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2161B1 - 하중 전환 로드 리미터 - Google Patents

하중 전환 로드 리미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2161B1
KR101862161B1 KR1020160095912A KR20160095912A KR101862161B1 KR 101862161 B1 KR101862161 B1 KR 101862161B1 KR 1020160095912 A KR1020160095912 A KR 1020160095912A KR 20160095912 A KR20160095912 A KR 20160095912A KR 101862161 B1 KR101862161 B1 KR 1018621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ring
torque tube
load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5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2964A (ko
Inventor
권순광
Original Assignee
(유)삼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삼송 filed Critical (유)삼송
Priority to KR1020160095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161B1/ko
Priority to PCT/KR2017/007990 priority patent/WO2018021795A1/ko
Publication of KR20180012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2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1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1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341Belt retractors, e.g. reels comprising energy-absorbing means
    • B60R22/3413Belt retractors, e.g. reels comprising energy-absorbing means operating between belt reel and retractor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60R22/4628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characterised by fluid actuators, e.g. pyrotechnic gas generators
    • B60R22/4652Mechanical trigger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60R2022/286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using deformation of material
    • B60R2022/287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using deformation of material of torsion rod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B60R2022/28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with means to adjust or regulate the amount of energy to be absorb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를 간소화하여 조립이 용이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하중 전환 로드리미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 측은 개방되고 타 측은 폐쇄된 원통형의 스풀, 스풀 내주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토크 튜브, 스풀의 개방 측에 설치되는 락킹 장치, 락킹 장치와 일단이 연결되고, 토크 튜브와 타단이 결합되는 제1 토션 바, 일단이 제1 토션 바와 결합되고, 타 단은 스풀의 폐쇄면에 결합되는 제2 토션 바, 스풀의 외주로부터 토크 튜브의 일부까지 형성되는 티스 홈, 티스 홈 내에 삽입되어 토크 튜브의 스풀의 움직임을 연동시키는 티스, 스풀의 외주에 결합되며, 내주에 원주 방향의 경사홈을 구비하는 스위치 링, 스풀의 외주에 결합되고, 스위치 링과 축 방향으로 적층되어 결합하며, 경사홈에 삽입되는 경사 돌기를 구비하고, 내주가 티스를 덮는 클러치 링 및 스위치 링을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며, 구동 장치에 의해 스위치 링이 회전될 때, 클러치 링이 스위치 링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티스에 의한 토크 튜브와 스풀의 연동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전환 로드 리미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하중 전환 로드 리미터{SWITCHABLE LOAD LIMITER}
본 발명은 시트 벨트의 로드 리미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객의 체형, 체중 등에 따라 흡수되는 하중을 전환할 수 있는 하중 전환 로드 리미터에 관한 것이다.
시트벨트는 차량에 탑승한 승객을 구속하는 장치로, 충돌, 추락 등의 유사 상황에서 승객이 좌석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여 승객의 안전을 도모하는 장치이다. 그런데 정면충돌 등에 의한 차량의 급정지시 운전자의 상체가 관성에 의해 앞쪽으로 움직이므로, 안전벨트는 운전자를 좌석에 구속시키는 원래의 목적과 상반되게, 실제 사고에서 사용자가 창문 또는 운전대에 얼굴을 부딪히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는 충돌 직후 운전자의 상체와 시트 벨트 및 좌석의 등받이 사이에 틈새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동차업계에서는 유사시에 순간적으로 스풀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시트 벨트의 웨빙을 스풀에 감아 상기한 틈새를 없애주는 긴장장치인 프리텐셔너(PRETENSIONER)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후 승객이 이동되는 방향으로 서서히 스풀에 감긴 웨빙을 풀어주어 흉부에 가해지는 고 하중을 일정 하중 이하로 제한시키는 로드리미터(에너지 흡수 장치)가 필요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하중 전환 로드리미터를 도시한 도면으로, 미국 등록특허 제6,616,081에 개시된 하중 전환 로드리미터이다. 스풀(12) 내에 토크 튜브(18)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토션 바(13)의 일부가 로드 튜브(18) 내로 삽입된다. 토션 바(13는 더 큰 단면을 가지는 제1 섹션(14)과, 더 작은 단면을 가지는 제2 섹션(15)을 구비하며, 제1 섹션(14)과 제2 섹션(15) 사이에 제1 연결부(16a), 제2 섹션(15)의 오른쪽 단부에 제2 연결부(16b)를 구비한다. 제1 연결부(16a)는 토크 튜브(18)를 통하여 토션 바(13)와 스풀(12)을 연결하고, 제2 연결부(16b)는 토션 바(13)와 스풀(12)을 직접 연결한다. 높은 하중 레벨에서 낮은 하중 레벨로 하중 제한 장치를 전환하기 위한 스위칭 장치는 폴(21)을 통해 이루진다. 폴(21)에 의해 스폴(12)과 토크 튜브(18)가 결합되는데, 폴(21)이 결합 위치에 있을 때, 스풀(12)에 벨트(9)가 풀려나오는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질 때, 스풀(12)로부터 토크 튜브(18)를 통해 토션 바(13)의 제1 섹션(14)으로의 하중 흐름이 발생한다. 따라서 제1 섹션(14)이 비틀리며, 높은 레벨에서 하중 제한이 이루어진다. 만약, 폴(21)이 스위칭 장치의 작동에 의해 토크 튜브(18)의 결합을 해제하면, 스풀(12)은 토크 튜브(18)에 대해 상대회전이 가능하며, 하중응 흐름은 스풀(12)과 제2 섹션(15)의 제2 연결부(16b)를 통해 일어나며, 따라서 제2 섹션(15)이 비틀리며 하중 제한은 낮은 수준에서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하중 전환 로드리미터가 구비하는 스위칭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스풀 링(45)의 축 방향 이동을 위한 스위칭 장치(26)는 피스톤(28)을 충격하기 위한 화약(27)을 포함하여, 피스톤(28)의 선형 운동을 일으킨다. 피스톤(28)의 선형 운동은 셋 칼라(19)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어깨부(29)에 작용하여 셋 칼라(19)가 회전된다. 셋 칼라(19)의 축 방향 이동은 스풀 링(45)을 이동시키며, 스풀 링(45)의 이동은 폴(21)이 해제되게 만든다. 셋 칼라(19)는 셋 칼라(19)와 커버(20) 사이의 경사진 램프에 의해 커버(20)에 대해 지지되며, 커버(20)의 비틀림에 의해 셋 칼라(19)는 가압되고, 따라서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스풀(12)과 토크 튜브(18)의 결합에 영향을 미치는 폴(21)은 결합 위치에서 스풀(12)의 단면에서 오목부(40)에 지탱되며, 회전 중심(22)에 대해 피벗 회전하며, 스풀(12)은 스풀 링(45)에 의해 외주가 감싸지며, 스풀 링(45)은 스풀(12)의 오목부까지 연장되고, 서포트(24)를 통해 토크 튜브(18)의 오목부(51)와 맞물리는 결합 노즈(23)에서 폴(21)을 붙잡고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하중 전환 로드리미터는, 스위칭을 위해 스풀(12) 내에 축에 대해 피벗 회전되는 폴(21)을 설치하여야하고, 폴(21)은 스풀(12), 토크 튜브(18), 스풀 링(45)의 서포트에 의해 지지되어야 하는 복잡한 형상을 가져 조립 난이도가 높다는 단점이 있었다.
미국 등록특허 제6,616,081
본 발명은 구조를 간소화하여 조립이 용이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하중 전환 로드리미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 측은 개방되고 타 측은 폐쇄되며, 시트 벨트의 웨빙이 권취되는 권취부와, 타 측의 외측에 위치하며 축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헤드부를 구비하는 원통형의 스풀, 스풀 내주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토크 튜브, 스풀의 개방 측에 설치되는 락킹 장치, 락킹 장치와 일단이 연결되고, 토크 튜브와 타단이 결합되는 제1 토션 바, 일단이 제1 토션 바와 결합되고, 타 단은 스풀의 폐쇄면에 결합되는 제2 토션 바, 스풀의 외주로부터 토크 튜브의 일부까지 형성되는 티스 홈, 티스 홈 내에 삽입되어 토크 튜브의 스풀의 움직임을 연동시키는 티스, 스풀의 외주에 직접 결합되며, 내주에 원주 방향의 경사홈을 구비하는 스위치 링, 내주에는 스풀의 헤드의 가이드 홈 내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여 스풀의 외주에 직접 결합되고, 스위치 링과 축 방향으로 적층되어 결합하며, 경사홈에 삽입되는 경사 돌기를 구비하고, 내주가 티스를 덮는 클러치 링, 스풀의 헤드에 결합하면서 클러치 링의 가이드 돌기를 덮어 클러치 링의 스풀에 대한 축 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커버 및 스위치 링을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며, 구동 장치에 의해 스위치 링이 회전하면서, 클러치 링의 가이드 돌기를 덮고 있는 커버를 변형시키고, 클러치 링의 경사 돌기가 스위치 링의 경사홈을 따라 상승하여 클러치 링이 스위치 링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축 방향 이동하며, 티스에 의한 토크 튜브와 스풀의 연동을 해제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티스 및 티스 홈의 축 방향 길이는 일정하며, 클러치 링의 축 방향 이동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전환 로드 리미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스풀은 축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홈을 구비하며, 클러치 링은 내주에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전환 로드 리미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가이드 돌기는 경사 돌기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전환 로드 리미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하중 제한 시, 스풀의 회전 방향과 스위치 링의 회전 방향이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전환 로드 리미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구동 장치는, 점화 트리거와 점화 트리거의 폭발에 의해 전진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며, 하중 제한 시 피스톤의 전진 방향은 회전체의 회전 방향과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전환 로드 리미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로, 스풀은, 웨빙이 권취되는 권취부와 폐쇄측에 위치하며 권취부보다 지름이 작은 헤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전환 로드 리미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하중 전환 로드리미터는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가져, 조립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하중 전환 로드리미터를 도시한 도면을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하중 전환 로드리미터가 구비하는 스위칭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전환 로드리미터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전환 로드리미터가 구비하는 스위치링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전환 로드리미터가 구비하는 클러치 링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전환 로드 리미터에서 구동 장치가 하중 전환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전환 로드 리미터에서 구동 장치가 하중 전환하기 전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전환 로드 리미터에서 구동 장치가 하중 전환할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하중 전환 로드 리미터에서 구동 장치가 하중 전환한 후의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전환 로드리미터의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하중 전환 로드리미터는 일 측(102)은 개방되고 타 측(104)은 폐쇄된 원통형의 스풀(100), 스풀(100) 내주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토크 튜브(200), 스풀(100)의 일 측(102)에 설치되는 락킹 장치(미도시), 락킹 장치와 일단(312)이 연결되고, 토크 튜브(200)와 타단(314)이 결합되는 제1 토션 바(310), 일단(322)이 제1 토션 바(312)와 결합되고, 타 단(324)은 스풀(100)의 타 측(104)에 결합되는 제2 토션 바(324), 스풀(100)의 외주로부터 토크 튜브(200)의 일부까지 형성되는 티스 홈(130, 230), 티스 홈(130, 230) 내에 삽입되어 토크 튜브(200)의 스풀(100)의 움직임을 연동시키는 티스(410), 스풀(100)의 외주에 결합되며, 내주에 원주 방향의 경사홈을 구비하는 스위치 링(420), 스풀(100)의 외주에 결합되고, 스위치 링(420)과 축 방향으로 적층되어 결합하며, 경사홈에 삽입되는 경사 돌기를 구비하고, 내주가 티스(410)를 덮는 클러치 링(430) 및 스위치 링(420)을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510, 520)를 포함하며, 구동 장치(510, 520)에 의해 스위치 링(420)이 회전될 때, 클러치 링(430)이 스위치 링(420)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티스(410)에 의한 토크 튜브(200)와 스풀(100)의 연동을 해제킨다. 구동 장치(510, 520)는 일반적으로 스위치 링(420)을 회전시켜줄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것이어도 무방하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점화 트리거(520)와 점화 트리거(520)의 폭발에 의해 전진하는 피스톤(510)을 채용하였다.
스풀(100)은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원통형이며, 일 측(102)은 개방되어 있고, 타 측(104)은 페쇄되어 있다. 스풀(100)은 시트 벨트의 웨빙이 권취되는 권취부(110)와, 타 측(104)에 폐쇄면의 외측에 위치하며 권취부(110)보다 지금이 작은 헤드부(120)를 포함한다. 헤드부(120)에는 티스(410)를 삽입하기 위한 티스 홈(130)과 후술할 클러치 링(430)의 가이드 돌기(미도시)의 축 방향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 홈(140)이 형성된다. 티스 홈(130)은 축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축 방향 길이, 즉 폭은 일정하며, 깊이는 양 단부로 갈수록 얕아지는 형태이다. 티스 홈(130) 및 티스(410)의 폭은 스위치 링(420)의 회전 시 클러치 링(430)이 이동하는 거리보다는 짧아야 한다. 한편, 홈(130)이라고 명명하였으나, 스풀(100)에 형성되는 티스 홈(130)의 중앙은 관통되어, 토크 튜브(200)에 형성된 티스 홈(230)과 연결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전환 로드리미터가 구비하는 스위치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스위치 링(420)은 피스톤(510)에 의해 회전하기 용이하도록 외주에 복수 개의 치형(422)을 구비한다. 스위치 링(420)의 내주에는 원주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 홈(424)을 구비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전환 로드리미터가 구비하는 클러치 링을 도시한 도면이다. 클러치 링(43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스위치 링(420)과 접촉을 유지한 상태로 축 방향으로 스풀(100)의 외주에 적층되어 있다. 클러치 링(430)은 내주에 하방으로 돌출되며, 스위치 링(420; 도 5 참조)의 경사 홈(424; 도 5 참조)에 삽입되는 경사 돌기(432)를 구비한다. 또한, 스풀(110)의 가이드 홈(140) 내에 삽입되며, 클러치 링(430)이 스풀(100)에 대한 축 방향 이동만 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434)를 구비한다. 가이드 돌기는 클러치 링(430)의 내주로 돌출한 형태이다. 이때, 경사 돌기(432)와 가이드 돌기(434)는 다른 위치에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각도상 동일한 위치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구조를 더욱 단순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스위치 링(420)이 피스톤(510)에 의해 회전하면, 경사 돌기(432)의 단부와 접촉하고 있는 경사 홈(424)의 위치도 변하게 된다. 따라서, 점점 짧아지는 경사 홈(424)의 축방향 길에 때문에 경사 돌기(432)가 상승하게 되고, 그에 따라 클러치 링(430) 전체가 스위치 링(42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축방향 이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클러치 링(430)이 더 이상 티스(410)를 감싸주지 못하게 되면, 스풀(100)이 회전할 때 티스(410)가 티스 홈(130, 230)으로부터 빠져나와 스풀(100)과 토크 튜브(200)를 연결해주지 못한다. 따라서 스풀(100)만이 회전하며 토크 튜브(200)는 함께 회전하지 못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전환 로드 리미터에서 구동 장치가 하중 전환하기 전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동 장치(510, 520)가 작동하기 전, 피스톤(510)은 스위치 링(420)과 접촉하지 않고, 따라서 스위치 링(420) 및 클러치 링(430)은 스풀(100)의 회전 시에 스풀(100)과 함께 회전한다.
이때, 클러치 링(430)이 스풀(100) 및 스위치 링(420)과 함께 회전될 때, 기대하지 않던 진동 등으로 인해, 스위치 링(420)과 상대 회전 및 축 방향 이동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커버(44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440)는 스풀(100)의 헤드(120)에 결합하면서, 클러치 링(430)의 가이드 돌기(434)를 덮어 클러치 링(430)이 스풀(100)에 대해 축 방향으로 상대 이동하지 못하게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전환 로드 리미터에서 구동 장치가 하중 전환하기 전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구동 장치(510, 520)의 작동 전에는 스위치 링(420)이 도 7에서 본 바와 같이 스풀(100)과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클러치 링(430)이 티스(410)의 외부를 덮어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티스(410)가 스풀(100)과 토크 튜브(200)의 티스 홈(130, 230; 도 4 참조) 내에 삽입되어 스풀(100)과 토크 튜브(200)가 함께 회전하도록 회전을 연동해준다.
충돌, 충격 등의 유사 상황에서, 스풀(100)의 개방된 일 측에 결합된 록킹 베이스(L)가 록킹되어 회전하지 않고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록킹 베이스(L)에 제1 토션 바(310)의 제1 단부(312)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1 토션 바(310)의 제1 단부(312)는 회전하지 않고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제1 토션 바(310)의 제2 단부(314)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토크 튜브(200)에 결합되어 있다. 시트 벨트의 웨빙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스풀(100)이 회전할 때, 구동 장치(510, 520)의 작동 전에는 토크 튜브(200)가 스풀(100)과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제2 단부(314)는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1 토션 바(310)의 제1 단부(312)는 정지 상태를 유지하고, 제2 단부(314)는 스풀(100)과 함께 회전하기 때문에 제1 토션 바(310)가 비틀리면서 스풀(100)에 가해지는 하중의 일부를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중 전환 로드 리미터에서 구동 장치가 하중 전환할 때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점화 트리거(520)의 폭발에 의해 피스톤(510)이 전진하게 되면, 피스톤(510)이 스위치 링(420)을 회전시킨다. 이때, 피스톤(510)의 전진 방향은 웨빙이 스풀(100)로부터 인출될 때 스풀(10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이다. 즉, 점화 트리거(520)의 폭발 시, 스위치 링(420)이 스풀(100)과 함께 회전하는 중에 피스톤(510)이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며, 스위치 링(420)을 스풀(100)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려 하기 때문에, 스위치 링(420)에 의한 클러치 해제가 훨씬 용이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하중 전환 로드 리미터에서 구동 장치가 하중 전환한 후의 단면도이다.
구동 장치(510, 520)의 작동 후에는 스위치 링(420)이 스풀(100)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클러치 링(430)을 덮고 있는 커버(440)를 변형시키며 클러치 링(430)이 축 방향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티스(410)의 외부를 더 이상 덮지 못한다. 따라서 티스(410)가 티스 홈(130, 230; 도 4 참조)으로부터 빠져나와 토크 튜브(200)는 스풀(100)과 함께 회전하지 못한다.
충돌, 충격 등의 유사 상황에서, 스풀(100)의 개방된 일 측에 결합된 록킹 베이스(L)가 록킹되어 회전하지 않고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록킹 베이스(L)에 제1 토션 바(310)의 제1 단부(312)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1 토션 바(310)의 제1 단부(312)는 회전하지 않고 정지상태를 유지한다. 제1 토션 바(310)의 제2 단부(314)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토크 튜브(200)에 결합되어 있다. 시트 벨트의 웨빙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스풀(100)이 회전할 때, 토크 튜브(200)와 스풀(100)의 연동이 해제된 상태이기 때문에, 토크 튜브(200)는 제1 토션 바(310)와 함께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제2 토션바(320)의 제1 단부(322)는 제1 토션바(310)의 제2 단부(312)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정지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제2 토션바(320)의 제2 단부(324)는 스풀(100)에 직접 고정되어 있으므로, 제2 토션바(320)의 제2 단부(324)는 스풀(100)과 함께 회전하며 비틀리게 된다. 제2 토션바(320)가 비틀리면서, 스풀(100)에 가해지는 하중의 일부를 흡수하게 된다.
제1 토션바(310)와 제2 토션바(320)에서 흡수되는 하중은 서로 다르며, 사용자의 체형을 감지하여, 제1 토션바(310)에 의한 하중을 흡수하거나 구동 장치(510, 520)를 작동시켜 제2 토션바(320)에 의해 하중이 흡수되도록 전환할 수 있다.
물론 제1 토션바(310)로 일정 부분 하중을 흡수하다 중간에 구동 장치(510, 520)를 작동시켜 제2 토션바(320)에서 하중을 흡수하도록 전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하중 전환 로드 리미터는 경사 홈(424)과 경사 돌기(432)가 각각 형성된 스위치 링(420)과 클러치 링(430)이 스풀(100)에 직접 설치되어 스풀(100)과 함께 회전하다가 전환 시점에 피스톤(510)에 의해 스위치 링(420)의 회전 방향이 스풀(100)과 반대가 되면서, 클러치 링(430)과 스위치 링(420)의 접촉이 해제되어 클러치가 해제된다. 그에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클러치 메커니즘의 해제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일 측은 개방되고 타 측은 폐쇄되며, 시트 벨트의 웨빙이 권취되는 권취부와, 타 측의 외측에 위치하며 축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헤드부를 구비하는 원통형의 스풀;
    스풀 내주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토크 튜브;
    스풀의 개방 측에 설치되는 락킹 장치;
    락킹 장치와 일단이 연결되고, 토크 튜브와 타단이 결합되는 제1 토션 바;
    일단이 제1 토션 바와 결합되고, 타 단은 스풀의 폐쇄면에 결합되는 제2 토션 바;
    스풀의 외주로부터 토크 튜브의 일부까지 형성되는 티스 홈;
    티스 홈 내에 삽입되어 토크 튜브의 스풀의 움직임을 연동시키는 티스;
    스풀의 외주에 직접 결합되며, 내주에 원주 방향의 경사홈을 구비하는 스위치 링;
    내주에는 스풀의 헤드의 가이드 홈 내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여 스풀의 외주에 직접 결합되고, 스위치 링과 축 방향으로 적층되어 결합하며, 경사홈에 삽입되는 경사 돌기를 구비하고, 내주가 티스를 덮는 클러치 링;
    스풀의 헤드에 결합하면서 클러치 링의 가이드 돌기를 덮어 클러치 링의 스풀에 대한 축 방향 이동을 방지하는 커버; 및
    스위치 링을 회전시키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며,
    구동 장치에 의해 스위치 링이 회전하면서, 클러치 링의 가이드 돌기를 덮고 있는 커버를 변형시키고, 클러치 링의 경사 돌기가 스위치 링의 경사홈을 따라 상승하여 클러치 링이 스위치 링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축 방향 이동하며, 티스에 의한 토크 튜브와 스풀의 연동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전환 로드 리미터.
  2. 제1항에 있어서,
    티스 및 티스 홈의 축 방향 길이는 일정하며, 클러치 링의 축 방향 이동 길이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전환 로드 리미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 돌기는 경사 돌기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전환 로드 리미터.
  5. 제1항에 있어서,
    하중 제한 시, 스풀의 회전 방향과 스위치 링의 회전 방향이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전환 로드 리미터.
  6. 제1항에 있어서,
    구동 장치는, 점화 트리거와 점화 트리거의 폭발에 의해 전진하는 피스톤을 포함하며,
    하중 제한 시 피스톤의 전진 방향은 회전체의 회전 방향과 반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중 전환 로드 리미터.
  7. 삭제
KR1020160095912A 2016-07-28 2016-07-28 하중 전환 로드 리미터 KR1018621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912A KR101862161B1 (ko) 2016-07-28 2016-07-28 하중 전환 로드 리미터
PCT/KR2017/007990 WO2018021795A1 (ko) 2016-07-28 2017-07-25 하중 전환 로드 리미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5912A KR101862161B1 (ko) 2016-07-28 2016-07-28 하중 전환 로드 리미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2964A KR20180012964A (ko) 2018-02-07
KR101862161B1 true KR101862161B1 (ko) 2018-06-25

Family

ID=61016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5912A KR101862161B1 (ko) 2016-07-28 2016-07-28 하중 전환 로드 리미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62161B1 (ko)
WO (1) WO2018021795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3634A1 (ja) * 2014-10-22 2016-04-28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27427C2 (de) * 1999-06-16 2002-11-14 Autoliv Dev Gurtaufroller mit schaltbarem Kraftbegrenzer
JP4953835B2 (ja) * 2007-01-17 2012-06-13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DE102009035047A1 (de) * 2009-07-28 2011-02-03 Autoliv Development Ab Selbstsperrender Gurtaufroller
US8220735B2 (en) * 2009-12-22 2012-07-17 Autoliv Asp, Inc. Adaptive load limiting retra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63634A1 (ja) * 2014-10-22 2016-04-28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21795A1 (ko) 2018-02-01
KR20180012964A (ko) 2018-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9189B1 (ko) 시트벨트장치
EP1992528A2 (en) Seat belt retractor
JP4885764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US10196034B2 (en) Seat belt retractor
EP1759942A1 (en) Seatbelt retractor and seatbelt apparatus
US7581757B2 (en) Retractor with pretensioner
US9688240B2 (en) Seat belt retractor
KR102569819B1 (ko) 힘 제한 디바이스 및 결합해제 디바이스를 갖는 벨트 리트랙터
KR101377193B1 (ko)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US20160318474A1 (en) Seat belt retractor and seat belt apparatus
EP3342650B1 (en) Pretensioner
KR102026286B1 (ko) 시트 벨트용 리트랙터
US5699976A (en) Gear mechanism and pretensioner
CN109070930A (zh) 用于机动车辆的转向柱
US9132803B2 (en) Seatbelt retractor
KR102209224B1 (ko) 모터 차량의 시트 벨트 장치용 벨트 리트랙터
KR101862161B1 (ko) 하중 전환 로드 리미터
JP6113562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US20090160109A1 (en) Slide Actuator
JP5961570B2 (ja) ウェビング巻取装置
GB2262874A (en) Retractor shaft-rotating type seat belt pretensioner
JP2010215226A (ja) リトラクタアセンブリ
JP5263626B2 (ja) シートベルト用リトラクタ
KR101398992B1 (ko) 안전벨트 로드리미터의 프리트위스트 및 프리텐셔너의 오버슛 방지 장치
JP6393788B2 (ja) 伝達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