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97903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그 제조방법 및 전사필름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그 제조방법 및 전사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97903A
KR20030097903A KR10-2003-7015532A KR20037015532A KR20030097903A KR 20030097903 A KR20030097903 A KR 20030097903A KR 20037015532 A KR20037015532 A KR 20037015532A KR 20030097903 A KR20030097903 A KR 20030097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ss
dielectric
layer
forming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5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9056B1 (ko
Inventor
모리오 후지타니
히로유키 요네하라
마사키 아오키
게이스케 스미다
히데키 아시다
준이치 히비노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97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7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9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90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8Dielectric or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02Manufacture of electrodes or electrod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DP에서의 발광휘도 및 발광효율의 향상을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이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되며, 제 1 기판의 대향면 상에 쌍을 이루는 표시전극과, 이 표시전극을 덮는 유전체층이 형성되고, 쌍을 이루는 표시전극을 따라 복수의 방전셀이 형성된 PDP에 있어서, 유전체층의 표면에 각 방전셀 내에 2개 이상의 오목부를 형성한다. 또한, 유전체층의 표면에 오목부가 형성된 PDP를 제조할 때에, 적은 공정수로 제조수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저비용화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복수쌍의 표시전극이 배치된 제 1 기판 상에 표시전극을 덮어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에 있어서, 지지필름 상에 유전체 전구체층을 성형하여 전사필름을 제작하는 전사필름 제작단계와, 전사필름의 유전체 전구체층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오목부 형성단계와, 오목부 형성단계 후에 전사필름의 유전체 전구체층을 제 1 기판 상에 전사하는 전사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그 제조방법 및 전사필름{PLASMA DISPLAY PANEL,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TRANSFER FILM}
최근, 쌍방향 정보단말로서 대화면 벽걸이 텔레비전의 기대가 높아지고 있다. 그 때문에, 액정TV, 전계방출 디스플레이, 전자발광 디스플레이 등으로 대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매우 많고, 일부는 시판되고 있으며, 일부는 개발 중이다.
이들 중에서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DP)은 자기발광형으로 선명한 화상표시를 할 수 있으면서 대화면화가 용이하다는 다른 디바이스에는 없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PDP는 각 색의 방전셀이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열된 구성으로서, 교류 면방전형 PDP에서는 전면 유리기판과 배면 유리기판이 격벽을 개재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전면 유리기판 상에는 표시전극 쌍(주사전극과 유지전극)이 평행하게 배치되며, 그 위를 유전체유리층이 덮어 형성되고, 배면 유리기판 상에는 주사전극과 직교하여 어드레스전극이 배치되며, 전면 유리기판 및 배면 유리기판 사이의 격벽에 의해 구획된 공간 내에는 적색(R), 녹색(G), 청색(B)의 형광체층이 배치되고, 방전가스가 봉입됨으로써 각 색의 방전셀이 형성된 패널구조가 된다.
그리고, PDP를 구동할 때에는 구동회로에서 각 전극에 전압을 인가한다. 이에 의해, 각 방전셀 내에서 방전이 일어나면, 자외선이 방출되고, 형광체층의 형광체입자(적색, 녹색, 청색)가 이 자외선을 받아 여기 발광함으로써 화상이 표시된다.
이와 같은 PDP에서, 양호한 화질을 얻기 위해서는, 백색을 표시할 때에 높은 색온도를 얻을 수 있도록, 각 색 셀의 발광량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청색형광체는 다른 2개색에 비해 발광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종래의 PDP에서는 청색 셀에서의 방전량이 다른 색의 셀보다도 크게 되도록 구동회로에서 조정함으로써, 각 색의 발광량 균형을 유지한다.
그런데, PDP에서는 소비전력을 낮게 하는 것과 함께, 고휘도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PDP를 고휘도로 발광시키기 위해서는 유전체층의 막두께를 얇게 설정함으로써, 방전강도를 증가시키는 것도 유효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단지 유전체층을 얇게 하는 것만으로는 발광효율이 향상되지 않고, 오히려 형광체층의 발광효율이 낮아지는 경향도 있다.
본 발명은 표시디바이스 등에 이용하는 가스방전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에 이용하는 전사필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DP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
도 2는 표시전극 쌍, 어드레스전극 및 격벽이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유전체층의 표면을 텍스처구조로 한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유전체층의 표면을 텍스처구조로 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유전체층의 표면에 복수의 방전셀에 걸쳐 홈이 형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유전체층의 표면에 제 1 오목부와 제 2 오목부가 방전셀마다 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유전체층의 표면에 RGB 각 색 셀마다 다른 형태로 오목부를 형성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유전체층의 표면에 RGB 각 색 셀마다 다른 형태로 오목부를 형성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광차폐영역에서 광투과영역으로 집광되도록 유전체층의 두께를 변화시키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형압(型押)과 전사를 행하는 적층장치의 개략구성도.
도 11은 형압롤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은 PDP의 발광휘도와 발광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또한, PDP에 있어서, 구동회로에서 조정하지 않아도 각 색의 발광량 균형을유지함으로써, 백색을 표시할 때에 높은 색온도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이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되며, 제 1 기판의 대향면 상에 쌍을 이루는 표시전극과 이 표시전극을 덮는 유전체층이 형성되고, 제 2 기판의 대향면 상에 형광체층이 형성되며, 쌍을 이루는 표시전극을 따라 복수의 방전셀이 형성된 PDP에 있어서, 유전체층의 표면에는 각 방전셀 내에 2개 이상의 오목부를 형성한다. 여기서, 「유전체층의 표면」은 유전체층에서의 제 2 기판측의 표면, 즉 방전공간에 해당하는 측의 표면이다.
종래의 PDP에서는, 표시전극 쌍의 방전갭 근방에 강한 방전이 집중되기가 쉽기 때문에, 방전갭 근방에서 형광체의 휘도포화가 쉽게 발생하는데, 이 휘도포화는 발광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에 대하여, 상기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유전체층의 용량은 각 오목부에서 국소적으로 크게 되기 때문에, 표시전극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에 각 오목부에는 비교적 큰 전하가 형성된다. 따라서, 방전개시전압은 낮아진다. 이와 함께, 각 오목부를 기점으로 방전이 발생하므로, 방전갭 근방뿐만 아니라 주변에도 강한 방전이 확산되고, 그에 의해 형광체의 휘도포화가 억제된다.
이와 같이, 방전개시전압이 저하될뿐만 아니라, 방전영역 내에서의 방전의 기점이 분산되므로, 발광휘도와 발광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유전체층의 표면에 오목부를 형성할 때에,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전체층의 표면을 텍스처구조로 한다.
또한, 각 방전셀 내에서, 제 1 오목부와 제 2 오목부는 방전셀의 중앙부를 개재하여 제 1 표시전극 측과 제 2 표시전극 측으로 분산하여 배치된다.
여기서, 유전체층의 표면에 표시전극이 신장하는 방향을 따라 복수의 방전셀에 걸쳐 제 1 홈 및 제 2 홈을 형성하고, 제 1 홈 및 제 2 홈의 일부가 제 1 오목부 및 제 2 오목부가 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 1 홈 및 제 2 홈을 각각 파(波)형상 또는 지그재그형상으로 형성한다.
또한, 제 1 오목부 및 제 2 오목부를 각 방전셀 내에서 섬(島)형상으로 형성한다. 여기서, 제 1 오목부 및 제 2 오목부를 U자형 또는 V자형으로 하여, 단부 또는 정상부(頂部)끼리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한다.
제 1 오목부와 제 2 오목부의 간격은, 제 1 표시전극 및 제 2 표시전극이 신장하는 방향에 대하여 각 방전셀의 중앙부에 비해 주변부의 쪽이 커지도록 설정한다.
각 방전셀 내에서, 제 1 오목부와 제 2 오목부는 방전셀의 중앙부를 개재하여 상기 제 1 표시전극 및 제 2 표시전극이 신장하는 방향으로 분산하여 배치된다.
여기서, 유전체층의 표면에 제 1 표시전극 및 제 2 표시전극이 신장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복수의 방전셀에 걸쳐 제 1 홈 및 제 2 홈을 형성하고, 제 1 홈 및 제 2 홈의 일부가 제 1 오목부 및 제 2 오목부가 되도록 한다.
또는, 제 1 오목부 및 제 2 오목부를 각 방전셀 내에서 섬형상으로 형성한다.
제 1 오목부 및 제 2 오목부의 적어도 한쪽에 대하여, 그 내부에서 깊이가 서로 다른 영역을 갖도록 한다.
상기 구성의 PDP에서, 방전셀 내의 형광체층의 색마다 오목부의 형상을 다르게 함으로써, 제 2 목적도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전셀 내에 형성되어 있는 오목부의 면적은 그 방전셀 내에 형성되어 있는 형광체층의 색이 RGB의 순서로 커지도록 설정한다.
각 방전셀 내에서의 제 1 오목부와 제 2 오목부의 간격은 그 방전셀에 형성되어 있는 형광체층의 색이 RGB의 순서로 커지도록 설정한다.
상기 제 1 목적은, 전면기판 및 배면기판이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되며, 전면기판의 대향면 상에 표시전극 쌍과 이 표시전극 쌍을 덮는 유전체층이 형성되고, 표시전극 쌍을 따라 복수의 방전셀이 형성되며, 각 방전셀의 전면기판 측에 해당 방전셀에서 발광하는 가시광을 투과하기 쉬운 투과영역과 상기 가시광을 투과하기 어려운 차폐영역을 갖는 PDP에 있어서, 방전셀에서 발생하여 차폐영역으로 향하는 광속(光束)을 투과영역에 굴절시키도록 유전체층의 두께를 영역마다 다르게 함으로써 또한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유전체층은 방전셀에서 발생하는 광을 상기 광차폐영역에서 광투과영역으로 집광시키는 렌즈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유전체층의 표면에 오목부가 형성된 PDP를 제조할 때에, 적은 공정수로 제조수율을 증가시킴으로써 저비용화를 실현하는 것을 제3 목적으로 한다.
상기 제 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복수쌍의 표시전극이 배치된 제 1 기판 상에 표시전극을 덮어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서, 지지필름 상에 유전체 전구체층을 성형하여 전사필름을 제작하는 전사필름 제작단계와, 전사필름의 유전체 전구체층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오목부 형성단계와, 오목부 형성단계 후에 전사필름의 유전체 전구체층을 제 1 기판 상에 전사하는 전사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지지필름 상에 유전체 전구체층을 성형하여 전사필름을 제작하는 전사필름 제작단계와, 전사필름의 유전체 전구체층을 제 1 기판 상에 전사하는 전사단계와, 제 1 기판 상에 전사된 유전체 전구체층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오목부 형성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유전체 전구체층에 오목부를 형성한다」는 것은, 유전체 전구체층의 막두께를 부분적으로 다르게 한다는 의미이다.
상기 오목부 형성단계에서는, 전사필름의 표면에, 볼록형상을 갖는 기초부를 가압함으로써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초부는 평판형상 또는 롤러형상이어도 되지만, 롤러형상의 쪽이 연속적으로 오목부를 형성하기 쉽고, 유전체 전구체층이 일정하지 않아도 균일한 깊이로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는 점 등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제 3 목적은 PDP의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데에 이용되고, 유리분말 및 수지를 포함하는 유전체 전구체로 이루어지는 유전체 전구체층이 지지필름 상에 형성된 전사필름으로서, 유전체 전구체층에, 각 방전셀의 대응하는 위치에 맞추어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전사필름은 유리분말 및 수지를 포함하는 유전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유전체 전구체층을 지지필름 상에 형성하는 유전체 전구체층 형성단계와, 유전체 전구체층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오목부 형성단계를 구비한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상기 PDP의 제조방법에서, 유전체층을 형성하기 위한 유전체 전구체층을 갖는 전사필름을 기판 상에 적층하는 적층장치로서, 전사필름의 표면에 오목부를 형성하기 위한 돌기를 갖는 롤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면, 유전체 전구체층에 용이하게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PDP의 유전체층을 형성하기 위한 유전체 전구체층을 지지필름 상에 형성하는 전사필름 작성장치로서, 막형성 재료층의 표면에 오목부를 형성하기 위한 돌기를 갖는 롤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이용함으로써도, 유전체 전구체층에 용이하게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데에 이용되고, 유리분말 및 수지를 포함하는 유전체 전구체로 이루어지는 유전체 전구체층 상을 덮는 필름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유전체 전구체층의 표면에 오목부를 작성하기 위한 돌기를 갖는 롤러를 설치함으로써도, 유전체 전구체층에 용이하게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 및 도면은 예시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원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시예에 관한 AC 면방전형 PDP를 나타내는 주요부 사시도이다.
이 PDP는 전면패널(101)과 배면패널(111)이 서로 평행하게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전면패널(101)은 전면 유리기판(102)의 대향면 상에 표시전극 쌍(제 1 표시전극(103a), 제 2 표시전극(103b)), 유전체층(106), 보호층(107)이 순서대로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한편, 배면패널(111)은 배면 유리기판(112)의 대향면 상에 제 2 전극으로서의 어드레스전극(113), 유전체층(114), 격벽(115)이 순서대로 배치되고, 격벽(115)끼리의 사이에 형광체층(116)이 배치되어 있다. 또, 형광체층(116)은 적색, 녹색, 청색의 순서로 반복하여 나열되어 있다.
전면패널(101)과 배면패널(111)은 주변 밀봉재료(도시생략)에 의해 서로 부착되고, 양 패널판의 간극은 스트라이프형상의 격벽(115)으로 구획됨으로써 방전공간이 형성되며, 이 방전공간 내에는 방전가스가 봉입되어 있다.
도 2는 표시전극 쌍(103a, 103b)과 어드레스전극(113) 및 격벽(115)이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표시전극 쌍(103a, 103b)은 매트릭스 표시의 행방향을 따라 스트라이프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도면 중의 라인 A는 표시전극 쌍(103a, 103b)끼리의 간극(방전갭)(201)의 중앙라인을 나타낸다.
격벽(115)과 어드레스전극(113)은 열방향을 따라 스트라이프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표시전극 쌍(103a, 103b)과 어드레스전극(113)이 교차하는 부분에적색, 녹색, 청색의 각 색을 발광하는 방전셀(단위발광영역)(202)이 형성된 패널구성으로 되어 있다.
표시전극(103a, 103b)의 각각은 저항이 낮은 금속(예를 들어, Cr/Cu/Cr 또는 Ag 등)만으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ITO, SnO2, ZnO 등의 도전성 금속산화물로 이루어지는 폭이 넓은 투명전극(104) 상에, 이 투명전극(104)보다도 충분히 폭이 좁은 버스전극(105)을 적층시킨 전극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표시전극(103)에 폭이 넓은 투명전극(104)을 설치하면, 셀 내의 방전면적을 넓게 확보하는 데에는 바람직하지만, 정밀한 셀구조의 경우는 표시전극(103a, 103b)의 폭을 작게, 예를 들어 50㎛ 이하로 설정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금속전극만으로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유전체층(106)은 전면 유리기판(102)에서의 표시전극(103a, 103b)이 배치된 표면 전체를 덮어 설치된 유전물질로 이루어지는 층으로서, 일반적으로, 납계 저융점유리가 이용되지만, 비스무스(bismuth)계 저융점유리 또는 납계 저융점유리와 비스무스계 저융점유리의 적층물로 형성해도 된다.
보호층(107)은 산화마그네슘(Mg0)으로 이루어지는 박막층으로서, 유전체층(106)의 방전공간에 해당하는 표면 전체를 덮고 있다.
한편, 배면패널(111)에서 어드레스전극(113)은 은전극막으로 형성되어 있다.
유전체층(114)은 유전체층(106)과 동일한 것이지만, 가시광을 반사하는 반사층으로서의 기능도 겸용하도록 TiO2입자가 혼합되어 있다.
격벽(115)은 유리재료로 이루어지고, 배면패널(111)의 유전체층(114)의 표면 상에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형광체층(116)을 구성하는 형광체재료로서, 여기서는,
청색형광체 : BaMgAl10O17: Eu
녹색형광체 : Zn2SiO4: Mn
적색형광체 : (Y, Gd)BO3: Eu
를 이용한다.
이 PDP의 표시전극 쌍(103a, 103b) 및 어드레스전극(113)에 구동회로(도시생략)가 접속됨으로써 PDP 표시장치가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회로에서 표시전극(103a)과 어드레스전극(113)에 어드레스방전 펄스를 인가함으로써, 발광시키고자 하는 셀에 벽전하를 축적한 후, 표시전극 쌍(103a, 103b)에 유지방전펄스를 인가함으로써 벽전하가 축적된 셀로 유지방전을 행하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 화상표시를 행한다.
상기 유전체층(106)은 그 막두께가 각 부분마다 다르게 한다.
이하,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유전체층(106)에서의 각 방전셀(202) 내에 오목부(108)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호층(107)은 유전체층(106)의 표면을 따라 이를 피복하고 있고, 오목부(108)의 내면도 덮고 있다.
이와 같이, 유전체층(106)의 방전셀 내에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유전체층(106)의 용량(C)은 오목부(108)에서 국소적으로 커진다. 즉, 유전체층에서의 오목부는 상대적으로 막두께가 작기 때문에, 용량이 커진다. 따라서, 표시전극 쌍(103a, 103b) 사이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에, 오목부에는 비교적 큰 전하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국소적으로 큰 전하가 형성되면, 표시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이 비교적 낮아도 오목부에 형성된 전하가 크므로 방전이 개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관한 유전체층(106)에서는 각 방전셀의 방전영역 내에 복수개의 오목부(108)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발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종래의 PDP에서는, 일반적으로 방전갭의 근방에서 방전이 개시되므로, 방전갭 근방에 강한 방전이 집중되기 쉽다. 그 때문에, 이 방전갭 근방에서 형광체의 휘도포화(여기된 형광체층이 완전히 발광하기 전에 다음의 방전에 의한 자외선이 형광체층에 조사되어, 자외선이 효율적으로 이용되지 않는다)가 발생하기 쉽고, 그것이 발광효율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여기서, 유전체층을 전체적으로 얇게 형성하거나, 유전체층의 방전갭 근방을 얇게 형성한 경우, 방전개시전압은 저하되지만, 강한 방전이 방전갭 부근에 집중하는 것을 완화할 수 없고, 방전강도도 증가하므로, 보다 쉽게 형광체의 휘도포화가 발생한다.
이에 대하여, 상기 유전체층(106)과 같이, 각 방전셀의 방전영역 내에 형성된 복수의 오목부(108)의 각각에 국소적으로 전하량이 많이 형성되고, 각오목부(108)를 기점으로 방전이 발생한다.
따라서, 방전의 기점이 방전영역 내에서 분산되므로, 방전갭(201) 근방에 강한 방전이 집중하는 것이 완화되므로 형광체의 휘도포화가 억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유전체층(106)에 의하면, 방전개시전압이 저하될뿐만 아니라, 방전영역 내에서의 방전의 기점이 분산되므로, 발광휘도 및 발광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격벽(115)은 표시전극 쌍(103a, 103b)의 신장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방전셀(202)은 격벽(115)의 신장방향으로 더 신장된 형상이다.
따라서, 방전셀(202) 내에서 중앙라인 A를 개재하여 복수의 오목부(제 1 오목부(108a), 제 2 오목부(108b))를 표시전극(103a) 측과 표시전극(103b) 측으로 분산하여 배치하면, 방전셀(202)의 길이 방향으로 방전의 기점이 분산되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오목부를 형성하는 형태에 대해서)
이하, 유전체층(106)의 각 방전셀(202) 내에 복수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여러가지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전체층(106)의 표면을 텍스처구조(Texturized surface)로 하는 형태가 있다.
일반적으로 「텍스처구조」는 피라미드형상의 요철을 갖는 구조를 말한다.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전체층(106)의 표면은 피라미드형상의볼록부(302)가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되고, 볼록부(302)끼리의 사이에 오목부(301)가 형성된 구조이어도 되며, 반대로 피라미드형상의 오목부가 매트릭스형상으로 배치되고, 그 오목부끼리의 사이에 볼록부가 형성된 구조이어도 되며, 양자가 혼재하고 있어도 된다.
또, 볼록부나 오목부의 형상은 반드시 피라미드형상이 아니어도 되고, 반구형상 등이어도 된다.
또한, 볼록부 및/또는 오목부의 크기는 반드시 균일하지 않아도 되고, 크기에 편차가 있어도 된다.
볼록부의 높이 또는 오목부의 깊이는 1㎛∼30㎛가 적당하고, 그 중에서도 5㎛∼20㎛가 바람직하며, 또한 5㎛∼10㎛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유전체층(106)의 표면 전체에 걸쳐 연속된 영역에 텍스처구조가 형성되어 있지만, 각 방전셀 내의 섬형상영역에만 텍스처구조를 형성해도 된다.
상기와 같이 유전체층(106)의 표면에 텍스처구조를 형성하면, 방전셀(202) 내에 방전개시점이 다수 분산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방전셀(202) 내에서 방전은 중앙부뿐만 아니라 주변부에서도 분산되어 개시되는 것과 함께, 일단 방전이 개시되면 오목부를 통해 방전이 급속히 확산된다. 따라서, 방전셀 내의 광범위에 걸쳐 강한 방전이 균일적으로 분포하게 된다.
또한, 이들의 효과는 표시전극(103a, 103b)과 오목부(301)의 위치관계가 다소 어긋났다고 해도 크게 손상되지 않고, 양자의 위치맞춤을 엄밀하게 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이 점에서 제조가 용이하다.
다음에, 복수의 방전셀에 걸쳐 홈을 형성하고, 그 홈의 일부가 오목부가 되는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의 (a)∼(e)에는, 유전체층(106)에 복수의 방전셀에 걸쳐 홈(401a, 401b∼405a, 405b)이 형성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도 5의 (a)∼(e)에 나타내는 홈(401a, 401b∼405a, 405b)은 모두 표시전극(103a, 103b)(행전극)을 따라 신장하고 있다.
그리고, 홈(401∼405)의 일부가 각 방전셀(202)의 오목부(108)에 해당하게 된다.
다만, 도 5의 (a)에 나타내는 홈(401a, 401b)은 표시전극(103a, 103b)에 평행한 직선형상이다. 따라서, 방전셀(202)에서의 행방향 중앙부(202a)와 행방향 주변부(202b)에서 홈(401a)과 홈(401b)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다.
이에 대하여, 도 5의 (b)∼(d)에 나타내는 홈(402a, 402b∼405a, 405b)은 모두 만곡되어 있지만, 이는 다음의 특징을 각각 갖는다.
이 중, (b)에 나타내는 홈(402a, 402b) 및 (d)에 나타내는 홈(404a, 404b)은, 방전셀의 행방향 중앙부(202a)에서는 서로 접근하고, 행방향 주변부(202b)에서는 서로 이격되어 있다.
이 경우, 방전갭의 행방향 중앙부(202a) 부근에서 홈끼리 서로 접근하고 있으므로, 방전의 개시는 행방향 중앙부(202a)에 가까운 곳에서 이루어지지만, 홈을 따라 행방향 주변부(202b)에도 강한 방전이 확산된다.
한편, (c)에 나타내는 홈(403a, 403b) 및 (e)에 나타내는 홈(405a, 405b)은, 방전셀의 행방향 중앙부(202a)에서는 홈끼리 서로 이격되어 있고, 행방향 주변부(202b)에서는 홈끼리 서로 접근하고 있다.
이 경우, 방전갭의 행방향 중앙부(202a) 부근에서는 홈끼리 서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방전이 행방향 중앙부(202a)뿐만 아니라 행방향 주변부(202b)에서도 분산되어 개시된다. 따라서, 방전셀 내의 넓은 범위에 걸쳐 방전의 기점이 분포하게 된다.
또한, (b)에 나타내는 홈(402a, 402b) 및 (c)에 나타내는 홈(403a, 403b)은 곡선적으로 변화하는 파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d)에 나타내는 홈(404a, 404b) 및 (e)에 나타내는 홈(405a, 405b)은 지그재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5의 (a)∼(e)에 나타낸 각 홈은 중앙부와 주변부에서 홈 폭이 동등(즉, 홈 폭이 균일)하지만, 홈의 폭이 중앙부와 주변부에서 동등하지 않아도(즉, 홈 폭이 불균일해도) 된다.
다음에, 도 6의 (a)∼(e)를 참조하면서 제 1 오목부(501a), 제 2 오목부(501b)∼제 1 오목부(505a), 제 2 오목부(505b)가 방전셀(202)마다 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도 6의 (a)∼(e)에서는 각각 1개의 방전셀(202)에 해당하는 부분만을 나타낸다.
도 6의 (a)에 나타내는 오목부(501a, 501b)는 표시전극(103a, 103b)에 평행한 직선형상이다. 따라서, 상기 제 1 홈(401a), 제 2 홈(401b)과 마찬가지로, 방전셀(202)에서의 행방향 중앙부(202a)뿐만 아니라, 행방향 주변부(202b)에서도 오목부(501a)와 오목부(501b) 사이의 거리는 동일하다.
이에 대하여, 도 6의 (b)∼(d)에 나타내는 오목부(502a, 502b∼505a, 505b)는 U자형 또는 V자형으로서, 오목부 사이의 거리가 경우에 따라 다르다.
이 중, (b)에 나타내는 오목부(502a, 502b) 및 (d)에 나타내는 오목부(504a, 504b)는 U자형상 또는 V자형상으로서, 골짜기측이 서로 마주보도록(단부끼리가 대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오목부는 상기 홈(403a, 403b) 및 홈(405a, 405b)과 마찬가지로, 방전셀의 행방향 중앙부(202a)에서는 서로 이격되어 있고, 행방향 주변부(202b)에서는 서로 접근하고 있으므로, 방전이 중앙부뿐만 아니라 주변부에서도 분산되어 개시된다. 따라서, 방전셀 내의 넓은 범위에 걸쳐 강한 방전이 분포하게 된다.
한편, (c)에 나타내는 오목부(503a, 503b) 및 (e)에 나타내는 오목부(505a, 505b)는 U자형상 또는 V자형상으로서, 산측(정상부)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오목부는 상기 홈(402a, 402b) 및 홈(404a, 404b)과 마찬가지로, 방전셀의 행방향 중앙부(202a)에서는 서로 접근하고, 행방향 주변부(202b)에서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방전의 개시는 중앙부에서 이루어지지만, 그 후 홈을 따라 주변부에 강한 방전이 확산된다.
또, 도 6에서는 오목부의 형상이 직선형상, U자형 및 V자형인 예를 나타내었지만, 원형, 타원, 삼각형, 마름모형, 다각형, Y자형, T자형 등의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제 1 오목부와 제 2 오목부는 동일형상이 아니어도 된다.
또한, 이상의 설명에서는 도 2의 제 1 오목부(108a), 제 2 오목부(10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표시전극(103a) 측과 제 2 표시전극(103b) 측으로 오목부를 분산시켜 배치하였지만, 표시전극(103a, 103b)이 신장하는 방향으로 분산시켜 배치해도 된다. 이 경우, 방전셀 내에서 방전의 기점이 방전셀(202)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분산되므로, 발광휘도 및 발광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상기 도 5, 도 6에 나타낸 예에서, 각 방전셀 내에 형성하는 오목부의 개수는 2개이지만, 3개 이상 형성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는다.
(오목부의 깊이에 대한 고찰)
상기 도 5, 6에 나타내는 형태의 오목부의 깊이에 관해서, 너무 얕으면 오목부에 국소적으로 전하를 형성하는 작용을 얻을 수 없고, 한편 너무 깊으면 어드레스가 어려워진다. 그 점을 고려하여, 적당한 깊이는 5㎛∼50㎛이고, 그 중에서도 10㎛∼40㎛ 범위가 바람직하고, 또한 20㎛∼30㎛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방전셀 내에서 각 오목부의 깊이를 일정하게 설정해도 되지만, 깊이를 부분적으로 다르게 함으로써, 방전강도를 변화시키거나 방전의 발생형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목부 중 일부분을 국소적으로 깊게 함으로써, 그 부분에서 방전개시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유전체층(106)의 표면에 RGB 각 색 셀마다 다른 형태로 오목부를 형성한다.
도 7의 (a)에서는 유전체층(106)에 표시전극(103)과 평행하도록, 홈(601a, 601b)을 형성하지만, 이 홈(601a, 601b)의 홈 폭은 적색의 방전셀(202R), 녹색의 방전셀(202G), 청색의 방전셀(202B)의 순서로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7의 (b)에서는 섬형상의 오목부(602a, 602b)의 면적이 적색의 방전셀(202R), 녹색의 방전셀(202G), 청색의 방전셀(202B)의 순서로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모두, 오목부의 면적(부피)이 적색의 방전셀(202R), 녹색의 방전셀(202G), 청색의 방전셀(202B)의 순서로 커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표시전극(103a, 103b) 사이에 전압을 인가했을 때에 각 색 방전셀에서 발생하는 방전의 확산은 오목부의 면적(부피)이 클수록 커지므로, 상기와 같이 오목부의 면적(부피)을 조정함으로써, 방전의 확산을 적색의 방전셀(202R), 녹색의 방전셀(202G), 청색의 방전셀(202B)의 순서로 크게 할 수 있다.
RGB 각 색 중, 청색(B)은 가장 짧은 파장으로서, 동일한 강도에서도 가장 에너지가 크다. 그 때문에, RGB 각 색 형광체에 동일한 조건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면, 청색의 형광체에서는 다른 색만큼의 발광강도를 얻을 수 없다.
이에 대하여, 상기 도 7의 (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의 면적 또는 부피를 변화시킴으로써, 각 색 발광량의 균형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청색셀의 발광량이 적은 것을 보충하고, 그에 의해 백색을 표시할 때의 색온도도 높게 조정할 수 있다.
또, RGB 각 색의 발광량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 종래기술로서, RGB 각각의격벽의 간격(셀피치)을 변경하여 색온도를 높이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지만, 상기 본 실시예와 같이 오목부의 면적(부피)을 조정하면, 각 색 셀폭(셀피치)을 동등하게 설정해도 RGB 각 색의 발광량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내는 홈(603a, 603b)에서는 적색의 방전셀(202R), 녹색의 방전셀(202G), 청색의 방전셀(202B)의 순서로 홈(603a, 603b)끼리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방전셀(202R)에서는 홈(603a, 603b)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가 방전갭(201)으로부터 가까운 위치에 있지만, 방전셀(202G), 방전셀(202B)에서는 홈(603a, 603b)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가 방전갭(201)으로부터 순서대로 멀리 떨어져 있다.
오목부의 위치가 방전갭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표시전극(103a, 103b) 사이에 전압을 인가할 때에 방전이 크게 확산되므로, 방전셀(202R), 방전셀(202G), 방전셀(202B)의 순서로 방전규모가 커진다.
따라서, 도 7과 같이, 각 색 발광량의 균형을 조정할 수 있다.
또, 상기 설명에서는 방전의 확산이 RGB의 순서로 커지도록 오목부의 형상을 조정하였지만, 방전의 확산은 반드시 RGB의 순서라는 것이 아니라, 형광체층에서의 가시광 변환효율의 크고작음에 따라 조정하면 된다. 즉, 형광체층의 가시광 변환효율이 작은 색의 방전셀에 대하여, 방전의 확산이 커지도록 오목부의 형상을 조정하면 된다.
[제 3 실시예]
본 실시예에서는, 광을 광차폐영역에서 광투과영역으로 집광시키도록 유전체층의 두께를 변화시킴으로써, 발광효율을 향상시킨다.
일반적으로 PDP에 있어서, 셀 내에서 발생한 가시광은 전면기판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지만, 전면기판에는 이 가시광이 투과하기 쉬운 투과영역과 투과하기 어려운 차폐영역이 존재한다.
도 9에 나타내는 PDP에서, 구체적으로, 차폐영역은 불투명한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버스전극(105)이나 블랙스트라이프(701)가 존재하는 영역이고, 투과영역은 그 이외의 영역이다.
도 9에서, 백색화살표시는 방전셀 내에서 발생하여 전면 유리기판(102)을 통과하여 외부로 향하는 가시광의 광속(光束)을 나타낸다.
이 PDP에서, 유전체층(106)의 표면은 차폐영역(버스전극(105)이나 블랙스트라이프(701)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으로 향하는 광속(702a)이 투과영역 쪽으로 굴절하도록 구부러져 있다.
즉, 유전체층(106)은 셀 내에서 발생하는 가시광을 차폐영역에서 투과영역으로 집광시키는 렌즈형상을 갖고 있다.
보호층(107)은 유전체층(106)의 표면을 따라 구부러져 있으면서 이것을 피복하고 있다.
유전체층(106)의 표면이 전면 유리기판(102)과 평행하다고 하면, 광속(702a)은 버스전극(105)이나 블랙스트라이프(701)에서 차폐되어 버리지만, 상기와 같이 광속(702a)이 투과영역으로 굴절함으로써, 차단되는 광량이 억제되므로, 발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PDP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이하, 상기 PDP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전면패널(101)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특히 유전체층(106)을 형성하는 공정(전사필름 제작공정, 전사공정, 소성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극형성공정:
전면 유리기판(102)으로서, 플로우트법(float method)에 의해 제조된 유리판을 이용한다. 이 전면 유리기판(102) 상에 통상의 박막형성법으로 투명전극(104)을 형성한다.
투명전극(104) 상에 은분말, 유기바인더, 유리프릿, 유기용제 등을 포함하는 은페이스트를 이용하여, 버스전극(105)의 전구체인 은전극 전구체층을 형성한다.
이 은페이스트를 스크린인쇄법을 이용하여, 버스전극(105)의 패턴형상으로 도포하여 건조해도 되고, 스크린인쇄법이나 다이코팅법 등을 이용하여 빠짐없이 도포하여 건조한 후, 포토리소그래피법(또는 리프트오프법)으로 패터닝을 행해도 된다.
한편, 은전극 전사필름을 이용하는 경우, 상기 은페이스트와 동일한 성분을 필름형상으로 가공하여 은전극 전사필름을 제작하고, 이 필름을 투명전극(104) 상에 적층함으로써 은전극 전구체층을 형성한다.
은전극 전구체층은 소성하지 않고, 다음의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유전체 전구체층과 동시에 소성한다. 단, 전극 전구체를 소성하여 다음의 유전체층을형성하는 공정으로 이동해도 된다.
또, Cr/Cu/Cr 전극을 형성하는 경우는 박막을 증착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한다.
전사필름 제작공정:
우선, 유전체 전구체층을 갖는 전사필름을 다음과 같이 제작한다.
유리분말, 수지 및 용제를 함유하는 페이스트형상의 유리분말함유 조성물(유리페이스트 조성물)을 조제한다.
여기서 사용하는 유리분말로서는 PbO-B2O3-SiO2계, ZnO-B2O3-SiO2계, PbO-SiO2-Al2O3계, PbO-ZnO-B2O3-SiO2계 등을 들 수 있고, 연화점이 소성온도 부근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로서는 에틸셀룰로오스, 아크릴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용제로서는 아세트산 n-부틸, BCA, 터피네올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에, 이 유리페이스트 조성물을 지지필름 상에 도포하여 건조한다. 이에 의해, 유전체 전구체로 이루어지는 막이 형성되어, 전사필름이 제작된다.
지지필름의 재료가 되는 재질로서는 가요성(可撓性)을 갖는 수지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틸렌, 폴리이미드, 폴리비닐알콜, 폴리염화비닐 등을 들 수 있고, 지지필름의 두께는 예를 들어 20∼100㎛이다.
이 도포 시에는 롤러코터(roller coater)에 의한 도포방법, 닥터블레이드(doctor blade) 등의 블레이드코터(blade coater)에 의한 도포방법, 커튼코터(curtain coater)에 의한 도포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유전체 전구체층의 표면 상에 가요성을 갖는 수지로 이루어지는 커버필름을 압착하여 적층해 둠으로써, 전사필름을 취급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또, 지지필름 및 커버필름은 전사를 행할 때에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도록 표면에 이형처리를 실행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사공정:
이와 같이 제작한 전사필름을 이용하여, 상기 공정에서 전극 전구체가 형성된 전면 유리기판(102) 상에 유전체 전구체층을 열전사하지만, 이 전사공정의 전 또는 후에 유전체 전구체층에 형압함으로써 오목부를 형성한다.
여기서, 「오목부를 형성한다」 는 것은 「층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다르게 한다」는 의미로서, 층에 홈이나 오목부를 형성할뿐만 아니라, 텍스처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나 상기 제 3 실시예와 같이 층의 두께를 변화시키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제작한 전사필름의 유전체 전구체층은, 부드러운 점토와 같은 점착성 및 적당한 형상유지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 유전체 전구체층은 유리기판 상에 열압착함으로써 용이하게 열전사되고, 주형(鑄型)이나 돌기를 갖는 형판(型板)을 유전체 전구체층에 압착함으로써,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형압 시에, 유전체 전구체층에 형성하고자 하는 오목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볼록부를 갖는 형판을 이용한다.
다만, 유전체 전구체층은 소성함으로써 수축하고, 오목부도 이에 따라 수축하므로, 유전체 전구체층에 형압으로 형성된 오목부의 깊이는 이 수축률을 고려하여 설정한다.
또한, 지지필름 상에서 유전체 전구체층을 형압함으로써, 오목부 형성시에 유전체 전구체층에 먼지가 섞여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여기서, 지지필름도 가요성을 가지므로, 지지필름 상에서 유전체 전구체층을 형압해도 유전체 전구체층에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전사 및 형압공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의 (a), (b)는 형압과 전사를 함께 행하는 적층장치의 개략구성도이다.
이들 적층장치에는 가열롤러(810) 외에 형압롤러(820)가 구비되어 있고, 전사필름(800)과 전극 전구체가 형성된 전면 유리기판(102)이 이송되도록 되어 있다.
이송된 전사필름(800)은 커버필름이 박리된 것으로서, 지지필름(801) 상에 유전체 전구체층(802)이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전면 유리기판(102)의 전극 전구체가 형성된 표면에 유전체 전구체층(802)의 표면이 접하도록 전사필름(800)을 중첩시키면서, 지지필름(801) 상에서 가열롤러(810)에 의해 열압착함으로써, 유전체 전구체층(802)을 전면 유리기판(102) 상에 전사한다.
열전사의 조건으로서는 예를 들어, 가열롤러의 표면온도가 60∼120℃, 그 롤러압이 1∼5kg/cm2, 가열롤러의 이동속도가 0.2∼10.0m/분이다. 공급하는 전면 유리기판(102)은 예를 들어, 40~100℃로 예열해 두어도 된다.
도 10의 (a)의 적층장치에서는 가열롤러(810)로 유전체 전구체층(802)을 전사한 후, 이어서 전면 유리기판(102) 상에 전사된 유전체 전구체층(802)에 형압롤러(820)를 압착함으로써, 유전체 전구체층(802)의 표면에 오목부를 형성한다. 또, 이 형압롤러(820)는 가열하지 않아도 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압롤러(820)에는 유전체 전구체층(802)의 표면에 형성하고자 하는 오목부와 동일한 형상의 볼록부(822)가 형성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것으로는 원통롤러(821)의 외주면 상에 회전방향을 따라 고리형상의 볼록부(822)가 형성되어 있다. 이 형압롤러(820)를 이용하면,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평행한 홈을 형성할 수 있지만, 볼록부(822)를 파형상 또는 지그재그형상으로 만곡시킴으로써 도 5의 (b), (c) 또는 (d),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형상의 홈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볼록부(822)를 섬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섬형상의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형압 시에서, 유전체 전구체층(602)에 형성되는 오목부의 위치와 표시전극(103a, 103b)이 소정의 위치관계가 되도록, 볼록부(822)가 유전체 전구체층(602)을 가압하는 위치와 표시전극(103a, 103b)의 위치를 맞추면서 행한다.
또, 이 방법으로 오목부를 형성하는 경우, 도 6과 같이 섬형상의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보다도, 도 5와 같이 홈을 형성하는 쪽이 형압으로 오목부를 형성한 후에 형판을 제거하는 것이 용이하고, 위치맞춤도 하기 쉬우므로, 제조상 유리하다.
지지필름(801)의 박리는 형압 전 또는, 후에 행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형압롤러(820)에 의한 형압을 지지필름(801) 상에서 행하고, 다음 소성공정의 직전에 지지필름(801)의 박리를행해도 되며, 이 경우 지지필름(801)에 의해 유전체 전구체층(802)의 표면이 보호되므로, 이물질의 영향을 쉽게 받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전사된 유전체 전구체층(802)으로부터 지지필름(801)을 박리한 후에 형압롤러(820)에 의한 형압을 행해도 되고, 이 경우 지지필름(801)을 개재하지 않고 직접 형압되므로, 오목부의 형상을 보다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의 (b)에 나타내는 적층장치에서는 가열롤러(810)의 앞에 형압롤러(820)를 배치하고, 전사필름의 유전체 전구체층에 대하여 형압롤러(820)로 오목부를 형성한 후, 전면 유리기판(102)에 열전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도 10의 (a)와 같이, 전면 유리기판(102) 상에 유전체 전구체층(802)을 전사한 후에 형압롤러(820)로 오목부를 형성하는 방법의 경우, 전면 유리기판(102)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으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이 어렵지만, 도 10의 (b)와 같이, 전사필름에 대하여 전사 전에 형압롤러(820)로 오목부를 형성하는 방법을 이용하면, 전면 유리기판(102)의 두께가 일정하지 않더라도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여기서는 형압롤러(820)를 적층장치에 설치하는 예를 나타내었지만, 미리 전사필름에 대하여 형압롤러(820)로 오목부를 형성해 두고, 그 오목부를 형성한 전사필름을 적층장치에 공급하여, 전면 유리기판(102)에 열전사하도록 해도 된다.
그 밖에, 전사공정에서, 유전체 전구체층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은 방법도 가능하다.
도 10의 (a), (b)의 장치에서는, 가열롤러(810)와 형압롤러(820)가 개별적으로 구비되어 있지만, 전사롤러 자체에 볼록부를 형성함으로써, 형압롤러로서의 기능을 겸용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유전체 전구체층을 전면 유리기판(102)에 열전사하는 공정에서는, 유전체 전구체층에 오목부를 형성하지 않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전체 전구체층을 소성하기 직전에 지지필름을 제거할 때에 오목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유전체 전구체층에 형압롤러를 이용하여 오목부를 형성하였지만, 평판형상의 형판을 이용하여 오목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단, 전사필름을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연속적으로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을 고려하면, 형압롤러를 이용하는 쪽이 용이하다. 또한, 형압롤러를 이용하는 쪽이 전면 유리기판(102) 또는 유전체 전구체층이 일정하지 않아도 균일한 깊이로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소성공정:
형압된 유전체 전구체층(802)을 갖는 전면 유리기판(102)을 소성로에 넣어 소성한다.
단, 유전체 전구체층(802)을 지지필름(801)이 덮고 있는 경우, 지지필름(801)을 박리하는 장치(지지필름박리장치)를 소성로의 입구에 설치하여, 지지필름을 박리제거하고 나서 기판을 소성로에 넣어 소성한다.
소성로에서는 전극 전구체 및 유전체 전구체층에 포함되는 유리성분의 연화점 이상의 온도에서 수분∼수십분간, 기판을 방치한 후, 온도를 낮춘다. 이 조작에 의해, 전극 전구체는 전극으로 변화하고, 유전체 전구체층은 유전체층으로 변화한다.
이에 의하여, 오목부를 갖는 유전체층(106)이 전면 유리기판(102) 상에 형성된다.
보호층 형성공정:
유전체층(106) 상에 전자빔 증착 등에 의해 Mg0로 이루어지는 보호층(107)을 형성한다. 보호층은 유전체층(106)의 오목부 내면에도 형성된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전면패널이 완성된다.
배면패널의 제조방법:
배면 유리기판(112) 상에 은전극용 페이스트를 스크린인쇄한 후 소성함으로써 어드레스전극(113)을 형성하고, 그 위에, 유전체 페이스트를 스크린인쇄법으로 도포하여 소성함으로써 유전체층(114)을 형성한다.
유전체층(114) 상에 격벽(115)을 형성한다. 격벽(115)은 격벽용의 유리페이스트를 스크린인쇄법으로 도포한 후 소성하거나 막 전체를 형성, 건조한 후 포토리소그래피와 샌드블라스트를 이용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적색, 녹색, 청색의 각 색 형광체 페이스트(또는 형광체 잉크)를 제작하여, 이를 격벽(115) 사이의 간극에 도포하고, 공기 중에서 소성함으로써 각 색 형광체층(116)을 형성한다. 이상의 공정으로 배면패널(111)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작된 전면패널(101) 및 배면패널(111)을 표시전극(103a, 103b)과 어드레스전극(113)이 교차하도록 위치맞춤을 하여 중첩시키고, 주변부를 밀봉재료에 의해 밀봉한다. 그리고, 격벽(115)으로 구획된 내부공간으로부터 가스배기를 행하고, 다음에 Ne-Xe 등의 방전가스를 봉입하여, 내부공간을 봉입한다. 이상으로 PDP가 완성된다.
(본 제조방법에 의한 효과에 대해서)
상기 제조방법에서, 사용하는 형압롤러(820)의 볼록부형상을 조정함으로써, 유전체층에 상기 도 5∼8에 나타내는 형상의 오목부나 도 3,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텍스처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전체층의 두께를 변화시킬 수도 있다.
특히, 텍스처구조에 대해서, 형압롤러로 형압하는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형압방법을 이용하면, 유전체층의 표면에 형성하는 오목부의 형상에 대해서는 상기 도 3∼8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셀 내에서의 오목부의 개수에 대해서도 2개에 한정되지 않고, 1 이상의 임의의 개수로 형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제조방법에 의하면, 비교적 적은 공정수이면서 제조수율도 높게 유전체층 표면에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유전체층의 막두께를 부분적으로 다르게 하는 방법으로서, 우선 유전체 유리페이스트를 전체영역에 일정하게 도포하고, 그 위에, 스크린인쇄법 등에 의해 오목부가 형성될 영역 이외의 영역에 유전체 유리페이스트를 도포하여 패턴화하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이 방법으로는 유전체 유리페이스트의 도포를 2회 행할 필요가 있으므로, 그에 따른 비용이 증가한다.
또한, 스크린인쇄법을 이용하여 패턴도포하는 경우, 스크린판의 팽창이나 열화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의 형상이 변형되거나, 유리페이스트의 특성변화에 의해 페이스트의 도포상태에 편차가 발생하므로, 제조수율이 악화된다.
또, 유전체층의 표면에 오목부를 형성하기 위해, 포토리소그래피법을 이용하여 유전체 전구체층의 오목부를 형성하고자 하는 부분을 현상(現像)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유전체 전구체층을 패턴화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이 방법으로는 미세한 부분을 현상에 의해 제거하는 것이 어려우므로, 텍스처구조나 도 6에 나타내는 섬형상의 오목부를 정확하게 형성하는 것은 어렵고, 제조불량이 발생하기 쉽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의 방법에 의하면, 유전체 유리페이스트 조성물의 도포횟수는 1회로 완료되고, 또한 형압에 의해 일정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므로 제조수율도 양호하며, 상세한 형상의 오목부도 비교적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수율이 양호해진다.
따라서, 유전체층의 표면에 오목부가 형성된 PDP를 비교적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유전체 전구체층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방법의 변형예)
상기 설명에서는 전사필름을 기판 상에 전사하는 전사장치에 형압롤러를 설치하고, 그 형압롤러로 유전체 전구체층에 오목부를 형성하였지만, 유전체 전구체층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이용할 수도 있다.
전사장치와 별도의 장치로서 형압롤러를 이용하여 전사필름에 오목부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유전체 전구체층을 기판 상에 전사하는 공정에서는 유전체 전구체층에 오목부를 형성하지 않고, 소성공정에서 이용하는 박리장치에 형압롤러를 설치해 두며, 기판에 전사된 유전체 전구체층 상의 지지필름을 박리하기 직전 또는 직후에 형압롤러로 상기 유전체 전구체층의 표면에 오목부를 형성해도 된다.
본 발명의 PDP는 컴퓨터나 텔레비전 등의 디스플레이장치, 특히 대형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31)

  1.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이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되며,
    상기 제 1 기판의 대향면 상에, 쌍을 이루는 제 1 표시전극 및 제 2 표시전극과 이 제 1 표시전극 및 제 2 표시전극 쌍을 덮는 유전체층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기판의 대향면 상에 형광체층이 형성되며,
    상기 쌍을 이루는 제 1 표시전극 및 제 2 표시전극을 따라 복수의 방전셀이 형성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상기 유전체층의 표면에는 상기 각 방전셀 내에 제 1 오목부와 제 2 오목부를 포함하는 2개 이상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층의 표면은 매트텍스처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방전셀 내에서, 상기 제 1 오목부와 제 2 오목부가 해당 방전셀의 중앙부를 개재하여 상기 제 1 표시전극 측과 제 2 표시전극 측으로 분산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층의 표면에는 상기 제 1 표시전극 및 제 2 표시전극이 신장하는 방향을 따라 복수의 방전셀에 걸쳐 제 1 홈 및 제 2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홈 및 제 2 홈의 일부가 상기 제 1 오목부 및 제 2 오목부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 및 제 2 홈은 각각 파(波)형상 또는 지그재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목부 및 제 2 오목부는 상기 각 방전셀 내에서 섬(島)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목부 및 제 2 오목부는 U자형 또는 V자형으로서, 단부 또는 정상부(頂部)끼리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목부와 제 2 오목부의 간격은, 상기 제 1 표시전극 및 제 2 표시전극이 신장하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각 방전셀의 중앙부에 비해서 주변부의 쪽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방전셀 내에서, 상기 제 1 오목부와 제 2 오목부가 해당 방전셀의 중앙부를 개재하여 상기 제 1 표시전극 및 제 2 표시전극이 신장하는 방향으로 분산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층의 표면에는 상기 제 1 표시전극 및 제 2 표시전극이 신장하는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복수의 방전셀에 걸쳐 제 1 홈 및 제 2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홈 및 제 2 홈의 일부가 상기 제 1 오목부 및 제 2 오목부로 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목부 및 제 2 오목부는 상기 각 방전셀 내에서 섬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오목부 및 제 2 오목부의 적어도 한쪽은 그 내부에서 깊이가 서로 다른 영역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셀에는 복수 색으로부터 선택된 색의 형광체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오목부 및 제 2 오목부는 대응하는 방전셀 내의 형광체층의 색마다 형상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셀에는 RGB로부터 선택된 색의 형광체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방전셀 내에 형성되어 있는 제 1 오목부 및 제 2 오목부의 면적은, 해당 방전셀 내에 형성되어 있는 형광체층의 색이 RGB의 순서로 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셀에는 RGB로부터 선택된 색의 형광체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방전셀 내에서의 제 1 오목부와 제 2 오목부의 간격은, 해당 방전셀에 형성되어 있는 형광체층의 색이 RGB의 순서로 크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6. 전면기판 및 배면기판이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되며,
    상기 전면기판의 대향면 상에, 표시전극 쌍과 이 표시전극 쌍을 덮는 유전체층이 형성되고,
    상기 표시전극 쌍을 따라 복수의 방전셀이 형성되며,
    상기 각 방전셀의 전면기판 측에 해당 방전셀에서 발광하는 가시광을 투과하기 쉬운 투과영역과 상기 가시광을 투과하기 어려운 차폐영역을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로서,
    상기 유전체층은, 상기 방전셀에서 발생하여 상기 차폐영역으로 향하는 광속을 투과영역에 굴절시키도록 두께가 영역마다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층은, 상기 방전셀에서 발생하는 광을 상기 광차폐영에서 광투과영역으로 집광시키는 렌즈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8. 복수쌍의 표시전극이 배치된 제 1 기판 상에 상기 표시전극을 덮어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제 1 기판의 유전체층을 형성한 쪽에 제 2 기판을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하는 제 2 공정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제 1 공정은,
    지지필름 상에 유전체 전구체층을 형성하여 전사필름을 제작하는 전사필름 제작단계와,
    상기 전사필름의 유전체 전구체층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오목부 형성단계와,
    상기 오목부 형성단계 후에, 상기 전사필름의 유전체 전구체층을 상기 제 1 기판 상에 전사하는 전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형성단계에서는, 상기 전사필름의 표면에 볼록형상을 갖는 기초부를 가압함으로써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는 평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
  21.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는 롤러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
  22. 복수쌍의 표시전극이 배치된 제 1 기판 상에 해당 표시전극을 덮어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제 1 공정과,
    상기 제 1 기판의 유전체층을 형성한 쪽에 제 2 기판을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설치하는 제 2 공정을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제 1 공정은,
    지지필름 상에 유전체 전구체층을 형성하여 전사필름을 제작하는 전사필름 제작단계와,
    상기 전사필름의 유전체 전구체층을 상기 제 1 기판 상에 전사하는 전사단계와,
    상기 제 1 기판 상에 전사된 유전체 전구체층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오목부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 형성단계에서는, 상기 전사된 유전체 전구체층의 표면에 볼록부를 갖는 기초부를 가압함으로써 오목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는 평판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
  25.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부는 롤러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
  26.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데에 이용되고,
    유리분말 및 수지를 포함하는 유전체 전구체로 이루어지는 유전체 전구체층이 지지필름 상에 형성된 전사필름으로서,
    상기 유전체 전구체층에는 각 방전셀에 상당하는 위치에 맞추어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필름.
  2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데에 이용하는 전사필름의 제조방법으로서,
    유리분말 및 수지를 포함하는 유전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유전체 전구체층을 지지필름 상에 형성하는 유전체 전구체층 형성단계와,
    상기 유전체 전구체층의 한 면 또는 양면에 오목부를 형성하는 오목부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필름의 제조방법.
  28.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전체층을 형성하기 위한 유전체 전구체층을 갖는 전사필름을 기판 상에 적층하는 적층장치로서,
    상기 전사필름의 표면에 오목부를 형성하기 위한 돌기를 갖는 롤러 또는 평판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장치.
  2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전체층을 형성하기 위한 유전체 전구체층을 지지필름 상에 형성하는 전사필름 작성장치로서,
    상기 유전체 전구체층의 표면에 오목부를 형성하기 위한 돌기를 갖는 롤러 또는 평판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사필름 작성장치.
  30.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전체층을 형성하는 데에 이용되고,
    유리분말 및 수지를 포함하는 유전체 전구체로 이루어지는 유전체 전구체층 상을 덮는 필름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상기 유전체 전구체층의 표면에 오목부를 작성하기 위한 돌기를 갖는 롤러 또는 평판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을 제거하는 장치.
  31. 제 18항 내지 제 2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에 의해 작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37015532A 2001-05-28 2002-05-2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그 제조방법 및 전사필름 KR1008590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158717 2001-05-28
JP2001158716 2001-05-28
JP2001158717 2001-05-28
JPJP-P-2001-00158716 2001-05-28
PCT/JP2002/005100 WO2002097846A1 (en) 2001-05-28 2002-05-27 Plasma display panel,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transfer fil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7903A true KR20030097903A (ko) 2003-12-31
KR100859056B1 KR100859056B1 (ko) 2008-09-17

Family

ID=26615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5532A KR100859056B1 (ko) 2001-05-28 2002-05-27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그 제조방법 및 전사필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53206B2 (ko)
JP (3) JP3442069B2 (ko)
KR (1) KR100859056B1 (ko)
CN (1) CN1295735C (ko)
TW (1) TW583713B (ko)
WO (1) WO200209784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191B1 (ko) * 2003-11-27 2006-08-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95959B1 (ko) * 2005-10-12 2008-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디피의 전사 장치
KR20140089557A (ko) * 2011-11-09 2014-07-15 도꾸리쯔교세이호징 가가꾸 기쥬쯔 신꼬 기꼬 기능성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및 기능성 디바이스의 제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907B1 (ko) * 2002-03-06 2006-03-10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7288892B2 (en) * 2002-03-12 2007-10-30 Board Of Trustees Of The Leland Stanford Junior University Plasma display panel with improved cell geometry
KR100522613B1 (ko) * 2003-10-22 2005-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051039A (ko) * 2003-11-26 2005-06-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071268A (ko) * 2003-12-31 2005-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99260A (ko) * 2004-04-09 2005-10-13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6045324A (ja) * 2004-08-03 2006-02-16 Jsr Corp 無機粉体含有樹脂組成物、転写フィルム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KR100626049B1 (ko) * 2004-12-11 2006-09-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 제조 방법,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의 전극 제조에 사용되는 몰드 플레이트및, 그에 의해 제조된 전극을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CN100433233C (zh) * 2005-03-29 2008-11-12 中华映管股份有限公司 等离子显示器及其前基板及等离子显示器的前基板的制造方法
KR100612243B1 (ko) * 2005-05-25 2006-08-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39636B1 (ko) * 2005-07-06 2007-07-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708697B1 (ko) * 2005-07-07 2007-04-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83796B1 (ko) 2005-08-31 2007-0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74183B1 (ko) * 2005-09-06 2007-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730043B1 (ko) * 2005-10-25 2007-06-20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전체층 제조방법
US7710011B2 (en) 2005-12-16 2010-05-04 Chunghwa Picture Tubes, Ltd. Flat light source
KR100719595B1 (ko) * 2005-12-30 2007-05-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30213B1 (ko) * 2006-03-28 2007-06-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68217B1 (ko) * 2006-03-30 2007-10-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를 구비한 평면 표시 장치
JP4832161B2 (ja) * 2006-05-25 2011-12-07 株式会社アルバック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KR100800498B1 (ko) 2006-08-23 2008-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몰드, 그 절삭 가공 장치 및 그에 의해 제조되는 전사체
KR100814828B1 (ko) * 2006-10-11 2008-03-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5198506B2 (ja) * 2010-05-07 2013-05-15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機能性デバイスの製造方法並びに薄膜トランジスタ及び圧電式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
JP5154605B2 (ja) * 2010-05-24 2013-02-27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強誘電体材料層の製造方法、薄膜トランジスタ及び圧電式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
CN102870245B (zh) 2010-05-07 2015-07-29 独立行政法人科学技术振兴机构 功能设备的制造方法、场效应晶体管和薄膜晶体管
CN102496549A (zh) * 2011-12-31 2012-06-13 四川虹欧显示器件有限公司 等离子显示屏及其前基板介质层的制作工艺
JP5575864B2 (ja) * 2012-12-05 2014-08-20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強誘電体材料層の製造方法、薄膜トランジスタ及び圧電式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
JP5615894B2 (ja) * 2012-12-25 2014-10-29 独立行政法人科学技術振興機構 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アクチュエーターの製造方法及び光学デバイスの製造方法、並びに薄膜トランジスタ及び圧電式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357A (en) * 1863-04-28 Improvement in apparatus for carbureting gas
JP3033180B2 (ja) 1990-10-30 2000-04-17 富士通株式会社 交流型ガス放電パネルの製造方法
USRE38357E1 (en) 1995-03-15 2003-12-23 Pioneer Corporation Surface discharge type plasma display panel
JP3224486B2 (ja) 1995-03-15 2001-10-2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面放電型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H09102273A (ja) * 1995-08-01 1997-04-15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US5909083A (en) * 1996-02-16 1999-06-01 Dai Nippon Printing Co., Ltd. Process for producing plasma display panel
JPH09283017A (ja) 1996-04-11 1997-10-3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ガス放電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ガス放電パネルの製造装置
US5980347A (en) * 1996-07-25 1999-11-09 Jsr Corporation Process for manufacturing plasma display panel
TW353762B (en) 1996-10-21 1999-03-01 Dainippon Printing Co Ltd Transfer sheet, and pattern-forming method
JP3601936B2 (ja) 1997-05-26 2004-12-15 富士通株式会社 表示パネルの隔壁形成方法
US6433477B1 (en) * 1997-10-23 2002-08-13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panel with varied thickness dielectric film
KR100252990B1 (ko) * 1997-10-24 2000-04-15 구자홍 아크 방전전극을 갖는 칼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DE19808268A1 (de) * 1998-02-27 1999-09-02 Philips Patentverwaltung Plasmabildschirm
JP3688114B2 (ja) * 1998-04-14 2005-08-2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H11306994A (ja) * 1998-04-21 1999-11-05 Pioneer Electron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339670A (ja) 1998-05-29 1999-12-10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6255777B1 (en) * 1998-07-01 2001-07-03 Plasmion Corporation Capillary electrode discharge plasma display panel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6445120B1 (en) * 1998-10-28 2002-09-03 Lg Electronics Inc. Plasma display panel with improved structure of discharge electrode and dielectric layer
JP4205247B2 (ja) * 1999-03-30 2009-01-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322071B1 (ko) * 1999-03-31 2002-02-04 김순택 플라즈마 표시장치 및 그의 전계집중부를 가진 유전체층 제조방법
KR20010010400A (ko) * 1999-07-20 2001-02-15 김순택 교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1126625A (ja) * 1999-10-25 2001-05-11 Hitachi Ltd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2001351533A (ja) 2000-06-01 2001-12-21 Jsr Corp 誘電体形成用フィルムおよ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US6614183B2 (en) * 2000-02-29 2003-09-02 Pioneer Corporation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2231127A (ja) 2001-01-18 2002-08-16 Samsung Sdi Co Ltd ガス放電表示装置の製造方法、及びガス放電表示装置製造用シート貼着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5191B1 (ko) * 2003-11-27 2006-08-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마이크로렌즈 어레이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95959B1 (ko) * 2005-10-12 2008-0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피디피의 전사 장치
KR20140089557A (ko) * 2011-11-09 2014-07-15 도꾸리쯔교세이호징 가가꾸 기쥬쯔 신꼬 기꼬 기능성 디바이스의 제조 방법 및 기능성 디바이스의 제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9056B1 (ko) 2008-09-17
US7453206B2 (en) 2008-11-18
JP3957739B2 (ja) 2007-08-15
US20040212305A1 (en) 2004-10-28
JP2007123292A (ja) 2007-05-17
JP2003203573A (ja) 2003-07-18
JP3442069B2 (ja) 2003-09-02
CN1529896A (zh) 2004-09-15
JP2003051262A (ja) 2003-02-21
TW583713B (en) 2004-04-11
CN1295735C (zh) 2007-01-17
WO2002097846A1 (en) 2002-12-05
JP3957641B2 (ja) 2007-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905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그 제조방법 및 전사필름
KR100804909B1 (ko) 가스방전패널
CN1521795A (zh) 一种表面放电等离子体显示面板
KR10073984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JP3860673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65366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N1154528A (zh) 一种表面放电的等离子体显示面板及其制造方法
JP2004087144A (ja) プラズマ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0299066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87531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제조 방법
JP4179345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KR100212720B1 (ko) 교류형 플라즈마 표시소자 및 그 전극제조방법
JP3536554B2 (ja)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隔壁形成方法
KR20010039852A (ko) 블랙 매트릭스의 제조를 위한 조성물, 블랙 매트릭스를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블랙 매트릭스를 포함하는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EP1045421A1 (en) Flat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of the same
KR10084482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3695802B2 (ja) フラット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隔壁形成方法
JP2005093265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5294048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5310446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KR2010009258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10006548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JP2001118515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9009192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9193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