면부
313a : 레일돌기
314 : 제1결합면부
315 : 상면부
316 : 제2측면부
317 : 제2가이드면부
318 : 제2결합면부
320 : 물탱크
321 : 리드
323 : 제1슬라이딩돌기
325 : 물탱크노즐
330 : 슬라이더
331 : 배면프레임
332 : 고정돌기
333 : 가이드돌기
335 : 측면프레임
336 : 제2슬라이딩돌기
340 : 튜브서포터
350 : 고정부
360 : 팝업부재
370 : 감속유도부재
380 : 삽입감지부재

Claims (16)

  1. 전면이 개구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는 슬라이더;
    상기 하우징에 전후방향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며, 전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슬라이더와 연결되는 물탱크;
    상기 슬라이더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없게 상기 슬라이더를 고정시키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서 분리된 상기 슬라이더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팝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물탱크는, 상기 슬라이더와 별물로 마련되며, 상기 슬라이더를 상대로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물공급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물탱크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배면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배면프레임과 상기 물탱크의 배면이 전후방향으로 맞대어지게 배치되는 물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배면프레임이 상기 물탱크를 전방으로 밀어 이동시키고,
    상기 물탱크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물탱크가 상기 배면프레임을 후방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물공급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에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더와 연결된 상기 물탱크의 전후방향 이동을 방해하는 감속유도부재를 더 포함하는 물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슬라이더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물탱크와 상기 슬라이더의 연결이 이루어지고,
    상기 감속유도부재는, 상기 슬라이더 내부에 삽입된 물탱크의 측면에 밀착되는 물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상기 물탱크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배면프레임, 및 상기 배면프레임에서 전방으로 각각 연장되어 상기 물탱크의 측면과 각각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몰탱크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배면프레임과 한 쌍의 상기 측면프레임으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삽입되는 물공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물탱크의 하부측에 배치되는 저면부;
    상기 저면부에서 상부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물탱크의 측부에 배치되는 측면부; 및
    상기 측면부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저면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저면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면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하부측에서 상기 측면프레임을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물공급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의 측면과 밀착되며 상기 물탱크의 전후방향 이동을 방해하는 감속유도부재를 더 포함하는 물공급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감속유도부재가 상기 물탱크를 사이에 두고 측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각각의 상기 감속유도부재는, 상기 측면프레임에 각각 설치되는 물공급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유도부재는, 상하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상기 측면프레임에 설치되는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는, 상기 물탱크의 측면에 밀착되며, 상기 물탱크의 이동을 방해하는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물공급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물탱크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배면프레임, 및 상기 배면프레임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슬라이더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돌기와 결합되는 물공급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더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배면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팝업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배면커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후방측에서 상기 슬라이더를 탄성 지지하는 물공급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물탱크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배면프레임, 및 상기 배면프레임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팝업부재는, 전후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마련되어 배면커버와 상기 배면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코일스프링을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코일스프링의 내측에 끼워지는 물공급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슬라이더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배면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물탱크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배면프레임, 및 상기 배면프레임에서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배면커버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하우징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공급장치.
  15.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도록 동작되는 스팀발생부; 및
    상기 스팀발생부에 공급되는 물을 공급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4 중 어느 한 항의 물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스팀공급장치.
  16. 내부에 조리실이 마련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실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청구항 15의 스팀공급장치;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0220120625A 2022-09-23 2022-09-23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 KR2024004151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625A KR20240041517A (ko) 2022-09-23 2022-09-23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
US18/370,075 US20240099496A1 (en) 2022-09-23 2023-09-19 Water supply device, and steam supply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the same
EP23198414.7A EP4343212A1 (en) 2022-09-23 2023-09-20 Water supply device, and steam supply device and cooking applianc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0625A KR20240041517A (ko) 2022-09-23 2022-09-23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1517A true KR20240041517A (ko) 2024-04-01

Family

ID=88097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0625A KR20240041517A (ko) 2022-09-23 2022-09-23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099496A1 (ko)
EP (1) EP4343212A1 (ko)
KR (1) KR20240041517A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320B1 (ko) * 2017-02-07 2018-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
EP3486572B1 (en) * 2017-11-17 2021-06-23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Household appliance comprising a liquid tan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099496A1 (en) 2024-03-28
EP4343212A1 (en) 202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89418B2 (en) Cooking appliance
KR102280927B1 (ko) 오븐
KR102124833B1 (ko) 오븐
EP3599429B1 (en) Cooking appliance
US8410411B2 (en) Microwave oven including hood
US20130019854A1 (en) Oven door
KR20080024025A (ko) 조리기기
EP3309463B1 (en) Oven
EP3421887B1 (en) Cooking appliance
EP3680557B1 (en) Cooking appliance
KR102210370B1 (ko) 오븐
KR100786087B1 (ko) 조리기기
KR102480463B1 (ko)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
CN107692810B (zh) 抽屉式烹饪器具
KR100743713B1 (ko) 조리기기
JP6321467B2 (ja) グリル装置
KR20240041517A (ko)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
KR20200087653A (ko) 조리기기
KR102605651B1 (ko) 물공급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스팀공급장치 및 조리기기
KR100735973B1 (ko) 조리기기
US20240044502A1 (en) Appliance
EP2811231A1 (en) Cooker
KR20240018305A (ko) 조리기기
JP6345148B2 (ja) 加熱調理器
KR20240032521A (ko) 조리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