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4826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4826B1
KR100844826B1 KR1020060111917A KR20060111917A KR100844826B1 KR 100844826 B1 KR100844826 B1 KR 100844826B1 KR 1020060111917 A KR1020060111917 A KR 1020060111917A KR 20060111917 A KR20060111917 A KR 20060111917A KR 100844826 B1 KR100844826 B1 KR 100844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lasma display
filter layer
shielding laye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1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3189A (ko
Inventor
배광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1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4826B1/ko
Priority to US11/609,047 priority patent/US20070132386A1/en
Priority to EP06256319A priority patent/EP1826803A3/en
Publication of KR20080043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3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4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4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black matrices, light reflecting means or 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2Light reflecting means; Anti-reflection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4Means for improving contrast or colour purity, e.g. black matrix or light shield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6Electromagnetic shielding means; Antistatic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44Optical arrangements or shielding arrangements, e.g. filters or lenses
    • H01J2211/448Near infrared shield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의 제 1 면 상에 형성된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상에 형성된 유전체층, 기판의 제 2 면 상에 형성된 제 1 필터층 및 제 1 필터층이 형성된 기판상에 배치되는 제 2 필터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2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3은 제 1 필터층이 전자파 차폐층인 경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4는 제 1 필터층의 두께에 따른 면저항과 투과율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
도 4는 제 1 필터층의 두께에 따른 면저항과 투과율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 1 필터층의 제조 방법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6은 제 1 필터층이 전차파 차폐층인 경우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 1 필터층의 제조 방법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0 : 스캔 구동부
120 : 서스테인 구동부 130 : 데이터 구동부
220 : 전자파 차폐층 230 : 컬러 다이층
240 : 반사 방지층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부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되어 형성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화상이 표시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의 전면기판과 후면기판 사이에 형성된 격벽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방전 셀을 가지는 것으로, 각 셀 내에는 네온(Ne), 헬륨(He) 또는 네온 및 헬륨의 혼합기체(Ne+He)와 같은 주 방전 기체와 소량의 크세논을 함유하는 불활성 가스가 충전되어 있다. 이러한 방전 셀들은 복수 개가 모여 하나의 픽셀(Pixel)을 이룬다. 예컨대 적색(Red, R) 방전 셀, 녹색(Green, G) 방전 셀, 청색(Blue, B) 방전 셀이 모여 하나의 픽셀을 이루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고주파 전압에 의해 방전이 될 때, 불활성 가스는 진공자외선(Vacuum Ultraviolet rays)을 발생하고 격벽 사이에 형성된 형광체를 발광시켜 화상이 구현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등을 차단하기 위한 영상 필터가 배치된다.
이와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얇고 가벼운 구성이 가능하므로 표시장치로서 각광받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전자파 차폐 필터를 개선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보다 선명한 화질을 구현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의 제 1 면 상에 형성된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상에 형성된 유전체층, 기판의 제 2 면 상에 형성된 제 1 필터층 및 제 1 필터층이 형성된 기판상에 배치되는 제 2 필터층을 포함한다.
또한, 제 1 필터층의 면 저항은 4Ω/㎡ 이하이고, 투과율은 35% 이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1 필터층의 두께는 10㎚(나노미터)이상 200㎚(나노미터)이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 1 필터층은 전자파 차폐층(EMI), 근외선 차폐층(NIR), 외부광 차단층(CRF)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전자파 차폐층은 한 층 또는 여러 층의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전성 물질은 ITO(Indium tin Oxide), 은(Ag), 알루미늄(Al), 구리(Cu), 아연(Zn) 중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전자파 차폐층은 메쉬(Mesh)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제 2 필터층은 기판상에 밀착된 필름 필터 또는 기판과 일정 간격 이격된 글라스 필터 중 하나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 스캔 구동부(110), 서스테인 구동부(120) 및 데이터 구동부(130)를 포함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스캔 전극들(Y1 내지 Yn), 서스테인 전극들(Z1 내지 Zn) 및 스캔 전극들(Y1 내지 Yn)과 서스테인 전극(Z)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어드레스 전극들(X1 내지 Xm)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기판의 배면에는 스캔 전극들(Y1 내지 Yn) 및 서스테인 전극들(Z1 내지 Zn)이 형성되고, 전면에는 제 1 필터층이 기판상에 직접 형성된다.
이와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면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를 저감하기 위한 전자파 차폐층이 포함되는 영상 필터층이 배치된다.
스캔 구동부(110)는 스캔 전극들(Y1 내지 Yn)에 구동 신호를 공급한다.
서스테인 구동부(120)는 서스테인 전극들(Z1 내지 Zn)에 구동 신호를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부(130)는 어드레스 전극들(X1 내지 Xm)에 어드레스 기간 동안 데이터 신호를 공급한다.
도 2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나란한 스캔 전극(202, Y)과 서스테인 전극(203, Z)이 형성되는 전면 기판(201)과, 전술한 스캔 전극(202, Y) 및 서스테인 전극(203, Z)과 교차하는 어드레스 전극(213, X)이 형성되는 후면 기판(511)이 합착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전면 기판(201) 배면 상에 형성되는 스캔 전극(202, Y)과 서스테인 전극(203, Z)은 방전 셀(Cell)에서 방전을 발생시키고 아울러 방전 셀의 방전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스캔 전극(202, Y)과 서스테인 전극(203, Z)이 형성된 전면 기판(201)의 상부에는 스캔 전극(202, Y)과 서스테인 전극(203, Z)을 덮도록 상부 유전체 층(204)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 유전체 층(204)은 스캔 전극(202, Y) 및 서스테인 전극(203, Z)의 방전 전류를 제한하며 스캔 전극(202, Y)과 서스테인 전극(203, Z) 간을 절연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부 유전체 층(204) 상면에는 방전 조건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보호 층(205)이 형성된다. 이러한 보호 층(205)은 산화마그네슘(MgO) 등의 재료를 상부 유전체 층(204) 상부에 증착하는 방법 등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후면 기판(211) 상에는 어드레스 전극(213, X)이 형성되고, 이러한 어드레스 전극(213, X)이 형성된 후면 기판(211)의 상부에는 어드레스 전극(213, X)을 덮도록 하부 유전체 층(215)이 형성된다.
이러한, 하부 유전체 층(215)은 어드레스 전극(213, X)을 절연시킬 수 있다.
이러한 하부 유전체 층(215)의 상부에는 방전 셀을 구획하기 위한 스트라이프 타입(Stripe Type), 웰 타입(Well Type), 델타 타입(Delta Type), 벌집 타입 등의 격벽(21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 기판(201)과 후면 기판(211)의 사이에서 적색(Red : R), 녹색(Green : G), 청색(Blue : B) 등의 방전 셀이 형성된다.
또한, 적색(R), 녹색(G), 청색(B) 방전 셀 이외에 백색(White : W) 또는 황색(Yellow : Y) 방전 셀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는 반사 방지층(Anti-reflection layer, 240), 컬러 다이층(Color-dye layer, 230), 전자파차폐층(EMI layer, 2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영상 필터층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밖에 근적외선(NIR, Near Infrared Ray) 차폐층, 외부광 차단층(CRF, Contrast ratio reinforcement film)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반사 방지층(240)은 필터의 외부 면에 요철을 형성하여 자외선 차단 및 외부 반사광을 줄임으로 보다 선명한 영상을 볼 수 있게 하는 기능을 한다.
컬러 다이층(230)은 리모트 컨트롤러에 의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근적외선(NIR)차폐 및 색을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전자파 차폐층(220)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방출되는 다량의 전자파를 감소시키고, 근적외선을 차폐하는 기능을 한다.
이밖에, 근적외선(Near Infrared Ray) 차폐층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동할 때, 가전제품의 리모트 컨트롤러 파장과 매우 가까워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고, Ne,Xe과 같은 불활성 가스로부터 유도되는 파장이 0.75㎛∼3㎛인 근적외선(Near Infrared Ray)을 차폐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외부광 차단층(CRF)은 방전셀 방향의 폭이 넓고, 외부 방향의 폭이 좁은 이등변 삼각형 모야의 차광 패턴의 굴절률과 흡수율을 이용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은 흡수하고, 아울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에서 발생한 광은 대부분 굴절시킴으로써 외부로 방출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층 중 적어도 하나가 전면 기판의 전면 상에 직접 제 1 필터층으로 형성될 경우, 제 1 필터층에 형성된 이외의 다른 층들은 전면 패널에 라미네이팅 방식으로 형성되는 필름 필터(Film filter)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글라스 필터(Glass filter)의 형태로 전면 기판의 전면에 제 2 필터층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파 차폐층(220)은 영상 필터층의 최하단에 위치하여 도전성 물질이 전면 기판상에 직접 형성된다.
이 중 특히 이와 같은 전자파 차폐층(220)은 영상 필터층의 최하단에 위치하여 도전성 물질이 전면 기판상에 집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자파 차폐층뿐만 아니라 다른 층들도 전면 기판의 전면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파 차폐층(220)을 전면 기판상에 직접 형성하는 방법 중 Direct Coating 방법은 라미네이팅 방법에 의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영상 필터를 형성하는 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포 발생률이 작아 공정 수율이 현저하게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후막 형성 기법 또는 Direct pattering 방법은 공정수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제 1 필터층 중 전자파 차폐층(220)을 전면 기판상에 직접 형성하는 방법에 의한 전자파 차폐층의 예는 이후의 도 3 내지 도 7을 통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와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 내에는 충전되는 방전 가스에는 크세논(Xe)이 전체 방전 가스 대비 12%이상 30%이하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크세논(Xe)이 전체 방전 가스 대비 12%이상이 되도록 함으로써 방전 시 진공 자외선의 발생을 증가시켜 방전 셀에서 발생하는 광의 양이 증가되도록 하여 구현되는 영상의 휘도가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크세논(Xe)이 전체 방전 가스 대비 30%이하가 되도록 함으로써, 적절한 밝기의 휘도를 유지하면서, 방전 개시 전압이 과도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블랙 매트릭스(Black Metrix)가 전면 기판과 후면 기판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고, 전면 기판과 후면 기판 사이가 아닌 전면 기판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의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의 피치(Pitch)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도 있지만,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에서의 색 온도를 맞추기 위해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의 피치를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 별로 피치를 모두 다르게 할 수도 있지만,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 중 하나 이상의 방전 셀의 피치를 다른 방전 셀의 피치와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적색(R) 방전 셀의 피치가 가장 작고,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의 피치를 적색(R) 방전 셀의 피치보다 크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녹색(G) 방전 셀의 피치는 청색(B) 방전 셀의 피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도 2에 도시된 격벽(212)의 구조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상의 격벽의 구조도 가능할 것이다. 예컨대, 격벽(212)은 제 1 격벽(212b)과 제 2 격벽(212a)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 1 격벽(212b)의 높이와 제 2 격벽(212a)의 높이가 서로 다른 차등형 격벽 구조, 제 1 격벽(212b) 또는 제 2 격벽(212a) 중 하나 이상에 배기 통로로 사용 가능한 채 널(Channel)이 형성된 채널형 격벽 구조, 제 1 격벽(212b) 또는 제 2 격벽(212a) 중 하나 이상에 홈(Hollow)이 형성된 홈형 격벽 구조 등이 가능할 것이다.
여기서, 차등형 격벽 구조인 경우에는 제 1 격벽(212b) 또는 제 2 격벽(212a) 중 제 1 격벽(212b)의 높이가 제 2 격벽(212a)의 높이보다 더 낮을 수 있다. 아울러, 채널형 격벽 구조나 홈형 격벽 구조인 경우에는 제 1 격벽(212b)에 채널이 형성되거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 각각이 동일한 선상에 배열되는 것으로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다른 형상으로 배열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예컨대,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이 삼각형 형상으로 배열되는 델타(Delta) 타입의 배열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방전 셀의 형상도 사각형상뿐만 아니라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양한 다각 형상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여기 도 2에서는 후면 기판(211)에 격벽(212)이 형성된 경우만을 도시하고 있지만, 격벽(212)은 전면 기판(201) 또는 후면 기판(21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격벽(212)에 의해 구획된 방전 셀 내에는 소정의 방전 가스가 채워질 수 있다.
아울러, 격벽(212)에 의해 구획된 방전 셀 내에는 어드레스 방전 시 화상표시를 위한 가시 광을 방출하는 형광체 층(214)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색(Red : R), 녹색(Green : G), 청색(Blue : B) 형광체 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색(R), 녹색(G), 청색(B) 형광체 이외에 백색(White : W) 및/또는 황색(Yellow : Y) 형광체 층이 더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적색(R), 녹색(G), 청색(B) 방전 셀의 형광체 층(214)은 두께(Width)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하나 이상에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색(R), 녹색(G) 및 청색(B) 방전 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방전 셀에서의 형광체 층(214)의 두께가 다른 방전 셀과 상이한 경우에는 녹색(G) 또는 청색(B) 방전 셀에서의 형광체 층(214)의 두께가 적색(R) 방전 셀에서의 형광체 층(214)의 두께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여기서, 녹색(G) 방전 셀에서의 형광체 층(214)의 두께는 청색(B) 방전 셀에서의 형광체 층(214)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영상 필터층에서는 반사 방지층(240), 컬러 다이층(230), 전자파 차폐층(220)이 포함되는 것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와 같은 영상 필터층에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필터 표면의 작은 돌기로 산란시킴으로써 원래 보고자 하는 영상을 외부 빛에 의한 방해 없이 볼 수 있도록 하는 눈부심 방지층(Anti-glare layer)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제 1 필터층이 전자파 차폐층인 경우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전성 물질로 구성된 전자파 차폐층(220a)이 전면 기판(201)상에 직접 형성된다.
전술한 도전성 물질은 ITO(Indium tin Oxide), 은(Ag), 알루미늄(Al), 구 리(Cu), 아연(Zn) 중 하나일 수 있다.
전성 물질로 구성된 전자파 차폐층(220a)이 전면 기판상에 직접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굴절률과 반사율의 차이로 인해 영상이 겹쳐보이는 형상인 모아레(Moire) 현상이나 더블 이미지(Double) 현상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더욱 선명한 화질의 구현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전면 기판상에 직접 형성된 전자파 차폐층은 하나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여러 개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하나의 층으로 형성될 경우 은(Ag), 알루미늄(Al), 구리(Cu), 아연(Zn)과 같은 도전성 물질을 이용하여 전자파 차폐층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여러 개의 층으로 형성될 경우 투명전도성 물질 예를 들어, ITO(Indium tin oxide)와 같은 금속물질과 은(Ag), 알루미늄(Al), 구리(Cu), 아연(Zn) 중 어느 하나를 교번적으로 적층하여 전자파 차폐층을 형성하거나 은(Ag), 알루미늄(Al), 구리(Cu), 아연(Zn) 중 어느 하나만 적층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은, 전자파 차폐층(220a)은 도전성 물질을 전면 기판에 적어도 한번 이상 박막 코팅(Coating)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전성 물질을 복수 회 박막 코팅(Coating)하여 전자파 차폐층(220a)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전자파 차폐층(220a)의 각 층의 두께는 서로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전자파 차폐층(220a)의 각 층에 따른 굴절률과 반사율의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어, 모아레(Moire) 현상이나 더블 이미지(Double) 현상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제 1 필터층의 두께에 따른 면저항과 투과율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표는 제 1 필터층이 상부 기판상에 도전성 물질이 적층되어 형성된 전자파 차폐층인 경우를 일례로 제 1 필터층의 두께에 따른 면저항과 투과율에 대해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표에서, 제 1 필터층의 두께가 10㎚(나노미터)이상 200㎚(나노미터)이하인 경우에 적절한 면저항과 투과율을 확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필터층의 두께가 10㎚(나노미터)이상인 경우에 면저항이 적절하게 낮게 유지됨으로써 전자파 차폐효과와 근적외선 차단 효과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필터층의 두께가 200㎚(나노미터)이하인 경우에 30%이상의 적절한 투과율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부기판상에 형성된 제 1 필터층은 면 저항은 4Ω/㎡ 이하이고, 투과율은 35% 이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면 저항이 4Ω/㎡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은 제 1 필터층의 충분한 두께를 가지도록 하여 면 저항을 4Ω/㎡ 이하로 적절하게 낮게 유지함으로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로부터 나오는 전자파를 적절하게 차단함과 아울러, 전자파에 의해 전자파 차폐층에 형성되는 전류가 제 1 필터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내의 접지부로 신속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전자파 차폐효과와 근적외선 차단 효과가 더욱 효과적 으로 개선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투과율이 35%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은 제 1 필터층의 두께를 적절하게 제어함으로써,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를 적절하게 유지하고, 적절한 수준의 명실 콘트라스트 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 1 필터층의 제조 방법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과 같은 제 1 필터층은 도포 과정(S50)과 소성 과정(S51)을 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포 과정(S50)에서는 제 1 필터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전성 물질을 전면 기판상에 직접 도포한다.
이와 같이, 도전성 물질을 전면 기판상에 도포하는 방식으로는 분사기를 통하여 페이스트(Paste) 타입의 도전성 물질을 스핀(Spin) 방식, 스퍼터링(Sputtering) 방식, 스프레이(Spray)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은 영상 필터 형성시 가장 문제되는 기포가 거의 발생 되지 아니함으로써 영상 필터의 유니포머티(Uniformity)를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스핀(Spin) 방식에서 스핀 스피드(Speed)는 도전성 물질의 점도에 따라 다르게 변할 수 있다.
스핀(Spin) 방식에 의하면, 자연스럽게 영상 필터의 유니포머티를 좋게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정상 종래 영상 필터와 달리 불량률을 현저하게 줄 일 수 있어 공정 수율을 상당히 좋게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스프레이 방식은 도전성 물질의 도포량을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어 층의 두께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 소성 과정(S51)에서는 도포된 도전성 물질을 소성하여 도전성 물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적절하게 결합하고 굳게 한다.
이와 같은 소성 방법으로는 열 소성, 자외선 소성, 레이저 소성 등이 있다.
열 소성은 열 소성로에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체에 대해서 이루어진다. 레이저 소성은 소성하고자 하는 부위에 국부적으로 소성 하기에 적합하다. 자외선 소성은 자외선을 방출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복사열을 통해 자외선이 미치는 부분을 소성하므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면을 소성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영상 필터 소성 단계(S51)에서는 자외선 소성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적절할 수 있다.
자외선 소성 방법에 의한 소성 온도의 일례는 60℃ 이상 110℃ 이하가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도전성 물질이 적절하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면에 결합하고, 굳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소성 온도는 도전성 물질의 종류에 따라 더 다양하게 변화될 수도 있다.
도 6은 제 1 필터층이 전차파 차폐층인 경우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필터층이 전자파 차폐기능을 하는 경우, 전자파 차 폐층(220b)은 메쉬(Mesh) 타입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기판(201) 상에 직접 형성된다.
이와 같이, 메쉬(Mesh) 타입의 전자파 차폐층(220b)을 전면 기판(201) 상에 직접 형성하는 경우에는 전자파 차폐층의 두께를 두껍게 하더라고 투과율의 저하가 거의 없고, 면 저항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어 전자파 차폐효과나 근적외선 차단 효과가 더욱 향상된다.
또한, 메쉬 타입의 전자파 차폐층을 라미네이팅 방식에 의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조 과정상 에칭 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메쉬 층의 가운데 부분이 볼록하게 솟아오르는 컬(Curl)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메쉬(Mesh) 타입의 전자파 차폐층(220b)을 전면 기판(201) 상에 직접 형성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컬(Curl)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메쉬(Mesh) 타입의 전자파 차폐층(220b)을 전면 기판(201) 상에 직접 형성하는 경우에는 메쉬(Mesh) 타입의 전자파 차폐층을 포함하는 글래스 필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더블 이미지(Double Image) 현상을 더욱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더욱 선명한 화질의 구현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메쉬(Mesh) 타입의 전자파 차폐층(220b)을 형성하기 위한 도전성 물질은 ITO(Indium tin Oxide), 은(Ag), 알루미늄(Al), 구리(Cu), 아연(Zn) 중 하나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파 차폐층(220b)은 명실 콘트라스트(Contrast)비 향상을 위하여 검은 색의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전자파 차폐층(220b)은 일정 이하의 면저항을 가진 도전성 물질과 검은 색 재료의 물질을 혼합하여 형성하는 경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로부터 나오는 영상은 그대로 투과되도록 하면서 밝은 곳에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해 반사되어 나오는 외부광을 블랙 물질에 의해 더욱 줄일 수 있어 명실 콘트라스트(Contrast)비가 더욱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자파 차폐층(220b)의 폭(W2)이 방전 셀 사이에 형성된 격벽(212)의 폭(W1)과 대략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전자파 차폐층(220b)이 전면 기판(201)의 비 방전 영역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전자파 차폐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전자파 차폐층(220b)의 두께를 더 크게 형성하는 경우에도 투과율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전자파 차폐층(220b)의 폭(W2)이 방전 셀 사이에 형성된 격벽(212)의 폭(W1)보다 더 크도록 형성함으로써 전자파 차폐층(220b)의 일부가 전면 기판(201)의 방전 영역에 배치되도록 하여 명실 콘트라스트비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 1 필터층의 제조 방법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Mesh) 타입의 전자파 차폐층(220b)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 기판(201) 상에 직접 형성하는 방법에는 인쇄과정(S70), 건조과정(S71) 및 소성 과정(S72)을 포함한다.
인쇄과정(S70)에서는 후막 인쇄법 또는 Direct pattering 방법 등에 의해 이 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인쇄 과정에서는 도전성 물질의 페이스트(Paste)를 마스크를 통해 전면 기판상에 메쉬(Mesh) 패턴으로 도포한다.
이후, 건조과정(S71)에서 메쉬(Mesh) 패턴으로 도포된 도전성 물질을 건조시킨다.
이후, 소성과정(S72)에서 도포된 도전성 물질을 소성하여 도전성 물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면에 적절하게 결합하고 굳게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필터를 개선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모아레(Moire), 더블 이미지(Double image) 등과 같은 현상을 개선하고, 명신 콘트라스트 비를 개선하여 더욱 선명한 화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기판의 제 1 면 상에 형성된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
    상기 제 1 전극 및 상기 제 2 전극 상에 형성된 유전체층;
    상기 기판의 제 2 면 상에 형성된 제 1 필터층; 및
    상기 제 1 필터층이 형성된 상기 기판상에 배치되는 제 2 필터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층의 면 저항은 4Ω/㎡ 이하이고, 투과율은 3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층의 두께는 10㎚(나노미터)이상 200㎚(나노미터)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층은 전자파 차폐층(EMI), 근외선 차폐층(NIR), 외부광 차단층(CRF)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차폐층은 한 층 또는 여러 층의 도전성 물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물질은 ITO(Indium tin Oxide), 은(Ag), 알루미늄(Al), 구리(Cu), 아연(Zn)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파 차폐층은 메쉬(Mesh) 타입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필터층은 상기 기판상에 밀착된 필름 필터 또는 상기 기판과 일정 간격 이격된 글라스 필터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60111917A 2005-12-12 2006-11-1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44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917A KR100844826B1 (ko) 2006-11-13 2006-11-1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11/609,047 US20070132386A1 (en) 2005-12-12 2006-12-11 Plasma display device
EP06256319A EP1826803A3 (en) 2005-12-12 2006-12-12 Plasma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1917A KR100844826B1 (ko) 2006-11-13 2006-11-1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3189A KR20080043189A (ko) 2008-05-16
KR100844826B1 true KR100844826B1 (ko) 2008-07-08

Family

ID=39661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1917A KR100844826B1 (ko) 2005-12-12 2006-11-13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48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060A (ko) * 1998-08-06 2000-03-25 이즈하라 요조 전자파 필터
KR20040072185A (ko) * 2003-02-10 2004-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055309A (ko) * 2003-12-08 2005-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060A (ko) * 1998-08-06 2000-03-25 이즈하라 요조 전자파 필터
KR20040072185A (ko) * 2003-02-10 2004-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055309A (ko) * 2003-12-08 2005-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3189A (ko) 2008-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06672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US20070132386A1 (en) Plasma display device
US6812641B2 (en) Plasma display device
US6867545B2 (en) Plasma display panel with light shielding layers having different widths
KR10084482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N101752164B (zh) 显示设备和光学滤波器
US8410694B2 (en) Plasma display panel
EP1912243B1 (en)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7003732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3342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US20080197774A1 (en)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8259036B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KR10068685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945432B1 (ko) 디스플레이용 필터 및 그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KR20080052105A (ko) 디스플레이용 필터 및 그를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장치
KR10079579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과, 이의 제조방법
US7768205B2 (en) Plasma display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070152590A1 (en) Plasma display panel
KR10058933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5530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3576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4113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US20080090482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plasma display panel
KR2009009764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JP2007103148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