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8817A - 자동봉제 미싱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봉제 미싱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8817A
KR20020008817A KR1020017004126A KR20017004126A KR20020008817A KR 20020008817 A KR20020008817 A KR 20020008817A KR 1020017004126 A KR1020017004126 A KR 1020017004126A KR 20017004126 A KR20017004126 A KR 20017004126A KR 20020008817 A KR20020008817 A KR 20020008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axis
coordinate value
point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4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34896B1 (ko
Inventor
엔도야스히로
Original Assignee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니구찌 이찌로오,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20020008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88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4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48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04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memory aspects
    • D05B19/08Arrangements for inputting stitch or pattern data to memory ; Editing stitch or pattern data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1/00Sewing machines with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movement of work-carrier relative to stitch-forming mechanism in order to obtain particular configuration of seam, e.g. programme-controlled for sewing collars, for attaching p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직물(12)을 봉제하는 모터(2)에 연동된 미싱바늘(8)과, 직물누름부(10)를 서로 직교하는 X축 및 Y축 방향에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 2축구동기구(20)와, 이 2축구동기구(20)를 구동하는 X축 모터(124), Y축 모터(126)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인코더(224),(226)와, 이 인코더(224),(226)의 검출치에 따라 2축 구동기구(20)의 원점으로 부터의 X,Y좌표치를 구하는 X,Y좌표치 산출수단과, 2축 구동기구(20)를 적어도 하나의 소정의 미싱바늘(8)의 위치에 수동으로 움직여서, 각 소정의 위치를, X,Y좌표치 산출수단에 의해 구한 X,Y좌표치를 기억하는 RAM(36)과 소정의 위치를 봉제조건 설정키군(56)으로부터 입력된 솔기종류에 대응한 봉제모양을 형성하는 형성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봉제 미싱제어장치{AUTOMATIC SEWING MACHINE CONTROLLER}
공업용미싱에 있어서, 희망하는 봉제모양의 봉제를 하기 위하여는, 이 봉제모양에 대응한 봉제데이터를 작성하고, 플로피디스크등의 기억매체중에 미리 봉제동작순서에 따라 미싱을 구동시키는 정보가 보존되어 있다. 이러한 봉제데이터(봉제방법의 정보)에 따라 피봉제물인 직물을 눌려 잡으면서 일정평면상을 이동하여 소정의 봉제모양을 자동적으로 봉제하고 있다.
봉제데이터의 구성은, 봉제모양을 형성하는 미싱의 한 바늘 마다의 바늘과 직물의 상대위치변위량과, 미싱 및 미싱을 구동하는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지령으로 되어있고, 하나의 봉제모양의 봉제데이터는 이들 한 바늘 마다의 데이터의 집합으로 형성된다.
종래의 자동봉제미싱을 도 7 및 도 8에 의해 설명한다.
도 7 및 도 8도에 있어서, 자동봉제미싱(1)은, 벨트(4)를 통하여, 미싱바늘
(8)을 상하로 동작시키는 동시에, 연동된 모터(2)와, 미싱대(1a)에 올려놓여진 피봉제물로서의 직물(12)를 잡는 직물누름부(10)와, 직물(12)을 착탈하기 위하여 직물누름부(10)을 개폐하는, 예컨대, 실린더등의 개폐장치(18)와, 직물누름부(10)와 함께, 직물(12)을 X,Y 2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2축구동기구(20)를 구비하고 있다.
2축구동기구(20)는, 직물누름부(10)의 기계적인 원점을 검지하는 원점검출기
(21)를 가지고 있으며, 스테핑모터로 되는 X축 모터(24), Y축 모터(26)에 설치된 스프로킷을 벨트에 걸어서, X축 모터(24), Y축 모터(26)의 구동에 의해 X,Y의 2축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30)는, 미싱의 직물이송제어모터의 속도제어등을 실행시키는 CPU(32)와, 이 CPU(32)의 시스템의 실행순서를 기억한 ROM(34)과, 조작부에서 생성한 봉제데이터를 기억하는 RAM(36)과, 모터류를 구동하는 구동부(40)와, 원점검출기 및 조작부(60)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인터페이스(42)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부(50)에는 봉제의 솔기길이등을 입력하는 수자키(52)와, 봉제의 개시점등을 지정하는 설정키군(54)와 직물의 솔기모양에 따라, 공이송(空移送), 직선, 원호, 원등의 솔기종류를 입력하는 솔기종류 입력수단으로서의 봉제조건 설정키군 (56)과, 직물누름부(10)을 X,Y축에 촌동(寸動)시키는 촌동키(58)로 되어있으며, X,Y구동기구(20)를 X축, Y축으로 촌동시키는 X축 촌동키, Y축 촌동키와, 이 촌동키로 부터의 펄스수를 가산 또는 감산하여, X,Y좌표치를 구하는 좌표연산부와, 이 X,Y축 좌표치를 표시하는 액정디스플레이로 되는 표시부(60)를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봉제미싱의 제어장치의 동작을 도 7 및 도 11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지금, 도 9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직물(12)에 봉제해야할 대상으로서 포켓직묵(13)을 봉제하는 경우, 원점으로부터, 공이송, A점→B점→C점→D점→E점 이라는 봉제를 얻는데는 X축 촌동 ±키, Y축 촌동 ±키를 눌러서 펄스지령을 발생시켜 구동부(40)을 통하여 도 10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XY구동기구(20)를 동작시키고, 미싱바늘(8)을 원점으로 부터 A점의 위치로 이동하여 좌표연산부가 이 펄스지령에 따라 A점에서의 Xa, Ya의 좌표치를 연산시키며, 설정키를 눌러서 RAM(36)에 기억한다.
마찬가지로, X축 촌동키, Y축 촌동키를 눌러서, 도 10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XY구동기구(20)을 동작시키고, 미싱바늘(8)을 B점의 위치로 하며, 설정키 직선봉제키를 눌러서, Xb, Yb의 좌표치와, 봉제의 종류를 RAM(36)에 기억하고, 마찬가지로 하여 미싱바늘(8)을 C점의 위치로하여 설정키, 직선봉제키를 눌러서 Xc, Yc의 좌표치와 봉제의 종류를 RAM(36)에 기억하여 직물(12) 및 포켓직물(13)의 봉제모양이 RAM(36)에 기억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C점, D점, E점의 좌표치도 RAM(30)에 기억한다.
도 11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포켓직물(13)에 예컨대 봉제라인(13a)을 미리 마킹하여 두고, 정확하게 이 봉제라인(13a)을 봉제가능한 범위내의, 직물누름부
(10)에 대하여 평행으로 하며, 봉제개시키를 눌러서 RAM(36)에 기억된 봉제데이터를 판독하여 XY축구동기구(20)를 동작하면서, 미싱바늘(8)을 상하로 움직여서 봉제모양이 완성된다.
상기와 같이, 자동봉제미싱의 제어장치는 구성되어 있었으므로, 봉제모양데이터를 새로히 입력하여 RAM(36)에 기억하는 경우는, 작업자가 X축 촌동키, Y축 촌동키등을 눌러서, X,Y모터(8),(9)에 의해 2축 구동기구(20)을 동작시켜, RAM(36)에 봉제모양을 기억시키고 있었다.
그러나, X,Y모터(8),(9)는 단속적으로밖에 동작할 수 없기때문에 고속의 이동이 될 수 없고, 봉제모양데이터의 작성에 많은 시간이 걸리고 있었다. 특히, 큰 봉제모양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장시간이 걸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2축구동기구(20)의 직물누름부(10)의 미리 정해진 영역상에 직물(12)를 얹어서, 이 직물(12)위에 봉제라인(13a)이 포켓직물(13)을 세트하고부터, 직물(12)및 포켓직물(13)의 봉제를 개시하기 때문에 이 세트공정이 번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피봉제물을 잡은 직물누름부를 구동제어함으로써, 솔기(seam)를 형성하는 자동봉제 미싱제어장치에 관한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자동봉제 미싱제어장치의 전체구성도,
도 2는 도 1에 표시하는 자동봉제 미싱제어장치의 직물누름부를 손으로 이동시키는 직물누름부의 평면도.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자동봉제 미싱제어장치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피봉제물을 직물누름부에 잡게 한때의 평면도.
도 5는 도 4에 표시하는 자동봉제 미싱의 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피봉제물을 직물누름부에 잡게한때의 평면도.
도 7은 자동봉제 미싱의 제어장치의 전체를 표시하는 사시도.
도 8은 종래의 자동봉제 미싱제어장치의 전체구성도.
도 9는 직물에 실시하는 봉제를 표시하는 평면도.
도 10은 도 7에 표시하는 자동봉제 미싱제어장치의 직물누름부를 자동으로이동하는 상태를 표시하는 직물누름부 부근의 평면도.
도 11은 도 8의 직물을 양복바지로 봉제하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게 된 것으로, 피봉제물의 준비작업을 경감시키는 자동봉제 미싱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1의 국면의 자동봉제 미싱제어장치는, 피봉제물의 솔기모양에 따라, 공이송, 직선, 원호, 원등의 솔기종류를 입력하는 솔기종류 입력수단과, 상기 피봉제물을 잡는 직물누름부와, 상기 피봉제물을 봉제하는 구동모터에 연동된 미싱바늘과, 이 직물누름부를 서로 직교하는 X축 및 Y축 방향으로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 2축 구동기구와, 이 2축 구동기구를 구동하는 X축 모터,Y축 모터와, 상기 X축 모터, Y축 모터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회전각도 검출수단과, 이 회전각도 검출수단의 검출치에 따라 상기 2축구동기구의 원점으로부터의 X,Y좌표치를 구하는 X,Y좌표치 산출수단과, 상기 2축구동기구를 적어도 하나의 소정의 미싱바늘의 위치에 수동으로 움직여서, 상기 각 소정의 위치를 X,Y좌표치 산출수단에 의해 구한 X,Y좌표치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소정의 위치를 상기 솔기종류입력수단으로 부터 입력된 솔기 종류에 대응한 봉제모양을 형성하는 형성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2의 국면의 자동봉제 미싱제어장치는, 적어도 2개의 기준좌표치를 기억한 기억수단과, 미리 봉제해야 할 봉제라인 또는 이 봉제라인을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점이 표시된 피봉제물을 잡는 직물누름부와, 피봉제물을 봉제하는 구동모터에 연동된 미싱바늘과, 상기 직물누름부를 서로 직교하는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2축 구동기구와, 이 2축구동기구를 구동하는 X축 모터, Y축 모터와, 상기 X축 모터, Y축 모터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회전각도 검출수단과, 상기 직물누름부에 잡혀진 상기 피봉제물의 봉제라인상의 적어도 2개의 임의의 점 또는 상기 피봉제물의 상기 2개의 점에, 상기 2축구동기구를 동작시켜서 상기 미싱바늘의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개시점 및 지시점의 X,Y좌표치를 상기 회전각도 검출수단의 검출치에 따라 구하는 X,Y좌표치 산출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한 상기 기준좌표치와, 상기 X,Y좌표치 산출수단의 좌표치에 따라 경사치를 연산하는 경사연산수단과, 상기 경사연산수단의 경사치에 따라 상기 봉제모양의 경사를 수정하는 수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3의 국면의 자동봉제 미싱제어장치는 상기 제 2의 국면에 기억수단에는, 밀 봉제가능한 영역을 표시하는 봉제가능 좌표치가 기억되어 있고, 수정수단에 의해 생성된 봉제모양의 각 점의 수정좌표치가 상기 봉제좌표치내에 있는 것을 판단하는 판단수단을 부가한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한 실시예로서 도 1에 의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자동봉제 미싱제어장치의 전체구성도이다. 도면중 종래와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표시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에 있어서, 미싱은, 조작부(60)에 종래 구비되어 있던 촌동키(58)가 생략되어 있고, 구동부(40)을 오프하며 구동부(40)이외의 제어부(30)를 온으로 하는 개시스위치(301)가 부가되어 있다.
XY축 구동기구(20)를 동작시키는 3상유도 전동기등의 X축 모터(124), Y축 모터(126)와, 이 X축 모터(124), Y축 모터(126)의 각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수단으로 회전각도에 따라서 소정의 펄스수를 발생시키는 인코더(224),(226)을 가지고 있으며. 제어부(30)에는, 이 인코더(224),(226)의 펄스수를 가산 및 감산함으로써, 직물누름부(10)에 대한 미싱바늘(8)의 X,Y좌표치를 연산시키는 X,Y좌표연산수단
((CPU132) 및 ROM(3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봉제미싱의 제어장치의 동작을 도 1로 부터 도 3에 의해 설명한다.
지금, 도 9 및 도 11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직물(12)에 봉제해야할 대상으로서 포켓(13)을 대상물에 봉제하는 경우, 즉, 원점으로부터 공이송, A점→B점→C점→D점→E점이라는 봉제를 얻는데는 직물(12)에 봉제해야 할 대상으로서 포켓(13)을 대상물에 봉제하는 경우, 개시스위치(301)를 온하여 구동부(40)를 오프하고, 구동부(40)이외의 제어부(30)를 온으로하며(스텝 S101), 직물누름부(10)를 손으로 이동하여 2축구동기구(20)을 동작시키고, 미싱바늘(8)을 원점으로부터 A점의 위치로 이동하며(스텝 S105), 이때, CPU(32)는, X축 모터(124), Y축 모터(126)의 회전각도를 인코더(224),(226)로 검출하여 인터페이스(42)를 통하여 출력신호를 입력하고(스텝 S107), CPU(32)는 이 출력신호에 의해 A점에서의 Xa, Ya의 좌표치를 연산시키며(스텝 S109), 연산된 Xa, Ya의 좌표치를 「공이송키」,「입력키」가 눌려짐으로써 원점으로부터 A점까지의 공이송데이터로서 RAM(36)에 기억한다(스텝 S111).
마찬가지로, 직물누름부(10)를 손으로 이동하여 2축구동기구(20)를 동작시키고, 미싱바늘(8)을 A점으로부터 B점의 위치로 이동하며, (스텝 S113), CPU(32)는, 상기 스텝 S107, 스텝 S109를 실행하여(스텝 S115), 연산된 Xb, Yb의 좌표치를 「직선키」솔기길이 「1.0」㎜, 「입력키」가 눌려짐으로써, 봉제조건, 즉, 직선, 솔기길이 「1.0」㎜의 봉제데이터를 형성(형성수단)하여 RAM(36)에 기억한다(스텝 S117).
또, 직물누름부(10)를 손으로 이동하여 2축구동기구(20)를 동작시키고, 미싱바늘(8)을 B점으로부터 C점, C점으로 부터 D점, D점으로 부터 E점의 각 점으로 이동시켜서, 각 점, 즉, C점, D점, E점 마다의 연산된 Xc, Yc(C점), Xd, Yd(D점), Xe, Ye(E점)각 좌표치를 「직선키」, 솔기길이 「1.0」㎜, 「입력키」가 눌려짐으로써, A점→B점→C점→D점→E점의 좌표치, 직선, 솔기길이 1.0㎜의 봉제데이터를 상기 형성수단에 의해 형성하여 RAM(36)에 기억한다(스텝 S117). 이상에 의해 도 8의 봉제데이터가 RAM(36)에 기억된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 4 및 도 5에 따라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직물(13)을 직물누름부(10)에 세트할 때 에 정확한 위치맞춤이 불필요하게 되고, 봉제개시점을 직물(13)을 세트한 후 에 지정할 수 있는 것이다.
RAM(36)에는, 미리 봉제가 가능한 영역을, 예컨대 4각형 PEa→PEb1→PEc→
PEd로 둘러싸인 영역의 각점의 좌표PEn(Xn,Yn)의 각 좌표치를 기억하고 있으며, 각 좌표치가 조작부(50)의 숫자키(52)에 의해 입력되어 가역되어 있다.
점 PEa(Xa,Ya)를 좌표원점으로한다. 또, RAM(36)에는, 실시예 1에 의해 취득된 적어도 2개의 기준좌표치로서 예컨대 Po(Xo,Yx)와 P1(X1,Y1)을 기억하고 있다.
지금, 직물(13)에는, 봉제라인(적어도 2개의 점이라도 된다)이 주어져 있고, 봉제개시점에 대응하는 점을 P′O로 하며, RAM(36)의 봉제모양데이터의 봉제의 개서점을 Po(X0,Y0)로 한다.
직물(13)을 대강 그 위치에 세트하고(스텝 S201), 개시스위치(301)를 온하여 구동부를 오프하고, 구동부(40)이외의 제어부(30)을 온하며(스텝 S203), 2축 구동기구(20)의 직물누름부(10)을 수동으로 움직이고, 봉제개시점 P´O를 미싱바늘(8)의 밑에 맞추며, 개시키를 작업자가 누른다(스텝 S205).
CPU(32)는 이 개시점 P′0의 좌표를 P′0(X′0,YO)로 하여, X인코더(224), Y인코더(226)의 출력신호에 의해 X′O, Y′O의 값을 연산한다.
봉제물모양과 직물(13)의 봉제라인이 평행이 아니라고 작업자가 판단하면(스텝 S207), 직물누름부(10)를 수동으로 움직이고, 예컨대 봉제개시점 P′0로 부터 다음의 봉제기준점 P′1을 연결하는 직선상의 임의의 점 P′h점으로 미싱바늘(8)을 이동하며(스텝 S209), 작업자가 입력키를 누른다(스텝 S211). CPU(32)는, RAM(36)으로부터 2개의 기준좌표치로서 봉제개시점 PO(X0,Y0), 봉제변곡점 P1(X1,Y1)을 판독하여 그 경사 θ를 아래식에 의해 얻는다.
tanθ=(Y-Y0)/(X1-X1).......................(1)
또한, 도 4에서는 P0→P1은 평행이므로 tanθ는 제로가 된다.
CPU(32)는 점 P′h(X′h,X′h)에 의해, 직물(13)의 봉제점 P′0→P′1의 경사각도 θ′를 아래식에 의해 얻는다.
tanθ´=(Y´h-Y´0)/(X´h-X0)..............(2)
이상의 각도 θ,θ´로부터, 기준좌표치에서 구해진 가상기준선과 직물누름부(10)에 세트된 직물(13)에서의 봉제라인과의 각도의 어긋남 △θ는 아래식으로 된다.
△θ=θ′-θ...............................(3)
CPU(32)는 봉제모양상의 임의의 점, P′0,P′1............을 P′n(X´n -Y′n)으로 하면(n는 0,1............로 한다). RAM(36)에 기억되어 있는 각 점의 기준좌표 Xn,Yn에 따라 아래식(4),(5)로부터 각 점을 좌표변환하고(스텝 S213)새로운 기준좌표치를 구한다.
X′n=Xx·cos△θ+Yy·sin△θ+X′0..........(4)
Y′n=Xx·sin△θ+Yy·cos△θ+Y′0..........(5)
여기서, (4),(5)식에 있어서, Xx=Xn-Xo
Yy=Yn-Yo이다.
CPU(32)는 새로운 봉제기준점 P′n(X′n·Y′n)및 봉제통과점이 봉제가능영역내에 있는지 여부를 RAM(36)으로부터 봉제가능영역의 각 점의 좌표치 PEn(Xn,Yn)를 판독하여, 좌표변환된 P′n과 봉제통과점이 PEn으로 둘러싸인 범위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 S215). 모두 봉제가능영역내이면, 좌표변환된 P′n을 RAM(36)에 기억하여 종료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봉제해야 할 모양이 직선만으로 형성된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도 6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곡선에 대하여도 직물(13)의 경사의 수정을 상기와 같은 실행순서 및 도 5의 플로차트에 의해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제 1의 발명에 의하면, 2축구동기구를 적어도 하나의 소정의미싱바늘의 위치에 수동으로 움직여서, 각 소정의 위치를 X,Y좌표치산출수단에 의해 구한 X,Y좌표치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소정의 위치를 솔기종류 입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솔기 종류에 대응한 봉제모양을 형성하는 형성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봉제데이터를 고속으로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 제 2의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2개의 기준좌표치를 기억한 기억수단과, 미리 봉제해야할 봉제라인 또는 이 봉제라인을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점이 표시된 피봉제물은 잡는 직물누름부와, 2축구동기구를 구동하는 X축 모터, Y축 모터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회전각도 검출수단과, 상기 직물누름부에 잡혀진 상기 피봉제물의 봉제라인상의 적어도 2개의 임의의 점 또는 상기 피봉제물의 상기 2개의 점에 상기 2축구동기구를 동작시켜서, 상기 미싱바늘의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개시점 및 지시점의 X,Y좌표치를 상기 회전각도 검출수단의 검출치에 따라, 구하는 X,Y좌표치 산출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으로부터 판독한 상기 기주좌표치와, 상기 X,Y좌표치 산출수단의 좌표치에 따라 경사치를 연산하는 경사연산수단과, 상기 경사연산수단의 경사치에 따라 상기 봉제모양의 경사를 수정하는 수정수단을 구비하였으므로, 봉제물을 직물누름부에 세트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또, 제 3의 발명에 의하면, 제 2의 발명의 효과에 더하여, 기억수단에는, 미리 봉제가능한 영역을 표시하는 봉제가능좌표치가 기억되어있고, 수정수단에 의해 생성된 봉제모양의 각 점의 수정좌표치가 봉제가능 좌표치내인 것을 판단하는 판단수단을 구비하였으므르, 수정된 봉제데이터가 봉제가능영역 내인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자동봉제 미싱제어장치는 피봉제물을 봉제할 때의 준비작업을 경감하는데 적합하다.

Claims (3)

  1. 피봉제물의 솔기모양에 따라서 공이송, 직선, 원호, 원등의 솔기종류를 입력하는 솔기 종류입력수단과, 상기 피봉제물을 잡는 직물누름부와, 상기 피봉제물을 봉제하는 구동모터에 연동된 미싱바늘과 이 직물누름부를 서로 직교하는 X축 및 Y축 방향에 수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 2축 구동기구과, 이 2축구동기구를 구동하는 X축 모터, Y축 모터와, 상기 X축 모터, Y축 모터의 회전각도는 검출하는 회전각도 검출수단과, 이 회전각도 검출수단의 검출치에 따라, 상기 2축 구동기구의 원점으로부터의 X,Y좌표치를 구하는 X,Y좌표치를 구하는 X,Y좌표치 산출수단과, 상기 2축구동기구를 적어도 하나의 소정의 미싱바늘의 위치에 수동으로 움직여서, 상기 각 소정의 위치를 X,Y좌표치 산출수단에 의해 구한 X,Y좌표치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소정의 위치를 상기 솔기종류 입력수단으로 부터 입력된 솔기종류에 대응한 봉제모양을 형성하는 형성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봉제 미싱제어장치.
  2. 적어도 2개의 기준좌표치를 기억한 기억수단과, 미리 봉제해야 할 봉제라인 또는 이 봉제라인을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점이 표시된 피봉제물을 잡는 직물누름부와 피봉제물을 봉제하는 구동모터에 연동된 미싱바늘과, 상기 직물누름부를 서로 직교하는 X축 및 Y축방향으로도 이동시키는 2축구동기구와, 이 2축 구동기구를 구동하는 X축 모터, Y축 모터와, 상기 X축 모터, Y축 모터의 회전각도를 검출하는 회전각도 검출수단과, 상기 직물누름부에 잡혀진 상기 피봉제물의 봉제라인상의 적어도 2개의 임의의 점, 또는 상기 피봉제물의 상기 2개의 점에 상기 2축구동기구를 동작시켜서 상기 미싱바늘의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개시점 및 지시점의 X,Y좌표치를 상기 회전각도 검출수단의 검출치에 따라 구하는 X,Y좌표치 산출수단과, 상기 기억수단으로 부터 판독한 상기 기준좌표치와, 상기 X,Y좌표치 산출수단의 좌표치에 따라 경사치를 연산하는 경사연산수단과, 상기 경사연산수단의 경사치에 따라, 상기 봉제모양의 경사를 수정하는 수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봉제 미싱제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수단에는, 미리 봉제가능한 영역을 표시하는 봉제가능 좌표치가 기억되어있고, 상기 수정수단에 의해 생성된 봉제모양의 각 점의 수정좌표치가 상기 봉제가능 좌표치내인 것을 판단하는 판단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봉제 미싱제어장치.
KR10-2001-7004126A 1999-04-02 1999-04-02 자동봉제 미싱제어장치 KR1004348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9/001738 WO2000060156A1 (fr) 1999-04-02 1999-04-02 Unite de commande de machine a coudre automati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8817A true KR20020008817A (ko) 2002-01-31
KR100434896B1 KR100434896B1 (ko) 2004-06-07

Family

ID=14235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4126A KR100434896B1 (ko) 1999-04-02 1999-04-02 자동봉제 미싱제어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67721B1 (ko)
KR (1) KR100434896B1 (ko)
CN (1) CN1162578C (ko)
DE (1) DE19983601B4 (ko)
TW (1) TW436547B (ko)
WO (1) WO200006015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295B1 (ko) * 2006-09-26 2010-02-24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재봉틀 및 재봉틀의 제어 장치
KR101364555B1 (ko) * 2007-05-17 2014-02-18 주식회사 썬스타 자수기의 테두리 재봉 운용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597421A4 (en) * 2003-02-12 2007-01-17 Ralph J Koerner PROC D AND STITCHING DEVICE
JP2005040333A (ja) * 2003-07-22 2005-02-17 Brother Ind Ltd プログラムミシンのプログラム保護装置
JP4605492B2 (ja) * 2003-09-29 2011-01-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縫製装置及び縫製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4379221B2 (ja) * 2004-06-17 2009-12-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4445355B2 (ja) * 2004-09-07 2010-04-07 Juki株式会社 ボタン付けミシン
JP4576547B2 (ja) * 2005-05-11 2010-11-10 Juki株式会社 ミシン
JP2008073091A (ja) * 2006-09-19 2008-04-03 Brother Ind Ltd パルスモータの駆動制御装置及びミシン
JP2008228961A (ja) 2007-03-20 2008-10-02 Brother Ind Ltd ミシン及びミシン制御プログラム
KR101379827B1 (ko) * 2007-04-10 2014-04-01 주식회사 썬스타 자수미싱의 좌표값 입력장치 및 방법
CN101748564B (zh) * 2008-12-04 2013-02-13 Juki株式会社 缝纫机的控制装置及缝纫机的控制方法
JP2016086874A (ja) * 2014-10-30 2016-05-2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及びミシンの制御方法
CN107977019B (zh) * 2016-10-21 2020-07-28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布料抓取装置的抓取位置和姿态控制方法及系统
CN109281070A (zh) * 2018-11-19 2019-01-29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可编程自动缝制方法及其装置、设备和存储介质
JP2023000297A (ja) 2021-06-17 2023-01-04 株式会社ジャノメ 座標データ作成装置、ミシン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3000299A (ja) 2021-06-17 2023-01-04 株式会社ジャノメ 座標データ作成装置、ミシン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3000298A (ja) 2021-06-17 2023-01-04 株式会社ジャノメ 座標データ作成装置、ミシン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0181A (en) * 1980-03-17 1981-10-12 Brother Ind Ltd Programming device for sewing machine
US4406234A (en) * 1981-05-22 1983-09-27 Usm Corporation Positioning apparatus
JPS603511B2 (ja) * 1981-09-01 1985-01-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テスト装置
KR860002174B1 (ko) * 1982-09-25 1986-12-22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기가이샤 재봉틀구동장치
JP2838710B2 (ja) * 1989-03-03 1998-12-16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コンピュータ刺繍ミシン
JP2750185B2 (ja) * 1989-12-22 1998-05-13 ユニテック株式会社 刺しゅう用ミシン
JP2581343B2 (ja) * 1991-06-20 1997-02-12 三菱電機株式会社 自動縫いミシンの制御装置
JP3002568B2 (ja) * 1991-06-21 2000-01-24 日本電波株式会社 ティーチング用刺繍機
JPH06246077A (ja) * 1993-02-24 1994-09-06 Brother Ind Ltd 刺繍ミシン
JP3354330B2 (ja) 1994-02-03 2002-12-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縫製データ補正装置
DE4431318C2 (de) * 1994-09-02 1997-05-28 Ksl Keilmann Sondermaschinenba Nähvorrichtung
JPH10137467A (ja) * 1996-11-11 1998-05-26 Juki Corp 模様縫製装置、模様縫製方法及び模様表示方法
JP3760541B2 (ja) * 1996-12-27 2006-03-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刺繍データ処理装置
DE19712421C1 (de) * 1997-03-25 1998-02-26 Pfaff Ag G M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genauen Bestimmung des Nadel-Nullpunktes der Nähmaschine eines Nähautomaten
JPH11188189A (ja) * 1997-12-26 1999-07-13 Juki Corp 縫製物移動制御方法および形状縫いミシン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4295B1 (ko) * 2006-09-26 2010-02-24 브라더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재봉틀 및 재봉틀의 제어 장치
CN101153434B (zh) * 2006-09-26 2011-08-17 兄弟工业株式会社 缝纫机及缝纫机的控制装置
KR101364555B1 (ko) * 2007-05-17 2014-02-18 주식회사 썬스타 자수기의 테두리 재봉 운용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21208A (zh) 2001-11-07
WO2000060156A1 (fr) 2000-10-12
CN1162578C (zh) 2004-08-18
DE19983601B4 (de) 2004-12-23
KR100434896B1 (ko) 2004-06-07
DE19983601T1 (de) 2001-11-22
TW436547B (en) 2001-05-28
US6567721B1 (en) 2003-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4896B1 (ko) 자동봉제 미싱제어장치
US8948901B2 (en) Sewing machine
EP2233627A2 (en) Sewing machin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executable on sewing machine
JPH0365994B2 (ko)
US4312283A (en) Automatic sewing machine having control circuit receiving a signal measuring adjustment of work receiving means
JP2006198188A (ja) ミシン
KR101103123B1 (ko) 프로그램식 전자 재봉틀 및 프로그램식 전자 재봉틀의 제어장치
CN109868576A (zh) 一种辅助送料的工业缝纫机控制系统及方法
WO2006118309A1 (ja) 刺繍ミシン及び刺繍スタート位置設定方法
KR20060108503A (ko) 차동 이송 재봉기
JP2007111233A (ja) ミシン
JP3917251B2 (ja) 形状縫いミシン
US20080223273A1 (en) Sewing machine
JP2838710B2 (ja) コンピュータ刺繍ミシン
JPH04244185A (ja) ミシン装置
JP2650250B2 (ja) 自動ミシン
KR20040094371A (ko) 전자 지그재그 재봉기
JPS62277990A (ja) ミシンの制御方法
JP4037682B2 (ja) 差動送りミシン
JP4081298B2 (ja) 千鳥縫いミシン
JPH01285288A (ja) ミシンのデータ作成装置
JP2020185193A (ja) ミシン及びプログラム
JPH05137865A (ja) ミシンの布搬送制御装置
JPS62120877A (ja) 刺繍ミシンのデ−タ作成装置
JPH09299637A (ja) 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