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3012B1 - 좌석 벨트 리트렉터 - Google Patents

좌석 벨트 리트렉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3012B1
KR100473012B1 KR10-2003-7001930A KR20037001930A KR100473012B1 KR 100473012 B1 KR100473012 B1 KR 100473012B1 KR 20037001930 A KR20037001930 A KR 20037001930A KR 100473012 B1 KR100473012 B1 KR 100473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belt retractor
drive
coupl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1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1971A (ko
Inventor
스페흐트마틴
Original Assignee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키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30031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1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0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6Reel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by forced winding 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4Belt retractors, e.g. reels
    • B60R22/44Belt retractors, e.g. reel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좌석 벨트 리트렉터는 프레임(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감는 릴(1)과, 전기 모터(3) 및 전환 기구(4)를 포함하며, 상기 전환 기구(4)에 의해 다양한 토크가 감는 릴에 전달되어 좌석 벨트(5)의 착용자의 편안함을 조정하거나 좌석 벨트를 조일 수 있다. 전환 기구는 좌석 벨트의 착용자가 감지하는 편안함을 위해 설정된 위치와 필요한 경우 조정 가능한 부하 한계가 달성되는 벨트의 조임을 위한 전환 위치로 자동적으로 안내된다.

Description

좌석 벨트 리트렉터{SEAT BELT RETRACTOR}
본 발명은 좌석 벨트 리트렉터에 관한 것이다.
유럽 특허 공개 EP 0 893 313 A1 호에는, 좌석 벨트의 감는 릴(winding reel)에 전기 모터에 의해 발생되는 다양한 토크가 가해지는 좌석 벨트 리트렉터가 개시되어 있다. 각각의 토크는 기계적 전환 기구(switching mechanism)를 거쳐 전달되고, 그것에 의해 각각의 전환 위치에 따라, 좌석 벨트의 착용자가 감지하는 편안함, 벨트 띠의 조임 또는 벨트 힘의 제한이 달성될 수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라, 회전수에 따라 또는 회전수의 변화에 따라 작동하고 그것에 의해 전기 모터에 의해 발생되는 토크가 감는 릴에 전달되는 전환 기구를 구비한 좌석 벨트 리트렉터가 제공된다. 각각의 회전수의 변화가 작은 적은 회전수로 토크가 전달되면, 전환 기구는 좌석 벨트의 착용자가 감지하는 편안함을 보증하는 전환 위치를 취하고, 많은 회전수로 토크가 전달되면 전환 기구는 벨트의 조임을 보증하는 전환 위치를 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좌석 벨트 리트렉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좌석 벨트 리트렉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좌석 벨트 리트렉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좌석 벨트 리트렉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좌석 벨트 리트렉터의 단면도,
도 6은 복귀 스프링의 배치도,
도 7은 다른 복귀 스프링의 배치도.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레임(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감는 릴(1)을 갖는 좌석 벨트 리트렉터(5)를 각각 포함한다. 전환 기구(4)의 전환 위치에 따라, 전기 모터(3)가 감는 릴 및 좌석 벨트에 다양한 토크를 전달한다. 유럽 특허 EP 0 893 313 A1 호에는, 토크가 전달되어 고정된 좌석 벨트의 착용자가 감지하는 편안함이나 좌석 벨트의 신장을 조정할 수 있거나, 또는 감는 릴(1)의 차단 및 자동차 승객의 전방 이동의 경우에 부하 제한기(25)를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5의 각 실시예를 상술한 조정된 전환 위치 또는 토크 중 하나 또는 둘만이 감는 릴 및 좌석 벨트에 전달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동부(8)의 회전수 또는 회전수의 변화가 너무 적어서 센서 스프링(39)에 의해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한 센서 수단(15)이 구동부에 대해 이동하지 않는 대신 구동부와 함께 이동하면, 구동 스프링(10)의 복원력이 조정된다. 이것은 좌석 벨트의 착용자가 감지하는 편안함을 예컨대 구동 스프링의 복원력의 감소를 통해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구동부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구동 스프링의 복원력을 증가시켜, 예컨대 좌석 벨트를 그의 보관 위치로 복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좌석 벨트는 커플링 장치(6)에 결합하는 것에 의해 그의 보관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그 다음, 필요한 토크가 전기 모터로부터 결합 장치를 통해 감는 릴에 전달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전환 기구(4)는 회전수 또는 회전수의 변화에 따라서 각각의 전환 위치로 자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회전수가 적거나 또는 회전수의 변화가 작으면, 전환 기구는 고정된 좌석 벨트(5)의 착용자가 감지하는 편안함이 조정되는 전환 위치를 취한다. 이를 위해서, 구동 스프링(10)의 복원력이 감소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모터 축(21)을 거쳐 전기 모터(3)에 의해 발생된 토크가 감속 기어를 거쳐 구동부(8)에 전달되는 것을 보증한다. 감속 기어는 모터 축과 맞물리는 기어 휠(22)과 구동부상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기어 휠(23)을 포함한다. 구동부는 감는 릴 축과 동축인 회전축(14)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동부(8)는 구동 스프링 하우징(12)의 일부를 형성하고 그리고 그의 원주 둘레에서 구동 스프링(10)을 둘러싼다. 구동 스프링의 외측 고정점(9)은 구동부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구동 스프링의 내측 고정점(11)은 스프링 코어(32)에 견고하게 결합되고, 스프링 코어(32)는 감는 릴(1)의 축방향 돌출부(7)상에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구동 스프링(10)의 복원력이 감는 릴에 전달된다.
모터 축(21)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 스프링(10)이 그의 정상 복원력으로 조정되는 것이 허용되고, 그리고 필요한 경우 구동 스프링의 복원력은 추가의 회전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이것은, 좌석 벨트가 제거될 때 그의 보관 위치로 복귀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좌석 벨트는 구동 스프링의 복원력의 증가에 의해 보관 위치에 단단히 유지될 수 있다. 전환 기구는 전기 모터(3)로부터의 토크를 전달하는 자동 체결 가능한 커플링 장치(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스프링 또는 체결된 커플링 장치의 복원력을 대응하게 조정하는 것에 의해, 적절한 토크를 통해서 좌석 벨트를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좌석 벨트를 조이기 위해서, 전기 모터(3)가 높거나 급속히 증가하는 회전수의 토크를 발생시키고, 이러한 토크는 모터 축(21)으로부터 기어 휠(22, 23)을 거쳐 구동부(8)에 전달된다. 결합부(24), 예컨대 스프링에 의해 정지 위치로 치우칠 수 있는 폴(pawl)이, 예컨대 베어링부(43)를 거쳐 구동부상에 이동 가능하게, 특히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결합 요소는 구동부의 회전 또는 회전수의 변화에 따라 자동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의도로, 회전 축(7)으로부터 소정 거리에 배치된 센서 수단(15)의 관성 모멘트의 결과로서, 결합 가능한 결합 요소가 구동부(8)상에 선회가능하게 또는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커플링 요소(13)는 사전 차단 장치(pre-blocking device)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사전 차단 장치에서, 결합부는 센서 수단(15)에 의해 제어부와 사전 차단 결합된다. 이러한 사전 차단은 구동부(8)가 제어부(33)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보증한다. 구동부의 회전에 의해 제어부가 동시에 회전하고, 이것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요소가 결합된다.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요소가 구동부에 동시에 결합되기 때문에 제어부와의 결합 및 구동부와 제어부의 결합이 발생할 수 있다. 센서 수단(15)은 결합부상에 작용하는 별개의 센서 수단 또는 사전 차단 결합부와 통합되고 그리고 원심력 또는 관성력에 의해 사전 차단 결합부상에 작용하는 센서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3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센서 스프링(39)이 센서 수단과 구동부(8) 사이에서 작동한다. 센서 수단(15)은 처음에는 그의 관성 질량 때문에 구동부와 함께 회전하지 않고, 그 결과 센서 수단과 구동부 뿐만아니라 결합부(24) 사이에 상대 운동이 발생한다. 결합부와 센서 수단 사이의 이러한 상대 운동에 의해, 결합부가 제어부(33)와 사전 차단 결합하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센서 수단은 각도 가속 센서와 유사하게 작동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어부(33)는 제어 휠로서 도시되어 있고, 이 제어 휠은 감는 릴(1)로부터 연장되고 또 그와 동축인 축방향 돌출부(7)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결합부(24)는 제어부(제어 휠)의 주위 기어 휠(34)과 결합하게 되는 하나 또는 몇 개의 구동 폴일 수 있다. 구동부(8)의 회전 운동은 제어부(33)에 전달된다.
제어부(33)는 커플링 작동부(35)를 포함한다. 구동부(8)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 운동은 커플링 작동부에 의해, 예컨대 회전 폴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커플링 요소(13)에 전달된다. 커플링 요소는 특히 축방향 돌출부(7)를 거쳐 감는 릴에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 캐리어(26)상에 작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커플링 요소는 구동부(8)에 결합된다. 구동부는 주위의 기어 이(36)를 구비할 수 있다. 기어 이(34, 36)는 커플링 요소(13)의 동기 커플링 결합이 달성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변형예로 사전 차단 장치는 자동차 감응 가속 센서(31)를 포함할 수 있고, 커플링 요소가 이 센서(31)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사전 차단 장치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전자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플링 요소(13)와 구동부(8)의 기어 이(36)의 결합은 구동부가 캐리어(26) 및 축방향 돌출부(7)를 거쳐 감는 릴(1)에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보증한다. 전기 모터(3)로부터 기어 기구, 즉 기어 휠(22, 23)을 거쳐 구동부에 전달되는 토크는 감는 릴에 전달되어 좌석 벨트를 조이는데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좌석 벨트(5)를 조이는 것은 충돌의 경우에 좌석 벨트를 착용하고 있는 자동차 승객을 자동차 좌석으로 끌어당기는 조이는 힘일 수 있다. 그것은 충돌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은 운전 상황 중에 발생하는 좌석 벨트(5)의 가역 조임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운전 상황은 자동차의 긴급 제동, 자동차의 미끄러짐 등을 포함한다. 그러한 상황에서 충돌이 발생하지 않으면, 감는 릴 및 좌석 벨트는 착용자가 감지하는 통상의 좌석 벨트의 편안한 상태로 복귀하고, 그와 동시에 착용자가 감지하는 편안한 상태로 설정된 구동 스프링의 복원력이 좌석 벨트에 작용한다.
충돌 가능성이 높은 운전 상태에서 가역 벨트를 조이기 위해서, 벨트 조임 및 위험한 운전 상태의 종료 후에 커플링 장치(6)는 복원 스프링(10)에 의해 발생되는 복원력에 의해 또는 전기 모터(3)에 의해 발생되는 운동의 변화(예컨대, 회전 방향의 변화)에 의해 분리될 수 있다. 그 다음, 구동 스프링(10)의 복원력이 감는 릴 및 좌석 벨트상에 다시 한 번 작용한다. 감속 기어 기구를 거쳐 감는 릴에 토크가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복귀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3)와 캐리어(26) 사이에 커플링 요소(13)의 역할을 하는 복원 스프링(18)이 설치된다. 복원 스프링의 복원력은 제어부(33)를 캐리어(26)의 반대쪽의 그의 최초 또는 정상 위치로 복귀시키고, 그것에 의해 커플링 요소(13)가 분리된다. 이것에 의해, 커플링 요소가 구동부(36)의 기어 이(36)로부터 분리되고 커플링 장치(6)가 분리된다.
구동부(8)와 센서 수단(15) 사이에서 작동하는 센서 스프링(39)(도 1, 3 내지 5)도 복원력을 발생시키고, 그것에 의해 센서 수단 및 결합부(24)가 그의 최초 또는 정상 위치로 복귀한다. 도 6은 센서 스프링(39)을 도시한다. 그러나, 센서 수단(15)의 복원 기능은 복원 스프링(18)의 복원 효과에 의해 센서 스프링 없이 달성될 수 있다. 커플링 장치(6)는 전기 모터(3)에 의한 역회전을 통해 분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플링 장치(6)는 모터 축(21)의 회전수 또는 회전수의 변화에 따라 결합되거나 분리된 상태로 있는 스위치 커플링과 같이 작동한다. 회전수가 적거나 회전수의 변화가 작으면, 커플링 장치가 분리된 상태에 있으므로, 모터 축(21)은 기어 휠(22, 23) 및 구동부(8)를 포함하는 기어 기구를 거쳐 구동 스프링(10)의 복원력에 따라 작동한다. 회전수가 많거나 회전수의 변화가 커서 센서 장치가 작동하게 되면, 커플링 요소(13)는 사전 차단 장치에 의해 결합된다. 구동 스프링은 브리지 연결되고 그리고 구동부는 감는 릴(1)에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전 차단을 일으키는 센서 장치는 센서 수단(15)과, 이 센서 수단에 대해 작용하는 센서 스프링(39)과, 결합부(24)를 포함한다. 커플링 장치(6)는 기어 기구와 함께 작동하고 그리고 상술한 양쪽 전환 위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 구동부(8) 및 제어부(33)가 주변 기어 이(34, 36)를 포함하고 그리고 사전설정된 회전 각도 위치에서 결합부(24)와 제어부(33)의 주변 기어 이(34)의 사전 차단 결합이 발생하기 때문에, 커플링 요소(13)와 구동부의 주변 기어 이(36)의 동시 결합이 달성된다.
결합부(24)는 원심력에 의해 제어부, 특히 제어부(33)의 주변 기어 이와 결합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센서 스프링은 결합부(24)에 작용하고 그리고 일정한 회전수 이하에서는 결합부가 제어부에 결합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회전수가 초과되면, 결합부(24)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센서 스프링의 복원력을 초월하므로, 결합부가 제어부와 결합한다. 이것은 제어부(33)가 구동부(8)에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보증한다.
본질적으로 감는 릴(1) 및 상기 감는 릴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프레임(2)을 포함하는 좌석 벨트 리트렉터는 토크 로드 형태의 부하 제한기(25)를 추가로 포함한다. 부하 제한기는 감는 릴(1)의 중공 공간 내로 축방향으로 연장된다. 감는 릴은 부하 제한기의 역할을 하거나 또는 상기 토크 로드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전기 모터에 의해 공급되는 토크를 벨트 힘 제한의 조정에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각 실시예의 좌측 단부에서, 부하 제한기(25)는 고정된 베어링(27) 내에서 감는 릴(1)에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다. 그의 우측 단부에서, 감는 릴(1)은 부하 제한기에 대향된 가동 베어링(28)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부하 제한기의 우측 단부는 정상 운전 상태로 프레임(2)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도시된 실시예서 축방향 돌출부(7)는 부하 제한기까지 연장되고 그와 동축으로 되어 있다.
도 2 및 3에서, 축방향 돌출부(7)는 부하 제한기와 일체로 되어 있다. 도 1, 4 및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축방향 돌출부(7)는 결합점(37)에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고, 부하 제한기는 토크 로드이다.
전환 기구(4) 및 구동 스프링(10) 뿐만아니라 적절한 경우 감속 기어 기구는 어댑터 플레이트(17)를 거쳐 프레임(2)에 결합된 모듈식 유닛으로서 작동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종래의 좌석 벨트 리트렉터를 전기 모터로부터 감는 릴로의 가변 토크의 전달을 위한 자동 조절가능한 전환 기구로 변환시키거나 갱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어댑터 플레이트에 의해서, 상이한 유형의 좌석 벨트 리트렉터에 전환 기구(4)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어댑터 플레이트는 2개의 프레임 부재 중 하나, 특히 좌석 벨트 리트렉터의 스프링측에 있는 프레임 부재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4 및 5에서, 부하 제한기(25)의 좌측 단부가 프레임(2)의 피봇 베어링(20)에 및/또는 프레임에 단단히 결합된 어댑터 플레이트(17)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바, 그것의 기능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이 피봇 베어링(20)은 도 2 및 3에 도시된 실시예에는 생략되어 있고, 그것의 축방향 돌출부(27)는 부하 제한기(25)와 일체로 형성되며, 그의 타단부는 하우징(19)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하우징은 전체의 전환 기구(4)를 둘러싸며 어댑터 플레이트(17)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어댑터 플레이트는 프레임(2), 특히 좌석 벨트 리트렉터의 프레임 중 좌측 프레임 부재와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다. 어댑터 플레이트(17)는 구동 스프링 하우징(12)의 외측부를 형성한다.
어댑터 플레이트(17)는 바람직하게는 부하 베어링이고, 그것에 의해 감는 릴(1)의 일 단부면이 필요한 경우 축방향 돌출부(38)에 의해 피봇 베어링의 어댑터 플레이트상에 지지될 수 있다. 변형예로, 피봇 베어링은 어댑터 플레이트의 일부가 아닐 수도 있고, 축 형상의 돌출부가 어댑터 플레이트에 고정되고 또 전환 기구를 수용하는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그리고 감는 릴에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다. 감속 기어 기구, 특히 상기 감속 기어 기구의 기어 휠도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감속 기어 기구의 몇몇 기어 휠이 하우징에 지지될 수 있다.
도 4 및 5에서, 캐리어(26)는 커플링 요소(13)를 위한 구동 스프링 하우징의 측면 한계부를 형성한다. 구동 스프링 하우징(12)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8)에 의해 완성된다. 구동부도 커플링 하우징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센서 수단(15), 결합부(24) 및 제어부(33) 뿐만아니라 커플링 요소(13)를 포함하는 사전 차단 센서 장치가 상기 커플링 하우징 내에 수용된다.
하우징(19) 및 어댑터 플레이트(17)로 둘러싸인 전환 기구(4)는 어댑터 플레이트에 의해 다양한 종류 좌석 벨트 리트렉터에 결합될 수 있는 모듈식 유닛(modular unit)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모듈식 유닛(16)은 전기 모터(3)와 함께 그의 모터 축(21)을 지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다양한 종류의 좌석 벨트 리트렉터에 전환 기구 및 전기 모터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어댑터 플레이트(17) 및 바람직하게는 하우징(19)도 힘을 흡수한다. 특히, 벨트를 조이는 동안, 전달되는 토크는 어댑터 플레이트 및 하우징에 의해 흡수된다. 도 2 및 3의 실시예의 경우에, 어댑터 플레이트(17)는 감는 릴 또는 부하 제한기를 지지하는 충돌에 견디는 칼라(collar)(40)일 수 있다. 도 1, 4 및 5의 실시예의 경우에, 피봇 베어링(20)이 이러한 효과를 제공한다. 좌석 벨트의 조이는 힘이 가해진 후에도, 자동차 승객의 전방 이동 중에 좌석 벨트로부터 감는 릴(1)에 전달된 힘은 프레임(2) 뿐만아니라 어댑터 플레이트(17) 및 하우징(19)에 의해 흡수된다.
충돌시에 좌석 벨트를 조이는 힘이 가해진 후에, 부하 제한기(25)의 좌측 단부가 블로킹 장치에 의해, 예컨대 프레임의 폴 결합에 의해 공지된 방식으로 회전하지 않게 되면, 좌측 단부가 고정 베어링(27)을 거쳐 토크 로드로서 배열된 벨트 부하 제한기(25)에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 감는 릴(1)은, 일단 일정한 힘의 한계가 초과되면 좌석 벨트 부하 제한기의 확고하게 고정된 좌측 단부와는 반대로 회전한다. 이러한 회전은 좌석 벨트를 착용한 자동차 승객의 전방 이동 중에 좌석 벨트(5)에 의해 가해진 힘이 소정의 사전 설정된 힘의 한계를 초과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이러한 힘의 한계는 전기 모터(3)에 의해 설정될 수 있고, 전기 모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이는 힘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축방향 돌출부(7)에 결합되므로, 커플링(6)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부하 제한기(25)의 좌측 단부에 결합된다.
벨트가 조여짐과 동시에 기어 기구[기어 휠(22, 23)], 구동부(6), 결합된 커플링 요소(11), 캐리어(26) 및 축방향 돌출부(7)를 거쳐 부하 제한기의 세팅을 위해 전달되는 토크가 부하 제한기(25)에 전달된다. 부하 제한기의 세팅은 예컨대 유럽 특허 공개 EP 0 893 313 A1 호에 공지된 바와 같은 특성 곡선에 따라 실행될 수 있다.
하나의 커플링 요소(13) 대신에, 캐리어(26)는 제어부(33)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몇몇의 커플링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5에 도시된 실시예는 자동차 감응형 센서인 추가의 센서(31)를 구비한다. 도 3에서, 이 센서는 하우징(19)의 외측부에 있는 센서 하우징(30)에 배치된다. 센서 하우징은 축방향 돌출부(7)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래칫 휠(ratchet wheel)(29)을 포함한다. 회전 가능한 장측을 위하여, 래칫 휠(29)은 제어 휠로서 배치된 제어부(33)의 축방향 연장부(38)에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5에서, 센서(31)는 하우징(19) 및 어댑터 플레이트(17)를 포함하는 모듈식 유닛(16)의 내측에서 어댑터 플레이트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제어 휠로서 배치된 제어부(33)는 래칫 휠의 기능을 한다. 과도한 차량 가속 또는 감속의 경우에, 제어부는 센서(31)에 의해 미리 차단되고, 그것에 의해 다른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 요소가 결합된다.
도 4에서, 전자석(41)에 의해 사전 차단이 달성되고, 이 전자석은 구동부(8)에 확고하게 결합된 베어링부(43)상에서 회전축(14)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래칫 휠(42)에 작용한다. 복원 스프링(44)은 베어링부(43) 또는 구동부와 래칫 휠(42) 사이에서 작동한다. 전자석(41)에 의한 사전 차단 중에 바람직하게는 래칫 휠에 결합하는 차단 요소(45)에 의한 마찰 접촉을 거쳐 래칫 휠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경우, 전기 모터(3)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8)와 결합부(24)의 동시 회전에 의해, 감는 릴의 축방향 연장부(7)는 래칫 휠(42)에 고정된 조작부(46)에 의해 제어부(33)상의 기어 이(34)와 결합하게 된다. 이것은 제어부(33)가 계속 회전하고 커플링 요소(13)가 구동부상의 기어 이(36)에 결합하는 것을 보증한다. 도 4에서, 전자석(41)은 하우징(19) 및 어댑터 플레이트(17)를 포함하는 모듈식 유닛에 고정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동력 부족의 경우에도 특징적으로 제어된 힘 제한 작용이 보증된다. 즉, 좌석 벨트를 착용한 자동차 승객으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및 대응하는 충돌의 격렬함에 따라 힘이 제한된다. 이것은 원심력 또는 관성 작용에 의해 결합되는 커플링 요소(13)에 의해 달성된다. 감는 릴(1)과 부하 제한기(25) 및 이 부하 제한기의 좌측 말단에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 축방향 돌출부(7)가 좌석벨트를 착용한 자동차 승객의 전방 이동 중에 회전하는 경우, 돌출부(7)에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된 캐리어(26)도 회전한다. 이러한 회전에 의해서, 커플링 요소가 원심력 또는 관성 작용의 결과로서 구동부(8)상의 기어 이(36)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전기 모터(3)의 회전자가 기어 기구[모터 축(21), 기어 휠(22, 23)]를 거쳐 부하 제한기(25)의 좌측 말단에 결합된다. 감는 릴(1)과 함께 회전하는 부하 제한기(25)의 좌측 말단은 이러한 방향으로의 비 증가 기어 기구(ratio-increasing gear mechanism)를 거쳐 전기 모터의 회전자의 질량부에 결합된다. 원심력 또는 관성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커플링 요소와 자동차 감응 센서에 의한 커플링 요소의 결합의 제어에 의해, 동력 부족의 경우에도 감는 릴에 연결된 부하 제한기가 커플링 요소를 거쳐 관성 질량으로서의 역할에 따라 기어 기구 및 전기 모터의 회전자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결합되는 것이 보증된다.
기어 기구는 감는 릴과 모터 회전자 사이에서 비 증가 기어와 같이 작동한다. 이것에 의해, 좌석 벨트를 착용한 자동차 승객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및 각각의 충돌의 심각함에 따르는 부하 제한 효과가 자동 조정된다. 이것은 자동차 승객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및/또는 각각의 충돌의 심각성에 따라 국제 특허 공개 WO 01/28823 호에 개시된 의미에서 부하 제한 작용의 자동 설정을 보증한다.
도 3 및 5에서, 부하 제한기(25)에 대한 전기 모터(3)의 회전자의 결합은 자동차 감응 센서(31)의 지원에 의한 사전 차단에 의해 발생한다. 커플링 요소(13)의 결합의 동기 관리는 자동차 감응 센서에 의해 달성된다.

Claims (10)

  1. 좌석 벨트 리트렉터에 있어서,
    (a) 프레임(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감는 릴(1)과,
    (b) 전기 모터(3)와,
    (c) 좌석 벨트(5)의 사용자의 편안함을 조정하기 위해 또는 좌석 벨트를 조이기 위해 감는 릴에 다양한 토크를 전달할 수 있는 전환 기구(4)를 포함하며,
    상기 전환 기구는 각각의 토크를 전달할 수 있는 회전수의 변화 또는 회전수에 따라 대응하는 전환 위치로 안내될 수 있는
    좌석 벨트 리트렉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기구(4)는 회전수 또는 회전수의 변화에 따라 작동할 수 있는 커플링 장치(6)를 포함하는
    좌석 벨트 리트렉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장치(4)는 복원력 또는 회전 방향의 변화에 의해 분리될 수 있는
    좌석 벨트 리트렉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장치(4)의 구동부(8)는 구동 스프링(10)의 외측 고정점(9)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스프링(10)은 돌출부의 내측 고정점(11)에서 감는 릴(1)의 돌출부(7)에 회전 불가능하게 결합되는
    좌석 벨트 리트렉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장치(6)의 구동부(8)는 구동 스프링(10)용의 하우징(12)의 일부인
    좌석 벨트 리트렉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장치(6)는 구동부의 회전수 또는 회전수의 변화에 따라 결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가능한 커플링 요소(13)를 포함하는
    좌석 벨트 리트렉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요소(13)는 사전 차단 장치(45)에 의해 결합될 수 있는
    좌석 벨트 리트렉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차단 장치는 센서 수단(15)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 수단에 의해 구동부(8)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결합부(24)가 제어부(33)와 결합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구동부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커플링 장치(13)가 재결합될 수 있는
    좌석 벨트 리트렉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차단 장치는 자동차 감응형 가속 센서(31)를 포함하며, 충돌 가속 또는 감속 한계가 초과되는 경우 상기 자동차 감응형 가속 센서를 통해 커플링 요소(13)가 결합될 수 있는
    좌석 벨트 리트렉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전 차단 장치는 전자석(41)을 포함하는
    좌석 벨트 리트렉터.
KR10-2003-7001930A 2000-08-11 2001-05-18 좌석 벨트 리트렉터 KR100473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039364A DE10039364C2 (de) 2000-08-11 2000-08-11 Vorrichtung zum Aufrollen eines Sicherheitsgurtes
DE10039364.0 2000-08-11
PCT/US2001/016324 WO2002014121A1 (en) 2000-08-11 2001-05-18 Seat belt retra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1971A KR20030031971A (ko) 2003-04-23
KR100473012B1 true KR100473012B1 (ko) 2005-03-09

Family

ID=7652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1930A KR100473012B1 (ko) 2000-08-11 2001-05-18 좌석 벨트 리트렉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98821B2 (ko)
EP (1) EP1307364B1 (ko)
JP (1) JP2004526610A (ko)
KR (1) KR100473012B1 (ko)
AU (1) AU2001263328A1 (ko)
DE (2) DE10039364C2 (ko)
WO (1) WO20020141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115316U1 (de) * 2001-09-17 2002-02-07 Trw Repa Gmbh Gurtaufroller
DE10158871C1 (de) * 2001-11-30 2003-02-27 Daimler Chrysler Ag Gurtstraffer
DE10204477B4 (de) * 2002-02-05 2006-11-30 Daimlerchrysler Ag Gurtstraffer
DE10213906B4 (de) * 2002-03-28 2006-11-23 Autoliv Development Ab Leistungsstraffer
DE10257326B4 (de) * 2002-12-06 2005-02-10 Autoliv Development Ab Vorrichtung zum Aufwickeln eines Sicherheitsgurtes
JP2005029014A (ja) * 2003-07-14 2005-02-03 Takata Corp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
DE10346967B4 (de) * 2003-10-09 2010-02-2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Würzburg Gurtaufroller für Sicherheitsgurtvorrichtungen
DE10353015B4 (de) * 2003-11-13 2006-10-19 Autoliv Development Ab Gurtstraffer mit sensitiver Ansteuerung seiner Strafferkupplung
EP1685010B1 (de) * 2003-11-18 2008-01-30 Autoliv Development Ab Gurtstraffer mit aktiver auskupplung der strafferkupplung
DE102004012173A1 (de) * 2004-03-09 2005-10-06 Takata Corp. Gurtstraffer
DE102004012164A1 (de) 2004-03-09 2005-10-06 Takata Corp. Gurtstraffer
JP4699725B2 (ja) * 2004-04-13 2011-06-1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モータリトラクタ
DE202004009949U1 (de) * 2004-06-24 2004-10-14 Key Safety Systems, Inc., Lakeland Aufwickelvorrichtung für einen Sicherheitsgurt eines Fahrzeugs
JP4570141B2 (ja) * 2004-10-05 2010-10-27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巻き取り装置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DE102004054078B4 (de) * 2004-11-09 2013-03-07 Key Safety Systems, Inc. Verfahren zum Blockieren einer Wickelwelle eines Sicherheitsgurtaufrollers
DE102005021283A1 (de) * 2005-05-09 2006-11-16 Trw Automotive Gmbh Gurtaufroller mit reversiblem Gurtstrafferantrieb
US20060273210A1 (en) * 2005-06-06 2006-12-07 Autoliv Asp, Inc. Electrical retractor with pretensioner
JP4726727B2 (ja) * 2006-07-18 2011-07-2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シートベルト装置
DE102008003684A1 (de) * 2008-01-09 2009-07-16 Trw Automotive Gmbh Gurtaufroller für einen Fahrzeugsicherheitsgurt
EP2257450B1 (de) 2008-03-25 2011-10-12 Autoliv Development AB Gurtstraffer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38264B (sv) * 1983-08-08 1985-04-15 Hanafi Ameur Anordning vid sekerhetsbelten
US5671894A (en) * 1995-08-11 1997-09-30 Alliedsignal Inc. Retractor with load limiting spool with decoupled pretensioner
JP4142750B2 (ja) * 1995-09-08 2008-09-03 タカタ株式会社 車両の乗員拘束保護システム
DE19640842C2 (de) * 1996-10-02 1999-06-02 Hs Tech & Design Sicherheitsgurtaufroller
DE19731689C2 (de) * 1997-07-23 1999-07-29 Hs Tech & Design Vorrichtung zum Aufrollen eines Sicherheitsgurtbandes
JP4467688B2 (ja) * 1999-01-19 2010-05-26 タカタ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巻取装置
DE19950855B4 (de) 1999-10-21 2004-03-04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Lakeland Gurtaufroller für einen Sicherheitsgurt
DE10013870B4 (de) * 2000-03-21 2007-04-05 Key Safety Systems, Inc., Sterling Heights Gurtaufroller für einen Fahrzeugsicherheitsgurt
DE10020245C2 (de) * 2000-04-25 2002-02-14 Breed Automotive Tech Gurtaufroller für einen Fahrzeugsicherheitsgu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039364A1 (de) 2002-02-28
JP2004526610A (ja) 2004-09-02
US20020017584A1 (en) 2002-02-14
AU2001263328A1 (en) 2002-02-25
EP1307364A1 (en) 2003-05-07
DE60104123D1 (de) 2004-08-05
EP1307364B1 (en) 2004-06-30
US6598821B2 (en) 2003-07-29
DE10039364C2 (de) 2002-08-08
KR20030031971A (ko) 2003-04-23
WO2002014121A1 (en) 2002-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3012B1 (ko) 좌석 벨트 리트렉터
EP1761418B1 (en) Seat belt retractor with electric motor
US6499554B1 (en) Seat belt retractor
KR100492116B1 (ko) 좌석 벨트 리트렉터
KR100436253B1 (ko) 좌석 벨트 수축기
US6439494B1 (en) Seat belt retractor
US6702056B2 (en) Seatbelt retractor
US6311918B1 (en) Device for winding and unwinding a seat belt
CA2434902C (en) Children's ride-on vehicle with mechanical speed control
KR20220106157A (ko) 시트 벨트 리트랙터
KR100447704B1 (ko) 좌석 벨트 수축기
AU2002237901A1 (en) Children's ride-on vehicle with mechanical speed control
EP1293401B1 (en) Seatbelt retractor
US20230256933A1 (en) Belt retractor
JP2004518570A (ja) ベルト緊張装置を持つ安全ベルト巻取り機
KR101001787B1 (ko) 좌석벨트리트랙터
JP2002002450A (ja) シートベルト巻取り装置
JPH0349970Y2 (ko)
JP2001233177A (ja) シートベルト巻取装置
MXPA01005781A (es) Retractor de cinturon de segurida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