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2960B1 -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2960B1
KR102022960B1 KR1020170167969A KR20170167969A KR102022960B1 KR 102022960 B1 KR102022960 B1 KR 102022960B1 KR 1020170167969 A KR1020170167969 A KR 1020170167969A KR 20170167969 A KR20170167969 A KR 20170167969A KR 102022960 B1 KR102022960 B1 KR 1020229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member
hood
latch
moving guid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7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8010A (ko
Inventor
이상철
김원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7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2960B1/ko
Priority to PCT/KR2018/015020 priority patent/WO2019112248A1/ko
Publication of KR20190068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29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29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F24C15/2092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extendable or pivo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후드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며 후드와 마주보는 측에 삽입구가 형성되는 래치홀더와; 후드의 후방 측에 설치되며, 후드가 삽입위치로 이동되면 삽입구에 삽입되어 래치홀더와 결합되고, 후드가 삽입위치로부터 벗어나면 삽입구로부터 이탈되어 래치홀더로부터 분리되는 래치 스트라이커; 및 후드의 삽입방향 이동시 래치 스트라이커의 후방 측 단부가 삽입구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를 유지하도록 래치 스트라이커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이동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VENTILATING APPARATUS AND COOKING APPLIANCE THEREWITH}
본 발명은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에 부유하는 오염물질을 흡입하여 실외로 배출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기기는 가열원을 이용하여 조리물을 조리하는 가전기기이다. 이와 같은 조리기기 중 후드 기능을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후드 겸용 조리기기라 칭한다.
후드 겸용 조리기기는, 주방의 일측에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후드 겸용 조리기기는 다른 조리기기, 예를 들면, 가스 오븐레인지 등의 상방에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후드 겸용 조리기기는 가스 오븐레인지의 상부에 설치되며, 조리 시 음식물로부터 발생되는 연기, 증기 등을 흡입하기 위하여 조리기기 본체 하부에 후드를 구비한다.
후드는 조리기기 본체의 하측에 배치되며, 조리기기 본체는 오염 공기의 흡입을 위하여 작동하는 흡입팬과, 오염 공기가 유동하기 위한 공기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후드는, 포집 범위를 넓히기 위해 연기, 증기 등을 배기 덕트 측으로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안내부재는, 전,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고, 가스 오븐레인지에서 조리되는 음식물의 위치를 고려하여 진퇴 이동하도록 마련된다.
종래기술에 따른 후드 겸용 조리기기에서는, 일반적으로 평판형의 안내부재가 설치된다. 평판형 안내부재는, 후드 겸용 조리기기의 본체에서 전방으로 빼내지거나 후방으로 밀어 넣어지는 방식으로 작동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평판형 안내부재는 가스 오븐레인지와 평행하게 설치되고, 그 안내부재의 상면과 하면은 평탄하게 이루어지며, 그 하면은 가스 오븐레인지와 대향하여 마주 보게 된다.
후드 내부의 양측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레일이 각각 서로 마주보게 설치되며, 안내부재는 그 양측부가 각각 레일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후드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평판형 안내부재를 구비하는 후드 겸용 조리기기의 내부에는, 안내부재를 후드에 고정시키기 위한 래치기구가 마련된다. 래치기구는, 후드 내부에 설치된 래치홀더와 안내부재에 마련된 스트라이커를 포함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안내부재를 후방으로 밀어 넣었을 때, 스트라이커가 래치홀더의 내부에 삽입되어 래치홀더와 스트라이커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면, 안내부재가 후드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일정 이상의 힘으로 안내부재를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스트라이커가 래치홀더의 내부로부터 빠져나오면서 래치홀더와 스트라이커 간의 결합이 해제되고, 이에 따라 안내부재가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래치기구는, 통상적으로 후드의 좌우방향 중앙 측에 배치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안내부재를 삽입하거나 인출할 때 가해지는 힘이 후드의 좌우방향 중앙 측에 집중됨을 고려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래치기구의 구조에 따르면, 후드 형상의 변형이 발생되었을 때 래치홀더와 스트라이커 간의 결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후드 형상의 변형은, 안내부재의 삽입 및 인출 동작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후드 또는 안내부재 중 어느 하나가 하부로 쳐지는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고, 외부로부터 가해진 큰 힘으로 인해 후드 또는 안내부재 중 어느 하나가 하부로 쳐지는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후드 형상의 변형이 발생될 경우, 래치홀더와 스트라이크의 높낮이에 특정치 이상의 공차가 발생하여 래치홀더와 스트라이커 간의 결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이로 인해 안내부재가 후드 내부에 삽입되었을 대 안내부재의 고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후드의 형상 변형 여부와 관계 없이 후드의 수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기장치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후드케이싱과; 상기 후드케이싱의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드와; 상기 후드케이싱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후드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 및 삽입위치로 삽입된 상기 후드를 상기 후드케이싱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잠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후드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후드와 마주보는 측에 삽입구가 형성되는 래치홀더와; 상기 후드의 후방 측에 설치되며, 상기 후드가 삽입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래치홀더와 결합되고, 상기 후드가 삽입위치로부터 벗어나면 상기 삽입구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래치홀더로부터 분리되는 래치 스트라이커; 및 상기 후드의 삽입방향 이동시 상기 래치 스트라이커의 후방 측 단부가 상기 삽입구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를 유지하도록 상기 래치 스트라이커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이동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동가이드부재는, 상기 래치홀더로부터 상기 후드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이동가이드부재, 및 상기 상기 래치홀더로부터 상기 후드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이동가이드부재와의 사이에 이동통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이동가이드부재와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이동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가이드부재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래치 스트라이커는, 상단이 상기 제1이동가이드부재와 간섭되어 상단 위치가 상기 제1이동가이드부재에 의해 구속되고 하단이 상기 제2이동가이드부재와 간섭되어 하단 위치가 상기 제2이동가이드부재에 의해 구속되면서 상기 이동통로를 따라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이동가이드부재는, 상기 삽입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이동가이드부재는, 상기 래치 스트라이커의 높이에 대응되는 간격만큼 상기 제1이동가이드부재와 이격되며 상기 삽입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이동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이동가이드부재는, 상기 래치 스트라이커가 상기 이동통로로 진입했을 때 상기 래치 스트라이커의 후방 측 단부가 상기 삽입구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래치 스트라이커는, 상기 후드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후드의 삽입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래치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부, 및 상기 후크부로부터 상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동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이동가이드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부의 상단 및 하단과 각각 접촉되는 슬라이딩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부의 상단이 상기 제1이동가이드부재의 슬라이딩면과 간섭되고 상기 가이드돌기부의 하단이 상기 제2이동가이드부재의 슬라이딩면과 간섭되어 상기 래치 스트라이커의 상하방향 위치가 구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부는, 상기 후크부로부터 상기 후크부의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가이드돌기부, 및 상기 후크부로부터 상기 후크부의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가이드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제1가이드돌기부와 상기 제2가이드돌기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돌기부와 상기 제2가이돌기부의 연결체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제1이동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이동가이드부재 간의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이고, 상기 제2가이드돌기부는, 상기 래치 스트라이커가 상기 이동통로로 진입했을 때 상기 후크부가 상기 삽입구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이동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이동가이드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이동가이드부재의 외부에서 상기 삽입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가이드돌기부의 상기 이동통로 내부로의 진입을 안내하는 진입유도면이 형성되고, 상기 진입유도면은, 상기 이동가이드부재의 전방 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이동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이동가이드부재 간의 간격이 확장되도록, 상기 제1이동가이드부재 또는 상기 제2이동가이드부재의 전방 측 단부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입유도면은, 상기 제1이동가이드부재 또는 상기 제2이동가이드부재의 전방 측 단부에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의 상단과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라운드지게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이 구비되는 캐비티와; 상기 조리실에서의 조리물의 조리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열원; 및 상기 캐비티의 하부에 장착되는 배기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에 따르면, 후드 삽입시 래치 스트라이커가 설정된 높이를 유지하며 래치홀더 측으로 이동될 수 있게 래치 스트라이커의 이동 경로가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후드의 쳐짐 발생 등으로 인해 래치홀더와 래치 스트라이크의 높낮이에 어느 정도 공차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래치홀더와 래치 스트라이크 간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후드의 수납 상태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기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기장치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잠금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의 후드 인출 상태에서의 잠금장치의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잠금장치에서의 래치 스트라이크의 삽입 과정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잠금장치에서의 래치홀더와 래치 스트라이크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의 후드 삽입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주방의 일측에는 조리기기(1)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리기기(1)가 주방에 구비되는 가구의 상면에 설치되어 가스를 사용하여 조리물을 가열하는 가스레인지인 것으로 예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조리기기(1)는, 전기를 사용하여 조리물을 가열하는 히터나 유도가열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고, 쿡탑과 오븐을 함께 구비하는 가스오븐레인지 또는 전기오븐레인지가 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리기기(1)의 상방에는, 후드겸용 전자레인지(10; 이하 "전자레인지"라 함)가 설치된다. 상기 전자레인지(10)에는 마이크로웨이브 또는/및 히터열을 사용하여 조리물을 가열하여 조리하는 조리기능 이외에 조리기기(1)에서 조리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공기(이하 "오염 공기"라 한다)를 실외 또는 정화하여 실내로 배출하는 후드 기능이 구비된다. 상기 전자레인지(10)의 조리기능 및 조리기능을 위한 각종 부품은 이미 널리 공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전자레인지(10)에는, 조리물이 조리되는 조리실을 내부에 형성하는 캐비티(미도시)가 구비된다. 전자레인지(10)에는,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도어(11) 및 상기 전자레인지(10)의 동작을 위한 조작신호를 입력받고 동작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컨트롤패널(13)이 구비된다. 그리고 전자레인지(10)에는, 조리실에서의 조리물의 조리를 위한 가열원, 예를 들면, 고주파가열원, 복사가열원, 대류가열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전자레인지(10)의 내부에는, 후드기능을 위한 유로가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레인지(10)의 내부에는 후술할 후술할 흡기구(210a; 도 2 참조) 또는 보조흡기구(220a; 도 2 참조)를 통하여 흡입되는 오염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실외배출유로 및 이를 정화하여 실내로 배출하기 위한 실내배출유로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실내배출유로 상에는 오염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상기 실외배출유로, 실내배출유로 및 필터는, 일반적인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전자레인지(10)의 전면 상단에는, 토출그릴(15)이 구비될 수 있다. 토출그릴(15)은 실내배출유로를 유동하고 필터에 의하여 정화된 오염 공기가 실내로 배출되는 출구역할을 한다.
또한 전자레인지(10)의 내부에는, 밴트팬이 구비될 수 있다. 밴트팬은, 메인흡기구(210a) 또는 보조흡기구(220a)를 통하여 흡입되어 실외배출유로 또는 실내배출유로를 유동하여 실외 또는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흐름을 형성한다.
한편 전자레인지(10)의 하부에는 후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배기장치(20)가 구비될 수 있다.
배기장치(200)는 후드케이싱(210) 및 후드(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드케이싱(210)은 전자레인지(10)의 저면에 고정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후드(220)는, 전자레인지(10)의 전후방으로 슬라이딩하여 후드케이싱(210)의 내외부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된다.
[배기장치의 전반적인 구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기장치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배기장치의 저면을 도시한 저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후드케이싱(210)은 상면이 개구된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드케이싱(210)은 전자레인지(10)와 동일한 횡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후드케이싱(210)은, 전자레인지(10)와 별개로 형성되어 전자레인지(10)의 하부에 장착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후드케이싱(210)은 상기 전자레인지(10)의 양측면 일부 및 저면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후드케이싱(210)의 전면에는, 출납개구(211)가 형성된다. 출납개구(211)는, 후드(220)가 출납되는 입구 역할을 한다. 이러한 출납개구(211)는, 후드케이싱(210)의 전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후드케이싱(210)의 바닥면에는 메인흡기구(210a)가 구비된다. 메인흡기구(210a)는, 조리기기(1)에서 조리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오염 공기가 배기장치(200) 내부로 흡입되는 입구 역할을 한다. 메인흡기구(210a)는, 후드케이싱(210)의 바닥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후드케이싱(210)이 전자레인지(10)의 하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흡기구(210a)는 상기 실외배출유로 및 실내배출유로와 연통된다.
한편 후드케이싱(210)의 내부에는, 한 쌍의 가이드바(213)가 구비된다. 이 가이드바(213)는, 후술할 레일(230)의 고정을 위한 것이다. 또한 가이드바(213)는, 메인흡기구(210a) 및 보조흡기구(220a)를 통하여 흡입되는 오염 공기가 실외배출유로 또는 실내배출유로로 원활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후드케이싱(210) 내부로 흡입된 오염 공기의 흐름을 후드케이싱(210)의 후방 측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바(213)의 전단은 후드(220)가 후드케이싱(210)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후드(220)의 후단에 인접되고, 가이드바(213)의 후단은 후드케이싱(210)의 후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바(213)의 상단은, 후드케이싱(210)이 전자레인지(10)의 하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캐비티의 저면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후드케이싱(210)의 내부에는, 와류형성장치(240)가 마련될 수 있다. 와류형성장치(240)는, 후드케이싱(210)의 내부에 설치되어 메인흡기구(210a)를 통한 후드케이싱(210) 내부로의 외부 공기의 흡입이 유도되도록, 메인흡기구(210a) 주변 영역에 와류를 형성한다. 이러한 와류형성장치(240)는, 메인흡기구(210a) 주위에서 도너츠 형상과 같은 형상의 와류를 발생시켜 배기장치(20)의 흡입 영역이 확대되도록 함으로써, 흡입 기류의 속도가 낮은 경우에도 오염물질 및 공기의 흡입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용한다.
상기 와류형성장치(240)는, 스월러(241)와 구동부(243) 및 유동가이드(24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스월러(241)는 메인흡기구(210a)에 배치되어 메인흡기구(210a) 주위에 와류를 형성하기 위해 회전될 수 있으며, 구동부(243)는 후드케이싱(2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스월러(241)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구동부(243)는 와류형성장치(240)의 구성 중에서 가장 상부에 배치되며, 회전력을 전달하는 샤프트가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형태의 모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유동가이드(245)는, 메인흡기구(210a)에 배치되며, 스월러(241)를 외측 상부에서 감싸는 형태로 마련되어 스월러(241)의 회전 과정에서 유동하는 공기를 하방으로 안내함으로써, 와류의 형성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유동가이드(245)의 상부면은 스월러(310)의 상부를 개방하는 개방영역(245a)과 스월러(310)의 상부를 가로막는 폐쇄영역(245b)으로 구분될 수 있다.
유동가이드(245)의 상부면이 형성하는 가로방향의 평면 중에서, 상하방향으로 뚫린 부분이 개방영역(245a)이 되고, 뚫려있지 않고 막힌 부분이 폐쇄영역(245b)이 된다.
개방영역(245a)은, 외부 공기가 메인흡기구(210a)를 통해 후드케이싱(210) 내부로 흡입되는 통로가 개방되도록 유동가이드(245)의 상부면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폐쇄영역(245b)은, 메인흡기구(210a)를 통해 후드케이싱(21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상향 흐름이 유동가이드(245)를 통과하는 것을 막고 이를 통해 스월러(245)의 회전에 유도되는 하향의 공기 흐름의 세기가 증가되도록 하기 위한 용도로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폐쇄영역(245b)은, 후술할 잠금장치(250)의 래치홀더(260)를 후드케이싱(210) 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면을 제공하는 역할도 함께 수행한다.
후드(220)는, 출납개구(211)에 대응하는 종단면을 가지며 후면이 개구되는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후드(220)는 전자레인지(10)의 전후방으로 슬라이딩하는 방식으로 출납개구(211)를 통해 후드케이싱(210)의 내외부로 출납될 수 있다.
또한 후드(220)는, 후드(220)가 후드케이싱(21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그 상부면과 하부면이 메인흡기구(210a) 중 적어도 일부분과는 상하로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후드(220)가 후드케이싱(21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후드(220)의 상부면과 하부면의 후단이 메인흡기구(210a) 상에 위치된 개방영역(245a)보다 전방에 위치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후드(220)는, 후드케이싱(21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도 메인흡기구(210a)를 통해 후드케이싱(210)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후드(220)의 바닥면에는, 보조흡기구(220a)가 구비된다. 보조흡기구(220a)는 후드(220)가 후드케이싱(21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조리기기(1)에서 조리물을 조리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염 공기가 배기장치(20) 내부로 흡입되기 위한 입구 역할을 한다.
보조흡기구(220a)는, 후드(220)의 바닥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후드(220)가 후드케이싱(210)의 내부에 완전하게 삽입된 상태에서, 보조흡기구(220a)가 메인흡기구(210a)와 상하로 완전하게 중첩되도록 위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실질적으로는, 보조흡기구(220a)가 메인흡기구(210a)의 영역 내에 위치된다.
또한 보조흡기구(220a) 상에는 보조필터(221)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필터(211)는, 보조흡기구(220a)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후드(220)의 후면에는 후드(220)의 내부와 후드케이싱(210)의 내부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보조흡기구(220a)를 통해 후드(22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후드(220)의 후면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후드케이싱(210)의 내부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후드(220)에는, 장착부(225)가 구비된다. 장착부(225)는, 후드(220)의 후면을 좌우로 이등분하는 선상에 위치된다. 장착부(225)에는, 후술할 래치 스트라이커(280)가 고정된다.
상기 장착부(225)는, 측면(225a)과 가로면(225b) 및 후면(225c)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장착부(225)의 측면(225a)은, 보조흡기구(220a)가 구비된 후드(220) 내부 공간과 장착부(225) 사이를 구획하는 세로방향의 구조물로 제공된다. 장착부(225)에는 한 쌍의 측면(225a)이 형성되며, 이 한 쌍의 측면(225a)은 소정 간격, 예를 들면 후드케이싱(210) 내부로 돌출된 유동가이드(245)의 좌우폭에 대응되는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된다.
장착부(225)의 가로면(225b)은, 후드(220)의 하부면과 나란한 평면을 형성하되, 보조흡기구(220a) 및 보조필터(221)이 배치된 면인 후드(220)의 하부면보다는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가로면(225b)의 양측에 측면(225a)이 각각 배치되며, 가로면(225b)은 측면(225a)의 상단과 하단 사이에 배치되되, 유동가이드(245)의 높이보다는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가로면(225b)의 상부에는 후술할 래치 스트라이커(280)가 설치된다.
장착부(225)의 후면(225c)은, 가로면(225b)의 후방에 배치되되, 가로면(225c)의 후방 테두리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방향의 구조물로 제공된다.
이러한 후면(225c)의 좌우방향 중심부에는 개방홀(225d)이 형성될 수 있다. 개방홀(225d)은 후면(225c)의 일부분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형태로 형성되며, 래치 스트라이커(280)는 이러한 개방홀(225d)을 통해 후술할 래치홀더(260) 측으로 노출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개방홀(225d)은 래치홀더(260)의 높이 및 좌우폭에 대응되는 높이 및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개방홀(225d)은, 래치 스트라이커(280)가 설치된 장착부(225)의 내부로 래치홀더(260)가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장착부(225)의 후면(225c) 상에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래치 스트라이커(280)가 설치되는 장착부(225)의 가로면(225b)은 유동가이드(245)의 높이보다는 높은 위치에 배치되며, 이러한 가로면(225b)의 하부에는 가로면(225b)과 측면(225a)에 의해 상부 및 양측부가 둘러싸인 소정의 통과공간(225e)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통과공간(225e)에 의해, 후드(220)가 후드케이싱(210)의 내부에 수납된 경우에도 장착부(225)와 유동가이드(245) 간의 간섭, 다시 말해 후드케이싱(210)의 내부로 이동하는 후드(220)와 후드케이싱(210) 내부에 설치된 와류형성장치(240) 간의 간섭이 회피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래치 스트라이커(280)가 설치되기 위한 구조물로 인해 후드(220)의 수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후드(220)의 전면에는, 프런트패널(227)이 구비된다. 프런트패널(227)은, 실질적으로 후드(220)의 전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프런트패널(227)은, 후드케이싱(210)의 전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후드(220)가 후드케이싱(21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프런트패널(227)의 이면은 후드케이싱(210)의 전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된다. 이로써 프런트패널(227)은, 후드(220)의 출납을 위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프런트패널(227)의 하단에는 경사부(227a)가 구비된다. 경사부(227a)는, 프런트패널(227)의 하단 일부가 후방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하향경사지게 연장됨으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부(227a)는, 후드(220)가 후드케이싱(21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프런트패널(227)의 모서리에 부딪혀 부상을 입는 것을 방지하고 조리기기(1)의 동작을 확인하기 위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용도로 마련된다.
또한 후드(220)의 양측부에는, 슬라이딩부재(223)가 각각 구비된다. 각각의 슬라이딩부재(223)는 후드케이싱(210)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된 레일(230)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슬라이딩부재(223)는 레일(230)에 의해 형성된 경로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레일(230)과 슬라이딩부재(223) 간의 슬라이딩 가능한 결합을 매개로 후드(220)가 후드케이싱(210)에 출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후드(220)가 상기 후드케이싱(210)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후드(220)가 임의로 상기 후드케이싱(210)의 외부로 인출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잠금장치(250)가 구비된다. 잠금장치(25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잠금장치의 구조]
도 5는 도 2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래치기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의 후드 인출 상태에서의 래치기구의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잠금장치(250)는 래치홀더(260)와 래치(270) 및 래치 스트라이커(280)를 포함한다.
래치홀더(260)는, 후드케이싱(210)의 내부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래치홀더(260)가 와류형성장치(24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구체적으로, 래치홀더(260)는 유동가이드(245)의 상부면에 설치되되, 스월러(241)의 상부를 가로막는 가로방향의 평면으로 형성된 폐쇄영역(245b)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래치홀더(26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래치홀더(260)의 일측, 즉 후드(220)와 마주보는 래치홀더(260)의 일측에는 삽입구(261)가 형성된다. 삽입구(261)는 래치홀더(260)의 일측을 관통하는 홀 형태로 형성되며, 이러한 삽입구(261)에 의해, 래치(270) 및 래치 스트라이커(280)가 래치홀더(26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통로가 래치홀더(260) 상에 형성된다.
래치(270)는, 래치홀더(260)에 출납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러한 래치(270)는, 삽입구(261)를 통해 래치홀더(260)의 내부에 삽입되어 래치홀더(260)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래치홀더(260)의 내부에는 후방으로 이동되어 래치홀더(260)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 래치(270)와 결합되는 고정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는, 후방으로 이동되어 래치홀더(260)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 래치(270)와 결합되어 전방으로 이동하려는 래치(270)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역할을 하며, 전방 측을 향한 일정 수준 이상의 힘이 래치(270)에 가해지면 래치(270)와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래치(270)는, 래치(270)의 하부를 형성하는 지지부(271)와 지지부(271)의 상부에 마련되는 고정후크(2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지지부(271)는, 래치홀더(26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지지부(271)의 상부면은 래치(270)와 결합되는 래치 스트라이커(280)를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면으로 제공될 수 있다.
고정후크(273)는, 하방으로 볼록한 후크 형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래치(270)와 래치 스트라이커(28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때 래치 스트라이커(280)와 맞물리는 구성으로 마련된다.
고정후크(273)는, 그 하단부가 지지부(271)의 상부면과 소정 간격 이격된 형태로 마련되되, 상하방향으로 휨 변형될 수 있게 마련된다. 이러한 고정후크(273)는, 하부방향으로의 외력을 받아 그 하단부가 지지부(271)와 맞닿는 형태로 ? 변형될 수 있다.
래치 스트라이커(280)는, 후드(220)의 후방 측, 좀 더 구체적으로는 후드(220)의 후면에 구비된 장착부(225)에 설치된다. 이러한 래치 스트라이커(280)는, 후드(220)가 삽입위치로 이동되면 삽입구(261)에 삽입되어 래치홀더(260) 및 래치(270)와 결합되고, 후드(220)의 삽입위치로부터 벗어나면 삽입구(261)로부터 이탈되어 래치홀더(260) 및 래치(270)와 분리되는 구성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래치 스트라이커(280)는 결합부(281)와 후크부(283) 및 가이드돌기부(285,28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부(281)는, 후드(220), 좀 더 구체적으로는 후드(220)의 후면에 구비된 장착부(225)에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부(281)는, 장착부(225)의 개방홀(225d) 형성 영역에 배치되며, 장착부(225)의 후면(225c)보다 후드(220)의 내측으로 함몰된 부분에서 가로면(225b)에 결합될 수 있다.
후크부(283)는, 결합부(281)로부터 후드(220)의 삽입방향, 바꾸어 말하면 래치홀더(260)를 향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후크부(283)는, 래치(270)와 함께 삽입구(261)에 삽입되어 래치홀더(26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후크부(283)는, 상방으로 볼록한 후크 형상을 이루어지며, 래치(270)와 래치 스트라이커(28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때 고정후크(273)와 맞물리는 구성으로 마련된다. 후크부(283)와 고정후크(273) 간에 이루어지는 맞물림에 의해 래치(270)와 래치 스트라이커(28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래치(270)와 래치 스트라이커(280) 간에 이루어지는 결합에 의해, 래치홀더(260)와 래치 스트라이커(28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돌기부(285,286)는, 후크부(283)로부터 상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가이드돌기부(285,286)는, 후크부(283)로부터 후크부(283)의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가이드돌기부(285), 및 후크부(283)로부터 후크부(283)의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가이드돌기부(28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후크부(283)는, 제1가이드돌기부(285)와 제2가이드돌기부(286)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부(285,286)의 작용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잠금장치(250)는 이동가이드부재(290,2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가이드부재(290,295)는, 후드(220)의 삽입방향 이동시 래치 스트라이커(280)의 후방 측 단부, 즉 후크부(283)가 삽입구(261)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를 유지하도록 래치 스트라이커(280)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구성으로 마련된다.
상기 이동가이드부재(290,295)는, 제1이동가이드부재(290)와 제2이동가이드부재(29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이동가이드부재(290)는, 래치홀더(260)로부터 후드(220)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며, 삽입구(261) 및 래치(270)의 상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이동가이드부재(290)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제2이동가이드부재(295)는, 래치홀더(260)로부터 후드(220)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되, 제1이동가이드부재(290)와의 사이에 이동통로가 형성되도록 제1이동가이드부재(295)와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제2이동가이드부재(295)는, 래치 스트트라이커(280)의 높이에 대응되는 간격만큼 제1이동가이드부재(290)와 이격되며 삽입구(261) 및 래치(270)의 하부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이동가이드부재(295)가 제1이동가이드부재(290)와 마찬가지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이동가이드부재(290)와 제2이동가이드부재(295) 간의 이격 간격은, 제1가이드돌기부(285)와 후크부(283) 및 제2가이드돌기부(286)의 연결체의 상하방향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설정된다.
이를 다르게 표현하면, 제1가이드돌기부(285)와 후크부(283) 및 제2가이드돌기부(286)의 연결체의 상하방향 길이는, 제1이동가이드부재(290)와 제2이동가이드부재(295) 간의 이격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로 설정된다.
상기 제1이동가이드부재(290)와 제2이동가이드부재(295)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가이드돌기부(285,286)의 상단인 제1가이드돌기부(285)의 상단, 및 가이드돌기부(285,286)의 하단인 제2가이드돌기부(286)의 하단과 각각 접촉되는 슬라이딩면이 각각 형성된다.
후드(220)가 삽입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래치 스트라이커(280)가 이동가이드부재(290,295) 내부에 형성된 이동통로에 진입되었을 때, 제1가이드돌기부(285)의 상단이 제1이동가이드부재(290)의 슬라이딩면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제2가이드돌기부(286)의 하단이 제2이동가이드부재(295)의 슬라이딩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래치 스트라이커(280)의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제1가이드돌기부(285)의 상단이 제1이동가이드부재(290)의 슬라이딩면과 간섭되어 래치 스트라이커(280)의 상단 위치가 제1이동가이드부재(290)에 의해 구속되고, 제2가이드돌기부(286)의 하단이 제2이동가이드부재(295)의 슬라이딩면과 간섭되어 래치 스트라이커(280)의 하단 위치가 제2이동가이드부재(295)에 의해 구속된다.
이로써 래치 스트라이커(280)의 상하방향 위치가 이동가이드부재(290,295)에 의해 구속된 상태로 래치 스트라이커(280)가 이동가이드부재(290,295) 내부에 형성된 이동통로를 따라 삽입구(261)를 향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삽입구(261)를 향해 이동하는 래치 스트라이커(280)는, 후크부(283)가 래치(270)의 고정후크(273)와 맞물리면서 삽입구(261)를 통해 래치홀더(260)의 내부에 삽입되는 형태로 래치홀더(260)와 결합된다.
래치 스트라이커(280)와 래치홀더(260) 간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후크부(283)가 고정후크(273)와 맞물릴 수 있으면서 삽입구(261)를 통과할 수 있는 위치를 유지하면서 래치 스트라이커(280)의 이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제2가이드돌기부(286)는 래치 스트라이커(280)가 이동가이드부재(290,295)의 내부에 형성된 이동통로로 진입했을 때 후크부(283), 좀 더 구체적으로는 후크부(283)의 후방 측 단부가 삽입구(261)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길이로 형성된다.
후크부(283)가 삽입구(261)에 원활하게 삽입되기 위해서는, 후크부(283)의 좌우방향 위치 및 상하방향 위치가 삽입구(261)의 영역 내에 위치되도록 래치 스트라이커(280)의 이동이 유도되어야 한다.
이때 후크부(283)의 좌우방향 위치는, 래치 스트라이커(280)의 이동 경로를 특별히 규제하지 않아도 삽입구(261)의 영역 밖으로 벗어나게 유지될 수 있다.
후드(220)의 이동이 레일(230; 도 2 참조)과 슬라이딩부재(223; 도 2 참조) 간의 맞물림에 의해 이루어지고, 후드(220)의 좌우방향 위치가 레일(230)에 의해 규제되므로, 레일(230)과 슬라이딩부재(223) 간의 맞물림이 틀어질 정도로 매우 큰 힘이 배기장치(20; 도 2 참조)에 가해지지 않는 한 후크부(283)의 좌우방향 위치는 삽입구(261)의 영역 밖으로 벗어나지 않게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비해, 후크부(283)의 상하방향 위치는 여러 요인으로 인해 삽입구(261)의 영역 밖으로 벗어날 위험성이 높기 때문에, 래치 스트라이커(280)의 이동 경로를 규제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게 된다.
후드(220)의 삽입 및 인출 동작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후드케이싱(210) 또는 후드(220) 중 어느 하나가 하부로 쳐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현상은 잠금장치(250)가 설치된 배기장치(200)의 좌우방향 중앙 측에서 주로 발생된다.
이와 같이 잠금장치(250)가 설치된 배기장치(200)의 좌우방향 중앙 측에 쳐짐이 발생되면, 이와 함께 후크부(283)도 하부로 쳐져 후크부(283)의 상하방향 위치가 삽입구(261)의 영역 밖으로 벗어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 경우, 래치홀더(260)와 래치 스트라이커(280) 간의 결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이로 인해 후드(220)가 후드케이싱(210) 내부에 삽입되었을 대 후드(220)의 고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의 잠금장치(250)는 가이드돌기부(285,286)와 이동가이드부재(290,295) 간의 슬라이딩 가능한 맞물림에 의해 래치 스트라이커(280)의 이동경로가 안내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후크부(283)가 삽입구(261)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를 유지하도록 래치 스트라이커(280)의 삽입방향 이동이 안내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래치홀더(260)와 래치 스트라이커(280) 간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제1이동가이드부재(290)와 제2이동가이드부재(29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이동가이드부재(290,295)의 외부에서 삽입방향으로 이동되는 가이드돌기부(285,286)의 이동통로 내부로의 진입을 안내하는 진입유도면(a)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이동가이드부재(290)와 제2이동가이드부재(295) 모두에 진입유도면(a)이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진입유도면(a)은, 이동가이드부재(290,295)의 전방 측으로 갈수록 제1이동가이드부재(290)와 제2이동가이드부재(295) 간의 간격이 확장되도록, 제1이동가이드부재(290)와 제2이동가이드부재(295)의 전방 측 단부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이동가이드부재(290)의 진입유도면(a)은 제1이동가이드부재(290)의 전방 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며, 제2이동가이드부재(295)의 진입유도면(a)은 제2이동가이드부재(295)의 전방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진입유도면(a)은, 제1이동가이드부재(290)와 제2이동가이드부재(295) 사이에 형성된 이동통로 입구의 상하폭을 확장시킴으로써 이동가이드부재(290,295) 내부로의 래치 스트라이커(280)의 진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또한 상기 진입유도면(a)은, 제1이동가이드부재(290)와 제2이동가이드부재(295)의 전방 측 단부에 라운드진 경사면을 형성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돌기부(285,286)의 상단 중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도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가이드돌기부(285)의 상단과 제2가이드돌기부(286)의 하단 모두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진입유도면(a)과 제1가이드돌기부(285)의 상단 및 제2가이드돌기부(286)의 하단이 모두 라운드지게 형성됨으로써, 가이드돌기부(285,286)의 라운드진 부분이 진입유도면(a)의 라운드진 부분을 타고 매끄럽게 슬라이딩될 수 있게 되므로, 이동가이드부재(290,295) 내부로의 래치 스트라이커(280)의 진입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잠금장치의 작용, 효과]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잠금장치에서의 래치 스트라이크의 삽입 과정을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잠금장치에서의 래치홀더와 래치 스트라이크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장치의 후드 삽입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C-C"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도 2와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다른 잠금장치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220)가 후드케이싱(21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후드(220)를 삽입방향, 즉 후드케이싱(210)의 내측을 향한 후방으로 밀어 넣으면, 후방으로 이동되는 후드(220)와 함께 래치 스트라이커(280)도 래치홀더(260) 및 래치(280)를 향해 이동된다.
이때 후드(220)의 삽입방향 이동은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린 레일(230)과 슬라이딩부재(223)에 의해 안내되며, 이로써 후드(220)는 그 측방향 위치가 구속되며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후드(220)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는 래치 스트라이커(28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드(220)의 이동이 계속됨에 따라 이동가이드부재(290,295)의 내부에 형성된 이동통로 내부로 진입될 수 있다.
이때 제1가이드돌기부(285)가 제1이동가이드부재(290)의 슬라이딩면과 간섭되고 제2가이드돌기부(286)가 제2이동가이드부재(295)의 슬라이딩면과 간섭되는 형태로 래치 스트라이커(280)가 이동가이드부재(290,295)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만약 잠금장치(250)가 설치된 후드(220)의 좌우방향 중앙 측에 쳐짐이 발생되어 래치 스트라이커(280)가 원래 설계된 위치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가 발생되더라도, 래치 스트라이커(280)의 이동통로 내부로의 진입은 제1이동가이드부재(290)와 제2이동가이드부재(295) 각각의 단부에 형성된 진입유도면(a)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동가이드부재(290,295)의 내부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래치 스트라이커(280)는, 후드(220)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계속될 때, 이동가이드부재(290,295)의 내부에 형성된 이동통로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래치 스트라이커(280)가 이동되는 과정 동안, 제1가이드돌기부(285)의 상단이 제1이동가이드부재(290)의 슬라이딩면과 간섭되고 제2가이드돌기부(286)의 하단이 제2이동가이드부재(295)의 슬라이딩면과 간섭되어 래치 스트라이커(280)의 상하방향 위치가 구속되는 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래치 스트라이커(280)의 상하방향 위치는, 후크부(283)가 래치(270)의 고정후크(273)와 맞물리고 삽입구(261)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로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래치 스트라이커(280)의 상하방향 위치된 상태로 유지된 상태에서 래치 스트라이커(280)의 후방 이동이 계속되면, 후크부(283)와 고정후크(273) 간의 맞물림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후드(220)가 삽입위치까지 완전히 이동하면,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부(283)가 래치(270)와 함께 삽입구(261)를 통과하여 래치홀더(260)의 내부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후크부(283) 및 래치(270)가 래치홀더(260)의 내부로 삽입되면, 래치홀더(283)의 내측 상부면과 고정후크(273) 간의 간섭이 발생된다. 이로 인해 고정후크(273)는 하부방향으로 외력을 받아 고정후크(273)의 하단부가 지지부(271)와 맞닿는 형태로 휨 변형되며, 이와 같이 휨 변형된 고정후크(273)는 후크부(283)가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게 후크부(283)를 래치(27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후크부(283)를 내부에 고정시킨 형태로 래치 스트라이커(280)와 결합된 래치(270)가 래치홀더(260)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면, 래치홀더(260)의 내부에 마련된 고정부재와 래치(27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고정부재는, 후방으로 이동되어 래치홀더(260)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된 래치(270)와 결합되어 전방으로 이동하려는 래치(270)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역할을 하며, 전방 측을 향한 일정 수준 이상의 힘이 래치(270)에 가해지면 래치(270)와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형태로 제공되는 본 실시예의 잠금장치(250)는, 후드(220) 삽입시 래치 스트라이커(280)가 설정된 높이를 유지하며 래치홀더(260) 측으로 이동될 수 있게 래치 스트라이커(280)의 이동 경로가 안내되도록 함으로써, 후드(220)의 쳐짐 발생 등으로 인해 래치홀더(260)와 래치 스트라이크(280)의 높낮이에 어느 정도 공차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후드(220)의 수납 상태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후드(220)가 후드케이싱(110) 내부에 수납되고 래치홀더(260)와 래치 스트라이크(28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질 때, 래치홀더(260)로부터 전방 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된 이동가이드부재(290,295)는 후드(220)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된 장착부(225)의 내부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삽입구(261)의 상부에 배치된 제1이동가이드부재(290)는, 장착부(225)의 후면(225c)에 관통되게 형성된 개방홀(225d)을 통과하여 장착부(225)의 내부로 삽입된다.
그리고 삽입구(261)의 하부에 배치된 제2이동가이드부재(295)는, 래치 스트라이커(280)보다 하부에 배치되는 구조 상 특징으로 인해, 래치 스트라이커(280)가 설치된 장착부(225)의 가로면(225b)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므로, 장착부(225)의 가로면(225b) 하부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장착부(225)의 가로면(225b)에는 통과공간(225e)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이동가이드부재(295)는 이와 같이 형성된 통과공간(225e)을 통해 장착부(225)의 하부를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제2이동가이드부재(295)가 삽입되는 통과공간(225e)에는 유동가이드(245)의 일부분이 삽입될 수 있으며, 이로써 후드케이싱(210)의 내부로 이동하는 후드(220)와 후드케이싱(210) 내부에 설치된 와류형성장치(240) 간의 간섭이 회피되며 후드(220)의 수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조리기기
10 :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11 : 도어
13 : 컨트롤패널
15 : 토출그릴
20 : 배기장치
210 : 후드케이싱
210a : 메인흡기구
211 : 출납개구
213 : 가이드바
220 : 후드
220a : 보조흡기구
221 : 보조필터
223 : 슬라이딩부재
225 : 장착부
225a : 측면
225b : 가로면
225c : 후면
225d : 개방홀
225e : 통과공간
227 : 프런트패널
230 : 레일
240 : 와류형성장치
241 : 스월러
243 : 구동부
245 : 유동가이드
245a : 개방영역
245b : 폐쇄영역
250 : 잠금장치
260 : 래치홀더
261 : 삽입구
270 : 래치
271 : 지지부
273 : 래치후크부
280 : 래치 스트라이커
281 : 결합부
283 : 후크부
285 : 제1가이드돌기부
286 : 제2가이드돌기부
290 : 제1이동가이드부재
295 : 제2이동가이드부재
a : 진입유도면

Claims (9)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후드케이싱;
    상기 후드케이싱의 내부에 인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드;
    상기 후드케이싱의 양측부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후드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일; 및
    삽입위치로 삽입된 상기 후드를 상기 후드케이싱의 내부에 고정시키는 잠금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후드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후드와 마주보는 측에 삽입구가 형성되는 래치홀더;
    상기 후드의 후방 측에 설치되며, 상기 후드가 삽입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래치홀더와 결합되고, 상기 후드가 삽입위치로부터 벗어나면 상기 삽입구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래치홀더로부터 분리되는 래치 스트라이커; 및
    상기 후드의 삽입방향 이동시 상기 래치 스트라이커의 후방 측 단부가 상기 삽입구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를 유지하도록 상기 래치 스트라이커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이동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가이드부재는, 상기 래치홀더로부터 상기 후드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이동가이드부재, 및 상기 상기 래치홀더로부터 상기 후드를 향해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이동가이드부재와의 사이에 이동통로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1이동가이드부재와 상하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이동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가이드부재의 내부에 삽입된 상기 래치 스트라이커는, 상단이 상기 제1이동가이드부재와 간섭되어 상단 위치가 상기 제1이동가이드부재에 의해 구속되고 하단이 상기 제2이동가이드부재와 간섭되어 하단 위치가 상기 제2이동가이드부재에 의해 구속되면서 상기 이동통로를 따라 이동되는 배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가이드부재는, 상기 삽입구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이동가이드부재는, 상기 래치 스트라이커의 높이에 대응되는 간격만큼 상기 제1이동가이드부재와 이격되며 상기 삽입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이동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이동가이드부재는, 상기 래치 스트라이커가 상기 이동통로로 진입했을 때 상기 래치 스트라이커의 후방 측 단부가 상기 삽입구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에 배치되는 배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스트라이커는, 상기 후드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로부터 상기 후드의 삽입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어 상기 래치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후크부, 및 상기 후크부로부터 상하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가이드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이동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이동가이드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부의 상단 및 하단과 각각 접촉되는 슬라이딩면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돌기부의 상단이 상기 제1이동가이드부재의 슬라이딩면과 간섭되고 상기 가이드돌기부의 하단이 상기 제2이동가이드부재의 슬라이딩면과 간섭되어 상기 래치 스트라이커의 상하방향 위치가 구속되는 배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부는, 상기 후크부로부터 상기 후크부의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1가이드돌기부, 및 상기 후크부로부터 상기 후크부의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가이드돌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는, 상기 제1가이드돌기부와 상기 제2가이드돌기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가이드돌기부와 상기 제2가이드돌기부의 연결체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기 제1이동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이동가이드부재 간의 간격에 대응되는 길이이고,
    상기 제2가이드돌기부는, 상기 래치 스트라이커가 상기 이동통로로 진입했을 때 상기 후크부가 상기 삽입구에 삽입될 수 있는 높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배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제1이동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이동가이드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이동가이드부재의 외부에서 상기 삽입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가이드돌기부의 상기 이동통로 내부로의 진입을 안내하는 진입유도면이 형성되고,
    상기 진입유도면은, 상기 이동가이드부재의 전방 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이동가이드부재와 상기 제2이동가이드부재 간의 간격이 확장되도록, 상기 제1이동가이드부재 또는 상기 제2이동가이드부재의 전방 측 단부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배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유도면은, 상기 제1이동가이드부재 또는 상기 제2이동가이드부재의 전방 측 단부에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배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돌기의 상단과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배기장치.
  8. 조리실이 구비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에서의 조리물의 조리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열원; 및
    상기 캐비티의 하부에 장착되는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배기장치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9. 삭제
KR1020170167969A 2017-12-08 2017-12-08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1020229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969A KR102022960B1 (ko) 2017-12-08 2017-12-08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PCT/KR2018/015020 WO2019112248A1 (ko) 2017-12-08 2018-11-29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7969A KR102022960B1 (ko) 2017-12-08 2017-12-08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010A KR20190068010A (ko) 2019-06-18
KR102022960B1 true KR102022960B1 (ko) 2019-11-04

Family

ID=66751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7969A KR102022960B1 (ko) 2017-12-08 2017-12-08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22960B1 (ko)
WO (1) WO2019112248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35781A (en) * 1996-07-17 2000-10-2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Electrical interconnection system and device
KR100633137B1 (ko) * 2005-08-26 2006-10-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트레이 래칭장치
KR101535304B1 (ko) * 2009-02-11 2015-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101631080B1 (ko) * 2011-12-21 2016-06-17 삼성전자 주식회사 후드겸용 전자레인지의 에어필터 착탈 장치
DE102016208269A1 (de) * 2016-05-13 2017-11-16 BSH Hausgeräte GmbH Dunstabzugshaube mit Auszugsel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010A (ko) 2019-06-18
WO2019112248A1 (ko) 2019-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10411B2 (en) Microwave oven including hood
KR102280927B1 (ko) 오븐
US7482563B2 (en) Microwave range configured both to heat food and to exhaust contaminated air generated by a cooking appliance provided therebeneath
KR101307628B1 (ko) 응축수 안내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조리기기
EP3271657B1 (en) Cooking device
KR101276498B1 (ko) 드로워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오븐
EP3940296B1 (en) Cooking appliance
CN111051778B (zh) 烤箱
KR101291272B1 (ko) 조리기기
KR101654725B1 (ko) 조리기기
KR101291505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102022960B1 (ko) 배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WO2012117378A1 (en) Cooking oven, particularly for household use
KR100938205B1 (ko) 오븐
KR101247439B1 (ko)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KR20100095307A (ko) 후드겸용 전자레인지
KR102467315B1 (ko) 조리기기
KR101674293B1 (ko) 조리기기
US20240044504A1 (en) Cooking appliance
US20240044506A1 (en) Cooking appliance
US20240044499A1 (en) Cooking appliance
KR102067271B1 (ko) 조리기기
KR100986480B1 (ko) 조리기기
US20240000262A1 (en) Cooking appliance
KR102613444B1 (ko) 인덕션 레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