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2654B1 - 작업차 - Google Patents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2654B1
KR101072654B1 KR1020080091501A KR20080091501A KR101072654B1 KR 101072654 B1 KR101072654 B1 KR 101072654B1 KR 1020080091501 A KR1020080091501 A KR 1020080091501A KR 20080091501 A KR20080091501 A KR 20080091501A KR 101072654 B1 KR101072654 B1 KR 101072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swing
turning
speed difference
oper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15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1992A (ko
Inventor
유끼후미 야마나까
시게끼 하야시
유우지 가또오
다까시 오꾸야마
요오헤이 시모다
마사루 이께다
가쯔히데 가또오
고오지 야마가따
도시유끼 기따하시
야스따까 요네다
신스께 고따니
마꼬또 미야자끼
미끼오 오모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50117A external-priority patent/JP508675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51136A external-priority patent/JP514351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52433A external-priority patent/JP505447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7043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9096357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90031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1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6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refractors
    • F21V14/065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refractors in portable light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Deflectable Wheels, Steering Of Trailers, Or Other St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우측 및 좌측의 주행 장치에 속도차를 부여하는 제1 및 제2 선회 기구를 구비한 조향 조작 구조의 선회 성능 및 선회 조작의 조작성을 향상시킨 작업차가 제공된다. 조향 조작구(77)의 단위 조작량에 대한 제1 선회 기구(제2 선회 기구)에 의한 단위 속도차가 조향 조작구(77)의 직진 위치(N)측의 영역에서 작고, 조향 조작구(77)의 조향 한도측의 영역에서 크게 되도록 구성한다. 제1 상태의 단위 속도차의 변화 특성과, 제2 상태의 단위 속도차의 변화 특성을 다른 것으로 설정한다.
주행 장치, 속도차, 선회 기구, 조향 조작 구조, 직진 위치

Description

작업차{WORK VEHICLE}
본 발명은 우측 및 좌측의 주행 장치를 구비한 작업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측 및 좌측의 주행 장치에 속도차를 부여하여 기체의 조향 조작을 행하도록 구성된 작업차의 조향 조작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작업차의 일례인 콤바인에서는, JP2000-335268 A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의 주행 장치(도1 및 도2의 참조 부호 1), 우측 및 좌측의 주행 장치에 속도차를 부여하여 기체를 선회시키는 제1 선회 기구(도2의 참조 부호 45), 우측 및 좌측의 주행 장치에 제1 선회 기구보다도 큰 속도차를 부여하여 기체를 선회시키는 제2 선회 기구(도2의 참조 부호 49, 50)를 구비한 것이 있다.
JP2000-335268 A에서는 제1 선회 기구가 작동하는 제1 상태 또는 제2 선회 기구가 작동하는 제2 상태를 설정 가능한 선회 설정 수단(도3의 참조 부호 71, 55), 인위적으로 조작되는 조향 조작구(도4의 참조 부호 58)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조향 조작구가 직진 위치로 조작되고 있으면 우측 및 좌측의 주행 장치에 동일한 속도로 동일한 방향의 동력이 전달되어 기체는 직진한다.
제1 상태에 있어서, 조향 조작구가 예를 들어 우측으로 조작되면 제1 선회 기구가 작동 상태로 되어 우측 및 좌측의 주행 장치의 속도차에 의해 기체는 우측으로 방향을 바꾸는 것이며, 조향 조작구가 우측으로 크게 조작될수록 우측 및 좌측의 주행 장치의 속도차가 커져 기체는 작은 선회 반경으로 우측으로 방향을 바꾼다. 제2 상태에 있어서도, 조향 조작구가 예를 들어 우측으로 조작되면 제2 선회 기구가 작동 상태로 되어 상기와 마찬가지로 기체는 우측으로 방향을 바꾼다.
JP 2000-335268 A와 같이 우측 및 좌측의 주행 장치에 속도차를 부여하는 제1 및 제2 선회 기구를 구비한 경우, 선회 성능 및 선회 조작의 조작성의 향상이라는 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발명은 작업차의 조향 조작 구조에 있어서, 우측 및 좌측의 주행 장치에 속도차를 부여하는 제1 및 제2 선회 기구를 구비하고, 제1 선회 기구가 작동하는 제1 상태 또는 제2 선회 기구가 작동하는 제2 상태를 설정 가능한 선회 설정 수단(78)(본 명세서의 실시 형태에서는 선회 설정 수단의 일례로서 선회 모드 스위치를 개시함)을 구비한 경우에 작업차의 선회 성능 및 선회 조작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작업차의 제1 특징 구성은 조향 조작 구조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것에 있다.
우측 및 좌측의 주행 장치와, 우측 및 좌측의 주행 장치에 속도차를 부여하여 기체를 선회시키는 제1 선회 기구와, 우측 및 좌측의 주행 장치에 제1 선회 기 구보다도 큰 속도차를 부여하여 기체를 선회시키는 제2 선회 기구를 구비한다.
제1 선회 기구가 작동하는 제1 상태 또는 제2 선회 기구가 작동하는 제2 상태를 설정 가능한 선회 설정 수단과, 인위적으로 조작되는 조향 조작구를 구비한다.
제1 상태에 있어서 조향 조작구가 직진 위치로부터 우측 또는 좌측으로 조작될수록 우측 및 좌측의 주행 장치의 속도차가 크게 되도록 제1 선회 기구를 조작하고, 제2 상태에 있어서 조향 조작구가 직진 위치로부터 우측 또는 좌측으로 조작될수록 우측 및 좌측의 주행 장치의 속도차가 크게 되도록 제2 선회 기구를 조작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제1 상태에 있어서, 조향 조작구의 단위 조작량에 대한 제1 선회 기구에 의한 단위 속도차가 조향 조작구의 직진 위치측의 영역에서 작고, 조향 조작구의 조향 한도측의 영역에서 크게 되도록 구성한다.
제2 상태에 있어서, 조향 조작구의 단위 조작량에 대한 제2 선회 기구에 의한 단위 속도차가 조향 조작구의 직진 위치측의 영역에서 작고, 조향 조작구의 조향 한도측의 영역에서 크게 되도록 구성한다.
제1 상태의 단위 속도차의 변화 특성과, 제2 상태의 단위 속도차의 변화 특성을 다른 것으로 설정한다.
상기 제1 특징 구성에 따르면, 제1 상태(제2 상태)에 있어서, 조향 조작구가 우(좌)측으로 조작되면 제1 선회 기구(제2 선회 기구)가 작동 상태로 되어 우측 및 좌측의 주행 장치의 속도차에 의해, 기체는 우(좌)측으로 방향을 바꾸는 것이며, 조향 조작구가 우(좌)측으로 크게 조작될수록 우측 및 좌측의 주행 장치의 속도차가 커져, 기체는 작은 선회 반경으로 우(좌)측으로 방향을 바꾼다.
이 경우, 조향 조작구가 직진 위치측의 영역에서 조작되고 있는 상태(조향 조작구가 직진 위치로부터 우측 또는 좌측으로 조금밖에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우측 및 좌측의 주행 장치의 속도차가 비교적 작은 것이 되고, 조향 조작구의 조작에 비하여 기체는 비교적 완만하게 우(좌)측으로 방향을 바꾸는 상태가 되므로, 직진 시의 기체의 방향의 미세 조정을 행하는 상태에 적합한 것으로 된다. 이것은 특히, 제1 상태에 적합한 것으로 된다.
다음에, 조향 조작구가 조향 한도측의 영역에서 조작되고 있는 상태(조향 조작구가 직진 위치로부터 우측 또는 좌측으로 크게 조작된 상태)에서는 우측 및 좌측의 주행 장치의 속도차가 비교적 큰 것이 되고, 조향 조작구의 조작에 비하여 기체는 작은 선회 반경으로 우(좌)측으로 방향을 바꾸는 상태가 되므로 기체의 방향을 급속하게 바꾸는 상태에 적합한 것으로 된다. 이것은 특히, 제2 상태에 적합한 것으로 된다.
또한, 상기 제1 특징 구성에 따르면, 제1 상태의 단위 속도차의 변화 특성과 제2 상태의 단위 속도차의 변화 특성이 다른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조향 조작구가 직진 위치로부터 조향 한도로 조작되었을 때의 우측 및 좌측의 주행 장치의 속도차의 발생 상태(발생 특성)가 제1 및 제2 상태에 있어서 다른 것으로 되므로, 제1 및 제2 상태에 있어서 전술한 속도차의 발생 상태(발생 특성)가 동일한 구성에 비하여, 제1 및 제2 상태의 선회 특성의 차이가 큰 것이 되어, 작업지의 상태나 작업 형태에 따라 적절한 제1 및 제2 상태가 설정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제1 및 제2 상태에 있어서, 조향 조작구의 단위 조작량에 대한 제1 및 제2 선회 기구에 의한 단위 속도차가 조향 조작구의 직진 위치측의 영역에서 작고, 조향 조작구의 조향 한도측의 영역에서 커지는 점, 및 제1 및 제2 상태의 선회 특성의 차이가 큰 것이 되는 점에 의해 작업지의 상태나 작업 형태에 따라 적절한 제1 및 제2 상태가 설정되기 쉬워져, 작업차의 선회 성능 및 선회 조작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제2 특징 구성에서는, 조향 조작구의 직진 위치측의 영역에 있어서 제1 상태의 단위 속도차가 제2 상태의 단위 속도차보다도 작은 것으로 되도록 제1 및 제2 상태의 단위 속도차의 변화 특성을 설정하고 있다. 이것은 이하의 점에서 한층 유리하다.
제1 상태에 있어서, 조향 조작구가 직진 위치측의 영역에서 조작되고 있는 상태(조향 조작구가 직진 위치로부터 우측 또는 좌측으로 조금밖에 조작되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는 우측 및 좌측의 주행 장치의 속도차가 비교적 작은 것이 되고, 조향 조작구의 조작에 비하여 기체는 비교적 완만하게 우(좌)측으로 방향을 바꾸는 상태가 되므로, 직진 시의 기체의 방향의 미세 조정을 행하는 상태에 적합한 것으로 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특징 구성에 따르면, 우측 및 좌측의 주행 장치에 비교적 작은 속도차를 부여하여 기체를 선회시키는 제1 상태에 있어서, 전술한 바와 같은 상태가 얻어지므로 제1 상태와 직진 시의 기체의 방향의 미세 조정이 특성(기체의 방향이 그다지 크게 변화되지 않는다는 특성)면에서 합치하고 있어, 운전자에게 있어서 직진 시의 기체의 방향의 미세 조정을 위화감 없이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차의 선회 성능 및 선회 조작의 조작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제3 특징 구성에서는 제1 선회 기구가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 장치의 한 쪽과 동일 방향으로 저속의 동력을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 장치의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완선회 기구(grand turn mechanism)이며, 제2 선회 기구가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 장치에 제동을 거는 브레이크 기구이다.
본 발명의 제4 특징 구성에서는 제1 선회 기구가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 장치의 한 쪽과 동일 방향으로 저속의 동력을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 장치의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완선회 기구이며, 제2 선회 기구가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 장치의 한 쪽과 역방향의 동력을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 장치의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역회전 기구이다.
상기 제3 특징 구성 또는 제4 특징 구성을 제2 특징 구성에 부가하여 구비하면 완선회 기구와 브레이크 기구 또는 역회전 기구에 의해 제1 및 제2 상태의 선회 특성에 충분한 차이가 부여되므로 작업지의 상태나 작업 형태에 따라 적절한 제1 및 제2 상태가 설정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제1 및 제2 상태의 선회 특성의 차이가 큰 것이 되고, 작업지의 상태나 작업 형태에 따라 적절한 제1 및 제2 상태가 설정되기 쉬워져 작업차의 선회 성능 및 선회 조작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제5 특징 구성에서는 상기 제2 특징 구성 외에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제1 선회 기구가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 장치의 한 쪽과 동일 방향으로 저속의 동력을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 장치의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완선회 기구이며, 제2 선회 기구가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 장치에 제동을 거는 브레이크 기구이다.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 장치의 한 쪽과 역방향의 동력을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 장치의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역회전 기구를 구비한다.
선회 설정 수단에 의해 완선회 기구가 사용되는 제1 상태, 브레이크 기구가 사용되는 제2 상태, 역회전 기구가 사용되는 제3 상태를 설정 가능하게 구성한다. 조향 조작구의 직진 위치측의 영역에 있어서, 제2 상태의 단위 속도차가 제3 상태의 단위 속도차보다도 작은 것으로 되도록 제2 및 제3 상태의 단위 속도차의 변화 특성을 설정한다.
상기 제5 특징 구성에 따르면, 완선회 기구, 브레이크 기구 및 역회전 기구를 구비함으로써 제1, 2, 3 상태의 선회 특성에 충분한 차이가 부여되므로 작업지의 상태나 작업 형태에 따라 선택폭이 넓어져 적절한 제1, 2, 3 상태가 설정되기 쉬워진다.
또한, 조향 조작구의 직진 위치측의 영역에 있어서, 제1 상태의 단위 속도차가 제2 상태의 단위 속도차보다도 작은 것으로 되도록 설정되고, 제2 상태의 단위 속도차가 제3 상태의 단위 속도차보다도 작은 것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고, 제1, 2, 3 상태의 단위 속도차의 변화 특성이 서로 다른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2, 3 상태의 선회 특성의 차이가 큰 것이 되고, 작업지의 상태나 작업 형태에 따라 선택폭이 넓어져, 적절한 제1, 2, 3 상태가 설정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제1, 2, 3 상태에 의해 선택폭이 넓어지는 점 및 제1, 2, 3 상태의 선회 특성의 차이가 큰 것이 되는 점에 의해 작업지의 상태나 작업 형태에 따라 적절한 제1, 2, 3 상태가 설정되기 쉬워져, 작업차의 선회 성능 및 선회 조작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제6 특징 구성에서는 상기 제2 특징 구성 외에,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제1 선회 기구가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 장치의 한 쪽과 동일 방향으로 저속의 동력을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 장치의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완선회 기구이며, 제2 선회 기구가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 장치에 제동을 거는 브레이크 기구이다.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 장치의 한 쪽과 역방향의 동력을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 장치의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역회전 기구를 구비한다.
선회 설정 수단에 의해 완선회 기구가 사용되는 제1 상태, 브레이크 기구가 사용되는 제2 상태, 역회전 기구가 사용되는 제3 상태를 설정 가능하게 구성한다. 조향 조작구의 직진 위치측의 영역에 있어서, 제2 상태의 단위 속도차와 제3 상태의 단위 속도차가 동일한 것으로 되도록 제2 및 제3 상태의 단위 속도차의 변화 특성을 설정한다.
상기 제6 특징 구성에 따르면, 완선회 기구, 브레이크 기구 및 역회전 기구 를 구비함으로써 제1, 2, 3 상태의 선회 특성에 충분한 차이가 부여되므로 작업지의 상태나 작업 형태에 따라 선택폭이 넓어져 적절한 제1, 2, 3 상태가 설정되기 쉬워진다.
또한, 조향 조작구의 직진 위치측의 영역에 있어서, 제1 상태의 단위 속도차가 제2 상태의 단위 속도차보다도 작은 것으로 되도록 설정되고, 제2 상태의 단위 속도차와 제3 상태의 단위 속도차가 동일한 것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1, 2, 3 상태의 선회 특성의 차이가 불필요하게 큰 것으로 되지 않아, 작업지의 상태나 작업 형태에 따라 적절한 제1, 2, 3 상태가 설정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제1, 2, 3 상태에 의해 선택폭이 넓어지는 점 및 제1, 2, 3 상태의 선회 특성의 차이가 불필요하게 큰 것으로 되지 않는 점에 의해 작업지의 상태나 작업 형태에 따라 적절한 제1, 2, 3 상태가 설정되기 쉬워져 작업차의 선회 성능 및 선회 조작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었다.
그 밖의 특징 구성이나 유리한 점에 대해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설명을 읽음으로써 명백해 질 것이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다른 명시가 없는 한, 작업차의 일례로서의 콤바인이 전방으로 직진(전진)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전후 방향이라고 칭하고, 이 전후 방향에 직교하는 수평 방향을 좌우 방향(또는 횡방향)이라고 칭하고,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상하 방향이라고 칭한다.
본 발명은 작업차의 조향 조작 구조에 있어서, 우측 및 좌측의 주행 장치에 속도차를 부여하는 제1 및 제2 선회 기구를 구비하고, 제1 선회 기구가 작동하는 제1 상태 또는 제2 선회 기구가 작동하는 제2 상태를 설정 가능한 선회 설정 수단을 구비한 경우에 작업차의 선회 성능 및 선회 조작의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하나, 하나의 실시 형태의 특징과 다른 실시 형태의 특징의 조합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생각된다.
[제1 실시 형태]
[1]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1)(주행 장치에 상당)에 의해 지지된 기체의 전방부에 예취 프레임(2)이 횡축심(P1) 주위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예취 프레임(2)을 승강 구동하는 승강 실린더(3)가 구비되어 있으며, 예취 프레임(2)에 예취부(4)가 지지되어 있다. 기체의 전방부의 우측에 운전부(5)가 구비되어 있으며, 기체의 후방부의 좌측에 탈곡 장치(8)가 구비되고, 기체의 후방부의 우측에 그레인 탱크(9)가 구비되고, 작업차의 일례인 자탈형의 콤바인이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미션 케이스(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의 전방부의 좌우 중앙 부근에 미션 케이스(10)가 구비되어 있으며, 미션 케이스(1O)의 우측부의 상부에 단차 형상의 오 목부(1Oa)가 형성되고,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1)가 미션 케이스(1O)의 오목부(1Oa)에 들어가도록 연결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10)의 하부의 외부에 우측 및 좌측의 지지부(10b)가 구비되어 우측 및 좌측의 전동 케이스(14)가 미션 케이스(10)의 우측 및 좌측의 지지부(1Ob)에 연결되어 전방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의 전동 케이스(14)에 우측 및 좌측의 차축 케이스(15)가 연결되어 우측 및 좌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우측 및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1)를 구동하는 스프로킷(1a)이 우측 및 좌측의 차축 케이스(15)의 우측 및 좌측의 단부에 구비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10)의 하부의 외부에 연결부(1Oc)가 구비되고, 미션 케이스(10)의 연결부(10c)와 우측 및 좌측의 전동 케이스(14)에 걸쳐 연계 부재(13)가 연결되어 있다.
[2]
다음에, 미션 케이스(10)에 있어서의 전동계(직진계)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도시하지 않음)의 동력이 전동 벨트(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1)의 입력축(도시하지 않음)으로 전달되고 있으며,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1)의 출력축(11a)이 미션 케이스(1O)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다. 미션 케이스(10)의 상부에 입력축(22)이 지지되어, 입력축(22)에 전동 기어(23, 24)가 고정되어 있고,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1)의 출력축(11a)이 스플라인 구조에 의해 전동 기어(24)[입력축(22)]에 연결되어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10)의 상부에 지지된 전동축(27)에 고 속 기어(25) 및 저속 기어(26)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삽입되고, 전동 기어(23) 및 고속 기어(25), 전동 기어(24) 및 저속 기어(26)가 맞물려 있으며, 시프트 부재(28)가 스플라인 구조에 의해 전동축(27)에 일체 회전 및 슬라이드 가능하게 외부 삽입되어 있다. 전동 기어(23) 및 고속 기어(25), 전동 기어(24) 및 저속 기어(26), 시프트 부재(28)에 의해 부변속 장치가 구성되어 있고, 시프트 부재(28)를 고속 및 저속 기어(25, 26)에 맞물림으로써 입력축(22)의 동력이 고저 2단(고속 및 저속 위치)으로 변속되어 전동축(27)으로 전달된다. 보통은, 시프트 부재(28)가 고속 기어(25)에 맞물리는 위치로 슬라이드 조작되어 고속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10)의 하부에 걸쳐 전동축(29)이 지지되어 있고, 전동축(29)의 좌측부에 전동 기어(31)가 고정되어 있고, 전동축(27)의 좌측부에 전동 기어(30)가 고정되어 있으며, 전동 기어(30, 31)가 맞물려 있다. 우측 및 좌측의 출력 기어(32R, 32L)가 전동축(29)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삽입되고, 우측 및 좌측의 출력 기어(32R, 32L)의 우측 및 좌측에, 우측 및 좌측의 맞물림부(33R, 33L)가 스플라인 구조에 의해 전동축(29)에 일체 회전 및 슬라이드 가능하게 외부 삽입되어 있다. 우측의 출력 기어(32R) 및 우측의 맞물림부(33R) 사이에서 우측의 사이드 클러치(34)가 구성되고, 좌측의 출력 기어(32L) 및 좌측의 맞물림부(33L) 사이에서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34)가 구성되어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10)의 우측 및 좌측의 지지부(10b)와, 우측 및 좌측의 전동 케이스(14)에 걸쳐 전동축(35)이 지지되고, 미션 케이스(10) 의 내부에 있어서 전동축(35)에 고정된 전동 기어(36)가 우측 및 좌측의 출력 기어(32R, 32L)에 맞물려 있으며, 우측 및 좌측의 전동 케이스(14)의 내부에 있어서, 전동축(35)에 전동 기어(37)가 고정되어 있다. 우측 및 좌측의 전동 케이스(14), 우측 및 좌측의 차축 케이스(15)에 걸쳐, 우측 및 좌측의 차축(38)이 지지되고 있으며, 우측 및 좌측의 전동 케이스(14)의 내부에 있어서, 우측 및 좌측의 차축(38)에 고정된 전동 기어(39)가 전동 기어(37)에 맞물려 있다. 우측 및 좌측의 차축 케이스(15)의 내부에 있어서, 우측 및 좌측의 차축(38)이 우측 및 좌측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우측 및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1)의 스프로킷(1a)(도1 참조)이 우측 및 좌측의 차축(38)의 우측 및 좌측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이상의 구조에 의해,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축(22)의 동력이 전동축(27), 전동 기어(30, 31), 전동축(29),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34)[우측 및 좌측의 맞물림부(33R, 33L)], 우측 및 좌측의 출력 기어(32R, 32L), 전동 기어(36), 전동축(35), 전동 기어(37, 39), 우측 및 좌측의 차축(38)을 통하여, 우측 및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1)로 전달되어 기체는 직진한다.
[3]
다음에,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34)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축(29)의 우측 및 좌측부의 외면에 스플라인부(29a)가 형성되고, 우측 및 좌측의 맞물림부(33R, 33L)가 전동축(29)의 스플라인부(29a)에 일체 회전 및 슬라이드 가능하게 외부 삽입되어, 수납 부재(40)가 전동축(29)의 스플라인부(29a)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외부 삽입되어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의 맞물림부(33R, 33L)에 있어서의 수납 부재(40)측의 부분에 복수의 오목부가 원주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우측 및 좌측의 맞물림부(33R, 33L)의 오목부 각각에 스프링(41)이 내측 및 외측에 이중으로 배치되어 있고, 수납 부재(40) 및 스프링(41)에 의해 우측 및 좌측의 맞물림부(33R, 33L)가 우측 및 좌측의 출력 기어(32R, 32L)의 맞물림측으로 압박되어 있다. 우측 및 좌측의 맞물림부(33R, 33L)가 우측 및 좌측의 출력 기어(32R, 32L)에 맞물림으로써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34)의 전동 상태로 되는 것이며, 전동축(29)의 동력이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34)를 통하여 우측 및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1)로 전달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의 출력 기어(32R, 32L)와 전동축(29) 사이에 피스톤(42)이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고, 피스톤(42)이 우측 및 좌측의 맞물림부(33R, 33L)에 접촉하고 있으며, 피스톤(42)과 우측 및 좌측의 맞물림부(33R, 33L)가 일체로 회전하도록 우측 및 좌측의 맞물림부(33R, 33L)와 피스톤(42)에 걸쳐 스프링 핀(43)이 삽입되어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의 출력 기어(32R, 32L)와 피스톤(42)사이에 작동유가 공급되면 우측 및 좌측의 맞물림부(33R, 33L)와 피스톤(42)이 스프링(41)에 대항하여 우측 및 좌측의 출력 기어(32R, 32L)의 이격측으로 슬라이드 조작되어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34)의 차단 상태로 된다. 우측 및 좌측의 출력 기어(32R, 32L)와 피스톤(42) 사이로부터 작동유가 배출되면 우측 및 좌측의 맞물림부(33R, 33L)와 피스톤(42)이 스프링(41)에 의해 우측 및 좌측의 출력 기 어(32R, 32L)의 맞물림측으로 슬라이드 조작되어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34)의 전동 상태로 된다.
[4]
다음에, 미션 케이스(10)에 있어서의 전동계(선회계)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션 케이스(10)에 걸쳐 전동축(44)이 지지되고, 전동축(44)의 우측부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삽입된 전동 기어(45)가 우측의 맞물림부(33R)의 외주부의 기어부에 맞물려 있으며, 전동축(44)과 전동 기어(45) 사이에 제1 선회 기구 또는 완선회 기구(46)(본 명세서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선회 기구 또는 완선회 기구의 일례로서 완선회 클러치를 개시함)가 구비되어 있다. 제1 선회 기구 또는 완선회 기구(46)는 마찰 다판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작동유가 공급됨으로써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 작동유가 배출됨으로써 차단 상태로 조작된다.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축(29)에 선회 클러치 케이스(47)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삽입되어 있고, 전동축(44)에 고정된 전동 기어(48)와 선회 클러치 케이스(47)의 외주부의 전동 기어(47a)가 맞물려 있다. 선회 클러치 케이스(47)는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고, 선회 클러치 케이스(47)와 우측 및 좌측의 출력 기어(32R, 32L) 사이에 우측 및 좌측의 선회 클러치(49)가 구비되어 있다. 우측 및 좌측의 선회 클러치(49)는 마찰 다판식으로 구성되어 있고, 작동유가 공급 됨으로써 전동 상태로 조작된다. 이 경우, 우측 및 좌측의 선회 클러치(49)에 있어서, 마찰판이 서로 밀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어, 작동유가 배출되어도 우측 및 좌측의 선회 클러치(49)가 반전동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선회 기구 또는 완선회 기구(46)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면, 전동축(29)의 동력이 우측의 맞물림부(33R), 전동 기어(45), 제1 선회 기구 또는 완선회 기구(46), 전동축(44) 및 전동 기어(48)를 통하여 전동축(29)과 동일 방향의 회전으로 전동축(29)보다도 저속의 동력으로서 선회 클러치 케이스(47)로 전달된다. 우측 또는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34)를 차단 상태로 조작하고, 우측 또는 좌측의 선회 클러치(49)를 전동 상태로 조작하면 전동축(29)과 동일 방향의 회전으로 전동축(29)보다도 저속의 동력이 우측 또는 좌측의 출력 기어(32R, 32L)로 전달된다.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축(44)의 좌측부에 제2 선회 기구 또는 브레이크 기구(50)(본 명세서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선회 기구 또는 브레이크 기구의 일례로서 브레이크를 개시함)가 구비되어 있다. 제2 선회 기구 또는 브레이크 기구(50)는 마찰 다판식으로 구성되어 작동유가 공급됨으로써 제동 상태로 조작되고, 작동유가 배출됨으로써 해제 상태로 조작된다.
이에 의해,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선회 기구 또는 브레이크 기구(50)가 제동 상태로 조작되면 전동축(44) 및 전동 기어(48)를 통하여 선회 클러치 케이스(47)가 제동 상태로 된다. 우측 또는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34)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고, 우측 또는 좌측의 선회 클러치(49)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면 우측 또는 좌측의 출력 기어(32R, 32L)가 제동 상태로 된다.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축(27)의 좌측부에 전동 기어(51)가 고정되고, 전동축(44)의 좌측부에 전동 기어(52)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외부 삽입되어 있고, 전동 기어(51, 52)가 맞물려 있으며, 전동축(44)과 전동 기어(52) 사이에 제2 선회 기구 또는 역회전 기구(53)(본 명세서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선회 기구 또는 역회전 기구의 일례로서 역회전 클러치를 개시함)가 구비되어 있다. 제2 선회 기구 또는 역회전 기구(53)는 마찰 다판식으로 구성되어 있어 작동유가 공급됨으로써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 작동유가 배출됨으로써 차단 상태로 조작된다.
이에 의해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선회 기구 또는 역회전 기구(53)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면 전동축(27)의 동력이 전동 기어(51, 52), 제2 선회 기구 또는 역회전 기구(53), 전동축(44) 및 전동 기어(48)를 통하여 전동축(29)과 역방향의 회전 동력으로서 선회 클러치 케이스(47)로 전달된다. 우측 또는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34)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고, 우측 또는 좌측의 선회 클러치(49)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면 전동축(29)과 역방향의 회전 동력이 우측 또는 좌측의 출력 기어(32R, 32L)로 전달된다.
[5]
다음에,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1)의 조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1)의 펌프(11P)가 중립 위치(N), 중립 위치(N)으로부터 전진(F)의 고속측 및 후진(R)의 고속측으로 무단 변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1)의 모터(11M)가 고저 2단으로 변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1)의 펌프(11P)의 경사판을 조작하는 유압 실린더(59), 유압 실린더(59)에 작동유를 급배 조작하는 제어 밸브(60)가 구비되고, 운전부(5)에 구비된 변속 레버(61)와 제어 밸브(60)가 기계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변속 레버(61)를 조작함으로써 제어 밸브(60)가 조작되고 유압 실린더(59)가 작동하여 변속 레버(61)의 조작 위치에 대응 하는 위치에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1)의 펌프(11P)의 경사판이 조작된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1)의 모터(11M)의 경사판을 조작하는 유압 실린더(62), 유압 실린더(62)에 작동유를 급배 조작하는 전자기 조작식의 제어 밸브(63)가 구비되어 있으며, 변속 레버(61)의 파지부에 변속 스위치(61a)가 구비되고, 변속 레버(61)의 변속 스위치(61a)의 조작 신호가 제어 수단(64)(본 명세서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 수단의 일례로서 제어 장치를 개시함)에 입력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변속 레버(61)의 변속 스위치(61a)를 조작함으로써 제어 수단(64)에 의해 제어 밸브(63)가 조작되고 유압 실린더(62)가 작동하여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1)의 모터(11M)의 경사판이 고속 및 저속 위치로 조작된다.
후술하는 [7], [8], [9], [10]에 기재한 선회 설정 수단(78), 완선회(grand turn), 신지 선회(pivot turn) 및 초신지 선회(spin turn)의 각 상태에 있어서, 선회 설정 수단(78)에 의해 완선회 상태, 신지 선회 상태 및 초신지 선회 상태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은, 변속 레버(61)의 변속 스위치(61a)에 의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1)의 모터(11M)의 경사판이 저속 위치로 조작되고 있는 상태이다. 변속 레버(61)의 변속 스위치(61a)에 의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1)의 모터(11M)의 경사판이 고속 위치로 조작되고 있는 상태이면 선회 설정 수단(78)의 조작 위치에 관계없이 완선회 상태가 선택된다.
[6]
다음에,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34)[우측 및 좌측의 맞물림부(33R, 33L)], 우측 및 좌측의 선회 클러치(49), 제1 선회 기구 또는 완선회 기구(46), 제2 선회 기구 또는 브레이크 기구(50), 제2 선회 기구 또는 역회전 기구(53)에 작동유를 급배 조작하는 유압 유닛(57)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1)의 입력축(도시하지 않음)에, 차지 펌프(도시하지 않음) 및 유압 펌프(56)가 접속되고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1)의 입력축에 의해 차지 펌프 및 유압 펌프(56)가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차지 펌프의 작동유가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1)로 공급되고 있다.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 유닛(57)이 미션 케이스(10)의 좌횡측부의 외면에 연결되어 있으며, 유압 펌프(56)로부터의 외부 배관(58)(도4 참조)이 유압 유닛(57)에 접속되어 있다.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축(29, 44)의 좌단부가 미션 케이스(10)의 좌횡측부를 관통하여 유압 유닛(57)의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전동축(29)의 좌단부와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34)[우측 및 좌측의 맞물림부(33R, 33L)], 우측 및 좌측의 선회 클러치(49)에 걸쳐 전동축(29)의 내부에 유로(29b)가 구비되어 있다. 전동축(44)의 좌단부와 제1 선회 기구 또는 완선회 기구(46) 및 제2 선회 기구 또는 역회전 기구(53)에 걸쳐 전동축(44)의 내부에 유로(44a)가 구비되어 있다. 유압 유닛(57)의 내부에 있어서 전동축(44)의 단부에 제2 선회 기구 또는 브레이크 기구(50)가 구비되어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 유닛(57)의 내부에 우선회 제어 밸브(67), 좌선회 제어 밸브(68), 릴리프 밸브(69), 언로드 밸브(70), 비례 제어 밸브(71), 선회 절환 제어 밸브(72), 파일럿 조작 밸브(73, 74)가 구비되어 있다. 유압 펌프(56)로부터의 외부 배관(58)이 유압 유닛(57)에 접속되고, 유압 유닛(57)과 미션 케이스(10)의 좌횡측부와의 연결면(맞춤면)에 다수의 유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 되어 있고, 외부 배관(58)에 접속된 유로(66)에 우측 및 좌측 선회 제어 밸브(67, 68), 릴리프 밸브(69), 언로드 밸브(70)가 연결면(맞춤면)의 유로를 통하여 병렬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유압 유닛(57)과 미션 케이스(10)의 좌횡측부와의 연결면(맞춤면)에 드레인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릴리프 밸브(69) 및 언로드 밸브(70)의 작동유가 전술한 드레인 유로를 통하여 미션 케이스(10)로 복귀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회 제어 밸브(67)가 연결면(맞춤면)의 유로 및 전동축(29)의 유로(29b)를 통하여 우측의 사이드 클러치(34)[우측의 맞물림부(33R)] 및 우측의 선회 클러치(49)에 접속되어 있다. 좌선회 제어 밸브(68)가 연결면(맞춤면)의 유로 및 전동축(29)의 유로(29b)를 통하여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34)[좌측의 맞물림부(33L)] 및 좌측의 선회 클러치(49)에 접속되어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 선회 제어 밸브(67, 68)는 공급 위치(67a, 68a) 및 배출 위치(67b, 68b)로 조작 가능한 전자기 조작식으로 구성되고, 배출 위치(67b, 68b)로 압박되고 있다. 언로드 밸브(70)는 차단 위치(70a) 및 배출 위치(70b)로 조작 가능한 전자기 조작식으로 구성되고, 차단 위치(70a)로 압박되고 있다. 우측 및 좌측 선회 제어 밸브(67, 68)와 전동축(29)의 유로(29b) 사이로부터 분기된 유로(75)에 비례 제어 밸브(71) 및 선회 절환 제어 밸브(72)가 직렬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선회 절환 제어 밸브(72)가 연결면(맞춤면)의 유로 및 전동축(44)의 유로(44a)를 통하여 제1 선회 기구 또는 완선회 기구(46) 및 제2 선회 기구 또는 역회전 기구(53)에 접속되고, 선회 절환 제어 밸브(72)가 유압 유닛(57)의 유로(76)를 통하여 제2 선회 기구 또는 브레이크 기구(50)에 접속되어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례 제어 밸브(71)는 전자기 조작식으로 구성되어 작동유의 유량 제어(압력 제어)가 가능하다. 선회 절환 제어 밸브(72)는 완선회 위치(72a), 신지 선회 위치(72b) 및 초신지 선회 위치(72c)로 조작 가능한 파일럿 조작식으로 구성되고, 완선회 위치(72a)로 압박되고 있다. 유로(75)로부터 분기된 파일럿 작동유를 선회 절환 제어 밸브(72)로 공급하여 신지 선회 위치(72b)로 조작하도록 파일럿 조작 밸브(73)가 구성되고, 유로(75)로부터 분기된 파일럿 작동유를 선회 절환 제어 밸브(72)로 공급하여 초신지 선회 위치(72c)로 조작하도록 파일럿 조작 밸브(74)가 구성되어 있다.
우측 및 좌측 선회 제어 밸브(67, 68), 언로드 밸브(70), 비례 제어 밸브(71), 파일럿 조작 밸브(73, 74)는 후술하는 [7], [8], [9], [10]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제어 수단(64)에 의해 조작된다.
[7]
다음에, 조향 조작구(77)(본 명세서의 실시 형태에서는 조향 조작구의 일례로서 조향 레버를 개시함)에 의한 직진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및 좌측에 인위적으로 조작 가능한 조향 조작구(77)가 운전부(5)(도 1)에 구비되고, 조향 조작구(77)의 조작 위치가 제어 수단(64)에 입력되어 있으며, 조향 조작구(77)는 직진 위치(N), 우측 및 좌측의 제1 선회 위치(R1, L1), 우측 및 좌측의 제2 선회 위치(R2, L2)로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선회 설정 수단(78)이 운전부(5)에 구비되고, 선회 설정 수단(78)의 조작 위치가 제어 수단(64)에 입력되어 있으며, 선회 설정 수단(78)은 완선회 위치(제1 상태에 상당), 신지 선회 위치(제2 상태에 상당) 및 초신지 선회 위치(제2 및 제3 상태에 상당)를 구비하고 있다.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회 설정 수단(78)의 조작 위치에 관계없이, 조향 조작구(77)가 직진 위치(N)로 조작되면 우측 및 좌측 선회 제어 밸브(67, 68)가 배출 위치(67b, 68b)로 조작되고, 언로드 밸브(70)가 배출 위치(70b)로 조작되고,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34)[우측 및 좌측의 맞물림부(33R, 33L)], 우측 및 좌측의 선회 클러치(49)로부터 작동유가 배출되고,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34)[우측 및 좌측의 맞물림부(33R, 33L)]가 전동 상태로 조작되고, 우측 및 좌측의 선회 클러치(49)가 반전동 상태로 조작된다. 비례 제어 밸브(71)에 의해 제1 선회 기구 또는 완선회 기구(46) 및 제2 선회 기구 또는 역회전 기구(53)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고, 제2 선회 기구 또는 브레이크 기구(50)가 해제 상태로 조작된다.
이에 의해 도2 및 전항 [2], [4]에 기재한 바와 같이 입력축(22)의 동력이 전동축(27), 전동 기어(30, 31), 전동축(29),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34)[우측 및 좌측의 맞물림부(33R, 33L)], 우측 및 좌측의 출력 기어(32R, 32L), 전동 기어(36), 전동축(35), 전동 기어(37, 39), 우측 및 좌측의 차축(38)을 통하여 우측 및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1)로 전달되어 기체는 직진한다.
[8]
다음에, 조향 조작구(77)에 의한 완선회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회 설정 수단(78)이 완선회 위치로 조작 되면 파일럿 조작 밸브(73, 74)에 의해 선회 절환 제어 밸브(72)가 완선회 위치(72a)로 조작된다. 이에 의해, 조향 조작구(77)가 우측의 제1 선회 위치(R1)로 조작되면 우선회 제어 밸브(67)가 공급 위치(67a)로 조작되고, 언로드 밸브(70)가 차단 위치(70a)로 조작되고, 우측의 사이드 클러치(34)[우측의 맞물림부(33R)] 및 우측의 선회 클러치(49)에 작동유가 공급되어 우측의 사이드 클러치(34)[우측의 맞물림부(33R)]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고, 우측의 선회 클러치(49)가 전동 상태로 조작된다.
이 경우,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의 선회 클러치(49)가 반전동 상태이므로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34)[좌측의 맞물림부(33L)]의 동력이 좌측의 출력 기어(32L) 및 좌측의 선회 클러치(49)(반전동 상태)로부터 우측의 선회 클러치(49)(전동 상태)를 통하여 우측의 출력 기어(32R)로 전달되고, 전동축(29)과 동일 방향의 회전으로 전동축(29)보다 조금 저속의 동력이 우측의 출력 기어(32R)로 전달된다. 이에 의해, 기체는 완만하게 우측으로 방향을 바꾼다.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향 조작구(77)가 우측의 제1 선회 위치(R1)로 조작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우선회 제어 밸브(67)가 공급 위치(67a)로 조작되고 언로드 밸브(70)가 차단 위치(70a)로 조작되는 동시에 비례 제어 밸브(71) 및 선회 절환 제어 밸브(72)[완선회 위치(72a)]를 통하여 제1 선회 기구 또는 완선회 기구(46)로 작동유가 공급되기 시작하는 것으로, 조향 조작구(77)가 우측의 제1 선회 위치(R1)로부터 우측의 제2 선회 위치(R2)측으로 조작될수록 비례 제어 밸브(71)에 의해 제1 선회 기구 또는 완선회 기구(46)의 작동압이 승압 조작된다{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향 조작구(77)의 조작 위치와 비례 제어 밸브(71)의 조작 전류[제1 선회 기구 또는 완선회 기구(46)의 작동압]의 관계를 나타내는 실선 A1(완선회 상태) 참조}.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향 조작구(77)의 조작 위치에 기초하여 비례 제어 밸브(71)에 의해 제1 선회 기구 또는 완선회 기구(46)의 작동압이 승압 조작되는데 수반하여 전동축(29)의 동력이 우측의 맞물림부(33R), 전동 기어(45), 제1 선회 기구 또는 완선회 기구(46), 전동축(44), 전동 기어(48), 선회 클러치 케이스(47) 및 우측의 선회 클러치(49)를 통하여 전동축(29)과 동일 방향의 회전으로 전동축(29)보다도 저속의 동력이 우측의 출력 기어(32R)로 전달된다.
이 경우,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34)[좌측의 맞물림부(33L)]로부터의 동력과, 제1 선회 기구 또는 완선회 기구(46)로부터의 동력이 동시에 우측의 출력 기어(32R)로 전달되는 상태로 되므로 제1 선회 기구 또는 완선회 기구(46)의 작동압이 저압의 범위[조향 조작구(77)가 우측의 제1 선회 위치(R1)의 근방으로 조작된 상태]에서는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34)[좌측의 맞물림부(33L)]로부터의 동력이 제1 선회 기구 또는 완선회 기구(46)로부터의 동력을 이겨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34)[좌측의 맞물림부(33L)]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우측의 출력 기어(32R)가 구동되어, 기체는 완만하게 우측으로 방향을 바꾼다.
다음에, 조향 조작구(77)가 우측의 제1 선회 위치(R1)로부터 우측의 제2 선회 위치(R2)측으로 조작되어 제1 선회 기구 또는 완선회 기구(46)의 작동압이 조금 승압되면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선회 기구 또는 완선회 기구(46)로부터의 동력이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34)[좌측의 맞물림부(33L)]로부터의 동력을 이겨 제1 선회 기구 또는 완선회 기구(46)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우측의 출력 기어(32R)가 구동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34)[좌측의 맞물림부(33L)]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우측의 출력 기어(32R)가 구동되는 것보다도 제1 선회 기구 또는 완선회 기구(46)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우측의 출력 기어(32R)가 구동되는 쪽이 우측의 출력 기어(32R)가 저속으로 구동되게 되어, 기체는 우측으로 완선회하는 것이며, 조향 조작구(77)가 우측의 제2 선회 위치(R2)측으로 조작될수록 기체의 선회 반경이 작아져 간다.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향 조작구(77)가 좌측의 제1 선회 위치(L1)로 조작되면 좌선회 제어 밸브(68)가 공급 위치(68a)로 조작되고, 언로드 밸브(70)가 차단 위치(70a)로 조작되고,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34)[좌측의 맞물림부(33L)] 및 좌측의 선회 클러치(49)로 작동유가 공급되어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34)[좌측의 맞물림부(33L)]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고 좌측의 선회 클러치(49)가 전동 상태로 조작된다. 이와 동시에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조작이 행해져, 기체는 완만하게 좌측으로 방향을 바꾼다. 조향 조작구(77)가 좌측의 제1 선회 위치(L1)로부터 좌측의 제2 선회 위치(L2)측으로 조작되면 상기와 마찬가지의 조작이 행해져 기체는 좌측으로 완선회한다.
[9]
다음에, 조향 조작구(77)에 의한 신지 선회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회 설정 수단(78)이 신지 선회 위치로 조작되면 파일럿 조작 밸브(73, 74)에 의해 선회 절환 제어 밸브(72)가 신지 선회 위치(72b)로 조작된다. 이에 의해, 조향 조작구(77)가 우측의 제1 선회 위치(R1)로 조작되면 우선회 제어 밸브(67)가 공급 위치(67a)로 조작되고, 언로드 밸브(70)가 차단 위치(70a)로 조작되고, 우측의 사이드 클러치(34)[우측의 맞물림부(33R)] 및 우측의 선회 클러치(49)로 작동유가 공급되어 우측의 사이드 클러치(34)[우측의 맞물림부(33R)]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고, 우측의 선회 클러치(49)가 전동 상태로 조작된다. 이 경우, 좌측의 선회 클러치(49)가 반전동 상태이므로, 전항 [8]과 마찬가지로 기체는 완만하게 우측으로 방향을 바꾼다.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향 조작구(77)가 우측의 제1 선회 위치(R1)로 조작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우선회 제어 밸브(67)가 공급 위치(67a)로 조작되고 언로드 밸브(70)가 차단 위치(70a)로 조작되는 동시에, 비례 제어 밸브(71) 및 선회 절환 제어 밸브(72)[신지 선회 위치(72b)]를 통하여 제2 선회 기구 또는 브레이크 기구(50)에 작동유가 공급되기 시작하는 것이며, 조향 조작구(77)가 우측의 제1 선회 위치(R1)로부터 우측의 제2 선회 위치(R2)측으로 조작될수록 비례 제어 밸브(71)에 의해 제2 선회 기구 또는 브레이크 기구(50)의 작동압이 승압 조작된다{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향 조작구(77)의 조작 위치와 비례 제어 밸브(71)의 조작 전류[제2 선회 기구 또는 브레이크 기구(50)의 작동압]의 관계를 나타내는 실선 A2(신지 선회 상태) 참조}.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향 조작구(77)의 조작 위치에 기초하여 비례 제어 밸브(71)에 의해 제2 선회 기구 또는 브레이크 기구(50)의 작동압이 승압 조작되는데 수반하여 전동축(44), 전동 기어(48), 선회 클러치 케이스(47) 및 우측의 선회 클러치(49)를 통하여 우측의 출력 기어(32R)에 제동력이 가해져 제동력이 강해져 간다.
이 경우,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34)[좌측의 맞물림부(33L)]로부터의 동력과, 제2 선회 기구 또는 브레이크 기구(50)의 제동력이 동시에 우측의 출력 기어(32R)로 전달되는 상태로 되므로 제2 선회 기구 또는 브레이크 기구(50)의 작동압이 저압의 범위[조향 조작구(77)가 우측의 제1 선회 위치(R1)의 근방으로 조작된 상태]에서는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34)[좌측의 맞물림부(33L)]로부터의 동력이 제2 선회 기구 또는 브레이크 기구(50)의 제동력을 이겨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34)[좌측의 맞물림부(33L)]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우측의 출력 기어(32R)가 구동된다. 이에 의해, 제2 선회 기구 또는 브레이크 기구(50)의 작동압이 저압의 범위에서는 기체는 완만하게 우측으로 방향을 바꾼다.
다음에, 조향 조작구(77)가 우측의 제1 선회 위치(R1)로부터 우측의 제2 선회 위치(R2)측으로 조작되고 제2 선회 기구 또는 브레이크 기구(50)의 작동압이 조금 승압되면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선회 기구 또는 브레이크 기구(50)의 제동력이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34)[좌측의 맞물림부(33L)]로부터의 동력을 이겨 제2 선회 기구 또는 브레이크 기구(50)의 제동력에 의해 우측의 출력 기어(32R)가 제동 상태로 되고, 기체는 우측으로 신지 선회하는 것이며, 조향 조작구(77)가 우측의 제2 선회 위치(R2)측으로 조작될수록 기체의 선회 반경이 작아져 간다.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향 조작구(77)가 좌측의 제1 선회 위치(L1)로 조작되면 좌선회 제어 밸브(68)가 공급 위치(68a)로 조작되고, 언로드 밸브(70)가 차단 위치(70a)로 조작되고,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34)[좌측의 맞물림부(33L)] 및 좌측의 선회 클러치(49)로 작동유가 공급되어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34)[좌측의 맞물림부(33L)]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고, 좌측의 선회 클러치(49)가 전동 상태로 조작된다. 이와 동시에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조작이 행해져 기체는 완만하게 좌측으로 방향을 바꾼다. 조향 조작구(77)가 좌측의 제1 선회 위치(L1)로부터 좌측의 제2 선회 위치(L2)측으로 조작되면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조작이 행해져 기체는 좌측으로 신지 선회한다.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향 조작구(77)의 파지부에 조향 스위치(77a)가 구비되어 있다. 전항 [8]에 기재한 바와 같이 선회 설정 수단(78)이 완선회 위치로 조작되고, 조향 조작구(77)가 우(좌)측의 제1 선회 위치[R1(L1)]로부터 우(좌)측의 제2 선회 위치[R1(L1)]로 조작된 우측 또는 좌측의 완선회 상태에 있어서, 좀더 작은 반경으로 선회할 필요가 발생했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향 조작구(77)를 우(좌)측의 제1 선회 위치[R1(L1)]로부터 우(좌)측의 제2 선회 위치[R1(L1)]로 조작한 상태로 조향 조작구(77)의 조향 스위치(77a)가 누름 조작되면 선회 절환 제어 밸브(72)가 완선회 위치(72a)로부터 신지 선회 위치(72b)로 조작되고 기체는 우(좌)측으로 신지 선회한다. 이 신지 선회 상태는 조향 조작구(77)의 조향 스위치(77a)가 누름 조작되고 있는 동안뿐이며, 조향 조작구(77)의 조향 스위치(77a)로부터 손이 떼어져 복귀 조작되면 선회 절환 제어 밸브(72)가 신지 선회 위치(72b)로부터 완선회 위치(72a)로 조작되고 기체는 완선회 상태로 복귀된다.
[10]
다음에, 조향 조작구(77)에 의한 초신지 선회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회 설정 수단(78)이 초신지 선회 위치로 조작되면 파일럿 조작 밸브(73, 74)에 의해 선회 절환 제어 밸브(72)가 초신지 선회 위치(72c)로 조작된다. 이에 의해, 조향 조작구(77)가 우측의 제1 선회 위치(R1로 조작되면 우선회 제어 밸브(67)가 공급 위치(67a)로 조작되고, 언로드 밸브(70)가 차단 위치(70a)로 조작되고, 우측의 사이드 클러치(34)[우측의 맞물림부(33R)] 및 우측의 선회 클러치(49)로 작동유가 공급되어 우측의 사이드 클러치(34)[우측의 맞물림부(33R)]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고, 우측의 선회 클러치(49)가 전동 상태로 조작된다. 이 경우, 좌측의 선회 클러치(49)가 반전동 상태이므로 전항 [8]과 마찬가지로 기체는 완만하게 우측으로 방향을 바꾼다.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향 조작구(77)가 우측의 제1 선회 위치(R1)로 조작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우선회 제어 밸브(67)가 공급 위치(67a)로 조작되고 언로드 밸브(70)가 차단 위치(70a)로 조작되는 동시에 비례 제어 밸브(71) 및 선회 절환 제어 밸브(72)[초신지 선회 위치(72c)]를 통하여 제2 선회 기구 또는 역회전 기구(53)에 작동유가 공급되기 시작하는 것이며, 조향 조작구(77)가 우측의 제1 선회 위치(R1)로부터 우측의 제2 선회 위치(R2)측으로 조작될수록 비례 제어 밸브(71)에 의해 제2 선회 기구 또는 역회전 기구(53)의 작동압이 승압 조작된다{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향 조작구(77)의 조작 위치와 비례 제어 밸브(71)의 조작 전류[제2 선회 기구 또는 역회전 기구(53)의 작동압]의 관계를 나타내는 실선 A3(초신지 선회 상태) 참조}.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향 조작구(77)의 조작 위치에 기초하여 비례 제어 밸브(71)에 의해 제2 선회 기구 또는 역회전 기구(53)의 작동압이 승압 조작되는데 수반하여 전동축(27)의 동력이 전동 기어(51, 52), 제2 선회 기구 또는 역회전 기구(53), 전동축(44), 전동 기어(48), 선회 클러치 케이스(47) 및 우측의 선회 클러치(49)를 통하여 전동축(29)과 역방향의 회전 동력으로서 우측의 출력 기어(32R)로 전달된다.
이 경우,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34)[좌측의 맞물림부(33L)]로부터의 동력과, 제2 선회 기구 또는 역회전 기구(53)로부터의 동력이 동시에 우측의 출력 기어(32R)로 전달되는 상태가 되므로 제2 선회 기구 또는 역회전 기구(53)의 작동압이 저압의 범위[조향 조작구(77)가 우측의 제1 선회 위치(R1의 근방으로 조작된 상태)]에서는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34)[좌측의 맞물림부(33L)]로부터의 동력이 제2 선회 기구 또는 역회전 기구(53)로부터의 동력을 이겨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34)[좌측의 맞물림부(33L)]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우측의 출력 기어(32R)가 구동된다. 이에 의해, 제2 선회 기구 또는 역회전 기구(53)의 작동압이 저압의 범위에서는 기체는 완만하게 우측으로 방향을 바꾼다.
다음에, 조향 조작구(77)가 우측의 제1 선회 위치(R1)로부터 우측의 제2 선회 위치(R2)측으로 조작되어 제2 선회 기구 또는 역회전 기구(53)의 작동압이 조금 승압되면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선회 기구 또는 역회전 기구(53)로부터의 동력이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34)[좌측의 맞물림부(33L)]로부터의 동력을 이겨 제2 선회 기구 또는 역회전 기구(53)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우측의 출력 기어(32R)가 구동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 좌측의 출력 기어(32L)에 대하여, 우측의 출력 기어(32R)가 역방향으로 구동되어 기체는 우측으로 초신지 선회하는 것이며 조향 조작구(77)가 우측의 제2 선회 위치(R2)측으로 조작될수록 기체의 선회 반경이 작아져 간다.
도4 및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향 조작구(77)가 좌측의 제1 선회 위치(L1)로 조작되면 좌선회 제어 밸브(68)가 공급 위치(68a)로 조작되고, 언로드 밸브(70)가 차단 위치(70a)로 조작되고,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34)[좌측의 맞물림부(33L)] 및 좌측의 선회 클러치(49)로 작동유가 공급되어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34)[좌측의 맞물림부(33L)]가 차단 상태로 조작되고, 좌측의 선회 클러치(49)가 전동 상태로 조작된다. 이와 동시에,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조작이 행해져, 기체는 완만하게 좌측으로 방향을 바꾼다. 조향 조작구(77)가 좌측의 제1 선회 위치(L1)로부터 좌측의 제2 선회 위치(L2)측으로 조작되면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의 조작이 행해져 기체는 좌측으로 초신지 선회한다.
[11]
전항 [8], [9], [10]에 기재한 완선회 상태, 신지 선회 상태 및 초신지 선회 상태에 있어서, 조향 조작구(77)의 조작 위치와 비례 제어 밸브(71)의 조작 전류[제1 선회 기구 또는 완선회 기구(46)의 작동압]의 관계가, 도6의 실선 A1(완선회 상태)로 나타내는 관계로 되고, 조향 조작구(77)의 조작 위치와 비례 제어 밸브(71)의 조작 전류[제2 선회 기구 또는 브레이크 기구(50)의 작동압]의 관계가 도6의 실선 A2(신지 선회 상태)로 나타내는 관계로 되고, 조향 조작구(77)의 조작 위치와 비례 제어 밸브(71)의 조작 전류[제2 선회 기구 또는 역회전 기구(53)의 작동압]의 관계가 도6의 실선 A3(초신지 선회 상태)로 나타내는 관계로 되어 있다.
실선 A1(완선회 상태), A2(신지 선회 상태), A3(초신지 선회 상태)은 이하에 나타내는 식 B1, B2, B3과 같은 2차 곡선으로 되어 있다.
B1(A1(완선회 상태)):Y1=a11·X·X-a21·X+a31
B2(A2(신지 선회 상태)):Y2=a12·X·X-a22·X+a32
B3(A3(초신지 선회 상태)):Y3=a13·X·X-a23·X+a33
X:조향 조작구(77)의 조작 위치
Y1: 비례 제어 밸브(71)의 조작 전류[제1 선회 기구 또는 완선회 기구(46)의 작동압]
Y2: 비례 제어 밸브(71)의 조작 전류[제2 선회 기구 또는 브레이크 기구(50)의 작동압]
Y3: 비례 제어 밸브(71)의 조작 전류[제2 선회 기구 또는 역회전 기구(53)의 작동압]
a11 내지 a33 : 양의 정수
이에 의해, 완선회 상태, 신지 선회 상태 및 초신지 선회 상태에 있어서, 조향 조작구(77)의 단위 조작량에 대한 비례 제어 밸브(71)의 단위 조작 전류[제1 선회 기구 또는 완선회 기구(46), 제2 선회 기구 또는 브레이크 기구(50) 및 제2 선회 기구 또는 역회전 기구(53)에 의해 우측 및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1)에 발생하는 단위 속도차](제1 및 제2 상태의 단위 속도차)가 조향 조작구(77)의 우측 및 좌측의 제1 선회 위치(R1, L1)측[직진 위치(N)측]의 영역에서 작고, 조향 조작구(77)의 우측 및 좌측 제1 선회 위치(R2, L2)측(조향 한도측)의 영역에서 크게 되어 있다.
이 경우, 양의 정수 a11 내지 a33에 있어서,
a11>a12>a13
a21>a22>a23
a31>a32>a33
이라는 관계가 성립하고 있으며,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 B1[A1(완선회 상태)], 식 B2[A2(신지 선회 상태)], 식 B3[A3(초신지 선회 상태)]가 서로 다른 2차 곡선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완선회 상태, 신지 선회 상태 및 초신지 선회 상태에 있어서, 서로 선회 특성이 다르다(제1 상태의 단위 속도차의 변화 특성과, 제2 상태의 단위 속도차의 변화 특성이 다른 상태에 상당).
전술한 양의 정수 a11 내지 a33의 관계에 의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향 조작구(77)의 우측 및 좌측의 제1 선회 위치(R1, L1)측[직진 위치(N)측]의 영역에 있어서, 초신지 선회 상태의 조향 조작구(77)의 단위 조작량에 대한 비례 제어 밸브(71)의 단위 조작 전류보다도 신지 선회 상태의 조향 조작구(77)의 단위 조작량에 대한 비례 제어 밸브(71)의 단위 조작 전류가 작은 것으로 되어 있다. 신지 선회 상태의 조향 조작구(77)의 단위 조작량에 대한 비례 제어 밸브(71)의 단위 조작 전류보다도 완선회 상태의 조향 조작구(77)의 단위 조작량에 대한 비례 제어 밸브(71)의 단위 조작 전류가 작은 것으로 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의 제1 다른 형태]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완선회 상태, 신지 선회 상태 및 초신지 선회 상태에 있어서, 이하에 기재하는 상태 (1)(2)(3) 중 어느 하나가 성립하면 변속 레버(61)의 변속 스위치(61a)에 의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1)의 모터(11M)의 고속 위치로의 조작(전항[5] 참조)을 행할 수 없도록 구성해도 된다.
(1) 조향 조작구(77)가 우측의 제1 및 우측의 제2 선회 위치(R1, R2)의 사이[좌측의 제1 및 좌측의 제2 선회 위치(L1, L2)의 사이]로 조작된 상태.
(2) 조향 조작구(77)가 우측의 제1 및 우측의 제2 선회 위치(R1, R2)의 사이[좌측의 제1 및 좌측의 제2 선회 위치(L1, L2) 사이]로 조작되고, 또한 기체의 주행 속도가 설정 속도 이상의 고속인 상태.
(3) 조향 조작구(77)가 우측의 제1 및 우측의 제2 선회 위치(R1, R2) 사이의 중간 위치[좌측의 제1 및 좌측의 제2 선회 위치(L1, L2) 사이의 중간 위치]로부터 우측의 제2 선회 위치(R2)측[좌측의 제2 선회 위치(L2측)]으로 조작된 상태.
[제1 실시 형태의 제2 다른 형태]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완선회 상태, 신지 선회 상태 및 초신지 선회 상태에 있어서, 이하에 기재하는 상태 (1) (2) (3) 중 어느 하나가 성립하면 변속 레버(61)의 변속 스위치(61a)에 의한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11)의 모터(11M)의 고속 위치로의 조작(전항[5] 참조)을 행할 수 없도록 구성해도 된다.
(1) 제1 선회 기구 또는 완선회 기구(46), 제2 선회 기구 또는 브레이크 기구(50) 및 제2 선회 기구 또는 역회전 기구(53)가 작동함으로써 우측 및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속도차가 발생하고 있는 상태.
(2) 제1 선회 기구 또는 완선회 기구(46), 제2 선회 기구 또는 브레이크 기구(50) 및 제2 선회 기구 또는 역회전 기구(53)가 작동함으로써 우측 및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속도차가 발생하고, 또한 기체의 주행 속도가 설정 속도 이상의 고속인 상태.
(3) 제1 선회 기구 또는 완선회 기구(46), 제2 선회 기구 또는 브레이크 기구(50) 및 제2 선회 기구 또는 역회전 기구(53)가 작동함으로써 우측 및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1)에 속도차가 발생하고, 또한 그 속도차가 설정 속도차 이상인 상태.
[제1 실시 형태의 제3 다른 형태]
상기한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의 제1 다른 형태], [제1 실시 형태의 제2 다른 형태]에 있어서, 역회전 기구(53)를 폐지하고, 제1 선회 기구 또는 완선회 기구(46)와 제2 선회 기구 또는 브레이크 기구(50)를 구비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렇게 구성하면 완선회 기구(46)가 제1 선회 기구가 되고, 브레이크 기구(50)가 제2 선회 기구로 된다.
전술한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의 제1 다른 형태], [제1 실시 형태의 제2 다른 형태]에 있어서, 브레이크 기구(50)를 폐지하고, 완선회 기구(46)와 역회전 기구(53)를 구비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렇게 구성하면, 완선회 기구(46)가 제1 선회 기구로 되고, 역회전 기구(53)가 제2 선회 기구로 된다.
[제1 실시 형태의 제4 다른 형태]
상기한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의 제1 다른 형태] 내지 [제1 실시 형태의 제3 다른 형태]에 있어서, 신지 선회 상태의 특성{식 B2[A2(신지 선회 상태)]}과 초신지 선회 상태의 특성{식 B3[A3(초신지 선회 상태)]}가 동일하게 되도록 구성해도 된다(이 경우, a12=a13, a22=a23, a32=a33으로 설정하면 된다).
[제1 실시 형태의 제5 다른 형태]
상기한 [제1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의 제1 다른 형태] 내지 [제1 실시 형태의 제4 다른 형태]에 있어서, 식 B1[Al(완선회 상태)], 식 B2[A2(신지 선회 상태)], 식 B3[A3(초신지 선회 상태)]을 2차 곡선으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기울기가 상이한 복수의 직선(1차 함수)을 조합함으로써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특성이 얻어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도7 내지 도16을 참조하면서 제2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2 실시 형태에서는 트랙 프레임(122)의 가로 일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위치한 접지 전륜(124, 125, 126)이 구비된 크롤러 주행 장치의 크롤러 장력 조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트랙 프레임(122)의 상기 접지 전륜(grounding roller)(124, 125, 126) 이 위치하는 가로일측방에 위치하고 상기 트랙 프레임(122)에 지지된 가이드 부재(152)와, 상기 가이드 부재(152)에 트랙 프레임 전후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장력 조정 프레임(151)과, 상기 장력 조정 프레임(151)의 휠 지지부(15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크롤러 벨트(129)에 지지 작용하는 텐션 휠(tension wheel)(127)과, 상기 장력 조정 프레임(151)을 상기 가이드 부재(152)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조절하는 장력 조정 기구(155)를 구비하고,
상기 휠 지지부(150)에 상기 텐션 휠(127)을 양 횡측에서 지지하는 두 갈래 형상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크롤러 텐션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JP2005-335614 A에 기재된 것이 있다(단락 〔0019〕, 도3 참조).
이 문헌에 기재된 크롤러 장력 조정 장치에서는 트랙 프레임의 후단부에 전후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한 브래킷과, 이 브래킷에 헐겁게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된 텐션 휠을 구비하고 있다.
텐션 휠은, 브래킷을 조작축의 회전에 의해 나사 이송 이동시킴으로써 크롤러 벨트의 텐션 조절을 행한다.
이 크롤러 장력 조정 장치에서는 브래킷으로부터 가로 일측으로 연장된 지지축을 구비하고, 이 지지축의 연장단부측에 텐션 휠을 지지시킴으로써 텐션 휠을, 크롤러 벨트가 적절하게 감아 돌려지도록 트랙 프레임의 접지용 전륜이 위치하는 가로 일측에 위치시키고 있다.
이 크롤러 장력 조정 장치에서는 선회 시 등 크롤러 벨트에 강한 장력이 발 생했을 때, 텐션 휠의 지지축 등의 지지 부재에 큰 변형이 발생하면 텐션 휠의 동작의 변위가 발생하여 크롤러 벨트가 벗겨지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크롤러 벨트에 강한 장력이 발생해도 텐션 휠의 동작의 변위가 발생하지 않도록 텐션 휠을 견고하게 지지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크롤러 장력 조절 장치에서는 텐션 휠의 지지축이 텐션 휠의 편측만으로 지지되고 있어, 텐션 휠의 지지를 견고하게 행해지도록 하면 지지축이 굵어지거나 하여 중량이 증대되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따르면 트랙 프레임(122)의 접지 전륜(124, 125, 126)이 위치하는 가로 일측에 위치한 가이드 부재(152)를 채용함으로서 장력 조정 프레임(151)의 휠 지지부(150)에 텐션 휠(127)을 양 횡측에서 지지하는 두 갈래 형상을 구비시키면서 텐션 휠(127)을, 크롤러 벨트(143)가 적절하게 감아 돌려지도록 트랙 프레임(122)의 접지 전륜(124, 125, 126)이 위치하는 가로 일측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텐션 휠(127)의 지지축을 텐션 휠(127)의 양 횡측에서 지지시켜, 텐션 휠(127)의 지지축, 장력 조정 프레임(151) 등을 종래의 것에 비하여 콤팩트한 것을 채용해도 또한 크롤러 벨트(129)에 강한 장력이 발생해도 텐션 휠(127)을 동작의 변위가 없도록 견고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크롤러 벨트(129)가 벗겨지는 등의 사태가 발생하기 어렵도록 텐션 휠(127)의 지지를 견고하게 행하게 하면서 텐션 휠 지지 구조의 면으로부터 경량화를 달성한 크롤러 장력 조정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적합하게는, 상기 가이드 부재(152)를 상기 텐션 휠(127)이 가이드 부재(152)로부터 떨어질수록 트랙 프레임(122)에 대하여 상승하는 상태로 상기 장력 조정 프레임(151)을 미끄럼 이동 안내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것은 이하의 점에서 유리하다.
텐션 휠(127)의 크롤러 벨트(129)에 의한 하중에 대하여 보면, 크롤러 벨트(129)의 텐션 휠(127)보다도 상측에 위치하여 트랙 프레임(122)을 따른 방향으로 되어 있는 부위에 발생하는 장력과, 텐션 휠(127)보다도 하측에 위치하여 트랙 프레임(122)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되어 있는 부위에 발생하는 장력과의 합력이 크롤러 벨트(129)의 장력으로서 텐션 휠에 가해진다.
본 구성에 따르면, 크롤러 벨트(129)의 장력에 의해 텐션 휠(127)에 가해지는 하중의 방향이 장력 조정 프레임(151)이 가이드 부재(152)로 안내되어 이동하는 방향을 따른 방향, 혹은 그것에 가까운 방향이 되어, 가이드 부재(152)와 장력 조정 프레임(151) 사이의 비틀림을 발생하기 어렵게 하면서 장력 조정 프레임(151)을 미끄럼 이동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152)와 장력 조정 프레임(151) 사이의 비틀림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장력 조절을 원활하고 또한 가볍게 행할 수 있는 크롤러 장력 조절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력 조정 기구(155)를, 상기 장력 조정 프레임에 대하여 상기 트랙 프레임(122)이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배치하고 상기 가이드 부재(152)와 상기 장력 조정 프레임(151)에 걸쳐 설치되어 있으면, 이하의 점에서 유리하다.
본 구성에 따르면, 장력 조정 기구(155)를 장력 조정 프레임(151)에 대하여 트랙 프레임(122)이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으로부터 트랙 프레임(122)에 의한 장 해를 받지 않고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장력 조정 기구(155)의 조작을 트랙 프레임(122)의 조작 장해를 받지 않고 행하여 장력 조절을 편안하고 능률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조작성이 좋은 크롤러 장력 조정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랙 프레임(122)에 크롤러 벨트(129)에 벗겨짐 방지 작용하는 크롤러 가이드(143)를 지지시키는 가이드 설치부(144)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 설치부(144)에 상기 장력 조정 프레임(151)에 지지 작용하는 지지부(144a)를 구비하고 있는 것도 이하의 점에서 유리하다.
가이드 설치부(144)는, 크롤러 가이드(143)를 지지하기 때문에 우수한 강도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의해, 본 구성에 따르면 가이드 설치부(144)를 지지 수단으로 이용하여 장력 조정 프레임(15l)을 견고하게 지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장력 조정 프레임(151)이 견고하게 지지되어 크롤러 벨트(129)의 장력 조절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크롤러 장력 조절 장치를 가이드 설치부(144)를 지지 수단으로 이용한 간단한 구조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이하, 제2 실시 형태에 대해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7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크롤러 장력 조정 장치(A)가 구비된 작업기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작업기는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101, 101)에 의해 자주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운전 좌석(102)이 장비된 운전부를 구비한 주행 기체와, 이 주행 기체의 기체 프레임(103)의 전방부에 연결된 예취부(110)를 구비하고, 상기 기체 프레임(103)의 후방부측에 기체 횡방향으로 배열 하여 설치한 탈곡 장치(104)와 그레인 탱크(105)를 구비하고 있다.
이 작업기는 벼나 보리 등을 수확한다.
즉, 예취부(110)는 상기 기체 프레임(103)의 전방부에 상하 요동 가능하게 연결된 예취 프레임(111)을 구비하고, 이 예취 프레임(111)이 승강 실린더(112)에 의해 상하로 요동 조작됨으로써 예취부(110)의 전단부에 기체 횡방향으로 배열하여 위치하는 분초구(grass-diving tool)(113)가 지면 가까이에 하강한 하강 작업 상태와, 상기 분초구(113)가 지면으로부터 높게 상승한 상승 비작업 상태로 승강한다.
예취부(110)를 하강 작업 상태로 하여 주행 기체를 주행시키면 예취부(110)는 예취 대상의 직립 곡간을 각 분초구(113)에 의해 기체 횡방향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세우기 장치(114) 중 분초구(113)에 대응한 세우기 장치(114)에 도입하여 세우기 처리하고, 각 세우기 장치(114)에 의해 세우기 처리되는 직립 곡간을 하나의 커터형의 예취 장치(115)에 의해 예취 처리하고, 예취 장치(115)로부터의 예취 곡간을 공급 장치(116)에 의해 탈곡 장치(104)의 탈곡 피드 체인(104a)의 시단부(始端部)로 공급한다.
탈곡 장치(104)는 탈곡 피드 체인(104a)에 의해 예취 곡간의 밑줄기측을 기체 후방측으로 끼움 지지 반송하고, 그 예취 곡간의 이삭끝측을 급실(도시하지 않음)로 공급하여 탈곡 처리한다. 그레인 탱크(105)는 탈곡 장치(104)로부터 반송된 탈곡립을 회수하여 저류해 간다.
도8은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101)의 측면도이다. 도9는 상기 좌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101)의 평면도이다. 우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101)는 좌측의 크롤 러 주행 장치(101)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며, 우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101)의 도시를 생략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롤러 주행 장치(101)는 상기 기체 프레임(103)에 전후 한 쌍의 지지 아암(120, 121)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트랙 프레임(122)과, 이 트랙 프레임(122)의 전방 상방에서 미션 케이스(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상기 기체 프레임(103)에 지지시킨 구동 회전 가능한 크롤러 구동륜(123)과, 상기 트랙 프레임(122)의 주행 기체 가로 외측에 위치하는 쪽의 가로 측방에 트랙 프레임 전후 방향으로 배열하여 트랙 프레임(122)에 지지시킨 8개의 헐겁게 회전 가능한 접지 전륜(124, 125, 126)과, 상기 8개의 접지 전륜(124, 125, 126) 중 가장 트랙 프레임 후단부측에 위치하는 접지 전륜(126)의 후방 상방에 위치시켜 트랙 프레임(122)의 후단부에 설치한 텐션 휠(127)과, 상기 트랙 프레임(122)의 상방에서 상기 기체 프레임(103)에 지지시킨 전후 한 쌍의 헐겁게 회전 가능한 캐리어 롤러(128, 128)를 구비하고, 상기 크롤러 구동륜(123)과 상기 8개의 접지 전륜(124, 125, 126)과 상기 텐션 휠(127)과 상기 전후 한 쌍의 캐리어 롤러(128, 128)에 걸쳐 감아 돌려진 고무제의 크롤러 벨트(129)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전방측의 지지 아암(120)은, 이 지지 아암(120)의 기부를 기체 프레임(10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회전 지지축(120a)과, 이 회전 지지축(120a)의 상기 지지 아암(120)이 연결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연동 아암(130)을 통하여 유압 실린더(131)의 실린더 로드(131a)에 연동되어 있다.
즉, 전방측의 지지 아암(120)은 상기 유압 실린더(131)에 의해 상기 회전 지지축(120a)의 축심 주위로 기체 프레임(103)에 대하여 상하로 요동 조작되고 트랙 프레임(122)의 전단측을 기체 프레임(103)에 대하여 승강 조작한다.
상기 후방측의 지지 아암(121)은 이 지지 아암(121)의 기부를 기체 프레임(10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회전 지지축(121a)과, 이 회전 지지축(121a)의 상기 지지 아암(121)이 연결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에 일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연동 아암(132)을 통하여 유압 실린더(133)의 실린더 로드(133a)에 연동되어 있다. 후방측의 지지 아암(121)의 헐거운 단부측은 캔슬 링크(134)를 통하여 트랙 프레임(122)의 후단부측에 연결되어 있다.
즉, 후방측의 지지 아암(121)은 상기 유압 실린더(133)에 의해 상기 회전 지지축(121a)의 축심 주위로 기체 프레임(103)에 대하여 상하로 요동 조작되고, 캔슬 링크(134)를 통하여 트랙 프레임(122)의 후단부측을 기체 프레임(103)에 대하여 승강 조작한다.
즉,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01, 101)에 있어서의 전후 한 쌍의 지지 아암(120, 121)이 요동 조작됨으로써 주행 기체가 지면에 대하여 횡방향이나 전후 방향으로 경사진다.
즉,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01)의 한 쪽에 있어서의 전후 한 쌍의 지지 아암(120, 121)이 모두 상승 혹은 하강 요동하도록, 또한 전후 한 쌍의 지지 아암(120, 121)의 상승 혹은 하강 스트로크가 동일하게 되도록 요동 조작됨으로써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01)의 한 쪽에 있어서의 트랙 프레임(122)이 기체 프레 임(103)에 대하여 평행하게 상승 혹은 하강하고, 주행 기체의 횡방향에서의 일단부가 타단부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101)에 의한 접지점을 요동 지지점으로 하여 지면에 대하여 승강한다.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01)에 있어서의 전방측의 지지 아암(120)과 후방측의 지지 아암(121)의 한 쪽이 상승 혹은 하강 요동하도록, 또한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01)에 있어서의 지지 아암(120, 121)의 상승 혹은 하강 스트로크가 동일하게 되도록 요동 조작됨으로써 좌우의 크롤러 주행 장치(101)에 있어서의 트랙 프레임(122)이 전단측에서의 접지점을 요동 지지점으로 하여 기체 프레임(103)에 대하여 상하로 요동하거나, 혹은 후단부측에서의 접지점을 요동 지지점으로 하여 기체 프레임(103)에 대하여 상하로 요동하고, 주행 기체의 전후 방향에서의 일단부가 타단부측을 요동 지지점으로 하여 지면에 대하여 승강한다.
다음에, 상기 8개의 접지 전륜(124, 125, 126) 중 가장 트랙 프레임 후단부측에 위치하는 접지 전륜(126)을 최후 접지 전륜(126)이라고 칭하고, 상기 8개의 접지 전륜(124, 125, 126) 중 상기 최후 접지 전륜(126)보다도 전방에 최후 접지 전륜(126)과 인접하여 위치하는 접지 전륜(125)을 후접지 전륜(125)이라고 칭하여 설명한다.
상기 후접지 전륜(125)과 상기 최후 접지 전륜(126)은 트랙 프레임(122)에 헐겁게 회전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트랙 프레임(122)에 대하여 승강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8개의 접지 전륜(124, 125, 126) 중 상기 최후 접지 전륜(126)과 상기 후접지 전륜(125)을 제외한 접지 전륜(124)은, 인접하는 2개의 접지 전륜(124, 124)이 하나의 전륜 그룹을 형성하도록 그룹 분리되어, 각 전륜 그룹의 2개의 접지 전륜(124, 124)이 통합되어 하나의 천칭 연결 부재(140)에 의해 트랙 프레임(122)에 연결되는 상태로 트랙 프레임(122)에 지지되어 있다.
도9,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각 천칭 연결 부재(140)는, 이것의 중간부에 위치한 연결축(141)을 통하여 트랙 프레임(12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각 전륜 그룹을 형성하고 있는 2개의 접지 전륜(124, 124)의 한 쪽의 접지 전륜(124)은 상기 천칭 연결 부재(140)의 상기 연결축(141)보다도 전단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헐겁게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다른 쪽의 접지 전륜(124)은 상기 천칭 연결 부재(140)의 상기 연결축(141)보다도 후단부측에 위치하는 부위에 헐겁게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8개의 접지 전륜(124, 125, 126) 중 상기 최후 접지 전륜(126)과 상기 후접지 전륜(125)을 제외한 접지 전륜(124)으로서, 상기 각 전륜 그룹을 형성하고 있는 2개의 접지 전륜(124, 124)은 천칭 연결 부재(140)에 의해 트랙 프레임(122)에 설치되어 있고, 천칭 연결 부재(140)의 요동에 의해 상기 연결축(141)의 축심을 요동 지지점으로 하여 트랙 프레임(122)에 대하여 배반적으로 승강한다.
크롤러 주행 장치(101)는 상기 각 전륜 그룹에 대응시켜 설치한 크롤러 가이드(142)와, 상기 후접지 전륜(125)과 상기 최후 접지 전륜(126)에 대응시켜 설치한 크롤러 가이드(143)를 구비하고 있다.
도8,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전륜 그룹에 대응하는 상기 크롤러 가이드(142)는 전륜 그룹의 한 쪽의 접지 전륜(124)의 좌우 한 쌍의 안내 휠체부의 사이와, 다른 쪽의 접지 전륜(124)의 좌우 한 쌍의 안내 휠체부 사이에 걸쳐 위치하는 막대 형상의 가이드 본체(142a)와, 이 가이드 본체(142a)를 상기 천칭 연결 부재(140)에 연결하는 연결 레버(142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가이드 본체(142a)에 의해 크롤러 벨트(129)의 좌우의 심금 돌기(129a, 129a)에 걸림 작용하여 크롤러 벨트(129)의 벗겨짐 방지를 행한다. 각 전륜 그룹에 대응하는 크롤러 가이드(142)는 상기 가이드 본체(142a)와 상기 연결 레버(142b)를 상기 천칭 연결 부재(140)와 함께 일체 주조함으로써 제작하고 있다.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최후 접지 전륜(126)과 상기 후접지 전륜(125)에 대응하는 상기 크롤러 가이드(143)는 후접지 전륜(125)의 좌우 한 쌍의 안내 휠체부의 사이와 최후 접지 전륜(126)의 좌우 한 쌍의 안내 휠체부의 사이에 걸쳐 위치하는 막대 형상의 가이드 본체(143a)와, 이 가이드 본체(143a)를 트랙 프레임(122)이 구비하는 가이드 설치부(144)에 연결하는 연결 레버(143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고, 가이드 본체(143a)에 의해 크롤러 벨트(129)의 좌우의 심금(core bar) 돌기(129a)에 걸림 작용하여 크롤러 벨트(129)의 벗겨짐 방지를 행한다. 이 크롤러 가이드(143)는 상기 가이드 본체(143a)와 상기 연결 레버(143b)를 일체 주조함으로써 제작하고 있다.
트랙 프레임(122)의 상기 가이드 설치부(144)는 트랙 프레임(122)의 가로 측면에 금속 블록을 부설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설치부(144)는 가이드 설치부(144)의 단부에 3개의 연결 볼트(145)를 트랙 프레임(122)의 상하 방향과 전후 방향으로 삼각 배치로 배열하여 장착됨으로써 상기 크롤러 가이드(143)의 연결 레버(143b)를 지지한다.
크롤러 주행 장치(101)는 트랙 프레임(122)의 후방부에 설치한 본 실시 형태에 대한 크롤러 장력 조정 장치(A)를 구비하고 있다.
도9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크롤러 장력 조정 장치(A)의 평면에서 볼 때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10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크롤러 장력 조정 장치(A)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1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크롤러 장력 조정 장치(A)의 종단 평면도이다.
도12는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크롤러 장력 조정 장치(A)의 종단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크롤러 장력 조정 장치(A)는 상기 텐션 휠(127)과, 이 텐션 휠(127)을 휠 지지부(150)에서 헐겁게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장력 조정 프레임(151)과, 이 장력 조정 프레임(151)을 지지하는 가이드 부재(152)와, 상기 휠 지지부(150)의 횡측부에 돌출 설치한 걸림부(153a)와 상기 가이드 부재(152)에 설치한 지지부(154)에 걸쳐 설치한 장력 조절축(155)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장력 조정 프레임(151)은 상기 휠 지지부(150)를 구비하는 것 외에, 이 휠 지지부(150)의 기부에 일단부측이 연결된 각형 강관재로 이루어지는 프레임 본체(151a)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15는 상기 휠 지지부(150)의 평면도이다. 도16은 상기 휠 지지부(150)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휠 지지부(150)는 한 쌍의 축지 지 구멍(156a, 156a)을 텐션 휠(127)의 양 횡측으로 분리하여 위치하는 배치로 구비하는 두 갈래 형상으로 된 축지지 포크(156)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휠 지지부(150)는 상기 축지지 포크(156)에 의해 텐션 휠(127)의 지지축(127a)을 텐션 휠(127)의 양 횡측에서 지지한다. 즉, 텐션 휠(127)을 양 횡측에서 지지한다.
상기 가이드 부재(152)는 트랙 프레임(122)의 상기 각 접지 전륜(124, 125, 126)이 위치하는 가로 일측과 동일한 가로 일측에 배치하고, 트랙 프레임(122)의 전후 한 쌍의 지지 아암부(122a, 122a)에 지지시키고 있으며, 장력 조정 프레임(151)을 트랙 프레임(122)의 가로 일측의 적절한 위치, 즉 텐션 휠(127)에 크롤러 벨트(129)가 적절하게 감아 돌려지는 위치에 배치하고 있다.
도12 내지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부재(152)의 상기 장력 조정 프레임(151)이 돌출되어 있는 측의 단부와 상기 장력 조정 프레임(151)은 트랙 프레임(122)의 상기 설치부(144)의 상단부면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144a)에 하단부가 실린 중개 부재(157)를 개재하여 상기 지지부(144a)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받아 들여 지지되고 있다. 상기 중개 부재(157)는 가이드 부재(152)와 장력 조정 프레임(151)의 하면에 일측면이 받아들임 작용하는 상측 판금 부재(157a)와, 이 상측 판금 부재(157a)와 상기 지지부(144a) 사이에 개재하는 하측 판금 부재(157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장력 조정 프레임(151)은, 이것의 프레임 본체(151a)가 상기 가이드 부재(152)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내부 삽입되어 있는 것에 의해, 가이드 부재(152) 에 의해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가이드 부재(152)의 내측면에 의해 미끄럼 이동 안내되어 트랙 프레임(122) 전후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한다. 장력 조정 프레임(151)은 가이드 부재(152)의 설치 방향에 의해 미끄럼 이동 방향이 설정됨으로써 텐션 휠(127)이 가이드 부재(152)로부터 떨어질수록 트랙 프레임(122)에 대하여 상승하는 상태로 미끄럼 이동한다. 즉, 장력 조정 프레임(151)은 크롤러 벨트(129)의 텐션 휠(127)보다도 상측에 위치하여 트랙 프레임(122)에 따른 방향으로 되어 있는 부위의 장력과, 텐션 휠(127)보다도 하측에 위치하여 트랙 프레임(122)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되어 있는 부위의 장력에 의해 텐션 휠(127)에 가해지는 하중의 방향에 가까운 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한다.
상기 장력 조정축(155)은 가이드 부재(152)의 상기 지지부(154)에 설치한 조정축 삽입 통과 구멍의 암나사에 나사 결합한 나사 축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회전 조작되면 가이드 부재(152)에 대하여 트랙 프레임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여 휠 지지부(150)의 상기 걸림부(153a)에 밀거나 혹은 당김 작용함으로써 장력 조절 프레임(151)을 가이드 부재(152)에 대하여 미끄럼 이동 조절한다. 이 장력 조정축(155)은 장력 조정 프레임(151)에 대하여 트랙 프레임(122)이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고, 크롤러 주행 장치(101)의 주행 기체 가로 외측으로부터 트랙 프레임(122)에 의한 조작 장해를 받지 않고 조작할 수 있다.
결국, 크롤러 장력 조정 장치(A)는 장력 조정축(155)이 회전 조작됨으로써 이 장력 조정축(155)에 의해 장력 조정 프레임(151)을 가이드 부재(152)와 중개 부재(157)에 미끄럼 이동 안내시키면서 이동 조절한다. 이때, 장력 조정 프레 임(151)은 크롤러 벨트(129)의 장력에 의해 텐션 휠(127)에 가해지는 하중의 방향에 가까운 방향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고, 장력 조정 프레임(151)과 가이드 부재(152) 사이에 비틀림이 발생하기 어려운 상태로 미끄럼 이동한다. 그러면, 텐션 휠(127)이 트랙 프레임(122)에 대하여 그 후방측으로 이동 조절되어 크롤러 벨트(129)를 보다 주행 장치 후방측으로 누름으로써 크롤러 벨트(129)의 텐션력을 증대측으로 조정한다. 혹은, 텐션 휠(127)이 트랙 프레임(122)에 대하여 전방측으로 이동 조절되어 크롤러 벨트(129)의 압박을 감소시킴으로써 크롤러 벨트(129)의 텐션력을 감소측으로 조정한다.
도15, 도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휠 지지부(150)는 상기 축지지 포크(156)와 상기 걸림부(153a)를 구비하는 것 외에, 축지지 포크(156)의 외주측에 설치한 상하 한 쌍의 보강 리브(158, 158)와, 상기 축지지 포크(156)에 대하여 상기 걸림부(153a)가 위치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설치한 제2 걸림부(153b)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축지지 포크(156)와 상기 걸림부(153a)와 상기 보강 리브(158)와 상기 제2 걸림부(153b)는 로스트 왁스 주조에 의해 일체 주조되고 있다.
상기 제2 걸림부(153b)는 장력 조정 프레임(151)이 우측의 크롤러 주행 장치(101)의 크롤러 장력 조정 장치(A)에 장비되었을 때, 장력 조정축(155)을 설치하는 것이다.
〔제2 실시 형태의 다른 실시 형태〕
상기한 실시 형태 대신에, 장력 조정 프레임(151)을 그리스 실린더에 의해 미끄럼 이동 조절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 서, 장력 조정축(155), 그리스 실린더 등을 총칭하여 장력 조정 기구(155)라고 호칭한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도 17 내지 도35를 참조하면서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탈곡 장치(207)와 그레인 탱크(208)를 좌우로 병렬 배치하는 동시에, 그레인 탱크(208)의 전방측에 엔진(204)을 횡방향에 배치하고, 엔진 동력을 상기 그레인 탱크(208)의 바닥 스크류(210)의 전단부로 전달하도록 구성한 콤바인의 곡립 회수부 구동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엔진(204)으로부터 기체 가로 외측을 향하여 출력축(263)을 돌출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그레인 탱크(208)의 전방측에 중간 전동축(271)을 횡방향으로 지지 가교하여, 상기 중간 전동축(271)의 기체 내측 부위와 상기 출력축(263)을 연동 연결하는 동시에 상기 중간 전동축(271)의 기체 외측 부위와 바닥 스크류(210)의 전단부를 연동 연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탈곡 장치의 곡립 회수부 구동 구조로서는 횡방향에 배치된 엔진으로부터 기체 내 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출력축과, 그레인 탱크의 전방측에 횡방향으로 배치된 중간 전동축의 기체 내방측 부위를 전동 벨트를 통하여 감아 걸기 연동 연결하는 동시에 중간 전동축의 기체 내방측 부위와, 그레인 탱크의 전방부에 구비된 입력 케이스를 연동 연결하여 엔진 동력을 중간 전동축 및 입력 케이스를 통하여 바닥 스크류의 전단부로 전달하도록 구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JP 9-205867 A 참조).
상기 종래 구조에 있어서는, 엔진으로부터 돌출 설치된 출력축이 그레인 탱크의 바닥 스크류보다도 기체 내측으로 크게 떨어진 위치에 있기 때문에 기체의 좌우 중량 밸런스를 위해 엔진을 기체 내측에 설치하면 엔진 동력을 받는 중간 전동축이 좌우로 긴 것으로 된다.
특히, 그레인 탱크를 후방부의 종방향 지지점 주위로 기체 외측에 선회시켜, 탈곡 장치의 횡측부를 크게 개방하도록 구성하는 동시에 중간 전동축의 기체 외측단부와 그레인 탱크의 입력부를 접속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고, 그레인 탱크의 선회 개방에 연동하여 그레인 탱크의 입력부가 중간 전동축으로부터 자동적으로 분리하고, 그레인 탱크의 복귀 선회에 연동하여 그레인 탱크의 입력부가 중간 전동축에 자동적으로 접속되도록 한 것에서는 그레인 탱크의 선회 개방 시에 기체측에 남겨진 긴 중간 전동축이 위치 변화하지 않도록 중간 전동축의 중간부를 다른 축지지 부재로 정밀도 높게 지지해 둘 필요가 있어, 전동 구조를 구성하는 부품점수가 많아지는 동시에 코스트가 높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에 대해,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따르면 엔진(204)을 기체 내측에 배치해도 출력축(263)이 엔진(204)으로부터 기체 가로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으므로 그레인 탱크(208)의 전방측에 가로로 걸친 중간 전동축(271)의 기체 내측 부위와, 중간 전동축(271)의 기체 외측 부위와 바닥 스크류(210)의 전단부와의 연동 위치를 기체 횡방향으로 접근시킬 수 있어, 중간 전동축(271)이 짧은 것으로 된다. 짧은 중간 전동축(271)은 그 중간에서 지지할 필요가 적다.
따라서, 엔진(204)을 기체 내측에 설치하여 기체의 좌우 중량 밸런스를 적합 한 것으로 하면서 엔진(204)으로부터 그레인 탱크(208)의 바닥 스크류(210)에의 전동 구조를 횡방향으로 콤팩트하고 간소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적합하게는, 상기 그레인 탱크(208)를 후방의 종방향 지지점(P)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구성하는 동시에, 상기 그레인 탱크(208)의 전방부에 입력 케이스(251)를 연결하고, 상기 입력 케이스(251)에 구비된 기체 내측을 향한 입력축(254)과 상기 중간 전동축(271)을 동심 형상으로 대향 배치하고, 그 대향 부위에 축심 방향으로부터 결합 분리하는 클러치(273)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은, 이하의 점에서 유리하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그레인 탱크(208)를 기체 외측으로 선회함으로써 중간 전동축(271)과 바닥 스크류(210)의 연동을 자동적으로 차단하여 탈곡 장치(207)로부터 크게 떨어뜨릴 수 있어, 탈곡 장치(207)의 측부에서의 메인터넌스를 개방된 공간으로부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중간 전동축(271)으로부터의 동력을 받는 입력축(254)이 입력 케이스(251)로부터 기체 내 방향으로 돌출되므로 그만큼 중간 전동축(271)을 한층 짧은 것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제3 실시 형태에 대해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17에는 자탈형 콤바인(whole culm discharging type combine-harvester)의 기체 우측으로부터 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콤바인은 좌우 한 쌍의 크롤러 주행 장치(201)를 구비한 기체 프레임(202)의 전방부에 복수줄 베기 사양의 예취부(203)가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기체 프레임(202)의 우측 전방부에 엔진(204)을 내장한 원동부(205) 및 운전부(206)가 배치되는 동시에, 기체 프레 임(202)의 좌측에 탈곡 장치(207)가 탑재되고, 또한 탈곡 장치(207)의 우측에서 원동부(205)의 후방측이 되는 개소에 판금 구조의 그레인 탱크(208)가 장비된 구조로 되어 있고, 예취부(203)에서 예취한 곡간을 탈곡 장치(207)로 공급하여 탈곡 처리하고, 탈곡 장치(207)에서 선별 회수한 곡립을 스크류식의 양곡 장치(209)에 의해 리프팅하여 그레인 탱크(208)에 투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20 및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그레인 탱크(208)는 전후 방향에서 보아 그 하부가 좁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기체 내측을 향하는 좌측면에는 상기 양곡 장치(209)가 들어가 배치되는 세로로 긴 오목부(208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세로로 긴 오목부(208a)의 전후에는 탈곡 장치(207)의 우측면으로 돌출되는 장치 부분과의 간섭을 피하는 오목부(208b, 208c)가 형성되고, 세로로 긴 오목부(208a)의 전방 상부에는 증량용의 팽출부(208d)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그레인 탱크(208)의 좌측면을 탈곡 장치(207)의 우측부 형상으로 최대한 접근시킴으로써 큰 탱크 용량이 확보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그레인 탱크(208)에 있어서의 좁아짐부(208e)의 하단부에는 저류한 곡립을 후방을 향하여 송출하는 바닥 스크류(210)가 지지축(210a)을 통하여 전후 수평하게 지지 가교되는 동시에 바닥 스크류(210)의 상방을 따라 단면 형상이 산형으로 형성된 유하(flow) 안내판(211)이 회전 지지축(212)을 통하여 요동 가능하게 지지 가교되어 있다.
그레인 탱크(208)에 있어서의 좁아짐부(208e)는 저류한 곡립을 남기는 일없이 바닥 스크류(210)로 유도하도록 곡립의 유하 안식각 이상의 경사 각도가 부여되 는 동시에, 상기 바닥 스크류(210)가 기체 프레임(202)보다 외측에 위치하도록 좁아지는부(208a)의 하단부가 탱크 횡폭의 중심보다도 크게 가로 외측으로 치우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바닥 스크류(210)를 수용하는 좁아지는부(208e)의 하단부를 기체 프레임(202)보다 외측에 위치시킴으로써 그레인 탱크(208) 좁아지는부(208e)의 하단부가 기체 프레임(202)의 상방에 위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그레인 탱크(208) 좁아지는부(208e)의 하단부를 낮게 설치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탱크 상단부 위치를 높게 하는 일 없이 탱크 높이(상하 길이)를 크게 하여 용량을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레인 탱크(208)의 후방에는 바닥 스크류(210)에 의해 송출된 곡립을 리프팅한 후, 가로 반송하여 기체 밖으로 반출하는 스크류식의 곡립 반출 장치(213)가 장비되어 있다. 이 곡립 반출 장치(213)는 그레인 탱크(208)의 후방면 하단부에 연통 접속된 스크류식의 세로 반송 기구(213A)와, 이 세로 반송 기구(213A)의 상단부에 연통 접속된 스크류식의 가로 반송 기구(213B)로 구성되어 있고, 곡립 반출 장치(213) 전체가 세로 반송 기구(213A)의 스크류 축심과 동심의 종방향 지지점(p)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그레인 탱크(208)의 하부 후단부에는 바닥 스크류(210)에 있어서의 지지축(210a)의 후단부를 지지하는 반출 케이스(214)가 연결되는 동시에 기체 프레임(202)으로부터 기체 가로 외측으로 돌출 설치된 지지부(202a)에 상기 반출 케이스(214)의 하단부 보스부(214a)가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춤 지지되고, 그레인 탱크(208)가 상기 종방향 지지점(P) 주위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208)의 하부 전방면에는 후판재로 이루어지는 지지판(215)이 구비되고, 이 지지판(215)의 하단부가 기체 프레임(202)의 상면에 재치 지지되고, 그레인 탱크(208)의 전체 중량이 전후 2개소에 있어서 기체 프레임(202)과 지지부(202a)에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215)에는 로크 핀(220)이 상하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로크 핀(220)은 스프링(221)에 의해 하방으로 슬라이드 압박되고 있으며, 기체 프레임(202)측에 형성된 로크 구멍(222)에 로크 핀(220)의 하단부를 삽입함으로써 그레인 탱크(208)가 소정의 곡립 회수 위치에 고정되고, 로크 핀(220)을 스프링(221)에 대항하여 로크 구멍(222)으로부터 뽑아 올림으로써 그레인 탱크(208)를 종방향 지지점(P) 주위로 선회 이동하여 탈곡 장치(207)의 우측부를 크게 개방한 메인터넌스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로크 핀(220)은 뽑아 올려 회전시킴으로써 지지판(215)에 구비한 수납 부재(223)에 걸림 유지해 둘 수 있게 되어 있다.
도17 내지 도19,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208)의 가로 외측에는 탱크 측면을 덮는 사이드 커버(225)가 연결 고정되어 있다. 사이드 커버(225)의 하단부에는 그레인 탱크(208)에 있어서의 외측 방향의 좁아지는부(208e)를 가로 외측으로부터 덮는 하부 사이드 커버(226)가 연결되어 있다. 사이드 커버(225)의 후단부에는 곡립 반출 장치(213)에 있어서의 세로 반송 기구(213A)의 대부분을 횡측으로부터 덮는 동시에 작업등(228)이나 차폭등(229) 등을 구비한 후방부 사이드 커버(227)가 연결되어 있다. 세로 반송 기구(213A)의 후방측 개소에는 사각 파이 프제의 세로 프레임(231)이 기체 프레임(202)으로부터 세워 설치되고, 이 세로 프레임(231)에 세로 반송 기구(213A)를 후방으로부터 덮는 리어 커버(230)가 연결 고정되어 있다. 그레인 탱크(208)가 종방향 지지점(P) 주위로 가로 외측으로 선회될 때 도19에서의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208)와 일체로 선회 이동하는 후방부 사이드 커버(227)가 고정의 리어 커버(230)에 간섭하는 일 없이 후방으로 돌아 들어가게 되어 있다.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사이드 커버(226)의 전단부에는 종방향의 지지점(a) 주위로 요동 개폐 가능하게 가동 커버(232)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가동 커버(232)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로크 핀(220)이 노출되어 그레인 탱크(208)의 로크 조작 및 로크 해제 조작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곡립 반출 장치(213)에 있어서의 세로 반송 기구(213A)는 둥근 파이프 재로 이루어지는 종방향의 반송 케이스(235)에 세로 이송 스크류(236)를 내장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케이스(235)의 하단부가 상기 반출 케이스(214)에 대하여 종방향 지지점(P)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세로 프레임(231)의 상하 2개소에 구비한 통형 지지 부재(23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세로 반송 기구(213A)의 기립 자세가 유지되고 있다. 세로 이송 스크류(236)에 있어서의 지지축(236a)의 하단부가 상기 반출 케이스(214)에 삽입되고, 상기 바닥 스크류(210)에 있어서의 지지축(210a)의 후단부에 베벨 기어가 연동되어, 바닥 스크류(210)와 동일한 속도로 세로 이송 스크류(236)가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도22 및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반출 케이스(214)의 하부에는 바닥 스크류(210)에 의해 송출된 곡립을 세로 반송 기구(213A)에 있어서의 세로 이송 스크류(236)의 반송 영역으로 유도하는 연통로(R)가 형성되어 있고, 이 연통로(R)가 바닥 스크류(210)의 상단부로부터 상측으로 확장된 세로로 긴 형상이 되도록 반출 케이스(214)의 하부 형상 및 그레인 탱크(208)의 반출구(208f)의 형상이 각각 세로로 긴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곡립 반출 장치(213)의 가로 반송 기구(213B)는 세로 반송 기구(213A)의 반송 케이스(235)와 동일한 직경의 둥근 파이프재로 이루어지는 반송 케이스(238)에 상기 세로 이송 스크류(236)의 지지축(236a)보다 대경의 지지축(239a)을 구비한 가로 이송 스크류(239)를 내부 삽입하여 구성되어 있고, 반송 케이스(238)의 선단부에는 하방향으로 개구된 토출구(240)가 구비되어 있다. 세로 반송 기구(213A)에 있어서의 반송 케이스(235)의 상단부와, 가로 반송기(213B)에 있어서의 반송 케이스(238)의 기단부는 접속 케이스(241)로 연통 접속되어 있다. 접속 케이스(241)는 세로 반송 기구(213A)에 있어서의 반송 케이스(235)의 상단부에 고착된 상단부 접속 케이스부(241a)와, 가로 반송 기구(213B)에 있어서의 반송 케이스(238)의 기단부에 고착된 기단부 접속 케이스부(241b)로 이루어지고, 상단부 접속 케이스부(241a)에 대하여 기단부 접속 케이스부(241b)가 횡방향 지지점(Q)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 맞춤 연결되어, 가로 반송 기구(213B)가 상기 횡방향 지지점(Q) 주위로 상하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횡방향 지지점(Q) 상에는 양단부를 상기 상단부 접속 케이스부(241a)와 기단부 접속 케이스부(241b)에 지지된 중계축(242)이 배치되어 있다. 이 중계 축(242)에는 횡방향 지지점(Q)에 대하여 경사지는 이송 날개(243)가 장비되는 동시에, 중계축(242)의 양단부가 각각 세로 이송 스크류(236)에 있어서의 지지축(236a)의 상단부와, 가로 이송 스크류(239)에 있어서의 지지축(239a)의 기단부에 등속으로 베벨 기어 연동되어 있다. 이에 의해, 바닥 스크류(210)의 회전에 연동하여 세로 이송 스크류(236) 및 가로 이송 스크류(239)가 동조 구동되어, 그레인 탱크(208)로부터 송출된 곡립이 세로 반송 기구(213A)에 의해 리프팅된 후 가로 반송 기구(213B)에 의해 가로 반송되어 토출구(240)로부터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접속 케이스(241)에 있어서의 중계축 삽입 관통 개소는 세로 반송 기구(213A)의 반송 케이스(235) 및 가로 반송 기구(213B)의 반송 케이스(238)보다도 대경으로 형성되고, 중계축(242)의 단면적을 뺀 곡립 통로의 단면적이 세로 반송 기구(213A)에 있어서의 지지축 단면적을 뺀 곡립 통로의 단면적 및 가로 반송 기구(213B)에 있어서의 지지축 단면적을 뺀 곡립 통로의 단면적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접속 케이스(241)에 있어서의 곡립 이동에 대한 자유도가 큰 것이 되어, 세로 반송 기구(213A)로부터 가로 반송 기구(213B)로의 곡립 전달이 막힘 없이 원활하게 행해지게 되어 있다. 상기 세로 반송 기구(213A)에 고정된 상단부 접속 케이스부(241a)와 가로 반송 기구(213B)의 반송 케이스(238)에 걸쳐 유압 실린더(245)가 가설되어, 이 유압 실린더(245)의 신축 작동에 의해 가로 반송 기구(213B)가 상기 횡축심(Q) 주위로 소정 범위 내에서 상하로 구동 요동되도록 되어 있다.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208)의 하부에 연결 고정된 상기 반출 케이스(214)에는 감속기가 구비된 전동 모터(246)가 설치되는 동시에, 그 감속 출력에 의해 정역(正逆)으로 회전 구동되는 피니언 기어(247)가 세로 반송 기구(213A)의 반송 케이스(36)에 플랜지 형상으로 고착된 링 기어(248)에 맞물려 있고, 전동 모터(246)의 정역 회전 작동에 의해 곡립 반출 장치(213) 전체가 종방향 지지점(P) 주위로 구동 선회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곡립 반출 장치(213)의 선회 및 가로 반송 기구(213B)의 상하 요동에 의해 토출구(240)의 선회 위치 및 높이 위치를 이동시켜 곡립 배출 위치를 임의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곡립 반출 장치(213)를 구동하는 원동축인 상기 바닥 스크류(210)에의 전동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9 내지 도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레인 탱크(208)의 전방면 하부에 구비한 상기 지지판(215)에는 바닥 스크류(210)에 있어서의 지지축(210a)의 전단부를 베어링 지지하는 브래킷(250)이 고착되고, 이 브래킷(250)의 전방면에 입력 케이스(251)가 연결되어 있다. 입력 케이스(251)에는 상기 지지축(210a)에 연결된 출력 베벨 기어(252)와, 이것에 맞물린 입력 베벨 기어(253)가 장비되어, 입력 베벨 기어(253)에 연결된 입력축(254)이 기체 내측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250)과 입력 케이스(251)는 다리부(250a, 251a)를 맞대어 연결되어 있으며, 다리부(250a, 251a)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있어서, 외주에 베어링(255)을 장착한 편심 캠(256)이 바닥 스크류(210)의 지지축(210a)에 외부 삽입되어 고착되어 있다. 상기 유하 안내판(211)의 회전 지지축(212)이 지지판(215)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그 돌출단부에 연결된 조작 아암(257)이 상하 긴 구멍(258)을 통하여 상기 편심 캠(256)의 베어링(255)에 결합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바닥 스크류(210)의 지지축(210a)이 회전 구동되어 편심 캠(256)이 회전함으로써 이 편심 캠(256)에 결합된 조작 아암(257)이 편심 캠(256)의 편심량에 따른 진폭으로 왕복 요동되어, 유하 안내판(211)이 소정 각도로 왕복 요동 구동됨으로써 탱크 내에 저류된 곡립이 브리지 현상을 초래하는 일 없이 바닥 스크류(210)의 작용 영역으로 유하하게 되어 있다.
그레인 탱크(208)와 그 전방에 배치된 상기 엔진(204) 사이에 있어서의 기체 프레임(202) 상에 베어링 브래킷(260)이 세워 설치되고, 이 베어링 브래킷(26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 지지된 횡방향 축심의 입력 풀리(261)에 엔진 동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도21의 전동 계통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방향에 탑재 배치된 상기 엔진(204)에는 기체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주출력축(262)과, 기체 외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보조 기계 구동용의 출력축(263)이 구비되어 있으며, 주출력축(262)으로부터 취출된 동력으로 크롤러 주행 장치(201), 예취부(203) 및 탈곡 장치(207)가 구동된다. 외측 방향의 출력축(263)에는 3개를 걸칠 수 있는 출력 풀리(264)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출력 풀리(264)에 감아 돌려진 전동 벨트(265)로 엔진 냉각용의 워터 펌프(266), 라디에이터 냉각 팬(267), 발전기(268)가 구동되는 동시에 상기 출력 풀리(264)에 감아 돌려진 별도의 전동 벨트(269)가 상기 입력 풀리(261)에 감아 돌려져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상기 출력 풀리(264)에는 또 다른 전동 벨트를 감아 돌릴 수 있어, 캐빈 사양의 기종에 장비되는 공기 조절 장치에 있어서의 냉매 압축용의 콤프레서를 구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여 엔진 동력을 받는 상기 입력 풀리(261)의 중심에는 중간 전동축(271)이 축심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스플라인 내부 삽입되어 있다. 중간 전동축(271)은 상기 입력 케이스(251)에 지지 가교된 상기 입력축(254)과 동심에 맞댐 배치되는 동시에 외부 삽입 장착한 스프링(272)에 의해 중간 전동축(271)이 입력축(254)을 향하여 슬라이드 압박되고 있다. 중간 전동축(271)과 입력축(254)은 그 맞댐 대향 부위에 있어서 맞물리기식의 클러치(273)를 통하여 연동 연결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273)는 중간 전동축(271)의 선단부에 연결 고정한 보스 형상의 클러치 부재(274)와, 입력축(254)의 선단부 외주에 타입 관통한 스프링 핀으로 이루어지는 결합 부재(275)로 구성되어 있고, 클러치 부재(274)가 입력축(254)의 선단부에 외부 삽입됨으로써 도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축(254)의 결합 부재(275)가 클러치 부재(274)의 단부 대각 위치에 형성된 결합 오목부(276)에 맞물림 결합되어, 이에 의해 중간 전동축(271)으로부터 입력축(254)으로의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그레인 탱크(208)가 곡립 회수 위치로부터 메인터넌스 위치로 선회 이동되면 도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축(254)의 가로 외측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결합 부재(275)가 클러치 부재(274)로부터 빠져 나와, 중간 전동축(271)과 입력축(254)의 연결이 해제된다. 반대로, 그레인 탱크(208)가 메인터넌스 위치로부터 원래의 곡립 회수 위치로 선회 복귀되면 입력축(254)의 가로 내측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결합 부재(275)가 클러치 부재(274)에 축심 방향으로부터 결합되어 중간 전동축(271) 과 입력축(254)이 자동적으로 연동 연결된다. 그레인 탱크(208)가 메인터넌스 위치로부터 곡립 회수 위치로 선회 복귀되었을 때, 회전 정지하고 있는 클러치 부재(274)의 결합 오목부(276)와 입력축(254)의 결합 부재(275)의 회전 위상이 어긋나 있는 경우가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결합 부재(275)가 클러치 부재(274)의 외측단부 모서리를 접촉 압박하여 중간 전동축(271)이 스프링(272)에 대항하여 기체 내측으로 슬라이드 후퇴한다. 다음에 엔진(204)이 기동되어 중간 회전축(271)이 회전되기 시작하면 클러치 부재(274)의 결합 오목부(276)가 결합 부재(275)의 위상까지 이동한 지점에서 중간 회전축(271)이 압박 슬라이드하여 클러치(273)가 들어가, 자동적으로 중간 회전축(271)과 입력축(254)이 연동 연결 상태로 된다.
도33 내지 도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합 오목부(276)의 방향 개구폭(w)은 결합 부재(275)의 외경의 수배 정도로 설정되는 동시에 결합 오목부(276)의 깊이(d)는 결합 부재(275)의 외경보다 약간 큰 정도로 설정되며, 또한 결합 오목부(276)에 있어서의 결합 부재(275)와의 결합 개소(k)가 회전 구동 방향으로 들어간 안으로 퍼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결합 오목부(276)와 결합 부재(275)를 침식하여 마음대로 결합시킴으로써 큰 구동 반력 등에 의해 발생한 스러스트력으로 클러치 부재(274)가 중간 전동축(271)과 함께 후퇴 변위되어 결합 부재(275)와의 결합이 마음대로 어긋나 버리는 것이 미연에 회피된다.
도1 내지 도6은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1은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
도2는 미션 케이스, 우측 및 좌측의 전동 케이스의 종단 정면도.
도3은 미션 케이스의 제1 선회 기구 또는 완선회 기구(grand turn clutch), 제2 선회 기구 또는 브레이크 기구, 제2 선회 기구 또는 역회전 기구, 우측 및 좌측의 사이드 클러치의 부근의 종단 정면도.
도4는 유압 유닛에 있어서의 유압 회로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5는 변속 레버, 조향 조작구, 선회 설정 수단, 정유압식 무단 변속 장치 및 유압 유닛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6은 조향 조작구의 조작 위치와 비례 제어 밸브의 조작 전류(제1 선회 기구 또는 완선회 기구의 작동압)의 관계를 나타내는 실선[완선회(grand turn)], 조향 조작구의 조작 위치와 비례 제어 밸브의 조작 전류(제2 선회 기구 또는 브레이크 기구의 작동압)의 관계를 나타내는 실선[신지 선회(pivot turn)], 조향 조작구의 조작 위치와 비례 제어 밸브의 조작 전류(제2 선회 기구 또는 역회전 기구의 작동압)의 관계를 나타내는 실선[초신지 선회(spin turn)]을 나타내는 도면.
도7 내지 도16은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7은 작업기의 측면도.
도8은 크롤러 주행 장치의 측면도.
도9는 크롤러 주행 장치의 평면도.
도10은 크롤러 주행 장치 후방부의 측면도.
도11은 크롤러 장력 조정 장치의 종단 평면도.
도12는 크롤러 장력 조정 장치의 종단 측면도.
도13은 크롤러 가이드 설치 구조의 평면도.
도14는 크롤러 가이드 설치부와 중개 부재의 사시도.
도15는 휠 지지부의 평면도.
도16은 휠 지지부의 측면도.
도17 내지 도35는 제3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17은 콤바인의 전체 측면도.
도18은 그레인 탱크의 측면도.
도19는 그레인 탱크의 평면도.
도20은 그레인 탱크를 기체 내측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21은 전동계의 개략도.
도22는 바닥 스크류와 세로 반송 기구의 연계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23은 세로 반송 기구와 가로 반송 기구의 연계 구조를 도시하는 전개 단면도.
도24는 그레인 탱크의 배면도.
도25는 곡립 반출 장치의 선회 구동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26은 그레인 탱크의 반출부를 도시하는 배면도.
도27은 그레인 탱크의 후방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8은 그레인 탱크 하부의 가동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29는 엔진으로부터 바닥 스크류에의 전동계의 클러치 on 상태를 도시하는 횡단 평면도.
도30은 엔진으로부터 바닥 스크류에의 전동계의 클러치 off 상태를 도시하는 횡단 평면도.
도31은 바닥 스크류 전단부의 전동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 측면도.
도32는 유하 안내판의 구동 구조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33은 클러치 부재의 축심 방향으로부터 본 정면도.
도34는 클러치 부재의 단면도.
도35는 클러치 부재에 있어서의 결합 오목부를 도시하는 전개도.

Claims (6)

  1. 우측 및 좌측의 주행 장치(1)를 구비한 작업차이며, 그 조향 조작 구조가,
    우측 및 좌측의 주행 장치에 속도차를 부여하여 기체를 선회시키는 제1 선회 기구와,
    우측 및 좌측의 주행 장치에 상기 제1 선회 기구보다도 큰 속도차를 부여하여 기체를 선회시키는 제2 선회 기구와,
    상기 제1 선회 기구가 작동하는 제1 상태 또는 제2 선회 기구가 작동하는 제2 상태를 설정 가능한 선회 설정 수단(78)과,
    인위적으로 조작되는 조향 조작구(77)와,
    제어 수단(64)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64)이,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 상기 조향 조작구(77)가 직진 위치(N)로부터 우측 또는 좌측으로 조작될수록 우측 및 좌측의 주행 장치의 속도차가 크게 되도록 상기 제1 선회 기구를 조작하고, 또한 상기 제2 상태에 있어서 상기 조향 조작구(77)가 직진 위치(N)로부터 우측 또는 좌측으로 조작될수록 우측 및 좌측의 주행 장치의 속도차가 크게 되도록 상기 제2 선회 기구를 조작하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 있어서, 상기 조향 조작구(77)의 단위 조작량에 대한 제1 선회 기구에 의한 단위 속도차가 상기 조향 조작구의 직진 위치(N)측의 영역에서 작고, 상기 조향 조작구의 조향 한도측의 영역에서 크게 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제2 상태에 있어서, 상기 조향 조작구(77)의 단위 조작량에 대한 제2 선회 기구에 의한 단위 속도차가 상기 조향 조작구의 직진 위치(N)측의 영역에서 작고, 상기 조향 조작구의 조향 한도측의 영역에서 크게 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제1 상태의 단위 속도차의 변화 특성과, 상기 제2 상태의 단위 속도차의 변화 특성을 다른 것으로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조작구(77)의 직진 위치(N)측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의 단위 속도차가 제2 상태의 단위 속도차보다도 작은 것으로 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상태의 단위 속도차의 변화 특성을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회 기구가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 장치의 한 쪽과 동일 방향으로 저속의 동력을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 장치의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완선회 기구(46)이며,
    상기 제2 선회 기구가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 장치에 제동을 거는 브레이크 기구(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회 기구가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 장치의 한 쪽과 동일 방향으로 저속의 동력을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 장치의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완선회 기구(46)이며,
    상기 제2 선회 기구가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 장치의 한 쪽과 역방향의 동력을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 장치의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역회전 기구(5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회 기구가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 장치의 한 쪽과 동일 방향으로 저속의 동력을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 장치의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완선회 기구(46)이며,
    상기 제2 선회 기구가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 장치에 제동을 거는 브레이크 기구(50)인 동시에,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 장치의 한 쪽과 역방향의 동력을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 장치의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역회전 기구(53)를 구비하고,
    상기 선회 설정 수단(78)에 의해 상기 완선회 기구(46)가 사용되는 제1 상태, 상기 브레이크 기구(50)가 사용되는 제2 상태, 상기 역회전 기구(53)가 사용되는 제3 상태를 설정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조향 조작구(77)의 직진 위치(N)측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의 단위 속도차가 제3 상태의 단위 속도차보다도 작은 것으로 되도록 상기 제2 및 제 3 상태의 단위 속도차의 변화 특성을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회 기구가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 장치의 한 쪽과 동일 방향으로 저속의 동력을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 장치의 다른 쪽으로 전달 하는 완선회 기구(46)이며,
    상기 제2 선회 기구가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 장치에 제동을 거는 브레이크 기구(50)인 동시에,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 장치의 한 쪽과 역방향의 동력을 우측 또는 좌측의 주행 장치의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역회전 기구(53)를 구비하고,
    상기 선회 설정 수단(78)에 의해 상기 완선회 기구(46)가 사용되는 제1 상태, 상기 브레이크 기구(50)가 사용되는 제2 상태, 상기 역회전 기구(53)가 사용되는 제3 상태를 설정 가능하게 구성하고,
    상기 조향 조작구(77)의 직진 위치(N)측의 영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의 단위 속도차와 제3 상태의 단위 속도차가 동일한 것으로 되도록 상기 제2 및 제3 상태의 단위 속도차의 변화 특성을 설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
KR1020080091501A 2007-09-26 2008-09-18 작업차 KR1010726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250117 2007-09-26
JP2007250117A JP5086752B2 (ja) 2007-09-26 2007-09-26 作業車の旋回制御装置
JP2007251136A JP5143519B2 (ja) 2007-09-27 2007-09-27 クローラ走行装置のクローラ張力調整装置
JPJP-P-2007-00251136 2007-09-27
JP2007252433A JP5054479B2 (ja) 2007-09-27 2007-09-27 コンバインの穀粒回収部駆動構造
JPJP-P-2007-00252433 2007-09-27
JPJP-P-2007-00270439 2007-10-17
JP2007270439A JP2009096357A (ja) 2007-10-17 2007-10-17 作業車の操向操作構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256A Division KR101328308B1 (ko) 2007-09-26 2010-05-28 크롤러 주행 장치의 크롤러 장력 조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1992A KR20090031992A (ko) 2009-03-31
KR101072654B1 true KR101072654B1 (ko) 2011-10-11

Family

ID=40697490

Family Applications (1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1501A KR101072654B1 (ko) 2007-09-26 2008-09-18 작업차
KR1020100050256A KR101328308B1 (ko) 2007-09-26 2010-05-28 크롤러 주행 장치의 크롤러 장력 조정 장치
KR1020120109965A KR101249094B1 (ko) 2007-09-26 2012-10-04 작업차용 크롤러 주행 장치의 크롤러 장력 조정 장치
KR1020120118384A KR101607123B1 (ko) 2007-09-26 2012-10-24 콤바인
KR1020120118336A KR101442342B1 (ko) 2007-09-26 2012-10-24 콤바인
KR1020130002060A KR101448368B1 (ko) 2007-09-26 2013-01-08 작업차용 크롤러 주행 장치의 크롤러 장력 조정 장치
KR1020130140394A KR101607122B1 (ko) 2007-09-26 2013-11-19 콤바인
KR1020140064517A KR101498856B1 (ko) 2007-09-26 2014-05-28 콤바인
KR1020140106891A KR101581720B1 (ko) 2007-09-26 2014-08-18 작업차용 크롤러 주행 장치의 크롤러 장력 조정 장치
KR1020150032486A KR101525757B1 (ko) 2007-09-26 2015-03-09 작업차
KR1020150185681A KR101785811B1 (ko) 2007-09-26 2015-12-24 작업차용 크롤러 주행 장치의 크롤러 장력 조정 장치
KR1020160034404A KR101785546B1 (ko) 2007-09-26 2016-03-23 콤바인
KR1020170127033A KR101913966B1 (ko) 2007-09-26 2017-09-29 콤바인

Family Applications After (1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0256A KR101328308B1 (ko) 2007-09-26 2010-05-28 크롤러 주행 장치의 크롤러 장력 조정 장치
KR1020120109965A KR101249094B1 (ko) 2007-09-26 2012-10-04 작업차용 크롤러 주행 장치의 크롤러 장력 조정 장치
KR1020120118384A KR101607123B1 (ko) 2007-09-26 2012-10-24 콤바인
KR1020120118336A KR101442342B1 (ko) 2007-09-26 2012-10-24 콤바인
KR1020130002060A KR101448368B1 (ko) 2007-09-26 2013-01-08 작업차용 크롤러 주행 장치의 크롤러 장력 조정 장치
KR1020130140394A KR101607122B1 (ko) 2007-09-26 2013-11-19 콤바인
KR1020140064517A KR101498856B1 (ko) 2007-09-26 2014-05-28 콤바인
KR1020140106891A KR101581720B1 (ko) 2007-09-26 2014-08-18 작업차용 크롤러 주행 장치의 크롤러 장력 조정 장치
KR1020150032486A KR101525757B1 (ko) 2007-09-26 2015-03-09 작업차
KR1020150185681A KR101785811B1 (ko) 2007-09-26 2015-12-24 작업차용 크롤러 주행 장치의 크롤러 장력 조정 장치
KR1020160034404A KR101785546B1 (ko) 2007-09-26 2016-03-23 콤바인
KR1020170127033A KR101913966B1 (ko) 2007-09-26 2017-09-29 콤바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3) KR101072654B1 (ko)
CN (3) CN1028451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59352A (zh) * 2015-07-17 2015-11-18 济南大学 一种可升降的安全智能婴儿车
JP6895875B2 (ja) * 2016-12-19 2021-06-30 株式会社クボタ クローラ走行装置
JP6827373B2 (ja) * 2017-06-26 2021-02-10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3612A (ja) 2000-07-11 2001-03-13 Iseki & Co Ltd 作業車両
JP2004189032A (ja) 2002-12-09 2004-07-08 Iseki & Co Ltd 作業車の走行装置
JP2004224297A (ja) 2003-01-27 2004-08-12 Kubota Corp 作業車の走行伝動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7183U (ko) * 1986-02-24 1987-08-29
GB9001071D0 (en) * 1990-01-17 1990-06-13 Lotus Group Plc Improvements in tracked vehicles
JPH05308841A (ja) * 1992-05-11 1993-11-22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における穀粒タンク
JPH08150974A (ja) * 1994-11-29 1996-06-11 Kubota Corp クローラ走行装置におけるテンション輪の取付け構造
JPH08280238A (ja) * 1995-04-17 1996-10-29 Mitsubishi Agricult Mach Co Ltd コンバインのグレンタンク
JPH09187160A (ja) * 1996-01-09 1997-07-22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グレンタンク
JP3310523B2 (ja) * 1996-02-01 2002-08-05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グレンタンク構造
JPH09249166A (ja) * 1996-03-14 1997-09-22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クロ−ラ走行装置
JP3790782B2 (ja) * 1996-04-04 2006-06-28 セイレイ工業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の揚穀・排穀装置
JPH10150845A (ja) * 1996-11-26 1998-06-09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コンバイン
JP3383557B2 (ja) * 1997-09-19 2003-03-04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穀粒タンク構造
JP2000092974A (ja) * 1999-10-28 2000-04-04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グレンタンク
JP2001190147A (ja) * 2000-01-07 2001-07-17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伝動構造
JP2001320951A (ja) * 2000-05-16 2001-11-20 Iseki & Co Ltd コンバインのグレンタンク
JP4680355B2 (ja) * 2000-08-10 2011-05-11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4049724B2 (ja) * 2003-09-09 2008-02-20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の穀粒回収装置
CN100425113C (zh) * 2003-12-05 2008-10-15 中国农业机械化科学研究院 一种联合收割机粮食产量流量监视方法及装置
JP2005278450A (ja) 2004-03-29 2005-10-13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穀粒回収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3612A (ja) 2000-07-11 2001-03-13 Iseki & Co Ltd 作業車両
JP2004189032A (ja) 2002-12-09 2004-07-08 Iseki & Co Ltd 作業車の走行装置
JP2004224297A (ja) 2003-01-27 2004-08-12 Kubota Corp 作業車の走行伝動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988A (ko) 2016-01-13
CN101397033A (zh) 2009-04-01
KR20090031992A (ko) 2009-03-31
KR101448368B1 (ko) 2014-10-07
KR101785811B1 (ko) 2017-10-16
KR101607122B1 (ko) 2016-03-29
CN101397033B (zh) 2012-11-07
CN102845179A (zh) 2013-01-02
KR101249094B1 (ko) 2013-04-02
KR101913966B1 (ko) 2018-10-31
KR20130135216A (ko) 2013-12-10
KR20120123238A (ko) 2012-11-08
KR20120137319A (ko) 2012-12-20
KR20120128118A (ko) 2012-11-26
CN102845179B (zh) 2015-04-29
KR20150035923A (ko) 2015-04-07
KR101328308B1 (ko) 2013-11-11
KR20130012077A (ko) 2013-01-31
KR101607123B1 (ko) 2016-03-29
CN102849135A (zh) 2013-01-02
CN102849135B (zh) 2016-04-06
KR101498856B1 (ko) 2015-03-05
KR101442342B1 (ko) 2014-09-19
KR101525757B1 (ko) 2015-06-09
KR101785546B1 (ko) 2017-10-16
KR101581720B1 (ko) 2016-01-05
KR20140116362A (ko) 2014-10-02
KR20170117949A (ko) 2017-10-24
KR20140089492A (ko) 2014-07-15
KR20160039591A (ko) 2016-04-11
KR20100070317A (ko) 201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25699A (zh) 联合收割机
CN1328941C (zh) 水田作业机
KR102048136B1 (ko) 수확기
KR101072654B1 (ko) 작업차
KR101529436B1 (ko) 작업차의 주행 변속 구조
TWI640240B (zh) 作業車
CN100520122C (zh) 水田作业机
KR20050042799A (ko) 콤바인
JP2009118830A (ja) 歩行型の苗移植機
JP6830520B2 (ja) 作業車
JPH09248024A (ja) 農作業機
KR100462655B1 (ko) 작업기
JP4258970B2 (ja) 乗用型苗植機
JP2009118831A (ja) 歩行型の苗移植機
JP4794002B2 (ja) 芝刈機
JPH08277903A (ja) 歩行型作業機のミッション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