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9608A - 조리 기기 - Google Patents

조리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9608A
KR20140109608A KR1020130023755A KR20130023755A KR20140109608A KR 20140109608 A KR20140109608 A KR 20140109608A KR 1020130023755 A KR1020130023755 A KR 1020130023755A KR 20130023755 A KR20130023755 A KR 20130023755A KR 20140109608 A KR20140109608 A KR 201401096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magnetron
cooking
inner case
wave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3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7380B1 (ko
Inventor
최흥식
이영민
양재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3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7380B1/ko
Publication of KR20140109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9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7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7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647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 H05B6/6473Aspects related to microwave heating combined with other heating techniques combined with convection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64Heating using microwaves
    • H05B6/70Feed lines
    • H05B6/707Feed lines using waveguid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stitution Of High-Frequency Heating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조리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조리 기기는, 내부에 조리 공간을 형성하는 내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의 후방 공간에 위치하는 부품실; 상기 부품실에 구비되며, 상기 내부 케이스의 후판의 중앙에 설치되는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 상기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의 일측에 구비되는 고압 트랜스; 상기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를 중심으로, 상기 고압 트랜스의 반대 측에 위치되는 마그네트론; 및 상기 후방 공간으로부터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부 공간으로 연장되며, 상기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생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리 공간으로 공급하는 도파관;을 포함하고, 상기 도파관의 일측은 상기 마그네트론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상부 공간의 중앙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파 에너지를 조리 공간에 균일하게 방사하여, 조리물의 가열 편차가 생기는 현상을 방지하고, 가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컨벡션 모터가 조리 기기의 후방 중앙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대류열에 의한 조리물의 가열 편차가 생기는 현상을 방지하고, 가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부품을 후방에 배치하고, 전면으로 개방되는 공간을 넓힐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치 구조에 따르면, 조리 기기의 공간 효율을 높일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조리 기기의 전체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고압 트랜스, 고압 캐패시터 및 마그네트론 사이에 고압 전류의 방전에 의한 스파크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 기기{A cooking apparatus}
본 명세서는 조리 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 기기는 가스, 전기, 마이크로웨이브 등의 열원을 이용하여 조리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기기이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08-0012601호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조리 기기가 개시된다. 이러한 종래의 조리 기기는, 고압트랜스에서 발생되는 가속용 고전압에 의해 대전력의 전자파 에너지를 안테나를 통해 발생하는 마그네트론과, 마그네트론에서 발생된 전자파 에너지를 개구부를 통해 안내 및 방사하는 도파관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를 조리 기기의 상면 중앙에 형성함으로써, 전자파 에너지를 조리 공간에 고르게 방사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마이크로웨이브 만으로 충분히 가열시키지 못하거나, 가열원의 특성상 원하는 조리 상태를 얻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735973호에는 오븐 겸용 전자레인지가 개시된다. 이러한 종래의 조리 기기는, 마이크로웨이브 뿐만 아니라, 히터 주변에서 가열된 고온의 공기를 대류시켜 음식물을 가열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조리 대상에 따라서, 복수의 가열원의 동작을 제어하여 원하는 조리 상태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상기 조리 기기의 경우, 대류에 의한 가열 효율을 고려하여,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는 팬이 조리 기기의 후방 중앙에 배치된다. 그리고 마그네트론은 상기 팬의 위치를 회피하여 조리 기기의 후방 측부에 배치되고, 도파관은 상기 마그네트론으부터 수직하게 연장되어 상기 조리 기기의 상면 측부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따라서, 상기 도파관으로부터 전자파 에너지를 방사하는 개구부는 조리 기기의 한 쪽으로 편향되게 배치되었다. 결과적으로, 마이크로 웨이브 가열시 좌우측의 조리물 가열 편차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도파관의 형상을 변경하여, 전자파 에너지를 고르게 전달할 수 있는 조리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컨벡션 팬 모터를 조리 기기의 후방 중앙에 위치시킴으로써, 대류에 의한 가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조리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대적으로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고압 트랜스, 고압 캐패시터 및 마그네트론을 후방에 배치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공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조리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고압 트랜스, 고압 캐패시터 및 마그네트론 사이에 고압 전류의 방전에 의한 스파크를 방지할 수 있는 조리 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조리 기기는, 내부에 조리 공간을 형성하는 내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의 후방 공간에 위치하는 부품실; 상기 부품실에 구비되며, 상기 내부 케이스의 후판의 중앙에 설치되는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 상기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의 일측에 구비되는 고압 트랜스; 상기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를 중심으로, 상기 고압 트랜스의 반대 측에 위치되는 마그네트론; 및 상기 후방 공간으로부터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부 공간으로 연장되며, 상기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생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리 공간으로 공급하는 도파관;을 포함하고, 상기 도파관의 일측은 상기 마그네트론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상부 공간의 중앙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파 에너지를 조리 공간에 균일하게 방사하여, 조리물의 가열 편차가 생기는 현상을 방지하고, 가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컨벡션 모터가 조리 기기의 후방 중앙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대류열에 의한 조리물의 가열 편차가 생기는 현상을 방지하고, 가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부품을 후방에 배치하고, 전면으로 개방되는 공간을 넓힐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치 구조에 따르면, 조리 기기의 공간 효율을 높일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조리 기기의 전체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고압 트랜스, 고압 캐패시터 및 마그네트론 사이에 고압 전류의 방전에 의한 스파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내부 케이스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내부 케이스의 상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히터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의 상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10)는, 조리 공간(100), 도어(200), 조리 공간(100)의 위에 위치하는 상부 공간(300), 조리 공간(100)의 뒤에 위치하는 후방 공간(400), 조리 공간(100)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부 공간(500), 조리 공간(100)의 아래에 위치하는 하부 공간(600)을 포함한다.
조리 공간(100)은 조리가 이루어지는 공간이며, 내부 케이스(110)에 의해 정의되고, 조리 공간(100)의 내부 상측에 상부 히터(120)를 구비하며, 조리 공간(100) 내에 선반(130)이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내부 케이스(110)에는 조리 공간(100) 내의 열 및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유로를 형성하는 흡기구 및 배기구(111)가 구비된다.
상부 히터(120)는 예를 들어 시스 히터(sheath heater)일 수 있다.
선반(130)은 조리 공간(100)의 폭 및 길이(깊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 조리 공간(100)을 고르게 가열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턴 테이블과 같이 상기 선반(130)을 회전시키는 구동부는 생략될 수 있다. 기존에 턴 테이블을 이용함으로써 제한되던 조리 공간(100)의 폭 및 길이(깊이)에 변형을 가져올 수 있다.
조리 공간(100)의 측면에는 선반(130)을 안내하는 가이드(140)가 구비될 수 있다.
조리 공간(100)의 전면과 후면에는 전방 프레임(150)과 후방 프레임(160)이 구비되며, 전방 프레임(150)은 후술될 상부 공간(300)과 도어(200) 사이의 유로 형성을 위하여 개구부(151)를 구비한다. 후방 플레이트(160) 또한 후방 공간(400)과 연통을 위하여 적어도 그 상측에 개구부(161)를 구비한다.
도어(200)는 하부에서 조리 공간(100) 측과 힌지 연결되어 조리 공간(100)을 개폐하며, 조리 공간(100)과 상부 공간(300)에 걸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어(200)는 손잡이(210), 전방 플레이트(220), 입력 감지부(230), 도어 패널(240), 제어 패널(250), 중간 플레이트(260), 브래킷(270), 도어 프레임(280), 그리고 쵸크 커버(290)를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210)는 도어(200)를 개폐할 때 사용자가 이용하는 부분이며, 볼트(미도시)로 전방 플레이트(220)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홈(미도시)을 형성함으로써, 중량을 감소시키고, 이 홈을 외부와 연통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조리시 조리 공간(100)으로부터 전달된 열이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방 플레이트(220)는 사용자가 조리 공간(100)을 볼 수 있도록 투명 유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사용자가 조리할 코스를 선택하거나 조리기기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버튼 등을 포함하는 버튼 표시부(미도시)가 부착 또는 코팅될 수 있다.
입력 감지부(230)는 사용자가 선택한 버튼을 인식하는 부품으로서, 유리로 된 전방 플레이트(220)의 후방에 위치하는 경우 글래스 터치 유닛(glass touch unit)으로 이루어져 정전기 센서로서 기능하며, 테이프를 이용하여 전방 플레이트(220)에 부착될 수 있다. 입력 감지부(230)는 조리 공간(100)의 상부 공간(300)이 위치하는 도어(2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이러한 구성을 통해 폭넓은 조리 공간을 확보하는 한편, 사용자가 조리 공간(100)을 장애 없이 볼 수 있다.
도어 패널(240)은 도어(200)의 다른 구성요소(220, 250 등)를 고정하는 부재이며, 상기 도어 패널(240)에는, 사용자가 조리 공간(100)을 볼 수 있도록 개구부(241)가 형성된다. 또한 냉각 팬(420)으로부터 상부 공간(300)을 거쳐 도어(200) 내로 이어진 냉각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유동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하면에 구비할 수 있다.
제어 패널(250)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조리기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부재이되, 입력 감지부(230)의 후방에서 도어 패널(240)에 고정되며, 이를 위해 입력 감지부(230) 및 후술될 릴레이 기판(350)과 연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전선이 연결되며, 하기에서 전선 인출구조를 후술하기로 한다.
중간 플레이트(260)는 전방 플레이트(220) 및 도어 프레임(270) 각각과 거리를 두고, 도어 패널(240)에 고정되는 부재로서, 조리시 조리 공간(100)에서 발생한 열이 전방 프레임(220) 및 손잡이(21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후술될 냉각 팬(420)으로부터 생성된 유동이 후방 공간(400)과 상부 공간(300)을 거쳐 도어(200)로 진입한 다음, 후술될 브래킷(270)에 의해 안내되어 중간 플레이트(260)와 전방 플레이트(220) 사이로 유동되도록 도어 패널(240)에 위치한다. 이러한 유동은 도어 패널(240)의 배출구(24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브래킷(270)은 제어 패널(250)의 후방에서 도어 패널(240)에 고정되며, 전 자 부품을 포함하는 입력 감지부(230) 및 제어 패널(250)을 조리 공간(100)으로부터의 열 및 냉각 팬(420)에 의한 유동으로부터 보호하는 한편, 유동을 도어 패널(240)과 전방 플레이트(220) 사이로 안내한다.
도어 프레임(280)은 도어 패널(240)에 수용되며, 마이크로웨이브가 조리기기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쵸크 커버(290)는 조리 공간(100) 측에 위치하는 도어(200)의 커버이며, 그 상부에 전방 프레임(150)의 개구부(151)와 대응하는 개구부(291)가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291)는 도어(200)가 개방된 상태에서 음식물 또는 이물질이 도어(200)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조그만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공간(300)은 외부 케이스(310)에 의해 제한되는 조리 공간(100) 위의 공간이며, 도파관(330), 단열용 상부 플레이트(340) 및 릴레이 기판(350)를 포함한다. 또한 조리 공간(100)을 비추는 램프(미도시)를 구비하여도 좋다.
외부 케이스(310)는 조리 공간(100)과 거리를 두고 상방 및 양 측방을 둘러싸는 형태를 가지며, 전방 프레임(150) 및 후방 프레임(160)과 결합된다. 필요에 따라 조리 공간(100) 및 조리기기의 작동에 사용되는 발열 부재를 거친 유동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기구(311)를 구비하여도 좋다.
도파관(330)은 후방 공간(400)으로부터 상부 공간(300)으로 이어져 있으며, 마그네트론(440)으로부터 발생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리 공간(100)으로 공급한다.
단열용 상부 플레이트(340)는 내부 케이스(110) 내에 위치하는 상부 히터(120)의 열이 상부 공간(300)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하며, 히터(320)와 도파관(330)을 제외한 조리 공간(100)의 상부를 덮는 형상을 가진다.
릴레이 기판(350)은 상부 공간(300)의 일측에서 단열용 상부 플레이트(340)에 장착되며, 도어(200)에 구비된 제어 패널(250)과 연동하여 후방 공간(400)에 위치하는 후술될 마그네트론(440) 등의 부품을 작동시키는데 이용된다.
후방 공간(400)은 커버(410)에 의해 제한되는 조리 공간(100) 뒤의 공간이며, 냉각 팬(420),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430), 그리고 마그네트론(440), 고압 트랜스(450) 및 고압 커패시터(460)가 설치되며, 조리기기의 부품실을 형성한다.
커버(410)는 상부 공간(300)과 후방 공간(400)을 뒤에서 덮도록 후방 프레임(160) 또는 외부 케이스(310)와 결합되며, 그 하부는 베이스(610)와 결합된다. 커버(410)의 하부 또는 베이스(610)에는 냉각 팬(420)으로의 공기 유입을 위해 흡기구(411)가 구비된다.
냉각 팬(420)은 후방 공간(400)의 하부에 위치하며, 후방 공간(400)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 팬(420)은 상기 후방 공간(400)을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후방 공간(400), 상부 공간(300), 도어(200)는 서로 연통되므로, 냉각 팬(420)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 전체를 냉각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430)는 상기 부품실에 구비되며, 상기 내부 케이스의 후판의 중앙에 설치된다. 상기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430)는 팬(431), 대류 히터(432), 내부 히터 커버(433), 외부 히터 커버(434), 컨벡션 팬 모터(435)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 히터 커버(433)와 외부 히터 커버(434) 사이에는 단열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대류 히터(432)는 팬(431)을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대류 히터(432)는 열 전도가 빠른 챠콜 히터(charcoal heater)를 사용할 수 있다.
컨벡션 팬 모터(435)는 후방공간(400)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므로, 후방 공간(400)은 적어도 컨벡션 팬 모터(435)의 깊이 만큼의 공간을 필요로 하고, 본 발명은 이러한 공간에 착안하여, 조기기기의 작동에 사용되는 주요 부품 중에서 큰 부피를 차지하는 부품(440, 450, 460)을 후방 공간(400)에 위치시킴으로써, 조리 공간(100)의 깊이 또는 길이의 일부를 희생하는 한편, 조리 공간(100)의 높이와 폭을 보다 넓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방 공간(400)의 하부에 냉각 팬(420)을 구비함으로써, 후방 공간(400)을 활용하는 한편, 발열 부재(440, 450, 460)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후방 공간(400)의 하부에 냉각 팬(420)을 구비하는 한편, 후방 공간(400), 상부 공간(300), 도어(200), 조리 공간(100) 그리고 측부 공간(500)을 연통시킴으로써, 하나의 냉각 팬(420)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조리기기 전체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 팬(420)을 후방 공간(400)의 폭 방향을 따라 위치시킴으로써, 후방 공간(400)에 위치하는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430), 그리고 마그네크론(440), 고압 트랜스(450), 고압 커패시터(460)와 같은 발열 부재를 효과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또한, 상부 공간(300), 측부 공간(500), 조리 공간(100)으로 효과적으로 유동을 공급할 수 있고, 조리 공간(100) 하부의 베이스(610)에 형성된 배기구(611)를 통해 배기할 수 있다.
한편 후방 프레임(160)에는 측부 공간(500)가 연통하는 개구부(162)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개구부(162)는 후방 공간(400)으로부터 측부 공간(500)으로 직접 유동이 가능하게 하는 한편, 후방 공간(400)의 양 측방으로 유동을 만들어 줌으로써 후방 공간(400) 양 측방의 냉각 및 유동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측부 공간(500)은 외부 케이스(100)에 의해 제한되는 조리 공간(100)의 양측 공간이며, 상부 공간(300), 후방 공간(400) 및 하부 공간(600)과 연통하고, 흡기구 및 배기구(111)를 통해 조리 공간(100)과 연통할 수 있다. 냉각 팬(420)으로부터 발생된 유동은 후방 공간(400), 상부 공간(300) 및 조리 공간(100)을 거쳐 측부 공간(500)을 통해 하부 공간(600)으로 유동한다. 이때 상부 공간(300)으로부터 측부 공간(500)으로 향하는 유동은 배기구(111)를 통해 조리 공간(100)을 빠져나온 유동을 하부 공간(600)으로 안내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하부 공간(600)은 베이스(610)에 의해 제한되는 조리 공간(100)의 하부 공간이며, 전방 프레임(150)과 후방 프레임(160)에 결합되어 조리기기를 지지하고, 냉각 팬(420)에서 발생된 유동 및 조리 공간(100) 내에서 발생한 냄새 및 열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배기구(611)를 구비한다. 한편 하부 공간(600)은 그 후방에서 후방 프레임(160)에 의해 제한되지만, 베이스(610)는 후방 프레임(160)을 넘어 커버(410)와도 결합된다. 따라서 베이스(610)는 후방 공간(400)의 하부를 제한하는 부재로도 기능한다. 베이스(610)에서 배기구(611)의 위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배기구(111) 측에 위치하여도 좋고, 유동이 충분한 경로를 거치도록 베이스(610)의 중앙에 위치하여도 좋다. 한편 배기구(611)를 통해 온도가 높은 유동이 배출되므로, 열에 약한 주방기구 위에 조리기기가 놓이면, 주방기구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베이스(610)의 아래에 거리를 두고 베이스(610)와 결합하는 플레이트 (미도시)를 구비하여 열이 측방으로 배출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후방공간(300)에 구비되는 마그네트론(440), 고압 트랜스(450), 고압 커패시터(460), 컨벡션 팬 모터(435) 및 냉각팬(420)의 배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마그네트론(440)이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생하기 위해서는 고압의 전류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마이크로웨이브 어셈블리는 마그네트론(440) 외에 고압 트랜스(450), 고압 커패시터(460)과 같은 부품들이 더 구비하여야 한다.
그러나 고압 트랜스(450)와 마그네트론(440)에는 고압의 전류가 흐르면서 강력한 전자기장이 형성되어 방전 스파크가 발생할 우려가 크다. 따라서 고압 트랜스(450)와 마그네트론(440) 사이의 간격은 넓을수록 좋다. 따라서 후방 공간(300)에서 고압 트랜스(450)과 마그네트론(440)은 각각 반대 측에 위치한다.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430)의 일측에 고압 트랜스(450)가 배치되고,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430)를 중심으로, 고압 트랜스(450)의 반대 측에 마그네트론(440)이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전류는 릴레이 기판(350)으로부터 인가된 상대적으로 저압의 전류가 고압 트랜스(450)에서 상대적으로 고압의 전류로 변환된 후, 마그네트론(440)으로 인가된다. 따라서 고압 트랜스(450)는 릴레이 기판(350)이 장착된 측에 위치하는 것이 릴레이 기판(350)과 고압 트랜스(450)를 연결하는 전선의 길이를 단축하고, 전력의 손실을 저감하며, 전장 공간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즉, 릴레이 기판(350)은 상부 공간(300)의 좌측 및 우측 중 고압 트랜스(450)에 가까운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고압 트랜스(450)의 하부에는 고압 트랜스(450)를 보호하는 고압 퓨즈(470)가 설치된다. 고압 퓨즈(470)는 마그네트론(440)이 쇼트 시 고압 트랜스(450)의 2차측 코일(457)에 흐르는 과전류로부터 고압 트랜스(450)를 보호한다. 고압 퓨즈(470)는 고압 트랜스(450)에 접지되어야 하므로, 고압 트랜스(450)에 가깝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압 커패시터(460)는 상대적으로 공간에 여유가 있는 마그네트론(440)의 하부에 설치된다. 고압 커패시터(460)는 일반적으로 타원 원통 형상으로 제작된다. 후방 공간(400)의 하부에는 조리기기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 팬(420)이 배치되므로, 고압 커패시터(460)의 길이 방향이 조리기기의 너비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조리기기의 높이 방향과 이루는 각도보다 작도록 고압 커패시터(46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상기 고압 커패시터(460)의 길이 방향은 상기 팬(420)의 길이 방향과 수평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고압 커패시터(460) 설치의 편의를 위해, 고압 커패시터(460)의 길이 방향과 조리기기의 너비 방향이 일치하지 않고, 약간의 각도를 가지고 비스듬하게 설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마그네트론(440), 고압 트랜스(450) 및 고압 커패시터(460)는 서로 전류가 흐르도록 전선(480)에 의해 연결된다. 전선(480)은 마그네트론(440)과 고압 트랜스(450), 고압 트랜스(450)와 고압 커패시터(460) 및 고압 커패시터(460)와 마그네트론(440)을 각각 연결한다. 마그네트론(440), 고압 트랜스(450) 및 고압 커패시터(460)는 각각 전선(480)을 꽂을 수 있는 커넥터(445, 455, 465)를 구비한다. 전선(480)의 단부가 커넥터(445, 455, 465)에 삽입되어 회로를 구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선(480)의 단부 및 커넥터(445, 455, 465)는 도전할 수 있도록 절연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방전에 의한 스파크가 발생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곳이 커넥터(445, 455, 465)이다.
마그네트론(440)에 구비되는 커넥터(445)는 마그네트론(440)의 양 측면중 외 측면, 즉 고압 트랜스(450)를 향하지 않는 면에 형성된다. 커넥터(445)가 고압 트랜스(450)로부터 먼 곳에 형성될수록 방전에 의한 스파크를 일어나기 어렵기 때문이다. 또한, 마그네트론(440)의 하부에는 고압 커패시터(460)가 위치하므로, 마그네트론(440)의 하부에는 커넥터(445)가 형성되지 않는 편이 바람직하다.
고압 트랜스(450)의 상부에는 릴레이 기판(350)으로부터 전류가 인가되는 단자(454)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커넥터(455)가 형성된다. 고압 트랜스(450)의 상부에는 릴레이 기판(350)으로부터 전류가 인가되는 1차 코일(456)이, 고압 트랜스(450)의 하부에는 고압의 전류가 유도되는 2차 코일(457)가 배치된다. 고압의 전류가 마그네트론(440)으로 인가되어야 하기 때문에, 커넥터(455)는 2차 코일(457)과 연결된다.
고압 커패시터(460)의 커넥터(465)는 고압 커패시터(460)의 내 측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압 커패시터(460)와 마그네트론(440)은 후방 공간(400)의 일측에 상, 하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마그네트론(440)의 커넥터(445)와 고압 커패시터(460)의 커넥터(465)가 모두 외 측면에 배치되면, 커넥터(445)와 커넥터(465) 사이에 방전에 의한 스파크가 발생할 염려가 높기 때문이다.
또한 컨벡션 팬 모터(435)는 후방 공간(400)에서 중앙부에 위치한다. 마그네트론(440)과 고압 커패시터(460) 사이의 간격을 넓히기 위해, 마그네트론(440)과 고압 커패시터(460)가 후방 공간(400)에서 반대 측에 설치되기 때문에 컨벡션 팬 모터(435)는 빈 공간인 중앙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430)의 다른 부품인 팬(431) 및 대류 히터(432)도 중앙부에 설치된다.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430)가 중앙부에 설치되면 측면이나 구석에 설치되는 것에 비해 대류가 원활히 일어날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이다. 또한, 컨벡션 팬 모터(435)의 상부에는 릴레이 기판(350)으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는 단자(436)가 형성된다. 단자(436)가 컨벡션 팬 모터(435)의 상부에 설치됨으로써, 릴레이 기판(350)과 단자(436)의 거리를 좁혀 전력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고압 트랜스(450)의 커넥터(455) 및 고압 커패시터(460)의 커넥터(465)와 단자(436) 사이의 간격을 넓힐 수 있어, 방전에 의한 스파크를 방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내부 케이스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내부 케이스의 상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 기기의 내부 케이스(110)의 상판에는 상부 히터(120)의 단자부(122)가 삽입되는 단자 삽입홀(312)과, 상부 히터(12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홀(311)과, 내부 케이스(110)의 상판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314)와, 도파관(330)이 구비된다.
단자 삽입홀(312)는 단자부(122)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대략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단자 삽입홀(312)은 도파관(330)이 구비되는 부분을 회피하여 내부 케이스(110)의 상판의 좌측에 구비될 수 있다.
단자 삽입홀(312)은 마그네트론(440)이 설치된 부분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단자 삽입홀(312)은, 내부 케이스(110)의 상판의 좌측 및 우측 중에서 도파관(330)의 제 2 부분이 위치된 일 측의 반대 측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단자 삽입홀(312)은 내부 케이스(110)의 상판의 좌측 및 우측 중 릴레이 기판(350)에 가까운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자 삽입홀(312)이 릴레이 기판(350)이 장착된 측에 위치됨으로써, 릴레이 기판(350)과 단자 삽입홀(312)에 삽입되는 단자부(122)를 연결하는 전선의 길이를 단축하고, 전력의 손실을 저감하며, 전장 공간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고정 홀(311)은 내부 케이스(110)의 상판에 형성되는 구멍으로, 상부 히터(120)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가 체결될 수 있다. 고정 홀(311)은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고정 홀(311)은 내부 케이스(110)의 상판의 좌우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보강부(314)는 단자 삽입홀(312)과 도파관(330)이 배치되는 부분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보강부(314)는 내부 케이스(110)의 상판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되는 함몰부(314a)와, 함몰부(314a)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314b)를 포함할 수 있다.
도파관(330)의 일측은 마그네트론(440)의 상단에 연결되고, 타측은 내부 케이스(110)의 상판 중앙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연결된다. 도파관(330)의 측벽을 이루는 판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는 곡선 형태일 수 있다.
도파관(330)은 마그네트론(440)에 연결되는 제 1 부분(332)과, 상기 상판 중앙 개구부에 연결되는 제 2 부분(336)과, 제 1 부분(332) 및 제 2 부분(336)을 연결하는 제 3 부분(33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부분(332), 제 2 부분(336), 제 3 부분(336)은 각각 전자파 에너지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안내하는 상판, 하판, 양측판을 포함한다.
제 1 부분(332)은 마그네트론(440)에서 발생된 전자파 에너지가 도파관(330)으로 최초로 유입되는 부분이다. 마그네트론(440)에서 발생되는 다량의 전자파 에너지가 제 1 부분(332) 내부의 특정한 지점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부분(332)은 마그네트론(440)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휘어지지 않고 곧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제 1 부분(332)의 양측판은 평판일 수 있다.
제 2 부분(336)은 도파관(330)으로부터 조리 공간(100)으로 전자파 에너지가 유입되는 부분이다. 제 2 부분(336) 내부에서 전자파 에너지가 어느 일측으로 집중되지 않고, 조리 공간(100)으로 고르게 방사되도록, 제 2 부분(336)의 양측판은 평판일 수 있다.
제 3 부분(334)은 제 1 부분(332)으로부터 연장되어 제 2 부분(336)에 연결된다. 앞서 설명한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430) 및 마그네트론(440)을 고려할 때, 제 3 부분(334)은 내부 케이스(110)의 상판에 대하여 대략 사선방향으로 배치되어야 한다.
일 예로, 제 3 부분(334)은 제 1 부분(332)으로부터 제 2 부분(336)까지의 거리가 최소가 되도록 양측판이 평판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 3 부분(334)은 내부로 유동되는 전자파 에너지가 일 부분으로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 1 부분(332)으로부터 제 2 부분(336)까지 소정의 곡률(R)을 갖고 휘어지는 형상일 수 있다. 즉, 제 3 부분(334)의 양측판은 설정 곡률(R)을 가지는 판일 수 있다.
제 3 부분(334)과 제 1 부분이(332)이 연결되는 부분과, 제 3 부분(334)과 제 2 부분(336)이 연결되는 부분이 이루는 각도를 제 1 각도(θ1)라고 할 때, 제 1 각도(θ1)는 30도 이상 60도 이하일 수 있다. 다만 제 1 각도(θ1)는 내부 케이스(110)의 상판의 크기 및 마그네트론(440)의 배치 위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제 1 부분(332)의 측벽을 따라 연장한 가상의 선과, 제 2 부분(336)의 측벽을 따라 연장한 가상의 선이 서로 이루는 각도를 제 2 각도(θ2)라고 할 때, 제 2 각도(θ2)는 30도 이상 60도 이하일 수 있다. 다만 제 2 각도(θ2)는 내부 케이스(110)의 상판의 크기 및 마그네트론(440)의 배치 위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제 1 부분(332), 제 2 부분(336), 제 3 부분(334)은 도파관(330)의 각 부분을 형태 및 위치에 따라서 구별한 것에 불과하다. 즉, 제 1 부분(332), 제 2 부분(336), 제 3 부분(334)은 각각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결합되거나, 한 몸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히터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히터(120)는, 조리 공간(100)을 균일하게 가열하기 위하여 전체적으로 대칭되는 형상일 수 있다. 다만 도파관(330)의 설치 구조에 따라서, 형성되는 단자 삽입홀(312)의 위치를 고려하여 상부 히터(120)에 전원이 인가되는 부분인 단자부(122)는 상부 히터(120)의 일측에 편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단자부(122)는 단자 삽입홀(312)에 삽입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의 상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플레이트(340)는, 도파관(330)이 삽입되는 도파관 홀(341)과, 단자부(122)가 삽입되는 단자 노출홀(342)을 포함하고, 상부 플레이트(340)의 일측에는 릴레이 기판(350)이 설치될 수 있다.
도파관 홀(341)은 도파관(330)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마그네트론(440)이 위치되는 부분으로부터, 상부 플레이트(340)의 중앙부분까지 개구되는 형상일 수 있다.
단자 노출홀(342)은 단자부(122)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단자 노출홀(342)은 마그네트론(440)이 설치된 부분의 반대편에 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자 노출홀(342)이 릴레이 기판(350)이 장착된 측에 위치됨으로써, 릴레이 기판(350)과 단자 노출홀(342)에 삽입되는 단자부(122)를 연결하는 전선의 길이를 단축하고, 전력의 손실을 저감하며, 전장 공간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파 에너지를 조리 공간에 균일하게 방사하여, 조리물의 가열 편차가 생기는 현상을 방지하고, 가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컨벡션 모터가 조리 기기의 후방 중앙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대류열에 의한 조리물의 가열 편차가 생기는 현상을 방지하고, 가열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부피를 많이 차지하는 부품을 후방에 배치하고, 전면으로 개방되는 공간을 넓힐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치 구조에 따르면, 조리 기기의 공간 효율을 높일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조리 기기의 전체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고압 트랜스, 고압 캐패시터 및 마그네트론 사이에 고압 전류의 방전에 의한 스파크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내부에 조리 공간을 형성하는 내부 케이스;
    상기 내부 케이스의 후방 공간에 위치하는 부품실;
    상기 부품실에 구비되며, 상기 내부 케이스의 후판의 중앙에 설치되는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
    상기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의 일측에 구비되는 고압 트랜스;
    상기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를 중심으로, 상기 고압 트랜스의 반대 측에 위치되는 마그네트론; 및
    상기 후방 공간으로부터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부 공간으로 연장되며, 상기 마그네트론으로부터 발생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리 공간으로 공급하는 도파관;을 포함하고,
    상기 도파관의 일측은 상기 마그네트론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상부 공간의 중앙에 배치되는 조리 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은, 상기 마그네트론에 연결되는 제 1 부분;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판의 중앙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연결되는 제 2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 및 제 2 부분을 연결하는 제 3 부분;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부분의 양측판은 평판으로 형성되는 조리 기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부분의 양측판은 설정 곡률을 가지는 판으로 형성되는 조리 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파관의 측벽을 이루는 판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는 곡선 형태인 조리 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공간의 좌측 및 우측 중 상기 고압 트랜스에 가까운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고압 트랜스 및 마그네트론을 작동시키기 위한 릴레이 기판;을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 공간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는 상부 히터; 및
    상기 상부 히터에 전원을 인가하는 단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내부 케이스의 상판의 좌측 및 우측 중 상기 릴레이 기판에 가까운 일측에 형성되는 단자 삽입홀에 삽입되는 조리 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케이스 내부에 위치하는 상부 히터의 열이 상부 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단열용 상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조리 기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용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도파관에 대응하여, 상기 마그네트론이 위치되는 부분으로부터, 중앙부분까지 개구되는 도파관 홀; 및
    상기 단자부에 대응하여, 상기 마그네트론이 설치된 부분의 반대편에 천공되는 단자 노출홀;을 포함하는 조리 기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벡션 히터 어셈블리는,
    공기의 유동을 강제하는 팬;
    상기 팬을 구동시키는 팬 모터; 및
    상기 팬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대류 히터;를 포함하는 조리 기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대류 히터는 챠콜 히터를 사용하는 조리 기기.
KR1020130023755A 2013-03-06 2013-03-06 조리 기기 KR102037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755A KR102037380B1 (ko) 2013-03-06 2013-03-06 조리 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3755A KR102037380B1 (ko) 2013-03-06 2013-03-06 조리 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608A true KR20140109608A (ko) 2014-09-16
KR102037380B1 KR102037380B1 (ko) 2019-10-28

Family

ID=51756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3755A KR102037380B1 (ko) 2013-03-06 2013-03-06 조리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73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909B2 (ja) * 1985-09-09 1996-02-07 吉澤石灰工業株式会社 静的破砕方法
JP2005081139A (ja) * 2003-09-09 2005-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モジュール式グリル調理器及び該グリル調理器を備えた複合調理装置
KR100735973B1 (ko) * 2006-09-12 2007-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JP2008004331A (ja) * 2006-06-21 2008-01-10 Serutekku Project Management Kk マイクロ波放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77268A1 (en) * 2019-10-01 2022-09-01 Jgc Corporation Project management apparatus, project manage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909B2 (ja) * 1985-09-09 1996-02-07 吉澤石灰工業株式会社 静的破砕方法
JP2005081139A (ja) * 2003-09-09 2005-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モジュール式グリル調理器及び該グリル調理器を備えた複合調理装置
JP2008004331A (ja) * 2006-06-21 2008-01-10 Serutekku Project Management Kk マイクロ波放射装置
KR100735973B1 (ko) * 2006-09-12 2007-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7380B1 (ko) 2019-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34294B (zh) 烹饪设备
EP3343109B1 (en) Heat cooking device
EP2816290A1 (en) Heating cooker
EP2194328B1 (en) Built-in type cooker
KR101851865B1 (ko) 복합식 조리기기
KR20140109608A (ko) 조리 기기
KR102329538B1 (ko) 조리기기
KR20090071266A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JP7233169B2 (ja) 加熱調理器
US8487224B2 (en) Microwave oven
CN113271827A (zh) 烹饪设备
KR20180020712A (ko) 전기 조리기
KR101732160B1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CN215959454U (zh) 烹饪装置
KR101339801B1 (ko) 다기능 전자레인지
CN110873341B (zh) 加热烹调器
KR20040021150A (ko) 전자레인지의 캐비티 일체형 히터어셈블리
KR20080082180A (ko) 조리기기
KR101870526B1 (ko) 복합식 조리기기
KR100885558B1 (ko) 조리기기
JPH1172233A (ja) 電子レンジ
KR100861948B1 (ko) 가열 조리기기의 전자파 차폐 장치
KR101263873B1 (ko)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는 조리장치
KR20180020711A (ko) 냉각모듈
CN101713555A (zh) 烹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