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2870A - 주사 구동회로와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장치 - Google Patents

주사 구동회로와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2870A
KR20070032870A KR1020050087425A KR20050087425A KR20070032870A KR 20070032870 A KR20070032870 A KR 20070032870A KR 1020050087425 A KR1020050087425 A KR 1020050087425A KR 20050087425 A KR20050087425 A KR 20050087425A KR 20070032870 A KR20070032870 A KR 20070032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lock
clock signal
input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7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29099B1 (ko
Inventor
신동용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7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29099B1/ko
Priority to JP2006108759A priority patent/JP4612580B2/ja
Priority to US11/506,685 priority patent/US7782276B2/en
Priority to EP06254884A priority patent/EP1764774B1/en
Priority to DE602006006514T priority patent/DE602006006514D1/de
Priority to CNB2006101392458A priority patent/CN100541577C/zh
Publication of KR20070032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29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29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09G3/323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 G09G3/324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being set using a data current provided by the data driver, e.g. by using a two-transistor current mirror
    • G09G3/3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with pixel circuitry controlling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the current through the light-emitting element being set using a data current provided by the data driver, e.g. by using a two-transistor current mirror the data current flowing through the driving transistor during a setting phase, e.g. by using a switch for connecting the driving transistor to the data driv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66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9/00Digital stores in which the information is moved stepwise, e.g. shift registers
    • G11C19/18Digital stores in which the information is moved stepwise, e.g. shift registers using capacitors as main elements of the stages
    • G11C19/182Digital stores in which the information is moved stepwise, e.g. shift registers using capacitors as main elements of the stages in combination with semiconductor elements, e.g. bipolar transistors, diodes
    • G11C19/184Digital stores in which the information is moved stepwise, e.g. shift registers using capacitors as main elements of the stages in combination with semiconductor elements, e.g. bipolar transistors, diodes with field-effect transistors, e.g. MOS-FE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86Details of a shift registers arranged for use in a driving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El Display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Shift Register Type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주사 구동회로는,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제 1주사 구동부와, 발광 신호를 출력하는 제 2주사 구동부를 포함하는 주사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 1주사 구동부 및 제 2주사 구동부는 각각 입력 신호(IN1, IN2) 또는 이전단 출력전압 라인에 종속 접속되고, 제 1클럭신호(CLK1) 및 제 2클럭신호(CLK2) 입력라인에 각각 접속된 n개의 스테이지들(Stage1 내지 Stage n)을 구비하며,
상기 각 스테이지는 상기 입력되는 제 1클럭신호 및 제 2클럭신호의 한 주기를 둘로 나누어 제 1기간에는 하이 레벨을 출력하는 프리차지를 수행하고, 제 2 기간에는 상기 제 1 기간에 받은 입력에 해당하는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여 로우 레벨의 펄스를 상기 제 1 또는 제 2 클럭신호의 반 주기 만큼 순차적으로 쉬프트 하여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주사 구동회로와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장치{scan driving circuit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ing the same}
도 1는 종래의 일반적인 주사 구동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사 구동회로에서 임의 스테이지의 회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테이지의 입/출력 신호 파형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 전계발광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유기 전계발광 장치의 각 화소영역에 구비되는 화소 회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
도 6은 도 5의 화소 회로에 입력되는 선택 신호 및 발광 신호에 대한 타이밍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주사 구동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주사 구동회로 내의 임의 스테이지에 대한 회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스테이지의 입/출력 신호의 타이밍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주사 구동회로 310 : 제 1주사 구동부
312 : 제 1주사 구동부의 기수번째 스테이지
320 : 제 2주사 구동부
322 : 제 2주사 구동부의 기수번째 스테이지
본 발명은 유기 전계발광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류 기입형 유기전계발광 장치에 이용되는 주사 구동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전계발광 장치는 형광성 유기 화합물을 전기적으로 여기시켜 발광시키는 표시 장치로서, M*N 개의 유기 발광셀들을 전압 기입 혹은 전류 기입하여 영상을 표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셀은 애노드(ITO), 유기 박막, 캐소드 레이어(metal)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유기 박막은 전자와 정공의 균형을 좋게 하여 발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발광층(emission layer, EML),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및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을 포함한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또한 별도의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과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유기 발광셀을 구동하는 방식에는 단순 매트릭스(passive matrix) 방식과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이용한 능동 구동(active matrix) 방식이 있다. 단순 매트릭스 방식은 양극과 음극을 직교 하도록 형성하고 라인을 선택하여 구동하는데 비해, 능동 구동 방식은 박막 트랜지스터를 각 ITO(indium tin oxide) 화소 전극에 접속하고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접속된 캐패시터의 용량에 의해 유지된 전압에 따라 구동하는 방식이다.
이때, 캐패시터에 전압을 설정하기 위해 인가되는 신호의 형태에 따라 능동 구동 방식은 전압 기입(voltage programming) 방식과 전류 기입(current programming)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이와 같은 능동 구동 방식의 유기 전계발광 장치는 크게 표시 패널, 데이터 구동회로, 주사 구동회로, 타이밍 제어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주사 구동회로는 상기 타이밍 제어부로부터 주사 구동제어신호를 공급 받고, 이에 주사 구동회로는 주사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생성된 주사신호를 표시 패널의 주사선들로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즉, 상기 주사 구동회로는 상기 패널 내에 구비된 복수의 화소들을 구동하기 위해 순차적으로 상기 주사신호를 생성하여 이를 패널에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는 종래의 일반적인 주사 구동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주사 구동회로는 스타트 펄스(SP) 입력 라인에 종속적으로 접속된 다수의 스테이지(ST1 내지 STn)으로 구성되며, 상기 다수의 스테이지들(ST1 내지 STn)은 스타트 펄스(SP)를 클럭 신호(C)에 따라 순차적으로 쉬프트시켜 출력신호(SO1 내지 SOn)를 발생한다. 이 경우 제 2 내지 제 n 스테이지(ST2 내지 STn) 각각은 전단 출력 신호를 스타트 펄스로 입력받아 이를 쉬프 트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스테이지들은 상기 스타트 펄스가 순차적으로 쉬프트되는 형태의 출력신호(SO1 내지 SOn)를 발생하여 이를 상기 매트릭스 화소 어레이에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주사 구동회로에서 임의 스테이지의 회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테이지의 입/출력 신호 파형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경우 주사 구동회로를 구성하는 각 스테이지는 마스터-슬레이브(Master-Slave) 형태의 플립플롭(flip/flop)을 사용한다. 이러한 플립플롭은 클럭(clk)이 로우 레벨일 때 입력을 계속 받으며, 출력은 이전의 출력을 유지한다.
반면에 상기 클럭(clk)이 하이 레벨인 경우에는 상기 클럭(clk)이 로우 레벨일 때 받은 입력(IN)을 유지하며 이를 출력으로 내보내고 더 이상의 입력을 받지 않는다.
이와 같은 회로에 있어서, 상기 플립플롭 내부에 구비되는 인버터(inverter)의 경우 그 입력(in)이 로우 레벨일 때 스태틱 전류(static current)가 흐르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플립플롭 내부에서 하이 레벨 입력(in)을 받은 인버터와 로우 레벨 입력(in)을 받는 인버터의 수가 같으므로 상기 플립플롭 내부의 인버터 중 절반에서는 상기 스태틱 전류가 발생되어 소비전력이 크게 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도 3의 회로에서 출력 전압(OUT)의 하이 레벨은 공급전압(VDD)과 접지(GND) 사이를 연결하는 저항의 비에 의한 전압값으로 결정되며(ratioed logic), 출력 전압(OUT)의 로우 레벨은 접지(GND)보다 트랜지스터의 문턱전압 만큼 높게 된다.
즉, 트랜지스터의 특성 편차에 따라 각 스테이지마다 하이 레벨로 받아들이는 입력전압 레벨이 다르게 되기 때문에 이와 같은 회로를 채용할 경우 출력 전압의 하이 레벨에도 편차가 생겨 회로가 오동작할 수 있게 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출력 전압의 로우 레벨 편차는 도 2의 회로에 구비된 인버터의 입력 트랜지스터(T1)의 온(on) 저항의 편차로 반영되어 출력 전압의 하이 레벨 편차를 가중시킬 수 있다. 특히 유기 전계발광 장치 패널에서는 특성 편차가 큰 트랜지스터를 사용하므로 이러한 문제가 더욱 심각해 진다.
또한, 상기 인버터는 입력 트랜지스터(T1)를 통해서 전류가 흘러 출력단(out)을 충전하며, 로드 트랜지스터(T2)를 통해서 전류가 흘러 출력단(out)을 방전하는데, 상기 출력단을 충전할 경우 상기 로드 트랜지스터(T2)의 소스-게이트 전압이 점점 줄어 방전 전류가 급격히 감소해 방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능동 구동 방식의 전류 기입형 유기 전계발광 장치에서 선택 신호를 제공하는 제 1주사구동부와, 발광 신호를 제공하는 제 2주사구동부로 구성된 주사 구동회로에 있어서, 스태틱 전류(static current)가 흐를 수 있는 경로를 없앰으로써 소비전력을 저감케 하는 주사 구동회로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발광 신호를 데이터 프레임 주기 중 소정 기간 동안 적어도 한번 이상 인가하도록 하여 각 화소의 열화를 방지하는 주사 구동회로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주사 구동회로는, 다단의 스테이지를 구비하며 각 스테이지를 통해 순차적으로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제 1주사 구동부 및 상기 다단의 스테이지를 통해 순차적으로 발광 신호를 출력하는 제 2주사 구동부를 포함하는 주사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각 스테이지는, 이전단 출력전압(gi) 또는 최초 입력 신호(IN1 or IN2)를 입력 받고, 제 1클럭단자에 게이트 단자가 접속된 제 1트랜지스터(M1)와; 상기 제 1트랜지스터(M1)의 출력단에 게이트 단자가 접속되고, 제 2클럭단자 및 출력라인(OUT)에 접속된 제 2트랜지스터(M2)와; 상기 제 1클럭단자에 게이트 단자가 접속되고, 제 2전원(VSS) 및 제 1노드(N1) 사이에 접속된 제 3트랜지스터(M3)와; 상기 제 1트랜지스터(M1)의 출력단에 게이트 단자가 접속되고, 제 1클럭단자 및 제 1노드 사이(N1)에 접속된 제 4트랜지스터(M4)와; 상기 제 1노드(N1)에 게이트 단자가 접속되고, 제 1전원(VDD) 및 상기 출력 라인(OUT) 사이에 접속된 제 5트랜지스터(M5)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주사 구동회로는,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제 1주사 구동부와, 발광 신호를 출력하는 제 2주사 구동부를 포함하는 주사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 1주사 구동부 및 제 2주사 구동부는 각각 입력 신호(IN1, IN2) 또는 이전단 출력전압 라인에 종속 접속되고, 제 1클럭신호(CLK1) 및 제 2클럭신호(CLK2) 입력라인에 각각 접속된 n개의 스테이지들(Stage1 내지 Stage n)을 구비하며,
상기 각 스테이지는 상기 입력되는 제 1클럭신호 및 제 2클럭신호의 한 주기를 둘로 나누어 제 1기간에는 하이 레벨을 출력하는 프리차지를 수행하고, 제 2 기간에는 상기 제 1 기간에 받은 입력에 해당하는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여 로우 레벨의 펄스를 상기 제 1 또는 제 2 클럭신호의 반 주기 만큼 순차적으로 쉬프트 하여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 의한 유기 전계발광 장치는, 선택 신호선들, 데이터선들 및 발광 신호선들과 접속되도록 위치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화소부와; 상기 데이터선들로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회로와; 입력 신호(IN1, IN2) 또는 이전단 출력전압 라인에 종속 접속되고, 제 1클럭신호(CLK1) 및 제 2클럭신호(CLK2) 입력라인에 각각 접속된 다단의 스테이지들을 구비하여 순차적으로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제 1주사 구동부 및 상기 다단의 스테이지를 통해 순차적으로 발광 신호를 출력하는 제 2주사 구동부로 구성되는 주사 구동회로가 포함되며,
상기 각 스테이지는, 상기 입력되는 제 1클럭신호 및 제 2클럭신호의 한 주기를 둘로 나누어 제 1기간에는 하이 레벨을 출력하는 프리차지를 수행하고, 제 2 기간에는 상기 제 1 기간에 받은 입력에 해당하는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여 로우 레벨의 펄스를 상기 제 1 또는 제 2 클럭신호의 반 주기 만큼 순차적으로 쉬프트 하여 출력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유기 전계발광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기 전계발광 장치는 유기 EL 표시 패널(이하, 표시 패널)(100), 데이터 구동회로(200), 주사 구동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주사 구동회로(300)는 선택 신호를 제공하는 제 1주사 구동부(310)와, 발광 신호를 제공하는 제 2주사 구동부(3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열 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데이터선(D1-Dn), 행 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신호선(S1-Sm, E1-Em), 및 매트릭스 모양으로 형성된 복수의 화소 회로(11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신호선은 화소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선택 신호선(S1-Sm) 및 유기 EL 소자의 발광 기간을 제어하기 위한 발광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발광 신호선(E1-Em)을 포함한다.
그리고, 데이터선(D1-Dn)과 선택 및 발광 신호선(S1-Sm, E1-Em)에 의해 정의되는 화소 영역에 각각 화소 회로(110)가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 구동회로(200)는 데이터선(D1-Dn)에 데이터 전류(IDATA)를 인가하며, 주사 구동회로(300)의 제 1주사 구동부(310)는 선택 신호선(S1-Sm)에 화소 회로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한다. 또한, 제 2주사 구동부(320)는 화소 회로(110)의 휘도를 제어하기 위한 발광 신호를 발광 신호선(E1-Em)에 순차적으로 인가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유기 전계발광 장치의 각 화소영역에 구비되는 화소 회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단,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j번째 데이터선(Dj)과 i번째 신호선(Si, Ei)에 연결된 화소 회로만을 도시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소 회로(110)는 유기 EL 소자(OLED), 트랜지스터(m1-m4), 및 캐패시터(Cst)를 포함한다. 여기서, 트랜지스터(m1-m4)로는 PMOS 트랜지스터가 사용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 1트랜지스터(m1)는 전원(VDD)과 유기 EL 소자(OLED) 간에 접속되어, 유기 EL 소자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트랜지스터(m1)의 소스는 전원(VDD)에 접속되고, 드레인은 트랜지스터(m3)를 통하여 유기 EL 소자(OLED)의 캐소드에 접속된다.
또한, 제 2트랜지스터(m2)는 선택 신호선(Si)으로부터의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선(Dj)으로부터의 데이터 신호를 제 1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로 전달하고, 제 4트랜지스터(m4)는 선택 신호에 응답하여 제 1트랜지스터(m1)을 다이오드 연결시킨다.
또한, 캐패시터(Cst)는 제 1트랜지스터(m1)의 게이트 및 소스 간에 접속되 어, 데이터선(Dj)으로부터의 데이터 전류(IDATA)에 해당하는 전압을 충전하며, 제 3트랜지스터(m3)는 발광 신호선(Ei)으로부터의 발광 신호에 응답하여 제 1트랜지스터(m1)에 흐르는 전류를 유기 EL 소자(OLED)로 전달한다.
도 6은 도 5의 화소 회로에 입력되는 선택 신호 및 발광 신호에 대한 타이밍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 신호선(Si, Si+1, Si+2)에는 제 2트랜지스터(m2)를 턴온하기 위한 선택 신호가 차례로 인가된다. 이와 같이, 상기 선택 신호에 의하여 제 2트랜지스터(m2)가 턴온되면, 데이터선(D1-Dn)으로부터의 데이터 전류(IDATA)에 대응되는 전압이 캐패시터(Cst)에 충전된다. 이 때, 선택 신호에 의해 제 4트랜지스터(m4)가 턴온되어, 제 1트랜지스터(m1)가 다이오드 연결이 된다. 따라서, 캐패시터(Cst)에 제 1트랜지스터(m1)를 통하여 흐르는 데이터 전류(IDATA)에 해당하는 전압이 충전된다. 따라서, 캐패시터(Cst)에 데이터 전류(IDATA)에 대응하는 전압이 저장되어 유지되고, 이 전압에 대응되는 전류에 의하여 유기 EL 소자가 반복적으로 발광할 수 있다.
이후 충전이 완료되면, 제 2 및 제 4트랜지스터(m2, m4)가 턴오프되고, 발광 신호선(Ei, Ei+1, Ei+2)으로부터 인가되는 발광 신호에 따라 제 3트랜지스터(m3)가 턴온되어 제 3트랜지스터(m3)를 통하여 데이터 전류(IDATA)가 흐르게 된다.
단, 본 발명의 경우 이러한 발광 표시 장치 동작 시에, 도 6에 나타낸 것처 럼 발광 신호선(Ei, Ei+1, Ei+2)에 인가되는 발광 신호의 레벨이 데이터 프레임 주기 중 소정 기간 동안 적어도 한번 이상 순차적으로 바뀌어 제공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발광 신호선(Ei, Ei+1, Ei+2)에 인가되는 발광 신호는 데이터 프레임 주기 중 소정 기간 동안 순차적으로 로우 레벨 및 하이 레벨로 바뀌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발광 신호선(Ei, Ei+1, Ei+2)에 인가되는 발광 신호가 로우 레벨인 경우에는, 제 3트랜지스터(m3)가 턴온되어 제 1트랜지스터(m1)로부터 인가되는 전류가 유기 EL 소자(OLED)에 공급되고, 이 전류에 대응하여 유기 EL 소자(OLED)는 발광하게 되며, 상기 발광 신호가 하이 레벨인 경우에는 제 3트랜지스터(m3)가 턴오프되어 제 1트랜지스터(m1)로부터 인가되는 전류가 유기 EL 소자(OLED)에 공급되지 않아 유기 EL 소자(OLED)는 발광하지 않는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비발광 기간(Poff) 동안 선택 신호선(Si)에 제 1트랜지스터(m1)를 턴온하기 위한 선택 신호가 인가되어, 데이터선(D1-Dn)으로부터의 데이터 전류(IDATA)에 대응하는 전압이 캐패시터(Cst)에 충전된다[기록 기간(Pw)].
기록 기간(Pw)이 끝나고 약간의 타이밍 이후에 발광 신호선(Ei)에 인가되는 발광 신호가 로우 레벨로 되어 1차 발광 기간(Pon)이 시작된다. 일정 시간 동안 발광이 이루어진 후에 제2 주사 신호의 레벨이 하이 레벨로 되어 유기 EL 소자로 전류가 인가되지 않게 되어 유기 EL 소자(OLED)가 발광하지 않는 비발광 기간(Poff) 이 되고,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프레임 주기 중 소정 기간 동안 순차적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소정 기간이 데이터 프레임 주기 전부가 될 경우에는 유기 EL소자의 발광 기간이 데이터 프레임 주기의 50%가 된다.
이와 같은 상기 선택 신호 및 발광 신호는 앞서 도 4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주사 구동부(310) 및 제 2주사 구동부(320)를 통해 출력되어 패널로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형을 갖는 선택 신호 및 발광 신호를 출력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주사 구동회로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주사 구동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주사 구동회로(30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mㅧn 화소 어레이(Pixel Array)를 구동하기 위한 선택 신호 및 발광 신호를 출력하는 제 1주사 구동부(310)와 제 2주사 구동부(320)로 구성되며, 상기 제 1주사 구동부(310) 및 제 2주사 구동부(320)는 각각의 입력 신호(IN1, IN2) 라인에 종속 접속되어진 n개의 스테이지들을 구비한다.
이들 n개의 스테이지들의 출력라인들은 상기 화소 어레이에 포함된 n개의 로우라인들(S1 내지 Sn, E1 내지 En)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화소 어레이를 구성하는 각각의 화소에 선택 신호 및 발광 신호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제 1주사 구동부(310) 및 제 2주사 구동부(320)에 구비된 제 1 스테이지에는 각각 최초 입력 신호(IN1, IN2)가 공급되고 제 1 내지 제 n-1 스테이지들의 출력신호는 각각 후단의 스테이지들에 입력 신호로서 공급된다.
또한,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제 1주사 구동부(310)의 각 스테이지들은 위상 반전된 제1 및 제2 클럭신호(CLK1,CLK2)가 각각 공급되는 제1 클럭단자(CLKa) 와 제2 클럭단자(CLKb)를 구비하며, 기수번째 스테이지들의 제1 클럭단자(CLKa)에는 제1클럭신호(CLK1)가 공급되고, 제2 클럭단자(CLKb)에는 제2 클럭신호(CLK2)가 공급된다. 이와 반대로 우수번째 스테이지 들의 제1 클럭단자(CLKa)에는 제2 클럭신호(CLK2)가 공급되며, 제2 클럭단자(CLKb)에는 제1 클럭신호(CLK1)가 공급된다.
즉, 최초 입력 신호(IN1) 또는 이전단 출력전압(gi)과, 제1 및 제2 클럭신호(CLK1,CLK2)를 공급 받은 각 스테이지는 상기 각 스테이지의 출력라인을 통해 순차적으로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반면에 발광 신호를 출력하는 상기 제 2주사 구동부(320)의 각 스테이지들은 위상 반전된 제1 및 제2 클럭신호(CLK1,CLK2)가 각각 공급되는 제1 클럭단자(CLKa) 와 제2 클럭단자(CLKb)를 구비하며, 기수번째 스테이지들의 제1 클럭단자(CLKa)에는 제2클럭신호(CLK2)가 공급되고, 제2 클럭단자(CLKb)에는 제1 클럭신호(CLK1)가 공급된다. 이와 반대로 우수번째 스테이지 들의 제1 클럭단자(CLKa)에는 제1 클럭신호(CLK1)가 공급되며, 제2 클럭단자(CLKb)에는 제2 클럭신호(CLK2)가 공급된다.
즉, 최초 입력 신호(IN2) 또는 이전단 출력전압(gi)과, 제1 및 제2 클럭신호(CLK1,CLK2)를 공급 받은 각 스테이지는 상기 각 스테이지의 출력라인을 통해 발광 신호의 레벨이 데이터 프레임 주기 중 소정 기간 동안 적어도 한번 이상 순차적으로 로우 레벨 및 하이 레벨 신호로 변환하여 제공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주사 구동회로 내의 임의 스테이지에 대한 회로도로서, 도 7에 도시된 제 1주사 구동부와 제 2주사 구동부의 기수번째 스테이지에 대한 구체적인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스테이지의 입/출력 신호의 타이밍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1주사 구동부 및 제 2주사 구동부의 기수번째 스테이지(312, 322)는 입력되는 클럭(CLK1, CLK2)의 한 주기를 둘로 나누어 제 1기간 동안에는 프리차지(Precharge)를 수행하고, 제 2 기간 동안에 평가(Evaluation)를 수행하여 로우 레벨의 펄스를 상기 클럭의 반 주기만큼 쉬프트 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한다. 즉, 상기 프리차지 기간에서는 하이 레벨의 출력을 내며, 평가 기간에는 상기 프리차지 기간에 받은 입력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기수번째 스테이지의 평가 기간을 우수번째 스테이지의 프리차지 기간과 같게 함으로써, 로우 레벨의 신호가 상기 클럭의 반 주기 만큼의 시간 간격으로 모든 스테이지에 순차적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이하, 도 8에 도시된 기수번째 스테이지의 회로 구성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스테이지의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단, 스테이지에 구비되는 트랜지스터의 경우 이하에서는 PMOS 박막트랜지스터를 그 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8을 참조하면, 이는 이전단 출력전압(gi) 또는 최초 입력 신호(IN1 or IN2)를 입력 받고, 제 1클럭단자에 게이트 단자가 접속된 제 1PMOS 트랜지스터(M1)와; 상기 제 1PMOS 트랜지스터(M1)의 출력단에 게이트 단자가 접속되고, 제 2클럭단자 및 출력라인(OUT)에 접속된 제 2POMS 트랜지스터(M2)와; 상기 제 1클럭단자에 게이트 단자가 접속되고, 제 2전원(VSS) 및 제 1노드(N1) 사이에 접속된 제 3PMOS 트랜지스터(M3)와; 상기 제 1PMOS 트랜지스터(M1)의 출력단에 게이트 단자가 접속되고, 제 1클럭단자 및 제 1노드 사이(N1)에 접속된 제 4POMS 트랜지스터(M4)와; 상기 제 1노드(N1)에 게이트 단자가 접속되고, 제 1전원(VDD) 및 상기 출력 라인(OUT) 사이에 접속된 제 5PMOS 트랜지스터(M5)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1PMOS 트랜지스터(M1)의 출력단 및 상기 출력 라인(OUT) 사이에 접속된 제 1캐패시터(C1)가 더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테이지가 제 1주사 구동부의 기수번째 스테이지(312)인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클럭단자에 제 1클럭신호(CLK1)가 공급되고, 제 2클럭단자에 제 2클럭신호(CLK2)가 공급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스테이지가 우수번째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클럭단자에는 제 2클럭신호(CLK2)가 공급되며, 제 2클럭단자에는 제 1클럭신호(CLK1)가 공급된다.
반면에 상기 스테이지가 제 2주사 구동부의 기수번째 스테이지(322)인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클럭단자에 제 2클럭신호(CLK2)가 공급되고, 제 2클럭단자에 제 1클럭신호(CLK1)가 공급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스테이지가 우수번째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클럭단자에는 제 1클럭신호(CLK1)가 공급되며, 제 2클럭 단자에는 제 2클럭신호(CLK2)가 공급된다.
또한, 상기 제 2전원(VSS)에는 별도의 음의 전원이 인가될 수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GND) 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전원이 접지로 구현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각 스테이지는 크게 전달부(transfer unit), 반전부(inversion unit), 버퍼부(buffer unit)로 이루어 지며, 상기 전달부는 제 1, 2 POMS 트랜지스터(M1,M2) 및 제 1캐패시터(C1)로 구성되고, 상기 반전부는 제 1, 3, 4 PMOS 트랜지스터(M1,M3,M4)로 구성되고, 상기 버퍼부는 제 5 PMOS 트랜지스터(M5)로 구성된다.
상기 스테이지가 제 1주사 구동부의 기수번째 스테이지(312)로 가정할 경우 제 1클럭신호(CLK1)가 로우 레벨 즉, 제 2클럭신호(CLK2)가 하이 레벨인 기간이 프리차지 기간이 되고, 제 1클럭신호(CLK1)가 하이 레벨 즉, 제 2클럭신호(CLK2)가 로우 레벨인 기간이 평가 기간이 된다. 이에 상기 프리차지 기간에서는 하이 레벨의 출력을 내고, 평가 기간에는 상기 프리차지 기간에 받은 입력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반면 상기 스테이지가 제 2주사 구동부의 기수번째 스테이지(322)로 가정할 경우 제 1클럭신호(CLK1)가 하이 레벨 즉, 제 2클럭신호(CLK2)가 로우 레벨인 기간이 프리차지 기간이 되고, 제 1클럭신호(CLK1)가 로우 레벨 즉, 제 2클럭신호(CLK2)가 하이 레벨인 기간이 평가 기간이 되며, 상기 프리차지 기간에서는 하이 레벨의 출력을 내며, 평가 기간에는 상기 프리차지 기간에 받은 입력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먼저 제 1주사 구동부의 기수번째 스테이지(312)에 대한 회로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프리차지(Precharge) 기간 즉, 제 1클럭신호(CLK1)가 로우 레벨 즉, 제 2클럭신호(CLK2)가 하이 레벨로 입력되는 동안에는 M1, M3이 온(ON) 되고, 이에 입력신호(IN1)가 각각 M2, M4의 게이트 단자에 전달된다.
따라서, 상기 프리차지 기간에는 상기 제 1 캐패시터(C1)에 입력 신호로서의 상기 이전단 출력전압 또는 입력 신호(IN1)가 저장되고, 제 1노드(N1)에는 제 2클럭신호(CLK2) 또는 제 2전원(VSS)에 의해 로우 레벨의 신호가 충전되므로 상기 M5가 온되어 하이 레벨의 제 1전원(VDD)가 출력단(OUT)을 통해 출력된다.
즉, 상기 프리차지 기간에서 상기 스테이지의 버퍼부 출력은 하이 레벨이 된다.
또한, 평가(Evaluation) 기간 동안에는 M1이 오프되어 입력 신호(IN1)가 차단되고, 이에 M3, M4 또한 오프된다.
이 때, 상기 프리차지 기간 동안에 입력받은 신호 즉, 이전단 출력전압 또는 입력 신호(IN1)가 하이 레벨인 경우에는 상기 프리차지 기간 동안에 프리차지된 신호 레벨이 유지되어 상기 버퍼부는 여전히 하이 레벨을 출력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프리차지 기간 동안에 입력받은 신호 즉, 이전단 출력전압 또는 입력 신호(IN1)가 로우 레벨인 경우에는 상기 제 1캐패시터(C1)에 의해 저장된 상기 로우 레벨 신호에 의해 상기 M2가 온 되는데, 이에 상기 전달부에서는 상기 M2가 온 됨에 따라 로우 레벨 값을 갖는 제 2클럭신호(CLK2)가 출력단(OUT)을 통해 출력된다.
즉, 상기 평가 기간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는 이전 프리차지 기간에 입력 받은 신호 즉, 이전단 출력전압 또는 최초 입력신호(IN1)가 로우 레벨인 경우에는 로우 레벨을 출력하고, 하이 레벨인 경우에는 하이 레벨을 출력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결과적으로 최초 입력 신호(IN1) 또는 이전단 출력전압(gi)과, 제1 및 제2 클럭신호(CLK1,CLK2)를 공급 받은 제 1주사 구동부의 각 스테이지는 입력되는 클럭(CLK1, CLK2)의 한 주기를 둘로 나누어 제 1기간 동안에는 프리차지(Precharge)를 수행하고, 제 2 기간 동안에 평가(Evaluation)를 수행하여 로우 레벨의 펄스를 상기 클럭의 반 주기만큼 쉬프트 하여 출력하는 동작을 한다. 즉, 상기 프리차지 기간에서는 하이 레벨의 출력을 내며, 평가 기간에는 상기 프리차지 기간에 받은 입력에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상기 각 스테이지의 출력라인을 통해 순차적으로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이는 화소부의 각 화소에 제공되는 선택 신호가 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 2주사 구동부의 기수번째 스테이지(322)에 대한 회로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제 1주사 구동부의 기수번째 스테이지(312)에 대한 회로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 상기 제 2주사 구동부의 기수번째 스테이지(322)에는 상기 제 1 클럭단자에 제 2클럭신호(CLK2)가 공급되고, 제 2클럭단자에 제 1클럭신호(CLK1)가 공급되는 것으로, 결과적으로 상기 제 1주사 구동부의 기수번째 스테이지의 제 1클럭단 자 및 제 2클럭단자에 입력되는 신호와는 서로 반전되어 입력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제 1주사 구동부와 제 2주사 구동부에 있어서 프리차지 구간 및 평가 구간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엇갈려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주사 구동부의 우수번째 스테이지의 제 1, 2클럭단자에 입력되는 클럭신호는 제 2주사 구동부의 기수번째 스테이지의 제 1, 2클럭단자에 입력되는 클럭신호와 같게 되며,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1주사 구동부의 기수번째 스테이지의 제 1, 2클럭단자에 입력되는 클럭신호는 제 2주사 구동부의 우수번째 스테이지의 제 1, 2클럭단자에 입력되는 클럭신호와 같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주사 구동부의 기수번째 스테이지가 로우 레벨의 출력을 낼 때 상기 제 2주사 구동부의 기수번째 스테이지는 하이 레벨의 출력을 내고, 클럭신호의 반 주기 뒤에 로우 레벨의 출력을 내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주사 구동부에 입력되는 최초 입력신호(IN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주사 구동부에 입력되는 최초 입력신호(IN1)과는 달리 상기 클럭신호의 복수의 주기에 해당하는 만큼의 소정 기간 동안 로우 레벨로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소정 기간은 1 데이터 프레임 내의 일정 기간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입력 신호(IN2)에 의한 상기 제 2주사 구동부의 각 스테이지 출력 신호는 상기 소정의 구간에 대응하여 적어도 한번 이상 순차적으로 로우 레벨 및 하이 레벨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하며, 이는 화소부의 각 화소에 제공되는 발광 신호가 된다.
여기서, 상기 소정 기간이 데이터 프레임 주기 전부가 될 경우 상기 기간에 대응하여 상기 제 2주사 구동부의 출력 신호 즉, 발광 신호는 1 데이터 프레임 주기의 50%에 해당하는 로우 레벨 신호가 제공되어 결과적으로 각 화소에 구비된 EL소자의 발광 기간이 데이터 프레임 주기의 50%가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선택 신호를 제공하는 제 1주사구동부와, 발광 신호를 제공하는 제 2주사구동부로 구성된 주사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발광 신호를 데이터 프레임 주기 중 소정 기간 동안 적어도 한번 이상 인가하도록 하여 각 화소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주사 구동회로에서 스태틱 전류(static current)가 흐를 수 있는 경로를 없앰으로써 소비전력을 저감케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주사 구동회로를 통해 하이 레벨 출력을 낼 때 출력단을 충전하지 않게 되어 새는 전류(leakage current)를 최소화하며, 로우 레벨 출력을 낼 때 출력단을 방전하는 전류의 감소 정도를 최소화하여 동작 속도가 빨라지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져야만 한다.

Claims (28)

  1. 다단의 스테이지를 구비하며 각 스테이지를 통해 순차적으로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제 1주사 구동부 및 상기 다단의 스테이지를 통해 순차적으로 발광 신호를 출력하는 제 2주사 구동부를 포함하는 주사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각 스테이지는, 이전단 출력전압(gi) 또는 최초 입력 신호(IN1 or IN2)를 입력 받고, 제 1클럭단자에 게이트 단자가 접속된 제 1트랜지스터(M1)와;
    상기 제 1트랜지스터(M1)의 출력단에 게이트 단자가 접속되고, 제 2클럭단자 및 출력라인(OUT)에 접속된 제 2트랜지스터(M2)와;
    상기 제 1클럭단자에 게이트 단자가 접속되고, 제 2전원(VSS) 및 제 1노드(N1) 사이에 접속된 제 3트랜지스터(M3)와;
    상기 제 1트랜지스터(M1)의 출력단에 게이트 단자가 접속되고, 제 1클럭단자 및 제 1노드 사이(N1)에 접속된 제 4트랜지스터(M4)와;
    상기 제 1노드(N1)에 게이트 단자가 접속되고, 제 1전원(VDD) 및 상기 출력 라인(OUT) 사이에 접속된 제 5트랜지스터(M5)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구동회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트랜지스터(M1)의 출력단 및 상기 출력 라인(OUT) 사이에 접속된 제 1캐패시터(C1)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구동회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클럭신호 및 제 2클럭신호는 서로 상반된 위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구동회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가 제 1주사 구동부의 기수번째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클럭단자에 제 1클럭신호(CLK1)가 공급되고, 제 2클럭단자에 제 2클럭신호(CLK2)가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구동회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클럭신호(CLK1)가 로우 레벨로 입력되는 기간에 프리차지(Precharge)가 수행되고, 상기 제 1클럭신호(CLK1)가 하이 레벨로 입력되는 기간에 평가(Evaluation)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구동회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가 제 2주사 구동부의 기수번째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클럭단자에 제 2클럭신호(CLK2)가 공급되고, 제 2클럭단자에 제 1클럭신호(CLK1)가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구동회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클럭신호(CLK1)가 하이 레벨로 입력되는 기간에 프리차지(Precharge)가 수행되고, 상기 제 1클럭신호(CLK1)가 로우 레벨로 입력되는 기간에 평가(Evaluation)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구동회로.
  8. 제 5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차지 기간에는 하이 레벨이 출력되고, 상기 평가 기간에는 상기 프리차지 기간에 받은 입력에 해당하는 레벨의 신호가 출력되어 로우 레벨의 펄스가 상기 제 1 또는 제 2 클럭신호의 반 주기 만큼 순차적으로 쉬프트되어 출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구동회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주사 구동부의 우수번째 스테이지의 제 1, 2클럭단자에 입력되는 클럭신호는 제 2주사 구동부의 기수번째 스테이지의 제 1, 2클럭단자에 입력되는 클럭신호와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구동회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주사 구동부의 기수번째 스테이지의 제 1, 2클럭단자에 입력되는 클럭신호는 제 2주사 구동부의 우수번째 스테이지의 제 1, 2클럭단자에 입력되는 클럭신호와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구동회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주사 구동부에 입력되는 최초 입력신호(IN2)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클럭신호의 복수의 주기에 해당하는 만큼의 소정 기간 동안 로우 레벨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구동회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간은 1 데이터 프레임 내의 일정 기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구동회로.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주사 구동부에 입력되는 최초 입력신호(IN2)에 의해 제 2주사 구동부의 각 스테이지는 상기 소정의 구간에 대응하여 적어도 한번 이상 순차적으로 로우 레벨 및 하이 레벨 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구동회로.
  14.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제 1주사 구동부와, 발광 신호를 출력하는 제 2주사 구동부를 포함하는 주사 구동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 1주사 구동부 및 제 2주사 구동부는 각각 입력 신호(IN1, IN2) 또는 이전단 출력전압 라인에 종속 접속되고, 제 1클럭신호(CLK1) 및 제 2클럭신호 (CLK2) 입력라인에 각각 접속된 n개의 스테이지들(Stage1 내지 Stage n)을 구비하며,
    상기 각 스테이지는 상기 입력되는 제 1클럭신호 및 제 2클럭신호의 한 주기를 둘로 나누어 제 1기간에는 하이 레벨을 출력하는 프리차지를 수행하고, 제 2 기간에는 상기 제 1 기간에 받은 입력에 해당하는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여 로우 레벨의 펄스를 상기 제 1 또는 제 2 클럭신호의 반 주기 만큼 순차적으로 쉬프트 하여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구동회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스테이지는, 이전단 출력전압(gi) 또는 최초 입력 신호(IN1 or IN2)를 입력 받고, 제 1클럭단자에 게이트 단자가 접속된 제 1트랜지스터(M1)와; 상기 제 1트랜지스터(M1)의 출력단에 게이트 단자가 접속되고, 제 2클럭단자 및 출력라인(OUT)에 접속된 제 2트랜지스터(M2)와; 상기 제 1클럭단자에 게이트 단자가 접속되고, 제 2전원(VSS) 및 제 1노드(N1) 사이에 접속된 제 3트랜지스터(M3)와; 상기 제 1트랜지스터(M1)의 출력단에 게이트 단자가 접속되고, 제 1클럭단자 및 제 1노드 사이(N1)에 접속된 제 4트랜지스터(M4)와; 상기 제 1노드(N1)에 게이트 단자가 접속되고, 제 1전원(VDD) 및 상기 출력 라인(OUT) 사이에 접속된 제 5트랜지스터(M5)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구동회로.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트랜지스터(M1)의 출력단 및 상기 출력 라인(OUT) 사이에 접속된 제 1캐패시터(C1)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구동회로.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클럭신호 및 제 2클럭신호는 서로 상반된 위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구동회로.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가 제 1주사 구동부의 기수번째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클럭단자에 제 1클럭신호(CLK1)가 공급되고, 제 2클럭단자에 제 2클럭신호(CLK2)가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구동회로.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클럭신호(CLK1)가 로우 레벨로 입력되는 기간에 프리차지(Precharge)가 수행되고, 상기 제 1클럭신호(CLK1)가 하이 레벨로 입력되는 기간에 평가(Evaluation)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구동회로.
  20.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지가 제 2주사 구동부의 기수번째인 경우에는 상기 제 1 클럭단자에 제 2클럭신호(CLK2)가 공급되고, 제 2클럭단자에 제 1클럭신호(CLK1)가 공급 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구동회로.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클럭신호(CLK1)가 하이 레벨로 입력되는 기간에 프리차지(Precharge)가 수행되고, 상기 제 1클럭신호(CLK1)가 로우 레벨로 입력되는 기간에 평가(Evaluation)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구동회로.
  22. 제 19항 또는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차지 기간에는 하이 레벨이 출력되고, 상기 평가 기간에는 상기 프리차지 기간에 받은 입력에 해당하는 레벨의 신호가 출력되어 로우 레벨의 펄스가 상기 제 1 또는 제 2 클럭신호의 반 주기 만큼 순차적으로 쉬프트되어 출력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구동회로.
  23.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주사 구동부의 우수번째 스테이지의 제 1, 2클럭단자에 입력되는 클럭신호는 제 2주사 구동부의 기수번째 스테이지의 제 1, 2클럭단자에 입력되는 클럭신호와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구동회로.
  24.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주사 구동부의 기수번째 스테이지의 제 1, 2클럭단자에 입력되는 클럭신호는 제 2주사 구동부의 우수번째 스테이지의 제 1, 2클럭단자에 입력되는 클럭신호와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구동회로.
  2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주사 구동부에 입력되는 최초 입력신호(IN2)는 상기 제 1 또는 제 2 클럭신호의 복수의 주기에 해당하는 만큼의 소정 기간 동안 로우 레벨로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구동회로.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기간은 1 데이터 프레임 내의 일정 기간임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구동회로.
  27.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주사 구동부에 입력되는 최초 입력신호(IN2)에 의해 제 2주사 구동부의 각 스테이지는 상기 소정의 구간에 대응하여 적어도 한번 이상 순차적으로 로우 레벨 및 하이 레벨 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주사 구동회로.
  28. 선택 신호선들, 데이터선들 및 발광 신호선들과 접속되도록 위치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화소부와;
    상기 데이터선들로 데이터신호를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회로와;
    입력 신호(IN1, IN2) 또는 이전단 출력전압 라인에 종속 접속되고, 제 1클럭신호(CLK1) 및 제 2클럭신호(CLK2) 입력라인에 각각 접속된 다단의 스테이지들을 구비하여 순차적으로 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제 1주사 구동부 및 상기 다단의 스테이지를 통해 순차적으로 발광 신호를 출력하는 제 2주사 구동부로 구성되는 주사 구동회로가 포함되며,
    상기 각 스테이지는, 상기 입력되는 제 1클럭신호 및 제 2클럭신호의 한 주기를 둘로 나누어 제 1기간에는 하이 레벨을 출력하는 프리차지를 수행하고, 제 2 기간에는 상기 제 1 기간에 받은 입력에 해당하는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여 로우 레벨의 펄스를 상기 제 1 또는 제 2 클럭신호의 반 주기 만큼 순차적으로 쉬프트 하여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전계발광 장치.
KR1020050087425A 2005-09-20 2005-09-20 주사 구동회로와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장치 KR100729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425A KR100729099B1 (ko) 2005-09-20 2005-09-20 주사 구동회로와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장치
JP2006108759A JP4612580B2 (ja) 2005-09-20 2006-04-11 走査駆動回路
US11/506,685 US7782276B2 (en) 2005-09-20 2006-08-18 Scan driving circuit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ing the same
EP06254884A EP1764774B1 (en) 2005-09-20 2006-09-20 Scan driving circuit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ing the same
DE602006006514T DE602006006514D1 (de) 2005-09-20 2006-09-20 Zeilentreiber für eine Treiberschaltung einer Anzeigetafel und organische lichtemittierende Anzeige damit
CNB2006101392458A CN100541577C (zh) 2005-09-20 2006-09-20 扫描驱动电路和使用该扫描驱动电路的有机发光显示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7425A KR100729099B1 (ko) 2005-09-20 2005-09-20 주사 구동회로와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870A true KR20070032870A (ko) 2007-03-23
KR100729099B1 KR100729099B1 (ko) 2007-06-14

Family

ID=37441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7425A KR100729099B1 (ko) 2005-09-20 2005-09-20 주사 구동회로와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782276B2 (ko)
EP (1) EP1764774B1 (ko)
JP (1) JP4612580B2 (ko)
KR (1) KR100729099B1 (ko)
CN (1) CN100541577C (ko)
DE (1) DE602006006514D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395B1 (ko) * 2007-03-02 2008-10-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회로
US8299990B2 (en) 2008-04-02 2012-10-30 Samsung Display Co., Ltd. Flat panel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flat panel display
KR101455735B1 (ko) * 2007-06-05 2014-10-28 소니 주식회사 표시 패널 구동방법, 표시장치, 표시 패널 구동장치 및전자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2690B1 (ko) * 2005-11-07 2007-10-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데이터구동회로와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0748321B1 (ko) * 2006-04-06 2007-08-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주사 구동회로와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719670B1 (ko) * 2006-04-06 2007-05-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데이터 구동부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JP5251007B2 (ja) * 2007-06-05 2013-07-31 ソニー株式会社 表示パネル駆動方法、表示装置、表示パネル駆動装置及び電子機器
JP5251006B2 (ja) * 2007-06-05 2013-07-31 ソニー株式会社 表示パネル駆動方法、表示装置、表示パネル駆動装置及び電子機器
JP5309475B2 (ja) 2007-06-05 2013-10-09 ソニー株式会社 表示パネル駆動方法、表示装置、表示パネル駆動装置及び電子機器
JP5495510B2 (ja) * 2007-06-19 2014-05-21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5141277B2 (ja) 2008-02-08 2013-02-13 ソニー株式会社 点灯期間設定方法、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バックライトの駆動方法、点灯期間設定装置、半導体デバイス、表示パネル及び電子機器
JP5211732B2 (ja) * 2008-02-14 2013-06-12 ソニー株式会社 点灯期間設定方法、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点灯条件設定装置、半導体デバイス、表示パネル及び電子機器
CN101685594B (zh) * 2008-09-25 2013-04-17 奇美电子股份有限公司 主动式矩阵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
US8773518B2 (en) * 2009-01-19 2014-07-08 Panasonic Corporatio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US8330702B2 (en) 2009-02-12 2012-12-1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ulse output circuit,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8319528B2 (en) 2009-03-26 2012-11-2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interconnected transistor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emiconductor device
KR101082199B1 (ko) * 2009-09-08 2011-11-0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발광제어구동부 및 그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CN102479477B (zh) * 2010-11-26 2015-03-0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移位寄存器单元、栅极驱动电路和显示装置
TW201225038A (en) * 2010-12-08 2012-06-16 Au Optronics Corp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driving panel thereof
KR101735804B1 (ko) * 2010-12-13 2017-05-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102639239B1 (ko) 2011-05-13 2024-02-20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
CN102522829B (zh) * 2011-12-28 2014-02-26 苏州大学 电源管理电路
CN102682692B (zh) * 2012-05-21 2014-11-0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移位寄存器、驱动装置及显示器
CN102867475A (zh) * 2012-09-13 2013-01-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移位寄存器单元、栅极驱动电路及显示装置
KR101962432B1 (ko) * 2012-09-20 2019-03-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스테이지 회로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CN104658475B (zh) * 2013-11-21 2017-04-26 乐金显示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显示装置
CN104751769A (zh) * 2013-12-25 2015-07-01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扫描驱动器及使用该扫描驱动器的有机发光显示器
CN104361860B (zh) * 2014-11-19 2017-02-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移位寄存器、栅极驱动电路以及显示装置
KR102525548B1 (ko) * 2015-12-29 2023-04-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CN105957556A (zh) * 2016-05-11 2016-09-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移位寄存器单元、栅极驱动电路及其驱动方法、显示装置
CN107103870A (zh) * 2017-06-27 2017-08-29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移位寄存单元、其驱动方法及显示面板
CN107799070A (zh) * 2017-12-08 2018-03-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移位寄存器、栅极驱动电路、显示装置及栅极驱动方法
CN108564908B (zh) * 2018-01-31 2021-05-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移位寄存器及其驱动方法、栅极驱动电路、显示装置
CN108510938B (zh) 2018-04-20 2020-12-11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移位寄存器及其驱动方法、发射驱动电路和显示装置
WO2020206593A1 (zh) * 2019-04-08 2020-10-15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N112424856B (zh) * 2019-06-03 2023-03-14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电路、像素电路的驱动方法、显示装置及其驱动方法
US11217298B2 (en) * 2020-03-12 2022-01-04 Micron Technology, Inc. Delay-locked loop clock sharing
US11790856B2 (en) * 2021-09-03 2023-10-17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having emission control driver
CN115762408B (zh) * 2021-09-03 2024-05-10 乐金显示有限公司 具有发光控制驱动器的显示面板和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1336B1 (ko) * 1998-10-21 2001-03-02 구본준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DE19950860B4 (de) * 1998-10-21 2009-08-27 Lg Display Co., Ltd. Schieberegister
EP1020839A3 (en) * 1999-01-08 2002-11-27 Sel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isplay device and driving circuit therefor
KR100430099B1 (ko) * 1999-03-02 2004-05-0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쉬프트 레지스터 회로
US6760005B2 (en) * 2000-07-25 2004-07-06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river circuit of a display device
JP3658349B2 (ja) * 2001-09-20 2005-06-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信号伝送回路、固体撮像装置、カメラおよび液晶表示装置
KR100425481B1 (ko) * 2001-09-21 2004-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사/유지전극 구동회로
JP2003195810A (ja) * 2001-12-28 2003-07-09 Casio Comput Co Ltd 駆動回路、駆動装置及び光学要素の駆動方法
JP2004062161A (ja) * 2002-06-07 2004-02-26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電気光学装置の走査線選択方法及び電子機器
TW586105B (en) * 2002-07-09 2004-05-01 Au Optronics Corp Continuous pulse array generator using low-voltage clock signal
US7319452B2 (en) * 2003-03-25 2008-01-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hift register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2004325940A (ja) 2003-04-25 2004-11-18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TWI220051B (en) * 2003-05-22 2004-08-01 Au Optronics Corp Shift register circuit
KR100515351B1 (ko) 2003-07-08 2005-09-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이를 이용한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US7486269B2 (en) * 2003-07-09 2009-0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Shift register, scan driving circuit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JP4683833B2 (ja) * 2003-10-31 2011-05-18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機能回路及びその設計方法
US7427884B2 (en) * 2004-05-21 2008-09-2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KR101030528B1 (ko) * 2004-05-27 2011-04-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쉬프트 레지스터 및 이를 사용한 액정표시장치
ATE484051T1 (de) * 2004-06-01 2010-10-15 Lg Display Co Ltd Organische elektrolumineszenzanzeige und ansteuerverfahren dafür
JP5105699B2 (ja) * 2004-06-18 2012-12-26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0826684B1 (ko) * 2004-08-30 2008-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056369B1 (ko) * 2004-09-18 2011-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구동유닛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395B1 (ko) * 2007-03-02 2008-10-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회로
US7893894B2 (en) 2007-03-02 2011-02-22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driving circuit thereof
KR101455735B1 (ko) * 2007-06-05 2014-10-28 소니 주식회사 표시 패널 구동방법, 표시장치, 표시 패널 구동장치 및전자기기
US8982022B2 (en) 2007-06-05 2015-03-17 Sony Corporation Display panel driving method, display apparatus, display panel driving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US8299990B2 (en) 2008-04-02 2012-10-30 Samsung Display Co., Ltd. Flat panel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flat panel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64774B1 (en) 2009-04-29
CN1937020A (zh) 2007-03-28
KR100729099B1 (ko) 2007-06-14
US20070079191A1 (en) 2007-04-05
CN100541577C (zh) 2009-09-16
JP2007086727A (ja) 2007-04-05
EP1764774A3 (en) 2007-08-01
US7782276B2 (en) 2010-08-24
JP4612580B2 (ja) 2011-01-12
EP1764774A2 (en) 2007-03-21
DE602006006514D1 (de) 200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9099B1 (ko) 주사 구동회로와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장치
KR100658269B1 (ko) 주사 구동회로와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장치
EP1763003B1 (en) Emission control line driver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ing the emission control line driver
US7982704B2 (en) Data driving circuit and electroluminescent display using the same
KR100776511B1 (ko) 주사구동회로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표시장치
KR100658284B1 (ko) 주사 구동회로와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장치
KR101212139B1 (ko) 발광표시장치
KR20080027062A (ko) 주사구동부, 주사신호의 구동방법 및 그를 이용한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JP2005346025A (ja) 発光表示装置,表示パネル,及び発光表示装置の駆動方法
KR20180062282A (ko) 표시 장치용 발광 제어부 및 이를 적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13066422B (zh) 扫描与发光驱动电路、扫描与发光驱动系统、显示面板
US8836631B2 (en) Scan driving circuit with a shift register and electroluminescent display using the same
US7920118B2 (en) Scan driving circuit comprising a plurality of stages, each stage configured to receive multiple clocks
KR100719665B1 (ko) 데이터 구동회로와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759672B1 (ko) 주사 구동회로와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장치
KR100796125B1 (ko) 쉬프트 레지스터 및 데이터 구동회로와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KR100649222B1 (ko) 발광 표시 장치와 그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KR100658270B1 (ko) 주사 구동회로와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장치
KR100662983B1 (ko) 주사 구동회로와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발광 장치
KR100649224B1 (ko) 발광 표시 장치와 그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KR20050123480A (ko) 발광 표시 장치와 그 구동 장치 및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