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5745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745B1
KR101545745B1 KR1020090002795A KR20090002795A KR101545745B1 KR 101545745 B1 KR101545745 B1 KR 101545745B1 KR 1020090002795 A KR1020090002795 A KR 1020090002795A KR 20090002795 A KR20090002795 A KR 20090002795A KR 101545745 B1 KR101545745 B1 KR 101545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cooking chamber
cooking
heating sourc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2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3431A (ko
Inventor
변준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2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745B1/ko
Publication of KR20100083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3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1/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stoves or ranges, e.g. each having a different kind of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2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using microwa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8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Stoves And R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리기기는, 제1조리실이 구비되는 제1캐비티; 상기 제1조리실에서의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열을 제공하는 제1가열원; 상기 제1캐비티에 결합되고, 제2조리실이 구비되는 제2캐비티; 상기 제2조리실에서의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열을 제공하는 제2가열원; 상기 제2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냉각을 위한 에어플로를 형성하는 냉각팬; 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 의하면,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동시 또는 각각 조리할 수 있고, 도어의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조리기기, 프론트패널, 배출공

Description

조리기기{Cooker}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개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조리부가 구비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가전기기이다. 이와 같은 조리기기는 히터 또는/및 마그네트론과 같은 가열원에서 발생되는 히터열 또는/및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가열함으로써 음식물을 조리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조리기기는 하나의 조리공간에서 하나의 종류의 음식물의 조리만 이루어진다. 따라서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의 조리가 불가능해지는 단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의 조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조리기기는, 제1조리실이 구비되는 제1캐비티; 상기 제1조리실에서의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열을 제공하는 제1가열원; 상기 제1캐비티에 결합되고, 제2조리실이 구비되는 제2캐비티; 상기 제2조리실에서의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열을 제공하는 제2가열원; 상기 제2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냉각을 위한 에어플로를 형성하는 냉각팬;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리기기는, 제1조리실이 구비되는 제1캐비티, 상기 제1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도어, 상기 제1조리실에서의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제1가열원, 및 상기 제1가열원의 냉각을 위한 냉각팬을 포함하는 제1조리부; 및 상기 제1조리부에 결합되고, 제2조리실이 구비되는 제2캐비티, 상기 제2캐비티의 전면에 구비되는 프론트패널, 상기 제2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도어, 및 상기 제2조리실에서의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제2가열원을 포함하는 제2조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팬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플로는, 상기 제1가열원을 냉각시킨 상태에서 상기 프론트패널의 내부를 유동하여 상기 제2도어를 냉각 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 의하면, 다양한 종류의 음식물을 동시 또는 각각 조리할 수 있고, 도어의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캐비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캐비티의 저면을 보인 저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캐비티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조리기기는, 전자레인지(100), 상기 전자레인지(100)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오븐(200), 및 적어도 상기 전자레인지(100) 의 상면과 상기 전자레인지(100) 또는 상기 전자레인지(100) 및 오븐(200)의 양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300)를 포함한다.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캐비티(110)(이하에서는 '제1캐비티'라 칭함)의 내부에는 조리실(111)(이하에서는 '제1조리실'이라 칭함)이 구비된다. 상기 제1조리실(111)은 음식물의 조리가 이루어지는 곳이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전자레인지(100)에는 상기 제1조리실(111)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전자레인지 도어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캐비티(110)의 일측에는 전장실(113)이 구비된다. 상기 전장실(113)에는 상기 제1조리실(111)에서의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마이크로웨이브를 발진시키는 다수개의 전장부품(미도시) 및 상기 전장부품의 냉각을 위한 냉각팬(미도시)이 설치된다. 상기 냉각팬은 상기 전자레인지(100) 또는 오븐(200) 중 적어도 하나가 동작되면 구동된다.
상기 제1캐비티(110)의 후면에는 다수개의 흡입구(115)가 구비된다. 상기 흡입구(115)는 상기 냉각팬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외부인 실내의 공기가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내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장실(113)의 내부로 흡입되는 입구역할을 한다.
상기 제1조리실(111)의 양측면에 해당하는 상기 제1캐비티(110)의 양측면에는 각각 공기유입부(117)와 공기배출부(119)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입부(117)는, 상기 전장실(113)과 마주보는 상기 제1조리실(111)의 일측면에 해당하는 상기 제1캐비티(110)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유입부(117)는, 상기 냉각팬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전장실(113)의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일부가 상기 제1조리실(111)의 내부로 유입되는 입구역할을 한다. 상기 공기배출부(119)는, 상기 공기유입부(117)의 반대편, 즉 상기 전장실(113)로부터 가장 이격되는 상기 제1조리실(111)의 타측면에 해당하는 상기 제1캐비티(110)의 타측면에 형성된다. 상기 공기배출부(119)는 상기 공기유입부(117)를 통하여 상기 제1조리실(111)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조리실(111)의 외부로 배출되는 출구역할을 한다.
상기 제1캐비티(110)의 하부에는 베이스플레이트(120)가 구비된다. 상기 베 이스플레이트(120)는 실질적으로 상기 제1캐비티(110)의 저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에는 다수개의 연통공(121)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연통공(121)은 상기 냉각팬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전장부품을 냉각시킨 공기 및 상기 제1조리실(111)을 순환한 공기가 상기 오븐(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입구역할을 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연통공(121)은 상기 공기배출부(119)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일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루버(123)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의 루버(123)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연통공(121)의 후단부에 인접하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상면에서 전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상향경사지게 연장된다.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의 루버(123)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연통공(121)을 통하여 상기 오븐(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오븐(200)의 캐비티(210)(이하에서는 '제2캐비티'라 칭함)에는 조리실(211)(이하에서는 '제2조리실'이라 칭함)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2캐비티(210)는 어퍼플레이트(212), 이너패널(213) 및 아웃터패널(216)을 포함한다.
상기 어퍼플레이트(212)는 상기 제2조리실(211)의 천정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이너패널(213)은, 상기 제2조리실(211)의 양측면을 형성하는 2개의 사이드플레이트(214) 및 상기 제2조리실(211)의 후면을 형성하는 리어레이트(215)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패널(213)은 전체적으로 전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U자형상으로 형 성된다. 또한 상기 아웃터패널(216)은, 전체적으로 상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U자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아웃터패널(215)은 상기 제2캐비티(200)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론트플레이트(217), 상기 제2캐비티(210)의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백플레이트(218) 및 상기 제2캐비티(200)의 저면 외관을 형성하는 바텀플레이트(219)를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에는 입출개구(217A)가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입출개구(217A)는 후술할 트레이(240)가 입출되는 곳이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입출개구(217A)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일부가 장방형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에는 연통공(217B)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연통공(217B)은 상기 오븐(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후술할 프론트패널(2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입구역할을 한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연통공(217B)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연통공(121)의 하방에 해당하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일단부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루버(217C)가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루버(217C)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연통공(217B)을 통하여 상기 제2캐비티(2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루버(217C)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연통공(217A)의 상단부에 해당하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전면에서 상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전면에는 프론트패널(220)이 구비된다. 상기 프론트패널(220)은, 상기 오븐(200)의 전면 하부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프론트패널(220)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에 대응하는 납작한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패널(220)에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입출개구(217A)에 대응하는 입출개구(220A)가 형성된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패널(220)의 입출개구(220A)의 상면에 해당하는 상기 프론트패널(220)의 내측 테두리 상면에는 다수개의 배출공(220B)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패널(220)의 배출공(220B)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연통공(217B)을 통하여 상기 프론트패널(220)의 내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전면과 상기 프론트패널(220)의 내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되는 공기가 배출되는 출구역할을 한다. 상기 프론트패널(220)의 배출공(220B)을 통하여 배출되는 공기는 일종의 에어커튼의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제2조리실(211)은 오븐도어(23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오븐도어(230)를 서랍식으로 상기 제2조리실(211)을 선택적으로 개폐한다. 상기 오븐도어(230)의 전면에는 상기 오븐도어(230)를 여닫기 위하여 사용자가 파지하는 도어핸들(23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레인지 도어 및 제2오븐도어(230)가 각각 상기 제1조리실(111) 또는 제2조리실(211)을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전자레인지 도어의 전면과 상기 오븐도어(230)의 전면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상기 전자레인지 도어의 전면과 상기 오븐도어(230)의 전면은 동일한 재질 및 색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오븐도어(230)가 상기 제2조리실(211)을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오븐도 어(230)의 상면은 상기 프론트패널(220)의 입출개구(220A)의 상면에 인접되게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오븐도어(230)는 상기 프론트패널(220)의 배출공(220B)으로 배출되는 공기에 의하여 냉각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조리실(211)에는 트레이(240)가 출납가능하게 설치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트레이(240)는 상기 오븐도어(230)의 여닫힘에 연동하여 상기 제2조리실(211)의 내외부로 출납된다. 상기 트레이(240)는 장방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240)의 상면에는 음식물이 안착된다. 상기 트레이(240)의 상면에 안착되는 음식물, 즉 상기 제2조리실(211)에서 조리되는 음식물로는 피자를 예를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자는 원형의 납작한 빵의 상면에 치즈 및 토마토나 버섯, 소시지와 같은 각종 토핑을 뿌린 상태에서 상기 치즈가 녹을 때까지 가열하여 조리된다.
그리고 상기 오븐(200)에는 2개의 레일어셈블리(250)가 구비된다. 상기 레일어셈블리는 상기 오븐도어(230)의 여닫힘 및 상기 트레이(240)의 출납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레일어셈블리(250)는 고정레일(251) 및 이동레일(253)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레일(251)은 상기 제2조리실(211)의 양측면에 전후방으로 길게 설치된다. 즉 상기 고정레일(251)이 상기 제2조리실(211)의 양측면에 해당하는 상기 사이드플레이트(214)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 각각 상기 조리실(211)의 전후방으로 길게 고정된다.
상기 이동레일(253)은, 상기 제2조리실(211)의 전후방으로 길게 설치되어 상 기 고정레일(251)을 따라서 상기 고정레일(251)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이동레일(253)은 상기 고정레일(25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는, 사용조건에 따라서 상기 이동레일(253)을 상기 고정레일(251)을 따라서 슬라이딩시키거나 상기 고정레일(251)로부터 완전하게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레일(253)의 전단은 상기 오븐도어(230)의 이면 양측단부에 각각 고정된다.
한편 상기 이동레일(253)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는 상기 지지리브(255)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지지리브(255)는 후술할 트레이지지부재(260)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지지리브(255)는 상기 이동레일(253)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레일(253)의 내면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리브(255)에는 고정홀(256)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홀(256)은 트레이지지부재(260)를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고정홀(256)은 상기 지지리브(255)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지지리브(255)에는 트레이지지부재(260)가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트레이지지부재(260)의 저면 양측단부가 상기 지지리브(255)의 상면에 지지될 것이다. 상기 트레이지지부재(260)는 대략 상기 제2조리실(211)의 횡단면에 대응하는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트레이지지부재(260)의 상면에는 상기 트레이트레이(240)가 안착된다.
상기 트레이지지부재(260)의 저면 양측단부에는 고정부(261)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261)는, 상기 지지리브(255)에 안착된 상기 트레이지지부재(260) 가 상기 지지리브(255)에 대하여 임의로 유동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홀(256)에 삽입되는 곳이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지지부재(260)의 전후단부에는 지지부(269)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269)는 상기 트레이지지부재(260)의 상면에 안착된 상기 트레이(240)가 상기 트레이지지부재(260)에 대하여 임의로 유동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지지부(269)에는 상기 트레이(240)의 전후단부가 각각 밀착될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트레이지지부재(260)가 다수개의 와이어에 의하여 그릴형상으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트레이지지부재(260)가 장방형의 프레임와이어(261) 및 상기 프레임와이어(261)의 전후단부에 그 양단부가 각각 고정되는 다수개의 이너와이어(263)를 포함한다. 따라서 후술할 오븐히터(270)의 동작에 의한 히터열이, 상기 트레이지지부재(260)에 의하여 간섭받지 않고, 즉 상기 트레이지지부재(260)를 형성하는 상기 프레임와이어(261) 및 이너와이어(263)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상기 트레이(240), 즉 상기 트레이(240)에 안착된 음식물로 전달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261)는, 상기 프레임와이어(261)의 중앙부 일부가 하방으로 밴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와이어(263)가 전체적으로 상방을 향하여 개구되는 ㄷ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양단부가 상기 프레임와이어(261)의 전후단부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프레임와이어(261)의 전후단부가 상기 지지부(269)를 형성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오븐(200)에는 오븐히터(270)가 구비된다. 상기 오븐히터(270) 는 상기 바텀플레이트(218)의 상면에 인접하는 상기 제2조리실(211)의 하부에 위치된다. 상기 오븐히터(270)는, 상기 트레이(240)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조리실(211)의 내부에 위치되는 음식물을 가열하기 위한 히터열을 발생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오븐히터(270)로 전체적으로 사형을 이루도록 다수회 밴딩되는 시즈히터가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 오븐히터(270)의 종류 및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오븐(200)의 저면에는 4개의 레그(280)(290)가 구비된다. 상기 레그(280)(290)는 상기 조리기기가 설치되는 바닥면에 안착되어 상기 조리기기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레그(280)(290) 중 상대적으로 상기 조리기기의 저면, 즉 상기 오븐(200)의 저면 전단부 양측 모서리에 구비되는 것을 전도방지레그(280), 상기 오븐(200)의 저면 후단부 양측 모서리에 구비되는 것을 지지레그(290)라 칭한다.
상기 전도방지레그(280)는 실질적으로 상기 프론트패널(220)에 일체로 성형된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론트패널(220)을 사출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전도방지레그(280)가 상기 프론트패널(220)과 일체로 성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전도방지레그(280)는 상기 프론트패널(220)의 저면 양측 모서리에서 후방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전도방지레그(280)의 전단부는 적어도 상기 바텀플레이트(219)의 전단부에 비하여 전방에 위치된다. 즉 상기 전도방지레그(280)는 실질적으로 상기 조리기기의 저면 전단부에 최대한 인접되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도방지레그(280)의 후단부는 상기 바텀플레이트(219)의 저면 전단부 양측 모서리에 인접되 게 위치된다.
상기 지지레그(290)는 상기 바텀플레이트(219)의 후단부 양측 모서리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레그(290)는, 예를 들면, 상기 조리기기가 설치되는 바닥면과 소정의 마찰력을 기대할 수 있는 고무재질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 지지레그(290)는 상기 바텀플레이트(219)와 별개로 제작되어 상기 바텀플레이트(219)의 저면 후단부 양측 모서리에 별도의 체결구나 접착제 등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아웃케이스(300)는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상면과 양측면 및 상기 오븐(200)의 양측면을 형성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아웃케이스(300)는,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탑플레이트(310) 및 상기 전자레인지(100) 및 오븐(200)의 양측면 외관을 형성하는 2개의 레터럴플레이트(3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레터럴플레이트(320)의 상하높이는, 상기 전자레인지(100)의 길이 및 상기 오븐(200)의 상하높이를 합에 대응하는 값으로 결정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에서의 공기의 유동을 보인 종단면도이다.
조리기기를 사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1 또는 제2조리실(111)(211)의 내부에 음식물을 안착시키고, 전자레인지 도어 또는 오븐도어(230)를 닫아서 제1 또는 제2조리실(111)(211)을 차폐한다. 그리고 컨트롤부(미도시)를 조작하면, 전자레인지의 가열원 또는 오븐의 가열원인 오븐히터(270)가 동작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조리실(111)(211)의 내부에 안착된 음식물이 가열되어 조리된다.
한편 상기 전자레인지의 동작, 즉 상기 전자레인지의 가열원의 동작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오븐히터(270)가 동작되면, 냉각팬이 구동된다. 상기 냉각팬이 구동되면, 제1캐비티(110)의 흡입구(115)를 실내의 공기가 상기 제1캐비티(110)의 내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전장실(113)의 내부로 흡입된다.
다음으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냉각팬이 계속하여 구동하면, 상기 전장실(113)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베이스플레이트(120)의 연통공(121) 및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연통공(217B)을 통하여 프론트패널(220)의 내부로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프론트패널(220)의 내부로 유동된 공기가 프론트패널(220)의 배출공(220B)을 통하여 배출되면서, 오븐도어(230)를 냉각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오븐도어(230)가 열변형되거나 사용자가 상기 제2조리실(211)을 개폐하기 위하여 상기 오븐도어(230)를 파지하는 과정에서 부상을 입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요소 중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5의 도면부호를 원용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프론트패널(220)의 배출공(220C)이 프론트패널(220)의 입출개구(220A)의 일측면에 대응하는 프론트패널(220)의 내측 테두 리 일측면에 각각 구비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론트패널(220)의 배출공(220C)이,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연통공(217B)에 인접하는 상기 프론트패널(220)의 내측 테두리 일측면에 구비된다. 따라서 오븐도어(230)의 상하면이 상기 프론트패널(220)의 배출공(220C)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의하여 냉각될 수 있게 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프론트플레이트(217)의 루버(217C)는 삭제된다. 이는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연통공(217B)을 통하여 상기 프론트패널(220)의 내부로 유동되는 공기가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연통공(217B)에 수평방향로 인접하는 상기 프론트패널(220)의 배출공(220C)을 통하여 배출되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프론트플레이트(217)의 연통공(217B)을 통하여 상기 프론트패널(220)의 내부로 유동되는 공기를 수평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루버가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상기 프론트패널의 배출공이 상기 프론트패널의 입출개구의 상면 또는 일측면에 대응하는 상기 프론트패널의 내측 테두리 상면 또는 일측면에 구비되지만, 상기 프론트패널의 배출공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프론트패널의 배출공은, 상기 프론트패널의 내측 테두리 상하면 또는 상하면 및 일측면 등 다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전자레인지와 오븐이 스크류에 의하여 간단하게 결합되고, 하나의 아웃케이스가 양자의 외관을 형성한다. 따라서 하나의 전자레인지의 캐비티를 일반적인 전자레인지와 복합적인 조리기기에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레인지와 오븐과 같은, 2개의 조리부에서 각각 서로 다른 종류의 음식물을 조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음식물을 보다 신속하게 조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오븐의 오븐도어가 상기 전자레인지의 전장부품을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팬에 의하여 형성되는 에어플로에 의하여 냉각된다. 따라서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상기 오븐도어를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캐비티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캐비티의 저면을 보인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구성하는 제2캐비티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1실시예에서의 공기의 유동을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의 제2실시예의 요부를 보인 종단면도.

Claims (17)

  1. 제1조리실이 구비되는 제1캐비티;
    상기 제1조리실에서의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열을 제공하는 제1가열원;
    상기 제1캐비티에 결합되고, 제2가열원이 설치되는 제2조리실을 형성하는 제2캐비티;
    상기 제2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냉각을 위한 공기 유동을 형성하는 냉각팬;
    상기 제2캐비티의 일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가열원을 냉각한 공기 또는 상기 제2조리실의 공기를 도입하는 연통공을 가지는 프론트 플레이트;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가 수용되는 입출개구를 가지는 프론트 패널; 및
    상기 입출개구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연통공을 지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공이 포함되는 조리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캐비티는 상하로 적층되고,
    상기 냉각팬은 상기 제1가열원이 설치되는 상기 제1캐비티의 전장실에 설치되는 조리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제2조리실을 서랍식으로 개폐하는 조리기기.
  7. 제1조리실이 구비되는 제1캐비티, 상기 제1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도어, 상기 제1조리실에서의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제1가열원, 및 상기 제1가열원의 냉각을 위한 냉각팬을 포함하는 제1조리부; 및
    상기 제1조리부에 결합되고, 제2조리실이 구비되는 제2캐비티, 상기 제2캐비티의 전면에 구비되는 프론트패널, 상기 제2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도어, 및 상기 제2조리실에서의 조리물의 가열을 위한 제2가열원을 포함하는 제2조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캐비티의 일면을 형성하며, 상기 제1가열원을 냉각한 공기 또는 상기 제2조리실의 공기를 도입하는 연통공을 가지는 프론트 플레이트;
    상기 프론트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도어가 수용되는 입출개구를 가지는 프론트 패널; 및
    상기 입출개구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연통공을 지난 공기가 배출되어, 제2도어를 냉각시키는 배출공이 더 포함되는 조리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기유동은, 상기 제1가열원을 냉각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조리실을 통과하여 상기 프론트패널의 내부로 유동되는 조리기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이 구동하면, 상기 제1캐비티의 후면에 형성되는 흡입구를 통하여 상기 제1캐비티의 내부로 공기가 흡입되는 조리기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팬이 구동하면, 상기 제1캐비티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제1캐비티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또 다른 연통공을 통하여 상기 제2캐비티의 내부로 유동되는 조리기기.
  11. 삭제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어는, 상기 프론트패널에 형성되는 입출개구를 통하여 상기 제2조리실을 서랍식으로 개폐하는 조리기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은, 상기 프론트패널의 내측 테두리 상하면과 양측면 중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기.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열원은, 상기 제1조리실의 내부로 마이크로웨이브를 조사하는 고주파가열원이고,
    상기 제2가열원은, 상기 제2조리실의 내부로 히터열을 전달하는 히터인 조리기기.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조리부는 상하로 적층되는 조리기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제1 및 제2조리부의 양측면 외관은 동일한 부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조리기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조리부의 양측면 외관 및 상기 제1조리부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아웃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KR1020090002795A 2009-01-13 2009-01-13 조리기기 KR101545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795A KR101545745B1 (ko) 2009-01-13 2009-01-13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2795A KR101545745B1 (ko) 2009-01-13 2009-01-13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431A KR20100083431A (ko) 2010-07-22
KR101545745B1 true KR101545745B1 (ko) 2015-08-19

Family

ID=42643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2795A KR101545745B1 (ko) 2009-01-13 2009-01-13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74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3431A (ko) 2010-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20687B (zh) 对流式烤箱
US9115903B2 (en) Oven door
KR101450879B1 (ko) 밴트그릴
EP3309463B1 (en) Oven
KR20070116784A (ko) 충돌, 대류, 극초단파 오븐 및 방법
JP4021831B2 (ja) 電子レンジ
EP3853529B1 (en) Oven
US20120285437A1 (en) Door of electric oven
KR101276498B1 (ko) 드로워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오븐
KR20180028691A (ko) 조리기기
KR101537407B1 (ko) 조리기기
KR100743713B1 (ko) 조리기기
CN110214469B (zh) 用于固态烤箱电子器件冷却的装置和系统
KR101545745B1 (ko) 조리기기
US20040074901A1 (en) Microwave oven with toaster
JP6694583B2 (ja) オーブントースター
JP2015116248A (ja) グリル皿及び加熱調理器
KR20080021937A (ko) 조리기기
KR101445873B1 (ko) 조리기기
KR20070059394A (ko) 전기 오븐
KR100986480B1 (ko) 조리기기
KR20090099946A (ko) 조리기기
KR101460357B1 (ko) 조리기기
KR101411156B1 (ko) 조리기기
US6945159B2 (en) Tray assembly for microwave oven incorporating toas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