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6781A - 정착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정착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6781A
KR20070046781A KR1020067015377A KR20067015377A KR20070046781A KR 20070046781 A KR20070046781 A KR 20070046781A KR 1020067015377 A KR1020067015377 A KR 1020067015377A KR 20067015377 A KR20067015377 A KR 20067015377A KR 20070046781 A KR20070046781 A KR 200700467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medium
moving body
heat
surface moving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5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1523B1 (ko
Inventor
마사히코 사토
나오키 이와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070046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6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5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5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17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 G03G15/2028Structural details of the fixing unit in general, e.g. cooling means, heat shielding means with means for handling the copy material in the fixing nip, e.g. introduction guides, stripp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6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combined with press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3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 G03G15/2042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specially for the axial heat part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03Structural features of the fixing device
    • G03G2215/2016Heating bel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20Details of the fixing device or porcess
    • G03G2215/2003Structural features of the fixing device
    • G03G2215/2016Heating belt
    • G03G2215/2025Heating belt the fixing nip having a rotating belt support member opposing a pressure member
    • G03G2215/2032Heating belt the fixing nip having a rotating belt support member opposing a pressure member the belt further entrained around additional rotating belt support memb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71/00Sheet feeding or delivering
    • Y10S271/90Stripp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x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정착 장치는, ⅰ) 서로 접촉하여 닙을 형성하면서 접촉 상태의 표면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는 2개의 표면 이동체와, ⅱ) 표면 이동체 중 적어도 하나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열원을 포함한다. 미정착 토너상이 형성된 표면을 갖는 전사 매체가 닙 내에 배치되어, 그 토너상이 상기 전사 매체에 가열 정착된다. 정착 장치는 닙을 통과한 후에 표면 이동체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전사 매체를 그 표면 이동체로부터 제거하도록 구성된 분리판을 더 포함한다. 분리판의 표면 이동체측의 선단부의 온도 상승이 상기 분리판의 다른 부분의 온도 상승에 비해 우선적으로 제공된다.

Description

정착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착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는, 화상 캐리어 상의 잠상(潛像)이 현상 장치로부터 공급된 토너에 의해서 현상되어, 화상 캐리어 상에 허상(visual image)으로서의 토너상(toner image)이 형성된다. 화상 캐리어상의 토너상은 전사 장치에 의해서 전사 매체에 전사되어, 정착 장치에 의해 전사 매체상에 정착된다. 정착 장치는 예를 들면, 히터, 정착 롤러 및 가압 롤러를 구비할 수 있다. 히터는 정착 장치의 내부에 열원으로서 마련된다. 정착 롤러는 회전 가능한 표면 이동체로서 작동한다. 가압 롤러는 정착 롤러의 표면과 정해진 압력으로 접촉하게 되며, 다른 하나의 회전 가능한 표면 이동체로서 작동을 한다. 정착 롤러와 가압 롤러는 닙 부분(nip part)을 형성한다. 토너상은 닙 부분을 사용하여 가해지는 열 및 압력에 의해 전사 매체에 정착된다. 닙 부분에 의해 토너상이 정착된 전사 매체는 배출 경로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닙 부분을 통과한 후에 종이의 강성이나 정착 롤러 또는 가압 롤러의 곡율로 인해 정착 롤러 또는 가압 롤러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전사 매체는, 닙 부분 근방에 선단부가 마련된 분리판에 의해서 정착 롤러 또는 가압 롤러로부터 강제적으로 분리되어 배출된다.
일반적으로, 전사 매체는 수분을 포함하고 있다. 전사 매체에 포함된 수분은 닙 부분에 의해 전사 매체를 가열함으로써 수증기로 변화하여 그 전사 매체로부터 배출된다. 전사 매체로부터 배출된 수증기는 온도가 낮은 분리판에 접촉하게 되는 경우 응결(凝結)하게 된다. 분리판의 선단부는 닙 부분의 근방에 배치되기 때문에, 그 선단부가 전사 매체와 접촉하게 될 가능성은 분리판의 다른 부분이 전사 매체와 접촉하게될 가능성에 비해 높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분리판의 선단부에 응결이 생기게 되면, 전사 매체가 분리판의 선단부에 부착될 수 있어, 종이 걸림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응결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의 제안이 이루어졌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03-202767호에는 전사 매체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를 밖으로 내보내도록 분리판의 선단부에 노치부가 마련된 구조의 정착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전사 매체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를 밖으로 내보내기 위한 그러한 노치부로 인해, 분리판의 선단부에 응결액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03-202767호에 기재된 정착 장치에서는, 전사 매체로부터 발생한 수증기를 밖으로 보내기 위한 노치부로부터 배출되지 않은 수증기가 분리판의 선단부에 고착되는 경우, 분리판의 선단부에서 응결이 발생하게 된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6-43772호에서는, 분리판을 비열이 낮은 얇은 금속 이나 열전도성이 높은 재료로 구성하고, 그 분리판을 고온으로 가열된 전사 매체와 접촉시킴으로써 가열하여, 그 분리판의 온도를 응결을 발생시키지 않는 온도로 상승시키는 정착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정착 장치에서, 분리판을 가열함으로써, 그 분리판의 선단부에 응결액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6-43772호에 기재된 정착 장치에서는, 분리판의 선단부의 온도가 응결을 발생시키지 않는 온도로 상승하는 데에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된다. 이에 따라, 선단부의 온도가 응결을 발생시키지 않는 온도로 상승할 때까지는 분리판의 선단부에 응결액이 부착된다. 특히, 그 정착 장치를 장시간 방치하여 정착 장치가 냉각된 상태에서는 분리판의 온도가 낮게 된다. 이에 따라, 고온에 가열된 전사 매체가 분리판과 접촉하게 되더라도, 선단부의 온도는 응결을 발생시키지 않는 온도까지 상승할 수 없어, 분리판의 선단부에 응결액이 부착될 수 있다.
게다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성6-43772호에 개시된 정착 장치에서는, 분리판 전체의 온도가 전사 매체의 열에 의해 균등하게 상승하기 때문에, 전사 매체의 열에 의해 분리판의 선단부의 온도를 응결을 발생시키지 않는 온도로 상승시키는 데에는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새롭고 유용한 정착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에 따르면, 분리판의 표면 이동체측의 선단부의 온도를 응결을 발생시키지 않는 온도로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는 정착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는,
서로 접촉하여 닙을 형성하면서 접촉 상태의 표면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는 2개의 표면 이동체와,
표면 이동체 중 적어도 하나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열원
을 포함하며, 미(未)정착 토너상이 형성된 표면을 갖는 전사 매체를 닙 내에 배치하여, 그 토너상을 전사 매체에 가열 정착시키고,
닙을 통과한 후에 표면 이동체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전사 매체를 표면 이동체로부터 제거하도록 구성된 분리판을 더 포함하며,
분리판의 표면 이동체측의 선단부의 온도 상승을 분리판의 다른 부분의 온도 상승에 비해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것인 정착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전사 매체상에 토너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토너상 형성부와,
전사 매체에 토너상을 정착시키도록 구성된 정착부
를 포함하며, 정착부는
서로 접촉하여 닙을 형성하면서 접촉 상태의 표면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는 2개의 표면 이동체와,
표면 이동체 중 적어도 하나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열원을 포함하며, 미정착 토너상이 형성된 표면을 갖는 전사 매체를 닙 내에 배치하여, 그 토너상을 전사 매체에 가열 정착시키고,
상기 정착부는 닙을 통과한 후에 표면 이동체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전사 매체를 그 표면 이동체로부터 제거하도록 구성된 분리판을 더 포함하며,
분리판의 표면 이동체측의 선단부의 온도 상승을 분리판의 다른 부분의 온도 상승에 비해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것인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고온으로 가열된 전사 매체의 열에 의해, 분리판의 표면 이동체측의 선단부가 분리판의 다른 부분에 비해 우선적으로 가열되어, 분리판의 표면 이동체측의 선단부의 온도가 우선적으로 상승한다. 이 때문에, 종래에 온도를 균일하게 상승시키는 분리판에 비해, 분리판의 표면 이동체측의 선단부의 온도를 응결을 발생시키지 않는 온도로까지 고온으로 가열된 전사 매체에 의해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장치를 장시간 방치하여 분리판이 냉각되었더라도, 분리판의 표면 이동체측의 선단부의 온도를 응결을 발생시키지 않는 온도까지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어, 종이 걸림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을 참조할 때에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프린터의 토너상 형성부를 구성하는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도이며,
도 3은 정착 장치의 개략도이고,
도 4는 정착 장치 전후의 전사 매체의 반송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며,
도 5는 분리판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분리판의 주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전사 매체의 측부와 보강부의 배치 간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8의 (a)는 가압 롤러 내의 가열부로부터 발생하는 열의 양이 축방향으로 다르게 한 하나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8의 (b)는 가압 롤러 내의 가열부로부터 발생하는 열의 양을 축방향으로 다르게 한 다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도 9의 (a)는 수증기 수용부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 분리판의 단면도이며, 도 9의 (b)는 수증기 수용부가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 구조를 갖는 분리판의 주변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수증기 수용부를 드로잉 가공에 의해 형성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포함하는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종래 기술의 문제점의 세부 사항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상 형성 장치의 예로서, 컬러 레이저 프린터(이하, "프린터")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프린터의 개략도이다. 이 프린터에서, 옐로우(yellow), 시안(cyan), 마젠타(magenta), 블랙(black)의 4색을 위한 화상 형성부가 수평으로 배치되어 탠덤(tandem)형 화상 형성부를 형성한다. 탠덤 화상 형성부에서는, 화상 형성부, 즉 토너상 형성부(101Y, 101C, 101M, 101K)가 도 1에서 좌측으로부터 차례로 배열되어 있다. 여기서, 첨자 Y, C, M, K는 각각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의 색상용 부재를 각각 나타낸다. 또한, 탠덤 화상 형성부에서는, 화상 형성부(101Y, 101C, 101M, 101K)는 대전 장치, 현상 장치(10Y, 10C, 10M, 10K) 및 감광체 클리닝 장치 등이 드럼형의 감광체(21Y, 21C, 21M, 21K)의 주위에 각각 마련된 구조를 갖고 있다. 프린터의 상부에는 토너 병(toner bottle)(2Y, 2C, 2M, 2K)이 배치되어 있다. 이 토너 병(2Y, 2C, 2M, 2K)에서 각각 옐로우, 시안, 마젠타, 블랙 색상의 토너가 공급된다. 각 색상의 토너의 소정량이 대응하는 토너 병(2Y, 2C, 2M, 2K)에서부터 현상 장치(10Y, 10C, 10M, 10K)로 반송부(도시 생략)를 통해 공급된다.
또한, 탠덤 화상 형성부의 하부에는 잠상 형성부로서 광학적 기록 유닛(9)이 마련되어 있다. 이 광학적 기록 유닛(9)은, 광원, 폴리곤 미러(polygon mirror), f-θ렌즈, 반사 미러 등을 포함한다. 광학적 기록 유닛(9)은 화상 데이터에 기초로 하여 각 감광체(21)의 표면에 레이저광을 주사(scanning)하면서 조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탠덤 화상 형성부의 바로 위에는 중간 전사체로서 중간 전사 무단 벨트(1)가 마련되어 있다. 이 중간 전사 벨트(1)는 지지 롤러(1a, 1b) 둘레에 감겨 긴장(tensioning) 상태로 되어 있다. 구동 롤러로서 기능을 하는 지지 롤러(1a)의 회전축에는 구동원으로서의 구동 모터(도 1에서는 도시 생략)가 연결되어 있다. 이 구동 모터를 구동시킴에 따라, 중간 전사 벨트(1)가 도 1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선회하여, 종동 지지 롤러(1b)를 선회시킨다. 중간 전사 벨트(10)의 내측에는 1차 전사 장치(11Y, 11C, 11M, 11K)가 마련되어, 감광체(21Y, 21C, 21M, 21K) 상에 형 성된 토너상을 중간 전사 벨트(1)에 전사하게 된다.
또한, 2차 전사 장치로서 2차 전사 롤러(5)가 중간 전사 벨트(1)의 구동방향으로 1차 전사 장치(11Y, 11C, 11M, 11K)보다 하류측에 마련된다. 지지 롤러(1b)와 2차 전사 롤러(5)와 사이에 중간 전사 벨트(1)가 배치되어, 지지 롤러(1b)는 푸싱(pushing) 부재로서 기능을 하게 된다. 프린터는 또한 급지 카세트(8), 급지 회전자(7), 레지스트 롤러(resist roller)(6) 등을 구비하고 있다. 게다가, 2차 전사 롤러(5)에 의해 토너상이 전사되는 전사 매체(S)의 이동 방향으로 2차 전사 롤러(5)의 하류측에는, 전사 매체(S)상에 화상을 정착시키도록 구성된 정착 장치(4) 및 배지 롤러(3)가 마련되어 있다.
이어서, 프린터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감광체(21Y, 21C, 21M, 21K)는 화상 형성부에 의해 회전하여, 그 감광체(21Y, 21C, 21M, 21K)의 표면은 각각 대전 장치(17Y, 17C, 17M, 17K)에 의해 대전된다. 이어서,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레이저 기록 광이 광학적 기록 유닛(9)부터 조사되어, 감광체(21Y, 21C, 21M, 21B) 상에 정전(靜電) 잠상이 형성된다. 그 후, 대응하는 토너가 현상 장치(10Y, 10C, 10M, 10K)에 의해 부착되어 정전 잠상이 가시화된다. 그 결과, 감광체(21Y, 21C, 21M, 21K)상에 각각 옐로우, 시안, 마젠타, 블랙의 단색 화상이 형성된다. 또한, 구동 롤러(1a)가 구동 모터(도 1에서 도시 생략)의 회전으로 인해 선회하여, 중간 전사 벨트(1)를 회전 반송시키도록 종동 롤러(1b) 및 2차 전사 롤러(5)가 종동 회전한다. 가시상(可視像)이 1차 전사 장치(11Y, 11C, 11M, 11K)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1)로 차례로 전사된다. 그 결과, 합성 칼라 화상이 중간 전사 벨트(1) 상에 형성된다. 화상이 전사된 후의 감광체(21Y, 21C, 21M, 21K)의 표면으로부터 감광체 클리닝 장치에 의해 잔류 토너가 제거되어, 그 감광체(21Y, 21C, 21M, 21K)는 다시 화상을 형성하도록 준비된다.
화상 형성과 타이밍을 맞추어, 전사 매체(S)의 선단부가 급지 롤러(7)에 의해 급지 카세트(8)로부터 풀어내어져, 그 전사 매체(S)는 레지스트 롤러(6)까지 반송되어 얼마 동안 정지한다.
화상 형성 작동과 타이밍을 맞추어, 전사 매체(S)가 2차 전사 롤러(5)와 중간 전사 벨트(1) 사이에 반송된다. 전사 매체(S)는 2차 전사 롤러(5)와 중간 전사 벨트(1) 사이에 놓여, 2차 전사 롤러(5)와 중간 전사 벨트(1)는 2차 전사 닙을 형성한다. 중간 전사 벨트(10)상의 토너상은 2차 전사 롤러(5)에 의해 전사 매체(S)상에 2차 전사된다.
화상이 전사된 전사 매체(S)는 정착 장치(4)로 보내진다. 열과 압력이 정착 장치(4)에 의해 전사 매체(S)에 가해져, 전사 화상이 전사 매체(S)에 정착된다. 그 후에, 전사 매체(S)는 화상 형성 장치 밖으로 배출된다. 한편, 화상이 전사된 후에 중간 전사 벨트(1)에 잔류하는 잔류 토너는 중간 전사체 클리닝 장치(12)에 의해 제거되어, 화상 형성 기계는 탠덤 화상 형성부에 의해 다시 화상을 형성하도록 준비된다.
토너상 형성부(101Y, 101C, 101M, 101K)는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프린터의 본체에 착탈 가능한 프로세스 카트리지로서 기능을 한다. 이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프린터 본체의 전방으로 꺼낼 수 있다. 프로세스 카트리지를 프린터 본체의 깊숙이 밀어 넣음으로써, 토너상 형성부는 정해진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토너상 형성부(101Y, 101C, 101M, 101K)의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동일한 구조를 갖고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부호 Y, C, M, K는 생략하여, 토너상 형성부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세부 사항을 설명한다.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프린터의 토너상 형성부(101)의 프로세스 카트리지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전 장치로서의 대전 롤러(17), 현상 장치(10), 감광체 클리닝 장치로서의 퍼 브러시(fur brush)(36), 클리닝 블레이드(33) 등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체(21) 둘레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프린터에 있어서, 대전 롤러(17)는 수직 방향으로 감광체(21) 아래쪽에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대전 롤러(17) 아래쪽에는 대전 클리닝 롤러(charge cleaning roller)로서의 클리너 롤러(18)가 마련되어 있다. 클리너 롤러(18)는 대전 롤러(17)의 표면과 회전 가능하게 접촉하여, 그 표면을 클리닝한다. 또한, 감광체 클리닝 장치는 퍼 브러시(36), 클리닝 블레이드(33) 및 감광체(21)부터 제거된 폐토너(waste toner)를 프로세스 카트리지 밖으로 배출하는 폐토너 반송 코일(34)을 포함하고 있다.
도 3에는 정착 장치(4)의 개략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착 장치(4)는 표면 이동체로서의 무단 정착 벨트(43)가 가열 롤러(42)와 정착 롤러(41) 둘레에 감겨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정착 벨트(43)의 배면은 그 정착 벨트(43)의 온도가 140℃ 내지 180℃ 범위 로 상승하도록 가열된다. 따라서, 정착 벨트에 대해 내열성(낮은 열전도성) 및 내구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착 벨트(43)는 폴리이미드 등의 내열성 수지로 이루어진 원통형 필름 기재 상에 탄성층이 형성되고, 이 탄성층상에 이형층(release layer)이 형성된 다층 구조를 갖고 있다. 기재는 내열성 및 양호한 기계적 강도를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필름 기재는 폴리이미드 등의 내열성 수지 외에, Ni 또는 SUS와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안정된 정착 성능을 얻기 위해, 정착 벨트(43)의 탄성층은 토너 및 전사 매체에 열과 압력이 가해질 수 있게 하는 재료로 이루어진다. 정착 벨트(43)의 탄성층으로는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 불소 고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정착 벨트(43)의 이형층은 전사 매체에 형성된 토너상의 부분적인 오프셋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된다. 따라서, 정착 벨트(43)의 이형층을 위한 재료로는 토너 이형 성능이 우수한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착 벨트(43)의 이형층을 위한 재료로는,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퍼플루오로알콕시에틸렌(PFA)의 공중합체, 플루오로화-에틸렌-프로필렌(FEP)과 같은 불소 수지 또는 이들 재료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재료로 이루어진 이형층은 프라이머(primer)를 매개로 하여 탄성층상에 도포하고 베이킹하여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정착 벨트(43)의 기재는 두께가 약 50 내지 90㎛이다. 본 실시예의 정착 벨트(43)의 탄성층은 두께가 약 100 내지 300㎛이다. 본 실시예의 정착 벨트(43)의 이형층은 두께가 약 20 내지 50㎛이다.
가열 롤러(42)에서 알루미늄이나 철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코어 바아에 할로겐 램프와 같은 열원(44)이 설치되어 있다. 이 열원(44)의 복사열에 의해 정착 벨트(43)의 내측이 가열된다. 가열 롤러(42)의 코어 바아는 얇은 두께가 바람직하다. 그러나, 코어 바아가 정착 벨트의 장력을 받기 때문에, 코어 바아가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가열 롤러(42)의 코어 바아는 0.4㎜ 이상의 두께를 가질 필요가 있다. 또, 가열 롤러(42)의 코어 바아는 그 코어 바아가 철로 이루어지는 경우 0.2㎜ 이상의 두께를 가질 필요가 있다. 게다가, 열원(44)으로부터의 열을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검은색과 같은 색이 코어 바아의 내부에 도장될 수 있다.
또한, 가열 롤러(42)에 온도 센서 소자로서 서미스터(thermistor)(48)가 배치된다. 이 서미스터(48)의 온도 감지에 기초하여, 열원(44)을 설정 온도로 되도록 제어한다.
정착 롤러(41)는 실리콘 고무와 같은 탄성층이 철 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이나 고강도의 수지와 같은 높은 강성의 코어 바아상에 형성된 구조를 갖고 있다. 정착 롤러(41)의 탄성층을 위한 재료로는 스펀지 고무(sponge rubber)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스펀지 고무를 사용하여 탄성층이 50 HS 이하(Asker C)의 낮은 경도를 갖게 함으로써, 정착 벨트의 부가를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스펀지 고무는 보통의 고무보다 열전도가 낮기 때문에, 정착 벨트의 열을 밖으로 배출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정착 롤러(41)와 가열 롤러(42) 사이의 중간 지점에는 긴장 롤러(tension roller)(47)가 마련된다. 이 긴장 롤러(47)는 정착 벨트(43)와 접촉한다. 긴장 롤러(47)는 스프링(47a)의 스프링 힘에 의해 정착 벨트(43)를 내측으로 가압한다. 이에 따라, 정착 벨트(43)는 긴장 상태로 된다. 긴장 롤러(47)는 금속과 같은 높은 강성의 재료로 이루어진 코어 바아가 내열성 펠트(felt) 또는 실리콘 고무와 같은 어느 정도의 탄성을 갖은 재료로 덮인 구조를 갖는다. 코어 바아를 내열성 펠트나 실리콘 고무로 덮음으로써, 정착 벨트(43)를 가압할 때에 그 정착 벨트(43)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균일한 압박 압력을 용이하게 보장할 수 있다. 또한, 코어 바아만을 갖는 긴장 롤러에 비해, 긴장 롤러(47)의 열전도성을 비교적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정착 벨트(43)의 열이 긴장 롤러(47)로부터 방열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긴장 롤러(47)는 정착 벨트(43)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정착 벨트(43)를 내측으로 압박하게 되며, 이에 의해 정착 벨트(43)에 장력이 부여된다. 그러나, 이에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긴장 롤러(47)를 정착 벨트의 내주면과 접촉시켜, 정착 벨트(47)를 외측으로 압박함으로써, 정착 벨트(43)에 장력을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정착 롤러(41) 또는 가열 롤러가 긴장 롤러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정착 벨트(43)에 장력을 부여하도록 이동할 수 있는 정착 롤러(41) 또는 가열 롤러(42)에 의해 정착 벨트(43)가 외측으로 압박될 수 있다.
게다가, 정착 장치(4)는 다른 하나의 표면 이동체로서 가압 롤러(45)를 포함하고 있다. 가압 롤러(45)는 스프링(도 3에서 도시 생략)과 같은 압박 수단에 의해 정착 벨트(43)를 매개로 정착 롤러(41)를 가압하여, 정착 닙을 형성하게 된다. 가압 롤러(45)는 금속과 같은 강성을 갖는 코어 바아상에 실리콘 고무로 이루어진 탄성층이 형성된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탄성층은 PFA 튜브와 같이 이형성(離型性)이 양호한 부재로 덮일 수 있다. 또한, 가압 롤러(45)의 경도는 고무의 경도를 높게 하거나 탄성층의 두께를 작게 함으로써 정착 롤러(41)의 경도보다 크게 된다. 가압 롤러(45)의 경도가 정착 롤러(41)의 경도보다 크게 되면, 정착 롤러(41)의 표면은 오목하게 들어가게 되어, 정착 닙은 가압 롤러(45)의 축방향을 따라 만곡한 형상[가압 롤러(45) 측에서 오목]으로 된다. 본 실시예의 정착 장치(4)는, 전사 매체의 정착 벨트측의 표면상의 화상이 정착되는 구조를 갖고 있다. 정착 닙에 의해 가열 용융된 토너는 정착 벨트(43)에 부착되어, 전사 매체가 정착 벨트(43)에 용이하게 부착된다. 그러나, 정착 닙이 가압 롤러(45)의 축방향을 따라 만곡한 형상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정착 닙에 의해 반송된 전사 매체는 가압 롤러(45)의 축방향을 따라 만곡하게 된다. 이 때문에, 정착 닙의 출구에서 가압 롤러(45)를 따라 전사 매체가 이동하여, 전사 매체가 토너와 함께 정착 벨트(43)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특히, 컬러 화상은 흑백 화상에 비해 전사 매체상에 보다 많은 양의 토너를 갖기 때문에, 컬러 화상은 정착 벨트에 쉽게 부착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가압 롤러(45)의 경도를 정착 롤러(41)의 경도보다 크게 함으로써, 컬러 화상의 경우더라도 전사 매체가 정착 벨트(43)에 부착되기는 어렵게 된다.
또한, 가압 롤러(45)는 구동부(도시 생략)에 의해 회전하여, 정착 롤러(41)를 종동 회전시킨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구동부가 가압 롤러(45)를 구동하도록 마련되지만, 구동부는 정착 롤러(41)를 구동하도록 마련되어, 가압 롤러(45)를 종동 회전시킬 수도 있다.
또한, 용융된 토너가 정착 벨트(43)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형제 도포 롤러(49)가 정착 장치(4)에 마련되어 있다. 이형제 도포 롤러(49)는 정착 벨트(43)와 함께 회전하도록 압접하며, 이에 의해, 이형제가 정착 벨트(43)에 공급된다. 이형제 도포 롤러(49)는 스펀지와 같은 침투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형제 도포 롤러(49)의 내부에는 이형제로서 예컨대 실리콘 오일이 채워져 있다. 또한, 이형제 도포 롤러(49)에 압접하여 그 이형제 도포 롤러(49)에 부착된 종이 부스러기 등을 제거하는 클리닝 롤러(50)가 마련된다. 클리닝 롤러(50)의 표면은 예를 들면 브러시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클리닝 롤러(50)는 이형제 도포 롤러(49)와 함께 회전한다. 브러시는 도전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져, 이형제 도포 롤러(49)에 부착된 종이 부스러기를 정전(靜電)적으로 제거한다.
또한, 정착 닙의 용지 반송 방향 하류측에는 선단부(101)를 갖춘 분리판(100)이 마련되어 있고, 이에 의해 용지가 정착 벨트(43) 둘레 감기는 것이 방지된다. 분리판(100)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선단부(101)의 선단과 정착 벨트(43)는 접촉하지 않는다. 선단부(101)의 선단과 정착 벨트(43) 사이에는 1㎜ 이하의 길이를 갖는 간극이 형성된다. 선단부(101)의 선단이 정착 벨트(43)와 접촉하게 되는 경우, 정착 벨트(43)는 선단부(101)의 선단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선단부(101)의 선단과 정착 벨트(43) 사이의 간극이 1㎜보다 크게 되면, 정착 닙으로부터 배출된 전사 매체가, 선단부(101)의 선단과 정착 벨트(43)의 사이에 걸려, 종이 걸림을 일으킬 수 있다. 또한, 전사 매체가 정착 벨트(43)에 부착되어 있는 시간이 길수록, 고르지 않은 화상이 발생하기 쉽다. 이에 따라, 전사 매체가 정착 닙으로부터 나오자마자, 전사 매체를 선단부(101)의 선단에 의해 정착 벨트(43)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선단부(101)의 선단은 정착 닙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정착 장치 전후의 전사 매체의 반송 경로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는 정착 장치 전후의 전사 매체의 반송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차 전사 롤러(5)에 의해 중간 전사 벨트(1)로부터 미정착 토너상이 전사된 전사 매체는 입구 가이드판(51)을 따라 정착 닙으로 들어간다. 정착 닙을 나온(배출되는) 전사 매체는 선단부(101)에 의해 정착 벨트(43)로부터 분리된다. 분리된 전사 매체는 분리판(100)을 따라 반송 롤러(3)에 의해 반송되어, 배지 트레이(도시 생략)로 배출된다.
이어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분리판(1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분리판(100)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분리판(100)의 주변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판(100)은 선단부(101) 및 안내부(102)를 포함한다. 선단부(101)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101)의 선단의 두께가 0.2㎜ 이하로 된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선단부(101)의 선단이 얇은 두께로 되어 있지만, 선단부(101) 전체의 두께를 얇게 할 수도 있다. 선단부(101)의 선단의 두께가 0.2㎜ 이하인 경우, 선단부(101)의 선단은 정착 닙에 보다 근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선단부(101)의 두께를 0.2㎜ 이하로 하는 경우, 전사 매체의 열 또는 전사 벨트(43)로부터의 복사열에 의해 선단부(101)의 온도를 그 선단부(101)에 수증기가 부착되지 않는 40℃ 이상과 같은 온도로 용이하게 상승 시킬 수 있다. 선단부(101)는 분리판(100)의 선단이 0.2㎜ 이하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거나, 0.2㎜ 이하의 별도의 판을 부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안내부(102)는 정착 닙을 나온 전사 매체를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안내부(102)의 양측면에는 케이스 설치부(103)가 마련되고 있다. 이 케이스 설치부(103)는 정착 장치의 케이스(도시 생략)에 부착된다. 안내부(102)의 양단부에는 위치 설정부(106)가 마련되어, 정착 벨트(43)와 선단부(101)의 선단 사이의 간극이 정확히 유지되게 한다. 이 위치 설정부(106)는 정착 벨트(43)의 전사 매체와의 비접촉 영역에 접촉하도록 안내부(102)에 마련되어, 정착 벨트(43)와 선단부(101)의 선단 사이의 간극을 정확히 유지할 수 있다.
안내부(102)는 열전도 규제부를 구비하고 있다. 열전도 규제부는 선단부(101)의 열의 안내부(103)로의 전달을 억제하여 선단부(101)의 온도를 용이하게 상승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부(102)에 마련되어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복수 개의 노치부(102a)가 열전도 규제부로서 기능을 한다. 즉, 선단부(101)로부터 안내부(102)로의 열전달은 노치부(102a)에 의해 안내부(103)와 선단부(101) 사이에 큰 간극을 제공함으로써 억제하고 있다.
열전도 규제부는 노치부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안내부와 선단부는 별개의 부재로서 마련되고, 안내부와 선단부는 열전도 규제부로서 단열재를 매개로 일체로 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선단부의 열은 단열재에 의해서 안내부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선단부의 온도를 수분의 응결을 발생시 키지 않는 온도로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노치부(102a)의 사이에는 선단부(101)를 보강하는 복수 개의 보강부(102b)가 마련되어 있다. 이들 보강부(102b)는 얇은 판 형상의 선단부(101)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선단부(101)를 보강한다. 보강부(102b)는 프린터에 사용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전사 매체의 양단부와 대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프린터에 있어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부(102b)는 4곳에, 즉 프린터에 사용할 수 있는 최소 크기를 갖는 전사 매체의 양단부와 대면하는 위치와, 프린터에 사용할 수 있는 최대 크기를 갖는 전사 매체의 양단부와 대면하는 위치에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프린터에 있어서, 전사 매체의 중앙이 정착 벨트(43)의 중앙을 통과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강부(102b)는 정착 벨트(43)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대칭으로 마련된다.
전사 매체의 선단이 전사 닙으로부터 배출되는 경우, 그 선단은 둥글게 감기는 등 불안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전사 매체의 선단은 항상 선단부(101)와 접촉하지 않는다. 전사 매체의 선단은 선단부(101) 위에 위치한 안내부와 접촉할 수 있다. 그러나, 전사 매체가 안내부와 접촉하는 경우, 전사 매체의 선단은 프린터에 사용할 수 있는 최소 크기를 갖는 전사 매체의 양단부와 대면하는 위치에 마련된 보강부(102b)와 접촉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정착 벨트로부터 전사 매체를 분리할 수 있고, 전사 매체의 반송 능력을 유지할 수 있다.
보강부(102b)의 축방향의 폭은 반송되는 전사 매체의 위치 어긋남에 대응하여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프린터의 경우, 반송 롤러 등의 형상 및 위치 정밀도로 인해, 보강부(102b)의 축방향의 폭은 약 ±3㎜의 전사 매체의 위치 어긋남을 허용할 수 있도록 설정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프린터의 경우, 보강부(102b)의 축방향의 폭은 6㎜ 이상으로 설정된다.
게다가, 열이 보강부(102b)로 전달되기 때문에, 보강부(102b) 주변의 온도는 다른 부분에 비해 온도가 상승하기 어렵다. 그러나, 보강부(102b)를 전사 매체의 단부와 대면하는 위치에 마련함으로써, 선단부(101)의 보강부 주변의 온도 상승을 촉진시킬 수 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이하에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선단부(101)의 온도는 전사 매체의 열 및 정착 벨트(43)의 복사열에 의해 상승한다. 선단부(101)의 전사 매체와 접촉하는 부분의 온도는 전사 매체와 접촉하지 않는 부분에 비해 전사 매체의 열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상승할 수 있다. 한편, 선단부(101)의 전사 매체와 접촉하지 않는 부분의 온도는 선단부(101)의 전사 매체와 접촉하는 부분에 비해 정착 벨트(43)의 복사열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상승할 수 있다. 이는, 정착 벨트(43)의 전사 매체와 접촉하지 않는 부분의 열이 전사 매체에 의해 빼앗기지 않고, 따라서 정착 벨트(43)의 전사 매체와 접촉하지 않는 부분의 온도는 전사 매체와 접촉하는 부분에 비해 높기 때문이다. 따라서, 선단부(101)의 전사 매체와 접촉하지 않는 부분의 온도는 전사 매체와 접촉하는 부분에 비해 정착 벨트(43)의 복사열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상승할 수 있다.
선단부(101)의 전사 매체의 단부와 대면하는 부분은 정착 벨트(43)의 온도가 높은 측의 복사열 및 전사 매체의 접촉에 의한 온도 상승의 영향을 모두 받게 된 다. 따라서, 선단부(101)의 전사 매체의 단부와 대면하는 부분의 온도는 선단부(101)의 다른 부분에 비해 보다 용이하게 상승할 수 있다. 보강부(102b)는 온도를 용이하게 상승시킬 수 있는 선단부(101)의 전사 매체의 단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마련하여, 선단부(101)의 보강부 주변의 온도 상승이 보강부(102b)에 의해 열이 빼앗김으로 인해 것으로 어렵게 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 롤러(45) 내부에 마련된 열원(45a)의 발열량을 축방향을 따라 달리하여, 가열 롤러(45)의 보강부(102b)와 대면하는 부분의 온도는 다른 부분의 온도보다 높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 롤러(45)의 보강부(102b)와 대면하는 위치에서 니크롬선의 감긴 간격을 다른 부분에 비해 좁게 한다. 게다가,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열원(45a)이 마련된다. 하나의 열원(45a-1)은 전체 가압 롤러(45)를 균일하게 가열한다. 다른 열원(45a-2)은 가압 롤러(45)의 보강부(102b)와 대면하는 부분만을 가열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가압 롤러(45)의 보강부(102b)와 대면하는 부분의 온도는 다른 부분보다 높게 된다. 그 결과, 선단부(101)의 보강부 주변의 온도가 다른 부분에 비해 가압 롤러(45)의 복사열에 의해서 보다 용이하게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보강부 주변의 선단부(101)의 열이 보강부에 의해 빼앗기더라도, 그 열은 다른 부분보다 온도가 높은 가압 롤러(45)의 복사열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그 결과, 선단부(101)의 연결부 주변의 온도 상승이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예에서 가압 롤러(45) 내부에 마련된 열원의 발열량을 축방향을 따라 달리하고 있지만, 이에 본 발명이 한정되지는 않는 다. 예를 들면, 정착 벨트(43)의 보강부(102b)와 대면하는 부분의 온도를 다른 부분보다 높게 하기 위해, 가열 롤러(42) 내부에 마련된 열원(44)으로부터 발하는 열량을 축방향을 따라 달리할 수도 있다.
게다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판(100)의 안내부(102)에는 수증기 수용부(105)가 마련된다. 이 수증기 수용부(105)는 안내부(102)와 선단부(101)를 연결하는 가상선에 대하여 정착 롤러(46)측으로 경사져 있다. 수증기 수용부(105)를 정착 롤러(46)측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수증기 수용부(105)를 분리판(101)의 전사 매체 안내면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지게 마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증기 수용부(105)에 부착된 수증기가 전사 매체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증기 수용부(105)를 정착 롤러측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전사 매체로부터 발생한 수증기가 감광체 또는 노광 장치의 렌즈 등에 부착됨으로 인해 화상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수증기 수용부(105)를 정착 롤러측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수증기 수용부(105)의 선단부가 선단부(101)보다 전사 매체 안내면으로부터 더 멀리 떨어진 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수증기 수용부(105)에서 응결된 수증기가 물방울로 변화하여 선단부(101)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보강부에 전사 매체의 수증기가 부착되는 경우, 보강부 면적의 크기 때문에, 전사 매체의 수증기는 증가하지 않아 응결될 수 없다.
도 5에 도시한 수증기 수용부(105)는 안내부(102)와 동일한 금속으로 그 안내부(102)와 일체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증기 수용부(105)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부(102)와 별개로 마련될 수도 있 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수증기 수용부(105)는 선단부(101)보다 낮은 열전도율을 갖는 수지로 이루어진다. 이 때문에, 정착 장치 내부의 열에 의해 수증기 수용부(105)의 온도 상승이 어렵게 된다. 따라서, 전사 매체부터의 수증기는 수증기 수용부(105)에서 쉽게 응결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안내부(102)와 동일한 금속으로 이루어진 수증기 수용부에 비해 전사 매체부터의 수증기를 더 잘 모을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증기 수용부(105)는 드로잉 가공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선단부의 선단을 얇게 하여 열용량을 낮게 함으로써, 분리판의 선단부의 온도가 다른 부분보다 상승하기 쉽도록 하고 있다. 선단부 및 안내부는 별개로 이루어지고, 선단부는 단열재를 매개로 안내부에 마련되어 선단부의 열이 드로잉 가공에 의해 형성된 수증기 수용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선단부의 온도는 양호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정착 장치로서,
서로 접촉하여 닙을 형성하면서 접촉 상태의 표면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는 2개의 표면 이동체와,
표면 이동체 중 적어도 하나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열원
을 포함하며, 미정착 토너상이 형성된 표면을 갖는 전사 매체를 닙 내에 배치하여, 그 토너상을 전사 매체에 가열 정착시키고,
닙을 통과한 후에 표면 이동체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전사 매체를 표면 이동체로부터 제거하도록 구성된 분리판을 더 포함하며,
분리판의 표면 이동체측의 선단부의 온도 상승을 분리판의 다른 부분의 온도 상승에 비해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정착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정착 장치에 따르면, 고온에 가열된 전사 매체에 의해, 선단부의 온도를 응결을 발생시키지 않는 온도로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이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분리판은 그 분리판의 표면 이동체측의 선단부의 열용량이 분리판의 다른 부분의 열용량보다 낮도록 된 구조를 갖고 있다.
전술한 정착 장치에 따르면, 분리판의 선단부의 온도를 분리판의 다른 부분의 온도보다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분리판은 분리판의 표면 이동체측에서의 열이 분리판의 다른 부분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열전도 규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분리판의 다른 부분보다 선단부의 열용량이 낮아 그 선단부의 온도가 더 신속하게 상승하도록 하여, 선단부의 온도가 분리판의 다른 부분보다 높게 되는 경우, 선단부의 열이 분리판의 다른 부분으로 이동하는 열전달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정착 장치에 따르면, 분리판은 분리판의 표면 이동체측에서의 열이 분리판의 다른 부분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열전도 규제부를 포함하고 있다. 그 결과, 선단부의 온도가 분리판의 다른 부분의 온도보다도 높게 되더라도, 선단부의 열은 분리판의 다른 부분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선단부의 온도를 응결을 발생시키지 않는 온도로 신속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분리판은 표면 이동체측의 선단부를 보강하도록 구성된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강부는 분리판의 표면 이동체측의 선단부와 대면하는 위치에서, 표면 이동체의 축방향으로의 표면 평균 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갖는 표면 이동체의 부분과 대면할 수 있다.
선단부의 열은 보강부로 이동한다. 따라서, 보강부가 마련되지 않는 부분과 비교할 때에, 보강부가 마련된 부분은 응결을 발생시키지 않는 온도로의 온도 상승 속도가 느리다. 그 결과, 선단부의 보강부가 마련되는 부분에 응결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구조에 따르면, 보강부가 마련되지 않는 부분과 비교할 때에, 보강부가 마련된 부분에서 표면 이동체로부터 받는 복사열의 양은 많아질 수 있다. 그 결과, 보강부가 마련된 부분에서, 보강부에 의해 흡수된 열은 표면 이동체부터의 복사열에 의해서 보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보강부가 마련되지 않은 부분과 비교할 때에, 보강부가 마련된 부분에서 응결을 발생시키지 않는 온도로의 온도 상승 속도가 빨라진다. 이에 따라, 선단부의 보강부가 마련된 부분에서 응결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열원의 발열량은 표면 이동체의 보강부와 대면하는 부분의 온도가 그 표면 이동체의 축방향으로의 표면 평균 온도보다 높게 되도록 축방향으로 다르게 할 수 있다.
전술한 정착 장치에 따르면, 표면 이동체의 보강부와 대면하는 부분의 온도를 표면 이동체의 축방향으로의 표면 평균 온도보다 높게 할 수 있다.
선단부에서 전사 매체와 접촉하는 부분의 온도는 전사 매체와 접촉하지 않는 부분에 비해 전사 매체의 열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상승한다. 한편, 전사 매체와 대면하는 부분의 온도, 선단부의 전사 매체와 대면하는 부분에 비해 표면 이동체의 복사열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상승한다. 이는 표면 이동체의 전사 매체와 접촉하지 않는 부분의 열이 전사 매체로 빼앗기지 않고, 이에 따라 전사 매체와 접촉하지 않는 부분의 온도는 전사 매체와 접촉하는 부분보다 높게 된다. 따라서, 전사 매체와 대면하지 않는 부분의 온도는 선단부에서 전사 매체의 단부와 대면하는 부분에 비해 표면 이동체의 복사열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상승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선단부에서 전사 매체의 단부와 대면하는 부분은 표면 이동체에서 표면 온도가 높은 측의 복사열에 의한 영향 및 전사 매체의 접촉에 의한 영향을 모두 받게 된다. 보강부를 반송되는 전사 매체의 단부와 대면하는 위치에 마련함으로써, 보강부에 의해 흡수된 열은 표면 온도가 높은 측의 복사열 및 전사 매체의 열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보강부가 마련되지 않는 부분과 비교할 때에, 보강부가 마련되는 부분에서 응결을 발생시키지 않는 온도로의 온도 상승 속도가 빨라진다.
분리판은 전사 매체로부터 생성된 수증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증기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수증기 수용부는, 수증기 수용부에서 응결한 물이 표면 이동체측의 선단부로 떨어지지 않는 위치에 마련된다.
전술한 정착 장치에 따르면, 수증기 수용부를 마련하고, 전사 매체로부터 발생한 수증기를 수증기 수용부에서 응결시킴으로써, 전사 매체로부터 발생한 수증기가 배출 경로에 마련된 가이드 부재나 감광체에 응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수증기 수용부에서 응결된 물이 선단부로 떨어지지 않는 위치에 수증기 수 용부를 마련함으로써, 물이 선단부 상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선단부에 부착된 물에 의해 전사 매체가 선단부에 부착됨으로 인해 발생하는 종이 걸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증기 수용부는 전사 매체의 반송면으로부터 떨어지게 표면 이동체에서의 선단부로부터 분리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정착 장치에 따르면, 전사 매체가 수증기 수용부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수증기 수용부에 부착된 응결액에 의해 전사 매체를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하고, 전사 매체가 수증기 수용부에 부착됨으로 인해 종이 걸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증기 수용부는 열전도성이 낮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정착 장치에 따르면, 수증기 수용부에서의 온도 상승이 어렵게 되고, 이에 따라, 수증기 수용부의 온도가 전사 매체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를 응결시키는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사 매체로부터 발생한 수증기가 감광체에서 응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 형성 장치로서,
전사 매체상에 토너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토너상 형성부와,
전사 매체에 토너상을 정착시키도록 구성된 정착부
를 포함하며, 정착부는,
서로 접촉하여 닙을 형성하면서 접촉 상태의 표면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는 2개의 표면 이동체와,
표면 이동체 중 적어도 하나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열원을 포함하며, 미정착 토너상이 형성된 표면을 갖는 전사 매체를 닙 내에 배치하여, 그 토너상을 전사 매체에 가열 정착시키고,
상기 정착부는 닙을 통과한 후에 표면 이동체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전사 매체를 표면 이동체로부터 제거하도록 구성된 분리판을 더 포함하며,
분리판의 표면 이동체측의 선단부의 온도 상승을 분리판의 다른 부분의 온도 상승에 비해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것인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화상 형성 장치에 따르면, 종이의 걸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질 수 있다.

Claims (18)

  1. 서로 접촉하여 닙을 형성하면서 접촉 상태의 표면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는 2개의 표면 이동체와,
    상기 표면 이동체 중 적어도 하나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열원
    을 포함하며, 미정착 토너상이 형성된 표면을 갖는 전사 매체를 상기 닙 내에 배치하여, 그 토너상을 상기 전사 매체에 가열 정착시키고,
    상기 닙을 통과한 후에 상기 표면 이동체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전사 매체를 그 표면 이동체로부터 제거하도록 구성된 분리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리판의 상기 표면 이동체측의 선단부의 온도 상승을 상기 분리판의 다른 부분의 온도 상승에 비해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것인 정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상기 표면 이동체측의 선단부의 열용량이 분리판의 다른 부분의 열용량보다 낮도록 된 구조를 갖는 것인 정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상기 표면 이동체측의 선단부의 열이 분리판의 다른 부분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열전도 규제부를 포함하는 것인 정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상기 표면 이동체측의 선단부를 보강하도록 구성된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분리판의 표면 이동체측의 선단부와 대면하는 위치에서, 상기 표면 이동체의 축방향으로의 표면 평균 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갖는 표면 이동체의 부분과 대면하는 것인 정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이동체의 상기 보강부와 대면하는 부분의 온도가 상기 표면 이동체의 축방향으로의 표면 평균 온도보다 높도록 상기 열원의 발열량을 축방향으로 다르게 하는 것인 정착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반송되는 전사 매체의 단부와 대면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인 정착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전사 매체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증기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증기 수용부는 이 수증기 수용부에서 응결된 물이 상기 표면 이동체측의 선단부로 떨어지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인 정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수용부는 상기 전사 매체의 반송면으로부터 떨어지게 상기 표면 이동체측의 선단부로부터 분리된 위치에 마련되는 것인 정착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수용부는 열전도성이 낮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인 정착 장치.
  10. 전사 매체상에 토너상을 형성하도록 구성된 토너상 형성부와,
    상기 전사 매체에 상기 토너상을 정착시키도록 구성된 정착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정착부는,
    서로 접촉하여 닙을 형성하면서 접촉 상태의 표면들이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적어도 하나가 구동되는 2개의 표면 이동체와,
    상기 표면 이동체 중 적어도 하나를 가열하도록 구성된 열원을 포함하며, 미정착 토너상이 형성된 표면을 갖는 전사 매체를 상기 닙 내에 배치하여, 그 토너상을 상기 전사 매체에 가열 정착시키고,
    상기 정착부는 상기 닙을 통과한 후에 상기 표면 이동체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전사 매체를 그 표면 이동체로부터 제거하도록 구성된 분리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분리판의 상기 표면 이동체측의 선단부의 온도 상승을 분리판의 다른 부분의 온도 상승에 비해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것인 화상 형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상기 표면 이동체측의 선단부의 열용량이 분리판의 다른 부분의 열용량보다 낮도록 된 구조를 갖는 것인 화상 형성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상기 표면 이동체측의 열이 분리판의 다른 부분으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구성된 열전도 규제부를 포함하는 것인 화상 형성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상기 표면 이동체측의 선단부를 보강하도록 구성된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는 상기 분리판의 표면 이동체측의 선단부와 대면하는 위치에서, 상기 표면 이동체의 축방향으로의 표면 평균 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갖는 표면 이동체의 부분과 대면하는 것인 화상 형성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이동체의 상기 보강부와 대면하는 부분의 온도가 상기 표면 이동체의 축방향으로의 표면 평균 온도보다 높도록 상기 열원의 발열량을 축방향으로 다르게 하는 것인 화상 형성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반송되는 전사 매체의 단부와 대면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인 화상 형성 장치.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전사 매체로부터 발생하는 수증기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수증기 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증기 수용부는 이 수증기 수용부에서 응결된 물이 상기 표면 이동체 측의 선단부로 떨어지지 않는 위치에 마련되는 것인 화상 형성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수용부는 상기 전사 매체의 반송면으로부터 떨어지게 상기 표면 이동체측의 선단부로부터 분리된 위치에 마련되는 것인 화상 형성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수용부는 열전도성이 낮은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인 화상 형성 장치.
KR1020067015377A 2004-11-30 2005-11-17 정착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08015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47677 2004-11-30
JP2004347677A JP4264410B2 (ja) 2004-11-30 2004-11-30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6781A true KR20070046781A (ko) 2007-05-03
KR100801523B1 KR100801523B1 (ko) 2008-02-12

Family

ID=36564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5377A KR100801523B1 (ko) 2004-11-30 2005-11-17 정착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466949B2 (ko)
EP (1) EP1817641B1 (ko)
JP (1) JP4264410B2 (ko)
KR (1) KR100801523B1 (ko)
CN (1) CN100541350C (ko)
AU (1) AU2005310749B2 (ko)
DE (1) DE602005023045D1 (ko)
WO (1) WO200605951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513B1 (ko) * 2006-06-12 2008-11-12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클리닝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81419B2 (ja) * 2006-09-01 2012-11-28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の設計方法、電子写真記録装置の設計方法
JP2008164903A (ja) * 2006-12-28 2008-07-17 Kyocera Mita Corp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80094572A (ko) * 2007-04-19 2008-10-23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구동 장치
US7956513B2 (en) * 2007-04-20 2011-06-07 Mitsumi Electric Co., Ltd. Method of driving a driving device
US7759634B2 (en) * 2007-04-24 2010-07-20 Mitsumi Electric Co., Ltd. Position detect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detection accuracy
US8244168B2 (en) * 2007-06-25 2012-08-14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movable transfer device
US8107864B2 (en) * 2007-10-24 2012-01-31 Ricoh Company, Limited Separating member,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177412B2 (ja) * 2008-09-19 2013-04-0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464411B2 (ja) * 2009-07-29 2014-04-09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521776B2 (ja) * 2009-08-24 2014-06-18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321905B2 (ja) * 2009-09-01 2013-10-23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366005B2 (ja) 2009-09-10 2013-12-11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299690B2 (ja) * 2009-09-10 2013-09-25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549160B2 (ja) * 2009-09-10 2014-07-16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1064767A (ja) * 2009-09-15 2011-03-31 Ricoh Co Ltd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326958B2 (ja) 2009-09-15 2013-10-30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532977B2 (ja) 2009-11-30 2014-06-25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03264B2 (ja) * 2010-01-13 2014-01-29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600276B2 (en) * 2010-01-27 2013-12-03 Ricoh Company, Limited Heat conduction unit,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445188B2 (ja) * 2010-02-07 2014-03-19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45189B2 (ja) 2010-02-08 2014-03-19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564981B2 (ja) 2010-02-25 2014-08-06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18913B2 (ja) 2010-03-04 2014-02-19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633386B2 (ja) 2010-03-10 2014-12-03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40278B2 (ja) 2010-03-10 2014-03-12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408553B2 (ja) 2010-03-12 2014-02-05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625406B2 (ja) * 2010-03-16 2014-11-1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11197183A (ja) 2010-03-18 2011-10-06 Ricoh Co Ltd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589526B2 (ja) * 2010-03-18 2014-09-17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584516B2 (ja) * 2010-05-11 2014-09-03 株式会社沖データ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499999B2 (ja) 2010-08-31 2014-05-2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573502B2 (ja) * 2010-08-31 2014-08-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ユニット
JP5625865B2 (ja) 2010-12-16 2014-11-19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589820B2 (ja) 2010-12-17 2014-09-17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640750B2 (ja) 2011-01-07 2014-12-17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定着制御方法
JP5825545B2 (ja) 2011-01-11 2015-12-02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12185295A (ja) 2011-03-04 2012-09-27 Ricoh Co Ltd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768507B2 (ja) 2011-03-17 2015-08-26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9075362B2 (en) * 2011-06-28 2015-07-07 Kabushiki Kaisha Toshiba Fuser using endless belt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970828B2 (ja) * 2012-01-19 2016-08-17 株式会社リコー 分離部材、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333511B6 (ja) 2012-01-23 2023-11-08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209311B2 (ja) 2012-02-09 2017-10-04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164463A (ja) 2012-02-09 2013-08-22 Ricoh Co Ltd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195857A (ja) 2012-03-22 2013-09-30 Ricoh Co Ltd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546570B2 (ja) * 2012-03-23 2014-07-09 株式会社沖データ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5998706B2 (ja) * 2012-07-26 2016-09-28 カシオ電子工業株式会社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205766B2 (ja) * 2013-03-12 2017-10-04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5087640A (ja) * 2013-10-31 2015-05-07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233325B2 (ja) * 2015-02-04 2017-11-2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1064A (en) * 1987-12-29 1989-04-11 Eastman Kodak Company Conformable pad skive
JPH0643772A (ja) * 1992-02-14 1994-02-18 Fuji Xerox Co Ltd 定着装置の用紙排出装置
US5241354A (en) * 1992-04-14 1993-08-31 Eastman Kodak Company Symmetrically flexible sheet stripping apparatus
JPH06274057A (ja) 1993-03-23 1994-09-30 Toshiba Corp 定着装置
US5517292A (en) * 1993-06-01 1996-05-14 Oki Electric Industry Co., Ltd. Fusing apparatus having a paper separating unit
JP3220585B2 (ja) * 1993-12-28 2001-10-22 ミノルタ株式会社 用紙分離装置
JPH07315623A (ja) 1994-05-31 1995-12-05 Fuji Xerox Co Ltd 用紙搬送装置
US5532810A (en) * 1994-11-08 1996-07-02 Eastman Kodak Company Fuser roller skive mechanism having anti-gouging skive fingers
JP3184749B2 (ja) * 1995-10-19 2001-07-09 キヤノン株式会社 熱定着装置
JP2828097B2 (ja) * 1997-07-23 1998-11-25 東レ株式会社 定着ロール用用紙分離爪
JP3622526B2 (ja) * 1997-10-16 2005-02-2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2000089594A (ja) 1998-09-09 2000-03-31 Ricoh Co Ltd 定着装置
JP2000231293A (ja) 1999-02-09 2000-08-22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2001215841A (ja) * 2000-02-03 2001-08-10 Ntn Corp 画像形成装置用分離爪
DE60143466D1 (de) * 2000-08-31 2010-12-30 Ricoh Co Ltd Elektrophotographisches Bilderzeugungssystem
US6564030B2 (en) * 2000-12-13 2003-05-13 Heidelberger Druckmaschinen Ag Vented skive assembly for a fuser station in an image-forming machine
JP4353678B2 (ja) 2001-06-01 2009-10-2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6795676B2 (en) * 2001-06-01 2004-09-21 Ricoh Company, Ltd Sheet wrapping avoidable fix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843796B2 (ja) 2001-10-11 2006-11-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剥離装置
JP2003122173A (ja) * 2001-10-12 2003-04-25 Ntn Corp 剥離部材
JP3979918B2 (ja) 2001-11-01 2007-09-19 株式会社沖データ 定着装置
JP4099098B2 (ja) 2002-05-31 2008-06-11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
US7092665B2 (en) * 2002-12-05 2006-08-15 Seiko Epson Corporation Fixing apparatus having an exfoliating member and a restricting member
JP2004205749A (ja) * 2002-12-25 2004-07-22 Seiko Epson Corp 定着装置
JP2004205750A (ja) 2002-12-25 2004-07-22 Seiko Epson Corp 定着装置
JP2004205748A (ja) 2002-12-25 2004-07-22 Seiko Epson Corp 定着装置
US6782228B1 (en) * 2003-01-30 2004-08-24 Xerox Corporation Intermittent stripper fingers and baffle for stripping copy media from a heated fuser roll
US20050008408A1 (en) * 2003-07-11 2005-01-13 Kabushiki Kaisha Toshiba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5077515A (ja) * 2003-08-28 2005-03-24 Ricoh Co Ltd 画像記録装置の定着装置
JP4439885B2 (ja) 2003-11-25 2010-03-24 株式会社リコー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189461A (ja) 2003-12-25 2005-07-14 Ricoh Co Ltd ベルト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画像形成装置において使用するトナ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8513B1 (ko) * 2006-06-12 2008-11-12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클리닝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US7616913B2 (en) 2006-06-12 2009-11-10 Fuji Xerox Co., Ltd. Charging roller cleaning device with guiding portion and image forming device hav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5310749A1 (en) 2006-06-08
CN100541350C (zh) 2009-09-16
EP1817641A4 (en) 2009-07-01
JP4264410B2 (ja) 2009-05-20
EP1817641B1 (en) 2010-08-18
CN1914564A (zh) 2007-02-14
US20070166083A1 (en) 2007-07-19
AU2005310749B2 (en) 2009-01-29
EP1817641A1 (en) 2007-08-15
WO2006059518A1 (en) 2006-06-08
DE602005023045D1 (de) 2010-09-30
KR100801523B1 (ko) 2008-02-12
JP2006154560A (ja) 2006-06-15
US7466949B2 (en) 2008-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1523B1 (ko) 정착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
US759368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a fixing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maintaining fixability for an extended period of use
JP5556236B2 (ja) 定着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US8472855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orporating same
JP7127406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751768B2 (en) Fix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fixing device
JP6778411B2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350137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205766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7114698A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888319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702987B1 (ko)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화상형성장치
JP7268470B2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5028838B2 (ja) 画像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016100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2019291A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8244151B2 (en) Belt clean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766545B2 (ja)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
JP2017215508A (ja) 定着装置、案内部材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093842A (ja) 加熱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934350B2 (ja)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
JP6977394B2 (ja) 湾曲矯正装置、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6085384A (ja) 定着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6819085B2 (ja) 定着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157172A (ja) 加熱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