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57590A -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57590A
KR20050057590A KR1020057005259A KR20057005259A KR20050057590A KR 20050057590 A KR20050057590 A KR 20050057590A KR 1020057005259 A KR1020057005259 A KR 1020057005259A KR 20057005259 A KR20057005259 A KR 20057005259A KR 20050057590 A KR20050057590 A KR 20050057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key
vehicle
request signal
control device
respons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5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74809B1 (ko
Inventor
다케시 곤노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7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7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74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748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heft warning signal, e.g. visual or audible signals with special characteri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09Antitheft state indic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6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characterised by the challenge trigg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8Electronic key extraction preven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30Vehicles applying the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306Motorcy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 G07C2009/0079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by Hertzian wav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08With time considerations, e.g. temporary activation, valid time window or time limit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2Comprising means for indicating the status of the loc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20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 - G07C9/38
    • G07C2209/6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roups G07C9/00174 - G07C9/00944
    • G07C2209/63Comprising locating means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data carrier, i.e. within the vehicle or with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100)에 탑재된 제어 장치(14)와, 이 제어 장치(14)로부터의 리퀘스트 신호(Sr)의 수신에 기초하여 응답 신호(Sa)를 송신하는 전자 키(12)를 갖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 장치(14)는, 적어도 차량(100)의 메인 스위치(62)의 ON 조작에 기초하여 전자 키(12)에 대해 리퀘스트 신호(Sr)를 출력하는 수단(리퀘스트 신호 생성 수단(80), 송신 회로(46) 및 송신 안테나(72))과, 상기 전자 키(12)로부터의 응답 신호(Sa)를 검지하는 수단(수신 회로(44) 및 응답 신호 대조 수단(82))과, 리퀘스트 신호(Sr)의 출력에 관계없이, 응답 신호(Sa)가 검지되지 않은 경우에, 경고 출력을 행하는 수단(감시 수단(84), 제3 구동 회로(56) 및 경고등(68))을 갖는다.

Description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VEHICLE ELECTRONIC KEY SYSTEM}
본 발명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송수신기(전자 키)와, 차량에 탑재된 제어 장치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행해, ID를 대조하여 정규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인 경우에, 엔진의 시동 등을 행하는 전자 키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예를 들면 자동 이륜차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개 2001-349110호 공보나 특개 2001-349117호 공보가 있다. 이들 공보에서의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은, 차량의 도어 핸들이나 트렁크 리드에 기동 수단(스위치)이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가 이들 기동 수단을 조작(기동)하면, 전자 키와의 교신을 시작하여, 전자 키로부터 송신된 ID와 제어 장치에 등록되어 있는 ID의 대조를 행해, ID 일치의 대조 결과가 얻어진 단계에서, 도어 록 등을 해제한다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공보에서는, 이그니션 노브에도 기동 수단(스위치)이 설치되어 있어, 사용자가 사륜차에 승차 후, 이그니션 노브를 조작함으로써, 다시 전자 키와의 교신을 행해, 엔진의 시동을 허가하기 위한 ID 대조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ID 일치의 대조 결과가 얻어진 단계에서, 엔진이 시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종래의 사륜차용의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에서는, 전자 키가 도어의 잠금해제와 엔진의 시동 허가의 기능을 갖는다.
또, 종래 기술로서, 사륜차의 각 도어에 송신 안테나를 설치하여, 휴대기가 접근하는 도어만을 차량의 다른 도어와는 독립하여 잠금해제할 수 있는 전자 키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개평 10-317754호 공보 참조).
또, 이륜차에 적용한 전자 키 시스템으로서, 이모빌라이저(immobilizer)의 전원 ON부터 엔진이 시동하기까지의 시간(시동 시간 데이터)을 기초로 난수를 생성하고, 그 난수를 기초로 키의 고유 정보를 암호화함으로써, 인증 키 및 인증 코드를 생성하여, 이 인증 키 및 인증 코드를 사용해 인증을 행함으로써, 확실한 도난 방지를 도모하도록 한 시스템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개 2001-12123호 공보 참조).
그런데, 전자 키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용하고 있지 않은 동안 차 내에 떨어뜨려 버릴 위험이 있다. 사륜차의 경우는, 사용 후에, 차내에 전자 키를 떨어뜨려 버려도, 분실할 가능성은 대단히 낮다.
그러나, 사륜차의 전자 키 시스템을 그대로 예를 들면 이륜차에 적용하면, 사용자가 엔진의 시동 후에 전자 키를 떨어뜨린 경우, 떨어뜨린 것을 알아차리면 좋지만, 알아차리지 못한 채로 이륜차를 발진시키면, 전자 키의 분실로 이어져, 엔진의 재시동이 불가능해질 위험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 이륜차에 적용한 시스템에서는, 도난 방지를 주로 하고 있어, 예를 들면 정규 사용자가 인증을 끝내고 승차한 뒤에는, 보안 시스템을 정지시키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주행중에 전자 키를 떨어뜨려도, 그것을 검지하지 못할 위험이 있었다.
물론, 사륜차의 경우에도, 도어 부근에서 전자 키를 떨어뜨린 경우, 전자 키의 분실로 이어질 확률이 높아져, 이 경우도 엔진의 재시동이 불가능해질 위험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차량의 정지중 및 주행중에, 사용자가 전자 키를 떨어뜨린 경우에, 그 취지를 경고로서 출력할 수 있어, 사용자가 전자 키를 떨어뜨리는 것에 의한 전자 키의 분실 확률을 최대한 적게 할 수 있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키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전자 키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제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a)는 차량에 대한 송신 안테나의 설치 위치의 일례를 나타낸 측면도,
도 4(b)는 그 평면도,
도 5(a)∼도 5(f)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키 시스템에서의 통상에서의 처리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 차트,
도 6(a)∼도 6(f)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키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기동시에 전자 키가 없는 것을 검출한 경우의 처리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 차트,
도 7(a)∼도 7(f)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키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엔진 시동시에 전자 키가 없는 것을 검출한 경우의 처리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 차트,
도 8(a)∼도 8(f)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키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의 주행중에 전자 키가 없는 것을 검출한 경우의 처리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 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은, 차량에 탑재된 제어 장치와, 이 제어 장치로부터의 리퀘스트(request) 신호의 수신에 기초하여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휴대형 송수신기를 갖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의 스타트 스위치의 ON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형 송수신기에 대해 리퀘스트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수단과, 상기 휴대형 송수신기로부터의 상기 리퀘스트 신호에 기초하는 응답 신호를 검지하는 제2 수단과, 상기 제1 수단으로부터의 리퀘스트 신호의 출력에 관계없이, 상기 제2 수단에서 상기 응답 신호가 검지되지 않은 경우에, 경고 출력을 행하는 제3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먼저, 사용자가 차량의 스타트 스위치를 ON 조작함으로써, 제1 수단으로부터 리퀘스트 신호가 출력된다. 사용자가 휴대형 송수신기를 갖고 있는 경우, 제어 장치로부터의 리퀘스트 신호가 휴대형 송수신기에서 수신된다. 휴대형 송수신기는, 제어 장치로부터의 리퀘스트 신호의 수신에 기초하여 응답 신호를 송신한다. 휴대형 송수신기로부터 출력된 응답 신호는, 차량의 제어 장치에서의 제2 수단에서 검지되고, 이 경우 경고는 출력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엔진의 시동이 행해지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휴대형 송수신기를 소지하지 않고, 또는 떨어뜨려 버린 것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스타트 스위치를 ON 조작한 경우는, 제1 수단으로부터의 리퀘스트 신호의 출력에 관계없이, 제2 수단에서 응답 신호가 검지되지 않은 것이 되므로, 제3 수단을 통해 경고가 출력되게 되어, 사용자는 휴대형 송수신기를 갖고 있지 않은 것을 알아차리게 된다.
이렇게 본 발명은, 차량의 시동 단계에서, 사용자가 휴대형 송수신기를 떨어뜨려 버린 경우라도, 그것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어, 휴대형 송수신기의 분실 확률을 적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은, 차량에 탑재된 제어 장치와, 이 제어 장치로부터의 리퀘스트 신호의 수신에 기초하여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휴대형 송수신기를 갖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휴대형 송수신기에 대해 일정 시간마다 리퀘스트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수단과, 상기 휴대형 송수신기로부터의 상기 리퀘스트 신호에 기초하는 응답 신호를 검지하는 제2 수단과, 상기 제2 수단에서 상기 응답 신호가 검지되지 않게 된 단계에서, 경고 출력을 행하는 제3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먼저, 제1 수단을 통해 일정 시간마다 리퀘스트 신호가 출력된다. 사용자가 휴대형 송수신기를 갖고 있는 경우, 제어 장치로부터의 리퀘스트 신호에 응답하여 일정 시간마다 응답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형 송수신기로부터 출력된 응답 신호는, 차량의 제어 장치에서의 제2 수단에서 검지되고, 이 경우 경고는 출력되지 않는다.
한편, 예를 들면 차량의 주행중에, 사용자가 휴대형 송수신기를 떨어뜨려 버린 경우, 제2 수단에서 응답 신호가 검지되지 않게 되므로, 이번에는 제3 수단을 통해 경고가 출력되어, 사용자는 휴대형 송수신기를 떨어뜨린 것을 알아차리게 된다.
이렇게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차량의 주행중 등에, 사용자가 휴대형 송수신기를 떨어뜨려 버린 경우라도, 그것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어, 휴대형 송수신기의 분실 확률을 적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은, 차량에 탑재된 제어 장치와, 이 제어 장치로부터의 리퀘스트 신호의 수신에 기초하여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휴대형 송수신기를 갖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휴대형 송수신기에 대해 일정 시간마다 리퀘스트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수단과, 상기 휴대형 송수신기로부터의 상기 리퀘스트 신호에 기초하는 응답 신호를 검지하는 제2 수단과, 상기 제2 수단에서 상기 응답 신호가 검지되지 않게 된 단계에서, 경고 출력을 행하는 제3 수단과, 상기 차량의 스타트 스위치의 ON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형 송수신기에 대해 리퀘스트 신호를 출력하는 제4 수단과, 상기 제4 수단으로부터의 리퀘스트 신호의 출력에 관계없이, 상기 제2 수단에서 상기 응답 신호가 검지되지 않은 경우에, 경고 출력을 행하는 제5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차량의 시동 단계나 차량의 주행중에, 사용자가 휴대형 송수신기를 떨어뜨려 버린 경우라도, 그것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어, 휴대형 송수신기의 분실 확률을 최대한 적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단에서의 리퀘스트 신호의 출력 주기를, 10∼100초 중의 어느 시간으로 해도 된다. 리퀘스트 신호의 출력 주기를 짧게 하면, 사용자가 휴대형 송수신기를 갖고 있는지 여부의 검사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나, 휴대형 송수신기에는 배터리가 설치되어 있고, 이 배터리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응답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리퀘스트 신호의 출력 주기를 짧게 하면 할수록, 배터리의 소비량이 많아져, 단기에 배터리를 교환하는 상황이 될 위험이 있다.
그래서, 리퀘스트 신호의 출력 주기를, 10∼100초 중의 어느 시간으로 함으로써, 휴대형 송수신기에서의 배터리의 소비량을 저감할 수 있어, 배터리 교환의 빈도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상기 제3 수단은, 상기 응답 신호가 검출되지 않게 된 기간을 계수(計數)하여, 그 계수치가 소정치 이상이 된 시점에서 경고 출력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제2 수단에서의 응답 신호의 착신이 늦어지거나, 또는 주행중의 노이즈 등의 영향에 의해 응답 신호 자체가 누락되는 경우도 있으므로, 어느 정도의 불감대를 갖게 함으로써, 빈번하게 경고가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이 제어 장치의 기동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형 송수신기에 대해 리퀘스트 신호를 출력하는 제6 수단과, 상기 제6 수단으로부터의 리퀘스트 신호에 기초하는 상기 휴대형 송수신기로부터의 응답신 호를 상기 제2 수단에서 검지한 경우에, 상기 차량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제7 수단을 더 갖도록 해도 된다.
제어 장치의 기동을 스타트 스위치의 ON 조작의 전 단계에서 행하도록 하면, 제어 장치의 기동 단계, 스타트 스위치의 ON 조작 단계, 차량의 주행중이라는 3가지 상황에서, 사용자가 휴대형 송수신기를 갖고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을, 예를 들면 자동 이륜차에 적용한 경우라도, 사용자가 휴대형 송수신기를 떨어뜨려 버린 경우에, 그것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어, 휴대형 송수신기의 분실 확률을 최대한 적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을 예를 들면 자동 이륜차용의 시스템에 적용한 실시형태예(이하, 단순히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키 시스템이라고 기재한다)를 도 1∼도 8(f)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키 시스템(1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는 휴대형 송수신기(12)와, 차량에 탑재된 제어 장치(14)를 갖는다. 휴대형 송수신기(12)는, 그 외형으로서 열쇠 형상이고 내부에 IC 칩이 장착된 것이나, 외형이 카드 형상이고 내부에 IC 칩이 장착된 것 등이 있는데, 주로 키리스(keyless) 시스템으로서 적용시키는 경우는, 카드 형상이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카드 형상을 갖는 휴대형 송수신기(12)를 상정하여 설명한다. 또, 휴대형 송수신기(12)는, 전자 키로서 일반적으로 호칭되고 있으므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도, 휴대형 송수신기를 전자 키(12)라고 기재한다.
전자 키(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카드의 형상을 갖고,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배터리(20), 전원 회로(22), CPU(24), 수신 회로(26) 및 송신 회로(28)를 갖는다.
전원 회로(22)는, 배터리(20)로부터의 전력을 수신 회로(26), 송신 회로(28) 및 CPU(24)에 공급하는 회로이다. 수신 회로(26)는, 도시 생략한 수신 안테나를 갖고, 이 수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제어 장치(14)로부터 송신되는 리퀘스트 신호(Sr) 등을 수신하여, 반송파(搬送波)로부터 취출하여 복조한다. 복조된 신호는 CPU(24)에 공급된다. 리퀘스트 신호(Sr)의 반송파 주파수는 100kHz∼300kHz이다.
CPU(24)는, 적어도 2개의 컴퓨터 프로그램(리퀘스트 신호 대조 수단(30) 및 응답 신호 생성 수단(32))을 실행한다. 리퀘스트 신호 대조 수단(30)은, 수신 회로(26)로부터 공급된 신호가 리퀘스트 신호(Sr)인지 여부를 대조하여, 리퀘스트 신호(Sr)이면, 제어를 응답 신호 생성 수단(32)으로 이행한다. 응답 신호 생성 수단(32)은, 리퀘스트 신호 대조 수단(30)으로부터의 요구에 기초하여, 도시 생략한 ROM에 기록되어 있는 ID 데이터를 독출하여, 이 ID 데이터에 응답을 나타내는 속성을 부가하여 송신 데이터(Dt)로서 송신 회로(28)에 출력한다. 송신 회로(28)는, 도시 생략한 송신 안테나를 갖고, 반송파를 CPU(24)로부터 공급된 송신 데이터(Dt)에 기초하여 변조하여, 상기 송신 안테나를 통해 응답 신호(Sa)로서 송신한다. 이 응답 신호(Sa)의 반송파 주파수는 200MHz∼500MHz이다.
한편, 차량에 탑재된 제어 장치(14)는, 예를 들면 시스템 LSI로 구성되며,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원 회로(40), CPU(42), 수신 회로(44), 송신 회로(46), 입력 회로(48), 출력 회로(50), 제1 구동 회로(52)(액츄에이터 구동용), 제2 구동 회로(54)(메인 릴레이 구동용) 및 제3 구동 회로(56)(LED 구동용)를 갖는다. 이 제어 장치(14)의 주변에는, 적어도 배터리(60), 메인 스위치(62), 핸들용 액츄에이터(64), 메인 릴레이(66), 경고등(68)(LED), 기동 스위치(70), 송신 안테나(72)가 설치되어 있다.
메인 스위치(62)는, 2개의 고정 접점(62a 및 62b)과 1개의 가동 접점(62c)을 갖고, 한쪽의 고정 접점(62a)이 배터리(60)에 접속되고, 다른쪽의 고정 접점(62b)이 입력 회로(48)와 메인 릴레이(66)에 접속되어 있다.
입력 회로(48)에는, 상기 메인 스위치(62)의 다른쪽의 고정 접점(62b) 외에, 기동 스위치(70)가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입력 회로(48)에 스타터 스위치(74)를 접속해서 스타터 스위치(74)의 ON 조작에 기초하여 동작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메인 스위치(62)의 조작에 기초하여 처리 동작을 행하는 경우를 주체로 설명한다.
그리고, 기동 스위치(70)의 ON/OFF의 상태 및 메인 스위치(62)의 ON/OFF의 상태는, 이 입력 회로(48)를 통해 CPU(42)에 공급된다.
제어 장치(14)에서의 전원 회로(40)는, 배터리(60)로부터의 전력을 CPU(42)나 수신 회로(44), 송신 회로(46) 등에 공급한다.
수신 회로(44)는, 도시 생략한 수신 안테나를 갖고, 이 수신 안테나를 통해 상기 전자 키(12)로부터 송신되는 응답 신호(Sa) 등을 수신하여, 반송파로부터 취출하여 복조한다. 복조된 신호는 CPU(42)에 공급된다.
CPU(42)는, 적어도 4개의 프로그램(리퀘스트 신호 생성 수단(80), 응답 신호 대조 수단(82), 감시 수단(84) 및 주변 지시 수단(86))을 실행한다.
리퀘스트 신호 생성 수단(80)은, 기동 스위치(70) 및 메인 스위치(62)의 ON 조작에 기초하여 도시 생략한 ROM으로부터 리퀘스트 데이터(Dr)(리퀘스트 신호(Sr)의 기초가 되는 데이터)를 독출하여 송신 회로(46)에 출력한다. 또, 이 리퀘스트신호 생성 수단(80)은, 엔진 시동 후에, 일정 시간마다 ROM으로부터 리퀘스트 데이터(Dr)를 독출하여 송신 회로(46)에 출력한다. 이 일정 시간은, 전자 키(12)에서의 배터리(20)의 소비량을 고려하여 10∼100초 중의 어느 시간으로 설정하고 있다.
송신 회로(46)는, CPU(42)로부터 공급된 리퀘스트 데이터(Dr)에 기초하여, 반송파를 변조하여, 리퀘스트 신호(Sr)로서 송신 안테나(72)를 통해 송신한다.
리퀘스트 신호(Sr)의 송신 가능 범위는,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100)에 장착된 송신 안테나(72)를 중심으로 한 반경 1∼1.5m의 구형상 범위(도 4(a) 및 도 4(b)에서 원 A로 나타낸 범위)이고, 응답 신호(Sa)의 송신 가능 범위(전자 키(12)를 중심으로 한 반경 수m의 범위)에 비해 좁은 범위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4(a) 및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100)으로서 예를 들면 시트(102)의 아래에 도시 생략한 헬멧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설치된 스쿠터를 상정했을 때,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전자 키(12)와의 교신을, 승차 조작시, 시트(102)를 여는 조작을 행하고 있을 때, 주행시 등에 확실히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차량(100)의 중앙 부근에 송신 안테나(72)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차량(100)의 중앙 부근이란, 전륜(104)의 중심(104a)과 후륜(106)의 중심(106a)을 연결하는 선분(108)을 생각했을 때, 예를 들면 전륜(104)의 중심(104a)을 기준으로 해서 선분의 1/4의 지점 P1부터 3/4의 지점 P2까지의 범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102)의 전부(前部) 근방에 송신 안테나(72)를 설치하고 있다.
응답 신호 대조 수단(82)은, 수신 회로(44)로부터 공급된 신호가 응답 신호(Sa)인지 여부를 대조하여, 응답 신호(Sa)인 경우에, 이 응답 신호(Sa)에 포함되는 ID 데이터가, 도시 생략한 메모리에 등록된 ID 데이터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대조한다.
감시 수단(84)은, 리퀘스트 신호(Sr)의 출력에 기초하여, 응답 신호(Sa)의 도래의 유무(응답 신호 대조 수단(82)에서의 ID 일치가 검지되었는지 여부)를 감시한다. 리퀘스트 신호 생성 수단(80)이, 리퀘스트 데이터(Dr)를 출력한 시점부터 응답 신호(Sa)의 입력을 기다려, 소정 시간 내에 응답 신호(Sa)가 도래하지 않은 경우(응답 신호 대조 수단(82)에서 ID 일치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에, 계수치를 +1 갱신한다. 그리고, 이 계수치가 소정치 이상이 된 시점에서 제3 구동 회로(56)에 경고 신호(Se)를 출력한다.
특히, 기동 스위치(70) 및 메인 스위치(62)의 ON 조작에 기초하여 리퀘스트 데이터(Dr)가 출력된 시점부터 소정 시간 내에 응답 신호(Sa)가 도래하지 않은 경우는, 그 단계에서 경고 신호(Se)를 제3 구동 회로(56)에 출력한다.
또, 감시 수단(84)은, 기동 스위치(70)의 ON 조작에 기초하여 리퀘스트 데이터(Dr)가 출력된 시점부터 소정 시간 내에 응답 신호(Sa)가 도래한 경우는, 주변 지시 수단(86)을 기동한다. 주변 지시 수단(86)은, 감시 수단(84)으로부터의 요구(잠금 해제)에 기초하여 제1 구동 회로(52)에 잠금 해제 신호를 출력하고, 출력 회로(50)에 허가 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제2 구동 회로(54)에 ON 신호를 출력한다.
제1 구동 회로(52)는, CPU(42)로부터의 잠금 해제 신호의 입력에 기초하여 핸들용 액츄에이터(64)를 구동하여, 핸들(110)(도 4(a) 및 도 4(b) 참조)의 잠금 상태를 해제한다.
출력 회로(50)는, CPU(42)로부터의 허가 신호의 입력에 기초하여 점화/분사 허가 신호를 ECU(110)(전자제어 유닛)에 출력한다. ECU(110)는, 점화/분사 허가 신호의 입력에 기초하여, 각 센서로부터의 정보를 기초로, 엔진의 연료 분사량이나 분사 시간을 결정한다.
제2 구동 회로(54)는, CPU(42)로부터의 ON 신호의 입력에 기초하여 ON 상태가 되고, 그 후 메인 스위치(62)가 ON 조작됨으로써 메인 릴레이(66)가 ON이 된 단계에서, 엔진이 시동하여 주행 가능한 상태가 된다.
제3 구동 회로(56)는, CPU(42)로부터의 경고 신호(Se)의 입력에 기초하여 경고등(68)을 구동하여, 이 경고등(68)이 발광한다. 이 경고등(68)으로서는, 예를 들면 LED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스위치(62)가 OFF 조작되면, 메인 릴레이(66)가 OFF가 되어, 엔진도 동시에 정지한다. 그리고, 잠금 조작, 예를 들면 핸들(110)을 잠금 상태로 조작하면, 제어 장치(14)에서의 응답 신호(Sa)의 대조 동작이 정지되고, 더불어 출력 회로(50)로부터의 점화/분사 허가 신호의 출력이 정지하고, 또한 제2 구동 회로(54)가 OFF가 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키 시스템(10)의 대표적인 4개의 처리 동작에 관해 도 5(a)∼도 8(f)의 타이밍 차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리퀘스트 신호(Sr)는, 리퀘스트 데이터(Dr)에 기초한 펄스열을 갖는 신호이며, 응답 신호(Sa)는 ID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에 기초한 펄스열을 갖는 신호인데, 도 5(a)∼도 8(f)에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각각 1펄스의 신호로서 기재하고 있다.
먼저 통상시에서는, 도 5(a)의 시점 t1에 있어서, 사용자가 전자 키(12)를 소지한 상태로, 기동 스위치(70)를 ON 조작하면,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장치(14)로부터 리퀘스트 신호(Sr)가 송신되어(시점 t2 참조), 전자 키(12)와의 교신이 시작된다.
사용자가 전자 키(12)를 소지하고 있는 경우는, 전자 키(12)의 수신 회로(26)(도 2 참조)를 통해 리퀘스트 신호(Sr)가 수신된다. 전자 키(12)는, 리퀘스트 신호(Sr)의 수신에 기초하여, 도 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응답 신호(Sa)를 송신한다(시점 t3 참조). 응답 신호(Sa)는, 제어 장치(14)에서의 수신 회로(44)(도 3 참조)를 통해 CPU(42)에 공급되어, 응답 신호(Sa)에 포함되는 ID 데이터가 대조된다. ID 데이터가 일치한다고 판별된 경우는, 도 5(e)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장치(14) 및 제1 구동 회로(52)를 통해 핸들(11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시점 t4 참조). 이 때, 제2 구동 회로(54)가 ON하여, 제어 장치(14)의 출력 회로(50)로부터 ECU(110)에 대해 점화/분사 허가 신호가 출력된다.
계속해서, 도 5(b)의 시점 t5에 있어서, 사용자가 전자 키(12)를 소지한 상태로, 메인 스위치(62)를 ON 조작하면,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장치(14)로부터 리퀘스트 신호(Sr)가 송신되어(시점 t6 참조), 전자 키(12)와의 교신이 행해진다.
사용자가 전자 키(12)를 소지하고 있는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전자 키(12)는, 리퀘스트 신호(Sr)의 수신에 기초하여, 도 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응답 신호(Sa)를 송신한다(시점 t7 참조). 응답 신호(Sa)는, 제어 장치(14)에서의 수신 회로(44)를 통해 CPU(42)에 공급되고, 응답 신호(Sa)에 포함되는 ID 데이터가 대조되어, ID 데이터가 일치한다고 판별된 경우는, 다음 단계, 즉 일정 시간(τ)마다 리퀘스트 신호(Sr)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행한다.
이 단계부터는, 사용자는, 예를 들면 차량(100)으로 주행중이고, 이 주행중에 제어 장치(14)로부터 일정 시간(τ)마다 리퀘스트 신호(Sr)가 출력된다. 즉, 일정 시간(τ)마다 전자 키(12)와의 교신이 행해져, 전자 키(12)로부터는 거의 일정 시간(τ)마다 응답 신호(Sa)가 출력된다.
다음에, 차량(100)의 기동시에 전자 키(12)가 없는 것을 검출한 경우의 처리 동작에 관해 도 6(a)∼도 6(f)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도 6(a)의 시점 t11에 있어서, 사용자가 전자 키(12)를 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동 스위치(70)를 ON 조작하면,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장치(14)로부터 리퀘스트 신호(Sr)가 송신되는데(시점 t12 참조), 이 제어 장치(14)에서는, 출력한 상기 리퀘스트 신호(Sr)에 대한 응답 신호(Sa)의 수신은 행해지지 않게 된다(도 6(d)의 시점 t13 참조). 그 결과, 감시 수단(84)으로부터 제3 구동 회로(56)에 경고 신호(Se)가 출력되고, 이에 의해 도 6(f)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고등(68)이 점등하게 된다. 물론 이 경우, 핸들(110)의 잠금 해제 등의 처리는 행해지지 않는다(도 6(e) 참조).
사용자는, 경고등(68)의 점등에 의해, 전자 키(12)를 소지하고 있지 않은 것을 알아차리고, 전자 키(12)를 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엔진 시동을 사전에 회피할 수 있다.
다음에, 차량(100)의 엔진 시동시에 전자 키(12)가 없는 것을 검출한 경우의 처리 동작에 관해 도 7(a)∼도 7(f)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도 7(a)의 시점 t21에 있어서, 사용자가 전자 키(12)를 소지한 상태로, 기동 스위치(70)를 ON 조작하면,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장치(14)로부터 리퀘스트 신호(Sr)가 송신되어(시점 t22 참조), 전자 키(12)와의 교신이 시작된다.
사용자가 전자 키(12)를 소지하고 있는 경우는, 전자 키(12)의 수신 회로(26)를 통해 리퀘스트 신호(Sr)가 수신되고, 도 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자 키(12)로부터 응답 신호(Sa)가 송신된다(시점 t23 참조). 제어 장치(14)에 있어서, 응답 신호(Sa)에 포함되는 ID 데이터가 대조되어, ID 데이터가 일치한다고 판별된 경우는, 도 7(e)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핸들(11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시점 t24 참조). 이 때, 제2 구동 회로(54)가 ON하여, 제어 장치(14)의 출력 회로(50)로부터 ECU(110)에 대해 점화/분사 허가 신호가 출력된다.
계속해서, 도 7(b)의 시점 t25에 있어서, 사용자가, 예를 들면 전자 키(12)를 떨어뜨린 것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메인 스위치(62)를 ON 조작하면,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장치(14)로부터 리퀘스트 신호(Sr)가 송신되는데(시점 t26 참조), 이 제어 장치(14)에서는, 출력한 상기 리퀘스트 신호(Sr)에 대한 응답 신호(Sa)의 수신은 행해지지 않게 된다(도 7(d)의 시점 t27 참조). 그 결과, 감시 수단(84)으로부터 제3 구동 회로(56)에 경고 신호(Se)가 출력되고, 이에 의해 도 7(f)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고등(68)이 점등하게 된다.
사용자는, 경고등(68)의 점등에 의해, 전자 키(12)를 떨어뜨린 것을 알아차려, 전자 키(12)의 분실이 사전에 회피되게 된다.
다음에, 차량(100)의 주행중에 전자 키(12)가 없는 것을 검출한 경우의 처리 동작에 관해 도 8(a)∼도 8(f)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먼저 기동 스위치(70)의 ON 조작부터 메인 스위치(62)의 ON 조작까지의 처리(시점 t31∼시점 t37까지의 처리)는, 도 5(a)∼ 도 5(f)에서의 시점 t1∼t7까지의 처리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메인 스위치(62)의 ON 조작에 기초하여 엔진이 시동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 시간(τ)마다 리퀘스트 신호(Sr)를 출력하는 단계로 이행한다. 이 단계부터는, 사용자는 예를 들면 차량(100)으로 주행중이며, 이 주행중에, 제어 장치(14)로부터 일정 시간(τ)마다 리퀘스트 신호(Sr)가 출력된다.
이 차량(100)으로의 주행중에, 예를 들면 전자 키(12)가 떨어졌을 때, 제어 장치(14)에서의 응답 신호(Sa)의 수신은 행해지지 않게 된다(도 8(d)의 시점 t38 참조). 감시 수단(84)에서는, 리퀘스트 데이터(Dr)의 출력 시점부터 소정 시간 내에 응답 신호(Sa)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계수치를 +1 갱신한다. 그리고, 순차로 리퀘스트 신호(Sr)가 출력되고 있는 과정에서, 계수치가 소정치 이상이 된 시점 t39에서, 감시 수단(84)으로부터 제3 구동 회로(56)에 경고 신호(Se)가 출력되고, 이에 의해 도 8(f)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고등(68)이 점등하게 된다.
사용자는, 경고등(68)의 점등에 의해, 전자 키(12)를 떨어뜨린 것을 알아차려, 전자 키(12)의 분실이 사전에 방지되게 된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키 시스템(10)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전자 키(12)를 갖지 않고 기동 스위치(70)를 ON 조작한 경우는, 제어 장치(14)로부터의 리퀘스트 신호(Sr)의 출력에 관계없이, 수신 회로(44)에서 응답 신호(Sa)가 검지되지 않게 되므로, 감시 수단(84)을 통해 경고가 출력되게 되어, 사용자는 전자 키(12)를 소지하고 있지 않은 것을 알아차리게 된다.
사용자가, 예를 들면 엔진 시동시에 전자 키(12)를 떨어뜨린 경우는, 메인 스위치(62)의 ON 조작에 기초하는 제어 장치(14)로부터의 리퀘스트 신호(Sr)의 출력에 관계없이, 수신 회로(44)에서 응답 신호(Sa)가 검지되지 않게 되므로, 감시 수단(84)을 통해 경고가 출력되게 되어, 사용자는 전자 키(12)를 떨어뜨린 것을 알아차리게 된다.
사용자가, 차량(100)으로 주행중에 전자 키(12)를 떨어뜨린 경우는, 제어 장치(14)로부터의 일정 시간(τ)마다의 리퀘스트 신호(Sr)의 출력에 관계없이, 수신 회로(44)에서 응답 신호(Sa)가 검지되지 않게 되므로, 감시 수단(84)을 통해 경고가 출력되게 되어, 사용자는 전자 키(12)를 떨어뜨린 것을 알아차리게 된다.
이렇게, 제어 장치(14)의 기동 단계, 메인 스위치(62)의 ON 조작 단계, 차량(100)의 주행중이라는 적어도 3가지 상황에서, 사용자가 전자 키(12)를 갖고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 키 시스템(10)을, 예를 들면 자동 이륜차에 적용한 경우라도, 사용자가 전자 키(12)를 떨어뜨려 버린 경우에, 그것을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어, 전자 키(12)의 분실 확률을 최대한 적게 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제어 장치(14)로부터의 리퀘스트 신호(S1)의 출력 주기(τ)를 10∼100초 중의 어느 시간으로 하고 있다. 리퀘스트 신호(Sr)의 출력 주기(τ)를 짧게 하면, 사용자가 전자 키(12)를 소지하고 있는지 여부의 검사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데, 전자 키(12)에는 배터리(20)가 설치되어, 이 배터리(20)로부터의 전력에 의해 응답 신호(Sa)를 출력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리퀘스트 신호(Sr)의 출력 주기(τ)를 짧게 하면 할수록, 배터리(20)의 소비량이 많아져, 단기간에 배터리(20)를 교환하는 상황이 될 위험이 있다.
그래서, 리퀘스트 신호(Sr)의 출력 주기(τ)를 10∼100초 중의 어느 시간으로 함으로써, 전자 키(12)에서의 배터리(20)의 소비량을 저감할 수 있어, 배터리(20)의 교환 빈도를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차량(100)의 주행중에, 응답 신호(Sa)가 검출되지 않게 된 기간을 계수하여, 그 계수치가 소정치 이상이 된 시점에서 경고 출력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은, 응답 신호(Sa)의 착신이 늦어지거나, 또는 주행중의 노이즈 등의 영향에 의해 응답 신호(Sa) 자체가 누락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불감대를 갖게 함으로써, 빈번하게 경고가 출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예에서는, 경고 출력의 예로서 전용 경고등(68)을 점등시키도록 했으나, 전용의 버저(buzzer)로 음성 출력하도록 해도 된다.
또는, 기존의 미터(meter) 내의 지시 램프를 랜덤하게 점등시키거나, 혼(horn)을 통해 소정의 발음 패턴(음성 패턴)으로 출력시키거나, 윙커(winker)를 통상과는 다른 점등 패턴으로 점등시키도록 해도 된다.
단, 혼 및 윙커는 보안 부품이므로, 엔진 시동시에는 상술한 경고 목적으로는 동작시키지 않도록 하여, 원래의 보안 부품으로서 동작시키도록 하는 것이 긴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가지 구성을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Claims (10)

  1. 차량(100)에 탑재된 제어 장치(14)와, 이 제어 장치(14)로부터의 리퀘스트 신호(Sr)의 수신에 기초하여 응답 신호(Sa)를 송신하는 휴대형 송수신기(12)를 갖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4)는,
    상기 차량(100)의 스타트 스위치의 ON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형 송수신기(12)에 대해 리퀘스트 신호(Sr)를 출력하는 제1 수단과,
    상기 휴대형 송수신기(12)로부터의 상기 리퀘스트 신호(Sr)에 기초하는 응답 신호(Sa)를 검지하는 제2 수단과,
    상기 제1 수단으로부터의 리퀘스트 신호(Sr)의 출력에 관계없이, 상기 제2 수단에서 상기 응답 신호(Sa)가 검지되지 않은 경우에, 경고 출력을 행하는 제3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4)는,
    상기 제어 장치(14)의 기동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형 송수신기(12)에 대해 리퀘스트 신호(Sr)를 출력하는 제4 수단과,
    상기 제6 수단으로부터의 리퀘스트 신호(Sr)에 기초하는 상기 휴대형 송수신기(12)로부터의 응답 신호(Sa)를 상기 제2 수단에서 검지한 경우에, 상기 차량(1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제5 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3. 차량(100)에 탑재된 제어 장치(14)와, 상기 제어 장치(14)부터의 리퀘스트 신호(Sr)의 수신에 기초하여 응답 신호(Sa)를 송신하는 휴대형 송수신기(12)를 갖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4)는,
    상기 휴대형 송수신기(12)에 대해 일정 시간마다 리퀘스트 신호(Sr)를 출력하는 제1 수단과,
    상기 휴대형 송수신기(12)로부터의 상기 리퀘스트 신호(Sr)에 기초하는 응답 신호(Sa)를 검지하는 제2 수단과,
    상기 제2 수단에서 상기 응답 신호(Sa)가 검지되지 않게 된 단계에서, 경고 출력을 행하는 제3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단에서의 리퀘스트 신호(Sr)의 출력 주기는, 10∼100초 중의 어느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수단은, 상기 응답 신호(Sa)가 검출되지 않게 된 기간을 계수(計數)하여, 그 계수치가 소정치 이상이 된 시점에서 경고 출력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4)는,
    상기 제어 장치(14)의 기동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형 송수신기(12)에 대해 리퀘스트 신호(Sr)를 출력하는 제4 수단과,
    상기 제4 수단으로부터의 리퀘스트 신호(Sr)에 기초하는 상기 휴대형 송수신기(12)로부터의 응답 신호(Sa)를 상기 제2 수단에서 검지한 경우에, 상기 차량(1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제5 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7. 차량(100)에 탑재된 제어 장치(14)와, 상기 제어 장치(14)로부터의 리퀘스트 신호(Sr)의 수신에 기초하여 응답 신호(Sa)를 송신하는 휴대형 송수신기(12)를 갖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4)는,
    상기 휴대형 송수신기(12)에 대해 일정 시간마다 리퀘스트 신호(Sr)를 출력하는 제1 수단과,
    상기 휴대형 송수신기(12)로부터의 상기 리퀘스트 신호(Sr)에 기초하는 응답 신호(Sa)를 검지하는 제2 수단과,
    상기 제2 수단에서 상기 응답 신호(Sa)가 검지되지 않게 된 단계에서, 경고 출력을 행하는 제3 수단과,
    상기 차량(100)의 스타트 스위치의 ON 조작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형 송수신기(12)에 대해 리퀘스트 신호(Sr)를 출력하는 제4 수단과,
    상기 제4 수단으로부터의 리퀘스트 신호(Sr)의 출력에 관계없이, 상기 제2 수단에서 상기 응답 신호(Sa)가 검지되지 않은 경우에, 경고 출력을 행하는 제5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단에서의 리퀘스트 신호(Sr)의 출력 주기는, 10∼100초 중의 어느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수단은, 상기 응답 신호(Sa)가 검출되지 않게 된 기간을 계수하여, 그 계수치가 소정치 이상이 된 시점에서 경고 출력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14)는,
    상기 제어 장치(14)의 기동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형 송수신기(12)에 대해 리퀘스트 신호(Sr)를 출력하는 제6 수단과,
    상기 제6 수단으로부터의 리퀘스트 신호(Sr)에 기초하는 상기 휴대형 송수신기(12)로부터의 응답 신호(Sa)를 상기 제2 수단에서 검지한 경우에, 상기 차량(10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제7 수단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KR20057005259A 2002-09-26 2003-09-25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KR1005748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81781A JP3913652B2 (ja) 2002-09-26 2002-09-26 車両用電子キーシステム
JPJP-P-2002-00281781 2002-09-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7590A true KR20050057590A (ko) 2005-06-16
KR100574809B1 KR100574809B1 (ko) 2006-04-27

Family

ID=32040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7005259A KR100574809B1 (ko) 2002-09-26 2003-09-25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7245210B2 (ko)
EP (1) EP1544066B1 (ko)
JP (1) JP3913652B2 (ko)
KR (1) KR100574809B1 (ko)
CN (2) CN100337863C (ko)
AU (1) AU2003266627B2 (ko)
BR (1) BR0314725A (ko)
CA (1) CA2500233C (ko)
DE (1) DE60336152D1 (ko)
ES (1) ES2360390T3 (ko)
MX (1) MXPA05002972A (ko)
MY (1) MY137421A (ko)
TW (1) TWI228464B (ko)
WO (1) WO20040288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81207B2 (ja) * 2004-04-26 2010-06-1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レジャービィークルの盗難防止装置
JP4617172B2 (ja) 2005-02-17 2011-01-1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移動体
JP4568617B2 (ja) 2005-02-18 2010-10-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船舶に用いられる携帯用電子キー
JP4568620B2 (ja) * 2005-02-24 2010-10-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電子キーシステム及び車両
JP4568638B2 (ja) 2005-04-26 2010-10-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電子キーシステム
JP4603928B2 (ja) 2005-04-26 2010-12-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盗難防止システム
JP4536614B2 (ja) 2005-07-19 2010-09-0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電子キーの位置情報表示装置
JP2007083761A (ja) * 2005-09-20 2007-04-05 Moric Co Ltd 車両の盗難防止システム
JP4110167B2 (ja) 2005-09-29 2008-07-02 三菱電機株式会社 乗物用電子キー装置
JP4800138B2 (ja) * 2006-08-01 2011-10-2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
JP4937665B2 (ja) 2006-08-01 2012-05-2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車両制御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
JP4181198B2 (ja) 2006-10-30 2008-11-12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盗難防止システムおよび車両盗難防止方法
FR2911900B1 (fr) * 2007-01-30 2009-02-27 Siemens Vdo Automotive Sas Dispositif d'acces mains libres a un vehicule,adapte pour commander le deverrouillage d'au moins une portiere du dit vehicule
EP1988513B1 (de) * 2007-04-30 2010-12-15 Delphi Technologies, Inc. Komfort- und Zugangskontrollsystem
CN102011514B (zh) * 2010-12-17 2012-11-14 江苏罗思韦尔电气有限公司 亲情车门钥匙、亲情车门锁及其控制方法
CN102061836B (zh) * 2010-12-29 2013-05-22 刘志明 一种带提醒功能的钥匙
CN102758566A (zh) * 2011-04-25 2012-10-31 张强 一种车辆用电子钥匙控制方法
ES2939174T3 (es) 2011-07-26 2023-04-19 Gogoro Inc Limitación dinámica de funcionamiento de vehículo para una mejor economía de esfuerzos
ES2720202T3 (es) 2011-07-26 2019-07-18 Gogoro Inc Aparato, método y artículo para un compartimento de dispositivo de almacenamiento de energía
EP2737593B1 (en) 2011-07-26 2023-11-22 Gogoro Inc. Apparatus, method and article for authentication, security and control of power storage devices, such as batteries
JP5584190B2 (ja) * 2011-11-18 2014-09-0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Ic出力ポート切換制御装置
JP2013256164A (ja) * 2012-06-11 2013-12-26 Omron Automotive Electronics Co Ltd 車両用制御装置、車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CN102855674A (zh) * 2012-08-16 2013-01-02 苏州启智机电技术有限公司 可追踪汽车钥匙
JP6050136B2 (ja) * 2013-02-15 2016-12-2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電子キー登録方法
CN105329205B (zh) * 2014-06-23 2018-04-20 比亚迪股份有限公司 车钥匙的屏蔽系统、方法、车载钥匙控制装置和车辆
JP5881797B1 (ja) * 2014-10-09 2016-03-09 三菱電機株式会社 車両用盗難防止装置
US10430021B2 (en) 2016-10-05 2019-10-01 Snap-On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vehicle diagnostic display
US10430026B2 (en) * 2016-10-05 2019-10-01 Snap-On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nteractive vehicle diagnostic display
US10328898B2 (en) * 2016-10-12 2019-06-25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Passive entry / passive start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s
CN113573973B (zh) * 2019-03-29 2023-04-04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解锁系统
TWI706369B (zh) * 2019-07-31 2020-10-01 優仕達資訊股份有限公司 交通工具管理方法與交通工具管理系統
JP7287747B1 (ja) 2022-03-22 2023-06-06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子キーシステム及び移動体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3083B2 (ja) 1983-11-29 1994-10-1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無線送信装置
JPS60119873A (ja) 1983-11-29 1985-06-2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施錠制御装置
DE4019478A1 (de) * 1989-06-20 1991-01-10 Honda Motor Co Ltd Elektrische spannungsversorgungs-kontrolleinheit fuer ein kraftfahrzeug
JP2891718B2 (ja) 1989-06-20 1999-05-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輌盗難防止装置
JP2676411B2 (ja) 1989-08-31 1997-11-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ハンドルロック装置とエンジン点火装置
JP2757535B2 (ja) 1990-05-31 1998-05-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制御装置
EP0426114B1 (en) * 1989-11-02 1997-02-26 Nissan Motor Co., Ltd. Keyless vehicle lock system
US5293160A (en) * 1989-11-02 1994-03-08 Nissan Motor Company, Ltd. Keyless vehicle lock system with distance measuring
JP2905254B2 (ja) 1990-04-16 1999-06-14 株式会社二輪整備技術研究所 二輪車用盗難警報装置
JP2905258B2 (ja) 1990-04-28 1999-06-14 株式会社アルファ 二輪車用ハンドルロック装置
FR2740501B1 (fr) 1995-10-26 1998-06-19 Valeo Securite Habitacle Systeme mains libres de deverrouillage et/ou d'ouverture d'ouvrant de vehicule automobile
EP0860353A1 (en) 1995-12-22 1998-08-26 Sakae Co., Ltd. Identification device for two-wheeled vehicle
US5689142A (en) 1996-05-24 1997-11-18 Continocean Tech Inc. Keyless motor vehicle starting system with anti-theft feature
JP3699208B2 (ja) * 1996-07-17 2005-09-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盗難防止装置
FR2751293B1 (fr) 1996-07-17 1998-09-11 Texton Dispositif antivol pour motocycle et casque de protection motocycliste
FR2752004B1 (fr) 1996-07-30 1998-09-25 Siemens Automotive Sa Dispositif de controle d'acces a un espace ferme par une porte
US5939975A (en) * 1996-09-19 1999-08-17 Nds Ltd. Theft prevention system and method
JP3275777B2 (ja) 1997-05-19 2002-04-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スマートエントリシステム
US6057657A (en) 1998-07-02 2000-05-02 Shimano, Inc. Magnetically operated bicycle antitheft device
DE19833451C1 (de) 1998-07-24 1999-08-19 Siemens Ag Diebstahlschutz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JP3555493B2 (ja) * 1998-07-30 2004-08-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機器遠隔制御装置
JP3632463B2 (ja) * 1998-09-30 2005-03-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載機器遠隔制御装置
US6236850B1 (en) 1999-01-08 2001-05-22 Trw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convenience function control with increased effective receiver seek time and reduced power consumption
JP4026988B2 (ja) 1999-06-29 2007-12-26 朝日電装株式会社 イモビライザ及びイモビライザによる認証方法
US6386447B1 (en) * 1999-10-04 2002-05-14 Siemens Automotive Corporation Smart card with card in vehicle warning
DE19957536C2 (de) 1999-11-30 2003-04-03 Siemens Ag Diebstahlschutz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Diebstahlschutzsystems
FR2807238A1 (fr) 2000-02-22 2001-10-05 Trw Inc Systeme et procede pour telecommander une fonction d'un vehicule
JP2001278156A (ja) 2000-03-31 2001-10-10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リモコン装置
JP3588677B2 (ja) 2000-04-03 2004-11-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子キー装置
JP3589188B2 (ja) * 2000-04-03 2004-11-17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電子キー装置
EP1143090B1 (en) 2000-04-03 2005-03-16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Vehicular electronic key system
DE10034348A1 (de) 2000-07-14 2002-01-24 Daimler Chrysler Ag System zur Inbetriebnahme eines motorangetriebenen Kraftfahrzeugs
DE10049442A1 (de) 2000-10-06 2002-06-13 Conti Temic Microelectronic System zur Inbetriebnahme eines motorangetriebenen Kraftfahrzeugs
JP2002168023A (ja) 2000-11-30 2002-06-11 Yamaha Motor Co Ltd 自動二輪車のロック装置
CN2452828Y (zh) * 2000-12-08 2001-10-10 万文略 车用防盗报警器
JP2002201838A (ja) 2000-12-28 2002-07-19 Denso Corp 車両用電子キー装置及び記録媒体
US6621406B2 (en) * 2001-04-18 2003-09-16 U-Shin Ltd. Keyless entry system for vehicle
JP3983634B2 (ja) 2002-09-02 2007-09-26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車両用無線装置
TWI230130B (en) 2002-09-27 2005-04-01 Honda Motor Co Ltd Motorcycle electronic ke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PA05002972A (es) 2005-09-08
AU2003266627A1 (en) 2004-04-19
TWI228464B (en) 2005-03-01
CA2500233A1 (en) 2004-04-08
CN101064046B (zh) 2010-06-16
US7245210B2 (en) 2007-07-17
EP1544066A1 (en) 2005-06-22
TW200408572A (en) 2004-06-01
CN1684860A (zh) 2005-10-19
DE60336152D1 (de) 2011-04-07
CN100337863C (zh) 2007-09-19
EP1544066B1 (en) 2011-02-23
US20050280499A1 (en) 2005-12-22
CN101064046A (zh) 2007-10-31
BR0314725A (pt) 2005-07-26
KR100574809B1 (ko) 2006-04-27
CA2500233C (en) 2009-06-16
JP2004114860A (ja) 2004-04-15
ES2360390T3 (es) 2011-06-03
MY137421A (en) 2009-01-30
EP1544066A4 (en) 2008-03-05
JP3913652B2 (ja) 2007-05-09
WO2004028872A1 (ja) 2004-04-08
AU2003266627B2 (en) 200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74809B1 (ko)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JP4568638B2 (ja) 車両用電子キーシステム
JP4568620B2 (ja) 車両用電子キーシステム及び車両
US7477136B2 (en) Theft deterrent system and method for a vehicle
JP5604368B2 (ja) 車両の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JP4121345B2 (ja) 車両用電子キーシステム
US20090160639A1 (en) Keyless alert system and method for automobiles
JP2004009923A (ja) 車載機器遠隔制御装置
KR100669910B1 (ko) 차량용 전자 키 시스템
JP2006104664A (ja) スマートキーレス制御装置
US20190110200A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474683B2 (ja) スマートキーレスシステム
JP2004116261A (ja) 車両用電子キーシステム
JP2008105483A (ja) 推進体盗難防止装置
JPH1082224A (ja) 車両コントロールシステム及び車両コントロール方法
JP2006103355A (ja) スマートキーレス制御装置
JP4099027B2 (ja) 自動二輪車用電子キーシステム
JP3965349B2 (ja) 車両用電子キーシステム
JP4099026B2 (ja) 自動二輪車用電子キーシステム
JPH10169269A (ja) 車両用盗難防止装置
JP2005247253A (ja) パッシブエントリー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