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8335A - 작업차량 운전실의 내장부재와 그 성형방법 및 벽부재 - Google Patents

작업차량 운전실의 내장부재와 그 성형방법 및 벽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8335A
KR20060008335A KR1020057023599A KR20057023599A KR20060008335A KR 20060008335 A KR20060008335 A KR 20060008335A KR 1020057023599 A KR1020057023599 A KR 1020057023599A KR 20057023599 A KR20057023599 A KR 20057023599A KR 20060008335 A KR20060008335 A KR 200600083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
panel substrate
interior member
sound absorbing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3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칸이치 사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60008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83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15Acoustic or thermal insulation of passenger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9/00Combinations of shap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main groups B29C39/00 - B29C67/00, e.g. associations of moulding and joining techniques; Apparatus theref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37Side or rear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46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for duct, cable or rod passages, e.g. between engine and passenger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 B62D33/0604Cabs insulated against vibrations or noise, e.g. with elastic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6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Abstract

내장부재의 흡음기능을 높이고, 또한 내장부재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운전실의 내장부재를 적층구조로 일체 성형하고, 표피재와 패널 기재 사이 또는 패널 기재의 내부에 흡음재를 내포시키도록 한다. 또, 이와 같은 내장부재를 반응 사출성형법을 이용하여 성형한다.

Description

작업차량 운전실의 내장부재와 그 성형방법 및 벽부재{WORKING VEHICLE DRIVER'S CHAMBER INTERIOR MEMBER AND METHOD OF MOLDING THE SAME, AND WALL MEMBER}
본 발명은 유압셔블 등의 건설기계, 트랙터 등의 농업기계, 기타 산업용 기계 등, 작업차량 운전실의 내장부재와 그 성형방법 및 벽부재에 관한 것이다.
작업차량에는, 건설기계, 하역기계, 기타 농업기계 등 각종의 것이 있다. 이들 작업차량에 설치되는 운전실(110)은, 예를 들면 건설기계 중 유압셔블(100)에서는, 도 14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하부 주행체(101) 상에 선회기구(102)를 통해서 상부 선회체(103)가 선회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상부 선회체(103)에 기복동작 가능하게 설치된 붐(105)과 그 붐(105)의 선단에 상하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암(106)과 그 암(106)의 선단에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버킷 등의 어태치먼트(107)를 갖는 작업기(104)와, 엔진(108) 등의 동력원 및 운전실(110)이 탑재되어 있다.
상기 운전실(110)은, 일반적으로 박스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앞면에 앞창이 설치되고, 후부에는 가능한 범위에서 큰 창이 설치되며, 상기 작업기(104)의 설치측 상반부에도 창이 설치되고, 그 반대측(차량의 좌측)에 도어(111)가 설치되어서, 이 도어(111)를 개폐함으로써 오퍼레이터가 운전실(110) 내에 출입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운전실(110)에는, 작업성의 향상과 작업환경의 쾌적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운전조작에 요하는 스위치류 등 전기부품이나 표시장치, 에어컨(이하, 공조장치라고 한다)의 분출구 등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부품, 장치는, 스페이스의 확보와 작업기능을 높일 수 있도록 벽면부를 따르도록 해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전방을 보면서 작업을 행하는 이러한 종류의 작업차량의 운전실(11O)은, 앞창으로부터의 전방시계가 넓어져 있는 것이 작업을 행하는 점에서 가장 요망되고 있다. 그 때문에, 운전실(110)은 그 구조상 전방 양측에 위치하는 프론트 필러의 폭을 가능한 한 좁게 해서, 작업시에 있어서의 시계를 가로막는 것을 적게 할 수 있는 배려가 이루어져 있다. 한편, 유압셔블(100)은, 발밑이 나쁜 공사현장에서의 작업에 있어서는, 경사지에서의 작업 등 차체가 비스듬한 상태에서 작업이 이루어지는 일이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차체가 전도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것으로부터, 차체가 전도되어 운전실(110)에 전도 부하가 작용해도, 운전실(110) 내의 작업자가 보호되도록 운전실(110)의 프레임을 튼튼한 구조로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운전실 내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운전시의 작업성 향상과 작업환경 개선을 위해서 넓은 공간을 만들어 내 거주성을 높임과 아울러, 내장을 개선해서 소음저감 등의 쾌적성을 높이는 것이 착안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평9-105150호 공보에 있어서는, 내장하는 부분에 공조용의 덕트(duct)나 측벽에 배치되는 전기적, 기계적인 기능부품이 장착되는 분할된 유닛을 화장 커버에 조립하는 구 성으로 해서, 그 화장 커버를 탄성적으로 운전실 측부에 밀착시키도록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2002-205528호 공보에는, 승용차 등의 차량의 승무원실 내에 설치되는 계기판을, 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지는 표피와, 경질의 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지는 패널 기재로 구성하고, 패널 기재 이면에 일체적으로 덕트 벽부를 형성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일본 특허공개 평9-105150호 공보에 의해 알려지는 운전실의 내장 기술에서는, 운전실의 내측부의 일측면을 덮기 위한 화장 커버는, 내부에 설치하는 기능 부품이 여러가지 있고, 구조상 표면의 출입이 부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이들을 일체화할 수는 없으므로, 부위에 따른 복수의 부편으로 나누어서 성형한 것을 조합시키고, 창유리를 외측판에 설치하는 고무시일을 이용해서 끝부의 처치를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구성은, 일견 합리적이기는 하지만, 조립작업이 복잡해지므로 조립공정수가 많아져서 작업성이 좋지 않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2002-205528호 공보에 의해 알려지는 선행기술에 의하면, 우레탄폼으로 이루어지는 계기판에 의해, 그 내측에 설치된 에어콘 유닛의 작동음을 흡수하는 흡음효과의 향상이 기대되고 있지만, 에어콘 유닛의 작동음보다 음량이 큰 작업차량의 운전실 외부로부터의 소음을 저감하는 효과는 기대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내장부재의 조립성을 향상함과 아울러 운전실 외부로부터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게 된, 작업차량 운전실의 내장부재와 그 성형방법 및 벽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작업차량 운전실의 내장부재는, 표피재와 패널 기재 사이에 흡음재를 내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작업차량 운전실의 내장부재는, 패널 기재의 내부에 흡음재를 내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널 기재에는 이면측에 서로 교차하는 리브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널 기재에는 전기배선 부재의 부착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널 기재의 측단면에 금속판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패널 기재에는 단열성을 구비한 소재가 사용되고, 상기 소재에서 그 내부에 공조 덕트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패널 기재가 고정구에 의해 운전실 본체에 결합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패널 기재는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고, 비발포 내지 3배 발포까지의 발포 배율로 만들어진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는 다른 부재와 일체성형 또는 조립된 후 주입해서 시공하는 부재인 연속기포를 가진 반경질 폴리우레탄 또는 저반발성 폴리우레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음재의 두께가 5∼20㎜인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는 조립시에 장입해서 시공하는 부재인 우레탄폼, 글래스울, PET울, 플라스틱 리사이클 재제 울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작업차량 운전실의 내장부재는, 표피재와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패널 기재와의 사이에 발포 수지재를 내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작업차량 운전실의 벽부재는 상술의 내장부재를 구비하는 작업차량 운전실의 벽부재로서, 내장부재의 패널 기재 측단면에 배치한 금속판과 차음 특성을 갖는 외판 사이에 흡음재를 장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작업차량 운전실의 벽부재는 상술의 내장부재를 구비하는 작업차량 운전실의 벽부재이며, 내장부재를 그 내부에 배치하는 외판부가 철판의 외측에 표피층을 갖는 폴리우레탄 수지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상술의 작업차량 운전실의 내장부재의 성형방법은,
(a) 패널 기재인 폴리우레탄 수지를 제1반응 사출성형용 틀을 이용하여 반응 사출성형법에 의해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공정과,
(b) 표피재를 소정 형상으로 열성형법에 의해 성형하는 공정과,
(c) 상기 열성형법에 의해 성형된 표피재를, 제2반응 사출성형용 틀 내에, 상기 (a)의 공정에서 작성된 패널 기재의 표면과 흡음재의 두께 상당분의 간극을 두고서 설치하고, 흡음재를 상기 간극에 주입해서 반응 발포경화시켜서, 표피재, 흡음재, 패널 기재의 3층을 일체화시키는 공정과,
(d) 상기 제2반응 사출성형용 틀을 열어서 제품을 꺼내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술의 작업차량 운전실의 내장부재의 성형방법은, 내장부재의 주체 구조와 운전실 본체를 고정구에 의해 결합한 후에, 표피재측에서 액상의 흡음 발포재를, 패널 기재와 운전실 본체 사이에 형성되는 공동부에 주입하고, 그 흡음 발포재를 반응 경화시켜서 흡음 발포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내장부재 및 벽부재가 적용되는 작업차량의 운전실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실시형태에 따른 내장부재 및 벽부재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에 따른 내장부재 및 벽부재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에 따른 내장부재 및 벽부재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에 따른 내장부재 및 벽부재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에 따른 내장부재 및 벽부재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에 따른 내장부재 및 벽부재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7실시형태에 따른 내장부재 및 벽부재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8실시형태에 따른 내장부재 및 벽부재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9실시형태에 따른 내장부재 및 벽부재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장부재의 구체적인 적용예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a)와 그 배면측에서 본 도면(b)이다.
도 12의 (a)∼(c)는, 내장부재의 성형 순서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의 (a)∼(c)는, 내장부재로서의 조립 요령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작업차량인 유압셔블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작업차량 운전실의 내장부재와 그 성형방법 및 벽부재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1) 내장부재 및 벽부재의 구조
(제1실시형태)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따른 내장부재 및 벽부재가 적용되는 작업차량의 운전실의 전체 사시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또한 도 2에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내장부재 및 벽부재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 구성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실시형태의 내장부재(13) 및 벽부재(10)는, 운전실(1)의 주로 출입구(6)와는 반대측의 측면(4)으로부터 후부 측면(5)을 지나서 도어(7)의 후방 측면(8)을 구성하는 것이다. 물론, 도어(7)에 있어서도 채용할 수 있다. 또, 창형성 부분(앞창(3), 측면창(4a), 후면창(5a), 후측면창(8a))에 대해서는 유리가 끼워넣어지고, 상기 부분은 종래의 것과 동일한 구성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 도 1에 있어서 부호 9로 나타내어지는 것은 지붕부이다.
본 실시형태의 벽부재(10)는, 운전실 내측에 패널 기재(14)와 흡음재(흡음 발포층)(15)와 표피재(16)가 복합되어진 내장부재(13)를 갖고, 외측에 철판(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소위 외판(11)이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벽부재(10)의 외형은, 운전실 구성 프레임(2, 2')에 맞춰서 조립되는 형상으로 유닛화되어, 외주부에서 운전실 구성 프레임(2, 2')을 따라서 체결부재(도시 생략)에 의 해 외부로부터 끼워넣어져서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벽부재(10)의 외판(11)은 얇은 철판으로 구성되고, 내장부재(13)를 부착하기 위해서 내면측에 복수 개소에서 세로통과부재(12, 12) 및 부착시트부(12a)가 용접되어 있다. 또, 세로통과부재(12, 12)는 외판(11)에 대하여 외곽으로서의 강도를 유지하는 단면형상으로 하는 효과도 갖는다. 그리고, 내부를 구성하는 내장부재(13)는, 플라스틱 재료인 폴리우레탄 수지(예를 들면 구조용 혹은 경질의 폴리우레탄 수지)에 의해 소정 단면형상으로 발포 성형된 부분이 패널 기재(14)로 되고, 이 패널 기재(14)의 외면을 따라 소정 두께의 흡음 발포층(15)이 형성되고, 최외층부에 표피재(16)가 형성되어 일체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패널 기재(14)는 성형시에 그 형상구조에 따라서 발포율이 비발포 내지 3배 발포까지 선택된다. 이 패널 기재(14)를 성형할 때에는, 그 외면측(외판(11)과 결합하는 쪽)의 적소에 조립시 공조용의 에어를 운전실 내에 공급하는 공조용 덕트(17)를 일체로 성형하고, 실내로의 공기 분출구(도시 생략)도 아울러 성형해 둔다. 이렇게 하면, 그 덕트(17)의 내면은 성형틀에 의해 직접 형성되므로, 직선상으로는 물론 굴곡상으로도 자유롭게 형성할 수 있고, 그 내면을 평활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또, 성형의 형편에서, 덕트(17)의 형성부를 따라 측면이 개방상태로 되므로, 이 개방 부분을 덮는 별도 폐쇄부재(17')를 성형해서 그 개방 부분과 조합함으로써 개방 측면을 덮어서 덕트(17)로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덕트(17)의 형성부를 따라 폐쇄부재(17')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양자의 맞춤면에 있어서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 또는 나사고정함으로써 접합한다. 또, 이 경우, 맞춤면 부분은 인롱(印籠)구 조(도시생략)로 해서, 덕트의 내면에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 이외에, 도시 생략하지만, 덕트 형성부의 개방 부분에 폐쇄부재(17')의 접합 면부를 따라 끼워맞춤 구조부를 형성하고, 이 폐쇄부재(17')의 접합면부에 상기 끼워맞춤 구조부와 끼워맞춰지는 돌출가장자리부를 형성하여, 양자를 끼워맞추어 마찰력으로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패널 기재(14)의 이면측 내부에는 리브 구조를 설치하고, 이 리브 구조의 리브(61)와 외판(11)에 의하여 폐공간(6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폐공간(62) 내에 외부로부터 입사된 소음의 음파가 그 폐공간(62) 내부에서 난반사를 일으키고, 간섭 등에 의해 감쇠한 음파만이 패널 기재(14)를 투과하게 되므로 흡음효과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지고, 그것과 동시에 패널 기재(14)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폐공간(62) 내부에 난반사를 저해하지 않을 정도의 흡음재를 장입하여 흡음효과를 높이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흡음 발포층(15)은 발포 수지재로서, 후술하는 성형방법에 의해 연속기포를 가진 반경질 폴리우레탄 수지, 혹은 저반발성의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고, 경질의 폴리우레탄 수지로 형성되는 패널 기재(14)와 표피재(16) 사이에 소정의 두께로 전면에 걸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표피재(16)는 상기 흡음 발포층(15)의 외면을 따라 거의 균등한 두께 로 형성되어 있다. 이 표피재(16)로서는, 비닐레더(vinyl leather), 폴리올레핀계로 표면에 레더형상의 시트를 가진 재료(예를 들면 상품명 「페프」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 제품), 고밀도 면섬유 직물, 고밀도 나일론 직물 또는 고밀도 폴리에스테 르 직물 등, 발수성과 통기성을 구비하고, 표면의 촉감이 양호한 것이 선택 사용된다. 또, 상기 비닐레더, 폴리올레핀계로 표면에 레더형상의 시트를 가진 재료의 경우, 그 표면에 잔주름 모양 등을 붙이거나, 엠보싱 가공에 의한 모양을 붙여서 장식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직물의 경우에는, 그 직물이 가지는 특유한 외관이나 색조에 의해 상기 시트 재료의 경우와 다른 장식성 및 촉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패널 기재(14)와 흡음 발포층(15) 및 표피재(16)가 복합된 내장부재(13)와 외판(11)의 접합은, 외판(11)측에 부착된 세로통과부재(12, 12) 및 부착시트부(12a)에 미리 결합구멍을 소정의 복수 개소에 형성해 두고, 이것에 대한 상기 내장부재(13)측의 측단면(13a)에, 상기 외판(11)측에 형성된 결합구멍과 대응하도록 하여, 예를 들면 개구확장식의 고정구(클립)(18)를 패널 기재(14)의 끝면에 배분해서 심어 설치하여 두고, 그들 클립(18)을 외판측의 결합구멍에 끼워넣어서 고착하도록 한다. 또한, 그들 클립(18) 이외에, 상기 측단면(13a)의 적어도 1개소에 외판(11)과의 결합이 가능한 고정구(도시 생략)를 설치해 두고, 그 고정구에 의해 뒤에서 내장부재(13)를 외판(11)에 고정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클립(18)이 배치된 개소에서의 걸림에 더해서 별도 고정구에서의 고정에 의해 외판(11)과 내장부재(13)를 보다 확실하고 강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클립(18)을, 스냅식의 클립 또는 파스너 등의 소위 원터치식의 고정구에 의해 결합시키도록 하면, 조립 조작을 간단하게 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내장부재(13)와 외판(11)의 접합에는 접착을 이용할 수 있다. 그 경우에는, 외판(11)측에 부착된 부착시트부(12a) 및 내장부재(13)에 심어 설치한 클립 (18) 등에 대해서는, 그것을 생략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상기 표피재(16)를, 내장부재(13)의 크기보다 약간 크게 되도록 제작하고, 그 끝부의 가장자리를 내장부재(13)의 내측으로 접어 구부려서 외판(11)과 접합시키도록 함으로써 유닛화한 상태에서의 취급을 쉽게 하고, 조립 후에 있어서도 가장자리부가 외부로 밀려나오는 일 없이 미려하게 마무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내장부재(13)에 의하면, 표피재(16)로부터 패널 기재(14)까지를 일체적으로 적층 형성하고, 표피재(16)와 패널 기재(14) 사이에 흡음 발포층(15)을 내포시킴으로써 효율이 좋은 차음·흡음특성을 구비하고, 또한 단열효과의 향상도 얻어진다. 또한 패널 기재(14)는 폴리우레탄 수지이며, 반응 사출성형법을 이용하여 임의의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고, 단면강도를 높일 수 있음과 아울러, 내부구조가 여러가지로 세공(細工) 가능하게 된다. 또한 단열성을 갖고, 외부와 운전실 내의 열의 이동을 저감시켜, 염천하 혹은 한냉시에서의 작업시에 있어서의 운전실 내의 공조에 의한 쾌적성을 유지시킨다. 또한 덕트(17)는 단열성을 갖는 패널 기재(14)와 일체로 성형되므로, 효율적으로 공조할 수 있어 에너지 손실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표피재(16)는 장식성과 촉감을 높여서 오퍼레이터에 대한 쾌적성을 제공할 수 있고, 또한 이 표피재(16)에 발수성과 통기성을 구비하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내부의 발포 흡음층(15)과 협동으로 흡음기능을 발휘하고, 토사 등이 표피재(16)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해서 오염이 생겨도 물로 닦을 수 있으므로, 건설기계나 농업기계 등의 운전실에 사용하기에 유효하다. 또, 패널 기재(14)를 구성하는 경질의 폴리우레탄 수지는, 그 발포율을 높이면 볼륨을 크게 해서 소정의 형상 치수에 대하여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단열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편 발포율을 작게 하면 단면강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구성하는 내장부재의 형상구조에 따라 그 발포율을 선택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장부재(13)를 구성하는 각 층의 두께 치수는, 표피재(16)의 두께로서 100∼250㎛, 흡음 발포층(15)의 두께로서 5∼20㎜, 패널 기재(14)(폴리우레탄 수지)의 두께로서 비발포 성형의 경우에서 2∼4㎜, 발포성형의 경우에서 5∼1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치수범위는, 종합적으로 보아서 각 부의 치수를 임의로 조합하여 내장부재로서의 두께 치수의 설정을 행하도록 한다.
또한 패널 기재(14)를 성형할 때에, 그 내부에 상술한 바와 같이 공조용의 덕트(17)나 리브(61)를 일체로 만들어 붙일 수 있고, 또한 전기배선 등의 유지부(전기배선 부재의 부착부)를 설치하거나, 기능 부품의 부착부 등도 성형시에 형성할 수 있고, 그들에 소정의 기기나 배선을 실시해서 내장부재(13)를 유닛화할 수 있다. 또한, 외판(11)에 이 내장부재(13)를 1개의 패널로서 조립하여 벽부재(10)로서 유닛화할 수 있다. 그리고, 유닛화된 벽부재(10)를 이용하여 운전실(1)을 구성하도록 하면, 운전실(1)의 조립공정의 작업성이 격단적으로 향상되어, 합리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내장부재(13)로서, 그 적층구조에 따라서 내장 표면의 장식효과나 흡음층·차음층에 의한 소음의 저감효과 이외에 단열효과가 아울러 얻어진다.
또, 벽부재(10)는 외판(11)이 운전실 구성 프레임(2, 2')에 미리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패널 기재(14)와 흡음 발포층(15)과 표피재(16)가 복합된 내장부재(13)가 뒤에서부터 배치되도록 해도 좋다.
(제2실시형태)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의 내장부재 및 벽부재의 단면 구성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실시형태의 벽부재(10A)는, 상기 제1실시형태에 의한 구성에 내부의 흡음 발포층이 부가된 것이다. 그 밖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거의 같으므로, 동일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의 벽부재(10A)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패널 기재(14)의 표면측(사용시의 운전실 내측)에, 표피재(16) 및 흡음 발포층(15)을 적층 형성한 내장부재(13A)가 설치되고, 이 내장부재(13A)에 있어서의 패널 기재(14)와 외판(11)의 사이에 형성된 공동부(19)에, 그 외판(11)과 내장부재(13A)가 클립(18)에 의해 결합된 후에 흡음재(흡음 발포층)(20)를, 표피재(16) 표면으로부터 소구멍을 뚫어서 외부와 연통시켜 액상의 흡음 발포재를 주입하여 반응 경화시킴으로써 내포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 이 흡음 발포층(20)으로서는 상기 흡음 발포층(15)을 형성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연속기포를 가진 반경질 폴리우레탄 또는 저반발성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2실시형태의 내장부재(13A) 및 벽부재(10A)에 있어서는, 전체로서 상술의 작용 효과가 얻어지고, 이것에 더해서 내포시킨 흡음 발포층(20)에 의해 흡음기능을 발휘시켜, 보다 한층 흡음효과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잡음원에 가까운 벽면부에 배치하는 패널에 사용하도록 하면 유효하다.
(제3실시형태)
도 4에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의 내장부재 및 벽부재의 단면 구성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실시형태의 벽부재(10B)는 내장부재(13B)에 있어서의 표면측의 흡음 발포층을 없애고, 패널 기재(14)의 공동부(19) 내에 흡음 발포층(20)을 배치한 구성의 것이다. 따라서, 각 부위에는 상기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의 내장부재(13B) 및 벽부재(10B)에서는, 상기 제2실시형태의 구성의 것보다는 표층측에 흡음 발포층이 없는 만큼 흡음효과가 낮지만, 패널 기재(14)나 내포되는 흡음 발포층(20)과 외판(11)에 의하여 흡음·차음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술의 부대하는 기능(단열성, 장식성)을 병유시킬 수 있고, 상기 표층측의 흡음 발포층을 생략한 만큼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제4실시형태)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형태의 내장부재 및 벽부재의 단면 구성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제4실시형태의 벽부재(10C)는 기본적으로 상기 제1실시형태의 것에 흡음층을 내포시킨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구조의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의 벽부재(10C)는 내장부재(13C)를 구성하는 부재 중 패널 기재(14)(폴리우레탄 수지)와 외판(11) 사이에 형성되는 공동부(19)에 내포시키는 흡음재(흡음층)(20')로서, 발포 수지재(예를 들면 연속기포를 가진 반경질 폴리우레탄,우레탄폼 등)에 의해 미리 공동부(19)의 형상에 맞춰서 블록 형성된 것을 삽입해서 구성된다. 또한 이 발포 수지재 대신에, 상기 공동부(19)에 부정형의 흡음재(예를 들면 글래스울, PET울, 플라스틱 리사이클 재제의 울 등을, 1종 또는 복수종 조합하여 사용)를 충전해서 흡음층(20')을 형성하고, 내포하도록 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내장부재(13C) 및 벽부재(10C)에 의하면, 그 제작공정에서 상기 공동부(19)에 별도 준비한 흡음재 블록 또는 부정형의 흡음재를 삽입해서 흡음층(20')을 내포시키는 구성으로 되므로, 그 내포하는 흡음재의 흡음특성을 선택해서 형성할 수 있고 흡음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내장부재(13C)와 외판(11)을 결합한 후에 외부로부터 흡음재를 주입 충전하는 것 같은 수고가 드는 방식이 아니므로, 표피재(16) 부분을 상처낼 일이 없어 마무리를 미려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5실시형태)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5실시형태의 내장부재 및 벽부재의 단면 구성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제5실시형태의 벽부재(10D)는, 상기 제3실시형태의 벽부재와 같이 표피재(16)의 내측에 흡음 발포층을 갖지 않는 구성의 내장부재(13D)에 있어서, 패널 기재(14)와 외판(11) 사이에 형성된 공동부(19)에, 상술한 바와 같이 내포시키는 흡음층으로서 발포 수지재(예를 들면 연속기포를 가진 반경질 폴리우레탄, 우레탄폼 등)에 의해 미리 공동부(19)의 형상에 맞춰서 블록 형성된 것을 삽입해서 구성된다. 또한 이 발포 수지재 대신에, 상기 공동부(19)에 부정형의 흡음재(예를 들면 글래스울, PET울, 플라스틱 리사이클 재제의 울 등을, 1종 또는 복수종 조합하여 사용)를 충진해서 흡음층(20')을 형성하고, 내포하도록 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내장부재(13D) 및 벽부재(10D)에 있어서도, 상기 제4실시형태 의 내장부재(13C) 및 벽부재(10C)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6실시형태)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6실시형태의 내장부재 및 벽부재의 단면 구성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제6실시형태의 벽부재(10E)는 내장부재(13E)에 철판이 내포된 구성의 것이고, 그 밖의 구성 부분은 기본적으로 상기 제1실시형태의 벽부재와 거의 동일한 구성이다. 따라서, 구성상 동일 혹은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벽부재(10E)는, 내장부재(13E)를 구성하는 표피재(16)와 흡음 발포층(15)과 패널 기재(14)의 적층에 추가로, 그 패널 기재(14)의 끝면을 따르게 해서 철판(22)이 첨부되고, 이 철판(22)을 통해서 외판(11)과 고정구(클립)(18)에 의해 결합된 구성이다. 이 결합을 위한 클립(18)은, 내장부재(13E)를 형성할 때에, 패널 기재(14)의 성형공정에서 그 기단이 메워넣어지거나, 또는 뒤에서부터 심어 설치하여 소정 위치에 복수 배치되고, 상기 철판(22)에 그 클립(18)에 의한 결합을 위한 설치구멍을 합치시키도록 설치하고, 패널 기재(14)의 끝면과 철판(22)을 접착제로 접합함과 동시에, 상기 클립(18)을 철판(22)에 형성한 결합구멍에 끼워맞춰서 일체화된다. 이와 같이 된 클립(18)을, 외판(11)의 내면측에 부설되어 있는 보강용의 세로통과부재(12)에 미리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멍에 끼워맞춤으로써, 외판(11)의 내면측에 내장부재(13E)를 일체로 결합시킨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내장부재(13E) 및 벽부재(10E)는, 적층구조에 의해서 상술과 같은 기능을 발휘하고, 또한 내포된 철판(22)에 의해서 외판(11)과 철판(22) 의 공간에서 소음이 다중반사를 일으킴으로써 차음기능이 부가되며, 외부로부터 운전실 내로 침입하는 소음 레벨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차음판으로 되는 내포된 철판(22)과 외판(1)의 2중구조에 의해 강성이 높아지고, 다소 중량이 증가하지만 취급이 용이하게 되고, 또 단면강도가 높아지므로 외부로부터 큰 부하를 받았을 때에 운전실 내부를 보호하는 기능이 부가된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철판(22)은 동일한 차음기능을 가지는 것이면 다른 재질의 금속판이어도 좋다. 또, 철판(22)은 내장부재(13E)에 내포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외판(11)측에 미리 부설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철판(22)에 결합구멍을 형성하고, 외판(11)에 내장부재를 결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클립(18)에 의해 철판(22)과 내장부재(13E)가 결합된다. 철판(22)이 외판(11)측에 미리 부설되는 경우에 있어어도 차음판으로서의 기능, 강성을 높이는 기능을 가진다.
(제7실시형태)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7실시형태의 내장부재 및 벽부재의 단면 구성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제7실시형태의 벽부재(10F)는, 기본구성은 상기 제2실시형태와 같지만, 외판(11)의 외면에 발포수지재료(예를 들면 구조용 혹은 경질의 폴리우레탄 수지)를 이용하여 3차원적인 외형을 이루는 외층(폴리우레탄 수지층)(25)을 적층구조로 부가한 외판부(11A)를 구비하는 구성의 것이다. 또한, 구성상 상기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거나 또는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외판부(11A)의 표피층(25a)은 도장품질을 갖고(예를 들면, 표피층(25a) 을 도막이나 도료를 함유하는 수지층 등으로 형성함), 볼록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고, 운전실의 외장 패널을 겸하는 것으로서, 내후성을 구비하여 디자인적으로 미관을 강조하는 것에 이용하기에 효과적이다. 또, 외력에 의한 변형을 고려하여 표피층(25a)을 경질재료로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내장부재(13F)로서는, 상술의 것과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패널 기재(14)와 외판(철판)(11) 사이에 형성되는 공동부(19)에 흡음 발포층(20)이 주입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의 내장부재(13F) 및 벽부재(10F)는, 기능적으로 상기 제2실시형태와 같은 작용 효과를 이룸과 아울러, 외판부(11A)가 부가됨으로써 외관상의 미적 효과와, 그 부가에 의한 단열·흡음효과를 더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는 상승효과를 보인다.
(제8실시형태)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8실시형태의 내장부재 및 벽부재의 단면 구성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제8실시형태의 벽부재(10G)는, 기본적으로 상기 제3실시형태의 구성과 거의 같고, 그것에 철판(22)을 내포시킨 내장부재(13G)와 외판(11)을 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의 것과 구성상 동일 혹은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상술의 것과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벽부재(10G)는, 소정 형상치수로 형성되는 패널 기재(14)의 표면측에 표피재(16)가 직접 형성되어 있고, 그 패널 기재(14)의 끝면을 따르게 해서 철판(22)이 접착되고, 또한 복수의 클립(18)으로 결합되어, 그 철판(22)과 패널 기재(14) 사이에 형성된 공동부(19)에 흡음 발포층(20)이 충전 형성되어 내장부재 (13G)가 형성되고, 이러한 내장부재(13G)를, 세로통과부재(12)에 의해 보강된 외판(11)과 상기 클립(18)으로 그 세로통과부재(12)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구멍과 클립(18)을 결합시켜서 결합된 구성의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내장부재(13G) 및 벽부재(10G)에 의하면, 기본적으로 상기 제3실시형태와 같은 작용 효과를 갖고, 추가로 내포된 철판(22)에 의한 제진·차음효과가 부여되어, 표피재(16)의 바로 아래에 흡음 발포층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내포되어 있는 흡음 발포층(20)에 의해 흡음·차음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제9실시형태)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10실시형태의 내장부재 및 벽부재의 단면 구성도가 나타내어져 있다. 이 제9실시형태의 벽부재(10H)는 기본 구성이 상기 제1실시형태와 같지만, 그것에 철판(22)을 내포시킨 내장부재(13H)와 외판(11)을 조합시켜 이루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의 것과 구성상 동일하거나 또는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상술의 것과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벽부재(10H)는 표피재(16)와 흡음 발포층(15)과 패널 기재(14)를 적층하여 구성되는 내장부재(13H)에, 그 패널 기재(14)의 끝면에 철판(22)을 접착·내포함과 아울러, 패널 기재(14)의 끝면부에 심어 설치된 클립(18)으로 상기 철판(22)과 결합함과 아울러, 외판(11)의 세로통과부재(12)와도 상술한 바와 같이 해서 일체로 결합시켜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철판(22)과 외판(1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24)에 상술과 같은 흡음재로 이루어지는 발포수지재를 충전하여 연속기포의 흡음층(26)을 형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내포부재(13H) 및 벽부재(10H)는 상술과 같은 작용효과에 추가로, 내포 철판(22)과 외판(11)의 사이에 형성된 흡음층(26)에 의해서 해당부분에서의 흡음기능이 부가되므로, 소음의 운전실 내로의 침입을 더욱 저지하여 소음의 전파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이렇게 함으로써 내장부재(13H)와 외판(11)이 주입되는 수지재에 의한 접착에 의해 결합을 강고하게 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2) 내장부재의 적용예
도 1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내장부재의 구체적인 적용예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a)와 그 배면측에서 본 도면(b)이 나타내어져 있다.
이 실시형태의 내장부재(13M)는, 건설기계에 있어서의 운전실의 운전석 우측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외표면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표피재를 사용하여 촉감이 양호하고 의장효과가 높은 것이 선택 사용된다. 내부구조에 대해서는 도 10(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공조용 덕트(17)(폐쇄부재(17')를 부착하고 있지 않은 상태로 나타내고 있다)가 형성됨과 아울러, 다수의 보강 리브(28)가 배치되어서 전체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강도를 갖게 하고 있다. 또한 덕트(17)에 대해서는 공조기(도시 생략)와의 접속 덕트 설치구(29) 및 에어 분출구(30, 30', 30")가 임의의 위치에 형성되고, 그들 분출구(30, 30', 30")에는 일체로 혹은 별도 작성된 루버가 설치된다. 이 내장부재의 단면구조에 대해서는 상기 제1실시형태 내지 제6실시형태,제8실시형태의 내장부재의 구조 중 적응한 것(예를 들면 소음저감의 효과의 정도가 목적과 합치하는 구조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성형시에, 부속시키는 기기의 부착부(예를 들면 모니터 조립부(31))나 재떨이 조립부(32), 컵홀더 부착부(33) 등을 요소에 일체적으로 성형할 수 있다. 또한, 내부에는 부설하는 기기류에 대한 전기배선용의 와이어 하네스 조립홈(34)을 리브(28)에 잘라넣도록 형성해 둠으로써, 배선 작업시에 그들 조립홈(34)에 배선을 끼워넣도록 하면, 특별한 고정구를 설치할 필요없이 조립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 하네스 조립홈(34)으로 나타내어지는 전기배선 코드의 배치 채널이나 커넥터의 홀더부를 포함하는 전기배선 부재의 부착부에, 전기배선 부재가 끼워넣어져 고정됨으로써, 진동이 많은 작업차량에 있어서 안정된 고정이 이루어져, 전기적인 트러블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부품의 모듈화를 달성할 수 있어서 조립 공정수를 삭감할 수 있다.
(3) 내장부재의 성형방법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내장부재의 성형방법에 대해서 상기 제1실시형태 및 제2실시형태를 예로 들어서 설명한다.
도 12의 (a)∼(c)에는 내장부재의 성형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 도 13의 (a)∼(c)에는 내장부재로서의 조립 요령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 각각 나타내어져 있다.
상술의 내장부재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우선, 도 12(a)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패널 기재(14)의 치수형상에 대응하는 성형틀(50)(상부틀(51)과 하부틀(52)) 을 이용하여 반응 사출성형법(저압성형의 하나로 RIM 성형법이라고도 한다.)에 의하여 폴리우레탄 수지를 사용해서 성형한다. 이 때, 패널 기재(14)에 일체로 성형 되는 덕트(17)의 폐쇄부재(17')도 동시에 성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1회의 성형으로 패널 기재(14)와 덕트의 폐쇄부재(17')를 일거에 성형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이다.
다음에 별도 성형틀에 의해, 내장 표면을 형성하는 표피재(16)로 되는 재료를 진공성형법(열성형법)으로 예비 부형한다. 그리고, 도 12(b)에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별도 금형(54)(상부틀(55)과 하부틀(56))을 사용하고, 그 하부틀(56)에 별도 성형으로 얻어진 표피재(16)로 되는 것을 하부틀(56) 표면에 셋트한다. 상부틀(55)에는 먼저 성형된 패널 기재(14)를 셋트해서 하부틀(56)과 상부틀(55)을 조합시키고, 상기 표피재(16)와 패널 기재(14) 사이에 흡음재(흡음 발포층)(15)의 두께 상당분의 간극(캐비티(15a))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기 패널 기재(14)와 표피재(16) 사이에 형성되는 캐비티(15a)에 연속기포를 만드는 반경질 폴리우레탄 또는 저반발 우레탄 등을 주입하고, 패널 기재(14)와 표피재(16)를 흡음 발포층(15)에서 일체화한다(도 12(c)참조).
이렇게 해서 얻어진 내장부재(13)에, 상기 패널 기재(14)의 성형시에 동시성형된 덕트(17)의 개방 부분에 폐쇄부재(17')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 조합함으로써 덕트(17)를 형성한다(도 13(a)참조). 또한 그 내장부재를 구성하는 패널 기재(14)의 내단면의 복수 개소에, 부착부재로 되는 개구확장식의 클립(18)을, 그 끝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고착하여 심어 설치한다.
다음에, 내면측에 보강용의 세로통과부재(12)나 부착시트편(12a)이 일체로 부설된 외판(11)에 대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부착구멍에 상기 클립(18)을 끼워 맞춤으로써, 상기 공정에서 작성된 내장부재(13)를 부착해서 일체화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상기 제1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벽부재(10)를 제작할 수 있다(도 13(b)참조).
또한, 도 13(c)에서 나타내어지는 바와 같이, 상기 공정(도 13(b))에서 외판(11)과 내장부재(13)를 클립(18)으로 일체로 결합된 벽부재(10)에 있어서의 패널 기재(14)와 외판(11) 사이에 형성되는 공동부(19)에, 표피재(16) 표면으로부터 소구멍을 뚫어서 외부와 연통시키고, 약액 주입기(도시생략, 화살표 P로 나타낸다) 등의 주사기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주입수단을 이용하여 액상의 흡음 발포 재를 주입하여, 반응 경화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공동부(19) 내가 흡음 발포층(20)이 형성되어서, 상기 제2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으로 되는 벽부재(10A)를 얻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패널 기재(14)와 외판(11)이 결합된 후부터 흡음 발포층(20)을 형성할 수 있고, 내장부재(13)의 내부에 복잡한 형상의 공동이 있어도 그것을 유효하게 활용해서 흡음효과가 높은 내장부재(13)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주입한 액상의 흡음 발포재의 반응에 따라 내장부재(13)와 외판(11)의 접착성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장부재 및 그 성형방법에 의하면, 반응 사출성형법과 열성형법에 의하여 내장부재(13)의 성형을 병용해서 적층 구성함으로써 그 성형에 요하는 성형틀에 수지틀을 사용할 수 있고, 종래와 같은 금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틀비용이 현저하게 저렴해지고, 그 결과, 성형을 코스트 다운할 수 있고, 또한 대형으로 되어도 제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제품을 저렴하게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조립 작업의 용이성이 얻어지고, 작업 공정을 단축해서 합리화를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이룬다. 또한 차음·흡음에 의한 소음의 저감화와, 공조에 대한 바깥 기온의 전파를 저감해서 운전실 내의 거주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성형시에 그 전체구성은 물론, 내장에 필요한 기능 부품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공조 덕트의 구조기능을 높여서 관련 기기를 효율적으로 운전할 수 있게 함으로써, 내장부재 그 자체의 특징 이외에 관련되는 기기의 기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부차적 효과를 초래할 수 있다.

Claims (16)

  1. 표피재와 패널 기재 사이에 흡음재를 내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운전실의 내장부재.
  2. 패널 기재의 내부에 흡음재를 내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운전실의 내장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기재에는 이면측에 서로 교차하는 리브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운전실의 내장부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기재에는 전기배선 부재의 부착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운전실의 내장부재.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기재의 측단면에 금속판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운전실의 내장부재.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기재에는 단열성을 구비한 소재가 사용되고, 상기 소재에 의해 그 내부에 공조 덕트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운전실의 내장부재.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기재가 고정구에 의해 운전실 본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운전실의 내장부재.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기재는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고, 비발포 내지 3배 발포까지의 발포 배율로 만들어진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운전실의 내장부재.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는 다른 부재와 일체성형 또는 조립후 주입해서 시공하는 부재인 연속기포를 가진 반경질 폴리우레탄 또는 저반발성 폴리우레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운전실의 내장부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의 두께가 5∼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운전실의 내장부재.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는 조립시에 장입해서 시공하는 부재인, 우레탄폼, 글래스울, PET울, 플라스틱 리사이클 재제 울 중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운전실의 내장부재.
  12. 표피재와 폴리우레탄 수지로 이루어지는 패널 기재 사이에 발포 수지재를 내 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운전실의 내장부재.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내장부재를 구비하는 작업차량 운전실의 벽부재로서, 내장부재의 패널 기재 측단면에 배치한 금속판과 차음 특성을 갖는 외판 사이에 흡음재를 장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운전실의 벽부재.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내장부재를 구비하는 작업차량 운전실의 벽부재로서, 내장부재를 그 내부에 배치하는 외판부가 철판의 외측에 표피층을 갖는 폴리우레탄 수지층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운전실의 벽부재.
  15. (a) 패널 기재인 폴리우레탄 수지를 제1반응 사출성형용 틀을 이용하여 반응 사출성형법에 의해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공정;
    (b) 표피재를 소정 형상으로 열성형법에 의해 성형하는 공정;
    (c) 상기 열성형법에 의해 성형된 표피재를, 제2반응 사출성형용 틀 내에, 상기 (a)의 공정에서 작성된 패널 기재의 표면과 흡음재의 두께 상당분의 간극을 두고서 설치하고, 흡음재를 상기 간극에 주입해서 반응 발포경화시켜서, 표피재, 흡음재, 패널 기재의 3층을 일체화시키는 공정; 및
    (d) 상기 제2반응 사출성형용 틀을 열어서 제품을 꺼내는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운전실의 내장부재의 성형방법.
  16. 내장부재의 주체 구조와 운전실 본체를 고정구에 의해 결합한 후에, 표피재측에서 액상의 흡음 발포재를, 패널 기재와 운전실 본체 사이에 형성되는 공동부에 주입하고, 그 흡음 발포재를 반응 경화시켜서 흡음 발포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운전실의 내장부재의 성형방법.
KR1020057023599A 2003-06-11 2004-06-08 작업차량 운전실의 내장부재와 그 성형방법 및 벽부재 KR200600083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66687 2003-06-11
JPJP-P-2003-00166687 2003-06-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8335A true KR20060008335A (ko) 2006-01-26

Family

ID=33549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3599A KR20060008335A (ko) 2003-06-11 2004-06-08 작업차량 운전실의 내장부재와 그 성형방법 및 벽부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7575266B2 (ko)
JP (1) JPWO2004110819A1 (ko)
KR (1) KR20060008335A (ko)
CN (1) CN100372704C (ko)
DE (1) DE112004001016T5 (ko)
GB (1) GB2418246B (ko)
WO (1) WO20041108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592A (ko) * 2015-03-20 2016-09-2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소음 저감 장치 및 이를 갖는 건설기계의 캐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12004001016T5 (de) * 2003-06-11 2006-04-20 Komatsu Ltd. Innenraum einer Kabine eines Arbeitsfahrzeuges und Verfahren zu dessen Ausbildung und zur Ausbildung eines Wandelements
EP2001731B1 (en) * 2006-03-28 2014-05-07 Volvo Lastvagnar AB Laminated vehicle wall
JP5124157B2 (ja) * 2007-04-12 2013-01-23 株式会社クボタ キャビン付き走行車両
KR20080092838A (ko) 2007-04-12 2008-10-16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캐빈을 구비한 주행 차량
US8127080B2 (en) * 2008-02-01 2012-02-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Wake-and-go mechanism with system address bus transaction master
JP5872566B2 (ja) * 2010-10-20 2016-03-01 ボルボ コンストラクション イクイップメント アーベー 建設機械用転覆防止構造のキャブ
CN103434456B (zh) * 2013-08-09 2015-09-23 无锡吉兴汽车声学部件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带空调管地毯下隔音垫的生产方法
USD751123S1 (en) 2014-12-19 2016-03-08 One Fifty Labs Inc. Operator cab
CA2875553A1 (en) 2014-12-19 2016-06-19 Metalboss Labs Inc. Operator cabs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same
JP6177840B2 (ja) * 2014-12-19 2017-08-09 豊田鉄工株式会社 重ね合わせ複合内装部品
DE102015210485A1 (de) * 2015-06-09 2016-12-1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WO2019005880A1 (en) 2017-06-27 2019-01-03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m Systems Co. Ltd. VEHICLE INTERIOR COMPONENT
CN108583499A (zh) * 2018-05-23 2018-09-28 合肥宏立至信汽车部件制造有限公司 一种防止前排座椅侧气囊爆破飞溅物超重的泡沫结构
JP7195105B2 (ja) * 2018-10-09 2022-12-2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キャブ及び作業機械
CN109435866B (zh) * 2018-12-24 2024-02-06 吉林大学 一种汽车驾驶室吸声装置及其控制方法
DE102021209983A1 (de) 2021-09-09 2023-03-09 Elringklinger Ag Strukturbauteil, Fahrzeu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trukturbauteils
US20230326444A1 (en) * 2022-04-12 2023-10-1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ast cover with integrated noise mitiga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0663C (ko) 1900-01-01
US2198885A (en) * 1932-04-21 1940-04-30 Celotex Corp Composite thermal insulating unit
US2069413A (en) * 1935-12-06 1937-02-02 Burgess Lab Inc C F Sound and vibration damping construction
US2973295A (en) * 1957-05-08 1961-02-28 Crown Zellerbach Corp Process of incorporating foamable materials in corrugated paperboard and the article derived therefrom
US3829150A (en) * 1972-11-13 1974-08-13 Portland Wire & Iron Works Apparatus for removable securing sound-proofing material to a construction vehicle
US3868796A (en) * 1973-04-04 1975-03-04 Ford Motor Co Side door intrusion protection
FR2273690A1 (fr) 1974-06-04 1976-01-02 British Leyland Uk Ltd Moyen pour absorber l'energie, destine a etre place a l'interieur des vehicules pour proteger les passagers en cas de choc
JPS5262815A (en) * 1975-11-17 1977-05-24 Mitsubishi Motors Corp Method of manufacturing sound insulation double wall
JPS52151509U (ko) * 1976-05-12 1977-11-17
JPS52151509A (en) 1976-06-12 1977-12-16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Collection system of power supply synchronous data
US4206267A (en) * 1977-01-07 1980-06-03 Otto Jungbluth Composite structural material
DE2904688C2 (de) * 1979-02-08 1985-12-05 Chemie-Werk Weinsheim Gmbh, 6520 Worms Verfahren zum Aufbringen eines mehrschichtigen Belags auf ein Karosserieblech
US4351870A (en) * 1979-10-22 1982-09-28 English Jr Edgar Maximized strength-to-weight ratio panel material
JPS58150545A (ja) 1982-03-03 1983-09-07 Sumitomo Chem Co Ltd 1−アミノアントラキノンの精製方法
JPS58150545U (ja) * 1982-04-05 1983-10-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内装材
JPS58183330A (ja) * 1982-04-21 1983-10-26 Nippon Sekisoo Kogyo Kk 車両床面用の複合防音材
DE3215244A1 (de) * 1982-04-23 1983-10-27 Cellofoam Deutschland Gmbh, 7950 Biberach Schalldaemmende auskleidung,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sowi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S4546899A (en) 1982-11-22 1985-10-15 Omico Plast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molded hollow article with filling of foamed plastic thermal insulation, and article produced thereby
JPS59120545A (ja) * 1982-12-27 1984-07-12 Mikuni Seisakusho:Kk インシユレ−タダツシユ及びその成形方法
JPS60240571A (ja) * 1984-05-11 1985-11-29 Kasai Kogyo Co Ltd インシユレ−タフ−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0240543A (ja) * 1984-05-14 1985-11-29 Kasai Kogyo Co Ltd 自動車用インシユレ−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S61113535A (ja) * 1984-11-08 1986-05-31 Kasai Kogyo Co Ltd トランクル−ムの防音構造
DE3502056A1 (de) * 1985-01-23 1986-07-24 Hilmar 5630 Remscheid Herrmann Wasserschutzbekleidung zum abdecken von karosserieteilen gegen von aussen in den fahrgastraum eindringende naesse
DE3624427A1 (de) * 1986-07-18 1988-01-21 Stankiewicz Alois Dr Gmbh Adhaesives zerstoerungsfrei entfernbares isolationssystem
JPS63188544A (ja) * 1987-01-28 1988-08-04 Kasai Kogyo Co Ltd 自動車用インシユレ−タ
JPH0620705Y2 (ja) 1987-09-29 1994-06-01 油谷重工株式会社 内装材の取付構造
US4971850A (en) * 1989-09-11 1990-11-20 Kuan Hong Lo Assembled sound-muffling thermal insulation board
DE3932121A1 (de) * 1989-09-27 1991-04-04 Porsche Ag Ausgeschaeumte fahrzeugkarosserie
JPH04169346A (ja) * 1990-11-02 1992-06-17 Kasai Kogyo Co Ltd 自動車用ドアトリム
JPH04201750A (ja) * 1990-11-30 1992-07-22 Nishikawa Kasei Co Ltd 自動車の内装品
US5040335A (en) * 1991-03-18 1991-08-20 Davidson Textron Inc. Inner panel assembly with integral energy absorber
JP2641350B2 (ja) * 1991-08-09 1997-08-13 河西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内装部品
US5111619A (en) * 1991-08-12 1992-05-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Door trim panel retaining assembly
DE4209024B4 (de) * 1992-01-17 2005-10-27 Carcoustics Tech Center Gmbh Isolationsteil
US5280991A (en) * 1992-02-19 1994-01-25 Prince Corporation Headliner
USRE37139E1 (en) * 1992-03-13 2001-04-17 Ludwig Krickl Insulating element for building
ES2069342T3 (es) * 1992-05-13 1995-05-01 Hp Chemie Pelzer Res & Dev Revestimiento de pared acusticamente activo para automoviles.
US5472760A (en) * 1993-06-25 1995-12-05 W. L. Gore & Associates, Inc. Vehicle insulation
US5389317A (en) 1993-08-19 1995-02-14 Davidson Textron Inc. Method for molding composite articles including a shaped foam cushion by spraying foamable components
FR2720983B1 (fr) * 1994-06-08 1996-08-02 Plasto Sa Garniture composite à double paroi pour automobile.
US5744763A (en) * 1994-11-01 1998-04-28 Toyoda Gosei Co., Ltd. Soundproofing insulator
US5626382A (en) 1995-04-03 1997-05-06 Lear Corporation Molded plastic panel having integrated, localized soft-touch aesthetic feature
JP2953363B2 (ja) 1995-10-11 1999-09-27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運転室
JPH1095369A (ja) * 1996-09-19 1998-04-14 Toyota Auto Body Co Ltd ダッシュサイレンサの取付構造
US6086145A (en) * 1998-07-16 2000-07-11 Textron Automotive Company Inc. Blow molded headliner
US5932331A (en) * 1998-10-08 1999-08-03 Simco Automotive Trim, Inc. Automotive trim panel having dual density foam support layer
FR2786840B1 (fr) 1998-12-07 2001-02-09 Sommer Ind Revetement automobile a proprietes amortissantes mecaniquement et acoustiquement
JP2000319938A (ja) 1999-05-10 2000-11-21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用キャブ
DE19956335A1 (de) 1999-11-23 2001-05-31 Sca Schucker Gmbh & Co Verfahren und Anlage zur Herstellung von mit einer Dämmstoffschicht versehenen Karosseriebauteilen
FR2812847A1 (fr) * 2000-08-08 2002-02-15 Sai Automotive Allibert Ind Porte de vehicule automobile
JP2002205528A (ja) 2001-01-05 2002-07-23 Inoac Corp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ダクト構造
JP2003032861A (ja) 2001-07-17 2003-01-31 Inoac Corp 車両内装部材の車両用電線保持構造
US6659223B2 (en) * 2001-10-05 2003-12-09 Collins & Aikman Products Co. Sound attenuating material for use within vehicl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20040113455A1 (en) * 2002-10-17 2004-06-17 Schmidt Glen D. Energy absorbing impact deflector incorporating a thermoformed outer panel and an expanded foam insert
JP4183549B2 (ja) * 2003-04-25 2008-11-1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機械の運転室屋根部材
DE112004001016T5 (de) 2003-06-11 2006-04-20 Komatsu Ltd. Innenraum einer Kabine eines Arbeitsfahrzeuges und Verfahren zu dessen Ausbildung und zur Ausbildung eines Wandelements
DE10334273B4 (de) * 2003-07-25 2007-02-15 Carcoustics Tech Center Gmbh Schallisolierendes Verbundteil
US20060216479A1 (en) * 2005-03-22 2006-09-28 Lear Corporation Two-shot, co-injected trim panel
US7284784B2 (en) * 2005-06-08 2007-10-23 Lear Corporation Automotive bolster with soft fee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2592A (ko) * 2015-03-20 2016-09-28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소음 저감 장치 및 이를 갖는 건설기계의 캐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02276A (zh) 2006-07-12
US7575266B2 (en) 2009-08-18
US7686992B2 (en) 2010-03-30
JPWO2004110819A1 (ja) 2006-07-20
GB0526311D0 (en) 2006-02-01
GB2418246B (en) 2007-12-27
US7753426B2 (en) 2010-07-13
CN100372704C (zh) 2008-03-05
US20090200826A1 (en) 2009-08-13
US20070278826A1 (en) 2007-12-06
US20070096491A1 (en) 2007-05-03
DE112004001016T5 (de) 2006-04-20
WO2004110819A1 (ja) 2004-12-23
GB2418246A (en) 200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6992B2 (en) Interior member for cab of work vehicle and method for forming same, as well as wall member
JP4163214B2 (ja) 内装材およびパネル構成体、並びに内装材の製造方法
JP4678543B2 (ja) 作業車両の内装部材とその製造方法
JP4183549B2 (ja) 作業機械の運転室屋根部材
US9216630B2 (en) Water shield
WO2007097278A1 (ja) ドア用シール材
US20220134973A1 (en) Door wiring modul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oor wiring module
US20060220414A1 (en) Vehicle door panel and component assembly mounted through the panel
WO2013077003A1 (ja) 自動車用内外装材及びその製造方法
EP1707336A1 (en) Automotive interior trim compon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18012460A (ja) 車両の側部車体構造
JPS63166635A (ja) 車輌用電装部品の組付方法
JP2708670B2 (ja) 自動車用ドアトリム
JP3545263B2 (ja) フロントピラーの下部構造
JP3298818B2 (ja) 自動車の通気装置
JPH10157489A (ja) 車両用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構造
JP3722256B2 (ja) ドアトリムにおけるフィニッシャーの取付構造
JP3509559B2 (ja) 車両の衝撃吸収構造
JP4262850B2 (ja) 合成樹脂製ドアミラーカバー
JP2001138773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及び防音構造
JP2021154928A (ja) 車両用外装パネル
JP2007290637A (ja) スライドドア車両のオープニングトリム構造
JPH08104138A (ja) 自動車用内装部品におけるポケット構造
JP2004106590A (ja) 自動車用内装部品
JPH0776215A (ja) 自動車用トリムアセンブ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