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2383A - 이동농기 - Google Patents

이동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2383A
KR20030022383A KR10-2003-7001962A KR20037001962A KR20030022383A KR 20030022383 A KR20030022383 A KR 20030022383A KR 20037001962 A KR20037001962 A KR 20037001962A KR 20030022383 A KR20030022383 A KR 200300223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frame
lifting
idler
t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1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0551B1 (ko
Inventor
키리하타토시노리
Original Assignee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노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23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23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0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05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04Suspension devices for wheels, rollers, bogies or frames
    • B62D55/116Attitude or position control of chassis by action on suspension, e.g. to compensate for a slo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084Endless-track units or carriages mounted separably, adjustably or extensibly on vehicles, e.g. portable track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0Bogies;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30Track-tensioning means
    • B62D55/305Track-tensioning means acting on pivotably mounted id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방향전환 등 주행성능의 향상 등을 도모하는 이동농기이다.
구동스프로킷(39) 및 텐션롤러(42)에 지지시키는 좌우 주행크롤러(3, 4)를 좌우 트랙프레임(1, 2)에 트랙크롤러(40)를 개재하여 설치함과 아울러, 본 기계에 크롤러 승강암(31, 32)을 개재하여 좌우 트랙프레임(1, 2)을 승강제어동작 가능하게 설치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주행크롤러(3, 4)의 접지방향으로 아이들롤러(42)를 이동가능하게 설치한다.

Description

이동농기{MOBILE AGRICULTURAL MACHINERY}
종래, 특허공개 평1-28079호 공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스프로킷(sproket) 및 텐션롤에 지지시키는 좌우 주행크롤러를 좌우 트랙프레임에 트랙롤러를 개재하여 설치시킴과 아울러, 본 기계에 크롤러 승강암을 개재하여 좌우 트랙프레임을 승강제어동작 가능하게 설치하고, 본 기계의 좌우 경사를 수정하여 승강에 지지시키는 기술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본 기계를 상승시킬 때, 트랙프레임을 구동스프로킷측에 가까이하는 방향으로 하강시키므로, 주행크롤러의 둘레길이 변화를 작게하여 텐션이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지만, 기체중심이 주행롤러의 전후 접지폭의 후측으로 이동하여 기체가 뒤로 기울고, 기체전방부의 예취부가 상승하여 베는 높이가 변화하는 결함이 있음과 아울러, 기체중심의 후방이동에 의해 주행크롤러 후측의 접지압이 높아지고, 후진주행시킴으로써 주행클롤러 후측이 땅속으로 돌입하기 쉬어지고, 습전(濕田) 등 연약한 포장 두렁에서의 방향전환성능이 저하하는 결함이 있다.
본 발명은 포장(圃場)의 볏짚을 연속적으로 베어내서 탈곡하는 콤바인 등 이동농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전체의 측면도.
도 2는 동평면도.
도 3은 주행크롤러부의 측면도.
도 4는 동부분 확대도.
도 5는 주행크롤러부의 평면도.
도 6은 동부분 확대도.
도 7은 주행크롤러부의 승강제어동작 설명도.
도 8은 동부분 확대도.
도 9는 동측면도.
도 10은 이퀄라이저(equalizer)롤러부의 측면도.
도 11은 동정면도.
도 12는 동평면도.
도 13은 동부분 확대도.
도 14는 승강제어유압 회로도
도 15는 승강제어동작 설명도.
도 16은 도 5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7은 도 16의 정면설명도.
도 18은 주행크롤러부의 측면도.
도 19는 주행크롤러부의 평면도.
도 20은 본 기계 프레임부의 사시설명도.
도 21은 본 기계 프레임부의 승강설명도.
도 22는 텐션롤러부의 측면설명도.
도 23은 개구부의 설명도.
도 24는 텐션롤러부의 평면도.
도 25는 텐션롤러부의 평면설명도.
도 26은 승강실리더의 평면설명도.
도 27은 텐셜볼트부의 설명도.
도 28은 텐션프레임부의 단면설명도.
도 29는 텐션볼트부의 단면설명도.
본 발명은 구동스프로킷(39) 및 텐션롤러(42)에 지지시키는 좌우 주행클롤러(3, 4)를 좌우 트랙프레임(1, 2)에 트랙롤러(40)를 개재하여 설치시킴과 아울러, 본 기계에 크롤러 승강암(31, 32)을 개재하여 좌우 트랙프레임(1, 2)을 승강제어동작 가능하게 설치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주행클롤러(3, 4)의 접지방향으로 텐션롤러(42)를 이동가능하게 설치한 것으로, 예를 들면 습전 등 주행클롤러(3, 4)의 침하량이 많아지는 연약주행면일 때, 트랙프레임(1, 2)을 하부이동시키는 승강제어동작을 행해도, 텐션롤러(42)의 이동에 의해 주행크롤러(3, 4)의 전후 접지길이를 확대할 수 있고, 주행롤러(3, 4)의 접지면에 대한 전후 방향의 기체중심이동을 적게 하여 전후 균형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주행크롤러(3, 4)의 접지면이 커져 접지압을 저하할 수 있고, 주행클롤러(3, 4)의 침하를 저감하여 방향전환 등 주행성능의 향상 등을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음과 아울러, 예를 들면 건전(乾田) 또는 농로 등 딱딱한 주행면에서는 주행크롤러(3, 4)의 전후 접지길이를 짧게 하여 소정의 선회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또, 트랙프레임(1, 2)에 링크기구(47)를 요동가능하게 설치하고, 텐션롤러(42)를 텐션조절가능하게 부착하는 텐션프레임(44)을 상기 링크기구(47)에 설치한 것으로, 트랙프레임(1, 2) 연장방향으로 이반시키면서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텐션롤러(42)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고, 주행롤러(3, 4)의 둘레길이를 변화시키는 일없이 텐션롤러(42)의 이동에 의해 주행크롤러(3, 4)의 전후접지길이를 용이하게 확대 또는 축소시킬 수 있고, 주행크롤로(3, 4)의 텐션구조의 간략화 및 주행성능의 향상 등을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 텐션롤러(42)를 텐션조절가능하게 부착하는 텐션프레임(44)을 크롤러 승강암(31, 32)의 승강제어동작과 연동하여 이동시키는 것으로, 승강제어동작에 의한 트랙프레임(1, 2)의 전후방향이동과 역방향으로 텐션롤러(42)를 이동시켜 주행크롤러(3, 4)의 접지길이를 신축시킬 수 있어, 승강제어동작에 수반하는 주행크롤러(3, 4) 접지압변화를 용이하게 저감할 수 있고, 승강제어동작에 의해 생기는 종래 결함을 용이하게 없앨 수 있고, 포장 두렁에서의 선회성 등 주행성능의 향상을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주행크롤러(3, 4) 전측을 구동스프로킷(39)에 지지시키고, 주행크롤러(3, 4) 후측을 텐션롤러(42)에 지지시키고, 트랙롤러(40) 및 트랙프레임(1, 2)을 크롤러 승강암(31, 32)의 기체 들어올림동작에 의해 전방이동시키는 동작에, 텐션롤러(42)를 주행크롤러(3, 4) 접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연동시켜 행하게 하는 것으로, 기체를 들어올리는 승강제어동작시에 주행크롤러(3, 4) 후측에 접지길이를 신장시킬 수 있어, 주행크롤러(3, 4) 후측의 부적정한 침하를 방지할 수 있고, 종래의 중심이동에 의해 주행크롤러(3, 4)의 전방부와 후방부에서 침하량에 차가 생겨 뒤로 기우는 상태로 되는 것을 용이하게 저지할 수 있고, 습전주행성능 향상 등을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기계에 대하여 좌우 트랙프레임(1, 2)을 각각 별도로 승강시키는 좌우 승강실린더(35)를 설치하고, 승강실린더(35)의 양단측에 전후 피스톤(34)을 돌출시켜 전후의 크롤러 승강암에 연결시키고, 승강실린더(35)를 상하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하게 본 기계에 부착한 것으로, 전후크롤러 승강암간에 전후피스톤(34)을 개재하여 승강실린더(35)를 연결시켜 상하방향 설치폭의 콤팩트화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예를 들면 승강실린더(35)를 복동(複動)유압구조로 구성하여 승강제어기능의 향상 등을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주행크롤러(3, 4)를 설치하는 텐션롤러(42)를 아이들러링크(idler link)(47, 49)를 개재하여 텐션조절가능하게 트랙프레임(1, 2)에 지지시킴과 아울러, 승강암(31, 32)과 아이들러링크(47, 49)를 상대위치를 유지하고 연속시킨 것으로, 승강실린더(35)에 트랙프레임(1, 2) 및 텐션롤러(42)를 적정하게 연결시켜,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트랙프레임(1, 2)의 승강제어를 양호한 것으로 하는 것이다.
또, 텐션롤러(42)를 부착하는 텐션프레임(44)과 트랙프레임(1, 2)을 별체로 형성하고, 좌우 트랙프레임(1, 2)의 승강제어시에 트랙프레임(1, 2)과 텐션프레임(44)의 상대위치를 변경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승강제어시의 크롤러둘레길이의 변화를 트랙프레임(1, 2)과 텐션롤러(42)의 이동에 의해 흡수하고, 상시 주행크롤러(3, 4)의 적정한 지지를 행하여, 크롤러(3, 4)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텐션프레임(44)을 트랙프레임(1, 2)의 좌우 양측에 아이들러링크(47, 49)를 개재하여 연결시키고, 아이들러링크(47, 49)를 양 유지구조에 설치한 것으로 텐션프레임(46)과 트랙프레임(1, 2)의 콤팩트화로 강도가 양호한 연결을 가능하게 하고, 승강제어에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승강암(32)과 텐션프레임(44)을 아이들러링크(49)를 개재하여 연결시킴과 아울러, 아이들러링크(49)를 텐션롤러(42)의 텐션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설치한 것으로, 텐션프레임(44)과 아이들러링크(49)로 연결하는 연결축인 지지축(33)에 텐션작용에 의한 비틀림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시키고, 내구성의 향상과 지지축(33)을 중심으로 한 텐션프레임(44)의 원활한 회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승강암(31, 32)과 아이들러링크(47, 49)는 주행크롤러(3, 4)의 둘레길이변화를 최소로 억제하도록 설치한 것으로, 승강제어에 관계없이 구동스프로킷(39), 트랙롤러(49), 텐션롤러(42) 등에 의한 주행크롤러(3, 4)의 양호한 지지를 가능하게 하여, 주행성능을 안정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좌우 트랙프레임(1, 2)과 본 기계를 연결하는 전후의 승강암(31, 32)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34)에, 승강실리더(35)의 피스톤(88)을 연결시킨 것으로, 예를 들면 승강암(31, 32)에 직접적으로 승강실린더(35)의 피스톤(88)을 연결시키는 것에 비하여, 승강암(31, 32)을 소형경량으로 형성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전후 승강암(31, 32)을 동일형상으로 형성한 부품의 공유화나 저비용화도 용이하게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주행크롤러(3, 4)를 하방으로부터 안내하는 캐리어롤러(43)를 본 기계측에 부착함과 아울러, 전후의 승강암(31, 32)간에 캐리어롤러(43)를 배치시킨 것으로, 습전작업 등에서의 본 기계에 대한 트랙프레임(1, 2)의 하강제어시에는, 트랙프에임(1, 2)으로부터 캐리어롤러(43)를 상방으로 떨어뜨려 진흙 등으로부터 보호함과 아울러, 본 기계측에 연결하는 승강암(31, 32)의 지점축(29, 30)과 크롤러(3, 4)의 간섭도 유효하게 방지시켜 주행성능을 안정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기계에 승강암(31, 32)을 개재하여 좌우 트랙프레임(1, 2)을 승강가능하게 지지시킴과 아울러, 주행크롤러(3, 4)를 설치하는 텐션롤러(42)를 아이들러링크(47, 49)를 개재하여 텐션조절가능하게 트랙프레임(1, 2)에 지지시킨 콤바인에 있어서, 텐션롤러(42)를 갖는 아이들러프레임(46)을 텐션프레임(44)에 신축가능하게 연결시킴과 아울러, 텐션프레임(44)에 텐션볼트(45) 및 너트(78)를 개재하여 아이들러프레임(46)을 간접적으로 연결시킨 것으로, 아이들러프레임(46)의 신축나사부에 파손 등이 발생한 경우에도 텐션볼트(45)만의 교환 등으로 성능의 안정유지를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아이들러프레임(46)의 대략 중심부에 너트(78)를 접촉시키고, 아이들러프레임(46)을 압압하도록 설치한 것으로, 아이들러프레임(46)과 텐션프레임(44)의 비틀림을 방지한 원활한 신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또, 텐션볼트(45)를 지지하는 볼트받침(75)부재를 텐션프레임(44)에 체결볼트(74)를 개재하여 연결시킴과 아울러, 텐션볼트(45)를 중심으로하여 대칭위치에 등피치로 체결볼트(74)를 배치시킨 것으로, 각 체결볼트(74)에 가해지는 힘을 대략 균등하게 하는 텐션볼트(45) 등에 의한 지지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기계에 승강암(31, 32)을 개재하여 좌우 트랙프레임(1, 2)을 승강가능하게 지지시킴과 아울러, 주행크롤러(3, 4)를 설치하는 텐션롤러(42)의 텐션프레임(44)을 아이들러링크(47, 49)를 개재하여 텐션조절가능하게 트랙프레임(1, 2)에 지지시킨 콤바인에 있어서, 텐션프레임(44) 하방의 트랙프레임(1, 2)의 상면부에 진흙낙하용의 개구(80)를 설치한 것으로, 트랙프레임(1, 2)과 텐션프레임(44) 사이의 간극에 진흙이나 돌 등이 끼워져도, 이들 진흙이나 돌 등을 하방으로 빠르게 낙하시켜 승강제어불량 등의 결함을 방지하고, 본 기계의 좌우 경사를 수정하는 승강제어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트렉프레임(1, 2)에 연결시키는 하부 본 기계 프레임(25, 26)에, 주행크롤러(3, 4) 내에 면하게 하는 내측프레임부(25a, 26a)를 설치하고, 승강암(32)의 지점축부(28)를 내측프레임부(25a, 26a)에 설치한 것으로, 승강암(32)도 주행크롤러(3, 4)보다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일없이 크롤러(3, 4) 내측에 콤팩트하게 배치시켜, 진흙빠짐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술한다. 도 1은 콤바인의 전체측면도, 도 2는 동평면도, 도 3은 트랙프레임부의 측면도, 도 4는 동부분 확대도, 도 5는 동평면도, 도 6은 동부분확대도이며, 도면 중 1, 2는 좌우 주행크롤러(3, 4)를 설치하는 좌우 트랙프레임, 5는 상기 트랙프레임(1, 2)에 가설하는 기대, 6은 피드체인(7)을 좌측에 가설하고 급동(8) 및 처리동(9)을 내장하고 있는 탈곡부, 10은 예취칼날(11) 및 볏짚반송기구(12) 등을 구비하는 예취부, 13은 예취프레임(14)을 개재하여 예취지점축(15) 둘레로 예취부(10)를 승강시키는 유압예취승강실린더, 16은 짚배출체인(17) 종단을 면하게 하는 짚배출커터, 18은 탈곡부(6)로부터의 곡립을 양곡통(揚穀筒)(19)을 개재하여 반입하는 곡물탱크, 20은 상기 탱크(18)의 곡립을 기계외부로 반출하는 배출오거(auger), 21은 조향핸들 등 운전조작부(22) 및 운전석(23)을 구비하는 운전캐빈, 24는 운전캐빈(21) 하방에 설치하는 엔진이며, 연속적으로 볏짚을 베어내어 탈곡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더욱이, 상기 기대(5) 하면에 한쌍의 좌우 본 기계 프레임(25, 26)을 전후 횡프레임(27)에 의해 고정시키고, 좌우 본 기계 프레임(25, 26)의 전후방향 연장설치 양끝부에 베어링체(28)를 고정시키고, 전후 지점축(29, 30)을 베어링체(28)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시키고, 좌우 한쌍으로 전후 대략 동일형상의 측면에서 볼때 L자형의 상하 스윙암(31, 32)을 상기 지점축(29, 30) 양끝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트랙프레임(1, 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는 지지축(33)에 하스윙암(32)의 후단측을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고, 전후방향으로 연장설치시키는 연결로드(34) 양끝에 전후의 상스윙암(31)의 상단측을 연결시키고, 연결로드(34)의 중간에 유압승강실린더(35)를 설치하고, 승강실린더(35)의 유압력에 의해 연결로드(34)를전후에 압인동작시키고, 좌우 한쌍의 전후 스윙암(31, 32)을 개재하여 좌우 트랙프레임(1, 2)을 기대(5)에 대하여 각각 별도로 승강가능하게 부착한다. 또, 상기 기대(5)에 베어링대(36)를 개재하여 승강실린더(35)를 부착한다.
더욱이, 상기 기대(5) 전측의 미션케이스(37)에 차축케이스(38)를 개재하여 부착하는 구동스프로킷(39)과, 상기 트랙프레임(1, 2)의 기계외측면에 부착하는 복수의 트랙롤러(40) 및 이퀄라이저롤러(41) 및 텐션롤러(42)와, 본 기계 프레임(25, 26)에 부착하는 캐리어롤러(43)를 구비하고, 트랙프레임(1, 2)에 주행크롤러(3, 4) 접지측을 설치시킴과 아울러, 트랙프레임(1, 2) 후방부에 부착하는 텐션프레임(44)에 텐션조절용볼트(45) 및 아이들러프레임(46)을 개재하여 텐션롤러(42)를 설치하고, 상기 텐션프레임(44) 후방에 볼트(45)조작에 의해 아이들러프레임(46)을 출입시키는 반고정텐션조절에 의해 주행크롤러(3, 4)의 텐션을 설정하는 것으로, 승강실린더(35)에 의해 전후 스윙암(31, 32)을 지점축(29, 30) 둘레로 요동시키고, 각 롤러(40, 41, 42)와 트랙프레임(1, 2)을 승강시켜, 주행크롤러(3, 4)의 접지측을 승강시키는 것으로, 운전조작부(22)에 설치하는 승강조절 스위치의 수동조작 및 기대(5)의 좌우 경도를 검출하는 경사센서의 검출결과에 기초하는 자동제어 등에 의해, 좌우 승강실린더(35, 35)를 각각 별도로 작동시키고, 좌우 주행크롤러(3, 4)의 접지높이를 변경하여 기대(5)의 좌우 경사를 수정하여 대략 수평하게 지지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더욱이, 상기 트랙프레임(1, 2) 후방부에 텐션프레임(44) 후방부를 좌우 한쌍의 지점링크인 후아이들러링크(47)를 개재하여 전후방향이동가능하게 연결시키고, 트랙프레임(1, 2) 후단측 상면에 후측으로 내겨간 경사면(1a, 2a)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텐션프레임(44) 전방부 양측에 좌우 한쌍의 좌판(48)을 고정시키고, 또 트랙프레임(1, 2) 후방부의 상기 지지축(33)에 보조암인 전아이들러링크(49)를 고정시키고, 후측의 하스윙암(32) 및 전아이들러링크(49)를 상기 좌판(48)에 축(50)을 개재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것으로,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대(5)에 대하여 트랙프레임(1, 2)을 가장 근접시키고, 승강실린더(35)에 의한 승강제어동작을 중지하고 있는 상태, 또는 건전 및 농도 등 딱딱한 주행로면을 이동하는 상태일 때, 상기 후아이들러링크(47)를 대략 수직으로 기립시키고, 또한 상기 전아이들러링크(49)를 지지축(33) 전방에 대략 수평하게 돌출시키고, 하스윙암(32) 및 지지축(33)과 상기 좌판(48)을 연결하는 축(50)을 지지축(33)과 대략 동일한 높이로 지지시키고, 트랙프레임(1, 2) 전후끝부의 트랙롤러(40)간에서 주행크롤러(3, 4)를 접지시킨다. 이 때의 좌우 주행크롤러(3, 4)의 접지길이(L)와 궤도간폭(B)의 비(L/B)를 1.5 이하로 설정하여 선회반경이 최소가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비(L/B)가 예를 들면 1,7 이상으로 크게 됨으로써 선회반경도 크게 되어 선회저항모멘트가 증대하는 결함을 없애고 있다.
또,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실린더(35)를 구동하여 피스톤을 겸용하는 연결로드(34)를 후방에 슬라이딩시키고, 지점축(29, 30) 둘레로 상스윙암(31)을 후방으로 회전시키고, 지점축(29, 30) 둘레로 하스위암(32)을 하방으로 회전시키고, 트랙프레임(1, 2)을 하방전방으로 이동시키고, 트랙롤러(40) 및 이퀄라이저롤러(41)에 지지시키는 주행크롤러(2, 3) 접지측을 하방전방으로 이동시키고, 기대(5)의 지상높이를 높게 함과 아울러, 후방의 하스윙암(32)의 하방회전에 의해 지지축(33) 둘레로 각 암(32) 및 링크(49)의 축(50)을 상승시키고, 좌판(48)을 개재하여 텐션프레임(44) 전측을 트랙프레임(1, 2)으로부터 들어올리고, 후아이들러링크(47)를 후방으로 기울게 하여 텐션프레임(44) 후측을 트랙프레임(1, 2)의 후측으로 내려간 경사면(1a, 2a)방향으로 하강시키고, 텐션프레임(44) 후방부의 텐션롤러(42)를 하강시켜 트랙프레임(1, 2)에 대하여 후방하방으로 이동시키고, 주행크롤러(3, 4)의 둘레길이를 대략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텐션롤러(42)의 후방하방이동에 의해 트랙롤러(1, 2) 후방으로 주행크롤러(3, 4)의 전후방향 접지폭을 확대시키고, 최전방부와 최후방부의 트랙롤러(40)간에 지지시키는 주행크롤러(3, 4)의 접지길이(L1)에, 최후방부의 트랙롤러(40)와 텐션롤러(42)간에 지지시키는 주행롤러(3, 4)의 접지길이(L2)를 더하여, 주행크롤러(3, 4)의 접지길이(L1+L2)를 후방으로 길게 한다. 이 때의 좌우 주행크롤러(3, 4)의 접지길이(L=L1+L2)와 궤도간폭(B)의 비(L/b)를 약 1.7 이하로 유지하고, 상기 비가 커져 선회반경이 크게 되어 선회저항모멘트가 증대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주행크롤러(3, 4)의 접지길이를 후방으로 연장시킴으로써, 주행크롤러(3, 4) 접지측의 전후방향의 기체중심이동을 적게하고, 주행크롤러(3, 4) 후방부의 토중 침하를 방지하고, 게다가 주행크롤러(3, 4) 접지면의 확대에 의해 단위면적당의 접지압을 저하시켜, 주행크롤러(3, 4)의 토중 침하를 적게 한다.
상기로부터 분명하듯이, 구동스프로킷(39) 및 아이들롤러인 텐션롤러(42)에 지지시키는 좌우 주행크롤러(3, 4)를 좌우 트랙프레임(1, 2)에 트랙롤러(40)를 개재하여 설치시킴과 아울러, 본 기계에 크롤러승강암인 스윙암(31, 32)을 개재하여 좌우 트랙프레임(1, 2)을 승강제어동작 가능하게 설치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주행크롤러(3, 4)의 접지방향으로 텐션롤러(42)를 이동가능하게 설치한다. 그리고, 예를 들면 습전 등 주행크롤러(3, 4)의 침하량이 많이지는 연약주행면일 때, 트랙프레임(1, 2)을 하동시키는 승강제어동작을 행해도, 텐션롤러(42)의 이동에 의해 주행크롤러(3, 4)의 전후 접지길이를 확대시키고, 주행크롤러(3, 4)의 접지면에 대한 전후방향의 기체중심이동을 적게하여 전후 균형을 유지하고, 또한 주행크롤러(3, 4)의 접지면이 크게 되어 접지압을 저하시키고, 주행크롤러(3, 4)의 침하를 저감하여 방향전환 등 주행성능의 향상 등을 도모함과 아울러, 예를 들면 건전 또는 농로 등 딱딱한 주행면에서는 주행크롤러(3, 4)의 전후 접지길이를 짧게 하여 소정의 선회성능을 확보한다.
또, 트랙프레임(1, 2)에 링크기구인 후아이들러링크(47)를 요동가능하게 설치하고, 텐션롤러(42)를 텐션조절가능하게 부착하는 텐션프레임(44)을 상기 지점링크(47)에 설치하고, 트랙프레임(1, 2) 연장방향으로 이반시키면서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텐션롤러(42)를 이동시키고, 주행크롤러(3, 4)의 둘레길이를 변화시키는 일없이 텐션롤러(42)의 후방하방이동에 의해 주행크롤러(3, 4) 후측의 전후 접지길이를 확대 또는 축소시키고, 주행크롤러(3, 4)의 텐션구조의 간략화 및 주행성능의 향상 등을 도모함과 아울러, 텐션롤러(42)를 텐션조절가능하게 부착하는 텐션롤러프레임(44)을 스윙암(31, 32)의 승강제어동작과 연동하여 이동시키고, 승강제어동작에 의한 트랙프레임(1, 2)의 전후방향이동과 역방향으로 텐션롤러(42)를이동시켜 주행롤러(3, 4) 후측의 접지길이를 신축시키고, 승강제어동작에 수반하는 기체중심의 후방이동을 적게 하여 주행크롤러(3, 4) 후측의 접지압변화를 저감시키고, 승강제어동작에 의해 생기는 종래의 주행크롤러(3, 4) 후방부가 과대하게 침하하는 등의 결함을 없애고, 주행크롤러(3, 4)의 침하량이 많아지는 습전작업 또는 포장 두렁에서의 선회성 등 주행성능의 향상을 도모한다.
또, 주행크롤러(3, 4) 전측을 구동스프로킷(39)에 지지시키고, 주행크롤러(3, 4) 후측을 텐션롤러(42)에 지지시키고, 트랙롤러(40) 및 트랙프레임(1, 2)을 스윙암(31, 32)의 기체 들어올림동작에 의해 전방이동시키는 동작에, 텐션롤러(42)를 주행크롤러(3, 4) 접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연동시켜 행하게 하는 것으로, 기체를 들어올리는 승강제어동작시의 주행크롤러(3, 4) 후측으로 접지길이를 신장시키고, 주행크롤러(3, 4) 후측의 부적정한 침하를 방지하고, 종래의 중심이동에 의해 주행크롤러(3, 4)의 전방부와 후방부에서 침하량에 차기 생겨 후측이 기운 상태로 되는 것을 저지하고, 습전주행성능의 향상 등을 도모한다.
더욱이, 도 10 내지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한쌍으로 전후 2조의 상기 이퀄라이저롤러(41)를 이퀄라이저프레임(51) 양끝의 전후 차베어링부(52)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시킴과 아울러, 좌우 지점브래킷(53)을 상기 트랙프레임(1, 2) 좌우 측면에 볼트(54)에 의해 체결고정시키고, 너트(55)에 의해 체결시키는 양끝볼트형 이퀄라이저 지점축(56)을 좌우 브래킷(53)에 고정시키고, 이퀄라이저프레임(51) 전후폭중간의 지점베어링부(57)를 이퀄라이저 지점축(56)으로 회전가능하게 축지지시키고, 이퀄라이저 지점축(56) 둘레로 이퀄라이저프레임(51)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고, 전후의 이퀄라이저롤러(41)를 승강가능하게 설치하고, 이퀄라이저프레임(51)을 좌우 지점브래킷(53)에 의해 양측으로부터 끼워 체결하여 고정시키고, 조립작업의 간략화를 도모한다. 또, 상기 이퀄라이저 지점축(56)의 일단면에 그리스주입노즐(58)을 설치하고, 이퀄라이저 지점축(56)에 형성하는 주입로(59)를 개재하여 지점축(56)과 지점베어링부(57)의 접촉면에 노즐(58)로부터 그리스를 주입시키고, 지점축(56) 또는 지점베어링부(57)의 발열 및 마모손상을 저감시킨다.
더욱이,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위치 4포트 전자변환형 유압승강밸브(60)와 분류밸브(61)를 개재하여 유압펌프(62)에 승강실린더(35)를 유압접속시키고, 상승 및 하강 솔레노이드(63, 64)에 의해 승강밸브(60)를 변환하여 승강실린더(35)를 왕복유압구동하여 전후피스톤(34)을 출입시킴과 아울러, 기대(5)의 좌우 경사를 경사센서(65)와 높이센서(67)에 의해 검출시키고, 수평제어회로(66)에 의해 각 솔레노이드(63, 64)를 여자(勵磁)동작시키고, 좌우의 승강실린더(35)를 구동시키는 수평제어와 높이제어를 자동적을 행하게 하는 것으로, 도 15와 같이, 기대(5)의 저지지일 때에 주행크롤러(3, 4)의 전후접지길이(L1)가 가장 짧게 되고, 기대(5)의 고지지일 때의 주행크롤러(3, 4)의 전후접지길이(L1+L2)가 가장 길게 된다. 그리고, 본 기체에 대하여 좌우 트랙프레임(1, 2)을 각각 별도로 승강시키는 좌우 승강실린더(35)를 설치하고, 승강실린더(35)의 양끝측에 전후 피스톤인 전후연결로드(34)를 돌출시켜 전후의 크롤러승강암에 연결시키고, 승강실린더(35)를 상하방향으로만큼 이동가능하게 본 기계에 부착한 것으로, 전후 크롤러승강암간에 전후연결로드(34)를 개재하여 승강실린더(35)를 연결시켜 상하방향 설치폭의 콤팩트화를 행함과 아울러, 승강실린더(35)를 복동유압구조로 구성하여 승강제어기능의 향상 등을 도모한다.
더욱이, 도 16,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행크롤러(3, 4)의 좌우 폭의 외측에서 기내측으로 상하 스윙암(31, 32)을 설치시키고, 주행크롤러(3, 4)와 하스윙암(32)과의 간섭 도는 진흙퇴적을 방지하는 것도 행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8 내지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의 상스윙암(31)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68)의 중간에 유압승강실린더(35)를 연결시키는 구성도 포함하는 것으로, 주행크롤러(3, 4)의 접지측을 설치하는 트랙롤러(40) 및 가동롤러(69) 및 텐션롤러(42)를 트랙프레임(1, 2)에 구비하고, 좌우 승강실린더(35, 35)를 각각 별도로 작동시켜 기대(5)의 좌우 경사를 수정하는 승강제어를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 트랙프레임(1, 2)은 후방부 양측에 좌우 한쌍의 좌판(70)을 고정시키고, 좌우 좌판(70)간을 관통시키는 지점축(33) 및 링크축(71)에 전후 아이들러링크(49, 47)를 개재하여 텐션프레임(44) 양측의 축(50, 72)을 연결시키고 있다.
또 상기 텐션프레임(44) 전단외측의 180도 대칭위치에 2개 1쌍의 볼트부착시트(73)를 고정시키고, 상기 부착시트(73)에 2개의 체결볼트(74)를 개재하여 텐션볼트받침(75)을 떼어냄이 가능하게 고정시키고, 상기 아이들러프레임(46)의 전방부내측에 고정설치하는 너트받침판(76)과 볼트받침(75)간의 대략 중앙에 텐션볼트(45)를 배치시키는 것으로, 텐션볼트(45)의 육각두부(45a)를 볼트받침(75)의 관통구멍(77)으로부터 외측에 돌출시키고, 단붙이부(45b)를 볼트받침(75) 내면에 접촉시키고, 텐션볼트(45)에 결합하는 너트(78)를 너트받침판(76) 외면에 접촉시키고, 텐션프레임(44)의 내측면에 외형을 따르게 하는 사각형둘레 고정부재(79)를 너트(78)에 고정설치시키고, 볼트받침(75) 외측으로부터의 텐션볼트(45)의 회전조작에 의해 텐션프레임(44)으로부터 아이들러프레임(46)을 신축시키고, 텐션롤러(42)에 의한 주행크롤러(3, 4)의 텐션조절가능한 설치를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도 21의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실린더(35)의 최축소시의 기대(5)에 대하여 트랙프레임(1, 2)을 가장 접근시키고, 승강실린더(35)에 의한 승강제어동작을 중지하고 있는 상태일 때, 상기 후아이들러링크(47)를 대략 수직으로 기립시키고, 또한 상기 전아이들러링크(49)를 지지축(33) 전방으로 대략 수평하게 돌출시키고, 또 도 21의 (2),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실린더(35)를 구동하여 연결부재(68)를 후방으로 슬라이딩시키고, 지점축(29, 30)둘레로 상스윙암(31)을 후방으로 회전시키고, 지점축(29, 30)둘레로 하스윙암(32)을 하방으로 회전시키고, 트랙프레임(1, 2)을 하방전방으로 이동시킬 때, 기대(5)의 지상높이를 높게 함과 아울러, 후방의 하스윙암(32)의 하방회전에 의해 지지축(33)둘레로 전아이들러링크(49)의 축(50)을 상승시키고, 텐션프레임(44) 전측을 트랙프레임(1, 2)으로부터 들어올리고, 후아이들러링크(47)를 후방으로 기울게 하고, 텐션프레임(44) 후방부의 텐션롤러(42)를 하강시켜 트랙프레임(1, 2)에 대하여 후방하방으로 이동시키고, 주행크롤러(3, 4)의 둘레길이를 종래에 비하여 대략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주행크롤러(3, 4)의 전후방향접지폭을 확대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23,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텐션프레임(44)하방의 트랙프레임(1, 2)의 상면에 일정길이의 개구(80)를 형성하고, 승강제어에 의해 트랙프레임(1, 2)과 텐션프레임(44) 사이에 간극이 생겨 진흙이나 돌 등이 끼워져도, 이들 진흙이나 돌 등을 개구(80)로부터 하방으로 낙하시켜 승강제어불량이 되는 등의 결함을 방지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더욱이, 턴버클(81)이 부착된 신축조절로드(82) 후단에 실린더받침판(83)을 고정시켜 상기 연결부재(68)를 구성하고, 상기 로드(82) 및 실린더받침판(83)을 전후 스윙암(31) 상단에 축(84, 85)을 개재하여 연결시킴과 아울러, 상기 기대(5)의 기체프레임(86) 배면에 고정시키는 블래킷(36)에 축(87)을 개재하여 승강실린더(35)를 부착하고, 승강실린더(35)의 피스톤(88) 선단부를 실린더받침판(83)에 축(89)을 개재하여 연결시키고, 승강실린더(35)의 피스톤(88)의 축심연장선 상에 각 축(85, 87, 89)을 설치하고, 피스톤(88)의 신장력이 실린더받침판(83)에 압축력으로서 작용하여 변형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실린더받침판(83)의 소형경량화 등을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24, 도 25, 도 28, 도 29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의 스윙암(31)에 스윙축(90)을 개재하여 연결하는 하스윙암(32)은 전아이들러링크(49)를 겸용시키고, 상기 암(32)의 중간을 축(50)에 연결시켜 부품점수를 삭감시킴과 아울러, 트랙프레임(1, 2)과 텐션프레임(44)을 스윙암(32)과 전아이들링크(47) 및 좌우의 후아이들링크(47)의 4개로 양유지상태로 연결시키고, 콤팩트하고 또한 강도가 양호한 연결을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 도 25,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실린더받침판(83)에 축(85)을 개재하여 연결하는 후스윙암(31)의 단보스(boss)부(31a)에 스윙축(90) 내단의 스프라인축부(91)를 결합연결시킴과 아울러, 스윙축(90)외단의 스프라인축부(92)에 하스윙암(32)의 기단보스부(32a)를 결합연결시키고, 상기 지지축(33)의 내단스프라인축부(93)와 외단키(94) 부착축부(95)에 하스윙암(32)의 선단보스부(32b)와 전아이들럴링크(49)의 기단보스(49a)를 각각 결합연결시키고, 후방내측 내츠 외측의 스윙암(31, 32)과, 하스윙암(32)과 지지축(33)과, 지지축(33)과 전아이들러링크(49)에 상대위치관계를 유지시키고, 승강실린더(35)에 대하여 적정위치관계의 아이들러링크(49)의 부착을 가능하게 하고, 조립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더욱이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아이들러링크(47, 49)는 전아이들러링크(49)보다 후아이들러링크(47)의 링크길이를 크게 형성하고, 승강실린더(35)의 최축소시에 전아이들러링크(49)를 대략 수평(a라인), 후아이들러링크(47)를 대략 수직(b라인)으로 위치시키고, 승강실린더(35)의 신장시에는 지지축(33)을 중심으로 전아이들러링크(49)를 상부이동시키고, 후아이들러링크(47)를 링크축(71)을 중심으로하여 후방으로 회동시키고, 승강실린더(35)의 신장개시직후의 전아이들러링크(49)의 상부이동량을 크게, 후아이들러링크(47)의 후요동량을 크게 하여, 텐션프레임(44)의 대략 수평자세위치로부터 최초의 이동량을 크게하고, 후측의 텐션롤러(42)를 하방만 하부이동시켜, 주행크롤러(3, 4)의 둘레길이변화를 최소로 억제한 텐션롤러(42)의 후방하부이동을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96은 기대(5)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예취부(10)의 승강지점축을 지지하는 예취지점대, 97은 본 기계 프레임(25, 26) 상면에 기단을 고정설치하여 외측의 수평돌출단에 캐리어롤러(43)를 지지하는 롤러축이다.
또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트랙프레임(1, 2)에 하스윙암(32)을 개재하여 연결시키는 하부 본 기계 프레임(25, 26)에, 주행크롤러(3, 4) 내에 면하게 하는 내측프레임부(25a, 26a)를 갖고, 전후 지점축(29, 30)을 지지하는 베어링체(28)를 내측프레임부(25a, 26a)에 설치함과 아울러, 하방의 스윙암(32)도 주행크롤러(3, 4) 내에 배치시킨 것으로, 하방의 스윙암(32)을 주행크롤러(3, 4)의 외측에 돌출시키는 일없이 콤팩트하게 크롤러(3, 4) 내측에 배치시켜 진흙빠짐성을 향상시키고, 스윙암(32)의 요동을 원활한 것으로 하게 함과 아울러, 크롤러(3, 4)로부터 외측의 프레임(25, 26)을 크롤러(3, 4)에 관계없이 후방으로 연장설치시키고, 이 프레임(25, 26)간을 연결시키는 횡프레임(27)의 배치가능도 등을 높여, 프레임(25, 26) 전체의 강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상기로부터 분명하듯이, 본 기계에 승강암인 스윙암(31, 32)을 개재하여 좌우 트랙프레임(1, 2)을 승강가능하게 지지시킴과 아울러, 주행크롤러(3, 4)를 설치하는 텐션롤러(42)를 아이들러링크(47, 49)를 개재하여 텐션조절가능하게 트랙프레임(1, 2)에 지지시킨 콤바인에 있어서, 텐션롤러(42)를 갖는 아이들러프레임(46)을 텐션프레임(44)에 신축가능하게 연결시킴과 아울러, 텐션프레임(44)에텐션볼트(45) 및 너트(78)를 개재하여 아이들러프레임(46)을 간접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아이들러프레임(46)의 신축나사부에 파손 등이 발생한 경우에도 텐션볼트(45)만의 교환 등으로 성능의 안정유지를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다.
또, 아이들러프레임(46)의 대략 중심부에 너트(78)를 접촉시키고, 아이들러프레임(46)을 압압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아이들러프레임(46)과 텐션프레임(44)의 비틀림 등을 방지한 원활한 신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더욱이 텐션볼트(45)를 지지하는 볼트받침(75)부재를 텐션프레임(44)에 체결볼트(74)를 개재하여 연결시킴과 아울러, 텐션볼트(45)를 중심으로하여 대칭위치에 등피치로 체결볼트(74)를 배치시킴으로써, 각 체결볼트(74)에 가하는 힘을 대략 균등하게 하여 텐션볼트(45) 등에 의한 지지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스윙암(31, 32)과 아이들러링크(47, 49)의 부착위치관계를 유지하여 연결시킴으로써, 승강실린더(35)에 트랙프레임(1, 2) 및 텐션롤러(42)를 적정히 연결시키고, 조립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트랙프레임(1, 2)의 승강제어를 양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더욱이, 텐션롤러(42)를 부착하는 텐션프레임(44)과 트랙프레임(1, 2)을 별체로 형성하고, 좌우 트랙프레임(1, 2)의 승강제어시에 트랙프레임(1, 2)과 텐션프레임(44)의 상대위치를 변경가능하게 함으로써, 승강제어시의 크롤러둘레길이의 변화를 트랙프레임(1, 2)과 텐션롤러(42)의 이동에 의해 흡수하고, 상시 주행크롤러(3, 4)의 적정한 지지를 행하여, 크롤러(3, 4)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텐션프레임(44)을 트랙프레임(1, 2)의 좌우양측에 아이들러링크(47, 49)를 개재하여 연결시키고, 아이들러링크(47, 49)를 양유지구조에 설치함으로써, 텐션프레임(46)과 트랙프레임(1, 2)을 콤팩트하게 하여 강도가 양호한 연결을 가능하게 하고, 승강제어에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스윙암(32)과 텐션프레임(44)을 보조암인 전아이들러링크(49)를 개재하여 연결시킴과 아울러, 아이들러링크(49)를 텐션롤러(42)의 텐션방향과 일치시키는 상태로 대략 수평하게 설치함으로써, 텐션프레임(44)과 아이들러링크(49)로 연결하는 연결축인 지지축(33)에 텐션작용에 의한 비틀림이 가해지는 것을 억제시키고, 내구성의 향상과 지지축(33)을 중심으로 한 텐션프레임(44)의 원활한 회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스윙암(31, 32)과 아이들러링크(47, 49)는 주행크롤러(3, 4)의 둘레길이변화를 최소로 억제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승강제어에 관계없이 구동스프로킷(39), 트랙롤러(40), 텐션롤러(42) 등에 의한 주행크롤러(3, 4)의 양호한 지지를 가능하게 하고, 주행성능을 안정유지시킬 수 있다.
더욱이, 좌우 트랙프레임(1, 2)과 본 기계를 연결하는 전후의 승강암(31, 32)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68)에, 승강실린더(35)의 피스톤(88)을 연결시킴으로써, 예를 들면 승강암(31, 32)에 직접적으로 승강실린더(35)의 피스톤(88)을 연결시키는 것에 비하여, 승강암(31, 32)을 소형경량으로 형성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전후 승강암(31, 32)을 동일형상으로 형성한 부품의 공유화나 저비용화도 용이하게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주행크롤러(3, 4)를 하방으로부터 안내하는 캐리어롤러(43)를 본 기계측에 부착함과 아울러, 전후의 승강암(31, 32)간에 캐리어롤러(43)를 배치시킴으로써, 습전작업 등에서의 본 기계에 대한 트랙프레임(1, 2)의 하강제어시에는 트랙프레임(1, 2)으로부터 캐리어롤러(43)를 상방으로 떨어뜨려 진흙 등으로부터 보호함과 아울러, 본 기계측에 연결하는 승강암(31, 32)의 지점축(29, 30)과 크롤러(3, 4)의 간섭도 유효하게 방지시켜 주행성능을 안정유지시킬 수 있다.
더욱이, 텐션프레임(44) 하방의 트랙프레임(1, 2)의 상면부에 진흙낙하용의 개구(80)를 설치함으로써, 트랙프레임(1, 2)과 텐션프레임(44)간의 간극에 진흙이나 돌 등이 끼워져도, 이들 진흙이나 돌 등을 하방으로 빠르게 낙하시켜 승강제어불량 등의 결함을 방지하고, 본 기계의 좌우경사를 수정하는 승강제어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트랙프레임(1, 2)에 연결시키는 하부 본 기계 프레임(25, 26)에 주행크롤러(3, 4) 내에 면하게 하는 내측프레임부(25a, 26a)를 설치하고, 하방의 스윙암(32)의 지점축부인 베어링체(28)를 내측프레임부(25a, 26a)에 설치함으로써, 하방의 스윙암(32)도 주행크롤러(3, 4)로부터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일없이 크롤러(3, 4) 내측에 콤팩트하게 배치시켜, 진흙빠짐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7)

  1. 구동스프로킷 및 텐션롤러에 지지시키는 좌우 주행크롤러를 좌우 트랙프레임에 트랙롤러를 개재하여 설치시킴과 아울러, 본 기계에 크롤러승강암을 개재하여 좌우 트랙프레임을 승강제어동작 가능하게 설치하는 콤바인에 있어서, 주행크롤러의 접지방향으로 텐션롤러를 이동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농기.
  2. 제 1항에 있어서, 트랙프레임에 링크기구를 요동가능하게 설치하고, 텐션롤러를 텐션조절가능하게 부착하는 텐션프레임을 상기 링크기구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농기.
  3. 제 1항에 있어서, 텐션롤러를 텐션조절가능하게 부착하는 텐션프레임을 크롤러승강암의 승강제어동작과 연동하여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농기.
  4. 제 1항에 있어서, 주행크롤러 전측을 구동스프로킷에 지지시키고, 주행크롤러 후측을 텐션롤러에 지지시키고, 트랙롤러 및 트랙프레임을 크롤러 승강암의 기체 들어올림동작에 의해 전방이동시키는 동작에, 텐션롤러를 주행크롤러 접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을 연동시켜 행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농기.
  5. 제 1항에 있어서, 본 기계에 대하여 좌우 트랙프레임을 각각 별도로 승강시키는 좌우 승강실린더를 설치하고, 승강실린더의 양끝측에 전후 피스톤을 돌출시켜 전후의 크롤러승강암에 연결시키고, 승강실린더를 상하방향으로만 이동가능하게 본 기계에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농기.
  6. 제 1항에 있어서, 주행크롤러를 설치하는 텐션롤러를 아이들러링크를 개재하여 텐션조절가능하게 트랙프레임에 지지시킴과 아울러, 승강암과 아이들러링크를 상대위치를 유지하여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농기.
  7. 제 6항에 있어서, 텐션롤러를 부착하는 텐션프레임과 트랙프레임을 별체로 형성하고, 좌우 트랙프레임의 승강제어시에 트랙프레임과 텐션프레임의 상대위치를 변경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농기.
  8. 제 7항에 있어서, 텐션프레임을 트랙프레임의 좌우 양측에 아이들러링크를 개재하여 연결시키고, 아이들러링크를 양유지구조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농기.
  9. 제 8항에 있어서, 승강암과 텐션프레임을 아이들러를 개재하여 연결시킴과 아울러, 아이들러링크를 텐션롤러의 텐션방향과 대략 평행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농기.
  10. 제 6항, 제 8항, 또는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승강암과 아이들러링크는 주행크롤러의 둘레길이변화를 최소로 억제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농기.
  11. 제 1항에 있어서, 좌우 트랙프레임과 본 기계를 연결하는 전후의 승강암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에, 승강실린더의 피스톤을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농기.
  12. 제 1항에 있어서, 주행크롤러를 하방으로부터 안내하는 캐리어롤러를 본 기계측에 부착함과 아울러, 전후의 승강암간에 캐리어롤러를 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농기.
  13. 본 기계에 승강암을 개재하여 좌우 트랙프레임을 승강가능하게 지지시킴과 아울러, 주행크롤러를 설치하는 텐션롤러를 아이들러링크를 개재하여 텐션조절가능하게 트랙프레임에 지지시킨 이동농기에 있어서, 텐션롤러를 갖는 아이들러프레임을 텐션프레임에 신축가능하게 연결시킴과 아울러, 텐션프레임에 텐션볼트 및 너트를 개재하여 아이들러프레임을 간접적으로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농기.
  14. 제 13항에 있어서, 아이들러프레임의 대략 중심부에 너트를 접촉시키고, 아이들러프레임을 압압하도록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농기.
  15. 제 13항에 있어서, 텐션볼트를 지지하는 볼트받침부재를 텐션프레임에 체결볼트를 개재하여 연결시킴과 아울러, 텐션볼트를 중심으로 하여 대칭위치에 등피치로 체결볼트를 배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농기.
  16. 본 기계에 승강암을 개재하여 좌우 트랙프레임을 승강가능하게 지지시킴과 아울러, 주행크롤러를 설치하는 텐션롤러의 텐션프레임을 아이들러링크를 개재하여 텐션조절가능하게 트랙프레임에 지지시킨 이동농기에 있어서, 텐션프레임 하방의 트랙프레임의 상면에 진흙낙하용 개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농기.
  17. 제 1항, 제 13항 또는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트랙프레임에 연결시키는 하부 본 기계 프레임에, 주행크롤러 내에 면하게 하는 내측프레임부를 설치하고, 승강암의 지점축부를 내측프레임부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농기.
KR1020037001962A 2000-08-10 2001-08-06 이동농기 KR1008305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42703 2000-08-10
JP2000242703A JP4680355B2 (ja) 2000-08-10 2000-08-10 コンバイン
PCT/JP2001/006766 WO2002014140A1 (fr) 2000-08-10 2001-08-06 Machine agricole mobi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2383A true KR20030022383A (ko) 2003-03-15
KR100830551B1 KR100830551B1 (ko) 2008-05-22

Family

ID=18733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1962A KR100830551B1 (ko) 2000-08-10 2001-08-06 이동농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962222B2 (ko)
EP (1) EP1308378B1 (ko)
JP (1) JP4680355B2 (ko)
KR (1) KR100830551B1 (ko)
CN (1) CN1211244C (ko)
AT (1) ATE382013T1 (ko)
AU (2) AU7674501A (ko)
DE (1) DE60132095T2 (ko)
TW (1) TW515697B (ko)
WO (1) WO200201414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9631A (ko) * 2010-05-26 2011-12-0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이동형 감시 로봇 시스템
KR101252076B1 (ko) * 2005-08-23 2013-04-12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98578C (zh) * 2004-11-01 2007-02-07 大连大学 变形履带系统
JP2007055329A (ja) * 2005-08-23 2007-03-08 Yanmar Co Ltd 作業車両の走行装置
DE102006015307A1 (de) * 2005-11-17 2007-05-24 Terex-Demag Gmbh & Co. Kg Mobiler Großkran
DE502007000671D1 (de) * 2007-01-24 2009-06-10 Klemm Bohrtechnik Gmbh Pendelfahrwerk, insbesondere für ein Bohrgerät
US7874387B2 (en) * 2007-02-15 2011-01-25 Despres Jean Track extension for vehicle track systems and method
US7520575B2 (en) * 2007-06-29 2009-04-21 Agco Corporation Tension management system for an endless track of a work machine
KR101072654B1 (ko) * 2007-09-26 2011-10-11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작업차
RU2388642C2 (ru) * 2008-04-29 2010-05-10 Эдуард Аркадьевич Геращенко Рычажно-балансирная подвеска гусеничного движителя (варианты)
US7967088B2 (en) * 2008-08-22 2011-06-28 Shawn Watling Snowmobile suspension and drive train
JP5006854B2 (ja) * 2008-09-22 2012-08-22 株式会社クボタ 作業機
KR101146092B1 (ko) 2009-12-11 2012-05-15 한국카모플라스트(주) 충격흡수 홈을 구성한 고무 크로라
CA2744681C (en) * 2010-06-28 2018-08-28 Camoplast Solideal Inc. All-terrain vehicle (atv) propellable on wheels or endless tracks
CA2744630C (en) 2010-06-30 2018-10-09 Camoplast Solideal Inc. Wheel of a track assembly of a tracked vehicle
DE102010036756A1 (de) * 2010-07-30 2012-02-02 Claas Selbstfahrende Erntemaschinen Gmbh Selbstfahrende Erntemaschine
US8985250B1 (en) 2010-12-14 2015-03-24 Camoplast Solideal Inc. Track drive mod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s
US9067631B1 (en) 2010-12-14 2015-06-30 Camoplast Solideal Inc. Endless track for traction of a vehicle
US9334001B2 (en) 2010-12-14 2016-05-10 Camso Inc. Drive sprocket, drive lug configuration and track drive arrangement for an endless track vehicle
CA2904872C (en) * 2013-03-25 2020-06-02 Polaris Industries Inc. Tracked all-terrain vehicle
BE1022418B1 (nl) 2014-01-21 2016-03-25 Cnh Industrial Belgium Nv Maaidorser met rupsbandeenheden uitgerust met actuatoren die het kantelen tegenwerken
JP6067598B2 (ja) * 2014-01-31 2017-01-25 ヤンマー株式会社 走行車両
JP6067599B2 (ja) * 2014-01-31 2017-01-25 ヤンマー株式会社 走行車両
RU2547318C1 (ru) * 2014-02-11 2015-04-1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ург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Механизм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натяжения гусениц
DE102014003964A1 (de) * 2014-03-20 2015-09-24 Claas Industrietechnik Gmbh Raupenfahrzeug
CA3100440A1 (en) 2015-03-04 2016-09-09 Camso Inc. Track system for traction of a vehicle
EP3313717B1 (en) 2015-06-29 2020-10-14 Cams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a track system for traction of a vehicle
CN113562089B (zh) * 2015-08-07 2024-04-12 株式会社久保田 履带行驶装置、联合收割机、收割机
CA2999798A1 (en) * 2015-09-30 2017-04-06 Brp Finland Oy Snowmobile rear suspension
CN106211832B (zh) * 2016-07-19 2020-05-22 农业部南京农业机械化研究所 一种浮动式三点悬挂装置
US10730551B2 (en) 2016-08-09 2020-08-04 Polaris Industries Inc. Tracked all-terrain vehicle
SE540523C2 (en) * 2016-11-18 2018-09-25 Bae Systems Haegglunds Ab Tracked vehicle arranged with pivotable bogie
JP6895875B2 (ja) * 2016-12-19 2021-06-30 株式会社クボタ クローラ走行装置
CN106585373B (zh) * 2016-12-27 2024-04-19 甘肃省机械科学研究院有限责任公司 一种带静液压驱动的姿态可调整履带底盘
SE542243C2 (sv) * 2017-03-17 2020-03-24 Komatsu Forest Ab Fjädringsanordning för bandgående fordon
CN107351930A (zh) * 2017-06-16 2017-11-17 太原理工大学 一种履带式底盘的变位装置及方法
DE102017119796A1 (de) * 2017-08-29 2019-02-28 Claas Selbstfahrende Erntemaschinen Gmbh Feldhäcksler sowie Verfahren zu dessen Umrüstung
CA3085012A1 (en) 2017-12-08 2018-12-07 Camso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off-road vehicles
CN108496565A (zh) * 2018-05-07 2018-09-07 江苏大学 联合收获机可升降履带式底盘
CN108974158A (zh) * 2018-08-13 2018-12-11 张祝 一种采用电液调节履带底盘水平与升降功能的控制方法
CN108773421A (zh) * 2018-08-13 2018-11-09 湖南农业大学 一种具有电液调节水平与升降功能的履带底盘
SE542494C2 (sv) * 2018-09-14 2020-05-26 Komatsu Forest Ab Lastbärande fordonsdel och ett hjulburet fordon utrustat med en sådan fordonsdel
CN110800467A (zh) * 2019-11-19 2020-02-18 山东交通学院 一种履带式吊振收获机
CN111547146A (zh) * 2020-03-27 2020-08-18 金华职业技术学院 履带比压自适应机构
US20230347999A1 (en) * 2020-08-18 2023-11-02 Camso Inc. Track system for traction of a vehicle
EP3981672A1 (en) * 2020-10-06 2022-04-13 Camso Inc. Track system for traction of a vehicle
JP7381439B2 (ja) 2020-12-18 2023-11-15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JP7381440B2 (ja) 2020-12-18 2023-11-15 株式会社クボタ 作業車
KR102612327B1 (ko) * 2022-12-30 2023-12-08 장진만 다목적 농용 작업기
CN117842223A (zh) * 2024-03-07 2024-04-09 襄垣县仁达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履带底盘悬浮式升降机构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01309A (fr) * 1964-04-20 1965-06-04 Creusot Forges Ateliers Véhicule à chenilles à poulies de tension réglables longitudinalement et verticalement
US3863727A (en) * 1973-05-10 1975-02-04 Allied Leisure Inc Suspension system for tracked vehicles
DE2344688B2 (de) * 1973-09-05 1979-07-12 Dr.Ing.H.C. F. Porsche Ag, 7000 Stuttgart Laufwerk für Gleiskettenfahrzeuge
US3938605A (en) * 1974-06-24 1976-02-17 Clark Equipment Company Track suspension
DE3479019D1 (en) * 1983-12-20 1989-08-24 Caterpillar Inc Frictionally driven belted work vehicle
JPS63188284A (ja) 1987-01-31 1988-08-03 Toshiba Corp 文字読取装置
JPS63188284U (ko) * 1987-05-26 1988-12-02
FR2619070B1 (fr) * 1987-08-07 1991-09-06 Colmant Cuvelier Dispositif tendeur pour l'element souple ou articule d'un systeme de transmission ou de roulement
JPH01142383A (ja) 1987-11-30 1989-06-05 Taiyo Yuden Co Ltd セラミック焼成用熱処理炉
US4819754A (en) * 1987-12-23 1989-04-11 Caterpillar Inc. Multiple mode vehicle suspension system
DE3805494A1 (de) * 1988-02-22 1989-08-31 Bavaria Cargo Tech Foerderkugeleinheit
US4893883A (en) * 1988-03-02 1990-01-16 Caterpillar Inc. Belt tension control system
JPH01142383U (ko) * 1988-03-25 1989-09-29
JPH0280084A (ja) 1988-09-16 1990-03-20 Brother Ind Ltd ミシンに装着可能な刺繍装置
JPH0280084U (ko) * 1988-12-08 1990-06-20
JP2824694B2 (ja) * 1990-07-31 1998-11-11 三菱農機株式会社 クローラ走行車輌における機体制御装置
US5191952A (en) * 1991-09-19 1993-03-09 Caterpillar Inc. Track-type vehicle having steerable wheels
JPH0582772A (ja) 1991-09-20 1993-04-02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3194039B2 (ja) * 1991-11-01 2001-07-30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農作業機の水平制御装置
JP2594108Y2 (ja) * 1992-04-20 1999-04-19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コンバイン用走行装置
JP3270975B2 (ja) * 1993-02-19 2002-04-02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クローラ走行装置の水平制御機構
EP0890502B9 (en) * 1996-04-10 2003-09-10 Komatsu Ltd. Crawler device for a crawler type vehicle
US5775447A (en) * 1996-09-25 1998-07-07 Caterpillar Inc. Material deflecting assembly for a track assembly
JPH10100953A (ja) * 1996-09-27 1998-04-21 Seirei Ind Co Ltd 農作業機
US6024183A (en) * 1997-10-24 2000-02-15 Caterpillar Inc. Track belt tension management system
US6164399A (en) * 1999-06-02 2000-12-26 Sercel, Inc. Track-type carriage system for heavy vehicl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2076B1 (ko) * 2005-08-23 2013-04-12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콤바인
KR20110129631A (ko) * 2010-05-26 2011-12-02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이동형 감시 로봇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1276745B2 (en) 2004-12-09
EP1308378B1 (en) 2007-12-26
EP1308378A1 (en) 2003-05-07
US20030161687A1 (en) 2003-08-28
EP1308378A4 (en) 2006-06-07
KR100830551B1 (ko) 2008-05-22
DE60132095T2 (de) 2008-12-11
DE60132095D1 (de) 2008-02-07
TW515697B (en) 2003-01-01
CN1211244C (zh) 2005-07-20
CN1446165A (zh) 2003-10-01
AU7674501A (en) 2002-02-25
JP2002053083A (ja) 2002-02-19
US6962222B2 (en) 2005-11-08
ATE382013T1 (de) 2008-01-15
WO2002014140A1 (fr) 2002-02-21
JP4680355B2 (ja) 2011-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0551B1 (ko) 이동농기
KR100672213B1 (ko) 콤바인의 주행장치
JP4584502B2 (ja) 移動農機
JP2003048574A (ja) 移動農機の走行クローラ装置
JP2002096771A (ja) クローラ走行装置
JP4727854B2 (ja) 移動農機
JP4727855B2 (ja) 移動農機
JP2567477B2 (ja) 作業車
JP2010083242A (ja) クローラ走行装置
JP2788610B2 (ja) コンバイン
JP2788611B2 (ja) コンバイン
JPH07100461B2 (ja) 作業車のクローラ走行装置
JP3652694B2 (ja) コンバイン
JP2004017923A (ja) 走行車
JP2861145B2 (ja) コンバイン等の姿勢制御装置
JP3431587B2 (ja) クローラ走行型作業車
JPH07108671B2 (ja) コンバインの走行装置
JPH0520630Y2 (ko)
JPH01293283A (ja) 履帯式走行車両における履帯式走行装置の昇降装置
JP2927756B2 (ja) コンバイン
JPH08225087A (ja) コンバインの走行装置
JP3177980B2 (ja) コンバイン等の作業機の走行装置
JPH0740867A (ja) コンバインの水平制御車体
JPH07257444A (ja) コンバインの走行装置
JP2004106727A (ja) コンバインのクローラ走行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