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5973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5973B1
KR100735973B1 KR1020060088291A KR20060088291A KR100735973B1 KR 100735973 B1 KR100735973 B1 KR 100735973B1 KR 1020060088291 A KR1020060088291 A KR 1020060088291A KR 20060088291 A KR20060088291 A KR 20060088291A KR 100735973 B1 KR100735973 B1 KR 100735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cooking
door
cooking spac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8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8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59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5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5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24C15/04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with transparent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7/08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e.g. control panels, illumin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14Aspects relating to the do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6Prevention of microwave leakage, e.g. door seal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를 위해 사용되는 각종 부품이 설치된 공간 역시 도어에 의해 개폐되더라도 이물질이 각종 부품이 설치된 공간으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 공간, 조리 공간의 일측에 위치한 공간에 설치되어 조리 공간에서의 조리를 위해 사용되는 부품, 조리 공간 및 조리 공간의 일측에 위치한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그리고, 조리 공간의 일측에 위치한 공간에서 부품의 전방에 위치하는 보호벽,을 포함하기 때문에 이물질 투입 등으로 인하여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고, 작동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조리기기, 마이크로웨이브, 조리 공간, 냉각 유로, 상부 플레이트, 보호벽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ARATU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리기기의 일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일예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일예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이물질 방지구조 제1실시예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이물질 방지구조 제2실시예가 도시된 정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 조리 공간 150 : 전방 프레임
151 : 개구부 200 : 도어
290 : 쵸크 커버 291 : 개구부
300 : 상부 공간 340 : 상부 플레이트
350 : 릴레이 기판 400 : 후방 공간
500 : 측부 공간 600 : 하부 공간
본 발명은 조리를 위해 사용되는 각종 부품이 설치된 공간 역시 도어에 의해 개폐되더라도 이물질이 각종 부품이 설치된 공간으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소정의 조리 공간에 열을 발생시켜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기로써, 전자레인지, 오븐 겸용 전자레인지, 오븐 등을 포함한다.
최근에 조리기기 중에 오븐 겸용 전자레인지가 많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오븐 겸용 전자레인지는 마그네트론에서 발진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음식물에 조사시켜 조리되도록 하거나, 히터 주변에서 가열된 고온의 공기를 대류/복사시켜 음식물을 가열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조리기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종래의 조리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 내부에 음식물이 조리되는 조리 공간(미도시)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면에 각종 구성부품이 설치되는 전장 공간(미도시)이 구비되되, 케이스(10)의 전면 다른 일측에 도어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반면, 케이스(10)의 전면 일측에 버튼 디스플레이부(30)가 구비된다.
여기서, 케이스(10)의 조리 공간에는 음식물이 올려진 상태에서 회전되면서 골고루 익혀질 수 있는 턴 테이블(미도시)이 구비되고, 케이스(20)의 전장 공간에는 조리 공간으로 마이크로 웨이브를 조사시키는 마그네트론 어셈블리(미도시) 및 각종 히터 어셈블리(미도시)가 구비된다.
이때, 케이스(10)의 양측에는 조리 공간과 연통되는 흡기구(11) 및 배기구 (미도시)가 구비되기 때문에 전장 공간 측에 구비된 송풍팬(미도시)이 회전됨에 따라 외부 공기가 흡입되어 조리 공간을 통과한 다음, 토출되도록 하여 조리 공간의 습기, 열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다음, 도어(20)는 중앙에 조리 공간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시창(21)이 구비되되, 케이스(10)에 하단이 힌지 연결되는 동시에 상단에 핸들(22)이 구비되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다음, 버튼 디스플레이부(30)는 조리기기의 작동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31) 및 조리기기의 작동을 입력할 수 있도록 기계식의 버튼(32)이 구비되되, 케이스(10)의 상부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조리기기는 조리 공간의 상부에 형성된 전장 공간 내측에 조리에 사용되는 마그네트론 어셈블리 또는 히터 어셈블리가 설치되고, 조리 공간과 전장 공간 사이에만 외부 공기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조리 공간을 보다 넓게 구성하기 위하여 전장 공간이 조리 공간 배면에 구성되는 동시에 냉각유로인 별도의 공간이 조리 공간 상부에 구성되고, 냉각유로와 연통되는 도어가 조리 공간 전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리기기가 개발되고 있는데, 이 경우에 별도의 공간 역시 조리 공간이 도어에 의해 개폐됨에 따라 도어 개방 시에 별도의 공간으로 이물질 등이 투입되기 쉬우며, 그 결과 별도의 공간에 구비된 부품이 손상되거나, 작동 이상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5-0083504호에는 전형적인 조리기기의 예로서 마그네트론, 고압 트랜스, 고압 커패시터, 냉각 팬을 포함하는 주요 부품이 조리 공간 의 일 측면에 위치하는 조리기기가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037003호에는 마그네트론, 고압 트랜스, 고압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주요 부품이 조리 공간의 상면에 위치하고,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가 조리 공간의 후면에 위치하는 조리기기가 개시되어 있고,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9-0010444호에는 마그네트론, 고압 트랜스, 냉각 팬을 포함하는 주요 부품 및 조작 패널이 조리 공간의 하면에 위치하는 조리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98-0016489호에는 마그네트론, 고압 트랜스, 냉각 팬을 포함하는 주요 부품이 조리 공간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조리 공간의 상면으로부터 측부 공간으로 이어지는 냉각 유로가 형성된 조리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98-0053939호에는 전형적인 조리기기 도어의 예로서 마이크로웨이브를 차단하는 도어 프레임 및 이를 둘러싸는 쵸크 커버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의 도어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995-0003729호에는 조리 공간의 측면으로부터 조리 공간의 하면을 거쳐 도어로 이어지는 냉각 유로가 구비된 조리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108050호에는 조리 기기 조작 패널의 예로서 정전기를 이용하는 글래스 터치(glass touch) 방식의 조작 패널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조리 공간 및 조리에 사용되는 각종 부품이 설치된 공간이 도어에 의해 개폐되도록 설치되더라도 부품을 보호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리 공간, 조리 공간의 일측에 위치한 공간에 설치되어 조리 공간에서의 조리를 위해 사용되는 부품, 조리 공간 및 조리 공간의 일측에 위치한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그리고, 조리 공간의 일측에 위치한 공간에서 부품의 전방에 위치하는 보호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 공간의 일측에 위치한 공간으로부터 도어로 이어지는 냉각 유로,를 포함하며, 보호벽은 냉각 유로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 유로는 조리 공간의 후방으로부터 조리 공간의 일측에 위치한 공간을 거쳐 도어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 공간의 상측에서, 조리 공간의 일측에 위치한 공간의 하면을 형성하며, 부품이 장착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보호벽은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 공간의 전방에 고정되며, 조리 공간의 일측에 위치한 공간과 도어 측이 연통하도록 개구부를 구비하는 전방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벽은 개구부와 부품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호벽은 개구부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주요 구성을 분해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조리 공간(100), 도어(200), 조리 공간(100)의 위에 위치하는 상부 공간(300), 조리 공간(100)의 뒤에 위치하는 후방 공간(400), 조리 공간(100)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부 공간(500), 조리 공간(100)의 아래에 위치하는 하부 공간(600)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조리 공간(100)은 조리가 이루어지는 공간이며, 내부 케이스(110)에 의해 정의되고, 조리 공간(100)의 내부에서 상부에 히터(120)를 구비하며, 조리 공간(100) 내에 선반(130)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내부 케이스(110)에는 조리 공간(100) 내의 열 및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유로 형성을 위해 측면에 흡기구(미도시) 및 배기구(111)가 구비되어 있다. 히터(120)의 예로 시스 히터(sheath heater)를 들 수 있으며, 원형인 턴 테이블을 대신하여 선반(130)을 이용함으로써, 턴 테이블을 이용함으로써 제한되던 조리 공간(100)의 폭 및 길이(깊이)에 변형을 가져올 수 있다. 조리 공간(100)의 측면에는 선반(130)을 안내하는 가이드(14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조리 공간(100)의 전면과 후면에는 전방 프레임(150)과 후방 프레임(160)이 구비되어 있으며, 전방 프레임(150)은 후술될 상부 공간(300)과 도 어(200) 사이의 유로 형성을 위하여 개구부(151)를 구비한다. 후방 플레이트(160) 또한 후방 공간(400)과 연통을 위하여 적어도 그 상측에 개구부(161)를 구비한다.
다음, 도어(200)는 그 하부에서 조리 공간(100) 측과 힌지 연결되어 조리 공간(100)을 개폐하며, 조리 공간(100)과 상부 공간(300)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어(200)는 손잡이(210), 전방 플레이트(220), 입력 감지부(230), 도어 패널(240), 제어 패널(250), 중간 플레이트(260), 브래킷(270), 도어 프레임(280), 그리고 쵸크 커버(290)를 포함한다.
손잡이(210)는 도어(200)를 개폐할 때 사용자가 이용하는 부분이며, 볼트(미도시)로 전방 플레이트(220)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홈(미도시)을 형성함으로써, 중량을 감소시키고, 이 홈을 외부와 연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조리시 조리 공간(100)으로부터 전달된 열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방 플레이트(220)는 사용자가 조리 공간(100)을 볼 수 있도록 투명 유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조리할 코스를 선택하거나 조리기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버튼 등을 포함하는 버튼 표시부(미도시)가 부착 또는 코팅될 수 있다.
입력 감지부(230)는 사용자가 선택한 버튼을 인식하는 부품으로서, 유리로 된 전방 플레이트(220)의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 글래스 터치 유닛(glass touch unit)으로 이루어져 정전기 센서로서 기능하며, 테이프를 이용하여 전방 플레이트(220)에 부착될 수 있다. 입력 감지부(230)는 조리 공간(100)의 상부 공간(300) 이 위치하는 도어(2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폭넓은 조리 공간을 확보하는 한편, 사용자가 조리 공간(100)을 장해없이 볼 수 있다.
도어 패널(240)은 도어(200)의 다른 구성요소(220, 250 등)를 고정하는 부재이며, 사용자가 조리 공간(100)을 볼 수 있도록 개구부(24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술될 냉각 팬(420)으로부터 상부 공간(300)을 거쳐 도어(200) 내로 이어진 냉각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유동이 배출되는 배출구(미도시)를 그 하면에 구비한다.
제어 패널(25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조리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부재이며, 이를 위해 입력 감지부(230) 및 후술될 릴레이 기판(350)과 연동하고, 입력 감지부(230)의 후방에서 도어 패널(240)에 고정된다.
중간 플레이트(260)는 전방 플레이트(220) 및 도어 프레임(270) 각각과 거리를 두고, 도어 패널(240)에 고정되는 부재로서, 조리시 조리 공간(100)에서 발생한 열이 전방 프레임(220) 및 손잡이(21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후술될 냉각 팬(420)으로부터 생성된 유동이 후방 공간(400)과 상부 공간(300)을 거쳐 도어(200)로 진입한 다음, 후술될 브래킷(270)에 의해 안내되어 중간 플레이트(260)와 전방 플레이트(220) 사이로 유동되도록 도어 패널(240)에 위치한다. 이러한 유동은 도어 패널(240)의 배출구(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브래킷(270)은 제어 패널(250)의 후방에서 도어 패널(240)에 고정되며, 전자 부품을 포함하는 입력 감지부(230) 및 제어 패널(250)을 조리 공간(100)으로부터의 열 및 냉각 팬(420)에 의한 유동으로부터 보호하는 한편, 유동을 도어 패널(240)과 전방 플레이트(220) 사이로 안내한다.
도어 프레임(280)은 도어 패널(240)에 수용되며, 마이크로웨이브가 조리기기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쵸크 커버(290)는 조리 공간(100) 측에 위치하는 도어(200)의 커버이며, 그 상부에 전방 프레임(150)의 개구부(151)와 대응하는 개구부(291)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291)는 도어(2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음식물 또는 이물질이 도어(200)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조그만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부 공간(300)은 외부 케이스(310)에 의해 제한되는 조리 공간(100) 위의 공간이며, 히터(320), 도파관(330), 단열용 상부 플레이트(340), 릴레이 기판(350)를 포함한다. 또한 조리 공간(100)을 비추는 램프(미도시)를 구비하여도 좋다.
외부 케이스(310)는 조리 공간(100)과 거리를 두고 상방 및 양 측방을 둘러싸는 형태를 가지며, 전방 프레임(150) 및 후방 프레임(160)과 결합된다. 필요에 따라 조리 공간(100) 및 조리기기의 작동에 사용되는 발열 부재를 거친 유동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기구(311)를 구비하여도 좋다.
히터(320)의 예로 할로겐 히터를 들 수 있으며, 이러한 히터(320)는 마이크로웨이브의 영향을 받으므로, 시스 히터로 이루어질 수 있는 히터(120)와 달리 내부 케이스(110)의 상면에서 조리 공간(100)에 열을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도파관(330)은 후방 공간(400)으로부터 상부 공간(300)으로 이어져 있으며, 후술될 마그네트론(미도시)으로부터 발생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리 공간(10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단열용 상부 플레이트(340)는 내부 케이스(110) 내에 위치하는 히터(120)의 열이 상부 공간(300)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며, 히터(320)와 도파관(330)을 제외한 조리 공간(100)의 상부를 덮는 형상을 가진다.
릴레이 기판(350)은 상부 공간(300)의 일측에서 단열용 상부 플레이트(340)에 장착되며, 도어(200)에 구비된 제어 패널(250)과 연동하여 후방 공간(400)에 위치하는 후술될 마그네트론(미도시) 등의 부품을 작동시키는데 이용된다.
다음, 후방 공간(400)은 커버(410)에 의해 제한되는 조리 공간(100) 뒤의 공간이며, 냉각 팬(420),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430), 그리고 마그네트론(440), 고압 트랜스(450), 고압 커패시터(460)와 같은 발열 부재를 구비하여, 조리기기의 부품실을 형성한다.
커버(410)는 상부 공간(300)과 후방 공간(400)을 뒤에서 덮도록 후방 프레임(160) 또는 외부 케이스(311)와 결합되며, 그 하부는 베이스(610)와 결합된다. 커버(410)의 하부 또는 베이스(610)에는 냉각 팬(420)으로의 공기 유입을 위해 흡기구(411)가 구비된다.
냉각 팬(420)은 후방 공간(400)의 하부에 위치하며, 후방 공간(400)의 폭 방향을 따라 놓여 있고, 양측에 유동 발생부(421,422)를 구비하여, 그 상측에 위치하는 부품을 냉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후방 공간(400), 상부 공간(300), 도어(200)는 연통하도록 구성되므로, 냉각 팬(420)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전체를 냉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냉각 팬(420)에는 발생된 유동이 냉각 팬(420)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격벽(423)이 구비되어 있으며, 격벽(423)에는 유동이 후방 공간(400)의 상부를 향하도록 양측에 개구부(424,425)가 구비되어 있다. 유동 발생부(421)와 유동 발생부(422) 사이의 공간(426)에는 유동 발생부(421,422)를 구동하는 모터(미도시)가 구비된다.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430)는 팬(431), 히터(432), 내부 히터 커버(433), 외부 히터 커버(434), 모터(435)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히터 커버(433)와 외부 히터 커버(434) 사이에 단열재(미도시)가 구비된다. 이러한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430)는 모터(435)를 구비하여야 하며, 모터(435)는 후방 공간(400)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므로, 필연적으로 후방 공간(400)은 적어도 모터(435)의 깊이 만큼의 공간을 필요로 하고, 본 발명은 이러한 공간에 착안하여, 조기기기의 작동에 사용되는 주요 부품 중에서 큰 부피를 차지하는 부품(440, 450, 460)을 후방 공간(400)에 위치시킴으로써, 조리 공간(100)의 깊이 또는 길이의 일부를 희생하는 한편, 조리 공간(100)의 높이와 폭을 보다 넓힌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턴 테이블 구조 대신에 선반을 이용함으로써, 조리 공간(100)의 높이, 폭 및 깊이의 변형을 가능케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후방 공간(400)의 하부에 냉각 팬(420)을 구비함으로써, 후방 공간(400)을 활용하는 한편, 발열 부재(440, 450, 460)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후방 공간(400)의 하부에 냉각 팬(420)을 구비하는 한편, 후방 공간(400), 상부 공간(300), 도어(200), 조리 공간(100) 그리고 측부 공간(500)을 연통시킴으로써, 하나의 냉각 팬(420)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조리기기 전체를 냉각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 팬(420)을 후방 공 간(400)의 폭 방향을 따라 위치시킴으로써, 후방 공간(400)에 위치하는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430), 그리고 마그네크론(440), 고압 트랜스(450), 고압 커패시터(460)와 같은 발열 부재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으며, 상부 공간(300), 측부 공간(500), 조리 공간(100)으로 효과적으로 유동을 공급할 수 있고, 조리 공간(100) 하부의 베이스(610)에 형성된 배기구(611)를 통해 배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격벽(423) 및 개구부(424,425)를 구비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유로 및 유동을 형성하고 발열부재를 냉각할 수 있다. 한편 후방 프레임(160)에는 측부 공간(500)가 연통하는 개구부(162)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개구부(162)는 후방 공간(400)으로부터 측부 공간(500)으로 직접 유동이 가능하게 하는 한편, 후방 공간(400)의 양 측방으로 유동을 만들어 줌으로써 후방 공간(400) 양 측방의 냉각 및 유동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마그네트론(440), 고압 트랜스(450), 고압 커패시터(460)는 조리기기의 작동에 사용되는 주요 부품으로 발열량이 많은 부재이며, 마그네트론(440)이 개구부(424) 위에 위치되고, 고압 트랜스(450) 및 고압 커패시터(460)가 개구부(425) 위에 위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발열 부재의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
다음, 측부 공간(500)은 외부 케이스(100)에 의해 제한되는 조리 공간(100)의 양측 공간이며, 바람직하게는 상부 공간(300), 후방 공간(400) 및 하부 공간(600)과 연통하고, 흡기구(미도시) 및 배기구(111)를 통해 조리 공간(100)과 연통하며, 냉각 팬(420)으로부터 발생된 유동은 후방 공간(400), 상부 공간(300) 및 조리 공간(100)을 거쳐 측부 공간(500)을 통해 하부 공간(600)으로 유동한다. 이때 상부 공간(300)으로부터 측부 공간(500)으로 향하는 유동은 배기구(111)를 통해 조리 공간(100)을 빠져 나온 유동을 하부 공간(600)으로 안내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다음, 하부 공간(600)은 베이스(610)에 의해 제한되는 조리 공간(100)의 하부 공간이며, 전방 프레임(150)과 후방 프레임(160)에 결합되어 조리기기를 지지하고, 냉각 팬(420)에서 발생된 유동 및 조리 공간(100) 내에서 발생한 냄새 및 열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기구(611)를 구비한다. 한편 하부 공간(600)은 그 후방에서 후방 프레임(160)에 의해 제한되지만, 베이스(610)는 후방 프레임(160)을 넘어 커버(410)와도 결합된다. 따라서 베이스(610)는 후방 공간(400)의 하부를 제한하는 부재로도 기능한다. 베이스(610)에서 배기구(611)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배기구(111) 측에 위치하여도 좋고, 유동이 충분한 경로를 거치도록 베이스(610)의 중앙에 위치하여도 좋다. 한편 배기구(611)를 통해 온도가 높은 유동이 배출되므로, 열에 약한 주방기구 위에 조리기기가 놓이면, 주장기구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베이스(610)의 아래에 거리를 두고 베이스(610)와 결합하는 플레이트(미도시)를 구비하여 열이 측방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특히, 상기에서 언급한 조리기기의 냉각유로는 도 2에 도시된 구성에 더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조리 공간(100)의 후방에 냉각팬(420),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430), 마그네트론(440), 고압 트랜스(450), 고압 커패시터(460) 등이 장착되는 후방 공간(400)이 구비되는 반면, 조리 공간(100)의 상부에 히터(320), 도파관(330), 릴레이 기판(350) 등이 장착되는 상부 공간(300)이 구비되되, 후방 공간(400)과 상부 공간(300), 도어(200)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일종의 냉각유로를 구비하고, 후방 공간의 냉각팬(420)이 작동됨에 따라 외부 공기가 흡입되어 후방 공간(400), 상부 공간(300), 도어(200)를 통하여 빠져나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부 공간(300)과 후방 공간(400)은 서로 연통되는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되지만, 상부 공간(300)과 도어(200) 사이에는 각각 개구부(151,291)가 형성되어 서로 연통되도록 하되, 조리 공간의 전방 프레임(150)과 도어의 쵸크 커버(290)의 서로 맞닿는 부분, 즉 상부에 각각 복수개의 개구부(151,291)가 형성된다.
특히, 전방 프레임(150)을 기준으로 그 후방 즉, 조리 공간(100) 상부에 상부 공간(300)의 하면을 형성하도록 일종의 단열재인 단열용 상부 플레이트(340)가 설치되고, 단열용 상부 플레이트(340)에는 히터(320)와 도파관(330)이 각각 위치될 수 있는 홈(341) 및 홀(342)이 형성될 뿐 아니라 릴레이 기판(350)이 도파관(330)과 반대측에 세워질 수 있도록 조립된다.
물론, 히터(320)와 도파관(330) 및 릴레이 기판(350)은 전방 프레임(150)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지만, 전방 프레임의 개구부(151)를 통하여 사람이 송곳 등으로 찌르거나, 이물질 등이 투입되거나, 손가락을 넣을 수 있고, 그로 인하여 상기와 같은 부품들이 손상되고, 작동 이상을 초래할 뿐 아니라 안전사고가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전방 프레임의 개구부(151)에 대응하는 일종의 보호벽(343)이 각종 부품들보다 전방에 위치되도록 단열용 상부 플레이트(340)에 설치되되, 보호벽(343)이 전방 프레임의 개구부(151)와 소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전방 프레임의 개구부(151)를 통과하는 유동을 막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냉각유로를 구성하기 위하여 전방 프레임의 개구부(151)와 도어의 개구부(291)가 서로 연통되도록 구성되더라도, 전방 프레임의 개구부(151) 상에 일종의 보호벽과 같이 복수개의 작은 개구부(152)가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고, 그 외에도 복수개의 작은 슬릿, 루버 형상 등이 다양하게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 공간 및 조리에 사용되는 각종 부품이 설치된 공간이 도어에 의해 개폐되고, 그에 따라 각종 부품이 설치된 공간과 도어가 서로 연통되어 냉각유로를 구성하기 때문에 조리 공간으로부터 도어를 통한 열전달을 방지하고, 도어에 응축수 맺힘 등을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에 사용되는 각종 부품이 설치된 공간이 도어에 의해 개폐됨에 따라 서로 연통되더라도, 각종 부품이 설치된 공간에 부품을 보호할 수 있는 보호벽을 설치하기 때문에 이물질, 인체의 일부분이 각종 부품이 설치된 공간 으로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여 작동 신뢰성을 높일 수 있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 유로를 위해 마련된 전방 프레임 측 개구부로 전자파가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7)

  1. 조리 공간;
    조리 공간의 일측에 위치한 공간에 설치되어 조리 공간에서의 조리를 위해 사용되는 부품;
    조리 공간 및 조리 공간의 일측에 위치한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 그리고,
    조리 공간의 일측에 위치한 공간에서 부품의 전방에 위치하는 보호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조리 공간의 일측에 위치한 공간으로부터 도어로 이어지는 냉각 유로;를 포함하며,
    보호벽은 냉각 유로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냉각 유로는 조리 공간의 후방으로부터 조리 공간의 일측에 위치한 공간을 거쳐 도어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조리 공간의 상측에서, 조리 공간의 일측에 위치한 공간의 하면을 형성하며, 부품이 장착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보호벽은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조리 공간의 전방에 고정되며, 조리 공간의 일측에 위치한 공간과 도어 측이 연통하도록 개구부를 구비하는 전방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보호벽은 개구부와 부품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7. 제5항에 있어서,
    보호벽은 개구부 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KR1020060088291A 2006-09-12 2006-09-12 조리기기 KR100735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291A KR100735973B1 (ko) 2006-09-12 2006-09-12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291A KR100735973B1 (ko) 2006-09-12 2006-09-12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5973B1 true KR100735973B1 (ko) 2007-07-06

Family

ID=38503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8291A KR100735973B1 (ko) 2006-09-12 2006-09-12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59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9608A (ko) * 2013-03-06 2014-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 기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4754A (ja) * 1994-05-14 1995-12-12 Daewoo Electronics Co Ltd 電子レンジの冷却装置
KR19980076461A (ko) * 1997-04-10 1998-11-16 윤종용 전자렌지
KR20060062232A (ko) * 2004-12-03 2006-06-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렌지의 케이스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4754A (ja) * 1994-05-14 1995-12-12 Daewoo Electronics Co Ltd 電子レンジの冷却装置
KR19980076461A (ko) * 1997-04-10 1998-11-16 윤종용 전자렌지
KR20060062232A (ko) * 2004-12-03 2006-06-1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전자렌지의 케이스 장착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9608A (ko) * 2013-03-06 2014-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 기기
KR102037380B1 (ko) * 2013-03-06 2019-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 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24025A (ko) 조리기기
KR100901890B1 (ko) 조리기기
KR100872222B1 (ko) 조리기기
KR100862112B1 (ko) 조리기기
KR20080024029A (ko) 조리기기
KR100735973B1 (ko) 조리기기
KR100836352B1 (ko) 조리기기
KR100872221B1 (ko) 조리기기
KR100819593B1 (ko) 조리기기
KR20080024028A (ko) 조리기기
KR20080024177A (ko) 조리기기
KR100901914B1 (ko) 조리기기
KR100872238B1 (ko) 조리기기
KR20080043292A (ko) 조리기기
KR20080043297A (ko) 조리기기
KR20080043293A (ko) 조리기기
KR20080024022A (ko) 조리기기
KR20080024175A (ko) 조리기기
KR20080043291A (ko) 조리기기
KR20080044227A (ko) 조리기기
KR20080024176A (ko) 조리기기
KR20080082184A (ko) 조리기기
KR20080039104A (ko) 조리기기
KR20080082185A (ko) 조리기기
KR20080043758A (ko)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4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