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3345A -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용도 - Google Patents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3345A
KR20030063345A KR10-2003-7004283A KR20037004283A KR20030063345A KR 20030063345 A KR20030063345 A KR 20030063345A KR 20037004283 A KR20037004283 A KR 20037004283A KR 20030063345 A KR20030063345 A KR 20030063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
formula
copolycarbonate
polycarbonates
copolycarbon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4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5647B1 (ko
Inventor
실케 크라트스츠메르
클라우스 호른
아네뜨 퀘니히
롤프 베르만
스테판 퀼링
Original Assignee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이엘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30063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6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04Aromatic polycarbonates
    • C08G64/06Aromatic polycarbonates not containing aliphatic unsatu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507Of polycarbonate

Abstract

본 발명은 내충격성과 인장 균열 저항성을 가지며 특히 우수한 저온 성질 및 높은 노화 안정성을 갖고 예를 들면, 자동차 제작 및 외부 응용과 같이 우수한 저온 성질 및(또는) 높은 노화 안정성이 요구되는 분야에 적용하기 위한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용도 및 신규한 코폴리카르보네이트 자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용도{USE OF COPOLYCARBONATES}
본 발명은 신규한 코폴리카르보네이트 그 자체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자동차 제작 또는 외부 응용과 같이 특히 우수한 저온 성질 및(또한) 노화 안정성이 요구되는 분야에서의 적용을 위한 매우 우수한 저온 성질 및 우수한 노화 안정성을 갖고 내응력균열성 및 내충격성을 갖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용도를 제공한다.
자동차 제작 및 그 밖의 외부 응용을 위하여, 한편으로는 내저온성을 또 한편으로는 높은 노화 안정성이 있고, 화학약품에 대해 가능한 한 내성을 가지고, 바람직하게는 투명한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찾기 위한 시도가 있어왔다.
폴리카르보네이트는 전형적으로 저온에서 취성(brittle)을 가지며, 즉, 파괴되기 쉽고 노치충격강도를 상실하기 쉽다.
유리전이온도 미만의 온도에서 저장한 후의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부가적으로 저장 기간 및 온도에 따른 노화 효과를 나타내며, 그 결과로 노치충격강도에서의 높은 에너지 준위가 현저히 감소되고(Bottenbruch et al., "Engineering Thermoplastics Polycarbonates, Polyacetals, Polyesters, Cellulose Esters", Carl Hanser Verlag, Munich, Vienna, New York, 1996, p. 183 ff.), 다시 말해서 그 결과로 폴리카르보네이트가 또한 취성이 된다.
4,4'-디히드록시디페닐 및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에 기초한 코폴리카르보네이트는 이미 JP 5 117 382로부터 공지되었고, EP-A1 0 544 407, US 5 470 938, US 5 532 324 및 US 5 401 826에서는 순수 비스페놀로부터 생성된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폴리카르보네이트와 비교해서 동일한 기계적 성질 및 투명도를 가지면서 특히 내약품성, 열 안정성 및 내연성(flame-resistant)이 있다고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선행 기술은 상기 카르보네이트의 특별한 노화 안정성 유무는 제쳐놓더라도, 상기 카르보네이트가 매우 우수한 저온 성질을 갖는다는 어떠한 암시도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한편으로는 순수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으로부터 생성된 폴리카르보네이트에 비해 개선된 저온 강도를 가지고 또 한편으로는 개선된 응력균열 거동과 함께 개선된 노화 안정성을 갖는 투명한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찾는 것이다.
지금 놀랍게도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카르보네이트가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유리전이온도 미만에서 저장되었을 때 저장기간 및 온도에 따른 어떠한 노화 효과도 나타내지 않고, 그 결과로 노치충격강도에서의 높은 에너지 준위가 유지되고 폴리카르보네이트가 취성으로 되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상기 예견되지 않은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노화거동은 실제 적용에 있어 특히 중요하다. 많은 적용은 끊임없이 변하는 열응력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카르보네이트는 저온에서 매우 우수한 노치충격강도를 가지고, 그러나 유리전이온도 미만에서 저장하는 경우에도 노화 효과로 인해 상기 특성을 상실하지 않는 재료를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0.1 몰% 내지 46 몰%, 바람직하게는 11 몰% 내지 34 몰%, 특히 26 몰% 내지 34 몰%의 화학식 Ⅰ의 단량체 화합물 및 상보적인 양, 즉 99.9 몰% 내지 54 몰%, 바람직하게는 89 몰% 내지 66 몰%, 특히 74 몰% 내지 66 몰%의 화학식 Ⅱ의 단량체 화합물로 이루어진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특히 우수한 저온 특성 및 열안정성이 요구되는 분야의 재료로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R1내지 R4은 서로 독립적으로 H, C1-C4-알킬, 페닐, 치환된 페닐 또는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H, C1-C4-알킬 또는 할로겐을 나타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모두가 동일한 라디칼, 특히 H 또는 삼급부틸을 나타냄)
(여기서, R5내지 R8은 서로 독립적으로 H, CH3, Cl 또는 Br을 나타내며, X는 C1-C5-알킬렌, C2-C5-알킬리덴, C5-C6-시클로알킬렌, C5-C10-시클로알킬리덴을 나타냄)
화학식 Ⅰ의 단량체 34-26 몰%, 특별히 33-27 몰%, 특히 32-28 몰%, 더욱 특별히 31-29 몰%,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몰%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경우에 있어 상보적인 양의 화학식 Ⅱ의 단량체로 보충된 폴리카르보네이트가 가장 특히 바람직하고, 그 자체가 본 발명에 포함된다.
비스페놀 단량체에 대해 주어진 백분율 데이타는 폴리카르보네이트의 비스페놀들의 총함량(100%로 정의됨)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그러면, 순수 비스페놀 A 폴리카르보네이트는 100%의 비스페놀 A로 이루어질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탄산 에스테르 또는 할리드로부터 생성된 카르보네이트 비율은 무시된다.
바람직한, 특히 바람직한 또는 가장 특히 바람직한 하기에 명시한 조성을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가 바람직한, 특히 바람직한 또는 가장 특히 바람직하다.
그러나, 또한 일반적인 용어로 또는 바람직한 범위로서, 상기에 주어진 정의, 양적 비율 및 설명들은 필요한 대로 서로, 즉 각각의 범위와 바람직한 범위를 조합할 수도 있다. 그들은 전구체 및 중간 생성물뿐만 아니라 최종 생성물에 대해서도 적절하게 적용된다.
지금 놀랍게도 본 발명자들은 그러한 코폴리카르보네이트가 한편으로는 특히 우수한 저온 성질을, 또 한편으로는 또한 특히 우수한 노화 성질을 가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므로, 그들은 지금까지 공지된 폴리카르보네이트가 그들의 성질 프로파일에 비추어 부적절했던 모든 분야, 예를 들면 전기 분야에서의 성형품으로서 뿐만 아니라 피복이나 유리로 건설 분야에서, 특히 필름, 시트, 피팅(fitting),마운팅(mounting) 또는 하우징 부품으로서 운송수단 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렌즈, 데이타 저장 소자로서 광학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일상용품으로서 더 특별하게는 우수한 저온 성질 및(또는) 노화 안정성과 동시에 결합된 개선된 열 안정성 또는 내약품성이 요구되는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게다가 그들은 또한 통상의 폴리카르보네이트가 그의 불충분한 저온 성질로 인해 지금까지 사용될 수 없었던 분야에서 다른 재료들을 대체할 수 있다.
우수한 저온 성질이라 함은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어, 반드시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지만, 우수한 저온 인성(toughness)을 의미한다고 이해되는데, 이는 통상의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노치-바(notched-bar) 충격시험시 저온에서 취성파괴를 일으키기 때문이다.
저온이라 함은 본 발명에 따르면 -10℃ 미만, 바람직하게는 -20℃ 미만, 더 바람직하게는 -30℃ 미만,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미만, 특히 -50℃ 미만의 온도로 이해된다.
우수한 열 안정성 및 노화 안정성이라 함은 본 발명에 따르면 예를 들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템퍼링 후의 우수한 노치충격강도를 의미한다고 이해될 수 있는데, 이는 통상의 폴리카르보네이트는 템퍼링 후 취성이 되어 파괴 및 균열을 나타내기 쉽기 때문이다.
템퍼링이라 함은 본 발명에 따르면 155℃의 유리전이온도 미만에서 저장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온도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140℃,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40℃,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40℃이다.
바람직한 화학식 Ⅰ의 화합물은 4,4'-디히드록시디페닐(DOD), 4,4'-디히드록시-3,3',5,5'-테트라(삼급부틸)디페닐, 4,4'-디히드록시디페닐-3,3',5,5'-테트라 (n-부틸)디페닐 및 4,4'-디히드록시디페닐-3,3',5,5'-테트라(메틸)디페닐이고; 4,4'-디히드록시디페닐이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화학식 Ⅱ의 화합물은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1-비스 (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및 1,3-비스[2-(4-히드록시페닐)-2-프로필]벤젠, 1,1-비스(4-히드록시페닐)-1-페닐에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특히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 A) 및 1,1-비스 (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비스페놀 TMC), 가장 특히 바람직하게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비스페놀 A)이다.
여러 개의 화학식 Ⅰ의 화합물이 사용될 뿐만 아니라 이원 코폴리카르보네이트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화학식 Ⅰ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여러 개의 화학식 Ⅱ의 화합물이 사용될 뿐만 아니라 이원 코폴리카르보네이트를 생성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화학식 Ⅱ의 화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화학식 Ⅰ 및 화학식 Ⅱ의 에덕트(educt)는 분명히 합성으로 인한 불순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고순도가 바람직하고, 요구되므로 상기 에덕트(educt)는 가능한 한 고순도의 상태로 사용한다.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생성은 일반적으로 문헌에서 공지되어 있고, 발명에 따른 사례에서도 이에 상응하여 수행되어졌다:
DE-OS 2 119 779에 따르면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생성은 화학식 Ⅰ의 단량체의 참여로, 바람직하게는 용액으로의 참여, 더 명확하게는 상 계면 공정(phase interface process) 및 균일상 공정(homogeneous phase process)에 따라 수행된다.
상 계면 공정에 따른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생성을 위해, 예를 들어 문헌[ "Schnell", Chemistry and Physics of Polycarbonates, Polymer Reviews, Vol.9, Interscience Publishers, New York, London, Sydney 1964; 및 Polymer Reviews, Vol.10, "Condensation Polymers by Interfacial and Solution Methods", Paul W. Morgan, Interscience Publishers, New York 1965, Chapter Ⅷ, p. 325; 및 EP 971 790]을 참조할 수 있다.
게다가, 용융물에서 공지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제조방법(소위 용융 에스테르교환 반응)에 의해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생성하는 것 또한 가능한데, 이는 예를 들어 DE-OS 19 64 6401 또는 DE-OS 1 42 38 123에 기술되어 있다. 이에 덧붙여, 에스테르교환 반응(아세테이트법 및 페닐 에스테르법)은 예를 들어 DE-A 1 495 626 및 2 232 997 뿐만 아니라 US-PS 3 494 885, 4 386 186, 4 661 580, 4 680 371 및 4 680 372 및 EP-A 26120, 26121, 26684, 28030, 39845, 91602, 97970, 79075, 146887, 156103, 234913 및 240301에 기술되어 있다.
코폴리카르보네이트는 10,000 내지 60,000의 분자량 Mw(중량평균 분자량),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55,000의 분자량 Mw을 가질 수 있고, 이는 디클로로메탄에서 또는 동량의 페놀/o-디클로로벤젠 혼합물에서의 용액상 상대점도를 측정함으로써 결정되며 광산란(light scattering)으로 검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르보네이트는 240℃ 내지 380℃, 바람직하게는 260℃ 내지 360℃에서 통상의 방법으로 가공될 수 있다. 적절한 성형품 및 시트는 사출성형에 의해 또는 압출에 의해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성형품 및 압출품은 또한 본 출원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르보네이트는 클로로화된 탄화수소 예를 들면 메틸렌 클로라이드와 같은 용매에 쉽게 용해되고, 따라서 예를 들어 공지의 방법으로 캐스트 필름 또는 시트로 가공될 수 있다.
열안정성, 우수한 저온 성질, 노화 안정성 및 내약품성과 같은 성질의 조합이 본 발명에 따른 공중합체가 넓은 적용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르보네이트의 가능한 적용은 다음을 포함한다:
1. 헬멧 실드(shields) 뿐 아니라 공지된 바와 같이 건조물, 차량 및 항공기와 같은 여러 분야에서 요구되는 안전패널.
2. 호일의 제조, 특히 스키 호일의 제조.
3. 송풍-성형품의 제조(예를 들면 US 특허 A 2 964 794 참조).
4. 예를 들어 철도, 온실 및 조명설비와 같은 건조물 피복을 위한 광투과성 시트, 특히 중공 시트의 제조.
5. 신호등 하우징 또는 도로 표지의 제조.
6. 발포체의 제조(예를 들면 DE-AS 1 031 507 참조).
7. 섬유와 실의 제조(예를 들면 DE-AS 1 137 167 및 DE-OS 1 785 137 참조).
8. 광기술적 목적의 유리섬유 함유 반투명 플라스틱 재료(예를 들면 DE-OS 1 554 020 참조).
9. 예를 들어 렌즈 마운팅과 같은 소형 정밀 사출성형 부품의 제조. 이 목적을 위해서는 유리섬유를 포함하고, 임의로 총중량에 대해 약 1-10 wt.%의 MoS2를 부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는 폴리카르보네이트가 사용됨
10. 광학기기 부품, 특히 사진용 카메라 및 필름 카메라의 렌즈의 제조(예를 들면 DE-OS 2 701 173 참조).
11. 광전송 케리어, 특히 광전도케이블(예를 들면 EP-A1 0 089 801 참조).
12. 플러그-소켓 접속기 뿐 아니라 전기 리드(lead) 및 플러그 하우징을 위한 전기 절연 재료.
13. 유기 광전도체를 위한 캐리어 재료.
14. 램프/등, 예를 들면 헤드램프(headlamps) 또는 산란광 패널의 제조.
15. 의료용, 예를 들면 산소발생기, 투석 장비.
16. 식품용, 예를 들면 병, 식기 및 초코렛틀.
17. 연료 및 윤활유와의 접촉이 발생할 수 있는 자동차 분야용.
18. 예를 들면 슬라롬 폴(slalom pole)과 같은 스포츠용품용.
19. 가정용품용, 예를 들면 주방의 싱크대 및 우편함 하우징.
20. 하우징용, 예를 들면 전기 배분 캐비넷.
21. 예를 들면 축사용 문 또는 동물 우리와 같은 그 밖의 적용.
특히 필름은 본 발명의 고분자량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상기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00μm,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0 μm 의 두께를 갖는다.
얻어진 필름을 바람직하게는 1:1.5 내지 1:5의 비로서 공지된 방법 그 자체로 일축 또는 이축 연신될 수 있다.
필름은 공지된 필름 제조법에 의해, 예를 들어 슬롯 다이(slot die)를 통한 중합체 용융물의 압출에 의해, 필름 송풍기에서의 송풍에 의해, 열성형에 의해 또는 캐스팅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이 필름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물론 그들을 이용해서 통상의 방법에 의해 다른 플라스틱 필름과의 복합 필름도 제조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해서, 복합 필름의 원하는 적용 및 최종 성질 프로파일에 따라 원칙적으로는 모든 공지된 필름이 파트너로서 사용될 수 있다. 2종 또는 그 이상의 필름의 복합물이 제조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카르보네이트는 또한 예를 들면 공압출된 시트와 같은 다른 층시스템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다양한 말단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사슬종결제에 의해 도입된다. 본 발명의 의미 내에서 사슬종결제는 화학식 Ⅲ의 화합물, 예를 들어 부틸 페놀, 트리틸 페놀, 쿠밀 페놀, 페놀 또는 옥틸 페놀, 바람직하게는 부틸 페놀 또는 페놀이다.
(여기서, R, R' 그리고 R"는 서로 독립적으로 H, 임의적으로 분지된 C1-C34-알킬/시클로알킬, C7-C34-알카릴 또는 C6-C34-아릴임)
폴리카르보네이트는 0.02 내지 3.6 몰%(디히드록시 화합물 기준)의 소량의 분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적절한 분지제는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적절한 3개 또는 그 이상의 작용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3개 또는 그 이상의 페놀성 OH기를 갖는 것들, 예를 들면 EP-A 708 130,p.4에서 언급된 것과 같은 분지제, 바람직하게는 1,1,1-트리-(4-히드록시페닐)에탄 및 이사틴 비스크레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르보네이트의 보조제 및 강화제가 성질을 바꾸기 위해 그들과 혼합될 수 있다. 적절한 보조제 및 강화제는 그 중에서도 다음을 포함한다: 열안정화제 및 UV 안정화제, 블로킹 방지제/흐름보조제, 이형제, 방염제, 안료, 미세 분할된 광물, 섬유물질, 예를 들면 알킬 및 아릴 포스파이트, 포스페이트, 포스판, 저분자량 카르복시산 에스테르, 할로겐화 화합물, 염, 쵸크, 석영분, 유리섬유, 탄소섬유, 안료 및 그들의 조합. 상기 화합물들은 예를 들면 문헌[WO 99/55772, pp.15-25, 및 "Plastics Additives", R. Gaechter and H. Mueller, Hanser Publishers 1983]에 기술되어 있다.
게다가, 그 밖의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및 폴리스티렌도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르보네이트와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물질들은 통상의 장치에서 최종 폴리카르보네이트에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요건에 따라서 첨가는 또한 제조과정에서 상이한 단계에서 발생할 수도 있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고자 하는 것이며 발명을 이에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예를 들어 DE 4 238 123에서 기술된 것과 같은 공지의 용융 제조법에 따라 예를 들어 문헌["Schnell", Chemistry and Physics of Polycarbonates, Polymer Reviews, Vol.9, Interscience Publishers, New York, London, Sydney 1964]에서 기술된 것과 같은 상 계면 공정을 거쳐 다양한 폴리카르보네이트를 합성하였으며, 그와 동등한 점도를 갖는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마크롤론(Makrolon)과 비교하였다.
용액상 상대점도는 25℃에서 디클로로메탄 중에서 5 g/l의 농도로 측정하고 광산란으로 검정하였다.
충격 강도를 결정하기 위해 ISO 180/4A에 따른 휨 충격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1
30 몰%의 디히드록시디페닐(DOD) 및 70 몰%의 비스페놀 A를 포함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상 계면 공정으로 생성하였다. 삼급부틸페놀을 사슬종결제로 사용하였다. 과립은 1.298의 용액상 상대점도를 가졌다.
실시예 2
30 몰%의 DOD 및 70 몰%의 비스페놀 A를 포함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상 계면 공정으로 생성하였다. 삼급부틸페놀을 사슬종결제로 사용하였다. 과립은 1.341의 용액상 상대점도를 가졌다.
실시예 3
30 몰%의 DOD 및 70 몰%의 비스페놀 A를 포함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용융 에스테르교환 반응으로 생성하였다. 삼급부틸페놀을 사슬종결제로 사용하였다. 생성물은 1.28의 용액상 상대점도를 가졌다.
비교예 1
35 몰%의 DOD 및 65 몰%의 비스페놀 A를 포함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용융 에스테르교환 반응으로 생성하였다. 생성물은 1.295의 용액상 상대점도를 가졌다.
비교예 2
25 몰%의 DOD 및 75 몰%의 비스페놀 A를 포함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용융 에스테르교환 반응으로 생성하였다. 생성물은 1.295의 용액상 상대점도를 가졌다.
비교예 3
20 몰%의 DOD 및 80 몰%의 비스페놀 A를 포함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용융 에스테르교환 반응으로 생성하였다. 생성물은 1.295의 용액상 상대점도를 가졌다.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마크롤론(Mokrolon)과 비교하여 표 1-2에 나타내었다.
용액상 점도 비교
폴리카르보네이트 용액상 상대점도
마크롤론 2808/58 1.293
마크롤론 3108 1.318
실시예 1 1.298
실시예 2 1.341
실시예 3 1.277
비교예 1 1.295
비교예 2 1.298
비교예 3 1.286
노치충격강도 및 연화 온도 비교
폴리카르보네이트 ISO 180/4A에 따른 노치충격강도
23℃[kJ/m2] -40 ℃[kJ/m2] -50℃[kJ/m2] -60℃[kJ/m2]
마크롤론 2808/58 90z 8s 9s 7s
마크롤론 3108 95z 11s 8s 8s
실시예 1 82z 56z 58z 60z
실시예 2 67z 67z 65z 66z
실시예 3 54z 60z 38z 42z
비교예 1 측정 안됨 35z 26s 20s
비교예 2 측정 안됨 19s 측정 안됨 13s
비교예 3 측정 안됨 14s 측정 안됨 11s
s= 취성파괴, z= 인성파괴
표 2는 실시예 1-3의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카르보네이트가 -60℃에서 우수한 저온 인성을 가짐을 보여주었다.
ISO 180/4A에 따른 노치충격강도(kJ/m2) 비교
저장 조건 실시예 1 마크롤론 2808
135℃에서 46시간 52z 8s
135℃에서 7일 54z
135℃에서 20일 52z
150℃에서 2시간 53z
150℃에서 24시간 53z
s= 취성파괴, z= 인성파괴
표 3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코폴리카르보네이트는 노화 후에도 현저하게 변화된 성질 프로파일을 나타내었다. 순수 비스페놀 A로부터 생성된 폴리카르보네이트는 135℃에서 46시간 동안 저장한 후 이미 취성파괴 거동을 보였고, 반면 코폴리카르보네이트는 심지어 7일후조차도 인성 거동을 보였다. 게다가, 공중합체는 심지어 150℃에서 저장한 다음 노치-바 충격시험을 실시했을 때조차도 여전히 우수한 인성파괴 거동을 보였다.

Claims (8)

  1. 0.1 몰% 내지 46 몰%, 바람직하게는 11 몰% 내지 34 몰%, 특히 26 몰% 내지 34 몰%의 화학식 Ⅰ의 단량체 화합물 및 상보적인 양, 즉 99.9 몰% 내지 54 몰%, 바람직하게는 89 몰% 내지 66 몰%, 특히 74 몰% 내지 66 몰%의 화학식 Ⅱ의 단량체 화합물로 이루어진 열가소성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특히 우수한 저온 특성 및(또는) 노화 안정성이 요구되는 분야의 재료로서의 용도.
    <화학식 Ⅰ>
    (여기서, R1내지 R4은 서로 독립적으로 H, C1-C4-알킬, 페닐, 치환된 페닐 또는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H, C1-C4-알킬 또는 할로겐을 나타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모두가 동일한 라디칼, 특히 H 또는 삼급부틸을 나타냄)
    <화학식 Ⅱ>
    (여기서, R5내지 R8은 서로 독립적으로 H, CH3, Cl 또는 Br을 나타내며, X는 C1-C5-알킬렌, C2-C5-알킬리덴, C5-C6-시클로알킬렌, C5-C10-시클로알킬리덴을 나타냄)
  2. 제 1항에 있어서,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외부 응용 용도.
  3. 제 1항에 있어서,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필름 용도.
  4. 제 1항에 있어서,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광학적 적용 용도.
  5. 제 1항에 있어서,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의료용 및 식품용 용도.
  6. 제 1항에 있어서,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자동차 분야에서의 용도.
  7. 제 1항에 있어서,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전기 분야에서의 용도.
  8. 제 1항에 있어서, 34 내지 26 몰%의 화학식 Ⅰ의 단량체 및 상보적인 양의 화학식 Ⅱ의 단량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
KR1020037004283A 2000-09-26 2001-09-13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용도 KR1008456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00147483 DE10047483A1 (de) 2000-09-26 2000-09-26 Verwendung von Copolycarbonaten
DE10047483.7 2000-09-26
PCT/EP2001/010562 WO2002026862A1 (de) 2000-09-26 2001-09-13 Verwendung von copolycarbona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345A true KR20030063345A (ko) 2003-07-28
KR100845647B1 KR100845647B1 (ko) 2008-07-10

Family

ID=7657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4283A KR100845647B1 (ko) 2000-09-26 2001-09-13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용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6586556B2 (ko)
EP (1) EP1325056A1 (ko)
JP (1) JP2004510040A (ko)
KR (1) KR100845647B1 (ko)
CN (1) CN1235938C (ko)
AU (1) AU2001291859A1 (ko)
BR (1) BR0114186A (ko)
DE (1) DE10047483A1 (ko)
TW (1) TW574312B (ko)
WO (1) WO200202686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34480A1 (de) * 2001-07-16 2003-01-30 Bayer Ag Herstellung von Copolycarbonaten
DE10135465A1 (de) 2001-07-20 2003-02-06 Bayer Ag Polycarbonat-Blends
US6730748B2 (en) 2002-07-09 2004-05-04 Bayer Polymers Llc Thermoplastic polycarbonate compositions having high toughness
DE10230983A1 (de) * 2002-07-10 2004-01-22 Bayer Ag Mehrschichtiges Erzeugnis enthaltend Polycarbonat
DE10310284A1 (de) * 2003-03-10 2004-09-23 Bayer Materialscience Ag Zusammensetzung auf Basis von Polycarbonaten
JP4477950B2 (ja) * 2004-07-07 2010-06-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リモートコピーシステム及び記憶装置システム
US7432027B2 (en) * 2005-03-30 2008-10-07 Xerox Corporation Dual-layer protected transient document
DE102006055727A1 (de) * 2006-11-25 2008-05-29 Evonik Degussa Gmbh Verwendung eines synthetischen Wachsoxidats als Verarbeitungshilfsmittel für transparente polare Polymere
WO2011012294A1 (de) 2009-07-29 2011-02-03 Bayer Materialscience Ag Mehrschichtige erzeugnisse enthaltend acrylat-haltige beschichtungen
MX2012006323A (es) 2009-12-05 2012-11-06 Bayer Ip Gmbh Composiciones de policarbonato con derivado de triazina sustituido fenolicamente.
EP2447236A1 (de) 2010-10-12 2012-05-02 Bayer MaterialScience AG Spezielle UV-Absorber für härtbare UV-Schutz Beschichtungen
DE102010042939A1 (de) 2010-10-26 2012-04-26 Bayer Materialscience Aktiengesellschaft Fugenlose Heckklappe
WO2012059531A1 (de) 2010-11-05 2012-05-10 Bayer Materialscience Ag Flammhemmend ausgestattete, uv-geschützte polycarbonatformmassen mit geringem molekulargewichtsabbau
EP2635636A1 (de) 2010-11-05 2013-09-11 Bayer Intellectual Property GmbH Flammwidrige, uv-geschützte polycarbonatformmassen mit geringem molekulargewichtsabbau
ES2663841T3 (es) 2010-11-24 2018-04-17 Covestro Deutschland Ag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cuerpos moldeados ópticos
ITRM20100670A1 (it) 2010-12-17 2012-06-18 Bayer Materialscience Ag Colorante organico e composizioni polimeriche colorate ad alta stabilità agli agenti atmosferici.
ITRM20100667A1 (it) 2010-12-17 2012-06-18 Bayer Materialscience Ag Composizione di polimeri con caratteristiche di assorbimento di calore ad alta stabilità agli agenti atmosferici.
ITRM20100668A1 (it) 2010-12-17 2012-06-18 Bayer Materialscience Ag Substrato-led a colorazione stabile.
IT1403380B1 (it) 2010-12-17 2013-10-17 Bayer Materialscience Ag Composizione di polimeri con caratteristiche di assorbimento di calore ad alta stabilità agli agenti atmosferici.
US8617712B2 (en) 2011-08-02 2013-12-31 Xerox Corporation Biaryl polycarbonat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s
WO2013079478A1 (de) 2011-11-30 2013-06-06 Bayer Intellectual Property Gmbh Mehrschichtkörper aus polycarbonat mit tiefenglanzeffekt
ES2639197T3 (es) 2011-11-30 2017-10-25 Covestro Deutschland Ag Cuerpo multicapa de policarbonato con efecto de brillo profundo
ITRM20120656A1 (it) 2012-12-20 2014-06-21 Bayer Materialscience Ag Articolo multistrato a base di policarbonato con forte resistenza agli agenti atmosferici.
KR20150096734A (ko) 2012-12-20 2015-08-25 바이엘 머티리얼사이언스 아게 Ir-반사 안료를 함유하는 짙게 착색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성형 컴파운드
KR102258329B1 (ko) 2012-12-20 2021-06-01 코베스트로 도이칠란드 아게 우수한 가공 특성을 갖는 유기 착색제 및 착색된 중합체 조성물
CN104918485A (zh) 2013-01-18 2015-09-16 拜耳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防鸟玻璃
CN105408430B (zh) 2013-06-14 2018-11-27 科思创德国股份公司 无眩光的微结构化的特定涂覆的薄膜
CN105324444B (zh) 2013-06-14 2018-12-14 科思创德国股份公司 可辐射固化的涂层剂
EP3013912B1 (de) 2013-06-27 2017-09-27 Covestro Deutschland AG Metallisierbare, kratzfeste und lösemittelbeständige folie
US9395894B2 (en) * 2013-11-06 2016-07-19 Software Ag System and method for browser side colorizing of icon images
US10344170B2 (en) 2014-03-27 2019-07-09 Covestro Deutschland Ag Coating agent and films having increased mechanical and chemical resistance and sufficient deformability in 2-D film insert molding methods
CN107107526B (zh) 2014-09-11 2019-08-13 科思创德国股份有限公司 用于机动车安装玻璃系统的边框
USD806677S1 (en) * 2016-07-06 2018-01-02 London Johnson, Inc. Monkey-shaped sound device
WO2018060081A1 (de) 2016-09-27 2018-04-05 Covestro Deutschland Ag Frontscheibe für kraftfahrzeug
EP3529027A1 (de) 2016-10-18 2019-08-28 Covestro Deutschland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kunststoffkörpers, welcher sich als dekorelement eignet
EP3541621B1 (de) 2016-11-17 2020-10-07 Covestro Intellectual Property GmbH & Co. KG Transparenter mehrschichtkörper zum wärmemanagement
JP7163287B2 (ja) 2016-11-17 2022-10-31 コベストロ、ドイチュラント、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熱管理用ポリカーボネートの不透明多層体
JP2020501944A (ja) 2016-12-15 2020-01-23 コベストロ、ドイチュラント、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Covestro Deutschland Ag 透明コーティングされたポリカーボネート部品、その製造および使用
EP3395875B2 (de) 2017-04-24 2023-01-25 Covestro Deutschland AG Laserstrahl-durchlässiges substratmaterial für sensoranwendungen
CN110678510B (zh) 2017-05-03 2022-03-29 巴斯夫欧洲公司 成核剂、其制备方法和相关聚合物组合物
TW201906882A (zh) 2017-05-09 2019-02-16 德商科思創德意志股份有限公司 含有用於全像照射的光聚合物層及高度耐性漆層之薄膜結構
KR20200006988A (ko) 2017-05-09 2020-01-21 코베스트로 도이칠란트 아게 광중합체 필름 복합체에서의 홀로그램의 보호를 위한 2개의 건조-적용가능한 uv-경화성 래커 층으로 이루어지는 시스템
TW201906730A (zh) 2017-05-09 2019-02-16 德商科思創德意志股份有限公司 用於保護光聚合物膜複合物中之全像圖之含uv硬化性黏著層的塑膠膜
CN111448473A (zh) 2017-12-21 2020-07-24 科思创德国股份有限公司 包括多层体和lidar传感器的装置
BR112020019994A2 (pt) 2018-04-04 2021-01-26 Basf Se uso de uma composição de absorção de radiação ultravioleta, artigo de polímero artificial conformado, e, composição de polímero extrudado, moldado ou calandrado.
KR20210016563A (ko) 2018-05-29 2021-02-16 코베스트로 인텔렉쳐 프로퍼티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풍화 안정성을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로 만들어진 불투명한 다층체
KR20210137460A (ko) 2019-03-12 2021-11-17 바스프 에스이 형상화 인공 중합체 물품
US20230003839A1 (en) 2019-11-14 2023-01-05 Covestro Intellectual Property Gmbh & Co. Kg Thermoplastic composition for lidar sensor system with improved absorption properties
WO2022037950A1 (de) 2020-08-18 2022-02-24 Covestro Deutschland Ag Beschichtungsmittelsysteme, bestehend aus basislack und decklack, sowie darauf basierendes halbzeug und herstellung desselben
WO2022148727A1 (en) 2021-01-05 2022-07-14 Basf Se Stabilizing a shaped polymer article against degradation induced by artificial uv-c light
TW202344579A (zh) 2022-01-18 2023-11-16 德商巴地斯顏料化工廠 具有閉孔金屬氧化物粒子之成型人造聚合物製品
TW202340391A (zh) 2022-01-18 2023-10-16 德商巴地斯顏料化工廠 具有混合金屬氧化物粒子之成型人造聚合物製品
WO2024002735A1 (en) 2022-06-29 2024-01-04 Basf Se Stabilizing a shaped polymer article against degradation induced by artificial uv-c light
WO2024068415A1 (en) 2022-09-29 2024-04-04 Basf Se Co-stabilizers for hydroxyphenyl triazine stabilized polymer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54440B1 (en) * 1980-12-17 1985-08-28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Styrene-butadiene block copolymer
JPS61264020A (ja) * 1985-05-17 1986-11-21 Idemitsu Kosan Co Ltd 芳香族ポリカ−ボネ−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92480B2 (ja) * 1986-03-31 1994-11-16 出光興産株式会社 ポリカ−ボネ−ト系共重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5117382A (ja) * 1991-10-29 1993-05-14 Nippon G Ii Plast Kk 共重合ポリカーボネ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からなる組成物
JP3155823B2 (ja) * 1992-07-17 2001-04-16 出光興産株式会社 ポリカーボネート重合体、その製造法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写真感光体
US5977265A (en) * 1997-09-02 1999-11-02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preparing brominated polycarbonates, and products obtained thereby
SG85605A1 (en) * 1997-10-16 2002-01-15 Gen Electric Flame resistant compositions of polycarbonate and monovinylidene aromatic compounds
JPH11130857A (ja) * 1997-10-31 1999-05-18 Fuji Electric Co Ltd 新規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写真用感光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46101B2 (en) 2003-11-11
CN1235938C (zh) 2006-01-11
WO2002026862A1 (de) 2002-04-04
JP2004510040A (ja) 2004-04-02
US6586556B2 (en) 2003-07-01
EP1325056A1 (de) 2003-07-09
CN1466604A (zh) 2004-01-07
US20020120092A1 (en) 2002-08-29
DE10047483A1 (de) 2002-04-11
US20030092873A1 (en) 2003-05-15
TW574312B (en) 2004-02-01
AU2001291859A1 (en) 2002-04-08
BR0114186A (pt) 2003-07-22
KR100845647B1 (ko) 200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5647B1 (ko)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용도
KR101076178B1 (ko) 개선된 유동 특성을 나타내는 고도로 분지된폴리카르보네이트 및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및 그의 제법 및용도
RU2505556C2 (ru) Алкилфенол для установления молекулярного веса и сополикарбонат с улучшенными свойствами
KR20110073301A (ko) 개선된 열적 및 기계적 성질 및 감소된 열팽창계수를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
CN102093685A (zh) 具有改进表面硬度的聚碳酸酯组合物
CN102093684A (zh) 具有高抗热变形性和改进的表面性能的聚碳酸酯共混物
US6740714B2 (en) Polycarbonate blends
US7169333B2 (en) Antistatic agent
KR100917944B1 (ko) 특정하게 분지된 말단기를 함유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
JP2011529995A (ja) 表面特性が改良された変性ポリカーボネート
KR101727335B1 (ko) 개선된 광학 성질을 가진 (코)폴리카르보네이트
CN107207845A (zh) 具有改善的加工性能的包含pe‑蜡的共聚碳酸酯组合物
KR100894600B1 (ko)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
US6222004B1 (en) Branched polycarbonate resin
US7199208B2 (en) Polyformals and copolyformals with reduced water absorption, production and use thereof
KR20040044469A (ko) 특정 디페놀로부터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르보네이트
KR20170039150A (ko) 개선된 광학적 성질을 갖는, 시클릭 올리고머 및 선형 올리고머를 갖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KR20050018964A (ko) 높은 인성을 갖는 열가소성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