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6339B1 - 선반 조립체 - Google Patents
선반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06339B1 KR102506339B1 KR1020210100095A KR20210100095A KR102506339B1 KR 102506339 B1 KR102506339 B1 KR 102506339B1 KR 1020210100095 A KR1020210100095 A KR 1020210100095A KR 20210100095 A KR20210100095 A KR 20210100095A KR 102506339 B1 KR102506339 B1 KR 1025063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y
- moving pin
- push
- shelf assembly
- dispos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2—Geometry probl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냉장고 저장실의 양 측벽에 대향 배치되며,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부 가이드 및 하부 가이드를 구비하는 한 쌍의 브래킷, 상기 브래킷 사이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가이드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리어 트레이, 상기 브래킷 사이의 전방에 배치되며, 푸쉬 동작에 의해 상기 하부 가이드를 따라 상기 리어 트레이의 하부로 인입하는 프론트 트레이 및 상기 프론트 트레이의 인입 후 상기 리어 트레이가 푸쉬되면, 상기 리어 트레이가 자동 인출되도록 마련되는 푸쉬오픈장치를 포함하는, 선반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선반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 내부의 저장실에 제공되며, 프론트 트레이와 리어 트레이의 개선된 이동 구조에 의해 상기 저장실의 뒤쪽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키는 선반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일반적으로 내부 온도가 실내 온도보다 낮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음식물이 냉장 또는 냉동 상태로 장시간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제품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에는 저장물이 저장되는 저장실이 형성된다. 상기 저장실에는 냉동실 및 냉장실이 포함되며, 저장실의 내부에는 여러가지 냉장 보관을 필요로 하는 식품을 보관하게 된다.
한편, 저장실 내에는 복수의 저장물을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저장실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복수의 선반이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선반은 상부에 식품이 수납된 상태에서 냉장고 본체의 내부에 고정된다.
근래 냉장고에 적용되는 이러한 선반 중에는 선반들 사이의 간격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저장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선반 조립체가 존재한다. 즉, 이러한 선반 조립체는 복수의 선반 중 최하단 선반을 제외하고는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저장물을 저장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선반의 일부를 저장실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인입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 경우 저장실의 상단 후방에 배치된 선반은 사용자의 접근성이 떨어져 활용도가 낮아지게 된다. 특히, 저장실의 상단 후방에 배치된 선반에서 저장물을 꺼내거나 수납하는 경우, 사용자가 후방까지 손을 집어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후방에 배치된 선반에 무리한 힘을 가하여 인출하는 경우 선반이 레일로부터 탈거되는 문제점도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고 내부의 저장실에 제공되며, 프론트 트레이와 리어 트레이의 개선된 이동 구조에 의해 상기 저장실의 뒤쪽 공간 활용도를 향상시키는 선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냉장고 저장실의 양 측벽에 대향 배치되며,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부 가이드 및 하부 가이드를 구비하는 한 쌍의 브래킷, 상기 브래킷 사이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가이드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리어 트레이, 상기 브래킷 사이의 전방에 배치되며, 푸쉬 동작에 의해 상기 하부 가이드를 따라 상기 리어 트레이의 하부로 인입하는 프론트 트레이 및 상기 프론트 트레이의 인입 후 상기 리어 트레이가 푸쉬되면, 상기 리어 트레이가 자동 인출되도록 마련되는 푸쉬오픈장치를 포함하는, 선반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어 트레이는, 양 측면에 상기 상부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조립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이드는, 전방 삽입부, 상기 전방 삽입부로부터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부, 상기 제1 경사부와 연결되는 제1 직선부, 상기 제1 직선부로부터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부 및 상기 제2 경사부와 연결되는 제2 직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경사부와 상기 제1 직선부는 상기 프론트 트레이의 전단부를 가이드하고, 상기 제2 경사부와 상기 제2 직선부는 상기 프론트 트레이의 후단부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조립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트레이는, 양측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부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가이드는, 상기 제1 직선부와 상기 제2 경사부 사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프론트 트레이의 인입 전 상기 하부 돌기를 지지하고, 인입 시 상기 하부 돌기를 후방으로 안내하는 지지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조립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리어 트레이의 후방 위치에서 상기 한 쌍의 브래킷 사이에 고정 배치되며, 상기 프론트 트레이가 완전히 인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리어 트레이의 푸쉬를 막아 의도치 않은 푸쉬오픈기능의 작동을 방지하고, 상기 프론트 트레이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리어 트레이의 푸쉬를 허용하여 푸쉬오픈기능을 작동하게 하는 잠금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조립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리어 트레이의 후방 위치에서 상기 한 쌍의 브래킷 사이에 고정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프론트 트레이의 인입에 따라 푸쉬되어 수평 이동하는 제1 이동핀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이동핀의 진입에 따라 상호작용하여 수직 이동하는 제2 이동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동핀에는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수직 이동 전 상기 리어 트레이의 푸쉬를 막아 푸쉬오픈 기능의 작동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조립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핀에는 상기 제2 이동핀과 상호작용하는 부위에 제1 빗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이동핀에는 상기 제1 이동핀 진입 시 상기 제1 빗면과 맞물려 상기 제2 이동핀의 수직 이동을 유도하는 제2 빗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조립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프론트 트레이가 리어 트레이의 하부로 인입되는 구조인 바 저장실의 공간을 폭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트레이가 리어 트레이의 하부로 인입되면, 리어 트레이가 푸쉬오픈기능에 의해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어 저장실의 상단 후방 공간에 대한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잠금 장치가 구비되어, 리어 트레이에 대한 푸쉬를 막아 의도치 않은 푸쉬오픈기능의 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 조립체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 조립체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의 내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트레이의 인입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트레이의 인입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 트레이의 인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 트레이의 인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반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도 9의 B-B'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 조립체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의 내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트레이의 인입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트레이의 인입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 트레이의 인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 트레이의 인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반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도 9의 B-B'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 조립체를 상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 조립체를 하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래킷의 내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트레이의 인입 상태에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론트 트레이의 인입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 트레이의 인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어 트레이의 인출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냉장고 등의 저장실 내에는 복수의 저장물을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저장실 내부 공간을 상하로 구획하는 복수의 선반 조립체(1000)가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선반 조립체(1000)는 상부에 저장물이 수납된 상태에서 저장실 측벽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선반 조립체(1000)는 특히, 저장실의 상단부 후방 공간의 활용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저장실의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선반 조립체(1000)는 한 쌍의 브래킷(100), 프론트 트레이(200), 리어 트레이(300) 및 푸쉬오픈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선반 조립체(1000)는 프론트 트레이(200)와 리어 트레이(300)가 서로 분리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선반 조립체(1000)는 냉장고 저장실의 양 측벽에 대향 배치되며,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부 가이드(111) 및 하부 가이드(121)를 구비하는 한 쌍의 브래킷(100), 상기 브래킷(100) 사이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가이드(111)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리어 트레이(300), 상기 브래킷(100) 사이의 전방에 배치되며, 푸쉬 동작에 의해 상기 하부 가이드(121)를 따라 상기 리어 트레이(300)의 하부로 인입하는 프론트 트레이(200) 및 상기 프론트 트레이(200)의 인입 후 상기 리어 트레이(300)가 푸쉬되면, 상기 리어 트레이(300)가 자동 인출되도록 마련되는 푸쉬오픈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 쌍의 브래킷(100)은 냉장고 저장실의 내부 양 측벽에 서로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연결봉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브래킷(100)은 저장실의 내부 양 측벽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어 선반 조립체(1000) 전체를 저장실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브래킷(100)은 상부 브래킷(110) 및 상기 상부 브래킷(110)과 조립되는 하부 브래킷(12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브래킷(100)은 상부 브래킷(110)과 하부 브래킷(120)의 조립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브래킷(100)은 상부 브래킷(110)과 하부 브래킷(120)이 일체로 형성된 하나의 부재일 수 있다.
상부 브래킷(110)은 내측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리어 트레이(3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부 가이드(111)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부 가이드(111)는 후술하는 리어 트레이(300)의 롤러(310)가 구를 수 있도록 직선 홈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부 브래킷(110)의 후방 내측면에는 리어 트레이(300)와 상호작용하는 푸쉬오픈장치(400)가 설치될 수 있다.
하부 브래킷(120)은 내측면에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프론트 트레이(2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하부 가이드(121)를 구비할 수 있다. 프론트 트레이(200)는 사용자의 푸쉬 동작에 의해 하부 가이드(121)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며, 리어 트레이(300)의 하부까지 인입될 수 있다.
한편, 하부 가이드(121)는 프론트 트레이(200)의 전단부가 삽입되는 전방 삽입부(121a), 전방 삽입부로부터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부(121b), 제1 경사부(121b)와 연결되는 제1 직선부(121c), 제1 직선부(121c)로부터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부(121d) 및 제2 경사부(121d)와 연결되는 제2 직선부(121e)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경사부(121b)와 제1 직선부(121c)는 프론트 트레이(200)의 전단부를 가이드하고, 제2 경사부(121d)와 제2 직선부(121e)는 프론트 트레이(200)의 후단부를 가이드하게 된다.
프론트 트레이(200)는 브래킷(100) 사이의 전방에 배치되며, 푸쉬 동작에 의해 브래킷(100)의 하부 가이드(121)를 따라 리어 트레이(300)의 하부로 인입하도록 구성된다.
프론트 트레이(200)는 사용자의 푸쉬 동작이 없을 때에는 리어 트레이(300)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가 사용자의 푸쉬 동작에 의해 하부 가이드(121)를 따라 리어 트레이(300)의 하부로 인입된다. 즉, 높이가 높은 저장물을 저장할 필요가 있거나, 리어 트레이(300)에 저장된 저장물을 꺼낼 필요가 있는 경우, 사용자는 프론트 트레이(200)를 리어 트레이(300)의 하부로 인입시켜 전방 측 개방된 공간을 활용할 수 있다.
한편, 프론트 트레이(200)는 양측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부 돌기(210)를 구비할 수 있고, 하부 가이드(121)는 제1 직선부(121c)와 제2 경사부(121d) 사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 돌기(121f)를 구비할 수 있다. 하부 가이드(121)의 지지 돌기(121f)는 프론트 트레이(200)의 인입 전 프론트 트레이(200)의 하부 돌기(210)를 지지하여 프론트 트레이(200)의 수평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하부 가이드(121)의 지지 돌기(121f)는 프론트 트레이(200)의 인입 시 프론트 트레이(200)의 하부 돌기(210)를 제2 경사부(121d)를 통해 후방으로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리어 트레이(300)는 브래킷(100) 사이의 후방에 배치되며, 브래킷(100)의 상부 가이드(111)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리어 트레이(300)는 인출 전 프론트 트레이(200)와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하고 있다가 프론트 트레이(200)가 리어 트레이(300)의 하측으로 인입되면, 상부 가이드(111)를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리어 트레이(300)는 푸쉬오픈장치(400)와 상호작용하여 사용자의 푸쉬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리어 트레이(300)는 양 측면에 상부 가이드(111)를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310)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리어 트레이(300)는 롤러(310)의 구름 동작을 통해 보다 원활하게 인출 및 인입될 수 있다.
한편, 푸쉬오픈장치(400)는 브래킷(100)의 내측면에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푸쉬오픈장치(400)는 리어 트레이(300)에 마련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푸쉬오픈장치(400)는 브래킷(100)의 내측면에 마련되어 리어 트레이(300)와 상호작용하며, 사용자에 의한 푸쉬 동작이 없는 상태에서는 리어 트레이(300)의 잠금상태를 유지시킨다. 또한, 푸쉬오픈장치(400)는 사용자의 푸쉬 동작에 의해 리어 트레이(300)가 푸쉬되면, 리어 트레이(300)의 잠금이 해제되면서 리어 트레이(300)를 인출시키게 된다. 이때, 푸쉬오픈장치(400)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의 장력을 이용하여 푸쉬오픈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장치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반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11의 (a) 내지 (d)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잠금 장치의 작동 과정을 나타내는 도 9의 B-B'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선반 조립체(1000)는 잠금 장치(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잠금 장치(500)는 리어 트레이(300)의 후방 위치에서 한 쌍의 브래킷(100) 사이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잠금 장치(500)는 프론트 트레이(200)가 완전히 인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리어 트레이(300)의 푸쉬를 막아 의도치 않은 푸쉬오픈기능의 작동을 방지하고, 프론트 트레이(200)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리어 트레이(300)의 푸쉬를 허용하여 푸쉬오픈기능이 작동하게 한다.
한편, 잠금 장치(500)는 하우징(510), 제1 이동핀(520) 및 제2 이동핀(53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잠금 장치(500)는 리어 트레이(300)의 후방 위치에서 한 쌍의 브래킷(100) 사이에 고정 배치되는 하우징(510), 하우징(510) 내에 배치되며, 프론트 트레이(200)의 인입에 따라 푸쉬되어 수평 이동하는 제1 이동핀(520) 및 하우징(510) 내에 배치되며, 제1 이동핀(520)의 진입에 따라 상호작용하여 수직 이동하는 제2 이동핀(5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제2 이동핀(530)에는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수직 이동 전 리어 트레이(300)의 푸쉬를 막아 푸쉬오픈기능의 작동을 방지하는 스토퍼(53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프론트 트레이(200)가 완전히 인입되지 않으면 제2 이동핀(530)의 스토퍼(533)에 의해 리어 트레이(300)에 대한 푸쉬가 방지되며, 이에 따라 푸쉬오픈기능이 작동할 수 없게 된다.
프론트 트레이(200)가 완전히 인입되면 프론트 트레이(200)가 제1 이동핀(520)을 밀어 넣어 제1 이동핀(520)이 수평 이동하게 되고, 제1 이동핀(520)과 상호작용하는 제2 이동핀(530)이 상방으로 수직 이동하게 된다. 이때, 리어 트레이(300)에 대한 푸쉬를 방지하고 있던 제2 이동핀(530)의 스토퍼(533)도 상방으로 수직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리어 트레이(300)에 대한 푸쉬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1 이동핀(520)에는 제2 이동핀(530)과 상호작용하는 부위에 제1 빗면(522)이 형성되고, 제2 이동핀(530)에는 제1 이동핀(520) 진입 시 제1 빗면(522)과 맞물려 제2 이동핀(530)의 수직 이동을 유도하는 제2 빗면(53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러한 빗변 구조를 통해 수평 이동하는 제1 이동핀(520)과 수직 이동하는 제2 이동핀(530)의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이동핀(520)의 일측에는 하우징(510)의 수평 장공(511) 내에서 가이드 되는 제1 가이드돌기(521)가 형성되고, 제2 이동핀(530)의 일측에는 하우징(510)의 수직 장공(512) 내에서 가이드 되는 제2 가이드돌기(53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이러한 가이드 구조를 통해 제1 이동핀(520)의 수평 이동과 제2 이동핀(530)의 수직 이동이 이탈없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의 선반 조립체(1000)에 따르면, 프론트 트레이(200)가 리어 트레이(300)의 하부로 인입되는 구조인 바 저장실의 공간을 폭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프론트 트레이(200)가 리어 트레이(300)의 하부로 인입되면, 리어 트레이(300)가 푸쉬오픈기능에 의해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어 저장실의 상단 후방 공간에 대한 활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나아가, 잠금 장치(500)가 구비되어, 리어 트레이(300)에 대한 푸쉬를 막아 의도치 않은 푸쉬오픈기능의 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선반 조립체
100 브래킷
110 상부 브래킷
120 하부 브래킷
121 하부 가이드
200 프론트 트레이
210 하부 돌기
300 리어 트레이
111 상부 가이드
310 롤러
400 푸쉬오픈장치
500 잠금 장치
510 하우징
511 제1 장공
512 제2 장공
520 제1 이동핀
521 제1 가이드돌기
522 제1 빗면
530 제2 이동핀
531 제2 가이드돌기
532 제2 빗면
533 스토퍼
100 브래킷
110 상부 브래킷
120 하부 브래킷
121 하부 가이드
200 프론트 트레이
210 하부 돌기
300 리어 트레이
111 상부 가이드
310 롤러
400 푸쉬오픈장치
500 잠금 장치
510 하우징
511 제1 장공
512 제2 장공
520 제1 이동핀
521 제1 가이드돌기
522 제1 빗면
530 제2 이동핀
531 제2 가이드돌기
532 제2 빗면
533 스토퍼
Claims (7)
- 냉장고 저장실의 양 측벽에 대향 배치되며,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부 가이드 및 하부 가이드를 구비하는 한 쌍의 브래킷;
상기 브래킷 사이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가이드를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리어 트레이;
상기 브래킷 사이의 전방에 배치되며, 푸쉬 동작에 의해 상기 하부 가이드를 따라 상기 리어 트레이의 하부로 인입하는 프론트 트레이;
상기 프론트 트레이의 인입 후 상기 리어 트레이가 푸쉬되면, 상기 리어 트레이가 자동 인출되도록 마련되는 푸쉬오픈장치; 및
상기 리어 트레이의 후방 위치에서 상기 한 쌍의 브래킷 사이에 고정 배치되며, 상기 프론트 트레이가 완전히 인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리어 트레이의 푸쉬를 막아 의도치 않은 푸쉬오픈기능의 작동을 방지하고, 상기 프론트 트레이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리어 트레이의 푸쉬를 허용하여 푸쉬오픈기능을 작동하게 하는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선반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트레이는,
양 측면에 상기 상부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롤러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가이드는,
전방 삽입부;
상기 전방 삽입부로부터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부;
상기 제1 경사부와 연결되는 제1 직선부;
상기 제1 직선부로부터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 경사부; 및
상기 제2 경사부와 연결되는 제2 직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경사부와 상기 제1 직선부는 상기 프론트 트레이의 전단부를 가이드하고, 상기 제2 경사부와 상기 제2 직선부는 상기 프론트 트레이의 후단부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조립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트레이는,
양측에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하부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 가이드는,
상기 제1 직선부와 상기 제2 경사부 사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프론트 트레이의 인입 전 상기 하부 돌기를 지지하고, 인입 시 상기 하부 돌기를 후방으로 안내하는 지지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조립체.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리어 트레이의 후방 위치에서 상기 한 쌍의 브래킷 사이에 고정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프론트 트레이의 인입에 따라 푸쉬되어 수평 이동하는 제1 이동핀; 및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이동핀의 진입에 따라 상호작용하여 수직 이동하는 제2 이동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이동핀에는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수직 이동 전 상기 리어 트레이의 푸쉬를 막아 푸쉬오픈 기능의 작동을 방지하는 스토퍼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조립체.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핀에는 상기 제2 이동핀과 상호작용하는 부위에 제1 빗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이동핀에는 상기 제1 이동핀 진입 시 상기 제1 빗면과 맞물려 상기 제2 이동핀의 수직 이동을 유도하는 제2 빗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조립체.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00095A KR102506339B1 (ko) | 2021-07-29 | 2021-07-29 | 선반 조립체 |
PCT/KR2022/010798 WO2023008843A1 (ko) | 2021-07-29 | 2022-07-22 | 선반 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00095A KR102506339B1 (ko) | 2021-07-29 | 2021-07-29 | 선반 조립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18201A KR20230018201A (ko) | 2023-02-07 |
KR102506339B1 true KR102506339B1 (ko) | 2023-03-06 |
Family
ID=85087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00095A KR102506339B1 (ko) | 2021-07-29 | 2021-07-29 | 선반 조립체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506339B1 (ko) |
WO (1) | WO2023008843A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2162B1 (ko) | 2010-12-29 | 2013-05-14 | 박윤식 | 자동 잠금 장치가 설치된 수납 공간 분할 장치 |
KR101288892B1 (ko) | 2012-02-27 | 2013-07-23 | 박윤식 | 푸시-오픈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서랍용 슬라이드 구조체 |
KR101410460B1 (ko) | 2009-07-02 | 2014-06-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가변선반 및 이를 갖춘 냉장고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50025574U (ko) * | 1994-02-28 | 1995-09-18 | 절첩식 냉장고 선반 | |
KR0120643Y1 (ko) * | 1995-07-26 | 1998-08-01 | 김광호 | 냉장고용 선반의 고정구조 |
KR0133008Y1 (ko) * | 1996-07-29 | 1999-01-15 | 김광호 | 냉장고용 선반의 높이조절장치 |
JP2002090054A (ja) * | 2000-09-20 | 2002-03-27 | Fujitsu General Ltd | 冷蔵庫の棚装置 |
KR20070082262A (ko) * | 2006-02-15 | 2007-08-2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 |
KR101504361B1 (ko) * | 2008-09-18 | 2015-03-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냉장고의 선반 |
IT1392184B1 (it) * | 2008-12-12 | 2012-02-22 | Salice Arturo Spa | Dispositivo di apertura e chiusura di una parte spostabile di un mobile |
KR101298070B1 (ko) | 2011-10-20 | 2013-08-20 | 라현진 | 냉장고용 선반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공간 가변형 냉장고 |
KR102026464B1 (ko) * | 2015-02-17 | 2019-11-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가변선반장치 및 이를 포함한 냉장고 |
KR101955887B1 (ko) * | 2017-02-28 | 2019-03-11 | (주)세고스 | 자동 개방 및 폐쇄 장치 |
-
2021
- 2021-07-29 KR KR1020210100095A patent/KR102506339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2
- 2022-07-22 WO PCT/KR2022/010798 patent/WO2023008843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0460B1 (ko) | 2009-07-02 | 2014-06-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가변선반 및 이를 갖춘 냉장고 |
KR101262162B1 (ko) | 2010-12-29 | 2013-05-14 | 박윤식 | 자동 잠금 장치가 설치된 수납 공간 분할 장치 |
KR101288892B1 (ko) | 2012-02-27 | 2013-07-23 | 박윤식 | 푸시-오픈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서랍용 슬라이드 구조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18201A (ko) | 2023-02-07 |
WO2023008843A1 (ko) | 2023-0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95808B1 (ko) | 냉장고 | |
KR102706908B1 (ko) | 냉장고 | |
KR102472387B1 (ko) | 냉장고 | |
KR101508384B1 (ko) | 냉장고의 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
EP3877710B1 (en) | Appliance equipped with a cascading basket system | |
KR101504361B1 (ko) | 냉장고의 선반 | |
US8162422B2 (en) | Refrigerator | |
JPH06257935A (ja) | 貯蔵庫 | |
KR101869556B1 (ko) | 냉장고 | |
KR102506339B1 (ko) | 선반 조립체 | |
KR102421453B1 (ko) | 냉장고 | |
KR100513680B1 (ko) | 냉장고 | |
WO2008030044A1 (en) | Refrigerator and rail assembly thereof | |
KR102506338B1 (ko) | 선반 조립체 | |
JP2007046807A (ja) | 冷蔵庫 | |
KR20050071184A (ko) | 냉장고 | |
KR20090078390A (ko) | 냉장고 | |
KR20070020833A (ko) | 냉장고 | |
KR101035180B1 (ko) | 냉장고 선반의 계단식 인출구조 | |
KR100443982B1 (ko) | 냉장고 | |
KR20080111832A (ko) | 냉장고 | |
KR100621107B1 (ko) | 냉장고 | |
JP3210718U (ja) | 冷蔵庫 | |
JP2007064582A (ja) | 冷蔵庫及び冷蔵庫用スライドレール | |
JP2022112733A (ja) | 冷蔵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