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7966A - 개봉이 용이한 봉투 - Google Patents

개봉이 용이한 봉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7966A
KR20070057966A KR1020077008967A KR20077008967A KR20070057966A KR 20070057966 A KR20070057966 A KR 20070057966A KR 1020077008967 A KR1020077008967 A KR 1020077008967A KR 20077008967 A KR20077008967 A KR 20077008967A KR 20070057966 A KR20070057966 A KR 20070057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polystyrene
envelope
bag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89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후미 가토
유우지 미즈타리
Original Assignee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사히 가세이 케미칼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7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96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natural rubber or synthetic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resins; comprising acrylic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aluminium or cop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synthetic rubber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0Applications of laminates for particular packaging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05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for tearing a side strip parallel and next to the edge, e.g. by means of a line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02Amorph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6Water vapor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46Ba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55Elemental metal containing [e.g., substrate, foil, film, coating,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Wrappers (AREA)
  • Bag Fram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과제] 용이하게, 또한 개봉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개봉할 수 있어, 내용물을 보다 간편하고 확실하게 꺼낼 수 있는 봉투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내층에 알루미늄박을 내재시킴으로써, 방습 효과가 우수하여 내용물의 보존 안정성이 향상된다.
[해결수단] 비정성 폴리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를 함유하는, 비카트 연화 온도가 110∼155℃ 인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과, 폴리에틸렌 필름의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져,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이 봉투의 외측에, 폴리에틸렌 필름이 봉투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또, 내층에 알루미늄박을 내재시킴으로써, 방습 효과가 우수하여 내용물의 보존 안정성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폴리에틸렌 필름, 봉투

Description

개봉이 용이한 봉투{EASY-TO-OPEN BAG}
본 발명은, 개봉이 용이한 봉투에 관한 것으로서, 가스 배리어성이 높고, 장기 보존성이 좋으며, 사용시에는 용이하게, 또한 직선적으로 개봉할 수 있어 내용물을 확실하게 꺼낼 수 있는 봉투에 관한 것이다.
의약품이나 식품 등을 소량씩 작게 구분할 수 있고,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는 봉투로서, 일반적으로 셀로판과 폴리에틸렌을 라미네이트한 봉투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 봉투는, 셀로판측을 봉투의 외측에, 폴리에틸렌 필름측을 봉투의 내측에 되도록 위치시켜 히트 시일(seal)되어 있다. 다른 필름을 표면 소재로 하여 사용한 봉투에 비하여 단부로부터 인열(引裂)할 수 있어, 개봉이 용이한 봉투로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그 봉투의 개봉성은 충분하지 않아, 인열된 방향과는 다른 방향으로 인열면이 어긋나는 경우가 있어, 내용물을 흘리거나, 꺼내기 어렵다. 또, 셀로판은 원래 셀룰로오스로 만들어져, 수분을 많이 흡수한다. 수분을 흡수함으로써 적층 필름이 크게 컬링되어, 그 적층 필름을 제대(製袋)하는 경우에 손실이 많았다. 또한, 제대되어, 내용물을 담은 봉투에서도 수분을 흡수함으로써 내용물이 눅눅해진다. 예를 들어, 가루약 등을 넣은 봉투에서는 가루약까지 눅눅해 져, 개봉 후 꺼내기 어렵고, 약이 변질될 위험성도 있었다.
또한, 셀로판은 그 흡습도에 따라, 필름의 강성이나 내충격성이 상이하다. 그 결과, 제대시나 라미네이트 가공시에 손실이 발생되거나, 충격에 의해 찢어지기 쉽거나, 접은 부분에서 핀홀이 발생하였다. 이런 현상은, 내용물이 밖으로 흐르거나 하여, 특히 의약품인 경우에는 내용물의 변질로도 이어졌다.
셀로판 대신에, 일반적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에스테르의 필름을 사용하는 것도 시도되었다. 그러나, 이들 필름에서는, 원래의 필름의 강성이 낮은 점 등으로 인해, 봉투로 했을 경우에 반드시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는 것만은 아니었다. 그 때문에 봉투에 절결부나 노치를 형성하거나 하였으나, 봉투의 어느 부분에서도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가공 단계에서 내용물에 상처를 내거나 하여, 악영향을 초래하는 경우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셀로판 대신에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서 일반적인 폴리스티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을 사용하고, 이것과 히트 시일성이 있는 폴리올레핀 필름과의 적층에 의해 적층 필름을 만들고, 이것을 히트 시일하여 개봉하기 쉬운 봉투로 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그러나, 이 적층 필름을 사용했을 경우, 사용하는 수지의 폴리스티렌과 폴리올레핀 사이에 융점차가 적고, 히트 시일이 되기 어렵다는 결점이 있었다. 즉, 상기 기술한 셀로판과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적층 필름은, 의약품 포장용 봉투로서 일반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을 제대하는 기계는, 기본적으 로 용융되지 않는 셀로판을 염두에 두고 설계된 기계이기 때문에, 그 히트 시일 온도가 맞지 않고, 히트 시일된 부분이 수축되어 양호한 봉투가 되지 않았다. 또, 봉투가 되었다 하더라고, 폴리스티렌 수지의 용융에 의해, 필름을 만드는 수지가 고화되어 버려, 용이하게 개봉할 수 없는 봉투가 되었다. 또한, 양호한 봉투를 얻기 위해 히트 시일 온도를 내려 제대하면, 제대 속도가 늦어져 효율이 나빴다. 이 때문에, 실제로 이들 목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았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히트 시일 수지로서 특수한 폴리올레핀을 사용함으로써, 적층 필름의 폴리스티렌 필름과 폴리올레핀 필름의 수지의 융점차를 크게 하여, 효율적으로 봉투를 만드는 것도 실시되고 있다 (특허 문헌 2). 그러나, 개시되어 있는 폴리올레핀의 융점은 70℃∼105℃ 로서, 이 폴리올레핀을 사용하여 일반적인 폴리스티렌을 사용한 적층 필름으로해도, 양호하게 히트 시일할 수 없었다. 즉, 일반적인 폴리스티렌은, 그 연화 온도가 105℃ 정도로, 거의 유효한 융점차라고 할 수 없어, 히트 시일의 효율을 높일 수 없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보급된 제대기의 설정 온도에서는, 히트 시일에 문제를 발생시킨다. 양호한 봉투로 하는 경우에는 특수한 히트 시일 온도를 내린 제대기로 할 필요가 있어, 상기 봉투의 보급까지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고도의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결정성 스티렌계 중합체를 이용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적층 필름의 폴리스티렌 필름의 수지의 비카트 연화점과, 폴리올레핀 필름의 수지의 융점차를 크게 하여, 2 개의 필름을 히트 시일함으로써, 효율적으로 봉투를 만드는 것도 실시되고 있다 (특허 문헌 3). 그러나, 신디오택 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티렌은, 결정성이 있기 때문에, 적층 필름으로 하기 위해 폴리올레핀과 라미네이트를 하는 경우나, 얻어진 적층 필름을 제대하는 경우에, 각각의 공정에서 열이 필름에 전해져, 필름이 불투명화되거나, 부분적으로 백화되어 버리거나 하여, 얻어진 봉투도 실용할 가치가 없었다. 또한, 신디오택틱 구조를 갖는 폴리스티렌을 투명한 필름으로 할 때에도, 전용 설비가 필요해져 공정상 관리가 어렵고, 균일한 투명 필름을 얻는 것이 곤란하여, 고비용의 물건이 되어 버렸다. 이 때문에, 역시 이 봉투의 보급까지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폴리프로필렌 필름이나 폴리에스테르 필름 등의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는 수지 필름과, 폴리스티렌 필름 등의 인열되기 쉬운 필름을 적층하여, 이 적층된 필름을 기재 필름으로 하여 용이하게 개봉함을 목표로 하는 발명이 있다 (특허 문헌 4). 그러나, 이 발명에서는, 일반적으로 잘 찢어지지 않는 것을 목표로 한 필름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상반되는 성능을 가진 필름의 중첩에 지나지 않아, 인열성이나 인열 직진성은 나빴다.
특허 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3-79호
특허 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71196호
특허 문헌 3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338089호
특허 문헌 4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166529호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은, 봉투로 가공할 때에, 주름이나 변형이 없는 등의 가공 적성이 우수하고, 용이하게, 또한 인열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개봉할 수 있어, 내용물을 보다 간편하고 확실하게 꺼낼 수 있는 봉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내층에 알루미늄박을 내재시킴으로써, 방습 효과를 향상시켜, 내용물의 보존 안정성이 높은 봉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을 이르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하기와 같다.
(1) 비정성 폴리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를 함유하는, 비카트 연화 온도가 110∼155℃ 인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과, 폴리에틸렌 필름의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져,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이 봉투의 외측에, 폴리에틸렌 필름이 봉투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2)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과 폴리에틸렌 필름 사이에 알루미늄박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에 기재된 봉투.
(3)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의 가열 수축 응력이 300KPa∼6000KPa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에 기재된 봉투.
(4) 비정성 폴리스티렌계 공중합 수지가, 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 수지, 스티렌-메타크릴산 공중합 수지, 스티렌-무수말레산 공중합 수지, 및 스티렌-α-메틸스티렌 공중합 수지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에 기재된 봉투.
(5)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이 하이임펙트 폴리스티렌, 스티렌-공액디엔계 공중합물, 및 스티렌-지방족 카르복실산계 공중합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폴리스티렌계 공중합 엘라스토머를, 0.5∼35wt%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에 기재된 봉투.
(6) 적층 필름의 HAZE 가 7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에 기재된 봉투.
(7) 폴리에틸렌 필름이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에 기재된 봉투.
(8) 적층 필름이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과 거기에 접합된 폴리에틸렌 필름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에 기재된 봉투.
(9)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과 폴리에틸렌 필름은, 접착제로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8) 에 기재된 봉투.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봉투로 가공할 때에, 주름이나 변형이 없는 등의 가공 적성이 우수하고, 용이하게, 또한 개봉한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개봉할 수 있어, 내용물을 보다 간편하고 확실하게 꺼낼 수 있는 봉투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내층에 알루미늄박을 내재시킴으로써, 방습 효과가 우수하여 내용물의 보존 안정성이 향상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 대하여, 특히 바람직한 양태를 중심으로,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은, 비정성 폴리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로 이루어진다. 봉투의 내열성 관점에서,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 중의, 비정성 폴리스티렌계 공중합 수지의 중량 비율은, 65wt% 이상이 바람직하고, 70wt%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비정성 폴리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로 이루어지는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의 비카트 연화 온도는 110∼155℃ 이며, 바람직하게는 113∼147℃, 보다 바람직하게는 120∼140℃ 이다.
필름의 비카트 연화 온도는, ASTM-D-1525 에 준하여 측정된다. 비카트 연화 온도가 110℃ 보다 높으면, 봉투의 강성이 적당하게 높아지고, 인열 직진성, 및 인열성 (필름에 노치를 넣지 않아도, 손으로 용이하게 인열할 수 있는 인열성) 이 특히 양호해진다. 또한, 히트 시일층이 되는 폴리에틸렌 필름과의 폴리라미네이션 가공시에, 폴리스티렌 필름에 열수축이 일어나기 어렵고, 봉투로 가공하는 히트 시일 시에는, 히트 시일된 부분에도 열수축이 일어나기 어려워, 봉투의 형상이 뒤틀리거나, 히트 시일 부분에 핀홀이 일어나지 않는다.
필름의 비카트 연화 온도가 155℃ 보다 낮으면, 적당한 봉투의 강인성이 얻어져, 봉투에 충격이 더해졌을 때에 쉽게 찢어지거나 핀홀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 봉투에 충분한 인열 직진성, 인열성을 부여할 수 있다.
사용하는 필름의 비카트 연화 온도에 따라서, 당해 봉투의 인열 직진성이나, 인열성이 좌우되기 때문에, 중요한 요건이다.
비정성 폴리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는 한정되지 않으며, 스티렌 공중합 수지 단독이어도 되고, 스티렌 공중합 수지에 각종 수지나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스티렌 공중합 수지는, 스티렌모노머와 임의의 모노머를 공중합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o-메틸스티렌, m-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t-부틸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디페닐에틸렌 등의 스티렌계 유도체, 부타디엔, 이소프렌 등의 공액 디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부틸메타크릴레이트, 헥실메타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알킬 치환 메타크릴레이트 화합물,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 치환 아크릴레이트 화합물, 메타크릴산, 아크릴산, 무수말레산, N-치환 무수말레이미드,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클로로스티렌, 브로모스티렌 등의 비닐 모노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단량체를 단독 또는 2 종 이상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를 단독 또는 2 종류 이상 혼합해도 된다.
내열성을 부여하고, 또한 얻어진 봉투의 인열성이나 탄력을 좋게 하기 위해서는, 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 수지, 스티렌-메타크릴산 공중합 수지, 스티렌-무수말레산 공중합 수지, 및 스티렌-α-메틸스티렌 공중합 수지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류의 공중합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비정성 폴리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를 만드는 스티렌의 중량 비율은, 본 발명의 비카트 연화 온도를 110∼155℃ 의 범위로 할 수 있으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50wt%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wt% 이상이다. 이들 스티렌의 중량 비율은, 공중합하는 스티렌 이외의 모노머의 비율이나,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을 만들 때에 첨가되는 첨가물에 의해 상이하기 때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바람직한 공중합 수지로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무수말레산을 이용하는 경우, 비정성 폴리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로 이루어지는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의 비카트 연화 온도를 110∼155℃ 로 하기 위해서는, 그 수지의 공중합 비율은 3∼30wt% 가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α-메틸스티렌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9∼50wt% 가 바람직하다. 이들 수지를 바람직한 범위 내에서 공중합함으로써, 내열성이 향상되는 이상, 필름을 만들 때에 압출 가공성이 양호하게 된다.
비정성 폴리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는, 어택틱 구조 혹은 아이소택틱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중에서, 비정성이란, 결정화도가 10% 이하인 것을 말한다. 결정화도는,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며, 완전 비정성에 가까울수록 좋다. 결정화도는, 결정 융해 발열량으로부터 일반적으로 산출할 수 있는 시차주사 열량 측정법 (DSC법) 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비정성이면, 수지의 결정성이 낮기 때문에, 필름을 만들 때에 백화가 없고, 그 후의 폴리올레핀과의 폴리라미네이션 가공시나, 제대할 때에, 열에 의한 결정화가 발생되지 않고, 투명성이 높으며, 강인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나아가, 비정성으로 함으로써, 봉투로 가공할 때에, 재결정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열수축성이나 인열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서는, 비정성 폴리스티렌계 공중합 수지의 제법은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제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스티렌계 폴리머의 중합법으로는, 예를 들어, 열이나 개시제 사용에 의한 라디칼 용액 중합, 라디칼 현탁 중합, 라디칼 유화 중합, 유기 금속 화합물을 이용한 음이온 중합, 전이 금속 착물에 의한 배위 음이온 중합, 루이스산을 이용한 양이온 중합 등에 의한 방법이 있다. 또한, 시판되는 수지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스티렌-메타크릴산 공중합 수지로서는, 폴리스티렌재팬사 제조의 상품명 : G9001 이나 다이닛폰 잉크 화학 공업사 제조, 류렉스 (등록 상표) A-14, 스티렌-무수말레산 공중합 수지로는, NOVA 사 제조, DYLARK (등록 상표) 232, 332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수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정성 폴리스티렌계 공중합 수지의 분자량은 한정되지 않고, 필름화될 때에 충분한 용융 점성이 얻어지는 것이면 된다. 또한, 얻어지는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 중에 잔존하는 모노머, 다이머, 트리머 등의 스티렌계 저분자량 성분은 한정되지 않지만, 내용물이 의약품이나 식품인 것을 고려하면 낮은 편이 바람직하고, 10000ppm 이하가 바람직하다.
비정성 폴리스티렌계 공중합 수지에는, 본 발명의 요건과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한, 막 제조성이나 내충격성을 부여하는 목적으로, 각종 수지를 첨가해도 된다. 각종 수지로는, 비정성 폴리스티렌계 공중합 수지와 상용하는 수지이면 되고, 예를 들어, ABS 수지, PPE 수지, 폴리스티렌계의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다. 상용성 면에서, 폴리스티렌계의 엘라스토머가 바람직하다.
폴리스티렌계 엘라스토머란, 비정성 폴리스티렌계 공중합 수지에 막 제조성이나 내충격성을 주는 물질로서, 일반적으로 실온에서 고무 탄성을 갖는 물질을 말하고, 분자 중에 탄성을 나타내는 고무 성분 (소프트 세그먼트) 을 갖는 것을 말한다. 폴리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비카트 연화 온도는, 폴리스티렌의 비카트 연화 온도 (105℃) 보다 낮고, 일반적으로는 90℃ 보다 낮다. 폴리스티렌계 엘라스토머로는, 예를 들어, 하이임펙트 폴리스티렌, 스티렌-공액 디엔계 공중합물, 스티렌-지방족 카르복실산계 공중합물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에서 선택된 적어도 일종의 폴리스티렌계 엘라스토머를 첨가하는 것은 보다 바람직한 양태이다.
필름을 제조할 때의 막 제조성, 얻어진 봉투의 내충격성, 내열성, 탄력과의 밸런스, 투명성 악화에 대한 영향도로부터, 폴리스티렌계 엘라스토머는,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 중, 0.5∼35wt%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wt% 이다. 첨가량이 0.5wt% 이상인 경우, 필름화할 때에 막 제조성이 안정적이고, 얻어진 봉투의 내충격성이 향상된다. 또한, 첨가량이 35wt% 이하인 경우, 봉투의 인열성, 내열성, 탄력이 양호하고, 투명성이 높다. 이들 폴리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첨가는, 필름을 만들 때에 종류나 양을 선정하면 좋고, 본 발명의 요건을 저해하지 않는 한, 당사자가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정성 폴리스티렌계 공중합 수지에, 열안정성, 기계적 안정성, 내후성, 내광성을 높이기 위해, 열안정제, 산화 방지제, 내광제, 정전기 방지제 등의 안정제를 첨가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열안정제, 산화 방지제, 내광제의 예로는, 페놀 계, 아민계, 인계, 유황계, 힌더드아민계 안정제 등이 있고, 본 발명의 목적과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이면 이들 안정제를 배합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상기 안정제 이외에, 무기계 미립자나 유기계 미립자 등의 미립자상 안티 블로킹제, 가소제, 윤활제, 착색제, 대전 방지제 등, 공지된 첨가제를, 본 발명의 요건과 특성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의 제조 방법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당해 수지를 용융하여 T-다이 등으로부터 압출하고, 원반(原反) 을 연신 롤로 세로 연신한 후에 텐터로 가로 연신하는 텐터법, 또는 서큘러 다이로부터 압출하고, 인플레이션 연신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인 인열 용이성을 달성시키기 위해, 2 축 연신 필름일 필요가 있다. 즉, 필름을 흐름 (MD) 방향과 폭 (TD) 방향으로 2 축에서 연신함으로써, 완성된 봉투를 임의의 방향으로 용이하게 손으로 인열할 수 있는, 인열 용이성의 봉투를 만들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폴리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를 이용하고, 추가로 이들 수지의 분자의 배향을 제어함으로써, 손으로 용이하게 인열할 수 있고, 또한 인열 직진성이 양호하게 된다. 수지의 분자의 배향이 높으면, 인열하기 시작할 때의 인열성이 증가하여, 손으로 용이하게 인열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인열된 방향으로 분자가 배향되기 때문에, 인열의 직진성이 양호하게 된다.
본 발명의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의 가열 수축 응력은, 얻어지는 필름의 탄성이나 열수축성 및 인열성의 관점에서, 임의의 방향에 있어서 300∼6000KPa 가 바람직하고, 400∼4000KPa 가 보다 바람직하다. 가열 수축 응력은,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한다. 본 발명에서 인열의 직진성이나 인열성의 장점은, 당해 수지의 분자 배향에 따라 다르지만, 그 분자 배향을 정량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지표로서, 가열 수축 응력을 들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폴리스티렌계 수지 필름의 가열 수축 응력은, 300KPa 이상인 경우에는, 봉투의 충격 강도나 내굴곡 굽힘 강도가 강하고, 외력에 대해서 쉽게 접어 굽혀지거나, 찢어지거나 하지 않는다. 또한, 수지의 폴리머의 배향이 충분히 얻어지기 때문에, 봉투의 인열 직진성이나 인열성이 향상된다. 6000KPa 이하인 경우에는, 제대 가공하는 성형시에 필름이나 적층물이 수축되지 않고, 봉투에 주름이 발생되기 어렵다.
이들 가열 수축 응력은, 텐터 연신법이나 인플레이션 연신법 등에 있어서, 그 연신도나 연신 온도 등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즉, 연신도가 낮으면 가열 수축 응력은 작아지고, 연신도가 크면 가열 수축 응력도 커진다. 또, 동일한 연신도의 경우에도, 연신 온도가 높으면 가열 수축 응력은 작아지고, 연신 온도가 낮으면 가열 수축 응력은 커진다. 이들 연신 온도나 연신도를 제어하는 것이 필름을 성형할 때의 중요한 점이다. 또한, 가열 수축 응력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텐터 연신법이나 인플레이션 연신법 등으로 필름을 얻은 후에, 열세트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들 열세트는, 정장(定長)이나 프리이어도 되고, 세트 온도는 적절하게 선정하면 된다.
본 발명에 이용하는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의 열수축률 (120℃ 의 오일에 10 초간 침지했을 때의 수축률) 은, 한정되지 않지만, 0∼10% 가 바람직하고, 0∼7% 가 보다 바람직하다. 열수축률이 10% 이하이면, 봉투로 했을 경우에 주름 등의 발생이 없다.
T 다이 등으로부터 압출된 폴리스티렌 필름의 연신 방법으로는, 인플레이션 연신법이나 텐터 연신법 등을 들 수 있지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연신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수지의 용융 점도가 높아지고, 연신 배율이 낮아도 수지의 분자의 배향이 높아진다. 한편, 연신 온도가 높은 경우에는 수지의 용융 점도는 낮아지고, 연신 배율이 높아도 수지의 분자의 배향은 낮아진다. 그 때문에, 연신 온도는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의 가열 수축 응력에 직접 관계되는, 수지 분자의 배향의 제어가 중요하다.
인플레이션 연신법으로는, 연신 배율은, 흐름 (MD) 방향, 폭 (TD) 방향 각각에 3∼12 배가 바람직하다. 연신 배향의 부여에 의한 당해 봉투의 특징인 인열성의 장점과, 탄력의 강도의 발현과, 연신의 균일성의 관점에서, 특히 5∼10 배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연신 배율이 3 배 이상인 경우에는 연신 배향도가 적당하고, 봉투의 내충격성이 높아져, 얻어지는 봉투의 인열성이 좋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연신 배율이 12 배 이하인 경우에는 필름의 열수축률이 낮고, 봉투로 했을 경우에 주름 등의 발생이 없다.
텐터 연신법으로는, 동시 2 축 연신법으로는, 연신 배율은, MD 방향 또는 TD 방향 각각으로 1.5∼8 배가 바람직하다. 연신 배향의 부여에 의한 당해 봉투의 특징인 인열성, 연신의 균일성의 관점에서, 특히 2∼6 배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연신 배율이 1.5 배 이상인 경우에는, 연신 배향도가 적당하여 봉투의 내충격성이 높아지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얻어지는 봉투의 인열성이 좋아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연신 배율이 8 배 이하인 경우에도, 배향도가 적당하고, 2 차 성형시, 즉 폴리라미네이션 가공시나 제대 가공시에 필름의 수축이 일어나지 않아 바람직하다.
축차 2 축 연신 텐터법으로는, MD 방향의 연신 배율은, 1.3∼4.0 배가 바람직하고, TD 방향은 4∼8 배가 바람직하다. 축차 2 축 연신 텐터법에서는, 처음에 MD 방향으로 연신하고, 그 후 TD 방향으로 연신하기 위해, 분자의 배향 밸런스를 취하기 위해 연신 배율을 상이한 조건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당해 봉투를 인열했을 경우, 인열성은 임의의 방향과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봉투는 어느 방향으로부터도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고, 그 인열의 전파는 동 방향으로 나아가기 쉽다. 일반적으로는 봉투는 4 각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개봉 방향은 봉투의 세로, 혹은 가로 방향이 되고, 어느 방향으로부터도 손으로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으며, 그 인열의 전파는 동 방향으로 나아가기 쉽다. 이들 특성은, 셀로판이나 다른 플라스틱 필름과는 크게 상이하며, 본 발명의 특히 유효한 부분이다. 즉, 개봉하는 방향과는 별도의 방향으로 인열된 부분이 전파되는 경우, 분말상의 의약품이나 식품 등을 싼 봉투에서는, 개봉시에 그 내용물이 흘러나올 가능성이 있다. 의약품인 경우에는, 그 사용량은 개인마다 처방되고, 그 내용량도 엄밀하게 규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 인열 방향의 직진성은 특히 유효성이 높다.
또한, 봉투의 일 방향으로부터만, 용이하게 또한 직선적으로 인열할 수 있는 당해 봉투를 제작할 수도 있다. 즉, 봉투의 일 방향으로부터만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고, 개봉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부터는 쉽게는 개봉할 수 없는 봉투를 제작할 수 있다. 이들 봉투는,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을 만들 때에, MD 방향, TD 방향의 연신 배율을 극단적으로 바꾸는 등의 수단에 의해, 얻어지는 봉투의 인열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방향의 필름의 인열성을 양호하게 하면, 이 필름을 이용한 봉투는 일 방향만을 용이하게 인열할 수 있고, 또 다른 일 방향은 거의 인열할 수 없는 제품을 만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의약품이나 식품을 넣는 봉투에서, 스틱 포장 등은, 가로 방향만이 적용되는 점이, 상기한 이유에서 유효성이 높다.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의 두께는 5∼60㎛ 가 바람직하다. 봉투의 탄력, 가공 적성, 인열성의 밸런스로부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40㎛ 이다. 필름이 5㎛ 이상이면, 봉투가 찢어지기 어렵고, 나아가 탄력이 강하고, 가공 적성이나 작업성이 좋다. 또, 60㎛ 이하이면, 봉투로 했을 경우에 인열성이 좋아져, 용이하게 손으로 찢을 수 있다. 또한, 최종적인 봉투의 가격도 낮게 할 수 있다.
히트 시일층이 되는 폴리에틸렌 수지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폴리에틸렌 수지로는,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그들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또한, 이들 수지는, 접착성을 높이거나 수지의 연화점이나 히트 시일 온도를 제어하는 목적으로, 히트 시일성을 갖는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에스테르 공중합체, 산(酸)코폴리머의 이온 가교체 (아이오노머), 싱글사이트 촉매 (메탈로센계 촉매) 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에틸렌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고, 단독 혹은 다른 올레핀 수지와 혼합한 조성물이어도 된다.
폴리에틸렌 필름의 두께는, 히트 시일층으로서 기능하면, 적절하게 그 두께를 선택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5㎛∼50㎛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40㎛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30㎛ 이다. 5㎛ 이상인 경우, 충분한 접착 강도가 얻어져, 봉투를 제조할 때에 접착 불량이나 핀홀이 발생되기 어려워진다. 또, 50㎛ 이하인 경우, 코스트가 낮아지고, 제대된 봉투의 인열 용이성이 좋아진다.
히트 시일층이 되는 폴리에틸렌 수지의 융점은 한정되지 않지만, 비정성 폴리스티렌계 공중합 수지의 비카트 연화 온도로부터 5℃ 이상 낮은 것이 바람직하고, 10℃ 이상 낮은 편이 보다 바람직하고, 20℃ 이상 낮은 편이 더욱 바람직하다. 5℃ 이상 낮으면, 히트 시일할 수 있는 온도 범위가 넓게 얻어져 양호한 봉투를 얻을 수 있다.
히트 시일층이 되는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의 인장 신도는, 낮은 편이 바람직하다.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의 인장 신도가 낮으면, 얻어진 봉투를 인열하기 쉬워진다. 즉,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의 신도가 커져, 봉투를 인열했을 때에,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만이 신장되고, 층간에서 박리가 일어나,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이 가지는 인열성의 장점을 저해하여, 봉투를 개봉하기 어려워진다. 이 때문에,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의 신도는, 900%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0% 이하이다. 마찬가지로, 폴리에틸렌 수지 필름의 탄성률은 높은 편이 좋고, 얻어진 봉투를 인열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폴리에틸렌 수지의 굽힘 탄성률은 50MPa 이상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MPa 이상이다. 이들 인장 물성은 JIS K7113 으로 측정되고, 굽힘 탄성률은 JIS K7203 으로 측정된다.
봉투 안에 넣는 의약품이나 식품 등이 가루상인 경우에는, 충전 포장할 때에, 분말이 대전하여 잘 들어가지 않는 것을 방지하거나, 봉투로부터 충전된 분체를 쉽게 꺼내기 위해, 폴리에틸렌 수지나 폴리스티렌 수지에 대전 방지제를 반죽해 넣거나, 코팅하는 방법은, 더욱 바람직한 양태이다. 특히, 대전 방지제는, 내용물이 직접 접촉하는 폴리에틸렌 측의 수지층, 즉 내층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내용물이 의약품이면, 표면에 도포하는 방법보다 수지에 반죽해 넣는 것에 의한 방법이 보다 바람직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내용물이 안에 남거나 하는 것이 없다. 특히, 의약품인 경우에는, 그 섭취량은 한정되어야 하기 때문에, 내층에 대전 방지 가공하는 것은 더욱 바람직하다.
히트 시일성의 폴리에틸렌 필름과,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을 적층하여 적층 필름으로 하는 방법은 한정되지 않는다. 미리 제작된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과 폴리에틸렌 필름을 접착시켜 적층해도 되고,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 위에, 용융된 폴리에틸렌을 압출하여 코팅 (폴리라미네이션) 해도 된다. 가공 용이 관점에서, 폴리라미네이션이 보다 간편하여, 더욱 적층 필름의 접착성을 높일 수 있다. 폴리라미네이션시에는, 미리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의 접착성을 높인 필름을 이용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오존 처리나 방사선 처리 등에 의해 폴리에틸렌 수지의 활성을 높이는 (접착하는 수지층을 산화시켜 접착성을 높이는) 방법도, 적층된 필름을 적층 가공 후에 에이징 (열처리 노에 잠깐 넣는다) 하는 방법도 바람직하다. 폴리라미네이션시의 폴리에틸렌 수지를 용융 압출하는 온도는 높은 편이 접착성은 보다 향상되고, 일반적으로 280℃ 에서 300℃ 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폴리스티렌 필름층과 폴리에틸렌 필름층의 접착성을 높이는 목적으로, 접착제로서 앵커코트제를, 미리 적층하기 전에 도포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앵커코트제는, 접착성을 높이는 것이면 한정되지 않는데, 예를 들어 우레탄계, 이민계, 부타디엔계, 천연 고무계, 카제인, 폴리비닐알코올계,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에테르-무수말레산계 공중합체, 스티렌계 중합체, 폴리페닐렌에테르계 공중합체 등의 앵커코트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앵커코트제를 녹이는 용제나 희석액을, 폴리스티렌 필름에 도포하는 경우에는, 필름이 용제에 의해 더러워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알코올계나 수계 등의 용제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접착제로서 이용하는 앵커코트제의 도포량은, 접착성이 손상되지 않으면, 필요 최저한의 양이 좋고, 일반적으로 건조 중량으로 10㎎/㎡ 이하가 바람직하고, 5㎎/㎡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스티렌 필름의 접착성은, 그 지표로서, 표면 장력이 35mN/m 이상이 바람직하고, 40mN/m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한은 상관없지만, 80mN/m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들 표면 장력값은, 상기 물리적인 방법 및/또는 화학적인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접착성이 좋으면, 상기에서 서술한 폴리스티렌 필름의 인열성의 장점을 살려, 폴리에틸렌 필름과 적층하여 얻어진 봉투의 개봉 용이성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최종적으로 사용하는 봉투는 표면에 인쇄하는 경우가 있지만, 이 인쇄성을 높이기 위해, 방전 가공 등의 물리 가공이나 코팅 등의 처리를 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한편, 적층 필름의 제조 코스트를 내리는 목적으로는, 각각의 수지를 공압출하여, 적층 필름을 만드는 방법도 바람직하다. 공압출하는 경우의 적층 필름의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2 축 연신 폴리스티렌을 제작하는 필름화 조건과 동일하다. 또한, 공압출할 때에, 폴리스티렌 필름층과 폴리에틸렌 필름층의 접착성을 높이는 목적으로, 접착제로서 접착성의 수지를 폴리스티렌 필름층과 폴리에틸렌 필름층의 층 사이에 넣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들 접착제용 수지로는, 아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 (예를 들어, 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 등), 아이오노머 수지, 산(酸)변성 폴리에틸렌 수지 (예를 들어, 산변성으로는, 무수말레산, 카르복실산에 의한 변성 수지), 에틸렌· 아세트산 비닐 수지, 스티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 수소 첨가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부틸렌)블록-폴리스티렌 수지, 스티렌·에틸렌·올레핀 결정 블록 코폴리머,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프로필렌)블록 폴리머 수지,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프로필렌)블록-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스티렌-폴리(에틸렌-에틸렌/프로필렌)블록-폴리스티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성을 높이는 수지로는, 아크릴레이트 변성 폴리에틸렌 수지, 산변성 폴리에틸렌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들 접착제로서 이용하는 접착성 수지의 양은, 접착성이 손상되지 않으면, 필요 최저한의 양이 좋고, 5μ/㎡ 이하가 바람직하고, 3μ/㎡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과 폴리에틸렌 필름의 적층 필름의 가열 수축 응력은, 임의의 방향으로 50∼3000KPa 가 바람직하고, 100∼2000KPa 가 보다 바람직하다.
적층 필름은, 제품이나 성형품에 대전 방지성, 방담성(防曇性), 내유성 등의 기능을 부여하는 목적으로, 대전 방지제나 방담제를 편면 혹은 양면에 부착시킨 필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과 폴리에틸렌 필름의 접착을 높이는 목적으로,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을 적층하는 측에, 표면 장력을 높이기 위해, 코로나 처리나 플라즈마 처리 등의 방전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봉투는, 상기한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을 외측에, 폴리에틸렌 필름을 내측이 되도록 배치하고 있다.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을 외측으로 함으로써, 본 필름의 인열성의 장점을 살려, 보다 직선적으로 개봉이 용이한 봉투 형상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 중에서, 적층 필름을 이용하여 히트 시일하고, 봉투 형상물을 얻기 위한 접착 방법은 한정되지 않고, 여러 접착 방법을 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열 롤 사이를 2 장의 필름을 통과시켜 히트 시일하는 방법이나, 열판에서 2 장의 필름의 위로부터 누르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봉투는, 포장용 봉투, 특히 봉투 외주의 가장자리부의 적어도 2 쪽에 히트 시일선이 위치하도록 히트 시일하여 이루어지는 개봉이 용이한 포장용 봉투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삼각형의 봉투인 경우, 꺾어 접은 2 변을 히트 시일하면 되고, 일반적인 사각형의 봉투에서는, 3 방향 시일이나, 4 방향 시일로 봉투 형상물을 제작해도 되고, 또는 베개 형상의 포장이어도 된다. 이들 봉투 형상물의 형상은, 의약품이나 식품을 담는 봉투의 공급자가, 안에 포장되는 것의 성상에 의해 선정하거나, 그것을 실제로 소비하는 사용자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선정하면 된다. 또한, 히트 시일하는 부분이나 폭도 상기와 동일하게, 사용자가 적절하게 선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투명한 봉투를 얻는 경우에는, 적층 필름의 투명성 (HAZE) 은, 바람직하게는 70%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이다. HAZE 가 70% 이하인 경우에는, 제대 가공한 후의 봉투에 넣는 의약품이나 식품 등의 종류, 색, 형상 등의 정보가 밖에서 쉽게 볼 수 있어, 바람직하다. 특히, 의약품인 경우, 의약품의 식별 번호나 색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투명성은 중요한 인자이다. 이 의미에서, 필름의 색도 무색에 가까운 편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봉투는,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과 폴리에틸렌 필름 사이에 알루미늄박을 배치해도 된다. 알루미늄박을 배치함으로써, 봉투의 방습 효과를 향상시켜, 내용물의 보존 안정성을 올릴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봉투를 만들 때에,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과 폴리에틸렌 필름의 적층 필름 이외의 수지 필름을 사용하는 것은, 그 인열성이나 인열의 직진성을 저해하지 않으면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수지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 나일론 필름 등) 의 인열성이나 인열 직진성을 높이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을 복합함으로써, 봉투의 개봉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수지 필름은, 손으로 용이하게 인열한다는 인열성이나 인열 직진성은 매우 나쁘고, 개봉 용이성의 목적을 달성하는 봉투가 필요하면,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과 거기에 접합된 폴리에틸렌 필름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알루미늄박은, JIS4160 에 의한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박이 나타나는 부류 중의 1N30 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박은, 경질박과 연질박으로 크게 나눠지지만, 연질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적층 필름의 접착성을 좌우하기 때문에, 표면에 남는 압연유를 배려할 필요가 있다. 알루미늄박의 두께는, 가스 배리어성과 인열성을 고려하여, 3∼70㎛ 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50㎛ 이다. 두께가 3㎛ 이상인 것은 가스 배리어성이 충분하고, 핀홀의 우려가 없다. 또한, 70㎛ 이하인 것은 인열성이 높고, 손으로 용이하게 개봉할 수 있게 된다.
알루미늄박은,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 폴리에틸렌 필름과의 접착력을 높이기 위해, 이들 필름과의 적층 시에 우레탄계, 이민계, 부타디엔계 등의 앵커코트제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루미늄박과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의 접착 적층 방법은, 웨트 라미네이트법, 드라이 라미네이트법, 무용제 라미네이트법, 압출 라미네이트법 등에 의해 실시할 수 있다.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과 알루미늄박을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는 경우에는, 접착제를 알루미늄박 측에 도포하여 건조시킨 것을, 폴리스티렌 필름과 접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이용한, 평가의 측정 방법과 판정 기준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1) 비카트 연화 온도 (이하 : Vsp 라고 한다)
ASTM-D-1525 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하중 9.8N, 승온 속도 5℃/min).
(2) HAZE
ASTM-D1003 에 준거하여 측정하고, 소수점 이하 1 자리수의 값에 사사오입하여 구하였다.
(3) 제대 가공한 봉투의 외관 검사
제대 가공한 봉투의 외관 검사를 하기의 관점에서 실시하였다.
○ : 히트 시일 부분에도 전체에도 열수축에 의한 주름이나 문제가 없고, 외관이 좋은 봉투이다.
△ : 히트 시일 부분이 조금 수축되어, 외관이 떨어지는 봉투이다.
× : 히트 시일 부분이나 전체에 열수축에 의한 주름이나 문제가 발생한 봉투가 되었다.
(4) 성형품의 인열성 (개봉 용이성)
제대 가공한 봉투 5 샘플을 손으로 인열하여, 가장 좋은 개봉 용이성을 나타낸 것을 표준으로 하고, 이하의 평가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 : 간단하고 쉽게 인열할 수 있었다.
△ : 조금, 인열하는 것에 저항을 느꼈다.
× : 좀처럼 인열할 수 없었다.
(5) 성형품의 인열성 (직선 개봉성)
제대 가공한 봉투 10 샘플을, 손으로 봉투의 가장자리측에 수직 방향으로 인열하고, 그 개봉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인열면이 전파됐는지 여부를 이하의 평가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 : 10 장 모두, 직선적으로 인열할 수 있었다.
△ : 1 장∼2 장, 인열면이 어긋났다.
× : 3 장 이상에서 인열면이 어긋났다.
(6) 가스 배리어성
산소 투과성 : MOCON 사 제조, 상품명 : OX-TRAN-200H100 을 이용하고, ASTM-D3985 에 준하여 23℃, 65%RH 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수증기 투과성 : MOCON 사 제조, 상품명 : PERMATRAN, W-200 을 이용하고, ASTM-F1249 에 준하여 38℃, 90%RH 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7) 가열 수축 응력 (ORS)
ASTM-D-1504 에 준거하고, 시료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 및 적층 필름) 의 MD 방향과 TD 방향의 각각에 대하여, 각 수지의 비카트 연화 온도에서 15℃ 높은 온도의 실리콘 오일욕 중에서, 배향 완화 응력의 피크값을 측정하여 정수값에 사사오입하여 구했다.
(8) 열수축률
ASTM-D-1504 에 준거하여 시료를 제작하고, 온도 120℃ 의 실리콘 오일욕 중 에 10 초간 침지하여 처음의 시료의 길이와 침지 후의 시료의 길이로부터 수축률 (%) 을 구했다.
<폴리스티렌 필름의 제작 방법>
<텐터법>
비정성 폴리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를 L/D=32 의 65㎜Φ 의 스크루를 갖는 압출기로, T 다이로부터 압출한 패리슨을 롤 가열식 세로 연신기로 연신한 후, 텐터에 의해 TD 방향으로 연신하여 냉각하고, 시트를 권취하여 원하는 필름을 얻는다. 필름의 두께는 다이슬릿 폭과 연신 배율에 의해 적절하게 조정하였다. 압출 온도 및 연신 온도 등에 대해서는 표 1 에 기재한다.
<인플레이션법>
비정성 폴리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를 L/D=45 의 65㎜Φ 의 스크루를 갖는 서큘러 다이 부착의 압출기로 압출한 튜브를, 인플레이션하여 냉각하고, 원하는 필름으로서 권취한다. 이때, 필름 두께는 다이스 직경과 연신 배율로 적절하게 조정하였다. 압출 온도, 연신 온도 등에 대해서는 표 1 에 기재한다.
<적층 필름의 작성 방법>
<폴리라미네이션법>
얻어진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을 이용하여, 표면 처리한 측에 앵커코트제를 건조 도포량으로 4㎎/㎠ 가 되도록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 각종 폴리에틸렌을 수지 온도 320℃, 두께 20㎛ 가 되도록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 위에 압출하고, 미연신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히트 시일층을 형성하여, 적층 필름으로 하였다.
<접착법>
얻어진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을 이용하여, 표면 처리한 측에 앵커코트제를 건조 도포량으로 4㎎/㎠ 가 되도록 도포하여 건조시켰다. 그 후 히트 시일층이 되는 폴리에틸렌 필름을 상기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과 중첩하고, 열에 의해 라미네이트 (온도 130℃, 선압 2.5kg/cm) 하여, 적층 필름으로 하였다.
<봉투의 작성>
시험 제작한 적층 필름의 미연신 폴리에틸렌 필름끼리를 내측으로 하여, 4 방향을 히트 시일하고, 10cm 의 사각 포장용 봉투를 제작하였다. 시일 폭 7㎜, 시일 시간 0.2 초, 시일 강력 1kg/㎠. 시일 온도는 120℃ 로 하였다. 실시예 1∼8 및 비교예 1∼5 는, 본 발명 중의 알루미늄박을 내재하지 않는 봉투의 실시예 및 비교예로서, 이들 연신 조건 그리고 평가 결과에 대해서는,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
비정성 폴리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로서, PS 재팬사 제조의 스티렌-메타크릴산 공중합 수지, G9001 (상품명) (결정화도 : 0%) 을 이용하여, 텐터법으로 막 제조하였다. 막 제조 조건은 표 1 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필름의 비카트 연화 온도는 126℃ 이고, 얻어진 필름 두께는 평균 21㎛ 이었다. 이 필름을 이용하여, 편면을 방전 가공하고, 표면의 젖음 지수로서 접촉각 33 도로 하고, 이 필름의 방전 가공한 측에 이민계 앵커코트제 (토요모톤사 제조, EL-420 (상품명)) 를 건조 도포량으로 약 4㎎/㎡ 가 되도록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 폴리에틸렌 수지로서 아사히가세이 케미칼즈사 제조, L2340 (상품명) 을 다이 온도 320℃ 이고, 두께 20㎛ 가 되도록 상기 폴리스티렌 필름 상에 압출하여, 적층 필름으로 하였다. 얻어진 적층 필름의 폴리에틸렌 측을 맞추고, 히트 시일 온도가 125℃, 0.2 초로 히트 시일하여, 사방 시일 봉투를 만들었다.
이 봉투는 외관도 양호하여, 히트 시일선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히트 시일선에 거의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손으로 인열할 수 있다. 또, 이 적층 필름을, 유야마 제작소사 제조의 제대기, SHARTY 기 (등록 상표) 를 이용하여, 가루약을 넣고, 3 방향 시일 봉투를 만들었다. 이 봉투는 외관도 양호하고, 히트 시일선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또한, 히트 시일되어 있지 않은 필름측으로부터도, 각각 측면에 거의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손으로 인열할 수 있었다. 실험 조건 및 평가 결과를 표 1 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2]
비정성 폴리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로서, PS 재팬사 제조의 스티렌-메타크릴산 공중합 수지, G9001 (상품명) (결정화도 : 0%) 을 이용하고, 이것에 PS 재팬사 제조의 부틸 아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 엘라스토머, SC004 (상품명) 를, PS 재팬사 제조의 하이임펙트 폴리스티렌 (HIPS), HT478 (상품명) 을 순서대로 75 : 10 : 15 의 wt 비율로 칩블렌드하고, 이것을 압출하여 텐터법으로 막 제조하였다. 막 제조 조건은 표 1 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필름의 비카트 연화 온도는 118℃ 이고, 얻어진 필름 두께는 평균 22 ㎛ 이었다. 이것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라미네이션 가공에 의해 적층 필름화하고, 동일한 방법으로 각각, 4 방향 시일 봉투, 3 방향 시일 봉투를 만들었다. 이들 봉투는 외관도 양호하여, 히트 시일선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또한 히트 시일되어 있지 않은 필름측으로부터도, 각각, 측면에 거의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손으로 인열할 수 있었다. 실험 조건 및 평가 결과를 표 1 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3]
비정성 폴리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로서, 다이닛폰 잉크 화학공업사 제조의 스티렌-메타크릴산 공중합 수지, 류렉스 (등록 상표) A-14 (결정화도 : 0%) 를 이용하여, 텐터법으로 막 제조하였다. 막 제조 조건은 표 1 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필름의 비카트 연화 온도는 133℃ 이고, 얻어진 필름 두께는 평균 25㎛ 이었다. 이것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라미네이션 가공하여 적층 필름화하고,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3 방향 시일 봉투, 4 방향 시일 봉투를 얻었다. 이들 봉투는 외관도 양호하고, 히트 시일선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또한 히트 시일되어 있지 않은 필름측으로부터도, 각각, 측면에 거의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손으로 인열할 수 있었다. 실험 조건 및 평가 결과를 표 1 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4]
비정성 폴리스티렌계 중합 수지로서, 다이닛폰 잉크 화학공업사 제조의 스티렌-메타크릴산 공중합 수지, 류렉스 (등록 상표) A-14 (결정화도 : 0%) 를 이용하 고, 이것에 PS 재팬사 제조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 엘라스토머, SX100 (상품명) 과, PS 재팬사 제조의 HIPS, HT478 (상품명) 을 순서대로 80 : 10 : 10 의 wt 비율로 칩블렌드하고, 이것을 압출하여, 텐터법으로 막 제조하였다. 막 제조 조건은 표 1 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필름의 비카트 연화 온도는 128℃ 이고, 얻어진 필름 두께는 평균 22㎛ 이었다. 이것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라미네이션 가공하여 적층 필름화하고,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3 방향 시일 봉투, 4 방향 시일 봉투를 얻었다. 이들 봉투는 외관도 양호하고, 히트 시일선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또한 히트 시일되어 있지 않은 필름측으로부터도, 각각, 측면에 거의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손으로 인열할 수 있었다. 실험 조건 및 평가 결과를 표 1 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5]
비정성 폴리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로서, 다이닛폰 잉크 화학공업사 제조의 스티렌-메타크릴산 공중합 수지, 류렉스 (등록 상표) A-14 (결정화도 : 0%) 를 이용하고, 이것에 PS 재팬사 제조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 엘라스토머, SX100 (상품명) 과, PS 재팬사 제조의 HIPS, HT478 (상품명) 을 순서대로 90 : 5 : 5 의 wt 비율로 칩블렌드하고, 이것을 압출하여, 텐터법으로 막 제조하였다. 막 제조 조건은 표 1 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필름의 비카트 연화 온도는 131℃ 이고, 얻어진 필름 두께는 평균 22㎛ 이었다. 이것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라미네이션 가공에 의해 적층 필름화하고,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3 방향 시일 봉투, 4 방향 시일 봉투를 얻었다. 이들 봉투는 외관도 양호하 고, 히트 시일선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또한 히트 시일되어 있지 않은 필름측으로부터도, 각각, 측면에 거의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손으로 인열할 수 있었다. 실험 조건 및 평가 결과를 표 1 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6]
비정성 폴리스티렌계 중합 수지로서, α-메틸스티렌의 공중합 비율이 35wt% 인 α-메틸스티렌/스티렌 공중합 수지 (결정화도 : 0%) 를 이용하고, 평균 고무 입경 0.8㎛ 그래프트 고무 성분 16.4% 의 HIPS 를, wt 환산으로 1wt% 드라이 블렌드하여, 텐터법으로 막 제조하였다. 막 제조 조건은 표 1 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필름의 비카트 연화 온도는 125℃ 이고, 얻어진 필름 두께는 평균 23㎛ 이었다. 이것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라미네이션 가공에 의해 적층 필름화하고,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3 방향 시일 봉투, 4 방향 시일 봉투를 얻었다. 이들 봉투는 외관도 양호하고, 히트 시일선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또한 히트 시일되어 있지 않은 필름측으로부터도, 각각, 측면에 거의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손으로 인열할 수 있었다. 실험 조건 및 평가 결과를 표 1 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4 와 동일한 수지 조성으로, 이것을 압출하여, 인플레이션법 (연신 온도는 92℃) 으로 막 제조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비카트 연화 온도는 128℃ 이고, 얻어진 필름 두께는 평균 23㎛ 이었다. 이것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라미네이션 가공하여 적층 필름화하고,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3 방향 시 일 봉투, 4 방향 시일 봉투를 얻었다. 이들 봉투는 외관도 양호하고, 히트 시일선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또한 히트 시일되어 있지 않은 필름측으로부터도, 각각, 측면에 거의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손으로 인열할 수 있었다. 실험 조건 및 평가 결과를 표 1 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4 와 동일한 폴리스티렌 필름을 이용하고, 편면을 방전 가공하여, 표면의 젖음 지수로서 접촉각 33 도로 하고, 이 필름의 방전 가공한 측에 다이니치 정화사 제조의 부타디엔계 앵커코트제, 세이카다인 4300 (등록 상표) 을 건조 도포량으로 약 4㎎/㎡ 가 되도록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 폴리에틸렌 수지로서 우베 고산사 제조, 유메릿트 (등록 상표) 015AN 을 다이 온도 300℃ 고, 두께 20㎛ 가 되도록 상기 폴리스티렌 필름 위에 압출하여, 적층 필름으로 하였다. 이것을 실시예 4 와 동일하게 제대 가공하여, 각각 3 방향 시일 봉투, 4 방향 시일 봉투를 얻었다. 이들 봉투는 외관도 양호하고, 히트 시일선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또한 히트 시일되어 있지 않은 필름측으로부터도, 각각, 측면에 거의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인열할 수 있었다. 실험 조건 및 평가 결과를 표 1 에 정리하였다.
[비교예 1]
기재 필름으로서 셀로판 (니무라화학사 제조, 타이코 (등록 상표) PF-3, 두께 21㎛) 을 이용하고, 이것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라미네이션 가공에 의해 적층 필름화하였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3 방향 시일 봉투, 4 방향 시일 봉투를 제작하였다. 제대품의 품위는 양호하였지만, 인열성이 좋지 않았다. 특히, 필름측에서는 손으로서의 인열은 힘을 상당히 주지 않으면, 대부분 불가능하였다. 또, 일부의 샘플에서는, 히트 시일부 측으로부터의 개봉에서도, 개봉했을 경우 똑바로 찢어지지 않고, 인열면이 휘어 내용물이 쏟아지는 경우도 있었다.
[비교예 2]
기재 필름으로서 폴리프로필렌제 필름 (토쿄 셀로판사 제조, 토세로 OP (등록 상표), 두께 20㎛) 을 이용하고, 이것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라미네이션 가공에 의해 적층 필름화하였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3 방향 시일 봉투, 4 방향 시일 봉투를 제작하였다. 제대품은 봉투의 히트 시일면에 주름이 발생하여, 외관이 손상되어 있었다. 또한, 인열성이 좋지 않았다. 특히, 필름측으로부터는 손에 의한 인열은 대부분 불가능하고, 노치를 가위로 절단했을 때 겨우 인열할 수 있었다. 또한, 히트 시일부 측으로부터의 개봉에서도, 개봉했을 경우 똑바로 찢어지지 않고, 인열면이 휘어, 내용물이 쏟아지는 경우도 있었고, 인열면이 연장되어, 내용물이 쏟아지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비교예 3]
폴리스티렌 필름으로서, 아사히가세이 라이프 & 리빙사 제조, OPS 필름 (등록 상표) GM25 (결정화도 : 0%), 두께 25㎛ 를 이용하고, 이것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라미네이션 가공에 의해 적층 필름화하였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3 방향 시일 봉투, 4 방향 시일 봉투를 제작하였다. 그러나, 제대품은 만들어졌으나, 일부에 수축이 관찰되어, 품위가 나빠졌다. 또한, 필름을 간신히 인열할수 있었지만, 인열성은 각각 나빴다.
[비교예 4]
폴리스티렌 필름으로서, 오오이시 산업사 제조, 세로마 (등록 상표) 30 (결정화도 : 0%), 두께 30㎛ 를 이용하고, 이것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라미네이션 가공에 의해 적층 필름화하였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3 방향 시일 봉투, 4 방향 시일 봉투를 제작하였다. 폴리라미네이션은 필름이 수축되어, 품위가 좋은 것은 얻을 수 없었다. 또한, 품위가 나쁜 적층 필름으로 제대를 실시하였지만, 각각 양호한 봉투는 얻을 수 없었다. 또, 유야마 제작소사 제조, SHARTY 기 (등록 상표) 에 장치했을 때에는, 필름의 수축에 의해 기계가 중도에서 멈추어 버렸다. 인열성은 대부분 평가할 수 없는 상태인 것이었지만, 무리하게 평가해도 용이하게 인열할 수 없는 것이었다.
[비교예 5]
비정성 폴리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로서, 스티렌-메타크릴산 공중합 수지 (결정화도 : 0%) 에서 막 제조 조건은 표 1 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필름의 비카트 연화 온도는 107℃ 이고, 두께는 평균 22㎛ 이었다. 이것을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라미네이션 가공에 의해 적층 필름화하고,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3 방향 시일 봉투, 4 방향 시일 봉투를 얻었다. 그러나, 제대품은 만들어지지 않았지만, 일부에 수축이 관찰되어, 품위가 나빠졌다. 또한, 필름이 겨우 인열할 수 있었지만, 인열성은 각각 나빴다. 실험 조건 및 평가 결과를 표 1 에 정 리하였다.
이하는, 내층에 알루미늄박을 내재시켰을 때의 실시예와 비교예이다.
[실시예 9]
비정성 폴리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로서, PS 재팬사 제조의 G9001 (상품명) (결정화도 : 0%) 을 이용하여, 텐터법으로 막 제조하였다. 막 제조 조건은 표 2 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필름의 비카트 연화 온도는 126℃ 이고, 얻어진 필름 두께는 평균 21㎛ 이었다. 이 필름을 이용하여, 편면을 방전 가공하고, 표면의 젖음 지수로서 접촉각 33 도로 하여, 폴리스티렌 수지 필름을 제작하였다. 다음으로, 얻어진 폴리스티렌 수지 필름의 방전 가공한 측에, 이민계 앵커코트제 (토요모톤사 제조, EL-420 (상품명)) 를 건조 도포량으로 약 4㎎/㎡ 가 되도록 도포하여 건조시켜, 폴리스티렌계 수지 필름 (PS-9) 을 얻었다. 다음으로, 9㎛ 의 알루미늄박 (스미토모 경금속사 제조, SA30 (상품명)) 에 상기와 동일한 앵커코트제를 건조 도포량으로 약 40㎎/㎡ 가 되도록 도포하여 건조시켰다 (AL-1). 이어서, 얻어진 PS-9 와 AL-1 사이에, 폴리에틸렌 수지로서 아사히가세이 케미칼즈사 제조, L2340 (상품명) (PE-1) 을 다이 바로 아래의 온도 320℃, 두께 15㎛ 가 되도록, 폴리에틸렌 수지에 오존 처리하면서, 필름상으로 압출하여, PS-1 과 AL-1 을 샌드라미네이트하였다. 이어서, 얻어진 적층 필름 (PS-1/PE-1/AL-1) 의 알루미늄박 상에, 상기와 동일한 폴리에틸렌 수지를 동일한 조건으로, 두께 30㎛ 가 되도록 압출하여, 히트 시일층 (PE-1') 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적층 필름 (PS-9/PE-1/AL-1/PE-1') 의 폴리에틸렌 측을 맞추고, 히트 시일 온도가 150℃, 0.2 초로 히트 시일하여, 4 방향 시일 봉투를 만들었다. 봉투의 편측의 적층 필름을 취출하여, 이것의 가스 배리어성을 평가하였다. 이 봉투는 외관도 양호하고, 히트 시일선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히트 시일선에 거의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손으로 인열할 수 있었다. 또, 이 적층 필름을 토파크사 제조의 제대기에 얹고, 가루약을 넣어 3 방향 시일 봉투를 만들었다. 이들 봉투는 외관도 양호하고, 히트 시일선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또한, 히트 시일되어 있지 않은 측으로부터도, 각각 측면에 거의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손으로 인열할 수 있었다. 실험 조건 및 평가 결과를 표 2 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10]
비정성 폴리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로서, PS 재팬 제조의 G9001 (상품명) (결정화도 : 0%) 을 이용하고, 이것에 PS 재팬사 제조의 부틸 아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 에라스토마, SC004 (상품명) 와, PS 재팬사 제조의 HIPS, HT478 (상품명) 을 순서대로 75 : 10 : 15 의 wt 비율로 칩블렌드하고, 이것을 압출하여, 텐터법으로 막 제조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비카트 연화 온도는 118℃ 이고, 얻어진 필름 두께는 평균 22㎛ 이었다. 이 필름을 이용하여, 편면에 방전 가공하고, 표면의 젖음 지수로서 접촉각 33 도로 하고, 실시예 9 와 동일한 후처리를 실시하여 폴리스티렌계 수지 필름 (PS-10) 으로 하였다. 이후, 실시예-1 과 동일하게 접착하고, 적층 필름을 얻어 (PS-10/PE-1/AL-1/PE-1'), 실시예 9 와 동일하게 봉투를 제작하여 평가하였다. 이들 봉투는 외관도 양호하여, 히트 시일선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또한, 히트 시일되어 있지 않은 측으로부터도, 각각 측면에 거의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손으로 인열할 수 있었다. 실험 조건 및 평가 결과를 표 2 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11]
비정성 폴리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로서, 다이닛폰 잉크 화학공업사 제조의 류렉스 (등록 상표) A-14 (결정화도 : 0%) 를 이용하여, 텐터법으로 막 제조하였다. 막 제조 조건은 표 2 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필름의 비카트 연화 온도는 133℃ 이고, 얻어진 필름 두께는 평균 25㎛ 이었다. 이 필름을 이용하여, 편면에 방전 가공하고, 표면의 젖음 지수로서 접촉각 33 도로 하고, 실시예 9 와 동일한 후처리를 실시하여 폴리스티렌계 수지 필름 (PS-11) 으로 하였다. 이후, 실시예 9 와 동일하게 접착하고, 적층 필름을 얻어 (PS-11/PE-1/AL-1/PE-1'), 실시예-1 과 동일하게 봉투를 제작하여 평가하였다. 이들 봉투는 외관도 양호하고, 히트 시일선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또한, 히트 시일되어 있지 않은 측으로부터도, 각각 측면에 거의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손으로 인열할 수 있었다. 실험 조건 및 평가 결과를 표 2 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12]
비정성 폴리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로서, 다이닛폰 잉크 화학공업사 제조의 류렉스 (등록 상표) A-14 (결정화도 : 0%) 를 이용하고, 여기에 PS 재팬사 제조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 엘라스토머, SX100 (상품명) 과, PS 재팬사 제조의 HIPS, HT478 (상품명) 을 순서대로 80 : 10 : 10 의 wt 비율로 칩블렌드하고, 이것을 압출하여, 텐터법으로 막 제조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비카트 연화 온도는 128℃ 이고, 얻어진 필름 두께는 평균 22㎛ 이었다. 이 필름을 이용하여, 편면에 방전 가공하고, 표면의 젖음 지수로서 접촉각 33 도로 하고, 실시예 9 와 동일한 후처리를 하여 폴리스티렌계 수지 필름 (PS-12) 으로 하였다. 이후, 실시예-1 과 동일하게 접착하고, 적층 필름을 얻어 (PS-12/PE-1/AL-1/PE-1'), 실시예 9 와 동일하게 봉투를 제작하여 평가하였다. 이들 봉투는 외관도 양호하고, 히트 시일선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또한, 히트 시일되어 있지 않은 측으로부터도, 각각 측면에 거의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손으로 인열할 수 있었다. 실험 조건 및 평가 결과를 표 2 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13]
비정성 폴리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로서, 다이닛폰 잉크 화학공업사 제조의 류렉스 (등록 상표) A-14 (결정화도 : 0%) 를 이용하고, 여기에 PS 재팬사 제조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 엘라스토머, SX100 (상품명) 과, PS 재팬사 제조의 HIPS, HT478 (상품명) 을 순서대로 90 : 5 : 5 의 wt 비율로 칩블렌드하고, 이것을 압출하여, 텐터법으로 막 제조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비카트 연화 온도는 131℃ 이고, 얻어진 필름 두께는 평균 22㎛ 이었다. 이 필름을 이용하여, 편면에 방전 가공하고, 표면의 젖음 지수로서 접촉각 33 도로 하고, 실시예 9 와 동일한 후처리를 실시하여, 폴리스티렌계 수지 필름 (PS-13) 으로 하였다. 이후, 실시예 9 와 동일하게 접착하고, 적층 필름을 얻어 (PS-13/PE-1/AL-1/PE-1'), 실시예-9 와 동일하게 봉투를 제작하여 평가하였다. 이들 봉투는 외관도 양호하고, 히트 시일선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또한, 히트 시일되어 있지 않은 측으 로부터도, 각각 측면에 거의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손으로 인열할 수 있었다. 실험 조건 및 평가 결과를 표 2 에 정리한다.
[실시예 14]
비정성 폴리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로서, α-메틸스티렌의 공중합 비율이 35wt% 의 α-메틸스티렌/스티렌 공중합 수지 (결정화도 : 0%) 를 이용하고, 평균 고무 입경 0.8㎛ 그래프트 고무 성분 16.4% 의 HIPS 를 1wt% 드라이블랜드하여, 텐터법으로 막 제조하였다. 막 제조 조건은 표 2 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필름의 비카트 연화 온도는 125℃ 이고, 얻어진 필름 두께는 평균 23㎛ 이었다. 이 필름을 이용하여, 편면에 방전 가공하고, 표면의 젖음 지수로서 접촉각 33 도로 하고, 실시예 9 와 동일한 후처리를 하여 폴리스티렌계 수지 필름 (PS-14) 으로 하였다. 이후, 실시예 9 와 동일하게 접착하고, 적층 필름을 얻어 (PS-14/PE-1/AL-1/PE-1'), 실시예 9 와 동일하게 봉투를 제작하여 평가하였다. 이들 봉투는 외관도 양호하고, 히트 시일선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또한, 히트 시일되어 있지 않은 측으로부터도, 각각 측면에 거의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손으로 인열할 수 있었다. 실험 조건 및 평가 결과를 표 2 에 정리한다.
[실시예 15]
실시예 12 와 동일한 수지 조성에서, 이것을 압출하여, 인플레이션법으로 막 제조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비카트 연화 온도는 128℃ 이고, 얻어진 필름 두께는 평균 23㎛ 이었다. 이 필름을 이용하여, 편면에 방전 가공하고, 표면의 젖음 지수로서 접촉각 33 도로 하고, 실시예 9 와 동일한 후처리를 하여 폴리스티렌 계 수지 필름 (PS-15) 으로 하였다. 이후, 실시예 9 와 동일하게 접착하고, 적층 필름을 얻어 (PS-15/PE-1/AL-1/PE-1'), 실시예 9 와 동일하게 봉투를 제작하여 평가하였다. 이들 봉투는 외관도 양호하고, 히트 시일선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또한, 히트 시일되어 있지 않은 측으로부터도, 각각 측면에 거의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손으로 인열할 수 있었다. 실험 조건 및 평가 결과를 표 2 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16]
실시예 12 와 동일한 수지 조성에서, 이것을 압출하여, 연신 배율만을 바꾸어 텐터법으로 막 제조하였다. 연신 배율은, MD 방향을 2 배로 하고, TD 방향은 6 배 연신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비카트 연화 온도는 128℃ 이고, 얻어진 필름 두께는 평균 22㎛ 이었다. 이 필름을 이용하여, 편면에 방전 가공하고, 표면의 젖음 지수로서 접촉각 33 도로 하고, 실시예 9 와 동일한 후처리를 하여 폴리스티렌계 수지 필름 (PS-16) 으로 하였다. 이 PS-8 필름은 MD 방향을 손으로 사용하면 좀처럼 잘라지지 않고, TD 방향은 보다 절단성이 양호한 필름이 되었다. 이후, 실시예 9 와 동일하게 접착하고, 적층 필름을 얻어 (PS-16/PE-1/AL-1/PE-1'), 실시예 9 와 동일하게 봉투를 제작하여 평가하였다. 이들 봉투는 외관도 양호하고, 히트 시일선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또한, 히트 시일되어 있지 않은 측으로부터도, 각각 측면에 거의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손으로 인열할 수 있었다. 실험 조건 및 평가 결과를 표 2 에 정리하였다. 또한, 본 실험의 인열성은 봉투의 TD 방향은 손으로 용이하게 절단되고, 그 직진성이 양호하였지만, 필름의 MD 방향에 해당하는 절단은 매우 어려웠다. 표 2 의 결과는 이들 절단성의 다른 방향성을 고려하여 평가하였다.
[실시예 17]
실시예 12 와 동일한 필름 (PS-17) 에서, 알루미늄박의 두께를 40㎛ (AL-17) 로 하여 실시예-9 와 동일하게 접착하고, 적층 필름을 얻어 (PS-17/PE-1/AL-17/PE-1'), 실시예 9 와 동일하게 봉투를 제작하여 평가하였다. 이들 봉투는 외관도 양호하고, 히트 시일선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또한, 히트 시일되어 있지 않은 측으로부터도, 각각 측면에 거의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손으로 인열할 수 있었다. 실험 조건 및 평가 결과를 표 2 에 정리하였다.
[실시예 18]
실시예 12 와 동일한 필름 (PS-18) 에서, 히트 시일층이 되는 외층 폴리에틸렌 (우베 고산사 제조, 유메릿트 (등록 상표) 015AN) 의 수지와 두께를 변화시켜, 압출 온도 300℃ 에서 실시하고, 두께 55㎛ 로 하였다 (PE-18). 실시예 9 와 동일하게 접착하고, 적층 필름을 얻어 (PS-18/PE-1/AL-1/PE-18), 실시예 9 와 동일하게 봉투를 제작하여 평가하였다. 이들 봉투는 외관도 양호하고, 히트 시일선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또한, 히트 시일되어 있지 않은 측으로부터도, 각각 측면에 거의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용이하게 손으로 인열할 수 있었다. 실험 조건 및 평가 결과를 표 2 에 정리하였다.
[비교예 6]
기재 필름으로서 셀로판 (니무라화학사 제조, 타이코 (등록 상표) PF-3, 두 께 21㎛) 을 이용하고, 이것을 실시예 9 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라미네이션 가공에 의해 적층 필름화하였다 (CE-5/PE-1/AL-1/PE-1').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3 방향 시일 봉투, 4 방향 시일 봉투를 제작하였다. 제대품의 품위는 양호하였지만, 인열성은 좋지 않았다. 특히, 히트 시일한 부분 이외로부터의 손에 의한 인열은, 힘을 상당히 주지 않으면 거의 불가능하였다. 또한, 일부의 샘플에서는, 히트 시일부 측으로부터의 개봉에서도, 개봉했을 경우 똑바로 찢어지지 않고, 인열면이 휘어, 내용물이 쏟아지는 경우도 있었다. 결과는 표 3 에 정리하였다.
[비교예 7]
폴리스티렌 필름으로서, 아사히가세이 라이프 & 리빙사 제조의 OPS 필름 (등록 상표) GM25 (결정화도 : 0%), 두께 25㎛ 를 이용하여, 실시예 9 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라미네이션 가공하여 적층 필름화하였다. 이 필름을 이용하여, 편면에 방전 가공하고, 표면의 젖음 지수로서 접촉각 33 도로 하고, 실시예 9 와 동일한 후처리를 하여 폴리스티렌계 수지 필름 (GPS-6) 으로 하였다. 이후, 실시예 9 와 동일하게 접착하고, 적층 필름을 얻어 (GPS-6/PE-1/AL-1/PE-1'), 실시예 9 와 동일하게 봉투를 제작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동일한 방법으로 3 방향 시일 봉투, 4 방향 시일 봉투를 제작하였다. 그러나, 제대품은 만들어졌으나, 일부에 수축이 관찰되어, 품위가 나빠졌다. 또한, 필름측으로부터 겨우 인열할 수 있었지만, 인열성은 각각 나빴다. 결과는 표 3 에 정리하였다.
[비교예 8]
폴리스티렌 필름으로서, 오오이시 산업사 제조의 세로마 (등록 상표) HA30CPS 필름 GK (결정화도 : 0%), 두께 30㎛ 를 이용하여, 이 필름의 편면에 방전 가공하고, 표면의 젖음 지수로서 접촉각 33 도로 하고, 실시예 9 와 동일한 후처리를 하여 폴리스티렌계 수지 필름 (CPS-7) 으로 하였다. 이후, 실시예 9 와 동일하게 접착하고, 적층 필름을 얻어 (CPS-7/PE-1/AL-1/PE-1'), 실시예 9 와 동일하게 봉투를 제작하여 평가하였다. 폴리라미네이션은 필름이 수축되어, 품위가 좋은 것은 얻어지지 않았다. 또한, 품위가 나쁜 적층 필름으로 제대를 실시하였지만, 각각 양호한 봉투는 얻어지지 않았다. 또, 제대기에 장치했을 때에는 필름의 수축에 의해 기계가 중도에서 멈추어버렸다. 인열성은 대부분 평가할 수 없는 상태인 것이었지만, 무리하게 평가해도 용이하게 인열할 수 있는 것으로는 되지 않았다. 결과는 표 3 에 정리하였다.
[비교예 9]
폴리스티렌 수지로서, 스티렌-메타크릴산 공중합 수지 (결정화도 : 0%) 에서 막 제조 조건은 표 3 에 나타내었다. 얻어진 필름의 비카트 연화 온도는 107℃ 이고, 얻어진 필름 두께는 평균 22㎛ 이었다. 이 필름을 이용하여, 편면에 방전 가공하고, 표면의 젖음 지수로서 접촉각 33 도로 하고, 실시예 9 와 동일한 후처리를 하여 폴리스티렌계 수지 필름 (PS-H4) 으로 하였다. 이후, 실시예 9 와 동일하게 접착하고, 적층 필름을 얻어 (PS-H4/PE-1/AL-1/PE-1'), 실시예 9 와 동일하게 봉투를 제작하여 평가하였다. 그러나, 제대품은 만들어졌으나, 일부에 수축이 관찰되어, 품위가 나빠졌다. 또한, 필름이 겨우 인열되었지만, 인열성은 각각 나빴다. 실험 조건 및 평가 결과를 표 3 에 정리하였다.
[비교예 10]
표면에 이용하는 수지 필름을 토요 방적사 제조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TF110 (상품명) 의 16㎛ 필름 (결정화도 : 0%) 을 이용하여, 이 필름에 편면에 방전 가공하고, 표면의 젖음 지수로서 접촉각 33 도로 하고, 실시예 9 와 동일한 후처리를 하고,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필름 (PET-9) 으로 한다. 이후, 실시예 9 와 동일하게 접착하고, 적층 필름을 얻어 (PET-9/PE-1/AL-1/PE-1'), 실시예 9 와 동일하게 봉투를 제작하여 평가하였다. 제대품의 품위는 양호하였지만, 인열성은 좋지않았다. 특히, 히트 시일한 부분 이외로부터의 손에서의 인열은, 힘을 상당히 주지 않으면 대부분 불가능하였다. 또한, 일부의 샘플에서는, 히트 시일부 측으로부터의 개봉에서도, 개봉했을 경우 똑바로 찢어지지 않고, 인열면이 휘어, 내용물이 쏟아지는 경우도 있었다. 결과는 표 3 에 정리하였다.
Figure 112007029900315-PCT00001
주) 표 중의 단위 :
비카트 연화 온도;℃, 필름 두께;㎛, HAZE;%,
각 성형 온도;℃
ORS : MPa
열수축률 : %
주) 표 중에서, 제대 가공품은, 히트 시일기에 장치했을 경우.
기계 가공품은, 분포기 SHARTY 기에 장치했을 경우.
Figure 112007029900315-PCT00002
주) 표 중의 단위 :
비카트 연화 온도;℃, 필름 두께;㎛, 각 성형 온도;℃
산소 배리어성 : cc/㎡·day·atm,
수증기 배리어성 : cc/㎡·day
ORS : MPa
열수축률 : %
주) 표 중에서, 제대 가공품은, 히트 시일기에 장치했을 경우.
기계 가공품은, 제대기에 장치했을 경우.
Figure 112007029900315-PCT00003
표 중의 단위나 조건은, 표 2 와 동일.
본 발명은, 개봉이 용이한 봉투의 분야에서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Claims (9)

  1. 비정성 폴리스티렌계 공중합 수지를 함유하는, 비카트 연화 온도가 110∼155℃ 인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과, 폴리에틸렌 필름의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이 봉투의 외측에, 폴리에틸렌 필름이 봉투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2. 제 1 항에 있어서,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과 폴리에틸렌 필름 사이에 알루미늄박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3. 제 1 항에 있어서,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의 가열 수축 응력이 300KPa∼6000KPa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4. 제 1 항에 있어서,
    비정성 폴리스티렌계 공중합 수지가, 스티렌-아크릴산 공중합 수지, 스티렌-메타크릴산 공중합 수지, 스티렌-무수말레산 공중합 수지, 및 스티렌-α-메틸스티렌 공중합 수지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5. 제 1 항에 있어서,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이 하이임펙트 폴리스티렌, 스티렌-공액디엔계 공중합물, 및 스티렌-지방족 카르복실산계 공중합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폴리스티렌계 공중합 엘라스토머를, 0.5∼35wt%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6. 제 1 항에 있어서,
    적층 필름의 HAZE 가 7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7.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에틸렌 필름이 대전 방지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8. 제 1 항에 있어서,
    적층 필름이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과 거기에 접합된 폴리에틸렌 필름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9. 제 8 항에 있어서,
    2 축 연신 폴리스티렌 필름과 폴리에틸렌 필름은, 접착제로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투.
KR1020077008967A 2004-11-01 2005-10-27 개봉이 용이한 봉투 KR200700579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18168 2004-11-01
JP2004318168 2004-11-01
JPJP-P-2004-00323283 2004-11-08
JP2004323283 2004-11-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966A true KR20070057966A (ko) 2007-06-07

Family

ID=36319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8967A KR20070057966A (ko) 2004-11-01 2005-10-27 개봉이 용이한 봉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80113135A1 (ko)
EP (1) EP1808377B1 (ko)
JP (1) JP4999067B2 (ko)
KR (1) KR20070057966A (ko)
CN (1) CN101052569B (ko)
AT (1) ATE545600T1 (ko)
CA (1) CA2585971A1 (ko)
TW (1) TWI270462B (ko)
WO (1) WO20060490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28778A1 (de) * 2005-06-22 2006-12-28 SUNJÜT Deutschland GmbH Mehrlagige Folie mit einer Barriere- und einer antistatischen Lage
JP5318331B2 (ja) * 2006-03-30 2013-10-16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易引き裂き性フィルム
JP5377819B2 (ja) * 2006-04-18 2013-12-25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易カット性フィルム
WO2008042582A2 (en) * 2006-09-29 2008-04-10 Nova Chemicals Inc. Polymer blend composition and articles thereof
CN101096129B (zh) * 2007-06-19 2010-05-19 广东华业包装材料有限公司 聚苯乙烯扭结膜的制造方法
JP2009102048A (ja) * 2007-10-24 2009-05-14 Ishida Co Ltd 包装袋用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袋
US20110177742A1 (en) * 2008-07-09 2011-07-21 Filip Frederix Functional sheet
JP5335363B2 (ja) * 2008-10-20 2013-11-06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及び袋
WO2016031652A1 (ja) * 2014-08-28 2016-03-03 株式会社クラレ エチレン-ビニルアルコール共重合体を含む樹脂組成物、成形体及び多層構造体
CN107922095A (zh) * 2015-06-17 2018-04-17 诺维信公司 容器
CN105015943A (zh) * 2015-07-27 2015-11-04 康葵 一种用于储存和微波加热食品的包装容器及其包装方法
JP6582866B2 (ja) * 2015-10-22 2019-10-02 東ソー株式会社 積層体及びこれよりなる包装体
WO2018012373A1 (ja) * 2016-07-12 2018-01-18 デンカ株式会社 二軸延伸シートおよびその成形品
CN111421923A (zh) * 2020-04-15 2020-07-17 天长市天粤塑胶有限公司 一种内粘外淋多层立体编织袋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7111130A (ko) * 1970-08-20 1972-02-22
US4210686A (en) * 1978-06-19 1980-07-01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Multi-layered plastic sheeting having high clarity, strength, and resistance to water vapor transmission
JPH0618931B2 (ja) * 1984-04-23 1994-03-16 旭化成工業株式会社 ゴム組成物
KR960015106B1 (ko) * 1986-11-25 1996-10-28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면실장형 반도체패키지 포장체
US5004649A (en) * 1988-04-13 1991-04-02 Idemitsu Kosan Co., Ltd. Resin laminates and a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DE3838928A1 (de) 1988-11-17 1990-05-23 Columbus System Patent Ag Verfahren zum beschichten von bahnfoermigen bandblechen mit pulverlack und vorricht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JPH0820704B2 (ja) * 1988-11-17 1996-03-04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US5476899A (en) * 1989-09-14 1995-12-19 Idemitsu Kosan Co., Ltd. Process for produce a readily slidable film
JP3515584B2 (ja) 1992-06-12 2004-04-05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包装用袋
CA2168927A1 (en) * 1995-02-07 1996-08-08 Toshiyuki Hirose Cycloolefin resin composition
JPH10166529A (ja) 1996-12-12 1998-06-23 Tousero Kk 積層フィルム
US5755081A (en) * 1997-01-31 1998-05-26 W. R. Grace & Co.-Conn. Heat-sealable, multilayer film containing therein a colorant and method for making a package with such film
JP3844578B2 (ja) * 1997-12-08 2006-11-15 旭化成ライフ&リビング株式会社 開封容易な包装用袋
JP2000034355A (ja) * 1998-07-17 2000-02-02 Daicel Chem Ind Ltd スチレン系樹脂シート
US6579584B1 (en) * 1998-12-10 2003-06-17 Cryovac, Inc. High strength flexible film package utilizing thin film
JP2001106805A (ja) * 1999-10-04 2001-04-17 Asahi Kasei Corp 密着性の耐熱ラップフィルム
JP4377012B2 (ja) * 1999-11-17 2009-12-02 株式会社フジシール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ストレッチシュリンクラベル用積層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及びストレッチシュリンクラベルとその製造方法
JP2002036456A (ja) * 2000-07-31 2002-02-05 Jsp Corp 複合プラスチックシート及び該シートからなる成形体
JP2002201324A (ja) * 2000-11-02 2002-07-19 Denki Kagaku Kogyo Kk 樹脂組成物及び熱収縮性フィルム、熱収縮性多層フィルム
JP2002283519A (ja) * 2001-03-27 2002-10-03 Dainippon Ink & Chem Inc 加熱殺菌食品包装用積層フィルム
JP2002326641A (ja) * 2001-04-26 2002-11-12 Okura Ind Co Ltd パウチ
JP2003012734A (ja) * 2001-06-28 2003-01-15 Denki Kagaku Kogyo Kk スチレン系共重合体並びにその二軸延伸シート及び容器
JP2003238703A (ja) * 2002-02-15 2003-08-27 Asahi Kasei Corp 二軸延伸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シート
US6984442B2 (en) * 2002-07-19 2006-01-10 Cryovac, Inc. Multilayer film comprising an amorphous polymer
MXPA05002885A (es) * 2002-09-16 2005-10-05 Dow Global Technologies Inc Peliculas de gran claridad y de elevada tenacidad.
JP2004167981A (ja) * 2002-11-22 2004-06-17 Toyobo Co Ltd 包装袋用シンジオタクチックポリスチレン系延伸フイ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4182849A (ja) * 2002-12-03 2004-07-02 Asahi Kasei Life & Living Corp スチレン系樹脂フィルム
JP4471255B2 (ja) * 2003-01-31 2010-06-02 旭化成ケミカルズ株式会社 スチレン系樹脂積層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容器の製造方法
JP4333171B2 (ja) * 2003-03-18 2009-09-16 東洋製罐株式会社 詰め替え用パウチ
JP2004285132A (ja) * 2003-03-20 2004-10-14 Ps Japan Corp スチレン系重合体樹脂
JP2004157571A (ja) * 2004-02-20 2004-06-03 Dainippon Printing Co Ltd 広告宣伝媒体
JP4490134B2 (ja) * 2004-02-27 2010-06-23 東洋スチレン株式会社 成形用架橋型スチレン−メタクリル酸共重合樹脂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08377B1 (en) 2012-02-15
CA2585971A1 (en) 2006-05-11
US20080113135A1 (en) 2008-05-15
TW200621494A (en) 2006-07-01
JPWO2006049070A1 (ja) 2008-05-29
CN101052569A (zh) 2007-10-10
TWI270462B (en) 2007-01-11
CN101052569B (zh) 2011-01-12
WO2006049070A1 (ja) 2006-05-11
EP1808377A1 (en) 2007-07-18
JP4999067B2 (ja) 2012-08-15
EP1808377A4 (en) 2011-01-26
ATE545600T1 (de) 201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57966A (ko) 개봉이 용이한 봉투
JP5117255B2 (ja) 再封機能付き多層フィルム及びこれを用いた包装体
JP2011025637A (ja) 共押出多層フィルム及び該フィルムからなる包装材
JP2012111521A (ja) 包装袋
JP6331783B2 (ja) 包装体
JP4857809B2 (ja) 包装体
JP5377819B2 (ja) 易カット性フィルム
JP2005199514A (ja) 多層積層樹脂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積層材
JP6870405B2 (ja) 熱収縮性積層多孔フィルム及び被覆物品
JP2004050605A (ja) 積層体
JP5318331B2 (ja) 易引き裂き性フィルム
JP4708256B2 (ja) 易引き裂き性多層延伸フィルム
CN112638648A (zh) 阻隔性易撕裂共挤出多层薄膜和包装材料
JP5811726B2 (ja) 包装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
JP2019151351A (ja) 包装体
EP1116744A2 (en) Easily-tearable film
JP5380866B2 (ja) 積層体、及びこれを用いた密閉容器用蓋材並びに密閉容器
JP2020169300A (ja) シーラントフィルム
JP2004299393A (ja) 多層積層樹脂フィルム
JPH10166529A (ja) 積層フィルム
JP2000263726A (ja) 積層材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包装用容器
JP2005145486A (ja) 餅包装体
JP4710155B2 (ja) 易剥離性フィルム
JP5335363B2 (ja) 積層フィルム及び袋
JP2020168840A (ja) 易静音剥離性積層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易静音開封性の蓋材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