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2592A - 소음 저감 장치 및 이를 갖는 건설기계의 캐빈 - Google Patents

소음 저감 장치 및 이를 갖는 건설기계의 캐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2592A
KR20160112592A KR1020150038595A KR20150038595A KR20160112592A KR 20160112592 A KR20160112592 A KR 20160112592A KR 1020150038595 A KR1020150038595 A KR 1020150038595A KR 20150038595 A KR20150038595 A KR 20150038595A KR 20160112592 A KR20160112592 A KR 20160112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bsorbing
cabin
noise reduction
noise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1790B1 (ko
Inventor
강정환
김주호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8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790B1/ko
Publication of KR20160112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91Lids or bonnets or door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3Structures to protect drivers, e.g. cabins, doors for cabins; Falling object protection structure [FOPS]; Roll over protection structure [ROPS]

Abstract

소음 저감 장치는 제1 소음 저감부 및 제2 소음 저감부를 포함한다. 제1 소음 저감부는 건설기계의 캐빈 천장 내부면 상에 고정 설치되어 캐빈 내부의 소음을 흡수하고, 캐빈 천장 내부면과 이격 설치되며 천장 내부면으로부터 제1 깊이의 제1 흡음 공기층을 형성하는 제1 흡음 부재를 포함한다. 제2 소음 저감부는 제1 소음 저감부에 인접하도록 캐빈 천장 내부면 상에 고정 설치되어 캐빈 내부의 소음을 흡수하고, 캐빈 천장 내부면과 이격 설치되며 천장 내부면으로부터 제2 깊이의 제2 흡음 공기층을 형성하는 제2 흡음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음 저감 장치 및 이를 갖는 건설기계의 캐빈{NOISE REDUCING DEVICE AND CABIN OF CONSTRUCTION MACHINER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소음 저감 장치 및 이를 갖는 건설기계의 캐빈에 관한 것이다. 더욱 자세하게는, 건설기계의 캐빈 내부에 설치되는 소음 저감 장치 및 이를 갖는 건설기계의 캐빈에 관한 것이다.
건설기계는 운전 과정에서 다양한 소음들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소음들은 캐빈 내부로 전달되어 운전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고, 작업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캐빈 내부의 소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캐빈 내부에는 흡음재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흡음재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판상형 소음기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판상형 소음기는 특정 주파수를 갖는 소음만을 저감시킬 수 있을 뿐이어서 다양한 주파수의 소음들을 모두 제거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판상형 소음기는 1kHz 이상의 고주파 소음을 제거하는 데는 효과적이지만 1kHz 이하의 저주파 소음에 대해서는 소음 저감 능력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저주파 소음의 예로는 엔진의 폭발 사이클에 따른 소음, 팬의 회전에 따른 소음 및 유압펌프의 실린더 작동에 따른 소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다양한 주파수 성분을 갖는 캐빈 내부의 소음들을 저감시킬 수 있는 소음 저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상기 소음 저감 장치를 갖는 건설기계의 캐빈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는 제1 소음 저감부 및 제2 소음 저감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소음 저감부는 건설기계의 캐빈 천장 내부면 상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캐빈 내부의 소음을 흡수하고, 상기 캐빈 천장 내부면과 이격 설치되며 상기 천장 내부면으로부터 제1 깊이의 제1 흡음 공기층을 형성하는 제1 흡음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소음 저감부는 상기 제1 소음 저감부에 인접하도록 상기 캐빈 천장 내부면 상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캐빈 내부의 소음을 흡수하고, 상기 캐빈 천장 내부면과 이격 설치되며 상기 천장 내부면으로부터 제2 깊이의 제2 흡음 공기층을 형성하는 제2 흡음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흡음 부재들은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흡음 부재층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소음 저감 장치는 상기 제1 및 제2 흡음 공기층들을 구획하기 위한 격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음 부재와 상기 제2 흡음 부재는 두께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소음 저감부는 상기 캐빈 천장 내부면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2 흡음 공기층의 깊이를 조절하기 위한 깊이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음 공기층의 상기 제1 깊이와 상기 제2 흡음 공기층의 상기 제2 깊이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흡음 부재들은 각각 부직포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소음 저감 장치는 제3 소음 저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소음 저감부는 상기 제2 소음 저감부에 인접하도록 상기 캐빈 천장 내부면 상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캐빈 내부의 소음을 흡수하고, 상기 캐빈 천장 내부면과 이격 설치되며 상기 천장 내부면으로부터 제3 깊이의 제3 흡음 공기층을 형성하는 제3 흡음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음 저감부 및 상기 제2 소음 저감부는 상기 캐빈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캐빈의 내부를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음 저감부 및 상기 제2 소음 저감부는 상기 캐빈 내부면 상에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건설기계의 캐빈은, 건설기계의 상부 선회체에 설치되어 내부에 운전자가 탑승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전방은 전방 글래스에 의해 커버되고 상부는 천장에 의해 커버되는 캐빈 프레임, 및 상기 천장의 내부면 상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캐빈 프레임 내부 공간의 소음을 흡수하는 소음 저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음 저감 장치는, 상기 캐빈 천장 내부면과 이격 설치되며 상기 천장 내부면으로부터 제1 깊이의 제1 흡음 공기층을 형성하는 제1 흡음 부재를 갖는 제1 소음 저감부, 및 상기 제1 소음 저감부에 인접하도록 상기 캐빈 천장 내부면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캐빈 천장 내부면과 이격 설치되며 상기 천장 내부면으로부터 제2 깊이의 제2 흡음 공기층을 형성하는 제2 흡음 부재를 갖는 제2 소음 저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는 내부에 다수개의 흡음 공기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음 공기층들은 공기를 포함하며, 건설기계에서 발생한 1kHz 이하의 저주파 소음들을 흡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흡음 공기층들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주파수를 갖는 소음들을 동시에 저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자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건설기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캐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소음 저감 장치를 사용한 경우 소음이 저감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 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건설기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캐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이 때, 도 3은 도 2의 캐빈을 A-A'라인을 따라 절단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캐빈을 B-B'라인을 따라 절단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건설기계(10)는 상부 선회체(20), 하부 주행체(30)및 캐빈(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선회체(20)는 엔진, 붐, 암, 버킷, 각종 유압 실린더 및 카운터 웨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선회체(20)는 하부 주행체(30) 상에 탑재되며, 지면과 평행한 평면 상에서 회전하여 작업 방향을 설정하고, 상기 유압 실린더에 의해 상기 붐, 상기 암 및 상기 버킷을 작동시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웨이트를 이용하여 작업 중인 건설기계(10)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하부 주행체(30)는 상부 선회체(20) 및 캐빈(40)을 지지하고, 상기 엔진에서 발생한 동력을 이용하여 건설기계(10)를 주행시킬 수 있다.
캐빈(40)은 상부 선회체(20)에 설치되며, 내부에 운전자가 탑승하여 건설기계(10)를 조종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빈(40)은 골격을 이루는 프레임(100), 캐빈(40)의 전방을 커버하는 글래스(300), 캐빈(40)의 상부를 커버하는 천장(200), 캐빈(40)의 측면을 커버하는 측면 도어(400), 및 천장(200)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소음 저감 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캐빈(40) 내부에는 상부 선회체(20) 및 하부 주행체(30)를 조종하기 위한 각종 조종 장치들이 구비될 수 있다.
운전자는 캐빈(40)의 측면에 설치된 측면 도어(400)를 통해 캐빈(40) 내부로 출입할 수 있고, 캐빈(40) 전방에 설치된 전방 글래스(300)를 통해 외부를 조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방 글래스는 빛의 투과가 가능한 유리 또는 아크릴 등일 수 있다.
전방 글래스(300)는 분리 가능한 하부 글래스(310) 및 상부 글래스(32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글래스(310) 및 상부 글래스(320)는 필요에 따라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상부 글래스는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천장에 고정시킬 수 있고, 상기 하부 글래스는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착탈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캐빈(40)은 전방이 개방될 수 있다.
소음 저감 장치(500)는 캐빈(40)의 천장(200) 내측면에 설치되며, 건설기계(10)로부터 발생하여 캐빈(40) 내부로 전달된 소음들을 저감할 수 있다. 특히, 주파수가 1kHz 이상인 고주파 영역의 소음뿐만 아니라 주파수가 1kHz 이하인 저주파 영역의 소음들도 저감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소음 저감 장치(500)는 천장(200) 내부면에 고정되는 상부 패널(510), 상부 패널(510)로부터 제3 방향으로 연장하는 측벽(520) 및 제1 격벽(540), 측벽(520) 및 제1 격벽(540)의 일단면을 커버하여 내부에 제1 및 제2 흡음 공기층들(560, 562)을 형성하는 제1 흡음 부재(530), 및 상부 패널(510)과 제2 흡음 공기층(562)사이에 설치되는 제1 조절 부재(5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패널(510)은 캐빈(40)의 천장(200) 내부면에 접촉할 수 있다. 상부 패널(510)은 소음 저감 장치(500)를 천장(200)에 고정시킬 수 있고, 측벽(520), 제1 흡음 부재(530) 및 제1 격벽(540)과 함께 제1 및 제2 흡음 공기층들(560, 562)을 정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부 패널(510)은 천장(20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측벽(520) 및 제1 격벽(540)은 천장(200)으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측벽(520)은 상부 패널(510)의 외주면을 따라 제3 방향으로 연장하여 제1 및 제2 흡음 공기층들(560, 562)을 둘러쌀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3 방향은 상기 천장의 내부면으로부터 상기 캐빈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측벽(520)의 일단은 상부 패널(510)과 접촉하며 타단은 제1 흡음 부재(530)와 접촉할 수 있다. 측벽(520)은 상부 패널(510), 제1 흡음 부재(530) 및 제1 격벽(540)과 함께 제1 및 제2 흡음 공기층들(560, 562)을 정의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측벽(520)은 상부 패널(5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흡음 부재(530)는 제1 방향으로 연장하여 측벽(520)의 일단면을 완전히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3 방향과 수직하며, 상기 캐빈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캐빈의 내부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1 흡음 부재(530)의 상면은 측벽(520) 및 제1 격벽(540)과 접촉할 수 있고, 저면은 캐빈(40)의 내부를 향해 노출될 수 있다. 이 때, 제1 흡음 부재(530)는 제1 두께(T1)를 가질 수 있다.
제1 흡음 부재(530)는 측벽(520) 및 제1 격벽(540)에 의해 상부 패널(510)과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패널(510)과 제1 흡음 부재(530) 사이에는 중공(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중공에는 공기가 수용될 수 있고, 제1 격벽(540)에 의해 제1 흡음 공기층(560) 및 제2 흡음 공기층(562)으로 구획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흡음 부재(530)는 제1 흡음 공기층(560)을 커버하는 제1 서브 흡음 부재(도시되지 않음) 및 제2 흡음 공기층(562)을 커버하는 제2 서브 흡음 부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흡음 부재들은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흡음 부재층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흡음 부재층이 제1 흡음 부재(53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서브 흡음 부재들이 서로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경우에는 제1 흡음 부재(530)는 균일한 두께(T1)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흡음 부재(530)는 부직포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는 섬유를 기계적, 화학적 또는 열 처리를 통해서 섬유 집합체를 결속시킨 것으로, 접착포(bonded fabric)라고도 불린다. 상기 부직포는 캐빈(40) 내부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두께(T1)가 4cm인 상기 부직포는 주파수가 1kHz 이상인 고주파 영역의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제1 격벽(540)은 상부 패널(510)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측벽(520)과 동일한 길이만큼 연장할 수 있다. 제1 격벽(540)의 일단은 상부 패널(510)과 접촉하고 타단은 제1 흡음 부재(530)와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격벽(540)은 상기 중공을 제1 흡음 공기층(560) 및 제2 흡음 공기층(562)으로 구획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격벽(540)은 상부 패널(5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흡음 공기층(560) 및 제2 흡음 공기층(562)은 상부 패널(510) 및 제1 흡음 부재(530) 사이에 형성되며 내부에 공기를 수용할 수 있다. 제1 흡음 공기층(560) 및 제2 흡음 공기층(562)은 각각 측벽(520) 및 제1 격벽(54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1 흡음 공기층(560)과 제2 흡음 공기층(562)은 제1 격벽(540)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흡음 공기층(560)과 제2 흡음 공기층(562)은 제1 격벽(54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흡음 공기층(560)과 제2 흡음 공기층(562)은 제1 격벽(54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제1 조절 부재(550)는 제2 흡음 공기층(562)과 상부 패널(51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조절 부재(550)의 상면은 상부 패널(510)의 저면과 접촉하고, 제1 조절 부재(550)의 저면은 제2 흡음 공기층(562)과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조절 부재는 상기 상부 패널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조절 부재(550)는 상부 패널(510)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하여 제1 두께(S1)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제2 흡음 공기층(562)의 두께(D2)는 얇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조절 부재의 두께(S1)와 상기 제2 흡음 공기층의 두께(D2)의 합은 상기 제1 흡음 공기층의 두께(D1)와 같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조절 부재(550)의 두께(S1)를 조절함으로써 제2 흡음 공기층(562)의 두께(D2)를 조절할 수 있다.
캐빈(40) 내부의 소음은 파동 에너지의 형태로 제1 흡음 부재(530)로 전달될 수 있고, 제1 흡음 부재(53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제1 흡음 부재(530)가 진동함에 따라 제1 흡음 부재(530)는 제1 흡음 공기층(560)을 가압할 수 있다. 제1 흡음 공기층(560)은 내부에 공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공기는 제1 흡음 부재(530)에 탄성 회복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소음의 파동 에너지와 상기 탄성 회복력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제1 흡음 부재(530)에 작용하여 제1 흡음 부재(530)를 진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흡음 부재(530)에서는 공진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제1 흡음 부재(530)는 상기 파동 에너지를 흡수하여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이 때, 제1 흡음 부재(530)가 흡수하는 소음의 주파수는 다음과 같은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Figure pat00002
는 공기의 음속이고,
Figure pat00003
는 공기의 밀도이다. 예를 들어, 30℃에서 공기의 음속은 350m/s이고 밀도는 1.15kg/m3 일 수 있다. 또한, m은 제1 흡음 부재(530)의 면밀도이고, d는 흡음 공기층의 두께이다. 예를 들어, 두께가 4cm인 상기 제1 흡음 부재의 면밀도는 2kg/m2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음 공기층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주파수를 가진 소음들을 흡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흡음 공기층의 두께(D1)가 0.05m인 경우에는, 상기 제1 흡음 부재는 약 190Hz의 소음을 흡수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2 흡음 공기층(562)의 두께(D2)가 0.03m인 경우에는, 흡수되는 소음의 주파수는 약 245Hz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음 저감 장치(500)는 주파수가 1kHz 이하인 저주파 영역의 소음, 예를 들면, 주파수가 각각 190Hz 및 245Hz인 소음들을 저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500)는 제1 흡음 부재(530)에 의해 주파수가 1kHz 이상인 소음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흡음 부재(530)와 접촉하는 제1 흡음 공기층(560) 및 제2 흡음 공기층(562)을 구비함으로써 주파수가 1kHz 이하인 소음들도 저감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1 흡음 공기층(560)과 제2 흡음 공기층(562)은 두께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의 소음들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흡음 공기층(560)과 제2 흡음 공기층(562)의 두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서로 다른 주파수의 소음들을 동시에 저감할 수 있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소음 저감 장치를 사용한 경우 소음이 저감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 소음 저감 장치는 흡음 공기층의 개수를 제외하고는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소음 저감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또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502)는 천장(200) 내부면에 고정되는 상부 패널(510), 상부 패널(510)의 외주면을 따라 제3 방향으로 연장하는 측벽(520), 측벽(520)의 일단면을 커버하는 제1 흡음 부재(530), 상부 패널(510)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하여 흡음 공기층들(560, 564, 566)을 구획하는 제1 격벽(540) 및 제2 격벽(542), 상부 패널(510)과 제3 흡음 공기층(564)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조절 부재(552), 및 상부 패널(510)과 제4 흡음 공기층(566) 사이에 설치되는 제3 조절 부재(5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격벽(540)은 상부 패널(510)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측벽(520)과 동일한 길이만큼 연장할 수 있다. 제1 격벽(540)의 일단은 상부 패널(510)과 접촉하고 타단은 제1 흡음 부재(530)와 접촉할 수 있다. 제1 격벽(540)은 제1 흡음 공기층(560)과 제3 흡음 공기층(564)을 구획할 수 있다.
제2 격벽(542)은 제1 격벽(540)과 이격되며, 상부 패널(510)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측벽(520)과 동일한 길이만큼 연장할 수 있다. 제2 격벽(542)의 일단은 상부 패널(510)과 접촉하고 타단은 제1 흡음 부재(530)와 접촉할 수 있다. 제2 격벽(542)은 제3 흡음 공기층(564)과 제4 흡음 공기층(566)을 구획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및 제2 격벽들(540, 542)은 상부 패널(5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흡음 공기층(560), 제3 흡음 공기층(564) 및 제4 흡음 공기층(566)은 상부 패널(510) 및 제1 흡음 부재(530) 사이에 형성되며, 내부에 공기를 수용할 수 있다. 제1 흡음 공기층(560)의 측면은 측벽(520) 및 제1 격벽(54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고, 제3 흡음 공기층(564)의 측면은 제1 격벽(540) 및 제2 격벽(542)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고, 제4 흡음 공기층(566)의 측면은 제2 격벽(542) 및 측벽(52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1 흡음 공기층(560), 제3 흡음 공기층(564) 및 제4 흡음 공기층(566)은 제1 및 제2 격벽들(540, 542)에 의해 구획되며, 제1 방향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2 조절 부재(552)는 제3 흡음 공기층(564)과 상부 패널(51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조절 부재(552)의 상면은 상부 패널(510)의 저면과 접촉하고, 제2 조절 부재(552)의 저면은 제3 흡음 공기층(564)과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조절 부재는 상기 상부 패널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조절 부재(552)는 상부 패널(510)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하여 제2 두께(S2)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제3 흡음 공기층(564)의 두께(D3)는 얇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조절 부재의 두께(S2)와 상기 제3 흡음 공기층의 두께(D3)의 합은 상기 제1 흡음 공기층의 두께(D1)와 같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조절 부재(552)의 두께(S2)를 조절함으로써 제3 흡음 공기층(564)의 두께(D3)를 조절할 수 있다.
제3 조절 부재(554)는 제4 흡음 공기층(566)과 상부 패널(51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제3 조절 부재(554)의 상면은 상부 패널(510)의 저면과 접촉하고, 제3 조절 부재(554)의 저면은 제4 흡음 공기층(566)과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3 조절 부재는 상기 상부 패널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조절 부재(554)는 상부 패널(510)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하여 제3 두께(S3)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제4 흡음 공기층(566)의 두께(D4)는 얇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조절 부재의 두께(S3)와 상기 제4 흡음 공기층의 두께(D4)의 합은 상기 제1 흡음 공기층의 두께(D1)와 같을 수 있다. 따라서, 제3 조절 부재(554)의 두께(S3)를 조절함으로써 제4 흡음 공기층(566)의 두께(D4)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흡음 부재(530)가 흡수하는 소음의 주파수는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흡음 공기층의 두께가 0.05m인 경우에는, 상기 제1 흡음 부재는 약 190Hz의 소음을 흡수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3 흡음 공기층(564)의 두께(D3)가 0.03m인 경우에는, 흡수되는 소음의 주파수는 약 245Hz일 수 있다. 또한, 제4 흡음 공기층(566)의 두께(D4)가 0.01m인 경우에는, 흡수되는 소음의 주파수는 약 424Hz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음 저감 장치(502)는 주파수가 1kHz 이하인 저주파 영역의 소음, 예를 들면, 주파수가 각각 190Hz, 245Hz, 및 424Hz인 소음들을 저감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소음 저감 장치(502)는 더 많은 흡음 공기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는 3개의 흡음 공기층들(560, 564, 566)을 가지는 소음 저감 장치(502)를 도시하였지만, 흡음 공기층들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 더 많은 개수의 흡음 공기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흡음 공기층들의 두께는 저감을 원하는 소음의 주파수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흡음 공기층들(560, 564, 566)이 구비된 소음 저감 장치(502)를 사용하여 주파수가 1kHz 이하인 저주파 영역의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도 6에서, 실선은 도 5를 참조로 설명한 소음 저감 장치(502)를 사용한 경우 소음이 저감되는 정도를 나타내고, 점선은 흡음 공기층을 갖지 않는 비교예에 따른 소음 저감 정도를 나타낸다. 이 때, 상기 비교예에서는 흡음 공기층을 갖지 않고 흡음 부재만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그래프의 가로축은 주파수의 크기(Hz)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흡음계수를 나타낸다. 상기 흡음계수는 에너지가 물체의 표면에 입사하였을 때 상기 물체가 에너지를 흡수하는 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흡음계수가 1이면 입사된 모든 에너지를 흡수하고, 상기 흡음계수가 0이면 입사된 모든 에너지를 반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음계수가 클수록 음향 에너지를 더 많이 흡수할 수 있고, 소음을 더 많이 저감할 수 있다. 즉, 상기 그래프의 아래쪽 면적이 넓을수록 더 많은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음 부재만을 갖는, 점선으로 도시된, 비교예에서는 주파수의 크기가 1kHz 이상인 고주파 영역의 주파수만을 흡수하고, 주파수의 크기가 1kHz 이하인 저주파 영역의 주파수들은 흡수할 수 없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흡음 공기층들(560, 564, 566)을 갖는, 실선으로 도시된, 소음 저감 장치(502)를 사용한 경우에는, 주파수의 크기가 1kHz 이상인 고주파 영역의 주파수뿐만 아니라 주파수의 크기가 1kHz 이하인 저주파 영역의 주파수들까지도 흡수할 수 있다. 즉, 흡음 공기층들(560, 564, 566)을 사용함으로써 상기 실선으로 도시된 그래프와 상기 점선으로 도시된 그래프 사이의 넓이에 해당하는 만큼 더 많은 소음들이 제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흡음 공기층(560)에 의해 주파수의 크기가 190Hz인 소음이 30% 가량 흡수될 수 있고, 제3 흡음 공기층(564)에 의해 주파수의 크기가 245Hz인 소음이 35% 가량 흡수될 수 있고, 제4 흡음 공기층(566)에 의해 주파수의 크기가 424Hz인 소음이 30% 가량 흡수될 수 있다.
도 7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소음 저감 장치는 흡음 부재의 두께 및 조절 부재를 제외하고는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소음 저감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또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504)는 천장(200) 내부면에 고정되는 상부 패널(510), 상부 패널(510)로부터 제3 방향으로 연장하는 측벽(520) 및 제1 격벽(540), 측벽(520) 및 제1 격벽(54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1 흡음 공기층(560)을 형성하는 제1 흡음 부재(530), 및 제1 흡음 부재(530)의 일측면에 접촉하도록 측벽(520) 및 제1 격벽(54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2 흡음 공기층(562)을 형성하는 제2 흡음 부재(53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부 패널(510)은 천장(20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측벽(520) 및 제1 격벽(540)은 천장(200)으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흡음 부재(530)는 측벽(520) 및 제1 격벽(540)에 의해 상부 패널(510)과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패널(510)과 제1 흡음 부재(530) 사이에는 제1 흡음 공기층(56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흡음 부재(530)의 상면은 측벽(520) 및 제1 격벽(540)과 접촉할 수 있고, 저면은 캐빈(40)의 내부를 향해 노출될 수 있다. 이 때, 제1 흡음 부재(530)는 제1 두께(T1)를 가질 수 있다.
제2 흡음 부재(532)는 제1 흡음 부재(530) 의 일측면에 접촉하도록 제1흡음 부재(530)와 제1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될 수 있다. 제2 흡음 부재(532)는 측벽(520) 및 제1 격벽(540)에 의해 상부 패널(510)과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패널(510)과 제2 흡음 부재(532) 사이에는 제2 흡음 공기층(562)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흡음 부재(532)의 상면은 측벽(520) 및 제1 격벽(540)과 접촉할 수 있고, 저면은 캐빈(40)의 내부를 향해 노출될 수 있다. 이 때, 제2 흡음 부재(532)는 제2 두께(T2)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흡음 부재(530)의 두께(T1)는 제2 흡음 부재(532)의 두께(T2)와 서로 다를 수 있다. 흡음 부재들(530, 532)은 두께에 따라 서로 다른 면밀도를 가질 수 있다. 즉, 동일한 면적을 갖는 경우에는 두께가 2배가 되면 면밀도 역시 2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음 부재의 두께를 조절함으로써 흡수되는 소음의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및 제2 흡음 부재들은 부직포일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1 흡음 부재(530)의 두께(T1)가 4cm인 경우 면밀도는 2kg/m2일 수 있고, 제2 흡음 부재(530)의 두께(T2)가 2.4cm인 경우 면밀도는 1.2kg/m2일 수 있다. 이를 상기 수학식 1에 대입해보면, 흡수되는 주파수는 각각 190Hz 및 245Hz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음 저감 장치(504)는 주파수가 1kHz 이하인 저주파 영역의 소음, 예를 들면, 주파수가 각각 190Hz 및 245Hz인 소음들을 저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504)는 제1 흡음 부재(530) 및 제2 흡음 부재(532)에 의해 주파수가 1kHz 이상인 소음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흡음 부재(530)와 접촉하는 제1 흡음 공기층(560) 및 제2 흡음 부재(532)와 접촉하는 제2 흡음 공기층(562)을 구비함으로써 주파수가 1kHz 이하인 소음들도 저감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1 흡음 부재(530)와 제2 흡음 부재(532)의 두께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의 소음들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흡음 부재(530) 및 제2 흡음 부재(532)의 두께를 서로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서로 다른 주파수의 소음들을 동시에 저감할 수 있다.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소음 저감 장치는 흡음 공기층의 개수를 제외하고는 도 7을 참조로 설명한 소음 저감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또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소음 저감 장치(506)는 천장(200) 내부면에 고정되는 상부 패널(510), 상부 패널(510)의 외주면을 따라 제3 방향으로 연장하는 측벽(520), 상부 패널(510)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측벽(520)과 동일한 길이만큼 연장하는 제1 격벽(540) 및 제2 격벽(542), 측벽(520) 및 제1 격벽(540)의 저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제1 흡음 공기층(560)을 형성하는 제1 흡음 부재(530), 제1 격벽(540) 및 제2 격벽(542)의 저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제3 흡음 공기층(564)을 형성하는 제3 흡음 부재(534), 및 제2 격벽(542) 및 측벽(520)의 저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제4 흡음 공기층(566)을 형성하는 제4 흡음 부재(5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격벽(540)은 제2 격벽(542)과 이격되며, 상부 패널(510)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측벽(520)과 동일한 길이만큼 연장할 수 있다. 제1 격벽(540)의 일단은 상부 패널(510)과 접촉하고 타단은 제1 및 제3 흡음 부재들(530, 534)과 접촉할 수 있다. 제1 격벽(540)은 제1 흡음 공기층(560)과 제3 흡음 공기층(564)을 구획할 수 있다.
제2 격벽(542)은 제1 격벽(540)과 이격되며, 상부 패널(510)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측벽(520)과 동일한 길이만큼 연장할 수 있다. 제2 격벽(542)의 일단은 상부 패널(510)과 접촉하고 타단은 제3 및 제4 흡음 부재들(534, 536)과 접촉할 수 있다. 제2 격벽(542)은 제3 흡음 공기층(564)과 제4 흡음 공기층(566)을 구획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및 제2 격벽들(540, 542)은 상부 패널(5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흡음 부재(530)는 측벽(520) 및 제1 격벽(540)에 의해 상부 패널(510)과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패널(510)과 제1 흡음 부재(530) 사이에는 제1 흡음 공기층(56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흡음 부재(530)의 상면은 측벽(520) 및 제1 격벽(540)과 접촉할 수 있고, 저면은 캐빈(40)의 내부를 향해 노출될 수 있다. 이 때, 제1 흡음 부재(530)는 제1 두께(T1)를 가질 수 있다.
제3 흡음 부재(534)는 제1 흡음 부재(530) 의 일측면에 접촉하도록 제1흡음 부재(530)와 제1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될 수 있다. 제3 흡음 부재(534)는 제1 및 제2 격벽들(540, 542)에 의해 상부 패널(510)과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패널(510)과 제3 흡음 부재(534) 사이에는 제3 흡음 공기층(564)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흡음 부재(534)의 상면은 제1 및 제2 격벽들(540, 542)과 접촉할 수 있고, 저면은 캐빈(40)의 내부를 향해 노출될 수 있다. 이 때, 제3 흡음 부재(534)는 제3 두께(T3)를 가질 수 있다.
제4 흡음 부재(536)는 제3 흡음 부재(534) 의 일측면에 접촉하도록 제3흡음 부재(534)와 제1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될 수 있다. 제4 흡음 부재(536)는 제2 격벽(542) 및 측벽(520)에 의해 상부 패널(510)과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 패널(510)과 제4 흡음 부재(536) 사이에는 제4 흡음 공기층(566)이 형성될 수 있다. 제4 흡음 부재(536)의 상면은 제2 격벽(542) 및 측벽(520)과 접촉할 수 있고, 저면은 캐빈(40)의 내부를 향해 노출될 수 있다. 이 때, 제4 흡음 부재(536)는 제4 두께(T4)를 가질 수 있다.
흡음 부재들(530, 534, 536)이 흡수하는 소음의 주파수는 상기 수학식 1을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흡음 부재의 두께(T1)가 4cm인 경우에는 상기 제1 흡음 부재는 약 190Hz의 소음을 흡수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제3 흡음 부재(544)의 두께(T3)가 2.4cm인 경우에는, 흡수되는 소음의 주파수는 약 245Hz일 수 있다. 또한, 제4 흡음 부재(536)의 두께(T4)가 0.8cm인 경우에는, 흡수되는 소음의 주파수는 약 424Hz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소음 저감 장치(502)는 주파수가 1kHz 이하인 저주파 영역의 소음, 예를 들면, 주파수가 각각 190Hz, 245Hz, 및 424Hz인 소음들을 저감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소음 저감 장치(506)는 더 많은 흡음 공기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는 3개의 흡음 공기층들(560, 564, 566)을 가지는 소음 저감 장치(502)를 도시하였지만, 흡음 공기층들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 더 많은 개수의 흡음 공기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음 공기층들의 하부면을 커버하는 흡음 부재 역시 상기 흡음 공기층들과 동일한 개수로 설치될 수 있고,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흡음 부재들의 두께는 저감을 원하는 소음의 주파수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소음 저감 장치(506)는 상부 패널(510)과 제3 흡음 공기층(564) 사이에 설치되는 제4 조절 부재(도시되지 않음) 및 상부 패널(510)과 제4 흡음 공기층(566) 사이에 설치되는 제5 조절 부재(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 제1 흡음 부재(530)의 두께(T1)를 조절하여 제1 흡음 부재(530)에서 흡수 가능한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고, 제3 흡음 부재(534)의 두께(T3) 및 상기 제4 조절 부재의 두께를 조절하여 제3 흡음 부재(534)에서 흡수 가능한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고, 제4 흡음 부재(536)의 두께(T4) 및 상기 제5 조절 부재의 두께를 조절하여 제4 흡음 부재(536)에서 흡수 가능한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상기 흡음 부재들의 두께와 상기 조절 부재들의 두께를 동시에 조절하여 소음 저감 장치(506)에서 저감 가능한 소음의 주파수 범위를 선택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건설기계 20: 상부 선회체
30: 하부 주행체 40: 캐빈
100: 프레임 200: 천장
300: 전방 글래스 310: 하부 글래스
320: 상부 글래스 400: 측면 도어
500, 501, 502, 504, 506: 소음 저감 장치
510: 상부 패널 520: 측벽
530: 제1 흡음 부재 532: 제2 흡음 부재
534: 제3 흡음 부재 536: 제4 흡음 부재
540: 제1 격벽 542: 제2 격벽
550: 제1 조절 부재 552: 제2 조절 부재
554: 제3 조절 부재 560: 제1 흡음 공기층
562: 제2 흡음 공기층 564: 제3 흡음 공기층
566: 제4 흡음 공기층 D1: 제1 흡음 공기층의 두께
D2: 제2 흡음 공기층의 두께 D3: 제3 흡음 공기층의 두께
D4: 제4 흡음 공기층의 두께 S1: 제1 조절 부재의 두께
S2: 제2 조절 부재의 두께 S3: 제3 조절 부재의 두께
T1: 제1 흡음 부재의 두께 T2: 제2 흡음 부재의 두께
T3: 제3 흡음 부재의 두께 T4: 제4 흡음 부재의 두께

Claims (11)

  1. 건설기계의 캐빈 천장 내부면 상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캐빈 내부의 소음을 흡수하고, 상기 캐빈 천장 내부면과 이격 설치되며 상기 천장 내부면으로부터 제1 깊이의 제1 흡음 공기층을 형성하는 제1 흡음 부재를 갖는 제1 소음 저감부; 및
    상기 제1 소음 저감부에 인접하도록 상기 캐빈 천장 내부면 상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캐빈 내부의 소음을 흡수하고, 상기 캐빈 천장 내부면과 이격 설치되며 상기 천장 내부면으로부터 제2 깊이의 제2 흡음 공기층을 형성하는 제2 흡음 부재를 갖는 제2 소음 저감부를 포함하는 소음 저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흡음 부재들은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흡음 부재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흡음 공기층들을 구획하기 위한 격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음 부재와 상기 제2 흡음 부재는 두께가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소음 저감부는 상기 캐빈 천장 내부면 상에 설치되며 상기 제2 흡음 공기층의 깊이를 조절하기 위한 깊이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음 공기층의 상기 제1 깊이와 상기 제2 흡음 공기층의 상기 제2 깊이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흡음 부재들은 각각 부직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소음 저감부에 인접하도록 상기 캐빈 천장 내부면 상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캐빈 내부의 소음을 흡수하고, 상기 캐빈 천장 내부면과 이격 설치되며 상기 천장 내부면으로부터 제3 깊이의 제3 흡음 공기층을 형성하는 제3 흡음 부재를 갖는 제3 소음 저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음 저감부 및 상기 제2 소음 저감부는 상기 캐빈의 전방으로부터 상기 캐빈의 내부를 향하는 제1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음 저감부 및 상기 제2 소음 저감부는 상기 캐빈 내부면 상에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저감 장치.
  11. 건설기계의 상부 선회체에 설치되어 내부에 운전자가 탑승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며, 전방은 전방 글래스에 의해 커버되고 상부는 천장에 의해 커버되는 캐빈 프레임; 및
    상기 천장의 내부면 상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캐빈 프레임 내부 공간의 소음을 흡수하는 소음 저감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소음 저감 장치는,
    상기 캐빈 천장 내부면과 이격 설치되며 상기 천장 내부면으로부터 제1 깊이의 제1 흡음 공기층을 형성하는 제1 흡음 부재를 갖는 제1 소음 저감부; 및
    상기 제1 소음 저감부에 인접하도록 상기 캐빈 천장 내부면 상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캐빈 천장 내부면과 이격 설치되며 상기 천장 내부면으로부터 제2 깊이의 제2 흡음 공기층을 형성하는 제2 흡음 부재를 갖는 제2 소음 저감부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캐빈.
KR1020150038595A 2015-03-20 2015-03-20 소음 저감 장치 및 이를 갖는 건설기계의 캐빈 KR102411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595A KR102411790B1 (ko) 2015-03-20 2015-03-20 소음 저감 장치 및 이를 갖는 건설기계의 캐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595A KR102411790B1 (ko) 2015-03-20 2015-03-20 소음 저감 장치 및 이를 갖는 건설기계의 캐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592A true KR20160112592A (ko) 2016-09-28
KR102411790B1 KR102411790B1 (ko) 2022-06-22

Family

ID=57101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595A KR102411790B1 (ko) 2015-03-20 2015-03-20 소음 저감 장치 및 이를 갖는 건설기계의 캐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179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207171A1 (de) 2020-07-07 2022-01-13 Hyundai Doosan Infracore Co., Ltd. Kabine für baumaschinen
KR20230036844A (ko) 2021-09-08 2023-03-15 박경민 농기계 또는 건설기계의 차실 내 노이즈 캔슬링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196A (ko) * 1995-08-09 1997-03-27 가나이 쯔도무 방음장치, 특히 도로변 및 터널용 방음장치
KR20000069920A (ko) * 1997-01-07 2000-11-25 로젠바흐 로버트 제이. 디커플러를 갖춘 소음 차폐재
KR20060008335A (ko) * 2003-06-11 2006-01-26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작업차량 운전실의 내장부재와 그 성형방법 및 벽부재
KR20060019538A (ko) * 2003-05-14 2006-03-03 리이터 테크놀로지스 아게 소음 감소용 부품, 특히 차량 바닥 판넬
KR20060085942A (ko) * 2003-11-11 2006-07-28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내장재와 패널구성체 및 내장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1196A (ko) * 1995-08-09 1997-03-27 가나이 쯔도무 방음장치, 특히 도로변 및 터널용 방음장치
KR20000069920A (ko) * 1997-01-07 2000-11-25 로젠바흐 로버트 제이. 디커플러를 갖춘 소음 차폐재
KR20060019538A (ko) * 2003-05-14 2006-03-03 리이터 테크놀로지스 아게 소음 감소용 부품, 특히 차량 바닥 판넬
KR20060008335A (ko) * 2003-06-11 2006-01-26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작업차량 운전실의 내장부재와 그 성형방법 및 벽부재
KR20060085942A (ko) * 2003-11-11 2006-07-28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내장재와 패널구성체 및 내장재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207171A1 (de) 2020-07-07 2022-01-13 Hyundai Doosan Infracore Co., Ltd. Kabine für baumaschinen
KR20220005923A (ko) 2020-07-07 2022-01-14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건설기계의 캐빈
KR20230036844A (ko) 2021-09-08 2023-03-15 박경민 농기계 또는 건설기계의 차실 내 노이즈 캔슬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1790B1 (ko) 2022-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1950B2 (en) System for reducing acoustic energy
CN106103858B (zh) 高低频率吸声组件
WO2006068028A1 (ja) 吸音構造
RU2059772C1 (ru) Акустическая панель
RU2534778C1 (ru) Штучный звукопоглотитель
KR20160112592A (ko) 소음 저감 장치 및 이를 갖는 건설기계의 캐빈
JP2007226216A (ja) 装置を内部に含む音響遮断用の筐体
RU2451780C1 (ru) Штучный звукопоглотитель судовой каюты
RU2311501C2 (ru) Кожух веретен текстильной машины
JP2007216863A (ja) 自動車の吸音構造
KR100765842B1 (ko) 흡차음 기능을 갖는 대쉬패널
JP2005017636A (ja) 吸音構造体
RU2615257C2 (ru) Кожух для ленточной машины
WO2004005636A1 (en) Sound-absorbing material
RU2615246C2 (ru) Кожух веретен текстильной машины
RU2622935C1 (ru) Акустическая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енных помещений
RU2644740C1 (ru) Кожух веретен текстильной машины
RU2756657C1 (ru) Экран энергетического отсека
RU2466885C1 (ru) Устройство звуковиброизолирующее
RU2652016C1 (ru) Ограждение для веретен текстильной машины
Guigou et al. Foam-PVDF smart skin for aircraft interior sound control
KR200447422Y1 (ko) 선박의 음향 차폐 판넬 장치
RU2634889C2 (ru) Ограждение веретен текстильной машины
RU2652015C1 (ru) Ограждение веретен текстильной машины
RU2671279C1 (ru) Звукоизолирующий кожух с аэродинамическими глушителям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