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8892B1 - 푸시-오픈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서랍용 슬라이드 구조체 - Google Patents

푸시-오픈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서랍용 슬라이드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8892B1
KR101288892B1 KR1020120019711A KR20120019711A KR101288892B1 KR 101288892 B1 KR101288892 B1 KR 101288892B1 KR 1020120019711 A KR1020120019711 A KR 1020120019711A KR 20120019711 A KR20120019711 A KR 20120019711A KR 101288892 B1 KR101288892 B1 KR 101288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push
bracket
cam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9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식
김덕회
Original Assignee
박윤식
(주)세고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식, (주)세고스 filed Critical 박윤식
Priority to KR1020120019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88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8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8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6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 A47B88/467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self-clos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29Guide bea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36Brac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4Sequencing or synchronisation of drawer slides or functional units
    • A47B88/443Successive movement of rails within drawer slides, i.e. at least one rail element is not moving during the movement of other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19Accessories or additional elements for drawers, e.g. drawer lighting
    • A47B88/931Rails or rods mounted above the drawer walls, e.g. for stabilisation of the drawer or for suspension of the content
    • A47B88/938Means for connecting rails or rods to drawers

Abstract

푸시-오픈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서랍용 슬라이드 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시-오픈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서랍용 슬라이드 구조체는 사용자가 작은 힘으로 서랍을 가압하면 부분적으로 개방되도록 하고, 개방된 서랍을 일정 거리 폐쇄하면 자동으로 서랍이 폐쇄되며, 폐쇄된 상태의 서랍이 작은 흔들림이나 충격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서랍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고 서랍 내에 저장된 수납물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푸시-오픈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서랍용 슬라이드 구조체{PUSH-OPEN DEVICE FOR DRAWER SLIDE AND STRUCTURE OF DRAWER SLIDE HAVE THE SAME}
본 발명은 푸시-오픈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서랍용 슬라이드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서랍을 가압하면 서랍이 부분적으로 개방되도록 한 것이다.
서랍은 가구, 냉온장고, 조리기구, 전자제품 등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다양한 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서랍 내에는 다양한 수납물이 저장될 수 있는데, 일정한 온도에서 보관되어야 하는 약품이나 음식물과 같이 온도 변화에 민감한 것들이 저장되는 경우나 조리기구와 같이 수납공간과 외부의 열교환이 차단되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서랍에 밀폐를 위한 패킹 등이 설치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서랍을 개폐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또는, 서랍의 외관을 미려하게 하거나 손잡이 등이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목적에 따라 서랍에 손잡이를 부착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사용자가 서랍을 용이하게 개방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한편, 앞에서 언급했던 약품이나 음식물과 같은 수납물은, 이들을 서랍에 넣거나 꺼내기 위하여 서랍이 개방된 후 가급적 빠른 시간 내에 다시 폐쇄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개방된 서랍을 다시 폐쇄시키는 것을 잊는 경우에는 수납공간 내부의 온도 변화로 수납물이 변질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서랍이 작은 경사각이나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작은 충격에도 개방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가 더욱 빈번하게 발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작은 힘으로도 서랍을 개방시킬 수 있고, 작은 경사각이나 흔들림,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작은 충격에는 서랍이 개방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 및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미국공개특허 제20080169741호 국내공개특허 제10-2011-0015352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작은 힘으로 서랍을 가압하면 부분적으로 개방되도록 하고, 개방된 서랍을 일정 거리 폐쇄하면 자동으로 서랍이 폐쇄되며, 폐쇄된 상태의 서랍이 작은 흔들림이나 충격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납본체에 고정된 고정레일과, 상기 고정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레일과, 상기 이동레일에 고정된 서랍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본체에 상기 서랍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도록 결합시키는 서랍용 슬라이드 구조체에 구비된 푸시-오픈 장치로서,
상기 수납본체에 고정된 평판형의 메인 프레임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 본체의 일면에는 상기 서랍이 개폐되는 방향인 제1 방향과 나란한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곡선 형상의 만곡부로 이루어진 J형상의 가이드 홈 및 상기 만곡부에 근접된 위치에 돌출된 압상돌기가 각각 형성된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 본체와 나란하면서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제2 방향과 나란한 방향 중 상기 만곡부가 형성된 방향과 반대 방향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 본체보다 더 돌출된 견인돌기가 형성되고, 일면에는 상기 직선부의 길이보다 짧은 간격을 갖는 한 쌍의 가이드 핀이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핀이 상기 가이드 홈에 각각 삽입되어 가이드 될 수 있도록 상기 일면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면에 안착된 이동 프레임과,
일단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핀 중 상기 만곡부와 멀리 배치된 것이 상기 직선부의 타단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 방향으로 상기 이동 프레임을 탄성 지지하는 제1 탄성체와,
일면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면에 안착되고, 타면에는 타측 가장자리로 갈수록 상기 만곡부가 형성된 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경사면체가 돌출 형성되며,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이동 프레임의 타측에 상기 제2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캠과,
일면의 일측은 상기 이동 프레임의 타면에 안착되고, 일면의 타측에는 상기 캠의 경사면의 일부분에 상응되는 경사면을 갖는 경사돌출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경사돌출부의 경사면 및 상기 경사면체의 경사면이 서로 면접촉 되도록 상기 캠의 타면에 안착되며, 상기 만곡부가 형성된 방향과 반대 방향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 본체보다는 더 돌출되고 상기 견인돌기보다는 덜 돌출되도록 작동돌기가 형성된 푸시 슬라이드와,
일단부는 상기 이동 프레임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푸시 슬라이드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푸시 슬라이드를 상기 이동 프레임의 타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2 탄성체와,
일단부는 상기 이동레일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서랍이 폐쇄된 상태일 때 상기 캠 및 상기 작동돌기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브라켓과,
일단부는 상기 이동레일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서랍이 폐쇄된 상태일 때에는 상기 견인돌기보다 상기 서랍이 닫히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서랍이 개방되는 과정에서 상기 견인돌기에 접하도록 배치된 제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캠은 상기 서랍이 폐쇄된 상태일 때에는 그 일부가 상기 제1 브라켓에 접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 본체 보다 돌출되는 제1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돌기가 상기 제1 브라켓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푸시 슬라이드가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일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경사돌출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캠이 상기 제2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캠의 일부가 상기 제1 브라켓에 접촉되지 않는 제2 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견인돌기가 상기 제2 브라켓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서랍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핀 중 상기 만곡부와 가까이 배치된 것이 상기 만곡부로 가이드 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 프레임이 수평위치로부터 경사위치로 변경되고,
상기 서랍이 개방된 상태일 때에는 상기 만곡부의 단부에 위치한 상기 가이드 핀에 의해 상기 제1 탄성체의 인장력이 지지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이 상기 경사위치를 유지하며,
상기 이동 프레임이 상기 수평위치로부터 상기 경사위치로 변경되는 도중에는 상기 캠이 상기 압상돌기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변경되고,
상기 이동 프레임이 상기 경사위치를 유지할 때 상기 서랍이 폐쇄되는 경우에는 상기 견인돌기가 상기 제2 브라켓과 접촉되지 않으며 상기 작동돌기는 상기 제1 브라켓에 접촉 및 가압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이 수평위치로 복귀되는 푸시-오픈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만곡부의 중간부분은 그 양단부 보다 직선부의 타단부로부터의 거리가 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일측 또는 상기 캠의 타측에는 가이드 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캠의 타측 또는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 리브와 대응되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 홈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리브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되는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리브에는 상기 캠이 상기 이동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되는 범위를 제한하는 이동제한 턱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브라켓 또는 상기 견인돌기가 접촉되는 부분에는 완충수단이 개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납본체에 서랍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도록 결합시키는 서랍용 슬라이드 구조체로서, 상기 수납본체에 고정된 고정레일과, 상기 고정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서랍에 고정된 이동레일과, 상기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푸시-오픈 장치를 포함하는, 푸시-오픈 장치를 구비한 서랍용 술라이드 구조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가 작은 힘으로 서랍을 가압하면 부분적으로 개방되도록 하고, 개방된 서랍을 일정 거리 폐쇄하면 자동으로 서랍이 폐쇄되며, 폐쇄된 상태의 서랍이 작은 흔들림이나 충격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서랍을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고, 서랍 내에 저장된 수납물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오픈 장치가 구비된 서랍용 슬라이드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오픈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푸시-오픈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동 프레임의 배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캠의 정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푸시 슬라이드의 배면도.
도 7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오픈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오픈 장치가 구비된 서랍용 슬라이드 구조체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오픈 장치가 구조된 서랍용 슬라이드 구조체에는, 슬라이드(100) 및 푸시-오픈 장치(200)가 포함될 수 있다.
슬라이드(100)에는 고정레일(110), 중간레일(130) 및 이동레일(150)이 포함될 수 있는데, 고정레일(110)은 수납수단(10)의 수납본체(11)에 고정될 수 있고 이동레일(150)은 서랍(15)에 고정될 수 있다. 푸시-오픈 장치(200)는 수납본체(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중간레일(130)은 고정레일(110)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이동레일(150)은 중간레일(130)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이동레일(150)은 고정레일(110)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고정레일(110) 및 중간레일(130) 사이 및 중간레일(130) 및 이동레일(150) 사이에는 슬라이딩 운동을 원활하게 하는 볼 베어링 및 리테이너와 같은 장치가 각각 개재될 수 있다.
이동레일(150)에는 제1 브라켓(151)의 일단부 및 제2 브라켓(152)의 일단부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1 브라켓(151) 및 제2 브라켓(15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오픈 장치(200)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들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오픈 장치를 구비한 서랍용 슬라이드 구조체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레일(110, 130, 150)로 구성된 슬라이드(100)뿐만 아니라, 도시되지 않은 2개의 레일이나 더 많은 수의 레일로 구성된 것도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오픈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오픈 장치(200)에는 메인 프레임(210), 이동 프레임(230), 푸시 슬라이드(250) 및 캠(270)이 포함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서랍(도 1의 15)이 개폐되는 방향인 X축과 나란한 방향을 제1 방향, 푸시-오픈 장치(200)가 수납본체(11)에 결합되는 Z축과 나란한 방향을 제3 방향, 제1 방향 및 제3 방향에 모두 수직한 Y축과 나란한 방향을 제2 방향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푸시-오픈 장치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프레임(210)에는 평판형의 메인 프레임 본체(211)가 포함될 수 있고, 메인 프레임 본체(211)에는 리브(212), 가이드 홈(213), 제1 탄성체 고정부(215) 및 결합부(216, 217)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리브(212)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2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물질이 메인 프레임 본체(211) 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데, 리브(212)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 본체(211)의 일면에는 제1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직선부(213a)와, 직선부(213a)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곡선 형상의 만곡부(213b)로 이루어진 J형상의 가이드 홈(21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만곡부(213b)는 양단부 사이를 원호 또는 타원호와 같이 꼭지점이 형성되지 않은 곡선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만곡부(213b)의 중간부분은 그 양단부에 비하여 직선부(213a)의 타단부로부터의 거리가 멀게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 본체(211)의 만곡부(213b)가 형성된 부분과 근접된 위치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압상돌기(21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는데, 압상돌기(214)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 본체(211)의 일측에는 제1 탄성체 고정부(215)가 형성될 수 있다. 압상돌기(214) 및 제1 탄성체 고정부(215)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결합부(216, 217)는 메인 프레임 본체(211)가 수납본체(11)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도시되지 않은 볼트나 리벳 등과 같은 체결수단이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곳으로, 체결수단의 종류에 따라 그 형상 및 수가 변경될 수 있다.
도 4에는 이동 프레임의 배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이동 프레임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프레임(230)에는 이동 프레임 본체(231)가 포함될 수 있고, 이동 프레임 본체(231)에는 리브(232), 견인돌기(233), 제2 탄성체 고정부(234), 제1 가이드 핀(236, 237), 슬라이딩 홈(238), 제1 걸림돌기(239a), 제2 걸림돌기(239b) 및 이동제한 턱(239c)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 프레임 본체(231)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리브(23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리브(232)는 이동 프레임(230)의 일면에 안착되는 푸시 슬라이드(250)의 작동 범위를 한정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는데, 리브(232)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동 프레임 본체(231)의 일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 핀(236, 237)이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가이드 핀(236, 237) 사이의 간격은 가이드 홈(213)의 직선부(213a)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된다.
한 쌍의 가이드 핀(236, 237)은 가이드 홈(213)에 삽입되어 가이드 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이동 프레임 본체(231)의 일면은 메인 프레임 본체(211)의 일면 상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이때, 한 쌍의 가이드 핀(236, 237) 사이의 간격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직선부(213a)보다 짧으므로, 한 쌍의 가이드 핀(236, 237)은 모두 직선부(213a)에 위치하거나, 둘 중 하나는 직선부(213a)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는 만곡부(213b)에 위치할 수 있다.
이동 프레임 본체(231) 중 제2 방향과 나란하면서 만곡부(213b)가 형성된 방향과 반대 방향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견인돌기(233)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이동 프레임 본체(231)의 일측에는 제1 탄성체 고정부(235)가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홈(238), 제1 걸림돌기(239a), 제2 걸림돌기(239b) 및 이동제한 턱(239c)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다시 설명한다.
도 5에는 도 3에 도시된 캠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캠(270)에는 캠 본체(271)가 포함될 수 있다. 캠 본체(271)에는 경사면(275)을 갖는 경사면체(274) 및 가이드 리브(276)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 리브(276)에는 그루브(277) 및 걸림홈(279)이 형성될 수 있다.
캠 본체(271)의 일측 가장자리는 이동 프레임 본체(231)의 타측에 제2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슬라이딩 홈(238)에는 가이드 리브(276)가 삽입되어 이동 프레임 본체(231) 및 캠 본체(271)의 상대적인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이때, 그루브(277) 및 가이드 리브(276)에는 슬라이딩 홈(238)에 형성된 제1 걸림돌기(239a) 및 제2 걸림돌기(239b)에 상응하는 형상의 걸림홈(279)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걸림돌기(239a) 및 제2 걸림돌기(239b)가 걸림홈(279)에 각각 삽입됨에 따라 이동 프레임 본체(231) 및 캠 본체(271)의 상대적인 슬라이딩 이동은 특정 위치에서 용이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제1 걸림돌기(239a)가 걸림홈(279)에 삽입된 상태를 캠(270)의 제1 위치라고 하고, 제2 걸림돌기(239b)가 걸림홈(279)에 삽입된 상태를 캠(270)의 제2 위치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한편, 이동제한 턱(278)은 캠(270)이 이동 프레임(230)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캠(270)이 제1 위치 내지 제2 위치의 범위에서만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캠 본체(271)의 타면에는 타측, 즉 가이드 리브(276)가 형성된 부분의 반대쪽 방향으로 갈수록 만곡부(213b) 또는 압상돌기(214)가 형성된 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275)을 갖는 경사면체(27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캠 본체(271)의 타면 중 경사면체(274)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경사면체(274)가 형성된 부분에 비하여 함몰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그 경사면(275)이 그 경계를 이룰 수 있다.
도 6에는 도 3에 도시된 푸시 슬라이드의 배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푸시 슬라이드(250)에는 푸시 슬라이드 본체(251)가 포함될 수 있으며, 푸시 슬라이드 본체(251)에는 암(252), 작동돌기(253), 제2 탄성체 고정부(254), 경사돌출부(235) 및 경사면(256)이 형성될 수 있다.
암(252)은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슬라이드 본체(251)의 타측에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암(252)의 단부에는 경사면(256)을 갖는 경사돌출부(25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경사돌출부(255)는 암(252)에 비하여 제3 방향을 기준으로 한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으며, 경사면(256)은 캠(270)에 형성된 경사면(275)과 상응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캠 본체(271)의 타면 중 경사면체(274)가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는 경사돌출부(255)의 일면이 안착될 수 있으며, 경사면체(274)의 경사면(275) 및 경사돌출부(255)의 경사면이 서로 면접촉 될 수 있다.
한편, 푸시 슬라이드 본체(251)의 일면 타측은 이동 프레임 본체(231)의 타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프레임 본체(231)에는 리브(232)가 제3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는데, 이러한 리브(232)에 의해 푸시 슬라이드 본체(251)는 이동 프레임 본체(231) 상에서 제2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만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푸시 슬라이드 본체(251)의 만곡부(213b) 또는 압상돌기(214)가 형성된 방향과 반대 방향의 가장자리에는 작동돌기(253)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푸시 슬라이드 본체(251)의 일측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탄성체 고정부(25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탄성체(291)의 일단부는 메인 프레임 본체(211)의 제1 탄성체 고정부(215)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부는 이동 프레임 본체(231)의 일측에 형성된 제1 탄성체 고정부(235)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탄성체(291)의 인장력에 의해 이동 프레임 본체(231)는 메인 프레임 본체(231)의 일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즉, 이동 프레임 본체(231)는 한 쌍의 가이드 핀(236, 237) 중 만곡부(213b)와 멀리 배치된 것이 직선부(213a)의 타단부에 위치되도록 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제2 탄성체(292)의 일단부는 이동 프레임 본체(231)에 형성된 제2 탄성체 결합부(234)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부는 푸시 슬라이드 본체(251)에 형성된 제2 탄성체 결합부(254)에 결합되어, 푸시 슬라이드 본체(251)는 제2 탄성체(292)의 인장력에 의해 이동 프레임 본체(231)의 타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도 7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오픈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오픈 장치(2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일단부가 이동레일(150)에 결합된 제1 브라켓(151)의 타단부는 캠(270) 및 푸시 슬라이드(250)의 작동돌기(253) 사이에 배치되고, 일단부가 이동레일(150)에 결합된 제2 브라켓(152)의 타단부는 서랍(도 1의 15)이 개방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 즉 제1 방향과 나란한 방향 중 X축의 방향으로 이격 배치 된다.
여기서, 도 7은 서랍(도 1의 15)이 수납본체(도 1의 11)로부터 인출되지 않아서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캠(270)은 이동 프레임(230)에 대하여 앞에서 정의한 제1 위치에 배치되는데, 캠(270)이 제1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캠(270)의 일부분이 메인 프레임(210) 보다 Y축 방향으로 더 돌출되며, 제1 브라켓(151)의 타단부가 제1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캠(270) 및 제1 브라켓(151)의 타단부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작동돌기(253) 또한 제1 브라켓(151)의 타단부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브라켓(151)의 타단부는 캠(270) 및 작동돌기(253)에 의해 지지되므로 수납장치(도 1의 10)가 기울어지거나 흔들림 및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서랍(15)이 쉽게 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8에는 도시되지 않은 사용자가 서랍(도 1의 15)을 가압하여 이동레일(150)이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제1 방향과 나란한 방향 중 X축 방향으로 이동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돌기(253)가 제1 브라켓(151)의 타단부에 의해 가압되어 푸시 슬라이드(250)가 이동 프레임(230)의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이에 따라 제2 탄성체(292)가 신장되면서 이동 프레임이(230) 및 푸시 슬라이드(250) 사이에는 인장력이 작용된다.
이때, 푸시 슬라이드(250)가 이동됨에 따라 경사돌출부(255)의 경사면(256)은 경사면체(274)의 경사면(275)을 가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캠(270)은 이동 프레임(230)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하여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를 향하여 이동된다.
이후, 사용자가 서랍(도 1의 15)을 더욱 가압하여 도 9에 도시된 장면과 같이 이동레일(150)을 더 이동되도록 하면, 캠(270)은 제2 위치로 이동되어 메인 프레임(210)보다 돌출되는 거리가 작아지므로, 제1 브라켓(151)의 타단부와 접촉되지 않게 된다.
이를 위해서는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캠(270)이 제1 위치 및 제2 위치에 있을 때의 이동레일(150)의 가장자리와의 간격을 각각 C1 및 C2라 하고, 이동레일(150)의 가장자리와 제1 브라켓(151)의 하단부 사이의 간격을 B1이라 하면, C2가 가장 길고, C1이 가장 짧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이때, 제2 탄성체(292)는 최대로 신장되어, 이동 프레임(230) 및 푸시 슬라이드(250) 사이에는 장력이 작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서랍(도 1의 15)에 가하던 힘을 해제하면 푸시 슬라이드(250)는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여기서, 캠(270)이 제2 위치에 있는 상태이므로, 제1 브라켓(151)의 타단부는 작동돌기(253)를 통하여 전달되는 제2 탄성체(292)의 인장력에 의해 캠(270)의 위치를 지나쳐서 서랍이 개방되는 제1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서랍(15)을 가압했다 해제하는 동작으로 서랍(15)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서랍(15)에 가하던 힘을 해제하면 제2 탄성체(292)의 수축력을 작동돌기(253)에 의해 전달받은 이동레일(150)은 서랍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될 수 있는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브라켓(152)의 타단부가 견인돌기에 접촉되는 범위 내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2 탄성체(292)의 장력이 매우 강하거나, 제1 브라켓(151) 및 제2 브라켓(152) 사이의 거리(D)가 매우 가깝거나, 이동레일(150)이 작은 힘에도 매우 용이하게 슬라이딩 이동되는 경우에는, 제2 브라켓(152)의 타단부가 견인돌기(233)와 강하게 충돌될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소음이나 충격이 발생되어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제2 브라켓(152) 및 견인돌기(233)가 접촉되는 부위에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 또는 고무와 같은 완충수단이 개재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참고로, 사용자의 가압 및 해제에 의해 서랍(15)이 열리는 길이는 제1 브라켓(151) 및 제2 브라켓(152) 사이의 거리(D)를 변경함으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1에는 부분적으로 개방된 서랍(15)을 완전히 개방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서랍(15)을 인출하는 장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동레일(150) 및 제2 브라켓(152)을 통하여 전달되는 사용자의 인출력은 제2 브라켓(152)을 통하여 이에 접촉되고 있는 견인돌기(233)로 전달되어, 메인 프레임(210)에 대하여 이동 프레임(230)을 슬라이딩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이동 프레임(230)은 한 쌍의 가이드 핀(236, 237)에 의해 가이드 되므로, 한 쌍의 가이드 핀(236, 237) 중 만곡부(213b)에 가깝게 배치된 가이드 핀(236)이 만곡부(213b)로 가이드 될 때까지 이동된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된 캠(270)은 제2 걸림돌기(도 4의 239b)가 걸림홈(도 5의 279)에 삽입되어, 캠(270)이 제2 위치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2에는 가이드 핀(236)이 만곡부(213b)에 위치하게 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핀(236)이 만곡부(213b)에 위치된 상태를 경사위치라고 하고, 한 쌍의 가이드 핀(236, 237)이 모두 직선부(213a)에 위치된 상태를 수평위치라고 정의하기로 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견인돌기(233)가 제2 브라켓(152)의 타단부에 의해 견인되어 가이드 핀(236)이 만곡부(213b)에 위치된 경사위치에 이를 경우, 메인 프레임(210)으로부터 견인돌기(233)가 돌출된 높이가 낮아져서 제2 브라켓(152)의 타단부와 접촉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레일(150)은 서랍(15)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으므로, 서랍(15)은 완전히 개방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만곡부(213b)의 중간부분은 그 양단부에 비하여 직선부(213a)의 타단부로부터의 거리가 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만곡부(213b)의 타단부에 위치한 가이드 핀(236)이 다시 직선부(213a)로 이동되기 위해서는 가이드 핀(236)이 서랍이 열리는 방향, 즉 제1 탄성체(291)가 더 신장되어야 하는 방향으로 이동된 후에 직선부(213a)에 이를 수 있으므로, 가이드 핀(236)이 만곡부(213b)에 위치한 후에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자동으로 수평위치로 복귀되지 않고 경사위치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동 프레임(230)이 수평위치로부터 경사위치로 변경되는 도중에는 제2 위치에 있던 캠(270)이 압상돌기(214)에 의해 가압되어 제1 위치로 복귀되며, 앞에서 설명했던 제1 걸림돌기(239a)가 걸림홈(279)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압상돌기(214)는 이동 프레임(230)이 수평위치로부터 경사위치로 변경될 때 캠(270)을 가압할 수 있는 위치 및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그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3은 수평위치 및 경사위치일 때의 견인돌기(233), 작동돌기(253), 제1 브라켓(151)의 타단부 및 제2 브라켓(152)의 타단부의 위치관계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이동 프레임(230)이 점선으로 표시한 수평위치에 있을 때 견인돌기(233)는 메인 프레임(210)으로부터 제2 브라켓(152)의 타단부에 접촉될 수 있도록 제2 방향으로 돌출된다. 예를 들어, 이동레일(150)을 기준으로 할 경우, 이동레일(150)의 가장자리로부터 제2 브라켓(152)의 타단부까지의 간격(B2)은, 이동레일(150)의 가장자리로부터 견인돌기(233)의 단부까지의 간격(F1)보다 길다.
반면, 이동 프레임(230)이 경사위치에 있을 때에는 견인돌기(233)가 메인 프레임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돌출되는 거리가 감소되어 제2 브라켓(152)의 하단부에 접촉되지 않는다. 즉, 이동레일(150)을 기준으로 할 경우, 이동레일(150)의 가장자리로부터 제2 브라켓(152)의 타단부까지의 간격(B2)은, 이동 프레임(230)이 경사위치에 있을 때 이동레일(150)의 가장자리로부터 견인돌기(233)의 단부까지의 간격(F2)보다 짧다.
따라서 제2 브라켓(152)의 타단부는, 이동 프레임(230)이 수평위치에 있을 때에는 견인돌기(233)와 접촉될 수 있으나, 이동 프레임(230)이 경사위치에 있을 때에는 견인돌기(233)와 접촉되지 않는다.
이동 프레임(230)이 수평위치에 있을 때 작동돌기(253)가 메인 프레임(210)보다 제2 방향으로 돌출되는 거리는 견인돌기(233)가 돌출되는 거리보다 짧다. 따라서, 견인돌기(233)는 수평위치 및 경사위치에 있을 때 제2 브라켓(152)의 타단부와 접촉되지 않는다.
작동돌기(253)는 이동 프레임(230)이 수평위치 및 경사위치에 있을 때 제1 브라켓(151)의 타단부와 접촉될 수 있도록 메인 프레임(210)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돌출된다.
즉, 이동레일(150)을 기준으로 할 경우, 이동 프레임(230)이 수평위치일 때 이동레일(150)의 가장자리로부터 작동돌기(253)의 단부까지의 간격(P1)은 이동레일(150)의 가장자리로부터 제1 브라켓(151)의 타단부까지의 간격(B1)보다 짧다. 또한, 이동 프레임(230)이 경사위치일 때 이동레일(150)의 가장자리로부터 작동돌기(253)의 단부까지의 간격(P2) 또한 이동레일(150)의 가장자리로부터 제1 브라켓(151)의 타단부까지의 간격(B1)보다 짧다.
따라서, 제1 브라켓(151)의 타단부는 이동 프레임(230)이 수평위치 및 경사위치일 때 모두 작동돌기(253)에 접촉될 수 있다.
참고로, 이동 프레임(230)이 경사위치일 때 캠(270)이 메인 프레임(210)으로부터 제2 방향으로 돌출되는 거리는 제1 브라켓(151)과 접촉되지 않는 정도이다. 즉, 이동레일(150)을 기준으로 하면, 이동 프레임(230)이 경사위치일 때 캠(270) 및 이동레일(150)의 가장자리 사이의 간격(C3)은 이동레일(150)의 가장자리와 제1 브라켓(151)의 타단부 사이의 간격(B1)보다 짧다.
따라서, 개방되었던 서랍(15)이 다시 폐쇄될 때에는, 이동레일(150)의 술라이딩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제1 브라켓(151)의 타단부 및 제2 브라켓(152)의 타단부 중 제1 브라켓(151)의 타단부만이 작동돌기(253)에 접촉 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4 및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에는 서랍(15)이 폐쇄되는 과정에서 제1 브라켓(151)의 타단부가 이동 프레임(230)이 경사위치에 있을 때의 작동돌기(253)에 접촉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작동돌기(253)는 제1 브라켓(151)의 타단부에 의해 가압되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프레임(230)이 수평위치로 복귀되도록 한다.
이때, 제1 브라켓(151)은 만곡부(213b)에 위치하던 가이드 핀(236)이 만곡부(213b)를 벗어나 직선부(213a)로 이동될 수 있을 정도로 가압될 수 있어야 한다. 다만, 만곡부(213b)가 완만한 형상의 곡선을 이룰수록 이동 프레임(230)이 경사위치로부터 수평위치로 변경되도록 제1 브라켓(151)이 작동돌기(253)에 가압하는 데에 소요되는 힘의 크기가 감소된다.
다만, 이러한 힘의 크기가 지나치게 작아지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작은 충격에 의해서도 이동 프레임(230)이 수평위치로 복귀될 수도 있으므로, 만곡부(213b)는 적절한 곡률을 갖도록 해야 한다.
제1 브라켓(151)의 타단부에 의해 작동돌기(253)가 가압되어 이동 프레임(230)이 경사위치에서 수평위치로 복귀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브라켓(151)의 타단부는 캠(270) 및 작동돌기(253)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이동 프레임(230)은, 신장된 제1 탄성체(291)가 수축되는 인장력에 의해 만곡부(213b)로부터 먼 위치에 형성된 가이드 핀(237)이 직선부(213a)의 타단부에 도달될 때까지 메인 프레임(210)의 타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제1 브라켓(151)의 타단부는 캠(270)에 의해 가압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15)이 폐쇄되는 위치까지 이동된다.
즉, 사용자가 서랍(15)을 폐쇄하고자 할 경우, 이동 프레임(230)이 경사위치에서 수평위치로 복귀될 때까지 서랍(15)을 가압하면 그 이후에는 제1 탄성체(291)의 탄성에 의해 자동으로 서랍(15)이 폐쇄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15)이 폐쇄된 상태일 때 제1 브라켓(151)은 캠(270) 및 작동돌기(253) 사이에 배치되고, 이동 프레임(230)은 제1 탄성체(291)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있으므로, 수납장치(10)가 다소 경사진 곳에 배치되거나 수납장치(10)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서랍(15)이 개방되지 않을 수 있다.
참고로, 도 12 내지 도 15는 편의상 제2 탄성체(292)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오픈 장치(200)를 구비한 서랍용 슬라이드 구조체는, 서랍(15)을 개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서랍(15)을 가압하면 서랍(15)이 자동으로 일부분 개방되고, 서랍(15)을 폐쇄하고자 할 경우에는 서랍(15)을 가압하며 일정한 위치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폐쇄되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서랍(15)이 충격이나 경사 등의 원인으로 열리는 것을 방지하여 수납물이 보호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푸시-오픈 장치(200)는 수납본체(11)에 결합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수납장치(10)의 구조에 따라 서랍(15)에 푸시-오픈 장치(200)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 단, 이 경우에는 푸시-오픈 장치(200)의 방향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반대로 설치되어야 하며, 제1 브라켓 및 제2 브라켓이 고정레일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시-오픈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서랍용 슬라이드 구조체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수납장치 11: 수납본체
15: 서랍 100: 슬라이드
110: 고정레일 130: 중간레일
150: 이동레일 151: 제1 브라켓
152: 제2 브라켓 200: 푸시-오픈 장치
210: 메인 프레임 211: 메인 프레임 본체
213: 가이드 홈 213a: 직선부
213b: 만곡부 214: 압상돌기
230: 이동 프레임 231: 이동 프레임 본체
233: 견인돌기 236, 237: 가이드 핀
238: 슬라이딩 홈 239a: 제1 걸림돌기
239b: 제2 걸림돌기 239c: 이동제한 턱
250: 푸시 슬라이드 251: 푸시 슬라이드 본체
252: 암 253: 작동돌기
255: 경사돌출부 270: 캠
271: 캠 본체 274: 경사면체
276: 가이드 리브 279: 걸림홈
291: 제1 탄성체 292: 제2 탄성체

Claims (7)

  1. 수납본체에 고정된 고정레일과, 상기 고정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레일과, 상기 이동레일에 고정된 서랍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본체에 상기 서랍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도록 결합시키는 서랍용 슬라이드 구조체에 구비된 푸시-오픈 장치로서,
    상기 수납본체에 고정된 평판형의 메인 프레임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프레임 본체의 일면에는 상기 서랍이 개폐되는 방향인 제1 방향과 나란한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의 일단부로부터 연장된 곡선 형상의 만곡부로 이루어진 J형상의 가이드 홈 및 상기 만곡부에 근접된 위치에 돌출된 압상돌기가 각각 형성된 메인 프레임;
    상기 메인 프레임 본체와 나란하면서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방향인 제2 방향과 나란한 방향 중 상기 만곡부가 형성된 방향과 반대 방향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 본체보다 더 돌출된 견인돌기가 형성되고, 일면에는 상기 직선부의 길이보다 짧은 간격을 갖는 한 쌍의 가이드 핀이 각각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핀이 상기 가이드 홈에 각각 삽입되어 가이드 될 수 있도록 상기 일면이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면에 안착된 이동 프레임;
    일단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핀 중 상기 만곡부와 멀리 배치된 것이 상기 직선부의 타단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측 방향으로 상기 이동 프레임을 탄성 지지하는 제1 탄성체;
    일면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일면에 안착되고, 타면에는 타측 가장자리로 갈수록 상기 만곡부가 형성된 방향을 향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갖는 경사면체가 돌출 형성되며, 일측 가장자리가 상기 이동 프레임의 타측에 상기 제2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캠;
    일면의 일측은 상기 이동 프레임의 타면에 안착되고, 일면의 타측에는 상기 캠의 경사면의 일부분에 상응되는 경사면을 갖는 경사돌출부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경사돌출부의 경사면 및 상기 경사면체의 경사면이 서로 면접촉 되도록 상기 캠의 타면에 안착되며, 상기 만곡부가 형성된 방향과 반대 방향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메인 프레임 본체보다는 더 돌출되고 상기 견인돌기보다는 덜 돌출되도록 작동돌기가 형성된 푸시 슬라이드;
    일단부는 상기 이동 프레임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푸시 슬라이드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푸시 슬라이드를 상기 이동 프레임의 타측 방향으로 탄성 지지하는 제2 탄성체;
    일단부는 상기 이동레일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서랍이 폐쇄된 상태일 때 상기 캠 및 상기 작동돌기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브라켓; 및
    일단부는 상기 이동레일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서랍이 폐쇄된 상태일 때에는 상기 견인돌기보다 상기 서랍이 닫히는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며, 상기 서랍이 개방되는 과정에서 상기 견인돌기에 접하도록 배치된 제2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캠은 상기 서랍이 폐쇄된 상태일 때에는 그 일부가 상기 제1 브라켓에 접하도록 상기 메인 프레임 본체 보다 돌출되는 제1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작동돌기가 상기 제1 브라켓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푸시 슬라이드가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일측으로 이동되면 상기 경사돌출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캠이 상기 제2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캠의 일부가 상기 제1 브라켓에 접촉되지 않는 제2 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견인돌기가 상기 제2 브라켓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서랍이 개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핀 중 상기 만곡부와 가까이 배치된 것이 상기 만곡부로 가이드 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 프레임이 수평위치로부터 경사위치로 변경되고,
    상기 서랍이 개방된 상태일 때에는 상기 만곡부의 단부에 위치한 상기 가이드 핀에 의해 상기 제1 탄성체의 인장력이 지지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이 상기 경사위치를 유지하며,
    상기 이동 프레임이 상기 수평위치로부터 상기 경사위치로 변경되는 도중에는 상기 캠이 상기 압상돌기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제2 위치로부터 상기 제1 위치로 변경되고,
    상기 이동 프레임이 상기 경사위치를 유지할 때 상기 서랍이 폐쇄되는 경우에는 상기 견인돌기가 상기 제2 브라켓과 접촉되지 않으며 상기 작동돌기는 상기 제1 브라켓에 접촉 및 가압되어 상기 이동 프레임이 수평위치로 복귀되는 푸시-오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부의 중간부분은 그 양단부 보다 직선부의 타단부로부터의 거리가 멀게 형성된 푸시-오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일측 또는 상기 캠의 타측에는 가이드 리브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캠의 타측 또는 상기 이동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가이드 리브와 대응되는 슬라이딩 홈이 형성된 푸시-오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홈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리브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대응되는 걸림홈이 형성된 푸시-오픈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리브에는 상기 캠이 상기 이동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되는 범위를 제한하는 이동제한 턱이 돌출 형성된 푸시-오픈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브라켓 또는 상기 견인돌기가 접촉되는 부분에는 완충수단이 개재되는 푸시-오픈 장치.
  7. 수용공간이 형성된 수납본체에 서랍을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되도록 결합시키는 슬라이드 구조체로서,
    상기 수납본체에 고정된 고정레일;
    상기 고정레일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서랍에 고정된 이동레일;
    상기 제1항 내지 상기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푸시-오픈 장치;를 포함하는, 푸시-오픈 장치를 구비한 술라이드 구조체.
KR1020120019711A 2012-02-27 2012-02-27 푸시-오픈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서랍용 슬라이드 구조체 KR101288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711A KR101288892B1 (ko) 2012-02-27 2012-02-27 푸시-오픈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서랍용 슬라이드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9711A KR101288892B1 (ko) 2012-02-27 2012-02-27 푸시-오픈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서랍용 슬라이드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8892B1 true KR101288892B1 (ko) 2013-07-23

Family

ID=48997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9711A KR101288892B1 (ko) 2012-02-27 2012-02-27 푸시-오픈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서랍용 슬라이드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889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496B1 (ko) * 2001-04-23 2006-07-1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간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0483362Y1 (ko) * 2016-05-10 2017-05-24 유상현 가구용 미닫이 도어의 댐핑장치
KR101754368B1 (ko) * 2016-04-12 2017-07-07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서랍가이드 어셈블리
KR20200077954A (ko) * 2018-12-21 2020-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142314A (ko) 2020-05-18 2021-11-25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소화유닛이 구비된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소화시스템
WO2023008843A1 (ko) * 2021-07-29 2023-02-02 (주)세고스 선반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8795A (ko) * 2009-03-30 2010-10-08 (주)삼우 자동담힘기능이 구비된 서랍
KR20110069746A (ko) * 2008-09-12 2011-06-23 아르뜨로 살리스 에스.피.에이. 가구부재 서랍용 또는 가동부용 자동폐쇄장치
US20110210653A1 (en) 2008-12-12 2011-09-01 Arturo Salice S.P.A.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movable part of a furniture unit
KR20120002183A (ko) * 2010-06-30 2012-01-05 (주)삼우 도어 또는 서랍의 개폐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9746A (ko) * 2008-09-12 2011-06-23 아르뜨로 살리스 에스.피.에이. 가구부재 서랍용 또는 가동부용 자동폐쇄장치
US20110210653A1 (en) 2008-12-12 2011-09-01 Arturo Salice S.P.A.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a movable part of a furniture unit
KR20100108795A (ko) * 2009-03-30 2010-10-08 (주)삼우 자동담힘기능이 구비된 서랍
KR20120002183A (ko) * 2010-06-30 2012-01-05 (주)삼우 도어 또는 서랍의 개폐조절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9496B1 (ko) * 2001-04-23 2006-07-12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간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54368B1 (ko) * 2016-04-12 2017-07-07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서랍가이드 어셈블리
CN107289709A (zh) * 2016-04-12 2017-10-24 东部大宇电子株式会社 冰箱及其抽屉组件
KR200483362Y1 (ko) * 2016-05-10 2017-05-24 유상현 가구용 미닫이 도어의 댐핑장치
KR20200077954A (ko) * 2018-12-21 2020-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614492B1 (ko) 2018-12-21 2023-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142314A (ko) 2020-05-18 2021-11-25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소화유닛이 구비된 에너지저장장치(ess)용 랙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소화시스템
WO2023008843A1 (ko) * 2021-07-29 2023-02-02 (주)세고스 선반 조립체
KR20230018201A (ko) * 2021-07-29 2023-02-07 (주)세고스 선반 조립체
KR102506339B1 (ko) 2021-07-29 2023-03-06 (주)세고스 선반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8892B1 (ko) 푸시-오픈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서랍용 슬라이드 구조체
JP4644257B2 (ja) スライド用自動閉鎖装置及び該装置が取り付けられたスライド
US8256853B2 (en) Opening device for a slide assembly
US6824233B2 (en) Track device for drawers
KR20050062502A (ko) 슬라이드용 자동폐쇄장치
US9939160B2 (en) Oven
US11337520B2 (en) Sliding device for drawer
KR20130117903A (ko) 서랍용 개폐보조장치
US20120223630A1 (en) Drawer Assembly that is Locked Automatically when it is Closed
KR101810445B1 (ko) 푸쉬 오픈 슬라이드 장치
JP3180645U (ja) 両方向引出しスライドレール及びそれを用いる引出し構造体
US7588299B2 (en) Rail assembly for drawers
JP3173758U (ja) 停止を緩衝可能な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
JP6945021B2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及びそのスライドレールキット
JP5912063B2 (ja) 引出しキャビネット
KR101454918B1 (ko) 서랍의 레일장치
KR100798453B1 (ko) 가구용 오토클로져
US20090102339A1 (en) Slide rail locking device
KR101666904B1 (ko) 조리기기
JP6147994B2 (ja) 引出しキャビネット
EP3995048A1 (en) Slide device
KR102160751B1 (ko) 수납기구용 슬라이더
US20190166995A1 (en) Movement mechanism for a guidance system
JP3914444B2 (ja) スライドレール
JP6535074B2 (ja) リトラクティング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