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8893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8893A
KR20050028893A KR1020040075009A KR20040075009A KR20050028893A KR 20050028893 A KR20050028893 A KR 20050028893A KR 1020040075009 A KR1020040075009 A KR 1020040075009A KR 20040075009 A KR20040075009 A KR 20040075009A KR 20050028893 A KR20050028893 A KR 200500288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forming
printing
forming apparatus
main body
pri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5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2238B1 (ko
Inventor
쿠도타쿠
노나카마나부
카와시마야수히로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0500288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88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2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22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ng or detecting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4Bodily-changeable print heads or carri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5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with two or more sets of type or printing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 공간 절약을 도모하면서 인자부(印字部)를 일체적으로 교환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왕복대(121), 주주사 모터(122)를 포함한 인자 기구부(120)와 이송 벨트(144)를 구동하는 부주사 모터(145), 벨트 구동축(146)을 포함한 부주사 이송 기구(140)와 유지 기구부(150)와 잉크 막힘 방지 기구부(160)를 유닛화하여 인자 유닛(110)을 구성하고, 인자 유닛(110)에 마련한 레일(115)을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측에 기록지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련한 레일 안내부로 인도하여 인자 유닛(110)을 장치 앞면 측으로 일체적으로 인출할 수 있고, 또한 인출한 상태에서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인자부의 보수 관리를 고려하여 인자부를 장치 앞면 측으로 인출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인자부를 간단하게 교환할 수 있도록 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잉크젯 프로세스를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는 이른바 레이저 빔을 주사하여 광 기록을 실시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비하여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인자부의 각 부품은 장치 프레임 본체에 설치되어 있고, 인자부에 대하여 수리의 필요성이 생겼을 경우에는, 기계 채로 교환하거나 각 구성 부품별로 교환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인자부를 교환 가능토록 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 예컨대 공지의 기술인 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02-506758호(특허 문헌 1), 또는 특허 제 3167486호 공보(특허 문헌 2)에 개시된 발명이 있는데, 상기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발명은 프린트 매체에 잉크를 부여하는 기록 엔진 수단으로부터 프린트 매체에 잉크를 전송하는 잉크젯 프린트 수단, 기록 엔진 수단의 잉크젯 기능의 보전성을 유지하는 서비스 수단, 적어도 하나의 잉크, 소정량의 상기 잉크를 수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잉크 수용 수단, 잉크 수용 수단으로부터 잉크젯 프린트 수단에 잉크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 기록 엔진 수단에 전력 및 제어부를 접속하는 전기적 수단을 하드 복사 장치내의 선택적으로 교환 가능한 유닛으로서 각각 동작 가능한 구성으로 하우징 수단에 수용하도록 하고 있다.
또, 상기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발명은 기록지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잉크젯 헤드, 이 잉크젯 헤드의 잉크 공급원인 고정 잉크 저장 수단, 이 고정 잉크 저장 수단내의 잉크를 잉크젯 헤드에 공급하는 잉크 공급 튜브 및 구동 회로와 상기 잉크젯 헤드의 전극을 접속하는 접속 케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잉크젯 헤드와 그 주행 수단, 고정 잉크 저장 수단, 잉크 공급 튜브 및 접속 케이블과 그 접속 단자를 지지 부재에 탑재하여 교환 유닛으로서 지지 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본체 장치에 장착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잉크젯 프린터의 인자부에 대하여 수리의 필요성이 생긴 경우에, 종래에는 기계 채로 교환하거나, 각 구성 부품별로 교환하였지만, 기계 채로 교환하는 것은 낭비가 많고, 또 각 구성 부품별로 교환하는 경우에는, 액체 잉크를 사용하고 있는 점으로부터 작업에 주의가 필요하여 작업 능률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즉, 잉크젯 프린터에서는 교환하는 인자부에 액체 잉크를 공급해야 하는 필요성으로부터 반드시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기구, 예컨대, 잉크 공급 튜브, 잉크 공급 관로(管路) 등이 접속되고, 인자부를 교환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튜브, 관로를 떼어낸 후 인자부를 떼어내야 하고, 인자부를 장착할 때에는, 각 잉크 공급 관로에 잉크 공급 튜브를 재차 장착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이러한 작업은 잉크젯 프린터가 이용자 측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용자 측에서 실시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이 작업은 잉크 공급 튜브의 취출을 포함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잉크 누출의 우려가 있으므로, 잉크젯 헤드내의 잉크(서브 탱크내의 잉크)를 깨끗이 제거할 필요가 있고, 또, 서브 탱크와 메인 탱크의 수위 차이에 주의하면서 작업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또, 만약 잉크가 새면 기계 내부를 더럽히거나 이용자 측 설치부의 마루를 더럽히게 된다. 이러한 잉크 누출을 고려할 때, 작업을 보다 신중하게 실시하지 않으면 안되어 더욱 더 작업 시간이 길어지고, 기계 내부나 마루를 더럽혔을 경우에는, 그 청소에 시간이 소모될 뿐만 아니라 매우 번거로워 작업 능률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상기 특허 문헌 2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잉크젯 헤드와 그 주행 수단, 고정 잉크 저장 수단, 잉크 공급 튜브 및 접속 케이블과 그 접속 단자를 지지 부재에 탑재하여 교환 유닛으로 하고, 지지 부재를 착탈 가능하게 본체 장치에 장착하도록 한 발명을 개시하고 있다. 이 장착은 잉크젯 헤드, 고정 잉크 저장 수단 등을 포함한 교환 유닛을 본체 장치의 윗면에 고정 축을 통하여 윗쪽으로부터 장착하고 측면에서 훅에 의해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 발명에서는 잉크젯 헤드, 잉크 저장 수단을 포함한 잉크 공급 기구, 접속 케이블 및 접속 단자를 하나의 유닛으로서 교환할 수 있지만, 작업은 윗쪽으로부터 실시하지 않으면 안되어 윗쪽 공간이 비어 있을 것이 조건으로 된다. 또, 압반, 롤러를 포함한 용지 공급 이송계 및 그 구동계, 및 잉크젯 헤드의 구동원은 장치 본체 측에 설치되어 있어 유닛으로서 교환할 수 없었다. 그 때문에, 잉크젯 헤드, 구동계와 용지 공급 이송계가 기구적으로 독립되어 있어 교환에 수반하여 양자 사이의 거리나 상대적인 위치를 일정하게 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인자 정밀도에 한계가 있었다.
또, 상기 특허 문헌 2에도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로부터 엔진부를 착탈할 때에 엔진 유닛과 본체의 전기 계통도 착탈할 필요가 있다. 잉크젯의 경우, 잉크젯 헤드에 구비된 다수의 노즐을 제어하므로, 잉크젯 유닛과 본체 제어 기판 사이의 접속 핀 수는 100 내지 200 핀에 이르게 된다. 본래라면 드로아형 커넥터(drawer-type connector)와 같은 커넥터를 이용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드로아형 커넥터로 수백 핀을 꽂고 빼고자 하면 아주 큰 힘이 필요하게 된다. 그 때문에, 현실적으로는 사실상 수백 핀에 이르는 커넥터는 존재하지 않고 실제로는 다수의 커넥터로 나누어 접속을 수행하게 된다. 그 때, 커넥터의 착탈 위치가 문제로 된다.
예컨대, 장치의 뒷면 측에 마련하면 착탈 시에 장치 자체를 앞으로 인출한 후 작업을 하게 되어 작업성이 나쁘다. 또, 장치에 따라서는 뒷면 측에 접속부를 마련할 수 없는 구성의 것도 있을 수 있다. 또, 장치의 앞면 측은 종이 걸림 처리를 실시하거나 잉크의 교환을 실시하기 때문에, 장치의 구동부는 뒷면 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많아 앞면 측에 접속부를 마련하면 뒷면측으로부터 접속 케이블을 끌어 낼 필요가 있어 필연적으로 케이블의 길이가 길어지게 된다. 케이블이 길어지면 노이즈를 얻을 가능성이 높아져 인자 제어에 문제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장치 윗쪽에 공간적인 여유가 없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보수를 실시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한다.
또, 상부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 공간 절약을 도모하면서 인자부를 일체적으로 교환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한다.
또, 인자부와 용지 이송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인자 정밀도가 뛰어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3 목적으로 한다.
또, 인자부를 착탈할 때에, 전기 계통의 착탈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작업성이 뛰어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4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의 수단은 인자부에 의해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련된 안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인자부는 상기 안내 수단을 따라 상기 기록 매체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의 수단은 제1의 수단에 있어서, 상기 안내 수단은 인자부와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중의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기록 매체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안내 부재, 및 상기 인자부와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중의 다른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 부재에 의해 안내되는 피안내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의 수단은 제2의 수단에 있어서, 상기 피안내 부재는 긴 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긴 돌기가 상기 기록 매체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의 수단은 제1의 수단에 있어서, 상기 안내 수단은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인자부를 수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수용부 저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의 수단은 제1의 수단에 있어서, 상기 안내 수단은 상기 인자부를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취출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의 수단은 제1의 수단에 있어서, 상기 인자부는 잉크젯 헤드가 설치된 왕복대와 이 왕복대를 주주사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동 기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의 수단은 제6의 수단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구부가 상기 왕복대를 주주사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어를 실시하는 제어 회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의 수단은 제6의 수단에 있어서, 상기 인자부는 인자 부분에서 부주사 방향으로 기록 매체를 이송하는 부주사 이송 기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9의 수단은 제8의 수단에 있어서, 상기 부주사 이송 기구부는 이송 롤러, 압반, 및 이송 롤러를 구동하는 구동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0의 수단은 제8의 수단에 있어서, 상기 부주사 이송 기구부는 이송 롤러, 이송 벨트, 및 양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동하는 구동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1의 수단은 제8의 수단에 있어서, 상기 부주사 이송 기구부는 기록 매체를 부주사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어를 실시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2의 수단은 제7의 수단 또는 제11의 수단에 있어서, 상기 인자부는 상기 이동 기구부 및 상기 부주사 이송 기구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제어부를 접속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인자부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측면의 커버를 개방했을 때에 노출되는 부분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3의 수단은 제12의 수단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인자부에 고정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된 제1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제어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4의 수단은 제13의 수단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인쇄부의 인출 방향에 대하여 안쪽의 상기 인쇄부 기판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5의 수단은 제13의 수단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기판에 설치된 제2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접속하는 배선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이동 기구부 및 상기 부주사 이송 기구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6의 수단은 제12의 수단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인자부에 고정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된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제어부와 상기 이동 기구부 및 상기 부주사 이송 기구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7의 수단은 제12의 수단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제어부는 그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안쪽 부분의 측면 커버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8의 수단은 제12의 수단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인쇄부의 인출 방향에 대하여 안쪽에 위치하고, 상기 인쇄부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측면 커버가 개방되었을 때 노출되는 부분에 접속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9의 수단은 제6의 수단에 있어서, 잉크젯 헤드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탱크가 상기 인자부와 일체화되어 있고, 상기 인자부를 인출할 때에 상기 잉크 탱크와 상기 인자부는 일체적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0의 수단은 제1의 수단에 있어서, 상기 인자부에는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1의 수단은 제20의 수단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벨트형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비사용시에는 상기 인자부 부재를 따라 연장한 상태로 후퇴하고, 사용시에는 상기 부재의 일단을 해제하여 상기 인자부의 다른 부위에 고정하여 핸들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2의 수단은 제1의 수단에 있어서, 원고를 광학적으로 판독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화상 판독부는 상기 인자부를 포함한 화상 형성부의 상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3의 수단은 제22의 수단에 있어서, 화상이 형성된 기록 매체가 배출되는 용지 받이는 상기 화상 판독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4의 수단은 인자부가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인자부에 의해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자부는 상기 인자부의 제어 회로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측 제어부를 접속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인자부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측면의 커버를 개방했을 때에 노출되는 부분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5의 수단은 제24의 수단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인자부측에 일체적으로 마련된 기판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잉크젯 방식의 복사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용지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주주사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복사 장치(1)는 화상 형성부(100)와 화상 판독부(스캐너)(200)와 용지 공급부(300)로 기본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복사 장치(1)에서 화상 형성부(100)는 용지 공급부(300) 상부에, 화상 판독부(200)는 화상 형성부(100)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용지 공급부(300)에는 기록지(기록 매체)가 적층 상태로 수납되고, 픽업 롤러를 포함한 분리 이송부(301)에 의해 적층된 기록지 윗면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용지를 픽업하여 화상 형성부(100) 측으로 이송한다.
화상 판독부(200)는 본 실시예에서 원고 스캐너로 구성되고 접촉 유리(201) 상에 놓여진 원고를 판독 광학계(202)가 이동하여 CCD(광전 변환 소자)(203)에 의해 읽어내는 형식의 것이다.
화상 형성부(100)는 이송 롤러(101, 102, 103), 반전 롤러(104), 및 용지 배출 롤러(105)의 각 롤러와 인자 유닛(110)과 잉크 탱크(106)를 구비하고 있다. 인자 유닛(11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자 기구부(120)와 부주사 이송 기구부(140), 유지 기구부(150) 및 잉크 막힘 방지 기구부(160)를 구비하고 있다.
대략 이와 같이 구성된 복사 장치(1)에서는 용지 공급부(300)로부터 분리 이송부(301)에 의해 1매씩 분리된 기록지를 이송 롤러(101)에 의해 인자 유닛(110)으로 인도하고, 잉크젯 헤드의 인자 폭에 근거하여 설정된 소정의 이송량만큼 부주사 방향 이송 기구부(140)에 의해 부주사 방향으로 이송되어 소정 라인수만큼 인자하는 동작을 반복하고, 상기 화상 판독부(200)로 읽어낸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1매의 기록지에 인자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이 형성된 기록지는 이송 롤러(102, 103)에 의해 반전 롤러(104)까지 이송되고 반전 롤러(104)에 의해 이송 방향이 역전되어 용지 배출 롤러(105)로부터 화상 형성부(100)의 케이스 표면에 마련된 용지 받이(107) 상으로 배출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판독부(200)는 용지 받이(107)를 사이에 두고 화상 형성부(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어 인자 유닛(110)의 상부에서 인자 유닛(110)을 교환하기 위한 공간을 취득할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3은 인자 유닛(110) 일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인자 유닛(110)은 인자 기구부(120), 부주사 이송 기구부(140), 유지 기구부(150) 및 잉크 막힘 방지 기구부(160)를 탑재한 하나의 유닛으로서 구성되고, 인자 기구부(120), 부주사 이송 기구부(140)의 사이에는 기록지 이송로(111)가 마련되어 있다.
유지 기구부(150)는 잉크젯 헤드 노즐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한 캡, 잉크젯 헤드의 노즐면의 잉크를 제거하는 와이퍼 등의 잉크젯 작동 능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계 요소로 구성되고, 잉크젯 헤드의 홈 포지션 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 홈 포지션의 주주사 방향의 반대측 단부에는 잉크 막힘 방지 기구부(160)가 설치되고 잉크 막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자 개시시 또는 미리 설정된 타이밍으로 잉크를 헛 토출하도록 되어 있다. 또, 잉크젯 헤드에 대향하여 설치되어 헛 토출된 잉크를 접수하는 접수부(161)도 마련되어 있다. 또한, 유지 기구부(150) 및 잉크 막힘 방지 기구부(160)는 공지의 기구를 사용하면 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인자 기구부(12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왕복대(121), 왕복대(121)를 주주사 방향으로 안내하는 도시하지 않는 한 쌍의 안내 부재, 및 이 안내 부재에 따라 왕복대(121)를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주주사 모터(122)로 구성된다. 왕복대(121)에는 아랫면에 소정 라인수의 토출구를 구비하는 잉크젯 헤드가 YMCK의 각 색별로 마련되어 있다. 왕복대(121)에는 도 1에 나타내는 잉크 탱크(106)로부터 잉크가 공급된다. 주주사 모터(122)는 잉크 막힘 방지 기구부(160)측(후술하는 인출 방향의 앞쪽)에 설치되고, 주주사 모터(122)의 출력단은 타이밍 벨트를 통하여 왕복대(121)에 연결되어 주주사 모터(122)의 회전을 왕복대(121)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켜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데, 상기 안내를 일측은 스크루 축으로 하고 상기 주주사 모터(122)에 의해 그 스크루 축을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에 나타낸 인자 유닛(110)의 부주사 이송 기구부(140)는 부주사 롤러(141), 압반(142) 및 이송 롤러(143)로 구성되고, 도시하지 않는 구동 기구에 의해 부주사 롤러(141)는 상기 소정의 이송량만큼 기록지를 이송하고 압반(142)에 대향하여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하는 왕복대(121)에 탑재된 잉크젯 헤드에 의해 기록지 상에 인자 동작이 수행된다.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수행되는 인자 동작은 기록지가 소정량 이송될 때마다 반복된다. 그 때, 왕복 이동시의 각각의 공정에서 인자를 실행한다.
도 3에 나타낸 인자 유닛(110)의 부주사 이송 기구부(140)는 이송 벨트(144)를 사용하고, 이송 벨트(144) 이송 방향의 치수는 왕복대(121)의 부주사 방향의 치수와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왕복대(121)에 탑재된 잉크젯 헤드의 인자 폭(동시에 인자하는 부주사 방향의 도트 수)이 비교적 크기 때문이고, 그 사이의 평면도를 유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이송 벨트(144)로서 정전 작용에 의해 기록지를 흡착하는 정전 벨트나, 벨트 상의 공기압을 부압으로 하여 기록지를 흡착하는 흡착 벨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 전술한 부주사 롤러(141)를 사용한 경우에는 압반(142)에 의해 소망의 평면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말하는 이송 벨트(144)의 이송 방향의 치수란, 이송 벨트(144)의 인장 부분의 부주사 방향의 치수이다. 또 인자 영역은 주주사 방향으로 이동하는 왕복대(121)에 탑재된 잉크젯 헤드에 의해 인쇄가 수행되는 영역이다.
이송 벨트(144)는 부주사 모터(145)에 의해 벨트 구동축(146)이 회전 구동됨으로써 부주사 방향으로 이동된다. 부주사 모터(145)는 인자 유닛(110)의 상기 잉크 막힘 방지 기구부(160) 설치 측의 측면(후술하는 인출 방향의 앞쪽에 상당하는 앞 측판)에 장착되어 타이밍 벨트(147)를 통하여 벨트 구동축(146)을 구동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지 이송로(111)의 용지 반입 측과 용지 반출 측에는 부주사 롤러(141)에 대향하여 이송 롤러(143)가 설치되고, 기록지는 용지 공급부(300)로부터 분리 이송부(301), 이송로 롤러(101) 및 이송로(112)를 거쳐 부주사 롤러(141)와 이송 롤러(143) 사이로부터 인자 영역으로 이송된다. 또, 도 3에 있어서 이송 벨트(144)의 이송 거리를 인자 유닛(110) 근처까지 연장하여 이송 롤러(143)를 생략할 수도 있다.
인자 유닛(110)은 외형이 대략 직방체인 케이스(119)로 이루어지고, 앞뒤 측판(113, 114) 사이에 상기 왕복대(121)의 안내부, 벨트 구동축(146)이 마련되며, 각각의 측판 내측에 상기 잉크 막힘 방지 기구부(160)와 상기 유지 기구부(150)가 배치되어 있다. 이송 롤러(143)는 상기 잉크 막힘 방지 기구부(160)와 상기 유지 기구부(150)가 서로 대향하는 측판 사이에 마련된 롤러 축에 공전(空轉)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인자 유닛(110) 케이스(119)의 상단부에는 용지 이송 방향의 직교 방향에 따라 연장한 한 쌍의 레일(115)이 용지 이송 방향을 따라 케이스(119)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앞 측판(113)측과 뒤 측판(114)측의 상부에 각각 손잡이(116, 117)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대략 구성된 인자 유닛(110)은 화상 형성부(100)(복사 장치(1))의 앞면으로부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출되고, 나아가 이 상태에서 취출된다. 그 때문에 화상 형성부(100)에는 상기 한 쌍의 레일(115)을 인도하는 레일 안내부(109)가 용지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또, 화상 형성부(100) 케이스의 상기 인자 유닛(110) 뒤 측판(114)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인자 유닛(110)의 위치 결정 기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고, 인자 유닛(110)을 레일 안내부(109)에 따라 안쪽으로 삽입했을 때, 최종적으로 상기 위치 결정 기구에 의해 위치가 결정되어 인자 유닛(110)이 고정된다. 인출하는 경우에는, 앞 측판(113) 측의 손잡이(116)을 잡고 인출하는 방향으로 당기면 고정(잠금)이 해제되어 그대로 인출할 수 있다. 그리고 소정량 또는 최대량 인출하여 뒤 측판(114) 측의 손잡이(117)에 손이 닿이는 위치에 이르면, 상기 손잡이(116)을 잡지 않은 쪽의 손으로 상기 손잡이(117)을 잡고 인자 유닛(110)을 취출할 수 있다. 또한, 인자 유닛(110)의 인출시에 뒤 측판(114) 측의 손잡이(117)을 잡기 전에 레일 안내부(109)로부터 인자 유닛(110)이 탈락되지 않도록 스토퍼가 마련된다. 스토퍼는 레일 안내부(109)와 상기 손잡이(117) 측의 레일 단부 사이에서 일시적으로 이동을 규제할 수 있는 바와 같은 수단이면 된다.
또, 이와 같이 인출 가능하게 구성하면, 인자 유닛(110)을 인출한 상태에서 보수를 실시할 수 있으므로, 화상 판독부(200)를 취출하고 나아가 화상 형성부(100)의 상부 구조로 되어 있는 용지 받이(107)를 취출한 후 인자 유닛(110)의 보수를 실시할 필요가 없어 작업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인자 유닛(110)에 탑재된 인자 기구부(120), 부주사 이송 기구부(140), 유지 기구부(150) 및 잉크 막힘 방지 기구부(160) 등의 각 부가 충분히 노출되므로, 보수 시의 작업성도 뛰어나다.
도 3에서 앞 측판(113)측의 손잡이(116)는 합성 수지제의 벨트를 볼트에 의해 앞 측판(113)의 일부에 고정되고, 뒤 측판(114)측의 손잡이(117)는 케이스(119)의 구조재로 구성되어 있지만,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 등의 강체로 손잡이를 구성할 수도 있고,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자 유닛(110)의 케이스(119)를 합성 수지재로 일체적으로 구성하고 손잡이(116, 117)를 손가락을 걸 수 있는 홈부(116a, 117a)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홈부의 형상은 도 6a의 A-A선 단면도인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손가락이 인자 유닛(110)의 중량을 지지할 수 있도록 갈고랑이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3에 나타낸 손잡이(116)는 벨트의 양단 부분에서 볼트에 의해 눌리는 부분을 홈 모양으로 형성하고, 사용 시에 벨트가 이동하여 볼트의 머리 부분이 홈의 단부에 걸려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 이 제1 실시예에서는 레일(115)과 레일 안내부(109)에 의해 인자 유닛(110)을 인출하는 미끄럼 기구를 구성하고 있지만, 안내봉과 그 안내봉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는 기구를 마련하여 인출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 화상 형성부(100)의 저면을 인자 유닛(110)이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자 유닛(110)을 인출하여 취출하고, 밀어넣어 세트할 수 있는 구성이면 본 발명의 대상이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인자 유닛(110)을 화상 형성부(100)로부터 인출하여 취출할 수 있도록 구성하므로, 인출하기 위한 개구부에는 커버(17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170)가 개구부만을 덮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화상 형성부(100) 앞면 전부를 덮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인자 유닛(110)을 구성하고 있는 어느 한 요소에 수리나 교환의 필요성이 생겼을 때, 이용자 측에서 그 수리나 교환 대상이 되는 요소를 개별적으로 취출하는 작업을 실시할 필요 없이 인자 유닛(110) 전체를 교환하여 바로 사용 가능한 상태로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중단 시간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어 작업 능률도 높아지고 이용자의 만족도도 높일 수 있다. 또한 인자 유닛(110)을 취출할 때에는, 잉크 탱크(106)로부터 왕복대(121)에 공급되는 잉크 공급로를 차단하고 취출하면 되어 잉크 누출이 초래될 우려는 없다.
또한, 본 제1 실시예에서는 인자 유닛(110)을 인자 기구부(120), 부주사 이송 기구부(140), 유지 기구부(150) 및 잉크 막힘 방지 기구부(160)를 탑재한 하나의 유닛으로서 구성하고 있지만, 적어도 인자 기구부(120)의 왕복대(121), 왕복대의 이송 기구, 왕복대 이송 기구의 구동원(주주사 모터(122))을 하나의 유닛으로서 구성하거나, 또는 이 유닛에 제어 회로를 탑재하여 하나의 유닛으로서 구성하여 이와 같은 유닛을 인출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유지 기구부(150) 및 잉크 막힘 방지 기구부(160)를 제외한 인자 기구부(120) 및 부주사 이송 기구부(140)를 하나의 유닛으로서 구성하거나, 또는 이 유닛에 제어 회로를 탑재하여 하나의 유닛으로서 구성하여 이와 같은 유닛을 인출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인자 유닛(110)의 인자 기구로서 LED를 사용한 광 기록 라인 프린터나 열전사 프린터 등에서는 잉크젯 헤드를 사용한 화상 형성 장치와 같은 유지 기구부(150) 및 잉크 막힘 방지 기구부(160)는 불필요하므로, 인자부만을 일체적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성하여 화상 형성 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인자부로서는 인자 기구 뿐만 아니라, 부주사 이송 기구도 포함하는 경우, 제어 회로를 추가로 탑재하여 하나의 유닛을 구성할 수도 있다.
나아가, 본 제1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부(100)의 상부에 화상 판독부(200)를 구비한 복사 장치(1)를 예시하고 있지만, 프린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제2 실시예>
전술한 바와 같이 인자부를 취출하는 경우에, 기계적인 착탈 뿐만 아니라 전기 계통의 착탈까지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제2 실시예는 전기 계통의 착탈, 나아가서는 용지 걸림의 처리를 고려한 화상 형성 장치의 예이다. 아래의 설명에 있어서,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등한 각 부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7a, 7b는 도 1에 나타낸 복사 장치(1)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7a는 거의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b는 복사 장치(1)내의 용지 걸림 처리를 실시하기 위하여 개방 가능한 커버를 모두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사 장치(1)에는 수납된 인자 유닛(110)의 앞부분을 덮는 전술한 커버(170) 외에, 이송로(112)를 노출시킬 수 있는 복사 장치(1)의 양 측면의 제1 및 제2 이송로 커버(1a, 1b), 잉크 탱크(106)의 앞쪽 잉크 탱크 커버(106a), 잉크 탱크(106)의 위쪽 이송로(112)를 덮는 제3 이송로 커버(112a), 압반(142)을 덮는 제4 이송로 커버(142a)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또, 도 7a에는 접촉 유리(201)의 상부에 장착된 ADF(자동 원고 공급 장치)(210)를 포함한 전체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제3 이송로 커버(112a)와 제4 이송로 커버(142a)의 윗면은 용지 받이(107)로서도 기능하므로, 제3 이송로 커버(112a)의 상부에는 용지면 검지 센서(도 11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도 8은 복사 장치(1)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우측 측면의 제2 이송로 커버(1b)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커버(170) 및 잉크 탱크 커버(106a)를 생략한 복사 장치(1)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상태로부터 인자 유닛(110)을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상태를 정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자 유닛(110)의 케이스(119) 상부에는 인자 유닛(110)의 각 부와 본체 제어 기판(190)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 커넥터부(18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접속 커넥터부(180)는 도 12의 개략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119)의 측면에 복사 장치(1)의 측면과 평행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접속 커넥터부(180)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본 제2 실시예에서는 접속 커넥터부(180)가 제1 및 제2 기판(180a, 180b)으로 구성되어 양자에 접속 기능이 분산되어 있다. 청구항 13에서의 기판은 도 12에서는 접속 커넥터부(180)의 제1 기판(180a) 및 제2 기판(180b)에 대응한다. 또, 이 제2 실시예에서는 이송 벨트(144)의 외주에 이송 안내판(144a)이 설치되어 이송 벨트(144)가 직접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 11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인자 유닛(110)의 앞면 측에는 이송 벨트(144)를 구동하는 부주사 모터(145)의 회전량을 검출하기 위한 엔코더 시스템(144b)이 설치되어 있다. 이 엔코더 시스템(144b)은 도시하지 않는 엔코더 센서에 의해 부주사 모터(145)의 회전축으로부터 구동력을 얻어 회전하는 엔코더의 펄스 수를 카운트하여 회전량으로 변환하여 부주사 방향의 용지 이송량을 검출한다.
도 12에 있어서, 제1 기판(180a)측에는 복사 장치(1)의 본체 제어 기판(190)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181a)와, 왕복대(121), 유지 기구부(150) 및 잉크 막힘 방지 기구부(160)를 포함한 엔진측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181b, 181c, 181d)와, 제2 기판(180b)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181e)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커넥터(181a, 181b, 181c, 181d, 181e)는 접속 케이블(187a, 187b, 187c, 187d, 187e)이 교차되지 않게 배치되어 노이즈를 얻지 않도록 배려되어 있다. 제2 기판(180b)에는 커넥터(181f)를 통하여 부주사 이송 기구부(140)나 왕복대(121)의 주주사 방향 이동 기구 제어용의 신호가 입력 또는 출력된다.
접속 커넥터부(180)는 도 12의 개략도에서는 인자 유닛(110) 측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거의 전면에 설치되어 있지만, 실제 기기에서는 도 8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뒤 측판(114) 측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인자 유닛(110)의 인자 기구부(120) 등 각 기구와 접속 커넥터부(180)의 접속 케이블(187a, 187b, 187c, 187d, 187e)의 길이가 최단 길이로 되도록 되어 있다. 나아가, 커넥터부(181a)는 접속 커넥터부(180) 중에서 가장 뒤 측판(114)측에 가까운 위치, 즉 가장 본체 제어 기판(190)에 가까운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체 제어 기판(190)측의 커넥터(191)에 접속된 신호선(400)의 길이가 가장 짧게 되는 위치에 커넥터(181a)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인자 유닛(110) 측면의 제2 커버(1b)에 대향하는 위치에 접속 커넥터부(180)를 마련하면, 제2 커버(1b)를 개방하여 상기 접속 커넥터부(180)에 접속되어 있는 커넥터를 떼어 냄으로써 인자 유닛(110)과 본체 제어 기판(190)의 전기적 접속을 차단할 수 있고, 또, 기계적으로도 본체 제어 기판(190)의 커넥터(191)를 인자 유닛(1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인자 유닛(110)을 복사 장치(1) 본체로부터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2에 나타낸 실시예는 각 접속 케이블(187a∼187e)의 길이가 최단으로 되므로, 케이블로부터 얻는 노이즈를 절감할 수 있다. 또, 제어 기판(190)측의 커넥터(191)를 접속 커넥터부(180)로부터 떼어 낼 때 신호선(400)의 길이가 짧으므로 인자 유닛(110)을 복사 장치(1) 본체로부터 취출시에 신호선이 방해되지 않는다. 청구항 12에서의 접속 수단은 도 12에 나타낸 커넥터(181a∼181f)에 대응한다. 또, 인자 유닛(110)의 각 기구로부터의 접속 케이블(187b∼187d)은 제1 기판(180a)의 표면측에 배치된 커넥터(181b∼181d)에 접속되고, 제1 기판(180a)의 뒷면에는 커넥터(181a)와 다른 커넥터(181b∼181d)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배선 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신호선(400)으로부터 커넥터(181a)를 통하여 입력되는 신호가 각 커넥터(181b∼181d) 및 접속 케이블(187b∼187d)을 통하여 인자 유닛(110)의 각 기구에 출력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복사 장치(1)의 제어 구성을 도 13의 블록도에 나타낸다. 복사 장치의 제어 회로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제어 기판(190), 화상 판독부(스캐너)(200), 용지 공급부(300), 제어기(CTL) 보드(192), 전원부(PSU)(193), 드라이버 보드(194), SD 카드 보드(195), 옵션용 보드(OPU 보드)(196) 및 인자 유닛(110)으로 구성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사 장치의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까지의 실시예에서는 접속 커넥터부(180)는 제1 기판(180a)과 제2 기판(180b)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도 13에 나타낸 커넥터 보드(197a)는 접속 커넥터부(180)가 하나의 기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13의 경우, 제2 기판(180b)의 커넥터(181f)는 커넥터 보드(197a)에 마련된다.
본체 제어 기판(190)에는 CPU, ROM 및 RAM을 포함한 제어부, 펌프, 모터 등의 구동 부품의 드라이버, I/O, 그 밖의 제어에 사용되는 제어 요소가 탑재되어 있다.
화상 판독부(200)는 CCD나 SBU ASIC를 포함한 스캐너 보드 유닛(SBU)(200a), 점등 장치(200b), HP 센서, APS 센서, 압판 개폐 센서 등의 각종 센서(200c)를 적어도 구비하며, 본체 제어 기판(190)과의 사이에서 검출 신호나 제어 신호를 입력 또는 출력한다. CTL 보드(192)는 GW ASIC를 구비하고 조작 표시부의 표시 제어나 입출력 제어를 실행하며, 본체 제어 기판(190)과의 사이에서 신호를 입력 또는 출력한다.
용지 공급부(300)는 각종 검지 부품(센서류)(300a)과 용지 공급을 위한 클러치, 솔레노이드, 모터 등의 구동 부품(300b)을 구비하고, 본체 제어 기판(190)은 센서류(300a)로부터의 검지 신호를 수신하여 구동 부품(300b)에 대하여 구동 신호를 송신한다. 검지 부품(300a)에는 예컨대 레지스터 센서, 중계 센서, 사이즈 검지 센서, 종이 유무 검지 센서, 커버 오픈 검지 센서 등이 포함되고, 구동 부품(300b)에는 이송 롤러(101, 102, 103, 143), 용지 배출 롤러(105), 부주사 롤러(151), 용지 분리 공급부(301)의 용지 공급 롤러 등을 구동하는 모터, 클러치 등이 포함된다.
전원부(PSU)(193)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고 각 부에 대한 전력 공급부로서 기능한다. 드라이버 보드(194)는 피에조(piezo)용 서미스터를 구비하고 인자 유닛(110)에 탑재된 각 색의 잉크젯 헤드의 토출 제어를 실행하며 본체 제어 기판(190) 및 인자 유닛(110)과 접속되어 있다. 또, 본체 제어 기판(190)에는 SD 카드 보드(195) 및 옵션용 보드(OPU 보드)(196)가 접속되어 SD 카드를 사용한 프로그램의 버전 업이나 새로운 프로그램의 설치가 가능토록 되어 있다. OPU 보드(196)는 옵션 접속 시에 대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인자 유닛(110)은 접속 커넥터부(180)로서 기능하는 커넥터 보드(197a), 공통(COM) 보드(197b), 이 COM 보드(197b)에 접속된 잉크젯 헤드에 관한 각종 센서류(197c), 각 색의 잉크젯 헤드(197d), 잉크젯 헤드에 관한 센서 이외의 각종 센서(197e), 클러치, 솔레노이드 등의 구동 부품(197f), 및 부주사 엔코더(188)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2 실시예에서는 5색의 잉크젯 헤드를 구비하고 있는 바, 동일 구성의 검지 부품(197e) 및 구동 부품(197f)을 5 세트 구비하고 있다. 잉크젯 헤드(197d)에 관한 각종 센서(197c)는 예컨대, 헤드 환경 온도 센서, 화상 레지스터 센서, 각 헤드마다 설치된 공기 검지 센서 등을 포함한다. 또, 잉크젯 헤드에 관한 것 이외의 각종 센서(197e)는 부주사 방향의 로터리 엔코더 센서, 왕복대 상승 센서, 카트리지 유무 검지 센서 등의 센서류, 구동 부품(197f)은 용지 통과 매수 카운터, 각종 클러치, 모터 등을 각각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커넥터 보드(197a)는 본 실시예의 접속 커넥터부(180)에 대응하고, 이 커넥터 보드(197a)에 의해 본체 제어 기판(190) 및 드라이버 보드(194)측과 인자 유닛(110)측의 COM 보드(197b), 각종 센서류, 및 각종 구동 부품을 접속한다. 본 실시예의 인자 유닛(110)에서는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COM 보드(197b)와 커넥터 보드(197a) 간에는 75개의 신호선이 접속되고, 각종 검지 부품(197e)으로부터 커넥터 보드(197a)를 향한 신호선은 55개 접속되며, 커넥터 보드(197a)로부터 각종 구동 부품(197f)을 향한 신호선은 32개 접속되고, 부주사 엔코더(188)로부터 커넥터 보드(197a)를 향한 신호선은 6개 접속된다. 이들을 총계하면 신호선이 170개로 되고, 여기에 유지 기구부(150) 및 잉크 막힘 방지 기구부(160) 사이의 신호 전송을 실시하는 신호선을 추가하게 되면 신호선이 200개 전후로 되며, 각 신호선에 관하여 각각 커넥터가 필요하게 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커넥터 보드(197a)상에서 커넥터를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능별로 분산시키고, 분산시킨 커넥터(181a, 181b, 181c, 181d) 부분에 본체 제어 기판(190)으로부터의 신호선이 접속하도록 하였다. 또한, 커넥터 보드(197a)의 뒷면측, 즉 상기 커넥터(181a, 181b, 181c, 181d)의 비설치측 면에 인자 유닛(110) 각 부로부터의 신호선이 접속되고 상기 커넥터 (181a, 181b, 181c, 181d)에 본체 제어 기판(190)측으로부터의 신호선이 접속되어 COM 보드(197b), 각종 검지 부품(197e) 및 각 구동 부품(197f)과 접속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인자 유닛(110)을 인출하여 복사 장치(1) 본체로부터 취출 시에, 상기 커넥터(181a, 181b, 181c, 181d)의 접속을 해제하면, 물리적으로도 전기적으로도 인자 유닛(110)과 본체 제어 기판(190)측의 접속이 차단되어 인자 유닛(110)을 복사 장치(1) 본체로부터 취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2 기판(180b)에는 커넥터(181f)가 설치되어 전술한 바와 같이 부주사 이송 기구부(140)나 왕복대(121)의 주주사 방향 이동 기구 제어용의 신호가 입출력되지만, 이것은 상기 기구부의 교환시의 편리성을 고려한 것으로, 교환 시에 커넥터(181f)를 떼어내면 다른 부위에 관계없이 교환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커넥터 보드(197a)에 대응하는 접속 커넥터부(180)는 제1 및 제2 기판(180a, 180b)으로 구분되고 커넥터(181e)에 의해 제1 기판(180a)과 제2 기판(180b)의 접속을 취함으로써 제조 비용이나 노이즈를 감소할 수 있다. 그러나, 접속 커넥터부(180)를 1매의 기판에 의해 구성하여도 좋고, 3매 이상의 기판에 의해 구성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자 유닛(110)을 취출 시에 잡기 위한 안쪽 손잡이(117b)가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벨트에 의해 구성되고, 앞쪽 손잡이(116b)가 인자 유닛(110)의 앞부분 측의 저부에 마련한 오목부로 구성되어 있다. 인자 유닛(110)이 통상의 사용 상태에 있을 때에는, 안쪽 손잡이(117b)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지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프레임 상을 따라 선단이 핀(117c)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후퇴 위치에 있다. 그리고, 인자 유닛(110)을 취출 시에는, 벨트형의 손잡이(117b)를 핀(117c)으로부터 해제하여 도면에서 이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만곡시켜 선단부를 고정구(117d)에 고정하여 손으로 잡을 수 있는 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앞쪽의 손잡이(116b)와 상기 벨트로 이루어지는 안쪽의 손잡이(117b)를 잡고 용이하게 들어 올릴 수 있다. 따라서, 소정 위치까지 인자 유닛(110)을 인출한 후, 간단하게 취출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사 장치(1)의 정면으로부터 바라 볼 때 잉크 탱크(106)는 인자 유닛(110)의 좌측 앞쪽에서 인자 유닛(110)과 일체화되어 있다. 예컨대, 잉크 탱크(106)로부터 인자 유닛(110)쪽으로 연장하는 부재(도시하지 않음)와 인자 유닛(110)을 나사로 고정함으로써 잉크 탱크(106)와 인자 유닛(110)을 일체화하여도 좋다. 따라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자 유닛(110)을 앞쪽으로 인출하면 잉크 탱크(106)도 인자 유닛(110)과 함께 앞쪽으로 인출되고 복사 장치(1) 본체로부터 취출된다.
잉크 탱크(106)가 인자 유닛(11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자 유닛(110)을 복사 장치(1)로부터 취출할 때, 잉크 탱크(106)로부터 인자 유닛(110)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공급로를 인자 유닛(110)으로부터 취출할 필요가 없다. 그 때문에, 인자 유닛(110)을 복사 장치(1)로부터 취출할 때에 잉크 공급로로부터 잉크가 누출할 우려가 없으므로, 인자 유닛(110)을 복사 장치(1)로부터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다. 또한, 인자 유닛(110)을 인출할 때에는 잉크 탱크(메인 탱크)(106)도 일체적으로 인출되어 잉크 교환이 용이하게 수행된다.
본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와는 달리,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자 유닛(110)은 아래 레일(115a)에 의해 복사 장치(1) 본체의 레일 안내부(109a)에 지지되어 인출 가능토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같이 위쪽 레일 안내부(109)는 불필요하게 되어 인자 유닛(110)의 위쪽 공간의 자유도가 커지므로 큰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용지 걸림 처리는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잉크 탱크(106)의 이송로(112) 위쪽 커버(112a) 및 압반(142)을 덮는 커버(142a)를 개방하여 실시하게 되는데, 이 때, 제1 실시예에서는 레일 안내부(109)(도 1 참조)가 용지 걸림 처리 시에 방해가 될 가능성이 있었지만, 레일 안내부(109)가 없으면 도 11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자 유닛(110)측과 화상 형성부(100)의 케이스(402) 사이의 공간을 저해하는 것이 없어 용지 걸림 처리가 용이해진다.
그 외,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각 부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 양태로 구성되어 동일하게 기능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접속 커넥터부(180)로서 커넥터 보드(197a)를 사용하고 있지만, 예컨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자 유닛(110)의 측면에 인자 유닛(110)의 각 구성 요소가 접속된 단자를 구비하는 패널 마운트(182)를 기능적으로 구분하여 복수개 마련하고, 그 패널 마운트(182)에 제어 기판(190)측으로부터의 신호선(400)과 접속된 커넥터(183)를 접속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패널 마운트(182) 및 커넥터의 핀 위치나 수를 각각 대응되게 설정하여 오류 접속을 방지하도록 하면 좋다.
또,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 커넥터부(180)로서 프린트 기판(184)과 이 프린트 기판 상에 커넥터(185a, 185b···)를 기능적으로 구분하여 복수개 마련하고, 제어 기판(190)측으로부터 연장하는 신호선(400a, 400b···)의 선단부에 마련한 커넥터(186a, 186b···)를 각각 상기 커넥터(185a, 185b···)에 접속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도 커넥터의 핀 위치나 수를 각각 대응되게 설정하여 오류 접속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청구항 13에서의 기판은 도 14에서는 패널 마운트(182)에 대응하고 도 15에서는 프린트 기판(184)에 대응한다.
나아가, 제1 실시예에서는 도 1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잉크 탱크(106)가 YMCK 4색 분 마련되고, 제2 실시예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잉크 탱크(106)가 YMCKK 5색 분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 실시예에서는 잉크젯 헤드가 4색 분, 제2 실시예에서는 잉크젯 헤드가 5색 분이 각각 마련되어 있다. 이 잉크 탱크나 잉크젯 헤드의 수는 프린터 용도나 PPM에 따라 적당히 설정되는데, 예컨대 잉크 탱크를 YMCK 4색 분 마련하고, 하나의 블랙 잉크 탱크로부터 2개의 잉크젯 헤드로 잉크를 유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잉크젯 헤드는 YMCKK 5색 분 마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자부를 기록지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으므로, 인출 상태에서 용이하게 보수를 실행할 수 있다.
또, 인자부를 기록지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으므로, 상부의 공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 공간을 절약하면서 인자부를 일체적으로 교환할 수 있다.
또, 인자부가 부주사 이송 기구부를 포함하므로, 인자부와 용지 이송부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 인자 정밀도가 뛰어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측면 커버를 개방했을 때에 노출되는 부분에 인자부측 제어 회로와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제어부를 접속하는 접속 수단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인자부를 착탈 시에 전기 계통의 착탈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작업성이 뛰어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로서의 잉크젯 방식의 복사 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인자 유닛 일례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인자 유닛을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인자 유닛 손잡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 6b는 인자 유닛의 손잡이를 케이스에 직접 마련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a, 7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사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7a, 7b의 복사 장치의 본체 측면 커버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7a, 7b의 복사 장치의 본체 측면 커버를 개방함과 동시에 앞부분의 커버를 생략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상태로부터 인자 유닛을 인출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을 정면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2는 도 8에 나타낸 복사 장치의 접속 커넥터부 상태를 나타내는 인자 유닛의 개략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복사 장치의 제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4는 도 8에 나타낸 복사 장치의 접속 커넥터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인자 유닛의 개략 사시도.
도 15는 도 8에 나타낸 복사 장치의 접속 커넥터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인자 유닛의 개략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복사 장치
 1a, 1b, 112a, 142a  이송로 커버
 100  화상 형성부
 106  잉크 탱크
 106a  잉크 탱크 커버
 109, 109a  레일 안내부
 110  인자 유닛
 115, 115a  레일
 116, 117, 117b  손잡이
 116a, 116b, 117a  홈부
 113, 114 측판
 119  케이스
 120  인자 기구부
 121  왕복대
 122  주주사 모터
 140  부주사 이송 기구부
 141  부주사 롤러
 144  이송 벨트
 145  부주사 모터
 146  벨트 구동축
 150  유지 기구부
 160  잉크 막힘 방지 기구부
 180  접속 커넥터부
 180a  제1 기판
 180b  제2 기판
 181a, 181b, 181c, 181e, 181f, 185a, 185b, 186a, 186b 커넥터
 182  패널 마운트
 184  프린트 기판
 190  본체 제어 기판
 194  드라이버 보드
 197a  커넥터 보드
 200  화상 판독부
 300  용지 공급부
400 신호선

Claims (25)

  1. 인자부에 의해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마련된 안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인자부는 상기 안내 수단을 따라 상기 기록 매체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수단은
    상기 인자부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중의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기록 매체의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안내 부재, 및
    상기 인자부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중의 다른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안내 부재에 의해 안내되는 피안내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안내 부재는 긴 돌기로 구성되고,
    상기 안내 부재는 상기 긴 돌기가 상기 기록 매체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수단은 상기 이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인자부를 수용하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수용부 저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수단은 상기 인자부를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로부터 취출할 수 있도록 지지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자부는 잉크젯 헤드가 설치된 왕복대와 이 왕복대를 주주사 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동 기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기구부가 상기 왕복대를 주주사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어를 실시하는 제어 회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인자부는 인자 부분에서 부주사 방향으로 기록 매체를 이송하는 부주사 이송 기구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주사 이송 기구부는 이송 롤러, 압반, 및 이송 롤러를 구동하는 구동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주사 이송 기구부는 이송 롤러, 이송 벨트, 및 양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구동하는 구동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부주사 이송 기구부는 기록 매체를 부주사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어를 실시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7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자부는 상기 이동 기구부 및 상기 부주사 이송 기구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제어부를 접속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인자부의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 측면의 커버를 개방했을 때에 노출되는 부분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인자부에 고정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된 제1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제어부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인쇄부의 인출 방향에 대하여 안쪽의 상기 인쇄부 기판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기판에 설치된 제2 커넥터와, 상기 제1 커넥터 및 제2 커넥터를 접속하는 배선 패턴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이동 기구부 및 상기 부주사 이송 기구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인자부에 고정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설치된 커넥터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제어부와 상기 이동 기구부 및 상기 부주사 이송 기구부의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제어부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안쪽 부분의 측면 커버측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인쇄부의 인출 방향에 대하여 안쪽에 위치하고, 상기 인쇄부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의 측면 커버가 개방되었을 때 노출되는 부분에 접속 수단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9. 제6항에 있어서,
    잉크젯 헤드에 잉크를 공급하는 잉크 탱크가 상기 인자부와 일체화되어 있고, 상기 인자부를 인출할 때에 상기 잉크 탱크와 상기 인자부는 일체적으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자부에는 손잡이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벨트형의 부재로 이루어지고, 비사용시에는 상기 인자부 부재를 따라 연장한 상태로 후퇴하고, 사용시에는 상기 부재의 일단을 해제하여 상기 인자부의 다른 부위에 고정하여 핸들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원고를 광학적으로 판독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화상 판독부가 상기 인자부를 포함한 화상 형성부의 상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화상이 형성된 기록 매체가 배출되는 용지 받이가 상기 화상 판독부와 상기 화상 형성부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4. 인자부가 본체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인자부에 의해 기록 매체 상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인자부는 상기 인자부의 제어 회로와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본체측 제어부를 접속하는 접속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인자부의 상기 장치 본체 측면의 커버를 개방했을 때에 노출되는 부분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수단은 상기 인자부측에 일체적으로 마련된 기판 상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40075009A 2003-09-19 2004-09-20 화상 형성 장치 KR1006922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28769 2003-09-19
JPJP-P-2003-00328769 2003-09-19
JP2004261326A JP4473079B2 (ja) 2003-09-19 2004-09-08 画像形成装置
JPJP-P-2004-00261326 2004-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893A true KR20050028893A (ko) 2005-03-23
KR100692238B1 KR100692238B1 (ko) 2007-03-09

Family

ID=34315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5009A KR100692238B1 (ko) 2003-09-19 2004-09-20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7445330B2 (ko)
EP (1) EP1520720B1 (ko)
JP (1) JP4473079B2 (ko)
KR (1) KR100692238B1 (ko)
CN (1) CN100346984C (ko)
DE (1) DE602004009876T2 (ko)
ES (1) ES2295750T3 (ko)
HK (1) HK107363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6948B2 (en) * 2004-08-18 2009-03-24 Ricoh Company, Ltd. Image formation apparatus
JP4610369B2 (ja) * 2005-02-24 2011-01-1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551796B2 (ja) 2005-03-18 2010-09-2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597823B2 (ja) * 2005-09-14 2010-12-15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679316B2 (ja) * 2005-09-16 2011-04-27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680050B2 (ja) * 2005-10-04 2011-05-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738997B2 (ja) * 2005-12-01 2011-08-0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7731352B2 (en) * 2005-12-21 2010-06-08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allowing easy maintenance
JP4525620B2 (ja) * 2006-03-07 2010-08-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多機能装置
US7658331B1 (en) * 2006-06-15 2010-02-09 Ncr Corporation Checkout device with hand grip
JP5037180B2 (ja) * 2007-03-06 2012-09-2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975492B2 (ja) * 2007-03-19 2012-07-1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939377B2 (ja) * 2007-11-14 2012-05-2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004771B2 (ja) 2007-11-22 2012-08-2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862807B2 (ja) * 2007-11-30 2012-01-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5233595B2 (ja) 2008-10-31 2013-07-1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組み立てシステム
JP4968356B2 (ja) * 2010-03-31 2012-07-0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記録装置
JP5817111B2 (ja) 2010-12-15 2015-11-18 株式会社リコー 開閉機構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8833929B2 (en) * 2011-08-11 2014-09-16 Ricoh Company, Ltd. Image forming apparatus
CN105172391B (zh) * 2014-06-12 2017-08-25 精工爱普生株式会社 记录装置
TWI552885B (zh) * 2014-09-01 2016-10-11 佳世達科技股份有限公司 印表機
CN104325639A (zh) * 2014-09-09 2015-02-04 苏州佳世达光电有限公司 打印机
JP6627329B2 (ja) * 2014-11-25 2020-01-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6492882B2 (ja) * 2015-03-31 2019-04-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記録装置
JP7447445B2 (ja) 2019-11-27 2024-03-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50794A (en) * 1970-12-01 1973-08-07 Burroughs Corp High speed print drum with traveling print hammer
US4473312A (en) * 1982-12-06 1984-09-25 Ncr Corporation Fastening mechanism for removably fastening together two workpieces
JPH0632968B2 (ja) * 1985-03-26 1994-05-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字ヘツド取り付け機構
US4708486A (en) * 1985-05-20 1987-11-24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forming apparatus
US5270738A (en) * 1988-11-15 1993-12-14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jet recording apparatus having rotary transmitting member for recording medium
JPH02137967A (ja) * 1988-11-18 1990-05-28 Seikosha Co Ltd シリアルプリンタ
US4898487A (en) 1988-12-08 1990-02-06 Ncr Corporation Print head carriage for matrix printer
US6406118B1 (en) * 1988-12-30 2002-06-18 Canon Kabushiki Kaisha Ink jet recording apparatus having a heat fixing mechanism
JP2810701B2 (ja) * 1989-05-31 1998-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801409B2 (ja) * 1989-12-26 1998-09-21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装置及び記録系ユニットカートリッジ
JP2884544B2 (ja) 1991-12-04 1999-04-19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3167486B2 (ja) 1993-02-09 2001-05-21 シチズン時計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6297722A (ja) 1993-04-19 1994-10-25 Canon Inc キャップおよび該キャップを用いる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467061B2 (ja) * 1993-06-25 2003-11-17 株式会社リコー 操作部及び画像形成装置
JP3319819B2 (ja) * 1993-06-25 2002-09-0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管理システム
JPH0758903A (ja) * 1993-08-12 1995-03-03 Ricoh Co Ltd 自動原稿搬送装置
JP3126277B2 (ja) * 1993-09-08 2001-01-22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3378327B2 (ja) * 1993-12-28 2003-02-17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分離装置
JP3379865B2 (ja) * 1994-12-19 2003-02-2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読取装置
JP3309038B2 (ja) 1995-09-29 2002-07-29 アンリツ株式会社 サーマルヘッド保持構造
US5884860A (en) * 1996-03-19 1999-03-23 Ricoh Company, Ltd. Rolled paper feeding apparatus which provides a constant torque for uncurling paper and a torque limiting device therefor
JP3490213B2 (ja) * 1996-04-11 2004-01-26 株式会社リコー 用紙搬送装置
JP3537981B2 (ja) * 1996-04-11 2004-06-14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6005687A (en) * 1996-04-12 1999-12-21 Ricoh Company, Ltd. Imaging apparatus having different motors for separating and reading documents
US6128107A (en) * 1996-04-12 2000-10-03 Ricoh Company, Ltd. Image apparatus having different motors for separating and reading documents
US5961226A (en) * 1996-08-16 1999-10-05 Ricoh Company, Ltd. Printing apparatus
JPH10112771A (ja) * 1996-10-04 1998-04-28 Ricoh Co Ltd 画像読取装置
JP3495559B2 (ja) * 1996-11-05 2004-02-09 株式会社リコー 自動給紙装置
KR100307467B1 (ko) * 1997-03-27 2001-11-17 이토가 미찌야 용지의스큐교정기능을갖는급지장치
JPH1198312A (ja) * 1997-04-18 1999-04-09 Ricoh Co Ltd 排紙装置
JP3347641B2 (ja) * 1997-05-20 2002-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の制御方法
JPH11147650A (ja) * 1997-09-04 1999-06-02 Ricoh Co Ltd 記録紙スタッカ装置
JPH11218980A (ja) 1998-01-30 1999-08-10 Fuji Xerox Co Ltd 引き出し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6082854A (en) 1998-03-16 2000-07-04 Hewlett-Packard Company Modular ink-jet hard copy apparatus and methodology
US6153832A (en) * 1999-02-08 2000-11-28 Hewlett-Packard Company Z-fold printhead carriage trailing cable for optimized panelization
KR100855894B1 (ko) * 2001-01-23 2008-09-03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프린터
JP4565300B2 (ja) 2001-01-23 2010-10-20 ソニー株式会社 プリンター
JP2002361897A (ja) * 2001-06-11 2002-12-18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DE60304239T2 (de) * 2002-02-08 2006-12-28 Ricoh Co.,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Zuführen von Bögen und diese enthaltendes Bilderzeugungsgerät
JP3910133B2 (ja) 2002-10-28 2007-04-25 株式会社リコー ライン型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記録装置メンテナンスキット
JP3768187B2 (ja) 2002-12-10 2006-04-19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のメンテナンスキット
US7147102B2 (en) * 2004-01-21 2006-12-12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Consumer tote with co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45330B2 (en) 2008-11-04
CN100346984C (zh) 2007-11-07
JP2005111979A (ja) 2005-04-28
US20050104927A1 (en) 2005-05-19
EP1520720A2 (en) 2005-04-06
DE602004009876D1 (de) 2007-12-20
US7731353B2 (en) 2010-06-08
US20070171253A1 (en) 2007-07-26
EP1520720B1 (en) 2007-11-07
KR100692238B1 (ko) 2007-03-09
EP1520720A3 (en) 2005-07-20
JP4473079B2 (ja) 2010-06-02
EP1520720A8 (en) 2005-06-29
CN1603109A (zh) 2005-04-06
HK1073631A1 (en) 2005-10-14
DE602004009876T2 (de) 2008-08-28
ES2295750T3 (es) 200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2238B1 (ko) 화상 형성 장치
US775350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5892523A (en) Reading unit and printing apparatus capable of mounting such reading unit thereon
JP4610369B2 (ja) 画像形成装置
EP2386417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droplet-ejection recording head
US8235493B2 (en) Image recording apparatus
JP4872336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8736883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4990346B2 (ja) 画像形成装置
JP6896502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処理液保持ユニット
JP4876406B2 (ja) 画像記録装置
EP0695644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head member mountable on such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100788660B1 (ko) 화상입출력장치 및 방법
JP2014097665A (ja) 画像形成装置
US20230311520A1 (en) Liquid discharging apparatus
US20240001676A1 (en) Liquid discharging apparatus
KR20060028579A (ko) 화상입출력장치
JP2008307797A (ja) 画像形成装置
KR100608007B1 (ko) 화상입출력장치
JP201311187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4042417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583564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812659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7196439A (ja) 画像記録装置
JP2006231551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