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2185A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82185A
KR20080082185A KR1020070022678A KR20070022678A KR20080082185A KR 20080082185 A KR20080082185 A KR 20080082185A KR 1020070022678 A KR1020070022678 A KR 1020070022678A KR 20070022678 A KR20070022678 A KR 20070022678A KR 20080082185 A KR20080082185 A KR 20080082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cooking
heater
cooling passage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2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22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82185A/ko
Publication of KR20080082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21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12Side rests; Side plates; Cover lids; Splash guards; Racks outside ovens, e.g. for drying plat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Cooling of the microwave components and related air circula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26Aspects relating to the exterior of the microwave heating apparatus, e.g. metal casing, power cord
    • H05B6/6429Aspects relating to mounting assemblies of wall-mounted microwave ove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73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convection heating
    • H05B6/6479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convection heating using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있어서, 조리 공간, 조리 공간의 적어도 일측을 지나도록 형성되며, 유동이 조리기기 외부로 나가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냉각 유로 그리고, 배출구 근처에 위치하며, 유동이 배출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가이드가 배출구의 일부 방향을 가려서, 유동이 가이드를 우회하여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냉각 유로의 길이를 연장하고, 유동이 조리기기 내에 머무르며 조리기기와 열교환하는 시간을 연장하여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조리기기, 냉각팬, 냉각, 냉각 유로, 유로 가이드,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후방에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상부 공간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하부 공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냉각 유로를 연장하여 냉각 효과를 높이기 위해, 유동의 배기구 부근에 가이드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소정의 조리 공간에 열을 발생시켜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기로써, 전자레인지, 오븐 겸용 전자레인지, 오븐 등을 포함한다.
조리에 이용되는 마그네트론, 고압 커패시터, 고압 트랜스 및 대류/복사 히터와 같은 전장품은 작동 시 발열량이 많다. 이때, 전장품의 냉각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전장품의 파손 및 전장품 결선의 파손으로 조리기기의 고장 및 오작 동할 우려가 크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전장품을 냉각하기 위한 유동을 발생하는 냉각 팬 및 냉각 팬에 의해 발생 된 유동에 의해 형성되는 냉각 유로를 구비한다.
최근에 조리기기 중에 오븐 겸용 전자레인지가 많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오븐 겸용 전자레인지는 마그네트론에서 발진되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음식물에 조사시켜 조리되도록 하거나, 히터 주변에서 가열된 고온의 공기를 대류/복사시켜 음식물을 가열되도록 한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제한된 설치 공간에 여러 개의 전장품이 설치되어 특히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조리기기를 냉각하는 냉각 유로의 길이를 연장하고, 냉각 유로를 이루는 유동이 장시간 조리기기와 열교환을 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온의 히터를 냉각하면서 온도가 상승한 유동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있어서, 조리 공간, 조리 공간의 적어도 일측을 지나도록 형성되며, 유동이 조리기기 외부로 나가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냉각 유로 그리고, 배출구 근처에 위치하며, 유동이 배출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가이드가 배출구의 일부 방향 을 가려서, 유동이 가이드를 우회하여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냉각 유로의 길이를 연장하고, 유동이 조리기기 내에 머무르며 조리기기와 열교환하는 시간을 연장하여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 배출구가 구비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조리 공간과 베이스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이 하부 공간이다. 하부 공간을 통해, 측부 공간으로부터 냉각 유로를 형성하는 유동이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 가이드는 베이스로부터 조리 공간까지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가이드가 배출구의 일부 구간에서 냉각 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 배출구는 베이스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배출구가 베이스의 가장자리에 위치하면, 유동의 흐름이 지나치게 정체될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중앙부란 베이스의 정 중앙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베이스의 모서리를 제외한 베이스의 내부 영역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 냉각 유로는 조리 공간의 후방 공간, 상부 공간, 하부 공간, 측부 공간 중의 적어도 두개를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 냉각 유로는 조리 공간의 내부를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조리물을 조리하면 서 발생하는 조리 공간 내부의 냄새 및 열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 냉각 유로는 조리 공간의 후방 공간으로부터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조리 공간의 후방에 마그네트론, 고압 트랜스, 고압 커패시터 및 컨벡션 히터에 이용되는 모터 와 같은 부품들을 배치하고, 상기한 부품들을 냉각하기 위해 후방 공간의 하부에 냉각 팬을 배치한다. 따라서 냉각 팬에서 발생한 유동은 후방 공간에 배치된 부품들을 냉각하면서, 조리 공간의 후방 공간으로부터 상부 공간 및 측부 공간을 향해 유동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 가이드는 배출구의 전방, 후방, 좌방 및 우방 중 세 방향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가이드에 의해 차단된 세 방향을 향하는 냉각 유로가 가이드에 의해 차단되지 않은 일 방향으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냉각 유로를 형성하는 유동이 조리기기 내에서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므로, 조리기기와 열 교환하는 시간이 길어져, 냉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로서, 조리 공간의 상부에서 냉각 유로 상에 위치하는 히터, 히터를 지난 냉각 유로를 조리 공간의 일 측부로 안내하는 배리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또한, 히터 외의 다른 부품은 히터를 지난 냉각 유로의 하류를 제외한 곳에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특히 발열량이 큰 부품인 히터를 냉각하며 고온이 된 유동이 다른 부품으로 흘러가, 다른 부품에 고장 및 오작동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기구는 조리 공간의 다른 일 측부보다 히터를 지난 냉각 유로가 지나는 조리 공간의 일 측부에 더 가깝게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조리기기를 냉각하는 다른 냉각 유로보다 상대적으로 고온인 히터를 지난 냉각 유로가 조리 기기 내에 머무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 공간의 후방 하부에 설치되며, 냉각 유로를 형성하는 강제 유동을 발생하는 냉각 팬 및 조리 공간의 후방 하부로부터 조리 공간의 하부로 직접 연결되는 냉각 유로의 형성을 방지하도록 조리 공간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냉각 팬에서 발생한 유동이 조리 공간의 하부로 직접 유입되어 베이스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냉각 유로가 발열 부재를 냉각하지 않고 배출되는 것과 냉각 유로가 지나치게 짧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주요 구성을 분해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조리 공간(100), 도어(200), 조리 공간(100)의 위에 위치하는 상부 공간(300), 조리 공간(100)의 뒤에 위치하는 후방 공간(400), 조리 공간(100)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부 공간(500), 조리 공간(100)의 아래에 위치하는 하부 공간(600)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조리 공간(100)은 조리가 이루어지는 공간이며, 내부 케이스(110)에 의해 정의되고, 조리 공간(100)의 내부에서 상부에 히터(120)를 구비하며, 조리 공간(100) 내에 선반(130)이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내부 케이스(110)에는 조리 공간(100) 내의 열 및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유로 형성을 위해 측면에 흡기구(미도시) 및 배기구(111)가 구비되어 있다.
히터(120)의 예로 시스 히터(sheath heater)를 들 수 있으며, 원형인 턴 테이블을 대신하여 선반(130)을 이용함으로써, 턴 테이블을 이용함으로써 제한되던 조리 공간(100)의 폭 및 길이(깊이)에 변형을 가져올 수 있다. 조리 공간(100)의 측면에는 선반(130)을 안내하는 가이드(140)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조리 공간(100)의 전면과 후면에는 전방 프레임(150)과 후방 프레임(160)이 구비되어 있다. 즉, 내부 케이스(110)가 전방 프레임(150) 및 후방 프레임(160)에 의해 지지된다. 후방 프레임(160)는 후방 공간(400)과 연통을 위하여 적어도 그 상측에 개구부(161)를 구비한다.
다음, 도어(200)는 그 하부에서 조리 공간(100) 측과 힌지 연결되어 조리 공간(100)을 개폐하며, 조리 공간(100)과 상부 공간(300)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어(200)는 손잡이(210), 전방 전방 프레임(220), 입력 감지부(230), 도어 패널(240), 제어 패널(250), 중간 전방 프레임(260), 브래킷(270), 도어 프레임(280), 그리고 쵸크 커버(290)를 포함한다.
손잡이(210)는 도어(200)를 개폐할 때 사용자가 이용하는 부분이며, 볼트(미도시)로 전방 전방 프레임(220)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홈(미도시)을 형성함으로써, 중량을 감소시키고, 이 홈 을 외부와 연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조리시 조리 공간(100)으로부터 전달된 열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방 전방 프레임(220)는 사용자가 조리 공간(100)을 볼 수 있도록 투명 유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조리할 코스를 선택하거나 조리기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버튼 등을 포함하는 버튼 표시부(미도시)가 부착 또는 코팅될 수 있다.
입력 감지부(230)는 사용자가 선택한 버튼을 인식하는 부품으로서, 유리로 된 전방 전방 프레임(220)의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 글래스 터치 유닛(glass touch unit)으로 이루어져 정전기 센서로서 기능하며, 테이프를 이용하여 전방 전방 프레임(220)에 부착될 수 있다. 입력 감지부(230)는 조리 공간(100)의 상부 공간(300)이 위치하는 도어(2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폭넓은 조리 공간을 확보하는 한편, 사용자가 조리 공간(100)을 장애 없이 볼 수 있다.
제어 패널(25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조리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부재이되, 입력 감지부(230)의 후방에서 도어 패널(240)에 고정되며, 이를 위해 입력 감지부(230) 및 후술될 릴레이 기판(350)과 연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전선이 연결되며, 하기에서 전선 인출구조를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 상부 공간(300)은 외부 케이스(310)에 의해 제한되는 조리 공간(100) 위의 공간이며, 히터(320), 도파관(330), 단열용 상부 전방 프레임(340) 및 릴레이 기판(350)를 포함한다. 또한 조리 공간(100)을 비추는 램프(미도시)를 구비하여도 좋다.
외부 케이스(310)는 조리 공간(100)과 거리를 두고 상방 및 양 측방을 둘러싸는 형태를 가지며, 전방 프레임(150) 및 후방 프레임(160)과 결합된다. 필요에 따라 조리 공간(100) 및 조리기기의 작동에 사용되는 발열 부재를 거친 유동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기구(311)를 구비하여도 좋다.
히터(320)의 예로 할로겐 히터를 들 수 있으며, 이러한 히터(320)는 마이크로웨이브의 영향을 받으므로, 시스 히터로 이루어질 수 있는 히터(120)와 달리 내부 케이스(110)의 상면에서 조리 공간(100)에 열을 공급하도록 설치된다.
도파관(330)은 후방 공간(400)으로부터 상부 공간(300)으로 이어져 있으며, 후술될 마그네트론(미도시)으로부터 발생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리 공간(10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단열용 상부 전방 프레임(340)는 내부 케이스(110) 내에 위치하는 히터(120)의 열이 상부 공간(300)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며, 히터(320)와 도파관(330)을 제외한 조리 공간(100)의 상부를 덮는 형상을 가진다.
릴레이 기판(350)은 상부 공간(300)의 일측에서 단열용 상부 전방 프레임(340)에 장착되며, 도어(200)에 구비된 제어 패널(250)과 연동하여 후방 공간(400)에 위치하는 후술될 마그네트론(미도시) 등의 부품을 작동시키는데 이용된다.
다음, 후방 공간(400)은 커버(410)에 의해 제한되는 조리 공간(100) 뒤의 공간이며, 냉각 팬(420),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430), 그리고 마그네트론(440), 고압 트랜스(450), 고압 커패시터(460)와 같은 발열 부재를 구비하여, 조리기기의 부품 실을 형성한다.
커버(410)는 상부 공간(300)과 후방 공간(400)을 뒤에서 덮도록 후방 프레임(160) 또는 외부 케이스(311)와 결합되며, 그 하부는 베이스(610)와 결합된다. 커버(410)의 하부 또는 베이스(610)에는 냉각 팬(420)으로의 공기 유입을 위해 흡기구(411)가 구비된다.
냉각 팬(420)은 후방 공간(400)의 하부에 위치하며, 후방 공간(400)의 폭 방향을 따라 놓여 있고, 양측에 유동 발생부(421,422)를 구비하여, 그 상측에 위치하는 부품을 냉각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후방 공간(400), 상부 공간(300), 도어(200)는 연통하도록 구성되므로, 냉각 팬(420)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전체를 냉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냉각 팬(420)에는 발생된 유동이 냉각 팬(420)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격벽(423)이 구비되어 있으며, 격벽(423)에는 유동이 후방 공간(400)의 상부를 향하도록 양측에 개구부(424,425)가 구비되어 있다. 유동 발생부(421)와 유동 발생부(422) 사이의 공간(426)에는 유동 발생부(421,422)를 구동하는 모터(미도시)가 구비된다.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430)는 팬(431), 히터(432), 내부 히터 커버(433), 외부 히터 커버(434), 모터(435)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히터 커버(433)와 외부 히터 커버(434) 사이에 단열재(미도시)가 구비된다. 이러한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430)는 모터(435)를 구비하여야 하며, 모터(435)는 후방 공간(400)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므로, 필연적으로 후방 공간(400)은 적어도 모터(435)의 깊이 만큼의 공간을 필요로 하고, 본 발명은 이러한 공간에 착안하여, 조기기기의 작동에 사용 되는 주요 부품 중에서 큰 부피를 차지하는 부품(440, 450, 460)을 후방 공간(400)에 위치시킴으로써, 조리 공간(100)의 깊이 또는 길이의 일부를 희생하는 한편, 조리 공간(100)의 높이와 폭을 보다 넓힌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턴 테이블 구조 대신에 선반을 이용함으로써, 조리 공간(100)의 높이, 폭 및 깊이의 변형을 가능케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후방 공간(400)의 하부에 냉각 팬(420)을 구비함으로써, 후방 공간(400)을 활용하는 한편, 발열 부재(440, 450, 460)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후방 공간(400)의 하부에 냉각 팬(420)을 구비하는 한편, 후방 공간(400), 상부 공간(300), 도어(200), 조리 공간(100) 그리고 측부 공간(500)을 연통시킴으로써, 하나의 냉각 팬(420)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조리기기 전체를 냉각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 팬(420)을 후방 공간(400)의 폭 방향을 따라 위치시킴으로써, 후방 공간(400)에 위치하는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430), 그리고 마그네트론(440), 고압 트랜스(450), 고압 커패시터(460)와 같은 발열 부재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으며, 상부 공간(300), 측부 공간(500), 조리 공간(100)으로 효과적으로 유동을 공급할 수 있고, 조리 공간(100) 하부의 베이스(610)에 형성된 배출구(611)를 통해 배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격벽(423) 및 개구부(424,425)를 구비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유로 및 유동을 형성하고 발열부재를 냉각할 수 있다. 한편 후방 프레임(160)에는 측부 공간(500)가 연통하는 개구부(162)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개구부(162)는 후방 공간(400)으로부터 측부 공간(500)으로 직접 유동이 가능하게 하는 한편, 후방 공간(400)의 양 측방으로 유동을 만들어 줌으로써 후방 공간(400) 양 측방의 냉각 및 유동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마그네트론(440), 고압 트랜스(450), 고압 커패시터(460)는 조리기기의 작동에 사용되는 주요 부품으로 발열량이 많은 부재이며, 마그네트론(440)이 개구부(424) 위에 위치되고, 고압 트랜스(450) 및 고압 커패시터(460)가 개구부(425) 위에 위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발열 부재의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
다음, 측부 공간(500)은 외부 케이스(100)에 의해 제한되는 조리 공간(100)의 양측 공간이며, 바람직하게는 상부 공간(300), 후방 공간(400) 및 하부 공간(600)과 연통하고, 흡기구(미도시) 및 배기구(111)를 통해 조리 공간(100)과 연통하며, 냉각 팬(420)으로부터 발생된 유동은 후방 공간(400), 상부 공간(300) 및 조리 공간(100)을 거쳐 측부 공간(500)을 통해 하부 공간(600)으로 유동한다. 이때 상부 공간(300)으로부터 측부 공간(500)으로 향하는 유동은 배기구(111)를 통해 조리 공간(100)을 빠져 나온 유동을 하부 공간(600)으로 안내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상부공간을 도시한 도면으로, 히터 장착부(322)에 형성된 개구부(323)에 의해 히터(320)의 열이 릴레이 기판(350)으로 직접 복사에 의해 전달되거나, 개구부(323)를 통해 히터(320)를 냉각한 유로가 릴레이 기판(350)으로 연장되어 대류에 의해 히터(320)의 열이 릴레이 기판(35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조리기기는 히터(320)의 복사열이 릴레이 기판(350)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히터(320)를 지난 유로가 릴레이 기판(350)으로 연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리어(370)를 구비한다. 배리어(370)는 릴레이 기판(350)으로부터 히터(320)를 완전히 가리도록 히터(320)의 일측에 위치 한다. 배리어(370)는 단열 플레이트(340)의 일부를 절곡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배리어(370)가 단열 플레이트(340)의 일부인 경우, 별도로 제작하여 단열 플레이트(340)에 결합하는 것보다, 제조 시간 및 제작 단가가 적게 든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배리어(370)는 히터(320) 측으로 절곡된 상단(37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터(320) 측으로 절곡된 상단을 구비하면, 유로의 유동이 히터(320)를 지나 릴레이 기판(350)으로 향하는 것을 더욱 잘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하부 공간을 도시한 도면으로, 하부 공간(600)은 베이스(610)에 의해 제한되는 조리 공간(100)의 하부 공간이며, 전방 프레임(150)과 후방 프레임(160)에 결합되어 조리기기를 지지하고, 냉각 팬(420)에서 발생된 유동 및 조리 공간(100) 내에서 발생한 냄새 및 열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출구(611)를 구비한다. 한편 하부 공간(600)은 그 후방에서 후방 프레임(160)에 의해 제한되지만, 베이스(610)는 후방 프레임(160)을 넘어 커버(410)와도 결합된다. 따라서 베이스(610)는 후방 공간(400)의 하부를 제한하는 부재로도 기능한다.
베이스(610)에서 배출구(611)의 주변에는 배출구(611)의 일부를 막는 가이드(620)가 구비된다. 가이드(620)는 배출구(611)의 주변에서 냉각 유로와 배출구(611) 사이에 배출구(611)를 일부 가리도록 형성되어, 냉각 유로가 우회하도록 안내한다. 히터(320)를 지난 유동이 배리어(370)에 의해 조리기기의 측부 공간 중에서 우방 및 좌방 중 어느 한 공간으로 안내되고, 릴레이 기판(350)은 히터(320)를 지난 유동이 안내되는 반대 방향을 피해서 배치된다. 또한 배출구(611)는 베이 스(610)의 중앙부에서 히터(320)를 지난 유동이 안내되는 측부에 가까운 곳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터(320)를 냉각하며 뜨거워진 공기가 조리기기 내에 머무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가이드(620)의 높이는 하부 공간(600)의 높이와 일치한다. 측, 가이드(620)는 베이스(610)로부터 조리 공간(100)까지 뻗어있다. 또한 가이드(620)는 하부 공간(600)에서 히터(320)를 지난 유동이 유입되는 방향을 제외한 다른 세 방향을 막는다. 따라서, 히터(320)를 냉각한 유동이 조리기기 내에 머무는 시간은 단축하면서, 히터(320)를 지나지 않은 상대적으로 온도가 더 낮은 유동이 조리기기 내에 머무는 시간을 연장할 수 있어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배출구(611)를 통해 온도가 높은 유동이 배출되므로, 열에 약한 주방기구 위에 조리기기가 놓이면, 주방기구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베이스(610)의 아래에 거리를 두고 베이스(610)와 결합하는 플레이트(미도시)를 구비하여 열이 측방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리기기는 냉각 유로가 조리기기 내에서 열교환할 수 있는 시간을 연장할 수 있어,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리기기는 히터를 냉각하며 고온이 된 유동이 다른 부품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히터를 지나는 냉각 유로를 단축하여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조리기기는 마그네트론, 고압 트랜스 및 고압 커패시터와 같이 열에 민감한 부품들과 냉각 팬을 가까이 설치하여 고장 및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1)

  1. 조리기기에 있어서,
    조리 공간;
    조리 공간의 적어도 일측을 지나도록 형성되며, 유동이 조리기기 외부로 나가는 배출구를 구비하는 냉각 유로; 그리고,
    배출구 근처에 위치하며, 유동이 배출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배출구가 구비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가이드는 베이스로부터 조리 공간까지 뻗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배출구는 베이스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냉각 유로는 조리 공간의 후방 공간, 상부 공간, 하부 공간, 측부 공간 중의 적어도 두개를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6. 제 5 항에 있어서,
    냉각 유로는 조리 공간의 내부를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냉각 유로는 조리 공간의 후방 공간으로부터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가이드는 배출구의 전방, 후방, 좌방 및 우방 중 세 방향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조리 공간의 상부에서 냉각 유로 상에 위치하는 히터; 및
    히터를 지난 냉각 유로를 조리 공간의 일 측부로 안내하는 배리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배기구는 조리 공간의 다른 일 측부보다 히터를 지난 냉각 유로가 지나는 조리 공간의 일 측부에 더 가깝게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조리 공간의 후방 하부에 설치되며, 냉각 유로를 형성하는 강제 유동을 발생하는 냉각 팬; 및
    조리 공간의 후방 하부로부터 조리 공간의 하부로 직접 연결되는 냉각 유로의 형성을 방지하도록 조리 공간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방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KR1020070022678A 2007-03-07 2007-03-07 조리기기 KR200800821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678A KR20080082185A (ko) 2007-03-07 2007-03-07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2678A KR20080082185A (ko) 2007-03-07 2007-03-07 조리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2185A true KR20080082185A (ko) 2008-09-11

Family

ID=40021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2678A KR20080082185A (ko) 2007-03-07 2007-03-07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82185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791A (ko) * 1996-12-05 1998-09-05 구자홍 전자레인지의 공기흐름장치
KR20000005833U (ko) * 1998-09-03 2000-04-06 윤종용 전자레인지
JP2000164332A (ja) * 1998-11-24 2000-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装置
KR20020050027A (ko) * 2000-12-20 2002-06-26 구자홍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20050100245A (ko) * 2004-04-13 2005-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3791A (ko) * 1996-12-05 1998-09-05 구자홍 전자레인지의 공기흐름장치
KR20000005833U (ko) * 1998-09-03 2000-04-06 윤종용 전자레인지
JP2000164332A (ja) * 1998-11-24 2000-06-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加熱調理装置
KR20020050027A (ko) * 2000-12-20 2002-06-26 구자홍 전자레인지의 공기유동시스템
KR20050100245A (ko) * 2004-04-13 2005-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레인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24025A (ko) 조리기기
KR101531060B1 (ko) 공기 순환 수단을 포함한 오븐 레인지
KR100872222B1 (ko) 조리기기
KR102209023B1 (ko) 조리기기
AU2020206080B2 (en) Cooker
KR20080024024A (ko) 조리기기
KR100862112B1 (ko) 조리기기
KR20080024029A (ko) 조리기기
KR20160088608A (ko) 조리기기
KR100836352B1 (ko) 조리기기
KR20080082185A (ko) 조리기기
KR100735973B1 (ko) 조리기기
KR100872221B1 (ko) 조리기기
KR20080082184A (ko) 조리기기
KR100819593B1 (ko) 조리기기
KR101531061B1 (ko) 열 차단 수단을 구비한 오븐 레인지
EP2064493B1 (en) Cooking apparatus
KR100872238B1 (ko) 조리기기
KR20080043297A (ko) 조리기기
KR20080082186A (ko) 조리기기용 선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100901914B1 (ko) 조리기기
KR20080082180A (ko) 조리기기
KR102037380B1 (ko) 조리 기기
KR20080024177A (ko) 조리기기
KR20080082181A (ko)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