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13918A - 전환 가능한 힘 제한기를 갖는 벨트 견인기 - Google Patents

전환 가능한 힘 제한기를 갖는 벨트 견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3918A
KR20020013918A KR1020017016067A KR20017016067A KR20020013918A KR 20020013918 A KR20020013918 A KR 20020013918A KR 1020017016067 A KR1020017016067 A KR 1020017016067A KR 20017016067 A KR20017016067 A KR 20017016067A KR 20020013918 A KR20020013918 A KR 200200139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belt retractor
torsion bar
set collar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16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0219B1 (ko
Inventor
귄터 클루테
피어 그로스
Original Assignee
아우톨리브 디벨로프멘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톨리브 디벨로프멘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톨리브 디벨로프멘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020013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3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0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02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22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inorganic material, other than metallic material
    • C23C16/26Deposition of carbon only
    • C23C16/27Diamond only
    • C23C16/272Diamond only using DC, AC or RF dischar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1Belt retractors, e.g. reels comprising energy-absorbing means
    • B60R22/3413Belt retractors, e.g. reels comprising energy-absorbing means operating between belt reel and retractor frame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6/00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 C23C16/22Chemical coating by decomposition of gaseous compounds, without leaving reaction products of surface material in the coating, i.e. chemical vapour deposition [CVD]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deposition of inorganic material, other than metallic material
    • C23C16/26Deposition of carbon only
    • C23C16/27Diamond only
    • C23C16/279Diamond only control of diamond crystallograph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60R2022/286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using deformation of material
    • B60R2022/287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using deformation of material of torsion rod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60R2022/28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with means to adjust or regulate the amount of energy to be absorb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환 가능한 힘 제한기를 갖는 벨트 견인기(10)에 관련된다. 상기 벨트 견인기(10)는 힘 제한기로써 후면 샤프트(12)에 연결되어 있고 프로파일 헤드(50)를 통해 벨트 견인기(10)의 고정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흡수 요소(13,14,15,61)로 구성된다. 벨트 견인기는 에너지 흡수가 조절되는 전환장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후면 샤프트와 토션바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힘 전달하는 기능을 하는 전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전환 장치(래치(latch)(21))는 후면 샤프트(12) 및(혹은) 전환장치에 독립적인 구동기(26)를 통해 이미 존재하는 에너지 흡수가 일어나는 동안 언제든지 전환이 가능한 방법으로 설계된다.

Description

전환 가능한 힘 제한기를 갖는 벨트 견인기{BELT RETRACTOR WITH SWITCHABLE FORCE LIMITER}
여기서 벨트 견인기는 적어도 하나의 흡수요소의 힘 제한 장치를 갖는데, 이 흡수요소는 스풀(spool) 에 연결되어 있고, 프로파일(profile)된 헤드를 통해 벨트 견인기의 차단 장치에 연결되어 있고, 전환장치는 에너지 흡수를 조절하도록 제공되며 독립 구동기를 통해 전환가능하다. 이러한 벨트 견인기는 차량감지 및(혹은) 벨트 감지 제어가능한 차단 장치를 갖는 자체차단 벨트 견인기로 설계될 수가 있는데, 이를 EP 0 773 147 A2에서 소위 제한 피팅(fitting)이라고 한다.
WO 97/495843에서 포괄적인 형태를 띠는 전술된 특징을 갖는 자체차단 벨트 견인기를 공지한다. 에너지 흡수 요소는 서로 번갈아가며 전환되는 두개 혹은 세 개의 영역을 갖는 토션바(torsion bar)인 것을 예를 통해 자세히 공지하고, 서로 평행하게 전환되는 두 개의 에너지 흡수 요소의 배열을 공지한다. 관련된 전환 장치는 하중하에서 전환이 가능한데, 에너지 흡수가 이루어질 때 매우 큰 작동력이 주어질 때에만 전환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스풀과 토션바 사이의 힘 혹은 하중전달 결합이 극복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같은 결합에 대해 스위치가 있어야 한다.
본 발명은 힘 제한기를 갖는 벨트 견인기에 관련된다.
도 1은 첫 번째 스위치 상태(폴이 해제됨)를 갖는 전환 장치를 포함하는 2단계 토션바 및 스풀을 갖는 벨트 견인기의 종축면도;
도 1A는 도 1에 도시된 부품의 확대도;
도 2는 도 1의 전환 장치에서 A-A 선을 따르는 정면도;
도 3은 전환장치에 대한 대표적인 구동기를 도시하는 도식도;
도 4는 구동기가 작동된 후에 도 2의 전환장치에 관한 도면;
도 5는 추가적인 댐핑(damping) 효과를 조절하기 위한 추가적인 전단 바를 갖는 도 2의 전환장치에 관한 도면;
도 6a,b는 추가적인 굽힘 바를 갖는 도 2의 전환장치에 관한 도면;
도 7a,b는 스트립(strip) 형식의 변형 요소를 갖는 도 2의 전환장치에 관한 도면;
도 8은 두 번째 전환 상태(폴을 차단함)에서 벨트 빼냄 기능으로써 전환장치의 전환 시간을 제어하는데 관련되 도 1 및 도 3에 대한 도면;
도 9는 두 개의 평행 전환 에너지 흡수 요소를 갖는 도 1에서의 벨트 견인기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 부호 설명
10 ... 견인기 11 ... 측면 레그
12 ... 스풀 13 ... 토션바
14,15 ... 영역 16a,b ... 부품
17 ... 차단측면 18 ... 토크튜브
19 ... 셋트칼라 20 ... 덮개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풀과 토션바 사이에 이미 존재하는 힘전달에 구애받지 않고 작동하는 안정성있는 전환장치의 포괄적인 특징을 갖는 벨트 견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청구항의 항목에 따라는 개발과 유용한 실시예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스풀 및(혹은) 전환장치로부터 독립적으로 배열된 구동기를 통해 아무 때나 전환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전환장치는 스풀의 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스풀링(spool ring) 수단에 의해 결합 위치에 고정되어 열리려는 경향이 있는 폴본(pawl borne)을 갖는다. 스풀링은 불꽃으로 구동 가능한 조절 장치 수단으로 스풀링이 결합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전환을 할 수 있는 위치로 축방향 전송될 수 있다. 토크튜브와 스풀을 연결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폴(pawl)은 열리려고 하는 경향을 지탱하며, 일단 폴이 스풀링의 이동에 의해 해제되면, 폴을 이동시키기 위한 더 이상의 작동력이 발생하지 않는다.
볼 발명의 한가지 전형적인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두 개의 에너지 흡수 요소가 서로 평행하거나 직렬로 배열되며, 전환장치는 구동기가 작동될 때 하나의 에너지 흡수 요소로부터 다른 에너지 흡수 요소로 전환시킨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라, 토션바는 다른 에너지 흡수를 하도록 하는 서로 직렬로 배열된 다른 횡단면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영역을 갖으며, 토크튜브는 토션바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과 수풀이 꼭 맞도록 연결하도록 한다. 이러한 벨트 견인기의 설계는 WO 97/49583에 공지되었다.
두 개의 에너지 흡수 요소의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토션 슬리브(sleeve)는 토션바에 평행하게 전환되어 연결되고, 토션바 혹은 토션 슬리브는 이들에게 배치된 전환장치 수단에 의해 연결이 끊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한가지 실시예에 따라, 스풀링은 스풀과 꼭 맞도록 연결되며 서로 회전할 수 있다.
특히, 폴은 스풀의 횡단면의 리세스(recess)에서 회전가능하게 지탱되며, 스풀링은 스풀의 외부 원주에 배열되었는데, 리세스에 대해 스풀 자체 위치에서 결합 위치에 있는 폴을 유지하는 것과 같다.
스풀링의 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제어장치는 셋트 칼라(set collar)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칼라는 스풀링을 이동하도록 하는 제한된 회전 영역에 대해 구동기의 영향 하에서 회전가능한 벨트 견인기에 배열되며, 스풀의 축방향으로 기울어진 적어도하나의 램프(ramp)에 의해 벨트 견인기의 덮개에 대해 지지되고, 자체 뒤틀림으로 인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한가지 전형적인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램프는 셋트 칼라 및 덮개의 주변에 분포되어 있다. 이같은 제어장치는 추가적인 서보효과(servo-effect)의 이점을 갖는다. 왜냐하면 이러한 방법으로만 생성된 헬리컬 운동으로 인해, 작은 반지름 방향 힘이 스풀링을 이동시키기 위한 더 큰 축방향 힘을 만들기 위해 적용되어서, 하중하에서 전환 운동을 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셋트 칼라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기를 설계하는데 있어서, 선형적으로 이동가능한 불꽃 구동 피스톤은 셋트 칼라로부터 방사형으로 투영된 숄더(shoulder)를 접선방향으로 충격을 줄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불꽃 구동의 고정된 외부 배열은 전기적 제어를 단순화하는데, 왜냐하면 전기신호를 회전 스풀 및 이 스풀에 부착된 불꽃장치에 전송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볼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에 따라 토크튜브 및 스풀 사이의 결합은 스풀과 토크 사이에 변형가능한 요소를 정렬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변형 가능한 요소는 스풀 및 토크튜브의 원주 방향으로 뻗어있는 전단바처럼 혹은 스풀과 토크 튜브 사이에 방사형으로 정렬된 굽힘바처럼 설계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변형 가능한 요소는 스풀과 토크튜브 사이에서 방사형으로 정렬된 굽힘 바처럼 설계될 수가 있다. 이것은 첫 번째 힘 레벨에서 다른 힙 레벨로 점진적인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벨트 견인기에 형성된 벨트 힘 제한과 차량에 위치한 에어백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해서, 높은 힘 레벨에서 낮은 힘 레벨로 일어나는 전환시간 점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경우의 제어에 대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어 장치에 대한 구동기를 점화시키기 위해, 차량 센서에 의해 작동되고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를 갖는 시간 스위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 발화는 다른 사고조건에 독립적인 시간의 미리 정해진 포인트에서 발생한다.
본 발명의 선택적인 실시예에서, 미리 설정된 문턱값이 힘 제한에 영향을 받는 벨트 빼냄을 결정하기 위해 초과된 후에 하중하에서 스풀의 회전을 결정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셋트 칼라에 대한 구동기를 점화하는 것은 미리 설정된 벨트빼냄이 일어날 때 발생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벨트 빼냄은 사고시 일어나며, 힘 제한 장치의 레벨을 전환하는 것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된 벨트 견인기의 힘 제한 장치에 의해 일어난다.
도면은 볼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1a에 나타난 벨트 견인기(10)는 벨트 샤프트 혹은 스풀(12)이 회전가능하게 지탱되는 측면 레그(leg)(11)의 U-형상 프레임을 갖는다. 안전벨트(9)는 스풀(12)에 감겨있다. 토션바(13)는 힘 제한 장치로써 스풀의 내부에 위치해있는데, 이 토션바는 넓은 횡단면을 갖는 영역(14)과 좁은 횡단면을 갖는 영역(15)을 갖는데, 토션바(13)의 영역(15)의 외부 단부는 스풀(12)이 토션바(13)의 영역(14,15)에 부착된 수단에 의해 부품(16a,16b)에 연결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외부 왼쪽 측면은 벨트 견인기의 차단측면(17)인데, 여기서 토션바(13)는 프로파일된 헤드(50)에 부착되어 있다.
스풀(12)은 토크튜브(18)를 통해 넓은 횡단면을 갖는 토션바(13)의 영역(14)에 결합되어 있는데, 토크튜브는 연결 부품(16a)에 꼭 맞도록 덮으며, 스풀(12)을 작은 직경을 갖는 토션바(13)의 영역(15)에 연결시키고, 스풀(12)은 영역(15)의 오른쪽 단부에 정렬된 연결 부품(16b)에 꼭 맞게 직접 덮는다. 높은 힘 레벨로부터 낮은 힘 레벨로 힘 제한 장치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장치는 도 2에 자세히 도시된바와 같이, 스풀(12)과 토크 튜브(18)를 연결시키는 폴(21)을 통해 형성되며, 폴(12)이 결합된 위치에 있을 때, 힘은 스풀(12)로부터 토크튜브(18)를 통해 토션바(13)의 영역(14)으로 전달되고, 풀(pull)로부터 안전벨트(9)에 가해진 스풀(12)위의 하중이 있을 때, 영역(14)은 뒤틀리고, 힘 제한이 높은 레벨에 있도록 한다. 만약 폴(12)이 전환장치의 작동(아직 설명되지 않음)으로 인해 토크튜브(18)로부터 떨어지면, 스풀(12)은 토크튜브(18)에 대해 회전이 가능하며, 힘 유동은 토션바(13)의 영역(15)에 배치된 연결 부품(16b)과 스풀(12) 사이에 꼭 맞는 연결을 통해 일어나며, 영역(15)은 뒤틀리고, 힘은 낮은 레벨로 제한될 수 있다.
도 1a와 연계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위치에 있는 스풀(12)과 토크 튜브(18) 사이의 결합에 영향을 주는 폴(21)은 회전(22) 중심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스풀(12)의 횡단면에 형성된 리세스(40)에 지탱된다. 여기서 스풀(12)은 리세스(40)에 전체에 대한 스풀 링(45)에 의해 외부 원둘레에 의해 둘러쌓이고, 지지물(24)을 통해 토크튜브(18)의 리세스(51)에 연결된 연결 노즈(nose)(23)에 있는 폴(21)을 고정시킨다. 만약 스풀 링(45)이 축방향으로 옮겨진다면, 폴(21)은 스풀링(45)의 지지물(24)로부터 해제되는데, 폴(21)은 리세스 안으로 외부를 향하여 회전하여 열리는 경향을 갖도록 지탱되며 스풀(21)과 토크 튜브(18) 사이의 연결을 해제시킨다. 폴(21)이 갖고 있는 열리려는 경향은 리세스(51) 및 연결 노즈(23)의 적합한 설계를 통해 조절된다. 스풀링(45)은 스풀(12)의 프로파일에 연결된 노즈(52)를 통해 스풀(12)에 꼭맞게 지탱되고 스풀(12)과 함께 회전한다.
스풀 링(45)의 축방향 변위는 도 3에 도시된 구동기를 통해 일어나며, 이 구동기는 스풀 단부를 덮는 벨트 견인기(10)의 덮개(20)에 정렬되어 있고, 이 스풀 단부는 피스톤(28)에 충격을 주어 선형 이동을 하게 하는 불꽃 전하(27)를 갖는 구동기(26)이다. 이러한 선형 이동에서, 피스톤(28)은 셋트 칼라(19)가 피스톤이 작동할 때 회전하도록 되는 것과 같이 셋트 칼라로부터 방사형으로 투영된 숄더(29)에 작동한다. 셋트 칼라(19)는 하우징(10)이나 하우징(10)에 부착된 덮개(20)에 지탱되는데, 스풀(12)의 정상적인 작동시에는 회전하지 않는다. 그러나, 조절작동이 이루어지는 동안에는 제한된 회전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셋트 칼라(19)는 칼라(19)와 덮개(20) 사이에 정렬된 비스듬한 램프(자세히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덮개(20)에 대해 지지되는데, 덮개(20) 뒤틀림으로 인해 셋트 칼라(19)는 눌려지고 축방향으로 옮겨진다. 셋트칼라(19)가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셋트칼라와 스풀링(45)의 인접한 위치를 통해 스풀링(45)으로 옮겨지고, 스풀링(45)의 이동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21)을 해제시킨다. 전술된 실시예에서, 스풀링(45) 및 셋트 칼라(19)는 중첩부재를 통해 서로 의지하고 있고 셋트 칼라(19)의 축방향 이동은 그에 상응하게 스풀링(45)으로 옮겨질 수 있다.
도 5에서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추가적인 변형가능한 요소는 토크튜브(18) 및 스풀(12) 사이에 정렬되며, 토션바의 힘이 높은 수준에서 낮은 수준으로 전환과정이 일어나는 동안 힘전달의 추가적인 변화단계가 있고, 좀더 부드러운 전달이 일어나므로, 2단계 토션바로 추가적인 세 번째 힘 특성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만약 폴(21)이 스풀(12)이 토크튜브(18)로부터 결합해제되도록 회전단하면, 토션바(13)의 영역(15)이 스풀(12)에 전환되는 추가적인 과정이 일어나는 동안 토크튜브(18)에 대한 스풀(12)의 상대적인 회전이 일어나며, 이러한 상대적인 회전의 시작될 때 세 번째 에너지 흡수 요소는 스풀(12)과 토크튜브(18) 사이에 추가적으로 정렬된 변형가능한 요소를 통해 전환되며, 낮은 힘 레벨로 전환이 시작되면 추가적인 댐핑(damp)을 일으키는데, 이러한 추가적인 댐핑은 제공된 변형가능한 요소를 통해 추가적인 과정이 일어나기 전에 토션바(13)의 영역(15)에 평행하게 발생하는데, 토션바(12)의 영역(15)을 통해 힘 제한이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두 개의 전단바는 스풀(12)과 토크튜브(18) 사이에 정렬되는데, 이 전단바는 토크튜브(18)에 대한 스풀(12)의 상대적인 회전이 일어나는 동안 전단이 생기지 않는다.
도 6a 및 6b에 도시돈 실시예에서, 두 개의 방사형으로 정렬된 굽힙바(31)는 자체 하나의 단부가 스풀(12)의 리세스(32)에 있고 나머지 단부는 토크튜브(18) 위의 부재(33)에 인접하여 있도록 제공되며, 스풀(12)과 토크튜브(18) 사이에서 상대적인 회전이 일어나는 동안 굽힙바(31)는 토션바의 영역(15)이 스풀(12)의 추가적인 회전으로 인해 영향을 미치기전에 스풀(12) 위에 형성된 자유공간(34)으로 우선적으로 굽어진다.
도 7a,7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변형가능한 요소로서 스풀(12) 안에 형성된 스트립(35)은 채널(36) 안에 삽입되고 토크튜브(18)위에 단부에 매달려 있는 변형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져서, 스풀(12)과 토크튜브(18)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이 일어나는 동안 채널로부터 밀려 나오며, 회전이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동안토크튜브(18)로부터 연결이 해제됨으로 인해 스풀(12)이 토션바(13)의 영역(15)과 결합수 있기 전에 변형된다.
사고시에 힘 제한에 대한 정확한 전환과, 그로인한 차량의 에어백과 힘 제한기가 장착된 벨트 견인기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해, 힘 제한기가 전환되는 시간점은 매우 중요한데, 특정한 단계에 대한 힘 제한기에 의해 일어나는 벨트 빼냄이 에어백을 팽창하도록 되어 있는 벨트를 맨 사람이 미리 위치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불꽃전하(27)를 발화시키기 위해 전환과정에 대한 가장 좋은 시간점을 결정할 수가 있고, 특정한 시간점에 대해 이러한 발화를 일으키기 위해, 시간 주기는 제공된 제어 유닛에 미리 설정되며, 이러한 시간 주기가 경과된 후에 불꽃 전하(27)는 발화된다.
도 8은 벨트 견인기의 힘 제한 장치로 인해 벨트가 빼내지는 것이 불꽃유닛(27)를 발화시키는 것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것에 대한 제어 선택을 도시한다. 이러한 경우 측정장치(37)는 벨트 견인기(10)에 제공되는데, 예를 들어 스풀회전 속도 혹은 각속도를 결정하는 포텐쇼미터(potentiometer)의 형식이 된다. 요구되는 값이 문턱값을 넘을 때, 힘제한이 시작되는 것으로 인식되고, 포텐쇼미터롤 통해 벨트 빼냄이 감지된다. 스풀(12)의 각속도는 안전벨트를 밸 때 정상적인 수동 벨트 빼냄과 벨트 견인기의 차단이 일어나는 동안 힘 제한 장치, 즉 에너지 흡수 요소가 작동할 때 보다 낮다. 힘 제한 과정동안 각속도는 정상적인 벨트 빼냄이 일어날 때 보다 약 10배정도 높다. 불꽃 전하(27)를 발화시키기 위해 필수적인 벨트 빼냄에 대한 특정한 측정은 차량에 제공된 제어 유닛(29)에 저장되며,또 다른 벨트 견인기 제어 유닛(28)에서 포텐쇼미터에 의해 결정되는 벨트 빼냄 속도가 차량의 제어 유닛(39)에 의해 미리 결정된 값과 일치할 때, 제어 유닛(38)은 불꽃전하(27)의 발화를 시작하게 한다. 이러한 시간점에서 힘 제한 장치는 높은 레벨의 힘에서 낮은 레벨의 힘으로 전환시킨다.
마지막으로 도 9는 서로 평행하게 지향된 두 개의 에너지 흡수 요소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스풀(12)은 하우징 레그(11)에 회전가능하게 지탱되어 있다. 벨트 들어올림 스풀(13)의 차단면 단부(17)에서 전면의 스풀은 하우징의 U-자형 레그(11)에서 회전하는 프로파일된 헤드(50)에 배치된다. 여기서 차단방지 부재(55)는 프로파일된 헤드(50)에 지탱되며, 이 부재는 제어장치의 영향(표시되었지만 도시되지는 않음)하에서 방사형으로 편향될 수 있고, 지연될 경우의 제어하는데 있어서 하우징 내에 관련된 통과 구멍에 배열된 치열로 안내된다.
프로파일된 헤드(50) 및 스풀(12)은 힘 제한 장치 역할을 하는 토션바(13)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토션바(13)의 하나의 단부는 프로파일 헤드(50)에 꼭맞게 연결되며, 스풀(12) 내에서 움직이는 토션바(13)의 나머지 단부는 스풀(12)에 부착되어 잇다. 스풀(12)은 폴(21)을 지탱하기 위해 필요한 리세스(40)를 형성하기 위해 차단면(17)에 반대인 측면 레그(11)이상으로 넓게된다. 스풀(12)의 가장 바깥쪽 단부에 지탱되는 첫 번째 외부 폴(21)은 토션바(13)의 방사형 투영 플랜지(60)에 연결되며, 폴(21)이 차단될 때, 스풀(12)은 토션바(13)에 연결된다. 폴(21)은 관련된 외부 스풀링(45)에 의해 연결된 채로 있고, 첫 번째 셋트 칼라(19)는 첫 번째 스풀링(45)에 배치된다.
추가적인 에너지 흡수 요소가 제공된 토션 슬리브(61)는 토션바(13)를 덮고, 프로파일된 헤드(50)에 부착되며, 토션바(13)의 플랜지(60) 및 방사형 플랜지(62)에 인접하고, 이 방사형 플랜지(62)는 두 번째 폴(21)에 배치되며, 두 번재 폴(21)은 스풀(12)에 지탱되고 자체 리세스(40)에 배치되며, 두 번째 셋트 칼라(19)에 의해 제어가능한 두 번째 스풀 링(45)에 의해 연결이 유지된다. 이러한 배열로, 에너지 흡수의 다른 레벨은 두 개의 폴(21)을 제어하여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명세서, 청구항, 요약서, 도면에 공지되어 있고, 다양한 실시예가 본 발명에서 행해질 수 있다.

Claims (15)

  1. 힘 제한기를 갖는 벨트 견인기(10)에서, 상기 벨트 견인기(10)는 한편으로는 스풀(12)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프로파일된 헤드(50)를 통해 벨트 견인기(10)의 차단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힘 제한 장치로써 적어도 하나의 에너지 흡수 요소(13,14,15,61)를 갖고. 전환장치(폴(21))는 에너지 흡수를 조절하도록 제공되며 독립 구동기(26)를 통해 전환가능한데,
    여기서 전환장치는 구동기(26)를 통해 아무 시간 점에서나 전환이 가능하고, 구동기는 스풀(12) 및(혹은) 전환장치로부터 독립적으로 배열되고, 스스로 열리려는 경향을 갖고 스풀링(45) 수단에 의해 결합위치에 고정된 폴(21)이 제공되는데, 스풀링(45)은 스풀 축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고, 스풀(45)은 불꽃 구동이 가능한 조절 장치(셋트 칼라(19))의 수단으로 결합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폴(21) 전환을 가능하게 하는 위치로 축방향 전달될 수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견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에너지 흡수 요소(13,14,15,61)은 서로 평행하거나 직렬로 배열되어 있고, 전환장치(폴(21))는 구동기(26)가 작동할 때 하나의 에너지 흡수 요소로부터 다른 에너지 흡수 요소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견인기.
  3. 제 1 항 혹은 제 2 항에 있어서, 에너지 흡수 요소로서 토션바(13)는 다른에너지 흡수를 하도록 서로 직렬로 정렬된 다른 횡단면을 갖는 적어도 두 개의 영역(14,15)이 제공되며, 토크튜브(18)는 스풀(12) 및 토션바(13)의 적어도 하나의 영역(14,15)은 꼭맞게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견인기.
  4. 제 1 항 혹은 제 2 항에 있어서, 토션 슬리브(61)는 토션바(13)에 평행하게 연결되고, 토션 슬리브(61) 혹은 토션바(13)는 토션슬리브(61) 뿐만 아니라 토션바(13)에도 관계된 전환장치(폴(21)) 수단에 의해 연결이 끊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견인기.
  5. 제 1 항에서 제 4 항까지의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풀링(45)은 꼭 맞는 구조(노즈(52))를 통해 스풀(12)에 연결되며, 함께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견인기.
  6. 제 1 항에서 제 5 항까지에 있어서, 폴(21)은 스풀(12)의 횡단면에 있는 리세스(40)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스풀링(45)은 결합 위치에서 폴(21)을 유지하는 위치에서 리세스(40)를 덮는 것 같이 스풀(12)의 외부 둘레에 대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견인기.
  7. 제 1 항에서 제 6 항까지에 있어서, 스풀링(45)의 이동에 대해 조절 장치는 회전 제한 영역에 대해 구동기(26)의 영향 아래에서 벨트 견인기(10)에 회전가능하게 배열된 셋트 칼라(19)로 구성되고, 셋트 칼라는 스풀(12)의 축방향으로 기울어진 적어도 하나의 램프에 의해 벨트 견인기(12)의 덮개에 대해 지지되며, 자체 회전으로 인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견인기.
  8. 제 7 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램프는 셋트 칼라(19) 및 덮개(20)의 바깥 둘레에 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견인기.
  9. 제 1 항에서 제 5 항까지에 있어서, 셋트 칼라(19)의 회전에 대해 구동기(26)로서 선형 이동 불꽃 구동 피스톤(28)은 셋트 칼라(19)로부터 방사형으로 투영된 숄더(29)에 접선방향으로 충격을 가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견인기.
  10. 제 1 항에서 제 9 항까지에 있어서, 변형가능한 요소(30,31,35)는 스풀(21)과 토크 튜브(18) 사이에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견인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변형 가능한 요소는 스풀(12)과 토크튜브(18)의 원주 방향으로 뻗어있는 전단바(30)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견인기.
  12. 제 10 항에 있어서, 변형 가능한 요소는 스풀(12) 과 토크튜브(18) 사이에서 방사형으로 배열된 굽힘바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견인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변형 가능한 요소로써 스풀(12)의 채널에 배열되고 변형가능한 재료로 된 스트립(25)은 토크튜브(18)에 고정된 스트립의 하나의 단부를 갖고, 상기 토크튜브(18)의 회전이 일어나는 동안 변형 중에 채널(36)로부터 밀려나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견인기.
  14. 제 1 항에서 제 13 항까지에 있어서, 조절 장치(셋트 칼라(19))에 대한 구동기를 점화시키기 위해 시간 스위치는 차량 센서로 작동되며, 미리 설정된 시간 주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견인기.
  15. 제 1 항에서 제 13 항까지에 있어서, 장치(37)는 미리 설정된 문턱값이 힘 제한에 의해 영향을 받는 벨트 빼냄을 결정하기 위해 초과된 후에, 하중하에서 스풀(12)의 회전을 결정하도록 제공되며, 셋트 칼라(19)에 대해 구동기(26)를 점화시키는 것은 미리 설정된 벨트 빼냄이 이루질 때 영향을 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 견인기.
KR1020017016067A 1999-06-16 2000-06-14 힘제한기를 가진 벨트견인기 KR1006502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927427A DE19927427C2 (de) 1999-06-16 1999-06-16 Gurtaufroller mit schaltbarem Kraftbegrenzer
DE19927427.4 1999-06-16
US19927427.4 1999-06-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3918A true KR20020013918A (ko) 2002-02-21
KR100650219B1 KR100650219B1 (ko) 2006-11-27

Family

ID=7911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16067A KR100650219B1 (ko) 1999-06-16 2000-06-14 힘제한기를 가진 벨트견인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616081B1 (ko)
JP (1) JP4524732B2 (ko)
KR (1) KR100650219B1 (ko)
AU (1) AU781162B2 (ko)
DE (1) DE19927427C2 (ko)
WO (1) WO20000768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28343B2 (en) 2001-02-06 2006-10-31 Autoliv Asp,Inc. Safety-belt arrangement
US7140641B2 (en) 2001-02-06 2006-11-28 Autoliv Development Ab Safety-belt arrangement
DE20113656U1 (de) 2001-08-17 2002-01-03 Trw Repa Gmbh Gurtaufroller für einen Fahrezug-Sicherheitsgurt
DE20113834U1 (de) * 2001-08-21 2002-02-07 Trw Repa Gmbh Gurtaufroller für einen Fahrzeugsicherheitsgurt
DE10141915C1 (de) 2001-08-28 2002-12-12 Autoliv Dev Gurtaufroller mit mechanisch schaltbarem Kraftbegrenzer
GB2386350A (en) * 2002-03-12 2003-09-17 Autoliv Dev A seat belt force limiter
KR100636467B1 (ko) * 2002-04-27 2006-10-18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좌석 벨트 리트랙터
DE20208319U1 (de) * 2002-05-28 2002-10-10 Trw Repa Gmbh Gurtaufroller für einen Fahrzeug-Sicherheitsgurt
JP4166096B2 (ja) 2003-01-31 2008-10-15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ー
JP4166095B2 (ja) * 2003-01-31 2008-10-15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ー
DE10304943B3 (de) * 2003-02-06 2004-08-19 Autoliv Development Ab Endbeschlagstraffer
DE10304946B4 (de) * 2003-02-06 2009-07-02 Autoliv Development Ab Endbeschlagstraffer in Kompaktbauweise
DE10307430B3 (de) * 2003-02-20 2004-07-29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mit reversibel schaltbarer Kraftbegrenzungsvorrichtung
JP4404335B2 (ja) * 2003-07-31 2010-01-27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のリトラクター装置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GB2402531B (en) * 2003-06-06 2006-02-08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afety arrangement
GB2406832B (en) 2003-10-06 2006-09-13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safety device
DE10357979B4 (de) * 2003-12-11 2006-10-05 Sfs Intec Holding Ag Torsionsstab zum Einsatz bei Gurtaufrollern für Sicherheitsgurte
JP2005178514A (ja) * 2003-12-18 2005-07-07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DE102004017725A1 (de) * 2004-04-10 2005-11-03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mit schaltbarem Kraftbegrenzer
US20050284978A1 (en) * 2004-06-29 2005-12-29 Zolkower Jeffry N Dual level load limiting belt retractor with mechanical load switching
US20060022078A1 (en) * 2004-07-28 2006-02-02 Takata Corporation Seatbelt retractor and seatbelt system
US7370822B2 (en) * 2004-07-28 2008-05-13 Takata Corporation Seatbelt retractor having multi-level load-limit setting devices
US7240924B2 (en) * 2004-07-29 2007-07-10 Key Safety Systems, Inc. Multilevel load limiting retractor with dual shifting mode
US7669794B2 (en) 2004-09-01 2010-03-02 Key Safety System, Inc Seatbelt retractor with torsion bar
US7318607B2 (en) * 2004-10-19 2008-01-15 Autoliv Asp, Inc. Adaptive restraint system with retractor pretensioner
US7581757B2 (en) 2004-10-19 2009-09-01 Autoliv Asp, Inc. Retractor with pretensioner
US7963473B2 (en) * 2004-10-19 2011-06-21 Autoliv Asp, Inc. Retractor with pretensioner
US7370721B2 (en) * 2004-12-03 2008-05-13 Autoliv Asp, Inc. Seatbelt tensioning device and method
US7410113B2 (en) * 2004-12-09 2008-08-12 Autoliv Asp, Inc. Modular torsion bar
US7273191B2 (en) * 2004-12-09 2007-09-25 Autoliv Asp, Inc. Low profile spline
US7318560B2 (en) * 2004-12-09 2008-01-15 Autoliv Asp, Inc. Switchable load limiting seatbelt retractor
US20060131456A1 (en) * 2004-12-21 2006-06-22 Takata Seat Belts, Inc. Retractor with multiple level load limiter
DE102005012526B4 (de) * 2005-03-16 2016-05-25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JP4908927B2 (ja) * 2005-08-22 2012-04-0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DE102005026885B4 (de) * 2005-06-10 2015-01-08 Trw Automotive Gmbh Kraftbegrenzer für einen Fahrzeug-Sicherheitsgurt
US7360795B2 (en) * 2005-07-28 2008-04-22 Autoliv Asp, Inc. Torsion bar load limiter and pretensioner for seat belt system
DE102005049086A1 (de) * 2005-10-13 2007-04-19 Trw Automotive Gmbh Gurtaufroller mit einem Kraftbegrenzersystem
US20070120000A1 (en) * 2005-11-30 2007-05-31 Takata Seat Belts, Inc. Seat belt retractor including an energy absorbing device
US7806357B2 (en) * 2006-07-07 2010-10-05 Autoliv Asp, Inc Retractor pretensioner with clutch
US7410114B2 (en) * 2006-09-12 2008-08-12 Delphi Technologies, Inc. Compact dual-level load limiting seat belt retractor
JP4819645B2 (ja) * 2006-10-12 2011-11-2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4885764B2 (ja) * 2007-02-28 2012-02-29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エビング巻取装置
WO2009045132A1 (en) * 2007-10-05 2009-04-09 Autoliv Development Ab Adaptive load limiting seat belt retractor
DE102007057661B4 (de) 2007-11-28 2010-05-06 Autoliv Development Ab Selbstsperrender Gurtaufroller
KR100873269B1 (ko) 2008-04-29 2008-12-11 (주)디케이엠엔이 유압식 더블암 제진기의 협잡물 제거방법 및 그 유압식더블암 제진기
US7954854B2 (en) * 2008-07-15 2011-06-07 Autoliv Asp, Inc. Seat belt retractor and torsion bar providing secondary load limiting
US7988084B2 (en) * 2008-08-21 2011-08-02 Autoliv Asp, Inc. Device for pretensioning a seatbelt
US7946519B2 (en) * 2008-11-12 2011-05-24 Tk Holdings Inc. Pretensioned retractor
DE102008059387B4 (de) * 2008-11-27 2018-06-28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mit einer Kraftbegrenzungseinrichtung und einer Straffeinrichtung
DE102008059386B3 (de) * 2008-11-27 2010-07-01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mit einer Kraftbegrenzungseinrichtung
JP5196278B2 (ja) * 2008-12-16 2013-05-15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シートベルト装置
DE102008063639B4 (de) * 2008-12-18 2022-12-01 Zf Automotive Germany Gmbh Gurtaufroller mit schaltbarem Gurtkraftbegrenzer
US20100176236A1 (en) * 2009-01-09 2010-07-15 Autoliv Asp, Inc. High performance tightener
US8740125B2 (en) 2009-04-17 2014-06-03 Autoliv Development Ab Seatbelt retractor
DE102009024292B4 (de) * 2009-06-05 2014-10-09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für einen Sicherheitsgurt eines Kraftfahrzeuges
DE102009035047A1 (de) 2009-07-28 2011-02-03 Autoliv Development Ab Selbstsperrender Gurtaufroller
US8220735B2 (en) * 2009-12-22 2012-07-17 Autoliv Asp, Inc. Adaptive load limiting retractor
US20120049500A1 (en) * 2010-08-31 2012-03-01 Bin Wang Dual Stage Pretensioning and High Pay-In Capacity Pretensioning Retractor
DE102010050696A1 (de) * 2010-11-06 2012-05-10 Trw Automotive Gmbh Kraftbegrenzungsvorrichtung, Gurtaufroller mit Kraftbegrenzungs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Umschalten einer Kraftbegrenzungsvorrichtung
WO2012072194A1 (de) 2010-12-02 2012-06-07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mit einer schaltbaren kraftbegrenzungseinrichtung für einen sicherheitsgurt eines kraftfahrzeuges
JP5535988B2 (ja) 2011-06-20 2014-07-0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DE102011087413A1 (de) 2011-11-30 2013-06-06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mit zwei parallel wirkenden Kraftbegrenzungseinrichtungen
DE102011056328B4 (de) 2011-12-13 2013-09-12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mit schaltbarem Kraftbegrenzer
JP5763006B2 (ja) 2012-04-03 2015-08-1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DE102012009081B4 (de) * 2012-05-09 2023-10-05 Zf Automotive Germany Gmbh Gurtaufroller für einen Fahrzeug-Sicherheitsgurt
DE102012011970B4 (de) * 2012-06-15 2016-03-31 Michael Werner Sicherheitsgurt-Arretiervorrichtung in Anwendungskombination, insbesondere mit einer integrierten pyrotechnischen Antriebseinheit
CN102849023B (zh) * 2012-08-30 2016-02-24 重庆光大产业有限公司 预紧限力式卷收器
US9079565B2 (en) 2013-03-14 2015-07-14 Autoliv Asp, Inc. Progressive load limiting restraint system
US9469272B2 (en) 2013-03-15 2016-10-18 Autoliv Asp, Inc. Load limiting seat belt retractor with spiral turn limiter
CN104097977B (zh) * 2013-04-15 2016-11-23 上海和鹰机电科技股份有限公司 手动调节装置和包含其的铺布机
US10023150B2 (en) 2013-11-25 2018-07-17 Joyson Safety Systems Japan K.K. Seat belt retractor and seat belt apparatus provided with same
US10196034B2 (en) 2014-10-22 2019-02-05 Autoliv Development Ab Seat belt retractor
JP6498478B2 (ja) 2015-03-06 2019-04-1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6306534B2 (ja) 2015-04-06 2018-04-0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JP6498508B2 (ja) 2015-04-24 2019-04-10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DE102016104614B4 (de) 2016-03-14 2018-04-05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mit einer Kraftbegrenzungseinrichtung
US10940827B2 (en) 2016-04-06 2021-03-09 Trw Automotive Gmbh Belt retractor having a force limiter
WO2017174641A1 (de) * 2016-04-06 2017-10-12 Trw Automotive Gmbh Gurtaufroller mit zweitem kraftbegrenzer
US10040421B2 (en) * 2016-05-26 2018-08-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Load-limiting retractor
JP6702805B2 (ja) * 2016-06-09 2020-06-0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ウェビング巻取装置
KR101862161B1 (ko) * 2016-07-28 2018-06-25 (유)삼송 하중 전환 로드 리미터
US10399540B2 (en) 2017-03-28 2019-09-03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Seat belt retractor with energy absorbing mechanism
DE102017111398A1 (de) * 2017-05-24 2018-11-29 Trw Automotive Gmbh Gurtaufroller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Gurtaufrollers
US10525923B2 (en) * 2017-09-08 2020-01-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Belt load modulation for vehicle front oblique impacts
DE102019107663A1 (de) 2018-07-26 2020-01-30 Autoliv Development Ab Kraftbegrenzungseinrichtung aufweisender Gurtaufroller mit Entkopplungseinrichtung
US11014529B2 (en) 2019-04-30 2021-05-25 Joyson Safety Systems Acquisition Llc Seat belt retractor
DE102020200489B4 (de) 2020-01-16 2023-05-17 Joyson Safety Systems Germany Gmbh Gurtaufroller mit zwei Torsionsstäben
KR102354886B1 (ko) * 2020-04-28 2022-01-24 주식회사 우신세이프티시스템 스위칭이 가능한 프로그래시브 로드리미터
DE102020211209A1 (de) 2020-09-07 2022-03-10 Autoliv Development Ab Gurtaufroller
DE102020130268A1 (de) 2020-11-17 2022-05-19 Zf Automotive Germany Gmbh Gurtaufroller
CN112977326B (zh) * 2021-04-06 2021-12-28 重庆光大产业有限公司 一种有效降低车辆乘员碰撞伤害的限力终止式卷收器
DE102022122816A1 (de) * 2022-09-08 2024-03-14 Zf Automotive Germany Gmbh Gurtaufroller mit lastübertragendem Riegel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9604931A (pt) 1995-04-14 1998-06-09 Autoliv Dev Roldana para cinto com limitador de força amortecido
DE29613044U1 (de) 1995-11-09 1996-11-07 Trw Repa Gmbh Gurtaufroller für einen Fahrzeug-Sicherheitsgurt
GB9523133D0 (en) * 1995-11-11 1996-01-10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Crash protection device
DE19653510B4 (de) * 1995-12-23 2005-03-10 Volkswagen Ag Gurtkraftbegrenzende Einrichtung für einen Sicherheitsgurt
DE19609524C2 (de) * 1996-03-11 2000-06-08 Autoliv Dev Gurtaufroller-Gurtstrammer-Kombination mit Kraftbegrenzer
BR9709962A (pt) * 1996-06-26 1999-08-10 Autoliv Dev Dispositivo enrolador de cinta com dispositivo de limitação de força ajustável
DE19640842C2 (de) 1996-10-02 1999-06-02 Hs Tech & Design Sicherheitsgurtaufroller
JP3674800B2 (ja) 1996-10-17 2005-07-20 エヌエスケー・オートリブ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ー
DE29622181U1 (de) * 1996-12-20 1997-04-17 Trw Repa Gmbh Gurtaufroller mit mehrstufigem Kraftbegrenzer
US5785269A (en) * 1997-02-06 1998-07-28 Alliedsignal Inc. Dual level retractor for oblique or offset impacts
US5820056A (en) * 1997-02-06 1998-10-13 Alliedsignal Inc. Retractor with load limiting spool
US5799893A (en) * 1997-02-19 1998-09-01 Alliedsignal Inc. Multi-level load limiting torsion bar retractor
US6012667A (en) * 1998-02-19 2000-01-11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Multi-level load limiting torsion bar retra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502204A (ja) 2003-01-21
WO2000076814A1 (de) 2000-12-21
DE19927427C2 (de) 2002-11-14
AU5973100A (en) 2001-01-02
AU781162B2 (en) 2005-05-12
JP4524732B2 (ja) 2010-08-18
US6616081B1 (en) 2003-09-09
DE19927427A1 (de) 2001-01-04
KR100650219B1 (ko) 2006-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13918A (ko) 전환 가능한 힘 제한기를 갖는 벨트 견인기
JP4814379B2 (ja) トーションバーを備えている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KR100837045B1 (ko) 안전 벨트 리트랙터
JP4249818B2 (ja) 外部バック・ミラー
US4728181A (en) Shock absorbing apparatus for a door mirror of automobiles
EP1276647B1 (en) Seat belt retractor
EP1674354A2 (en) Retractor with multiple level load limiter
EP1238873B1 (en) Seat belt retractor
US7648006B2 (en) Regula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parking brake
US7690688B2 (en) Safety belt roll-up mechanism having a force limitation device actuatable as a function of the length of belt strap withdrawn
EP1524159A1 (en) Seat belt retractor
KR102569819B1 (ko) 힘 제한 디바이스 및 결합해제 디바이스를 갖는 벨트 리트랙터
US20060082127A1 (en) Retractor with pretensioner
JPH11129865A (ja) 個人座席の安全ベルト装置用ベルト巻取り器
KR100473012B1 (ko) 좌석 벨트 리트렉터
US6564895B1 (en) Belt retractor for a vehicle safety belt and method for actuating the belt retractor
CN116133908A (zh) 安全带卷收器
EP1130211B1 (en) Motor-reducing device for winding blinds and awnings and method of operation
WO1997020713A1 (en) Safety belt retractor
JP3901097B2 (ja) 衝撃吸収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WO2006044953A1 (en) Adaptive restraint system with retractor having pretensioner
WO2000009367A2 (en) A triggering means for a safety belt having a pre-tensioning device
EP3549833B1 (en) Reversible seat belt tensioner
EP3279042B1 (en) Webbing take-up device
WO2018021795A1 (ko) 하중 전환 로드 리미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