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865B1 - 복합식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복합식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865B1
KR101851865B1 KR1020160112858A KR20160112858A KR101851865B1 KR 101851865 B1 KR101851865 B1 KR 101851865B1 KR 1020160112858 A KR1020160112858 A KR 1020160112858A KR 20160112858 A KR20160112858 A KR 20160112858A KR 101851865 B1 KR101851865 B1 KR 1018518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case
heating
space
b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2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5753A (ko
Inventor
하연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12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865B1/ko
Publication of KR20180025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5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8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4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wholly or partly by a radiant body, e.g. by a perforated plate
    • F24C3/06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with heat produced wholly or partly by a radiant body, e.g. by a perforated plate without any visible flame
    • F24C3/067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6Arrangements for circulation of cool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08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 F24C3/085Arrangement or mounting of burner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3/00Stoves or ranges for gaseous fuels
    • F24C3/1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C3/126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on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36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adapted to induce current in a coil to supply power to a device and electrical heating devices powered in this w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를 연소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가스연소가열부와 전기를 이용하는 제2가열부가 복합적으로 구비된 쿡탑 조리기기에 있어서, 제2가열부가 마련된 공간에 가스연소가열부용 레귤레이터, 또는 거버너 밸브를 설치하여 조리기기의 크기를 더 컴팩트하게 구성하고 거버너 밸브의 냉각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복합식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거버너 밸브는 제2가열부에 설치된 팬에 의해 냉각되며, 케이스 후방에서 인입되는 가스배관 및 전원선과 연결된다. 또한 두 가열부의 공간을 구획하는 베리어를 관통하여 가스 배관이 배치된다.

Description

복합식 조리기기{A COMBINATION COOKER INCLUDING INDUCTION HEATER}
본 발명은 복합식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스를 연소하여 음식물을 가열하는 가스연소가열부와 전기를 이용하는 제2가열부가 복합적으로 구비된 쿡탑 조리기기에 있어서, 제2가열부가 마련된 공간에 가스연소가열부용 레귤레이터, 또는 거버너 밸브를 설치하여 조리기기의 크기를 더 컴팩트하게 구성하고 거버너 밸브의 냉각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복합식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가스 또는 전기를 이용하여 열을 발생시켜 조리물을 조리하는 기기이다.
전기를 이용하는 대표적인 조리기기로는 유도가열 조리기기가 있다. 일반적으로, 유도 가열 조리기는 워킹 코일(working coil) 또는 가열 코일에 고주파의 전류를 흐르게 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강력한 자력선이 조리용기를 통과할 때 와류전류(Eddy current)가 흘러 용기 자체가 가열되는 방식으로 조리 기능을 수행하는 전기 조리 장치이다.
이러한 유도 가열 조리기기의 기본적인 가열원리를 살펴보면, 가열 코일에 전류가 인가됨에 따라 자성체인 조리 용기 자체 유도(induction) 가열에 의해 발열됨으로써 용기에 담긴 음식에 대한 조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유도 가열 조리기기는 가스의 연소가 필요 없어 연소 배기가스가 발생하지 않고, 용기 자체에 즉각적으로 열이 발생함으로 열의 복사나 전도를 통한 전달 과정이 최소화되어 빠른 속도로 조리물을 가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도 가열 조리기기는, 다수의 가열 코일을 동시에 구동할 때 전력이 다량으로 소모됨에 따르는 연료 비용 증가 문제와, 가열 코일을 제어하는 회로의 발열 문제 등으로 인해 화력에 제한이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 외에도 전열 방식으로 가열하는 방식도 적요될 수 있는데, 이 역시 전력이 다량으로 소모되는 면이 있어 에너지 절약 차원에서 다소 불리하다.
한편 가스를 이용하는 대표적인 조리기기로는 가스 레인지가 있다. 일반적으로 가스 레인지는 버너가 제품의 외부로 노출되어 화염이 직접 조리물 또는 조리물이 담겨진 용기를 가열하는 오픈 플레임 타입과, 버너가 제품의 내부에 구비되며, 연소열을 이용하여 복사체를 가열하고 가열된 복사체에서 외부로 방출되는 복사파를 이용하여 조리물 도는 조리물이 담겨진 용기를 가열하는 라디언트 타입으로 나뉘어진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69449호에는 케이스의 상면을 세라믹 플레이트가 차폐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세라믹 플레이트 하방의 케이스 내부 공간에는 가스의 공급에 의해 점화되는 버너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으며, 조작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가스 밸브를 개폐하여 화력을 조절할 수 있는 가열 조리기기가 개시되어 있다.
라디언트 타입과 같이 가스를 사용하는 기술은, 연료의 연소반응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조리에 사용하므로, 열에너지를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전기보다 저가인 가스를 사용함으로써 연료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만 이러한 방식은 열의 전달 경로가 유도가열 방식보다 길기 때문에, 유도 가열 조리기기와 대비하였을 때 조리물을 빠르게 가열하지 못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방식은 가스와 같은 연료를 연소하기 때문에 반드시 연소 배기 가스가 발생한다. 그리고 연소시 발생하는 열의 양이 상당하기 때문에, 가스연소 방식의 조리기기는 조리에 사용되는 열 외의 나머지 열이 해당 발열부 주변의 온도를 높여서 열의 차단과 냉각에 더 신경을 써야 한다.
유도 가열 방식과 연료 연소 방식의 조리기기는 어느 한 방식의 장점이 다른 방식의 단점을 보완해준다는 면에서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경우 사용자에게 다양한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서로 다른 가열 방식, 그리고 서로 다른 냉각 방식을 가지는 두 조리기기를 복합적으로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제작하려다 보면, 기존에는 겪지 못했던 다양한 문제점을 접하게 된다.
가령, 서로 다른 가열 방식마다 그 가열 방식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부품이나 구조물들이 다른데, 하나의 케이스에 2 이상의 서로 다른 가열 방식을 가지는 가열부를 설치하게 되면, 그만큼 많은 관련 부품을 한정된 케이스 내에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이들을 좁은 공간 내에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설계가 요구된다. 아울러 조립공정과 애프터서비스 등의 작업을 고려할 때 조립 분해 과정이 복잡해서는 아니 되므로, 각 구성 부품들 간의 연결 구조도 간결해야 한다.
또한 발열이 있는 공간을 냉각하기 위해 공기 유동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 공기 유동에 필요한 어느 정도의 공간을 확보해야 하고, 냉각이 더 많이 필요한 부품이 위치하는 곳에서 공기 유동도 더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특히 가스 연소 가열부에 공급되는 가스의 유동을 제어하는 가스밸브를 전자식 제어 밸브로 사용하고자 할 경우, 가스 연소 가열부의 상대적으로 높은 내부 분위기 환경에서 전자식 제어부가 고온의 환경으로 인해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자칫 큰 사고로 이어질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스연소 가열 방식과 전기 가열 방식을 함께 구비하는 복합식 조리기기를 구성함에 있어서, 두 가열방식으로 작동하는 가열부의 각종 부품들을 좁은 공간 내에 효과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복합식 조리기기 내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좁은 공간에 배치된 각 구성 부품이 제 기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냉각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복합식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가스연소 가열부에 필요한 각 부품을 배치하고 연결함에 있어서 조립 공정과 애프터서비스 등의 작업을 최대한 단순화할 수 있는 복합식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50); 상기 케이스(50)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고, 조리물이 안착되는 면을 구비하는 상판부(2);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 내로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하여 발생하는 열로 상기 상판부 상부를 가열하는 가스연소가열부(9); 및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가스연소가열부(9)가 설치된 공간과 구분된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가스연소가열부(9)와 다른 방식으로 상기 상판부 상부를 가열하는 제2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연소가열부(9)에 공급되는 가스의 공급을 제어하는 거버너 밸브(93)가 상기 제2가열부가 설치된 공간에 배치된다.
가스연소식 가열부의 구성은 가스의 유동, 공기의 유동, 연소가 일어나는 연소 공간의 체적 등을 줄이는 데에 한계가 있으나, 전기를 사용하는 제2가열부의 경우 전장 부품의 집적화 등이 가능하여 보다 공간적으로 컴팩트한 배치가 가능하다. 따라서 조금 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제2가열부가 마련된 공간에 거버너 밸브를 배치하는 것이 공간 활용 측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가스연소식 가열부보다 제2가열부가 설치된 공간의 내부 온도가 더 낮기 때문에, 그만큼 전자제어가 이루어지는 거버너 밸브의 작동 신뢰성을 확보하기에도 더 유리하다.
상기 거버너 밸브는 상기 제2가열부 설치 공간의 후단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거버너 밸브가 가스배관과 전원선의 인입부와 가깝게 배치될 수 있고, 가스 배관과 전원 배선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열부가 설치된 공간에는 케이스(50) 외부의 공기를 케이스 내부로 유입시키는 팬(85)이 구비되고, 상기 팬(85)에 의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2가열부가 설치된 공간에서 상기 케이스의 후방으로 유동한다. 따라서 제2가열부의 냉각을 위한 팬으로 거버너 밸브를 냉각할 수 있으며, 특히 팬에 의해 제2가열부가 먼저 냉각되도록 하여 제2가열부의 냉각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거버너 밸브도 냉각할 수 있다.
상기 제2가열부는 유도가열부(8)일 수 있다.
상기 유도가열부(8)는,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부 상부를 유도 가열하는 워킹코일(82); 상기 워킹코일(82)을 제어하는 칩(872)과, 상기 워킹코일(82)에 공급되는 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필터(881)가 실장된 PCB(87, 88); 및 적어도 상기 칩(872)을 냉각하는 팬(85)를 포함하고, 상기 거버너 밸브는 상기 유도가열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팬(85)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 유동에 의해 냉각된다. 이는 팬이 유도가열부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워킹코일 제어칩을 먼저 냉각하도록 한 후 거버너 밸브를 냉각하도록 하여 유도가열부의 성능에 지장이 없도록 하면서 거버너 밸브도 함께 냉각 가능한 구조이다.
상기 제2가열부와 가스연소가열부(9)가 각각 설치된 공간은, 이들 공간 사이에 설치된 베리어(7)에 의해 그 공간이 구분되고, 상기 거버너 밸브(93)에서 상기 가스연소가열부(9)로 연장되는 가스 배관(41)은 상기 베리어(7)를 관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다 고온의 분위기를 가지는 가스연소가열부를 제2가열부와 공간적으로 구분하는 베리어의 기능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가스 배관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베리어(7)는 상기 케이스의 저면부(51)에 대해 상방 연장되는 연장되는 격판(71)을 포함하고, 상기 베리어를 관통하는 가스 배관은 상기 격판(71)의 하단부에 형성된 가스배관 통과홈(74)과 상기 통과홈에 인접한 케이스 저면부(51)에 의해 규정되는 홀을 관통한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가스 배관을 설치한 후 별다른 어려움 없이 베리어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거버너 밸브를 제2가열부 쪽에 둠에도 불구하고 조립 구조를 단순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거버너 밸브(93)에서 가스연소가열부(9) 쪽으로 연장된 가스배관(41)은 밸브 조립체(92)에 연결되고, 상기 밸브 조립체(92)가 마련된 공간은 상기 가스연소가열부(9)가 마련된 공간과 제2베리어(7-1)에 의해 구분된다. 이처럼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 분위기를 가지는 가스연소가열부 공간과 밸브 조립체를 제2베리어로 구획하면, 고온의 분위기가 전자 제어되는 밸브 조립체의 기능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상기 밸브 조립체(92)가 마련된 공간에는 상기 밸브 조립체(92)를 냉각하기 위한 제2팬(97)이 구비되어서, 제2베리어로 구분된 밸브 조립체 설치 공간을 별도로 냉각하여 밸브 조립체의 작동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밸브 조립체(92)에서 분기된 개별가스배관(42)은 상기 제2베리어를 관통하여 상기 가스연소가열부(9)의 버너(901, 902)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2베리어를 설치하더라도 밸브 조립체와 버너의 연결에 지장이 없으며, 설치 구조가 단순하고, 제2베리어의 기능에도 별다른 영향이 없다.
또한 상기 개별가스배관은 상기 제2베리어 상부에 마련된 홈에 얹어진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제2베리어를 설치한 후 개별가스배관을 배치할 때 개별가스배관의 위치가 규제되어 조립이 간편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다른 가열방식으로 비좁은 케이스 내부 공간에서 각 구성 부품들을 공간 활용도가 높도록 컴팩트하게 배치하여 전체적으로 복합식 조리기기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좁은 공간에 배치된 각 구성 부품들이 원활히 냉각되어 제 기능을 모두 충분히 발휘하므로, 제품 성능에 지장이 없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연소가열부에 필요한 각 부품을 배치하고 서로 연결함에 있어서 조립 공정과 애프터서비스 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후방으로 공기를 토출시켜 사용자의 불쾌감을 없앨 수 있으며, 케이스 후방에서 케이스 내로 유입되는 가스배관과 전원선을 이와 연결이 필요한 거버너 밸브에 가깝게 배치하여, 내부구조가 간단하고 컴팩트한 조리기기를 제작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케이스와 상판 부분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리기기의 케이스 부분을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리기기 케이스 내에 거버너 밸브와 베리어, 그리고 밸브 조립체를 설치하고 가스 배관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유도가열부에 거버너 밸브와 PCB와 팬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유도가열부에 설치되는 중간판과 그 상부에 고정된 워킹코일의 상부 사시도,
도 6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조리기기의 외관]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케이스와 상판 부분을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는 전자부품인 조작유닛의 작동기판과 노이즈필터PCB(88; 도 4 참조)가 생략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상판부(2)와 본체부(3)로 구분될 수 있다. 본체부(3)는 판상의 스틸 소재로 이루어진 케이스(50)의 내부에 조리기기의 작동을 위한 다수의 구성들이 수용되어 이루어진다. 케이스(50)는 바닥면을 구성하는 직사각형 형태의 저면부(51)의 네 모서리 단부에서 측면부(52), 정면부(53) 및 배면부(54)가 상향 절곡되어 상면이 오픈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케이스(50)의 개방된 상면에는 상기 상판부(2)가 덮여 고정된다. 상판부(2)의 넓이는 저면부(51)의 넓이보다 더 큰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조리기기(1)는 싱크대의 상판에 마련되되, 상기 저면부(51)보다는 넓고 상판부(2)보다는 작은 크기의 개구에 얹어질 수 있다. 즉 저면부(51)보다 측방으로 더 외향 돌출되어 있는 상판부(2)의 저면이 상기 싱크대의 상판 개구 가장자리 상에 얹어지는 형태로 주방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상판부(2)는 상기 조리기기(1)가 싱크대의 상판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싱크대의 개구를 차폐하며 상면으로 노출되며 조리기기(1)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판부(2)는 조리를 위한 용기와 식품이 올려 질 수 있는 표면을 제공하는 탑플레이트(20)를 포함한다.
또한 탑플레이트(20)의 후방에는 상기 본체부(3)의 내부 구성들을 냉각한 후 배출되는 공기나, 상기 본체부(3) 내에서 연소된 혼합기의 배기 가스가 배출되는 통로가 되는 벤트부재(30)가 마련된다.
또한 상판부(2)는 상기 탑플레이트와 벤트부재(30)를 고정하며 이들의 외측 테두리를 구성하는 상판프레임(10)을 포함한다.
[상판부의 구성]
상판부(2)는 전체적인 상판부의 외측 테두리를 구성하는 상판프레임(10)과, 상기 상판프레임(10) 내측에 체결되는 탑플레이트(20)와, 상기 탑플레이트(20)의 후단부와 상기 상판프레임(10)의 후면부 사이에 마련되는 벤트부재(30)를 포함한다.
상판프레임(10)은 상면부(11)와 측면부(12)가 절곡된 형태로 구비된다. 이들 중 상면부(11)는 전체적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연결된 형태로 구비되고, 측면부(12)는 상기 상면부(11)의 외측 단부에서 하향 절곡된 형태로 구비된다.
상판프레임(10) 내에는 상기 탑플레이트(20)와 벤트부재(30)가 끼워져 고정되는데, 상기 탑플레이트(20)는 상판프레임(10)의 전방에 설치되고, 벤트부재(30)는 상기 상판프레임(10)의 후방에 설치된다.
탑플레이트(20)는 세라믹 글라스로 구성될 수 있고, 두께가 있는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탑플레이트(20)의 전방부에는 상술한 케이스의 수용부(55)에 수용된 조작유닛의 조작 부위를 식별할 수 있도록 조작부 표시가 마련될 수 있다. 조작부 표시는 탑플레이트의 상면에 인쇄되거나, 필름 형태로 부착되거나, 상기 조작유닛이 노출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세라믹 글라스 부위가 투명 또는 반투명 형태로 구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조작 전에는 외부로 표시가 되지 않지만 사용자가 근처를 터치하였을 때 세라믹 글라스의 저면으로부터 백라이트가 점등되어 조작부가 표시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탑플레이트의 조작부 표시부위 저면은 조작유닛의 상면과 밀착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유닛 및 이와 밀착되는 탑플레이트 부분은 후술할 본체부(3)의 제1팬(96)의 공기 유동에 의해 냉각되어, 사용자가 탑플레이트(20)의 조작 영역을 터치하였을 때 뜨겁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플레이트(20)가 상기 케이스(50) 상에 고정되었을 때, 후술할 본체부(3)의 버너(901, 902)와 워킹코일(82)과 대응하는 탑플레이트(20) 위치에는, 해당 위치가 가열부 위치임을 표시하는 표식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들 표식은 버너의 가열부인지, 인버터 가열부인지 구분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탑플레이트(20)의 상면 가장자리 중 전방 쪽 가장자리와 두 측방 쪽 가장자리는 상기 상판프레임(10)의 상면부(11) 저면과 밀착 고정되고, 상기 탑플레이트(20)의 좌우측 및 전방측 측면은 상기 상판프레임(10)의 좌우측 및 전방측 측면부(12)의 내면에 밀착 고정된다. 이들의 고정 방식은, 가령 탑플레이트(20)와 상판프레임(10) 사이에는 내열 실리콘 접착부재가 주입되어 이들을 상호 고정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판프레임(10)의 내측 후방에는 좌우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의 벤트부재(30)가 설치된다. 벤트부재(30) 상판부(2)의 상방으로 약간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벤트부재(30)의 상부면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트랙형 장공 형태의 배기공이 좌우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배기공은 피어싱 공정에 의해 성형될 수 있다. 이때 피어싱 금형을 상부에서 하향하도록 작업하여 배기공의 내주면의 버(bur)가 하향하도록 함으로써 외관 품질을 높이고 날카로운 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상판부(2)의 저면에는 상기 케이스(50)의 측면부(52), 정면부(53) 및 배면부(54)와 대응하는 형태의 연결브래킷(미도시)이 고정되어 있어서, 상기 연결브래킷을 상기 케이스의 측면부, 정면부 및 배면부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상판부를 케이스에 고정할 수 있다.
[본체부 내부의 구성]
도 2는 도 1의 조리기기의 케이스 부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에는 전자부품인 조작유닛의 작동기판과 PCB(도 4 참조)가 생략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조리기기(1)의 본체부(3)의 하우징으로서 기능을 하는 케이스(50)의 내부에는 가스연소가열부(9) 및 이와 다른 가열방식의 제2가열부, 가령 유도가열부(8)가 내장된다. 케이스(50)의 공간은 칸막이 기능을 하는 베리어(7)에 의해 가스연소가열부(9)를 위한 공간과 유도가열부(8)를 위한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베리어(7)는 이 두 공간을 공간적으로 구획 격리한다.
실시예에서 베리어(7)의 좌측에 위치하는 가스연소가열부(9)는, 공급되는 혼합가스의 연소가 일어나는 복수의 버너(901, 902)와, 상기 버너를 고정하며 수용하는 인슐레이터(94)를 포함한다. 즉 제1버너(901)와 제2버너(902)는 상기 인슐레이터(94)에 수용되어 모듈화되어 있다. 그리고 모듈화된 인슐레이터(94)는 상기 베리어(7)에 의해 구분되는 케이스(50)의 좌측 공간에 수용된다.
제1버너(901)는 조리기기의 전방 좌측에 위치하며, 제2버너(902)는 후방 중앙에 위치한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버너의 개수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버너(901)와 제2버너(902)에는 가스가 공급된다. 가스는 케이스 우측 후단부에 마련된 거버너 밸브(93)를 통해 조리기기로의 공급 여부가 제어된다. 즉 거버너 밸브(93)가 닫히면 조리기기(1) 내로 가스가 공급되는 것이 차단된다.
거버너 밸브(93)가 개방되어 상기 거버너 밸브(93)를 통과한 가스는 가스배관(41; 도 3 참조)을 따라 이동하여 케이스 좌측 후단부에 마련된 밸브 조립체(92)에 유입된다. 밸브 조립체(92)에 유입된 가스는 분기되어 개별가스배관(42; 도 3 참조)을 통해 각 버너(901, 902)로 독립적으로 공급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밸브 조립체(92)에서 공급된 가스는 노즐(95)을 통해 각 버너(901, 902)로 유입된다. 각 버너의 노즐을 통해 버너에 가스가 주입될 때, 압력이 있는 가스의 이동에 따라 발생하는 음압에 의해 1차 공기가 혼합되며 상기 버너 내부로 함께 유입된다. 그리고 내부로 유입된 공기와 가스의 혼합기는 버너 내에서 연소된다.
이처럼 상기 제1버너(901)와 제2버너(902)는 각각 독립적으로 가스를 연소시키고, 가스의 연소열은 버너의 적열플레이트(911, 912)를 가열하게 된다. 그리고 적열플레이트(911, 912)는 고온으로 가열되면 상방을 향해 복사 열전달을 하게 된다.
제1버너(901)와 제2버너(902)에서 연소된 배기가스는 인슐레이터(94)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각각의 배기덕트(91)를 따라 유동하여 배기덕트(91)의 단부에 개방된 토출구(910)를 통해 상향 배출된다.
상기 배기덕트(91)는 연소된 배기가스가 배출되는 경로를 규정하고 있으므로, 고온의 연소 배기가스와 지속적으로 접촉하여 상당히 고온으로 상승할 수 있다. 이처럼 가스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열이 상기 적열 플레이트 외의 다른 구성을 지나치게 승온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베리어(7)에 의해 구분되는 가스연소가열부(9) 쪽 공간에, 이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케이스(50)의 저면부(51)에 흡입 용량이 큰 박스팬 형태의 제1팬(96)을 설치한다.
제1팬(96)은 케이스(50)의 외측 하부 공간에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공기를 상기 케이스(50) 내의 가스연소가열부(9) 쪽으로 공급한다. 공급된 공기의 일부는, 앞서 설명한 버너의 노즐 쪽에서 가스와 혼합기를 만들기 위한 1차 공기로 공급된다. 나머지 공기의 대부분은 상기 인슐레이터(94)와 그 후방으로 연장된 배기덕트(91)의 외면과 접촉하며 인슐레이터와 배기덕트를 냉각하며 케이스 후방에 마련된 토출구(910)를 통해 상향 배출된다. 또한 상기 제1팬(96)을 통해 공급된 공기 중 일부는 상기 수용부(55)에 수용되는 조작유닛(미도시)과도 접촉하며 이를 냉각한 후, 상기 토출구(910)로 이동하여 상향 배출된다.
참고적으로, 조작유닛은 조리기기의 화력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가 조작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터치 동작에 의해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조작 방식은 터치 외에도 다양한 다른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인슐레이터의 배기덕트를 통해 유동되어 나오는 배기가스와, 상기 케이스(50) 내의 가스연소가열부(9) 쪽 공간을 냉각하며 나오는 공기는, 토출구(910) 부근에서 혼합되며 상향 배출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의 좌측 후방부에는, 상기 밸브 조립체(92)를 별도로 냉각하기 위한 제2팬(97)이 설치된다. 크기는 작지만, 제2팬(97) 역시 제1팬과 마찬가지로 박스 팬이 사용될 수 있다. 제2팬(97)에 의해 케이스 외측 공간의 하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케이스의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벤트부재(3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밸브 조립체(92)에는 가스의 분배와 공급 여부를 조절하는 밸브가 구비되는데, 이를 제어하기 위한 내부 구성이 전자 제어방식으로서, 열에 민감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밸브조립체(92)의 냉각을 위한 별도의 제2팬(97)을 설치하고, 이를 통해 밸브조립체(92)를 상기 인슐레이터(94)와는 별도로 냉각하는 구조를 예시한다.
밸브조립체(92)가 별도의 공간에 있다면, 제1팬(96)보다는 소형인 제2팬(97)만으로도 밸브조립체(92)를 냉각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밸브조립체(92)와, 연소 가열 방식의 가열장치가 내장된 인슐레이터(94)는 베리어(7)에 의해 구분되는 좌측 공간에 함께 배치된다. 따라서 연소 가열 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이 밸브조립체(92)로 전달되는 것을 배제할 수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밸브조립체(92)와 인슐레이터(94) 사이에 제2베리어(7-1)를 더 설치하는 것을 예시한다. 제2베리어를 설치하게 되면, 밸브조립체(92)가 설치된 공간이 인슐레이터 설치 공간과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소 가열 방식의 가열장치에서 발생한 열이 대류나 복사 등을 통해 제2베리어가 설치된 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밸브조립체(92)의 냉각을 제2팬(97)으로 독립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에서 베리어(7)에 의해 구분되는 우측 공간에는 유도가열부(8)가 마련된다. 유도가열부(8)는 상기 우측 공간의 전방에 마련되는 중간판(81) 상에 설치된 워킹코일(82)과, 상기 케이스(50)의 저면부(51) 상에 설치되되 상기 중간판(81)의 하부에 마련된 공간에 마련되는 코일제어PCB(87; 도 4, 도 6 참조)와, 상기 케이스의 우측 공간의 후방부에 마련된 수용부(56)의 저면부(51) 부분에 마련되는 노이즈필터PCB(88; 도 4, 도 6 참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유도가열부(8)는 상기 워킹코일(82)의 전방에 위치하되 상기 중간판(81) 상에 설치되어 상방으로 가시광선을 조사할 수 있는 표시부(83)를 더 포함한다. 표시부(83)는 상기 워킹코일(82)이 작동할 때 상기 워킹코일이 작동하고 있음을 사용자가 알 수 있도록 이를 시각적으로 표시해준다.
노이즈필터PCB는 상기 워킹코일에 공급하고자 하는 전원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는 기능을 하고, 상기 코일제어PCB는 상기 워킹코일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 PCB에는 고발열칩의 일종인 IGBT(872; 도 4 참조)가 실장되는데, 이 칩은 온도 관리가 필요한 칩으로서,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과승되면 워킹코일을 제어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상기 케이스(50)의 우측 전방에는 제3팬(85)이 설치된다. 상기 제3팬(85)은 케이스(50)의 외부 공간의 하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후방으로 토출하는 시로코 팬일 수 있다.
시로코 팬을 통해 베리어(7)의 우측 공간에 유입된 공기는, 먼저 IGBT 칩 및 이를 냉각하기 위해 부착된 히트싱크(871; 도 4, 도 6 참조)와 접촉하며 이들을 냉각하고, 그중 일부는 중간판(81)에 설치된 워킹코일(82)을 냉각하며, 또한 상기 수용부(56)에 설치되어 있는 노이즈필터PCB 부분을 냉각하며 케이스 후단부에 도달하여 상향 배출된다.
또한 상기 수용부(56)의 후방에는 상술하였던 거버너 밸브(93)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3팬(85)에 의해 후방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거버너 밸브(93)도 냉각한 후 케이스 외부로 배출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제3팬(85)은 금속재질의 중간판의 하부에 설치되고 중간판의 하부에 제3팬의 토출구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토출구는 케이스의 후방을 항하고 있다. 금속재질의 중간판은 워킹코일에 의한 EMI가 다른 전자부품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한다.
[가스 밸브와 가스 배관의 설치 구조]
도 3은 본 발명의 조리기기 케이스 내에 거버너 밸브와 베리어, 그리고 밸브 조립체를 설치하고 가스 배관을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합식 조리기기의 케이스(50) 내부에는 가스 연소식 가열부(9)에 대한 가스 공급을 제어하기 위한 거버너 밸브(93)와, 공급받은 가스를 각 버너(901, 902)에 분기하여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밸브 조립체(2)가 설치된다. 이들은 모두 전자 제어방식으로 밸브의 개폐와 개도가 제어된다. 따라서 거버너 밸브와 밸브 조립체는 모두 냉각을 통해 전자 제어부의 기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복합식 조리기기의 가열구 중 가스연소식 가열부(9)는 케이스(50)의 후방 중앙부와 전방 좌측에 설치되고, 이와 다른 가열방식인 유도가열부(8)는 케이스의 우측에 설치된다. 발열 량이 가장 많은 가스연소식 가열부(9)의 열기가 유도가열부(8) 쪽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두 가열부(8, 9)가 설치되는 공간 사이에 이들을 공간적으로 격리하는 베리어(7)가 설치되어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가스연소가열부(9)는 공기와 가스가 혼합되어야 하는 공간의 확보가 필요하고, 이들 혼합기가 연소될 수 있는 연소 공간의 크기가 발열 량에 따라 더 켜져야 하므로, 이들을 구성하는 부속품의 사이즈를 축소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또한 거버너 밸브(93)와 밸브 조립체(92)는 온도에 민감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스연소식 가열부(9)와 구획된 공간인 유도가열부(8)의 설치공간에 거버너 밸브(93)를 설치한다. 거버너 밸브(93)는 베리어(7)에 의해 공간적으로 격리 내지 구획된 유도가열부(8)의 설치공간 후방에 위치하여 상기 가스연소식 가열부(9)가 작동 중일 때 발생하는 열의 영향을 받는 것을 최소화하였다.
또한 거버너 밸브(93)는 전자식 제어 밸브로서 가스 배관과 연결됨은 물론 전원과도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거버너 밸브(93)를 케이스(50)의 후방 단부에 설치하면, 통상 케이스의 후방 단부에 위치하는 가스 유입관 부분 및 전원선(882) 유입부와 가깝게 배치할 수 있어 가스 배관을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고, 전원선의 배선도 간단해진다.
거버너 밸브(93)에서 상기 가스연소가열부(9)로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배관(41)은 베리어(7)를 관통하여 상기 거버너 밸브(93)로부터 상기 가스연소가열부(9)로 연장된다. 베리어(7)는 케이스(50)의 저면부(51)에서 상향 연장되어 공간을 구획하는 격판(71)을 포함한다. 상기 격판(71)은 그 하단부에 절곡 형성된 고정면(73)을 케이스 저면부(51)에 고정함으로써 케이스에 고정된다. 격판(71)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절곡부(7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가스 배관(41)이 관통해야 하는 위치의 격판 하단부는 하방으로 트여진 형태의 가스배관 통과홈(74)이 마련된다.
따라서 상기 거버너 밸브(93)를 케이스 후방 우측에 설치하고 가스 배관(41)을 연결한 상태에서 상기 베리어(7)를 고정하면, 조립 과정이 번잡해지지 않으면서 상기 거버너 밸브(93)를 유도가열부(8) 설치 공간에 설치할 수 있다.
가스연소가열부(9)에 연장된 가스 배관(41)은 가스연소가열부(9)에 배치된 밸브 조립체(92)에 연결된다. 밸브 조립체(92)는, 제2베리어(7-1)에 의해 상기 가스연소가열부로부터 구획된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연소가열부(9)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받는 영향이 차단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조립체(92)는 제2베리어(7-1)에 의해 둘러싸인, 케이스(50)의 좌측 후단부에 설치되며, 별도의 팬(97)으로 냉각이 이루어진다. 상기 가스배관(41)은 상기 제2베리어(7-1)를 관통하여 상기 밸브 조립체(92)에 연결된다.
밸브 조립체(92)에서는 각 버너(901, 902)로 공급하는 가스를 분기하여, 개별가스배관(42)을 통해 공급한다. 즉 밸브 조립체(92)에서 분기되어 나오는 개별가스배관(42)은 상기 제2베리어(7-1)를 관통하여 각 버너(901, 902; 도 2 참조)로 연결된다. 상기 제2베리어(7-1)를 관통하는 가스배관(41)과 개별가스배관(42)은 상기 제2베리어(7-1)의 상단부에 마련된 홈에 얹어진 형태로 제2베리어에 의해 위치 규제되고 지지되며, 제2베리어(7-1)를 관통한다. 따라서 상기 배관(41, 42)보다 상기 제2베리어(7-1)가 먼저 설치되며, 배관을 설치할 때 제2베리어(7-1)에 마련된 홈에 의해 배관을 쉽게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버너 밸브(93)는 상기 유도가열부(8)에서 냉각이 이루어지는데, 이하 유도가열부(8)의 냉각 구조를 설명하며 거버너 밸브(93)의 냉각구조를 함께 설명한다.
도 4는 유도가열부에 거버너 밸브와 PCB와 팬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유도가열부에 설치되는 중간판과 그 상부에 고정된 워킹코일의 상부 사시도, 그리고 도 6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유도가열부(8)의 전방에는, 케이스 하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케이스 내부에서 후방을 향해 토출하는 제3팬(85)이 설치된다. 제3팬의 토출구는 케이스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케이스의 전방에 가깝게 배치되되 상기 케이스의 후방으로 공기를 토출한다. 그리고 케이스 내부에서 유도가열부(8)의 각 부품을 냉각하고 그 후방에 있는 거버너 밸브(93)를 냉각하며, 데워진 공기는 케이스의 후방에서 상기 벤트부재(30)를 통해 상방 배출되어 상기 케이스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제3팬(85)의 바로 후방에는, 고발열칩(872)인 IGBT와 여기 부착된 히트싱크(871)가 실장된 코일제어PCB(87)가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팬에서 토출된 공기에 의해 효과적인 냉각이 가능하다. 상기 코일제어PCB(87)는 노이즈필터PCB(88)보다 제3팬의 토출구에 더 가깝게 배치된다. 특히 고발열칩(872)과 히트싱크(871)가 제3팬의 토출구 바로 후방에 위치하면 이들에 대한 냉각이 확실히 이루어져 워킹코일에 대한 제어가 지속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코일제어PCB(87)의 상부에는 이와 일정 간격을 두고 중간판(81)이 설치되며, 중간판 상에는 워킹코일(82)이 고정된다. 즉 워킹코일(82)이 고정되어 있는 중간판(81)이 코일제어 PCB(87)의 상부에 설치된다.
워킹코일(82)은 원형의 코일설치베이스(821)를 구비한다. 코일설치베이스(821)에는 그 중심을 기준으로 코일(822)이 설치될 수 있는 나선형의 홈이 마련되고, 상기 홈에 코일(822)이 수용되며 코일설치베이스(821) 상부에 촘촘하게 감겨져 고정된다. 코일(822)의 단부에는 상기 코일(822)을 제어하기 위한 코일제어PCB(87)와 연결되는 배선(823)이 구비된다.
워킹코일(82)은 코일설치베이스(821)에 위치가 정렬되며 고정된다. 그리고 중간판(82)의 가장자리부분에는 상기 배선(823)이 통과되어 중간판 하부로 이어지도록 하는 통로가 되는 배선 통과홀(812)이 마련된다. 중간판을 케이스(50)에 설치하였을 때, 상기 배선 통과홀(812)은 중간판 하부에 설치된 코일제어PCB(87)의 배선 연결 부위와 가깝게 배치되어 이들을 연결하는 배선(823)을 간결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워킹코일(82)은 원형인 반면 상기 중간판은 대략적으로 정사각형 형태이며, 그 꼭지점 부근에는 상기 중간판을 구조물(케이스)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815)이 마련된다. 가령 고정홀(815)의 하부에는 코일스프링이 개재되고, 고정홀과 코일스프링을 관통하여 케이스 저면부(51) 쪽에 핀을 고정함으로써, 중간판이 상방으로 탄성 가세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팬의 적어도 일부는 중간판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3팬의 토출구는 케이스 후방을 향하되, 중간판의 하부 영역에 존재할 수 있다. 공간적인 여유가 있다면 중간판의 전방에 제3팬의 토출구를 두어 토출구의 공기가 중간판의 전방에서 이미 중간판 상부로 유동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경우 서로 다른 가열 방식의 가열부를 설치하고, 또한 전방에 조작유닛을 설치함으로써, 공간적 제약이 있다.
이러한 점에 기인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3팬의 적어도 일부가 중간판 하부 영역에 배치되어 제3팬의 토출구가 중간판 하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구에서 토출된 공기는 중간판의 하부를 유동하며 케이스 후방으로 이동한다. 또한, 중간판의 소정 위치에 마련된 공기 유동홀(813)을 마련하면 이러한 공간적 제약 조건 하에서도 중간판의 상부로 공기 유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제어PCB(87)의 후방이면서 상기 중간판의 후방에는 노이즈필터PCB(88)가 설치된다. 노이즈필터PCB(88)에 실장된 노이즈필터(881)는 외부에서 공급된 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상기 노이즈필터PCB는 전원선(882)에 가깝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리기기의 설치 환경에서 전원선(882)은 케이스의 후방을 통해 인입되므로, 상기 노이즈필터PCB를 케이스의 후방에 배치하면, 노이즈필터PCB에 대한 전원 배선을 더 간결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노이즈필터PCB를 상기 중간판의 후방에 두면, 고주파가 발생하는 노이즈필터와 워킹코일의 EMI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아울러 노이즈필터(881)는 IGBT와 대비하여 냉각이 그리 많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이를 상기 IGBT보다 후방에 배치함으로써 각 피냉각부품의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참고적으로, 상기 중간판(81)의 전방 모서리에는 표시부(83)의 설치부(814)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는 중간판의 판재를 "ㄱ"자 형태로 상향 절곡한 형상이다.
한편 상기 베리어(7)에 의해 구분되는 유도가열부(8) 설치 위치의 후단부로서, 상기 노이즈필터PCB(88)의 후방에는 상술한 거버너 밸브(93)가 설치된다. 따라서 거버너 밸브(93)는 제3팬(85)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유도가열부는 전장 부품을 어느 정도 집적화하고 촘촘히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가스연소가열부보다는 상대적으로 공간적 여유가 있다. 따라서 거버너 밸브를 유도가열부에 배치하면 보다 컴팩트한 배치 설계가 가능하다. 그리고 거버너 밸브를 가장 후단에 배치함으로써, 상기 코일제어PCB와 노이즈필터PCB를 인접하여 배치할 수 있어 이들 간의 배선 연결 구조도 단순하게 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조립 과정을 통해 설치된 유도가열부(8) 설치 공간 내에서 제3팬(85)에 의한 공기 유동을 살펴본다. 제3팬(85)에서 후방을 향해 토출되는 공기는 중간판(81)의 하부 공간에서 IGBT와 히트싱크(871)에 접촉하며 이들을 냉각시키고, 후방으로 유동한다. 상기 공기 유동은 공기 유동홀(813)이 마련된 중간판(81)의 하부 영역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공기 유동홀(813)이 마련된 중간판(81)의 하부 영역을 유동하던 공기는 공기 유동홀(813)을 통해 중간판 상부 영역으로 이동한다.
한편 중간판 상부로 이동하지 않고 후방으로 이동하던 대부분의 기류는 중간판 후방 영역을 지나며 넓어지는 유동단면적으로 퍼지면서 지속적으로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기류로 인해 중간판 상부 후방에는 음압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중간판 상부에 있던 공기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3팬(85)의 토출구 전방에는, 토출구에서 후방으로 강하게 토출되는 공기 유동에 의해 음압이 형성되고, 이에 따라 중간판 전방에 있던 공기가 중간판 상부와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중간판 상부로 이동하는 공기는 워킹코일을 냉각하고, 중간판 하부로 이동하는 공기는 광원이 실장된 PCB를 구비하여 발열이 일어나는 표시부(83)를 냉각하게 된다.
또한 상기 중간판 영역을 지나 후방으로 이동한 공기는 노이즈필터PCB에 실장된 노이즈필터를 냉각하며 더 후방으로 이동하고, 케이스 후단부에 마련된 거버너 밸브를 냉각한 후 벤트부재를 통해 케이스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칩(872)과 워킹코일의 온도 제어는 유도가열부의 작동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제3팬을 통해 이들을 우선적으로 냉각하고, 이어서 거버너 밸브(93)를 냉각함으로써, 하나의 팬으로 두 구성의 작동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조리기기
2: 상판부
3: 본체부
7, 7-1: 베리어(제2베리어)
8: 유도가열부
9: 가스연소가열부
10: 상판프레임
20: 탑플레이트(세라믹글라스)
30: 벤트부재
41: 가스배관
42: 개별가스배관
50: 케이스
51: 저면부
52: 측면부
53: 정면부
54: 배면부
55: 조작유닛 수용부
56: 노이즈필터PCB 수용부
71: 격판
72: 절곡부
73: 고정면
74: 가스배관 통과홈
81: 중간판
812: 배선 통과홀
813: 공기 유동홀
814: 표시부 설치부
815: 고정홀
82: 워킹코일
821: 코일설치베이스
822: 코일
823: 배선
83: 표시부
85: 제3팬
87: 코일제어PCB
871: 히트싱크
872: 고발열칩(IGBT)
88: 노이즈필터PCB
881: 노이즈필터
882: 전원선
883: 웨이퍼
884: 커넥터
901, 902: 제1버너, 제2버너
911, 912: 적열플레이트
91: 배기덕트
910: 토출구
92: 밸브 조립체
93: 거버너 밸브
94: 인슐레이터
95: 노즐
96: 제1팬
97: 제2팬

Claims (11)

  1.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차폐하고, 조리물이 안착되는 면을 구비하는 상판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케이스 내로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하여 발생하는 열로 상기 상판부 상부를 가열하는 가스연소가열부; 및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가스연소가열부가 설치된 공간과 구분된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가스연소가열부와 다른 방식으로 상기 상판부 상부를 가열하는 제2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연소가열부에 공급되는 가스의 공급을 제어하는 거버너 밸브가 상기 제2가열부가 설치된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거버너 밸브는 상기 제2가열부 설치 공간의 후단부에 배치되는 복합식 조리기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가열부가 설치된 공간에는 케이스 외부의 공기를 케이스 내부로 유입시키는 팬이 구비되고,
    상기 팬에 의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2가열부가 설치된 공간에서 상기 케이스의 후방으로 유동하는 복합식 조리기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가열부는 유도가열부인 복합식 조리기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열부는,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부 상부를 유도 가열하는 워킹코일;
    상기 워킹코일을 제어하는 칩; 및
    적어도 상기 칩을 냉각하는 팬을 포함하고,
    상기 거버너 밸브는 상기 유도가열부의 후방에 배치되어 상기 팬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 유동에 의해 냉각되는 복합식 조리기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가열부와 가스연소가열부가 각각 설치된 공간은, 이들 공간 사이에 설치된 베리어에 의해 그 공간이 구분되고,
    상기 거버너 밸브에서 상기 가스연소가열부로 연장되는 가스 배관은 상기 베리어를 관통하는 복합식 조리기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는 상기 케이스의 저면부에 대해 상방 연장되는 연장되는 격판을 포함하고,
    상기 베리어를 관통하는 가스 배관은 상기 격판에 형성된 가스배관 통과홈과 상기 통과홈에 인접한 케이스 저면부에 의해 규정되는 홀을 관통하는 복합식 조리기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거버너 밸브에서 가스연소가열부 쪽으로 연장된 가스배관은 밸브 조립체에 연결되고,
    상기 밸브 조립체가 마련된 공간은 상기 가스연소가열부가 마련된 공간과 제2베리어에 의해 구분되는 복합식 조리기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가 마련된 공간에는 상기 밸브 조립체를 냉각하기 위한 제2팬이 구비되는 복합식 조리기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밸브 조립체에서 분기된 개별가스배관은 상기 제2베리어를 관통하여 상기 가스연소가열부의 버너로 연결되는 복합식 조리기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개별가스배관은 상기 제2베리어의 상부에 마련된 홈을 관통하는 복합식 조리기기.
KR1020160112858A 2016-09-01 2016-09-01 복합식 조리기기 KR101851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858A KR101851865B1 (ko) 2016-09-01 2016-09-01 복합식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2858A KR101851865B1 (ko) 2016-09-01 2016-09-01 복합식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753A KR20180025753A (ko) 2018-03-09
KR101851865B1 true KR101851865B1 (ko) 2018-04-24

Family

ID=61727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2858A KR101851865B1 (ko) 2016-09-01 2016-09-01 복합식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8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8823B1 (ko) 2022-08-25 2024-05-22 조정환 반려동물의 구강 관리를 위한 구강 촬영 장치
KR102674263B1 (ko) 2022-09-05 2024-06-12 조정환 반려동물 구강 영상 제공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5984A (ja) 2003-11-25 2005-06-16 Rinnai Corp 卓上式コンロ
JP2008128507A (ja) * 2006-11-17 2008-06-05 Rinnai Corp ドロップイン式コンロ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55984A (ja) 2003-11-25 2005-06-16 Rinnai Corp 卓上式コンロ
JP2008128507A (ja) * 2006-11-17 2008-06-05 Rinnai Corp ドロップイン式コン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5753A (ko) 2018-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412B1 (ko) 유도가열부를 포함하는 복합식 조리기기
EP3288338B1 (en) Cooktop having a vent
CN106500135B (zh) 燃气烹饪设备
US10969109B2 (en) Combination type cooker
KR101851865B1 (ko) 복합식 조리기기
KR101931413B1 (ko) 워킹코일 냉각구조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1935486B1 (ko) 조리기기
KR101713436B1 (ko) 가스 조리기기
KR102481604B1 (ko) 복합식 조리기기
KR101864489B1 (ko) 조작유닛 및 이것이 설치된 가전기기
KR101870526B1 (ko) 복합식 조리기기
KR101939440B1 (ko) 복합식 조리기기
KR101930065B1 (ko) 조작유닛의 냉각구조 및 이것이 설치된 가전기기
KR101867176B1 (ko) 조리기기
KR101705462B1 (ko) 가스 조리기기
KR101864488B1 (ko) 가이드 덕트가 통합된 팬 및 이것이 설치된 가전기기
KR101867177B1 (ko) 복합식 조리기기
KR102481609B1 (ko) 조작유닛의 냉각구조 및 이것이 설치된 가전기기
KR101732266B1 (ko) 가스 조리기기
KR101851863B1 (ko) 패킹부재가 설치된 복합식 조리기기
KR101864495B1 (ko) 안정적인 상하이동이 가능한 조작유닛 및 이것이 설치된 가전기기
KR101735199B1 (ko) 가스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