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13524A - 노즐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위생 세정 장치 - Google Patents
노즐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위생 세정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13524A KR20060013524A KR1020057020386A KR20057020386A KR20060013524A KR 20060013524 A KR20060013524 A KR 20060013524A KR 1020057020386 A KR1020057020386 A KR 1020057020386A KR 20057020386 A KR20057020386 A KR 20057020386A KR 20060013524 A KR20060013524 A KR 2006001352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hing water
- nozzle
- hole
- washing
- flow pat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B05B1/34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 B05B1/342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with channels emerging substantially tangentially in the swirl chamber
- B05B1/342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with channels emerging substantially tangentially in the swirl chamber the channels emerging in the swirl chamber perpendicularly to the outlet axi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70—Arrangements for moving spray heads automatically to or from the working position
- B05B15/72—Arrangements for moving spray heads automatically to or from the working position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 B05B15/74—Arrangements for moving spray heads automatically to or from the working position using hydraulic or pneumatic means driven by the discharged flui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08—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two or more liqui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축류부는 원통형 소용돌이실로 향하여 내경이 연속적으로 작아져 있기 때문에, 축류부를 흐르는 세정수의 유속이 연속적으로 상승한다. 축류부는 분출 구멍으로 향하여 내경이 연속적으로 작아지기 때문에, 축류부를 흐르는 세정수의 유속이 연속적으로 상승한다. 이유로관의 한쪽의 유로에 공급된 세정수는 일유로관을 통해서 유로 합류부에 공급된다. 이유로관의 다른쪽의 유로에 공급된 세정수는 일유로관과 노즐 커버와의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유로 합류부에 공급된다. 노즐 세정 구멍으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수는 피스톤의 외주면에 따라서, 노즐 세정통의 내벽과 피스톤의 외주면과의 사이의 공간을 스파이럴형으로 선회하면서, 노즐 세정통의 선단 개구부에서 유출한다. 유로 합류부의 선단부에는 노즐 커버의 선단부의 내면에 따른 곡면 형상을 갖는 위치 고정편이 형성되어 있다. 엉덩이 노즐이 전방 위치로부터 후방 위치로 이동하기까지의 사이, 분산 선회류와 직선류가 교대로 분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체의 국부를 세정하는 위생 세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체의 국부를 세정하는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는, 노즐 장치의 수납 위치로부터 세정 위치까지 돌출한 노즐로부터 세정수가 분출되어 세정이 행하여진다.
이러한 노즐 장치로는, 세정 동작시에 노즐의 선단부가 인체의 국부에 접근하여 세정수가 분출된다. 이 경우, 세정의 때에 오염물이 노즐에 부착하는 일도 있어, 노즐을 세정하는 각종 기능이 제안되고 있다.
노즐을 세정하는 기능으로서는, 예컨대 노즐 세정 노즐에 의한 세정이 이뤄지는 것이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1999-193567 호 공보 참조). 이 경우, 인체의 국부의 세정 동작의 앞 또는 후에, 노즐에 세정수를 흘려, 노즐 자체에 부착된 오염물을 세정할 수 있다. 그것에 따라, 사용자는 청결한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수로 국부를 세정할 수 있다.
그렇지만, 노즐 표면의 단차, 홈, 간극 등에 부착된 오염물은 세정하는 것은 곤란하다는 과제가 있다.
또한, 노즐 표면의 단차, 홈, 간극 등을 없애기 위해서 노즐 전체에 커버를 덮으면, 노즐이 대형화한다. 위생 세정 장치를 콤팩트로 하기 위해서 노즐 장치의 소형화가 기대되고 있다.
노즐을 세정하는 기능의 다른 예로서, 노즐의 선단부에 클리닝 챔버를 설치하여, 세정수를 분출하는 위생 세정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2003-13481 호 공보 참조).
클리닝 챔버를 갖는 위생 세정 장치로는 클리닝 챔버 내에 분출된 세정수가 클리닝 챔버의 내벽으로 튀어 오르는 것에 의해 노즐의 선단부를 세정한다. 이 경우, 노즐의 선단부에 세정수가 분출되는 것에 지나지 않고, 국소적인 세정밖에 행하여지지 않는다.
한편, 인체의 국부를 세정하는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세정을 실현하도록 각종 기능이 안출되어 왔다. 예컨대,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세정을 실현하기 위해서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수의 분출 형태를 조정하는 기능이 설치되어 있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 2001-90155 호 공보 참조).
상기 문헌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기의 기호에 대응하여 노즐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수의 분출 형태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문헌에 기재된 노즐 장치는 토수 구멍에 연통하는 선회 부여실, 편심관로 및 축심 지향관로를 갖는다. 편심관로는 선회 부여실에 편심하여 연통하여, 선회 부여실에 세정수를 유입시킨다. 이 경우, 선회 부여실에 유입한 세정수는 선회 류로 되어 토수 구멍으로부터 분출된다. 또한, 축심 지향관로는 선회 부여실에 그 축심을 지향하여 연통하여, 선회 부여실에 세정수를 유입시킨다. 이 경우, 선회 부여실에 유입한 세정수는 선회력이 부여되지 않아서, 토수 구멍으로부터 분출된다.
편심관로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유량과 축심 지향관로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유량과의 비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선회력의 정도의 가변 및 세정 범위의 광협 설정을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상기의 종래의 노즐 장치로는, 축심 지향관로에서 선회 부여실을 사이에 세워 토수 구멍으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수가 선회 부여실에서 큰 유동 저항을 받는 것에 의해 압력 손실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토수 구멍으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수의 유속이 저하한다. 또한, 상기의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는, 노즐로부터 나선 형상(원뿔 형상)으로 분출된 세정수의 중앙부는 외주부 부근에 비교하여 세정수의 밀도가 낮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인체의 국부의 일부분이 충분히 세정되어 있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직선류에 의한 강한 세정감 및 넓어진 선회류에 의한 부드러운 세정감을 바란다. 따라서, 유속이 높은 직선류를 효율적으로 분출할 수가 있는 동시에 인체의 국부를 전체적으로 세정하는 것이 가능한 위생 세정 장치가 기대되고 있다. 또한, 위생 세정 장치의 콤팩트화를 실현하기 위해서, 노즐 장치의 소형화가 기대되고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부착된 오염물을 세정하기 쉽고, 세정수를 효율적으로 분출할 수가 있는 동시에, 신뢰성이 높게 소형화가 가능한 노즐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인체 세정 노즐의 위생 상태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노즐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기호나 몸상태 등에 대응하여 세정수의 분출 형태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인체의 국부의 광범위를 충분히 세정할 수가 있는 위생 세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르는 노즐 장치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분출 구멍과, 세정수를 분출 구멍으로 유도하는 제 1 유로를 형성하는 관로와, 분출 구멍을 갖고, 관로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또한 선단부가 폐쇄된 통형상의 금속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관로와 커버 부재와의 사이의 공간이 세정수를 분출 구멍으로 유도하는 제 2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 노즐 장치에 있어서는, 선단부가 폐쇄된 통형상의 금속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커버 부재에 의해 관로가 덮어지고 있다. 따라서, 오염물이 노즐 표면에 부착되기 어렵고, 오염물이 부착해도 세정하기 쉽다.
또한, 커버 부재가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 부재의 표면이 광택을 갖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청결감을 기억한다. 또한, 커버 부재가 금속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정수의 압력이 커버 부재에 흡수되지 않는다. 따라 서, 세정수를 효율적으로 분출시킬 수 있다.
또한, 관로에 의해 제 1 유로가 형성되어, 관로와 커버 부재와의 사이의 공간에 의해 제 2 유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커버 부재 및 관로의 2중관 구조에 의해 제 1 및 제 2 유로를 소경의 커버 부재 내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노즐 장치는, 구멍부를 갖고, 또한 제 1 유로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와 제 2 유로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를 합류시켜 구멍부로 유도하는 분출 부재를 더 구비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분출 부재에 있어서 제 1 유로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와 제 2 유로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가 합류하여 구멍부에서 분출된다. 따라서, 제 1 유로의 세정 수량과 제 2 유로의 세정수와의 비율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세정수의 분출 형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유로와 제 2 유로는, 커버 부재 내부에 함께 수납되고, 유체 압력은 커버 부재로써 유지된다. 또한, 제 1 유로와 제 2 유로와의 압력 차이는 작고, 또한 유체 압력이 커버 부재로써 유지되기 때문에 기밀도가 요구되지 않는다.
분출 부재는, 일단측에 개구부를 갖고, 또한 타단측에 구멍부를 갖는 분출 공간을 형성하여, 제 1 유로는 세정수를 분출 공간에 개구부측에서 유도하고, 제 2 유로는 세정수를 분출 공간에 주위면측에서 유도하고, 분출 공간은 개구부에서 구멍부까지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단면적을 갖더라도 좋다.
이 경우, 제 1 유로에 의해 분출 공간의 개구부측에서 세정수가 공급된다. 분출 공간의 단면적은 개구부에서 구멍부까지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개구부측에서 공급된 세정수는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유속을 증가시켜 구멍부에서 분출된다. 이 경우, 세정수는 분출 공간에 큰 단면적을 갖는 개구부에서 구멍부로 향해서 유입하고, 또한 세정수는 분출 공간의 내주면만으로부터 저항을 받기 때문에, 압력 손실이 작다. 따라서, 구멍부에서 유속이 높은 직선류가 효율적으로 분출된다.
또한, 제 2 유로에 의해 분출 공간의 주위면측에서 세정측이 공급된다. 그것에 따라, 세정수는 분출 공간의 내주면에 따라서 흐르는 것에 의해, 선회력이 부여되어, 구멍부에서 확대되면서 선회류로서 분출된다. 이 경우, 세정수는 개구부측에서 저항을 받지 않고, 내주면만으로부터 저항을 받기 때문에, 압력 손실이 작다. 따라서, 구멍부에서 선회류가 효율적으로 분출된다.
또한, 분출 공간이 압력 손실이 작은 구조를 갖기 때문에, 압력 손실을 저감하기 위해서 유로의 단면적을 크게 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노즐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분출 공간은, 개구부측에서 구멍부측으로 제 1 내경을 갖는 제 1 공간, 제 1 내경보다도 작은 제 2 내경을 갖는 제 2 공간 및 제 2 내경보다도 작은 제 3 내경을 갖는 제 3 공간을 포함하며, 제 2 유로로부터 유도되는 세정수는 제 2 공간에 공급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세정수는 제 2 공간의 개구부측에서 저항을 받지 않고, 내주면만으로부터 저항을 받기 때문에, 압력 손실이 작다. 따라서, 구멍부에서 선회류가 효 율적으로 분출된다.
제 2 공간은 원통형 공간이며, 제 2 유로로부터 유도되는 세정수는 원통형 공간의 내주면에 따라서 공급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제 2 유로로부터 제 2 공간에 공급된 세정수는 효율적으로 선회류를 생성한다. 따라서, 구멍부에서 분출되는 세정수는 확대 각도를 갖고, 사용자는 부드러운 세정감을 얻을 수 있다.
제 2 유로로부터 세정수가 원통형 공간 내의 소용돌이도(渦度)가 없는 소용돌이의 최외주에 향해서 토출되도록 제 2 유로의 축이 원통형 공간의 주벽보다 내측 방향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제 2 유로로부터 원통형 공간에 공급된 세정수는 원통형 공간을 흐르는 선회류의 속도 분포를 혼란스럽게 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원통형 공간 내의 세정수를 효율적으로 선회시킬 수 있다.
제 1 공간은 개구부에서 제 2 공간으로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내경을 갖더라도 좋다. 이 경우, 제 1 공간을 흐르는 세정수는 연속적으로 유속을 증가시켜 구멍부에서 분출된다. 또한, 제 1 공간의 유로 손실이 적어져, 세정수의 압력 손실이 적어진다. 따라서, 세정수가 구멍부에서 분출할 때의 수세가 커지고 효율적이다.
제 3 공간은 제 2 공간에서 구멍부로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내경을 갖더라도 좋다. 이 경우, 제 3 공간을 흐르는 세정수는 연속적으로 유속을 증가시켜 구멍부에서 분출된다. 또한, 제 3 공간의 유로 손실이 적어져, 세정수의 압력 손실이 적 어진다. 따라서, 세정수가 구멍부에서 분출할 때의 수세가 커지고 효율적이다.
원통형 공간의 내경은 구멍부의 내경의 2배 내지 5배이어도 된다. 이 경우, 유로 손실을 작게 하면서 구멍부에서 분출되는 세정수의 유속을 높게 할 수 있다.
제 1 유로의 단면적은 분출 공간의 개구부의 단면적보다도 크더라도 좋다. 이 경우, 제 1 유로를 유동하는 세정수의 압력 손실은 적어진다. 따라서, 세정수가 분출 공간의 개구부에 유입할 때까지 높은 압력을 유지할 수 있다.
분출 구멍은 커버 부재의 선단 근방의 주벽부에 형성되고, 분출 부재는 커버 부재 내의 선단에 삽입되더라도 좋다. 이 경우, 분출 부재로부터 분출된 세정수는 커버 부재의 선단 근방의 분출 구멍으로부터 분출된다.
커버 부재의 선단부는 대략 반구형상을 갖더라도 좋다. 이 경우, 노즐 선단에 오염물이 부착되기 어렵게 된다. 또한, 부착된 오염물을 씻어 버리기 쉽게 된다. 따라서, 노즐 장치가 청결히 유지된다.
금속은 스테인리스이어도 된다. 이 경우, 스테인리스가 가지는 항균성에 의해 커버 부재에 부착된 균의 번식을 억제할 수 있다.
커버 부재는 스로틀 가공법으로 형성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커버 부재의 표면에 거칠기가 없고, 오염물이 부착되기 어렵다. 또한, 커버 부재의 표면이 광택을 갖게 되어, 사용자는 청결감을 기억한다.
커버 부재의 선단 근방의 주벽의 일부가 평탄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분출 구멍은 평탄면에 형성되더라도 좋다. 이 경우, 평탄면에 의해 분출 부재의 주위 방향의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구멍부에서 분출되는 세정수가 분출 구멍에 닿는 일이 없고, 세정수의 분출이 방해되지 않는다.
분출 구멍은 구멍부보다도 큰 내경을 갖더라도 좋다. 이 경우, 구멍부에서 분출되는 세정수가 분출 구멍에 닿는 일이 없고, 세정수의 분출이 방해되지 않는다.
분출 부재는 구멍부가 분출 구멍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도록 커버 부재의 선단부의 내면에 접촉하는 위치 결정부를 갖더라도 좋다. 이 경우, 위치 결정부가 커버 부재의 선단부의 내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분출 부재의 전후방향의 위치가 고정된다. 따라서, 구멍부에서 분출되는 세정수가 분출 구멍에 닿는 일이 없고, 세정수의 분출이 방해되지 않는다.
위치 결정부는 커버 부재에 형성된 제 1 평탄부와, 분출 부재에 형성된 제 2 평탄부를 포함하며, 분출 부재의 제 2 평탄부가 커버 부재의 제 1 평탄부에 대향하도록 관로가 커버 부재에 삽입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커버 부재에 형성된 제 1 평탄부의 내면과 분출 부재에 형성된 제 2 평탄부가 대향하는 것에 의해, 커버 부재 내에서 분출 부재가 주위 방향에 위치 결정된다. 이것에 의해, 분출 구멍에 대한 구멍부의 위치 어긋남이 방지된다. 그 결과, 분출 구멍에 대한 구멍부의 위치 어긋남에 의한 세정수의 비산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커버 부재 내에 관로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구멍부가 분출 구멍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위치 결정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노즐 장치는 구멍부의 주위에서의 분출 부재와 분출 구멍의 주위에서의 커버 부재와의 사이를 수밀로 밀봉하는 환상의 밀봉 부재를 더 구비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제 1 유로의 세정수가 분출 부재와 커버 부재와의 사이의 간극을 통해서 분출 구멍으로부터 유출하는 일은 없다. 또한, 노즐 장치의 선단에 오염물이 부착해도, 오염물이 분출 구멍으로부터 분출 부재와 커버 부재와의 사이의 간극을 통해서 제 1 유로에 직접 들어가는 일도 없다. 또한, 분출 구멍으로부터 들어간 오염물이 구멍부에 들어간 경우에도, 구멍부에서 분출되는 세정수에 의해 오염물이 바로 배출된다. 따라서, 노즐 장치의 내부를 항상 청결히 유지할 수 있다.
위치 결정부는 분출 부재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커버 부재의 선단부의 내면에 접촉하는 선단 접촉부를 포함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선단 접촉부가 커버 부재의 선단의 내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커버 부재 내에서 분출 부재가 축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그것에 따라, 분출 구멍에 대한 구멍부의 위치 어긋남이 방지된다. 그 결과, 분출 구멍에 대한 구멍부의 위치 어긋남에 의한 세정수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위치 결정부는 분출 부재에 설치되고, 커버 부재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주위면 접촉부를 포함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분출 부재에 설치된 주위면 접촉부가 커버 부재의 내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커버 부재 내에서 분출 부재가 주위 방향에 위치 결정된다. 그것에 따라, 분출 구멍에 대한 구멍부의 위치 어긋남이 방지된다. 그 결과, 분출 구멍에 대한 구멍부의 위치 어긋남에 의한 세정수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위치 결정부는 커버 부재의 후단부에 설치된 결합부와, 관로의 후단부에 설 치되고, 결합부가 결합하는 피결합부를 포함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관로의 후단부에 설치된 피결합부와, 커버 부재의 후단부에 설치된 결합부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커버 부재 내에서 분출 부재가 주위 방향으로 확실하게 위치 결정된다. 그것에 따라, 분출 구멍에 대한 구멍부의 위치 어긋남이 방지된다. 그 결과, 분출 구멍에 대한 구멍부의 위치 어긋남에 의한 세정수의 비산을 방지하는 것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는 위생 세정 장치는,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세정수를 인체에 분출하는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 급수원에서 공급된 세정수를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 노즐 장치와, 가압 수단에 의해 가압된 세정수를 노즐 장치의 제 1 유로 및 제 2 유로중 한쪽 또는 양쪽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경로 선택 수단을 구비하고, 노즐 장치는 세정수를 분출하는 분출 구멍과, 세정수를 분출 구멍으로 유도하는 제 1 유로를 형성하는 관로와, 분출 구멍을 구비하고, 관로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또한 선단부가 폐쇄된 통형상의 금속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커버 부재를 구비하고, 관로와 커버 부재와의 사이의 공간이 세정수를 분출 구멍으로 유도하는 제 2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는, 가압 수단에 의해서 가압된 세정수가 경로 선택 수단에 공급되어, 경로 선택 수단에 공급된 세정수는 경로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 1 유로 및 제 2 유로중 한쪽 또는 양쪽에 공급된다.
노즐 장치에 있어서는, 선단부가 폐쇄된 통형상의 금속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커버 부재에 의해 관로가 덮어지고 있다. 따라서, 오염물이 노즐 표면에 부착되기 어렵고, 오염물이 부착해도 세정하기 쉽다. .
또한, 관로와 커버 부재와의 사이의 공간이 세정수의 유로로서 이용되기 때문에 새롭게 유로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노즐 장치의 소형화할 수 있다. 그 결과위생 세정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
경로 선택 수단은 제 1 유로 및 제 2 유로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유량비를 조정하는 유량 조정 수단을 포함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유량 조정 수단에 의해 제 1 경로 및 제 2 경로를 흐르는 세정수의 유량비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분출 구멍으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수의 확대 각도를 조정할 수 있다.
위생 세정 장치는 급수원에서 공급된 세정수를 가열하여 가압 수단에 공급하는 가열 수단을 더 구비하고, 가열 수단은 급수원에서 공급된 세정수를 유동시키면서 가열하는 순간식 가열 장치이더라도 좋다.
이 경우, 순간식 가열 장치에 의해 세정수가 유동되면서 가열된다. 따라서, 위생 세정 장치의 사용시에만 세정수의 가열을 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에 따르는 노즐 장치는, 인체의 국부에 세정수를 분출하는 분출 구멍을 갖는 통형상의 인체 세정 노즐과, 인체 세정 노즐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대략 원통형의 내주면을 갖는 노즐 세정 부재를 구비하고, 인체 세정 노즐은, 노즐 세정 부재 내에 수납 및 노즐 세정 부재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노즐 세정 부재는, 인체 세정 노즐의 외주면과 노즐 세정 부재의 내주면과의 사이 의 환상 공간에 세정수를 도입하여 스파이럴형으로 선회시키기 위한 세정수 도입 구멍을 갖는 것이다.
그 노즐 장치에 있어서는, 인체 세정 노즐에 의해 인체의 국부에 세정수가 분출된다. 또한, 노즐 세정 부재의 세정수 도입 구멍으로부터 인체 세정 노즐의 외주면과 노즐 세정 부재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환상 공간에 세정수가 도입되어, 환상 공간을 스파이럴형으로 선회한다. 그것에 따라, 인체 세정 노즐의 외주면이 넓은 범위가 효과적으로 세정된다. 따라서, 인체 세정 노즐의 위생 상태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인체 세정 노즐의 외주면과 노즐 세정 부재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환상 공간에 세정수를 도입하는 것에 의해 인체 세정 노즐의 세정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하다.
인체 세정 노즐은, 원통형의 내주면을 갖는 실린더부와, 실린더부내에 수용 및 실린더부에서 돌출 가능하고 또한 선단부에 분출 구멍을 갖는 원통형의 피스톤부를 포함하며, 노즐 세정 부재는, 실린더부내에의 피스톤부의 수납 상태로 피스톤부의 선단부 근방을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피스톤부는, 노즐 세정 부재 내에서 요동 가능하게 실린더부에 설치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인체 세정 노즐에 있어서, 원통형의 피스톤부는 원통형의 내주면을 갖는 실린더부내에 수용되어, 실린더부에서 돌출된다. 이에 의해, 공간절약화가 실현된다.
또한, 실린더부내에의 피스톤부의 수납 시에, 피스톤부의 선단부 근방이 노 즐 세정 부재에 의해 둘러싸임과 동시에, 선단부가 노즐 세정 부재 내에서 요동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세정수가 세정수 도입 구멍으로부터 인체 세정 노즐의 외주면과 노즐 세정 부재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환상 공간에 도입되었을 때에, 피스톤부가 실린더부내에서 요동하면서, 스파이럴형으로 선회하는 세정수에 의해 선단부가 충분히 세정된다. 따라서, 피스톤부의 선단부 근방 부착되는 오염물이 보다 효과적으로 세정된다.
피스톤부는, 세정수를 분출 구멍으로 유도하는 제 1 유로를 형성하는 관로와, 분출 구멍을 갖고 관로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또한 선단부가 닫혀지고, 관로와의 사이에 세정수를 분출 구멍으로 유도하는 제 2 유로를 형성하는 통형상의 커버 부재와, 관로의 선단에 설치됨과 함께 구멍부를 갖고 제 1 유로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와 제 2 유로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를 합류시켜 구멍부로 유도하는 분출 부재를 구비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피스톤부에서, 제 1 유로를 형성하는 관로에 의해 세정수가 분출 구멍에 유도되고, 제 2 유로를 형성하는 통형상의 커버 부재에 의해 관로와의 사이에 세정수가 분출 구멍에 유도되고, 관로의 선단에 설치됨과 함께 구멍부를 갖는 분출 부재에 의해 제 1 유로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와 제 2 유로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가 합류되어 구멍부에 유도된다.
이러한 커버 부재 및 관로의 2중관 구조에 의해 제 1 및 제 2 유로를 소경의 커버 부재 내에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노즐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세정수 도입 구멍은, 노즐 세정 부재 내에 도입되는 세정수가 인체 세정 노즐의 외주면에 대하여 대략 접선방향으로 분출 가능하게 설치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세정수 도입 구멍을 통해서 노즐 세정 부재 내에 도입되는 세정수는, 인체 세정 노즐의 외주면에 대하여 대략 접선방향으로 분출된다. 이에 의해, 세정수는 분출 시의 유속을 손상시키지 않고, 인체 세정 노즐의 외주면의 주위를 효율적으로 선회한다.
인체 세정 노즐의 수납 시에 인체 세정 노즐의 선단부가 노즐 세정 부재로부터 돌출하고 있더라도 좋다. 이 경우, 노즐 세정 부재 내에 도입되는 세정수가 코안다 효과(Coanda effect)에 의해 인체 세정 노즐의 선단부에 따라서 외부에 유출하기 때문에, 유출하는 세정수가 인체 세정 노즐의 상방으로 비산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코안다 효과란 흐름의 중에 물체를 위치시킨 경우에, 유체가 그 물체에 따라서 흐르고자 하는 성질을 말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에 따르는 위생 세정 장치는,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세정수를 인체에 분출하는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 노즐 장치와, 노즐 장치의 인체 세정 노즐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제 1 세정수 공급 수단과, 노즐 장치의 세정수 도입 구멍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제 2 세정수 공급 수단과,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세정수를 순간적으로 가열하는 가열 장치를 더 구비하며,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된 세정수는 증기이며, 노즐 장치는, 인체의 국부에 세정수를 분출하는 분출 구멍을 갖는 통형상의 인체 세정 노즐과, 인체 세정 노즐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대략 원통형의 내주면을 갖는 노즐 세정 부재를 구비하고, 인체 세정 노즐은 노즐 세정 부재 내에 수납 및 노즐 세정 부재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고, 노즐 세정 부재는 인체 세정 노즐의 외주면과 노즐 세정 부재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환상 공간에 세정수를 도입하여 스파이럴형으로 선회시키기 위한 세정수 도입 구멍을 갖는 것이다.
그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는, 제 1 세정수 공급 수단에 의해 노즐 장치의 인체 세정 노즐에 세정수가 공급되어, 제 2 세정수 공급 수단에 의해 노즐 장치의 세정수 도입 구멍에 세정수가 공급된다. 노즐 장치에 있어서는, 인체 세정 노즐에 의해 인체의 국부에 세정수가 분출된다. 또한, 노즐 세정 부재의 세정수 도입 구멍으로부터 인체 세정 노즐의 외주면과 노즐 세정 부재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환상 공간에 세정수가 도입되어, 환상 공간을 스파이럴형으로 선회한다. 그것에 따라, 인체 세정 노즐의 외주면이 넓은 범위가 효과적으로 세정된다. 따라서, 인체 세정 노즐의 위생 상태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인체 세정 노즐의 외주면과 노즐 세정 부재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환상 공간에 세정수를 도입하는 것에 의해 인체 세정 노즐의 세정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하다.
또한, 가열 장치에 의해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세정수가 순간적으로 가열되어, 제 2 세정수 공급 수단에 의해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된 세정수가 세정수 도입 구멍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고온의 세정수에 의해 인체 세정 노즐이 세정되기 때문에, 높은 세정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세정수의 가열 상태에 대응하여 인체 세정 노즐의 감균, 제균 또는 살균을 할 수 있다. 고온의 세정수에 의한 인체 세정 노즐의 세정에 따르면, 사용자는 인체 세정 노즐의 세정 및 감균, 제균 또는 살 균이 행하여지는 것에 의해, 인체 세정 노즐이 항상 청결히 유지되고 있다고 하는 안심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된 세정수는 증기인 것에 의해, 우수한 세정 효과 및 제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위생 세정 장치는 좌변부와, 좌변부상의 인체의 유무를 검출하는 인체 검출 센서와, 인체 검출 센서의 출력에 따라서 제 2 세정수 공급 수단에 의한 세정수 도입 구멍에의 세정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며, 제어부는 인체 검출 센서가 인체를 검출한 경우에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된 세정수를 세정수 도입 구멍으로 공급하지 않더라도 좋다.
이 경우, 인체 검출 센서에 의해 좌변부상의 인체의 유무가 검출되어, 제어부에 의해 인체 검출 센서의 출력에 따라서 제 2 세정수 공급 수단에 의한 세정수 도입 구멍에의 세정수의 공급이 제어된다. 그리고, 인체 검출 센서가 인체를 검출한 경우,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된 세정수는 세정수 도입 구멍에 공급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좌변부에 착석한 상태로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된 세정수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위생 세정 장치는,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세정수의 일부 또는 모두를 외부에 배출가능한 분기 배관을 더 구비하며, 제 2 세정수 공급 수단은 분기 배관을 흐르는 세정수중 적어도 일부를 세정수 도입 구멍으로 공급해도 된다.
이 경우, 분기 배관에 의해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세정수의 일부 또는 전부가 외부에 배출되어, 제 2 세정수 공급 수단에 의해 분기 배관을 흐르는 세정수중 적 어도 일부가 세정수 도입 구멍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인체 세정 노즐의 세정에 이용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세정 효과가 높은 노즐 세정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형태에 따르는 위생 세정 장치는,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세정수를 인체에 분출하는 분출 구멍을 갖는 노즐 장치와, 노즐 장치의 분출 구멍으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수의 확대 각도를 변화시키는 확대 각도 조정 수단과, 노즐 장치를 전방 위치와 후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진퇴 이동시키는 진퇴 구동 수단과, 진퇴 구동 수단에 의한 노즐 장치의 진퇴 이동과 노즐 장치의 분출 구멍으로부터의 세정수의 확대 각도의 변화를 조합시키도록 진퇴 구동 수단 및 확대 각도 조정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그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는, 확대 각도 조정 수단에 의해 노즐 장치의 분출 구멍으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수의 확대 각도가 변화된다. 그것에 따라, 집중적인 세정 범위를 갖는 직선류와 광범위한 세정 범위를 갖는 분산류가 생성된다. 또한, 진퇴 구동 수단에 의해 노즐 장치가 전방 위치와 후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진퇴 이동한다. 또한, 제어 수단에 의해 진퇴 구동 수단에 의한 노즐 장치의 진퇴 이동과, 노즐 장치의 분출 구멍으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수의 확대 각도의 변화와의 조합이 제어된다. 그것에 따라, 사용자는, 사용자의 기호나 몸상태 등에 대응하여 진퇴 구동 수단에 의한 노즐 장치의 진퇴 이동과, 노즐 장치의 분출 구멍으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수의 확대 각도의 변화와의 조합을 선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있어서 적절한 세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진퇴 구동 수단에 의한 노즐 장치의 진퇴 이동과, 노즐 장치의 분출 구멍으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수의 확대 각도의 변화가 조합되어 인체의 국부가 세정됨으로써, 인체의 국부의 광범위를 충분히 세정할 수 있다.
제어 수단은, 노즐 장치가 전방 위치와 후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진퇴 이동을 반복하면서 노즐 장치의 분출 구멍으로부터의 세정수의 확대 각도가 변화하도록 진퇴 구동 수단 및 확대 각도 조정 수단을 제어해도 된다.
이 경우, 세정수의 밀도가 낮은 세정 범위의 중앙부에도 직선류에 의해 세정수의 밀도가 높은 범위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인체의 국부의 광범위를 충분히 세정할 수 있다. 또, 수세를 갖는 직선류에 의해 인체의 국부 주변에 비산한 세정수를 분산류에 의해서 씻어 버릴 수 있다. 이에 의해, 인체의 국부가 보다 청결히 유지된다.
제어 수단은 노즐 장치가 전방 위치와 후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진퇴 이동을 반복하면서 노즐 장치의 분출 구멍으로부터의 세정수가 분산류와 직선류로 교대로 전환되도록 진퇴 구동 수단 및 확대 각도 조정 수단을 제어해도 된다.
이 경우, 세정수의 밀도가 낮은 세정 범위의 중앙부에도 직선류에 의해 세정수의 밀도가 높은 범위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인체의 국부의 광범위를 충분히 세정할 수 있다. 또, 수세를 갖는 직선류에 의해 인체의 국부주변에 비산한 세정수를 분산류에 의해서 씻어 버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체의 국부가 보다 청결히 유지된다.
제어 수단은 노즐 장치가 전방 위치로부터 후방 위치 또는 후방 위치로부터 전방 위치까지 이동하면서 노즐 장치의 분출 구멍으로부터의 세정수의 확대 각도가 변화하도록 진퇴 구동 수단 및 확대 각도 조정 수단을 제어해도 된다.
이 경우, 세정수의 밀도가 낮은 세정 범위의 중앙부에도 직선류에 의해 세정수의 밀도가 높은 범위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인체의 국부의 광범위를 충분히 세정할 수 있다. 또, 수세를 갖는 직선류에 의해 인체의 국부주변에 비산한 세정수를 분산류에 의해서 씻어 버릴 수 있다. 이에 의해, 인체의 국부가 보다 청결히 유지된다.
제어 수단은 노즐 장치가 전방 위치로부터 후방 위치 또는 후방 위치로부터 전방 위치까지 이동하면서 노즐 장치의 분출 구멍으로부터의 세정수가 직선류와 분산류로 전환되도록 진퇴 구동 수단 및 확대 각도 조정 수단을 제어해도 된다.
이 경우, 세정수의 밀도가 낮은 세정 범위의 중앙부에도 직선류에 의해 세정수의 밀도가 높은 범위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인체의 국부의 광범위를 충분히 세정할 수 있다. 또, 수세를 갖는 직선류에 의해 인체의 국부주변에 비산한 세정수를 분산류에 의해서 씻어 버릴 수 있다. 이에 의해, 인체의 국부가 보다 청결히 유지된다.
제어 수단은 노즐 장치를 전방 위치 또는 후방 위치로 소정시간 정지한 상태로 노즐 장치의 분출 구멍으로부터의 세정수의 확대 각도가 변화하도록 진퇴 구동 수단 및 확대 각도 조정 수단을 제어해도 된다.
이 경우, 세정수의 밀도가 낮은 세정 범위의 중앙부에도 직선류에 의해 세정수의 밀도가 높은 범위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인체의 국부의 광범위를 충분히 세정할 수 있다. 또, 수세를 갖는 직선류에 의해 인체의 국부 주변에 비산한 세정수를 분산류에 의해서 씻어 버릴 수 있다. 이에 의해, 인체의 국부가 보다 청결히 유지된다.
제어 수단은 노즐 장치가 전방 위치 또는 후방 위치로 정지한 상태로 노즐 장치의 분출 구멍으로부터의 세정수가 분산류와 직선류로 교대로 전환되도록 진퇴 구동 수단 및 확대 각도 조정 수단을 제어해도 된다.
이 경우, 세정수의 밀도가 낮은 세정 범위의 중앙부에도 직선류에 의해 세정수의 밀도가 높은 범위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인체의 국부의 광범위를 충분히 세정할 수 있다. 또, 수세를 갖는 직선류에 의해 인체의 국부 주변에 비산한 세정수를 분산류에 의해서 씻어 버릴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인체의 국부가 보다 청결에 유지된다.
위생 세정 장치는 진퇴 구동 수단에 의한 노즐 장치의 진퇴 이동과 노즐 장치의 분출 구멍으로부터의 세정수의 확대 각도의 변화의 조합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더 구비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사용자가 설정 수단에 의해 사용자의 기호나 몸상태에 적절한 세정방법을 설정할 수 있다.
노즐 장치는 급수원에서의 세정수를 분출 구멍으로 유도하는 제 1 유로와, 급수원에서의 세정수를 분출 구멍으로 유도하는 제 2 유로와, 제 1 유로의 세정수에 회전류를 생성하는 회전류 생성 수단을 포함하며, 확대 각도 조정 수단은 제 1 유로 및 제 2 유로에 공급되는 세정수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 수단을 포함하 더라도 좋다.
이 경우, 노즐 장치의 제 1 유로 및 제 2 유로를 거쳐서 분출 구멍에 의해 세정수를 분출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유로와 제 2 유로가 별개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 1 유로 및 제 2 유로를 흐르는 세정수의 유량을 각각 독립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유로에 있어서 세정수의 회전류를 생성할 수가 있기 때문에, 분출 구멍보다 분산류를 분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 유로 및 제 2 유로를 흐르는 세정수의 유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사용자의 몸상태나 기호에 대응하여 직선류 및 분산류중 어느 한쪽, 또는 직선류와 분산류의 혼합류를 분출시킬 수 있다. 그것에 따라, 세정수의 확대 각도 및 세정 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다.
회전류 생성 수단은 원통형상실을 갖고, 제 1 유로의 세정수는 원통형상실의 내주면에 따라서 공급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제 1 유로로부터 유도되는 세정수가 원통형상실의 내주면에 따라서 공급되기 때문에, 원통형상실내에서 원심력에 의한 소용돌이 상태의 흐름을 효율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소용돌이 상태의 흐름을 유지한 세정수가 분출 구멍으로부터 분출됨으로써, 분출 구멍으로부터의 분산류가 피세정면에 대하여 광범위하게 분출된다.
위생 세정 장치는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세정수에 주기적인 압력 변동을 주면서 세정수를 가압하여 노즐 장치에 공급하는 가압 수단을 더 구비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세정수가 가압 수단에 의해 주기적인 압력 변 동을 부여하면서 가압된다. 따라서, 적은 유량이라도 세정 자극 효과가 높아진다.
위생 세정 장치는 급수원에서 공급된 세정수를 가열하여 가압 수단에 공급하는 가열 수단을 더 구비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급수원에서 공급된 세정수를 가열 수단에 의해 가열하여 가압 수단에 공급할 수가 있기 때문에, 노즐 장치의 분출 구멍보다 적절히 가열된 세정수를 분출시킬 수 있다.
가열 수단은 급수원에서 공급된 세정수를 유동시키면서 가열하는 순간식 가열 장치이더라도 좋다.
이 경우, 순간식 가열 장치에 의해 세정수가 유동되면서 가열된다. 따라서, 위생 세정 장치의 사용시에만 세정수의 가열을 하기 때문에, 소비 전력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세정수를 저장하는 저수 탱크 등이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공간 절약화가 실현된다. 또한, 세정 시간이 길어진 경우에도 세정수의 온도의 저하가 생기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위생 세정 장치를 변기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원격 조작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위생 세정 장치의 본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열교환기의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 단면도,
도 5는 펌프의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우산형 패킹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7은 도 5의 펌프의 압력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전환 밸브의 종단면도로서 전환 밸브의 A-A 선 단면도, 전환 밸브의 B-B 선 단면도, 전환 밸브의 C-C 선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전환 밸브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전환 밸브의 세정수 출구로부터 유출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노즐부의 엉덩이 노즐의 피스톤부의 사시도,
도 12는 피스톤부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피스톤부의 측면도, 피스톤부의 평면도,
도 14는 엉덩이 노즐의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엉덩이 노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6은 유로 합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원통의 내부에 있어서의 선회류의 유속을 설명하는 모식도, 원통형 소용돌이실에서의 세정수의 선회류를 설명하는 모식도,
도 18은 엉덩이 노즐의 선단부의 단면도,
도 19는 도 18의 X-X 선 단면도, 도 18의 Y-Y 선 단면도, 도 18의 Z-Z 선 단면도,
도 20은 피스톤부의 선단부를 측면측에서 본 경우의 모식적 단면도,
도 21은 엉덩이 노즐의 구멍부에 의해 분출되는 세정수의 압력 변동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2는 엉덩이 노즐의 피스톤부의 사시도, 피스톤부의 세정수 공급부의 분해 사시도,
도 23은 엉덩이 노즐의 피스톤부의 분해 사시도,
도 24는 피스톤부의 측면도, 피스톤부의 평면도,
도 25는 엉덩이 노즐의 단면도,
도 26은 도 25의 엉덩이 노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7은 유로 합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8은 도 27의 F-F 선 단면도,
도 29는 도 1의 원격 조작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3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위생 세정 장치의 본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31은 전환 밸브의 세정수 출구로부터 엉덩이 노즐에 유출하는 세정수의 유량, 세정수 출구로부터 비데 노즐에 유출하는 세정수의 유량 및 세정수 출구로부터 노즐 세정용 노즐에 유출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나타내는 도면,
도 32는 도 1의 노즐부의 외관 사시도,
도 33은 도 32의 엉덩이 노즐의 축방향의 횡단면도,
도 34는 도 33의 엉덩이 노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도,
도 35는 도 32의 노즐부의 Y-Y 선 단면도,
도 36은 도 32의 제 1 노즐 세정 유로로부터 노즐 세정통의 내부에 세정수가 분출되는 경우의 피스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37은 노즐 세정통의 내부에 분출되는 세정수의 흐름을 설명하는 사시도,
도 38은 노즐 세정통 및 피스톤의 선단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39는 사용자가 도 29의 엉덩이 스위치 및 정지 스위치를 가압 조작한 경우의 도 30의 펌프, 전환 밸브 및 릴리프 물전환 밸브의 동작 상태 및 도 30의 노즐 세정용 노즐로부터 엉덩이 노즐 및 비데 노즐에 분출되는 세정수의 유량이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40은 사용자가 도 29의 노즐 세정 스위치를 가압 조작한 경우의 도 30의 펌프, 전환 밸브 및 릴리프 물전환 밸브의 동작 상태 및 도 30의 노즐 세정용 노즐로부터 엉덩이 노즐 및 비데 노즐에 분출되는 세정수의 유량이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41은 사용자가 도 29의 고온 노즐 세정 스위치를 가압 조작한 경우의 도 30의 펌프, 전환 밸브, 릴리프 물전환 밸브 및 열교환기의 동작 상태 및 도 30의 노즐 세정용 노즐로부터 엉덩이 노즐 및 비데 노즐에 분출되는 세정수의 유량이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42는 다른 순간식 가열 장치를 이용한 경우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위생 세정 장치의 본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43은 순간 가열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 단면도,
도 44는 제 5 실시예에 따르는 원격 조작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4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는 위생 세정 장치의 본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46은 제 5 실시예에 따르는 노즐부의 외관 사시도,
도 47은 제 6 실시예에 따르는 원격 조작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48은 제 6 실시예에 따르는 위생 세정 장치의 본체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49는 도 48의 엉덩이 노즐 및 전환 밸브의 모식적 단면도,
도 50은 도 49의 엉덩이 노즐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51은 도 49의 피스톤부의 선단부의 모식도,
도 52는 제 6 실시예에 따르는 세정수의 분출 형태의 제 1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3은 제 6 실시예에 따르는 세정수의 분출 형태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4는 제 6 실시예에 따르는 세정수의 분출 형태의 제 3 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55는 제 6 실시예에 따르는 세정수의 분출 형태의 제 4 예를 나타내는 개략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위생 세정 장치를 변기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600)상에 위생 세정 장치(100)가 장착된다. 탱크(700)는 수도 배관에 접속되어 있고, 변기(600) 내에 세정수를 공급한다.
위생 세정 장치(100)는 본체부(200), 원격 조작 장치(300), 좌변부(400) 및 덮개부(500)에 의해 구성된다.
본체부(200)에는 좌변부(400) 및 덮개부(500)가 개폐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200)에는 노즐부(30)를 포함하는 세정수 공급 기구가 설치되는 동시에 제어부가 내장되어 있다. 본체부(200)의 제어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격 조작 장치(300)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에 의거하여, 세정수 공급 기구를 제어한다. 또한, 본체부(200)의 제어부는, 좌변부(400)에 내장된 히터, 본체부(200)에 설치된 탈취 장치(도시하지 않음) 및 온풍 공급 장치(도시하지 않음) 등의 제어도 한다.
도 2는 도 1의 원격 조작 장치(300)의 일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 조작 장치(300)는 복수의 LED(발광 다이오드)(301), 복수의 조정 스위치(302), 엉덩이 스위치(303), 자극 스위치(304), 정지 스위치(305), 비데 스위치(306), 건조 스위치(307) 및 탈취 스위치(308)를 구비한다.
사용자에 의해 조정 스위치(302), 엉덩이 스위치(303), 자극 스위치(304), 정지 스위치(305), 비데 스위치(306), 건조 스위치(307) 및 탈취 스위치(308)가 가압 조작된다. 그것에 따라, 원격 조작 장치(300)는, 후술하는 위생 세정 장치(100)의 본체부(200)에 설치된 제어부에 소정의 신호를 무선 송신한다. 본체부(200)의 제어부는 원격 조작 장치(300)에 의해 무선 송신되는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여, 세정수 공급 기구 등을 제어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엉덩이 스위치(303) 또는 비데 스위치(306)를 가압 조작하는 것에 의해 도 1의 본체부(200)의 노즐부(30)가 이동하여 세정수가 분출한다. 자극 스위치(304)를 가압 조작하는 것에 의해 도 1의 본체부(200)의 노즐부(30)로부터 인체의 국부에 자극을 주는 세정수가 분출된다. 정지 스위치(305)를 가압 조작하는 것에 의해 노즐부(30)로부터의 세정수의 분출이 정지한다.
또한, 건조 스위치(307)를 가압 조작하는 것에 의해 인체의 국부에 대하여 위생 세정 장치(100)의 온풍 공급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온풍이 분출된다. 탈취 스위치(308)를 가압 조작하는 것에 의해 위생 세정 장치(100)의 탈취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주변의 탈취가 행하여진다.
조정 스위치(302)는 수세조정 스위치(302a, 302b), 온도 조정 스위치(302c, 302d) 및 노즐 위치 조정 스위치(302e, 302f)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노즐 위치 조정 스위치(302e, 302f)를 가압 조작하는 것에 의해 도 1의 위생 세정 장치(100)의 본체부(200)의 노즐부(30)의 위치가 변화되고, 온도 조정 스위치(302c, 302d)를 가압 조작하는 것에 의해 노즐부(30)에 의해 분출되는 세정수의 온도가 변화된다. 또한, 수세조정 스위치(302a, 302b)를 가압 조작하는 것에 의해, 노즐부(30)에 의해 분출되는 세정수의 수세(압력) 및 분출 형태가 변화된다. 조정 스위치(302)의 가압에 따라 복수의 LED(발광 다이오드)(301)가 점등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위생 세정 장치(100)의 본체부(200)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위생 세정 장치(100)의 본체부(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본체부(200)는 제어부(4), 분기 물 밸브(5), 스트레이너(6), 역지 밸브(7), 정유량 밸브(8), 지수 전자 밸브(9), 유량 센서(10), 열교환기(11), 온도 센서(12a, 12b), 펌프(13), 전환 밸브(14) 및 노즐부(30)를 포함한다. 또한, 노즐부(30)는 엉덩이 노즐(1), 비데 노즐(2) 및 노즐 세정용 노즐(3)을 포함한다. 전환 밸브(14)는 모터(M)를 구비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도 배관(201)에 분기 물 밸브(5)가 삽입된다. 또한, 분기 물 밸브(5)와 열교환기(11)와의 사이에 접속되는 배관(202)에, 스트레이너(6), 역지 밸브(7), 정유량 밸브(8), 지수 전자 밸브(9), 유량 센서(10) 및 온도 센서(12a)가 순차로 삽입되어 있다. 또한, 열교환기(11)와 전환 밸브(14)와의 사이에 접속되는 배관(203)에, 온도 센서(12b) 및 펌프(13)가 삽입되어 있다.
우선, 수도 배관(201)을 흐르는 정수가 세정수로서 분기 물 밸브(5)에 의해 스트레이너(6)에 공급된다. 스트레이너(6)에 의해 세정수에 포함되는 먼지나 불순물 등이 제거된다. 다음에, 역지 밸브(7)에 의해 배관(202) 내에 있어서의 세정수의 역류가 방지된다. 그리고, 정유량 밸브(8)에 의해 배관(202)내를 흐르는 세정수의 유량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펌프(13)와 전환 밸브(14)와의 사이에는 릴리프 배관(204)이 접속되어, 지수 전자 밸브(9)와 유량 센서(10)와의 사이에는 릴리프 물배관(205)이 접속되어 있다. 릴리프 배관(204)에는 릴리프 밸브(206)가 삽입되어 있다. 릴리프 밸브(206)는 배관(203)의 특히 펌프(13)의 하류측의 압력이 소정값을 넘으면 개방되어, 이상시의 기기의 파손, 호스의 빠짐 등의 불량을 방지한다. 한편, 정유량 밸브(8)에 의해서 유량이 조절되어 공급되는 세정수중 펌프(13)로 흡인되지 않는 세정수를 릴리프 물배관(205)으로부터 방출한다. 이에 의해, 수도 공급압에 좌우되는 일없이 펌프(13)에는 소정의 등압이 작용하게 된다.
이어서, 유량 센서(10)는 배관(202)내를 흐르는 세정수의 유량을 측정하여, 제어부(4)에 측정 유량치를 보낸다. 또한, 온도센서(12a)는 배관(202)내를 흐르는 세정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4)에 온도 측정치를 보낸다.
계속해서, 열교환기(11)는 제어부(4)에 의해 부여된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배관(202)을 통해서 공급된 세정수를 소정의 온도로 가열한다. 온도 센서(12b)는 열교환기(11)에 의해 소정의 온도에 가열된 세정수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4)에 온도 측정치를 보낸다.
펌프(13)는 열교환기(11)에 의해 가열된 세정수를 제어부(4)에 의해 주어지는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전환 밸브(14)에 압송한다. 전환 밸브(14)는 제어부(4)에 의해 주어지는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노즐부(30)의 엉덩이 노즐(1), 비데 노즐(2) 및 노즐 세정용 노즐(3)중 어느 하나에 세정수를 공급한다. 그것에 따라, 엉덩이 노즐(1), 비데 노즐(2) 및 노즐 세정용 노즐(3)중 어느 하나에 의해 세정수가 분출된다. 또한, 전환 밸브(14)는 제어부(4)에 의해 주어지는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노즐부(30)에 의해 분출되는 세정수의 유량을 조정한다. 그것에 따라, 노즐부(30)에 의해 분출되는 세정수의 유량이 변화된다.
제어부(4)는 도 1의 원격 조작 장치(300)로부터 무선 송신되는 신호, 유량 센서(10)로부터 주어지는 측정 유량치 및 온도 센서(12a, 12b)에서 주어지는 온도 측정치에 의거하여 지수 전자 밸브(9), 열교환기(11), 펌프(13) 및 전환 밸브(14)에 대하여 제어 신호를 준다.
도 4는 열교환기(11)의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지 케이스(504) 내에 곡절된 구불구불한 배관(510)이 매설되어 있다. 구불구불한 배관(510)에 접촉하도록 평판상의 세라믹 히터(505)가 설치되어 있다. 화살표 Y로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수가 급수구(511)로부터 구불구불한 배관(510) 내에 공급되어, 구불구불한 배관(510)중을 흐르는 사이에, 세라믹 히터(505)에 의해 효율적으로 가열되어, 배출구(512)로부터 배출된다.
도 3의 제어부(4)는 온도 센서(12b)에 의해 주어지는 온도 측정치에 의거하여, 열교환기(11)의 세라믹 히터(505)의 온도를 피드백 제어한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어부(4)가 피드백 제어에 의해 열교환기(11)의 세라믹 히터(505)의 온도를 제어하는 것으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피드포워드 제어에 의해 세라믹 히터(505)의 온도를 제어해도 좋고, 또는 온도 상승시에는 피드포워드 제어에 의해 세라믹 히터(505)를 제어하고, 정상시에는 피드백 제어에 의해 세라믹 히터(505)를 제어하는 복합적인 제어를 하더라도 좋다.
도 5는 펌프(13)의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의 펌프는 왕복 이동형 레시프로 펌프이다.
도 5에 있어서, 본체부(138) 내에는, 원주형 공간(139)이 형성되어 있다. 원주형 공간(139) 내에는 압송 피스톤(136)이 설치되어 있다. 압송 피스톤(136)의 외주부에는 X자 패킹(136a)이 장착되어 있다. 압송 피스톤(136)에 의해 원주형 공간(139)이 펌프실(139a)과 펌프실(139b)로 분할된다.
본체부(138)의 일측부에는 세정수 입구(PI)가 설치되고, 다른측부에는 세정수 출구(PO)가 설치되어 있다. 세정수 입구(PI)에는 도 3의 배관(203)을 거쳐서 열교환기(11)가 접속되고, 세정수 출구(PO)에는 배관(203)을 개재하여 전환 밸브(14)가 접속된다.
세정수 입구(PI)는 내부 유로(P1), 소실(小室)(S1) 및 소실(S3)을 개재하여 펌프실(139a)에 연통하는 동시에, 내부 유로(P2), 소실(S2) 및 소실(S4)을 개재하여 펌프실(139b)에 연통하고 있다.
펌프실(139a)은 소실(S5), 소실(S7) 및 내부 유로(P3)를 개재하여 세정수 출구(PO)에 연통하고 있다. 원주형 공간(139b)은 소실(S6), 소실(S8) 및 내부 유로(P4)를 개재하여 세정수 출구(PO)에 연통하고 있다.
소실(S3), 소실(S4), 소실(S7) 및 소실(S8)에는 각각 증폭기 패킹(137)이 설치되어 있다.
모터(130)의 회전축에 기어(131)가 부착되고, 기어(131)에 기어(132)가 맞물림되어 있다. 또한, 기어(132)에는 크랭크샤프트(133)의 일단이 일점지지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크랭크샤프트(133)의 타단에는 피스톤 유지부(134) 및 피스톤 유지봉(135)을 개재하여 압송 피스톤(136)이 부착되어 있다.
도 3의 제어부(4)에 의해 주어지는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모터(130)의 회전축이 회전하면, 모터(130)의 회전축에 부착된 기어(131)가 화살표(R1)의 방향으로 회전하고, 기어(132)가 화살표(R2)의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의해, 압송 피스톤(136)이 도면중의 화살표(Z)의 방향으로 상하 운동한다.
도 6은 우산형 패킹(137)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예컨대, 도 5의 압송 피스톤(136)이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펌프실(139a)의 용적을 증가시킨 경우, 소실(S1)의 압력보다도 펌프실(139a) 내의 압력이 낮게 되기 때문에, 소실(S3)에 설치된 우산형 패킹(137)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한다. 그 결과, 세정수 입구(PI)에서 공급된 세정수가 내부 유로(P1), 소실(S1) 및 소실(S3)을 거쳐서 펌프실(139a)에 유입한다. 이 경우, 소실(S7)의 압력보다도 펌프실(139a) 내의 압력이 낮게 되기 때문에, 소실(S7)에 설치된 우산형 패킹(137)은 도 6a에 나타내는 상태대로 변형하지 않는다. 그 때문에, 세정수가 펌프실(139a) 내로 유입하거나, 반대로 세정수 출구(PO)보다 토출되는 것도 없다.
한편, 도 5의 압송 피스톤(136)이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펌프실(139a)의 용적을 감소시킨 경우, 소실(S1)의 압력보다도 펌프실(139a) 내의 압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소실(S3)에 설치된 우산형 패킹(137)은 도 6a에 나타내는 상태대로 변형하지 않는다. 그 결과, 소실(S1) 내의 세정수가 펌프실(139a)에 유입하지 않는다. 이 경우, 소실(S7)에 설치된 우산형 패킹(137)은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한다. 그 때문에, 펌프실(139a) 내의 세정수가 소실(S5), 소실(S7) 및 내부 유로(P3)를 거쳐서 세정수 출구(PO)에서 토출된다.
또, 소실(S4) 내에 설치된 우산형 패킹(137)은 압송 피스톤(136)이 상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하여, 압송 피스톤(136)이 하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 도 6a에 나타내는 상태대로 변형하지 않는다. 한편, 소실(S8)에 설치된 증폭기 패킹(137)은 압송 피스톤(136)이 상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 도 6a에 나타내는 상태대로 변형하지 않고, 압송 피스톤(136)이 하방향으로 이동한 경우에,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한다. 그것에 따라, 펌프실(139a) 내의 세정수가 세정수 출구(PO)에서 토출될 때에, 펌프실(139b) 내에 세정수 입구(PI)에서의 세정수가 유입하여, 펌프실(139a) 내에 세정수 입구(PI)에서의 세정수가 유입할 때에, 펌프실(139b) 내의 세정수가 세정수 출구(PO)로부터 토출된다.
도 7은 도 5의 펌프(13)의 압력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의 종축은 압력을 나타내고, 횡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펌프(13)의 세정수 입구(PI)에 압력(Pi)의 세정수가 공급된다. 이 경우, 도 6의 압송 피스톤(136)이 상하방향에 운동하는 것에 의해, 펌프실(139a) 내의 세정수의 압력(Pa)은 점선과 같이 변화된다. 한편, 펌프실(139b) 내의 세정수의 압력(Pb)은 파선과 같이 변화된다. 펌프(13)의 세정수 출구(PO)에 의해 토출되는 세정수의 압력(Pout)은 굵은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압력(Pc)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주기적으로 변화된다.
이와 같이, 펌프(13)에 있어서는, 압송 피스톤(136)이 상하운동을 하는 것에 의해, 펌프실(139a) 또는 펌프실(139b) 내의 세정수에 대하여 교대로 압력이 가해져, 세정수 입구(PI)의 세정수가 승압되어 세정수 출구(PO)로부터 토출된다.
도 8a는 전환 밸브(14)의 종단면도이며, 도 8b는 도 8a의 전환 밸브(14)의 A-A 선 단면도이며, 도 8c는 도 8a의 전환 밸브(14)의 B-B 선 단면도이며, 도 8d는 도 8a의 전환 밸브(14)의 C-C 선 단면도이다.
도 8a에 나타내는 전환 밸브(14)는 모터(M), 내부통(142) 및 외부통(143)에 의해 구성된다.
외부통(143) 내에 내부통(142)이 삽입되고, 모터(M)의 회전축이 내부통(142)에 부착되어 있다. 모터(M)는 제어부(4)에 의해 주어지는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회전 동작을 한다. 모터(M)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내부통(142)이 회전한다.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통(143)의 일단에는 세정수 입구(143a)가 설치되고, 측부의 대향하는 위치에 세정수 출구(143b, 143c)가 설치되고, 측부의 세정수 출구(143b, 143c)와 다른 위치에 세정수 출구(143d)가 설치되고, 측부의 세정수 출구(143b, 143c, 143d)와 다른 위치에 세정수 출구(143e)가 설치되어 있다. 내부통(142)의 서로 다른 위치에 구멍(142e, 142f, 142g)이 설치되어 있다. 구멍(142e, 142f)의 주변에는, 도 8b 및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곡선 및 직선으로 구성되는 모따기부가 형성되고, 구멍(142g)의 주변에는 도 8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선으로 구성되는 모따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내부통(142)의 회전에 의해, 구멍(142e)이 외부통(143)의 세정수 출구(143b 또는 143c)와 대향 가능하게 되어 있고, 구멍(142f)이 외부통(143)의 세정수 출구(143d)와 대향 가능하게 되어 있고, 구멍(142g)이 외부통(143)의 세정수 출구(143e)와 대향 가능하게 되고 있다.
세정수 입구(143a)에는 도 3의 배관(203)이 접속되고, 세정수 출구(143b)에는 비데 노즐(2)이 접속되고, 세정수 출구(143c)에는 엉덩이 노즐(1)의 제 1 유로가 접속되고, 세정수 출구(143d)에는, 엉덩이 노즐의 제 2 유로가 접속되고, 세정수 출구(143e)에는 노즐 세정용 노즐(3)이 접속되어 있다.
도 9는 도 8의 전환 밸브(14)의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f는 전환 밸브(14)의 모터(M)가 각각 0도, 90도, 135도, 180도, 225도 및 270도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M)를 회전시키지 않은 0도 경우에는, 내부통(142)의 구멍(142e)의 주위의 모따기부가 외부통(143)의 세정수 출구(143b)에 대향한다. 따라서, 세정수가 세정수 입구(143a)보다 내부통(142)의 내부를 통과하여, 화살표(W1)로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수 출구(143b)에서 유출한다.
다음에, 도 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M)가 내부통(142)을 90도 회전시킨 경우에는, 내부통(142)의 구멍(142g)의 주위의 모따기부가 외부통(143)의 세정수 출구(143e)에 대향한다. 따라서, 세정수가 세정수 입구(143a)보다 내부통(142)의 내부를 통과하여, 화살표(W2)로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수 출구(143e)에서 유출한다.
이어서, 도 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M)가 내부통(142)을 135도 회전시킨 경우에는, 내부통(142)의 구멍(142g)의 주위의 모따기부의 일부가 외부통(143)의 세정수 출구(143e)에 대향함과 함께, 내부통(142)의 구멍(142e)의 주위의 모따기부의 일부가 외부통(143)의 세정수 출구(143c)에 대향한다. 따라서, 소량의 세정수가 세정수 입구(143a)보다 내부통(142)의 내부를 통과하여, 화살표(W2) 및 화살표(W3)로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수 출구(143c, 143e)에서 유출한다.
다음에, 도 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M)가 내부통(142)을 180도 회전시킨 경우에는, 내부통(142)의 구멍(142e)의 주위의 모따기부가 외부통(143)의 세정수 출구(143c)에 대향한다. 따라서, 세정수가 세정수 입구(143a)보다 내부통(142)의 내부를 통과하여, 화살표(W3)로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수 출구(143c)에서 유출한다.
다음에, 도 9e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M)가 내부통(142)을 225도 회전시킨 경우에는, 내부통(142)의 구멍(142e)의 주위의 모따기부의 일부가 외부통(143)의 세정수 출구(143c)에 대향함과 함께, 내부통(142)의 구멍(142f)의 주위의 모따기부의 일부가 외부통(143)의 세정수 출구(143d)에 대향한다. 따라서, 소량의 세정수가 세정수 입구(143a)보다 내부통(142)의 내부를 통과하여, 화살표(W3) 및 화살표(W4)로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수 출구(143c, 143d)에서 유출한다.
또한, 도 9f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M)가 내부통(142)을 270도 회전시킨 경우에는, 내부통(142)의 구멍(142f)의 주위의 모따기부가 외부통(143)의 세정수 출구(143d)에 대향한다. 따라서, 세정수가 세정수 입구(143a)보다 내부통(142)의 내부를 통과하여, 화살표(W4)로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수 출구(143d)에서 유출한다.
이상과 같이, 제어부(4)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모터(M)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내부통(142)의 구멍(142e, 142f, 142g)중 어느 하나가 외부통(143)의 세정수 출구(143b 내지 143e)에 대향하고, 세정수 입구(143a)에서 유입한 세정수가 세정수 출구(143b 내지 143e)중 어느 하나로부터 유출한다.
도 10은 도 9의 전환 밸브(14)의 세정수 출구(143c, 143d)에서 유출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의 횡축은 모터(M)의 회전 각도를 가리키고, 종축은 세정수 출구(143c, 143d)를 흐르는 세정수의 유량을 가리킨다. 또한, 일점쇄선(Q1)이 세정수 출구(143c)에서 유출하는 세정수의 유량의 변화를 나타내고, 실선(Q2)이 세정수 출구(143d)에서 유출하는 세정수의 유량이 변화를 나타낸다.
예컨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M)가 180도 회전한 경우, 세정수 출구(143c)에서 유출하는 세정수의 유량은 최대치를 나타내고, 세정수 출구(143d)에서 세정수는 유출하지 않는다. 모터(M)의 회전 각도가 커짐과 동시에 세정수 출구(143c)에서 유출하는 세정수의 유량이 감소하고, 세정수 출구(143d)에서 유출하는 세정수의 유량이 증가한다. 그리고, 모터(M)가 270도 회전한 경우, 세정수 출구(143c)에서 세정수는 유출하지 않고, 세정수 출구(143d)에서 유출하는 세정수의 유량은 최대치를 가리킨다.
이상과 같이, 제어부(4)가 전환 밸브(14)의 모터(M)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세정수 출구(143c, 143d)에서 유출하는 세정수의 유량비를 제어할 수 있다.
다음에, 도 3의 노즐부(30)의 엉덩이 노즐(1)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노즐부(30)의 엉덩이 노즐(1)의 피스톤부(20)의 사시도이며, 도 12는 피스톤부(2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엉덩이 노즐(1)의 피스톤부(20)는 노즐 커버(401), 이유로관(402), 일유로관(403) 및 유로 합류부(404)를 포함한다. 도 11에서는, 노즐 커버(401)가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커버(401)의 선단부의 표면에는 분출 구멍(401a)이 설치되어 있다.
이유로관(402)은 세정수가 흐르는 유로를 2개 갖는다. 한편의 유로에는 일유로관(403)의 후단이 접속되어 있고, 일유로관(403)의 선단에는 유로 합류부(404)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커버(401)는 이유로관(402), 일유로관(403) 및 유로 합류부(404)를 덮고 있다.
이유로관(402)의 한편의 유로에 공급된 세정수는 일유로관(403)을 통해 유로 합류부(404)에 공급된다. 이유로관(402)의 다른쪽의 유로에 공급된 세정수는 일유로관(403)과 노즐 커버(401)와의 사이의 공간을 통해, 유로 합류부(404)에 공급된다. 유로 합류부(404)에 공급된 세정수는 분출 구멍(401a)에서 인체에 향해서 분출된다. 이 때에 분출되는 세정수는 분산 선회류가 된다.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도 13a는 피스톤부(20)의 측면도이며, 도 13b는 피스톤부(20)의 평면도이다.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커버(401)는 선단이 반구 형상으로 폐쇄된 원통 구조를 갖고 이음매가 없는 일체 구조를 갖는다. 노즐 커버(401)의 선단부의 상부에는 부분적으로 평면이 형성되어 있고, 그 평면의 중앙부에 분출 구멍(401a)이 형성되어 있다. 노즐 커버(401)는 스테인리스를 스로틀 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노즐 커버(401)에 이음매가 없는 것으로부터, 노즐 커버(401)에 오염물이 부착해도 씻어 버리기 쉽고 위생적이다. 또한, 스테인리스는 항균 작용을 갖기 때문에, 노즐 커버(401)의 표면에서 균이 번식하는 것도 없다.
또한, 노즐 커버(401)가 스테인리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노즐 커버(401)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얇게 할 수가 있어, 엉덩이 노즐(1)의 소형화가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노즐 커버(401) 내에 가압된 세정수가 공급되더라도 변형하는 일은 없다. 또, 노즐 커버(401)의 관 직경은 예컨대 10㎜이며, 두께는 예컨대 0.2㎜ 정도이다.
또한, 노즐 커버(401)가 스로틀 가공에 의해 형성되기 때문에, 표면에 거칠기가 없고, 오염물이 부착되기 어렵다. 또한, 노즐 커버(401)의 표면이 광택을 갖게 되어, 사용자는 청결감을 기억한다.
도 14는 엉덩이 노즐(1)의 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엉덩이 노즐(1)은 피스톤부(20), 원통형의 실린더부(21), 시일 패킹(22a, 22b) 및 스프링(23)에 의해 구성된다.
유로 합류부(404)의 표면에는 세정수를 분출하기 위한 구멍부(25)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부(20)의 후단에는 플랜지형상의 스토퍼부(26a, 26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부(26a, 26b)에는, 각각 시일 패킹(22a, 22b)이 장착되어 있다.
이유로관(402)의 내부에는 후단면에서 일유로관(403)에 연통하는 유로(27a)가 형성되어, 스토퍼부(26a)와 스토퍼부(26b)와의 사이에서의 피스톤부(20)의 주위면에서 이유로관(402)의 선단면에 연통하는 유로(27c)가 형성되어 있다.
일유로관(403)의 내부에는 이유로관(402)의 유로(27a)에서 유로 합류부(404)에 연통하는 유로(27b)가 형성되어 있다. 노즐 커버(401)와 일유로관(403)과의 사이의 공간은 유로(27d)로 된다. 유로 합류부(404)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실린더부(21)는 선단측의 소경 부분과 중간의 직경을 갖는 중간 부분과 후단측의 대경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그것에 따라, 소경 부분과 중간 부분과의 사이에 피스톤부(20)의 스토퍼부(26a)가 시일 패킹(22a)을 개재하여 접촉가능한 스토퍼면(21c)이 형성되고, 중간 부분과 대경 부분과의 사이에 피스톤부(20)의 스토퍼부(26b)가 시일 패킹(22b)을 개재하여 접촉가능한 스토퍼면(21b)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부(21)의 후단면에는 세정수 입구(24a)가 설치되고, 실린더부(21)의 중간 부분의 주위면에는 세정수 입구(24b)가 설치되고, 실린더부(21)의 선단면에는 개구부(21a)가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부(21)의 내부 공간이 온도 변동 완충부(28)로 된다. 세정수 입구(24a)는 실린더부(21)의 중심축과는 다른 위치에 편심하여 설치되어 있다.
세정수 입구(24a)는 도 8의 전환 밸브(14)의 세정수 출구(143d)에 접속되고, 세정수 입구(24b)는 도 8의 전환 밸브(14)의 세정수 출구(143c)에 접속되어 있다. 피스톤부(20)가 실린더부(21)보다 가장 돌출한 경우에, 세정수 입구(24b)는 이유로관(402)의 유로(27c)와 연통한다. 이 세정수 입구(24b)가 유로(27c)와 접속될 때의 동작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피스톤부(20)는 스토퍼부(26b)가 온도 변동 완충부(28) 내에 위치하여, 선단부가 개구부(21a)에서 돌출하도록, 실린더부(21) 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23)은 피스톤부(20)의 스토퍼부(26a)와 실린더부(21)의 개구부(21a)의 주연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피스톤부(20)를 실린더부(21)의 후단측에 힘을 가한다.
피스톤부(20)의 스토퍼부(26a, 26b)의 외주면과 실린더부(2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미소 간극이 형성되고, 피스톤부(20)의 외주면과 실린더부(21)의 개구부(21a)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미소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도 14의 엉덩이 노즐(1)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도 14의 엉덩이 노즐(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우선, 도 1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부(21)의 세정수 입구(24a, 24b)에 의해 세정수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피스톤부(20)가 스프링(23)의 탄성력에 의해 화살표(X)의 방향과 역방향으로 후퇴하고, 실린더부(21) 내에 수용되어 있다. 그 결과, 피스톤부(20)는 실린더부(21)의 개구부(21a)보다 가장 돌출하지 않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 때, 실린더부(21) 내에는, 온도 변동 완충부(28)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어서, 도 1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부(21)의 세정수 입구(24a)에 의해 세정수의 공급이 시작된 경우, 세정수의 압력에 의해 피스톤부(20)가 스프링(23)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화살표(X)의 방향에 서서히 전진한다. 그것에 따라, 실린더부(21) 내에 온도 변동 완충부(28)가 형성됨과 함께 온도 변동 완충부(28)에 세정수가 유입한다.
세정수 입구(24a)가 실린더부(21)의 중심축으로 대하여 편심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온도 변동 완충부(28)에 유입한 세정수는 화살표(V)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파이럴 형상으로 환류한다. 온도 변동 완충부(28)의 세정수의 일부는, 피스톤부(20)의 스토퍼부(26a, 26b)의 외주면과 실린더부(21)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미소 간극을 통해서, 피스톤부(20)의 외주면과 실린더부(21)의 개구부(21a)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미소 간극에서 흘러나오는 동시에, 피스톤부(20)의 유로(27a, 27b, 27c, 27d)를 통해서 유로 합류부(404)에 공급되어, 구멍부(25)로부터 약간 분출된다.
피스톤부(20)가 더욱 전진하면, 도 1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부(26a, 26b)가 시일 패킹(22a, 22b)을 개재하여 실린더부(21)의 스토퍼면(21c, 21b)에 수밀로 접촉한다. 그것에 따라, 피스톤부(20)의 스토퍼부(26a, 26b)의 외주면과 실린더부(21)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미소 간극에서 피스톤부(20)의 외주면과 실린더부(21)의 개구부(21a)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미소 간극에 달하는 유로가 차단된다.
또한, 세정수 입구(24b)에 의해 공급된 세정수가 피스톤부(20)의 유로(27c, 27d)를 통해서 유로 합류부(404)에 공급된다. 그것에 따라, 유로(27a, 27b)를 통해서 유로 합류부(404)에 공급된 세정수는 유로(27c, 27d)를 통해서 공급된 세정수와 혼합되어, 구멍부(25)로부터 분출된다.
도 16은 유로 합류부(404)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a는 피스톤부(20)의 선단부의 평면도이며, 도 16b는 도 16a의 D-D 선 단면도이며, 도 16c는 도 16a의 E-E 선 단면도이다.
도 1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출 구멍(401a)은 구멍부(25)보다도 직경이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것에 따라, 구멍부(25)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수가 분출 구멍(401a)에 접촉하는 일이 없고, 세정수의 분출이 방해되지 않는다.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 합류부(404)의 상부에는 구멍부(25)를 둘러싸도록 원환상의 홈(404a)이 형성되어 있고, 홈(404a)에는 O 링(404b)이 부착되어 있다. O 링(404b)과 노즐 커버(41)의 내주면은 밀착하고 있고, 유로(27d)의 세정수가 노즐 커버(401)의 분출 구멍(401a)에서 유출하는 일은 없다. 또한, 노즐 커버(401)의 선단부에 오염물이 부착해도, 오염물이 분출 구멍(401a)에서 유로(27d)에 직접 들어가는 일도 없다.
또, 노즐 커버(401)의 분출 구멍(401a)으로부터 오염물이 구멍부(25)에 들어간 경우에도, 구멍부(25)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수에 의해 오염물이 바로 배출된다. 그것에 따라, 노즐 커버(401)의 내부가 항상 청결히 유지된다.
유로 합류부(404)의 선단부에는 위치 고정편(404c)이 형성되어 있다. 위치 고정편(404c)의 선단이 노즐 커버(401)의 선단의 내주면에 지지됨으로써, 유로 합류부(404)의 위치가 고정된다.
유로 합류부(404)의 내부에는, 구멍부(25), 축류부(25a), 원통형 소용돌이실(25b) 및 축류부(25c)가 유로 합류부(404)의 상단에서 하단에 걸쳐 순차로 형성되어 있다.
유로(27d)의 세정수는 축류부(25c)를 통해 원통형 소용돌이실(25b)에 공급된다. 축류부(25c)는 원통형 소용돌이실(25b)로 향하여 내경이 연속적으로 작아져 있기 때문에, 축류부(25c)를 흐르는 세정수의 유속이 연속적으로 상승한다.
원통형 소용돌이실(25b)에 공급된 세정수는 축류부(25a)에 유입한다. 축류부(25a)는 구멍부(25)로 향하여 내경이 연속적으로 작아져 있기 때문에, 축류부(25a)를 흐르는 세정수의 유속이 연속적으로 상승한다. 구멍부(25)에 공급된 세정수는 인체에 향해서 분출된다.
도 1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 소용돌이실(25b)과 유로(27b)는 연통하고 있다. 유로(27b)에서 공급되는 세정수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원통형 소용돌이실(25b)에서 유로(27d)에서 원통형 소용돌이실(25b)에 공급된 세정수에 선회력을 부여해서 선회류를 생성한다.
여기서, 원통의 내부를 흐르는 선회류의 유속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7a는 원통의 내부에 놓을 수 있는 선회류의 유속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7a의 원통의 내부를 흐르는 선회류는 정상 상태에 있는 것이다. 도 1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는 원통의 중심에 관해서 동심원 형상으로 흐른다. 원통의 중심에 있어서는 선회류의 유속은 0이며, 중심에서의 거리에 비례하여 선회류의 유속은 커져, 선회류는 소용돌이도가 없는 소용돌이를 형성하고 있다.
그런데, 원통의 내주면의 근방에 있는 경계에서 외측의 영역에서는 선회류는 원통의 내주면에 의해 저항을 받는다. 이하, 이 경계를 층류한계(BL)라고 부른다. 층류한계(BL)보다도 외측에서는 소위 경계층이 형성되어 선회류의 유속은 급격히 저하하여, 원통의 내주면에서는 0이 된다. 따라서, 선회류의 유속은 층류한계(BL)에서 최대가 된다.
도 17b는 원통형 소용돌이실(25b)에서의 세정수의 선회류를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7b에 있어서, 세정수의 흐름이 화살표(Q1)로 나타낸다. 도 1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27a)는 유로(27a)의 외측의 벽의 연장선이 층류한계(BL)에 대하여 접선을 구성하도록 원통형 소용돌이실(25b)에 연통하고 있다. 그것에 따라, 유로(27a)에서 공급되는 세정수는 원통형 소용돌이실(25b)의 내주면의 저항을 받는 일없이 세정수에 대하여 선회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유로(27a)에서 공급되는 세정수는 원통형 소용돌이실(25b) 내에서 형성된 소용돌이도가 없는 소용돌이의 최외주에 선회력을 주기 때문에, 소용돌이도가 없는 소용돌이를 어지럽히는 일이 없다.
또한, 도 1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 소용돌이실(25b)에는 저면이 없는 것이기 때문에 원통형 소용돌이실(25b)을 흐르는 선회류가 받는 저항이 작아진다.
이상의 점으로부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원통형 소용돌이실(25b)에서는, 유동 저항이 작고, 소용돌이도가 없는 소용돌이를 어지럽히는 일없이 세정수를 선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엉덩이 노즐(1)에 공급된 세정수가 흐르는 유로의 단면적의 변화를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8은 엉덩이 노즐(1)의 선단부의 단면도이며, 도 19a는 도 18의 X-X 선 단면도이며, 도 19b는 도 18의 Y-Y 선 단면도이며, 도 19c는 도 18의 Z-Z 선 단면도이다.
도 1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적(S1)은 구멍부(25)의 단면적을 가리킨다. 도 1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적(S2)은 원통형 소용돌이실(25b)의 단면적을 가리킨다. 도 19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27d)의 단면적(S3)은 노즐 커버(401)의 내부의 공간 중에서 일유로관(403)을 제외한 영역의 단면적이다. 단면적(S1, S2, S3)의 사이에는 S1<S2<S3의 관계가 성립한다.
유로(27d)의 단면적(S3)은 비교적 크기 때문에, 유로(27d)를 유동하는 세정수의 압력 손실은 적어진다. 그것에 따라, 세정수가 유로 합류부(404)에 공급될 때까지는 세정수는 높은 압력을 유지한다.
또한, 유로(27d), 축류부(25c), 원통형 소용돌이실(25b), 축류부(25a) 및 구멍부(25)의 순차로 단면적이 점차 감소하기 때문에, 유로 손실이 적고, 세정수의 압력 손실이 적어진다. 그것에 따라, 세정수가 구멍부(25)로부터 분출할 때의 수세가 커지고 효율적이다.
구멍부(25)의 직경을 d1로 하고, 원통형 소용돌이실(25b)의 직경을 d2라고 하면, d 2/d1은 2 내지 5 정도가 바람직하다. 그것에 따라, 유로 손실을 작게 하면서 구멍부(25)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수의 유속을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엉덩이 노즐(1)에 있어서는, 노즐 커버(401)의 내주면과 일유로관(403)과의 사이의 원통형의 공간을 세정수의 유로로서 이용하여 있기 때문에, 피스톤부(20)를 소형화하면서 세정수의 유로의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다.
도 20은 피스톤부(20)의 선단부를 측면측에서 본 경우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27d)는 축류부(25c)에 하방으로부터 연통하고, 유로(27b)는 원통형의 원통형 소용돌이실(25b)의 주위면에 연통하고 있다. 전환 밸브(14)의 세정수 출구(143c)에서의 세정수는 유로(27c, 27d)를 통해서 축류부(25c)에 공급되고, 원통형 소용돌이실(25b) 및 축류부(25a)를 통해 구멍부(25)로부터 직선류로서 분출된다. 전환 밸브의 세정수 출구(143d)에서의 세정수는 유로(27a, 27b)를 통해 원통형 소용돌이실(25b)에 공급되어, 축류부(25a)를 통해 구멍부(25)로부터 분출된다.
유로(27b)보다 원통형 소용돌이실(25b)에 공급된 세정수는, 도 19로 설명한 바와 같이 원통형 소용돌이실(25b)의 내주면의 곡면 형상으로 보다 스파이럴 상태로 유동하여, 유로(27d)로부터 공급된 세정수를 선회시킨다.
이와 같이, 원통형 소용돌이실(25b)에서, 유로(27d)에서의 세정수를 유로(27b)에서의 세정수가 선회시켜, 선회한 세정수가 구멍부(25)에 의해 분출된다.
예컨대, 유로(27b)에 의해 공급되는 세정수의 유량이 유로(27d)에 의해 공급되는 세정의 유량보다도 많은 경우, 원통형 소용돌이실(25b)에서 혼합되는 세정수는, 원통형의 원통형 소용돌이실(25b)의 곡면 형상으로 의하는 스파이럴 상태를 강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도 20에 화살표(H)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넓은 각도로 분산 선회류로서 분출된다.
한편, 유로(27d)에 의해 공급되는 세정수의 유량이 유로(27b)에 의해 공급되는 세정수의 유량보다도 많은 경우, 원통형 소용돌이실(25b)에서 혼합되는 세정수는 직선 상태를 강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도 20에 화살표(S)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좁은 각도로 직선류로서 분출된다.
따라서, 도 3의 제어부(4)가 전환 밸브(14)의 모터(M)를 제어하여 세정수 출구(143c, 143d)의 유량비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구멍부(25)에 의해 분출되는 세정수의 분출 형태가 변화된다.
또한, 도 17로 설명한 바와 같이, 원통형 소용돌이실(25b)에서 생성되는 선회류는 어지러움이 적은 소용돌이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멍부(25)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수는 전체가 균일하게 넓어진 어지러움이 없는 원을 형성한다. 또한,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멍부(25)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수의 분류는 확대 각도가 큰 경우에도, 중심부에서 외주부에 걸쳐 균일하게 세정수가 존재하는 단면을 형성한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2의 수세조정 스위치(302a)를 누르면, 세정수 출구(143c)의 유량이 세정수 출구(143d)의 유량보다도 커져, 세정수의 분출 형태가 직선류에 가깝게 된다. 또한, 수세 조정 스위치(302b)를 누르면, 세정수 출구(143d)의 유량이 세정수 출구(143c)의 유량보다도 커져, 세정수의 분출 형태가 분산 선회류에 가깝게 된다.
또한, 예컨대, 일유로관(403)과 유로 합류부(404) 등의 결합에 대해서는, 노즐 커버(401)에 의해 유체 압력이 유지되므로 기밀도의 요구는 낮다. 따라서, 엉덩이 노즐(1)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도 21은 엉덩이 노즐(1)의 구멍부(25)에 의해 분출되는 세정수의 압력 변동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의 점선(P1)은 노즐 커버(401)가 탄력성이 있는 소재(예컨대, 플라스틱)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의 세정수의 압력 변동폭을 가리킨다. 엉덩이 노즐(1)의 노즐 커버(401)가 탄력성이 있는 소재로 구성되면, 펌프(13)에 의해 가압된 세정수의 압력은 노즐 커버(401)에 의해 흡수되어, 세정수의 압력이 저하하여, 압력 변동폭이 저하한다.
한편,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노즐 커버(401)는 스테인리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정수의 압력이 노즐 커버(401)에 의해 흡수되지 않고서 세정수의 압력 변동폭이 저하하지 않는다.
여기서, 노즐 커버(401)가 탄력성이 있는 소재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의 세정수의 최대압력을 Pn3, 압력 변동폭을 dH2로 하고, 노즐 커버(401)가 스테인리스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의 세정수의 최대압력을 Pn1, 압력 변동폭을 dH1이라고 하면, Pn1>Pn3, dH1>dH2의 관계가 성립한다.
따라서, 노즐 커버(401)를 스테인리스로 구성하는 것에 의해 펌프(13)에 의해 세정수에 가압된 압력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노즐 커버(401)는 동 또는 은을 함유하는 항균성이 높은 스테인리스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변형하기 어렵고, 일체 성형이 가능한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스테인리스 이외의 동, 알루미늄, 니켈, 크롬 등의 금속을 이용하여도 좋고, 그 밖의 합금을 이용하여도 좋다.
제 1 실시예에 있어서는, 분출 구멍(401a)이 분출 구멍에 상당하고, 구멍부(25)가 구멍부에 상당하고, 유로(27a)가 제 1 유로에 상당하고, 유로(27d)가 제 2 유로에 상당하고, 위치 고정편(404c)이 위치 결정부에 상당하고, 유로 합류부(204)가 분출 부재에 상당하고, 축류부(25c)가 개구부 및 제 1 공간에 상당하고, 원통형 소용돌이실(25b)이 제 2 공간에 상당하고, 축류부(25a)가 제 3 공간에 상당하고, 노즐 커버(401)가 커버 부재에 상당하고, 일유로관(403)이 관로에 상당하고, O 링(402b)이 밀봉 부재에 상당하고, 펌프(13)가 가압 수단에 상당하고, 전환 밸브(14)가 경로 선택 수단 및 유량 조정 수단에 상당하고, 세라믹 히터(505)가 가열 수단에 상당한다.
(제 2 실시예)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엉덩이 노즐(1)의 피스톤부의 구성이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엉덩이 노즐(1)의 피스톤부(20a)의 구성과 다른 점을 그 작용 효과와 동시에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2a는 엉덩이 노즐의 피스톤부의 사시도이며, 도 22b는 피스톤부의 세정수 공급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23은 엉덩이 노즐의 피스톤부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4a는 피스톤부(20a)의 측면도이며, 도 24b는 피스톤부(20a)의 평면도이다.
도 2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부(20a)는 노즐 커버(401) 및 세정수 공급부(420)를 포함한다. 도 22a에서는, 노즐 커버(401)가 일점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세정수 공급부(420)는 이유로관(402c), 일유로관(403c) 및 유로 합류부(404h)를 포함한다.
도 2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유로관(403c)의 일단에는 절취부(403a)가 설치되고, 일유로관(403c)의 타단에는 절취부(403b)가 설치되어 있다.
유로 합류부(404h)에는 절취부(403a)에 결합하는 결합 돌기(404g)가 설치되고, 이유로관(402c)에는 절취부(403b)에 결합하는 결합 돌기(402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유로 합류부(404h)에는 구멍부(25)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유로 합류부(404h)에서 구멍부(25)가 설치되어 있는 면을 표면으로 하여, 그 반대측의 면을 하면으로 한다. 유로 합류부(404h)의 표면에는 평탄부(404f)가 형성되어 있다.
결합 돌기(402a)가 절취부(403b)에 결합하여, 유로 합류부(404h)의 결합 돌기(404g)가 절취부(403a)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이유로관(402c), 일유로관(403c) 및 유로 합류부(404h)가 일체화되어, 세정수 공급부(420)가 형성된다.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커버(401)의 후단부에는 절취부(401b)가 설치되고, 이유로관(402c)의 외주면에는 절취부(401b)에 결합하는 결합 돌기(402b)가 설치되어 있다.
이유로관(402c)은 세정수가 흐르는 유로를 2개 갖는다. 한편의 유로에는 일유로관(403c)의 후단이 접속되어 있고, 일유로관(403c)의 선단에는 유로 합류부(404h)가 접속되어 있다.
이유로관(402c)의 한편의 유로에 공급된 세정수는 일유로관(403c)을 통해 유로 합류부(404h)에 공급된다. 이유로관(402c)의 다른쪽의 유로에 공급된 세정수는 일유로관(403c)과 노즐 커버(401)와의 사이의 공간을 통해서, 유로 합류부(404h)에 공급된다. 유로 합류부(404h)에 공급된 세정수는 분출 구멍(401a)에서 인체에 향해서 분출된다. 이 때에 분출되는 세정수는 분산 선회류로 된다. 상세한 설명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 23, 도 24a 및 도 2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커버(401)는, 선단이 대략 반구 형상으로 폐쇄된 원통 구조를 갖고 이음매가 없는 일체 구조를 갖는다.
노즐 커버(401)의 선단부의 근방에는 부분적으로 평탄부(401d)가 형성되어 있고, 그 평탄부(401d)의 중앙부에 분출 구멍(401a)이 형성되어 있다. 노즐 커버(401)는 스테인리스를 스로틀 가공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분출 구멍(401a)을 포함하는 영역에는 원형의 오목부(401c)가 형성되어 있다.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도 23에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수 공급부(420)가 노즐 커버(401) 내에 삽입된다. 그것에 따라, 유로 합류부(404h)의 평탄부(404f)가 노즐 커버(401)의 평탄부(401d)에 대향함과 함께, 절취부(401b)에 결합 돌기(402b)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세정수 공급부(420)가 노즐 커버(401) 내에 위치 결정된다.
노즐 커버(401)에 이음매가 없는 것이기 때문에, 노즐 커버(401)에 오염물이 부착해도 씻어 버리기 쉽고 위생적이다. 또한, 스테인리스는 항균 작용을 갖기 때문에, 노즐 커버(401)의 표면에서 균이 번식하는 것도 없다.
또한, 노즐 커버(401)가 스테인리스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노즐 커버(401)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얇게 할 수가 있어, 엉덩이 노즐(1)의 소형화가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노즐 커버(401) 내에 가압된 세정수가 공급되더라도 변형하는 것은 없다. 또, 노즐 커버(401)의 관 직경은 예컨대 10㎜이며, 두께는 예컨대 0.3㎜ 정도이다.
또한, 노즐 커버(401)가 스로틀 가공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므로, 표면에 거칠기가 없고, 오염물이 부착되기 어렵다. 또한, 노즐 커버(401)의 표면이 광택을 갖게 되어, 사용자는 청결감을 기억한다.
도 25는 엉덩이 노즐(1)의 단면도이다.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엉덩이 노즐(1)은 피스톤부(20a), 원통형의 실린더부(21), 시일 패킹(22a, 22b) 및 스프링(23)에 의해 구성된다.
유로 합류부(404h)의 표면에는 세정수를 분출하기 위한 구멍부(25)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부(20a)의 후단에는 플랜지 형상의 스토퍼부(26a, 26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부(26a, 26b)에는 각각 시일 패킹(22a, 22b)이 장착되어 있다.
이유로관(402c)의 내부에는 후단면에서 일유로관(403c)에 연통하는 유로(27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부(26a)와 스토퍼부(26b)와의 사이에서의 피스톤부(20a)의 주위면에서 이유로관(402c)의 선단면에 연통하는 유로(27c)가 형성되어 있다.
일유로관(403c)의 내부에는 이유로관(402c)의 유로(27a)에서 유로 합류부(404h)에 연통하는 유로(27b)가 형성되어 있다. 노즐 커버(401)와 일유로관(403c)과의 사이의 공간은 유로(27d)로 된다. 노즐 커버(401)가 스테인리스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강성이 높게, 유체의 맥동감을 높일 수 있다. 유로 합류부(404h)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실린더부(21)는 선단측의 소경 부분과 중간의 직경을 갖는 중간 부분과 후단측의 대경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그것에 따라, 소경 부분과 중간 부분과의 사이에, 피스톤부(20a)의 스토퍼부(26a)가 시일 패킹(22a)을 개재하여 접촉가능한 스토퍼면(21c)이 형성되고, 중간 부분과 대경 부분과의 사이에, 피스톤부(20a)의 스토퍼부(26b)가 시일 패킹(22b)을 개재하여 접촉가능한 스토퍼면(21b)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부(21)의 후단면에는 세정수 입구(24a)가 설치되고, 실린더부(21)의 중간 부분의 주위면에는 세정수 입구(24b)가 설치되고, 실린더부(21)의 선단면에는 개구부(21a)가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부(21)의 내부 공간이 온도 변동 완충부(28)로 된다. 세정수 입구(24a)는 실린더부(21)의 중심축과는 다른 위치에 편심하여 설치되어 있다.
세정수 입구(24a)는 도 8의 전환 밸브(14)의 세정수 출구(143c)에 접속되고, 세정수 입구(24b)는 도 8의 전환 밸브(14)의 세정수 출구(143d)에 접속되어 있다. 피스톤부(20a)가 실린더부(21) 보다 가장 돌출한 경우에, 세정수 입구(24b)는 이유로관(403)의 유로(27c)와 연통한다. 이 세정수 입구(24b)가 유로(27c)와 접속될 때의 동작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피스톤부(20a)는 스토퍼부(26b)가 온도 변동 완충부(28) 내에 위치하여, 선단부가 개구부(21a)에서 돌출하도록, 실린더부(21) 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23)은 피스톤부(20a)의 스토퍼부(26a)와 실린더부(21)의 개구부(21a)의 주연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피스톤부(20a)를 실린더부(21)의 후단측에 힘을 가한다.
피스톤부(20a)의 스토퍼부(26a, 26b)의 외주면과 실린더부(21)의 내면과의 사이에 미소 간극이 형성되고, 피스톤부(20a)의 외주면과 실린더부(21)의 개구부(21a)의 내면과의 사이에 미소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도 25의 엉덩이 노즐(1)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6은 도 25의 엉덩이 노즐(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우선, 도 2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부(21)의 세정수 입구(24a, 24b)에 의해 세정수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피스톤부(20a)가 스프링(23)의 탄성력에 의해 화살표(X)의 방향과 역방향으로 후퇴하고, 실린더부(21) 내에 수용되어 있다. 그 결과, 피스톤부(20a)는 실린더부(21)의 개구부(21a)보다 가장 돌출하지 않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 때, 실린더부(21) 내에는 온도 변동 완충부(28)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어서, 도 2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부(21)의 세정수 입구(24a)에 의해 세정수의 공급이 시작된 경우, 세정수의 압력에 의해 피스톤부(20a)가 스프링(23)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화살표(X)의 방향에 서서히 전진한다. 그것에 따라, 실린더부(21) 내에 온도 변동 완충부(28)가 형성됨과 함께 온도 변동 완충부(28)에 세정수가 유입한다.
세정수 입구(24a)가 실린더부(21)의 중심축으로 대하여 편심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온도 변동 완충부(28)에 유입한 세정수는 화살표(V)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파이럴 형상으로 환류한다. 온도 변동 완충부(28)의 세정수의 일부는, 피스톤부(20a)의 스토퍼부(26a, 26b)의 외주면과 실린더부(21)의 내면과의 사이의 미소 간극을 통해서, 피스톤부(20a)의 외주면과 실린더부(21)의 개구부(21a)의 내면과의 사이의 미소 간극에서 흘러나오는 동시에, 피스톤부(20a)의 유로(27a, 27b, 27c, 27d)를 통해서 유로 합류부(404h)에 공급되어, 구멍부(25)로부터 약간 분출된다.
피스톤부(20a)가 더 전진하면, 도 2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부(26a, 26b)가 시일 패킹(22a, 22b)을 개재하여 실린더부(21)의 스토퍼면(21c, 21b)에 수밀로 접촉한다. 그것에 따라, 피스톤부(20a)의 스토퍼부(26a, 26b)의 외주면과 실린더부(21)의 내면과의 사이의 미소 간극에서 피스톤부(20a)의 외주면과 실린더부(21)의 개구부(21a)의 내면과의 사이의 미소 간극에 도달하는 유로가 차단된다.
또한, 세정수 입구(24b)에 의해 공급된 세정수가 피스톤부(20a)의 유로(27c, 27d)를 통해서 유로 합류부(404h)에 공급된다. 그것에 따라, 유로(27a, 27b)를 통해서 유로 합류부(404h)에 공급된 세정수는 유로(27c, 27d)를 통해서 공급된 세정수와 혼합되어, 구멍부(25)로부터 분출된다.
도 27은 유로 합류부(404h)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a는 피스톤부(20a)의 선단부의 평면도이며, 도 27b는 도 27a의 D-D 선 단면도이며, 도 27c는 도 27a의 E-E 선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7a의 F-F 선 단면도이다.
도 2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출 구멍(401a)은 구멍부(25)보다도 직경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것에 따라, 구멍부(25)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수가 분출 구멍(401a)에 접촉하는 일이 없고, 세정수의 분출이 방해되지 않는다.
도 2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 합류부(404h)의 상부에는 구멍부(25)를 둘러싸도록 원환상의 홈(404a)이 형성되어 있고, 홈(404a)에는 O 링(404b)이 부착되어 있다. O 링(404b)과 노즐 커버(401)의 내면은 밀착하고 있고, 유로(27d)에서의 세정수가 노즐 커버(401)의 분출 구멍(401a)에서 유출하는 일은 없다. 또한, 노즐 커버(401)의 선단부에 오염물이 부착해도, 오염물이 분출 구멍(401a)에서 유로(27d)에 직접 들어가는 것도 없다.
또, 노즐 커버(401)의 분출 구멍(401a)에서 오염물이 구멍부(25)에 들어간 경우에도, 구멍부(25)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수에 의해 오염물이 바로 배출된다. 그것에 따라, 노즐 커버(401)의 내부가 항상 청결히 유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노즐 커버(401)의 평탄부(401d)에서, 분출 구멍(401a)을 포함하는 영역에 원형의 오목부(401c)가 설치되어 있다. 이 오목부(401c)는 노즐 커버(401) 내의 소정의 위치에 세정수 공급부(420)를 삽입한 후, 분출 구멍(401a)을 중심으로 해서 분출 구멍(401a)보다도 대경인 원형 영역을 원주형상의 지그 등을 이용하여 가압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오목부(401c)의 깊이는 예컨대 0.1 내지 0.3㎜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로 합류부(404h)의 내부에는 구멍부(25), 축류부(25a), 원통형 소용돌이실(25b) 및 축류부(25c)가 유로 합류부(404h)의 상단에서 하단에 걸쳐서 순차로 형성되어 있다.
유로(27d)의 세정수는 축류부(25c)를 통해 원통형 소용돌이실(25b)에 공급된다. 축류부(25c)는 원통형 소용돌이실(25b)로 향하여 내경이 연속적으로 작아져 있기 때문에, 축류부(25c)를 흐르는 세정수의 유속이 연속적으로 상승한다.
원통형 소용돌이실(25b)에 공급된 세정수는 축류부(25a)에 유입한다. 축류부(25a)는 구멍부(25)로 향하여 내경이 연속적으로 작아져 있기 때문에, 축류부(25a)를 흐르는 세정수의 유속이 연속적으로 상승한다. 구멍부(25)에 공급된 세정수는 인체에 향해서 분출된다.
도 27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통형 소용돌이실(25b)과 유로(27a)는 연통하고 있다. 유로(27a)에서 공급되는 세정수는 원통형 소용돌이실(25b)에 있어서 유로(27d)에서 원통형 소용돌이실(25b)에 공급된 세정수에 선회력을 부여하여 선회류를 생성한다. 유로 합류부(404h)의 선단부에는 노즐 커버(401)의 선단부의 내면에 따른 곡면 형상을 갖는 위치 고정편(404c)이 형성되어 있다. 위치 고정편(404c)의 선단이 노즐 커버(401)의 선단의 내면에 지지됨으로써, 노즐 커버(401) 내에서 유로 합류부(404h)가 축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로 합류부(404h)의 하면에 있어서, 축류부(25c)의 양측에는 노즐 커버(401)의 내면에 따른 곡면 형상을 갖는 돌기(404d, 404e)가 설치되어 있다.
돌기(404d, 404e)는 노즐 커버(401)의 내면에 밀착하도록 접촉한다.
또한, 노즐 커버(401)의 평탄부(401d)의 내면과 유로 합류부(404h)의 평탄부(404f)가 O 링(404b)을 끼워서 대향하고 있다. 이 상태로, 유로 합류부(404h)의 구멍부(25)가 노즐 커버(401)의 분출 구멍(401a)의 거의 중심으로 위치한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노즐 커버(401)내에서, 노즐 커버(401)의 평탄부(401d)의 내면과 유로 합류부(404h)의 평탄부(404f)가 대향하는 것에 의해, 노즐 커버(401) 내에서 유로 합류부(404h)가 주위 방향에 위치 결정된다.
이 경우, 노즐 커버(401) 내에 세정수 공급부(420)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구멍부(25)가 분출 구멍(401a)에 대하여 자동적으로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위치 결정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이유로관(402c)의 후단에 설치된 결합 돌기(402b)가 노즐 커버(401)의 후단에 설치된 절취부(401b)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노즐 커버(401) 내에서 유로 합류부(404h)가 주위 방향에 확실하게 위치 결정된다. 또한, 일유로관(403c)의 절취부(403a)에 유로 합류부(404h)의 결합 돌기(404g)가 결합하고, 일유로관(403c)의 절취부(403b)에 이유로관(402c)의 결합 돌기(402a)가 결합하는 것에 의해, 이유로관(402c), 일유로관(403c) 및 유로 합류부(404h)가 주위 방향에 위치 어긋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고정편(404c)의 선단이 노즐 커버(401)의 선단의 내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노즐 커버(401) 내에서 유로 합류부(404h)가 축방향으로 위치 결정된다. 또한, 유로 합류부(404h)에 설치된 돌기(404d, 404e)가 노즐 커버(401)의 내면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노즐 커버(401) 내에서 유로 합류부(404h)가 주위 방향 방지할 수 있다. 그것에 따라, 분출 구멍(401a)에 대한 구멍부(25)의 위치 어긋남이 방지된다. 그 결과, 분출 구멍(401a)에 대한 구멍부(25)의 위치 어긋남에 의한 세정수의 비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노즐 커버(401)의 평탄부(401d)에서, 분출 구멍(401a)을 포함하는 영역에 오목부(401c)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평탄부(401d)를 보강할 수 있다. 그것에 따라, O 링(404b)의 탄력성에 의해서 평탄부(401d)가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위치 고정편(404c)이 선단 접촉부에 상당하고, 유로 합류부(404h)가 분출 부재에 상당하고, 세정수 공급부(420)가 관로에 상당하고, 돌기(404d, 404e)가 주위면 접촉부에 상당하고, 절취부(401b)가 결합부에 상당하고, 결합 돌기(402b)가 피결합부에 상당하고, 평탄부(401d)가 제 1 평탄부에 상당하고, 평탄부(404f)가 제 2 평탄부에 상당한다.
또,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노즐 커버(401)는, 동 또는 은을 함유하는 항균성이 높은 스테인리스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변형하기 어렵고, 일체 성형가능한 소재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스테인리스 이외의 동, 알루미늄, 니켈, 크롬 등의 금속을 이용하여도 좋고, 그 밖의 합금을 이용하여도 좋다.
제 2 실시예에서는, 지그 등을 이용하여 오목부(401c)를 형성하는 것으로 했지만, 평탄부(401d)의 변형이 생기지 않는 경우에는, 오목부(401c)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좋다.
또한, 제 2 실시예에 있어서는, 돌기(404d, 404e) 또는 결합 돌기(402b)에 의해 노즐 커버(401) 내에서 유로 합류부(404h)가 주위 방향에 확실하게 위치 결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평탄부(401d)를 형성하지 않더라도 좋다.
(제 3 실시예)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위생 세정 장치의 본체부의 구성이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위생 세정 장치의 본체부(200)의 구성과 다른 점을 그 작용 효과와 동시에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29는 도 1의 원격 조작 장치(300)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 조작 장치(300)가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도 1의 원격 조작 장치(300)와 다른 점은 노즐 세정 스위치(309) 및 노즐 고온 세정 스위치(310)를 더 구비하는 점이다.
노즐 세정 스위치(309)를 가압 조작하는 것에 의해 노즐부(30)의 세정수에 의한 세정이 행하여져, 노즐 고온 세정 스위치(310)를 가압 조작하는 것에 의해 노즐부(30)의 고온에 가열된 세정수에 의한 세정이 행하여진다. 노즐 세정 스위치(309) 및 노즐 고온 세정 스위치(310)의 가압 조작에 의한 노즐부(30)의 세정 동작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이하, 노즐부(30)의 세정을 노즐 세정이라고 부른다.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위생 세정 장치(100)의 본체부(200)에 관해서 설명을 한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위생 세정 장치(100)의 본체부(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200)가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도 3의 본체부(200)와 다른 점은 착석 센서(51),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 릴리프 수로(207) 및 공급 수로(266)를 더 구비하는 점이다. 또,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는 모터(M2)를 구비한다.
또한, 도 30에 있어서, 모터(M1)의 구성은 도 3의 모터(M)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며, 전환 밸브(14A)의 구성은 도 3의 전환 밸브(14)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며,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의 구성은 전환 밸브(14A)의 구성과 마찬가지다.
분기 배관(205)의 하류에는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가 부착되어 있다.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는 제어부(4)에 의해 부여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서, 노즐부(30)의 노즐 세정용 노즐(3)에 접속하는 공급 수로(266) 및 릴리프 수로(207)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조정한다. 이에 의해, 수도 공급압에 좌우되는 일없이 펌프(13)에는 소정의 등압이 작용하게 된다.
노즐부(30)의 엉덩이 노즐(1) 또는 비데 노즐(2)에 세정수가 공급된 경우, 엉덩이 노즐(1) 또는 비데 노즐(2)에 의해 세정수가 분출된다. 한편, 전환 밸브(14A)를 거쳐서 노즐 세정용 노즐(3)에 세정수가 공급된 경우 및 상술의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를 거쳐서 노즐 세정용 노즐(3)에 세정수가 공급된 경우, 노즐 세정용 노즐(3)에 설치된 노즐 세정 구멍으로부터 세정수가 분출한다. 세정수가 노즐 세정용 노즐(3)로부터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에 분출됨으로써,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의 노즐 세정이 행하여진다. 노즐 세정용 노즐(3)의 노즐 세정 구멍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노즐 세정용 노즐(3)의 노즐 세정 구멍으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수의 온도는, 사용자에 의한 원격 조작 장치(300)의 노즐 세정 스위치(309) 또는 노즐 고온 세정 스위치(310)의 가압 조작에 의해 서로 다르다. 세정수의 온도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에 의해 분출되는 세정수의 유량은 전환 밸브(14A)에 의해 조정된다. 또한, 노즐 세정용 노즐(3)에 의해 분출되는 세정수의 유량은 전환 밸브(14A) 및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에 의해 조정된다. 또, 엉덩이 노즐(1), 비데 노즐(2) 및 노즐 세정용 노즐(3)에 의해 분출되는 세정수의 유량의 조정은 펌프(13)의 구동 능력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어부(4)는 착석 센서(51)로부터의 좌변부(400) 상의 사용자의 유무의 신호에 따라서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에 대하여 또한 제어 신호를 준다.
도 31은 전환 밸브(14A)의 세정수 출구(143c, 143d)에서 엉덩이 노즐(1)에 유출하는 세정수의 유량, 세정수 출구(143b)에서 비데 노즐(2)에 유출하는 세정수의 유량 및 세정수 출구(143e)에서 노즐 세정용 노즐(3)에 유출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의 횡축은 모터(M1)의 회전 각도를 나타내고, 종축은 세정수 출구(143b 내지 143e)에서 유출하는 세정수의 유량의 일 예를 나타낸다. 또, 실선(Q1)이 세정수 출구(143c)에서 엉덩이 노즐(1)에 유출하는 세정수의 유량이 변화를 나타내고, 일점쇄선(Q2)이 세정수 출구(143d)에서 엉덩이 노즐(1)에 유출하는 세정수의 유량의 변화를 나타내고, 이점쇄선(Q3)이 세정수 출구(143b)에서 비데 노즐(2)에 유출하는 세정수의 유량의 변화를 나타내고, 파선(Q4)이 세정수 출구(143e)에서 열교환기(11)를 거쳐서, 노즐 세정용 노즐(3)에 유출하는 세정수의 유량이 변화를 나타낸다.
예컨대,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M1)가 회전하지 않는 경우(0도), 세정수 출구(143b)에서 비데 노즐(2)에 유출하는 세정수의 유량(Q3)은 최대치를 가리킨다. 그리고, 모터(M1)의 회전 각도가 커짐과 동시에 세정수 출구(143b)에서 비데 노즐(2)에 유출하는 세정수의 유량(Q3)이 감소하여, 세정수 출구(143e)에서 노즐 세정용 노즐(3)에 유출하는 세정수의 유량(Q4)이 증가한다.
이어서, 모터(M1)가 90도 회전한 경우, 세정수 출구(143e)에서 노즐 세정용 노즐(3)에 유출하는 세정수의 유량(Q4)은 최대치를 가리킨다. 그리고, 모터(M1)의 회전 각도가 더욱 커짐과 동시에 세정수 출구(143e)에서 노즐 세정용 노즐(3)에 유출하는 세정수의 유량(Q4)이 감소하여, 세정수 출구(143c)에서 엉덩이 노즐(1)의 제 1 유로에 유출하는 세정수의 유량(Q1)이 증가한다.
계속해서, 모터(M1)가 180도 회전한 경우, 세정수 출구(143c)에서 엉덩이 노즐(1)의 제 1 유로에 유출하는 세정수의 유량(Q1)은 최대치를 가리킨다. 그리고, 모터(M1)의 회전 각도가 더욱 커짐과 동시에 세정수 출구(143c)에서 엉덩이 노즐(1)의 제 1 유로에 유출하는 세정수의 유량(Q1)이 감소하여, 세정수 출구(143d)에서 엉덩이 노즐(1)의 제 2 유로에 유출하는 세정수의 유량(Q2)이 증가한다.
또한, 모터(M1)가 270도 회전한 경우, 세정수 출구(143d)에서 엉덩이 노즐(1)의 제 2 유로에 유출하는 세정수의 유량(Q2)은 최대치를 가리킨다. 그리고, 모터(M1)의 회전 각도가 더욱 커짐과 동시에 세정수 출구(143d)에서 엉덩이 노즐(1)의 제 2 유로에 유출하는 세정수의 유량(Q2)이 감소하여, 세정수 출구(143b)에서 비데 노즐(2)에 유출하는 세정수의 유량(Q3)이 증가한다.
이상과 같이, 제어부(4)가 전환 밸브(14A)의 모터(M1)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는 것에 의해 세정수 출구(143b 내지 143e)에서 유출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환 밸브(14A)의 모터(M1)의 회전 각도가 어떠한 경우에도, 세정수 출구(142e, 142f, 142g)중 어느 하나 또는 그것들의 주위의 모따기부(오목부)가 세정수 출구(143b 내지 143e)중 어느 하나에 대향하기 때문에, 세정수의 유로가 폐색되지 않고, 세정수 입구(143a)에서 공급된 세정수는 세정수 출구(143b 내지 143e)중 어느 하나로부터 유출된다.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는 전환 밸브(14A)의 구성과 같이 모터(M2), 내부통 및 외부통에 의해 구성된다. 단,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의 외부통에는 하나의 세정수 입구 및 2개의 세정수 출구가 설치되어 있다.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의 하나의 세정수 입구에는 분기 배관(205)으로부터 세정수가 공급된다.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의 2개의 세정수 출구중, 한쪽에는 릴리프 수로(207)가 접속되고, 다른쪽에는 공급 수로(266)를 거쳐서 노즐부(30)의 노즐 세정용 노즐(3)이 접속되어 있다.
전환 밸브(14A)와 같이,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의 모터(M2)는 제어부(4)에 의해 주어지는 제어 신호에 따라서 회전 동작을 한다. 모터(M2)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의 내부통이 회전하여, 분기 배관(205)에 도입되는 세정수가 릴리프 수로(207) 또는 공급 수로(266)중 어느 하나에 공급되고, 또는 임의의 비율로 분류된다.
이하,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노즐부(30)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2는 도 1의 노즐부(30)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2에 있어서는, 원통형상을 갖는 엉덩이 노즐(1)과 비데 노즐(2)이 인접하도록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의 표면측에는,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의 경계부를 타고 넘도록, 노즐 세정용 노즐(3)이 부설되어 있다. 노즐 세정용 노즐(3)은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의 선단측에 위치한다.
여기서, 노즐 세정용 노즐(3)은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에 일체 성형된 측벽(70W) 및 밀폐 부재(3K)로 이루어진다. 밀폐 부재(3K)가 측벽(70W)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에 의해(도 32의 화살표(E)), 세정수 도입 공간(70), 제 1 노즐 세정 유로(71) 및 제 2 노즐 세정 유로(72)가 형성된다.
세정수 도입 공간(70)은 밀폐 부재(3K)의 후단에 위치하는 세정수 도입편(3Ka, 3Kb)에 설치된 관통 구멍을 거쳐서 외부와 연통하고 있다. 세정수 도입 공간(70)으로부터 분기되어 형성되는 제 1 노즐 세정 유로(71) 및 제 2 노즐 세정 유로(72)는 각각 엉덩이 노즐(1)측 표면 및 비데 노즐(2)측 표면에 위치한다.
밀폐 부재(3K)의 세정수 도입편(3Ka, 3Kb)에는 도시하지 않은 튜브 등이 부착되어 있다. 세정수 도입편(3Ka, 3Kb)은 튜브를 거쳐서 도 30의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의 세정수 출구 및 전환 밸브(14A)의 세정수 출구(143e)와 각각 접속된다. 이에 의해, 세정수가 튜브를 통하여 노즐 세정용 노즐(3)에 공급된다.
도 33은 도 32의 엉덩이 노즐(1)의 축방향의 횡단면 도면이다. 도 32에 있어서, 엉덩이 노즐(1)은 돌출하지 않고 있지만, 여기서는 엉덩이 노즐(1)이 돌출한 경우의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엉덩이 노즐(1)은 피스톤(20), 원통형의 실린더(21), 시일 패킹(22a, 22b) 및 스프링(23)에 의해 구성된다.
유로 합류부(404)의 표면에는 세정수를 분출하기 위한 구멍부(25)가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20)의 후단에는, 플랜지 형상의 스토퍼부(126a, 126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부(126a, 126b)에는 각각 시일 패킹(22a, 22b)이 장착되어 있다.
이유로관(402)의 내부에는 후단면에서 일유로관(403)에 연통하는 유로(27a)가 형성되어, 스토퍼부(126a)와 스토퍼부(126b)와의 사이에서의 피스톤(20)의 주위면에서 이유로관(402)의 선단면에 연통하는 유로(27c)가 형성되어 있다.
일유로관(403)의 내부에는 이유로관(402)의 유로(27a)에서 유로 합류부(404)에 연통하는 유로(27b)가 형성되어 있다. 노즐 커버(401)와 일유로관(403)과의 사이의 공간은 유로(27d)로 된다. 유로 합류부(404)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실린더(21)는 선단측의 소경 부분과 중간의 직경을 갖는 중간 부분과 후단측의 대경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그것에 따라, 소경 부분과 중간 부분과의 사이에, 피스톤(20)의 스토퍼부(126a)가 시일 패킹(22a)을 거쳐서 접촉가능한 스토퍼면(21c)이 형성되고, 중간 부분과 대경 부분과의 사이에, 피스톤(20)의 스토퍼부(126b)가 시일 패킹(22b)을 거쳐서 접촉가능한 스토퍼면(121b)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21)의 후단면에는 세정수 입구(24a)가 설치되고, 실린더(21)의 중간 부분의 주위면에는 세정수 입구(24b)가 설치되어 있다. 또, 세정수 입구(24b)는 도 32의 횡단면에는 나타나지 않지만,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서 도 33에 도시하고 있다. 실린더(21)의 선단측에는 개구부(20X)가 설치되는 동시에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노즐 세정통(26)이 일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21)의 내부 공간이 온도 변동 완충부(28)로 된다. 세정수 입구(24a)는 실린더(21)의 중심축과는 다른 위치에 편심하여 설치되어 있다.
세정수 입구(24a)는 전환 밸브(14A)의 세정수 출구(143c)에 접속되고, 세정수 입구(24b)는 전환 밸브(14A)의 세정수 출구(143d)에 접속되어 있다. 피스톤(20)이 실린더(21) 보다 가장 돌출한 경우에, 세정수 입구(24b)는 이유로관(403)의 유로(27c)와 연통한다. 이 세정수 입구(24b)가 유로(27c)와 접속될 때의 동작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피스톤(20)은 스토퍼부(126b)가 온도 변동 완충부(28) 내에 위치하여, 선단부가 개구부(20X)에서 돌출하도록, 실린더(21) 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23)은 피스톤(20)의 스토퍼부(126a)와 실린더(21)의 개구부(20X)의 주연부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피스톤(20)을 실린더(21)의 후단측에 힘을 가한다.
피스톤(20)의 스토퍼부(126a, 126b)의 외주면과 실린더(2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미소 간극이 형성되고, 피스톤(20)의 외주면과 실린더(21)의 개구부(20X)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미소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도 33의 엉덩이 노즐(1)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4는 도 33의 엉덩이 노즐(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횡단면 도면이다. 여기서도, 도 33과 같이,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서, 횡단면에 나타나지 않는 세정수 입구(24b)의 단면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3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21)의 세정수 입구(24a, 24b)에 의해 세정수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피스톤(20)이 스프링(23)의 탄성력에 의해 화살표(S)의 방향과 역방향으로 후퇴하고, 실린더(21) 내에 수용되어 있다. 그 결과, 피스톤(20)은 실린더(21)의 개구부(20X) 보다 가장 돌출하지 않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 때, 실린더(21) 내에는 온도 변동 완충부(28)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어서, 도 3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21)의 세정수 입구(24a)에 의해 세정수의 공급이 시작된 경우, 세정수의 압력에 의해 피스톤(20)이 스프링(23)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화살표(S)의 방향에 서서히 전진한다. 그것에 따라, 실린더(21) 내에 온도 변동 완충부(28)가 형성됨과 함께 온도 변동 완충부(28)에 세정수가 유입한다.
세정수 입구(24a)가 실린더(21)의 중심축으로 대하여 편심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온도 변동 완충부(28)에 유입한 세정수는 화살표(V)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파이럴 형상으로 환류한다. 온도 변동 완충부(28)의 세정수의 일부는 피스톤(20)의 스토퍼부(126a, 126b)의 외주면과 실린더(21)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미소 간극을 통해서, 피스톤(20)의 외주면과 실린더(21)의 개구부(20X)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미소 간극에서 흘러나오는 동시에, 피스톤(20)의 유로(27a, 27b, 27c, 27d)를 통해서 유로 합류부(404)에 공급되어, 구멍부(25)로부터 약간 분출된다.
피스톤(20)이 더욱 전진하면, 도 3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부(126a, 126b)가 시일 패킹(22a, 22b)을 거쳐서 실린더(21)의 스토퍼면(21c, 121b)에 수밀로 접촉한다. 그것에 따라, 피스톤(20)의 스토퍼부(126a, 126b)의 외주면과 실린더(21)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미소 간극에서 피스톤(20)의 외주면과 실린더(21)의 개구부(20X)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미소 간극에 도달하는 유로가 차단된다.
또한, 세정수 입구(24b)에 의해 공급된 세정수가 피스톤(20)의 유로(27c, 27d)를 통해서 유로 합류부(404)에 공급된다. 그것에 따라, 유로(27a, 27b)를 통해서 유로 합류부(404)에 공급된 세정수는 유로(27c, 27d)를 통해서 공급된 세정수와 혼합되어, 구멍부(25)로부터 분출된다. 여기서, 노즐 커버(401)의 선단부의 분출 구멍(401a)은 구멍부(25)보다도 큰 내경을 갖는다. 그것에 따라, 구멍부(25)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수는 분출 구멍(401a)에 접촉하는 일이 없게 세정수의 분출이 방해되지 않는다.
엉덩이 노즐(1)의 노즐 커버(401)와 같이 비데 노즐(2)의 노즐 커버도 스테인리스로 구성되어 있다. 또, 비데 노즐(2)의 상세한 구성 및 동작에 관해서는 생략한다.
엉덩이 노즐(1)의 세정은 피스톤(20)이 실린더(21) 내에 수납된 상태로 노즐 세정용 노즐(3)로부터 세정수가 분출됨으로써 행하여진다. 또한, 비데 노즐(2)의 세정도 엉덩이 노즐(1)의 세정과 같이 행하여진다.
도 35는 도 32의 노즐부(30)의 Y-Y 선 단면도이다. 도 35에 있어서는, 엉덩이 노즐(1)의 노즐 세정통(26), 비데 노즐(2)의 노즐 세정통(26c) 및 노즐 세정용 노즐(3)의 단면 형상을 보다 명확히 하기 위해서, 엉덩이 노즐(1)의 피스톤(20) 및 비데 노즐(2)의 피스톤(20b)의 단면 형상 및 엉덩이 노즐(1)의 실린더(21) 및 비데 노즐(2)의 실린더(21d)의 외관의 상세한 것은 생략하고 있다.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세정통(26, 26c) 각각의 내부에는 피스톤(20, 20b)이 수납되어 있다. 노즐 세정통(26, 26c)의 단면은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노즐 세정통(26, 26c)의 내경은 대략 원형으로 형성된 피스톤(20, 20b)의 외경보다도 크다. 노즐 세정통(26, 26c)이 타원형인 경우에는, 노즐 세정통(26, 26c)의 최소 내경이 피스톤(20, 20b)의 최대 외형보다도 커지도록 설정한다.
노즐 세정통(26)의 비데 노즐(2)측의 표면에는 노즐 세정 구멍(26h)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노즐 세정통(26c)의 엉덩이 노즐(1)측의 표면에는 노즐 세정 구멍(26hb)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노즐 세정 구멍(26h, 26hb) 각각은 노즐 세정통(26, 26c)에 하나씩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노즐 세정통(26)의 내경과 피스톤(20)의 외경과의 차이를 L2로 하고, 노즐 세정 구멍(26h)의 구멍 직경을 L1이라고 하면, L1과 L2와의 사이에는 L1<L2의 관계가 성립한다.
단, 노즐 세정통(26, 26c)이 타원형상인 경우에는, 노즐 세정 구멍(26h)의 구멍 직경(L1)은 노즐 세정통(26)의 최소 내경과 피스톤(20)의 외경과의 차이(L2)보다도 작게 설정된다.
노즐 세정통(26c)의 내경과 피스톤(20b)의 외경과의 차이와 노즐 세정 구멍(26hb)과의 사이에도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제 1 노즐 세정 유로(71) 및 제 2 노즐 세정 유로(72) 각각은 노즐 세정 구멍(26h, 26hb)에 의해 노즐 세정통(26, 26c)의 내부와 연통하고 있다. 제 1 노즐 세정 유로(71) 및 제 2 노즐 세정 유로(72) 각각은 상술된 바와 같이 도 32의 세정수 도입 공간(70)으로부터 분기하고 있고, 세정수 도입 공간(70)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를 노즐 세정 구멍(26h, 26hb)으로부터 노즐 세정통(26, 26c)의 내부로 분출시킨다.
노즐 세정 구멍(26h, 26hb)에서 분출되는 세정수에 의해, 노즐 세정통(26, 26c)의 내부에서는 피스톤(20, 20b)이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또, 제 1 노즐 세정 유로(71) 및 제 2 노즐 세정 유로(72)로부터 노즐 세정통(26, 26c)의 내부에 세정수가 분출되기 전에 있어서, 피스톤(20, 20b)은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세정통(26, 26c)의 축심으로부터 어긋난 장소에 위치하고 있다. 피스톤(20, 20b)은 도 33의 개구부(20X)에 의해 요동성을 갖은 상태로 실린더(21, 21d)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도 36은 도 32의 제 1 노즐 세정 유로(71)로부터 노즐 세정통(26)의 내부에 세정수가 분출되는 경우의 피스톤(2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여기서는, 엉덩이 노즐(1)의 수직 단면방향에서의 세정수의 흐름 및 피스톤(20)의 이동에 관해서 설명한다. 여기서, 피스톤(20)의 축심을 Cn으로 한다.
도 3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노즐 세정 유로(71)로부터 노즐 세정 구멍(26h)을 거쳐서 노즐 세정통(26)의 내부에 세정수가 분출된다. 이 경우, 세정수는 노즐 세정통(26)의 내부를 화살표(R1, R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흘러간다.
노즐 세정 구멍(26h)에서의 세정수의 분출시에 있어서, 피스톤(20)은 노즐 세정통(26)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피스톤(20)은 피스톤(20)과 노즐 세정통(26)의 하부측 내벽과의 사이에 흘러 들어오는(화살표(R2)) 세정수에 의해 압력을 받아, 축심 Cn이 이동한다.
도 3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6a의 상태로부터 계속하여 노즐 세정통(26)의 내부에 세정수가 분출되면, 세정수는 노즐 세정통(26)의 내부를 화살표(R1, R2, R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흘러간다.
이 경우, 도 36a에 나타내는 이동에 의해 노즐 세정통(26)의 상부로 이동한 피스톤(20)은 피스톤(20)과 노즐 세정통(26)의 측부측 내벽과의 사이에 흘러 들어오는(화살표(R3)) 세정수에 의해 압력을 받아, 축심 Cn이 이동한다.
도 3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6b의 상태로부터 더 계속하여 노즐 세정통(26)의 내부에 세정수가 분출되면, 세정수는 노즐 세정통(26)의 내부를 화살표(R1, R2, R3, R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흘러간다.
피스톤(20)의 축심(Cn)은 피스톤(20)의 외주면과 노즐 세정통(26)의 내벽과의 사이를 흐르는 세정수가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 노즐 세정통(26)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랜덤한 방향으로 미소한 이동(진동)을 되풀이한다. 이러한 노즐 세정통(26) 내부에서의 유체 압력에 의한 피스톤(20)의 진동은 일반적으로 자려 진동이라고 불리는 진동이 된다.
이러한 자려 진동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노즐 세정 구멍(26h)은 도 35의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세정통(26)의 축심과 피스톤(20)의 축심이 일치한 경우의 피스톤(20)의 외주면 접선방향(도 35의 점(F)에서의 접선방향)으로 세정수를 분출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스톤(20)은 경량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세정수가 노즐 세정 구멍(26h)을 통해서 피스톤(20)의 외주면 접선방향으로 분출되면, 세정수는 분출시의 유속을 손상시키지 않고, 엉덩이 노즐(1)의 외주면의 주위를 효율적으로 선회한다.
또한, 자려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노즐 세정 구멍(26h)의 구멍 직경은 약 0.7㎜ 이상, 약 1.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7은 노즐 세정통(26)의 내부에 분출되는 세정수의 흐름을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즐 세정 구멍(26h)에서 분출된 세정수는 피스톤(20)의 외주면에 따라서 스파이럴형으로 선회하면서, 노즐 세정통(26)의 선단 개구부에서 유출한다.
이 흐름은 노즐부(30) 본체가 경사하여 있기 때문에, 노즐 세정 구멍(26h)에서 분출된 세정수가 피스톤(20)의 외주면을 선회하면서, 하방으로 유동하는 것에 의해 생긴다.
여기서, 노즐 세정 구멍(26h)은 노즐 세정통(26)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되도록 설치된다. 이에 의해, 노즐 세정 구멍(26h)에서 대단히 빠른 유속으로 세정수가 분출된 경우에서도, 세정수는 노즐 세정통(26)의 선단 개구부에서 직접 유출하는 일은 없다.
노즐 세정 구멍(26h)에서 분출된 세정수가 피스톤(20)의 외주면에 따라서 스파이럴형에 흐르는 것에 의해, 세정수가 피스톤(20)의 선단부 근방의 전면을 세정한다. 그리고, 세정수의 분출시에 있어서의 피스톤(20)의 자려 진동에 의해, 피스톤(20)의 선단 근방에 부착되는 오염물이 보다 효과적으로 세정된다.
노즐 세정통(26) 내부에 분출되는 세정수를 피스톤(20)의 외주면에 따라서 선회시키기 위해서는, 노즐 세정 구멍(26h)에서 분출되는 세정수의 유속을 소정의 값 이상으로 되도록 조정해야 한다. 세정수의 유속이 증가하는 것에 의해 세정수의 선회력이 증가하고, 선회류의 피치가 짧아지기 때문이다. 이에 의해, 피스톤(20)의 세정 면적이 넓어진다. 그 결과,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의 위생 상태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에 있어서는, 노즐 세정 구멍(26h)에서 분출되는 세정수의 유속이 약 5 내지 15㎧로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세정수는 피스톤(20)의 외주면을 양호하게 선회한다. 이에 의해, 피스톤(20)의 자려 진동이 생긴다.
이상과 같이, 노즐 세정용 노즐(30)은 노즐 세정통(26, 26c)과 피스톤(20)과의 사이의 환상 공간에 세정수가 도입됨으로써,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의 세정이 행하여지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해지고 있고, 공간 절약화가 실현되어 있다.
또한, 상술된 바와 같이, 노즐 세정통(26, 26c)의 내경이 대략 원형으로 형성된 피스톤(20, 20b)의 외경보다도 크기 때문에, 노즐 세정 구멍(26h, 26hb)에 도입되는 세정수가 노즐 세정통(26, 26c)과 피스톤(20, 20b)과의 사이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선회한다. 그 결과,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의 외주면이 구석구석까지 세정된다.
상기에서는 자려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노즐 세정 구멍(26h)의 구멍 직경은 약 0.7㎜ 이상, 약 1.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고 있지만, 노즐 세정 구멍(26h)의 구멍 직경은 약 0.7㎜ 이상, 약 1.0㎜ 이하로 함으로써, 세정 유량이 0.5L/분 정도로 낮은 경우에도, 높은 유속으로 충분한 세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8은 노즐 세정통(26) 및 피스톤(20)의 선단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3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20)의 선단은 실린더(21)에의 수납시에 노즐 세정통(26)의 선단에서 조금 돌출하고 있다(화살표(H1)의 범위).
이와 같이, 피스톤(20)의 선단이 노즐 세정통(26)의 선단에서 돌출하는 것에 의해, 노즐 세정통(26)의 내부에 분출되는 세정수의 선단에서의 유출시에 노즐 세정통(26)의 표면측에 비산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 현상은 코안다 효과에 의한 것이다.
코안다 효과란 흐름의 중에 물체를 위치시킨 경우에, 유체가 그 물체에 따라서 흐르고자 하는 성질을 말한다. 즉, 피스톤(20)의 외주면을 스파이럴형으로 선회하면서, 노즐 세정통(26)의 선단에 의해 유출되는 세정수는 피스톤(20)의 대략 반구형상의 선단이 노즐 세정통(26)의 선단에서 돌출하여 있기 때문에, 노즐 세정통(26)의 표면측에 비산하지 않고, 피스톤(20)의 선단에 따라서 유출한다.
노즐 세정통(26) 및 피스톤(20)의 선단부는 도 38b에 나타내는 구조를 갖더라도 좋다. 도 38b에 있어서, 노즐 세정통(26)의 선단부 표면측에는 소정의 길이(화살표(H2))의 절결부(NV)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피스톤(20)의 선단은 절결부(NV)가 없는 노즐 세정통(26)의 선단에서 조금 돌출하고 있다(화살표(H1)의 범위).
이 경우, 피스톤(20)의 선단부에 따라서 흐르고자 하는 세정수의 흐름과, 노즐 세정통(26)의 내벽에 따라서 흐르고자 하는 세정수의 흐름에 의해, 노즐 세정 구멍(26h)에서 분출되는 세정수가 보다 효과적으로 노즐 세정통(26)의 선단부 아래 쪽에서 유출한다. 따라서, 노즐 세정통(26)의 선단에서의 세정수의 유출시에 세정수가 노즐 세정통(26)의 표면측에 비산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 노즐 세정통(26)의 선단부 표면측에 설치되는 절결부(NV)의 원주방향의 길이는 노즐 세정통(26)의 대략 반원주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노즐 세정통(26) 및 피스톤(20)의 선단부는 도 38c에 나타내는 구조를 갖더라도 좋다.
도 38c에 있어서, 노즐 세정통(26)의 선단부 표면측에는 셔터(SH)가 핀(Pi)을 거쳐서 상하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셔터(SH)는 피스톤(20)이 화살표(G1)의 방향으로 돌출 할 때에, 화살표(G2)의 방향으로 회동한다.
셔터(SH)에 의하면, 노즐 세정통(26)의 선단에서 유출하는 세정수가 노즐 세정통(26)의 선단부 표면측에 비산한 경우에도, 비산한 세정수가 셔터(SH)에 부착되어 낙하한다. 이에 의해, 노즐 세정통(26)의 선단에서 유출하는 세정수가 노즐 세정통(26)의 선단부 표면측에 비산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 여기서는 셔터(SH)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노즐 세정통(26)의 선단에서 유출하는 세정수의 비산을 방지하는 것이면, 셔터(SH) 대신에 노즐 세정통(26)의 표면 또는 상방에 판 등의 비산 방지벽을 설치하여도 좋다.
이상, 도 36 내지 도 38에 따라서 엉덩이 노즐(1)의 노즐 세정통(26) 및 노즐 세정 구멍(26h)의 형상 및 피스톤(20)의 자려 진동에 관해서 설명했지만, 비데 노즐(2)에 있어서도 노즐 세정통(26c) 및 노즐 세정 구멍(26hb)은 같은 형상을 갖고 피스톤(20b)은 같은 자려 진동을 생긴다.
도 39는 사용자가 도 29의 엉덩이 스위치(303) 및 정지 스위치(305)를 가압 조작한 경우의 도 30의 펌프(13), 전환 밸브(14A) 및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의 동작 상태 및 도 30의 노즐 세정용 노즐(3)로부터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에 분출되는 세정수의 유량이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9에 있어서, 노즐 세정 유량의 그래프의 종축은 도 30의 지수 전자 밸브(9)를 통과하는 세정수의 유량에 대한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에 분출되는 세정수의 유량의 비율을 가리키고, 횡축은 시간을 가리킨다. 또한, 그래프중의 실선(L70)은 도 32의 세정수 도입 공간(70)에 도입되는 세정수의 유량을 나타내고, 파선(L71)은 도 32의 제 1 노즐 세정 유로(71)로부터 엉덩이 노즐(1)에 분출되는 세정수의 유량을 가리킨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펌프(13), 전환 밸브(14A) 및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의 동작은 도 30의 제어부(4)에 의해 제어되어 있다.
시점(ta1)에 있어서, 사용자가 엉덩이 스위치(303)를 가압 조작하는 것에 의해 펌프(13)가 온한다. 한편, 전환 밸브(14A)가 펌프(13)에 의해 압송되는 세정수를 노즐 세정용 노즐(3)로 공급하도록 모터(M1)가 회전된다. 한편,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가 도 30의 분기 배관(205)에 의해 흐르는 세정수를 노즐 세정용 노즐(3)로 공급하도록 도 30의 모터(M2)가 회전된다.
이에 의해, 도 32의 세정수 도입 공간(70)에는 펌프(13)로부터의 세정수와 분기 배관(205)으로부터의 세정수가 공급된다. 이 경우, 그래프 중의 실선(L7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세정수 도입 공간(70)에는 100%의 유량으로 세정수가 공급되고 있다.
세정수 도입 공간(70)에 공급된 세정수는 도 35의 제 1 노즐 세정 유로(71) 및 노즐 세정 구멍(26h)을 거쳐서 엉덩이 노즐(1)의 피스톤(20)을 세정하고, 제 2 노즐 세정 유로(72) 및 노즐 세정 구멍(26hb)을 거쳐서 도 35의 비데 노즐(2)의 피스톤(20b)을 세정한다.
이 경우, 그래프 중의 파선(L71)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 각각에 분출되는 세정수의 유량은 세정수 도입 공간(70)에 공급되는 세정수의 유량의 1/2이 된다.
시점(ta2)에 있어서, 펌프(13)는 온한 상태이다. 한편, 전환 밸브(14A)가 펌프(13)에 의해 압송되는 세정수를 엉덩이 노즐(1)로 공급하도록 모터(M1)가 회전된다. 한편,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가 도 30의 분기 배관(205)에 의해 흐르는 세정수를 릴리프 수로(207)로 공급하도록 도 30의 모터(M2)가 회전된다.
이에 의해, 도 32의 세정수 도입 공간(70)에의 세정수의 공급이 정지되는 동시에, 엉덩이 노즐(1)에 세정수가 공급되어, 인체의 국부의 세정이 행하여진다. 사용자는, 엉덩이 노즐(1)에 의한 세정을 종료하고 싶은 경우, 도 29의 정지 스위치(305)를 가압 조작한다.
시점(ta3)에 있어서, 사용자가 정지 스위치(305)를 가압 조작하는 것에 의해 펌프(13), 전환 밸브(14A) 및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는 상술의 시점(ta1)인 경우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한다. 이에 의해, 도 32의 세정수 도입 공간(70)에는 펌프(13)로부터의 세정수와 분기 배관(205)으로부터의 세정수가 공급된다. 이 경우, 그래프중의 실선(L70)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수 도입 공간(70)에는 100%의 유량으로 세정수가 공급되어 있다.
세정수 도입 공간(70)에 공급된 세정수는 도 35의 제 1 노즐 세정 유로(71) 및 노즐 세정 구멍(26h)을 거쳐서 엉덩이 노즐(1)의 피스톤(20)을 세정하여, 제 2 노즐 세정 유로(72) 및 노즐 세정 구멍(26hb)을 거쳐서 비데 노즐(2)의 피스톤(20)을 세정한다.
이 경우도 상기와 같이,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 각각에 분출되는 세정수의 유량은 세정수 도입 공간(70)에 공급되는 세정수의 유량의 1/2이 된다.
시점(ta4)에 있어서, 펌프(13)가 오프하는 것 외에는, 전환 밸브(14A) 및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의 동작은 시점(ta2)인 경우와 마찬가지다. 이에 의해, 인체의 국부의 세정을 행한 후의 엉덩이 노즐(1)의 세정이 종료한다.
시점(ta1)으로부터 시점(ta2)까지의 시간 및 시점(ta3)으로부터 시점(ta4)까지의 시간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지만, 1초 내지 10초 정도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펌프(13), 전환 밸브(14A) 및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는 사용자가 도 2의 비데 스위치(306)를 가압 조작한 경우에도 같은 동작을 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엉덩이 스위치(303) 또는 비데 스위치(306)를 가압 조작한 경우, 엉덩이 노즐(1) 또는 비데 노즐(2)의 피스톤(20, 20b)의 돌출전에 노즐 세정이 행하여져, 엉덩이 세정 또는 비데 세정의 종료 후, 엉덩이 노즐(1) 또는 비데 노즐(2)의 피스톤(20, 20b)의 수납후에 노즐 세정이 행하여진다.
이에 의해,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은 항상 청결하게 유지된다. 또한, 사용자는 노즐 세정의 상태를 세정음 등에 의해 알 수 있어,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이 항상 청결이라고 하는 안심감을 얻을 수 있다.
시점(ta1, ta3)에 있어서,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의 모터(M2)가 회전되고, 분기 배관(205)으로부터의 세정수가 노즐 세정용 노즐(3)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노즐 세정에 이용되는 세정수의 유량이 충분히 확보되기 때문에,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이 보다 효율적으로 세정된다.
노즐 세정시에 분기 배관(205)으로부터의 세정수를 노즐 세정용 노즐(3)에 공급하는 대신에, 펌프(13)의 구동 능력을 높임으로써, 전환 밸브(14A)를 거쳐서 공급되는 세정수의 유량을 증가시키더라도 좋다.
사용자는,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의 세정만을 하고 싶은 경우, 노즐 세정 스위치(309)를 가압 조작한다.
도 40은 사용자가 도 29의 노즐 세정 스위치(309)를 가압 조작한 경우의 도 30의 펌프(13), 전환 밸브(14A) 및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의 동작 상태 및 도 30의 노즐 세정용 노즐(3)로부터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에 분출되는 세정수의 유량이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0의 노즐 세정 유량의 그래프에 있어서, 종축 및 횡축은 도 39의 노즐 세정 유량의 그래프와 동일한 내용을 가리키고, 실선(L70) 및 파선(L71)에 관해서도 도 39의 그래프와 동일한 내용을 가리킨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펌프(13), 전환 밸브(14A) 및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의 동작은 도 30의 제어부(4)에 의해 제어되어 있다.
시점(tb1)에 있어서, 사용자가 노즐 세정 스위치(309)를 가압 조작하는 것에 의해 펌프(13)가 온한다. 한편, 전환 밸브(14A)가 펌프(13)에 의해 압송되는 세정수를 노즐 세정용 노즐(3)로 공급하도록 모터(M1)가 회전된다. 한편,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가 도 30의 분기 배관(205)에 의해 흐르는 세정수를 노즐 세정용 노즐(3)로 공급하도록 도 30의 모터(M2)가 회전된다.
이에 의해, 도 32의 세정수 도입 공간(70)에는 펌프(13)로부터의 세정수와 분기 배관(205)으로부터의 세정수가 공급된다. 이 경우, 그래프 중의 실선(L7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수 도입 공간(70)에는 100%의 유량으로 세정수가 공급되어 있다.
세정수 도입 공간(70)에 공급된 세정수는 도 35의 제 1 노즐 세정 유로(71) 및 노즐 세정 구멍(26h)을 거쳐서 엉덩이 노즐(1)의 피스톤(20)을 세정하고, 제 2 노즐 세정 유로(72) 및 노즐 세정 구멍(26hb)을 거쳐서 도 35의 비데 노즐(2)의 피스톤(20b)을 세정한다.
이 경우, 그래프 중의 파선(L7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 각각에 분출되는 세정수의 유량은 세정수 도입 공간(70)에 공급되는 세정수의 유량의 1/2이 된다.
시점(tb2)에 있어서, 펌프(13)는 오프한다. 한편, 전환 밸브(14A)의 모터(M1)가 각종 세정 동작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의 소정 위치까지 회전된다. 한편,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가 도 30의 분기 배관(205)에 의해 흐르는 세정수를 릴리프 수로(207)로 공급하도록 도 30의 모터(M2)가 회전된다. 이에 의해, 도 32의 세정수 도입 공간(70)에의 세정수의 공급이 정지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노즐 세정 스위치(309)를 가압 조작하는 것에 의해 노즐 세정만을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은 사용자의 의도에 대응하여 보다 빈도가 높은 세정이 행하여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노즐 세정 스위치(309)를 가압 조작하는 것에 의해,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이 청결이라고 하는 안심감을 얻을 수 있다.
시점(tb1)에 있어서,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의 모터(M2)의 회전에 의해 분기 배관(205)으로부터의 세정수가 노즐 세정용 노즐(3)에 공급된다. 이에 의해, 노즐 세정에 이용되는 세정수의 유량이 충분히 확보되기 때문에,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이 다 효율적으로 세정된다.
노즐 세정시에 분기 배관(205)으로부터의 세정수를 노즐 세정용 노즐(3)에 공급하는 대신해서, 펌프(13)의 구동 능력을 높임으로써, 전환 밸브(14A)를 거쳐서 공급되는 세정수의 유량을 증가시키더라도 좋다.
상기에 있어서, 시점(tb1)으로부터 시점(tb2)까지의 시간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지만, 사용자에 의한 노즐 세정의 세정 상태에 대한 안심감을 고려한 경우, 적어도 1분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점(tb2)의 타이밍은 사용자에 의한 정지 스위치(305)의 가압 조작에 의해 결정해도 된다.
사용자는,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에 대하여, 제균 등에 의해 세정 효과가 높은 세정을 하고 싶은 경우, 고온 노즐 세정 스위치(310)를 가압 조작한다.
도 41은 사용자가 도 29의 고온 노즐 세정 스위치(310)를 가압 조작한 경우의 도 30의 펌프(13), 전환 밸브(14A),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 및 열교환기(11)의 동작 상태 및 도 30의 노즐 세정용 노즐(3)로부터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에 분출되는 세정수의 유량이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의 노즐 세정유량의 그래프에 있어서, 종축 및 횡축은 도 39의 노즐 세정유량의 그래프와 동일한 내용을 가리키고, 실선(L70) 및 파선(L71)에 관해서도 도 39의 그래프와 동일한 내용을 가리킨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펌프(13), 전환 밸브(14A),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 및 열교환기(11)의 동작은 도 30의 제어부(4)에 의해 제어되어 있다.
시점(tc1)에 있어서, 사용자가 고온 노즐 세정 스위치(310)를 가압 조작하는 것에 의해 펌프(13) 및 열교환기(11)가 온한다. 한편, 전환 밸브(14A)가 펌프(13)에 의해 압송되는 세정수를 노즐 세정용 노즐(3)로 공급하도록 모터(M1)가 회전된다. 한편,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가 도 30의 분기 배관(205)에 의해 흐르는 세정수를 노즐 세정용 노즐(3)로 공급하도록 도 30의 모터(M2)가 회전된다.
이에 의해, 도 32의 세정수 도입 공간(70)에는, 펌프(13)로부터의 세정수와 분기 배관(205)으로부터의 세정수가 공급된다. 이 경우, 그래프중의 실선(L7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수 도입 공간(70)에는 100%의 유량으로 세정수가 공급되어 있다.
세정수 도입 공간(70)에 공급된 세정수는 도 35의 제 1 노즐 세정 유로(71) 및 노즐 세정 구멍(26h)을 거쳐서 엉덩이 노즐(1)의 피스톤(20)을 세정하여, 제 2 노즐 세정 유로(72) 및 노즐 세정 구멍(26hb)을 거쳐서 도 35의 비데 노즐(2)의 피스톤(20b)을 세정한다.
이 경우, 그래프 중의 파선(L7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 각각에 분출되는 세정수의 유량은 세정수 도입 공간(70)에 공급되는 세정수의 유량의 1/2이 된다.
시점(tc2)에 있어서, 펌프(13) 및 열교환기(11)는 온한 상태이다. 또한, 전환 밸브(14A)가 펌프(13)에 의해 압송되는 세정수를 노즐 세정용 노즐(3)로 공급하도록 모터(M1)가 회전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가 도 30의 분기 배관(205)에 의해 흐르는 세정수를 릴리프 수로(207)로 공급하도록 도 30의 모터(M2)가 회전된다.
여기서, 펌프(13)는 구동 능력이 저하된다. 이에 의해, 열교환기(11)에 의해 가열되는 세정수의 온도가 상승한다. 예컨대, 약 1kW의 열교환기(11)를 상정한다. 이 열교환기(11)에 약 20℃의 세정수를 0.3L/분의 유량으로 통과시킨 경우, 세정수의 온도는 약 40℃ 상승한다. 그 결과, 약 60℃의 세정수가 얻어진다.
이들, 펌프(13), 전환 밸브(14A),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 및 열교환기(11)의 동작에 의해, 도 32의 세정수 도입 공간(70)에는 열교환기(11), 펌프(13) 및 전환 밸브(14A)를 거쳐서 고온의 세정수만이 공급된다.
이 경우, 도 41의 그래프에서는, 실선(L7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수 도입 공간(70)에는 30%의 유량으로 고온의 세정수가 공급되어 있다.
세정수 도입 공간(70)에 공급된 세정수는, 도 35의 제 1 노즐 세정 유로(71) 및 노즐 세정 구멍(26h)을 거쳐서 엉덩이 노즐(1)의 피스톤(20)을 세정하여, 제 2 노즐 세정 유로(72) 및 노즐 세정 구멍(26hb)을 거쳐서 비데 노즐(2)의 피스톤(20)을 세정한다.
그래프중의 파선(L7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 각각에 분출되는 세정수의 유량은 세정수 도입 공간(70)에 공급되는 세정수의 유량의 1/2이 된다.
시점(tc3)에 있어서, 펌프(13), 전환 밸브(14A),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 및 열교환기(11)는 상술의 시점(tc1)인 경우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한다. 이에 의해, 도 32의 세정수 도입 공간(70)에는 펌프(13)로부터의 세정수와 분기 배관(205)으로부터의 세정수가 공급된다. 이 경우, 그래프 중의 실선(L7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수 도입 공간(70)에는 100%의 유량으로 세정수가 공급되어 있다.
세정수 도입 공간(70)에 공급된 세정수는, 도 35의 제 1 노즐 세정 유로(71) 및 노즐 세정 구멍(26h)을 거쳐서 엉덩이 노즐(1)의 피스톤(20)을 세정하여, 제 2 노즐 세정 유로(72) 및 노즐 세정 구멍(26hb)을 거쳐서 비데 노즐(2)의 피스톤(20)을 세정한다.
이 경우도 상기와 같이,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 각각에 분출되는 세정수의 유량은 세정수 도입 공간(70)에 공급되는 세정수의 유량의 1/2이 된다.
시점(tc4)에 있어서, 펌프(13) 및 열교환기(11)는 오프한다. 한편, 전환 밸브(14A)의 모터(M1)가 각종 세정 동작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의 소정 위치까지 회전된다. 한편,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가, 도 30의 분기 배관(205)보다 흐르는 세정수를 릴리프 수로(207)로 공급하도록 도 30의 모터(M2)가 회전된다. 이에 의해, 도 32의 세정수 도입 공간(70)에의 세정수의 공급이 정지된다.
시점(tc1)으로부터 시점(tc2)까지의 시간 및 시점(tc3)으로부터 시점(tc4)까지의 시간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지만, 1초 내지 10초 정도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점(tc2)으로부터 시점(tc3)의 간격은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지만,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의 보다 효과적인 세정을 얻기 위해서 1분 내지 3분 정도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고온 노즐 세정 스위치(310)를 가압 조작한 경우, 처음에 다량의 세정수에 의한 노즐 세정이 행하여져, 다음에 고온의 세정수에 의한 노즐 세정이 행하여져, 최후에 다시 다량의 세정수에 의한 노즐 세정이 행하여진다. 이에 의해,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에 부착되는 오염물이 확실하게 제거된다.
또한, 고온의 세정수가 스테인리스로 구성된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에 분출됨으로써 감균, 제균 또는 살균 효과가 얻어진다.
얇은 스테인리스에 의해 구성되는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에 따르면, 수지 등에 비해서 높은 열전도율을 갖기 때문에, 세정수의 온도가 약 60℃ 이상의 범위로 충분한 제균 효과가 얻어진다. 따라서, 70 내지 100℃까지 세정수를 가열하여도 충분한 제균 효과가 얻어지고 있다. 그 결과, 에너지 절약화가 실현한다.
사용자는, 고온의 세정수에 의해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이 균, 제균 또는 살균되기 때문에 청결이라고 하는 안심감을 얻을 수 있다.
시점(tc1)으로부터 시점(tc2)까지의 시간 및 시점(tc3)으로부터 시점(tc4)까지의 시간에 분기 배관(205)으로부터의 세정수를 노즐 세정용 노즐(3)에 공급하는 대신해서, 펌프(13)의 구동 능력을 높임으로써, 전환 밸브(14A)를 거쳐서 공급되는 세정수의 유량을 증가시키더라도 좋다.
상기의 고온의 세정수에 의한 노즐 세정은 착석 센서(51)가 좌변부(400)상에 인체를 검출한 경우에 동작하지 않는다. 예컨대, 사용자가 좌변부(400)상에 착석하고 있을 때에 잘못 고온 노즐 세정 스위치(310)를 가압 조작한 경우, 도 30의 제어부(4)는 착석 센서(51)로부터 입력되는 좌변부(400)상의 사용자의 유무의 신호에 따라서, 고온의 세정수에 의한 노즐 세정 동작을 무효로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자기가 좌변부(400)에 착석한 상태로 잘못 고온 노즐 세정 스위치(310)를 가압 조작한 경우에도, 고온의 세정수가 비산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의 피스톤(20, 20b) 및 실린더(21, 21d)의 형상 및 구성, 노즐 세정시의 세정수의 유량 및 노즐 세정시의 고온의 세정수의 적용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인체 세정 노즐의 위생 상태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위생 세정 장치(100)는 아래와 같이 고온의 세정수를 얻기 위해서 다른 순간식 가열 장치를 이용하여도 좋다.
도 42는 다른 순간식 가열 장치를 이용한 경우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위생 세정 장치(100)의 본체부(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2의 본체부(200)는 이하의 점을 제외하여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의 도 30의 본체부(200)와 마찬가지의 구성 및 동작을 갖는다.
제 4 실시예에서는,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와 노즐 세정용 노즐(3)을 접속하는 공급 배관(266)에 순간 가열 장치(11X)가 부착되어 있다. 제어부(4)는 서미스터(11Xa) 및 서모스터(11Xb)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서 순간 가열 장치(11X)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42의 제어부(4)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 예컨대 다음과 같은 동작을 한다.
제어부(4)는 사용자에 의한 도 29의 원격 조작 장치(300)의 고온 노즐 세정 스위치(310)의 가압 조작에 따라 지수 전자 밸브(9),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 및 순간 가열 장치(11X)의 동작을 제어한다.
처음에, 제어부(4)는 지수 전자 밸브(9)를 개방한다. 이 경우, 지수 전자 밸브(9)가 개방되는 것에 의해 분기 배관(205)에 세정수가 공급된다. 동시에 제어부(4)는 분기 배관(205)의 세정수를 공급 수로(266)로 공급할 수 있도록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의 모터(M2)를 회전시킨다. 이에 의해, 공급 수로(266)에 세정수가 공급된다.
여기서,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에서는 분기 배관(205)으로부터의 세정수의 공급 전에 릴리프 수로(207) 또는 공급 수로(266)로 전환되는 동시에, 각 배관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비율이 조정된다. 그것에 따라, 공급 수로(266)에는 소정량의 세정수가 공급된다.
제어부(4)는 순간 가열 장치(11X)를 온한다. 이에 의해, 공급 수로(266)에 공급되는 세정수는 후술하는 순간 가열 장치(11X)의 동작에 의해 가열되어, 고온수(약 80 내지 100℃ : 이하, "초고온수"라고 한다) 또는 증기로 된다.
순간 가열 장치(11X)에 의해 가열된 세정수가 노즐 세정용 노즐(3)에 공급됨으로써 노즐 세정이 행하여진다. 그것에 따라,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에 부착된 오염물이 초고온수 또는 증기에 의해 박리되어, 도 1의 변기(600) 내에 흐른다. 그 결과,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의 분출 구멍의 주변의 제균, 살균 및 세정 등이 행하여진다.
여기서, 순간 가열 장치(11X)의 상세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43은 순간 가열 장치(11X)의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 단면도이다. 도 43에 있어서, 순간 가열 장치(11X)는 케이싱(504), 밀봉 히터(505), 열전도체(506), 배관(510), 서미스터(11Xa), 서모스터(11Xb) 및 온도 퓨즈(11Xc)를 포함한다. 여기서, 배관(510)은 급수구(511) 및 배출구(512)를 거쳐서 도 42의 공급 수로(266)에 부착되어 있다.
케이싱(504)은 대략 직방체형상을 갖는다. 케이싱(504) 내에는 배관(510)과 밀봉 히터(505)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병설되어 있고, 각각의 양 단부는 케이싱(504)의 양 단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케이싱(504)내에서, 배관(510) 및 밀봉 히터(505)는 열전도체(506)에 덮여있다. 밀봉 히터(505)는 전열선을 내장하여,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발열한다.
상술의 노즐 세정시에 있어서는, 전환 밸브(14A)의 세정수 출구(143e)에서 공급되는 세정수가 급수구(511)로부터 배관(510)내로 도입된다.
밀봉 히터(505)에 전력이 공급되면, 밀봉 히터(505)에 의해 발생하는 열이 열전도체(506)를 통하여 배관(510)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배관(510) 내에 도입된 세정수가 가열되어, 초고온수 또는 증기가 배출구(512)로부터 배출된다.
여기서, 배관(510)의 급수구(511)측을 순간 가열 장치(11X)의 상류측으로 하고, 배출구(512)측을 순간 가열 장치(11X)의 하류측이라고 하면, 서미스터(11Xa) 및 서모스터(11Xb)는 순간 가열 장치(11X)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온도 퓨즈(11Xc)는 케이싱(504)의 측면에 설치되어 있다.
또, 서미스터(11Xa), 서모스터(11Xb) 및 온도 퓨즈(11Xc)는 각각 동작 기준 온도가 서로 다르다. 그것에 따라, 3단계의 과열 방지의 조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서미스터(11Xa), 서모스터(11Xb) 및 온도 퓨즈(11Xc)중 어느 하나가 고장나도, 남은 2개에 의해 과열이 방지된다.
서미스터(11Xa)는 밀봉 히터(505)에 부착되고, 밀봉 히터(505)의 온도를 검지한다. 제어부(4)는 서미스터(11Xa)에서 주어지는 밀봉 히터(505)의 온도를 판정하여, 과열 상태에 있는 경우, 밀봉 히터(505)의 온도를 저하시키도록 제어를 한다.
서모스터(11Xb)는 배관(510)내를 유통하는 세정수의 온도를 검지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배관(510)내를 유통하는 세정수의 온도가 서모스터(11Xb)의 동작 기준 온도를 초과한 경우, 서모스터(11Xb)는 밀봉 히터(505)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도록 동작한다.
마지막으로, 온도 퓨즈(11Xc)는 케이싱(504)에 밀착 고정되어 있다. 케이싱(504)의 온도가 온도 퓨즈(11Xc)의 동작 기준 온도를 초과한 경우, 온도 퓨즈(11Xc)가 용단(溶斷)되는 것에 의해 밀봉 히터(505)에의 전력 공급이 차단된다.
이상의 서미스터(11Xa), 서모스터(11Xb) 및 온도 퓨즈(11Xc)의 동작에 의해, 밀봉 히터(505)에 의한 세정수의 과열 및 밀봉 히터(505) 자체의 과열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의 순간 가열 장치(11X)에는 세정수의 가열 수단으로서 밀봉 히터(505)를 이용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마이카 히터, 세라믹 히터, 또는 프린트 히터 등을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서미스터(11Xa), 서모스터(11Xb) 및 온도 퓨즈(11Xc) 각각이 순간 가열 장치(11X)의 과열을 방지하고 있지만, 서미스터(11Xa) 또는 서모스터(11Xb)를 제어부(4)와 접속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4)가 서미스터(11Xa) 또는 서모스터(11Xb)의 온도 측정치에 따라서 밀봉 히터(505)의 온도를 피드백 제어 또는 피드포워드 제어해도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도 30의 본체부(200)와 같이 초고온수 또는 증기에 의한 노즐 세정은 착석 센서(51)가 좌변부(400)상에 인체를 검출한 경우에 동작하지 않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설정이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사용자는 자기가 좌변부(400)에 착석한 상태로 잘못 고온 노즐 세정 스위치(310)를 가압 조작한 경우에도, 초고온수의 비산 및 증기의 누설이 방지된다.
또한, 본 예로서는 순간 가열 장치(11X)의 온/오프를 전환하는 것에 의해, 도 30의 본체부(200)와 같이, 노즐 세정용 노즐(3)로 공급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증가시켜도 좋다. 이 경우, 필요에 응해서 노즐 세정용 노즐(3)로 공급하는 세정수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노즐 세정시에 다량의 세정수로 오염물을 흘릴 수 있다.
(제 5 실시예)
제 5 실시예에 따르는 위생 세정 장치(100)는 이하의 점을 제외하여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위생 세정 장치(100)와 마찬가지의 구성 및 동작을 갖는다.
도 44는 제 5 실시예에 따르는 원격 조작 장치(300)의 일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5 실시예에 따르는 원격 조작 장치(300)는,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도 29의 노즐 세정 스위치(309) 및 고온 노즐 세정 스위치(310) 대신에 엉덩이 노즐 세정 스위치(311) 및 비데 노즐 세정 스위치(312)를 구비한다.
사용자에 의해 엉덩이 노즐 세정 스위치(311) 및 비데 노즐 세정 스위치(312)가 가압 조작된다. 그것에 따라, 원격 조작 장치(300)는, 후술하는 위생 세정 장치(100)의 본체부(200)에 설치된 제어부에 소정의 신호를 무선 송신한다. 본체부(200)의 제어부는 원격 조작 장치(300)에 의해 무선 송신되는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여, 세정수 공급 기구 등을 제어한다.
예컨대, 사용자가 엉덩이 노즐 세정 스위치(311)를 가압 조작하는 것에 의해 노즐부(30)에 설치되는 엉덩이 노즐의 세정수에 의한 세정이 행하여져, 비데 노즐 세정 스위치(312)를 가압 조작하는 것에 의해 노즐부(30)에 설치되는 비데 노즐의 세정수에 의한 세정이 행하여진다. 엉덩이 노즐 세정 스위치(311) 및 비데 노즐 세정 스위치(312)의 가압 조작에 의한 노즐부(30)의 세정 동작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는 위생 세정 장치(100)의 본체부(200)에 관해서 설명을 한다.
도 4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는 위생 세정 장치(100)의 본체부(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5에 나타내는 본체부(200)는 배관(202)의 지수 전자 밸브(9)의 하류측에 릴리프 수로(207)가 직접 설치되어 있다. 또한, 노즐 세정용 노즐(3)이 제 1 세정 노즐(3a) 및 제 2 세정 노즐(3b)로 구성되어 있고, 전환 밸브(14A)가 펌프(13)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를 엉덩이 노즐(1), 비데 노즐(2), 제 1 세정 노즐(3a) 및 제 2 세정 노즐(3b)중 어느 하나에 공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전환 밸브(14A)는 모터(M3)를 구비한다.
여기서, 도 45의 제 1 세정 노즐(3a) 및 제 2 세정 노즐(3b)의 상세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46은 제 5 실시예에 따른 노즐부(30)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46에 있어서, 제 5 실시예에 따르는 노즐부(30)는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도 32의 노즐부(30)와 거의 같은 구성을 갖지만, 노즐 세정용 노즐(3)이 제 1 세정 노즐(3a) 및 제 2 세정 노즐(3b)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세정 노즐(3a)은 엉덩이 노즐(1)에 일체 성형된 측벽(70W)과 경계편(73)과 밀폐 부재(3K)로 이루어진다. 제 2 세정 노즐(3b)은 비데 노즐(2)에 일체 성형된 측벽(70W)과 경계편(73)과 밀폐 부재(3K)로 이루어진다. 제 1 세정 노즐(3a) 및 제 2 세정 노즐(3b) 각각은 경계편(73)을 개재하여 일체 성형되어 있다.
밀폐 부재(3K)가 측벽(70W) 및 경계편(73)의 표면에 부착되는 것에 의해(도 32의 화살표(E)), 제 1 세정수 도입 공간(70a), 제 2 세정수 도입 공간(70b), 제 1 노즐 세정 유로(71) 및 제 2 노즐 세정 유로(72)가 형성된다.
제 1 세정수 도입 공간(70a)은 밀폐 부재(3K)의 후단에 위치하는 세정수 도입편(3Ka)에 설치된 관통 구멍을 거쳐서 외부와 연통하고 있다. 제 2 세정수 도입 공간(70b)은 밀폐 부재(3K)의 후단에 위치하는 세정수 도입편(3Kb)에 마련된 관통 구멍을 거쳐서 외부와 연통하고 있다.
제 1 세정수 도입 공간(70a)에서 연장하여 형성된 제 1 노즐 세정 유로(71)는 엉덩이 노즐(1)측 표면에 위치한다. 제 2 세정수 도입 공간(70b)에서 연장하여 형성된 제 2 노즐 세정 유로(72)는 비데 노즐(2)측 표면에 위치한다.
밀폐 부재(3K)의 세정수 도입편(3Ka, 3Kb)에는 도시하지 않은 튜브 등이 부착되어 있다. 세정수 도입편(3Ka, 3Kb)은 튜브를 거쳐서 전환 밸브(14A)의 임의의 세정수 출구와 각각 접속된다. 이에 의해, 세정수가 튜브를 통하여 제 1 세정 노즐(3a) 및 제 2 세정 노즐(3b)에 공급된다.
다음에, 사용자가 엉덩이 노즐 세정 스위치(311)또는 비데 노즐 세정 스위치(312)를 가압 조작한 경우의 본체부(200)의 동작을 도 45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엉덩이 노즐 세정 스위치(311)를 가압 조작한 경우, 도 45의 제어부(4)는 예컨대 다음과 같은 동작을 한다.
제어부(4)는 원격 조작 장치(300)로부터 보내여지는 노즐 세정 스위치(311)의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의해 펌프(13)를 구동하고, 도 4의 열교환기(11)의 세라믹 히터(505)의 온도를 제어한다. 그리고, 전환 밸브(14A)의 모터(M3)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펌프(13)로부터 제 1 세정 노즐(3a)로 세정수를 공급한다. 이에 의해, 제 1 세정 노즐(3a)에서 엉덩이 노즐(1)로 세정수가 분출되어, 엉덩이 노즐(1)의 노즐 세정이 행하여진다.
상기의 일련의 동작은, 사용자가 비데 노즐 세정 스위치(312)를 가압 조작한 경우에도 같이 행하여진다. 이 경우, 펌프(13)로부터 제 2 세정 노즐(3b)에 공급된 세정수가 비데 노즐(2)에 분출되어, 비데 노즐(2)의 노즐 세정이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에 대하여, 개별로 노즐 세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펌프(13)가 구동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세정수의 유량이 적은 경우에서도, 펌프(13)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의 전부가 개개의 노즐 세정에 이용되기 때문에, 충분한 유량으로 노즐 세정을 할 수 있다. 그 결과, 노즐 세정을 하는 것에 의해,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 각각이 보다 청결히 유지된다.
상기의 제어부(4)의 동작에 있어서, 제어부(4)는 펌프(13)의 구동시에 펌프(13)의 구동 능력을 낮게 해도 된다. 이 경우, 펌프(13)의 구동 능력이 낮게 됨으로써, 열교환기(11)에 의해 가열되는 세정수의 온도가 상승한다. 그것에 따라, 제 1 세정 노즐(3a)에는 고온의 세정수가 공급되어, 엉덩이 노즐(1)이 고온의 세정수에 의해 세정된다. 그 결과, 세정수의 온도를 약 60℃ 정도로 설정하는 것에 의해, 노즐 세정시에 우수한 세정 효과 및 제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이 경우 펌프(13)로부터 제 1 세정 노즐(3a)에 공급되는 세정수의 유량은 감소하지만, 펌프(13)가 토출하는 세정수의 전부가 분류되는 일없이 제 1 세정 노즐(3a)에만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제 3 실시예와 같이 펌프(13)가 토출하는 세정수를 분류하여,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을 한번에 세정하는 구성에 비교하고, 노즐 세정시의 세정수의 유량을 많게 할 수 있다.
상기 세정수의 온도 조정은 열교환기(11)에의 전력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행하여도 좋다.
고온의 세정수에 의한 노즐 세정이 행하여지는 경우, 제어부(4)는 제 3 실시예와 같이 착석 센서(51)가 좌변부(400)상에 인체를 검출했을 때에 노즐 세정의 동작을 하지 않는다.
제 3, 제 4 및 제 5 실시예에 있어서는,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이 인체 세정 노즐에 상당하고, 분출 구멍(401a)이 분출 구멍에 상당하고, 노즐 세정통(26, 26c)이 노즐 세정 부재에 상당하고, 노즐 세정 구멍(26h, 26hb)이 세정수 도입 구멍에 상당하고, 실린더(21, 21d)가 실린더부에 상당하고, 피스톤(20, 20b)이 피스톤부에 상당하고, 일유로관(403)이 관로에 상당하고, 노즐 커버(401)가 커버 부재에 상당하고, 구멍부(25)가 구멍부에 상당하고, 유로 합류부(404)가 분출 부재에 상당한다.
또한, 전환 밸브(14A) 및 펌프(13)가 제 1 세정수 공급 수단에 상당하고, 전환 밸브(14A), 릴리프 물전환 밸브(14B), 공급 수로(266) 및 펌프(13)가 제 2 세정수 공급 수단에 상당하고, 열교환기(11) 및 순간 가열 장치(11X)가 가열 장치에 상당하고, 착석 센서(51)가 인체 검출 센서에 상당하고, 분기 배관(205)이 분기 배관에 상당하고, 제어부(4)가 제어부에 상당한다.
(제 6 실시예)
제 6 실시예에 따르는 위생 세정 장치(100)는 이하의 점을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위생 세정 장치(100)와 마찬가지의 구성 및 동작을 갖는다.
도 47은 제 6 실시예에 따르는 원격 조작 장치(300)의 일 예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격 조작 장치(300)는 복수의 LED(발광 다이오드)(301a, 301b, 301c), 복수의 조정 스위치(313), 엉덩이 스위치(314), 마사지 스위치(315), 분출 정지 스위치(316), 비데 스위치(317), 건조 스위치(318), 탈취 스위치(319), 파워 스위치(320), 모드 스위치(321 내지 324) 및 노즐 정지 스위치(325)를 구비하고 있다.
사용자에 의해 조정 스위치(313), 엉덩이 스위치(314), 마사지 스위치(315), 분출 정지 스위치(316), 비데 스위치(317), 건조 스위치(318), 탈취 스위치(319), 파워 스위치(320), 모드 스위치(321 내지 324) 및 노즐 정지 스위치(325)가 가압 조작된다. 그것에 따라, 원격 조작 장치(300)는, 후술하는 위생 세정 장치(100)의 본체부(200)에 설치된 제어부에 소정의 신호를 무선 송신한다. 본체부(200)의 제어부는 원격 조작 장치(300)에 의해 무선 송신되는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여, 세정수 공급 기구 등을 제어한다.
예컨대, 모드 스위치(321 내지 324)는 사용자가 모드 스위치(321 내지 324)중 어느 하나를 가압 조작하면, 노즐부(30)가 이동하면서 소정의 분출 형태로 세정수가 노즐부(30)로부터 분출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노즐정지 스위치(325)가 가압 조작되면, 노즐부(30)의 이동이 정지한다. 또, 모드 스위치(321 내지 324)가 각각 가압 조작되었을 때의 세정수의 분출 형태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사용자가 엉덩이 스위치(314) 또는 비데 스위치(317)를 가압 조작하는 것에 의해 도 1의 노즐부(30)가 이동하여 세정수가 분출한다. 마사지 스위치(315)를 가압 조작하는 것에 의해 도 1의 노즐부(30)로부터 인체의 국부에 자극을 주는 세정수가 분출된다. 파워 스위치(320)를 가압 조작하는 것에 의해 노즐부(30)로부터 다량의 세정수가 분출된다. 분출 정지 스위치(316)를 가압 조작하는 것에 의해 노즐부(30)로부터의 세정수의 분출이 정지한다.
또한, 건조 스위치(318)를 가압 조작하는 것에 의해 인체의 국부에 대하여 위생 세정 장치(100)의 온풍 공급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온풍이 분출된다. 탈취 스위치(319)를 가압 조작하는 것에 의해 위생 세정 장치(100)의 탈취 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주변의 탈취가 행하여진다.
조정 스위치(313)는 수세 강 조정 스위치(302g), 수세 약 조정 스위치(302h), 온도 저 조정 스위치(302i), 온도 고 조정 스위치(302j), 분출 형태 집중 조정 스위치(302k), 분출 형태 분산 조정 스위치(302l) 및 분출 형태 방향 조정 스위치(302m)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분출 형태 집중 조정 스위치(302k) 및 분출 형태 분산 조정 스위치(302l)를 가압 조작하는 것에 의해 도 1의 노즐부(30)에 의해 분출되는 세정수의 분출 형태가 변화되어, 분출 형태 방향 조정 스위치(302m)를 가압 조작하는 것에 의해 노즐부(30)에 의해 분출되는 세정수의 선회 방향이 변화되고, 온도 저 조정 스위치(302i) 및 온도 고 조정 스위치(302j)를 가압 조작하는 것에 의해, 노즐부(30)에 의해 분출되는 세정수의 온도가 변화된다.
또한, 수세 강 조정 스위치(302g) 및 수세 약 조정 스위치(302h)를 가압 조작하는 것에 의해, 노즐부(30)에 의해 분출되는 세정수의 수세(압력)가 변화된다. 또, 분출 형태 집중 조정 스위치(302k) 및 분출 형태 분산 조정 스위치(302l)를 가압 조작함에 따른 세정수의 분출 형태의 변화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수세 강 조정 스위치(302g)의 가압에 따라 복수의 LED(발광 다이오드) (301a)가 점등하고, 수세 약 조정 스위치(302h)의 가압에 따라 복수의 LED(발광 다이오드)(301a)가 소등한다. 온도 고 조정 스위치(302j)의 가압에 따라 복수의 LED(발광 다이오드)(301c)가 점등하고, 온도 저 조정 스위치(302i)의 가압에 따라 복수의 LED(발광 다이오드)(301c)가 소등한다. 분출 형태 분산 조정 스위치(302l)의 가압에 따라 복수의 LED(발광 다이오드)(301b)가 점등하고, 분출 형태 집중 조정 스위치(302k)의 가압에 따라 복수의 LED(발광 다이오드)(301b)가 소등한다.
이하, 제 6 실시예에 따르는 위생 세정 장치(100)의 본체부(200)에 관해서 설명을 한다.
도 48은 제 6 실시예에 따르는 위생 세정 장치(100)의 본체부(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제 6 실시예에 따르는 본체부(200)가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도 3의 본체부(200)와 다른 점은 진퇴용 모터(15) 및 유지대(291)를 더 구비하는 점이다.
제어부(4)는 도 1의 원격 조작 장치(300)로부터 무선 송신되는 신호, 유량 센서(10)로부터 주어지는 측정 유량치 및 온도 센서(12a, 12b)에서 주어지는 온도 측정치에 따라서 진퇴용 모터(15)에 대하여 또한 제어 신호를 보낸다.
제어부(4)로부터 진퇴용 모터(15)에 대하여 제어 신호가 주어지는 것에 의해, 진퇴용 모터(15)가 회전하여, 유지대(291)에 유지된 엉덩이 노즐(1) 및 비데 노즐(2)의 진퇴 동작을 한다.
다음에, 도 48의 노즐부(30)의 엉덩이 노즐(1)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49는 도 48의 엉덩이 노즐(1) 및 전환 밸브(14)의 모식적 단면도이다. 노즐부(30)의 비데 노즐(2)의 구성 및 동작은 도 49의 엉덩이 노즐(1)과 마찬가지다. 또, 도 49에 있어서는 비데 노즐(2) 및 노즐 세정용 노즐(3)은 도시하지 않고 있다.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엉덩이 노즐(1)은 원통형의 피스톤부(20), 원통형의 실린더부(21), 시일 패킹(22a, 22b) 및 스프링(23)에 의해 구성된다.
피스톤부(20)의 선단 근방에는 세정수를 분출하기 위한 분출 구멍(25)이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부(20)의 후단에는, 플랜지 형상의 스토퍼부(26a, 26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부(26a, 26b)에는 각각 시일 패킹(22a, 22b)이 장착되어 있다. 피스톤부(20)의 내부에는 후단면에서 분출 구멍(25)에 연통하는 제 1 유로(27e)가 형성되고, 스토퍼부(26a)와 스토퍼부(26b)와의 사이에서의 피스톤부(20)의 주위면에서 분출 구멍(25)에 연통하는 제 2 유로(27f)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분출 구멍(25)의 주위에는, 원통형 소용돌이실(29)이 형성되어 있고, 제 1 유로(27e)와 원통형 소용돌이실(29)과의 사이에는 축류부(31)가 삽입되어 있다. 이 피스톤부(20)의 선단부의 구조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한편, 실린더부(21)는 선단측의 소경 부분과 중간의 직경을 갖는 중간 부분과 후단측의 대경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그것에 따라, 소경 부분과 중간 부분과의 사이에 피스톤부(20)의 스토퍼부(26a)가 시일 패킹(22a)을 개재하여 접촉가능한 스토퍼면(21c)이 형성되고, 중간 부분과 대경 부분과의 사이에 피스톤부(20)의 스토퍼부(26b)가 시일 패킹(22b)을 개재하여 접촉가능한 스토퍼면(21b)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부(21)의 후단면에는 세정수 입구(24a)가 설치되고, 실린더부(21)의 중간 부분의 주위면에는 세정수 입구(24b)가 설치되고, 실린더부(21)의 선단면에는 개구부(21a)가 설치되어 있다. 실린더부(21)의 내부 공간이 온도 변동 완충부(28)가 된다. 세정수 입구(24a)는 실린더부(21)의 중심축과는 다른 위치에 편심하여 설치되어 있다. 세정수 입구(24a)는 도 8의 전환 밸브(14)의 세정수 출구(143c)에 접속되고, 세정수 입구(24b)는 도 8의 전환 밸브(14)의 세정수 출구(143d)에 접속되어 있다. 피스톤부(20)가 실린더부(21)보다 가장 돌출한 경우에, 세정수 입구(24b)는 제 2 유로(27f)와 연통한다. 이 세정수 입구(24b)가 제 2 유로(27f)와 접속하는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피스톤부(20)는 스토퍼부(26b)가 온도 변동 완충부(28) 내에 위치하고, 선단부가 개구부(21a)에서 돌출하도록, 실린더부(21) 내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23)은 피스톤부(20)의 스토퍼부(26a)와 실린더부(21)의 개구부(21a)의 주연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피스톤부(20)를 실린더부(21)의 후단측에 힘을 가한다.
피스톤부(20)의 스토퍼부(26a, 26b)의 외주면과 실린더부(2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미소 간극이 형성되고, 피스톤부(20)의 외주면과 실린더부(21)의 개구부(21a)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미소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엉덩이 노즐(1)은 유지대(291)상에 고정된다. 엉덩이 노즐(1)의 유지대(291)의 일단에는 기어(292)가 설치되어 있고, 기어(292)는 진퇴용 모터(15)의 회전축으로 고정된 기어(293)와 맞물린다. 진퇴용 모터(15)가 제어부(4)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대응하여 화살표(Y)의 방향 및 화살표(Y)와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에 의해, 진퇴용 모터(15)의 회전축으로 고정된 기어(293)가 회전하여, 노즐 유지대(291)의 일단에 설치된 기어(292)와 맞물림되어, 노즐 유지대(291)가 화살표(X)의 방향 및 그 역방향으로 이동된다. 그것에 따라, 엉덩이 노즐(1)이 분출 구멍(25)에 의해 세정수를 분출하면서 진퇴 동작을 한다.
이에 의해, 광범위한 피세정면의 세정이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마사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어서, 도 49의 엉덩이 노즐(1)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0은 도 49의 엉덩이 노즐(1)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우선, 도 5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부(21)의 세정수 입구(24a, 24b)에 의해 세정수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피스톤부(20)가 스프링(23)의 탄성력에 의해 화살표(X)의 방향과 역방향으로 후퇴하고, 실린더부(21) 내에 수용되어 있다. 그 결과, 피스톤부(20)는 실린더부(21)의 개구부(21a)보다 가장 돌출하지 않고 있는 상태가 된다. 이 때, 실린더부(21) 내에는, 온도 변동 완충부(28)가 형성되지 않는다.
이어서, 도 5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부(21)의 세정수 입구(24a)에 의해 세정수의 공급이 시작된 경우, 세정수의 압력에 의해 피스톤부(20)가 스프링(23)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화살표(X)의 방향에 서서히 전진한다. 그것에 따라, 실린더부(21) 내에 온도 변동 완충부(28)가 형성되는 동시에 온도 변동 완충부(28)에 세정수가 유입한다.
세정수 입구(24a)가 실린더부(21)의 중심축으로 대하여 편심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온도 변동 완충부(28)에 유입한 세정수는, 화살표(V)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파이럴 형상으로 환류한다. 온도 변동 완충부(28)의 세정수의 일부는 피스톤부(20)의 스토퍼부(26a, 26b)의 외주면과 실린더부(21)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미소 간극을 통해서, 피스톤부(20)의 외주면과 실린더부(21)의 개구부(21a)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미소 간극에서 흘러나오는 동시에, 피스톤부(20)의 제 1 유로(27e)를 통해서 원통형 소용돌이실(29)에 공급되어, 분출 구멍(25)으로부터 약간 분출된다. 원통형 소용돌이실(29)의 상세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피스톤부(20)가 더 전진하면, 도 5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토퍼부(26a, 26b)가 시일 패킹(22a, 22b)을 거쳐서 실린더부(21)의 스토퍼면(21c, 21b)에 수밀로 접촉한다. 그것에 따라, 피스톤부(20)의 스토퍼부(26a, 26b)의 외주면과 실린더부(21)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미소 간극에서 피스톤부(20)의 외주면과 실린더부(21)의 개구부(21a)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미소 간극에 도달하는 유로가 차단된다. 또한, 세정수 입구(24b)에 의해 공급된 세정수가 피스톤부(20)의 제 2 유로(27f)를 통해서 원통형 소용돌이실(29)에 공급된다. 그것에 따라, 피스톤부(20)의 제 2 유로(27f)를 통해서 원통형 소용돌이실(29)에 공급된 세정수는 피스톤부(20)의 제 1 유로(27e)를 통해서 공급된 세정수와 혼합되어, 분출 구멍(25)으로부터 분출된다.
이와 같이, 전환 밸브(14)의 세정수 출구(143c, 143d)에 의해 공급된 세정수가 실린더부(21)의 세정수 입구(24a, 24b)를 거쳐서 피스톤부(20) 내의 제 1 유로(27e) 및 제 2 유로(27f)를 통해서 원통형 소용돌이실(29)에 유도되고, 원통형 소용돌이실(29)을 통해서 분출 구멍(25)으로부터 분출된다.
도 51은 도 49의 피스톤부(20)의 선단부의 모식도이다. 도 51a는 피스톤부(20)의 선단부를 표면으로부터 본 경우를 가리키고, 도 51b는 피스톤부(20)의 선단부를 측면으로부터 본 경우를 가리킨다.
우선, 도 5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유로(27e)는 원통형의 원통형 소용돌이실(29)의 주위면에 접속되고, 제 2 유로(27f)는 원통형 소용돌이실(29)의 저면에 접속되어 있다. 전환 밸브(14)의 세정수 출구(143c, 143d)에서의 세정수가 제 1 유로(27e) 및 제 2 유로(27f)에 공급된다.
도 5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유로(27e)에 의해 원통형 소용돌이실(29)에 공급된 세정수는 원통형 소용돌이실(29)의 내주면의 곡면 형상으로 화살표(Z)에 나타내는 스파이럴 상태로 유동한다. 한편, 제 2 유로(27f)에 의해 원통형 소용돌이실(29)에 공급된 세정수는 수직 상방향으로 직선상태로 유동한다.
이와 같이, 원통형 소용돌이실(29)에 있어서 제 1 유로(27e)의 스파이럴 상태의 세정수와 제 2 유로(27f)의 직선장의 세정수가 혼합되어, 분출 구멍(25)에 의해 세정수가 분출된다.
예컨대, 제 1 유로(27e)에 의해 공급되는 세정수의 유량이 제 2 유로(27f)에 의해 공급되는 세정의 유량보다도 많은 경우, 원통형 소용돌이실(29)에 있어서 혼합되는 세정수는, 원통형의 원통형 소용돌이실(29)의 곡면 형상으로 스파이럴 상태를 강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도 51b에 나타내는 화살표(H)가 넓은 각도로 분산 선회류로서 분출된다. 사용자에 의해 분출 형태 분산 조정 스위치(302l)가 가압 조작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세정수는 분산 선회류로서 분출된다.
한편, 제 2 유로(27f)에 의해 공급되는 세정수의 유량이 제 1 유로(27e)에 의해 공급되는 세정수의 유량보다도 많은 경우, 원통형 소용돌이실(29)에 있어서 혼합되는 세정수는 직선 상태를 강하게 유지하기 때문에, 도 51b에 나타내는 화살표(S)가 좁은 각도로 직선류로서 분출된다. 사용자에 의해 분출 형태 집중 조정 스위치(302k)가 가압 조작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세정수는 직선류로서 분출된다.
따라서, 제어부(4)가 전환 밸브(14)의 모터(141)를 제어하여 세정수 출구(143c, 143d)의 유량비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분출 구멍(25)에 의해 분출되는 세정수의 분출 형태가 변화된다.
제 6 실시예에서는 수세 조정 스위치(302g)를 가압하면 세정수 출구(143c)의 유량이 세정수 출구(143d)의 유량보다도 커져, 세정수의 분출 형태가 직선류에 가깝게 된다. 또한, 수세조정 스위치(302h)를 가압하면 세정수 출구(143d)의 유량이 세정수 출구(143c)의 유량보다도 커져, 세정수의 분출 형태가 분산 선회류에 가깝게 된다.
다음에, 제 6 실시예에 따르는 세정수의 분출 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 6 실시예에 있어서는, 모터(15)에 의해 엉덩이 노즐(1)이 전방 위치와 후방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면서, 여러가지의 분출 형태로 세정수를 분출한다.
도 52는 제 6 실시예에 따르는 세정수의 분출 형태의 제 1 예를 나타내는 개략 도면이다.
도 52a는 시간 경과에 따르는 세정수의 분출 형태의 변화 및 엉덩이 노즐(1)의 위치가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52b는 도 52a에 나타내는 분출 형태의 변화를 유사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52에 나타내는 세정수의 분출 형태는 사용자에 의해 모드 스위치(321)가 가압 조작됨으로써 실행된다.
도 52a의 횡축은 시간을 가리키고, 종축은 세정수의 분출 형태 및 세정수의 분출과 동시에 이동하는 엉덩이 노즐(1)의 위치를 가리킨다.
우선, 엉덩이 노즐(1)이 전방 위치로부터 후방 위치로 향하여 이동을 시작하는 동시에, 분출 구멍(25)으로부터 분산 선회류가 분출된다. 그 후, 분산 선회류의 확대 각도가 서서히 작아져 직선류가 분출된다. 또한, 직선류로부터 분산 선회류의 확대 각도가 서서히 커진다. 엉덩이 노즐(1)이 후방 위치로 이동하기까지의 사이, 분산 선회류와 직선류가 교대로 전환된다.
또한, 엉덩이 노즐(1)이 후방 위치로 이동한 후, 엉덩이 노즐(1)은 반환되어 전방 위치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엉덩이 노즐(1)이 전방 위치로 이동하기까지의 사이, 분산 선회류와 직선류가 교대로 전환된다.
이 경우, 도 5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체의 국부에 분출되는 세정수의 세정 범위는 분산 선회류에 의해서 형성되는 도트 패턴의 원의 이동 범위로 되어, 분산 선회류의 이동 범위내에 직선류에 의한 해칭의 직선형상의 세정 범위가 형성된다.
그것에 따라, 세정수의 밀도가 낮은 세정 범위의 중앙부에도 직선류에 의해 세정수의 밀도가 높은 범위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인체의 국부의 광범위를 충분히 세정할 수 있다.
또한, 수세를 갖는 직선류에 의해 인체의 국부 주변에 비산한 세정수를 분산 선회류에 의해서 씻어 버릴 수 있다. 이에 의해, 인체의 국부가 보다 청결히 유지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전방 위치 및 후방 위치에서의 세정수의 분출 형태는 분산 선회류로 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직선류이어도 된다.
도 53은 제 6 실시예에 따르는 세정수의 분출 형태의 제 2 예를 나타내는 개략 도면이다.
도 53a는 시간 경과에 따르는 세정수의 분출 형태의 변화 및 엉덩이 노즐(1)의 위치가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53b는 도 53a에 나타내는 분출 형태의 변화를 유사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53에 나타내는 세정수의 분출 형태는 사용자에 의해 모드 스위치(322)가 가압 조작됨으로써 실행된다.
도 53a의 횡축은 시간을 가리키고, 종축은 세정수의 분출 형태 및 세정수의 분출과 동시에 이동하는 엉덩이 노즐(1(의 위치를 가리킨다.
우선, 엉덩이 노즐(1)이 전방 위치로써 소정 시간 정지한 상태로, 분출 구멍(25)으로부터 직선류가 분출된다. 그 후, 모터(15)에 의해 엉덩이 노즐(1)이 전방 위치로부터 후방 위치로 향하여 이동함과 함께, 직선류로부터 분산 선회류의 확대 각도가 서서히 커진다.
엉덩이 노즐(1)이 후방 위치로 이동하면, 분산 선회류의 확대 각도가 최대로 되어, 엉덩이 노즐(1)이 후방 위치로써 소정 시간 정지한 상태로, 분출 구멍(25)으로부터 분산 선회류가 분출된다.
이 경우, 도 5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체의 국부에 분출되는 세정수의 세정 범위는 직선류에 의한 원형의 세정 범위가 분산 선회류의 확대 각도의 증가와 동시에 서서히 확대한다. 그것에 따라, 인체의 국부의 광범위를 충분히 세정할 수 있다. 또, 여성의 소변시에 있어서, 여성의 국부가 효과적으로 세정되는 것이 기대된다.
도 54는 제 6 실시예에 따르는 세정수의 분출 형태의 제 3 예를 나타내는 개략 도면이다.
도 54a는 시간 경과에 따르는 세정수의 분출 형태의 변화 및 엉덩이 노즐(1)의 위치가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54b는 도 54a에 나타내는 분출 형태의 변화를 유사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54에 나타내는 세정수의 분출 형태는, 사용자에 의해 모드 스위치(323)가 가압 조작됨으로써 실행된다.
도 54a의 횡축은 시간을 가리키고, 종축은 세정수의 분출 형태 및 세정수의 분출과 동시에 이동하는 엉덩이 노즐(1)의 위치를 가리킨다.
우선, 전방 위치로써 엉덩이 노즐(1)이 소정 시간 정지한 상태로 도 52의 예와 같이, 분산 선회류와 직선류가 교대로 분출 구멍(25)으로부터 분출된다.
또한, 분산 선회류와 직선류가 교대로 분출 구멍(25)으로부터 분출되면서 엉덩이 노즐(1)이 전방 위치로부터 후방 위치로 향하여 이동하기 시작한다.
다음에, 엉덩이 노즐(1)이 후방 위치에 도달하는 것보다 이전에, 분출 구멍(25)으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수는 직선류로 된다.
엉덩이 노즐(1)이 후방 위치에 도달한 후에, 엉덩이 노즐(1)이 정지한 상태로 소정 시간 직선류가 분출된다.
이 경우, 도 5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체의 국부에 분출되는 세정수의 세정 범위는 분산 선회류에 의해서 형성되는 도트 패턴의 원의 이동 범위로 되고, 분산 선회류의 이동 범위내에 직선류에 의한 해칭의 직선형상의 세정 범위가 형성된다. 또한, 분산 선회류에 의해서 형성되는 세정 범위가 서서히 축소하여, 직선류에 의한 세정 범위가 형성된다.
그것에 따라, 인체의 국부의 광범위를 충분히 세정할 수 있다. 또, 여성의 국부를 세정하기 위한 비데로서의 세정 효과가 기대된다.
도 55는 제 6 실시예에 따르는 세정수의 분출 형태의 제 4 예를 나타내는 개략 도면이다.
도 55a는 시간 경과에 따르는 세정수의 분출 형태의 변화 및 엉덩이 노즐(1)의 위치가 변화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55b는 도 55a에 나타내는 분출 형태의 변화를 유사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 도 55에 나타내는 세정수의 분출 형태는 사용자에 의해 모드 스위치(324)가 가압 조작됨으로써 실행된다.
도 55a의 횡축은 시간을 가리키고, 종축은 세정수의 분출 형태 및 세정수의 분출과 동시에 이동하는 엉덩이 노즐(1)의 위치를 가리킨다.
우선, 노즐(1)이 전방 위치로부터 후방 위치로 향하여 이동하면서 분출 구멍(25)으로부터 분산 선회류가 분출되고, 엉덩이 노즐(1)이 후방 위치에 도달하는 동시에, 순간에 분산 선회류로부터 직선류로 전환된다.
계속해서, 엉덩이 노즐(1)이 전방 위치로 향하여 이동하면서 분출 구멍(25)으로부터 직선류가 분출되고, 엉덩이 노즐(1)이 전방 위치에 도달하는 동시에, 순간에 직선류로부터 분산 선회류로 전환된다. 이후, 이 동작이 소정 시간 반복된다.
이 경우, 도 5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방 위치로부터 후방 위치에의 엉덩이 노즐(1)의 이동시에는, 인체의 국부에 분출되는 세정수의 세정 범위는 분산 선회류에 의해서 형성되는 도트 패턴의 원의 이동 범위로 된다. 또한, 후방 위치로부터 전방 위치에의 엉덩이 노즐(1)의 이동시에는, 인체의 국부에 분출되는 세정수의 세정 범위는 직선류에 의해서 형성되는 해칭의 직선형상의 범위로 된다.
그것에 따라, 인체의 국부의 광범위를 충분히 세정할 수 있다. 또, 무른 대변이나 소아의 설사변을 효과적으로 세정하는 것이 기대된다.
제 6 실시예에 있어서는, 펌프(13)가 가압 수단에 상당하고, 전환 밸브(14)가 확대 각도 조정 수단 및 유량 조정 수단에 상당하고, 엉덩이 노즐(1), 비데 노즐(2) 및 노즐 세정용 노즐(3)이 노즐 장치에 상당하고, 제 1 유로(27e)가 제 1 유로에 상당하고, 제 2 유로(27f)가 제 2 유로에 상당하고, 원통형 소용돌이실(29)이 회전류 생성 수단에 상당하고, 열교환기(11)가 가열 수단 및 순간식 가열 장치에 상당하고, 진퇴용 모터(15)가 진퇴 구동 수단에 상당하고, 원격 조작 장치(300)가 설정 수단에 상당하고, 제어부(4)가 제어 수단에 상당한다.
또, 도 52 내지 도 55에 나타낸 세정수의 분출 형태는 예이며, 이들에 하등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세정수의 분출 형태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한, 적당한 다른 효과적인 세정을 위한 세정수의 분출 형태의 변화 및 엉덩이 노즐(1)의 이동 방법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수세 강 조정 스위치(302g) 또는 수세 약 조정 스위치(302h)의 가압 조작에 의해, 분출 구멍(25)으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수의 수압도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사용자의 기호나 몸상태 등에 따른 세정을 할 수 있다.
또한, 분산 선회류 및 직선류의 분출 시간 및 엉덩이 노즐(1)의 이동 속도는 적당히 설정할 수 있다.
Claims (46)
- 세정수를 분출하는 분출 구멍과,세정수를 상기 분출 구멍으로 유도하는 제 1 유로를 형성하는 관로와,상기 분출 구멍을 갖고, 상기 관로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또한 선단부가 폐쇄된 통형상의 금속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커버 부재를 포함하며,상기 관로와 상기 커버 부재와의 사이의 공간이 세정수를 상기 분출 구멍으로 유도하는 제 2 유로를 형성하는노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구멍부를 갖고, 또한 상기 제 1 유로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와 상기 제 2 유로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를 합류시켜 상기 구멍부로 유도하는 분출 부재를 더 포함하는노즐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분출 부재는, 일단측에 개구부를 갖고, 또한 타단측에 구멍부를 갖는 분출 공간을 형성하며,상기 제 1 유로는 세정수를 상기 분출 공간에 상기 개구부측으로 유도하고,상기 제 2 유로는 세정수를 상기 분출 공간에 주위면측으로부터 유도하고,상기 분출 공간은 상기 개구부에서 상기 구멍부까지 단계적 또는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단면적을 갖는노즐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분출 공간은 상기 개구부측에서 상기 구멍부측으로 제 1 내경을 갖는 제 1 공간, 상기 제 1 내경보다도 작은 제 2 내경을 갖는 제 2 공간 및 상기 제 2 내경보다도 작은 제 3 내경을 갖는 제 3 공간을 포함하며,상기 제 2 유로로부터 유도되는 세정수는 상기 제 2 공간에 공급되는노즐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공간은 원통형 공간이며,상기 제 2 유로로부터 유도되는 세정수는 상기 원통형 공간의 내주면에 따라서 공급되는노즐 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상기 제 2 유로로부터 세정수가 상기 원통형 공간 내의 소용돌이도가 없는 소용돌이의 최외주에 향해서 토출되도록 상기 제 2 유로의 축이 상기 원통형 공간의 주벽보다 내측 방향으로 되어 있는노즐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공간은 상기 개구부에서 상기 제 2 공간으로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내경을 갖는노즐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제 3 공간은 상기 제 2 공간에서 상기 구멍부로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내경을 갖는노즐 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원통형 공간의 내경은 상기 구멍부의 내경의 2배 내지 5배인노즐 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제 1 유로의 단면적은 상기 분출 공간의 상기 개구부의 단면적보다도 큰노즐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분출 구멍은 상기 커버 부재의 선단 근방의 주벽부에 형성되고,상기 분출 부재는 상기 커버 부재 내의 선단에 삽입되는노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커버 부재의 선단부는 대략 반구형상을 갖는노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금속은 스테인리스인노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커버 부재는 스로틀 가공법으로 형성된노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커버 부재의 선단 근방의 주벽의 일부가 평탄면을 갖도록 형성되고,상기 분출 구멍은 상기 평탄면에 형성된노즐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분출 구멍은 상기 구멍부보다도 큰 내경을 갖는노즐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분출 부재는 상기 구멍부가 상기 분출 구멍에 대하여 위치 결정되도록 상기 커버 부재의 선단부의 내면에 접촉하는 위치 결정부를 갖는노즐 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커버 부재에 형성된 제 1 평탄부와, 상기 분출 부재에 형성된 제 2 평탄부를 포함하며,상기 분출 부재의 상기 제 2 평탄부가 상기 커버 부재의 상기 제 1 평탄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관로가 상기 커버 부재에 삽입되는노즐 장치.
- 제 18 항에 있어서,상기 구멍부의 주위에서의 상기 분출 부재와 상기 분출 구멍의 주위에서의 상기 커버 부재와의 사이를 수밀로 밀봉하는 환상의 밀봉 부재를 더 구비하는노즐 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분출 부재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 부재의 선단부의 내면에 접촉하는 선단 접촉부를 포함하는노즐 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분출 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커버 부재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주위면 접촉부를 포함하는노즐 장치.
- 제 17 항에 있어서,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커버 부재의 후단부에 설치된 결합부와, 상기 관로의 후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결합부가 결합하는 피결합부를 포함하는노즐 장치.
-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세정수를 인체에 분출하는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상기 급수원에서 공급된 세정수를 가압하는 가압 수단과,노즐 장치와,상기 가압 수단에 의해 가압된 세정수를 상기 노즐 장치의 상기 제 1 유로 및 상기 제 2 유로중 한쪽 또는 양쪽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경로 선택 수단을 포함하며,상기 노즐 장치는,세정수를 분출하는 분출 구멍과,세정수를 상기 분출 구멍으로 유도하는 제 1 유로를 형성하는 관로와,상기 분출 구멍을 갖고, 상기 관로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또한 선단부가 폐쇄된 통형상의 금속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상기 관로와 상기 커버 부재와의 사이의 공간이 세정수를 상기 분출 구멍으로 유도하는 제 2 유로를 형성하는위생 세정 장치.
- 제 23 항에 있어서,상기 경로 선택 수단은 상기 제 1 유로 및 상기 제 2 유로에 공급하는 세정수의 유량비를 조정하는 유량 조정 수단을 포함하는위생 세정 장치.
- 제 23 항에 있어서,상기 급수원에서 공급된 세정수를 가열하여 상기 가압 수단에 공급하는 가열 수단을 더 구비하며,상기 가열 수단은 상기 급수원에서 공급된 세정수를 유동시키면서 가열하는 순간식 가열 장치인위생 세정 장치.
- 인체의 국부에 세정수를 분출하는 분출 구멍을 갖는 통형상의 인체 세정 노즐과,상기 인체 세정 노즐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대략 원통형의 내주면을 갖는 노즐 세정 부재를 구비하고,상기 인체 세정 노즐은 상기 노즐 세정 부재 내에 수납 및 상기 노즐 세정 부재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고,상기 노즐 세정 부재는, 인체 세정 노즐의 외주면과 상기 노즐 세정 부재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환상 공간에 세정수를 도입하여 스파이럴형으로 선회시키기 위한 세정수 도입 구멍을 갖는노즐 장치.
- 제 26 항에 있어서,상기 인체 세정 노즐은,원통형의 내주면을 갖는 실린더부와,상기 실린더부내에 수용 및 상기 실린더부에서 돌출 가능하고, 또한 선단부에 상기 분출 구멍을 갖는 원통형의 피스톤부를 포함하며,상기 노즐 세정 부재는 상기 실린더부내에의 상기 피스톤부의 수납 상태로 상기 피스톤부의 선단부 근방을 둘러싸도록 설치되고,상기 피스톤부는 상기 노즐 세정 부재 내에서 요동 가능하게 상기 실린더부에 설치되는노즐 장치.
- 제 27 항에 있어서,상기 피스톤부는,세정수를 상기 분출 구멍으로 유도하는 제 1 유로를 형성하는 관로와,상기 분출 구멍을 갖고, 상기 관로를 둘러싸도록 설치되고, 또한 선단부가 V폐쇄되고, 상기 관로와의 사이에 세정수를 상기 분출 구멍으로 유도하는 제 2 유로를 형성하는 통형상의 커버 부재와,상기 관로의 선단에 설치됨과 함께 구멍부를 갖고, 상기 제 1 유로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와 상기 제 2 유로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를 합류시켜 상기 구멍부로 유도하는 분출 부재를 구비하는노즐 장치.
- 제 26 항에 있어서,상기 세정수 도입 구멍은, 상기 노즐 세정 부재 내에 도입되는 세정수가 상기 인체 세정 노즐의 외주면에 대하여 대략 접선방향으로 분출 가능하게 제공되는노즐 장치.
- 제 26 항에 있어서,상기 인체 세정 노즐의 수납시에 상기 인체 세정 노즐의 선단부가 상기 노즐 세정 부재로부터 돌출하고 있는노즐 장치.
-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세정수를 인체에 분출하는 위생 세정 장치에 있어서,노즐 장치와,상기 노즐 장치의 상기 인체 세정 노즐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제 1 세정수 공급 수단과,상기 노즐 장치의 상기 세정수 도입 구멍에 세정수를 공급하는 제 2 세정수 공급 수단과,급수원에서 공급되는 세정수를 순간적으로 가열하는 가열 장치를 더 구비하며,상기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된 세정수는 증기이며,상기 노즐 장치는,인체의 국부에 세정수를 분출하는 분출 구멍을 갖는 통형상의 인체 세정 노즐과,상기 인체 세정 노즐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대략 원통형의 내주면을 갖는 노즐 세정 부재를 구비하고,상기 인체 세정 노즐은 상기 노즐 세정 부재 내에 수납 및 상기 노즐 세정 부재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설치되고,상기 노즐 세정 부재는, 인체 세정 노즐의 외주면과 상기 노즐 세정 부재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환상 공간에 세정수를 도입하여 스파이럴형으로 선회시키기 위한 세정수 도입 구멍을 갖는위생 세정 장치.
- 제 31 항에 있어서,좌변부와,상기 좌변부상의 인체의 유무를 검출하는 인체 검출 센서와,상기 인체 검출 센서의 출력에 따라서 상기 제 2 세정수 공급 수단에 의한 상기 세정수 도입 구멍에의 세정수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체 검출 센서가 인체를 검출한 경우에 상기 가열 장치에 의해 가열된 세정수를 상기 세정수 도입 구멍으로 공급하지 않는위생 세정 장치.
- 제 31 항에 있어서,급수원에서 공급되는 세정수의 일부 또는 모두를 외부에 배출가능한 분기 배관을 더 구비하며,상기 제 2 세정수 공급 수단은 상기 분기 배관을 흐르는 세정수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세정수 도입 구멍으로 공급하는위생 세정 장치.
- 급수원에서 공급되는 세정수를 인체에 분출하는 분출 구멍을 갖는 노즐 장치와,상기 노즐 장치의 상기 분출 구멍으로부터 분출되는 세정수의 확대 각도를 변화시키는 확대 각도 조정 수단과,상기 노즐 장치를 전방 위치와 후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진퇴 이동시키는 진퇴 구동 수단과,상기 진퇴 구동 수단에 의한 상기 노즐 장치의 진퇴 이동과 상기 노즐 장치의 상기 분출 구멍으로부터의 세정수의 확대 각도의 변화를 조합시키도록 상기 진퇴 구동 수단 및 상기 확대 각도 조정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위생 세정 장치.
- 제 34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 수단은,상기 노즐 장치가 상기 전방 위치와 상기 후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진퇴 이동을 반복하면서 상기 노즐 장치의 상기 분출 구멍으로부터의 세정수의 확대 각도가 변화하도록 상기 진퇴 구동 수단 및 상기 확대 각도 조정 수단을 제어하는위생 세정 장치.
- 제 34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 수단은,상기 노즐 장치가 상기 전방 위치와 상기 후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진퇴 이동을 반복하면서 상기 노즐 장치의 상기 분출 구멍으로부터의 세정수가 분산류와 직선류로 교대로 전환되도록 상기 진퇴 구동 수단 및 상기 확대 각도 조정 수단을 제어하는위생 세정 장치.
- 제 34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 수단은,상기 노즐 장치가 상기 전방 위치로부터 상기 후방 위치 또는 상기 후방 위치로부터 상기 전방 위치까지 이동하면서 상기 노즐 장치의 상기 분출 구멍으로부터의 세정수의 확대 각도가 변화하도록 상기 진퇴 구동 수단 및 상기 확대 각도 조정 수단을 제어하는위생 세정 장치.
- 제 34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 수단은,상기 노즐 장치가 상기 전방 위치로부터 상기 후방 위치 또는 상기 후방 위치로부터 상기 전방 위치까지 이동하면서 상기 노즐 장치의 상기 분출 구멍으로부터의 세정수가 직선류와 분산류과 전환되도록 상기 진퇴 구동 수단 및 상기 확대 각도 조정 수단을 제어하는위생 세정 장치.
- 제 34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 수단은,상기 노즐 장치를 상기 전방 위치 또는 상기 후방 위치로 소정 시간 정지한 상태로 상기 노즐 장치의 상기 분출 구멍으로부터의 세정수의 확대 각도가 변화하도록 상기 진퇴 구동 수단 및 상기 확대 각도 조정 수단을 제어하는위생 세정 장치.
- 제 34 항에 있어서,상기 제어 수단은,상기 노즐 장치가 상기 전방 위치 또는 상기 후방 위치로 정지한 상태로 상 기 노즐 장치의 상기 분출 구멍으로부터의 세정수가 분산류와 직선류로 교대로 전환하도록 상기 진퇴 구동 수단 및 상기 확대 각도 조정 수단을 제어하는위생 세정 장치.
- 제 34 항에 있어서,상기 진퇴 구동 수단에 의한 상기 노즐 장치의 진퇴 이동과 상기 노즐 장치의 상기 분출 구멍으로부터의 세정수의 확대 각도의 변화와의 조합을 설정하는 설정 수단을 더 구비하는위생 세정 장치.
- 제 34 항에 있어서,상기 노즐 장치는,상기 급수원에서의 세정수를 상기 분출 구멍으로 유도하는 제 1 유로와,상기 급수원에서의 세정수를 상기 분출 구멍으로 유도하는 제 2 유로와,상기 제 1 유로의 세정수에 회전류를 생성하는 회전류 생성 수단을 포함하며,상기 확대 각도 조정 수단은, 상기 제 1 유로 및 상기 제 2 유로에 공급되는 세정수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 조정 수단을 포함하는위생 세정 장치.
- 제 42 항에 있어서,상기 회전류 생성 수단은 원통형상실을 갖고,상기 제 1 유로의 세정수는 상기 원통형상실의 내주면에 따라서 공급되는위생 세정 장치.
- 제 34 항에 있어서,상기 급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정수에 주기적인 압력 변동을 주면서 세정수를 가압하여 상기 노즐 장치에 공급하는 가압 수단을 더 구비하는위생 세정 장치.
- 제 34 항에 있어서,상기 급수원에서 공급된 세정수를 가열하여 상기 가압 수단에 공급하는 가열 수단을 더 구비하는위생 세정 장치.
- 제 45 항에 있어서,상기 가열 수단은 급수원에서 공급된 세정수를 유동시키면서 가열하는 순간식 가열 장치인위생 세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3-00124455 | 2003-04-28 | ||
JP2003124454A JP4486317B2 (ja) | 2003-04-28 | 2003-04-28 | ノズル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
JPJP-P-2003-00124454 | 2003-04-28 | ||
JP2003124455A JP4451078B2 (ja) | 2003-04-28 | 2003-04-28 | ノズル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
JP2003271509A JP4331533B2 (ja) | 2003-07-07 | 2003-07-07 | ノズル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
JPJP-P-2003-00271508 | 2003-07-07 | ||
JPJP-P-2003-00271509 | 2003-07-07 | ||
JP2003271508A JP4451088B2 (ja) | 2003-07-07 | 2003-07-07 | ノズル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
JPJP-P-2003-00278231 | 2003-07-23 | ||
JP2003278231A JP2005042429A (ja) | 2003-07-23 | 2003-07-23 | 衛生洗浄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13524A true KR20060013524A (ko) | 2006-02-10 |
KR100722077B1 KR100722077B1 (ko) | 2007-05-25 |
Family
ID=33425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7020386A KR100722077B1 (ko) | 2003-04-28 | 2004-04-27 | 노즐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위생 세정 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8495770B2 (ko) |
EP (1) | EP1627966B1 (ko) |
KR (1) | KR100722077B1 (ko) |
WO (1) | WO2004097125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24506Y1 (ko) * | 2006-05-22 | 2006-08-28 | 주식회사 노비타 | 온수세정기의 변좌커버를 이용한 절전장치 |
US8321969B2 (en) * | 2007-09-19 | 2012-12-04 | Woongjin Conway Co., Ltd. | Bidet having variable nozzle |
KR100901459B1 (ko) * | 2007-10-11 | 2009-06-08 | 세메스 주식회사 | 약액 공급 장치 |
KR101196154B1 (ko) | 2008-05-14 | 2012-10-30 | 파나소닉 주식회사 | 노즐 장치와 그것을 사용한 위생 세정 장치 |
KR101280785B1 (ko) | 2008-07-03 | 2013-07-05 | 파나소닉 주식회사 | 위생 세정 장치 |
US20100242164A1 (en) * | 2009-03-31 | 2010-09-30 | Woongjin Coway Co., Ltd. | Sterilizing water dispensing apparatus, and bidet and toilet seat having the same |
US8065755B2 (en) * | 2009-04-24 | 2011-11-29 | David Chen | Water jet injector for sanitary self-cleaning toilet seat device |
JP5633267B2 (ja) * | 2009-09-30 | 2014-12-03 | Toto株式会社 | 衛生洗浄装置 |
DK2357423T3 (da) * | 2009-12-24 | 2014-10-27 | Geberit Int Ag | Indretning til behandling af vaskevand til et vandkloset med bidet og fremgangsmåde til drift af en sådan indretning |
CN101864798B (zh) * | 2010-06-17 | 2013-04-24 | 陆启平 | 一种自动洁身器 |
KR101286486B1 (ko) * | 2010-06-30 | 2013-07-16 | 코웨이 주식회사 | 밸브 제어 시스템, 이를 이용한 비데 및 밸브 제어 방법 |
US9051722B2 (en) * | 2011-03-04 | 2015-06-09 | Kohler Co. | Multi-spray bidet |
US20160316978A1 (en) * | 2011-11-30 | 2016-11-03 | B-O-Lane Comfortech Co., Ltd. | Toilet seat |
EP2628546B1 (de) * | 2012-02-16 | 2014-08-13 | Geberit International AG | Duscharm für Dusch-WC |
JP5907434B2 (ja) * | 2014-02-17 | 2016-04-26 | Toto株式会社 | リモコン装置 |
CN105507399B (zh) * | 2014-10-14 | 2017-06-16 | Toto株式会社 | 卫生洗净装置 |
CN106032932B (zh) * | 2015-10-10 | 2021-10-29 | 厦门优胜卫厨科技有限公司 | 一种加热装置及使用该装置的局部冲洗装置 |
JP6774618B2 (ja) * | 2016-03-28 | 2020-10-28 | Toto株式会社 | 衛生洗浄装置 |
JP6718590B2 (ja) * | 2016-03-28 | 2020-07-08 | Toto株式会社 | 衛生洗浄装置 |
JP6718591B2 (ja) * | 2016-03-28 | 2020-07-08 | Toto株式会社 | 衛生洗浄装置 |
WO2018156660A1 (en) * | 2017-02-22 | 2018-08-30 |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 Integrated smart actuator device |
CN108532704B (zh) * | 2018-05-25 | 2023-11-28 | 苏州盖业智能科技有限公司 | 多点喷射涡旋水流清洗装置及旋流发泡式喷头、应用 |
CN108951793B (zh) * | 2018-07-27 | 2024-07-05 | 上海科勒电子科技有限公司 | 喷嘴组件 |
US10941554B2 (en) * | 2018-07-27 | 2021-03-09 | Shanghai Kohler Electronics, Ltd. | Nozzle assembly |
EP3899153A1 (en) | 2018-12-19 | 2021-10-27 | Bemis Manufacturing Company | Washing toilet seat |
JP6765644B1 (ja) * | 2019-06-14 | 2020-10-07 | Toto株式会社 | 衛生洗浄装置 |
JP6979175B2 (ja) * | 2019-07-05 | 2021-12-08 | Toto株式会社 | 衛生洗浄装置 |
DE102020108671A1 (de) * | 2020-03-30 | 2021-09-30 | Grohe Ag | Reinigungsdüse für einen Sitz für ein Dusch-WC |
Family Cites Families (5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32525A (en) * | 1933-01-16 | 1936-03-03 | Frank G Brotz | Lavatory waste and fitting |
US3182860A (en) * | 1963-02-26 | 1965-05-11 | Sr John Gallo | Dispensing device |
US3829013A (en) * | 1971-11-03 | 1974-08-13 | H Ratnik | Snow making apparatus |
US3895401A (en) * | 1974-04-22 | 1975-07-22 | Hank Walraven | Drain structure |
DE2646021C3 (de) * | 1976-10-12 | 1979-05-23 | Hans Zollikerberg Zuerich Maurer (Schweiz) | Unterdusche für Klosetts |
JPS57172048A (en) * | 1981-04-15 | 1982-10-22 | Hitachi Chemical Co Ltd | Warm water washing apparatus |
JPS58140278A (ja) | 1982-02-17 | 1983-08-19 | Toshiba Corp | 印刷装置 |
JPS59102033A (ja) | 1982-12-01 | 1984-06-12 | 東陶機器株式会社 | 衛生洗浄装置 |
AU567810B2 (en) * | 1984-05-15 | 1987-12-03 |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 Bidet with rotable spray nozzle |
JPS61126239A (ja) | 1984-11-24 | 1986-06-13 | 松下電工株式会社 | 局部洗浄装置 |
US4704748A (en) * | 1985-03-29 | 1987-11-10 |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 Washing device for parts of human body |
JPH01180573A (ja) | 1986-01-30 | 1989-07-18 | Konica Corp | 画像形成装置 |
US4819878A (en) | 1987-07-14 | 1989-04-11 | The Babcock & Wilcox Company | Dual fluid atomizer |
JPH01180573U (ko) * | 1988-06-07 | 1989-12-26 | ||
JPH02218457A (ja) | 1989-02-21 | 1990-08-31 | Kubota Ltd | 水有転ノズル |
AT394224B (de) * | 1990-04-12 | 1992-02-25 | Oespag Oesterr Sanitaer | An ein wasserklosett anbaubare vorrichtung zum waschen der unteren koerperteile |
JP2614779B2 (ja) | 1990-07-16 | 1997-05-28 | 株式会社エース電研 | パチンコ機 |
JP2543586Y2 (ja) * | 1990-11-07 | 1997-08-06 | 東陶機器株式会社 | 衛生洗浄装置のノズル装置 |
JP2995932B2 (ja) | 1991-07-30 | 1999-12-27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ノズル装置 |
JPH0781295B2 (ja) | 1992-04-16 | 1995-08-30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衛生洗浄装置 |
BE1008069A3 (nl) * | 1994-02-09 | 1996-01-09 | Ericson Kurt Sture Birger | Sanitair toestel met indirekte afvoer. |
JP3596025B2 (ja) | 1994-04-25 | 2004-12-02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衛生洗浄装置 |
US5484107A (en) | 1994-05-13 | 1996-01-16 | The Babcock & Wilcox Company | Three-fluid atomizer |
JPH0849277A (ja) | 1994-08-04 | 1996-02-20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衛生洗浄装置 |
JPH0849279A (ja) | 1994-08-08 | 1996-02-20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衛生洗浄装置 |
CN2220497Y (zh) | 1994-12-09 | 1996-02-21 | 赵国梁 | 用于清洗的便座喷水装置 |
JPH08284236A (ja) | 1995-04-14 | 1996-10-29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衛生洗浄装置 |
JP2822929B2 (ja) | 1995-06-02 | 1998-11-11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衛生洗浄装置 |
CN1096533C (zh) | 1995-07-07 | 2002-12-18 |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 温水冲洗装置 |
FR2737138B1 (fr) * | 1995-07-28 | 1997-08-22 | Air Liquide | Procede et dispositif de pulverisation d'un produit liquide |
US5813060A (en) * | 1996-09-12 | 1998-09-29 | Klopocinski; Stanislaw | Multifunction toilet |
JPH1090078A (ja) * | 1996-09-12 | 1998-04-10 |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 トイレの温水洗浄装置等の温度計測装置 |
KR100217896B1 (ko) * | 1997-04-28 | 1999-09-01 | 김기철 | 여성세척기와 구강샤워기가 일체로 구비된 온냉수겸용 항문세척기 |
DE29724651U1 (de) * | 1997-05-23 | 2002-08-14 | Willy Vogel AG, 12277 Berlin | Vorrichtung zur Aerosolerzeugung |
JPH11193567A (ja) | 1997-12-26 | 1999-07-21 | Toto Ltd | 局部洗浄装置 |
JP2000240131A (ja) | 1998-06-16 | 2000-09-05 | Toto Ltd | アクチュエータとこれを用いた人体洗浄装置 |
JP2000096679A (ja) * | 1998-09-24 | 2000-04-04 | Toto Ltd | 人体局部洗浄装置 |
JP3292185B2 (ja) | 1999-01-25 | 2002-06-17 | 東陶機器株式会社 | 人体洗浄装置 |
US6754912B1 (en) * | 1999-01-25 | 2004-06-29 | Toto Ltd. | Human body cleaner |
JP2000333884A (ja) * | 1999-05-31 | 2000-12-05 | Yasukazu Kawakami | 洗浄便座の殺菌装置 |
US6161778A (en) * | 1999-06-11 | 2000-12-19 | Spraying Systems Co. | Air atomizing nozzle assembly with improved air cap |
JP4178353B2 (ja) | 1999-09-24 | 2008-11-12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局部洗浄装置 |
JP2001132055A (ja) | 1999-11-01 | 2001-05-15 | Toto Ltd | 人体局部洗浄装置 |
US6478239B2 (en) * | 2000-01-25 | 2002-11-12 | John Zink Company, Llc | High efficiency fuel oil atomizer |
JP2001348940A (ja) * | 2000-06-08 | 2001-12-21 | Toto Ltd | 温水洗浄便座 |
JP3699335B2 (ja) | 2000-06-08 | 2005-09-28 | 株式会社クボタ | 作業機のドーザ装置 |
JP4706946B2 (ja) | 2000-06-13 | 2011-06-22 | Toto株式会社 | 人体局部洗浄装置 |
JP2002102809A (ja) | 2000-09-28 | 2002-04-09 | Babcock Hitachi Kk | キャビテーションジェットノズル |
JP4599716B2 (ja) | 2001-01-18 | 2010-12-15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局部洗浄装置 |
JP4366879B2 (ja) | 2001-03-21 | 2009-11-18 |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 衛生洗浄装置 |
JP2002285619A (ja) | 2001-03-23 | 2002-10-03 | Toto Ltd | 衛生洗浄装置 |
JP2003013481A (ja) | 2001-07-04 | 2003-01-15 | Pan Washlet:Kk | 衛生洗浄装置 |
JP2003119869A (ja) * | 2001-10-19 | 2003-04-23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衛生洗浄ノズルおよび衛生洗浄装置 |
JP4275339B2 (ja) | 2001-12-27 | 2009-06-10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衛生洗浄装置 |
US7191473B2 (en) * | 2002-01-15 | 2007-03-20 |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 Sanitary washing apparatus |
EP1536075A4 (en) | 2002-08-29 | 2010-07-28 | Panasonic Corp | HYGIENE WASHING DEVICE |
-
2004
- 2004-04-27 KR KR1020057020386A patent/KR10072207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04-27 US US10/554,624 patent/US849577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04-27 WO PCT/JP2004/006066 patent/WO2004097125A1/ja active IP Right Grant
- 2004-04-27 EP EP04729711A patent/EP1627966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627966A4 (en) | 2010-12-22 |
US20060207006A1 (en) | 2006-09-21 |
US8495770B2 (en) | 2013-07-30 |
KR100722077B1 (ko) | 2007-05-25 |
EP1627966B1 (en) | 2012-08-22 |
WO2004097125A1 (ja) | 2004-11-11 |
EP1627966A1 (en) | 2006-02-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22077B1 (ko) | 노즐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위생 세정 장치 | |
KR101225599B1 (ko) | 위생 세정 장치 | |
CN101597915B (zh) | 喷嘴装置及具有该喷嘴装置的卫生洗净装置 | |
JP4188037B2 (ja) | ノズル装置および衛生洗浄装置 | |
JP4451088B2 (ja) | ノズル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 |
KR101196154B1 (ko) | 노즐 장치와 그것을 사용한 위생 세정 장치 | |
JP6550815B2 (ja) | 人体局部洗浄装置 | |
JP4331533B2 (ja) | ノズル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 |
JP4295048B2 (ja) | ノズル装置および衛生洗浄装置 | |
JP4451078B2 (ja) | ノズル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 |
JP5505344B2 (ja) | 衛生洗浄装置 | |
JP4281386B2 (ja) | 衛生洗浄装置 | |
JP7439574B2 (ja) | 局部洗浄装置 | |
JPS6241013B2 (ko) | ||
JP2006144417A (ja) | 衛生洗浄装置 | |
JP2600836Y2 (ja) | 衛生洗浄装置 | |
JP4091321B2 (ja) | 衛生洗浄装置 | |
JP4255668B2 (ja) | ノズル装置および衛生洗浄装置 | |
JP2004068305A (ja) | 衛生洗浄装置 | |
JP4788727B2 (ja) | 衛生洗浄装置 | |
JP2004100253A (ja) | 衛生洗浄装置 | |
JP4443882B2 (ja) | 衛生洗浄装置 | |
JP2004100252A (ja) | 衛生洗浄装置 | |
JP2004076421A (ja) | 衛生洗浄装置 | |
JP2005090030A (ja) | 衛生洗浄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