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0193B1 - 압축작동장치 및 그가 적용된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압축작동장치 및 그가 적용된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0193B1
KR102630193B1 KR1020230126500A KR20230126500A KR102630193B1 KR 102630193 B1 KR102630193 B1 KR 102630193B1 KR 1020230126500 A KR1020230126500 A KR 1020230126500A KR 20230126500 A KR20230126500 A KR 20230126500A KR 102630193 B1 KR102630193 B1 KR 1026301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ng
movable rod
handle
movable
compre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6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인묵
박준옥
김찬흠
한동수
Original Assignee
박인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인묵 filed Critical 박인묵
Priority to KR1020230126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01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01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01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4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 E05B85/16Handles pivoted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wing a longitudinal grip part being pivoted at one end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grip par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2Mounting of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06Mounting of handles, e.g. to the wing or to the lock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12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 E05B79/16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linking the rods to other lock parts, e.g. to le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05Y2201/474Compression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76Transmission of human force
    • E05Y2201/68Handles, cra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등록된 특허등록번호 제10-2538461호(명칭: 압축작동장치 및 그가 적용된 개폐장치/2023.05.25.등록)를 개량하여 가동봉을 초기상태로 자동복귀시키도록;
길이를 가지며, 상기 작동본체에서 상기 가동봉의 직선운동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일측의 가동단에 대한 직선이동압의 인가시에 양측단부에 상기 스톱돌기와 접촉되면서 외측방향으로 안내하여 각각의 상기 스톱돌기들이 서로 벌림되도록 하는 복귀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가동단에 대한 직선이동압의 해제시에 원위치로 역이동하면서 상기 복귀경사면을 원위치로 위치시키도록 된 보조가동체;를 더 포함하는 압축작동장치 및 그가 적용된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압축작동장치 및 그가 적용된 개폐장치{Compression operating device and switchgear to which it is applied}
본 발명은,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등록된 특허등록번호 제10-2538461호(명칭: 압축작동장치 및 그가 적용된 개폐장치/2023.05.25.등록)를 개량하여 압축작동장치의 스토퍼의 회전운동과 연동되어 가동봉에 작동후 스토퍼의 원위치로의 복귀가 이루어지지 않아 가동봉의 복귀되지 않는 상태일 때, 외부에서 인가되는 작동하중을 통해 구동되어 스토퍼에 대하여 작동하중을 인가하여 원위치로 복귀시켜 가동봉을 초기상태로 자동복귀시키도록 되어 작동상의 안정성을 구현하도록 된 압축작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울러, 자동차의 도어핸들 등과 같은 개폐장치의 개폐구동시 도어핸들의 인가하중을 보충함은 물론, 평상시로의 복귀가 이루어지도록 된 개폐장치로써, 도어핸들과 노브(knob) 또는 스위치 또는 버튼이 연동되면서 도어핸들의 잠금해제 후, 초기의 잠금상태로의 복귀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차량운행시(40~50Km/h)에 노브(스위치 또는 버튼)에 대한 자동잠금프로세스을 통해 노브(스위치 또는 버튼)가 잠금될 때 형성되는 작동하중을 인가받아 도어핸들을 초기상태로 자동복귀시키어 작동상의 안정성 및 안전성을 구현하도록 된 압축작동장치가 적용된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도어핸들의 개폐동작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고 도어핸들의 축회전시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키도록 된 압축작동장치 및 그가 적용된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에는 상기 도어를 외부에서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의 잠금장치를 해제함과 더불어 상기 도어에 압력을 가해 회동시킬 수 있도록 도어핸들이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도어핸들은 자동차의 주행 시 등, 운전자 또는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시점에서 상황에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도어의 폐쇄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도어의 개방 및 폐쇄를 제어하는 도어 그립의 로드를 자체 하중에 의해 지지하는 레버가 설치된다.
상기에서 도어핸들은, 통상적으로 도어의 외측패널에 판형상을 이룬 하우징이 장착되고, 이 하우징의 전면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막대형상을 이룬 그립이 장착되며, 이 그립의 일측단이 상기 도어의 내측으로 확장되어 로드가 형성되고, 이 로드의 레버홈에 상기 레버의 하부 끝단이 삽입되어 상기 그립이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레버는 별도의 무게추와 연동되어 중력에 의해 차체의 하방향으로 하중을 발생시킴에 따라 상기 레버를 지지하여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상기 도어가 무단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자동차용 도어핸들에는, 도어핸들의 충격에 의한 무단 개방 및 차량의 주행중에 발생된 진동하중에 의한 잠금상태의 무단풀림들을 방지하여 자량의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된 다양한 잠금장치들에 제안되었다.
그 중 하나로,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1998-0003129호(명칭: 자동차용내측도어핸들안전노브구조/1998.03.05.)가 있으며,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도어 핸들과 도어 락 레버를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 설치하는 축봉과, 도어 핸들과 도어 락 레버를 축설하도록 관통공을 형성하되 끝단부에는 소정의 각도로 이루어진 걸림부를 형성한 브라켓이 고정판의 상·하부에 대향되도록 설치된 하우징과, 도어 잠금장치와 연결된 락크랭크와 연결되는 연결판을 형성하며, 유동시 브라켓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하되 축봉이 관통하는 지지판을 구비하고, 이 지지판의 측상단으로는 브라켓의 걸림부가 걸리어지는 단턱을 형성며 내측으로는 공간부를 갖는 몸체로 이루어진 도어 락 레버를 포함하는 도어 핸들 안전 노브 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3-0079123호(명칭: 자동차용 도어핸들의 비정상개방 방지장치/2003.11.10.)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도어 일측부에 판형상을 이루고 체결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그 일측부가 힌지를 매개로 체결된 그립과, 상기 그립의 타측단에서 하우징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연장된 로드와, 상기 로드의 유동이 방지되도록 무게추가 형성되어 상기 로드를 지지하도록 된 레버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도어핸들에 있어서, 상기 로드의 일측부 하우징의 내측면에서 판형상을 이루고 돌출된 체결판에 개구된 핀홀; 상기 로드의 하우징 반대방향 끝단 상면에 반원 단면형상을 이루고 함몰된 고정판홈; 상기 핀홀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도록 봉형상을 이루고 형성된 핀; 상기 핀이 중앙부에 체결되도록 판형상을 이루면서 그 상단이 상기 레버의 중앙 후단부에 접하고 그 하단이 상기 로드의 상단에 접하도록 형성된 고정판; 상기 고정판의 하단부에 상기 고정판홈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상기 고정판홈의 내부 형상과 유사한 형상을 이루고 형성된 가압단; 상기 고정판의 상단부가 삼각형 단면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진 돌기; 상기 돌기가 걸쳐지도록 상기 레버의 하우징 반대방향 후단 중앙에 내측으로 상기 돌기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도어핸들의 비정상개방 방지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3-0131872호(명칭: 자동차 스마트키시스템용 도어핸들 일체형 터치센서/2013.11.01.)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자동차 스마트키시스템용 도어핸들에 있어서, 도어핸들의 상측케이스와 하측케이스 내부에 도어열림 신호를 감지하는 제1감지부, 도어잠김 신호를 감지하는 제2감지부, 상기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의 일단의 연장선에서 신호를 받아 연산하고 연산결과를 스마트키시스템 제어기로 전송하는 감지회로; 및 상기 도어핸들 하측케이스의 일단에 방수를 위한 방수격벽을 구성하고, 상기 하측케이스와 방수격벽으로 구성된 부분에 감지회로와 제1감지부, 제2감지부, 각각의 감지부 연장선을 삽입하고 방수액을 주입하여 수밀구조를 가지며 고정되도록하여, 상기 도어핸들의 표면에 인체가 접촉될때에 도어핸들에 내장된 제1감지부와 제2감지부로 도어열림과 도어잠김신호가 전달되고, 각각의 감지부 연장선에서 신호를 반은 감지회로가 스마트키시스템 제어기로 도어열림과 도어잠김 신호를 전달하는 도어핸들 내장형 터치센서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3-0157191호(명칭: 자동차의 도어핸들 장치/2013.12.17.)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도어핸들과 덮개요소를 구비한, 자동차의 도어 외부면 상의 도어핸들 장치로서, 도어핸들은 제1 핸들 단부의 영역에서 도어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1 핸들 단부 반대편의 제2 핸들 단부의 영역에서 제2 핸들 단부에 의해 도어핸들이 도어로 부터 멀어지게 피벗 될 때 도어 로크를 작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도어 안으로 돌출하는 작동 돌출부를 가지며, 덮개요소는 제2 핸들 단부에 인접하도록 도어의 도어 외부면의 영역에서 도어에 장착되는, 도어핸들 장치에 있어서, 도어핸들 및 덮개요소는 도어핸들이 도어 로크를 작동시킬 목적으로 피벗될 때 도어핸들을 덮개요소에 대하여 안내하기 위한 상호작용 가이드들을 갖는 도어핸들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도어핸들 등과 같은 개폐장치들에서는, 차량의 진동 및 충격의 인가에 따른 유동하중에 대하여 도어핸들이 유동 및 개폐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 구비되지 못하여 구조적 안정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도어핸들 등과 같은 개폐장치들의 회전운동에 따른 자체적인 탄성복귀시에 급격한 역회전에 따라 하우징과의 충돌소음이 발생하여 사용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출원인은, 스프링의 압축탄성력을 통해 저장된 압축압에 의해 가압하중을 인가함은 물론, 평상시로의 복귀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된 압축작동장치 및 이를 적용하여 자동차의 도어핸들 등과 같은 개폐장치의 개폐구동시 도어핸들의 인가하중을 보충함은 물론, 평상시로의 복귀가 이루어지도록 됨은 물론, 도어핸들의 개폐동작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고 도어핸들의 축회전시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키도록 하기 위하여 특허등록번호 제10-2538461호(명칭: 압축작동장치 및 그가 적용된 개폐장치/2023.05.25.등록)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등록된 특허등록번호 제10-2538461호(명칭: 압축작동장치 및 그가 적용된 개폐장치/2023.05.25.등록)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일단에 개방개구가 형성된 압축공간이 구비되는 작동본체와; 길이를 가지며, 상기 압축공간의 내부에서 개방개구측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종동봉과; 길이를 가지며 후단에 상기 종동봉의 선단이 직선운동가능하게 끼움 고정되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가동봉과; 상기 작동본체의 개방개구를 개폐하도록 결속되며, 상기 가동봉의 선단이 외부로 진퇴하도록 직선이동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진입개구가 형성된 작동덮개와; 상기 압축공간에서 상기 종동봉과 상기 가동봉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종동봉과 상기 가동봉측 방향으로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작동단에 상기 종동봉과 상기 가동봉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쐐기형의 스톱돌기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스토퍼들과; 상기 스토퍼들과 상기 작동본체와의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스토퍼들의 작동단들을 상기 종동봉과 상기 가동봉측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도록 구비되는 탄성스프링들과; 상기 가동봉에 구비되며 내부로의 직선이동시 상기 스톱돌기들의 스톱돌기들에 걸림되어 지지되는 걸림단과, 양단에 상기 스톱돌기를 외측방향으로 안내하여 각각의 상기 스톱돌기들이 서로 벌림되도록 하는 상부경사면이 형성된 진입단을 각각 구비하는 고정걸림체와; 상기 종동봉에 형성된 저지단턱에 일단이 저지되게 상기 종동봉에 안내되도록 결합되며, 양단에 상기 스톱돌기를 외측방향으로 안내하여 각각의 상기 스톱돌기들이 서로 벌림되도록 하는 하부경사면이 형성된 운동쇄기체와; 상기 고정걸림체와 상기 운동쇄기체의 사이에 구비되어 신축탄성압을 형성하도록 된 신축스프링;을 포함하는 압축작동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아울러, 내부에 작동공간이 형성된 핸들하우징과;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된 손잡이부와 잠금수단과 연결된 레버와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작동단부의 사이에서 상기 핸들하우징의 작동공간에 대하여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하우징과 상기 핸들의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핸들을 도어의 폐쇄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탄성가압하게 구비되는 복귀스프링과; 상기 압축작동장치와; 길이를 가지며, 양단이 상기 엑츄에이터의 상기 가동봉의 선단과 상기 핸들의 작동단부에 각각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연결링크;를 포함하는 압축작동장치가 적용된 개폐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1998-0003129호(1998.03.05.)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03-0079123호(2003.11.10.)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3-0131872호(2013.11.01.) 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3-0157191호(2013.12.17.)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2538461호(2023.05.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등록된 특허등록번호 제10-2538461호(명칭: 압축작동장치 및 그가 적용된 개폐장치/2023.05.25.등록)를 개량하여 압축작동장치의 스토퍼의 회전운동과 연동되어 가동봉에 작동후 스토퍼의 원위치로의 복귀가 이루어지지 않아 가동봉의 복귀되지 않는 상태일 때, 외부에서 인가되는 작동하중을 통해 구동되어 스토퍼에 대하여 작동하중을 인가하여 원위치로 복귀시켜 가동봉을 초기상태로 자동복귀시키도록 되어 작동상의 안정성을 구현하도록 된 압축작동장치 및 그가 적용된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압축작동장치는, 일단에 개방개구가 형성된 압축공간이 구비되는 작동본체와; 길이를 가지며, 상기 압축공간의 내부에서 개방개구측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종동봉과; 길이를 가지며 후단에 상기 종동봉의 선단이 직선운동가능하게 끼움 고정되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가동봉과; 상기 작동본체의 개방개구를 개폐하도록 결속되며, 상기 가동봉의 선단이 외부로 진퇴하도록 직선이동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진입개구가 형성된 작동덮개와; 상기 압축공간에서 상기 종동봉과 상기 가동봉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종동봉과 상기 가동봉측 방향으로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작동단에 상기 종동봉과 상기 가동봉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쐐기형의 스톱돌기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스토퍼들과; 상기 스토퍼들과 상기 작동본체와의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스토퍼들의 작동단들을 상기 종동봉과 상기 가동봉측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도록 구비되는 탄성스프링들과; 상기 가동봉에 구비되며 내부로의 직선이동시 상기 스톱돌기들의 스톱돌기들에 걸림되어 지지되는 걸림단과, 양단에 상기 스톱돌기를 외측방향으로 안내하여 각각의 상기 스톱돌기들이 서로 벌림되도록 하는 상부경사면이 형성된 진입단을 각각 구비하는 고정걸림체와; 상기 종동봉에 형성된 저지단턱에 일단이 저지되게 상기 종동봉에 안내되도록 결합되며, 양단에 상기 스톱돌기를 외측방향으로 안내하여 각각의 상기 스톱돌기들이 서로 벌림되도록 하는 하부경사면이 형성된 운동쇄기체와; 상기 고정걸림체와 상기 운동쇄기체의 사이에 구비되어 신축탄성압을 형성하도록 된 신축스프링;을 포함하는 압축작동장치에 있어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작동본체에서 상기 가동봉의 직선운동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일측의 가동단에 대한 직선이동압의 인가시에 양측단부에 상기 스톱돌기와 접촉되면서 외측방향으로 안내하여 각각의 상기 스톱돌기들이 서로 벌림되도록 하는 복귀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가동단에 대한 직선이동압의 해제시에 원위치로 역이동하면서 상기 복귀경사면을 원위치로 위치시키도록 된 보조가동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압축작동장치가 적용된 개폐장치는, 내부에 작동공간이 형성된 핸들하우징과;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된 손잡이부와 잠금수단과 연결된 레버와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작동단부의 사이에서 상기 핸들하우징의 작동공간에 대하여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하우징과 상기 핸들의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핸들을 도어의 폐쇄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탄성가압하게 구비되는 복귀스프링과; 상기 압축작동장치와; 길이를 가지며, 양단이 상기 압축작동장치의 상기 가동봉의 선단과 상기 핸들의 작동단부에 각각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연결링크;를 포함하는 압축작동장치가 적용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축작동장치의 상기 보조가동체의 가동단에 대하여 차량운행시에 제어되는 자동잠금프로세스을 통해 상기 핸들에 대한 잠금상태를 고정하는 노브(스위치 또는 버튼)가 연동되어 상기 노브(스위치 또는 버튼)가 회전구동 또는 상하 좌우 직선 구동되는 중에 형성되는 작동하중을 통해 상기 가동단에 직선이동압을 인가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압축작동장치 및 그가 적용된 개폐장치는,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등록된 특허등록번호 제10-2538461호(명칭: 압축작동장치 및 그가 적용된 개폐장치/2023.05.25.등록)에 대하여, 보조가동체가 스토퍼의 벌림회전운동과 연동되어 가동봉에 작동후 스토퍼의 원위치로의 복귀가 이루어지지 않아 가동봉의 복귀되지 않는 상태일 때, 가동단으로 인가되는 별도의 작동하중을 통해 직선운동하면서 스토퍼를 벌림하여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됨에 따라, 가동봉을 초기상태로 자동복귀시키도록 되어 작동상의 안정성을 구현하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이를 통해, 도어핸들과 노브(knob)또는 스위치 또는 버튼이 연동되면서 도어핸들의 잠금해제 후, 초기의 잠금상태로의 복귀가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차량운행시(40~50Km/h)에 노브(스위치 또는 버튼)에 대한 자동잠금프로세스을 통해 노브(스위치 또는 버튼)가 잠금될 때 형성되는 작동하중을 인가받아 도어핸들을 초기상태로 자동복귀시키어 작동상의 안정성 및 안전성을 구현하게 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압축작동장치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압축작동장치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압축작동장치를 구성하는 가동봉의 외측방향 직선운동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 및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압축작동장치를 구성하는 가동봉의 내측방향 복귀운동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압축작동장치가 적용된 자동차용 도어핸들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압축작동장치가 적용된 자동차용 도어핸들의 개방동작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4 내지 도 1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압축작동장치가 적용된 자동차용 도어핸들의 복귀동작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7 내지 도 1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압축작동장치에 적용되는 보조가동체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0 내지 도 2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압축작동장치에 적용되는 보조가동체의 작동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4 내지 도 2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압축작동장치에 적용되는 보조가동체의 다른 예를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압축작동장치 및 그가 적용된 자동차용 도어핸들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압축작동장치(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압축작동장치(1)는, '스프링'의 압축탄성력을 통해 저장된 압축압에 의해 가압하중을 인가함은 물론, 평상시로의 복귀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는 것에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압축작동장치(1)는, 일단에 개방개구가 형성된 압축공간(A)이 구비되는 작동본체(2)와; 길이를 가지며, 상기 압축공간(A)의 내부에서 개방개구측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종동봉(3)과; 길이를 가지며 후단에 상기 종동봉(3)의 선단이 직선운동가능하게 끼움 고정되는 안내홈(41)이 형성되는 가동봉(4)과; 상기 작동본체(2)의 개방개구를 개폐하도록 결속되며, 상기 가동봉(4)의 선단이 외부로 진퇴하도록 직선이동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진입개구(51)가 형성된 작동덮개(5);를 포함한다.
즉, 상기 작동본체(2)의 개방개구에 상가 작동덮개(5)가 결속결합되면서 내부의 상기 압축공간(A)을 폐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종동봉(3)이 상기 압축공간(A)에서 직선이동운동하면서 상기 가동봉(4)이 상기 작동덮개(5)의 진입개구(51)상에서 진퇴직선운동하게 된다.
상기에서 작동본체(2)의 후측에는, 상기 종동봉(3)의 후단부가 끼움되면서 결속지지되어 정자세로 진퇴직선운동하도록 된 가이드홈(21)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홈(21)의 내부에서 상기 종동봉(3)의 하단부위가 끼움되면서 진퇴운동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작동본체(2)의 후단에는, 내부에 상기 가이드홈(21)이 구비되면서 외부로 돌출형성된 가이드돌부(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작동본체(2)의 점유공간을 줄이면서 상기 종동봉(3)의 진퇴운동공간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작동덮개(5)는, 상기 작동본체(2)의 개방개구를 폐쇄하면서 결합되는 덮개플랜지(52)와; 상기 덮개플랜지(52)의 중앙에서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내부에 상기 가동봉(3)의 직선이동공간을 형성하며 중심부위에 상기 진입개구(51)가 형성된 덮개돌부(5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덮개플랜지(52)를 통해 상기 작동본체(2)와 조립되면서 상기 덮개돌부(53)를 통해 상기 작동덮개(5)의 점유공간을 줄이면서 상기 가동봉(4)의 진퇴운동경로를 안정적으로 확보함과 아울러, 상기 가동봉(4)의 선단부위가 끼움되어 안내되면서 안정적으로 정자세로 진퇴운동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동의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에서 종동봉(3)의 선단에는, 상기 가동봉(4)의 외부에서 내부로 관통되면서 상끼움고정하는 고정핀(32)이 결속되는 고정공(31)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종동봉(3)의 고정공(31)에 상기 고정핀(32)이 상기 가동봉(4)을 관통하면서 결속하여 상기 가동봉(4)과 상기 종동봉(3)의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봉(4)에서 상기 종동봉(3)이 무단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압축작동장치(1)는, 상기 압축공간(A)에서 상기 종동봉(3)과 상기 가동봉(4)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종동봉(3)과 상기 가동봉(4)측 방향으로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작동단에 상기 종동봉(3)과 상기 가동봉(4)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쐐기형의 스톱돌기(61)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스토퍼(6)들과; 상기 스토퍼(6)들과 상기 작동본체(2)와의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스토퍼(6)들의 작동단들을 상기 종동봉(3)과 상기 가동봉(4)측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도록 구비되는 탄성스프링(S1)들;을 포함한다.
즉, 상기 한 쌍의 스토퍼(6)들이 상기 탄성스프링(S1)들에 의해 상기 종동봉(3)측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축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상기 스톱돌기(61)들이 상기 종동봉(3)을 가압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압축작동장치(1)는, 상기 가동봉(4)에 구비되며 내부로의 직선이동시 상기 스토퍼(6)들의 스톱돌기(61)들에 걸림되어 지지되는 걸림단(421)과, 양단에 상기 스톱돌기(61)를 외측방향으로 안내하여 각각의 상기 스톱돌기(61)들이 서로 벌림되도록 하는 상부경사면(423)이 형성된 진입단(422)을 각각 구비하는 고정걸림체(42);를 포함한다.
즉, 각각의 상기 스톱돌기(61)들이 각각의 상기 탄성스프링(S1)들에 의해 상기 가동봉(4)측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고정걸림체(42)의 상기 걸림단(421)에 걸림되어 지지되어 무단으로 상기 가동봉이 외부로 직선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평상시에 상기 가동봉(4)이 상기 압축공간(A)에 안정적으로 그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가동봉(4)이 외력에 의해 가압되어 외측방향으로 직선이동하는 중에 각각의 상기 스톱돌기(61)들이 상기 상부경사면(423)을 타고 외측방향으로 안내되면서 서로 벌림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동봉(4)의 외측방향으로 직선이동에 대한 외력에 역압을 형성하게 되어 상기 가동봉(4)의 외측방향으로의 이동이 천천히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 의한 압축작동장치(1)는, 상기 종동봉(3)에 형성된 저지단턱(33)에 일단이 저지되게 상기 종동봉(3)에 안내되도록 결합되며, 양단에 상기 스톱돌기(61)를 외측방향으로 안내하여 각각의 상기 스톱돌기(61)들이 서로 벌림되도록 하는 하부경사면이 형성된 운동쇄기체(7)와; 상기 고정걸림체(42)와 상기 운동쇄기체(7)의 사이에 구비되어 신축탄성압을 형성하도록 된 신축스프링(S2);을 포함한다.
즉, 상기 종동봉(3)의 선단부에 상기 운동쇄기체(7)가 관통결속되면서 안내운동하게 되며, 상기 종동봉(3)에 형성된 상기 저지단턱(33)에 의해 직선운동범위가 제한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걸림체(42)와 상기 운동쇄기체(7)의 사이에서 상기 신축스프링(S2)의 탄성적으로 신축된다.
아울러, 외력을 인가받아 외측으로의 이동운동하는 상기 가동봉(4)의 상기 고정걸림체(42)의 상부경사면(423)을 통해 각각의 상기 스톱돌기(61)들이 서로 벌림된 후, 상기 운동쐐기체(7)의 상기 하부경사면(71)의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재근접되면서, 상기 스톱돌기(61)들이 상기 운동쇄기체(7)를 상기 고정걸림체(42)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신축스프링(S2)에 대하여 압축압을 부가하게 된다.
이때, 외력에 의한 상기 가동봉(4)에 대한 외부로의 최대 직선운동범위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가동봉(4)에 대한 외력이 해제되면, 상기 신축스프링(S2)의 압축된 탄성압을 통해 상기 운동쇄기체(7)를 상기 고정걸림체(42)에서 이격시키게 탄성가압하게 되면서, 상기 운동쇄기체(7)가 상기 가이드홈(21)측 방향으로 가압이동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운동쇄기체(7)의 하부경사면(71)에 상기 스톱돌기(61)들이 안내되면서 서로 벌림회전운동하게 되며, 지속적인 상기 운동쇄기체(7)의 복귀운동에 따른 탄성반발력에 의해 상기 저지단턱(33)이 충돌가압되면서 상기 종동봉(3)이 상기 가이드홈(21)측 방향으로 이동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봉(4)의 선단과 결합된 상기 종동봉(3)이 동시에 내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스톱돌기(61)들이 상기 고정걸림체(42)의 상부경사면(423)의 양단에 걸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톱돌기(61)들이 각각의 탄성스프링(S1)들을 통해 서로 근접되면서 탄성가압력을 상기 상부경사면(423)측 방향으로 부여하여 상기 가동봉(4)을 내측으로 가압이동시키게 되며, 각각의 상기 스톱돌기(61)들이 상기 걸림단(421)에 걸림되면서 상기 가동봉(4)을 걸림고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봉(4)과 상기 종동봉(3) 및 상기 스토퍼(6)들의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압축작동장치(1)는, 도 17 내지 도 2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를 가지며, 상기 작동본체(2)에서 상기 가동봉(4)의 직선운동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일측의 가동단(81)에 대한 직선이동압의 인가시에 양측단부에 상기 스톱돌기(61)와 접촉되면서 외측방향으로 안내하여 각각의 상기 스톱돌기(61)들이 서로 벌림되도록 하는 복귀경사면(82)이 형성되며, 상기 가동단(81)에 대한 직선이동압의 해제시에 원위치로 역이동하면서 상기 복귀경사면(82)을 원위치로 위치시키도록 된 보조가동체(8);를 더 포함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가동봉(4)에 대한 외력이 해제되면서, 상기 신축스프링(S2)의 압축된 탄성압을 통해 상기 운동쇄기체(7)를 상기 고정걸림체(42)에서 이격시키게 탄성가압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운동쇄기체(7)가 상기 가이드홈(21)측 방향으로 가압이동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운동쇄기체(7)의 하부경사면(71)에 상기 스톱돌기(61)들이 안내되면서 서로 벌림회전운동한후, 상기 탄성스프링(S1)에 의해 상기 스톱돌기(61)들이 곧바로 좁혀져 상기 스톱돌기(61)들에 의해 상기 가동봉(4)에 대하여 상기 고정걸림체(42)의 상기 진입단(422)가 걸림되면서 상기 가동봉(4)의 원위치로의 초기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불안정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발생될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가동체(8)에 대하여 상기 가동단(81)에 대한 직선이동압의 인가되면, 상기 보조가동체(8)의 양측단부에 형성된 상기 복귀경사면(82)이 이동하면서 상기 스톱돌기(61)를 외측방향으로 안내하여 각각의 상기 스톱돌기(61)들이 서로 벌림회전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벌림된 상기 스톱돌기(61)들에 의해 상기 고정걸림체(42)의 상기 진입단(422)가 걸림상태가 해제되면서 상기 가동봉(4)의 원위치로의 초기화가 제대로 이루어지게 된다.
도 9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압축작동장치(1)가 적용된 개폐장치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압축작동장치가 적용된 개폐장치는, 자동차의 도어(10) 등에 적합하게 적용되어 시설되며, 내부에 작동공간(B)이 형성된 핸들하우징(110)과; 별도의 잠금수단(미도시됨)과 연결된 레버(미도시됨)와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작동단부(121)와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된 손잡이부(122)의 사이에서 상기 핸들하우징(110)의 작동공간(B)에 대하여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핸들(120)과; 상기 핸들하우징(110)과 상기 핸들(120)의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핸들(120)을 도어(10)의 폐쇄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탄성가압하게 구비되는 복귀스프링(S3)과; 상기 압축작동장치(1)와; 길이를 가지며, 양단이 상기 압축작동장치(1)의 상기 가동봉(4)의 선단과 상기 핸들(120)의 작동단부(121)에 각각 결합되는 연결링크(1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도어(10)에서 상기 핸들(120)이 상기 핸들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축회전운동하면서 상기 핸들(120)의 작동단부와 상기 압축작동장치(1)의 상기 가동봉(4)을 연결하는 상기 연결링크(130)에 대하여 이동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작동단부(121)에 연결된 별도의 상기 레버(미도시됨)가 별도의 상기 잠금수단(미도시됨)을 구동하여 상기 도어(10)에 대한 잠금구동 및 해제구동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연결링크(130)가 상기 작동단부(121)의 회전운동에 의해 이동운동하는 중에 상기 압축작동장치(1)의 상기 가동봉(4)을 당김(pull)운동 및 밀림(push)운동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압축작동장치(1)의 구동동작이 진행되면서 상기 작동단부(121)에 대한 가압보조 및 원위치로의 복귀운동에 대한 보조작업이 수행된다.
따라서, 상기 핸들(120)의 개방동작시 개방하중을 보조하여 더욱 부드럽고 가벼운 개방동작을 구현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핸들(120)의 개방동작의 완료되어 상기 핸들(120)에 대한 사용자의 인가하중이 제거되어 상기 복귀스프링(S3)에 의한 복귀압력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압축작동장치(1)의 상기 신축스프링(S2)이 일부 흡수하면서 급격한 상기 핸들(120)의 복귀동작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핸들(120)의 개폐동작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고 핸들(120)의 축회전시 소음의 발생을 최소화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키게 된다.
상기 압축작동장치(1)에서 상기 가동봉(4)의 선단에는, 상기 연결링크(130)가 결속되는 가동로드(43)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압축작동장치가 적용된 개폐장치는, 상기 압축작동장치(1)의 상기 보조가동체(8)의 상기 가동단(81)에 대하여 구비되며 차량운행시(40~50Km/h)에 제어되는 자동잠금프로세스을 통해 상기 핸들(120)에 대한 잠금상태를 고정하는 노브(200) 또는 스위치 또는 버튼이 연동되어 상기 노브(스위치 또는 버튼)(200)가 회전구동 또는 상하 좌우 직선 구동되는 중에 형성되는 작동하중을 통해 상기 가동단(81)에 직선이동압을 인가하도록 되어 있다.
즉, 차량의 운행중에 상기 노브(스위치 또는 버튼)(200)에 대하여 자동제어하는 자동잠금프로세스에 따라, 상기 노브(스위치 또는 버튼)(200)가 회전구동 또는 상하 좌우 직선 구동하게 된다.
이때, 도 20 내지 도 2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브(스위치 또는 버튼)(200)의 회전구동 또는 상하 좌우 직선 구동시 발생되는 작동하중을 통해 상기 보조가동치(8)의 상기 가동단(81)에 직선운동하중이 인가되어 상기 작동본체(2)에서 상기 보조가동체(8)가 직선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복귀경사면(82)이 이동하면서 이와 접촉된 상기 스톱돌기(61)들이 각각 외측방향으로 가압되면서 벌림운동하게 되어, 상기 가동체(4)에 대하여 잠금풀림하게 됨에 따라, 상기 가동체(4)가 원위치로 복귀하지 못하는 상태일 경우에도, 자동적으로 원위치로 복귀하여 초기화상태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핸들(120)에 대한 작동상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구현하게 된다.
상기에서 노브(스위치 또는 버튼)(200)와 상기 가동단(81)은, 별도의 로드케이블(300)을 통해 직선이동압을 전달하도록 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노브(스위치 또는 버튼)(200)와 상기 가동단(81)의 연결구성 및 연결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연결구성 및 연결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 가동단(81)은, 상기 가동봉(4)의 직선이동방향으로 방향성을 가지면서 가압되어 직선이동될 수 있으며; 이때, 복귀경사면(82)은, 도 17 내지 도 2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단(81)이 상기 노브(스위치 또는 버튼)(200)측 방향으로 직선이동할 때 상기 스톱돌기(61)들이 각각 외측방향으로 가압되면서 벌림운동하도록 된 방향성을 가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복귀경사면(82)은, 도 24 내지 도 2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동단(81)이 상기 가동봉(4)의 선단측 방향으로 직선이동할 때 상기 스톱돌기(61)들이 각각 외측방향으로 가압되면서 벌림운동하도록 된 방향성을 가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한 압축작동장치(1)는, 본 출원인에 의해 특허등록된 특허등록번호 제10-2538461호(명칭: 압축작동장치 및 그가 적용된 개폐장치/2023.05.25.등록)에 대하여, 보조가동체가 스토퍼의 벌림회전운동과 연동되어 가동봉에 작동후 스토퍼의 원위치로의 복귀가 이루어지지 않아 가동봉의 복귀되지 않는 상태일 때, 가동단으로 인가되는 별도의 작동하중을 통해 직선운동하면서 스토퍼를 벌림하여 원위치로 복귀시키게 됨에 따라, 가동봉을 초기상태로 자동복귀시키도록 되는 것을 기술적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압축자동장치 10 : 도어
100 : 도어핸들 110 : 핸들하우징
120 : 핸들 121 : 작동단부
122 : 손잡이부 130 : 연결링크
200 : 노브 300 : 연결케이블
2 : 작동본체 21 : 가이드홈
22 : 가이드돌부 3 : 종동봉
31 : 고정공 32 : 고정핀
33 : 저지단턱 4 : 가동봉
41 : 안내홈 42 : 고정걸림체
421 : 걸림단 422 : 진입단
423 : 상부경사면 43 : 가동로드
44 : 조절나사부 5 : 작동덮개
51 : 진입개구 52 : 덮개플랜지
53 : 덮개돌부 6 : 스토퍼
61 : 스톱돌기 7 : 운동쇄기체
71 : 하부경사면 8 : 보조가동체
81 : 가동단 82 : 복귀경사면
A : 압축공간 B : 작동공간
S1 : 탄성스프링 S2 : 신축스프링
S3 : 복귀스프링

Claims (2)

  1. 일단에 개방개구가 형성된 압축공간이 구비되는 작동본체와; 길이를 가지며, 상기 압축공간의 내부에서 개방개구측 방향으로 직선왕복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종동봉과; 길이를 가지며 후단에 상기 종동봉의 선단이 직선운동가능하게 끼움 고정되는 안내홈이 형성되는 가동봉과; 상기 작동본체의 개방개구를 개폐하도록 결속되며, 상기 가동봉의 선단이 외부로 진퇴하도록 직선이동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진입개구가 형성된 작동덮개와; 상기 압축공간에서 상기 종동봉과 상기 가동봉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종동봉과 상기 가동봉측 방향으로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되고, 작동단에 상기 종동봉과 상기 가동봉측 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쐐기형의 스톱돌기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스토퍼들과; 상기 스토퍼들과 상기 작동본체와의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스토퍼들의 작동단들을 상기 종동봉과 상기 가동봉측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도록 구비되는 탄성스프링들과; 상기 가동봉에 구비되며 내부로의 직선이동시 상기 스톱돌기들의 스톱돌기들에 걸림되어 지지되는 걸림단과, 양단에 상기 스톱돌기를 외측방향으로 안내하여 각각의 상기 스톱돌기들이 서로 벌림되도록 하는 상부경사면이 형성된 진입단을 각각 구비하는 고정걸림체와; 상기 종동봉에 형성된 저지단턱에 일단이 저지되게 상기 종동봉에 안내되도록 결합되며, 양단에 상기 스톱돌기를 외측방향으로 안내하여 각각의 상기 스톱돌기들이 서로 벌림되도록 하는 하부경사면이 형성된 운동쇄기체와; 상기 고정걸림체와 상기 운동쇄기체의 사이에 구비되어 신축탄성압을 형성하도록 된 신축스프링;을 포함하는 압축작동장치에 있어서;
    길이를 가지며, 상기 작동본체에서 상기 가동봉의 직선운동방향으로 직선운동가능하게 구비되고, 일측의 가동단에 대한 직선이동압의 인가시에 양측단부에 상기 스톱돌기와 접촉되면서 외측방향으로 안내하여 각각의 상기 스톱돌기들이 서로 벌림되도록 하는 복귀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가동단에 대한 직선이동압의 해제시에 원위치로 역이동하면서 상기 복귀경사면을 원위치로 위치시키도록 된 보조가동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작동장치.
  2. 내부에 작동공간이 형성된 핸들하우징과;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된 손잡이부와 잠금수단과 연결된 레버와 연동되도록 연결되는 작동단부의 사이에서 상기 핸들하우징의 작동공간에 대하여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핸들과; 상기 핸들하우징과 상기 핸들의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핸들을 도어의 폐쇄위치로 복귀시키도록 탄성가압하게 구비되는 복귀스프링과; 상기 제1항의 압축작동장치와; 길이를 가지며, 양단이 상기 압축작동장치의 상기 가동봉의 선단과 상기 핸들의 작동단부에 각각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되는 연결링크;를 포함하는 압축작동장치가 적용된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축작동장치의 상기 보조가동체의 가동단에 대하여 차량운행시에 제어되는 자동잠금프로세스을 통해 상기 핸들에 대한 잠금상태를 고정하는 노브 또는 스위치 또는 버튼이 연동되어 상기 노브 또는 스위치 또는 버튼이 회전구동 또는 상하 좌우 직선 구동되는 중에 형성되는 작동하중을 통해 상기 가동단에 직선이동압을 인가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압축작동장치가 적용된 개폐장치.
KR1020230126500A 2023-09-21 2023-09-21 압축작동장치 및 그가 적용된 개폐장치 KR1026301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6500A KR102630193B1 (ko) 2023-09-21 2023-09-21 압축작동장치 및 그가 적용된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6500A KR102630193B1 (ko) 2023-09-21 2023-09-21 압축작동장치 및 그가 적용된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0193B1 true KR102630193B1 (ko) 2024-01-29

Family

ID=89716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6500A KR102630193B1 (ko) 2023-09-21 2023-09-21 압축작동장치 및 그가 적용된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0193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3129U (ko) 1998-01-26 1998-03-30 김용무 맨홀용 방수 조립식 연결관
KR20030079123A (ko) 2002-04-02 2003-10-10 한국원자력연구소 무동력 파이프 자율 파지장치
KR20110106536A (ko) * 2010-03-23 2011-09-29 박덕훈 도어록 장치
KR20130131872A (ko) 2012-05-25 2013-12-04 주식회사 포스코 롤 스탬핑장치
KR101523691B1 (ko) * 2012-11-14 2015-06-11 (주)제이이엠티 풀타입 도어용 손잡이장치
KR101587031B1 (ko) * 2014-07-31 2016-01-20 주식회사 미영 푸쉬 잠금 장치
KR101873686B1 (ko) * 2017-07-28 2018-07-02 전경국 필름 수납 케이스의 회전식 푸쉬 잠금 장치
KR102037201B1 (ko) * 2018-09-13 2019-10-28 김진선 풀 타입 다목적 도어락
KR102538461B1 (ko) 2023-01-09 2023-05-30 박인묵 압축작동장치 및 그가 적용된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3129U (ko) 1998-01-26 1998-03-30 김용무 맨홀용 방수 조립식 연결관
KR20030079123A (ko) 2002-04-02 2003-10-10 한국원자력연구소 무동력 파이프 자율 파지장치
KR20110106536A (ko) * 2010-03-23 2011-09-29 박덕훈 도어록 장치
KR20130131872A (ko) 2012-05-25 2013-12-04 주식회사 포스코 롤 스탬핑장치
KR101523691B1 (ko) * 2012-11-14 2015-06-11 (주)제이이엠티 풀타입 도어용 손잡이장치
KR101587031B1 (ko) * 2014-07-31 2016-01-20 주식회사 미영 푸쉬 잠금 장치
KR101873686B1 (ko) * 2017-07-28 2018-07-02 전경국 필름 수납 케이스의 회전식 푸쉬 잠금 장치
KR102037201B1 (ko) * 2018-09-13 2019-10-28 김진선 풀 타입 다목적 도어락
KR102538461B1 (ko) 2023-01-09 2023-05-30 박인묵 압축작동장치 및 그가 적용된 개폐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29724B2 (ja) ドアハンドルとドアハンドル用の作動装置とから構成されるシステム
US11598130B2 (en) Hidden handle assembly
US6499789B2 (en) Filler inlet compartment lid operating system
KR101211262B1 (ko) 가동체의 어시스트장치
US5632516A (en) Motor vehicle door handle
US6805386B2 (en) Door lock having a closing aid
CN109292008B (zh) 锁止执行装置和加油/充电小门
CN111836941A (zh) 用于车辆的门把手装置
CN107849876B (zh) 用于前罩的具有电驱动装置的安全设备
JP2011106265A (ja) 安全ドア取手
US20210363793A1 (en) Door handle assembly for a vehicle door
KR102538461B1 (ko) 압축작동장치 및 그가 적용된 개폐장치
KR20030086806A (ko) 자동차용 2웨이 오픈형 콘솔박스 커버구조
KR102630193B1 (ko) 압축작동장치 및 그가 적용된 개폐장치
KR20210055827A (ko) 차량의 슬라이딩/스윙 복합도어
JP4598668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US20060273090A1 (en) Lid device
US20200332575A1 (en) Door handle assembly of a motor vehicle
US20210115708A1 (en) Hood safety system for a vehicle
US20190352944A1 (en) Handle comprising a movable lock cylinder unit
US20190352942A1 (en) Handle comprising a securing element
US20220282533A1 (en) Handle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KR100590950B1 (ko) 자동차 글로브 박스의 푸쉬 타입 록킹 시스템
KR100278200B1 (ko) 자동차 본네트의 밀림방지구조
CN220909408U (zh) 一种平出式车门把手总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