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8038A - 용이 개봉성 용기와, 그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용이 개봉성 용기와, 그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8038A
KR20060088038A KR1020060008490A KR20060008490A KR20060088038A KR 20060088038 A KR20060088038 A KR 20060088038A KR 1020060008490 A KR1020060008490 A KR 1020060008490A KR 20060008490 A KR20060008490 A KR 20060008490A KR 20060088038 A KR20060088038 A KR 200600880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ealing
layer
cover material
surfac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6388B1 (ko
Inventor
도시야 사토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유니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80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80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6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6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6Making non-permanent or releasable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1Joint cross-sections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joint-segment in the joint cross-section
    • B29C66/112Single lapped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1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cross-sections
    • B29C66/13Single flanged joints; Fin-type joints; Single hem joints; Edge joints; Interpenetrating fingered joints; Other specific particular designs of joint cross-sec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C66/11 - B29C66/12
    • B29C66/131Single flanged joints, i.e. one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rigid and flanged in the join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2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 B29C66/23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multiple and parallel or being in the form of tessellations
    • B29C66/232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multiple and parallel or being in the form of tessellations said joint lines being multiple and parallel, i.e. the joint being formed by several parallel joint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05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 B29C66/20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 B29C66/24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closed or non-straight
    • B29C66/242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closed or non-straight said joint lines being closed, i.e. forming closed contours
    • B29C66/2424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closed or non-straight said joint lines being closed, i.e. forming closed contours being a closed polygonal chain
    • B29C66/24243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closed or non-straight said joint lines being closed, i.e. forming closed contours being a closed polygonal chain forming a quadrilateral
    • B29C66/24244Particular design of joint configurations particular design of the joint lines, e.g. of the weld lines said joint lines being closed or non-straight said joint lines being closed, i.e. forming closed contours being a closed polygonal chain forming a quadrilateral forming a rectang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32Measures for keeping the burr form under control; Avoiding burr formation; Shaping the burr
    • B29C66/328Leaving the burrs unchanged for providing particular properties to the joint, e.g. as decorative effect
    • B29C66/3284Leaving the burrs unchanged for providing particular properties to the joint, e.g. as decorative effect for weakening the j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01General aspects dealing with the joint area or with the area to be joined
    • B29C66/345Progressively making the joint, e.g. starting from the middle
    • B29C66/3452Making complete joints by combining parti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50General aspects of joining tubular articles; General aspects of joining long products, i.e. bars or profiled element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General aspects of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1Joining tubular articles, profiled elements or bars; 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Joining several hollow-preforms to form hollow or tubular articles
    • B29C66/53Joining single elements to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bars
    • B29C66/534Joining single elements to open ends of tubular or hollow articles or to the ends of bars
    • B29C66/5346Joining single elements to open ends of tubular or hollow articles or to the ends of bars said single elements being substantially flat
    • B29C66/53461Joining single elements to open ends of tubular or hollow articles or to the ends of bars said single elements being substantially flat joining substantially flat covers and/or substantially flat bottoms to open ends of containe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2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723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 B29C66/7234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comprising a barrier layer
    • B29C66/7234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being multi-layered comprising a barrier layer for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141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e.g. transversal or longitudinal, being non-flat
    • B29C66/81415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e.g. transversal or longitudinal, being non-flat being bevel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141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e.g. transversal or longitudinal, being non-flat
    • B29C66/8142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e.g. transversal or longitudinal, being non-flat being convex or concave
    • B29C66/81422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haracterised by its cross-section, e.g. transversal or longitudinal, being non-flat being convex or concave being conve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6/81427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surface geometry of the part of the pressing elements, e.g. welding jaws or clamps,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a single ridge, e.g. for making a weakening line; comprising a single to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1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5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 B29C66/81463Gener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i.e. the elements applying pressure on the parts to be joined in the area to be joined, e.g.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design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pressing elements, e.g. of the welding jaws or clamps comprising a plurality of single pressing elements, e.g. a plurality of sonotrodes, or comprising a plurality of single counter-pressing elements, e.g. a plurality of anvils, said plurality of said single elements being suitable for making a single joi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3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of the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Reciprocating joining or pressing tools
    • B29C66/8322Joining or pressing tools reciprocating along on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10Wrappers or flexible covers rectang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65D77/2028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 B65D77/2032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 B65D77/2044Means for opening the cover other than, or in addition to, a pull tab by peeling or tearing the cover from the container whereby a layer of the container or cover fails, e.g. cohesive fail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7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 B29C66/71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physical properties or the structure of the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Joining with non-plastics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f the plastics material of the parts to be jo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4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1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 B29C66/919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 heat or the thermal flux characterised by specific temperature, heat or thermal flux values or r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2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 B29C66/929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characterized by specific pressure, force, mechanical power or displacement values or r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ime
    • B29C66/949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time characterised by specific time values or rang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Abstract

용이 개봉성 용기(1)의 제조에 따라, 용기 본체(2)의 플랜지부(25)와 커버재(3)를, 플랜지부(25) 상면에 대하여, 내주연에 곡면 형상의 곡면부가, 또한 외주측에 경사면부를 형성한 환상 밀봉반(7)을 가압하도록 하고, 플랜지부(25)의 밀봉부 내주연 근방(24)에, 용기 본체(2)의 표면층(21), 이 표면층(21)에 인접하는 표면 하층(22) 및 커버재(3)의 밀봉층(31)의 구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볼록 형상의 수지 저장부(6)를 형성하면서, 용기 본체(2)의 표면층(21)과 커버재(3)의 밀봉층(31)을 가열 밀봉한다. 이로써, 고밀봉성과 용이 개봉성을 더불어 갖는 용이 개봉성 용기(1)를 저비용으로 제공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용이 개봉성 용기와, 그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EASY-OPEN CONTAINER,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MANUFACTURING DEVICE THEREOF}
도 1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용이 개봉성 용기의 커버재로 밀봉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1b는 상기 용이 개봉성 용기의 개봉 개시부에서 커버재를 개봉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용이 개봉성 용기의 개봉 개시부의 부분 단면도,
도 3은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용이 개봉성 용기의 밀봉 공정을 도시한 모식도,
도 4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가열 밀봉시의 환상 밀봉반과 플랜지부의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5는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환상 밀봉반의 부분 확대도,
도 6은 제 1 실시예의 용이 개봉성 용기가 초기 개봉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7은 제 1 실시예의 용이 개봉성 용기가 완전히 개봉된 상태를 도시한 부 분 단면도,
도 8은 제 2 실시예의 용이 개봉성 용기가 초기 개봉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9는 제 2 실시예의 용이 개봉성 용기가 완전히 개봉된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10a 및 도 10b는 각각 시험예 1에 있어서 실시한 개봉 강도 및 밀봉 강도의 측정 위치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용이 개봉성 용기 2 : 용기 본체
3 : 커버재 4 : 개봉 개시부
7 : 환상 밀봉반 21 : 표면층
22 : 표면 하층 23 : 기재층
25 : 플랜지부 26 : 밀봉부
본 발명은 용이 개봉성 용기, 용이 개봉성 용기의 제조 방법 및 용이 개봉성 용기의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식품류의 포장 형태로서는, 식품류를 용기의 내부에 수납한 후, 용기 본체의 개구부 주연에 플랜지부를 설치한 용기 본체와 필름 형상의 커버재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이러한 용기 본체의 플랜지부와 커버재를 가열 밀봉(heat seal)하여 밀봉 포장한 커버 부착식 용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커버 부착식 용기는, 용기의 내부에 수납되는 식품류를 안전하게 보존하는 관점으로부터, 용기 본체에 설치된 플랜지부와 커버재를 가열 밀봉하고, 이러한 가열 밀봉에 의해 형성된 밀봉부를 벗겨지기 어렵게 하여 높은 밀봉성을 필요로 하는 동시에, 커버재를 개봉할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커버재를 용기 본체로부터 간편하게 박리 가능하게 하고, 밀봉성과 용이 개봉성이라는 상반되는 특성을 동시에 구비할 필요가 있었다.
한편, 이와 같은 특성을 구비하도록 한 커버 부착식 용기(용이 개봉성 용기)에 있어서, 내용물의 누설을 일으키는 것은 용기로서 치명적인 문제가 되기 때문에, 용이 개봉성을 다소 희생하더라도, 밀봉 조건(밀봉 온도, 밀봉 압력)을 높게 설정하여 밀봉부를 벗겨지기 어렵게 하도록 하고, 내용물이 용기 외부로 새지 않도록 하고 있었지만, 그 결과 용이 개봉성을 구비하지 않는 용기가 되어버리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높은 밀봉성과 용이 개봉성을 더불어 갖는 용이 개봉성 용기를 얻기 위한 기술의 검토가 각 방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용기 본체의 밀봉층과 그 인접하는 층의 박리에 의해 개봉을 실행하도록 하고, 또한 용기 본체의 플랜지부에 홈을 설치하고, 상기 홈에 따라 개봉함으로써 상기 밀봉층을 용기 본체로부터 양호하게 파단하는 기술이 제공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1988-78 호 공보). 또한, 용기와 커버재를 볼록 형상의 밀봉반에서 가열 밀봉하고, 밀봉부와 비밀봉부의 양측에 수지 저장부를 형성하는 기술이 제공되어 있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1990-67125 호 공보). 또한, 용기의 밀봉층과, 이 용기의 밀봉층 아래의 층 사이를 개봉면으로서, 수지 저장부를 밀봉부와 비밀봉부의 내측에만 형성하도록 한 기술이 제공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1990-233378 호 공보).
그러나, 상기한 일본 특허 공개 제 1988-78 호에 개시된 기술은, 용기 본체의 플랜지부로의 홈 가공이나 밀봉시의 위치 조정이 어렵기 때문에, 작업성이 불량하고, 비용이 높아지게 되었다.
또한, 상기한 일본 특허 공개 제 1990-67125 호에 개시된 기술은, 수지 저장부를 양측에 형성하면, 그 후의 별도 공정의 가열 밀봉에서 한 쪽의 수지 저장부를 찌그러뜨린 경우도 포함하고, 용기의 개봉시에 바아(bar)의 외주부에 할 수 있는 수지 저장부의 일부가 신장하게 되고, 그 결과 개봉 외관도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용기의 밀봉층과 그 인접층 사이를 밀봉부의 개봉면으로 한 경우에도, 밀봉층이 안정하여 절단되지 않고, 개봉 외관이 나빠져 버렸다.
그리고, 상기한 일본 특허 공개 제 1990-233378 호에 개시된 기술은,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개봉 개시부의 용기의 밀봉층이 파단하지 않거나, 또한 용기의 밀봉층과 그 인접층의 박리가 매끄럽게 수행되지 않는 등에 의해 용이 개봉성이 충분하지 않은 것에 추가하여, 개봉시에 응력을 가하면 표면층이 신장해버려서 개봉 외관이 나빠지는 문제가 생겼다. 또한, 이 구성의 용이 개봉성 용기는 개봉 개시 가 곤란한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주목적은, 상기한 과제를 감안하여, 저비용으로 제조가능하고, 높은 밀봉성과 용이 개봉성을 더불어 갖는 용이 개봉성 용기, 용이 개봉성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및 용이 개봉성 용기의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용이 개봉성 용기는, 개구부의 주연에 플랜지부를 배치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덮는 커버재를 구비하며, 상기 플랜지부에 나타나는 상기 용기 본체의 표면층과 상기 커버재의 밀봉층이 환상으로 가열 밀봉되어 이루어지는 용이 개봉성 용기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표면층 및/또는 상기 커버재의 밀봉층이 응집 파괴함으로써, 커버재가 개봉가능하게 되고, 상기 플랜지부에 있는 밀봉부의 내주연 근방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표면층, 상기 표면층에 인접하는 층 및 커버재의 밀봉층의 구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볼록 형상의 수지 저장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용이 개봉성 용기는, 용기 본체의 플랜지부와 커버재가 환상으로 가열 밀봉되어 이루어지기 때문에, 높은 밀봉성이 유지되는 동시에, 용기 본체의 표면층 및/또는 상기 커버재의 밀봉층이 응집 파괴함으로써, 커버재가 개봉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용기 본체의 표면층과 상기 표면층에 인접하는 층을 계면 박리시키는 실시예와 비교하여 초기 개봉 강도도 안정하고, 개봉이 매끄럽게 진행된다.
또한, 플랜지부에 있는 밀봉부의 내주연 근방에는, 용기 본체의 표면층, 상 기 표면층에 인접하는 층 및 커버재의 밀봉층의 구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볼록(혹) 형상의 수지 저장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응집 박리가 상기 수지 저장부가 개재하는 곳까지 진행하면, 상기 수지 저장부의 개재에 의해 박리하는 응력이 커버재를 용기 본체로부터 떼어놓는 방향으로 작용함으로써, 커버재와 용기 본체의 플랜지부와의 절단이 양호하게 수행하게 되고, 양호한 개봉성을 구비한 용이 개봉성 용기가 된다.
또한, 이 수지 저장부를 형성함으로써, 커버재를 열려고 하는 응력(내압)은 수지 저장부의 근원을 향하여 작용하므로, 상기 내압은 수지 저장부 속의 응집 파괴되기 쉬운 면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작용하여, 커버재가 내압에 대하여 열기 어려운 성질(이하, 「고밀봉성」이라고도 함)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용기 본체의 표면층 및/또는 커버재의 밀봉층이 응집 파괴된다면, 개봉에 따라, 상기 표면층, 또는 커버재 밀봉층이 응집 파괴되는 층으로 되어서 개봉되어 가는 것뿐만 아니라, 용기 본체의 표면층과 커버재의 밀봉층 중 어느 것도 응집 파괴하여 개봉되는 실시예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용이 개봉성 용기의 제조 방법은, 개구부의 주연에 플랜지부를 배치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덮는 커버재를 구비하며, 상기 플랜지부에 나타나는 상기 용기 본체의 표면층과 상기 커버재의 밀봉층이 환상으로 가열 밀봉되어, 상기 용기 본체의 표면층 및/또는 상기 커버재의 밀봉층이 응집 파괴함으로써, 커버재가 개봉가능하게 되는 용이 개봉성 용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플랜지부 상면에 커버재를 중첩하고, 상기 플랜지부 상면에 대하여, 내주연에 R 가공되어서 단면이 곡면 형상의 곡면부가 형성된 환상 밀봉반이며, 외주연이 상기 환상 밀봉반의 선단보다 커버재에 늦추어 맞대도록 된 형상을, 적어도 일부에 갖는 환상 밀봉반을 상기 커버재 상부로부터 가압하고,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환상 밀봉반의 내주연이 접하는 위치의 근방에, 상기 용기 본체의 표면층, 상기 표면층에 인접하는 층 및 커버재의 밀봉층의 구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볼록 형상의 수지 저장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플랜지부에 나타나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표면층과, 상기 커버재의 상기 밀봉층을 가열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용이 개봉성 용기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수지 저장부를 플랜지부의 상기 환상 밀봉반의 내주연이 맞닿는 위치의 근방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얻을 수 있는 용기는 고밀봉성을 유지하고, 상기 용기 본체의 표면층 및/또는 상기 커버재의 밀봉층에, 커버재를 개봉할 때의 힘으로 응집 파괴하는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커버재가 용기 본체의 플랜지부에서 용이하게 개봉가능(이하, 「용이 개봉성」으로 부르는 경우도 있음)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의 표면층 및/또는 상기 커버재의 밀봉층에, 커버재를 개봉할 때의 힘으로 응집 파괴하는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커버재나 용기의 표면층 등이 파단하거나, 개봉시에 응력을 가했을 때에 표면층이 신장되어 용기의 개봉 외관이 나빠지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조에 따라 환상 밀봉반의 위치 결정 등도 엄밀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산성도 양호하여, 고품질의 용이 개봉성 용기를 저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환상 밀봉반에 대하여, 외주 둘레가 상기 밀봉반의 선단보다 커버재에 늦추어 커버재에 접하도록 된 형상은, 예컨대 환상 밀봉반의 외주측에, 단면이 경사 형상이 되는 경사면부를 배치하거나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이 개봉성 용기의 제조 방법은, 개구부의 주연에 플랜지부를 배치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덮는 커버재를 구비하며, 상기 플랜지부에 나타나는 상기 용기 본체의 표면층과 상기 커버재의 밀봉층이 환상으로 가열 밀봉되어, 상기 용기 본체의 표면층 및/또는 상기 커버재의 밀봉층이 응집 파괴함으로써, 커버재가 개봉 가능하게 되는 용이 개봉성 용기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용기 본체의 플랜지부 상면에 커버재를 중첩하고, 상기 플랜지부 상면에 대하여, 내주연에 R가공되어서 단면이 곡면 형상의 곡면부가 형성된 환상 밀봉반이며, 외주가 상기 환상 밀봉반의 선단보다 커버재에 늦추어 접하도록 된 형상을, 적어도 일부에 갖는 제 1 환상 밀봉반을 상기 커버재 상부로부터 가압하고,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제 1 환상 밀봉반의 내주연이 접하는 위치의 근방에, 상기 용기 본체의 표면층, 상기 표면층에 인접하는 층 및 커버재의 밀봉층의 구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벽 형상의 수지 저장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플랜지부에 나타나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표면층과, 상기 커버재의 상기 밀봉층을 가열 밀봉하고, 또 제 2 환상 밀봉반을 상기 수지 저장부에 상기 환상 밀봉반이 닫지 않도록, 또 상기 수지 저장부의 외주측을 가압하여 상기 용기 본체의 표면층과 상기 커버재의 밀봉층을 가열 밀봉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제 1 환상 밀봉반에 의한 가열 밀봉 후에, 또 제 2 환상 밀봉반에서 가열 밀봉을 함으로써, 상기한 효과를 향수하는 동시에, 용기 본체의 플랜지 부에 나타난 표면층과, 커버재의 밀봉층이 완전히 용착되기 때문에, 불순물의 혼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의 제 2 환상 밀봉반에 의한 가열 밀봉은 밀봉성을 확보하기 위해서가 아니므로, 약한 밀봉으로 하는 것이 보통이다. 약한 밀봉이란, 커버재와 플랜지의 전체 박리 강도(peel strength)가 3kgf 이하, 바람직하게는 2.5kgf 이하인 것이 보통이다.
본 발명의 용이 개봉성 용기의 제조 장치는, 개구부의 주연에 플랜지부를 배치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덮는 커버재를 구비한 용이 개봉성 용기의 제조 장치로서, 상기 플랜지부에 나타나는 용기 본체의 표면층과 커버재의 밀봉층을 가열 밀봉하는 환상 밀봉반을 구비하며, 상기 환상 밀봉반이, 플랜지부 상면에 대하여, 내주연에 R가공되어서 단면이 곡면 형상의 곡면부가 형성된 환상 밀봉반이며, 외주가 상기 환상 밀봉반의 선단보다 커버재에 늦추어 맞대도록 된 형상을 적어도 일부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용이 개봉성 용기의 제조 장치는, 수지 저장부를 플랜지부에 있는 밀봉부의 내주연 근방에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고밀봉성의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밀봉반의 전체 둘레가 내주연에 R가공되어서 단면이 곡면 형상의 곡면부가 형성된 환상 밀봉반으로서, 외주가 상기 환상 밀봉반의 선단보다 커버재에 늦추어 접하도록 된 형상이어도 좋지만, 용기의 개봉 개시부에 대응하는 환상 밀봉반의 밀봉면만이 전술한 형상이어도 문제는 없다. 그 경우, 상기한 개봉 개시부 이외의 부분에 대응하는 환상 밀봉반의 밀봉면은 평면인 밀봉반에서 내주연과 외주연에 동일한 R가공이 실시되어, 단면이 곡면 형상의 곡면부가 형성되어 있 어도 좋다. 이들의 경우, 동일한 정도의 크기의 수지 저장부가 상기 개봉 개시부 이외의 부분에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고밀봉이 되는 한편, 용기의 개봉 개시부는 용이 개봉성이기 때문에, 개봉 개시부 이외의 부분으로부터의 개봉성이 저하하고, 용기 전체로서도 용이 개봉성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I) 용이 개봉성 용기(1)의 구성: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용이 개봉성 용기(1)의 실시형태(제 1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1a는 커버재(3)로 밀봉된 상태, 도 1b는 개봉 개시부(4)로부터 커버재(3)를 개봉한 상태를 각각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2는 도 1a 및 도 1b의 개봉 개시부(4)의 단면도이다.
용기 본체(2)는 개구부(24)에 대하여 커버재(3)를 탑재하고, 용기 본체(2)의 개구부(24)의 주연에 배치된 플랜지부(25)와 커버재(3)를 가열 밀봉하여, 환상의 밀봉부(26)[도 2에 도시하는 환상 밀봉반(7)에서 형성되는 밀봉부(262)와 환상 밀봉반(7a)에서 형성되는 밀봉부(261)]가 형성되어,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이 개봉성 용기(1) 내부가 밀봉 상태로 된다.
한편, 밀봉 상태의 용이 개봉성 용기(1)를 개봉하기 위해서는,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및 후기하는 도 6 및 도 7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이 개봉성 용기(1)의 모서리에 설치된 개봉 개시부(4)에 있어서 커버재(3)를 상부(도 1b의 화살표방향)에 인상하도록 하면, 용이 개봉성 용기(1)가 간편하게 개봉된다.
(I-1) 용기 본체(2)의 구성: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한 용이 개봉성 용기(1)는 용기 본체(2)를 구비하며, 이 용기 본체(2)는 표면층(21), 표면 하층(22) 및 기재층(23)의 3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이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2)는 소정의 깊이를 갖는 대략 장방형의 트레이 형상으로서, 대략 장방형의 개구부(24)를 갖고, 상기 개구부(24)의 주연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플랜지부(25)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후기하는 도 6에 도시하지만, 용기 본체(2)의 표면층(21)이 응집 파괴되는 응집 박리에 의해 개봉된다.
표면층(21)을 구성가능한 수지는, 예컨대 에틸렌―아크릴산 에스테르-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나 스틸렌-그라프트 프로필렌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프로필렌계 수지로 혼합하여 얻을 수 있은 수지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에틸렌―아크릴산 에스테르-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나 스틸렌-그라프트 프로필렌 수지는, 프로필렌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10∼50중량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15∼40중량부 정도 첨가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용기 본체(2)를 구성하는 표면 하층(22)은 표면층(21) 아래에, 상기 표면층(21)에 인접되어서 배치되는 층으로서, 구성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등의 올레핀계 수지나 폴리스틸렌계 수지, 폴리에틸 렌테레프랄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의 재료 및 이들의 혼합 재료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2)를 구성하는 기재층(23)은 용기 본체(2)의 외부에 나타나는 층으로서, 구성 재료로서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등의 올레핀계 수지나 폴리스틸렌계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랄레이드(PET)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의 재료, 및 이들의 혼합 재료의 단층 또는 적층체나, 또한 가스 배리어(barrier)성을 부여하기 위해, 예를 들면 에틸렌비닐알콜 공중합체, 나일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 염화 비닐리덴(PVDC) 등의 수지 재료나 알루미늄 증착 등으로 형성된 가스 배리어층을 형성하는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I-2) 커버재(3)의 구성:
커버재(3)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용이 개봉성 용기(1)의 외부에 도시한 외부층(32)과, 용기 본체(2)의 표면층(21)과 가열 밀봉되는 밀봉층(31)으로 이루어지는 적층체이다.
용기 본체(2)의 표면층(21)과 가열 밀봉되는 커버재(3)의 밀봉층(31)은 용기 본체(2)의 표면층(21)이 응집 파괴하여 박리하는 개봉 실시예로서, 상기 표면층(21)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상기한 수지 조성물을 채용할 경우에 있어서는, 랜덤 폴리프로필렌(RPP)이나 블록 폴리프로필렌(BPP), 직쇄상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폴리에틸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커버재(3)를 구성하는 외부층(32)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 2축 연신 나일론 필름(O-Ny)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표면층(21)을 용기 본체(2)에, 또 밀봉층(31)을 커버재(3)에 채용하여 양자를 가열 밀봉한 경우에 있어서는, 양 층(21, 31)이 용착하는 한편, 개봉 시에는, 응력에 대해 약한 용기 본체(2)의 표면층(21)이 응집 박리하고, 개봉이 양호하게 수행하게 된다.
(I-3) 수지 저장부(6)의 형성:
본 실시형태의 용이 개봉성 용기(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부(25) 상에 있는 밀봉부의 내주연 근방(도 2의 X의 위치)에, 용기 본체(2)의 표면 하층(22), 표면층(21) 및 커버재(3)의 밀봉층(31)이 용기 본체(2)의 개구부(24) 방향으로 밀어내어지도록 하고, 볼록 형상의 수지 저장부(6)가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 저장부(6)는 용기 본체(2)의 표면층(21)의 수지 저장부(61), 표면 하층(22)의 수지 저장부(62) 및 커버재(3)의 밀봉층(31) 수지 저장부(63)가 모여서 형성되어 있지만, 용기 본체(2)의 표면층(21)이 응집 박리되는 개봉 형태의 용이 개봉성 용기(1)에 이러한 수지 저장부(6)를 형성시킴으로써, 포장 용기로서 높은 밀봉성을 구비할 뿐만 아니라, 응집 박리에 의한 개봉 형태를 채용하여 용이 개봉성을 양호한 상태에서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수지 저장부(6)에 있어서의 커버재(3)와 용기 본체(2)의 플랜지부(25)의 절단이 간편하게 수행되는 동시에, 내압에 의한 응력이 걸리는 방향과 응집 파괴에 의한 개봉하기 쉬워지는 방향을 다르게 함으로써, 밀봉성의 향상을 실현하는 것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용기의 플랜지부(25) 상면에 있는 환상의 밀봉부의 내주연 근방(도 2의 X의 위치)의 전체 둘레에 상기한 수지 저장부(6)가 있어서, 용기의 개봉 개시부에 있는 환상의 밀봉부(26)의 외주는 플랫, 혹은 내주연 근방(X)에 있는 수지 저장부(6)보다 작은 수지 저장부 밖에 없고, 용기 본체(2)의 개시부(4) 이외의 부분에는, 상기 환상의 밀봉부(26)의 외주 전체 둘레에도, 내주연 근방(X)에 있는 상기 수지 저장부(6)와 대략 같은 크기의 도시하지 않는 수지 저장부가 있는 용기(1)가 고밀봉성, 용이 개봉성 및 개봉 개시부(4) 이외로부터의 커버재(3)의 개봉 방지성이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용이 개봉성 용기(1)를 제조함에 있어서, 용기 본체(2)의 플랜지부(25)와 커버재(3)를 용착하여 용이 개봉성 용기(1)를 밀봉 상태로 하기 위해서는, 용기 본체(2)의 플랜지부(25)에 커버재(3)를 서로 중첩시키고, 이 커버재(3)의 상면으로부터, 가열 상태의 환상 밀봉반을 누름으로써 가열 밀봉이 실시되는 것이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개봉 개시부(4)의 밀봉부의 내주연 근방(X)에 벽 형상의 수지 저장부(6)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예컨대 하기와 같은 방법을 이용해도 좋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의 용이 개봉성 용기(1)를 제조할 경우에 있어서의 개봉 개시부(4)의 밀봉 공정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용기 본체(2)의 플랜지부(25)와 커버재(3)의 가열 밀봉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의 플랜지부(25)에 커버재(3)를 중첩하여 맞추고, 상기 커버재(3)의 상부로부터 가열 상태의 환상 밀봉반(7)을 도 3의 화살표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실시되어, 이로써 용기 본체(2)의 플랜지부(25)에 나타난 표면층(21)과 커버재(3)의 밀봉층(31)이 용착된다.
또한, 도 4는 가열 밀봉시에 있어서의 환상 밀봉반(7)과 플랜지부(25)의 상 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며, 또한 도 5는 환상 밀봉반(7)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용이 개봉성 용기(1)를 제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환상 밀봉반(7)은, 내주연에 R가공이 실시되고, 외주가 환상 밀봉반(7)의 선단[도 5의 선단(73)]보다 늦추어 커버재(3)에 맞도록 이루어진 형상의 환상 밀봉반(7)이며, 구체적으로는 경계(A)[환상 밀봉반(7)의 선단(73)이기도 함]를 거쳐서, 외주연측에는, 단면이 경사 형상이 되는 경사면부(71)가, 또한 내주연측에는 R가공되어서 단면이 곡면 형상의 곡면부(72)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중, 환상 밀봉반(7)의 외주연측에 형성되는 경사면부(71)에 있어서의 도 5와 같이 플랜지부(25)에 대하여 내주연으로부터 외주를 향하여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각도(θ)는 환상 밀봉반(7)의 폭(H)에 의해 상이하지만, 2∼20°, 바람직하게는 3∼15°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사면부(71)의 각도가 2°보다 작아지면, 가열 밀봉시에 가압한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수지 저장부(6)가 밀봉부(26)의 외주 근방에도 형성되기 쉬워서, 얻어지는 용기(1)의 개봉시에 있어서의 밀봉부(26) 외측에서 저항이 커지고, 용이 개봉성 용기(1)의 개봉을 원활하게 실행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한편, 경사면부(71)의 각도가 20°을 넘으면, 경계(A)의 주변이 완만하지 않고 뾰족해져서, 밀봉시 또는 개봉시에 커버재(3)가 절단되어버리는 경우가 있고, 용이 개봉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환상 밀봉반(7)에 내주연측에 형성되는 곡면부(72)에 실시되는 R가공 으로서는 환상 밀봉반(7)의 폭(H)에 의해 상이하지만, R이 0.2mm∼0.5HmmR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0.3mm 내지 0.4HmmR 정도로 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R가 0.2mmR보다 작아지면, 경계(A)의 주변이 완만하지 않고 뾰족해져서, 밀봉시 또는 개봉시에 커버재(3) 등이 절단되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한편, R이 0.5HmmR를 넘으면, 환상 밀봉반(7)의 단면이 뾰족해져서, 밀봉시 혹은 개폐시에 커버재(3) 등이 절단되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 환상 밀봉반(7)에 대하여, 이들 경사면부(71) 및 곡면부(72)는 경계(A)가 환상 밀봉반(7)의 단면 폭방향에 대하여 내측 부착부[내주연 부착부]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계(A)가 환상 밀봉반(7)의 단면 폭방향으로 대하여 내측이면, 환상 밀봉반(7)의 내주연측에 곡면부(72), 상기 밀봉반(7)의 외주연측에 경사면부(71)가 형성되어 있는 것과 함께, 가열 밀봉에 따라 환상 밀봉반(7)의 외주측에서 선단(73)이 먼저 커버재(3)로 접하는 것[환상 밀봉반(7)의 외주가 선단(73)보다 커버재(3)에 늦추어 접하는 것]이 확실하게 이루어진다. 그 결과, 먼저 접한 밀봉반(7)의 내주연측에 대해 내측에 있는 개구부(24)측에, 수지 저장부(6)가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먼저 접한 내주연측의 개구부(24)측(내측)에, 수지 저장부(6)가 선택적으로 형성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용기(1)의 개봉 개시부(4) 이외의 부위에 대응하는 환상 밀봉반(7)의 내주연, 외주연의 전체 주위에, 상기 R가공되어서 단면이 곡면 형상의 곡면부(72)가 형성되어 있고, 용기(1)의 개봉 개시부(4)에 대응하는 환상 밀봉반(7)의 부위는 내주연에 상기 R가공되어서 단면이 곡면 형상의 곡면부(72) 가 형성되어 있고, 외주가 환상 밀봉반(7)의 선단(73)보다 커버재(3)에 늦추어 접하도록 이루어진 형상을 가지는 환상 밀봉반을 이용하면, 고밀봉성, 용이 개봉성 및 개봉 개시부(4) 이외로부터의 커버재(3)의 개봉 방지성이 우수한 용기를 제조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환상 밀봉반(7)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원주 형상의 가열 밀봉부(26)를 일체적으로 형성시키기 위해서, 상기한 경사면부(71)와 곡면부(72)를 환상으로 연속하여 형성한 환상 밀봉반(밀봉 링)으로서도 좋고, 또한 용이 개봉성 용기(1)의 개봉 개시부(4)에 대응하는 부위에 대해서만, 상기 경사면부(71)와 곡면부(72)를 형성한 환상 밀봉반(밀봉 링)으로서도 좋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형상의 환상 밀봉반(7)을 이용하여, 용기 본체(2)의 플랜지부(25)와 커버재(3)를 가열 밀봉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환상 밀봉반(7)에 있어서의 경사면부(71)와 곡면부(72)의 경계(A)에 대응하는 선단(73)이 커버재(3)에 접하고, 그 후 상기 경계(A)의 내주연측에 형성된 곡면부(72)가 커버재(3)의 내측을 향하고, 또한 경계(A)의 외주측에 형성된 경사면부(71)가 커버재(3)의 외측을 향하여 가압되어도 좋다. 이로써, 용기 본체(2)의 표면층(21)과 상기 표면층(21)과 인접하는 표면 하층(22)의 수지 성분은, 상기한 경계(A)의 하부로부터 용기 본체(2)의 내측으로 밀어내어져서, 플랜지부(25)의 환상 밀봉반(7)의 내주연이 접하는 위치의 근방, 즉 용기 본체(2)의 밀봉부(26)의 내주연 근방(X)에 향하여 이루어진 볼록 형상의 수지 저장부(61, 62)를 형성하고, 또한 커버재(3)의 밀봉층(31)도 추종하여 수지 저장부(63)를 형성하고, 이들이 수지 저장부 (6)를 형성한 상태에서, 용기 본체(2)의 플랜지부(25)에 나타난 표면층(21)과, 커버재(3)의 밀봉층(31)이 가열 밀봉되어, 양자가 용착하게 된다.
여기에서, 밀봉 조건으로서, 밀봉 온도로서는, 가열 밀봉되는 재료의 종류 등에 의해 적시 결정하면 좋지만, 일반적으로 160℃ 내지 240℃ 정도이면 좋다. 마찬가지로, 밀봉 압력은 10 내지 5Okg/cm2(1O0 내지 50OkPa) 정도이면 좋다.
또한, 환상 밀봉반(7)에 의한 가열 밀봉만으로는, 외주연측으로부터 불순물이 들어가기 쉬워질 우려가 있다. 그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이 경우에는, 환상 밀봉반(7)에 의해, 전술한 볼록 형상의 수지 저장부(6)를 형성하면서, 커버재(3)의 밀봉층(31)을 플랜지부(25)의 표면층(21)에 가열 밀봉한 후에, 다른 환상 밀봉반[도 2의 환상 밀봉반(7a)]을 이용하여, 수지 저장부(6)에, 이 환상 밀봉반이 맞닿지 않고[또는, 수지 저장부(6)를 강하게 찌그러뜨리지 않도록 하고], 또한 환상 밀봉반(7)의 외주측에 맞닿도록 가압하여, 용기 본체(2)의 표면층(21)과 커버재(3)의 밀봉층(31)을 가열 밀봉하도록 하면 좋다. 상기한 것 이외의 환상 밀봉반(7a)의 밀봉면은 평활하여도 좋지만, 용이 개봉성을 손상하지 않기 위해서, 로우 레이트 등의 부분 접착이 가능한 면으로 하여도 상관없다.
(I-4) 용이 개봉성 용기(1)의 개봉: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용이 개봉성 용기(1)가 초기 개봉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7은 상기 용이 개봉성 용기(1)가 완전히 개봉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또한, 여기에서 말하는 「초기 개봉된 상태」란, 응집 박리된 박리면이 수지 저장부(6)까지 도달하지 않고 있는 상태를 가리킨다.
상기와 같이 하여, 용기 본체(2)의 플랜지부(25)와 커버재(3)를 가열 밀봉하여 얻어지는 본 실시형태의 용이 개봉성 용기(1)를 개봉 개시부(4)로부터 개봉하기 위하여,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재(3)에 대하여 도 6의 화살표방향으로 힘(F)이 걸린 경우에는, 용기 본체(2)의 표면층(21)의 응집 박리가 진행한다.
또한, 이 응집 박리가 수지 저장부(6)에 도달한 경우에 있어서는, 표면층(21)의 응집 박리는 상기 표면층(21)과 인접하는 표면 하층(22)에 형성된 수지 저장부(62)의 형상에 따라 진행된다.
그리고, 표면층(21)의 응집 박리가 밀봉부의 내주연 근방(절단 위치로도 됨)(X)에까지 도달하면, 커버재(3)의 밀봉층(31)에 형성된 수지 저장부(63)의 형상에 추종하도록 하고, 용기 본체(2)의 표면층(21)의 수지 저장부(61)가 절단됨으로써, 용이 개봉성 용기(1)에 있어서의 용기 본체(2)와 커버재(3)의 개봉이 용이하게 행해진다.
(I-5) 본 실시형태의 효과:
상기한 바와 같은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1) 용이 개봉성 용기(1)가, 개구부(24)의 주연에 플랜지부(25)를 배치하는 용기 본체(2)와, 이 용기 본체(2)의 플랜지부(25)와 커버재(3)가 환상으로 가열 밀봉되어 이루어지므로, 높은 밀봉성이 유지되는 동시에, 용기 본체(2)의 표면층(21)이 응집 파괴함으로써, 커버재(3)가 개봉 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용기 본체(2)의 표면층(21)과 이 표면층(21)에 인접하는 표면 하층(22)을 계면 박리시키는 실시예와 비교하여 초기 개봉 강도도 안정하고, 개봉이 매끄럽게 진행된다. 또한, 개봉시에, 수지 저장부(6)에 있는 표면층(21)이 신장하고, 용기(1)의 개봉 외관이 나빠지는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2) 또한, 플랜지부(25)의 밀봉부 내주연 근방(X)에는, 용기 본체(2)의 표면층(21), 이 표면층(21)에 인접하는 표면하층(22) 및 커버재(3)의 밀봉층(31)의 구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볼록 형상의 수지 저장부(6)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고밀봉성을 확보할 수 있다.
(3) 용이 개봉성 용기(1)의 제조 방법으로서, 플랜지부(25) 상면에 대하여, 내주연에 곡면 형상의 곡면부(72)가, 또한 외주측에 경사면부(71)를 형성한 환상 밀봉반을 가압하도록 하고, 플랜지부(25)의 밀봉부 내주연 근방(X)에, 용기 본체(2)의 표면층(21), 이 표면층(21)에 인접하는 표면하층(22) 및 커버재(3)의 밀봉층(31)의 구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볼록 형상의 수지 저장부(6)를 형성하면서, 용기 본체(2)의 표면층(21)과 커버재(3)의 밀봉층(31)을 가열 밀봉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상기한 (1), (2)의 효과를 구비한 용이 개봉성 용기(1)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4) 또한, 가열 밀봉과 동시에 볼록 형상의 수지 저장부(6)를 형성시키기 위한 환상 밀봉반(7)으로서, 플랜지부(25) 상면에 대하여, 내주연에 곡면 형상의 곡면부(72)가 형성되어, 외주측으로 경사면부(71)를 형성한 것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수지 저장부(6)가 특히 밀봉부(26)의 내주연 근방(X)에 선택적으로 형성시켜서, 반 대로 외주 근방에는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가열 밀봉시에, 상기 수지 저장부(6)의, 부착 부분 근방의 용기 외주측에서, 커버재(3)의 밀봉층(31) 및/또는 용기 본체(2)의 표면층(21)을 절단하는 것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커버재(3)가 도중에 찢어져서 용이 개봉성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다.
(5) 또한, 제조에 따라서 환상 밀봉반(7)의 위치 결정 등도 엄밀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산성도 양호하고, 고품질의 용이 개봉성 용기(1)를 저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상기한 제 1 실시예의 용이 개봉성 용기(1)는 용기 본체(2)와 커버재(3)가 개봉힘에 따라서, 용기 본체(2)의 표면층(21)이 응집 박리하여 개봉되는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이었다.
이에 대하여, 제 2 실시예의 용이 개봉성 용기(1a)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본체(2)와 커버재(3)가 개봉하는 것에 따라 커버재(3)의 밀봉층(31)이 응집 박리하는 점에 있어서 제 1 실시예와 상이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한 제 1 실시예와 동일 구조 및 동일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는 동시에, 그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화하고 있다.
도 8은 본 실시형태의 용이 개봉성 용기(1a)가 초기 개봉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상기 용이 개봉성 용기(1a)가 완전히 개봉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이 개봉성 용기(1a)를 구성하는 커버재(3)의 밀봉층(31)이 응집 파괴하여 커버재(3)가 박리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밀봉층(31)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스틸렌-그라프트 프로필렌 수지, 접착성 폴리 올레핀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본체(2)의 표면층(21)으로서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계 수지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나 이들의 프랜드계를 사용하면 좋다.
이러한 밀봉층(31)을 커버재(3)에, 표면층(21)을 용기 본체(2)에 채용하여 양자를 가열 밀봉한 경우에 있어서는, 양자의 층(21, 31)이 용착하는 한편, 개봉할 때에는, 응력에 대하여 약한 커버재(3)의 밀봉층(31)이 응집 파괴하고, 개봉이 양호하게 수행된다.
본 실시형태의 용이 개봉성 용기(1a)를 개봉 개시부(4)로부터 개봉하기 위해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재(3)에 대하여 도 8의 화살표방향으로 힘(F)이 걸리도록 하면, 커버재(3)의 밀봉층(31)의 응집 박리가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개봉이 수지 저장부(6)에 도달한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 밀봉층(31)의 응집 박리는, 상기 밀봉층(31)과 가열 밀봉된 용기 본체(2)의 표면층(21)에 형성된 수지 저장부(61)의 형상에 따라 진행되게 된다.
커버재(3)의 밀봉층(31)의 응집 박리가 밀봉부의 내주연 근방(절단 위치로도 됨)(X)에까지 도달한 후는, 밀봉층(31)의 수지 저장부(63)가 절단됨으로써, 용이 개봉성 용기(1a)에 있어서의 용기 본체(2)와 커버재(3)의 개봉이 용이하게 행하여지게 된다.
이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실시예에 의해 연주되는 효과와 대략 동등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실시형태의 변형]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구성을 구비하고,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의 변형이나 개량이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할 때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구조 및 형상 등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범위내에 있어서, 다른 구조나 형상 등으로서도 문제는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변형이나 개량 등이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한 실시예 중, 제 1 실시예에서는 용기 본체(2)의 표면층(21)이 응집 박리하는 실시형태를, 또한 제 2 실시예에서는 커버재(3)의 밀봉층(31)이 응집 박리하는 실시형태를 각각 도시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개봉에 따라서, 용기 본체(2)의 표면층(21)과 커버재(3)의 밀봉층(31)의 양 층이 응집 파괴되어서 개봉될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용기 본체(2)의 표면층(21)과, 표면 하층(22)이 동일 부재일 경우라도, 상기 동일 부재가 커버재(3)의 밀봉층(31)과 가열 밀봉 가능에서, 커버재(3)를 개봉할 때에, 커버재(3)의 밀봉층(31)이 응집 파괴할 경우에는, 전술한 본 발명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기 위해서 본 발명에 포함된다.
그 경우, 도 6 내지 도 9로 언급하면, 표면층(21)과 표면 하층(22)은 별개의 층으로 보이지만 동일 부재로, 편의적으로 표면 하층(22)의 응집 파괴되는 부분[플랜지부(25)의 표면]을 표면층(21)으로 도시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응집 박리되는 용기 본체(2)의 표면층(21)이나 커버재(3)의 밀봉층(31)의 구성 재료도, 상술한 실시예에서 도시한 예의 것 이외에, 예컨대 표면층(21)은 폴리프로필렌과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나 에틸렌·테트라시클로도데센 공중합체의 블랜드(blend)계, 밀봉층(31)은 포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이 개봉성 용기의 제조 방법을 실시하여 도 1a, 도 1b 및 도 2에 도시한 구성의 용이 개봉성 용기를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경우에 따라서는, 환상 밀봉반(7)의 내주연이 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형성되는 수지 저장부(6) 등이 상기 밀봉반(7)의 외주가 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부분에 수지 저장부가 형성되는 경우이어도 좋다. 외주에 형성되는 수지 저장부에서, 내주연에 형성되는 수지 저장부쪽이 커지기 때문에, 양호한 용이 개봉성과 고밀봉성이 유지된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의 구체적인 구조 및 형상 등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른 구조 등으로서도 좋다.
[실시예]
다음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서 본 발명을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실시예 등의 기재 내용에 아무런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하기의 재료 및 방법을 이용하여, 전체 형상을 도 1a 및 도 1b, 또한 개봉 개시부의 단면 구성을 도 2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용이 개봉성 용기를 제조했다.
(1) 용기 본체(2)의 제조:
공압출 성형에 의해, 다음 표면층(21)/표면 하층(22)/기재층(23)으로 이루어지고, 두께가 600㎛인 적층체를 성형했다.
[용기 본체(2)의 구성]
표면층(21) : 폴리프로필렌(70질량%) + 에틸렌 아크릴산 에스테르-무수말레인산 공중합체(30질량%)(20㎛)
표면 하층(22) : 폴리프로필렌(80질량%) + 폴리에틸렌(20질량%)(1OO㎛)
기재층(23) : 폴리프로필렌(150㎛)/접착성 수지(5㎛)/에틸렌비닐알콜(EVOH)(30㎛)/접착성 수지(5㎛)/폴리프로필렌(300㎛)의 적층체
다음에, 이 적층체를 이용하여, 플러그 어시스트(plug assist) 진공 성형에 의해, 130mm×150mm×30mm의 플랜지부의 용기 본체(2)를 성형했다. 또한, 이 용기 본체(2)는 개구부(24)에 대하여 폭 15mm의 플랜지부(25)를 갖고, 대략 장방형의 트레이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용기 본체(2)의 개구부(24) 주연의 플랜지부(25)에 대하여, 하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필름을 커버재(3)로서 탑재하고, 하기의 밀봉 조건을 이용하고, 또한 밀봉반으로서, 도 5에 도시한, 경사면부(71)와 곡면부(72)가 전체 주위에 형성된 환상 밀봉반(밀봉 링)을 사용하고, 커버재(3)를 용기 본체(2)의 플랜지부(25)에 대하여 가열 밀봉하고, 본 발명의 용이 개봉성 용기(1)를 제조했다.
또한, 이 구성의 용기 본체(2)와 커버재(3)를 사용하면, 개봉시에는, 용기 본체(2)의 표면층(21)의 응집 파괴에 의해 박리가 진행하는 응집 박리가 수행된다.
[커버재(3)의 구성]
밀봉층(31) : 폴리에틸렌(60㎛)
외부층(32)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12㎛)/폴리아미드(나일론)(15㎛)(PET/Ny/PE의 순)
(밀봉 조건)
밀봉 온도 : 200°
밀봉 압력 : 200kg/개
시간 : 2.0초
가열 밀봉의 회수 : 1회
(환상 밀봉반의 사양)
밀봉 폭 : 3mm
경사 각도(θ)[경사면부(71)] : 6°
R가공[곡면부(72)] : 1.0mmR
[실시예 2]
실시예 2에 있어서, 커버재(3)의 구성을 하기와 같이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용이 개봉성 용기(1)를 제조했다.
또한, 이 구성의 용기 본체(2)와 커버재(3)를 사용하면, 실시예 1과 같이 개봉시에는, 용기 본체(2)의 표면층(21)의 응집 파괴에 의해 박리가 진행하는 응집 박리가 수행된다.
[커버재(3)의 구성]
밀봉층(31) : 폴리프로필렌(60㎛)
외부층(32) :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실시예 3]
실시예 3에 있어서, 용기 본체(2)의 구성과 커버재(3)의 구성을 하기와 같이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용이 개봉성 용기(1)를 제조했다.
또한, 이 구성의 용기 본체(2)와 커버재(3)를 사용하면, 개봉시에는 커버재(3)의 밀봉층(31)의 응집 파괴에 의해 박리가 진행하는 응집 박리가 수행된다.
[용기 본체(2)의 구성]
표면층(21) : 폴리프로필렌(80질량%)+폴리에틸렌(20질량%)(50㎛)
표면 하층(22) : 폴리프로필렌(100㎛)
기재층(23) : 폴리프로필렌(100㎛)/접착성 수지(5㎛)/에틸렌비닐알콜(EVOH)(30㎛)/접착성 수지(5㎛)/폴르프로필렌(420㎛)의 적층체
[커버재(3)의 구성]
밀봉층(31) : 스틸렌-그라프트 프로필렌(60㎛)
외부층(32) :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실시예 4]
실시예 4에 있어서, 환상 밀봉반(7)으로서, 경사면부(71)와 곡면부(72)를 환상으로 연속하여 형성한 밀봉 링을 사용하는 대신에, 개봉 개시부(4)에 대응하는 부위에 대하여만, 도 5에 도시한 형상의 경사면부(71)와 곡면부(72)를 형성하고, 그 밖의 부분은 경사면부가 없고, 내주연, 외주연에 실시예 1과 동일한 R가공된 곡면부(72)를 구비한 밀봉 링을 사용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용이 개봉성 용기(1)를 제조했다.
[비교예 1]
비교예 1로 있어서, 환상 밀봉반으로서, 그 단면 형상이 커버재와 접하는 면이 전체 원주에 걸쳐 평활하게 한 밀봉 링을 채용하는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용이 개봉성 용기를 제조했다.
또한, 이러한 형상의 환상 밀봉반(밀봉 링)을 사용하여 가열 밀봉한 경우에 있어서는, 용이 개봉성 용기의 플랜지부에 있는 밀봉부의 내주연 근방에는, 볼록 형상의 수지 저장부는 형성되지 않는 것이 된다.
[비교예 2]
비교예 2에 있어서, 환상 밀봉반으로서, 그 단면 형상이, 외주연측에, 실시예 1(도 5)에서 사용한 환상 밀봉반의 내주연과 동일 형상인 곡면부, 내주연측에, 실시예 1과 사용한 환상 밀봉반의 외주연측과 동일한 형상의 경사면부가 각각 형성된 환상 밀봉반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용이 개봉성 용기를 제조했다.
또한, 이러한 형상의 환상 밀봉반(밀봉 링)을 사용하여 가열 밀봉한 경우에 있어서는, 용이 개봉성 용기의 밀봉부 내주연 근방에는 수지 저장부가 형성되지 않는 한편, 플랜지부의 밀봉부의 외주연 근방에 수지 저장부가 형성되게 된다.
[비교예 3]
비교예 3에 있어서, 용기 본체의 구성을 하기와 같이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용이 개봉성 용기를 제조했다.
또한, 이러한 구성의 용기 본체의 플랜지부와 커버재를 가열 밀봉한 용이 개봉성 용기의 개봉은, 용기 본체의 표면층과 표면하층의 계면이 박리하는 계면 박리에 의해 실시된다.
(용기 본체의 구성)
표면층 : 폴리에틸렌(70㎛)
표면 하층 : 폴리프로필렌(80질량%)+폴리에틸렌(20질량%)(1OO㎛)
기재층 : 폴리프로필렌(150㎛)/접착성 수지(5㎛)/에틸렌비닐알콜(EVOH)(30㎛)/접착성 수지(5㎛)/폴리프로필렌(300㎛)의 적층체
[시험예 1]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3의 개봉 강도, 밀봉 강도, 내압 강도 및 개봉시의 개봉 외관을 하기의 기준으로 하여 비교·평가했다. 결과를 표 1에 도시한다.
(개봉 강도)
도 10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1)의 모서리(개봉 개시부)를 15mm 폭으 로 절단하여 시험 샘플로 하고, 상기 샘플을, 플랜지부의 외측(플랜지부의 외주측)으로부터 내측(용기 본체의 개구부측)(도 10a의 화살표방향)으로 오토그래프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135°박리로 300mm/분의 조건에서 측정했다. 시험은 n=6으로 수행했다.
또한, 실시예 4에 대해서는, 개봉 개시부가 아닌 임의의 위치(비개봉부)에 관해서도 샘플을 작성하고, 마찬가지로 측정했다.
(밀봉 강도)
도 10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1)의 4변을 15mm 폭으로 절단하여 시험 샘플로 하고, 플랜지부의 내측으로부터 외측(도 10b의 화살표방향)으로, 오토그래프 인장 시험기를 이용하여, 180°박리로 300mm/분의 조건에서 측정했다. 시험은 n=12로 수행했다.
(내압 강도)
용이 개봉성 용기에 가압 공기를 1.0±0.2리터/분으로 주입하고, 상기 용기가 파열했을 때의 압력(MPa)을 측정했다. 시험은 n=5로 수행했다.
(개봉 외관)
개봉후의 개봉 개시부의 외관을 육안으로 평가했다. 평가 내용은 개봉 개시부의 외관이 전체적으로 양호한 경우를 「양호」, 개봉 개시부의 외관에 있어서 일부분이 나쁠 경우를 「일부 나쁨」, 개봉 개시부의 외관에 대해서 전체가 나쁠 경우를 「나쁨」으로 한 3단계로 평가했다.
(결과)
개봉 강도와 밀봉 강도의 단위는 kg/15mm 폭
개봉 강도 밀봉 강도 내압 강도 (MPa) (최소치) 개봉 외관 수지 저장부의 형성
실시예 1 0.51 3.19 0.024 0.020 양호 밀봉부의 내주연 근방
실시예 2 1.17 3.11 0.028 0.020 일부 나쁨 밀봉부의 내주연 근방
실시예 3 0.48 2.98 0.021 0.018 양호 밀봉부의 내주연 근방
실시예 4 0.51/3.14 (주 1) 3.19 0.024 0.020 양호 (주 2)
비교예 1 0.32 0.60 0.010 0.013 양호 형성안됨
비교예 2 1.38 2.28 0.017 0.016 일부 나쁨 밀봉부의 외주연 근방
비교예 3 4.42 5.72 0.068 0.030 나쁨 밀봉부의 내주연 근방
(주 1) 개봉부/그 이외
(주 2) 개봉 개시부만 밀봉부의 내주연 근방, 개봉 개시부 이외는 밀봉부의 내주연 근방과 외주 근방에 형성
표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용이 개봉성 용기는 개봉 강도가 적절하여 용이 개봉성이 우수한 동시에, 또한 플랜지부의 내측으로부터 외측(도 10b의 화살표방향)으로의 밀봉 강도도 크고, 또한 내압 강도도 높고, 고밀봉성을 구비하고 있었다.
따라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용이 개봉성 용기는 용이 개봉성과 고밀봉성을 겸비한 용기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 외에,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용이 개봉성 용기의 개봉 외관도 대강 양호했다.
한편, 밀봉부의 내주연 근방에 벽 형상의 수지 저장부가 형성되지 않는 비교예 1은 밀봉 강도가 현저하게 작고, 또한 내압 강도도 작고, 고밀봉성을 갖지 않았다.
또한, 밀봉부의 외주 근방에 수지 저장부가 형성되는 비교예 2는 밀봉 강도가 작고, 또한 내압 강도도 작고, 고밀봉성이 양호하지 않았다. 또한, 비교예 2의 용이 개봉성 용기는 개봉 외관도 양호하지는 않았다.
그리고, 용이 개봉성 용기의 개봉이, 용기 본체의 표면층과 표면하층의 계면이 박리하는 계면 박리에 의해 실시되는 비교예 3은 개봉 강도가 크고, 용이 개봉성이 양호하지 않은 것 이외에, 개봉 외관도 나빴다.
따라서, 비교예로 얻어지는 용이 개봉성 용기는 용이 개봉성과 고밀봉성을 겸비하나 것은 아니라 실시예로 얻어졌고, 고밀봉성과 용이 개봉성을 겸비한 본 발명의 용이 개봉성 용기와 비교하면 뒤떨어지는 것이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이 개봉성이 우수한 동시에, 밀봉 강도도 크고, 또한 내압 강도도 높고, 고밀봉성을 구비한 용이 개봉성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개구부의 주연에 플랜지부를 배치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덮는 커버재를 구비하며, 상기 플랜지부에 나타나는 상기 용기 본체의 표면층과 상기 커버재의 밀봉층이 환상으로 가열 밀봉되어 이루어지는 용이 개봉성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표면층 및/또는 상기 커버재의 밀봉층이 응집 파괴함으로써, 커버재가 개봉가능하게 되고,
    상기 플랜지부에 있는 밀봉부의 내주연 근방에는, 상기 용기 본체의 표면층, 상기 표면층에 인접하는 층 및 커버재의 밀봉층의 구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벽 형상의 수지 저장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 개봉성 용기.
  2. 개구부의 주연에 플랜지부를 배치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덮는 커버재를 구비하며, 상기 플랜지부에 나타나는 상기 용기 본체의 표면층과 상기 커버재의 밀봉층이 환상으로 가열 밀봉되어, 상기 용기 본체의 표면층 및/또는 상기 커버재의 밀봉층이 응집 파괴함으로써, 커버재가 개봉 가능하게 되는 용이 개봉성 용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플랜지부 상면에 커버재를 중첩하고,
    상기 플랜지부 상면에 대하여, 내주연에 R가공되어서 단면이 곡면 형상의 곡면부가 형성된 환상 밀봉반으로서, 외주가 상기 환상 밀봉반의 선단보다 커버재에 늦추어 맞대도록 된 형상을, 적어도 일부에 갖는 환상 밀봉반을 상기 커버재 상부로부터 가압하고,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환상 밀봉반의 내주연이 접하는 위치의 근방에, 상기 용기 본체의 표면층, 상기 표면층에 인접하는 층 및 커버재의 밀봉층의 구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볼록 형상의 수지 저장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플랜지부에 나타나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표면층과, 상기 커버재의 상기 밀봉층을 가열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 개봉성 용기의 제조 방법.
  3. 개구부의 주연에 플랜지부를 배치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덮는 커버재를 구비하며, 상기 플랜지부에 나타나는 상기 용기 본체의 표면층과 상기 커버재의 밀봉층이 환상으로 가열 밀봉되어, 상기 용기 본체의 표면층 및/또는 상기 커버재의 밀봉층이 응집 파괴함으로써, 커버재가 개봉가능하게 이루어진 용이 개봉성 용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플랜지부 상면에 커버재를 중첩하고,
    상기 플랜지부 상면에 대하여, 내주연에 R가공되어서 단면이 곡면 형상의 곡면부가 형성된 환상 밀봉반으로서, 외주가 상기 환상 밀봉반의 선단보다 커버재에 늦추어 맞대도록 된 형상을, 적어도 일부에 갖는 제 1 환상 밀봉반을 상기 커버재 상부로부터 가압하고,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환상 밀봉반의 내주연이 접하는 위치의 근방에, 상기 용기 본체의 표면층, 상기 표면층에 인접하는 층 및 커버재의 밀봉층의 구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볼록 형상의 수지 저장부를 형성하면서, 상기 플랜지부에 나타나는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표면층과, 상기 커버재의 상기 밀봉층을 가열 밀봉하고,
    또 제 2 환상 밀봉반을, 상기 수지 저장부에 상기 환상 밀봉반이 닿지 않도록, 또한 상기 수지 저장부의 외주측을 가압하여, 상기 용기 본체의 표면층과 상기 커버재의 밀봉층을 가열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 개봉성 용기의 제조 방법.
  4. 개구부의 주연에 플랜지부를 배치하는 용기 본체와, 상기 개구부를 덮는 커버재를 구비한 용이 개봉성 용기의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에 나타나는 상기 용기 본체의 표면층과 상기 커버재의 밀봉층을 가열 밀봉하는 환상 밀봉반을 구비하고,
    상기 환상 밀봉반이, 내주연에 R가공되어서 단면이 곡면 형상의 곡면부가 형성된 환상 밀봉반으로서, 외주가 상기 환상 밀봉반의 선단보다 커버재에 늦추어 접하도록 된 형상을 적어도 일부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 개봉성 용기의 제조 장치.
KR1020060008490A 2005-01-31 2006-01-26 용이 개봉성 용기와, 그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KR1012463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22444A JP4610357B2 (ja) 2005-01-31 2005-01-31 易開封性容器の製造方法
JPJP-P-2005-00022444 2005-01-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038A true KR20060088038A (ko) 2006-08-03
KR101246388B1 KR101246388B1 (ko) 2013-03-21

Family

ID=36815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490A KR101246388B1 (ko) 2005-01-31 2006-01-26 용이 개봉성 용기와, 그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608895B2 (ko)
JP (1) JP4610357B2 (ko)
KR (1) KR101246388B1 (ko)
CN (3) CN10274540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541A (ko) * 2017-09-26 2019-04-03 씨제이제일제당 (주) 용기 성형 장치와, 용기 및 용기 성형 방법
WO2019066430A1 (ko) * 2017-09-26 2019-04-04 씨제이제일제당 (주) 용기 성형 장치와, 용기 및 용기 성형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6016774D1 (de) * 2006-07-13 2010-10-21 Impress Metal Packaging Sa Behälterdeckel mit einer abziehbaren Membrane
JP5363785B2 (ja) * 2008-11-10 2013-12-11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多層シート、熱成形容器および易開封性包装体
WO2010079709A1 (ja) * 2009-01-06 2010-07-15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容器本体、包装容器、容器本体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US20100200784A1 (en) * 2009-02-12 2010-08-12 Charles James Turner Bellowphragm actuated fluid control swing valve
EP2406145A4 (en) * 2009-03-13 2012-08-01 Nestec Sa COMPOSITE COVERS FOR CONTAINERS
TWI491537B (zh) * 2009-04-23 2015-07-11 Heinz Co H J 多功能容器
US9061796B2 (en) 2009-04-23 2015-06-23 H.J. Heinz Company Multi-function condiment container
JP5878683B2 (ja) * 2010-03-18 2016-03-08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易開封性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523933B2 (ja) * 2010-05-28 2014-06-18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多層シート、熱成形容器、および、易開封性包装体
EP2399723A1 (de) * 2010-06-24 2011-12-28 Amcor Flexibles Kreuzlingen Ltd. Verpackungsbehälter
JP5856762B2 (ja) * 2011-06-10 2016-02-10 昭和電工パッケージング株式会社 密封容器のヒートシール方法
FR2962719B1 (fr) * 2011-08-01 2012-08-10 Joints Manuf Generale Nouveau joint a languette pour obturation d'un recipient a fermeture par bouchon ou capsule et procede de fabrication
US9403347B2 (en) 2011-12-15 2016-08-02 Berry Plastics Corporation Peelable closure for container
JP6122274B2 (ja) * 2012-10-25 2017-04-26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ル盤、シール方法、シール装置、および容器の製造方法
CN105073606B (zh) * 2012-12-07 2018-02-02 2266170安大略公司 具有可移除部分的容器
JP5482885B1 (ja) * 2012-12-28 2014-05-07 オンキヨー株式会社 パルス幅変調回路及びスイッチングアンプ
JP6132286B2 (ja) 2013-07-01 2017-05-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容器
JP6143583B2 (ja) * 2013-07-01 2017-06-0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シールヘッドおよび同シールヘッドを用いて封止された容器
JP6083706B2 (ja) * 2013-07-01 2017-02-22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容器及びシールバー
JP6156634B2 (ja) * 2013-07-01 2017-07-05 サントリー食品インターナショナル株式会社 包装体
JP6065182B2 (ja) * 2013-07-01 2017-01-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容器
JP6132287B2 (ja) * 2013-07-01 2017-05-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容器
JP6065181B2 (ja) * 2013-07-01 2017-01-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容器
WO2015072404A1 (ja) * 2013-11-12 2015-05-21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容器本体、容器および容器の製造方法
EP3122653B1 (en) * 2014-03-27 2019-06-19 Smilesys S.p.A. Method for producing a laminate for making closing elements for containers or receptacles, laminate and container
TW201620791A (zh) * 2014-08-28 2016-06-16 葛蘭素史密斯克萊有限責任公司 包裝盒及熱密封裝置
JP6527722B2 (ja) * 2015-03-12 2019-06-05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容器、包装体、容器の加工方法、包装体の製造方法、および、容器の加工装置
JP2017052544A (ja) * 2015-09-10 2017-03-16 東洋製罐株式会社 角型密封容器及びそのヒートシール方法
CN111278746B (zh) * 2017-10-31 2022-05-13 出光统一科技株式会社 容器
US20190135520A1 (en) * 2017-11-03 2019-05-09 The Quaker Oats Company Rigid Packages Having Peelable Hermetic Seals
US11628966B2 (en) * 2021-04-12 2023-04-18 Dart Industries Inc. Freezable and reusable bottle and method of making the bottle
JP7342072B2 (ja) * 2021-07-20 2023-09-11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容器
KR102511418B1 (ko) * 2021-11-02 2023-03-17 (주)스마트코퍼레이션 식음료 병뚜껑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6918376A (ko) * 1968-12-24 1970-06-26
JPS57107812A (en) 1980-12-26 1982-07-05 Denki Kagaku Kogyo Kk Method for packing
JPS5983372U (ja) 1982-11-26 1984-06-05 明治乳業株式会社 粘性食品吸引装置
JPS6228355A (ja) 1985-07-17 1987-02-06 東洋製罐株式会社 ヒ−トシ−ル容器
JPS6378A (ja) 1986-06-18 1988-01-05 出光石油化学株式会社 簡易ピ−ル容器
NZ226028A (en) * 1987-09-09 1990-06-26 Idemitsu Petrochemical Co Hermetically sealed package which can be resealed after opening
GB8729725D0 (en) * 1987-12-21 1988-02-03 Metal Box Plc Container with peelable seal & method & apparatus for making same
JPH01176002A (ja) 1987-12-29 1989-07-12 Nippon Steel Corp 回収鉄粉の処理方法
US4870800A (en) * 1988-04-05 1989-10-03 Nikka Co., Ltd. Inert gas-filling and sealing device, heat sealing device and packaging apparatus using these devices
JPH0267125A (ja) 1988-09-01 1990-03-07 Sumitomo Bakelite Co Ltd 密封容器の製造方法
JP2739986B2 (ja) * 1989-02-10 1998-04-15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密封容器の製造方法
JP2739988B2 (ja) * 1989-02-10 1998-04-15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易開封性密封容器の製造方法
JPH02233380A (ja) 1989-02-28 1990-09-14 Sun A Chem Ind Co Ltd 易開封性密封容器の製造方法
JP2739994B2 (ja) * 1989-03-03 1998-04-15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密封容器の製造方法
JP2911474B2 (ja) * 1989-04-13 1999-06-23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密封容器
US5034074A (en) * 1990-01-29 1991-07-23 Rampart Packaging Inc. Method for formation of a peelable lid
KR910014283A (ko) 1990-01-29 1991-08-31 오노 알버어스 용기에 뚜껑을 결합하는 방법 및 그 제품
US5160391A (en) * 1991-04-15 1992-11-03 James River Ii, Inc. Method for the formation of a clamped wave seal structure
JPH06378A (ja) 1992-06-18 1994-01-11 Nissan Motor Co Ltd 排ガス浄化用触媒
JP4030137B2 (ja) 1995-10-04 2008-01-09 東洋製罐株式会社 イージーピール容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365748B2 (ja) 1999-06-30 2003-01-14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密封容器の製造方法
JP3691814B2 (ja) 2002-08-02 2005-09-07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密封容器
JP4146267B2 (ja) 2003-04-08 2008-09-10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容器、包装体及び容器の製造方法
JP4443277B2 (ja) 2004-03-25 2010-03-31 ベスパック株式会社 易開封性多層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5541A (ko) * 2017-09-26 2019-04-03 씨제이제일제당 (주) 용기 성형 장치와, 용기 및 용기 성형 방법
WO2019066430A1 (ko) * 2017-09-26 2019-04-04 씨제이제일제당 (주) 용기 성형 장치와, 용기 및 용기 성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097185A1 (en) 2014-04-10
US8608895B2 (en) 2013-12-17
US9469444B2 (en) 2016-10-18
US20060182912A1 (en) 2006-08-17
CN103935629B (zh) 2016-10-12
CN102745407B (zh) 2015-02-25
KR101246388B1 (ko) 2013-03-21
CN102745407A (zh) 2012-10-24
JP4610357B2 (ja) 2011-01-12
CN1814510A (zh) 2006-08-09
CN103935629A (zh) 2014-07-23
JP2006206128A (ja) 200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6388B1 (ko) 용이 개봉성 용기와, 그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JP5001962B2 (ja) 易開封性容器、易開封性容器の製造方法、及び易開封性容器の製造装置
KR101790808B1 (ko) 개봉 용이성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JP2698486B2 (ja) 密閉容器
JP5363785B2 (ja) 多層シート、熱成形容器および易開封性包装体
JP4121794B2 (ja) 易開封性シーラント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包装材料及び容器
WO2014065353A1 (ja) シール盤、シール方法、シール装置、および容器
JP3126092B2 (ja) 密封容器とその製造方法
JP5965817B2 (ja) 容器、包装容器、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包装容器の製造方法
JP2997127B2 (ja) 密封容器
JPH01139364A (ja) 容器
JP2560023B2 (ja) 易開封性容器の製造方法
JPH08164973A (ja) ピーラブルシール容器
JP2984464B2 (ja) 易開封性密封容器
JPS5959444A (ja) ポリエステル容器用蓋材
JP6088888B2 (ja) 容器本体、容器、包装容器、シール方法、および、容器本体の製造方法
JP3194689B2 (ja) 密封容器
JP4596210B2 (ja) 開封性包装用積層フィルム及び包装容器
JPH02258578A (ja) 易開封性密封容器
JPH05310268A (ja) 密封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