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1046A - 씨모스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씨모스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1046A
KR20070031046A KR1020050085676A KR20050085676A KR20070031046A KR 20070031046 A KR20070031046 A KR 20070031046A KR 1020050085676 A KR1020050085676 A KR 1020050085676A KR 20050085676 A KR20050085676 A KR 20050085676A KR 20070031046 A KR20070031046 A KR 20070031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trench
photodiode
stop layer
channel s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5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8342B1 (ko
Inventor
김상영
Original Assignee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5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342B1/ko
Priority to TW094143506A priority patent/TWI288476B/zh
Priority to US11/303,059 priority patent/US7608872B2/en
Priority to JP2005367846A priority patent/JP5150050B2/ja
Priority to CNB2005100974391A priority patent/CN100485947C/zh
Publication of KR20070031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10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342B1/ko
Priority to US12/606,813 priority patent/US8084284B2/en
Priority to US12/606,845 priority patent/US8120062B2/en
Priority to US13/323,363 priority patent/US881562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43Photodiode arrays; MOS ima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83Processes or apparatus peculiar to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parts thereof
    • H01L27/14689MOS based technolog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화현상을 방지하면서 암전류를 억제할 수 있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트렌치가 형성된 제1 도전형의 기판과, 상기 트렌치의 내부면을 따라 상기 제1 도전형의 에피택셜층으로 형성된 채널스톱층과, 상기 트렌치가 매립되도록 상기 채널스톱층 상에 형성된 소자분리막과, 상기 채널스톱층 일측의 상기 기판에 형성된 제2 도전형의 포토다이오드와, 상기 포토다이오드로부터 생성된 광전하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포토다이오드와 인접한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트랜스퍼 게이트를 포함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를 제공한다.
씨모스 이미지 센서, 에피택셜층, 채널스톱층, 암전류, 누화현상.

Description

씨모스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CMOS 이미지 센서의 단위화소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CMOS 이미지 센서의 단위화소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CMOS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CMOS 이미지 센서의 단위화소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CMOS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210 : 기판 111, 211 : 패드 산화막
112, 212 : 패드 질화막 113 : 딥 트렌치
115, 215 : 채널스톱층 117, 217 : 게이트 절연막
119, 219 : 게이트 전도막 120, 220 : 게이트 전극
122, 222 : 스페이서 123, 223 : 트랜스퍼 게이트
124, 224 : 포토다이오드 126, 226 : 플로팅 확산영역
130 : 소자분리막
본 발명은 이미지 센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씨모스(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씨모스(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이하, CMOS라 함) 이미지 센서는 현재 모바일 폰(Mobile phone), PC(Personal Computer)용 카메라(Camera) 및 전자기기 등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디바이스(Device)이다. CMOS 이미지 센서는 기존에 이미지 센서로 사용되던 CCD(Charge Coupled Device)에 비해 구동방식이 간편하며, 신호 처리 회로(Signal Processing Circuit)를 한 칩에 집적할 수 있어서 SOC(System On Chip)이 가능하므로 모듈의 소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기존에 셋-업(Set-up)된 CMOS 기술을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CMOS 이미지 센서의 단위화소(unit pixel)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고농도의 P형(P++) 기판(10)과 저농도의 P형 에피층(미도시, P- epi)이 적층된 하부 구조(이하, 반도체층이라 함)에 국부적으로 소자분리막(12)이 형성되어 있고, 반도체층 상에 트랜스퍼 게이트(20)를 이루는 게이트 전극(18)이 게이트 절연막(14)/게이트 전도막(16)의 적층 및 그 측벽의 스페이서(19)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게이트 전극(18)의 일측에 얼라인된(aligned) 반도체층 내부에 채널스톱층으로 기능하는 P형(P+) 불순물영역(25)과 저농도의 N형(N-) 포토다이오드(21)가 이온주입 및 열확산 공정을 통해 형성되어 있다. 반면에, 게이트 전극(18)의 타측에 얼라인된 반도체층 내부에는 고농도의 N형(N+) 플로팅 확산영역(2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소자분리막(12)은 인접한 화소 간의 전자 이동을 방지, 즉 누화현상(crosstalk)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최근에는 이러한 누화현상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하여 트렌치의 깊이를 깊게(deep) 하여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트렌치의 깊이를 수 마이크로미터 깊이로 형성을 하게되면 반도체층의 깊은 곳에서 발생하는 전자가 인접한 화소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이온주입을 통해 깊은 트렌치(이하, 딥 트렌치라 함)의 측벽을 모두 도핑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포토다이오드의 공핍층이 딥 트렌치의 측벽으로 확장되어 암전류(dark current)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은, 누화현상을 방지하면서 암전류를 억제할 수 있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트렌치가 형성된 제1 도전형의 기판과, 상기 트렌치의 내부면을 따라 상기 제1 도전형의 에피택셜층으로 형성된 채널스톱층과, 상기 트렌치가 매립되도록 상기 채널스톱층 상에 형성된 소자분리막과, 상기 채널스톱층 일측의 상기 기판에 형성된 제2 도전형의 포토다이오드와, 상기 포토다이오드로부터 생성된 광전하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포토다이오드와 인접한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트랜스퍼 게이트를 포함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2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트렌치가 형성된 제1 도전형의 기판과, 상기 트렌치가 매립되도록 상기 제1 도전형의 에피택셜층으로 형성된 채널스톱층과, 상기 채널스톱층 일측의 상기 기판에 형성된 제2 도전형의 포토다이오드와, 상기 포토다이오드로부터 생성된 광전하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포토다이오드와 인전합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트랜스퍼 게이트를 포함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3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트렌치가 형성된 제1 도전형의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와, 에피택시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트렌치의 내부면을 따라 상기 제1 도전형의 채널스톱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트렌치가 매립되도록 상기 채널스톱층 상에 소자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채널스톱층의 일측 상기 기판 상에 양측으로 스페이서를 구비한 트랜스퍼 게이트용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불순물 이온주입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트렌치와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의 상기 기판에 제2 도전형의 포토다이오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4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은, 트렌치가 형성된 제1 도전형의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와, 에피택시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트렌치가 매립되도록 상기 제1 도전형의 채널스톱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채널스톱층의 일측 상기 기판 상에 양측으로 스페이서를 구비한 트랜스퍼 게이트용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불순물 이온주입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트렌치와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의 상기 기판에 제2 도전형의 포토다이오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며, 층이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있다고 언급되어지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층 또는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층이 개재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는 표시된 부분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실시예 1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CMOS 이미지 센서의 단위 화소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CMOS 이미지 센서의 단위 화소는 딥 트렌치(미도시)가 형성된 고농도의 P형(P++) 기판(110)과, 딥 트렌치의 내부면을 따라 P형(P+) 에피택셜층으로 형성된 채널스톱층(115)과, 딥 트렌치가 매립되도록 채널스톱층(115) 상에 형성된 소자분리막(130)과, 채널스톱층(115) 일측의 기판(110)에 형성된 저농도의 N형(N-) 포토다이오드(124)와, 포토다이오드(124)로부터 생성된 광전하를 전송하기 위해 포토다이오드(124)와 인접한 기판(110) 상에 형성된 트랜스퍼 게이트(123)를 포함한다. 또한, 포토다이오드(124)와 대향되며 트랜스퍼 게이트(123)와 인접한 기판(110)에 형성된 플로팅 확산영역(1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트랜스퍼 게이트(123)는 게이트 절연막(117)과 게이트 전도막(119)으로 이루어진 게이트 전극(120) 및 게이트 전극(120)의 양측벽에 형성된 스페이서 (122)로 이루어진다. 특히, 게이트 전도막(119)은 폴리실리콘 또는 텅스텐 실리사이드 등이 단독 또는 적층된 구조이며, 스페이서(122)는 질화막, 산화막 또는 산화질화막 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시되진 않았지만, 고농도의 P형(P+) 기판(110) 상에는 저농도의 P형 에피층(P- epi)이 적층되어 있다. 이때, 기판(110)은 단결정 실리콘막이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딥 트렌치의 내부면을 따라 포토다이오드(124)와 반대의 도전형으로 도핑되어 에피택셜 성장된 채널스톱층(115)을 형성함으로써, 트렌치의 선폭이 좁고 깊이가 깊더라도 균일한 채널스톱층(115)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CMOS 이미지 센서의 누화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암전류가 흐르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CMOS 이미지 센서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단면도이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농도의 P형(P++) 기판(110) 상에 패드 산화막(111) 및 패드 질화막(112)을 증착한다. 이때, 기판(110) 상부에는 P형의 에피층(P- epi, 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DTI(Deep Trench Isolation) 식각공정을 실시하여 기판(110)에 깊은 트렌치, 즉 딥 트렌치(113)를 형성한다. 예컨대, 마스크 공정 및 식각공정을 실시하여 패드 질화막(112) 상에 소정의 마스크 패턴(미도시)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마스크 패턴을 이용한 식각공정을 실시하여 패드 질화막(112), 패드 산화막(111) 및 기판(110)의 일부를 식각한다. 이로써, 기판(110)에 딥 트렌치(113)가 형성된다. 그런 다음, 스트립(strip) 공정을 통해 마스크 패턴을 제거한다.
이때, 화소 부위를 제외한 부분에서는 일반적인 STI(Shallow Trench Isolation) 공정을 통해 소자분리를 진행한다.
이어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시튜(in-situ)로 에피택시(Epitaxy) 공정을 실시하여 딥 트렌치(113, 도 3a 참조)의 내부면을 따라 고농도의 P형으로 도핑된 채널스톱층(115)을 성장시킨다. 이때, 채널스톱층(115)은 포토다이오드가 형성될 영역(이하, 포토다이오드 영역이라 함)의 기판(110) 상에도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포토다이오드 영역의 패드 질화막(112) 및 패드 산화막(111)을 식각한 후 에피택시 공정을 실시하여 포토다이오드 영역의 기판(110) 상에도 채널스톱층(115)을 형성한다.
이어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식식각공정을 통해 패드 질화막(112, 도 3b 참조) 및 패드 산화막(111, 도 3b 참조)을 제거한다.
이어서, 딥 트렌치(113, 도 3a 참조)가 매립되도록 채널스톱층(115) 상에 HDP(High Density Plasma) 산화막을 증착한 후, 이를 평탄화함으로써 소자분리막(130)이 형성된다. 이때, 소자분리막(130)은 후속 공정을 통해 증착될 게이트 전도막(119)이 트렌치(113) 내에 매립되어 잔류되는 것을 억제하도록 트렌치(113)의 저부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형성한다.
이어서, 소자분리막(130)을 포함한 기판(110) 전면에 게이트 절연막(117)을 형성한 후, 게이트 절연막(117) 상에 게이트 전도막(119)을 증착한다. 바람직하게는, 산화공정을 통해 게이트 산화막을 형성한 후, 폴리실리콘과 같은 도전성 물질을 CVD(Chemical Vapor Deposition) 방식으로 증착한다.
이어서, 게이트 전도막(119) 및 게이트 절연막(117)의 일부를 식각하여 기판(110) 상에 트랜스퍼 게이트(123)용 게이트 전극(120)을 형성한다. 그런 다음, 게이트 전극(120)의 양측벽에 절연막으로 이루어진 스페이서(122)를 형성한다.
이어서, 소정의 마스크 패턴을 이용한 불순물 이온주입 공정을 실시하여 채널스톱층(115)과 게이트 전극(120) 간의 기판(110)에 포토다이오드(124)를 형성한다. 예컨대, N형 불순물 이온, 즉 인 또는 비소를 주입하여 저농도의 N- 포토다이오드(124)를 형성한다.
이어서, 불순물 이온주입 공정을 실시하여 포토다이오드(124)에 대향되며 게이트 전극(120)과 인접한 기판(110)에 플로팅 확산영역(126)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고농도의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N+ 플로팅 확산영역(126)을 형성한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CMOS 이미지 센서의 단위 화소 일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CMOS 이미지 센서의 단위 화소는 트렌치(미도시)가 형성된 고농도의 P형(P++) 기판(210)과, 트렌치가 매립되도록 P형(P+) 에피택셜층으로 형성된 채널스톱층(215)과, 채널스톱층(215) 일측의 기판(210)에 형성된 저농도의 N형(N-) 포토다이오드(224)와, 포토다이오드(224)로부터 생성된 광전하를 전송하기 위해 포토다이오드(224)와 인접한 기판(210) 상에 형성된 트랜스퍼 게이트(223)를 포함한다. 또한, 포토다이오드(224)와 대향되며 트랜스퍼 게이트(223)와 인접한 기판(210)에 형성된 플로팅 확산영역(2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채널스톱층(215)이 트렌치의 내부면을 따라 형성되지 않고 트렌치 전체를 매립하여 형성된다. 따라서, 별도의 소자분리막 형성공정을 진행하지 않게 되므로 제1 실시예에 비하여 CMOS 이미지 센서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CMOS 이미지 센서 제조방법을 도시한 공정단면도이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딥 트렌치(미도시)가 형성된 고농도의 P형 기판(210)을 제공한다. 예컨대, 기판(210) 상에 형성된 패드 산화막(211) 및 패드 질화막(212)의 일부를 식각하여 기판(210)의 일부에 딥 트렌치를 형성한다.
이어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시튜로 에피택시 공정을 실시하여 고농도의 P형으로 도핑된 채널스톱층(215)을 딥 트렌치(미도시) 전체가 매립될 때까지 성장시킨다.
이어서, 습식식각공정을 실시하여 패드 질화막(212) 및 패드 산화막(211)을 제거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트랜스퍼 게이트(223)를 형성한 후, 불순물 이온주입 공정을 실시하여 트랜스퍼 게이트(223)와 채널스톱층(215) 간의 기판(210)에 포토다이오드(224)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저농도의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N- 포토다이오드(224)를 형성한다. 여기서, 트랜스퍼 게이트(223)는 게이트 절연막(217)/게이트 전도막(219)이 적층된 구조의 게이트 전극(220)과 게이트 전극(220)의 양측벽에 형성된 스페이서(222)를 포함한다.
이어서, 불순물 이온주입 공정을 실시하여 포토다이오드(224)와 대향되며 트랜스퍼 게이트(223)에 인접한 기판(210)에 플로팅 확산영역(226)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고농도의 N형 불순물 이온을 주입하여 N+ 플로팅 확산영역(226)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기판에 딥 트렌치를 형성한 후 그 내부면을 따라 에피택셜 성장된 채널스톱층을 형성함으로써, 딥 트렌치의 측벽에 균일한 채널스톱층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누화현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암전류의 흐름을 억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CMOS 이미지 센서의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트렌치가 형성된 제1 도전형의 기판;
    상기 트렌치의 내부면을 따라 상기 제1 도전형의 에피택셜층으로 형성된 채널스톱층;
    상기 트렌치가 매립되도록 상기 채널스톱층 상에 형성된 소자분리막;
    상기 채널스톱층 일측의 상기 기판에 형성된 제2 도전형의 포토다이오드; 및
    상기 포토다이오드로부터 생성된 광전하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포토다이오드와 인접한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트랜스퍼 게이트
    를 포함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스톱층은 상기 트렌치와 대응되는 영역 뿐만 아니라 상기 포토다이오드와 대응되는 영역의 상기 기판 상에도 형성된 씨모스 이미지 센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분리막은 상기 트랜스퍼 게이트의 도전물질이 상기 트렌치 내에 잔류되지 않도록 상기 트렌치 저부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형성된 씨모스 이미지 센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게이트로부터 상기 광전하를 전송받도록 상기 포토다이오드와 대향되며 상기 트랜스퍼 게이트에 인접한 상기 기판에 형성된 플로팅 확산영역을 더 포함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
  5. 트렌치가 형성된 제1 도전형의 기판;
    상기 트렌치가 매립되도록 상기 제1 도전형의 에피택셜층으로 형성된 채널스톱층;
    상기 채널스톱층 일측의 상기 기판에 형성된 제2 도전형의 포토다이오드; 및
    상기 포토다이오드로부터 생성된 광전하를 전송하기 위해 상기 포토다이오드와 인전합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트랜스퍼 게이트
    를 포함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스톱층은 상기 트렌치와 대응되는 영역 뿐만 아니라 상기 포토다이오드와 대응되는 영역의 상기 기판 상에도 형성된 씨모스 이미지 센서.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게이트로부터 상기 광전하를 전송받도록 상기 포토다이오드와 대향되며 상기 트랜스퍼 게이트에 인접한 상기 기판에 형성된 플로팅 확산영역을 더 포함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
  8. 트렌치가 형성된 제1 도전형의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에피택시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트렌치의 내부면을 따라 상기 제1 도전형의 채널스톱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가 매립되도록 상기 채널스톱층 상에 소자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채널스톱층의 일측 상기 기판 상에 양측으로 스페이서를 구비한 트랜스퍼 게이트용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불순물 이온주입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트렌치와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의 상기 기판에 제2 도전형의 포토다이오드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 제조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스톱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트렌치와 대응되는 영역 뿐만 아니라 상기 포토다이오드와 대응되는 영역의 상기 기판 상에도 상기 채널스톱층을 형성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 제조방법.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자분리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트렌치 내에 상기 게이트 전극 물질이 잔류되지 않도록 상기 트렌치의 저부로부터 일정 높이까지 상기 소자분리막을 형성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 제조방법.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다이오드를 형성하는 단계 후,
    불순물 이온주입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트랜스퍼 게이트로부터 상기 광전하를 전송받도록 상기 포토다이오드와 대향되며 상기 트랜스퍼 게이트에 인접한 상기 기판 에 플로팅 확산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 제조방법.
  12. 트렌치가 형성된 제1 도전형의 기판을 제공하는 단계;
    에피택시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트렌치가 매립되도록 상기 제1 도전형의 채 널스톱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채널스톱층의 일측 상기 기판 상에 양측으로 스페이서를 구비한 트랜스퍼 게이트용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및
    불순물 이온주입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트렌치와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의 상기 기판에 제2 도전형의 포토다이오드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스톱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트렌치와 대응되는 영역 뿐만 아니라 상기 포토다이오드와 대응되는 영역의 상기 기판 상에도 상기 채널스톱층을 형성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 제조방법.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다이오드를 형성하는 단계 후,
    불순물 이온주입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트랜스퍼 게이트로부터 상기 광전하를 전송받도록 상기 포토다이오드와 대향되며 상기 트랜스퍼 게이트에 인접한 상기 기판 에 플로팅 확산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씨모스 이미지 센서 제조방법.
KR1020050085676A 2005-09-14 2005-09-14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KR100748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676A KR100748342B1 (ko) 2005-09-14 2005-09-14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TW094143506A TWI288476B (en) 2005-09-14 2005-12-09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11/303,059 US7608872B2 (en) 2005-09-14 2005-12-13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2005367846A JP5150050B2 (ja) 2005-09-14 2005-12-21 Cmosイメージ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CNB2005100974391A CN100485947C (zh) 2005-09-14 2005-12-28 互补金属氧化物半导体图像传感器及其制造方法
US12/606,813 US8084284B2 (en) 2005-09-14 2009-10-27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12/606,845 US8120062B2 (en) 2005-09-14 2009-10-27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13/323,363 US8815628B2 (en) 2005-09-14 2011-12-12 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5676A KR100748342B1 (ko) 2005-09-14 2005-09-14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1046A true KR20070031046A (ko) 2007-03-19
KR100748342B1 KR100748342B1 (ko) 2007-08-09

Family

ID=37854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5676A KR100748342B1 (ko) 2005-09-14 2005-09-14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7608872B2 (ko)
JP (1) JP5150050B2 (ko)
KR (1) KR100748342B1 (ko)
CN (1) CN100485947C (ko)
TW (1) TWI288476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618B1 (ko) * 2008-02-29 2010-08-0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광감도가 개선된 이미지 센서
KR20140142966A (ko) * 2013-06-05 2014-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의 픽셀 어레이 레이아웃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레이아웃 생성 시스템
KR20190049592A (ko) * 2017-10-31 2019-05-09 타이완 세미콘덕터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얕은 트렌지 가장자리 도핑을 갖는 cmos 이미지 센서
KR20190049598A (ko) * 2017-10-31 2019-05-09 타이완 세미콘덕터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Spad 이미지 센서 및 관련 제조 방법
KR20190058347A (ko) * 2017-11-21 2019-05-29 타이완 세미콘덕터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감광 영역에 도핑층을 가지는 이미지 센서 소자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1661B1 (ko) * 2005-08-26 2007-05-23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0748342B1 (ko) * 2005-09-14 2007-08-09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KR100810423B1 (ko) * 2006-12-27 2008-03-04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및 이미지 센서의 제조 방법
JP5095287B2 (ja) * 2007-07-18 2012-12-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7858914B2 (en) 2007-11-20 2010-12-28 Aptina Imaging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dark current and hot pixels in CMOS image sensors
JP2009277722A (ja) * 2008-05-12 2009-11-26 Panasonic Corp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8487351B2 (en) * 2008-11-28 2013-07-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sensor and image sens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US8772891B2 (en) 2008-12-10 2014-07-08 Truesense Imaging, Inc. Lateral overflow drain and channel stop regions in image sensors
KR101550434B1 (ko) 2008-12-26 2015-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의 형성방법
CN102005414B (zh) * 2009-08-28 2012-12-12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Cmos图像传感器像素、制造方法及图像捕获设备
FR2955700B1 (fr) * 2010-01-28 2012-08-17 St Microelectronics Crolles 2 Photodiode de capteur d'image
US8875139B2 (en) * 2010-07-30 2014-10-28 Mavro Imaging, Llc Method and process for tracking documents by monitoring each document's electronic processing status and physical location
JP5682174B2 (ja) * 2010-08-09 2015-03-11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US8507962B2 (en) 2010-10-04 2013-08-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Isolation structures for global shutter imager pixel, methods of manufacture and design structures
JP2013012574A (ja) * 2011-06-29 2013-01-17 Toshiba Corp 固体撮像装置および固体撮像装置の製造方法
JP5716591B2 (ja) * 2011-07-26 2015-05-13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
KR101931658B1 (ko) 2012-02-27 2018-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의 단위 픽셀 및 이를 포함하는 이미지 센서
KR102209097B1 (ko) 2014-02-27 2021-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12138B1 (ko) 2014-08-19 2021-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의 단위 픽셀과 이를 포함하는 픽셀 어레이
JP6877872B2 (ja) 2015-12-08 2021-05-26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931578B (zh) * 2018-09-20 2024-05-28 台湾积体电路制造股份有限公司 光电探测器及其形成方法
US10790326B2 (en) 2018-09-26 2020-09-2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Pixel device on deep trench isolation (DTI) structure for image sensor
CN109817654A (zh) * 2019-02-14 2019-05-28 德淮半导体有限公司 图像传感器及其形成方法
JP7350583B2 (ja) * 2019-09-12 2023-09-26 キオクシア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US11367745B2 (en) * 2020-08-20 2022-06-21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Apparatus and methods for sensing long wavelength light
JP2022075275A (ja) 2020-11-06 2022-05-18 キオクシア株式会社 半導体記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5120A (en) 1969-10-27 1975-12-09 Hitachi Lt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buried epitaxial layer
JPS63114438A (ja) 1986-10-31 1988-05-19 Nec Corp 階層化通信制御装置
JPS63248254A (ja) 1987-04-02 1988-10-14 Nec Corp 通信制御装置
JPS63257244A (ja) * 1987-04-14 1988-10-25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4866291A (en) 1987-06-30 1989-09-12 Canon Kabushiki Kaisha Photosensor with charge storage unit and switch unit formed on a single-crystal semiconductor film
JP3104274B2 (ja) * 1991-04-02 2000-10-30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612242A (en) 1996-03-11 1997-03-18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Trench isolation method for CMOS transistor
JPH10144784A (ja) 1996-11-11 1998-05-29 Nec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876496B2 (ja) * 1997-09-13 2007-01-31 株式会社ニコン 固体撮像装置
US6032197A (en) * 1997-09-25 2000-02-29 Microsoft Corporation Data packet header compression for unidirectional transmission
JPH11233610A (ja) 1998-02-17 1999-08-27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6358818B1 (en) * 1998-03-04 2002-03-1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thod for forming trench isolation regions
JPH11274454A (ja) * 1998-03-19 1999-10-08 Canon Inc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形成方法
US6707819B1 (en) * 1998-12-18 2004-03-16 At&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encapsulation of control information in a real-time data stream
FI107000B (fi) 1999-02-17 2001-05-15 Nokia Mobile Phones Ltd Otsikon pakkaaminen reaaliaikaisissa palveluissa
US6198735B1 (en) 1999-05-20 2001-03-06 Motorola, Inc. Method for retransmitting a data packet in a packet network
JP3464414B2 (ja) 1999-06-15 2003-11-10 富士通株式会社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015591A (ja) 1999-06-30 2001-01-19 Toshiba Corp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半導体装置
KR20010009810A (ko) * 1999-07-14 2001-02-05 윤종용 실리콘-게르마늄 에피택셜층을 이용한 트렌치 소자분리방법
US6680955B1 (en) 1999-08-20 2004-01-20 Nokia Networks Oy Technique for compressing a header field in a data packet
JP3485081B2 (ja) * 1999-10-28 2004-01-13 株式会社デンソー 半導体基板の製造方法
US6711164B1 (en) * 1999-11-05 2004-03-2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IP-ID regeneration to improve header compression efficiency
US6542931B1 (en) 1999-11-05 2003-04-01 Nokia Corporation Using sparse feedback to increase bandwidth efficiency in high delay, low bandwidth environment
US6319783B1 (en) 1999-11-19 2001-11-20 Chartered Semiconductor Manufatcuring Ltd. Process to fabricate a novel source-drain extension
FI110831B (fi) 1999-12-31 2003-03-31 Nokia Corp Menetelmä tiedonsiirron tehostamiseksi ja tiedonsiirtoprotokolla
DE10008148A1 (de) 2000-02-22 2001-08-23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Mobilfunknetzes
GB0004178D0 (en) * 2000-02-22 2000-04-12 Nokia Networks Oy Integrity check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061936B2 (en) 2000-03-03 2006-06-13 Ntt Docom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et transmission with header compression
JP2001320422A (ja) 2000-03-03 2001-11-16 Ntt Docomo Inc ヘッダ圧縮を伴うパケット伝送の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3730835B2 (ja) 2000-03-03 2006-01-0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パケット伝送方法、中継装置およびデータ端末
TW466780B (en) 2000-03-17 2001-12-01 Taiwan Semiconductor Mfg Method to accurately control the manufacturing of high performance photodiode
WO2002015625A1 (en) 2000-08-14 2002-02-21 Nokia Corporatio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providing a mode selection procedure
FI113323B (fi) 2000-08-21 2004-03-31 Nokia Corp Datapakettinumeroiden synkronointi pakettivälitteisessä tiedonsiirrossa
US6967964B1 (en) * 2000-10-03 2005-11-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text identification using header compression key at link layer
US20020064164A1 (en) 2000-10-06 2002-05-30 Barany Peter A. Protocol header construction and/or removal for messages in wireless communications
US7069495B2 (en) 2000-10-30 2006-06-2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Bit error resilience for an internet protocol stack
KR20020055120A (ko) * 2000-12-28 2002-07-08 박종섭 포토다이오드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미지 센서 및 그제조 방법
KR20020096136A (ko) 2001-06-18 2002-12-3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격리막 제조방법
KR20030000134A (ko) * 2001-06-22 2003-01-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소자의 소자분리절연막 형성방법
US6874113B2 (en) * 2001-09-17 2005-03-29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Radio resource control-service data unit reception
JP2003142674A (ja) * 2001-11-07 2003-05-16 Toshiba Corp Mos型固体撮像装置
EP1361706B1 (en) 2002-05-10 2007-03-14 Innovative Sonic Limited Method for determining triggering of a pdcp sequence number synchronization prodecure
KR100493018B1 (ko) 2002-06-12 2005-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KR100893054B1 (ko) 2002-07-05 2009-04-15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크로스토크를 방지할 수 있는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20040008912A (ko) * 2002-07-19 2004-01-3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이미지센서의 하이브리드 소자분리 방법
JP2004088015A (ja) 2002-08-29 2004-03-18 Ne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464935B1 (ko) 2002-09-17 2005-01-0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불화붕소화합물 도핑에 의한 초박형 에피채널을 갖는반도체소자의 제조 방법
AU2003270212A1 (en) 2002-09-19 2004-04-08 Quantum Semiconductor Llc Light-sensing device
US7286536B2 (en) * 2002-10-28 2007-10-2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arly header compression
US6888214B2 (en) 2002-11-12 2005-05-03 Micron Technology, Inc. Isolation techniques for reducing dark current in CMOS image sensors
KR20040058754A (ko) 2002-12-27 2004-07-0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시모스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0461975B1 (ko) * 2002-12-27 2004-12-17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이미지센서의 트렌치 소자분리막 형성방법
KR20040059429A (ko) * 2002-12-30 2004-07-0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시모스 이미지센서의 제조방법
KR100907884B1 (ko) * 2002-12-31 2009-07-15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반도체 포토 다이오드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477791B1 (ko) * 2003-01-13 2005-03-22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시모스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JP2004247647A (ja) * 2003-02-17 2004-09-02 Trecenti Technologies Inc フォトダイオードおよびイメージセンサ
US6949445B2 (en) * 2003-03-12 2005-09-27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of forming angled implant for trench isolation
KR100477790B1 (ko) 2003-03-13 2005-03-22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씨모스 이미지센서의 제조방법
KR100621546B1 (ko) 2003-05-14 2006-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엘리베이티드 소오스/드레인 구조의 모스트랜지스터 및 그제조방법
JP4363136B2 (ja) * 2003-09-12 2009-11-11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4075797B2 (ja) 2003-12-25 2008-04-16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
KR100619396B1 (ko) 2003-12-31 2006-09-11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시모스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0578644B1 (ko) 2004-05-06 2006-05-11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프리즘을 구비한 시모스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JP2005327858A (ja) * 2004-05-13 2005-1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固体撮像装置
KR100659382B1 (ko) * 2004-08-06 2006-12-19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0672701B1 (ko) 2004-12-29 2007-01-22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씨모스(cmos) 이미지 센서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672666B1 (ko) 2004-12-29 2007-01-24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JP2006287117A (ja) * 2005-04-04 2006-10-19 Canon Inc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6344809A (ja) 2005-06-09 2006-12-21 Toshiba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721661B1 (ko) 2005-08-26 2007-05-23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US7800146B2 (en) * 2005-08-26 2010-09-21 Aptina Imaging Corporation Implanted isolation region for imager pixels
KR100748342B1 (ko) * 2005-09-14 2007-08-09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4618B1 (ko) * 2008-02-29 2010-08-0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광감도가 개선된 이미지 센서
KR20140142966A (ko) * 2013-06-05 2014-1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의 픽셀 어레이 레이아웃 생성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레이아웃 생성 시스템
KR20190049592A (ko) * 2017-10-31 2019-05-09 타이완 세미콘덕터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얕은 트렌지 가장자리 도핑을 갖는 cmos 이미지 센서
KR20190049598A (ko) * 2017-10-31 2019-05-09 타이완 세미콘덕터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Spad 이미지 센서 및 관련 제조 방법
US10672934B2 (en) 2017-10-31 2020-06-02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PAD image sensor and associated fabricating method
KR20190058347A (ko) * 2017-11-21 2019-05-29 타이완 세미콘덕터 매뉴팩쳐링 컴퍼니 리미티드 감광 영역에 도핑층을 가지는 이미지 센서 소자 구조체
US10777590B2 (en) 2017-11-21 2020-09-15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Method for forming image sensor device structure with doping layer in light-sensing reg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044764A1 (en) 2010-02-25
US8084284B2 (en) 2011-12-27
US8815628B2 (en) 2014-08-26
US8120062B2 (en) 2012-02-21
US7608872B2 (en) 2009-10-27
US20100047950A1 (en) 2010-02-25
TWI288476B (en) 2007-10-11
TW200713571A (en) 2007-04-01
CN100485947C (zh) 2009-05-06
US20120083066A1 (en) 2012-04-05
US20070057147A1 (en) 2007-03-15
JP5150050B2 (ja) 2013-02-20
CN1933167A (zh) 2007-03-21
JP2007081358A (ja) 2007-03-29
KR100748342B1 (ko) 2007-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8342B1 (ko)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제조방법
KR100619396B1 (ko) 시모스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JP4539176B2 (ja) 固体撮像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69743B1 (ko) 씨모스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CN109728010B (zh) 集成芯片及其形成方法
US20140191290A1 (en) Solid-state imaging element
US9543340B2 (en)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photoelectric conversion device
US11705475B2 (en) Method of forming shallow trench isolation (STI) structure for suppressing dark current
JP2002246581A (ja) イメージセンサ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69103B1 (ko) 전하운송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미지센서 및 제조 방법
CN216084890U (zh) 一种像素、图像传感器、图像采集装置
KR20080008719A (ko) 시모스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0893054B1 (ko) 크로스토크를 방지할 수 있는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0654056B1 (ko)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100619408B1 (ko) 크로스 토크를 방지할 수 있는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006595A (ko) 씨모스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20070071018A (ko)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50331A (ko)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KR101038789B1 (ko)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59759A (ko) 새로운 형태의 소자분리막을 구비한 시모스 이미지센서 및그 제조방법
KR100663610B1 (ko)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CN113629090A (zh) 一种像素、图像传感器及其制备方法、图像采集装置
KR20060095535A (ko) 시모스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03961A (ko)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34884A (ko) 씨모스 이미지 센서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