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8070B1 - 냉장고용 선반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공간 가변형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선반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공간 가변형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8070B1
KR101298070B1 KR1020110107720A KR20110107720A KR101298070B1 KR 101298070 B1 KR101298070 B1 KR 101298070B1 KR 1020110107720 A KR1020110107720 A KR 1020110107720A KR 20110107720 A KR20110107720 A KR 20110107720A KR 101298070 B1 KR101298070 B1 KR 101298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movable shelf
movable
refrigerator
hi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7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3517A (ko
Inventor
라현진
문부경
정병현
Original Assignee
라현진
정병현
문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현진, 정병현, 문부경 filed Critical 라현진
Priority to KR1020110107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8070B1/ko
Publication of KR20130043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3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7Rotatable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고의 수용 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고 내에 수용되는 사이즈로 형성되고, 서로 반대되는 양단부를 가지는 고정 선반; 상기 고정 선반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통공을 구비하는 제1 가동 선반; 및 상기 제1 가동 선반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 상태에서 상기 제1 가동 선반과 함께 상기 고정 선반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2 가동 선반을 포함하는, 냉장고용 선반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공간 가변형 냉장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장고용 선반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공간 가변형 냉장고{TRAY ASSEMBLY FOR REFRIGERATOR AND SPACE CHANGEABLE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장고용 선반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공간 가변형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물품, 주로 식품의 저온저장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이다. 냉각방식에 따라 전기 냉장고·가스 냉장고·얼음 냉장고·전자 냉장고 등이 있으며, 전기 냉장고가 가장 많이 보급되어있다.
냉장고에 보관되는 물품은 용기에 수납된 식품, 야채, 과일, 생선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그에 따라, 냉장고의 저장실 내에는 별도의 선반이 설치되어, 저장실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선반은 주로 몇 개의 플레이트가 평행적으로 배치되어 항상 그 모습을 유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구획된 공간보다 사이즈가 큰 물품을 저장하기 위한 경우에는, 선반을 저장실에서 제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따르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저장실의 공간을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다양한 형태로 바꿀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용 선반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공간 가변형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냉장공용 선반 어셈블리는, 냉장고의 고의 수용 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고 내에 수용되는 사이즈로 형성되고, 서로 반대되는 양단부를 가지는 고정 선반; 상기 고정 선반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통공을 구비하는 제1 가동 선반; 및 상기 제1 가동 선반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 상태에서 상기 제1 가동 선반과 함께 상기 고정 선반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2 가동 선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가동 선반에 형성되는 제1 힌지부; 상기 제2 가동 선반에 형성되는 제2 힌지부; 상기 고정 선반에 형성되는 제3 힌지부; 및 상기 제1 힌지부 내지 상기 제3 힌지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회전 로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힌지부의 자유단은 상기 제1 가동 선반의 나머지 부분이 이루는 평면에서 돌출하도록 상기 제1 힌지부는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가동 선반과 상기 제2 가동 선반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가동 선반과 상기 제2 가동 선반을 서로에 대해 결합시키는 결합 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제1 가동 선반과 상기 제2 가동 선반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자석; 및 상기 제1 가동 선반과 상기 제2 가동 선반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자석에 자기적 인력으로 결합되는 금속편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가동 선반의 상기 제2 가동 선반을 마주하는 면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가동 선반의 두께 방향의 일부가 제거된 리세스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가동 선반 중 상기 리세스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상기 제2 가동 선반의 두께 방향으로 전부가 제거된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가동 선반의 가장 자리 영역에는 조작공이 개구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간 구획형 냉장고는,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고; 상기 고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수용 공간이 개폐되도록 하는 도어; 및 상기 수용 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고 내에 배치되고, 고정 선반과 상기 고정 선반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2개의 가동 선반을 구비하는 선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선반의 제1 단부 및 양측면은 상기 고의 이어진 3개의 내면과 접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제1 단부에 반대되는 제2 단부는 상기 도어와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2개의 가동 선반은, 상기 고정 선반의 제2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가동 선반; 및 상기 제1 가동 선반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 상태에서 상기 제1 가동 선반과 함께 상기 고정 선반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2 가동 선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가동 선반에 형성되는 제1 힌지부; 상기 제2 가동 선반에 형성되는 제2 힌지부; 상기 고정 선반에 형성되는 제3 힌지부; 및 상기 제1 힌지부 내지 상기 제3 힌지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회전 로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힌지부의 자유단은 상기 제1 가동 선반의 나머지 부분이 이루는 평면에서 돌출하도록 상기 제1 힌지부는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가동 선반의 상기 제2 가동 선반을 마주하는 면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 가동 선반의 두께 방향의 일부가 제거된 리세스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가동 선반 중 상기 리세스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상기 제2 가동 선반의 두께 방향으로 전부가 제거된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는, 상기 고의 내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리세스에 걸리고 상기 관통부가 통과하는 사이즈를 갖는 걸림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가동 선반과 상기 제2 가동 선반, 또는 상기 제1 가동 선반과 상기 고의 내면의 마주하는 부분들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가동 선반과 상기 제2 가동 선반, 또는 상기 제1 가동 선반과 상기 고의 내면을 서로에 대해 결합시키는 결합 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제1 가동 선반에 설치되는 자석; 및 상기 제2 가동 선반 또는 상기 고의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자석에 자기적 인력으로 결합되는 금속편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의 내면 중 상기 제1 단부와 접하는 면을 통해 냉기를 토출하는 냉기 토출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 가동 선반에는 상기 냉기가 상기 제1 가동 선반에 의해 구획된 공간들에 연통시키는 연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가동 선반 및 상기 제2 가동 선반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되는 조작 걸림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가동 선반과 상기 제2 가동 선반 중 적어도 하나는 투명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냉장고용 선반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공간 가변형 냉장고에 의하면, 선반(어셈블리)을 제거하지 않고 그것의 형태를 가변시켜서 저장실의 공간을 다양한 형태로 바꿀 수 있게 된다.
저장실의 공간 형태를 변경함에 따라서는, 다양한 형태의 물품의 사이즈에 대응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서는 냉각 효율 저하를 줄여서 냉각 효율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가변형 냉장고(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냉장고용 선반 어셈블리(2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냉장고용 선반 어셈블리(200)가 도 1의 고(110)에 설치된 일 상태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고(100) 내에 설치된 냉장고용 선반 어셈블리(200)의 다양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b) 및 (d) 상태에서의 물품이 저장된 경우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선반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공간 가변형 냉장고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가변형 냉장고(100)의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공간 가변형 냉장고(100)는, 고(110)와, 도어(120), 그리고 냉장고용 선반 어셈블리(2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110)는 수용 공간(S)을 형성하도록 대체로 박스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120)는 고(110)의 개방된 부분을 개폐하도록, 고(110)의 개방된 단부 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도면에서는 도어(120)가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고(110)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나, 도어(120)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거나 또는 서랍식으로 당겨지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선반 어셈블리(200)는 수용 공간(S)을 구획하도록 고(110) 내에 배치되는 사이즈를 갖는다. 선반 어셈블리(200)는 그 형태를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그의 형태가 가변 됨에 따라 수용 공간(S)의 구획된 형태도 가변되게 한다. 선반 어셈블리(200)는 크게, 고정 선반(210)과, 2 개의 가동 선반(230 및 2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 선반(210)은 고(110)의 내면에 고정적으로 지지되나, 가동 선반(230 및 250)은 각각 고정 선반(2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에 의해, 가동 선반(230 및 250)의 위치 변화에 따라, 변위된 가동 선반(230 및 250)은 고정된 고정 선반(210)과 함께 다양한 형태(도 4 참조)로 수용 공간(S)을 구획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선반 어셈블리(200)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2는 도 1의 냉장고용 선반 어셈블리(2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대로, 선반 어셈블리(200)는, 고정 선반(210)과, 2 개의 가동 선반(230 및 250)을 포함한다. 여기서, 2개의 가동 선반(230 및 250)은 제1 가동 선반(230)과 제2 가동 선반(25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선반(210)과 제1 가동 선반(230), 그리고 제2 가동 선반(250)은 각각 전체적으로 판재(플레이트)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들은 금속재나 사출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중 적어도 일부는 투명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투명이라 함은, 완전 투명한 경우뿐 아니라 반투명한 경우도 포함한다.
고정 선반(210)은 대체로 4각 판재로서, 제1 단부(211)와 제2 단부(212)를 가진다. 제1 단부(211)와 제2 단부(212)는 서로 반대되는 단부들이고, 그들 사이는 양측면(213)이 연결하게 된다. 제1 단부(211)와 양측면(213)은 고(110)의 내면에 의해지지될 것이다(도 3 참조). 제2 단부(212)는 도어(120)를 마주하는 부분으로서(도 1 참조), 제2 단부(212)에는 제3 힌지부(216)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힌지부(216)는 제2 단부(212)의 양 끝단에서 돌출된 형태로서, 각각에는 제3 관통공(217)이 개구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가동 선반(230)은 대체로 4각 판재로서, 주면에는 복수의 연통공(2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동 선반(230)의 양측 가장자리 중 제2 가동 선반(250)과 마주하는 면에는 리세스(233)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동 선반(230)의 가장자리 영역 중에 제1 힌지부(236)에 반대되는 부분에는 자석(235)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힌지부(236)는 제3 힌지부(216)에 대응하여, 제3 힌지부(216)에 의해 양측이 감싸지는 사이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힌지부(236)에는 제1 관통공(237)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힌지부(236)는 제2 가동 선반(250)을 향하여 휘어진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제1 가동 선반(230)의 나머지 부분이 이루는 평면에서 돌출되는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휘어진 제1 힌지부(236)는, 제1 가동 선반(230)이 고정 선반(210)에 대해 + 90°각도를 이루는 경우{도 4의 (b) 참조}, 고정 선반(210)의 제거부(219)에 위치하며 제2 가동 선반(250)이 제1 가동 선반(230)의 우측에 나란히 세워지도록 한다.
제2 가동 선반(250) 역시 대체로 4각 판재로서, 주면의 가장자리 영역에는 조작공(251)이 형성될 수 있다. 조작공(251)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어 걸릴 수 있는 사이즈를 갖도록 형성될 것이다. 제2 가동 선반(250)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 중 리세스(233)에 대응하는 부분은, 리세스(233)와 달리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제거된 관통부(25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동 선반(250)의 가장자리 영역에는 조작공(251)에 인접하게 금속편(255)이 설치될 수 있다. 금속편(255)은 제1 가동 선반(230)의 자석(235)에 대응하여 설치되며, 자석(235)과 자기적 인력에 의해 결합된다. 이에 의해, 제1 가동 선반(230)과 제2 가동 선반(250)이 서로 결합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자석(235)과 금속편(255)은 결합 유닛이라 칭해질 수 있다.
제2 가동 선반(250)의 일 측에는 제2 힌지부(256)가 제1 힌지부(236)에 의해 양측이 감싸지는 사이즈로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힌지부(256)에는 제2 관통공(257)이 형성되고, 제2 관통공(257)은 제1 관통공(237) 및 제3 관통공(217)과 정렬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내지 제3 관통공(237, 257, 및 217)에는 회전 로드(218)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 결과, 제1 가동 선반(230)과 제2 가동 선반(250)은, 고정 선반(210)의 일 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이러한 선반 어셈블리(200)가 고(110)에 설치되는 구조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도 3은 도 2의 냉장고용 선반 어셈블리(200)가 도 1의 고(110)에 설치된 일 상태를 확대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고정 선반(210)의 3면은 고(110)의 3개의 이어진 면들에 접하거나 또는 그들에 의해 지지되도록 수용 공간(S) 내에 설치된다. 고(110)의 뒷면에는 수용 공간(S) 내로 냉기를 토출하는 냉기 토출구(117)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동 선반(230)과 제2 가동 선반(250)은 고정 선반(210)의 일 단부 측에 설치된다. 제1 가동 선반(230)이 제2 가동 선반(250) 보다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냉기 토출구(117)에서 토출된 냉기는, 제1 가동 선반(230)의 조작공(231)을 통해, 제1 가동 선반(230)과 제2 가동 선반(250)의 우측의 공간으로 유동하게 된다.
제1 가동 선반(230)과 제2 가동 선반(250)이 고정 선반(210)에 대해 + 90°, 0°, 또는 - 90°의 3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하여, 고(110)의 내면에는 상부 스토퍼(113), 걸림부(111), 및 하부 스토퍼(115)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부 스토퍼(113)는 제1 가동 선반(230)이 +90°위치에서 걸려서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한다. 걸림부(111)는 제2 가동 선반(250)은 관통부(253)를 통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통과할 수 있게 하나, 제1 가동 선반(230)은 리세스(233)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한다. 하부 스토퍼(115)는 제2 가동 선반(250)이 -90°이상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한다. 결과적으로, 제1 가동 선반(230)은 상부 스토퍼(113)와 걸림부(111) 사이의 90° 범위에서 변위되며, 제2 가동 선반(250)은 하부 스토퍼(115)와 상부 스토퍼(113) 사이의 180° 범위에서 변위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가동 선반(230)은 상부 스토퍼(113) 및 걸림부(111)가 위치한 2 개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고, 제2 가동 선반(250)은 상부 스토퍼(113), 걸림부(111), 및 하부 스토퍼(115)가 위치한 3 개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가동 선반(250)이 걸림부(111)가 형성된 위치에 고정되기 위해서는, 제1 가동 선반(230)이 걸림부(111)에 걸린 상태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1 가동 선반(230)의 자석(235)에 금속편(255)이 자기적 인력으로 결합 됨으로써, 제2 가동 선반(250)이 제1 가동 선반(230)에 결합된 채로 걸림부(111)가 형성된 위치에 고정되는 것이다.
제2 가동 선반(250)이 상부 스토퍼(113)가 형성된 위치에 고정되기 위해서도, 금속편(255)은 제1 가동 선반(230)의 자석(235)에 결합되어야 한다. 이때, 제1 가동 선반(230)이 상부 스토퍼(113)가 형성된 위치에 고정되게 하기 위해, 고(110)의 내면 중 상면에는 자석(235)에 대응하는 또 다른 금속편(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가동 선반(230) 또한 고(110)와 자기적 인력에 의해 결합되게 된다.
제1 가동 선반(230)이 고(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가동 선반(230)을 조작하기 위하여, 제1 가동 선반(230)의 가장자리 영역에는 조작 걸림부로서 걸이부(232)가 형성될 수 있다. 걸이부(232)는 손가락을 걸 수 있도록 홈이 파여진 형태이나, 또 다른 조작 걸림부인 조작공(251)과 같이 관통공의 형태일 수도 있다.
이러한 선반 어셈블리(200)의 다양한 형태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고(100) 내에 설치된 냉장고용 선반 어셈블리(200)의 다양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먼저 (a) 상태는 제1 가동 선반(230)과 제2 가동 선반(250)이 고정 선반(210)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는 상태이다. 제1 가동 선반(230)은 제2 가동 선반(25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된다.
다음으로 (b) 상태는, 제1 가동 선반(230)과 제2 가동 선반(250)이 모두 고정 선반(210)에 대해 + 90°각도를 이루는 경우이다. 이때, 제1 가동 선반(230)과 제2 가동 선반(250)은,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금속편(255)과 자석(235)으로 서로 결합된 상태이다. 제1 가동 선반(230)은 또한 고(110)와 결합되어 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c) 상태는, 제1 가동 선반(230)은 고정 선반(210)과 평행한 상태를 이루나, 제2 가동 선반(250)은 고정 선반(210)에 대해 - 90°각도를 이루는 경우이다. 이때, 제1 가동 선반(230)은 리세스(233, 도 3 참조)가 걸림부(111)에 걸려서 위 상태를 유지하고, 제2 가동 선반(250)은 하부 스토퍼(115)에 걸려서 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d) 상태는, 제1 가동 선반(230)은 고정 선반(210)에 대해 + 90°각도를 이루나, 제2 가동 선반(250)은 고정 선반(210)에 대해 - 90°각도를 이루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에, 냉기 토출구(117)에서 토출된 냉기는 연통공(231)을 통해, 제1 가동 선반(230) 및 제2 가동 선반(250)의 우측의 공간으로 유동할 수 있다.
선반 어셈블리(200)가 수용 공간(S)을 다양한 형태로 구획하는 중의 일 상태에서의 냉장고의 이용 상황은 도 5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5는 도 4의 (b) 및 (d) 상태에서의 물품이 저장된 경우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고정 선반(210)에 의해 구획되는 1층과 2층에는 각각 사이즈에 맞는 용기나 제품이 수용된다. 나아가, 제1 가동 선반(230) 및 제2 가동 선반(250)의 우측 공간은, 상기 1층과 2층이 통합된 형태의 공간을 이룬다.
구체적으로 (a) 상태에서는, 제1 가동 선반(230)과 제2 가동 선반(250)의 우측 공간에는, 작은 용기(SC)뿐만 아니라, 2개 층 높이의 큰 용기(BC)도 제약 없이 수용될 수 있게 된다.
(b) 상태에서는, 제1 가동 선반(230)과 제2 가동 선반(250)의 좌측 공간이, 그들의 우측 공간과 나뉘어지게 된다. 그에 의해, 제1 가동 선반(230)과 제2 가동 선반(250)의 우측 공간에는 자주 꺼내는 반찬 용기 등을 보관하고, 좌측 공간에는 오래 보관하는 김치통 등을 보관한다면, 도어(120)를 많이 열고 닫는 상황에서도 냉각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될 것이다. 이는, 제1 가동 선반(230)과 제2 가동 선반(250)에 의해 그들의 좌측 공간에 있는 냉기가 급격히 외부로 이동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때, 제1 가동 선반(230)과 제2 가동 선반(250)의 우측에 대한 냉각은, 냉기 토출구(115, 도 3)에서 토출된 냉기가 연통공(231)을 통해 유입되어 이루어지게 된다.
제1 가동 선반(230)과 제2 가동 선반(250)이 투명하다면, 이러한 상태에서도 제1 가동 선반(230)과 제2 가동 선반(250) 뒤에 저장된 제품에 대해 파악하기 쉽게 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냉장고용 선반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공간 가변형 냉장고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공간 가변형 냉장고 110: 고
111: 걸림부 113: 상부 스톱퍼
115: 하부 스톱퍼 117: 냉기 토출구
120: 도어 200: 선반 어셈블리
210: 고정 선반 216: 제1 힌지부
218: 회전 로드 230: 제1 가동 선반
231: 연통공 233: 리세스
235: 자석 236: 제1 힌지부
250: 제2 가동 선반 251: 조작공
253: 관통부 256: 제2 힌지부

Claims (18)

  1. 냉장고의 고의 수용 공간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도록 상기 고 내에 수용되는 사이즈로 형성되고, 서로 반대되는 양단부를 가지는 고정 선반;
    상기 고정 선반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중앙 영역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통공을 구비하는 제1 가동 선반; 및
    상기 제1 가동 선반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일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일 상태에서 상기 제1 가동 선반과 함께 상기 고정 선반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2 가동 선반을 포함하는, 냉장고용 선반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 선반에 형성되는 제1 힌지부;
    상기 제2 가동 선반에 형성되는 제2 힌지부;
    상기 고정 선반에 형성되는 제3 힌지부; 및
    상기 제1 힌지부 내지 상기 제3 힌지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회전 로드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용 선반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부의 자유단은 상기 제1 가동 선반의 나머지 부분이 이루는 평면에서 돌출하도록 상기 제1 힌지부는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냉장고용 선반 어셈블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 선반과 상기 제2 가동 선반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가동 선반과 상기 제2 가동 선반을 서로에 대해 결합시키는 결합 유닛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용 선반 어셈블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제1 가동 선반과 상기 제2 가동 선반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는 자석; 및
    상기 제1 가동 선반과 상기 제2 가동 선반 중 다른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자석에 자기적 인력으로 결합되는 금속편을 포함하는, 냉장고용 선반 어셈블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 선반의 상기 제2 가동 선반을 마주하는 면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가동 선반의 두께 방향의 일부가 제거된 리세스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가동 선반 중 상기 리세스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상기 제2 가동 선반의 두께 방향으로 전부가 제거된 관통부가 형성되는, 냉장고용 선반 어셈블리.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동 선반의 가장 자리 영역에는 조작공이 개구되는, 냉장고용 선반 어셈블리.
  9.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고;
    상기 고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수용 공간이 개폐되도록 하는 도어; 및
    상기 수용 공간을 구획하도록 상기 고 내에 배치되고, 고정 선반과 상기 고정 선반의 일 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2개의 가동 선반을 구비하는 선반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공간 가변형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선반의 제1 단부 및 양측면은 상기 고의 이어진 3개의 내면과 접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제1 단부에 반대되는 제2 단부는 상기 도어와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2개의 가동 선반은,
    상기 고정 선반의 제2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가동 선반; 및
    상기 제1 가동 선반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2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일 상태에서 상기 제1 가동 선반과 함께 상기 고정 선반과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제2 가동 선반을 포함하는, 공간 가변형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 선반에 형성되는 제1 힌지부;
    상기 제2 가동 선반에 형성되는 제2 힌지부;
    상기 고정 선반에 형성되는 제3 힌지부; 및
    상기 제1 힌지부 내지 상기 제3 힌지부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회전 로드를 더 포함하는, 공간 가변형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부의 자유단은 상기 제1 가동 선반의 나머지 부분이 이루는 평면에서 돌출하도록 상기 제1 힌지부는 곡선형으로 형성되는, 공간 가변형 냉장고.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 선반의 상기 제2 가동 선반을 마주하는 면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제1 가동 선반의 두께 방향의 일부가 제거된 리세스가 형성되고,
    상기 제2 가동 선반 중 상기 리세스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상기 제2 가동 선반의 두께 방향으로 전부가 제거된 관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는, 상기 고의 내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리세스에 걸리고 상기 관통부가 통과하는 사이즈를 갖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공간 가변형 냉장고.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 선반과 상기 제2 가동 선반, 또는 상기 제1 가동 선반과 상기 고의 내면의 마주하는 부분들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가동 선반과 상기 제2 가동 선반, 또는 상기 제1 가동 선반과 상기 고의 내면을 서로에 대해 결합시키는 결합 유닛을 더 포함하는, 공간 가변형 냉장고.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유닛은,
    상기 제1 가동 선반에 설치되는 자석; 및
    상기 제2 가동 선반 또는 상기 고의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자석에 자기적 인력으로 결합되는 금속편을 포함하는, 공간 가변형 냉장고.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의 내면 중 상기 제1 단부와 접하는 면을 통해 냉기를 토출하는 냉기 토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가동 선반에는 상기 냉기가 상기 제1 가동 선반에 의해 구획된 공간들에 연통시키는 연통공이 형성되는, 공간 가변형 냉장고.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 선반 및 상기 제2 가동 선반 중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 영역에 형성되는 조작 걸림부를 더 포함하는, 공간 가변형 냉장고.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동 선반과 상기 제2 가동 선반 중 적어도 하나는 투명 소재로 형성되는, 공간 가변형 냉장고.
KR1020110107720A 2011-10-20 2011-10-20 냉장고용 선반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공간 가변형 냉장고 KR101298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720A KR101298070B1 (ko) 2011-10-20 2011-10-20 냉장고용 선반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공간 가변형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7720A KR101298070B1 (ko) 2011-10-20 2011-10-20 냉장고용 선반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공간 가변형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517A KR20130043517A (ko) 2013-04-30
KR101298070B1 true KR101298070B1 (ko) 2013-08-20

Family

ID=48441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7720A KR101298070B1 (ko) 2011-10-20 2011-10-20 냉장고용 선반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공간 가변형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807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201A (ko) 2021-07-29 2023-02-07 (주)세고스 선반 조립체
KR20230018200A (ko) 2021-07-29 2023-02-07 (주)세고스 선반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59490B (zh) * 2014-01-09 2016-08-24 珠海美固电子有限公司 一种冰箱
KR101691260B1 (ko) * 2014-10-17 2016-1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WO2017097328A1 (en) * 2015-12-07 2017-06-15 Arcelik Anonim Sirketi Divider assembly for use in the vegetable drawer of a refrigerato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9539A (ko) * 1997-12-13 1999-07-05 전주범 냉장고의 분할 플라스틱 선반
KR19990049534A (ko) * 1997-12-13 1999-07-05 전주범 냉장고의 분할 회동 와이어 선반
KR19990027050U (ko) * 1997-12-22 1999-07-15 전주범 냉장고의 선반
KR20110002589A (ko) * 2009-07-02 2011-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선반 및 이를 갖춘 냉장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9539A (ko) * 1997-12-13 1999-07-05 전주범 냉장고의 분할 플라스틱 선반
KR19990049534A (ko) * 1997-12-13 1999-07-05 전주범 냉장고의 분할 회동 와이어 선반
KR19990027050U (ko) * 1997-12-22 1999-07-15 전주범 냉장고의 선반
KR20110002589A (ko) * 2009-07-02 2011-01-10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선반 및 이를 갖춘 냉장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201A (ko) 2021-07-29 2023-02-07 (주)세고스 선반 조립체
KR20230018200A (ko) 2021-07-29 2023-02-07 (주)세고스 선반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3517A (ko) 2013-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87199B1 (en) Refrigerator
KR101298070B1 (ko) 냉장고용 선반 어셈블리 및 그를 구비한 공간 가변형 냉장고
US9261304B2 (en) Adjustable divider assembly for refrigerator storage unit
US8152256B2 (en) Accept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100894476B1 (ko) 냉장고의 가변 선반 장치
EP2594875B1 (en) Refrigerator
EP2565566B1 (en) Refrigerator with an accommodation container
KR20110040567A (ko) 분할식 선반을 갖는 냉장고
JP2010203735A (ja) 冷蔵庫
JP3953436B2 (ja) 冷蔵庫の仕切装置
WO2014207862A1 (ja) 冷蔵庫
JP2003269853A (ja) 冷蔵庫
US20170059235A1 (en) Refrigerator drawer having french doors
JP2004340545A (ja) 冷蔵庫
JP7012873B2 (ja) 冷蔵庫
KR101857655B1 (ko) 냉장고
KR101892746B1 (ko) 냉장고
US20190316826A1 (en) Side-by-side refrigerator appliance with freezer in door
CN209783082U (zh) 家用制冷器具
JP2005003333A (ja) 冷蔵庫
JP2023061440A (ja) 冷蔵庫
KR20030040848A (ko) 냉장고의 선반
EP3149412B1 (en)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a door-in-door structure
KR101645779B1 (ko) 냉장고
KR20150015715A (ko) 냉장고 및 냉장고 도어포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